KR101323021B1 - 원코드 타입 블라인드 장치 - Google Patents

원코드 타입 블라인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3021B1
KR101323021B1 KR1020120058256A KR20120058256A KR101323021B1 KR 101323021 B1 KR101323021 B1 KR 101323021B1 KR 1020120058256 A KR1020120058256 A KR 1020120058256A KR 20120058256 A KR20120058256 A KR 20120058256A KR 101323021 B1 KR101323021 B1 KR 1013230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at
lifting
housing
clutch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82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익
Original Assignee
김상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익 filed Critical 김상익
Priority to KR10201200582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30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30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30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8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 E06B9/30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liftable
    • E06B9/303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liftable with ladder-tape
    • E06B9/308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liftable with ladder-tape with coaxial tilting bar and raising shaft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78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direct manual operation, e.g. by tassels, by handles
    • E06B2009/785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direct manual operation, e.g. by tassels, by handles by belts, straps, bands, tapes, cords, tasse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38Other details
    • E06B9/384Details of interconnection or interaction of tapes and lamella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li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문 등에 설치하는 블라인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다수개의 슬랫이 설치되는 일정 길이의 지지프레임과 회전축이 구비된 클러치 및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는 개폐장치로 구성되는 원코드 타입 블라인드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개폐장치는 상기 슬랫을 승강시킬 수 있도록 상기 지지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내설되는 슬랫리프팅부와 상기 슬랫을 회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지지프레임에 내설되는 슬랫개폐부를 구비하되, 상기 슬랫개폐부에는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는 회전자 및 상기 회전자의 회전에 따라 전후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슬랫리프팅부와 슬랫개폐부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회전되는 구동클러치를 구비함으로써, 하나의 조절로프로 슬랫의 각도와 승강을 동시 조절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작동 부하를 최소화하여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원코드 타입 블라인드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원코드 타입 블라인드 장치{One-code type blind apparatus}
본 발명은 창문 등에 설치되는 블라인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맞물림 클러치 방식을 채택하여 슬랫의 승강 작동과 개폐 작동이 선택적으로 자동 전환될 수 있게 하는 원코드 타입 블라인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블라인드는 사무실 또는 가정 등의 창문에 설치되어 실내로 유입되는 햇빛을 차단하거나 또는 외부에서 내부 투시가 가능하지 않도록 가림막 역할을 하는 차단 장치 중의 하나이다.
이러한 블라인드는 통상적으로 수평 상태로 설치되는 일정 길이의 지지프레임 하부에 다수개의 수평 슬랫(slat)을 일정 간격으로 설치하고, 상기 지지프레임에는 상기 슬랫을 승강시킬 수 있는 승강장치와 상기 슬랫의 기울기(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각도조절장치가 별도로 각각 설치됨으로써, 사용자가 승강장치와 각도 조절장치를 개별적으로 조작하여 작동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블라인드 일단의 클러치에 연결된 두 개의 승강 조절끈을 이용하여 상기 승강장치를 회전시킴으로써 슬랫을 승강시키거나 또는 별도의 슬랫 기울기 조절바를 회전시켜 각도조절장치를 조작함으로써, 슬랫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블라인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이 있었다.
첫째, 승강 조절끈과 기울기 조절바가 별도로 각각 설치되어 독립적으로 작동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사용자가 슬랫의 승강과 기울기 조절을 개별적으로 작동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고, 둘째, 사용자가 승강 조절끈을 잡아당겨 슬랫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구조이기 때문에 슬랫이 대형이거나 또는 슬랫의 개수가 많은 블라인드의 경우에는 부하가 가중되어 많은 힘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셋째, 상기와 같은 작동 부하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클러치 내부에 감속기를 내장하는 방법이 제시되고 있으나, 이는 승강 조절끈의 이동 거리보다 슬랫의 상승 또는 하강 거리가 상대적으로 적게 되어 슬랫의 승강속도가 감소됨으로써 작동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2002-0032680호(2002.5.4.)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2002-0003596호(2002.1.15.)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슬랫리프팅부와 슬랫개폐부를 대향되도록 설치하되, 회전축의 회전 방향에 따라 구동클러치가 전후로 이동하여 슬랫리프팅부와 슬랫개폐부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게 함으로써, 슬랫의 승강 작동과 기울기 조절이 하나의 조절끈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작동 부하를 최소화할 수 있는 원코드 타입 블라인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정 길이의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단에 설치되는 클러치, 상기 클러치에 결합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는 개폐장치, 및 다수개의 슬랫으로 구성된 원코드 타입 블라인드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개폐장치는 상기 슬랫을 승강시키는 승강조절로프가 권취되며 상기 지지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내설되는 슬랫리프팅부와, 상기 슬랫리프팅부와 마주보도록 설치하되 상기 슬랫을 회동시킬 수 있도록 복수의 각도조절로프가 결합되어 상기 지지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내설되는 슬랫개폐부와, 상기 슬랫개폐부에 내설되어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는 회전자와, 상기 회전자에 외삽되어 상기 회전자의 회전 방향에 따라 전후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하되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대응하여 상기 슬랫리프팅부와 슬랫개폐부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회전되는 구동클러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슬랫리프팅부는 상기 승강조절로프가 외주면에 권취되는 리프팅하우징 및 상기 회전축이 관통되도록 상기 리프팅하우징 내측 중심선 상에 설치되는 축공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슬랫리프팅부는 상기 리프팅하우징의 선단이 상기 슬랫개폐부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축공의 후단이 상기 지지프레임에 설치되는 격벽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제자리 회전되도록 설치된다.
