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2911B1 - 블라인드의 승강조작장치 - Google Patents

블라인드의 승강조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2911B1
KR101152911B1 KR1020090095887A KR20090095887A KR101152911B1 KR 101152911 B1 KR101152911 B1 KR 101152911B1 KR 1020090095887 A KR1020090095887 A KR 1020090095887A KR 20090095887 A KR20090095887 A KR 20090095887A KR 101152911 B1 KR101152911 B1 KR 1011529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shaft
shaft
ribbon
blind
rot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58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38745A (ko
Inventor
김상익
김효정
Original Assignee
김효정
김상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효정, 김상익 filed Critical 김효정
Priority to KR10200900958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2911B1/ko
Publication of KR201100387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87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29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29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8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 E06B9/30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liftable
    • E06B9/32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therefor
    • E06B9/322Details of operating devices, e.g. pulleys, brakes, spring drums, driv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80Safety measures against dropping or unauthorised opening; Braking or immobilising devices; Devices for limiting unro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lind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블라인드용 승강조작장치는, 권취리본이 감겨지며, 리본드럼축을 중심으로 자전되는 리본드럼; 상기 리본드럼의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일측이 상기 리본드럼축에 연결되는 메인샤프트; 상기 메인샤프트의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상기 메인샤프트에 직렬로 연결되어, 회전 방향에 따라 블라인드의 승강와이어를 감거나 푸는 봉체; 상기 메인샤프트가 일측방향으로만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메인샤프트의 회전방향을 한정하거나, 상기 메인샤프트가 양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메인샤프트의 회전방향 한정을 해제하는 원웨이클러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블라인드용 승강조작장치는, 블라인드의 승강권취리본이 풀어지는 방향으로의 봉체 회전 가부(可否)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확실하게 설정되므로 사용자의 의도에 반하여 차광날개가 하강되는 현상이 방지되고, 자중에 의한 차광날개 하강 시 상기 차광날개가 과도하게 빠르게 하강하는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각 부품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블라인드, 승강, 조작, 클러치, 회전, 기어, 브레이크

Description

블라인드의 승강조작장치 {Elevation operating apparatus for blind}
본 발명은 블라인드의 차광날개를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조작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상승된 차광날개가 사용자의 의도에 반하여 하강되는 현상을 보다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블라인드의 승강조작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무실 등에서는 사생활 보호나 채광 난방 등의 목적으로 블라인드를 창문에 설치하고 있다. 블라인드는 커텐과는 달리 다수개의 차광날개가 승강코드와 지지테이프에 각각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 승강코드의 이동에 따라 좌우 또는 상하로 걷혀지거나 펼쳐지게 되며, 지지테이프의 이동에 따라서는 상 하 회전하여 조사되는 빛의 양을 조절하게 된다.
블라인드는 크게 수직형 블라인드와 수평형 블라인드로 구분되는데, 수직형 블라인드는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는 복수개의 슬레이트들이 수직으로 구비되는 구조이고, 수평형 블라인드는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는 복수의 슬레이트들이 수평으로 구비되는 구조이다. 