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5745B1 - 웨어러블 장치 - Google Patents

웨어러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5745B1
KR101735745B1 KR1020150071970A KR20150071970A KR101735745B1 KR 101735745 B1 KR101735745 B1 KR 101735745B1 KR 1020150071970 A KR1020150071970 A KR 1020150071970A KR 20150071970 A KR20150071970 A KR 20150071970A KR 101735745 B1 KR101735745 B1 KR 1017357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ctile
magnetic field
information
shape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19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87323A (ko
Inventor
도승훈
김형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케이머티리얼즈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케이머티리얼즈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케이머티리얼즈랩
Priority to EP20179794.1A priority Critical patent/EP3731069A1/en
Priority to EP15878131.0A priority patent/EP3246787B1/en
Priority to US15/543,330 priority patent/US10204494B2/en
Priority to CN202010736882.3A priority patent/CN112000222A/zh
Priority to CN201580072733.9A priority patent/CN107111343A/zh
Priority to PCT/KR2015/012680 priority patent/WO2016114487A1/ko
Publication of KR201600873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73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57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5745B1/ko
Priority to US16/229,270 priority patent/US20190241199A1/en
Priority to US17/901,176 priority patent/US11760375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50/16Tactile feedback to the driver, e.g. vibration or force feedback to the driver on the steering wheel or the accelerator ped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0007Bracelets specially adapted for other functions or with means for attaching other articles
    • A44C5/0015Bracelets specially adapted for other functions or with means for attaching other articles providing information, e.g. bracelets with calend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Arrangement of adaptations of instruments
    • B60K35/25
    • B60K35/2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r 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s for ensuring comfort, stability and safety or drive control systems for propelling or retarding the vehicle
    • B60W30/10Path keeping
    • B60W30/12Lane keep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265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constructional aspects of navigation devices, e.g. housings, mountings, display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26Details of the output of route guidance instructions
    • G01C21/3652Guidance using non-audiovisual output, e.g. tactile, haptic or electric stimuli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26Details of the output of route guidance instructions
    • G01C21/3661Guidance output on an external device, e.g. car radio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6/00Tacti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6Anti-collision systems
    • G08G1/167Driving aids for lane monitoring, lane changing, e.g. blind spot de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04M19/0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 B60K2360/16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720/00Output or target parameters relating to overall vehicle dynamics
    • B60W2720/24Direction of trave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0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44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magnetic liquids, e.g. ferrofluids
    • H01F1/447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magnetic liquids, e.g. ferrofluids characterised by magnetoviscosity, e.g. magnetorheological, magnetothixotropic, magnetodilatant liquids

Abstract

본 발명은 웨어러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착용되며, 사용자에게 촉각 정보를 제공하는 웨어러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웨어러블 장치는 정보를 제공하는 스마트 코어가 탈착 또는 부착 가능한 코어 결합부, 상기 코어 결합부와 연결되며, 사용자에게 촉각 정보를 제공하는 촉각 모듈부 및 상기 촉각 모듈부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체결 가능하도록 구비된 체결부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사용자가 대화 중이거나 시선을 돌리기 힘든 경우에도 목적지까지의 남은 거리, 방향전환 시점, 주차된 차량 또는 실·내외 매장/제품까지의 길 안내 정보 등 네비게이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
본 발명은 웨어러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착용되며, 사용자에게 촉각 정보를 제공하는 웨어러블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 들어, 전자 장치는 동일하거나 좀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면서 점차 소형화되고 슬림화되어 휴대하기 용이한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소형 전자 장치들은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주머니 등에 수납되어 휴대하기도 하지만, 손목에 착용하거나, 인체의 두부(head portion) 또는 팔에 착용하기도 한다.
인체 또는 각종 구조물에 착용 가능한(wearable) 장치는 대체적으로 전자 장치 본연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본체와, 본체에서 일정 길이로 인출되도록 배치되어 인체 또는 구조물에 고정시키기 위한 착용부(strap)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웨어러블 장치들은 단독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타 전자 장치에 종속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전자 장치에 종속되어 사용하는 경우, 근거리 통신 모듈에 의한 통신 방식이 채택될 수 있으며,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사용으로 인하여 타 전자 장치의 번거롭고 빈번한 사용을 절제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사용은 점점 확대되어가고 있는 추세이다.
한편,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15-0026387호(2015.03.11) 및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036809호(2015.04.07)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용자 신체 일부에 착용되어, 사용자에게 진동, 스침, 조임, 때림, 누름, 두드림, 또는 기울어짐 등 다양한 촉감 정보를 전달하는 웨어러블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사용자에게 촉감을 통해 방향성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대화 중이거나 시선을 돌리기 힘든 경우에도 목적지까지의 남은 거리, 방향전환 시점, 주차된 차량 또는 실·내외 매장/제품까지의 길 안내 정보 등 네비게이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웨어러블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IT 분야에서 모바일 기기 및 터치스크린 기기, 콘솔 게임기 등에서 실시간 촉각 전달에 적용될 수 있고, 자동차 산업에서 차선이탈 경고 시스템, 전면 추돌 방지 시스템, 과속방지 시스템 등 운전 보조 정보 피드백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으며, 의료 분야에서도 맥진기, 사람 이의 압력 분포 측정, 수술용 로봇 등에 촉각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웨어러블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는 정보를 제공하는 스마트 코어가 탈착 또는 부착 가능한 코어 결합부, 상기 코어 결합부와 연결되며, 사용자에게 촉각 정보를 제공하는 촉각 모듈부 및 상기 촉각 모듈부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체결 가능하도록 구비된 체결부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른, 상기 촉각 모듈부는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밀착되는 밴드부 및 상기 밴드부에 구비되는 복수의 촉감부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사용자에게 진동, 스침, 조임, 때림, 누름, 두드림, 또는 기울어짐 등 다양한 촉감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에게 촉감을 통해 방향성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대화 중이거나 시선을 돌리기 힘든 경우에도 목적지까지의 남은 거리, 방향전환 시점, 주차된 차량 또는 실·내외 매장/제품까지의 길 안내 정보 등 네비게이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IT 분야에서 모바일 기기 및 터치스크린 기기, 콘솔 게임기 등에서 실시간 촉각 전달에 적용될 수 있고, 자동차 산업에서 차선이탈 경고 시스템, 전면 추돌 방지 시스템, 과속방지 시스템 등 운전 보조 정보 피드백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으며, 의료 분야에서도 맥진기, 사람 이의 압력 분포 측정, 수술용 로봇 등에 촉각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용자에게 진동, 