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0507B1 - 롤 스크린용 감속 어셈블리, 롤 스크린용 감속 모듈, 및 선택 감속 기능을 갖는 롤 스크린 - Google Patents

롤 스크린용 감속 어셈블리, 롤 스크린용 감속 모듈, 및 선택 감속 기능을 갖는 롤 스크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0507B1
KR101690507B1 KR1020160044618A KR20160044618A KR101690507B1 KR 101690507 B1 KR101690507 B1 KR 101690507B1 KR 1020160044618 A KR1020160044618 A KR 1020160044618A KR 20160044618 A KR20160044618 A KR 20160044618A KR 101690507 B1 KR101690507 B1 KR 1016905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
coupled
housing
deceleration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46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설중
Original Assignee
(주)아이원하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772410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690507(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원하이텍 filed Critical (주)아이원하이텍
Priority to KR10201600446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05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05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05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40Roller blind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80Safety measures against dropping or unauthorised opening; Braking or immobilising devices; Devices for limiting unrol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4Transmission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706Shaf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10Adjustable
    • E05Y2600/30Adjustment motion
    • E05Y2600/32Rotary motion
    • E06B2009/54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80Safety measures against dropping or unauthorised opening; Braking or immobilising devices; Devices for limiting unrolling
    • E06B2009/807Brakes preventing fast screen mov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체와, 상기 본체에서 외부로 돌출하도록 상기 본체와 결합되며 제1 방향 회전 및 제2 방향 회전에 대해 감쇄력을 받는 감쇄축을 구비하는 감속 모듈; 및 상기 감쇄축 및 대상물에 결합되고, 제1 단부와 상기 제1 단부에 반대되는 제2 단부를 가지는 선택 전달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선택 전달 모듈은, 상기 제1 단부가 상기 제2 단부보다 상기 본체에 가까이 위치하는 자세로 상기 감쇄축과 결합된 경우에는 상기 제1 방향 회전 시에만 상기 대상물에 상기 감쇄력을 전달하고, 상기 제2 단부가 상기 제1 단부보다 상기 본체에 가까이 위치하는 자세로 상기 감쇄축과 결합된 경우에는 상기 제2 방향 회전 시에만 상기 대상물에 상기 감쇄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롤 스크린용 감속 어셈블리, 롤 스크린용 감속 모듈, 및 선택 감속 기능을 갖는 롤 스크린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롤 스크린용 감속 어셈블리, 롤 스크린용 감속 모듈, 및 선택 감속 기능을 갖는 롤 스크린{REDUCTION ASSEMBLDY FOR ROLL SCREEN, REDUCTION MODULE FOR ROLL SCREEN, AND ROLL SCREEN HAVING SELECTIONAL REDUCTION FUNCTION}
본 발명은 감속 기능을 갖는 롤 스크린 및 그의 감속을 위한 부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롤 방충망은 방충 기능이 필요할 경우에만 망이 창호를 막고, 방충 기능이 필요하지 않을 경우에는 망이 창호를 막지 않도록, 회전하는 롤에 의해 두루 마리식으로 망이 감기기게 하거나 풀리게 하는 장치이다.
또한, 롤 방충망과 유사하게 롤이 회전되는 형태로서, 롤 블라인드를 들 수 있다. 롤 블라인드는 햇빛을 가리기 위한 블라인드가 롤에 감겨기거나 그로부터 풀려지면서 창호를 가리거나 개방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롤의 회전에 따라 망(블라인드)이 감기는 과정은,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자동으로 이루어진다. 망이 완전히 감기며 창호가 개방될 때, 이러한 탄성력에 의해 망을 잡고 있는 프레임 부분이 다른 프레임과 충돌하게 되면서 소음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러한 충돌 소음 문제를 완화하기 위하여, 망이 감기는 속도를 낮추기 구성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망이 감기는 속도를 낮추는 구성이 설치 위치 변경에 따라 각기 다르게 제작되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감속 방향을 쉽게 변경할 수 있어서 설치 위치 변화에도 기본 구조의 변경 없이 간단히 대응할 수 있는 롤 스크린용 감속 어셈블리, 롤 스크린용 감속 모듈, 및 선택 감속 기능을 갖는 롤 스크린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롤 스크린용 감속 어셈블리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서 외부로 돌출하도록 상기 본체와 결합되며 제1 방향 회전 및 제2 방향 회전에 대해 감쇄력을 받는 감쇄축을 구비하는 감속 모듈; 및 상기 감쇄축 및 대상물에 결합되고, 제1 단부와 상기 제1 단부에 반대되는 제2 단부를 가지는 선택 전달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선택 전달 모듈은, 상기 제1 단부가 상기 제2 단부보다 상기 본체에 가까이 위치하는 자세로 상기 감쇄축과 결합된 경우에는 상기 제1 방향 회전 시에만 상기 대상물에 상기 감쇄력을 전달하고, 상기 제2 단부가 상기 제1 단부보다 상기 본체에 가까이 위치하는 