이때, 수직형 블라인드는 창호의 높이에 맞춰 상하 길이 조 절이 불가하므로, 수평형 블라인드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에 제안된 수평형 블라인드(이하 '블라인드'라 약칭함)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수평형 블라인드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수평형 블라인드는 벽체나 천장 또는 창틀 등에 고정하기 위한 브라켓(10)과, 상기 브라켓에 의해 지지되는 설치대(12)와, 수평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상기 설치대(12)의 하부에 장착되는 차광날개(20)와, 상기 차광날개(20)를 설치대(12)측으로 올리거나 상기 설치대(12)로부터 내리기 위한 승강와이어(30)와, 상기 설치대(12) 내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와이어가 감겨지는 봉체(40)와, 상기 봉체(40)의 일단이 결합되고 권취리본(50)이 감겨지도록 구성되어 사용자가 상기 권취리본(50)을 잡아당겼을 때 상기 봉체(40)를 회전시킴으로써 차광날개(20)를 상측으로 끌어 올려 접는 승강조작장치(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봉체(40)는 권취리본(50)이 감겨진 리본드럼(미도시)와 연결되는데, 상기 권취드럼이 일측방향으로 회전될 때에는 상기 봉체(40)가 일체로 회전되며 상기 권취드럼이 타측방향으로 회전될 때에는 상기 봉체(40)는 회전되지 아니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봉체(40)와 리본드럼 간의 연결구조는 통상의 블라인드용 승강조작장치에 공통적으로 적용되고 있는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권취리본(50)을 잡아당겨 리본드럼이 회전될 때에는 봉체(40)가 리본드럼과 함께 회전되어 승강와이어(30)를 감아올리고, 사용자가 권취 리본(50)을 놓아 리본드럼이 복원스프링에 의해 반대방향으로 회전될 때에는 봉체(40)는 회전되지 아니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가 권취리본(50)을 놓았을 때 승강와이어(30)가 풀어지는 방향으로 봉체(40)가 회전되지 아니하도록, 상기 봉체(40)에 장착된 기어의 측면에 밀착될 수 있는 스토퍼가 구비된다. 즉, 스토퍼가 기어의 측면에 밀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승강와이어(30)가 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봉체(40)가 회전되지 아니하고, 상기 스토퍼를 기어로부터 이격시키면 차광날개(20)의 자중에 의해 승강와이어(30)가 풀어지는 방향으로 봉체(40)가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반대로 차광날개(20)를 하강시키고자 할 때에는, 권취리본(50)을 측방향으로 당겨 상기 스토퍼가 봉체(40)에 장착된 기어와 이격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차광날개(20)가 자중에 의해 하강되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블라인드용 승강조작장치는 스토퍼와 기어 간의 접촉 마찰력에 의해 차광날개(20)의 하강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바, 장시간 사용하여 스토퍼와 기어 간의 접촉 마찰력이 감소되거나 차광날개의 자중이 큰 경우에는 사용자의 의도에 관계없이 차광날개가 하강되는 현상이 발생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차광날개(20)가 자중에 의해 하강될 때 너무 빠르게 하강하게 되면 상기 차광날개가 정지하였을 때 발생되는 충격력이 각 부품으로 전달되는바, 각 부품이 쉽게 손상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승강와이어가 풀어지는 방향으로의 봉체 회전 가부(可否)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확실하게 설정됨으로써 사용자의 의도에 반하여 차광날개가 하강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차광날개가 과도하게 빠르게 하강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블라인드용 승강조작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블라인드용 승강조작장치는,
권취리본이 감겨지며, 리본드럼축을 중심으로 자전되는 리본드럼;
상기 리본드럼의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일측이 상기 리본드럼축에 연 결되는 메인샤프트;
상기 메인샤프트의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상기 메인샤프트에 직렬로 연결되어, 회전 방향에 따라 블라인드의 승강와이어를 감거나 푸는 봉체;
상기 메인샤프트가 일측방향으로만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메인샤프트의 회전방향을 한정하거나, 상기 메인샤프트가 양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메인샤프트의 회전방향 한정을 해제하는 원웨이클러치;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리본드럼축과 상기 메인샤프트는, 상기 리본드럼축의 외주면과 상기 메인샤프트 일측의 외주면을 감싸는 코일스프링 형상의 동력전달스프링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동력전달스프링은, 상기 리본드럼축이 일측방향으로 회전될 때에는 상기 리본드럼축 외주면과의 마찰에 의해 내경이 작아지고 상기 리본드럼축이 타측방향으로 회전될 때에는 상기 리본드럼축 외주면과의 마찰에 의해 내경이 커지는 방향으로 감겨진다.
상기 메인샤프트가 관통되도록 장착되는 동력제어기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동력전달스프링은 상기 메인샤프트를 감싸는 측의 끝단이 상기 동력제어기어에 고정결합된다.
상기 권취리본이 상기 리본드럼에 감겨지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권취리본을 당겼을 때 일측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드블록을 더 포함하고,
상기 원웨이클러치는, 일측으로 이동하는 상기 슬라이드블록에 의해 일측으로 밀렸을 때 상기 메인샤프트의 회전방향 한정을 해제하는 조작스위치를 구비하며,
상기 슬라이드블록에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드블록이 일측으로 이동되었을 때 상기 동력제어기어의 이빨 사이로 삽입되는 돌출바를 더 포함한다.
상기 봉체는 봉체브라켓축을 구비하는 봉체브라켓에 일단이 착탈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고,
상기 봉체브라켓축의 일측은 상기 메인샤프트의 타측에 직렬 연결된다.
상기 봉체브라켓축이 관통되도록 결합되는 샤프트기어와,
상기 샤프트기어에 기어결합되는 브레이크기어를 구비하여, 자전 속도가 설정값 이상이 되는 경우 상기 샤프트기어의 회전을 감속시키는 원심브레이크를 더 포함한다.
