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7794B1 - 우드 브라인드 커튼의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우드 브라인드 커튼의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7794B1
KR100767794B1 KR1020070061276A KR20070061276A KR100767794B1 KR 100767794 B1 KR100767794 B1 KR 100767794B1 KR 1020070061276 A KR1020070061276 A KR 1020070061276A KR 20070061276 A KR20070061276 A KR 20070061276A KR 100767794 B1 KR100767794 B1 KR 1007677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bolt
groove
shaft
cover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12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준석
Original Assignee
(주)월드브라인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월드브라인드 filed Critical (주)월드브라인드
Priority to KR10200700612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77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77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77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8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 E06B9/30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liftable
    • E06B9/32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therefor
    • E06B9/322Details of operating devices, e.g. pulleys, brakes, spring drums, driv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38Other details
    • E06B9/386Details of lamella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linds (AREA)

Abstract

브라인드 장치의 다이하우징에 설치되되, 가이드가 형성된 클러치와 상기 클러치를 삽입하며 일측으로는 롤러가 결합되는 돌기를 형성한 기어박스몸체를 구성하여 클러치에 끼워진 작동줄의 조작에 따라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와, 고정돌기를 형성한 나사볼트축과 와이어스프링과 전면으로 상기 나사볼트축이 삽입되는 커버축홈을 형성하고, 후면 내측으로는 단턱을 형성하며, 외측면에는 가이드날개와 상기 와이어스프링이 끼워지는 스프링홈을 구성한 나사볼트커버와 상기 나사볼트커버에 삽입되며 전면으로는 커버축홈에 대응되는 나사볼트축홈을 형성하되, 외측면으로는 수나사를 형성하고, 내측으로는 상기 나사볼트축의 고정돌기가 끼워지는 고정돌기홈을 형성한 나사볼트와 나사볼트가이드와 전방에 나사볼트축이 결합되는 축돌기홈이 형성된 사각플레이트를 형성하고, 후방으로는 상기 나사볼트커버와 나사볼트에 결합된 나사볼트가이드가 끼워지는 제1, 2안착부를 형성하되, 제1, 2안착부 사이에는 ㄷ자형상의 관통홈과 상기 관통홈에 의해 형성된 돌기부를 구성한 나사볼트덮개로 이루어져 상기 동력전달부에 결합된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날개를 이동시키는 이동장치로 구성된 우드 브라인드 커튼의 구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나사볼트의 수나사에 결합되되, 하측으로는 코드줄홈을 형성하고, 상기 코드줄홈의 양 측면으로는 상기 나사볼트덮개의 ㄷ자형상의 관통홈에 의해 형성된 돌기부에 맞닿도록 구성된 경계턱을 형성하며, 전면으로는 상기 나사볼트커버의 단턱에 끼워지는 원형돌부를 형성한 나사볼트가이드와, 상기 클러치의 가이드는 모서리가 원형으로 이루어진 호 형상으로 형성된 것에 특징이 있는 우드 브라인드 커튼의 구동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우드 브라인드 커튼의 구동장치는 나사볼트커버의 내측으로 단턱을 구성하여 나사볼트에 연결된 나사볼트가이드와 슬라이드 결합을 이룸은 물론, 나사볼트의 내측으로 나사볼트축의 고정돌기가 끼워지는 고정돌기홈을 형성함으로써, 딸깍거림에 의한 소음을 방지할 수 있을 있으며, 이로 인해 이동장치에 고른 하중을 주게 되어 과부하를 방지함과 동시에 브라인드 장치의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나사볼트가이드에 형성된 코드줄홈의 양 측면으로 경계턱을 형성하고, 나사볼트덮개의 돌기부를 상기 경계턱에 맞닿는 위치까지 형성하여 관통홈과의 경계를 구분함으로써 코드줄과 사다리줄의 꼬임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브라이드 장치의 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작동줄이 삽입되는 클러치의 가이드를 반원형 형태로 부드럽게 하고, 작동줄이 이동되는 롤러를 양 방향으로 구성함으로써, 브라인드 장치의 구동시 이동에 따른 걸림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드러운 이동으로 인하여 작은 힘으로도 용이하게 작동시킬 수 있다.
브라인드, 구동, 날개, 회전, 줄, 전동

Description

우드 브라인드 커튼의 구동장치{OPERATING DEVICE OF WOOD BLIND CURTAIN}
도 1은 종래의 동력전달부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이동장치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우드 브라인드 커튼의 구동장치를 브라인드 장치에 설치하는 형상도.