스침, 조임, 때림, 누름, 두드림, 또는 기울어짐 등 다양한 촉감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에게 촉감을 통해 방향성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대화 중이거나 시선을 돌리기 힘든 경우에도 목적지까지의 남은 거리, 방향전환 시점, 주차된 차량 또는 실·내외 매장/제품까지의 길 안내 정보 등 네비게이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IT 분야에서 모바일 기기 및 터치스크린 기기, 콘솔 게임기 등에서 실시간 촉각 전달에 적용될 수 있고, 자동차 산업에서 차선이탈 경고 시스템, 전면 추돌 방지 시스템, 과속방지 시스템 등 운전 보조 정보 피드백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으며, 의료 분야에서도 맥진기, 사람 이의 압력 분포 측정, 수술용 로봇 등에 촉각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3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의 촉각 모듈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촉각 전달부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5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촉각 전달부의 형상 변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촉감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7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촉감부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촉감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9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촉감부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10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촉감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촉감부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12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의 구동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13은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를 적용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적용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은 특허 청구 가능한 본 발명의 여러 태양(aspects) 중 하나이며, 하기의 기술(description)은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기술(detailed description)의 일부를 이룬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3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의 촉각 모듈부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촉각 전달부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5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촉각 전달부의 형상 변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1 내지 도5를 참고하면, 웨어러블 장치(10)는 정보를 제공하는 스마트 코어(20)가 탈착 또는 부착 가능한 코어 결합부(100), 상기 코어 결합부(100)와 연결되며, 사용자에게 촉각 정보를 제공하는 촉각 모듈부(200) 및 상기 촉각 모듈부(200)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체결 가능하도록 구비된 체결부(300)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웨어러블 장치(10)는 사용자의 신체 중 일부, 즉, 손목, 발목 또는 목 등에 착용되며, 사용자에게 직간접적으로 촉각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스마트 코어(20)와 연결되어, 스마트 코어(20)에서 제공하는 신호 정보 또는 위치 정보를 촉각 정보 변환하여 사용자에게 촉각을 통해 방향성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코어 결합부(100)의 일 실시예로, 코어 결합부(100)는 상기 스마트 코어(20)와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결합부, 상기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부(120) 및 상기 스마트 코어(20) 또는 상기 통신부(120)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촉각 신호로 변환하는 제어부(130)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촉각 모듈부(200)에 상기 촉각 신호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코어 결합부(100)와 상기 촉각 모듈부(200)는 서로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으며, 상기 코어 결합부(100)는 상기 스마트 코어(20)의 정보를 촉각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촉각 모듈부(200)에 상기 촉각 신호를 제공한다.
예를 들면, 코어 결합부(100)는 다양한 정보를 제공 및 디스플레이 하는 스마트 코어(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송수신하여, 이를 촉각 신호로 변환과 동시에 촉각 모듈부(20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코어 결합부(100)는 스마트 코어(20)가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통신부(120)에 의해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통한 길안내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코어 결합부(100)는 스마트 코어(20)와는 상관없이 독립적인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결합부(110)는 스마트 코어(20)가 탈부착 가능한 형태로 구성되며, 스마트 코어(20)와 전기적 신호 또는 전원을 주고 받을 수 있다. 따라서, 스마트 코어(20)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정보가 결합부(110)를 통해 제어부(130)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20)는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송수신 할 수 있으며, 일 예로 GPS 신호를 송수신 하여,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상기 제어부(130)에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상기 결합부(110) 및 통신부(120)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정보를 촉각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한 촉각 신호를 촉각 모듈부(200)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촉각 모듈부(200)에 전원을 동시에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코어 결합부(100)의 다른 실시예로, 코어 결합부(100)는 상기 스마트 코어(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결합부(110)를 형성하고, 스마트 코어(20)에서 외부에서 입력되는 정보에 대해서 촉각 신호 및 전원을 코어 결합부(100)에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촉각 모듈부(200)는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밀착되는 밴드부(210) 및 상기 밴드부(210) 내측에 구비되는 복수의 촉감부(220)를 포함한다.
밴드부(210)는 코어 결합부(100)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며, 사용자의 신체, 손목, 발목, 허리 또는 목 등에 부착될 수 있는 형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촉감부(220)는 밴드부(210)에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코어 결합부(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코어 결합부(100)에서 전송하는 촉각 신호에 따라 촉각 정보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촉감부(220)는 편심 모터, 선형 공진 액추에이터, 압전 액추에이터, 전기활성 폴리머 액추에이터 또는 정전기력 액추에이터 중 적어도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촉감부(220)는 코어 결합부(100)에서 전송하는 촉감 신호에 따라 진동, 스침, 조임, 때림, 누름, 두드림, 또는 기울어짐의 촉감 정보를 사용자에게 직간접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촉감부(220)는 사용자에게 방향성을 나타내며, 촉감부의 촉감 정보에 따라 방향 정보 등 다양한 정보를 촉감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일 예로, 촉감부(220)는 자기장에 반응하여 형상 또는 위치가 변화하는 촉각 전달부(221) 및 상기 촉각 전달부(221)의 형상 또는 위치를 변화시키기 위해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자기장 발생부(222)를 포함한다.
특히, 도4의 (a)에서는 촉감부(22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였으며, 도 4의 (b)에서 자기장 발생부(222)에 의해 발생하는 자기장의 자기력선을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
일 실시예로, 촉각 전달부(221)는 디스크 등의 형태를 갖는 얇은 영구자석이 적어도 하나 이상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촉각 전달부(221)는 자성 입자, 예를 들면, 나노 또는 마이크론 크기의 철 또는 페라이트 입자 등과 매트릭스(Matrix) 소재, 예를 들면, 고무 또는 기타 폴리머 소재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촉각 전달부(221)는 자기유변 탄성체(Magneto-Rheological Elastomer, MRE)가 사용될 수 있는데, 자기유변 탄성체는 외부 자기장에 반응할 수 있는 입자를 포함하는 탄성체 소재로서, 탄성체 소재 내에 외부 자기장에 의해 자화될 수 있는 자성 입자(Magnetic Particle)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외부 자기장의 인가에 의해 그 강성(Stiffness), 인장 강도(Tensile Strength), 연신율(Elongation) 등의 특성이 변화될 수 있다.
또한, 촉각 전달부(221)는 미세돌기 형상,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 돔(Dome)과 같은 다면체 현상, 판(plate) 형상, 시소(seesaw) 형상 또는 터널형상 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을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자성 입자는 Fe, Co, Ni, 페라이트 입자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Carbonyl Iron 입자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자성 입자의 크기는 0.01~100um 이며, 자기장 발생부(222)에 의한 형상 변화를 최대로 하기 위해서 매트릭스(Matrix) 소재 내 자성 입자의 포화 자화도가 높고, 함량이 많으며, 크기가 클수록 바람직하다. 또한, 자성 입자는 특정 형상일 필요는 없고 구형, 자기 이방성을 갖는 종횡비가 큰 플레이크(Flake) 등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매트릭스 소재는 촉각 전달부(221)의 형상 변화 및 복원력을 최대로 하기 위해 탄성율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며, 내구성을 높이기 위해 신율 및 인장강도의 조절이 필요하다.
