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2305B1 - 웨어러블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웨어러블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2305B1
KR102112305B1 KR1020130105144A KR20130105144A KR102112305B1 KR 102112305 B1 KR102112305 B1 KR 102112305B1 KR 1020130105144 A KR1020130105144 A KR 1020130105144A KR 20130105144 A KR20130105144 A KR 20130105144A KR 102112305 B1 KR102112305 B1 KR 1021123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component
various embodiments
wearing part
electronic devic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51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26387A (ko
Inventor
백상인
천홍문
노대영
문희철
백인열
손종국
최진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051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2305B1/ko
Priority to CN201480047584.6A priority patent/CN105492976B/zh
Priority to PCT/KR2014/007834 priority patent/WO2015030438A1/en
Priority to EP14840741.4A priority patent/EP3042251A4/en
Priority to US14/472,777 priority patent/US9939787B2/en
Publication of KR201500263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63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23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23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17/00Structural details; Housings
    • G04G17/02Component assemblies
    • G04G17/04Mounting of electronic component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17/00Structural details; Housings
    • G04G17/08Housing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17/00Structural details; Housing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17/00Structural details; Housings
    • G04G17/02Component assemblies
    • G04G17/06Electric connectors, e.g. conductive elastomer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21/00Input or output devices integrated in time-pieces
    • G04G21/04Input or output devices integrated in time-pieces using radio wav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적어도 일부분과 연결되고, 상기 본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자 부품이 장착되는 실장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착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착용부는 외부 물체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거나 상기 적어도 일부에 부착되도록 형성되어, 착용부에 전자 부품을 분리 실장할 수 있기 때문에 공간 활용성이 높아지고, 전자 장치의 신뢰성이 확보되며, 본체와의 조립 구조가 향상될 수 있다.

Description

웨어러블 전자 장치{WEARABLE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은 웨어러블(wearable)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 들어, 전자 장치는 동일하거나 좀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면서 점차 소형화되고 슬림화되어 휴대하기 용이한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소형 전자 장치들은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주머니 등에 수납되어 휴대하기도 하지만, 손목에 착용하거나, 인체의 두부(head portion) 또는 팔에 착용하기도 한다.
인체 또는 각종 구조물에 착용 가능한(wearble) 장치는 대체적으로 전자 장치 본연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본체와, 본체에서 일정 길이로 인출되도록 배치되어 인체 또는 구조물에 고정시키기 위한 착용부(strap)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웨어러블 장치들은 단독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타 전자 장치에 종속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타 전자 장치에 종속되어 사용하는 경우, 근거리 통신 모듈에 의한 통신 방식이 채택될 수 있으며,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사용으로 인하여 타 전자 장치의 번거롭고 빈번한 사용을 절제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사용은 점점 확대되어가고 있는 추세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착용부 및 그것을 갖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오랜 기간 사용하더라도 신뢰성이 확보될 수 있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본체(main body)와 착용부(strap)의 견고한 연결 구조를 도모할 수 있도록 구현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전자 부품들을 착용부에 견고히 결합시킬 수 있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착용부에 전기적 연결 수단을 견고히 고정시킴과 동시에 유동성이 확보될 수 있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이 다양한 실시예들은 적어도 두 개의 기판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기판 장치 및 그것을 갖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전자 장치내에 구비된 적어도 두 개의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킴과 동시에 다수번 굴절됨은 물론, 접히는 연결부를 구성하여, 전자 장치내의 소자들의 설치 공간을 최소화하고, 이로 인해 전자 장치를 더욱 소형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자 장치의 디자인 제약을 방지할 수 있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전자 장치에 실장됨과 동시에 적어도 두 개의 기판을 결합시 연결부의 접힘을 가이드 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전자 장치의 조립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구현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적어도 두 개의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경우, 비교적 많은 신호 라인을 수용할 수 있도록 구현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를 제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버클(buckle) 장치 및 그것을 갖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체결 및 해제가 용이하도록 구현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전자 부품을 버클 장치에 분할 배치하여 전자 장치의 사용 편의성을 증대시키도록 구현된 웨어러블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공간 활용성이 향상되며, 미려한 외관을 가짐으로써 전자 장치에 대한 신뢰성 확보에 일조할 수 있도록 구현되는 버클 장치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적어도 일부분과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스트랩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트랩의 일부에 장착된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시계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착용부를 서로 연성이 다른 부재를 이중으로 구현함으로써 오랜 기간 사용하여도 전자 장치의 신뢰성이 확보되며, 본체와의 조립 구조가 향상되고, 착용부에 전자 부품들을 원활히 설치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로부터 연장된 착용부에 전자 부품으로 카메라 모듈 또는 스피커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배치함으로써 착용자에게 전자 장치의 사용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지지 부재를 이용하여 착용부를 형성함(forming)으로써, 카메라 모듈의 작동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두 개의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경우, 좀더 많은 신호 라인을 수용할 수 있으며, 조립성이 용이해지고, 공간 활용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체결 및 해제가 용이하며, 공간 활용성이 향상됨과 동시에 다양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고, 미려한 외관을 가짐으로써 전자 장치의 신뢰성 확보에 일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wearable) 전자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코어 부재(core member)의 평면도 및 배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가요성 인쇄회로(FPC; Flexible Printed Circuit)가 부착된 코어 부재의 평면도 및 배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코어 부재에 씰링 부재(sealing member)가 설치되는 상태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및 결합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코어 부재에 가요성 인쇄회로와 씰링 부재가 적용된 후, 사출된 밴드 부재(band member)의 평면도 및 배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착용부(strap)의 단면도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착용부와 본체와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착용부가 본체에 고정되는 각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코어 부재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착용감 향상을 위한 코어 부재 및 밴드 부재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a 내지 도 12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코어 부재에 전기적 연결 부재가 적용되는 예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기판이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본체에 설치되는 상태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에 적용되는 기판의 구성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기판이 웨어러블 전자 장치에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에 적용되는 기판의 접힌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본체에 적용되는 기판의 신호 라인을 도시한 요구 구성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에 의해 두 개의 기판이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기판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두 개의 기판이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본체에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본체에 포고 컨넥터가 설치되는 상태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도 21a 및 도 21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버클 장치의 하우징과 착용부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a 및 도 22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버클 장치의 하우징과 커버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버클 장치에 배치되는 로킹 장치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24a 및 도 24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버클 장치의 버클 링크의 작동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5a 및 도 25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버클 장치의 버클 링크의 작동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부품을 단속(locking)하기 위한 커버가 존재하지 않는 착용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7a 내지 도 27e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착용부에 전자 부품이 적용되는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웨어러블(wearable) 전자 장치는 본체(main body)와 본체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착용부(strap)를 포함하는 다양한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착용부에 의해 인체 또는 특정 구조물에 착용되는 다양한 장치에 적용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인체의 손목, 팔, 두부(頭部)(head portion) 등 다양한 위치에 착용 또는 패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인체가 아니더라도, 특정 구조물 등에 착용부에 의해 고정되는 다양한 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단독으로 사용 가능하거나, 타 전자 장치와 연계되어 사용 가능한 다양한 형태의 웨어러블 전자 장치일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통신 모듈에 