자세로 상기 감쇄축과 결합된 경우에는 상기 제2 방향 회전 시에만 상기 대상물에 상기 감쇄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본체는 오일이 수용된 내부 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감속 모듈은, 상기 내부 공간에 상기 오일과 점성 마찰 회전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감쇄축과 연결되는 마찰 회전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선택 전달 모듈은, 상기 제1 단부와 상기 제2 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감쇄축이 삽입 결합되도록 상기 제1 단부에서 상기 제2 단부까지 연장 형성되는 결합 채널을 구비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며, 제1 톱니를 구비하는 제1 작동 유닛; 및 상기 베이스를 회전 가능하게 수용하며, 일 방향으로 회전 시 상기 제1 톱니와 맞물리고 타 방향으로 회전 시 상기 제1 톱니를 타고 넘게 형성되는 제2 톱니를 구비하는 제2 작동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제1 작동 유닛 및 상기 제2 작동 유닛을 수용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선택 전달 모듈은, 상기 하우징과 상기 제2 작동 유닛에 형성되어, 상기 제1 톱니와 상기 제2 톱니 간의 상대 위치 변화에도 상기 제2 작동 유닛을 상기 하우징과 연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연동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동 유닛은, 상기 하우징의 내면에 돌출 형성되는 연동 돌기; 및 상기 제2 작동 유닛에 형성되며, 상기 연동 돌기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수용하는 연동 슬롯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동 슬롯은, 상기 제1 톱니에서 상기 제2 톱니를 향한 방향에 대해 경사진 경사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선택 전달 모듈은, 상기 하우징의 양단부 중 상기 제1 단부에 인접한 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결합 채널은 노출하는 노출공을 갖는 마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작동 유닛은, 상기 하우징의 양단부 중 상기 제2 단부에 인접한 단부를 막는 커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른 롤 스크린용 감속 모듈은, 오일이 수용된 내부 공간을 구비하는 본체; 상기 내부 공간에 상기 오일과 점성 마찰 회전하도록 배치되는 마찰 회전체; 및 상기 마찰 회전체에 연결되어 상기 본체의 외부로 연장되며, 제1 방향 회전 및 제2 방향 회전에 대해 상기 마찰 회전체로부터 감쇄력을 전달받는 감쇄축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본체는, 상기 내부 공간을 구비하는 실린더부; 및 상기 내부 공간의 중앙에 배치되는 코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마찰 회전체는, 상기 코어부를 수용하는 중공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른 선택 감속 기능을 갖는 롤 스크린은, 스크린; 상기 스크린의 상단이 결합되는 롤; 상기 롤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롤이 탄성적으로 회전하여 상기 스크린이 상기 롤에 감기거나 풀리도록 하는 스프링이 설치되는 핀; 및 상기 롤과 상기 핀에 연결되어, 상기 롤의 회전 속도를 줄이는 감속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감속 어셈블리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서 외부로 돌출하도록 상기 본체와 결합되며 제1 방향 회전 및 제2 방향 회전에 대해 감쇄력을 받는 감쇄축을 구비하는 감속 모듈; 및 상기 감쇄축 및 상기 롤에 결합되고, 제1 단부와 상기 제1 단부에 반대되는 제2 단부를 가지는 선택 전달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선택 전달 모듈은, 상기 제1 단부가 상기 제2 단부보다 상기 본체에 가까이 위치하는 자세로 상기 감쇄축과 결합된 경우에는 상기 제1 방향 회전 시에만 상기 롤에 상기 감쇄력을 전달하고, 상기 제2 단부가 상기 제1 단부보다 상기 본체에 가까이 위치하는 자세로 상기 감쇄축과 결합된 경우에는 상기 제2 방향 회전 시에만 상기 롤에 상기 감쇄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선택 전달 모듈은, 상기 제1 단부와 상기 제2 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감쇄축이 삽입 결합되도록 상기 제1 단부에서 상기 제2 단부까지 연장 형성되는 결합 채널을 구비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며, 제1 톱니를 구비하는 제1 작동 유닛; 및 상기 베이스를 회전 가능하게 수용하며, 일 방향으로 회전 시 상기 제1 톱니와 맞물리고 타 방향으로 회전 시 상기 제1 톱니를 타고 넘게 형성되는 제2 톱니를 구비하는 제2 작동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제1 작동 유닛 및 상기 제2 작동 유닛을 수용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선택 전달 모듈은, 상기 하우징과 상기 제2 작동 유닛에 형성되어, 상기 제1 톱니와 상기 제2 톱니 간의 상대 위치 변화에도 상기 제2 작동 유닛을 상기 하우징과 연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연동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롤 스크린용 감속 어셈블리, 롤 스크린용 감속 모듈, 및 선택 감속 기능을 갖는 롤 스크린에 의하면, 감속 방향을 쉽게 변경할 수 있어서 설치 위치 변화에도 간단히 대응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롤 방충망에서 망(20)이 전개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롤 방충망의 망(20)이 카세트(10) 내에 수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롤 방충망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롤 스크린용 감속 어셈블리(1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감속 모듈(200)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선택 전달 모듈(300)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4의 선택 전달 모듈(300)의 베이스(31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상태를 보인 내부 투시도이다.