자기장 발생부(222)는 촉각 전달부(221)의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하여 자기장을 형성하며, 촉각 전달부(221) 내의 자성 입자는 이러한 자기장에 반응을 한다. 또한, 자기장 발생부(222)는 평면 코일 또는 솔레노이드 코일 중 적어도 하나가 사용되며, 촉각 전달부(221)에 대응되는 크기와 형태로 교류 전류가 인가되면 교류 자기장을 발생시키고, 직류 전류가 인가되면 직류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자기장 발생부(222)는 촉각 전달부(221)와 대응되는 위치 및 형상을 가지며, 자기장 발생부(222)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에 의해 촉각 전달부(221)의 형상이 변화하고, 촉각 전달부(221)의 형상 변화에 따라 촉감을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촉감은 진동, 스침, 조임, 때림, 누름, 두드림, 또는 기울어짐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자기장 발생부(222)는 자기장의 종류를 변경하여, 촉각 전달부(221)의 특성을 변화시킬 수 있으며, 그 예로 교류 자기장이 발생되면 상기 촉각 전달부(221)가 진동을 하고, 직류 자기장이 발생되면 상기 촉각 전달부(221)의 강성이 변화하는 특징이 있다.
도5은 자기장 발생부(222)의 자기장 생성 여부에 따른 촉각 전달부(221)의 자성 입자 및 매트릭스 소재의 형상을 구체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State A는 자기장 발생부(222)에 전류가 인가되지 않은 상태(즉, 자기장이 생성되지 않은 상태)로 촉각 전달부(221)의 초기 형상(이하, 제 1 형상)을 나타내며, State B는 자기장 발생부(222)에 전류가 인가된 상태(즉, 자기장이 생성된 상태)로 변형된 형상, 즉 자기장에 반응하여 촉각 전달부(221)가 위 또는 아래로 휘어진 형상(이하, 제2 형상)을 나타낸다. 이러한 제1 형상에서 제2 형상으로의 형상 변화가 반복적으로 행해짐으로써 왕복 운동이 구현되고, 이를 통해 진동 촉감을 전달할 수 있다.
특히, 자기장 발생부(222)에 의해 형성되는 자기장의 세기, 방향 또는 주파수(Frequency)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함에 따라, 상기 제1 형상에서 상기 제2 형상으로의 변형의 세기, 방향 또는 주파수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특정한 주파수의 교류 전류 또는 직류 전류를 자기장 발생부(222)에 인가하여 온/오프(On/Off) 함으로써 제1 형상에서 제2 형상으로의 왕복 운동이 동일하게 구현될 수 있다. 촉각 전달부(221)를 구성하는 자성 입자가 자기장 발생부(222)에 의해 발생되는 자기장에 의해 자화 또는 반응함으로써, 촉각 전달부(221)의 형상이 변화할 수 있다.
변형 실시예로써, 촉각 전달부(221)가 디스크 등의 형태를 갖는 얇은 영구자석으로 구성될 경우, 촉각 전달부(221)는 자기장 발생부(222)에 전류가 인가되지 않을 경우 자기장 발생부(222)와의 상대적 거리가 멀어지는 위치(제1 위치)로 이동하고, 자기장 발생부(222)에 전류가 인가될 경우 자기장 발생부(222)와의 상대적 거리가 가까워지는 위치(제2 위치)로 이동하며, 이러한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왕복 운동이 구현되고, 이를 통해 진동 촉감을 전달할 수 있다.
특히, 자기장 발생부(222)에 의해 형성되는 자기장의 세기, 방향 또는 주파수(Frequency)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함에 따라,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으로의 변형의 세기, 방향 또는 주파수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체결부(300)는 촉각 모듈부(200)의 밴드부(210)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밴드부(210)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며, 체결부(300)가 슬라이딩됨에 따라 밴드부(210)의 길이를 조절하거나, 사용자의 신체에 결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하, 도6 내지 도11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촉각 전달부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한다.
도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촉감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7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촉감부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촉감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9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촉감부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10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촉감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촉감부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6내지 도7을 참고하면, 제1 실시예에 따른 촉감부(220)는 복수의 촉각 전달부(221)와 지지체가 적어도 하나의 셀을 형성하고, 상기 셀은 복수개가 일정한 간격으로 절연체 상부에 배치되며, 절연체 하부에는 상기 셀에 대응되는 형태 및 위치에 복수개의 자기장 발생부(222)의 코일 유닛이 단층 또는 복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지지체는, 촉각 전달부(221)와 자기장 발생부(222) 사이에 더 구비되어 촉각 전달부(221)의 동작 공간이 확보될 수 있는 구성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지지체는 자기유변탄성체이며, 곡면 형상 또는 물결 형상 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실시예에 따른 촉각 전달부(221)는 판(Plate) 구조 형태이며, 지지체는 곡면 형태로 촉각 전달부(221)의 양측면에 일체로 구비된다. 지지체는 절연체와 촉각 전달부(221) 사이에 구비되며, 촉각 전달부(221) 또는 지지체가 동작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한다.
예를 들면, 자기장 발생부(222)에서 발생된 자기장에 의해 상기 공간에서 촉각 전달부(221) 및 지지체가 상하로 움직이며, 형상 변화를 하는 왕복 운동을 수행한다. 이러한 형상 변화로 하나의 셀 또는 셀 전체가 움직일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사용자에게 두드림과 같은 촉감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촉각 전달부(221)는 판 형상 이외에 판 스프링 형태로 복수의 판이 겹쳐있는 형태가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적어도 1개의 셀이 자기장에 반응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진동, 때림, 두드림 등과 같은 다양한 촉감을 전달할 수 있다.
도8내지 도9을 참고하면, 제2 실시예에 따른 촉감부(220)는 복수의 촉각 전달부(221)와 지지체가 적어도 하나의 셀을 형성하고, 상기 셀은 복수개가 일정한 간격으로 절연체 상부에 배치되며, 절연체 하부에는 상기 셀에 대응되는 형태 및 위치에 복수개의 자기장 발생부(222)의 코일 유닛이 단층 또는 복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실시예에 따른 촉각 전달부(221)는 판(Plate) 구조 형태이며, 지지체는 물결 형태로 촉각 전달부(221)의 양측면에 일체로 구비된다. 지지체는 절연체와 촉각 전달부(221)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촉각 전달부(221)가 동작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한다.
예를 들면, 자기장 발생부(222)에 의해 자기장이 발생하면, 자기유변 탄성체로 형성된 지지체가 형상 변화하며, 촉각 전달부(221)의 일단이 자기장 발생부(222)의 중앙 방향으로 기울어 지며, 자기장 발생부(222)에서 자기장이 발생하지 않으면, 탄성력에 의해 원형의 형태로 복귀할 수 있다. 즉, 하나의 셀 또는 전체 셀에 자기장을 인가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진동, 때림, 두드림, 또는 기울어짐 등과 같은 다양한 촉감을 전달할 수 있다.