또 상기 리프팅하우징의 내측 하부에는 일정 길이의 결합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슬랫개폐부는 상기 회전축이 관통하되 상기 회전자에 결합된 구동클러치가 왕복 이동 가능하도록 일단이 개방된 클러치영역이 내부에 형성되는 틸팅하우징 및 상기 틸팅하우징의 외주면에 탄성 결합되어 상기 복수의 각도조절로프를 지지하는 지지스프링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프레임의 내측면에는 상부가 개방되고 내주면이 원호를 형성하는 한 쌍의 지지리브를 이격되게 돌출 형성하고, 상기 틸팅하우징은 외주면 양단에 가이드리브를 각각 돌출 형성하여 상기 가이드리브가 상기 지지리브에 끼워져 회전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자의 외주면에는 나선형의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구동클러치의 내주면에는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는 슬라이드돌기를 형성하여 상기 슬라이드돌기가 상기 회전자의 회전에 따라 상기 클러치영역을 왕복 이동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 상기 구동클러치는 상기 리프팅하우징과 틸팅하우징에 선택적으로 맞물려 회전되는 맞물림 클러치로 구성될 수 있다.
또 상기 구동클러치는 양측면에 방사상으로 다수개의 구동클로우를 각각 설치하고 상기 리프팅하우징과 틸팅하우징의 대향면에는 상기 구동클로우에 맞물리는 제1종동클로우와 제2종동클로우가 각각 방사상으로 다수개 설치된다.
이때 상기 구동클로우와 제1,2종동클로우는 상기 회전축의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반경 상에 위치하여 서로 맞물리는 수직면과 상기 수직면 상단으로부터 일측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하되 서로 반대방향으로 경사지도록 구비되는 경사면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지지프레임에는 상기 슬랫리프팅부에 결합되어 슬랫리프팅부의 회전 속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감속기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감속기는 주축의 회전에 대응하여 복수의 제동판이 구비되고, 상기 제동판이 주축의 회전에 따라 원주방향으로 벌어져 드럼하우징 내면에 밀착되어 마찰력이 발생되도록 한 원심브레이크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속기는 주축이 드럼하우징 외부로 연장되어 상기 슬랫리프팅부의 축공 단부와 동일 중심선 상에서 결합되어 회전되도록 한다.
또 상기 슬랫리프팅부의 축공은 상기 격벽에 관통 형성되는 지지공을 관통하여 선단이 상기 감속기의 주축의 선단과 밀착되고, 상기 축공과 주축이 연결되는 축커플링부에는 스프링이 외삽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하나의 조절끈으로 슬랫의 승강 작동과 기울기 조절이 가능하여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또한 작동 부하의 최소화는 물론 작동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높여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원코드 타입 블라인드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원코드 타입 블라인드장치에 구비된 개폐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개폐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개폐장치의 부분 단면도,
도 5는 지지프레임의 부분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슬랫리프팅부의 슬랫 상승시 작동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슬랫리프팅부의 슬랫 하강시 작동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슬랫개폐부의 작동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감속기와 개폐장치의 결합 상태도,
도 10은 도 9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원코드 타입 블라인드장치의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원코드 타입 블라인드장치에 구비된 개폐장치의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도 1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지지프레임(1)의 일부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원코드 타입 블라인드 장치는 지지프레임(1), 클러치(410), 회전축(400), 개폐장치(100), 및 슬랫(slat)(550)으로 구성된다.
지지프레임(1)은 다수개의 고정브래킷(430)과 홀더(440)에 의해 건물 벽면에 수평 상태로 고정되어 다수개의 슬랫(550)을 지지하는 것으로서, 내부가 비어 있고 상부가 개방된 직사각형의 하우징(housing) 형상으로 구비되며 양단에는 캡(420)이 각각 결합된다.
한편 지지프레임(10)의 일단부에는 클러치(410)가 설치된다.
클러치(410)에는 회전축(400)과 이 회전축(400)을 회전시키기 위한 한 쌍의 조절끈(500)이 결합된다.
여기서 클러치(410)는 블라인드 장치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역회전 방지 클러치가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조절끈(500) 중 어느 하나를 잡아당김으로써, 회전축(400)을 특정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게 되고, 이때 클러치(410)는 회전축(400)에 가해지는 회전력에 의해서는 회전축(400)이 회전되지 않도록 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회전축(400)은 단면이 사각 형상을 가지는 사각 봉으로 형성되며, 하기에서 설명하는 개폐장치(100)와 감속기(200)를 관통하여 지지프레임(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수평 상태로 설치된다.
또한 슬랫(550)은 일정 길이와 폭을 가지는 플레이트(plate) 형태로 구성된 것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1) 하부에 수평 상태로 이격되어 다수개가 설치됨으로써, 차폐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슬랫(550)은 승강조절로프(520)와 한 쌍의 각도조절로프(530)에 의해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한편 개폐장치(100)는 도 1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슬랫(550)을 안정적으로 승강시키거나 또는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지지프레임(1)의 양측부에 두 개가 각각 설치된다.
이때 개폐장치(1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1) 내측에 삽입되어 제자리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됨과 동시에 회전축(400)이 관통 결합되고, 일단에는 하기에서 설명하는 감속기(200)가 결합된다.
여기서 개폐장치(100)는 슬랫(550)을 승강(리프팅)시킬 수 있는 승강조절로프(520)와 슬랫(550)의 기울기(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각도조절로프(530)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랫리프팅부(10) 및 슬랫개폐부(50)에 각각 결합된다.