도 8은 도 4의 선택 전달 모듈(300)의 베이스(31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상태를 보인 내부 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롤 스크린용 감속 어셈블리, 롤 스크린용 감속 모듈, 및 선택 감속 기능을 갖는 롤 스크린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롤 스크린은 롤 방충망과, 롤 블라인드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한다. 그에 따라, 감속 어셈블리는 롤 스크린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감속 어셈블리가 사용된 롤 스크린으로서, 이하 롤 방충망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롤 방충망에서 망(20)이 전개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롤 방충망은, 카세트(10)와, 망(20)과, 핸들(30)과, 레일 조립체(40)와, 고정 유닛(50)과, 연결대(60)를 포함할 수 있다.
카세트(10)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형태의 부재일 수 있다. 카세트(10)의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은 대체로 내부가 빈 봉의 형태일 수 있다. 카세트(10)는 직선 형태를 가짐으로써, 창문 틀 등에 설치되기에 알맞다.
망(20)은 와이어(Wire)가 격자 구조로 엮여진 망일 수 있다. 와이어는, 예를 들어 금속 또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와이어들이 엮여서 한정하는 메쉬홈으로는 공기가 유동할 수 있게 된다. 망(20)의 일 부분은 카세트(10)에 연결되고 타부분은 핸들(30)에 연결된다. 이러한 망(20)은 스크린의 한 형태일 수 있다.
핸들(30)은 카세트(10)에 대하여 멀어진 위치(도 1 참조)와, 근접한 위치(도 2 참조)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다. 핸들(30)은 카세트(10)에 비하여 더 작은 사이즈를 가질 수 있다.
레일 조립체(40)는 카세트(10) 및 핸들(30)의 인접한 단부들을 연결하도록 연장된다. 레일 조립체(40)는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는 한 쌍의 레일 부재들일 수 있다. 레일 조립체(40)는 망(20)의 양단부를 수용할 수 있다.
고정 유닛(50)은 핸들(30)과 레일 조립체(40)에 상호 협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에 의해, 고정 유닛(50)은 핸들(30)에 전개 위치(도 1 참조)에 고정되게 한다. 핸들(30)의 고정을 해제하기 위한 조작 레버(53)는, 핸들(30)에 설치될 수 있다.
연결대(60)는 레일 조립체(40)를 이루는 한 쌍의 레일 부재들을 연결한다. 그에 의해, 카세트(10)와 레일 부재들, 그리고 연결대(60)는 사각형 형태의 영역을 한정하게 된다. 연결대(60)는 또한, 한 쌍의 레일 부재들의 간격을 설정된 것으로 유지하므로, 핸들(30)의 이동이 원할하게 이루어지게 한다.
도 2는 도 1의 롤 방충망의 망(20)이 카세트(10) 내에 수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핸들(30)은 카세트(10)와 접촉하는 상태이다. 이는 도 1의 상태에서, 조작 레버(53)가 조작되어 고정 유닛(50)이 해제됨에 따라, 핸들(30)이 카세트(10)를 향하여 이동된 결과이다.
이러한 이동 중에, 망(20)은 카세트(10) 내로 수납된다. 이는, 망(20)을 감기 위해 발휘되는 힘이, 카세트(10) 내에서 발휘됨에 따른 것이다.
카세트(10)에서 발휘되는 힘(탄성력)에 의해, 망(20)이 감기는 중에, 핸들(30)은 카세트(10)와 충돌하며 소음을 발생시킬 수 있는 상황에 놓이게 된다. 이러한 소음을 완화하기 위하여, 망(20)이 감기는 속도를 줄이기 위한 변속, 구체적으로는 감속 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도 3 등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도 1의 롤 방충망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카세트(10)는, 하우징(11)과, 롤(12)과, 스프링(13)과, 커버(14,15)를 포함할 수 있다. 카세트(10) 내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속 어셈블리(100)가 설치된다.
하우징(11)은 망(20)의 폭에 대응하여 연장하는 구조체이다. 하우징(11)의 내부에는 수용 공간이 형성된다. 하우징(11)의 일 부분은 개방되고, 그 개방된 부분으로 망(20)이 이동할 수 있게 된다. 하우징(11)는 심미감을 높이기 위해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롤(12)은 하우징(11)의 수용 공간에 수용되는 것으로서, 속이 빈 채로 연장하는 원통체일 수 있다. 롤(12)에는 망(20)의 일 부분, 예를 들어 상단(21)이 연결된다. 롤(12)은 망(20)을 감기 위한 것으로서, 망(20)의 폭에 대응하여 길이가 결정될 것이다.