상기 원심브레이크는,
회전중심축과 삽입핀이 일측면에 돌출 형성되고, 타측면에 상기 브레이크기어가 구비되는 회전판과,
일측이 상기 삽입핀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회전판 회전 시 원심력에 의해 타측이 외측으로 돌출되는 회동블록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원웨이클러치는,
원통형상의 클러치하우징과,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클러치하우징의 내주면에 고정결합되고, 길이방향 중심축 상으로 상기 메인샤프트가 삽입되되 내주면과 상기 메인샤프트의 외주면은 상호 이격되며, 원주방향으로 배열되는 둘 이상의 유격홈이 내주면에 형성되는 내측관과,
상기 메인샤프트 외주면과 내측관 내주면 사이에 삽입되는 둘 이상의 롤베어링과,
이웃하는 롤베어링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롤베어링을 상기 유격홈이 형성된 지점으로 밀거나 유격홈이 형성되지 아니한 지점으로 미는 구동바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블라인드용 승강조작장치는, 블라인드의 승강권취리본이 풀어지는 방향으로의 봉체 회전 가부(可否)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확실하게 설정되므로 사용자의 의도에 반하여 차광날개가 하강되는 현상이 방지되고, 자중에 의한 차광날개 하강 시 상기 차광날개가 과도하게 빠르게 하강하는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각 부품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블라인드용 승강조작장치의 내부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및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블라인드용 승강조작장치에 포함되는 각 부품의 결합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블라인드용 승강조작장치에 포함되는 리본드럼과 메인샤프트의 결합구조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블라인드용 승강조작장치는, 권취리본(110)이 감겨지며 리본드럼축(130)을 중심으로 자전되는 리본드럼(100)과, 상기 리본드럼(100)의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일측이 상기 리본드럼축(130)에 연결되는 메인샤프트(200)와, 상기 메인샤프트(200)의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상기 메인샤프트(200)의 타측에 직렬로 연결되어 회전 방향에 따라 블라인드의 승강와이어를 감거나 푸는 봉체(300)와, 상기 메인샤프트(200)가 어느 한쪽 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하도록 하거나 양쪽 방향으로 모두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원웨이클러치(400)와, 상기 각 부품들이 안착되는 메인하우징(1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원웨이클러치(400)는, 사용자가 권취리본(110)을 잡아 당겨 리본드럼(100) 및 메인샤프트(200)가 일측방향(본 실시예에서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 될 때에는 상기 메인샤프트(200)의 회전을 간섭하지 아니하여, 메인샤프트(200)에 연결된 봉체(300)가 일측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봉체(300)에 권취된 승강와이어(미도시)가 감겨지고, 이에 따라 차광날개(미도시)가 원활하게 상승되도록 한다. 반대로 사용자가 권취리본(110)을 더 이상 잡아 당기지 아니하는 경우 상기 차광날개가 자중에 의해 하강되지 아니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봉체(300)가 타측방향(본 실시예에서는 시계방향) 즉, 승강와이어가 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되지 아니하도록 하여야 하는바, 상기 원웨이클러치(400)는 메인샤프트(200)가 타측방향으로는 회전하지 못하도록 메인샤프트(200)의 회전을 간섭하는 구조로 구성된다. (이하, 승강와이어가 감겨지는 방향은 '일측방향'이라 약칭하고, 승강와이어가 풀어지는 방향은 '타측방향'이라 약칭한다.) 이와 같은 상기 원웨이클러치(400)의 상세한 내부 구성 및 작동 원리에 대해서는 이하 도 8 및 도 10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종래의 블라인드용 승강조작장치의 경우에는 승강와이어가 풀어지는 방향으로의 봉체(300) 회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봉체(300)에 장착된 기어의 측면에 밀착될 수 있는 스토퍼를 이용하였으나, 차광날개의 하중이 크거나 상기 차광날개에 하향 외력이 인가되는 경우 스토퍼와 기어 간의 마찰력만으로는 봉체(300)의 회전을 방지할 수 없는바, 차광날개가 사용자의 의사에 반하여 하강되는 현상이 종종 발생되어 왔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한 블라인드용 승강조작장치는, 봉체(300)와 연결된 메인샤프트(200)의 회전방향을 한정하는 별도의 원웨이클러치(400)를 이용하는바, 승강와이어가 풀어지는 방향으로 봉체(300)가 회전되는 현상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차광날개가 사용자의 의사에 반하여 하강되는 현상이 발생되지 아니하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블라인드용 승강조작장치에는, 사용자가 권취리본(110)을 잡아 당겼다가 놓았을 때 상기 권취리본(110)이 리본드럼(100)에 다시 감기도록, 리본드럼(100)을 타측방향으로 회전시켜 원상태로 복귀시키는 리턴스프링(120)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리본드럼(100)이 타측방향으로 회전될 때 메인샤프트(200)까지 타측방향으로 회전되면 메인샤프트(200)에 결합된 봉체(300) 역시 타측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승강와이어가 다시 풀어지게 되는바, 상기 리본드럼(100)이 일측방향으로 회전될 때에는 리본드럼(100)의 회전력이 메인샤프트(200)로 인가되고(즉, 리본드럼(100)과 메인샤프트(200)가 일체로 회전되고), 리본드럼(100)이 타측방향으로 회전될 때에는 리본드럼(100)의 회전력이 메인샤프트(200)로 인가되지 아니하도록(즉, 리본드럼(100)만이 회전되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은 동력전달이 가능해지도록 상기 리본드럼축(130)과 상기 메인샤프트(200)는, 상기 리본드럼축(130)의 외주면과 상기 메인샤프트(200) 일측의 외주면을 감싸는 코일스프링 형상의 동력전달스프링(500)에 의해 연결되되, 상기 동력전달스프링(500)은 상기 리본드럼축(130)이 일측방향으로 회전될 때에는 상기 리본드럼축(130) 외주면과의 마찰에 의해 내경이 작아지고 상기 리본드럼축(130)이 타측방향으로 회전될 때에는 상기 리본드럼축(130) 외주면과의 마찰에 의해 내경이 커지는 방향으로 감겨지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리본드럼(100)이 일측방향으로 회전될 때 동력전달스프링(500) 중 리본드럼(100)을 감싸는 부위는 상기 리본드럼(100)을 둘러싸는 방향으로 마찰력을 받게 되어 내경이 감소하게 되고, 이에 따라 동력전달스프링(500)은 리본드럼(100) 외주면과 메인샤프트(200) 외주면에 더욱 압착되는바, 상기 리본드럼(100)과 메인샤프트(200)는 일체로 회전하게 된다. 반대로 리본드럼(100)이 타측방향으로 회전될 때 동력전달스프링(500) 중 리본드럼(100)을 감싸는 부위는 풀어지는 방향으로 마찰력을 받게 되어 내경이 증가하게 되고, 이에 따라 동력전달스프링(500)은 리본드럼(100) 외주면과 메인샤프트(200) 외주면에 압착되지 아니하게 되는바, 상기 리본드럼(100)의 회전력은 메인샤프트(200)로 전달되지 아니하고 상기 리본드럼(100)만이 독립적으로 회전하게 된다.
