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3751Y1 - 브라인드 감김장치 - Google Patents

브라인드 감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3751Y1
KR200283751Y1 KR2020010037092U KR20010037092U KR200283751Y1 KR 200283751 Y1 KR200283751 Y1 KR 200283751Y1 KR 2020010037092 U KR2020010037092 U KR 2020010037092U KR 20010037092 U KR20010037092 U KR 20010037092U KR 200283751 Y1 KR200283751 Y1 KR 2002837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ing
adjusting line
adjusting
lin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70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화순
Original Assignee
김화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화순 filed Critical 김화순
Priority to KR20200100370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375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37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3751Y1/ko

Links

Landscapes

  • Blinds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브라인드 감김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부 프레임(10)에 조정줄로 연결된 다수개의 길다란 직사각형 브라인드(11)가 상부 프레임(10)의 일단에 설치된 클러치(1)에 감겨진 차양막 작동줄 및 클러치(1)에 회전축(51)이 연결된 브라인드 감김장치(2)에 의해 펼쳐지고 감겨지는 수평형 중첩식 차양막에 사용되는 브라인드 감김장치(2)에 있어서, 프레임(21), 조정줄 감김부(31), 감김 가이드(36), 하우징(41), 및 전동부(45)로 구성되어 있고, 프레임(21)의 양단에는 상단에 회전축(51)이 관통되는 관통공(22a, 23a)이 형성된 측벽(22, 23)이 형성되어 있고, 프레임(21)의 중간에는 제1 반원형 받침대(24)와 제2 반원형 받침대(26)이 형성되어 있고, 제1 반원형 받침대(24)의 일측에는 지지턱(25)이 형성되어 있고, 제1 반원형 받침대(24)와 제2 반원형 받침대(26) 사이에는 브라인드(11)에 연결된 조정줄(14)이 관통하는 조정줄 관통공(27)이 형성되어 있고, 조정줄 감김부(31)는 중공원통체로서 그 외주면에 전체적으로 조정줄 감김홈(32)이 나선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우측단부에 십자형의 끼워맞춤공(33)이 형성되어 있고, 끼워맞춤공(33)이 형성되지 않은 조정줄 감김부(31)의 우측단부에는 조정줄 관통공(27)을 관통한 조정줄(14)이 감김 가이드(36)를 통해 끼워진 후 묶음처리되는 조정줄 끼움공(34)이 형성되어 있고, 조정줄 감김부(31)의 우측단부에는 외측으로 플랜지(35)가 형성되어 있고, 감김 가이드(36)는 중공원통체로서 그 내주면의 좌측단부 부근에 조정줄 감김부(31)의 조정줄 감김홈(32)이 맞물리는 암나사홈(39)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우측단부 부근에 조정줄 관통공(27)을 관통한 조정줄(14)이 조정줄 끼움공(34)에 끼워지기 전에 통과하는 조정줄 가이드공(38)이 형성되어 있고, 감김 가이드(36)의 하부에는 조립시 프레임(21)의 지지턱(25)에 걸려 감김 가이드(36)가 좌우로 고정되게 하는 단차부(37)가 형성되어 있고, 하우징(41)은 중공원통체로서 그 좌측단부의 개구가 감김 가이드(36) 상에 끼워지며 그 우측단부에 십자형의 끼워맞춤공(42)이 형성되어 있고, 전동부(45)는 중공원통체로서 그 외면에 하우징(41)의 끼워맞춤공(42)에 끼워맞춰진 후 조정줄 감김부(31)의 끼워맞춤공(34)에 끼워맞춰지는 십자형 날개(46)가 형성되어 있고, 전동부(45)의 내부 좌측단부에는 회전축(51)이 끼워맞춰지는 사각형의 회전축걸림공(48)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브라인드 감김장치{DEVICE FOR WINDIG BLIND}
본 고안은 브라인드 감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브라인드를 감을 때 조정줄이 엉키거나 겹치지 않도록 하는 수단을 구비한 브라인드 감김장치에 관한 것이다.일반적으로, 차양막은 크게 롤식 차양막과 중첩식 차양막으로 나뉘어진다. 롤식 차양막은 봉에 한장으로 된 넓은 차양막이 롤형태로 감겨지고 이 봉의 일단에 설치된 차양막 작동줄에 의해 펼쳐지고 감겨진다.또한, 중첩식 차양막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프레임(10)에 조정줄(14)로 연결된 다수개의 길다란 직사각형 브라인드(11)가 상부 프레임(10)의 일단에 설치된 클러치(1)에 감겨진 차양막 작동줄(미도시)에 의해 펼쳐지고 감겨진다. 클러치(1)는 차양막 작동줄의 감김력을 회전축(51, 도 3 참조)에 전달하는 기능을 한다. 회전축(51)은 브라인드 감김장치(2)에 연결되어 브라인드 감김장치(2)가 브라인드(11)를 펼치고 감을 수 있도록 한다.