스프링(13)은 탄성력을 축적하거나 발산하기 위한 부재이다. 예를 들어, 망(20)이 롤(12)에서 풀리도록 당겨지면, 스프링(13)은 인장되면서 탄성력을 축적하게 된다. 이와 반대로, 망(20)이 롤(12)에 감겨지는 동안에, 스프링(13)은 축적된 탄성력을 발산하여 망(20)이 롤(12)에 감겨지도록 하는 힘을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스프링(13)은, 예를 들어 비틀림 스프링(Torsional spring)일 수 있다. 스프링(13)은 핀(14b) 등과 함께 롤(12)의 중공 공간에 삽입될 수 있다.
커버(14,15)는 하우징(11)의 양단부를 덮도록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이 점에서, 커버(14,15)는 하우징(11)의 일 부분으로 분류될 수 있다. 하나의 커버(14)에는, 스프링(13)의 일 단부를 지지하는 지지체(14a)와, 스프링(13)이 형성하는 내부 공간을 관통하여 스프링(13)을 지지하는 핀(14b)이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커버(15)에는 지지축(15a)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고정체(15b)는 스프링(13)의 타 단부를 지지하도록 핀(14b)에 결합될 수 있다.
망(20)의 상단(210)은 롤(12)에 감겨진다. 망(20)의 하단(22)은 핸들(30)에 고정된다.
핸들(30)은 내부에 망(20)의 하단(22)을 고정하기 위하여, 내부가 빈 중공체로 형성될 수 있다. 핸들(30)의 측면에는 커버(31)가 결합되고, 이러한 커버(31)에는 고정 유닛(50)의 일부인 고정 돌기(51)가 형성될 수 있다.
레일 조립체(40) 내로는 망(20)의 가장자리 부분이 삽입되게 된다. 레일 조립체(40) 내에는 또한, 고정 유닛(50)의 일부인 수용부(52)가 형성될 수 있다. 수용부(52)는 고정 돌기(51)를 수용하여, 그들이 서로 결합되어 핸들(30)이 일 위치에 고정되게 한다.
앞서 카세트(10) 내에 설치되는 것으로 언급한 감속 어셈블리(100)는, 지지축(15a)에 일 부분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면서 다른 부분은 핀(14b)에 결합되는 형태로, 고정체(15b)와 지지축(15a) 사이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다. 감속 어셈블리(100)의 상기 일 부분(구체적으로는 그의 외주면)은 또한 롤(12)의 내주면과 결합 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감속 어셈블리(100)는 롤(12)과 핀(14b)에 결합되게 된다.
도 4는 도 3의 롤 스크린용 감속 어셈블리(1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감속 어셈블리(100)는, 감속 모듈(200)과, 선택 전달 모듈(300)을 가질 수 있다.
감속 모듈(200)은 대상물, 예를 들어 롤(12, 도 3)의 회전 속도를 낮추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감속 모듈(200)은 양 방향 회전, 구체적으로 제1 방향 회전(R1) 및 제2 방향 회전(R2) 모두에 대해 감쇄력을 발휘하게 구성된다. 그러한 감쇄력은 본체(210)의 외부로 돌출된 감쇄축(230)에 의해 외부로 출력된다.
선택 전달 모듈(300)은 감속 모듈(200)에 연결되어, 감속 모듈(200)에서 출력되는 감쇄력을 대상물에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선택 전달 모듈(300)은 감속 모듈(200)의 감쇄축(230)에 삽입 결합되는 결합 채널(317)을 갖는 베이스(310)를 구비할 수 있다. 베이스(310)는 제1 단부(313)와 그와 반대되는 제2 단부(315, 도 8)를 갖는다.
선택 전달 모듈(300)은 제1 단부(313)를 통해[제1 단부(313)가 제2 단부(315)보다 감속 모듈(200)의 본체(210)에 가까이 위치하는 자세로] 감쇄축(230)에 결합되면 제1 방향 회전(R1) 시에만 대상물에 감쇄력을 전달하게 구성된다. 반면에, 선택 전달 모듈(300)은 제2 단부(315)를 통해[제2 단부(315))가 제1 단부(313)보다 감속 모듈(200)의 본체(210)에 가까이 위치하는 자세로] 감쇄축(230)에 결합되면[현 도면에서 선택 전달 모듈(300)이 뒤집어져서 제2 단부(315) 측이 먼저 감쇄축(230)에 끼워지면], 제2 방향 회전(R2) 시에만 대상물에 감쇄력을 전달하게 구성된다.
이상에서 감속 모듈(200)의 구체적 구성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도 4의 감속 모듈(200)에 대한 단면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감속 모듈(200)은 본체(210)와, 감쇄축(230)과, 마찰 회전체(250)를 가질 수 있다.
본체(210)는 실린더부(211)와 코어부(215)를 가질 수 있다. 실린더부(211)는 중공 원통체의 형상을 갖는다. 실린더부(211)의 중공 부분은 수용 공간(S)이라 칭해질 수 있다. 코어부(215)는 수용 공간(S)에 중앙에 위치하도록 실린더부(211)에 결합된다. 그에 의해, 코어부(215)는 수용 공간(S)이 원통 형태가 되게 한다. 이러한 수용 공간(S)에는 오일(O)이 채워진다.