도 4는 본 발명의 동력전달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동력전달부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기어박스몸체와 클러치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이동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이동장치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9은 본 발명의 이동장치를 도시한 저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h : 관통홀 1 : 브라인드 장치
2 : 다이하우징 3 : 작동줄
4 : 날개 5 : 회전축
6 : 사다리줄 7 : 코드줄
10 : 기어박스몸체 11 : 삽입구
12 : 나사부 13 : 롤러
14 : 돌기 15 : 클러치홈
16 : 이동홈 20 : 클러치
21 : 주기어 22 : 가이드
30 : 보조기어 31 : 기어홈
40 : 기어가이드 41 : 결합돌기
42 : 프레임홈 43 : 가이드돌부
50 : 회전프레임 51 : 회전돌부
52 : 회전프레임홈 53 : 프레임돌부
60 : 브라켓스프링 61 : 스프링돌부
70 : 전면기어박스덮개 71 : 기어박스돌부
80 : 후면기어박스덮개 100 : 동력전달부
110 : 나사볼트축 111 : 회전볼트홈
112 : 볼트축돌기 113 : 원형플레이트
114 : 고정돌기 120 : 나사볼트커버
121 : 커버축홈 122 : 단턱
123 : 가이드날개 124 : 스프링홈
130 : 와이어스프링 131 : 걸림부
140 : 나사볼트 141 : 나사볼트축홈
142 : 수나사 143 : 고정돌기홈
150 : 나사볼트가이드 151 : 코드줄홈
152 : 경계턱 153 : 원형돌부
160 : 나사볼트덮개 161 : 축돌기홈
162 : 사각플레이트 163 : 제1안착부
164 : 제2안착부 165 : 관통홈
166 : 돌기부 200 : 이동장치
300 : 우드 브라인드 커튼의 구동장치
본 발명은 우드 브라인드 커튼의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장치에 고른 하중을 유도하여 과부하를 방지함과 동시에 줄의 꼬임을 방지함으로써 소음방지를 할 수 있음은 물론, 작동을 손쉽게 할 수 있으며, 작동줄의 걸림 현상과 마찰을 최소화함으로써 작은 힘으로 용이하게 작동시킬 수 있는 우드 브라인드 커튼의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동식 브라인드 장치는 구조물에 부착되는 다이하우징과 상기 다이하우징을 따라 여러장의 날개가 연결된 날개와, 상기 날개들을 다이하우징을 중심으로 감거나 풀어 접고 펼칠 수 있도록 회전축에 연결되는 이동장치와, 상기 회전축의 회전을 단속하는 클러치가 구성된 동력전달부와, 상기 클러치를 작동시켜 회전축을 회전시키거나 정지시키는 작동줄로 이루어진다.
이하에서는 종래의 브라인드 커튼의 구동장치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동력전달부를 도시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이동장치를 도시한 분리사시도로서 같이 설명한다.
종래의 브라인드 커튼의 구동장치는 동력전달부(100)와 이동장치(200)로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동력전달부(100)는 다이하우징(미도시)의 일측에 설치되며 내부 중앙으로 회전축(미도시)이 삽입되어 진 것으로, 작동줄(미도시)을 당김에 따라 회전하는 클러치(20)와, 상기 클러치(20)를 삽입하는 기어박스몸체(10)와, 상기 기어박스몸체(10)의 내부에 삽입되어 클러치(20)의 회전에 따라 작동하는 보조기어(30)와 기어가이드(40) 및 회전프레임(50)을 구성하고 있으며, 전, 후면으로는 브라켓스프링(60)이 구성된 전면기억박스덮개(70)와 후면기어박스덮개(80)를 구성한다.
또한, 상기 이동장치(200)는 내부 중앙으로 회전축이 삽입된 채로 다이하우징에 설치되는 것으로, 나사볼트축(110)이 결합되고 와이어스프링(130)이 외측에 결합되는 나사볼트커버(120)와 상기 나사볼트축(110)과 결합을 이루는 나사볼트(140) 및 상기 나사볼트(140)에 결합되어 가이드역활을 나사볼트가이드(150)와 상기 나사볼트커버(120)와 나사볼트(140)에 결합된 나사볼트가이드(150)가 끼워지는 나사볼트덮개(160)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브라인드 커튼의 구동장치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작동줄을 당기면 작동줄이 끼워진 클러치(20)가 회전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클러치(20)가 삽입되어 있는 기어박스몸체(100)에 결합된 회전축이 회전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회전축의 회전하게 됨과 동시에 회전축에 결합된 이동장치(200)도 같이 회전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이동장치(20)의 회전에 따라 이동장치(200)에 연결되어 있는 사다리줄(미도시)과 코드줄(미도시)에 의해 날개(미도시)가 작동되게 된다.