이러한 중첩식 차양막은 크게 수평형 차양막과 수직형 차양막으로 나뉘어지는데, 도 1에는 수평형 차양막이 예시되어 있다.수평형 중첩식 차양막에서 브라인드를 연결하여 브라인드 감김장치에 감겨있는 조정줄은 엉켜 조정이 되지 않거나 겹쳐 좌우 수평이 맞지 않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외주면에 조정줄 감김홈이 전체적으로 형성된 중공원통체의 조정줄 감김부와 감김 가이드가 구비된 브라인드 감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브라인드 감김장치가 적용되는 차양막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브라인드 감김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브라인드 감김장치의 결합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종단면도로서 브라인드가 펼쳐진 상태, 즉 조정줄이 풀린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3의 종단면도로서 브라인드가 감겨진 상태, 즉 조정줄이 감겨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1 : 회전축
14 : 조정줄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브라인드 감김장치는, 상부 프레임(10)에 조정줄로 연결된 다수개의 길다란 직사각형 브라인드(11)가 상기 상부 프레임(10)의 일단에 설치된 클러치(1)에 감겨진 차양막 작동줄 및 상기 클러치(1)에 회전축(51)이 연결된 브라인드 감김장치(2)에 의해 펼쳐지고 감겨지는 수평형 중첩식 차양막에 사용되는 브라인드 감김장치(2)에 있어서, 프레임(21), 조정줄 감김부(31), 감김 가이드(36), 하우징(41), 및 전동부(45)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프레임(21)의 양단에는 상단에 회전축(51)이 관통되는 관통공(22a, 23a)이 형성된 측벽(22, 2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프레임(21)의 중간에는 제1 반원형 받침대(24)와 제2 반원형 받침대(26)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반원형 받침대(24)의 일측에는 지지턱(25)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반원형 받침대(24)와 제2 반원형 받침대(26) 사이에는 상기 브라인드(11)에 연결된 조정줄(14)이 관통하는 조정줄 관통공(27)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조정줄 감김부(31)는 중공원통체로서 그 외주면에 전체적으로 조정줄 감김홈(32)이 나선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우측단부에 십자형의 끼워맞춤공(3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끼워맞춤공(33)이 형성되지 않은 상기 조정줄 감김부(31)의 우측단부에는 상기 조정줄 관통공(27)을 관통한 조정줄(14)이 상기 감김 가이드(36)를 통해 끼워진 후 묶음처리되는 조정줄 끼움공(34)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조정줄 감김부(31)의 우측단부에는 외측으로 플랜지(35)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감김 가이드(36)는 중공원통체로서 그 내주면의 좌측단부 부근에 상기 조정줄 감김부(31)의 조정줄 감김홈(32)이 맞물리는 암나사홈(39)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우측단부 부근에 상기 조정줄 관통공(27)을 관통한 조정줄(14)이 상기 조정줄 끼움공(34)에 끼워지기 전에 통과하는 조정줄 가이드공(38)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감김 가이드(36)의 하부에는 조립시 상기 프레임(21)의 지지턱(25)에 걸려 상기 감김 가이드(36)가 좌우로 고정되게 하는 단차부(37)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41)은 중공원통체로서 그 좌측단부의 개구가 상기 감김 가이드(36) 상에 끼워지며 그 우측단부에 십자형의 끼워맞춤공(4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전동부(45)는 중공원통체로서 그 외면에 상기 하우징(41)의 끼워맞춤공(42)에 끼워맞춰진 후 상기 조정줄 감김부(31)의 끼워맞춤공(34)에 끼워맞춰지는 십자형 날개(46)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전동부(45)의 내부 좌측단부에는 상기 회전축(51)이 끼워맞춰지는 사각형의 회전축걸림공(48)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브라인드 감김속도 감속클러치를 설명한다.도 2 내지 도 5에는 본 고안의 브라인드 감김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본 고안의 브라인드 감김장치(1)는 프레임(21), 조정줄 감김부(31), 감김 가이드(36), 하우징(41), 및 전동부(45)로 구성되어 있다.프레임(21)은, 양단에 측벽(22, 23)이 형성되어 있고 각각의 측벽(22, 23) 상단에는 회전축(51)이 관통되는 관통공(22a, 23a)이 형성되어 있다. 