따라서 개폐장치(100)는 회전축(400)의 회전에 대응하여 슬랫리프팅부(10) 및 슬랫개폐부(50)의 독립적인 회전에 의해 슬랫(550)을 승강시키거나 또는 슬랫(550)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하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원코드 타입 블라인드 장치에 구비된 개폐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개폐장치의 분해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개폐장치의 부분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5는 지지프레임의 부분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개폐장치(100)는 슬랫리프팅부(10), 슬랫개폐부(50), 회전자(60), 및 구동클러치(70)로 구성된다.
슬랫리프팅부(10)는 슬랫(550)을 승강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리프팅하우징(11)과 축공(15)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리프팅하우징(11)은 후단에 돌출된 축공(15)에 의해 지지프레임(1)에 설치되는 격벽(4)의 지지공(5)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선단은 하기에서 설명하는 슬랫개폐부(50)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지지프레임(1) 내에서 제자리 회전되도록 설치된다.
리프팅하우징(11)은 내부가 비어 있고 후단이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구비되며, 외주면에는 승강조절로프(520)가 균일하게 권취될 수 있도록 나사산 형태의 가이드홈(14)이 형성된다.
한편 축공(15)은 리프팅하우징(11)의 내측 중심선 상에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것으로서, 회전축(400)이 관통할 수 있도록 중공형 파이프 형태로 구비되며 다수의 지지리브(17)에 의해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이때 축공(15)은 사각 회전축(400)이 내측에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충분한 내경을 가지도록 구비되며, 후단은 리프팅하우징(11)의 후단보다 일정 길이 더 연장되어 지지프레임(1)의 격벽(4)에 구비된 지지공(5)을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축공(15)은 하기에서 설명하는 감속기(200)의 주축(240)과 연결된다.
한편 리프팅하우징(11)의 내측 하부(축공 하부)에는 축공(15)과 평행하게 길이 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함입된 결합홈(19)(도4,10에 도시함)이 형성된다.
이 결합홈(19)은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저면의 일측에 결합공이 관통 형성되며, 이 결합공에는 승강조절로프(520)가 리프팅하우징(11)의 외주면에 권취될 수 있도록 승강조절로프(520)의 말단을 삽입하여 매듭을 만들어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결합홈(19)은 리프팅하우징(11)의 사출 성형이 용이하도록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것이므로, 상기와 같은 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승강조절로프(520)의 말단을 고정시킬 수 있는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승강조절로프(520)는 일단을 결합홈(19)에 고정시키고, 리프팅하우징(11)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선형 가이드홈(14)을 따라 권취시킨 후, 지지프레임(1) 하면에 형성되는 가이드공(8)(도10에 도시함)을 관통하여 다수의 슬랫(550)에 연결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슬랫(550)은 리프팅하우징(11)의 회전에 연동하여 승강 또는 하강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리프팅하우징(11)의 선단면에는 하기에서 설명하는 다수개의 제1종동클로우(claw)(20)가 축공(15)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돌출 형성되며, 둘레에는 틸팅하우징(51)의 후단에 끼워질 수 있도록 단턱부(12)가 환형으로 형성된다.
제1종동클로우(20)의 자세한 구성은 구동클러치(70)와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슬랫개폐부(50)는 슬랫(550)을 회동시켜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슬랫리프팅부(10)와 마주보도록 동일 중심선 상에 설치된다.
여기서 슬랫개폐부(50)는 지지프레임(1)에 회전 가능하게 내설되며, 틸팅하우징(51)과 지지스프링(80)으로 구성된다.
틸팅하우징(51)은 내부가 비어 있고 일단이 개방된 중공형으로 구비되며 외주면에는 3 개의 가이드리브(57)가 환형으로 이격되어 돌출 형성된다.
여기서 가이드리브(57)는 지지스프링(80)의 이탈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틸팅하우징(51)은 하기에서 설명하는 구동클러치(70)의 왕복 이동이 가능하도록 내부에 일정 크기의 클러치영역(53)이 형성되며, 외주에는 지지스프링(80)이 탄성 결합된다.
여기서 지지스프링(8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틸팅하우징(51)의 외주면에 탄성적으로 외삽되어 마찰력에 의해 틸팅하우징(51)과 함께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이때 지지스프링(80)은 환형으로 형성하되, 각도조절로프(530)를 각각 매듭지어 묶을 수 있도록 양단부에 고리(85)가 각각 형성되며, 이 양단부가 서로 교차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한편 틸팅하우징(51)의 중앙부에는 회전축(400)이 관통하여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도록 충분한 직경을 가진 관통공(52)이 형성된다.
따라서 리프팅하우징(11)과 틸팅하우징(51)은 회전축(400)의 회전과 상관없이 지지프레임(1) 내에서 제자리 회전할 수 있게 설치되는 것이다.
여기서 클러치영역(53)의 직경은 리프팅하우징(11)의 단턱부(12)에 끼워져 형합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한편 틸팅하우징(51)의 클러치영역(53) 내측 전면에는 제1종동클로우(20)와 마찬가지로 다수개의 제2종동클로우(55)가 관통공(52)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회전자(60)와 구동클러치(70)를 상세히 설명한다.
회전자(60)는 슬랫개폐부(50)의 클러치영역(53) 내에서 회전축(400)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원형으로 형성되며, 중심부에는 사각 회전축(400)이 관통 결합될 수 있도록 사각 결합공(62)이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된다.
따라서 회전자(60)는 회전축(400)과 함께 회전되도록 틸팅하우징(50) 내부에 설치되며, 외주면에는 나선형 가이드홈(65)이 형성된다.