이처럼, 종래의 브라인드 커튼의 구동장치는 작동줄의 당김에 따라 날개가 손쉽게 작동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브라인드 커튼의 구동장치는 동력전달부(100)에 구성된 기어박스몸체(10)에 하나의 롤러(13)만이 설치되도록 구성되어 있어 작동줄의 당김시 소음발생은 물론, 마찰이 크게 작용하는 문제점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클러치(20)에 외주면에 구성된 가이드(22)가 각이진 직각형태로 되어 있어 작동줄의 연결부위가 걸려 날개를 용이하게 작동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상기 나사볼트축(110)과 나사볼트커버(120) 및 나사볼트가이드(150)가 결합되는 나사볼트(140)를 확실하게 고정시킬 만한 수단이 존재하지 않아 작동줄을 당겼을 시 한쪽 방향으로 하중에 크게 작용하게 되어 과도한 과부하게 걸리게 될 뿐만 아니라, 이동장치(200)의 회전이 잘 안 이루어져 날개의 조작에 불편함을 느끼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특히 어린아이와 같은 노약자가 사용하기엔 어려움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 나사볼트덮개(160)를 통해 날개에 연결되는 코드줄과 사다리줄을 분리하여 놓을 수 있는 경계를 형성할 수 없어 줄의 꼬임이 빈번하게 발생하였으며, 이에 따라 날개가 원하는 대로 작동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나사볼트커버의 내측으로 단턱을 구성하여 나사볼트에 연결된 나사볼트가이드와 슬라이드 결합을 이룸은 물론, 나사볼트의 내측으로 나사볼트축의 고정돌기가 끼워지는 고정돌기홈을 형성함으로써, 딸깍거림에 의한 소음을 방지할 수 있을 있으며, 이로 인해 이동장치에 고른 하중을 주게 되어 과부하를 방지함과 동시에 브라인드 장치의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우드 브라인드 커튼의 구동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으로는 나사볼트가이드에 형성된 코드줄홈의 양 측면으로 경계턱을 형성하고, 나사볼트덮개의 돌기부를 상기 경계턱에 맞닿는 위치까지 형성하여 관통홈과의 경계를 구분함으로써 코드줄과 사다리줄의 꼬임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블라이드 장치의 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우드 브라인드 커튼의 구동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는 작동줄이 삽입되는 클러치의 가이드를 반원형 형태로 부드럽게 하고, 작동줄이 이동되는 롤러를 양 방향으로 구성함으로써, 브라인드 장치의 구동시 이동에 따른 걸림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드러운 이동으로 인하여 작은 힘으로도 용이하게 작동시킬 수 있는 우드 브라인드 커튼의 구동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우드 브라인드 커튼의 구동장치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우드 브라인드 커튼의 구동장치(300)는 브라인드 장치(1)의 다이하우징(2)에 설치되어 작동줄(3)의 당김에 따라 브라인드의 날개(4)를 작동시키는 것으로, 수동식 또는 전동식으로 사용되어 지며, 동력전달부(100)와 이동장치(200)로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동력전달부(100)의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동력전달부(100)는 도 3 또는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5)에 결합된 채로 다이하우징(2)의 일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기어박스몸체(10)와, 클러치(20)와, 보조기어(30)와, 기어가이드(40)와, 회전프레임(50)과, 브라켓스프링(60)이 결합된 전면기어박스덮개(70)와, 후면기어박스덮개(80)로 구성된다.
먼저, 기어박스몸체(10)는 도 4 또는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으로, 삽입구(11)를 구성하고 있고, 상기 삽입구(11)의 내측으로는 나사부(12)를 형성하고 있으며, 후면으로는 롤러(13)가 결합되는 돌기(14)와, 클러치홈(15)과, 후술될 후면기어박스덮개가 결합되어 작동줄이 이동되는 이동홈(16)을 형성하고 있다.