한편, 메인샤프트(200) 길이방향으로의 동력전달스프링(500) 위치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메인샤프트(200)가 관통되도록 장착되는 동력제어기어(210)가 추가로 구비되고, 상기 동력전달스프링(500)은 상기 메인샤프트(200)를 감싸는 측의 끝단이 상기 동력제어기어(210)에 삽입되어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블라인드용 승강조작장치에 포함되는 원웨이클러치(400) 조작구조를 도시하는 확대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포함되는 원웨이클러치(400)는 항상 메인샤프트(200)가 일측방향으로만 회전될 수 있도록 메인샤프트(200)의 회전방향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메인샤프트(200)의 회전방향 제한을 해제할 수 있도록 구 성된다. 즉, 상기 원웨이클러치(400)에는 사용자가 메인샤프트(200)의 회전방향 제한 및 제한해제를 선택적으로 할 수 있도록 조작스위치(41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조작스위치(410)는, 사용자가 권취리본(110)을 측방향으로 잡아당기는 힘에 의해 조작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본 발명에 의한 블라인드용 승강조작장치는, 권취리본(110)이 관통되는 관통구(610)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권취리본(110)을 측방향으로 당겼을 때 사용자가 힘을 가하는 방향과 직각을 이루는 방향을 중심축으로 하여 회동되는 레버(600)와, 상기 레버(600)의 끝단에 구비된 슬라이드핀(620)이 슬라이딩 가능한 구조로 삽입되는 링크슬롯(720)이 형성되어 레버(600) 회동 시 링크회전축(710)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회전링크(700)와, 상기 회전링크(700)로부터 돌출 연장되는 슬라이드돌기(730)가 삽입되는 블록슬롯(810)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링크(700) 회동 시 상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조작스위치(410)를 가압하는 슬라이드블록(8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상태와 같이 조작스위치(410)가 하측에 위치된 평소 상태에서는 메인샤프트(200)가 일측방향으로만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원웨이클러치(400)가 메인샤프트(200)의 회전방향을 한정하고, 도 6에 도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권취리본(110)을 우측으로 잡아당겨 조작스위치(410)가 상향으로 이동된 상태에서는 메인샤프트(200)가 어느 방향으로도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원웨이클러치(400)가 메인샤프트(200)의 회전방향을 한정하지 아니하게 된다.
반대로, 사용자가 권취리본(110)은 좌측으로 당겨 레버(600)를 원위치시키게 되면, 회전링크(700)와 슬라이드블록(800) 역시 원위치되고, 상기 조작스위치(410)는 별도의 복원스프링(미도시)의 탄성력에 의해 도 6에 도시된 상태로 복귀된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권취리본(110)을 측방으로 잡아당기는 힘이 조작스위치(410)를 상향으로 밀어 올리는 힘으로 변환될 수 있도록 레버(600)와 회전링크(700)와 슬라이드블록(800)이 사용되고 있으나, 사용자가 권취리본(110)을 측방으로 잡아당기는 힘에 의해 상기 조작스위치(410)가 조작될 수 있다면 사용자의 힘을 전달하는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결합구조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블라인드용 승강조작장치는, 사용자가 권취리본(110)을 우측으로 어느 정도 잡아당기면 슬라이드블록(800)이 최대한 상승되고 사용자가 권취리본(110)을 좌측으로 어느 정도 잡아당기면 슬라이드블록(800)이 최대한 하강되도록, 상기 회전링크(700)의 회전각도에 따라 상기 회전링크(700)에 서로 다른 방향으로 탄성력을 인가하는 링크제어스프링(740)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원웨이클러치(400)는 조작스위치(410)의 위치가 명확하게 2개의 위치로 한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링크제어스프링(740)은 종래의 블라인드용 승강조작장치에서도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적용되고 있는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원웨이클러치(400)가 메인샤프트(200)의 회전방향 한정을 하지 아니하도록 설정된 상태(이하 '오프상태'라 약칭한다)에서는 차광날개가 자중에 의해 하강됨에 따라 타측방향 즉, 승강와이어가 풀리는 방향으로 봉체(300) 및 메인샤프트(200)가 회전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경우 동력전달스프링(500)은 메인샤프 트(200)와의 접촉에 의해 내경이 작아져 메인샤프트(200) 및 리본드럼축(130)의 외주면에 압착된다. (참고로, 동력전달스프링(500)은 리본드럼축(130)에 감기는 방향과 메인샤프트(100)에 감기는 방향이 상호 반대이므로, 리본드럼축(130)은 승강와이어가 감기는 방향으로 회전될 때 동력전달스프링(500)의 내경이 작아지도록 접촉력을 발생시키고, 메인샤프트(200)는 승강와이어가 풀리는 방향으로 회전될 때 동력전달스프링(500)의 내경이 작아지도록 접촉력을 발생시킨다.) 이와 같이 동력전달스프링(500)이 메인샤프트(200) 및 리본드럼축(130)의 외주면에 압착되면, 메인샤프트(200)의 회전력이 리본드럼축(130)으로 전달되므로 권취리본(110)이 모두 리본드럼(100)에 감기는 결과가 발생된다.