이때 회전자(60)는 리프팅하우징(11)과 틸팅하우징(51)을 결합시켰을 때, 클러치영역(53) 내에서 축 방향 유동없이 회전축(400)과 함께 제자리 회전 가능하도록 적정 길이로 형성된다.
한편 구동클러치(70)는 회전자(60)에 외삽되어 회전자(60)의 회전 방향에 따라 클러치영역(53) 내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서, 중앙에 관통공(72)이 형성된 일정 두께를 가지는 원형 플레이트(plate) 형상으로 구비된다.
이때 구동클러치(70)의 관통공(72) 내주면에는 회전자(60)의 가이드홈(65)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복수의 슬라이드돌기(73)가 서로 마주보도록 돌출 형성되고, 양측면에는 제1종동클로우(20)와 제2종동클로우(55)와 동일한 형상의 다수개의 구동클로우(75)가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각각 설치된다.
따라서 구동클러치(70)는 회전자(60)의 회전에 대응하여 축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리프팅하우징(11)과 틸팅하우징(51)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회전되는 맞물림 클러치로 구성되는 것이다.
즉 구동클러치(7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체 회전이 구속된 상태에서 회전자(60)가 회전축(400)과 함께 회전되면 슬라이드돌기(73)가 회전자(60)의 나선형 가이드홈(65)을 따라 이동하게 됨으로써,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리프팅하우징(11)과 틸팅하우징(51)에 선택적으로 맞물릴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구동클러치(70)의 양측면 구동클로우(75)가 리프팅하우징(11)의 제1종동클로우(20)와 틸팅하우징(51)의 제2종동클로우(55)에 선택적으로 맞물려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구동클로우(75)와 제1종동클로우(20) 및 제2종동클로우(55)는 동일 형상으로 형성되며, 회전축(400)의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반경 상에 위치하여 서로 맞물리는 수직면(21,76,56)과 이 수직면(21,76,56) 상단으로부터 일측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된 경사면(22,77,57)으로 구성된다.
이때 구동클러치(70)는 도 4에 도시된 예에서 좌측 구동클로우(75)와 제1종동클로우(20), 그리고 우측 구동클로우(75)와 제2종동클로우(55)가 각각 서로 반대 방향으로 설치되어 수직면(22,77,57)이 대면하여 맞물림으로써 구동클러치(70)의 회전이 각각의 리프팅하우징(11)과 틸팅하우징(51)에 전달되도록 하는 것이다.
즉 서로 맞물리는 좌측 구동클로우(75)와 제1종동클로우(20), 우측 구동클로우(75)와 제2종동클로우(55)는 수직면(22,77,57)이 서로 대면할 수 있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이다.
그러나 구동클로우(75)와 제1종동클로우(20) 및 제2종동클로우(55)는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일반적으로 회전력을 축 방향으로 전달시킬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맞물림 구조가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구동클러치(70)는 전,후 방향으로의 이동이 완료된 상태에서 좌우측 구동클로우(75)가 제1종동클로우(20) 및 제2종동클로우(55)에 선택적으로 맞물릴 수 있도록 구비된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구비된 개폐장치의 설치과정을 설명한다.
지지프레임(1)에는 개폐장치(100)를 삽입시킬 수 있도록 개폐장치 설치영역(9)이 구비된다.
개폐장치 설치영역(9)의 일단에는 지지공(5)이 관통 형성된 격벽(4)이 설치되고, 타단에는 일정 거리 이격되어 설치되는 한 쌍의 지지리브(2)가 설치된다.
지지리브(2)는 틸팅하우징(51)의 외주면 양단에 각각 돌출 형성된 가이드리브(57) 내측에 끼워질수 있도록 배치됨으로써, 틸팅하우징(51)이 제자리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하게 되며, 상부가 개방되고 내주면이 원호면(3)을 형성하도록 구비된다.
이때 원호면(3)은 틸팅하우징(51)의 외주면을 지지하게 되고, 상측 개구부는 틸팅하우징(51)이 압입될 수 있도록 틸팅하우징(51)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도록 한다.
따라서 개폐장치(100)는 슬랫리프팅부(10)의 리프팅하우징(11)과 슬랫개폐부(50)의 틸팅하우징(51)이 결합된 상태에서 리프팅하우징(11)의 축공(15)이 격벽(4)의 지지공(5)에 삽입되도록 함과 동시에 틸팅하우징(51)의 가이드리브(57) 내측에 지지리브(2)가 끼워지도록 하여 개폐장치 설치영역(9)에 삽입하여 설치하면 되는 것이다.
또한 감속기(200)는 지지프레임(1)에 이격 설치된 홈이 구비된 지지벽(6) 사이에 삽입하여 설치하면 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구비된 감속기(200)를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감속기(200)는 축 회전을 제어하여 회전 속도가 어느 한도 이상으로 증가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주축(240)의 회전에 대응하여 복수의 제동판(260)이 원주 방향으로 벌어져 드럼하우징(210) 내면에 밀착됨으로써, 마찰력이 발생되도록 하여 회전축(400)의 회전속도를 제어할 수 있는 원심브레이크가 설치된다.
감속기(200)는 원심 브레이크 외에 통상적으로 적용되는 다양한 형태의 감속기가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감속기(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하우징(210), 감속기어부(220), 주축(240), 및 제동판(260)으로 구성된다.
감속기어부(220)는 선기어(221)와 선기어(221)의 외주를 따라 기어 결합되는 다수의 유성기어(225)로 구성되며, 선기어(221)는 주축(240)에 결합되고, 유성기어(225)는 드럼하우징(210)의 내주면에 기어 결합되는 것이다.