이때, 상기 돌기(14)는 도 3 또는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줄(3)의 이동시 소음방지와 더불어 마찰력을 줄일 수 있도록 작동줄(3)이 이동하는 위치에 1개로 구성되는 것이 통상적이나, 바람직하게는 도 3 또는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작동줄(3)이 이동하는 양 방향 위치에 2개의 돌기(14)를 형성하고, 2개로 형성된 돌기(4)에 각각의 롤러(13)를 결합함으로써 소음과 마찰력을 더욱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클러치(20)는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어박스몸체(10)의 후면에 형성된 클러치홈(15)에 결합되는 것으로, 전면으로는 주기어(21)를 형성하고 있고, 외주면 양 끝단으로는 등 간격으로 이격된 다수 개의 가이드(22)를 구성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22)는 작동줄(3)의 걸림을 방지하기 위해 모서리가 원형으로 이루어진 호 형상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조기어(30)는 도 4 또는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어박스몸체(10)의 삽입구(11)에 삽입되는 것으로, 기어박스몸체(10)에 구성된 나사부(12)와 기어박스몸체(10)에 삽입된 클러치(20)의 주기어(21) 사이에서 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4개로 형성되며, 각각의 보조기어(30)의 중앙으로는 기어홈(31)을 구성한다.
또한, 상기 기어가이드(40)는 상기 기어박스몸체(10)의 삽입구(11)에 삽입되는 것으로, 후면으로 상기 보조기어(30)의 기어홈(31)에 삽입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4개의 결합돌기(41)를 구성하고 있고, 중앙으로는 프레임홈(42)을 형성하고 있으며, 전면으로는 돌출된 가이드돌부(43)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회전프레임(50)은 상기 기어박스몸체(10)의 삽입구(11)에 삽입되 는 것으로, 후면으로는 상기 기어가이드(40)의 프레임홈(42)에 삽입되는 회전돌부(51)를 구성하고 있고, 상기 회전돌부(51)의 중앙으로는 회전축(5)이 결합되는 회전프레임홈(52)을 형성하고 있으며, 전면으로는 돌출된 프레임돌부(53)를 구성한다.
또한, 상기 브라켓스프링(60)은 상기 기어박스몸체(10)의 삽입구(11)에 삽입되는 것으로, 상기 기어가이드(40)의 가이드돌부(43)와 회전프레임(50)의 가이드돌부(53) 사이에 끼워지는 스프링돌부(61)를 구성한다.
또한, 상기 전면기어박스덮개(70)는 상기 기어박스몸체(10)의 전면에 결합되는 덮개로서, 후면으로 상기 브라켓스프링(60)이 끼워지는 기어박스돌부(71)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후면기어박스덮개(80)는 클러치(20)가 결합된 기어박스몸체(10)의 후면에 결합되는 덮개로서, 상기 기어박스몸체(10)에 결합된 클러치(20)와 롤러(13)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이동장치(200)의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이동장치(200)는 도 3 또는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5)에 결합된 채로 관통홀(h)이 형성된 다이하우징(2)에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나사볼트축(110)과, 나사볼트커버(120)와, 와이어스프링(130)과, 나사볼트(140)와, 나사볼트가이드(150)와, 나사볼트덮개(160)로 구성된다.
먼저, 상기 나사볼트축(110)은 도 3 또는 도 7,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으로 회전축(5)이 결합되는 회전볼트홈(111)이 형성된 것으로, 전면으로 볼트축 돌기(112)가 구성된 원형플레이트(113)를 형성하며, 외주면으로는 4개의 고정돌기(114)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나사볼트커버(120)는 도 7 또는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으로 상기 나사볼트축(110)이 삽입되는 커버축홈(121)을 형성하고 있고, 후면 내측으로는 단턱(122)을 형성하고 있으며, 외측면으로는 가이드날개(123)와 스프링홈(124)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와이어스프링(130)은 나사볼트커버(120)의 스프링홈(124)에 결합되는 것으로, 사다리줄(6)이 끼워지는 걸림부(131)를 구성한다.
또한, 상기 나사볼트(140)는 도 3 또는 도 7,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나사볼트커버(120)에 삽입되며 전면으로는 커버축홈(121)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나사볼트축(110)이 삽입되는 나사볼트축홈(141)을 형성한 것으로, 외측면으로는 수나사(142)를 형성하고 있고, 내측으로는 상기 나사볼트축(110)의 고정돌기(114)가 끼워지는 고정돌기홈(143)을 4개로 형성하고 있다.