따라서 원웨이클러치(400)가 오프상태인 경우 차광날개의 자중에 의해 승강와이어가 풀어지더라도 리본드럼(100)은 메인샤프트(200)와 회전되지 아니하도록, 상기 슬라이드블록(800)이 조작스위치(410)를 가압하도록 이동되었을 때 상기 동력제어기어(210)의 이빨 사이로 삽입되는 돌출바(820)가 상기 슬라이드블록(800)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메인샤프트(200)와 동력제어기어(210)는 일체로 고정 결합되는 것이 아니라 각각 독립적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즉, 상기 메인샤프트(200)가 단순히 동력제어기어(210)를 관통하는 구조로 장착되어 있으므로,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블록(800)에 구비된 돌출바(820)가 동력제어기어(210)의 이빨 사이로 삽입되면 메인샤프트(200)가 회전되더라도 동력제어기어(210)는 회전되지 아니하게 된다. 이와 같이 동력제어기어(210)가 회전되지 아니하게 되면 끝단이 동력제어기 어(210)에 삽입된 동력전달스프링(500) 역시 회전되지 아니하게 되며, 동력전달스프링(500)이 회전되지 아니하면 메인샤프트(200) 회전 시 메인샤프트(200)와의 접촉에 의해 동력전달스프링(500)의 내경이 작아지는 현상이 발생되지 아니하게 된다. 동력전달스프링(500)의 내경이 작아지지 아니하게 되면 동력전달스프링(500)이 메인샤프트(200)의 외주면에 압착되지 아니하게 되므로, 동력전달스프링(500) 및 리본드럼(100)은 회전되지 아니하면서 메인샤프트(200)만이 회전된다.
한편 슬라이드블록(800)은, 원웨이클러치(400)가 오프되도록 조작스위치(410)를 가압하는 동작을 할 때 일측에 구비된 돌출부(820)가 동력제어기어(210)의 이빨 사이로 삽입되는바, 원웨이 클러치(400)의 오프와 동력제어기어(210)의 고정을 동시에 수행하게 된다. 즉, 자중에 의한 차광날개의 하강이 가능해질 때에는 메인샤프트(200)의 회전력이 리본드럼(100)으로 전달되지 아니하게 되는바, 승강와이어가 풀어질 때 권취리본(110)은 감겨지지 아니하게 되는 것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블라인드용 승강조작장치에 포함되는 원심브레이크(900)의 분해사시도 및 정면도이다.
상기 봉체(300)는 봉체브라켓축(320)을 구비하는 봉체브라켓(310)에 착탈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고, 상기 봉체브라켓축(320)의 일측은 봉체브라켓축(320)과 메인샤프트(200)의 외주면을 압착하도록 감겨지는 체결스프링(510)에 의해 상기 메인샤프트(200)의 타측에 직렬 연결된다. 차광날개의 중량은 1차적으로 봉체(300)에 인가되는바 상기 봉체(300)가 파손되는 현상이 빈번히 발생되는데, 이와 같이 상기 봉체(300)가 착탈 가능한 구조로 봉체브라켓(310)에 결합되면 봉체(300) 파손 시 봉체(300)만을 교체할 수 있으므로 유지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때 본 발명에 의한 블라인드용 승강조작장치는 승강와이어가 과도하게 빠르게 풀리는 현상 즉, 봉체(300)가 과도하게 빠르게 회전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메인샤프트(200)의 회전속도를 감소시키는 원심브레이크(900)가 구비된다는 점에 또 다른 특징이 있다.
즉, 상기 봉체브라켓축(320)이 관통되도록 결합되는 샤프트기어(330)와, 상기 샤프트기어(330)에 기어결합되는 브레이크기어(910)를 구비하여 샤프트기어(330)회전 시 자전을 하되 자전 속도가 설정값 이상이 되는 경우 메인하우징(10)에 압착되어 상기 샤프트기어(330)를 감속시키고, 샤프트기어(330)에 결합된 메인샤프트(200)를 감속시키는 원심브레이크(900)를 추가로 구비한다.