이때 주축(24)의 일단에 회전판(250)이 결합되고, 이 회전판(250)에는 한 쌍의 제동판(슈)(260)이 일단을 기준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주축(240)은 회전축(400)이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도록 관통되어 중공형으로 구비되며, 선기어(221)와 유성기어(225)의 기어비에 따라 회전속도가 정해진다.
제동판(260)은 회전판(250)에 구비된 한 쌍의 보조축(255)에 일단이 축 결합되어 주축(240)의 원주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서, 원호 형상으로 구비되며, 주축(240)의 회전에 대응하여 반경 방향으로 벌어지면서 외측면이 드럼하우징(210) 내주면에 밀착되어 마찰력을 발생시킴으로써, 주축(240)의 회전에 저항을 부가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제동판(260)은 주축(240)이 어느 한도 이상으로 회전속도가 증가하게 되면 드럼하우징(210) 내면에 밀착되어 주축(240)의 회전을 감소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때 주축(240)은 드럼하우징(210)의 커버(270)를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것이다.
따라서 주축(240)의 선단과 리프팅하우징(11)의 축공(15)의 선단은 서로 대향되어 마주보도록 동일 중심선 상에서 밀착 설치됨으로써, 축커플링부(290)(도9,10에 도시함)를 이루게 되는 것이다.
이때 코일스프링(280)은 축커플링부(290)에 외삽된다.
코일스프링(280)은 주축(240)과 리프팅하우징(11)의 축공(15) 외주면에 내주면이 밀착되도록 탄성 결합되는 것이다.
따라서 코일스프링(280)은 축공(15)의 회전 방향에 대응하여 축공(15)의 회전을 감속기(240)의 주축에 전달하거나 또는 차단하게 된다.
즉 축커플링부(290)는 축공(15)이 코일스프링(280)의 강선의 선회 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코일스프링(280)의 내경이 커지게 되어 축공(15)의 회전이 감속기(200)의 주축(240)에 전달되지 않게 되고, 또한 축공(15)이 코일스프링(280)의 강선의 선회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코일스프링(280)은 마찰력에 의해 내경이 작아지게 됨으로써, 축공(15)의 회전이 주축(240)으로 전달되는 것이다.
따라서 축커플링부(290)는 축공(15)의 회전 방향에 대응하여 선택적으로 회전력을 전달 또는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
이하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동 과정을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슬랫리프팅부의 슬랫 상승 작동 상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슬랫리프팅부의 슬랫 하강 작동 상태도를 나타내 것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슬랫개폐부의 작동 상태도를 나타낸 것이다.
먼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조절끈(500)(도1에 도시함) 중 어느 하나를 당겨 클러치(410)를 회전시키면 클러치(410)에 결합된 회전축(400)이 화살표와 같이 회전하게 된다.
회전축(400)이 회전하게 되면, 회전축(400)에 결합된 회전자(60)가 회전축(400)과 동일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구동클러치(70)는 좌우측 구동클로우(75) 중 적어도 어느 일측의 구동클로우(75)가 리프팅하우징(11)이나 틸팅하우징(51)에 각각 설치된 제1종동클로우(20) 또는 제2종동클로우(55) 중 어느 하나에 맞물리게 된다.
도 6은 구동클러치(70)의 좌측 구동클로우(75)가 리프팅하우징(11)의 제1종동클로우(20)에 맞물려 구속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때 슬랫(550)의 자중에 의한 리프팅하우징(11)의 회전 방향과 회전축(400)에 의한 회전자(60)의 회전 방향이 서로 역방향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구동클러치(70)는 회전자(60)가 회전할 때 동일 방향으로 회전하지 못하고 구속된 상태에서 화살표와 같이 전진하게 되는 것이다.
즉 구동클러치(70)는 슬라이드돌기(73)가 회전자(60)의 나선형 가이드홈(65)을 따라 이동하게 됨으로써, 좌측 구동클로우(75)가 리프팅하우징(11)의 제1종동클로우(20)와 맞물린 상태에서 화살표와 같이 전진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구동클러치(70)가 전진하는 잠시 동안에는 사용자가 조절끈(500)을 당겨도 슬랫(550)이 움직이지 않을 수 있다.
한편 구동클러치(70)가 전진하여 구동클로우(75)의 선단이 리프팅하우징(11)의 전면에 밀착되면, 구동클러치(70)는 더 이상 전진하지 못하게 되고, 이때부터 회전자(60)와 동일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리프팅하우징(11)을 회전축(400)과 동일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는 것이다.
즉, 구동클러치(70)는 회전하면서 구동클로우(75)의 수직면(76)이 제1종동클로우(20)의 수직면(21)에 밀착되어 제1종동클로우(20)를 가압하게 됨으로써 리프팅하우징(11)을 회전축(400)의 회전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때 좌측 구동클로우(75)의 선단이 리프팅하우징(11)의 전면에 밀착된 상태에서는 우측 구동클로우(75)의 선단이 틸팅하우징(51)의 제2종동클로우(55)의 선단과 일정 거리(약 1mm 이하) 이격되어 갭을 유지하기 때문에 틸팅하우징(51)은 회전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리프팅하우징(11)은 회전되면서 승강조절로프(520)를 감아 올리게 되고, 이에 따라 슬랫(550)은 최하단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상승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사용자가 조절끈(500)을 잡아 당기지 않는 상태에서는 회전축(400)이 역회전하지 않기 때문에 리프팅하우징(11)은 구동클러치(70)에 의해 지지되어 회전되지 않게 되므로, 사용자는 슬랫(550)을 원하는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슬랫(550)의 하강과 기울기 조절에 대해 설명한다.