아울러, 상기 나사볼트(140)의 외측면에 형성된 수나사의 일측에는 코드줄(7)이 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나사볼트가이드(150)는 도 3 또는 도 8, 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나사볼트(140)의 수나사(142)에 결합되는 것으로, 하측으로 상기 나사볼트(140)의 수나사(142)에 결합된 코드줄(7)이 이동되는 코드줄홈(151)을 형성하고 있고, 상기 코드줄홈(151)의 양 측면으로는 경계를 두기 위한 경계턱(152)을 형성하고 있으며, 전면으로는 상기 나사볼트커버(120)의 단턱(122)에 끼워지는 원형돌 부(153)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나사볼트덮개(160)는 도 7 내지 도 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으로 상기 나사볼트축(110)의 볼트축돌기(112)가 결합되는 축돌기홈(161)이 형성된 사각플레이트(162)를 형성하고, 후면으로는 나사볼트커버(120)와 나사볼트(140)에 결합된 나사볼트가이드(150)가 끼워지는 제1, 2안착부(163, 164)를 형성한 것으로, 상기 제1, 2안착부(163, 164) 사이에는 ㄷ자형상의 관통홈(165)을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관통홈(165)에 의해 형성된 돌기부(166)는 상기 나사볼트가이드(150)의 경계턱(152)에 맞닿는 위치까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나사볼트덮개(160)에 형성된 사각플레이트(162)의 상부 일정부위는 도 3 또는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다이하우징(2)에 꽉 끼어맞춤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다이하우징(2)의 내부와 동일한 크기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다이하우징(2)에 용이하게 삽탈할 수 있도록 사각플레이트(162)의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경사를 지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브라인트 커튼의 구동장치의 작용을 살펴보도록 한다.
먼저, 브라인드 장치(1)에 구성된 다이하우징(2)의 관통홀(h)이 형성된 부분에 회전축(5)이 결합된 이동장치(200)를 삽입한 후, 상기 이동장치(200)에 결합된 코드줄(7)과 사다리줄(6)에 날개를 연결하고, 상기 다이하우징(2)의 일측에 작동줄(3)이 결합되어 있는 동력전달부(100)를 결합하여 회전축(5)과 연결시킴으로써 우드 브라인드 커튼의 구동장치(300)의 설치를 완료한다.
이때, 상기 이동장치(200)는 사각플레이트(162)의 하측방향으로 좁아지는 경사를 이루고 있어, 다이하우징(2)에 용이하게 삽입되어 질 수 있으며, 상기 사각플레이트(162)의 상부는 상기 다이하우징(2)의 내부와 동일한 크기로 제작되어 있어 흔들림 없이 꽉 끼어맞춤으로 결합되게 된다.
그 후, 상기 작동줄(3)을 좌측방향에서 잡아당기면 사다리줄(6)에 의해 날개(4)가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게 되어 날개(4)와 날개(4) 사이를 폐쇄시키는 작용을 한다.
아울러, 상기 날개(4)는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폐쇄됨과 동시에 코드줄(7)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되게 되고, 작동줄(3)을 좌측방향에서 계속 잡아당김으로써 코드줄(7)에 의해 상측에 포개져 있는 날개(4)를 하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창(미도시)을 가릴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에서 기술한 방법과 반대로 날개(4)를 다시 상측방향으로 올리고 싶을 때에는, 작동줄(3)을 우측방향에서 잡아당김으로써 창을 손쉽게 개방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작동줄(3)을 우측으로 잡아당겼을 때에는 사다리줄(6)에 의해 날개(4)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게 되어 날개(4)와 날개(4) 사이가 개방되었다가 다시 폐쇄되게 된다.
아울러, 상기 날개(4)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폐쇄됨과 동시에 코드줄(7)에 의해 상측방향으로 이동되게 되고, 작동줄(3)을 우측방향에서 계속 잡아당김으로써 코드줄(7)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된 날개(4)를 상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상측으로 이동된 날개(4)는 가지런히 포개지게 된다.
이처럼, 날개(4)의 회전과 이동은 작동줄(3)의 당김여부에 따라 사다리줄(6)과 코드줄(7)의 움직임에 의해 발생되는 것으로, 날개(4)가 하측으로 이동되어 창을 가리게 되었을 때에 날개(4)와 날개(4) 사이를 개방하고 싶을 때에는, 작동줄(3)을 우측방향에서 일정량만 당김으로써 용이하게 개방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각 부분의 작용을 더욱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작동줄(3)을 좌측방향에서 하측으로 잡아당기게 되면, 상기 작동줄(3)이 걸려 있는 클러치(20)가 기어박스몸체(10) 내부에서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게 된다.