상기 원심브레이크(900)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중심축(930)과 삽입핀(940)이 일측면에 돌출 형성되고, 타측면에 상기 브레이크기어(910)가 구비되는 회전판(920)과, 일측이 상기 삽입핀(940)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회전판(920) 회전 시 원심력에 의해 타측이 외측으로 돌출되는 회동블록(9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브레이크기어(910)가 결합된 삽입판의 회전 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회동블록(950)이 메인하우징(10)에 강하게 압착되는바(도 8의 점선표시 참조), 원심브레이크(900) 전체의 회전속도가 감소하게 되고, 브레이크기어(910)에 기어결합된 샤프트기어(330)의 회전속도 역시 감소하게 되는바, 결과적으로 봉체브라켓(310) 및 봉체(300)의 회전속도 역시 감소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회전중심축(930)을 중심으로 2개의 삽입핀(940)이 마주보도록 형성되고, 각각의 삽입핀(940)에 회동블록(950)이 하나씩 장착되는 경우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상기 삽입핀(940) 및 이에 장착되는 회동블록(950)의 개수는 각종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가감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블라인드용 승강조작장치에 포함되는 원웨이클러치의 내부구조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블라인드용 승강조작장치에 포함되는 원웨이클러치(400)의 동작을 순차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포함되는 원웨이클러치(400)는 조작스위치(410) 조작에 의해 메인샤프트(200)의 회전방향을 한정하거나 한정해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상기 원웨이클러치(400)는 상기 언급한 동작이 가능하도록, 원통형상의 클러치하우징(420)과,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클러치하우징(420)의 내주면에 고정결합되는 내측관(430)과, 상기 내측관(430) 내주면에 장착되는 둘 이상의 롤베어링(440)과, 이웃하는 롤베어링(440) 사이에 삽입되는 구동바(4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내측관(430) 내부 중 상기 내측관(430)의 길이방향 중심축 상으로 메인샤프트(200)가 삽입되되, 내측관(430)의 내주면과 메인샤프트(200)의 외주면은 상호 이격되도록 배열된다. 이때, 내측관(430)의 내주면에는 원주방향으로 배열되는 둘 이상의 유격홈(432)이 형성되고, 상기 롤베어링(440)은 상기 메인샤프트(200) 외주면과 내측관(430) 내주면 사이에 삽입된다. 또한 상기 구동바(412)는 조작스위치(410)와 일체로 결합되어, 조작스위치(410) 이동 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롤베어링(440)을 상기 유격홈(432)이 형성된 지점으로 밀고, 상기 조작스위치(410)가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상태로 위치되었을 때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격홈(432)이 형성되지 아니한 지점으로 밀도록 구성된다.
즉, 도 10에 도시된 상태에서는 롤베어링(440)이 유격홈(432)이 형성된 측을 향해 메인샤프트(200)의 외주면을 타고 구를 수 있으나(메인샤프트(200)를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공전할 수 있으나), 유격홈(432)이 형성된 반대측을 향해 메인샤프트(200)의 외주면을 타고 구를 수 없으므로(메인샤프트(200)를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공정할 수 없으므로), 상기 메인샤프트(200)는 시계방향으로만 회전이 가능하고 반시계방향으로는 회전이 불가하게 된다.
그러나 조작스위치(410) 조작에 의해 구동바(412)가 각각의 롤베어링(440)을 유격홈(432)이 형성된 지점으로 밀게되면(도 11 참조), 상기 롤베어링(440)은 메인샤프트(200)를 중심으로 어느 방향으로든 약간씩 공전할 수 있으므로, 상기 메인샤프트(200)는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 어느 방향으로도 회전을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권취리본(110)의 인출방향을 가이드하는 레버(600)를 측방향으로 밀었을 때 슬라이드블록(800)이 상향으로 올라가게 되고 이에 따라 조작스위치(410)가 조작되는 구조만을 설명하고 있으나, 상기 조작스위치(410)는 상 기 레버(600)를 움직이는 힘에 의해 조작되지 아니하고 별도의 조작레버(미도시)에 의해 조작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블라인드용 승강장치는 슬라이드블록(800)을 직접 승강시키는 별도의 조작레버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블라인드용 승강장치가 복수 개의 수평 차광날개를 구비하는 수평형 블라인드에 적용되는 경우만을 설명하고 있으나, 차광 직물을 감아올리거나 풀어내리는 로만쉐이드 등 차광부재를 상하로 움직이는 모든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수평형 블라인드의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블라인드용 승강조작장치의 내부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블라인드용 승강조작장치에 포함되는 각 부품의 결합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블라인드용 승강조작장치에 포함되는 리본드럼과 메인샤프트의 결합구조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블라인드용 승강조작장치에 포함되는 원웨이클러치 조작구조를 도시하는 확대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블라인드용 승강조작장치에 포함되는 원심브레이크의 분해사시도 및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블라인드용 승강조작장치에 포함되는 원웨이클러치의 내부구조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블라인드용 승강조작장치에 포함되는 원웨이클러치의 동작을 순차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리본드럼 110 : 권취리본