구동클러치(70)가 리프팅하우징(11)에 맞물려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반대편 조절끈(500)을 잡아당겨 회전축(400)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 방향으로 역회전시키게 되면, 구동클러치(70)는 회전자(60)의 회전에 대응하여 화살표와 같이 후퇴하게 되고, 우측 구동클로우(75)가 틸팅하우징(51)의 제2종동클로우(55)에 맞물리게 되는 것이다.
이때 구동클러치(70)의 양측 구동클로우(75)는 제1종동클로우(20)와 제2종동클로우(55)에 각각 맞물린 상태가 되는 것이다.
여기서 틸팅하우징(51)은 구동클러치(70)의 우측 구동클로우(75)가 제2종동클로우(55)에 맞물리는 시점부터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즉 구동클러치(70)는 회전자(60)의 회전에 대응하여 틸팅하우징(51) 측으로 후퇴함과 동시에 회전함으로써, 틸팅하우징(51)을 회전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때 구동클로우(75)의 수직면(76)은 제2종동클로우(55)의 수직면(56)을 가압하여 틸팅하우징(51)을 회전시키게 되고, 틸팅하우징(51)과 지지스프링(80)이 함께 회전하여 슬랫(550)의 기울기(각도)가 조절되는 것이다.
여기서 구동클러치(70)는 틸팅하우징(51)을 회전시키면서 후퇴하게 되고, 우측 구동클로우(75)의 선단이 틸팅하우징(51)의 후면에 밀착될 때, 좌측 구동클로우(75)는 틸팅하우징(1)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이다.
한편 우측 구동클로우(75)의 선단이 틸팅하우징(51)의 후면에 밀착되는 시점에서 슬랫(550)의 기울기 조절이 완료되며, 이때 구동클러치(70)는 더 이상 후퇴하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리프팅하우징(11)은 구동클러치(70)의 후퇴에 의하여 제1종동클로우(20)가 구동클러치(70)의 좌측 구동클로우(75)로부터 이탈되면 슬랫(550)의 자중에 의한 자유낙하에 의해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즉, 구동클러치(70)가 화살표와 같이 후퇴하여 리프팅하우징(1)으로부터 완전히 이탈되면, 리프팅하우징(11)은 구속에서 해방되고, 슬랫(550)은 자중에 의해 리프팅하우징(11)을 회전시키면서 자유 낙하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리프팅하우징(11)의 회전속도는 감속기(200)에 의해 조절된다.
또한 슬랫(550)의 하강을 멈추고자 하는 경우에는 사용자는 회전축(400)을 역회전시켜 구동클러치(70)의 좌측 구동클로우(75)가 제1종동클로우(20)에 다시 맞물리도록 하면 되는 것이다.
따라서 슬랫(550)은 자유 낙하하여 하강하게 되고, 슬랫(550)은 틸팅하우징(51)의 회전에 의해 전면이 하방으로 회전하여 블라인드를 차폐시키게 되는 것이다.
한편 틸팅하우징(51)이 회전되면 지지스프링(80)도 동일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슬랫(550)의 각도가 조절되며, 슬랫(550)의 각도가 최대로 조절된 상태에서는 지지스프링(80)과 틸팅하우징(51)의 외주면 사이에서는 슬립이 발생됨으로써, 지지스프링(80)은 더 이상 회전되지 않고 틸팅하우징(51)만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슬랫(550)의 각도 조절범위는 지지스프링(80)의 고리(85)가 지지프레임(1)의 저면에 간섭되어 지지스프링(80)이 회전되지 못하는 시점까지이다.
여기서 슬랫(550)의 각도 조절구간은 회전자(60)의 나선형 가이드홈(65)의 간격을 조정하여 슬랫(550)의 개폐 감도를 조절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도 8에서와 같이, 슬랫(550)이 차폐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도 6에 도시된 화살표와 같이 조절끈(500)을 이용하여 회전축(400)을 회전시키게 되면, 구동클러치(70)는 다시 전진하여 좌측 구동클로우(75)가 리프팅하우징(11)의 제1종동클로우(20)에 맞물리게 되고, 틸팅하우징(51)을 역회전시켜 슬랫(550)을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전진하게 되어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랫(550)의 승강 작동 과정을 반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틸팅하우징(51)은 슬랫(550)의 기울기 조절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헛돌게 되므로, 구동클러치(70)의 우측 구동클로우(75)와 틸팅하우징(51)의 제2종동클로우(55)는 항상 맞물린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하 도 9,10을 참조하여 감속기(200)의 작동 과정을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감속기와 개폐장치의 결합 상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10는 도 9의 단면도를 나타낸것이다.
먼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클러치(70)가 리프팅하우징(11)으로부터 완전히 이탈하면 리프팅하우징(11)은 슬랫(550)의 자중에 의한 자유낙하에 의해 빠르게 회전하게 된다.
이때 리프팅하우징(11)의 축공(15)이 회전하게 되면 스프링(280)은 마찰력에 의해 직경이 축소되어 축커플링부(290)를 견고하게 잡아주게 됨으로써, 축공(15)의 회전이 스프링(280)에 의해 감속기(200)의 주축(240)에 전달되는 것이다.