의해 타 전자 장치와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출력 정보를 타 전자 장치로 출력시키거나, 타 전자 장치의 출력 정보를 수신하여 대신 출력하거나, 타 전자 장치와 동시에 출력 정보를 출력할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출력 정보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하여 시각적으로 출력되거나, 스피커 장치를 통하여 청각적으로 출력되거나, 진동 등에 의하여 촉각적으로 출력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은 근거리 통신 모듈일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근거리 통신 모듈은 WiFi 통신 모듈, 블루투스 통신 모듈, 적외선 통신 모듈, NFC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웨어러블 전자 장치에 관하여 기술하고 있으나, 전자 장치가 아니더라도, 본 발명에 따른 착용부가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일반 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적어도 두 개의 기판이 연결부에 의해 서로 폴딩이 가능하도록 구현되고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이러한 구성은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본체에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웨어러블 전자 장치가 아닌 일반 전자 장치, 예를 들어,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랩탑 컴퓨터(Laptop Computer), 모바일 폰(Mobile Phone), 스마트폰(Smart Phone), 넷북(Netbook), 휴대 인터넷 장치(MID: Mobile Internet Device), 울트라 모바일 PC(UMPC: Ultra Mobile PC),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네비게이션, MP3, 전자 시계 등 적어도 두 개의 기판이 분리 적용되어야 하는 다양한 전자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본체와 본체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착용부 및 적어도 하나의 착용부의 단부에 구비되는 버클 장치(buckle)를 포함하는 다양한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웨어러블 전자 장치에 관하여 기술하고 있으나, 전자 장치가 아니더라도, 본 발명에 따른 착용부 및 착용부의 단부에 적용되는 버클 장치를 포함하는 다양한 일반 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설명에 따라서, 착용부, 스트랩, 연결체 등으로 기술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은 본체를 외부 물체에 고정시키며, 적어도 하나의 전자 부품을 수용할 수 있는 구조체로써 동일한 구성 요소이며, 서로 대체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wearable) 전자 장치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는 인체의 손목에 착용할 수 있는 와치 타입(watch type) 전자 장치를 개시하고 이에 대하여 설명할 것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웨어러블 전자 장치(1)는 본체(main body)(2)와 본체(2)의 양단에서 각각 고정되는 착용부(10, 10')를 포함할 수 있다. 착용부는,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 이상이 될 수 있다. 예컨대, 착용부가 하나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본체의 일단에서 연결되는 착용부는 중간에 끊어짐 없이 본체의 타단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착용부가 복수 개(예: 2개)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복수 개의 착용부는 일체로서 서로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도 1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한 쌍의 착용부(10, 10')가 일 예로서 도시되었다. 본체(2)에는 디스플레이 장치(3)가 설치될 수 있고, 착용부(10, 10') 중 적어도 하나에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1)의 기능을 사용하기 위한 전자 부품들이 설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3)는 데이터 입출력을 함께 수행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 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부품들은 카메라 장치(5)와, 스피커 장치(6)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장치(5)는, 예를 들면, 착용부에 일 부분(예: 본체와 일정 간격 이격된 착용부의 도중(途中) 부분)에 실장될 수 있으며, 스피커 장치(6)는 착용부의 단부에 설치될 수 있다. 미도시되었으나, 이러한 전자 부품들로는 마이크 장치, 안테나, 인체 상태 및 주변 상황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 장치 등 다양한 장치들이 더 부가될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한 쌍의 착용부(10, 10') 중 하나의 착용부(10)의 단부에는 버클 장치(4)가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체(2)를 손목에 착용하고자 할 경우, 한 쌍의 착용부(10, 10')를 손목에 감는 방식으로 돌려서 하나의 착용부(10)의 버클 장치(4)에 나머지 하나의 착용부(10')를 체결하는 방식으로 손목에 착용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웨어러블 전자 장치(1)는 하나의 착용부(10)에 설치된 버클 장치(4)를 나머지 하나의 착용부(10')에 형성된 다수의 개구 중 적어도 하나에 체결하는 방식으로 두 착용부(10, 10')를 연결시킬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2)의 양단에 한 쌍의 착용부(10, 10')가 대향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고정되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하나의 착용부가 본체의 일측에서 연장되도록 설치되고, 손목에 감긴 후, 본체(2)의 타측에 고정되는 방식으로 적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착용부(10, 10')는 서로 다른 강도의 연성을 갖는 재질을 이중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착용부(10, 10')는 제 1 연성을 가지는 재질을 코어 부재(core member)(도 2의 11)로 사용하며, 제 2 연성을 가지는 재질을 이용하여 코어 부재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싸는 방식으로 밴드 부재(band member)(도 2의 13)를 형성하여 제작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연성은 제 2 연성보다 작을 수 있다. 이후 상기 코어 부재(core member)는 이후 제 1 부재, 상기 밴드 부재는 제 2 부재로 표현하기도 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밴드 부재로 사용되는 상대적으로 연성이 큰 부재는 자체 탄성을 보유하며, 착용부(10, 10')의 외관을 형성하기 때문에 우수한 착용감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휘어지는 정도를 조절하여 다양한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밴드 부재로는 우레탄, 실리톤, 러버, TPU 또는 TPSiV 중 적어도 하나의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코어 부재로 사용되는 상대적으로 연성이 작은 부재는 단단한(rigid)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착용부(10, 10')는 밴드 부재가 코어 부재의 적어도 일부분을 감싸는 방식으로 형성되며, 착용부의 전자 부품들이 장착되는 부분 또는 본체와 결합되는 부분만을 노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단단한 재질로 형성된 코어 부재의 노출된 부분에 전자 부품들이 장착되기 때문에 전자 부품의 견고한 고정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단단한 재질로 형성된 코어 부재의 노출된 부분이 본체에 결합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착용부의 견고한 고정으로 전자 장치의 작동 신뢰성을 보장받을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코어 부재는 PC(polycarbonate), TR90(Grilamid TR90) 등의 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코어 부재는 금속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금속으로 형성된 코어 부재는 SUS 또는 알루미늄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하, 웨어러블 전자 장치(1)의 착용부(10)의 구조를 상세히 기술할 것이며, 도 1의 한 쌍의 착용부(10, 10') 중 하나의 착용부(10)의 구조를 도시하고 기술할 것이다. 예컨대, 나머지 하나의 착용부(10') 역시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2)는 상부 케이스 프레임(21)과 하부 케이스 프레임(22)으로 구성되며, 별도의 체결 구조에 의해 상호 조립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2)는 상부 케이스 프레임(21)과 하부 케이스 프레임(22)의 조립에 의해 수용 공간이 확보되며, 수용 공간 내에 기판 장치(도 13의 23) 등 다양한 전자 부품들(electronic function group)이 실장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 케이스 프레임(21)과 하부 케이스 프레임(22)은 자체 로킹 구조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 케이스 프레임(21)과 하부 케이스 프레임(22)은 스크류(screw)와 같은 별도의 체결 수단에 의해 조립될 수도 있다. 이하, 본체에 설치되는 기판 장치(13)에 대하여 상세히 후술될 것이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착용부(10)는 코어 부재(11)와, 코어 부재(11)에 설치되며 전기적 연결 수단으로 사용되는 가요성(可撓性) 인쇄회로(FPC; Flexible Printed Circuit)(12) 및 가요성 인쇄회로(12)가 부착된 코어 부재(11)의 적어도 일부분을 감싸도록 배치되며, 착용부(10)의 외관을 형성하는 밴드 부재(13)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밴드 부재(13)를 통하여 코어 부재(11)에 설치되며, 가요성 인쇄회로(1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자 부품으로 사용되는 카메라 모듈(51)과, 카메라 모듈(51)을 장착 후에 마감재로 사용되는 커버(14)와, 밴드 부재(13)의 단부에 노출된 컨넥터(12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버클 장치(4)에 배치되는 스피커 장치(6)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코어 부재(11)는 비교적 폭이 넓게 형성되어 카메라 모듈이 장착되는 코어 바디(111)와, 코어 바디(111)에서 연장되며 상대적으로 폭이 좁은 코어 연장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착용부(10)의 특성상 본체와 고정된 부분에서 멀어질수록 휘어짐을 더 받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단단한 재질의 코어 부재는 본체에서 멀어질수도록, 즉, 코어 연장부(112) 방향으로 폭을 좁게 형성시키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코어 바디(111)에는 밴드 부재(13)와의 사출시 형상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보강 와셔(113)가 더 설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보강 와셔(113)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촬영을 위한 렌즈 관통구(도 3a의 1131)가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보강 와셔(113)는 코어 부재(11) 성형 시, 인서트 몰딩(insert molding) 방식으로 코어 바디(111)에 고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가요성 인쇄회로(12)는 코어 부재(11)의 코어 바디(111)에 부착되도록 대응 형상으로 형성되는 회로 바디(121)와, 회로 바디(121)에서 일정 길이로 연장되어 코어 연장부(112)에 부착되는 회로 연장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가요성 인쇄회로(12)는 회로 바디(121)에서 회로 연장부와 대향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밴드 부재의 최종 사출 시,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1컨넥터(1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컨넥터(123)는 착용부(10)가 본체(2)에 결합될 때, 본체(2)의 내측으로 인입되어 본체(2)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회로 바디(121)는 중공 부분(125)을 가지며, 중공 부분(125)의 내측으로 인출되는 제2컨넥터(126)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컨넥터(126)는 회로 바디(121)가 코어 바디(111)에 부착될 경우, 코어 바디(111)의 배면(도 3b의 119)으로 관통되는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컨넥터(126)는 코어 부재(11)의 코어 바디(111)를 관통하여 배면으로 노출되며 카메라 모듈(51)의 카메라 컨넥터(51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회로 연장부(122)의 단부에는 제3컨넥터(124)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제3컨넥터(124)는 밴드 부재(13)가 코어 부재(12)를 감싸도록 사출될 경우, 외측으로 노출되며, 버클 장치(4)에 배치된 스피커 장치(6)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커버(14)는 밴드 부재(13)를 통하여 코어 부재(12)에 장착된 카메라 모듈(51)을 단속하기 위하여 밴드 부재(13)의 배면(6b의 103)에 설치되나, 실질적으로는 코어 부재(11)와 결합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커버(14)는 코어 부재(11)에 결합되면서 밴드 부재(13)의 외면과 동일한 질감 및 평면감을 갖기 위하여 밴드 부재(13)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커버(14)는 코어 부재(11)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씰링 부재(sealing member)(114)는 코어 바디(111)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씰링 부재(114)는 가요성 인쇄회로(12)의 제2컨넥터(126)가 관통되는 부분을 밀폐시키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씰링 부재(114)는 가요성 인쇄회로(12)가 부착된 코어 바디(111)의 상부에 조립된 상태에서 밴드 부재(13)에 의해 사출되는 방식으로 조립될 수 있다.