프레임(21)의 중간에는 제1 반원형 받침대(24)와 제2 반원형 받침대(26)이 형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제1 및 제2 반원형 받침대(24)의 양측에는 기둥(28, 29)이 형성되어 있다.제1 반원형 받침대(24)의 일측에는 지지턱(25)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반원형 받침대(24)와 제2 반원형 받침대(26) 사이에는 조정줄 관통공(27)이 형성되어 있다. 브라인드(11)에 연결된 조정줄(14)은 조정줄 관통공(27)을 관통한다.조정줄 감김부(31)는 중공원통체로서 그 외주면에 전체적으로 조정줄 감김홈(32)이 나선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조정줄 감김부(31)의 우측단부에는 십자형의 끼워맞춤공(33)이 형성되어 있다. 십자형의 끼워맞춤공(33)이 형성되지 않은 조정줄 감김부(31)의 우측단부에는 조정줄 끼움공(3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조정줄 감김부(31)의 우측단부에는 플랜지(35)가 형성되어 있다.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정줄 관통공(27)을 관통한 조정줄(14)은 감김 가이드(36)를 통해 조정줄 끼움공(34)에 끼워지며, 조정줄 끼움공(34)에 끼워진 조정줄(14)의 말단은 조정줄 끼움공(34)에서 빠지지 않도록 조정줄 감김부(31)의 내측에서 묶음처리된다.조립시, 조정줄 감김부(31)는 프레임(21)의 제1 받침대(24) 상에 지지된다.감김 가이드(36)는 중공원통체로서 내주면의 좌측단부 부근에만 암나사홈(39)이 형성되어 있다. 감김 가이드(36)의 하부에는 단차부(37)가 형성되어 있으며, 조립시 단차부(37)는 프레임(21)의 지지턱(25)에 걸려 좌우로 고정된다. 감김 가이드(36)의 암나사홈(39)에는 조정줄 감김부(31)의 조정줄 감김홈(32)이 맞물린다. 암나사홈(39)이 조정줄 감김홈(32)에 맞물린 상태에서 조정줄 감김부(31)를 시계방향으로 계속 회전시키면, 조정줄 감김부(31)는 그 플랜지(35)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김 가이드(36)의 우측단부에 걸려 더 이상 좌측으로 이동하지 않는다. 또한, 감김 가이드(36)의 우측단부 부근에는 조정줄 가이드공(38)이 형성되어 있다. 조정줄 관통공(27)을 관통한 조정줄(14)은 조정줄 가이드공(38)을 통해 조정줄 끼움공(34)에 끼워진다.하우징(41)은 중공원통체로서 그 우측단부에 십자형의 끼워맞춤공(42)이 형성되어 있으며, 좌측단부의 개구가 감김 가이드(36) 상에 끼워진다. 조립시, 하우징(41)은 프레임(21)의 제2 받침대(26) 상에 지지된다.전동부(45)는 중공원통체로서 외면에 십자형 날개(46)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십자형 날개(46)는 하우징(41)의 끼워맞춤공(42) 내에 끼워맞춰진 후 조정줄 감김부(31)의 끼워맞춤공(34) 내에 끼워맞춰진다. 또한, 전동부(45)의 내부 일단에는 사각형의 회전축걸림공(48)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회전축걸림공(48)에는 회전축(51)이 끼워맞춰진다. 또한, 전동부(45)의 타단에는 프레임(21)의 관통공(23a) 내에 삽입되는 돌기(47)가 형성되어 있다.이하, 상기 구조의 브라인드 감김장치의 작동관계를 살펴보기로 한다.회전축(51)이 회전되면 전동부(45)가 회전하면서 하우징(41)과 조정줄 감김부(31)는 회전하지만, 감김 가이드(36)는 프레임(21)의 지지턱(25)에 걸려 회전하지 않는다.
도 4는 조정줄 감김부(31)의 우측단부의 플랜지(35)가 감김 가이드(36)의 우측 단부에 맞닿은 상태, 즉, 조정줄(14)이 완전히 풀린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4의 상태의 조정줄 감김부(31)는, 차양막 작동줄을 어느 일방향으로 당겨 회전축(51)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감김 가이드(36)의 조정줄 가이드공(38)을 통해 조정줄 감김부(31)의 조정줄 끼움공(34)에 말단이 고정된 조정줄(14)은 조정줄 감김부(31)의 조정줄 감김홈(32)을 따라 감기게 된다. 조정줄(14)이 계속 감겨 다수개의 브라인드(11)가 모두 프레임(10)에 밀착한 상태에 이르면, 조정줄(14)은 완전히 감긴 상태이므로 차양막 작동줄을 당겨도 조정줄 감김부(31)는 더 이상 우측으로 이동하지 않는다.반대로, 조정줄(14)이 완전히 감긴 상태에서, 차양막 작동줄을 반대방향으로 당기면 회전축(51)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회전축(51)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조정줄 감김부(31)는 좌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조정줄 감김부(31)의 조정줄 감김홈(32)을 따라 감긴 조정줄(14)는 감김 가이드(36)의 조정줄 가이드공(38)을 통해 풀리게 된다. 조정줄(14)이 계속 풀려 다수개의 브라인드(11)가 모두 펼쳐진 상태에 이르면, 조정줄 감김부(31)의 플랜지(35)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김 가이드(36)의 우측단부에 걸려 더 이상 좌측으로 이동하지 않는다.
전술한 본 고안의 브라인드 감김장치에 의하면, 브라인드를 감을 때 조정줄이 조정줄 감김부의 조정줄 감김홈을 따라 감기므로 엉키거나 겹치지 않는다.