120 : 리턴스프링 200 : 메인샤프트
210 : 동력제어기어 300 : 봉체
310 : 봉체브라켓 320 : 봉체브라켓축
400 : 원웨이클러치 410 : 조작스위치
420 : 클러치하우징 430 : 내측관
440 : 롤베어링 500 : 동력전달스프링
600 : 레버 610 : 관통구
700 : 회전링크 710 : 링크회전축
720 : 링크슬롯 730 : 슬라이드돌기
800 : 슬라이드블록 810 : 블록슬롯
900 : 원심브레이크 910 : 브레이크기어
920 : 회전판 930 : 회전중심축
940 : 삽입핀 950 : 회동블록

Claims (11)

  1. 삭제
  2. 권취리본(110)이 감겨지며, 리본드럼축(130)을 중심으로 자전되는 리본드럼(100);
    상기 리본드럼(100)의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일측이 상기 리본드럼축(130)에 연결되는 메인샤프트(200);
    상기 메인샤프트(200)의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상기 메인샤프트(200)에 직렬로 연결되어, 회전 방향에 따라 블라인드의 승강와이어를 감거나 푸는 봉체(300); 및
    상기 메인샤프트(200)가 일측방향으로만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메인샤프트(200)의 회전방향을 한정하거나, 상기 메인샤프트(200)가 양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메인샤프트(200)의 회전방향 한정을 해제하는 원웨이클러치(400);를 포함하고,
    상기 리본드럼축(130)과 상기 메인샤프트(200)는, 상기 리본드럼축(130)의 외주면과 상기 메인샤프트(200) 일측의 외주면을 감싸는 코일스프링 형상의 동력전달스프링(500)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동력전달스프링(500)은, 상기 리본드럼축(130)이 일측방향으로 회전될 때에는 상기 리본드럼축(130) 외주면과의 마찰에 의해 내경이 작아지고 상기 리본드럼축(130)이 타측방향으로 회전될 때에는 상기 리본드럼축(130) 외주면과의 마찰에 의해 내경이 커지는 방향으로 감겨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용 승강조작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샤프트(200)가 관통되도록 장착되는 동력제어기어(21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동력전달스프링(500)은 상기 메인샤프트(200)를 감싸는 측의 끝단이 상기 동력제어기어(210)에 고정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용 승강조작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원웨이클러치(400)는 상기 메인샤프트(200)의 회전방향 한정을 해제하는 조작스위치(410)를 구비하며,
    사용자의 의해 일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원웨이클러치(400)가 상기 메인샤프트(200)의 회전방향 한정을 해제하도록 상기 조작스위치(410)를 가압하고, 상기 조작스위치(410)를 가압할 때 상기 동력제어기어(210)의 이빨 사이로 삽입되는 돌출바(820)를 구비하는 슬라이드블록(8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용 승강조작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블록(800)은, 상기 권취리본(110)이 상기 리본드럼(100)에 감겨지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사용자가 상기 권취리본(110)을 당기는 힘에 의해 일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용 승강조작장치.
  6. 리본드럼축(130)을 중심으로 자전되는 리본드럼(100);
    상기 리본드럼축(130)과 일렬로 배열되는 메인샤프트(200);
    코일 스프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양측이 상기 리본드럼축(130)의 외주면과 상기 메인샤프트(200) 일측의 외주면을 각각 감싸 연결하되, 상기 리본드럼축(130)이 일측방향으로 회전될 때에는 상기 리본드럼축(130) 외주면과의 마찰에 의해 내경이 작아지고 상기 리본드럼축(130)이 타측방향으로 회전될 때에는 상기 리본드럼축(130) 외주면과의 마찰에 의해 내경이 커지는 방향으로 감겨지는 동력전달스프링(500);
    상기 메인샤프트(200)의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상기 메인샤프트(200)에 직렬로 연결되어, 회전 방향에 따라 블라인드의 승강와이어를 감거나 푸는 봉 체(300);
    상기 메인샤프트(200)가 일측방향으로만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메인샤프트(200)의 회전방향을 한정하되, 일측에 구비된 조작스위치(410)가 가압되면 상기 메인샤프트(200)가 양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메인샤프트(200)의 회전방향 한정을 해제하는 원웨이클러치(400);
    사용자의 의해 일측으로 이동되었을 때, 상기 원웨이클러치(400)가 상기 메인샤프트(200)의 회전방향 한정을 해제하도록 상기 조작스위치(410)를 가압하고, 상기 동력전달스프링(500)이 회전되지 아니하도록 상기 동력전달스프링(500)을 고정시키는 슬라이드블록(800);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용 승강조작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샤프트(200)가 관통되도록 삽입되는 동력제어기어(21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동력전달스프링(500)은 상기 메인샤프트(200)를 감싸는 측의 끝단이 상기 동력제어기어(210)에 고정결합되며,
    상기 슬라이드블록(800)은, 상기 조작스위치(410)를 가압하도록 이동되었을 때 상기 동력제어기어(210)의 이빨 사이로 삽입되는 돌출바(82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용 승강조작장치.