즉 감속기(200)는 주축(240)이 빠르게 회전하게 되면, 주축(240)에 연결된 선기어(221)와 유성기어(225)의 회전에 의해 회전판(250)이 회전하게 되고, 회전판(250)의 회전에 의해 제동판(260)이 회전되는 것이다.
이때 제동판(260)은 슬랫(550)의 자유낙하에 의해 리프팅하우징(11)이 어느 속도 이상으로 회전하게 되면, 원주 방향으로 벌어지면서 드럼하우징(210) 내주면에 밀착되어 회전속도에 부하를 가함으로써, 리프팅하우징(11)의 회전속도를 늦추게 되는 것이다.
한편 사용자가 슬랫(550)을 상승시키기 위해 조절끈(500)을 잡아당겨 리프팅하우징(11)이 역회전되도록 하면 축공(15)도 역회전하게 되고, 이때 축공(15)의 회전방향은 스프링(280)의 직경이 커지는 방향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축공(15)의 외주면과 스프링(280)의 내주면 사이에 슬립이 발생되어 축커풀링부(290)에서 축공(15)의 회전은 감속기(200)의 주축(240)에 전달되지 않게 되어 사용자는 감속기(200)의 부하 없이 슬랫(550)을 상승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회전자에 설치된 구동클러치가 전후로 이동하여 슬랫리프팅부와 슬랫개폐부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슬랫의 승강 작동과 기울기 조절이 하나의 조절끈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되고, 또한 감속기의 연동 작동으로 인해 사용 편의성의 증대는 물론 작동 부하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 상기의 실시 예는 단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예시로서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특허청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지지프레임 2 : 가이드리브
3 : 원호면 4 : 격벽
5 : 지지공 6 : 지지벽
8 : 가이드공 9 : 개폐장치 설치영역
10 : 슬랫리프팅부 11 : 리프팅하우징
12 : 단턱부 15 : 축공
19 : 결합홈 20 : 제1종동클로우
21,56,76 : 수직면 22,57,77 : 경사면
50 : 슬랫개폐부 51 : 틸팅하우징
52,72 : 관통공 53 : 클러치영역
55 : 제2종동클로우 60 : 회전자
62 : 결합공 65 : 가이드홈
70 : 구동클러치 73 : 슬라이드돌기
75 : 구동클로우 80 : 지지스프링
85 : 고리 100 : 개폐장치
200 : 감속기 210 : 드럼하우징
220 : 감속기어부 221 : 선기어
225 : 유성기어 240 : 주축
250 : 회전판 260 : 제동판
270 : 커버 280 : 스프링
290 : 축커플링부 400 : 회전축
410 : 클러치 420 : 캡
430 : 고정브래킷 440 : 홀더
500 : 조절끈 520 : 승강조절로프
530 : 각도조절로프 550 : 슬랫

Claims (14)

  1. 일정 길이의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단에 설치되는 클러치, 상기 클러치에 결합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는 개폐장치, 및 다수개의 슬랫으로 구성된 원코드 타입 블라인드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개폐장치는,
    상기 슬랫을 승강시키는 승강조절로프가 권취되며 상기 지지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내설되는 슬랫리프팅부;
    상기 슬랫리프팅부와 마주보도록 설치하되, 상기 슬랫을 회동시킬 수 있도록 복수의 각도조절로프가 결합되어 상기 지지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내설되는 슬랫개폐부;
    상기 슬랫개폐부에 내설되어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는 회전자;
    상기 회전자에 외삽되어 상기 회전자의 회전 방향에 따라 전후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하되,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대응하여 상기 슬랫리프팅부와 슬랫개폐부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회전되는 구동클러치;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원코드 타입 블라인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랫리프팅부는,
    상기 승강조절로프가 외주면에 권취되는 리프팅하우징; 및
    상기 회전축이 관통되도록 상기 리프팅하우징 내측 중심선 상에 설치되는 축공;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코드 타입 블라인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랫리프팅부는,
    상기 리프팅하우징의 선단이 상기 슬랫개폐부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축공의 후단이 상기 지지프레임에 설치되는 격벽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제자리 회전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코드 타입 블라인드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하우징의 내측 하부에는 일정 길이의 결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코드 타입 블라인드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슬랫개폐부는,
    상기 회전축이 관통하되 상기 회전자에 결합된 구동클러치가 왕복 이동 가능하도록 일단이 개방된 클러치영역이 내부에 형성되는 틸팅하우징; 및
    상기 틸팅하우징의 외주면에 탄성 결합되어 상기 복수의 각도조절로프를 지지하는 지지스프링;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코드 타입 블라인드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의 내측면에는 상부가 개방되고 내주면이 원호를 형성하는 한 쌍의 지지리브를 이격되게 돌출 형성하고,
    상기 틸팅하우징은 외주면 양단에 가이드리브를 각각 돌출 형성하여 상기 가이드리브가 상기 지지리브에 끼워져 회전 지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코드 타입 블라인드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자의 외주면에는 나선형의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구동클러치의 내주면에는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는 슬라이드돌기를 형성하여 상기 슬라이드돌기가 상기 회전자의 회전에 따라 상기 클러치영역을 왕복 이동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코드 타입 블라인드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클러치는 상기 리프팅하우징과 틸팅하우징에 선택적으로 맞물려 회전되는 맞물림 클러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코드 타입 블라인드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클러치는 양측면에 방사상으로 다수개의 구동클로우를 각각 설치하고 상기 리프팅하우징과 틸팅하우징의 대향면에는 상기 구동클로우에 맞물리는 제1종동클로우와 제2종동클로우가 각각 방사상으로 다수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코드 타입 블라인드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클로우와 제1,2종동클로우는 상기 회전축의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반경 상에 위치하여 서로 맞물리는 수직면과 상기 수직면 상단으로부터 일측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하되 서로 반대방향으로 경사지도록 구비되는 경사면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코드 타입 블라인드 장치.