이때, 상기 작동줄(3)은 기어박스몸체(10)의 돌기(15)에 결합된 롤러(13)에 맞닿게 되어 이동홈(16)을 통해 부드러운 이동을 하게 됨으로써 소음방지는 물론, 마찰이 최소화되면서 움직이게 되며, 클러치(20)의 가이드(22)가 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작동줄(3)이 움직일 때에 걸림이 발생되지 않게 되며, 작은 힘으로도 용이하게 작동되어 진다.
아울러, 클러치(20)가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기어박스몸체(10)와 상기 클러치(20)의 주기어(21) 사이에 형성된 4개의 보조기어(30)도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데, 이때 보조기어(30)의 회전에 따라 보조기어(30)에 끼워진 기어가이드(40)도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이에 따라 전면기어박스덮개(70)에 끼워진 브라켓스프링(60)이 가이드돌부(43)에 걸려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회전프레임(50)을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브라켓스프링(60)은 전면기어박스덮개(70)의 기어박스돌부(71)에 슬라이드 회전되도록 결합됨으로써 작동줄(3)이 외부충격이나 자력에 의해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활을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회전프레임(50)이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회전프레임(50)에 결합된 회전축(5)이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데, 상기 회전축(5)은 이동장치(200)에 구성된 나사볼트축(110)에 연결되어 있어 나사볼트축(110)을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며, 상기 나사볼트축(110)과 결합을 이루고 있는 나사볼트커버(120)와 나사볼트(140)도 동시에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게 된다.
이때, 상기 나사볼트커버(120)는 나사볼트축(110)과 나사볼트(140) 및 나사볼트(140)의 수나사(142)에 결합된 나사볼트가이드(150)와 결합을 이룬 채로 나사볼트덮개(160)에 안착되어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나사볼트커버(120)의 스프링홈(124)에 끼워진 와이어스프링(130)에 의해 사다리줄(6)을 이동시켜 날개(4)를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 상태로 있게 하는 작용을 한다.
아울러, 상기 나사볼트(140)는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게 될때, 나사볼트(140)의 수나사(142)에 결합된 나사볼트가이드(150)가 나사볼트덮개(160)의 제2안착부(164)에 안착되어 있어 후진하도록 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나사볼트(140)에 감긴 코드줄(7)이 풀리면서 날개(4)를 하측으로 이동시키는 작용을 한다.
여기서, 상기와 같이 작동하는 이동장치(200)는 나사볼트커버(120)의 내측에 단턱(122)을 구성하여 나사볼트(140)에 연결된 나사볼트가이드(150)와 슬라이드 결 합을 이루고 있고, 나사볼트(140)의 내측으로 나사볼트축(110)의 고정돌기(114)가 흔들림 없이 끼워지는 고정돌기홈(143)을 형성하고 있어 이동장치(200)에 고른 하중을 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딸깍거림에 의한 소음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용이한 회전을 이룰 수 있게 된다.
또한, 나사볼트가이드(150)에 형성된 코드줄홈(151)의 양 측면으로 경계턱(152)을 형성하고, 나사볼트덮개(160)의 돌기부(166)를 상기 경계턱(152)에 맞닿는 위치까지 형성하여 관통홈(165)과의 경계를 구분함으로써 다이하우징(2)의 관통홀(h)을 통해 이동되는 코드줄(7)과 사다리줄(6)의 꼬임 발생 없이 용이하게 작동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에서 기술한 방법과 반대로 작동줄(3)을 우측방향에서 하측으로 잡아당기게 되면, 전술한 것과 동일한 작용이 일어나 날개(4)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 상태로 상측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작용에 대한 설명은 작동줄(3)을 좌측방향에서 당기는 것과 중복이 되는 설명이므로 생략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는 특정 실시 예를 한정하여 설명하였지만, 이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화와 