도10내지 도11을 참고하면, 제3 실시예에 따른 촉감부(220)는 복수의 촉각 전달부(221)가 적어도 하나의 셀을 형성하고, 상기 셀은 복수개가 일정한 간격으로 절연체 상부에 배치되며, 절연체 하부에는 상기 셀에 대응되는 형태 및 위치에 복수개의 자기장 발생부(222)의 코일 유닛이 단층 또는 복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3 실시예에 따른 촉감부(220)는 터널 구조 형태이며, 내부에 타원형의 공간을 형성한다.
예를 들면, 자기장 발생부(222)에 의해 자기장이 발생하면, 자기유변 탄성체로 형성된 촉각 전달부(221)가 형상 변화하며, 촉각 전달부(221)의 일단이 자기장 발생부(222)의 중앙 방향으로 이동하며, 자기장 발생부(222)에서 자기장이 발생하지 않으면, 탄성력에 의해 원형의 형태로 복귀할 수 있다. 즉, 하나의 셀 또는 전체 셀에 자기장을 인가함으로써, 사용자에게 꼬집거나 조이는 듯한 다양한 촉감을 전달할 수 있다.
한편, 도12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의 구동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통신부(120)가 구비된 코어 결합부(100)가 스마트 코어(스마트 기기)(20)를 감지하고, 통신부와 스마트 코어(20)가 서로 연결된다. 여기서, 통신부(120)는 블루트스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20)가 스마트 코어(20)를 감지하지 못하면, 스마트 코어(20)와 연결되지 않고, 스마트 코어(20)를 감지할 때까지 상기 과정을 반복한다.
다음으로, 웨어러블 장치(10)와 스마트 코어(20)가 연결되면, 스마트 코어(20)에서 전송하는 촉각신호를 코어 결합부(100)에 전송한다.
예를 들면, 스마트 코어(20)에서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 또는 앱에 의해 작동 정보가 촉각신호로 변환되고, 변환된 촉각신호를 코어 결합부(100)로 전송될 수 있다.
코어 결합부(100)로 전송된 후 촉각신호에 따라 촉각모듈부(221)의 촉감부(220)를 구동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촉각 신호에 따라 촉각모듈부(221)의 촉감부(220)는 펄스 구동, 좌우 구동, 교차 구동 등 다양한 방식으로 촉감부(220)가 구동될 수 있다.
따라서, 촉감부(220)의 구동에 따라 웨어러블 장치(10)를 착용한 사용자에게 진동, 스침, 조임, 때림, 누름, 두드림, 또는 기울어짐 등 다양한 촉감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13은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를 적용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13을 참고하면, 서울 코엑스(COEX) 몰 등과 같이 복잡한 몰, 도 13에서와 같이 복잡한 실내외 주차장 등에는 특정한 상점 또는 주차 위치까지의 실내 길/장소 안내 기능이 특히 필요하며, 본 웨어러블 장치(10)는 이러한 경우에도 실내 LBS (Location Based Service)와 결합하여 사용자에게 새로운 경험과 유용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3은 주차장 내에서 사용자가 주차된 차량의 위치를 안내 받는 것을 나타낸다. 웨어러블 장치(10)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서, 예를 들어 다층으로 구성된 주차장인 경우, 주차된 차량의 위치가 현재 사용자가 위치한 층과 동일한 층인지에 대한 촉각정보를 우선적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이후 사용자가 주차된 차량으로 가기 위한 이동 경로를 직선거리 경로 모드로 방향정보를 제공하거나 길 찾기 이동경로 모드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촉각정보 제공 장치는 자체 또는 별도의 스마트폰 등에 장착된 실내·외 네비게이션 시스템과 연동되어 경로에 대한 방향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1. 직선 거리 경로 : 차량 주차 후, 차량의 위치정보를 촉각정보 제공 장치 사용자 기준으로 주차된 차량과의 직선 방향 및 거리를 상·하·좌·우의 촉각정보로 제공함으로써, 주차된 차량의 위치정보를 파악 가능한 모드이다.
2. 길 찾기 이동 경로 : 차량 주차 후, 차량의 위치정보를 촉각정보 제공 장치 사용자 기준으로 차량으로 가기 위한 이동 경로에 대한 방향과 거리를 상·하·좌·우의 촉각 정보로 제공함으로써, 주차된 차량으로 가기 위한 길 안내 모드이다.
또한, 길 또는 장소 안내 기능 이외에 웨어러블 장치(10)는 차량 네비게이터와 연동되어 차량의 방향 전환 등에 대한 정보를 시각 또는 청각이 아닌 촉각을 통해 직접적으로 전달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운전자는 옆 사람과의 대화 등으로 집중력이 분산되는 경우에도 명확한 방향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차량 주행 시 목적지까지의 방향 및 거리에 따른 촉각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데, 웨어러블 장치(10)는 다양한 세기 및 빈도수의 진동을 제공할 수 있으며, 펄스 1 < 펄스 2 < 펄스 3 의 순서로 빠르게 진동한다.
예를 들어, 승용차가 특정 지점에서 우회전해야 할 경우, 아래와 같이 촉각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1. 우회전 100m 전 : 우측 촉각 정보 제공 모듈이 펄스 1로 운전자에게 우회전 지점까지 거리가 충분히 남았음을 전달한다.
2. 우회전 50m 전 : 우측 촉각 정보 제공 모듈이 펄스 2로 운전자에게 우회전 지점에 근접하고 있음을 전달한다.
3. 우회전 지점 : 우측 촉각 정보 제공 모듈이 펄스 3으로 운전자에게 바로 우회전을 하라는 신호를 전달한다.
4. 직진 신호 : 상부 촉각 정보 제공 모듈이 펄스 1로 운전자에게 현재 직진해야 한다는 신호를 전달한다.