  11. 제3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에는 상기 슬랫리프팅부에 결합되어 슬랫리프팅부의 회전 속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감속기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코드 타입 블라인드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감속기는 주축의 회전에 대응하여 복수의 제동판이 구비되고, 상기 제동판이 주축의 회전에 따라 원주방향으로 벌어져 드럼하우징 내면에 밀착되어 마찰력이 발생되도록 한 원심브레이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코드 타입 블라인드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감속기는 주축이 드럼하우징 외부로 연장되어 상기 슬랫리프팅부의 축공 단부와 동일 중심선 상에서 결합되어 회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코드 타입 블라인드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슬랫리프팅부의 축공은 상기 격벽에 관통 형성되는 지지공을 관통하여 선단이 상기 감속기의 주축의 선단과 밀착되고, 상기 축공과 주축이 연결되는 축커플링부에는 스프링이 외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코드 타입 블라인드 장치.
KR1020120058256A 2012-05-31 2012-05-31 원코드 타입 블라인드 장치 KR1013230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8256A KR101323021B1 (ko) 2012-05-31 2012-05-31 원코드 타입 블라인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8256A KR101323021B1 (ko) 2012-05-31 2012-05-31 원코드 타입 블라인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3021B1 true KR101323021B1 (ko) 2013-10-29

Family

ID=49639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8256A KR101323021B1 (ko) 2012-05-31 2012-05-31 원코드 타입 블라인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302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7591B1 (ko) 2015-10-05 2015-12-15 송요민 블라인드용 틸팅 권취장치
KR101690507B1 (ko) * 2016-04-12 2016-12-28 (주)아이원하이텍 롤 스크린용 감속 어셈블리, 롤 스크린용 감속 모듈, 및 선택 감속 기능을 갖는 롤 스크린
JP2018009440A (ja) * 2016-05-17 2018-01-18 立川ブラインド工業株式会社 遅延ユニット、コード支持装置、及び横型ブラインド
WO2023234451A1 (ko) * 2022-06-03 2023-12-07 김상익 한 가닥의 당김줄로 작동되는 롤 블라인드용 구동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41162A (ja) * 1991-11-22 1993-06-08 Nichibei Co Ltd ブラインドの昇降回転機構
KR100373362B1 (ko) * 2000-06-30 2003-02-25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의 콘택 형성방법
KR20100031850A (ko) * 2008-09-16 2010-03-25 이영순 블라인드용 승하강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41162A (ja) * 1991-11-22 1993-06-08 Nichibei Co Ltd ブラインドの昇降回転機構
KR100373362B1 (ko) * 2000-06-30 2003-02-25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의 콘택 형성방법
KR20100031850A (ko) * 2008-09-16 2010-03-25 이영순 블라인드용 승하강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7591B1 (ko) 2015-10-05 2015-12-15 송요민 블라인드용 틸팅 권취장치
WO2017061672A1 (ko) * 2015-10-05 2017-04-13 송요민 블라인드용 틸팅 권취장치
KR101690507B1 (ko) * 2016-04-12 2016-12-28 (주)아이원하이텍 롤 스크린용 감속 어셈블리, 롤 스크린용 감속 모듈, 및 선택 감속 기능을 갖는 롤 스크린
JP2018009440A (ja) * 2016-05-17 2018-01-18 立川ブラインド工業株式会社 遅延ユニット、コード支持装置、及び横型ブラインド
JP6998130B2 (ja) 2016-05-17 2022-01-18 立川ブラインド工業株式会社 遅延ユニット、コード支持装置、及び横型ブラインド
WO2023234451A1 (ko) * 2022-06-03 2023-12-07 김상익 한 가닥의 당김줄로 작동되는 롤 블라인드용 구동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2509B1 (ko) 블라인드
JP5548013B2 (ja) ブラインド
JP6416945B2 (ja) カーテン制御機構及びこのカーテン制御機構を有するカーテンシステム
KR101323021B1 (ko) 원코드 타입 블라인드 장치
US6655441B2 (en) Friction transmission mechanism for a motor-driven blind
JP2009121232A (ja) 建築物の開口部の覆いの昇降機構を制御するための制御ユニット
KR102031526B1 (ko) 스마트 프라이버시 버튼 블라인드
KR101152911B1 (ko) 블라인드의 승강조작장치
JP6666125B2 (ja) ツインタイプの日射遮蔽装置
CN109642450B (zh) 遮阳帘悬架装置
JP5376708B2 (ja) 日射遮蔽装置の操作装置
KR101176323B1 (ko) 단일 조작코드를 갖는 롤 블라인드
JP7382374B2 (ja) 電動遮蔽装置
JP2013087522A (ja) 日射遮蔽装置
JP6523029B2 (ja) 日射遮蔽装置
JP5315009B2 (ja) ブラインド
KR101572522B1 (ko) 수평조절이 용이한 블라인드장치
JP4202211B2 (ja) ブラインド
JP5493129B2 (ja) ブラインド
JP2010261194A (ja) ブラインドの昇降高さ決定装置
KR100969129B1 (ko) 전동 블라인드 장치
JP7328867B2 (ja) 遮蔽装置
KR100780084B1 (ko) 블라인드용 구동장치
JP7076185B2 (ja) 速度調整装置
KR20100020111A (ko) 블라인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