이하, 각각의 부재에 대하여 상세히 기술하고자 한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코어 부재(core member)의 평면도 및 배면도이다.
도 3a를 참고하면, 코어 부재(11)는 상대적으로 폭이 넓으며, 카메라 모듈(51)을 수용하기 위한 코어 바디(111)와, 코어 바디(111)에서 일정 길이로 연장 형성되며, 상대적으로 폭이 좁은 코어 연장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코어 바디(111)와 코어 연장부(112)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코어 바디(111)에는 금속 재질의 보강 와셔(113)를 코어 바디(111) 사출시 함께 인서트 몰딩시켜 사출함으로써, 코어 바디(111)에 밴드 부재(13)를 사출하거나, 착용부(10)가 본체(2)에 고정되어 휘어지는 등의 동작을 수행할 경우, 변형을 방지하고 카메라 모듈(51)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한 변형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코어 바디(111)에는 일정 간격을 가지고 상방향으로 돌출된 한 쌍의 본체 연결 돌기(116)가 형성될 수 있다. 본체 연결 돌기(116)에는 고정홀(1161)이 더 구비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 연결 돌기(116)는 하부 케이스 프레임(22)에 형성된 돌기 관통홀(도 8a의 223)을 관통하여 조립되며, 고정홀(1161)은 돌기 관통홀내에서 노출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부 케이스 프레임(21)에 형성된 삽입 돌기(도 8b의 211)가 고정홀에 삽입됨으로써, 결과적으로 상, 하부 케이스 프레임(21, 22)의 조립에 의해 본체 연결 돌기(116)는 본체(2)에 견고히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결합 관계는 더욱 상세히 후술될 것이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한 쌍의 본체 연결 돌기(116) 사이에는 회로 지지 돌기(117)가 돌출 형성된다. 회로 지지 돌기(117)는 가요성 인쇄회로(12)의 회로 바디(121)에서 제1컨넥터(123)까지의 부분을 지지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회로 지지 돌기(116)는 제1컨넥터(123)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이 밴드 부재(13)에 의해 감싸는 방식으로 사출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코어 바디(111)에는 적어도 하나의 회로 관통홀(118)이 형성되며, 코어 부재(11)의 전면(115)에 부착된 가요성 인쇄회로(12)의 제2컨넥터(126)가 관통되어 코어 부재(11)의 배면(119)의 유닛 장착 공간(1111)에 위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코어 연장부(112)에는 다수의 지지홀(1121)이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다수의 지지홀(1121)은 밴드 부재(13)의 이중 사출 시, 코어 부재(11)의 유동을 방지하고, 밴드 부재(13)가 코어 부재에 견고히 사출되도록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코어 연장부(112)의 단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구(1123)가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관통구(1123)는 코어 연장부(112)의 단부가 버클 장치(4)의 하우징내에 인입되었을 때, 스크류 체결을 위한 관통구로써 사용될 수 있다.
도 3b를 참고하면, 코어 부재(11)의 배면(119)에는 카메라 모듈(51)을 장착하기 위한 유닛 장착 공간(1111)이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유닛 장착 공간(1111)에는 가요성 인쇄 회로(12)의 제2컨넥터(126)가 코어 부재(11)의 전면(115)으로부터 인입되어 노출되도록 배치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가요성 인쇄회로(FPC; Flexible Printed Circuit)가 부착된 코어 부재의 평면도 및 배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를 참고하면, 코어 부재(11)의 전면(115)에 가요성 인쇄회로(12)가 부착되는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가요성 인쇄회로(12)의 회로 바디(121)는 코어 부재(11)의 코어 바디(111)에 부착되며, 회로 연장부(122)는 코어 연장부(112)에 대응 부착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가요성 인쇄회로(12)는 코어 부재(11)에 양면 테잎에 의해 부착될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가요성 인쇄회로(12)는 코어 부재에 별도의 접착 수단에 의해 본딩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가요성 인쇄회로(12)의 회로 바디(121)에서 상방향으로 연장된 제1컨넥터(123)까지 코어 부재(11)의 회로 지지 돌기(117)에 부착되는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회로 연장부(122)와 코어 연장부(112)는 대체적으로 동일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코어 부재(11)의 배면(119)에 형성된 유닛 장착 공간(1111)에는 제2컨넥터(126)가 노출되는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제2컨넥터 역시 유닛 장착 공간(1111)의 적소에 부착되는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코어 바디(111)에 부착된 가요성 인쇄회로(12)의 회로 바디(121) 부분에는 패턴 방식으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방사체가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이러한 안테나 방사체는 도 4a의 A부분 및/또는 B부분에 배치될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방사체는 A, B부분 이외의 가요성 인쇄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여타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방사체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와 타 전자 장치간의 통신을 위한 근거리 통신용 안테나 방사체일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방사체는 블루투스 통신용 안테나 방사체, WiFi 통신용 안테나 방사체 또는 NFC 통신용 안테나 방사체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코어 부재에 씰링 부재(sealing member)가 설치되는 상태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및 결합도이다.
도 5a 및 도 5b를 참고하면, 가요성 인쇄회로(12)가 부착된 코어 부재(11)의 상면에 씰링 부재(114)가 더 설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씰링 부재(114)는 회로 바디(121)가 부착된 코어 바디(111)의 상부에 부착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씰링 부재(114)는 코어 부재(11)의 코어 바디(111)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회로 관통홀(1151, 1152)을 밀폐시키기 위하여 설치될 수 있다. 이는 밴드 부재(13)를 코어 바디(11)에서 이중 사출할 때,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밴드 부재(13)는 가요성 인쇄회로(12)가 부착되고, 그 상부에 씰링 부재(114)가 결합된 상태에서 코어 부재(11)의 전면(115)을 1차 사출하고, 1차 사출된 코어 부재(11)의 배면(119)을 2차 사출하여 하나의 부재(착용부)로써 완성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씰링 부재(114)는 1차 사출 또는 2차 사출시, 코어 바디(111)에 형성된 회로 관통홀(1151, 1152)을 통하여 사출물이 반대편(코어 부재의 배면에 형성된 유닛 장착 공간의 내부)으로 흘러들어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씰링 부재(114)는 코어 바디(111)의 전면(115)에 적층되는 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씰링 부재(114)에는 적어도 하나의 밀폐용 돌기(1142)가 형성되어, 코어 바디(111)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대응 회로 관통홀(1151, 1152)을 밀폐시킴으로써 이중 사출시 사출물의 누설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씰링 부재(114)에는 적어도 하나의 조립홀(1143)에 형성되어 있으며, 코어 바디(111)의 대응 위치에는 조립홀(1143)에 삽입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조립 돌기(1153)가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코어 바디(111)에 적어도 하나의 조립홀이 형성되고, 씰링 부재(114)에 적어도 하나의 조립 돌기가 형성될 수도 있다. 조립 돌기(1153)와 조립홀(1143)은 억지 끼움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으며, 조립 돌기(1153)가 조립홀(1143)에 안착되거나, 관통되는 방식으로 조립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술한 씰링 부재(114)는 밴드 부재(13) 이중 사출시 코어 부재(11)의 제1면에서 제2면으로의 사출물 누설을 방지함과 동시에 코어 부재(11)에 설치된 카메라 모듈(51)의 안정적인 동작 수행을 위한 강성 보강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코어 부재에 가요성 인쇄회로와 씰링 부재가 적용된 후, 사출된 밴드 부재(band member)의 평면도 및 배면도이다.