따라서, 웨어러블 장치(10)는 차량 네비게이터 또는 스마트폰 등의 길 찾기 기능과 연동되거나, 장치 내부에 자체적으로 장착된 길 찾기 기능과 연동되어, 사용자의 차량 또는 도보를 통한 이동에 있어서 유용한 길/장소 찾기 정보를 촉감을 통해서 전달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차량 주행 시 차선 변경 과정에서의 장애물 인식 또는 졸음운전 등에 의한 위험 상황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촉감을 통해 직접적으로 전달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는 시각 또는 청각에만 의존하는 경우보다 더 큰 효과를 나타낼 수 있고, 국부적인(Localized) 촉감을 제공하므로 핸들 조작 등에 영향을 끼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좌·우 차선 변경 시, 차량에 부착된 장애물 감지 센서로부터 신호를 받아 충돌위험 있는 장애물에 대한 위험 정보를 촉감 정보로서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사용자에게 진동, 스침, 조임, 때림, 누름, 두드림, 또는 기울어짐 등 다양한 촉감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에게 촉감을 통해 방향성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대화 중이거나 시선을 돌리기 힘든 경우에도 목적지까지의 남은 거리, 방향전환 시점, 주차된 차량 또는 실·내외 매장/제품까지의 길 안내 정보 등 네비게이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IT 분야에서 모바일 기기 및 터치스크린 기기, 콘솔 게임기 등에서 실시간 촉각 전달에 적용될 수 있고, 자동차 산업에서 차선이탈 경고 시스템, 전면 추돌 방지 시스템, 과속방지 시스템 등 운전 보조 정보 피드백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으며, 의료 분야에서도 맥진기, 사람 이의 압력 분포 측정, 수술용 로봇 등에 촉각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상술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사상은 상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웨어러블 장치 200: 촉각 모듈부
20: 스마트 코어 210: 밴드부
100: 코어 결합부 220: 촉감부
110: 결합부 221: 촉각 전달부
120: 통신부 222: 자기장 발생부
130: 제어부 300: 체결부

Claims (15)

  1. 정보를 제공하는 스마트 코어가 탈착 또는 부착 가능한 코어 결합부;
    상기 코어 결합부와 연결되며, 사용자에게 촉각 정보를 제공하는 촉각 모듈부; 및
    상기 촉각 모듈부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체결 가능하도록 구비된 체결부;
    를 포함하고,
    상기 촉각 모듈부는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밀착되는 밴드부 및 상기 밴드부에 구비되는 복수의 촉감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촉감부는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자기장 발생부 및 상기 자기장 발생부에 의해 형상이 변화하는 촉각 전달부를 포함하고,
    상기 촉각 전달부는 자기유변탄성체(Magneto-Rheological Elastomer, MRE)로 구성되며,
    상기 자기장 발생부에서 교류 자기장이 발생하며, 상기 교류 자기장에 의해 상기 촉각 전달부의 형상이 진동하여 촉각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결합부는 상기 스마트 코어의 정보를 촉각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촉각 모듈부에 상기 촉각 신호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촉감부는 진동, 스침, 조임, 때림, 누름, 두드림, 또는 기울어짐 중 적어도 하나의 촉감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장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장 발생부는 평면 코일 또는 솔레노이드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촉각 전달부는, 자기장에 영향을 받지 않을 때에는 제1 위치을 유지하고, 자기장에 영향을 받을 때에는 제2 위치를 유지하며, 상기 촉각 전달부가 상기 제2 위치와 상기 제1 위치 간의 왕복 운동으로 촉각 정보를 제공하는 웨어러블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촉각 전달부는 자기장에 영향을 받지 않을 때에는 제1 형상을 유지하고, 자기장에 영향을 받을 때에는 제2 형상을 유지하며, 상기 촉각 전달부가 상기 제2 형상과 상기 제1 형상 간의 왕복 운동으로 촉각 정보를 제공하는 웨어러블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장 발생부에 의해 형성되는 자기장의 세기, 방향 또는 주파수(Frequency)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함에 따라,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의 변화의 세기, 방향 또는 주파수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촉각전달부는 철(Fe), 코발트(Co), 니켈(Ni) 중 적어도 하나의 원소를 포함하는 성분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촉각 모듈부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며, 상기 체결부의 길이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장 발생부에 의해 형성되는 자기장의 세기, 방향 또는 주파수(Frequency)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함에 따라, 상기 제1형상에서 상기 제2형상으로의 변형의 세기, 방향 또는 주파수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장치.
KR1020150071970A 2015-01-13 2015-05-22 웨어러블 장치 KR1017357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0179794.1A EP3731069A1 (en) 2015-01-13 2015-11-24 Haptic information provision device
EP15878131.0A EP3246787B1 (en) 2015-01-13 2015-11-24 Haptic information provision device
US15/543,330 US10204494B2 (en) 2015-01-13 2015-11-24 Haptic information provision device
CN202010736882.3A CN112000222A (zh) 2015-01-13 2015-11-24 触觉信息提供装置
CN201580072733.9A CN107111343A (zh) 2015-01-13 2015-11-24 触觉信息提供装置
PCT/KR2015/012680 WO2016114487A1 (ko) 2015-01-13 2015-11-24 촉각 정보 제공 기기
US16/229,270 US20190241199A1 (en) 2015-01-13 2018-12-21 Haptic information provision device
US17/901,176 US11760375B2 (en) 2015-01-13 2022-09-01 Haptic information provision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006450 2015-01-13
KR1020150006450 2015-01-13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7471A Division KR102245419B1 (ko) 2015-01-13 2017-05-08 촉각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7323A KR20160087323A (ko) 2016-07-21
KR101735745B1 true KR101735745B1 (ko) 2017-05-29

Family

ID=56680593

Famil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8717A KR101784472B1 (ko) 2015-01-13 2015-05-18 촉각 정보 제공 기기
KR1020150071970A KR101735745B1 (ko) 2015-01-13 2015-05-22 웨어러블 장치
KR1020150181980A KR102202093B1 (ko) 2015-01-13 2015-12-18 운전 보조 정보 피드백 시스템
KR1020150181982A KR102257849B1 (ko) 2015-01-13 2015-12-18 촉각 네비게이션 시스템
KR1020170057471A KR102245419B1 (ko) 2015-01-13 2017-05-08 촉각 모듈
KR1020210063383A KR102300912B1 (ko) 2015-01-13 2021-05-17 촉각 정보 제공 기기
KR1020210103668A KR102373697B1 (ko) 2015-01-13 2021-08-06 촉각 정보 제공 장치
KR1020210103667A KR102359676B1 (ko) 2015-01-13 2021-08-06 촉각 정보 제공 장치
KR1020220028977A KR102549513B1 (ko) 2015-01-13 2022-03-07 촉각 정보 제공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8717A KR101784472B1 (ko) 2015-01-13 2015-05-18 촉각 정보 제공 기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7)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1980A KR102202093B1 (ko) 2015-01-13 2015-12-18 운전 보조 정보 피드백 시스템