Claims (1)

  1. 상부 프레임(10)에 조정줄로 연결된 다수개의 길다란 직사각형 브라인드(11)가 상기 상부 프레임(10)의 일단에 설치된 클러치(1)에 감겨진 차양막 작동줄 및 상기 클러치(1)에 회전축(51)이 연결된 브라인드 감김장치(2)에 의해 펼쳐지고 감겨지는 수평형 중첩식 차양막에 사용되는 브라인드 감김장치(2)에 있어서,
    프레임(21), 조정줄 감김부(31), 감김 가이드(36), 하우징(41), 및 전동부(45)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프레임(21)의 양단에는 상단에 회전축(51)이 관통되는 관통공(22a, 23a)이 형성된 측벽(22, 2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프레임(21)의 중간에는 제1 반원형 받침대(24)와 제2 반원형 받침대(26)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반원형 받침대(24)의 일측에는 지지턱(25)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반원형 받침대(24)와 제2 반원형 받침대(26) 사이에는 상기 브라인드(11)에 연결된 조정줄(14)이 관통하는 조정줄 관통공(27)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조정줄 감김부(31)는 중공원통체로서 그 외주면에 전체적으로 조정줄 감김홈(32)이 나선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우측단부에 십자형의 끼워맞춤공(3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끼워맞춤공(33)이 형성되지 않은 상기 조정줄 감김부(31)의 우측단부에는 상기 조정줄 관통공(27)을 관통한 조정줄(14)이 상기 감김 가이드(36)를 통해 끼워진 후 묶음처리되는 조정줄 끼움공(34)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조정줄 감김부(31)의 우측단부에는 외측으로 플랜지(35)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감김 가이드(36)는 중공원통체로서 그 내주면의 좌측단부 부근에 상기 조정줄 감김부(31)의 조정줄 감김홈(32)이 맞물리는 암나사홈(39)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우측단부 부근에 상기 조정줄 관통공(27)을 관통한 조정줄(14)이 상기 조정줄 끼움공(34)에 끼워지기 전에 통과하는 조정줄 가이드공(38)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감김 가이드(36)의 하부에는 조립시 상기 프레임(21)의 지지턱(25)에 걸려 상기 감김 가이드(36)가 좌우로 고정되게 하는 단차부(37)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41)은 중공원통체로서 그 좌측단부의 개구가 상기 감김 가이드(36) 상에 끼워지며 그 우측단부에 십자형의 끼워맞춤공(4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전동부(45)는 중공원통체로서 그 외면에 상기 하우징(41)의 끼워맞춤공(42)에 끼워맞춰진 후 상기 조정줄 감김부(31)의 끼워맞춤공(34)에 끼워맞춰지는 십자형 날개(46)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전동부(45)의 내부 좌측단부에는 상기 회전축(51)이 끼워맞춰지는 사각형의 회전축걸림공(48)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브라인드 감김장치.
KR2020010037092U 2001-11-30 2001-11-30 브라인드 감김장치 KR2002837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7092U KR200283751Y1 (ko) 2001-11-30 2001-11-30 브라인드 감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7092U KR200283751Y1 (ko) 2001-11-30 2001-11-30 브라인드 감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3751Y1 true KR200283751Y1 (ko) 2002-07-27