변형이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변화는 모두 본 특허의 권리범위에 속하게 됨은 첨부된 청구범위를 통해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우드 브라인드 커튼의 구동장치는 나사볼트커버의 내측으로 단턱을 구성하여 나사볼트에 연결된 나사볼트가이드와 슬라이드 결합을 이룸은 물론, 나사볼트의 내측으로 나사볼트축의 고정돌기가 끼워지는 고정돌기홈을 형성함으로써, 딸깍거림에 의한 소음을 방지할 수 있을 있으며, 이로 인해 이동장치에 고른 하중을 주게 되어 과부하를 방지함과 동시에 브라인드 장치의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나사볼트가이드에 형성된 코드줄홈의 양 측면으로 경계턱을 형성하고, 나사볼트덮개의 돌기부를 상기 경계턱에 맞닿는 위치까지 형성하여 관통홈과의 경계를 구분함으로써 코드줄과 사다리줄의 꼬임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블라이드 장치의 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작동줄이 삽입되는 클러치의 가이드를 반원형 형태로 부드럽게 하고, 작동줄이 이동되는 롤러를 양 방향으로 구성함으로써, 브라인드 장치의 구동시 이동에 따른 걸림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드러운 이동으로 인하여 작은 힘으로도 용이하게 작동시킬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4)

  1. 브라인드 장치(1)의 다이하우징(2)에 설치되되, 가이드(22)가 형성된 클러치(20)와 상기 클러치(20)를 삽입하며 일측으로는 롤러(13)가 결합되는 돌기(14)를 형성한 기어박스몸체(10)를 구성하여 클러치(20)에 끼워진 작동줄(3)의 조작에 따라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100)와, 고정돌기(114)를 형성한 나사볼트축(110)과 와이어스프링(130)과 전면으로 상기 나사볼트축(110)이 삽입되는 커버축홈(121)을 형성하고, 후면 내측으로는 단턱(122)을 형성하며, 외측면에는 가이드날개(123)와 상기 와이어스프링(130)이 끼워지는 스프링홈(124)을 구성한 나사볼트커버(120)와 상기 나사볼트커버(120)에 삽입되며 전면으로는 커버축홈(121)에 대응되는 나사볼트축홈(141)을 형성하되, 외측면으로는 수나사(142)를 형성하고, 내측으로는 상기 나사볼트축(110)의 고정돌기(114)가 끼워지는 고정돌기홈(143)을 형성한 나사볼트(140)와 나사볼트가이드(150)와 전방에 나사볼트축(110)이 결합되는 축돌기홈(161)이 형성된 사각플레이트(162)를 형성하고, 후방으로는 상기 나사볼트커버(120)와 나사볼트(140)에 결합된 나사볼트가이드(150)가 끼워지는 제1, 2안착부(163, 164)를 형성하되, 제1, 2안착부(163, 164) 사이에는 ㄷ자형상의 관통홈(165)과 상기 관통홈(165)에 의해 형성된 돌기부(166)를 구성한 나사볼트덮개(160)로 이루어져 상기 동력전달부(100)에 결합된 회전축(5)의 회전에 따라 날개(4)를 이동시키는 이동장치(200)로 구성된 우드 브라인드 커튼의 구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나사볼트(140)의 수나사(142)에 결합되되, 하측으로는 코드줄홈(151)을 형성하고, 상기 코드줄홈(151)의 양 측면으로는 상기 나사볼트덮개(160)의 ㄷ자형상의 관통홈(165)에 의해 형성된 돌기부(166)에 맞닿도록 구성된 경계턱(152)을 형성하며, 전면으로는 상기 나사볼트커버(120)의 단턱(122)에 끼워지는 원형돌부(153)를 형성한 나사볼트가이드(150);
    상기 클러치(20)의 가이드(22)는 모서리가 원형으로 이루어진 호 형상으로 형성된 것에 특징이 있는 우드 브라인드 커튼의 구동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070061276A 2007-06-21 2007-06-21 우드 브라인드 커튼의 구동장치 KR1007677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1276A KR100767794B1 (ko) 2007-06-21 2007-06-21 우드 브라인드 커튼의 구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1276A KR100767794B1 (ko) 2007-06-21 2007-06-21 우드 브라인드 커튼의 구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7794B1 true KR100767794B1 (ko) 2007-10-17

Family

ID=38815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1276A KR100767794B1 (ko) 2007-06-21 2007-06-21 우드 브라인드 커튼의 구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7794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47341A2 (ko) * 2009-06-15 2010-12-23 Lee Wan-Ho 밀폐되도록 이중창호에 설치된 블라인드.