  8. 제2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봉체(300)는 봉체브라켓축(320)을 구비하는 봉체브라켓(310)에 일단이 착탈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고,
    상기 봉체브라켓축(320)의 일측은 상기 메인샤프트(200)의 타측에 직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용 승강조작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봉체브라켓축(320)이 관통되도록 결합되는 샤프트기어(330)와,
    상기 샤프트기어(330)에 기어결합되는 브레이크기어(910)를 구비하여, 자전 속도가 설정값 이상이 되는 경우 상기 샤프트기어(330)의 회전을 감속시키는 원심브레이크(9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용 승강조작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원심브레이크(900)는,
    회전중심축(930)과 삽입핀(940)이 일측면에 돌출 형성되고, 타측면에 상기 브레이크기어(910)가 구비되는 회전판(920)과,
    일측이 상기 삽입핀(940)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회전판(920) 회전 시 원심력에 의해 타측이 외측으로 돌출되는 회동블록(95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용 승강조작장치.
  11. 제2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원웨이클러치(400)는,
    원통형상의 클러치하우징(420)과,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클러치하우징(420)의 내주면에 고정결합되고, 길이방향 중심축 상으로 상기 메인샤프트(200)가 삽입되되 내주면과 상기 메인샤프트(200)의 외주면은 상호 이격되며, 원주방향으로 배열되는 둘 이상의 유격홈(432)이 내주면에 형성되는 내측관(430)과,
    상기 메인샤프트(200) 외주면과 내측관(430) 내주면 사이에 삽입되는 둘 이상의 롤베어링(440)과,
    이웃하는 롤베어링(440)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롤베어링(440)을 상기 유격홈(432)이 형성된 지점으로 밀거나 유격홈(432)이 형성되지 아니한 지점으로 미는 구동바(41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용 승강조작장치.
KR1020090095887A 2009-10-09 2009-10-09 블라인드의 승강조작장치 KR1011529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5887A KR101152911B1 (ko) 2009-10-09 2009-10-09 블라인드의 승강조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5887A KR101152911B1 (ko) 2009-10-09 2009-10-09 블라인드의 승강조작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8745A KR20110038745A (ko) 2011-04-15
KR101152911B1 true KR101152911B1 (ko) 2012-06-05

Family

ID=44045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5887A KR101152911B1 (ko) 2009-10-09 2009-10-09 블라인드의 승강조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29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2999B1 (ko) 2013-05-02 2014-07-28 김정민 어린이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자유낙하식 슬림형 롤 블라인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1798B1 (ko) * 2011-08-19 2013-09-10 김정민 단일 안전코드를 갖는 롤 블라인드
KR101289584B1 (ko) 2011-11-22 2013-07-24 김정민 무소음 양방향 클러치를 갖는 롤 블라인드
WO2014112837A1 (ko) * 2013-01-18 2014-07-24 (주)테라솔라 구동휠 부재의 복귀 기능을 갖는 차양구동장치
JP6815144B2 (ja) * 2016-05-19 2021-01-20 立川ブラインド工業株式会社 制動装置及び遮蔽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41091B2 (en) 2003-12-09 2008-03-11 Nien Made Enterprise Co., Ltd. Control device for Venetian blinds and its control method
JP2009121232A (ja) 2007-11-14 2009-06-04 Hunter Douglas Inc 建築物の開口部の覆いの昇降機構を制御するための制御ユニッ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41091B2 (en) 2003-12-09 2008-03-11 Nien Made Enterprise Co., Ltd. Control device for Venetian blinds and its control method
JP2009121232A (ja) 2007-11-14 2009-06-04 Hunter Douglas Inc 建築物の開口部の覆いの昇降機構を制御するための制御ユニッ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2999B1 (ko) 2013-05-02 2014-07-28 김정민 어린이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자유낙하식 슬림형 롤 블라인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8745A (ko) 2011-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09146B (zh) A shielding device and a clutch for a shielding device
KR101182509B1 (ko) 블라인드
KR101152911B1 (ko) 블라인드의 승강조작장치
JP5548013B2 (ja) ブラインド
JP5209052B2 (ja) 自動上昇式の窓覆い
KR200476345Y1 (ko) 커튼용 싱글 당김 로프 구동 장치
KR20170105568A (ko) 윈도우 쉐이드 및 그 제어 시스템
JP2008002193A (ja) 日射遮蔽装置の操作コードの安全機構
JP4704772B2 (ja) ブラインド
JP6077514B2 (ja) 遮蔽装置
JP2011094458A (ja) 遮蔽装置
JP5650832B2 (ja) 遮蔽装置
JP6666125B2 (ja) ツインタイプの日射遮蔽装置
JP5376708B2 (ja) 日射遮蔽装置の操作装置
JPS6357595B2 (ko)
JP5214640B2 (ja) 日射遮蔽材昇降装置
KR20180066644A (ko) 롤스크린 블라인드 승강 장치
EP2695550A1 (en) Solar radiation shield device and device for operating same
JP7328867B2 (ja) 遮蔽装置
JP6151486B2 (ja) 横型ブラインド
JP2017198021A (ja) ブラインド
JP3252069B2 (ja) ブラインドの昇降装置
JP6313486B2 (ja) 遮蔽装置
KR101422999B1 (ko) 어린이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자유낙하식 슬림형 롤 블라인드
JP4516812B2 (ja) 横型ブラインドのスラット駆動装置及び日射遮蔽装置の遮蔽材昇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