Family

ID=73071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7092U KR200283751Y1 (ko) 2001-11-30 2001-11-30 브라인드 감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3751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1520B1 (ko) * 2002-06-24 2005-08-30 (주)빛과창 테크놀로지 전동 브라인드
KR100728938B1 (ko) 2005-05-20 2007-06-14 송명호 블라인드
KR100767794B1 (ko) 2007-06-21 2007-10-17 (주)월드브라인드 우드 브라인드 커튼의 구동장치
KR200452538Y1 (ko) 2010-11-05 2011-03-04 (주)월드브라인드 우드 브라인드 커튼의 구동장치 고정결합구조
KR101060623B1 (ko) * 2008-08-12 2011-08-31 이수형 블라인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1520B1 (ko) * 2002-06-24 2005-08-30 (주)빛과창 테크놀로지 전동 브라인드
KR100728938B1 (ko) 2005-05-20 2007-06-14 송명호 블라인드
KR100767794B1 (ko) 2007-06-21 2007-10-17 (주)월드브라인드 우드 브라인드 커튼의 구동장치
KR101060623B1 (ko) * 2008-08-12 2011-08-31 이수형 블라인드
KR200452538Y1 (ko) 2010-11-05 2011-03-04 (주)월드브라인드 우드 브라인드 커튼의 구동장치 고정결합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29947B1 (ko) 롤러 차양막 클러치 제어
CA2277603A1 (en) A winding and unwinding mechanism for blinds and or shades
US8381793B2 (en) Lift and tilt mechanisms for a venetian blind
AU2006202378A1 (en) Control system for architectural coverings with reversible drive and single operating element
JP4074420B2 (ja) ブラインド
KR200283751Y1 (ko) 브라인드 감김장치
JP3349812B2 (ja) ロールスクリーン装置及びブラインド装置
JP3691331B2 (ja) ブラインド
AU2003201017A1 (en) Electric blind
KR101153992B1 (ko) 롤 블라인드 리밋장치
JPH0631112Y2 (ja) シヤツターカーテン案内構造
KR200383952Y1 (ko) 전동 블라인드의 감김장치
KR102437668B1 (ko) 탑다운 바텀업 블라인드
JPH05141161A (ja) ブラインド操作装置
KR100340730B1 (ko) 비닐하우스용 비닐개폐기
KR200400985Y1 (ko) 수평형 블라인드용 승강 및 각도조절 장치
KR200400984Y1 (ko) 수평형 블라인드용 구동 장치
JPS6041201Y2 (ja) 胃カメラおよび内視鏡に於けるアングル操作ワイヤ−操作機構
KR200296711Y1 (ko) 커튼 이동장치
US20220325576A1 (en) Cord winding assembly with sliding guide member and window blind using the cord winding assembly
KR102661216B1 (ko) 허니콤 블라인드
JP7094006B2 (ja) ブレーキ機構を備えた上げ下げ式スクリーン装置
JP2506475Y2 (ja) パイプシヤツタ―における化粧パイプ保持構造
KR200282411Y1 (ko) 온실 커튼개폐장치의 커튼축 회전제어장치
KR200359293Y1 (ko) 비닐하우스 보온덮개 개폐장치용 로프 권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81208

Effective date: 2009051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090108

Effective date: 20091029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91216

Effective date: 201009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