감쇄축(230)은 본체(210)의 외부로 돌출되어, 선택 전달 모듈(300)과 결합되는 부분이다. 감쇄축(230)은 본체(210) 내부에서 발생한 감쇄력을 외부로 전달하는 매개체가 된다.
마찰 회전체(250)는 감쇄축(230)과 연결된 채로, 수용 공간(S)에 배치된다. 마찰 회전체(250)는 내부 공간에 코어부(215)를 수용하도록 중공부를 갖는 파이프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그에 의해, 마찰 회전체(250)는 그의 외면과 내면에서 오일(O)과 점성 마찰을 하면서 회전하게 된다.
다음으로, 선택 전달 모듈(300)에 대해서는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도 4의 선택 전달 모듈(300)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선택 전달 모듈(300)은, 베이스(310)와, 제1 작동 유닛(330)와, 제2 작동 유닛(350)와, 하우징(370)과, 연동 유닛(380)과, 마개(390)를 가질 수 있다.
베이스(310)는 대체로 파이프 몸체(311)를 가질 수 있다. 몸체(311)의 양단은 각각 앞서 언급된 제1 단부(313)와 제2 단부(315, 도 8)로 칭해진다. 몸체(311)의 중공부는 결합 채널(317)로 칭해진다. 결합 채널(317)은 제1 단부(313)에서 제2 단부(315)까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결합 채널(317)은 감쇄축(230)의 단면에 대응하여 대체로 십자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제1 작동 유닛(330)는 베이스(310)의 일 측, 구체적으로 제2 단부(315) 측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작동 유닛(330)는 제1 톱니(331)와, 커버부(335)를 가질 수 있다. 제1 톱니(331)는 베이스(310)의 외주 방향을 따라 제2 방향 회전(R2)으로 갈수록 높이가 높아지는 톱니가 연속적으로 배열된 형태이다. 커버부(335)는 베이스(310)의 제2 단부(315) 측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하우징(370)의 일 단부 측을 덮게 된다.
제2 작동 유닛(350)는 베이스(310)를 회전 가능하게 수용하며 제1 작동 유닛(330)에 대응하여 구성된다. 제2 작동 유닛(350)는, 구체적으로, 실린더부(351)와 제2 톱니(355)를 가질 수 있다. 실린더부(351)는 그의 내부 공간에 베이스(310)를 수용한다. 제2 톱니(355)는 실린더부(351)의 단부에 형성되어, 제1 톱니(331)에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제2 톱니(355)는, 구체적으로, 제1 방향 회전(R1)으로 갈수록 높이가 높아지는 톱니들이 연속적으로 배열된 것이다.
하우징(370)은 베이스(310), 제1 작동 유닛(330), 제2 작동 유닛(350)를 수용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하우징(370)은 파이프 형태의 몸체(371)를 가질 수 있다. 몸체(371)의 내부에는 중공부(372)가 형성되고, 외부에는 날개(375)가 형성될 수 있다. 날개(375)는 다른 부재, 예를 들어 롤(12, 도 3)과 결합 시에 상대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연동 유닛(380)은 제2 작동 유닛(350)를 하우징(370)과 연동시키는 구성이다. 연동 유닛(380)은 구체적으로, 연동 돌기(381)와, 연동 슬롯(385)을 가질 수 있다.
연동 돌기(381)는 하우징(370)의 중공부(372)에서 돌출 형성된 것이다. 연동 돌기(381)는 중공부(372)에 복수 개, 예를 들어 2개로 구비될 수 있다.
연동 슬롯(385)은 제2 작동 유닛(350)의 실린더부(351)에 형성된다. 연동 슬롯(385)은 실린더부(351)의 일 단에서 실린더부(351)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된 직선부(385a)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연동 슬롯(385)은 직선부(385a)에서 꺾여져서 연장되는 경사부(385b)를 가질 수 있다. 연동 슬롯(385)은 연동 돌기(381)에 대응하여 복수 개, 예를 들어 2개로 구비될 수 있다.
마개(390)는 하우징(370)의 일 단부, 예를 들어 제1 단부(313)에 인접한 단부에 결합되어 하우징(370)의 상기 일 단부를 막는 구성이다. 마개(390)는 그 중앙에 노출공(395)을 가져서, 외부에서 결합 채널(317)에 접근 가능하도록 결합 채널(317)을 노출한다.
다음으로, 이러한 구성의 선택 전달 모듈(300)의 작동 방식에 대해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7은 도 4의 선택 전달 모듈(300)의 베이스(31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상태를 보인 내부 투시도이다.