KR200452538Y1 (ko) 2010-11-05 2011-03-04 (주)월드브라인드 우드 브라인드 커튼의 구동장치 고정결합구조
KR101092902B1 (ko) * 2009-06-15 2011-12-12 (주)휴그린하이테크 창호에 내장된 블라인드장치
KR200466674Y1 (ko) 2011-08-29 2013-05-06 김정민 우드 블라인드용 코드 감김장치
CN108316844A (zh) * 2018-04-11 2018-07-24 佛山科学技术学院 一种随光照改变方向的遮阳板
KR20210073899A (ko) * 2019-12-11 2021-06-21 박우주 과토크 보호장치 및 이를 활용한 블라인드 구동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44996U (ko) 1986-09-10 1988-03-26
JPH0542595U (ja) * 1991-11-19 1993-06-08 チエン‐ペイ、シエン カーテン昇降器
JPH05171879A (ja) * 1991-12-25 1993-07-09 Nichibei Co Ltd ブラインドのラダーコード支持装置
JPH05321544A (ja) * 1992-05-26 1993-12-07 Sekisui Jushi Co Ltd ブラインドのスラット傾動装置
KR200283751Y1 (ko) 2001-11-30 2002-07-27 김화순 브라인드 감김장치
KR20040000158A (ko) * 2002-06-24 2004-01-03 김화순 전동 브라인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44996U (ko) 1986-09-10 1988-03-26
JPH0542595U (ja) * 1991-11-19 1993-06-08 チエン‐ペイ、シエン カーテン昇降器
JPH05171879A (ja) * 1991-12-25 1993-07-09 Nichibei Co Ltd ブラインドのラダーコード支持装置
JPH05321544A (ja) * 1992-05-26 1993-12-07 Sekisui Jushi Co Ltd ブラインドのスラット傾動装置
KR200283751Y1 (ko) 2001-11-30 2002-07-27 김화순 브라인드 감김장치
KR20040000158A (ko) * 2002-06-24 2004-01-03 김화순 전동 브라인드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47341A2 (ko) * 2009-06-15 2010-12-23 Lee Wan-Ho 밀폐되도록 이중창호에 설치된 블라인드.
WO2010147341A3 (ko) * 2009-06-15 2011-04-21 Lee Wan-Ho 밀폐되도록 이중창호에 설치된 블라인드.
KR101092902B1 (ko) * 2009-06-15 2011-12-12 (주)휴그린하이테크 창호에 내장된 블라인드장치
CN102482913A (zh) * 2009-06-15 2012-05-30 李完浩 用于双层窗的密封百叶窗
KR200452538Y1 (ko) 2010-11-05 2011-03-04 (주)월드브라인드 우드 브라인드 커튼의 구동장치 고정결합구조
KR200466674Y1 (ko) 2011-08-29 2013-05-06 김정민 우드 블라인드용 코드 감김장치
CN108316844A (zh) * 2018-04-11 2018-07-24 佛山科学技术学院 一种随光照改变方向的遮阳板
CN108316844B (zh) * 2018-04-11 2023-07-18 佛山科学技术学院 一种随光照改变方向的遮阳板
KR20210073899A (ko) * 2019-12-11 2021-06-21 박우주 과토크 보호장치 및 이를 활용한 블라인드 구동장치
KR102400776B1 (ko) * 2019-12-11 2022-05-20 박우주 과토크 보호장치 및 이를 활용한 블라인드 구동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7794B1 (ko) 우드 브라인드 커튼의 구동장치
US8327906B2 (en) Tiltable double-layered fabric blind
US8002012B2 (en) Venetian blind
AU2012203213B2 (en) Roll blind having noiseless bidirectional clutch
TW201712209A (zh) 無拉繩式窗簾控制裝置
CN102884271A (zh) 窗帘调节器
JPS6290491A (ja) ロ−リング シヤツタ システム
US7523777B2 (en) Roman shade
US8640762B2 (en) Blind slat controller with braking function
GB2504115A (en) A manual drive mechanism positionable on either side of the blind
US8905115B2 (en) Blind cord winder integrating with stopping control
JP3896342B2 (ja) 電動ブラインド
KR200448623Y1 (ko) 블라인드용 권취구
KR200449680Y1 (ko) 롤 스크린의 스크린 회동장치
KR200397916Y1 (ko) 커튼 승 하강 구동장치
JP6621322B2 (ja) 遮蔽装置
JP6640511B2 (ja) 日射遮蔽装置の駆動力伝達装置
KR101776205B1 (ko) 블라인드의 쉐이드 구동 장치
JP3213019U (ja) ブラインド操作装置、これに用いられるストッパおよびボールチェーン
JP2017218822A (ja) オーバードア開閉装置
KR102468330B1 (ko) 블라인드 구동장치
KR102012859B1 (ko) 롤 블라인드용 안전 손잡이 및 그를 포함하는 롤 블라인드
KR101845196B1 (ko) 안전 기능을 구비한 블라인드의 구동장치
KR101005149B1 (ko) 회전체용 감속장치
AU2015101029A4 (en) Blind cord winder integrating with stopping contr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8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