KR1020150181982A KR102257849B1 (ko) 2015-01-13 2015-12-18 촉각 네비게이션 시스템
KR1020170057471A KR102245419B1 (ko) 2015-01-13 2017-05-08 촉각 모듈
KR1020210063383A KR102300912B1 (ko) 2015-01-13 2021-05-17 촉각 정보 제공 기기
KR1020210103668A KR102373697B1 (ko) 2015-01-13 2021-08-06 촉각 정보 제공 장치
KR1020210103667A KR102359676B1 (ko) 2015-01-13 2021-08-06 촉각 정보 제공 장치
KR1020220028977A KR102549513B1 (ko) 2015-01-13 2022-03-07 촉각 정보 제공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10204494B2 (ko)
EP (2) EP3731069A1 (ko)
KR (9) KR101784472B1 (ko)
CN (2) CN11200022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3976A (ko) * 2019-03-27 2020-10-07 (주)부품디비 Mre와 전자석을 이용한 근감각 액추에이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87759B2 (en) 2009-09-30 2013-07-16 Apple Inc. Self adapting haptic device
CN105683865B (zh) 2013-09-30 2018-11-09 苹果公司 用于触觉响应的磁性致动器
WO2015163842A1 (en) 2014-04-21 2015-10-29 Yknots Industries Llc Apportionment of forces for multi-touch input devices of electronic devices
KR101784472B1 (ko) * 2015-01-13 2017-10-11 주식회사 씨케이머티리얼즈랩 촉각 정보 제공 기기
WO2016114487A1 (ko) * 2015-01-13 2016-07-21 주식회사 씨케이머티리얼즈랩 촉각 정보 제공 기기
AU2016100399B4 (en) 2015-04-17 2017-02-02 Apple Inc. Contracting and elongating materials for providing input and output for an electronic device
WO2017044618A1 (en) 2015-09-08 2017-03-16 Apple Inc. Linear actuators for use in electronic devices
US10039080B2 (en) 2016-03-04 2018-07-31 Apple Inc. Situationally-aware alerts
US10268272B2 (en) 2016-03-31 2019-04-23 Apple Inc. Dampening mechanical modes of a haptic actuator using a delay
US10591993B2 (en) 2016-09-21 2020-03-17 Apple Inc. Haptic structure for providing localized haptic output
KR101812445B1 (ko) * 2016-11-08 2017-12-27 주식회사 씨케이머티리얼즈랩 플렉시블 촉각 액추에이터
KR20180054274A (ko) * 2016-11-15 2018-05-24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음향기기
US11408749B2 (en) * 2017-05-30 2022-08-09 Stephen Wesley Schad, JR. Personal navigation system haptic device
WO2018230949A1 (ko) * 2017-06-13 2018-12-20 주식회사 비햅틱스 촉각자극 제공 장치
US10622538B2 (en) 2017-07-18 2020-04-14 Apple Inc. Techniques for providing a haptic output and sensing a haptic input using a piezoelectric body
US20210168559A1 (en) * 2017-07-25 2021-06-03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navigation service by using bluetooth low energy technology
CN107678722B (zh) * 2017-10-11 2020-10-16 广州凡拓数字创意科技股份有限公司 多屏幕拼接方法、装置以及多投影拼接大屏幕
US10805900B2 (en) 2017-10-16 2020-10-13 Sharp & Sharper Oy Method and device for deriving location
KR102208810B1 (ko) * 2017-10-20 2021-01-28 주식회사 씨케이머티리얼즈랩 촉각 정보 제공 시스템
KR102462204B1 (ko) * 2017-11-21 2022-11-02 삼성전자주식회사 진동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N108720806B (zh) * 2018-03-08 2021-02-12 南京航空航天大学 一种穿戴式手臂力触觉反馈装置
US10775851B2 (en) * 2018-03-30 2020-09-15 Sara Stewart Memory aid
JP6909386B2 (ja) * 2018-04-24 2021-07-28 株式会社デンソー カーファインダシステム
CN109634430A (zh) * 2019-01-04 2019-04-16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消息提醒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0225152B (zh) * 2019-04-25 2021-11-09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振动结构、振动方法和终端设备
KR102234431B1 (ko) * 2019-05-13 2021-04-01 (주)부품디비 wavy-MRE와 전자석을 이용한 진동 액추에이터
US11380470B2 (en) 2019-09-24 2022-07-05 Apple Inc. Methods to control force in reluctance actuators based on flux related parameters
JP2021068048A (ja) * 2019-10-18 2021-04-30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作業支援システム、情報機器、携帯デバイス、及び、プログラム
CN110989838B (zh) * 2019-11-29 2022-09-02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可穿戴设备、其控制方法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2129214B1 (ko) * 2019-12-17 2020-07-01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웨어러블 햅틱 피드백 장치와 자기장 생성장치를 포함하는 햅틱 시스템
US11478606B1 (en) 2020-01-08 2022-10-25 New Heights Energy, LLC Wearable devices and methods for providing therapy to a user and/or for measuring physiological parameters of the user
US11977683B2 (en) 2021-03-12 2024-05-07 Apple Inc. Modular systems configured to provide localized haptic feedback using inertial actuators
CN113342213B (zh) * 2021-08-09 2021-11-16 南昌龙旗信息技术有限公司 信息传递方法、装置、设备、介质及程序产品
US11809631B2 (en) 2021-09-21 2023-11-07 Apple Inc. Reluctance haptic engine for an electronic device
WO2023172676A2 (en) * 2022-03-10 2023-09-14 New Heights Energy, LLC Wearable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therapy to a user and/or for measuring physiological parameters of the user
WO2023233526A1 (ja) * 2022-05-31 2023-12-07 Loovic株式会社 誘導システム、誘導方法および誘導プログラム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91028A (ja) * 2000-01-13 2001-07-17 Tokin Corp 振動アクチュエータ
WO2011055326A1 (en) * 2009-11-04 2011-05-12 Igal Firsov Universal input/output human user interface
US20140313128A1 (en) * 2011-01-31 2014-10-23 Apple Inc. Wrist-wor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s therefor

Family Cites Families (9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79233A (en) * 1969-01-27 1971-05-18 Bullard Co Ambient noise frequency responsive audible vehicle alarm
JPS5582982A (en) * 1978-12-18 1980-06-23 Kazunobu Igarashi Electronic wrist watch with alarm
US4464117A (en) * 1980-08-27 1984-08-07 Dr. Ing. Reiner Foerst Gmbh Driving simulator apparatus
US5202612A (en) * 1988-01-29 1993-04-13 Sinano Electric Co., Ltd. Concrete vibrator
US5263317A (en) * 1990-05-25 1993-11-23 Kabushiki Kaisha Nagao Kogyo Exhaust gas purifying apparatus for automobile diesel engine