본 도면(및 도 6)을 참조하면, 대상물, 예를 들어 롤(12, 도 3)에 연동된 하우징(370)이 제1 방향 회전(R1) 시에는, 연동 유닛(380)에 의해 하우징(370)에 연동된 제2 작동 유닛(350) 또한 제1 방향 회전(R1) 하게 된다.
그 결과, 제2 작동 유닛(350)의 제2 톱니(255)는 제1 작동 유닛(330)의 제1 톱니(331)가 맞물린 상태가 된다. 이때, 연동 유닛(380)의 연동 돌기(381)는 연동 슬롯(385)의 경사부(385b) 중 직선부(385a)에 인접한 단부 측에 위치한다.
제2 톱니(255)가 제1 톱니(331)에 맞물린 상태에서 하우징(370) 및 제2 작동 유닛(350)가 회전하게 되면, 제1 작동 유닛(330) 및 그가 설치된 베이스(310) 역시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에 따라, 베이스(310)에 결합된 감쇄축(230)이 제1 방향 회전(R1)하게 되면서, 감속 모듈(200)이 감속력을 발휘하게 된다. 그 감속력에 의해, 하우징(370) 및 그에 결합된 대상물은 감속되어 회전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8은 도 4의 선택 전달 모듈(300)의 베이스(31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상태를 보인 내부 투시도이다.
본 도면(및 도 6)을 참조하면, 대상물, 예를 들어 롤(12, 도 3)에 연동된 하우징(370)이 제2 방향 회전(R2) 시에는, 연동 유닛(380)에 의해 하우징(370)에 연동된 제2 작동 유닛(350) 또한 제1 방향 회전(R1) 하게 된다.
그 결과, 제2 작동 유닛(350)의 제2 톱니(255)는 제1 작동 유닛(330)의 제1 톱니(331)를 타고 넘는 상황이 된다. 이때, 연동 유닛(380)의 연동 돌기(381)는 연동 슬롯(385)의 경사부(385b) 중 직선부(385a)에 반대되는 단부 측에 위치한다. 이는 제2 톱니(255)가 제1 톱니(331)를 타고 넘는 과정에서, 제2 작동 유닛(350)이 하우징(370)의 축 방향으로 상대 이동됨에 의한 것이다.
제2 톱니(255)가 제1 톱니(331)를 타고 넘는 상황에서 하우징(370) 및 제2 작동 유닛(350)이 회전하게 되면, 제1 작동 유닛(330) 및 그가 설치된 베이스(310)는 하우징(370) 등의 회전에 연동되지 않게 된다. 그에 따라, 베이스(310)에 결합된 감쇄축(230)은 어느 방향으로도 회전되지 않아서, 감속 모듈(200)이 감속력을 발휘하지 않게 된다. 그 결과, 하우징(370) 및 그에 결합된 대상물은, 감속 모듈(200)의 감속력에 영향을 받지 않고, 원래의 회전 속도 그대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감속 어셈블리(100)는 도 3과 다른 방향, 다시 말해 지지체(14a, 도 3) 측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때, 감속 어셈블리(100)는 기본적인 구조 변경 없이 간단한 변경 작업에 의해, 지지체(15a, 도 3) 측에 배치된 경우와 같이, 망(20)이 감겨지는 경우만 감속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간단한 변경 작업이란, 감속 모듈(200)을 지지체(14a)에 끼우고, 그의 감쇄축(230)에 대해 선택 전달 모듈(300)의 베이스(310)를 제2 단부(315) 측으로 결합시키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롤 스크린용 감속 어셈블리, 롤 스크린용 감속 모듈, 및 선택 감속 기능을 갖는 롤 스크린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100: 롤 스크린용 감속 어셈블리 200: 감속 모듈
210: 본체 230: 감쇄축
250: 마찰 회전체 300: 선택 전달 모듈
310: 베이스 330: 제1 작동 유닛
331: 제1 톱니 335: 커버부
350: 제2 작동 유닛 351: 실린더부
355: 제2 톱니 370: 하우징
380: 연동 유닛 381: 연동 돌기
385: 연동 슬롯 390: 마개

Claims (14)

  1. 본체와, 상기 본체에서 외부로 돌출하도록 상기 본체와 결합되며 제1 방향 회전 및 제2 방향 회전에 대해 감쇄력을 받는 감쇄축을 구비하는 감속 모듈; 및
    상기 감쇄축 및 대상물에 결합되고, 제1 단부와 상기 제1 단부에 반대되는 제2 단부를 가지는 선택 전달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선택 전달 모듈은, 상기 제1 단부가 상기 제2 단부보다 상기 본체에 가까이 위치하는 자세로 상기 감쇄축과 결합된 경우에는 상기 제1 방향 회전 시에만 상기 대상물에 상기 감쇄력을 전달하고, 상기 제2 단부가 상기 제1 단부보다 상기 본체에 가까이 위치하는 자세로 상기 감쇄축과 결합된 경우에는 상기 제2 방향 회전 시에만 상기 대상물에 상기 감쇄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롤 스크린용 감속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오일이 수용된 내부 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감속 모듈은, 상기 내부 공간에 상기 오일과 점성 마찰 회전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감쇄축과 연결되는 마찰 회전체를 더 포함하는, 롤 스크린용 감속 어셈블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전달 모듈은,
    상기 제1 단부와 상기 제2 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감쇄축이 삽입 결합되도록 상기 제1 단부에서 상기 제2 단부까지 연장 형성되는 결합 채널을 구비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며, 제1 톱니를 구비하는 제1 작동 유닛; 및