도 6a 및 도 6b를 참고하면, 코어 부재(11)보다 연성 재질의 밴드 부재(13)가 코어 부재(11)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밴드 부재(13)는 코어 부재(11)의 전면(115)을 1차 사출한 후, 코어 부재(13)의 배면(119)을 2차 사출하는 이중 사출 방식으로 하나의 밴드 부재(13)로써 형성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밴드 부재(13)는 코어 부재(11) 중 적어도 일부분이 노출되는 방식으로 사출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밴드 부재(13)는 코어 부재(11)의 본체 연결 돌기(116)를 노출시키는 방식으로 사출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밴드 부재(13)는 후면(103)에 코어 부재(11)의 유닛 장착 공간(1111) 및 유닛 장착 공간(1111)을 이루는 코어 부재(11)의 배면(119) 일부를 노출시키는 방식으로 사출될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밴드 부재(13)는 코어 부재(11)의 코어 연장부(112)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방식으로 사출될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밴드 부재(13)는 코어 부재(11)에 장착된 가요성 인쇄회로(12)의 적어도 컨넥터들(123, 126, 124)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사출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밴드 부재(13)는 가요성 인쇄회로(12)의 제1, 2, 3컨넥터(123, 126, 124)를 지지하고 있는 코어 부재(11)의 해당 부분까지 노출되는 방식으로 사출될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밴드 부재(13)는 전면(101)에 보강 와셔(113) 및 이를 지지하는 코어 부재(11)의 전면(115)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가요성 인쇄회로(12)의 제1컨넥터(123)는 본체에 인입되어 본체(2)에 배치되는 기판 장치(2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2컨넥터(126)는 착용부 중에 노출되는 방식으로 배치되어 카메라 모듈(51)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제3컨넥터(124)는 코어 연장부(112)와 함께 단부에 노출되어 버클 장치(4)에 배치되는 스피커 장치(6)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밴드 부재(13)에서 노출된 한 쌍의 본체 연결 돌기(116) 사이에는 회로 안내 돌기(102)가 형성될 수 있다. 회로 안내 돌기(102)는 제1컨넥터(123)를 제외하고는 코어 부재(11)의 회로 지지 돌기(117)와 이에 부착된 가요성 인쇄회로(12)를 모두 감싸는 방식으로 밴드 부재(13)에서 연장되도록 사출될 수 있다. 회로 안내 돌기(102)는 외주면을 따라 돌출되도록 형성된 링형 돌기(102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링형 돌기(1021)를 포함하는 회로 안내 돌기(102)는 본체(2)의 안내 돌기 장착홈(도 8b의 221)에 억지 끼움 방식으로 긴밀히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링형 돌기(1021)는 안내 돌기 장착홈을 통하여 본체 내부로 물이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는 링형 돌기(1021)를 포함하는 회로 안내 돌기(102)가 모두 밴드 부재(13)와 동일한 탄성 재질(예를 들어, 우레탄 재질)로 형성되는 것에 기인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착용부(strap)의 단면도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착용부와 본체와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고하면, 착용부(10)는 코어 부재(11)와 코어 부재(11)에 부착된 가요성 인쇄회로(12)를 이중 사출한 밴드 부재(13)가 실질적으로 외관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밴드 부재(13)는 코어 부재(11)의 전면(115)에 인서트 사출된 보강 와셔(113)를 노출시킬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밴드 부재(13)는 코어 부재(11)의 배면(119)에 형성된 유닛 장착 공간(1111) 및 유닛 장착 공간(1111)을 이루는 코어 부재(11)의 테두리 부분을 노출시킬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밴드 부재(13)는 코어 부재(11)의 전면에서 회로 관통홀(1151)을 통하여 유닛 장착 공간(1111)까지 관통된 가요성 인쇄회로(12)의 제2컨넥터(126) 역시 노출시킬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밴드 부재(13)는 코어 부재(11)의 코어 연장부(112) 및 코어 연장부(112)에 부착된 가요성 인쇄회로(12)의 회로 연장부(122)의 단부에 형성된 제3컨텍터(124) 역시 노출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밴드 부재(13)의 배면(119)에 배치된 유닛 장착 공간(1111)에 카메라 모듈(51)을 수용시킬 수 있다. 이때, 카메라 모듈(51)의 카메라 컨넥터(511)는 유닛 장착 공간(1111)에 노출된 가요성 인쇄회로(12)의 제2컨넥터(126)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51)이 장착된 후, 유닛 장착 공간(1111)은 커버(14)에 의해 마감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커버(14)는 유닛 장착 공간(1111)의 노출된 코어 부재(11)에 고정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커버(14)는 코어 부재(11)와 같은 재질일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커버(14)는 밴드 부재(13)와 같은 재질일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커버(14)는 유닛 장착 공간(1111)에 장착될 경우, 방수 처리가 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커버(14)는 유닛 장착 공간(1111)에 장착될 경우, 밴드 부재(13)의 배면(103)에서 적어도 돌출되지 않는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보강 와셔(113)의 상부에는 투명 재질의 카메라 윈도우(15)가 설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윈도우(15)는 보강 와셔(113)에 부착되는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윈도우(15)는 보강 와셔(113)와 일정 간격을 가지며, 밴드 부재(13)에 부착되는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윈도우(15)는 밴드 부재(13)에 방수 처리되어 부착될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윈도우(15)는 합성 수지 재질 또는 글라스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밴드 부재(13)에서 돌출된 한 쌍의 본체 연결 돌기(116)는 본체(2)의 하부 케이스 프레임(22)에 형성된 돌기 관통홀(223)을 관통하는 방식으로 조립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돌기 관통홀(223)에는 본체 연결 돌기(116)의 고정홀(1161)이 노출되는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2)의 상부 케이스 프레임(21)이 하부 케이스 프레임(22)에 고정될 때, 상부 케이스 프레임(21)의 대응 위치에 돌출된 삽입 돌기(211)가 본체 연결 돌기(116)의 고정홀(1161)에 안착되는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 케이스 프레임(21)의 삽입 돌기(211)는 본체 연결 돌기(116)의 고정홀(1161)을 관통하여 하부 케이스 프레임(22)에 형성된 안착홈(222)에 안착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 연결 돌기(116)는 코어 부재(11)에서 연장 형성되나, 이를 배제시키고, 코어 부재(11)에 본체 연결 돌기(116)와 동일한 형상의 별도의 부재를 코어 부재(11) 사출시 인서트 몰딩 방식으로 사출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본체 연결 돌기(116)는 별도의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 케이스 프레임(21)에 형성된 삽입 돌기(211)를 배제시키고, 상부 케이스 프레임(21)에 스크류 홀을 형성하여, 상부 케이스 프레임(21)의 스크류 홀에서 본체 연결 돌기(116)의 고정홀(1161)을 통하여 하부 케이스 프레임(22)의 안착홈(222)까지 스크류 체결에 의해 고정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본체 연결 돌기(116)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스크류 체결구를 갖는 별도의 금속 부재가 코어 부재(11)에 인서트 몰딩되는 방식으로 사출될 수도 있다.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밴드 부재(13)에 돌출된 한 쌍의 본체 연결 돌기(116)가 하부 케이스 프레임(22)의 돌기 관통홀(223)에 관통됨과 동시에 밴드 부재(13)의 회로 안내 돌기(102) 역시 본체(2)의 하부 케이스 프레임(22)에 형성된 안내 돌기 장착홈(221)에 장착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 연결 돌기(116)를 수용하기 위한 하부 케이스 프레임(22)의 돌기 관통홀(223)은 본체(2)의 내부 공간과 격리된 상태를 유지하여 방수, 방진, 방오 등에 유리하지만, 회로 안내 돌기(102)를 수용하기 위한 하부 케이스 프레임(22)의 안내 돌기 장착홈(221)은 본체(2)의 내부 공간과 연통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이는 회로 안내 돌기(102)는 가요성 인쇄회로(12)의 제1컨넥터(123)를 지지하고 있으며, 제1컨넥터(123)는 본체 내부 공간에 인입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야 하는 것에 기인한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컨넥터(123)는 본체 내부의 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회로 안내 돌기(102)는 밴드 부재(13)가 연장된 형태로 형성되며, 외주면을 따라 링형 돌기(1021)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회로 안내 돌기(102)가 하부 케이스 프레임(22)의 안내 돌기 장착홈(221)에 장착되면, 링형 돌기(1021)는 안내 돌기 장착홈(221)의 내주면에 타이트하게 억지끼움되기 때문에 방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회로 안내 돌기(102) 및 링형 돌기(1021)는 비교적 연성 재질의 밴드 부재(13)가 연장되어 사출되기 때문에 방수 기능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착용부(10)는 일정 곡률로 휘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내부에 위치한 가요성 인쇄회로(12)는 코어 부재(11)의 지지를 받아 단선 또는 변형이 방지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밴드 부재(13)의 내부에 이중 사출된 비교적 단단한 재질의 코어 부재(11)가 본체(2)에 고정되기 때문에 착용부(10)를 본체(2)에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이는 오랜 기간 사용하여도 웨어러블 전자 장치(1)의 신뢰성 확보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밴드 부재(13)의 적소에 본체(2)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가요성 인쇄회로(12)가 장착된 코어 부재 중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키고, 해당 영역에 다양한 전자 부품들을 본체와 이격시켜 설치하기 때문에, 본체의 부피 증가를 방지할 수 있고 전자 장치의 디자인 설계 제약을 미연에 방지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착용부가 본체에 고정되는 각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고하면, 웨어러블 전자 장치(1)는 본체와 본체에서 양 방향으로 각각 연결된 착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착용부(10, 10')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를 손목에 착용하였을 경우, 착용자의 