JPH0757159A (ja) * 1993-08-11 1995-03-03 Sayama Precision Ind Co 携帯装置の為の無音警報用振動発生装置
US5649020A (en) * 1994-08-29 1997-07-15 Motorola, Inc. Electronic driver for an electromagnetic resonant transducer
US5694920A (en) * 1996-01-25 1997-12-09 Abrams; Andrew L. Inhalation device
JPH1027533A (ja) * 1996-07-11 1998-01-27 Fujitsu Takamizawa Component Kk 電磁継電器
US6023515A (en) * 1997-02-21 2000-02-08 Motorola, Inc. Mass excited acoustic device
US6236306B1 (en) * 1997-05-05 2001-05-22 Lyndon L. Liebelt Tactual annunciating device for notifying vehicle or machinery status or condition
EP1172605A3 (de) * 2000-07-13 2003-11-19 Peter Fladung Vorrichtung zum Ansatz an eine Taschenlampe
AU2002216108A1 (en) * 2000-12-19 2002-07-01 Knorr-Bremse Systeme Fur Schienenfahrzeuge Gmbh Electromechanical brake applying device
JP4365558B2 (ja) * 2002-04-08 2009-11-18 株式会社テクノ高槻 電磁振動型ダイヤフラムポンプ
ATE323558T1 (de) * 2002-06-06 2006-05-15 Fiamm Componenti Accessori Spa Elektronische steuerschaltung und akustische signalgabevorrichtung für fahrzeuge
US9811818B1 (en) * 2002-10-01 2017-11-07 World Award Academy, World Award Foundation, Amobilepay, Inc. Wearable personal digital device for facilitating mobile device payments and personal use
JP4200748B2 (ja) * 2002-11-29 2008-12-24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触覚インターフェイス装置
JP4058378B2 (ja) * 2003-05-16 2008-03-05 Tdk株式会社 角速度センサおよび角速度検出装置
JP4058379B2 (ja) * 2003-05-16 2008-03-05 Tdk株式会社 角速度センサおよび角速度検出装置
US7236751B2 (en) * 2003-08-18 2007-06-26 Alps Electric Co., Ltd. Strap pendant with input buttons on strap for controlling attached portable devices
US6982630B2 (en) * 2004-01-02 2006-01-03 Polara Engineering, Inc. Vibrating pedestrian push button station
KR100544488B1 (ko) * 2004-02-03 2006-01-23 주식회사 만도 감쇠력 가변 밸브 및 감쇠력 가변 밸브가 장착된 쇽 업소버
US20080001578A1 (en) * 2004-07-28 2008-01-03 Kinergi Pty Ltd Motion Activated Power Source
US8596716B1 (en) * 2008-12-31 2013-12-03 Steven Jerome Caruso Custom controlled seating surface technologies
DE102004061998A1 (de) * 2004-12-23 2006-07-06 Robert Bosch Gmbh Stereokamera für ein Kraftfahrzeug
KR100755851B1 (ko) 2005-10-14 2007-09-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미디어 디스플레이 방법, 이를 위한 이동 단말기, 및이동 단말기용 크래들
US20130218456A1 (en) * 2006-02-16 2013-08-22 John S. Zelek Wearable tactile navigation system
US20070244641A1 (en) * 2006-04-17 2007-10-18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Active material based haptic communication systems
US7450473B1 (en) * 2006-12-04 2008-11-11 Estrada Luis F Vehicle rodent repelling method
KR100954608B1 (ko) * 2007-12-07 2010-04-26 한국과학기술원 촉감모듈이 구비된 전자장치
US7839269B2 (en) * 2007-12-12 2010-11-23 Immersion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tributing haptic synchronous signals
US20090171313A1 (en) * 2007-12-27 2009-07-02 Akira Yamamoto Iontophoresis device having an active electrode unit
EP2290365B1 (en) * 2008-06-12 2014-04-16 Hitachi High-Technologies Corporation Analyzer using magnetic particles
KR100960970B1 (ko) * 2008-07-14 2010-06-03 한국과학기술원 충격량을 이용한 햅틱 피드백 제공 모듈이 구비된 전자장치
KR100901117B1 (ko) * 2008-09-24 2009-06-05 영백씨엠 주식회사 코인형 진동모터
JP4663034B2 (ja) * 2009-02-03 2011-03-30 株式会社アクション・リサーチ 振動発生装置及び方法
JP4770975B2 (ja) * 2009-02-18 2011-09-14 株式会社デンソー 乗員検知機能付き座席および乗員検知装置
JP5003734B2 (ja) * 2009-08-06 2012-08-15 株式会社日本自動車部品総合研究所 情報提示装置
US9417694B2 (en) * 2009-10-30 2016-08-16 Immersion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haptic display of data transfers
KR101487694B1 (ko) * 2009-11-18 2015-01-29 존슨 컨트롤스 테크놀러지 컴퍼니 차량 시트용 햅틱 피드백 시스템
US8857908B2 (en) * 2009-11-23 2014-10-14 Faurecia Automotive Seating, Llc Controllable comfort shell for vehicle seat
WO2011112753A1 (en) * 2010-03-10 2011-09-15 Abbott Diabetes Care Inc.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managing glucose levels
US20110253288A1 (en) * 2010-04-16 2011-10-20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Assembly for and method of forming localized surface wrinkles
US8276279B2 (en) * 2010-08-09 2012-10-02 Wahl Clipper Corporation Hair clipper with a vibrator motor
KR101138932B1 (ko) 2010-08-26 2012-04-25 한국과학기술원 자기유변 유닛을 이용한 구동기 및 그 구동 방법
JP5510255B2 (ja) * 2010-10-01 2014-06-0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操作状態判定システム
US9335181B2 (en) 2010-11-10 2016-05-10 Qualcomm Incorporated Haptic based personal navigation
JP2014502203A (ja) * 2010-12-07 2014-01-30 ジェイ.ティ. ラブズ リミテッド 睡眠姿勢検知及び監視システム
KR101295147B1 (ko) * 2011-01-06 2013-08-09 한국과학기술원 충격량 제공장치, 햅틱 피드백 제공장치, 이를 이용한 진동 제공방법, 및 그 기록매체
DE102012201331A1 (de) * 2011-03-02 2012-09-0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itz, insbesondere Fahrzeugsitz, mit einem Formänderungselement sowie Verfahren zum Ansteuern eines Formänderungselements eines Sitzes
US8963695B2 (en) * 2011-05-27 2015-02-24 Apple Inc. Haptic alert device having a linear vibrator
DE112012001573B4 (de) * 2011-06-28 2018-10-18 Sumitomo Riko Company Limited Aktivvibrations- oder Geräuschunterdrückungssystem
KR101455058B1 (ko) * 2011-10-18 2014-10-28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촉각 디스플레이 장치 및 모듈과, 그 방법
US10338385B2 (en) * 2011-12-14 2019-07-02 Christopher V. Beckman Shifted reality display device and environmental scanning system
US8857763B2 (en) * 2012-01-27 2014-10-14 Bell Helicopter Textron Inc. Vehicle crewstation seat assembly
WO2013168264A1 (ja) * 2012-05-10 2013-11-14 パイオニア株式会社 駆動装置
US20130311881A1 (en) * 2012-05-16 2013-11-21 Immersion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Haptically Enabled Metadata