    상기 베이스를 회전 가능하게 수용하며, 일 방향으로 회전 시 상기 제1 톱니와 맞물리고 타 방향으로 회전 시 상기 제1 톱니를 타고 넘게 형성되는 제2 톱니를 구비하는 제2 작동 유닛을 포함하는, 롤 스크린용 감속 어셈블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제1 작동 유닛 및 상기 제2 작동 유닛을 수용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롤 스크린용 감속 어셈블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전달 모듈은,
    상기 하우징과 상기 제2 작동 유닛에 형성되어, 상기 제1 톱니와 상기 제2 톱니 간의 상대 위치 변화에도 상기 제2 작동 유닛을 상기 하우징과 연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연동 유닛을 더 포함하는, 롤 스크린용 감속 어셈블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 유닛은,
    상기 하우징의 내면에 돌출 형성되는 연동 돌기; 및
    상기 제2 작동 유닛에 형성되며, 상기 연동 돌기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수용하는 연동 슬롯을 포함하는, 롤 스크린용 감속 어셈블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 슬롯은,
    상기 제1 톱니에서 상기 제2 톱니를 향한 방향에 대해 경사진 경사 구간을 포함하는, 롤 스크린용 감속 어셈블리.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전달 모듈은,
    상기 하우징의 양단부 중 상기 제1 단부에 인접한 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결합 채널은 노출하는 노출공을 갖는 마개를 더 포함하는, 롤 스크린용 감속 어셈블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작동 유닛은,
    상기 하우징의 양단부 중 상기 제2 단부에 인접한 단부를 막는 커버부를 더 포함하는, 롤 스크린용 감속 어셈블리.
  10. 오일이 수용된 내부 공간을 구비하는 본체;
    상기 내부 공간에 상기 오일과 점성 마찰 회전하도록 배치되는 마찰 회전체; 및
    상기 마찰 회전체에 연결되어 상기 본체의 외부로 연장되며, 제1 방향 회전 및 제2 방향 회전에 대해 상기 마찰 회전체로부터 감쇄력을 전달받는 감쇄축을 포함하는,롤 스크린용 감속 모듈.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내부 공간을 구비하는 실린더부; 및
    상기 내부 공간의 중앙에 배치되는 코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마찰 회전체는,
    상기 코어부를 수용하는 중공부를 구비하는, 롤 스크린용 감속 모듈.
  12. 스크린;
    상기 스크린의 상단이 결합되는 롤;
    상기 롤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롤이 탄성적으로 회전하여 상기 스크린이 상기 롤에 감기거나 풀리도록 하는 스프링이 설치되는 핀; 및
    상기 롤과 상기 핀에 연결되어, 상기 롤의 회전 속도를 줄이는 감속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감속 어셈블리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서 외부로 돌출하도록 상기 본체와 결합되며 제1 방향 회전 및 제2 방향 회전에 대해 감쇄력을 받는 감쇄축을 구비하는 감속 모듈; 및 상기 감쇄축 및 상기 롤에 결합되고, 제1 단부와 상기 제1 단부에 반대되는 제2 단부를 가지는 선택 전달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선택 전달 모듈은, 상기 제1 단부가 상기 제2 단부보다 상기 본체에 가까이 위치하는 자세로 상기 감쇄축과 결합된 경우에는 상기 제1 방향 회전 시에만 상기 롤에 상기 감쇄력을 전달하고, 상기 제2 단부가 상기 제1 단부보다 상기 본체에 가까이 위치하는 자세로 상기 감쇄축과 결합된 경우에는 상기 제2 방향 회전 시에만 상기 롤에 상기 감쇄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선택 감속 기능을 갖는 롤 스크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전달 모듈은,
    상기 제1 단부와 상기 제2 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감쇄축이 삽입 결합되도록 상기 제1 단부에서 상기 제2 단부까지 연장 형성되는 결합 채널을 구비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며, 제1 톱니를 구비하는 제1 작동 유닛; 및
    상기 베이스를 회전 가능하게 수용하며, 일 방향으로 회전 시 상기 제1 톱니와 맞물리고 타 방향으로 회전 시 상기 제1 톱니를 타고 넘게 형성되는 제2 톱니를 구비하는 제2 작동 유닛을 포함하는, 선택 감속 기능을 갖는 롤 스크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제1 작동 유닛 및 상기 제2 작동 유닛을 수용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선택 전달 모듈은,
    상기 하우징과 상기 제2 작동 유닛에 형성되어, 상기 제1 톱니와 상기 제2 톱니 간의 상대 위치 변화에도 상기 제2 작동 유닛을 상기 하우징과 연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연동 유닛을 더 포함하는, 선택 감속 기능을 갖는 롤 스크린.