신체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되는 제1착용부(10)와, 착용자의 신체 방향으로 연장되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장치(도 1의 3)의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되는 제2착용부(도 1의 10')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장치(5)는 제1착용부에 설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장치(5)는 제1착용부(10)에 설치되되, 외측 방향의 피사체 촬영이 용이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착용부(10)는 본체(2)의 디스플레이 장치(3)의 면과, 카메라 장치(5)의 카메라 윈도우가 이루는 연장 각도 θ가 60° ~ 120°의 범위를 갖도록 본체에서 설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착용부(10)는 본체(2)에서 90°의 각도를 갖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코어 부재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a 내지 도 10c를 참고하면, 코어 부재(1)는 전자 부품으로써 카메라 모듈이 설치되는 유닛 장착 공간(1111)을 포함하는 코어 바디(111)와, 코어 바디(111)에서 연장되는 코어 연장부(112) 및 코어 바디(111)에서 본체 장착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본체 연결 돌기(116)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 연결 돌기(116)와 코어 바디(111)가 연결되는 부분에 코어 리세스(core recess)(1112)가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코어 리세스(1112)는 착용부의 본체와 연결되는 가장 힘을 많이 받는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코어 리세스(1112)는 본체와의 연결이 시작되는 부분에서 전자 부품이 설치되는 코어 바디(111)까지 형성될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코어 리세스(1112)는 코어 부재(11)의 두께가 얇아 지는 방향으로 살빼기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코어 리세스(1112)는 코어 부재(11)의 두께가 얇아지는 방향으로 형성시키되, 만곡진 곡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코어 리세스는 곡형이 아닌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코어 부재(11)에 코어 리세스(1112)를 형성함으로써 웨어러블 전자 장치를 착용부를 이용하여 손목에 착용할 경우, 손목의 굵기가 다른 다양한 사용자에게 모두 우수한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착용감 향상을 위한 코어 부재 및 밴드 부재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a를 참고하면, 코어 리세스(1112)가 형성된 코어 부재(11)에 밴드 부재(13)를 이중 사출하여 착용부(10)를 구성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코어 리세스(1112)는 착용부(10)의 본체와 연결이 시작되며 본체 연결 돌기(116)를 포함하는 구간 d1부터 시작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코어 리세스(1112)는 본체 연결 돌기(116)가 시작되는 부분부터 착용부(10)의 전자 부품이 장착되는 코어 바디(111)까지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코어 리세스(1112)가 형성되는 부분의 착용부(10)의 두께 d2를 기존의 두께 보다 상대적으로 줄여서 형성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착용부(10) 중 힘을 가장 많이 받는 부분의 두께 d2와 일반 밴드 부분(코어 연장부와 상응하는 부분)의 두께 d3의 두께 차는 10% 범위내에서 결정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d2의 두께가 d1의 두께보다 두껍거나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1b를 참고하면, 착용부(10)의 가장 힘을 많이 받는 부분인 C부분 역시 코어 리세스(1112)와 동일한 방식으로 밴드 부재(13)에 밴드 리세스(band recess)(1302)를 형성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밴드 리세스(1302)는 코어 리세스(1112)와 상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밴드 리세스(1302)는 코어 리세스(1112)와 서로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밴드 리세스(1302)는 코어 리세스(1112)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때, 밴드 부재(13)의 외면과 코어 부재(11)의 외면이 동일한 거리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밴드 리세스(1301)는 밴드 부재(13)의 외면과 코어 부재(11)의 외면이 동일하지 않은 거리를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밴드 리세스(1302)는 코어 부재 방향으로 만곡진 곡형으로 형성되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밴드 리세스(1302)는 코어 부재 방향으로 살빼기 방식으로 형성되나, 만곡진 곡형이 아닌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밴드 부재(13)에는 일정 간격으로 외면을 따라 그루브(groove)를 형성하여 착용부의 유연성(flexibility)를 보조할 수도 있다.
도 12a 내지 도 12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코어 부재에 전기적 연결 부재가 적용되는 예시도이다.
본 도면을 설명함에 있어서, 코어 부재(11) 및 가요성 인쇄회로(12)의 선행된 구성 요소에 대하여 부호화 하였으나, 설명의 편의상 기술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 요소들은 동일한 참조 부호를 갖는 선행된 구성 요소들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고 있음은 자명하다.
도 12a 및 도 12b를 참고하면, 코어 부재(11)는 전자 부품이 설치되는 코어 바디(111)와, 코어 바디(111)에서 연장되는 코어 연장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코어 바디(111)에는 전기적 연결 부재로써 가요성 인쇄회로(12)가 코어 부재(11)의 형상과 대체적으로 상응하는 형상으로 코어 부재(11)의 일면 또는 일면과 대향면에 함께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코어 부재(11)에 밴드 부재가 사출되어 착용부로써 동작할 때, 코어 바디(111)는 휘어짐이 적으나, 상대적으로 코어 연장부(112)로 향할수록 휘어짐이 많아진다. 따라서, 코어 연장부(112)는 웨어러블 장치를 손목에 착용하거나 분리시킬 때 상당히 다양한 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코어 연장부(112)의 휘어짐에 의해 그 상부에 배치되어 있는 가요성 인쇄회로(12)의 회로 연장부(127, 128) 역시 함께 휘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회로 연장부(127, 128)와 코어 연장부(112)는 사출된 밴드 부재의 내부에서 고정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코어 연장부(112)의 휘어짐에 의해 회로 연장부(127, 128)에 외력이 인가되며, 잦은 휘어짐으로 인한 피로 누적으로 단선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회로 연장부(127, 128)는 지그재그(zigzag) 방식으로 형성될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지그재그 방식으로 형성된 회로 연장부는 코어 연장부(112)의 휘어짐에 대응할 수 있는 충부한 여유 길이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회로 연장부(127, 128)의 지그재그 방식으로 형성되는 각도는 25도 ~ 80도의 범위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회로 연장부는 40도의 각도 가지며 반대 방향으로 교번하여 연장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 12a는 회로 연장부(127)의 지그재그 방식의 각도 θ2가 70도이며, 도 12b의 회로 연장부(128)의 지그재그 방식의 각도 θ3는 40도의 각도로 교번하여 연장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 12c와 같이, 전기적 연결 부재로써 가요성 인쇄회로(12)와 세선 케이블(16)이 함께 적용될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가요성 인쇄회로(12)는 코어 부재(11)의 회로 지지 돌기(117)에서부터 코어 바디(111)까지 연장되며, 코어 바디(111)에서 코어 연장부(112)까지는 세선 케이블(16)이 역시 지그재그 방식으로 서로 다른 방향으로 교번하여 제4컨넥터 부분(163)까지 연장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세선 케이블(16)은 코어 바디(111)에 배치되는 케이블 바디(161)와 코어 연장부(112)까지 연장되는 케이블 연장부(162)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세선 케이블(16)의 케이블 연장부(162)는 코어 연장부(112)에 일정 간격으로 돌출 형성된 다수의 지지 돌기(1122)에 걸리는 방식으로 가이드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가요성 인쇄회로(12) 또는 세선 케이블(16)과 같은 전기적 연결 부재는 코어 바디(11)의 유닛 장착 공간(1111)을 양쪽으로 우회하거나 한쪽으로 우회하여 코어 연장부(112) 방향으로 진입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회로 연장부(127, 128) 또는 케이블 연장부(162)를 지지하는 코어 연장부(112)는 지그재그 형상의 회로 및 케이블 연장부(127, 128, 162)와 상응한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이와 관계없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기판이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본체에 설치되는 상태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13을 참고하면, 본체(2)는 상부 케이스 프레임(21)과 하부 케이스 프레임(22)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 케이스 프레임(21)과 하부 케이스 프레임(22)은 자체 로킹 구조에 의해서 결합되거나, 스크류 등의 체결 수단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 케이스 프레임(21)과 하부 케이스 프레임(22)이 이루는 공간에는 다수의 전자 부품들(electronic function group)을 수용하기 위한 기판 장치(23)가 설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기판 장치(23)로는 상부 케이스 프레임(21)에 제1기판(231)이 설치될 수 있고, 하부 케이스 프레임(22)에 제2기판(232)이 설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기판(231)은 본체(2)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위한 LCD 모듈, 터치 센서 등이 실장되는 메인 기판으로 활용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기판(232)은 배터리 충전 및 데이터 송수신을 위하여 본체에 포고 핀이 노출될 수 있도록 실장되는 포고 컨넥터, 상술한 착용부에서 인출된 가요성 인쇄회로(12)의 제1컨넥터(123)를 수용하기 위한 단자 컨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기판(231)과 제2기판(232)은 일정 길이의 연결부(233)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부(233)는 일정 간격으로 절곡되어 중첩되는 방식으로 본체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기판(231)과 제2기판(232)은 다수번 폴딩되는 방식으로 배치되는 연결부(233)에 의해 서로 수직으로 이격되나,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에 적용되는 기판의 구성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기판이 웨어러블 전자 장치에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도 14 