TWI502135B (zh) * 2012-05-21 2015-10-01 緯創資通股份有限公司 風扇控制系統及其風扇控制之方法
WO2014023008A1 (zh) * 2012-08-09 2014-02-13 易力声科技(深圳)有限公司 耳机
CN104395866B (zh) * 2012-11-30 2018-02-23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触觉提示装置及触觉提示方法
US20140180582A1 (en) * 2012-12-21 2014-06-26 Mark C. Pontarelli Apparatus, method and techniques for wearable navigation device
KR20140085734A (ko) * 2012-12-27 2014-07-08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촉각을 제공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10099117B2 (en) * 2013-03-21 2018-10-16 MagneTag LLC Device and method for sensing magnetized objects for an electronic tag game
US10071015B2 (en) * 2013-04-18 2018-09-11 Uwm Research Foundation, Inc. Wearable device for improving tactile sensitivity
JP6098349B2 (ja) * 2013-05-14 2017-03-22 船井電機株式会社 発振装置、走査型スキャナ装置、情報端末、移相量調整装置、及び移相量調整方法
US9274603B2 (en) * 2013-05-24 2016-03-01 Immersion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to provide haptic feedback based on media content and one or more external parameters
JP2015015452A (ja) * 2013-06-06 2015-01-22 Tdk株式会社 ワイヤレス電力伝送用コイル装置
DE102013011929B3 (de) * 2013-07-17 2014-12-11 Audi Ag Fahrzeugsitz für ein Kraftfahrzeug
KR102112305B1 (ko) 2013-09-02 2020-05-18 삼성전자주식회사 웨어러블 전자 장치
US9248840B2 (en) * 2013-12-20 2016-02-02 Immersion Corporation Gesture based input system in a vehicle with haptic feedback
US9579060B1 (en) * 2014-02-18 2017-02-28 Orbitol Research Inc. Head-mounted physiological signal monitoring system, devices and methods
TWI492437B (zh) * 2014-04-08 2015-07-11 Go Tech Energy Co Ltd 用於電池單元間平均分佈溫度的系統
JP2015208164A (ja) * 2014-04-22 2015-11-19 サンデン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電動圧縮機
US10478127B2 (en) * 2014-06-23 2019-11-19 Sherlock Solutions, LLC Apparatuses, methods, processes, and systems related to significant detrimental changes in health parameters and activating lifesaving measures
JP6357365B2 (ja) * 2014-06-27 2018-07-11 サンデン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電動圧縮機
CN204030834U (zh) * 2014-07-09 2014-12-17 瑞声光电科技(常州)有限公司 振动电机
CN111679734A (zh) * 2014-09-29 2020-09-18 Ck高新材料有限公司 触觉提供装置
KR101886711B1 (ko) * 2014-10-02 2018-08-09 주식회사 씨케이머티리얼즈랩 자성 촉각 제공 장치
GB2546449B (en) * 2014-12-15 2018-08-01 Jaguar Land Rover Ltd Acoustic baffle
KR101784472B1 (ko) * 2015-01-13 2017-10-11 주식회사 씨케이머티리얼즈랩 촉각 정보 제공 기기
KR20160149911A (ko) * 2015-06-19 2016-12-28 삼성전자주식회사 생체 정보 측정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US9918154B2 (en) * 2015-07-30 2018-03-13 Skullcandy, Inc. Tactile vibration drivers for use in audio systems, and methods for operating same
US10144320B2 (en) * 2015-09-29 2018-12-04 Lear Corporation Trim cover assembly with elastically deformable fasteners
JP6576225B2 (ja) * 2015-11-27 2019-09-18 クラリオン株式会社 車両用報知装置および車両用報知方法
GB2547235B (en) * 2016-02-11 2020-02-05 Jaguar Land Rover Ltd Haptic pedal
KR20170109275A (ko) * 2016-03-21 2017-09-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KR101790880B1 (ko) * 2016-04-29 2017-10-26 주식회사 씨케이머티리얼즈랩 촉각 액추에이터 및 그 제어 방법
KR101855335B1 (ko) * 2016-07-01 2018-05-08 주식회사 예일전자 차체를 이용하여 소리를 발생시키는 장치
DE102016121425A1 (de) * 2016-11-09 2018-05-09 Preh Gmbh Bedienelement mit haptisch bewegbarem Touchpad oder Touchscreen und magnetischer Rückstellung
DE102016226040A1 (de) * 2016-12-22 2018-06-28 Robert Bosch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in einem Kraftfahrzeug zum Fußgängerschutz
US10479234B2 (en) * 2017-06-26 2019-11-19 Faurecia Automotive Seating, Llc Actuator for an occupant support
JP2019214244A (ja) * 2018-06-11 2019-12-19 トヨタ紡織株式会社 乗物内装品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91028A (ja) * 2000-01-13 2001-07-17 Tokin Corp 振動アクチュエータ
WO2011055326A1 (en) * 2009-11-04 2011-05-12 Igal Firsov Universal input/output human user interface
US20140313128A1 (en) * 2011-01-31 2014-10-23 Apple Inc. Wrist-wor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s therefo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3976A (ko) * 2019-03-27 2020-10-07 (주)부품디비 Mre와 전자석을 이용한 근감각 액추에이터
KR102234430B1 (ko) 2019-03-27 2021-04-01 (주)부품디비 Mre와 전자석을 이용한 근감각 액추에이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46787A1 (en) 2017-11-22
KR20160087341A (ko) 2016-07-21
KR20210060389A (ko) 2021-05-26
KR102549513B1 (ko) 2023-06-30
KR102300912B1 (ko) 2021-09-13
KR20210100067A (ko) 2021-08-13
KR102202093B1 (ko) 2021-01-12
KR20170055942A (ko) 2017-05-22
KR20220032546A (ko) 2022-03-15
US20190241199A1 (en) 2019-08-08
KR102245419B1 (ko) 2021-04-29
KR20210100066A (ko) 2021-08-13
KR102359676B1 (ko) 2022-02-09
KR102373697B1 (ko) 2022-03-15
US20170372565A1 (en) 2017-12-28
KR102257849B1 (ko) 2021-05-28
US10204494B2 (en) 2019-02-12
EP3246787A4 (en) 2017-12-27
KR20160087322A (ko) 2016-07-21
KR20160087340A (ko) 2016-07-21
KR101784472B1 (ko) 2017-10-11
EP3731069A1 (en) 2020-10-28
EP3246787B1 (en) 2020-07-15
KR20160087323A (ko) 2016-07-21
CN107111343A (zh) 2017-08-29
CN112000222A (zh) 2020-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5745B1 (ko) 웨어러블 장치
US10559175B2 (en) Magnetic apparatus for providing tactile sensation
US11011032B2 (en) Method of supplying tactile information
KR102315579B1 (ko) 촉각 제공 장치
US11760375B2 (en) Haptic information provision device
KR101856461B1 (ko) 촉각 액추에이터
KR101735471B1 (ko) 촉각 정보 제공 모듈
KR102238029B1 (ko) 촉각 정보 제공 기기
KR101868527B1 (ko) 촉각 정보 제공 기기
US20190329707A1 (en) Seatbelt vibrating unit and seatbelt apparatus
KR20230120977A (ko) 이동 지원 장치 및 이동 지원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