KR1020160044618A 2016-04-12 2016-04-12 롤 스크린용 감속 어셈블리, 롤 스크린용 감속 모듈, 및 선택 감속 기능을 갖는 롤 스크린 KR1016905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4618A KR101690507B1 (ko) 2016-04-12 2016-04-12 롤 스크린용 감속 어셈블리, 롤 스크린용 감속 모듈, 및 선택 감속 기능을 갖는 롤 스크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4618A KR101690507B1 (ko) 2016-04-12 2016-04-12 롤 스크린용 감속 어셈블리, 롤 스크린용 감속 모듈, 및 선택 감속 기능을 갖는 롤 스크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0507B1 true KR101690507B1 (ko) 2016-12-28

Family

ID=57724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4618A KR101690507B1 (ko) 2016-04-12 2016-04-12 롤 스크린용 감속 어셈블리, 롤 스크린용 감속 모듈, 및 선택 감속 기능을 갖는 롤 스크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050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2112B1 (ko) 2017-05-22 2017-11-27 금중식 감속장치의 감속방향 선택모듈 및 그를 포함하는 감속어셈블리
KR20200113671A (ko) * 2019-03-26 2020-10-07 문종배 감속 장치를 일체로 구비한 롤 방충망
KR102452508B1 (ko) * 2021-07-02 2022-10-06 박근주 한 줄 안전 블라인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17646A (ja) * 1997-10-15 1999-04-27 Toso Co Ltd ロールブラインドの回転規制装置
KR200417447Y1 (ko) * 2006-03-15 2006-05-29 정장훈 롤러식 스크린의 감속장치
KR101323021B1 (ko) * 2012-05-31 2013-10-29 김상익 원코드 타입 블라인드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17646A (ja) * 1997-10-15 1999-04-27 Toso Co Ltd ロールブラインドの回転規制装置
KR200417447Y1 (ko) * 2006-03-15 2006-05-29 정장훈 롤러식 스크린의 감속장치
KR101323021B1 (ko) * 2012-05-31 2013-10-29 김상익 원코드 타입 블라인드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2112B1 (ko) 2017-05-22 2017-11-27 금중식 감속장치의 감속방향 선택모듈 및 그를 포함하는 감속어셈블리
KR20200113671A (ko) * 2019-03-26 2020-10-07 문종배 감속 장치를 일체로 구비한 롤 방충망
KR102173971B1 (ko) * 2019-03-26 2020-11-04 문종배 감속 장치를 일체로 구비한 롤 방충망
KR102452508B1 (ko) * 2021-07-02 2022-10-06 박근주 한 줄 안전 블라인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0507B1 (ko) 롤 스크린용 감속 어셈블리, 롤 스크린용 감속 모듈, 및 선택 감속 기능을 갖는 롤 스크린
KR20170105568A (ko) 윈도우 쉐이드 및 그 제어 시스템
JP6846858B2 (ja) ロールスクリーン
CA2776987C (en) Screen device
JP5324852B2 (ja) ブラインド
KR100767794B1 (ko) 우드 브라인드 커튼의 구동장치
KR101821313B1 (ko) 롤 스크린용 감속 어셈블리
KR101747311B1 (ko) 롤 스크린용 감속 어셈블리
KR101934784B1 (ko) 롤 스크린용 감속 어셈블리
JP6714240B2 (ja) 自動巻取式スクリーン装置の制動装置
KR200397916Y1 (ko) 커튼 승 하강 구동장치
KR101530325B1 (ko) 권취형 방충 장치
KR20120041056A (ko) 태엽 스프링 구동형 방충망 장치 및 그의 롤 구동 유닛
KR20180057010A (ko) 롤 스크린용 감속 어셈블리
KR200143468Y1 (ko) 롤 스크린 장치
KR101540658B1 (ko) 권취형 방충 장치용 권취 카세트, 그를 구비하는 권취형 방충 장치, 및 그에 사용되는 텐션 조절 어셈블리
KR20120027569A (ko) 스프링 조립체 및 그를 구비하는 롤 와인딩 장치
KR100549463B1 (ko) 회전롤의 권회속도 제어용 감속장치
JP3213019U (ja) ブラインド操作装置、これに用いられるストッパおよびボールチェーン
CN106089003B (zh) 日照遮挡装置的速度调节装置
JP2005054374A (ja) 開閉体の移動装置
JP2022075365A (ja) ブラインドの回転機構
JPH04237792A (ja) シャッタ、主にローラシャッタのための駆動装置
KR20120027568A (ko) 변속 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감속형 롤 와인딩 장치
KR200398773Y1 (ko) 권취식 방충망의 권취속도 감속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4

Year of fee payment: 4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1100003104;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211021

Effective date: 202207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