및 도 15를 참고하면, 기판 장치(23)는 제1기판(231)과 제2기판(232) 및 제1기판과 제2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일정 길이의 연결부(233)를 포함한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부(233)는 신호 패턴을 포함하는 가요성 인쇄회로의 상단에 일정 간격으로 일정 두께의 플레이트부(2332)를 배치시킬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플레이트부(2332)는 리지드한 유전체 기판(substrate)일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플레이트부(2332)는 그라운드층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플레이트부(2332)는 가요성 인쇄회로에 본딩의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기판(231), 제2기판(232) 및 연결부(233)에 배치된 플레이트부(2332)는 모두 하나의 가요성 인쇄회로에 부착되는 방식으로 고정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부(233)는 복수로 절곡가능하도록 복수의 플렉서블(flexible) 구간(A1)과 적어도 하나의 리지드(rigid) 구간(A2)이 서로 교번하게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플렉서블 구간(A1)은 가요성 인쇄회로를 노출시킨 상태로 적용될 수 있으며, 리지드 구간(A2)은 가요성 인쇄회로에 일정 두께의 플레이트부(2332)를 부착시키는 방식에 의해 적용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부(233) 중 플레이트부(2332)가 배치되지 않고 가요성 인쇄회로가 노출된 접힘부(2331)의 유연성에 의해 플레이트부(2332)는 서로 접히는 방식으로 상호 접하도록 중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접힘부에 일정 방향으로의 접힘을 유도하기 위한 탄성 처리를 한다면, 조립시 좀더 용이하게 접힐 수도 있을 것이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술한 다수의 접힘부(2331)와 플레이트부(2332)의 교번 배치에 의한 연결부(233)의 구성으로써 제1기판(231)과 제2기판(232)을 조립시, 연결부(233)의 길이 만큼 상부 케이스 프레임(21)과 하부 케이스 프레임(22)을 이격시켜 부품을 실장할 수 있기 때문에 조립성이 향상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기판(231)과 제2기판(232)은 가요성 인쇄회로를 이용하여 전기적으로 연결시킴으로써 비교적 많은 신호 패턴을 수용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제1기판(231)과 제2기판(232)간의 부품 배치가 자유로워지고, 이는 설계 제약을 배제시키고 공간 활용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에 적용되는 기판의 접힌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6을 참고하면, 제1기판(231)이 상부 케이스 프레임(21)에 고정되고, 제2기판(232)이 하부 케이스 프레임(22)에 고정된 후, 상, 하부 케이스 프레임(21, 22)이 조립될 경우, 연결부(233)는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부(2332)가 서로 접하면서 중첩되는 방식으로 적층된다. 이때, 플레이트부(2332)에는 그라운드층(접지층)이 형성됨으로써, 각 플레이트부(2332)와 대응되는 위치의 가요성 인쇄회로에 배치된 신호 패턴에서 발생하는 신호 간섭이 그라운드층에 의해 배제되고 노이즈를 차폐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라운드층은 유전체 기판에 형성되는 접지층일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본체에 적용되는 기판의 신호 라인을 도시한 요구 구성도이다.
도 17을 참고하면, 플렉서블 구간(A1)의 배선 패턴(2333)과 리지드 구간(A2)의 배선 패턴(2334)은 동일한 선폭을 유지함과 동시에 서로 다른 조밀도를 갖는 해치(hatch) 패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플렉서블 구간(A1)의 배선 패턴(2333)은 리지드 구간(A2)의 배선 패턴(2334)보다 조밀하게 형성함으로서 플렉서블 구간(A1)과 리지드 구간(A2)의 배선폭을 동일하게 유지시키면서 굴곡성을 최대화시킴과 동시에 동일한 성능을 갖는 임피던스(50옴, 90옴 및 100옴 등)를 구현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플렉서블 구간(A1)과 상기 리지드 구간(A2)의 배선 패턴(2333, 2334)은 동일한 선폭을 유지하면서 서로 다른 조밀도를 갖는 패턴으로 구성하여, 연결부의 폭의 증가 없이 임피던스 값을 50옴이나 90옴 또는 100옴등에서 관리할 수 있다. 따라서, 기판 장치(23)는 연결부의 부피 증가 없이 신호 라인의 신호 흐름 및 전기적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에 의해 두 개의 기판이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기판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8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제1기판(231)이 제2기판(232) 보다 상대적으로 큰 형태의 기판 장치(23)에도 적용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기판(232)은 메인 기판일 수 있으며, 제2기판(232)은 서브 기판(또는 쪽 PCB)일 수 있다. 역시, 제1기판(231)과 제2기판(232)은 연결부(233)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두 개의 기판(231, 232)이 다수의 플레이트부(2332)에 의해 접힘부(2331)가 교번하여 배치되도록 구현되고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두 개 이상의 기판이 두 개 이상의 연결부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두 개의 기판이 하나의 연결부에 의해 연결되고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두 개의 기판에 두 개 이상의 연결부가 일정 간격을 갖도록 이격 배치될 수도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두 개의 기판이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본체에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본체에 포고 컨넥터가 설치되는 상태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도 19 및 도 20을 참고하면, 상부 케이스 프레임(21)에 제1기판(231)이 고정되고, 하부 케이스 프레임(22)에 제2기판(232)이 고정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기판(231)과 제2기판(232)은 수직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되, 서로 중첩되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기판(231)과 제2기판(232)은 연결부(233)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부(233)는 접힘부(2331)의 유연성에 의해 플레이트부(2332)가 서로 면접촉하는 방식으로 중첩되도록 적층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기판(231)의 상부에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위한 디스플레이 모듈(31)이 설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모듈(31)은 데이터 입력을 위한 터치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 케이스 프레임(21)의 디스플레이 모듈(31)의 상부에는 디스플레이 윈도우(2101)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기판(232)의 상측 일부에는 단자 컨넥터(2321)가 실장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단자 컨넥터(2321)에는 착용부(10)에서 본체 내부로 인출된 가요성 인쇄회로(12)의 제1컨넥터(123)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기판(232)의 저부에는 다수의 포코 핀(2323)을 포함하는 포고 컨넥터(2322)가 실장될 수 있다. 포고 컨넥터(2322)는 하부 케이스 프레임(22)의 저부에 노출되는 방식으로 설치되어, 웨어러블 전자 장치(1)를 별도의 착탈 장치에 장착시켰을 경우 데이터 통신 또는 배터리 팩 충전의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착탈 장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1)를 충전시키거나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전용 독(dock)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포고 컨넥터(2322)는 하부 케이스 프레임(22)에서 포고 핀(2323)을 노출시키는 방식으로 배치되므로 방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포코 컨넥터(2322)의 외주면을 따라 컨넥터 씰링 부재(2324)가 더 설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하부 케이스 프레임(22)의 내측면에는 포고 컨넥터(2322) 장착을 위한 부싱(2201)이 일정 높이로 신장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부싱(2201)의 장착 공간에 포고 컨넥터(2322)를 장착할 경우, 포고 컨넥터(2322)의 외주면에 배치된 컨넥터 씰링 부재(2324)가 부싱(2201)의 내주면에 타이트하게 밀착함으로써 포고 핀(2323)이 노출되는 하부 케이스 프레임(22)의 공간으로부터 이물질 또는 물이 침투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컨넥터 씰링 부재(2324)는 실리콘, 러버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1a 및 도 21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버클 장치의 하우징과 착용부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a를 참고하면, 하우징(41)은 상부가 개방된 유닛 수용 공간(42)과 로킹 장치 수용 공간(43)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유닛 수용 공간(42)과 로킹 장치 수용 공간(43)은 서로 격벽에 의해 이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유닛 수용 공간(42)에 적용되는 전자 부품은 접속 단자(611)를 포함하는 스피커 모듈(61)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컨대, 바이브레이터, 마이크로폰 장치 등일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유닛 수용 공간(42)에는 다수의 체결구(421, 422)가 형성될 수 있다. 다수의 체결구(421, 422)는 후술될 커버(46)에 의해 두 공간이 밀폐된 상태에서 스크류에 의해 체결되는 체결구일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로킹 장치 수용 공간(43)에는 로킹 장치(45)가 설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로킹 장치(45)는 버클 링크(47)의 동작을 단속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41)의 일측면에는 유닛 수용 공간(42)과 이어지는 착용부 수용구(44)가 형성될 수 있다. 착용부 수용구(44)에는 착용부(10)의 단부가 삽입되는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착용부(10)는 단부에 코어 연장부(112)가 돌출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착용부(10)의 밴드 부재(13)는 관통구(1123) 및 가요성 인쇄회로(12)의 제3컨넥터(124)가 배치되는 코어 연장부(112)의 단부를 노출시키는 방식으로 사출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밴드 부재(13)의 단부는 하우징(41)의 착용부 수용구(44)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삽입될 수 있는 수용구 장착 돌기(131)가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수용구 장착 돌기(131)에는 외주면을 따라 좀더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링형의 밀폐 돌기(1311)가 더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밀폐를 위한 별도의 링형 부재가 더 설치될 수도 있다.
도 21b를 참고하면, 착용부(10)의 수용구 장착 돌기(131)는 하우징의 착용부 수용구(44)로 억지 끼움 방식으로 삽입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수용구 장착 돌기(131)에 돌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링형 밀폐 돌기(1311)는 하우징(41)의 착용부 수용구(44)의 내주면에 긴밀하게 밀착함으로써 방수, 방오를 위한 밀폐 작용을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착용부(10)의 수용구 장착 돌기(131)가 하우징(41)의 착용부 수용구(44)에 완전히 장착되면, 코어 연장부(112)의 관통구(1123)는 하우징(41)의 유닛 수용 공간(42)으로 인입되어 체결구(421)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이와 동시에 코어 연장부(112)에 배치된 가요성 인쇄회로(12)의 제3컨넥터(124)는 하우징(41)의 유닛 수용 공간(42)에 장착된 스피커 모듈(61)의 접속 단자(611)와 접촉되는 상태가 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3컨넥터(124)와 접속 단자(611)는 솔더링에 의해 고정되거나, 컨넥터 결합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22a 및 도 22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버클 장치의 하우징과 커버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a를 참고하면, 도 2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부(10)가 하우징(41)에 완전히 결합된 상태에서 하우징(41)의 유닛 수용 공간(42)과 로킹 장치 수용 공간(43)을 동시에 커버링하기 위한 커버(46)를 설치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커버(46)에는 다수의 스크류 고정구(461, 462)가 적소에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스크류 고정구(461, 462)는 커버(46)가 하우징(41)에 장착되었을 경우, 하우징(41)의 유닛 수용 공간(42)에 형성된 체결구(421, 422)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커버(46)의 외면에는 힌지구(4631)가 각각 형성된 한 쌍의 힌지 암(463)이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한 쌍의 힌지 암(463)은 커버(46)의 외면에 설치되는 후술 될 버클 링크(47)를 회동 가능하도록 고정시킬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커버(46)에는 로킹 장치(45)의 로커(452)의 제1돌출단(4523)이 관통하여 커버(41)의 외면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제1관통홀(464)이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41)의 유닛 수용 공간(42)은 전자 부품인 스피커 모듈(61)이 설치되므로, 방수 또는 방오를 위하여 밀폐 공간으로 형성되어야 한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유닛 장착 공간(42)을 이루는 테두리를 따라 커버 씰링 부재(46)가 더 설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유닛 수용 공간(42)에 형성된 체결구(422)와 상응하는 위치에 스크류 씰링 부재(461)를 더 개재시켜 스크류 고정구(462)를 통해 유닛 장착 공간(42)으로 유입되는 먼지, 물 등에 의한 오염을 방지할 수도 있다.
도 22b를 참고하면, 스피커 모듈이 배제된 하우징(41)의 평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유닛 수용 공간(42)에는 스피커 모듈을 수용하기 위한 격벽(423)이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중앙에 스피커 홀(424)이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격벽(423)을 경계로 스피커 모듈을 고정시키면 스피커 홀(424)로 유입되는 물 또는 오물에 의한 침수 또는 오염을 스피커 모듈에 의해 방지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스피커 모듈은 방수로 설계되거나, 음 증폭면에 부착된 방수용 부직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버클 장치의 로킹 장치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23을 참고하면, 로킹 장치(45)는 하우징(41)의 로킹 장치 수용 공간(43)에 실장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로킹 장치(45)는 한 쌍의 로커 수용 공간(4511)을 갖는 로커 하우징(451)과, 로커 수용 공간(43)에 각각 수용되는 한 쌍의 로커(452)를 포함할 수 있다. 로커(452)는 로커 수용 공간(4511)에 수용되는 로커 바디(4521)와, 로커 바디(4521)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는 제1돌출단(4523) 및 로커 바디(4521)에서 로커 하우징(451)의 수평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2돌출단(4522)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로커(452)의 제1돌출단(4523)은 커버(46)의 제1관통홀(464)을 통해 돌출되어 버클 링크(47)를 단속하는 기능을 하며, 로커(4521)의 제2돌출단(4522)은 하우징(41)의 양측면에 형성된 제2관통홀(431)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방식으로 설치되어, 제2돌출단(4522)을 가압하는 방식으로 조작하여 로킹된 버클 링크(47)를 해제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한 쌍의 로커(452) 사이에는 압축 코일 스프링(453)이 개재될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압축 코일 스프링(453)은 한 쌍의 로커(4521)를 상호 외측 방향으로 가압하기 위한 가압력을 제공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돌출단(4523)은 후술될 버클 링크(47)의 걸림 부재(473)에 형성된 걸림편(4733)이 걸리기 용이하도록 상단이 후크(hook)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로킹 장치(45)는 로커 하우징(451)에 한 쌍의 로커(452)를 삽입한 후, 로커 사이에 압축 코일 스프링(453)을 개재시켜 구성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결합된 로킹 장치(45)를 하우징(41)의 로킹 장치 수용 공간(43)에 장착시킬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로킹 장치(45)가 하우징(41)의 로킹 장치 수용 공간(43)에 장착될 경우, 로킹 장치(45)의 제2돌출단(4522)은 하우징(41)의 측면에 형성된 제2관통홀(431)을 통해 일부가 외측으로 돌출되는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41)의 유닛 수용 공간(42)에 스피커 모듈(61)을 장착하고, 하우징(41)의 로킹 장치 수용 공간(43)에 로킹 장치(45)를 장착한 후, 커버 씰링 부재(46)와 스크류 씰링 부재(461)를 개재시킨 후 커버(46)를 장착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커버(46)가 장착될 경우, 커버(46)의 스크류 고정구(461, 462)와, 유닛 수용 공간의 체결구(421, 422)는 대응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커버(46)는 스크류 고정구(461, 462)를 통하여 하우징(41)의 유닛 장착 공간(42)에 스크류를 체결됨으로써 하우징(41)의 조립이 완료될 수 있다.
도 24a 및 도 24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버클 장치의 버클 링크의 작동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4a를 참고하면, 버클 링크(47)는 하우징(41)에 설치된 커버(46)의 외면에 형성된 한 쌍의 힌지 암(463)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제1링크(471)와, 제1링크(471)의 단부에서 회동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제2링크(472) 및 제2링크(472)의 단부에 형성되어 제1링크(471)와 제2링크(472)가 폴딩(folding)될 때, 커버(46)의 제1관통홀(464)에 관통되어 돌출된 로킹 장치(45)의 제1돌출단(4523)에 의해 폴딩 상태가 유지되도록 단속받는 걸림 부재(473)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링크(472)는 중앙에 제1링크 수용 공간(4721)이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링크(471)가 ①방향으로 회동하여 하우징 방향으로 접촉되며, 제2링크가 ②방향으로 회동되어 제2링크 방향으로 유동될 때, 제1링크(471)와 제2링크(472)는 서로 폴딩된 상태가 되며, 제2링크(472)의 제1링크 수용 공간(4721)에 제1링크(471)가 수용되는 방식으로 폴딩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이러한 버클 링크(47)의 최대 폴딩 상태는 도 24b에 도시된 상태와 동일할 것이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링크(472)의 단부에는 장방형으로 걸림 부재(473)가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걸림 부재(473)는 개구(4731)를 포함하고 있으며, 개구(4731)의 양단에는 걸림편(4733)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이러한 걸림편(4733)은 제2링크(472)와 제1링크(471)가 상호 폴딩될 경우, 걸림편(4733)이 로킹장치(45)의 제1돌출단(4523)에 의해 걸림으로써 도 24b와 같은 폴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걸림 부재(473)에는 상방으로 돌출된 밴드 고정폴(4732)이 형성될 수 있다. 밴드 고정폴은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또 다른 착용부(10')의 다수의 개구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하나의 착용부(10)와 또 다른 착용부(10')가 상호 연결될 수 있는 것이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다른 착용부(10')는 걸림 부재(473)의 개구(4731)를 관통한 상태에서 밴드 고정폴(4732)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버클 링크(47)의 제1링크(471)와 제2링크(472)는 상호 폴딩되었을 경우, 만곡진 곡형이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만곡진 곡형을 형성하는 버클 링크(47)는 착용부(10)가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되었을 경우, 착용부(10)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 2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클 링크(47)의 제1링크(471)와 제2링크(472)가 상호 폴딩된 상태이고, 걸림 부재(473)의 걸림편(4733)이 로킹 장치(45)의 제1돌출단(4523)에 의해 걸린 상태에서, 도 24b의 화살표 방향으로 하우징(41)의 양측면에 돌출된 로킹 장치(45)의 제2돌출단(4522)을 가압할 경우, 제1돌출단(4523)의 서로 오므라드는 동작에 의해 걸림 부재(473)의 걸림편(4733)은 해제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이러한 경우, 도 24a의 상태처럼 제1링크(471)와 제2링크(472)는 회동되어 서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을 것이다.
도 25a 및 도 25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버클 장치의 버클 링크의 작동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5a를 참고하면, 버클 링크(47)는 하우징(41)에 설치된 커버(46)의 외면에 형성된 힌지 암(465)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제1링크(481)와, 제1링크(481)의 단부에서 회동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제2링크(482) 및 제2링크(482)의 단부에 형성되어 제1링크(481)와 제2링크(482)가 폴딩(folding)될 때, 제1링크(481)의 힌지 결합 부분에 돌출 형성된 돌출편(4811)에 걸릴 수 있는 걸림부(4832)를 갖는 걸림 부재(483)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링크(481)와 제2링크(482)는 상호 접히는 방식으로 폴딩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링크(481)가 ①방향으로 회동하여 하우징 방향으로 접촉되며, 제2링크가 ②방향으로 회동되어 제1링크(481)와 접촉될 때, 제1링크(481)와 제2링크(482)는 서로 폴딩된 상태가 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링크(481)와 제2링크(482)가 상호 접하는 상태가 되는 도 25b의 상태일 때가 폴딩된 상태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링크(482)의 단부에는 장방형으로 걸림 부재(483)가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걸림 부재(483)는 개구(4831)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개구(4831)의 일측에는 단차진 걸림부(4832)가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이러한 걸림부(4832)는 제2링크(482)와 제1링크(481)가 상호 폴딩될 경우, 걸림부(4832)가 제1링크(481)의 돌출편(4811)에 걸림으로써 도 25b와 같은 폴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걸림 부재(483)에는 상방으로 돌출된 한 쌍의 밴드 고정폴(4833, 4834)이 형성될 수 있다. 밴드 고정폴(4833, 4834)은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또 다른 착용부(10')의 다수의 개구 중 두 개의 개구에 동시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하나의 착용부(10)와 또 다른 착용부(10')가 유동없이 좀더 견고히 연결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버클 링크(48)의 제1링크(481)와 제2링크(482)는 상호 폴딩되었을 경우, 만곡진 곡형으로 형성됨으로써, 착용부(10)가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되었을 경우,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버클 링크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밴드 고정폴에 의해 고정되는 착용부 또는 착용부간의 체결 구조를 도시하고 기술하였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다양한 형태의 착용부가 구현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버클 형태(buckle type) 이외에 분절이 없는 신축성 있는 밴드 형태, 똑딱이 단추 형태 또는 분절이 있지만 착용 시 벌어졌다 착용 후 형태를 유지하는 팔찌 형태 등 다양한 형태가 단독으로 또는 병행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도 2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부품을 단속하기 위한 커버가 존재하지 않는 착용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6을 참고하면, 착용부(10)는 일단이 본체(2)에 연결되며, 타단이 버클 장치(4)와 연결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착용부(10)는 본체(2)와 버클 장치(4)를 상술한 결합 방법에 의해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술한 실시예들에서는 코어 부재의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도록 밴드 부재를 사출하고, 노출된 부분에 별도의 커버를 사용하여 마감하였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착용부는 별도의 커버를 사용하지 않고, 전자 부품(예를 들어, 카메라 장치)을 수용한 상태에서 완성시킬 수도 있다.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착용부(10)의 밴드 부재(13)의 배면(103)에는 별도의 커버가 배제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코어 부재에 밴드 부재를 사출 전에, 코어 부재에 적용된 전기적 연결 수단에 전자 부품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킨 후, 밴드 부재를 이용하여 전자 부품을 완전히 둘러싸도록 사출하여 착용부를 완성시킬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이러한 경우, 코어 부재에는 전자 부품을 고정시키기 위한 별도의 고정 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 수단은 코어 부재에 구비되는 별도의 기구적 구조물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착용부(10)는 코어 부재의 일면을 제1밴드 부재로 1차 사출한 후, 전자 부품을 코어 부재의 타면을 통하여 실장한 후, 코어 부재의 타면을 제2밴드 부재를 이용하여 2차 사출하여 마감하는 방식으로 완성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착용부(10)는 코어 부재에 밴드 부재를 이중 사출하되, 전자 부품이 실장되는 부분만 노출시킨 후, 노출된 부분에 전자 부품을 실장 후, 3차 사출에 의해 완성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커버가 존재하지 않는 착용부는 별도의 탈착 가능한 커버를 배제시키기 때문에 전자 장치의 전체적 외관을 미려하게 구성하는게 기여할 수 있다.
도 27a 내지 도 27e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의 착용부에 전자 부품전자 부품이 설치되는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상술한 실시예들에 의하면, 웨어러블 장치로써 와치 타입(watch type) 전자 장치를 도시하였고, 이에 대한 착용부로써, 전자 장치의 본체에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착용부를 도시하고 기술하였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착용 가능한 다양한 방식의 장치에 구비되는 다양한 방식의 착용부에 적용될 수도 있다.
도 27a를 참고하면, 웨어러블 장치로써 고글 타입 장치(30)를 도시하고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이러한 형태의 장치(30)는 장치 본체(301)와 장치 본체(301)에 고정되어 장치 본체(301)를 사용자의 헤드(head)에 취부할 수 있게 하는 헤드 밴드 부재(302)를 착용부로서 구비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헤드 밴드 부재(302)에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 부품이 설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부품은 카메라 장치(5) 또는 스피커 장치일 수 있다.
도 27b를 참고하면, 웨어러블 장치로써 안경 타입 장치(40)를 도시하고 있다. 안경 타입 장치(40)는 한 쌍의 렌즈를 수용하기 위한 안경테 림(rim)(401)과 안경테 림(401)의 양단에 각각 고정되어 사용자의 귓바퀴에 취부하기 위한 한 쌍의 템플(temple)(402, 403)이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한 쌍의 템플(402, 403)은 본 발명에 따른 착용부로써 기여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한 쌍의 템플 중 일측 템플(402)에 전자 부품으로써 카메라 장치(5)가 설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한 쌍의 템플(402, 403) 모두에 카메라 장치가 각각 설치될 수도 있다.
도 27c를 참고하면, 웨어러블 장치로써 헬멧 타입 장치(50)를 도시하고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헬멧 타입 장치(50)는 사용자의 두부에 취부되는 헬멧 본체(601)와, 헬멧 본체(501)에서 인출되어 사용자의 턱에 걸리는 걸이끈(502)이 착용부로써 적용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걸이끈(502)에는 전자 부품전자 부품으로써 카메라 장치(5)가 설치될 수 있다.
도 27d를 참고하면, 착용 가능한 사용자의 의류(60)의 소매(601)에서 인출된 슬리브(602)가 착용부로써 활용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슬리브(602)에는 전자 부품으로써 카메라 장치(5)가 설치될 수 있다.
도 27e를 참고하면, 두 개의 장치(70, 80)가 소정의 착용부(701)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전기적이 아니더라도 연결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두 개의 장치(70, 80)는 전자 장치일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두 개의 장치가 전자 장치일 경우, 스피커 장치일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두 개의 전자 장치(70, 80)에 적용되는 연결 수단으로 사용되는 착용부(701)에는 전자 부품전자 부품으로써 카메라 장치(5)가 설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적어도 일부분과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스트랩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트랩의 일부에 장착된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시계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카메라 모듈은 상기 본체로부터 선택된 거리만큼 이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본체는, 상기 본체로부터 연장된 연장 부분을 더 포함하며, 상기 카메라 모듈은 상기 연장 부분에 장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카메라 모듈은 렌즈를 포함하며, 상기 렌즈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트랩의 제 1 면을 통하여 노출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트랩의 제 2 면에 노출되고, 상기 카메라 모듈에 인접한 씰링(sealing)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렌즈와, 상기 씰링 부재의 노출된 적어도 일부는 서로 반대방향을 향하도록(facing away from each other)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카메라 모듈은 렌즈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가 향하는 제 1 방향과 상기 렌즈가 향하는 제 2 방향은 서로 60° ~ 120°의 범위의 각도를 형성할 수 있다(forming an angle in a range of 60°to 120°).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트랩은 상기 카메라 모듈의 적어도 일부분을 둘러싸는(surround) 제 1 부재(예: 코어 부재) 및 상기 제 1 부재의 적어도 일부분을 감싸는(enclose) 제 2 부재(예: 밴드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부재는 제 1 연성을 가지고, 상기 제 2 부재는 제 1 연성보다큰 제 2 연성을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본체와 상기 카메라 모듈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기적 연결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2 부재는 상기 전기적 연결 부재의 적어도 일부분을 감싸도록(enclose)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기적 연결 부재는 가요성 인쇄회로(FPC; Flexible Printed Circuit) 또는 세선 케이블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기적 연결 부재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제 1 부재와 상기 제 2 부재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기적 연결 부재는 지그재그(zigzag) 형태로 연장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부재는 PC, TR90, SUS 또는 알루미늄 중 적어도 하나의 재질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부재는 우레탄, 실리콘, 러버, TPU 또는 TPSiV 중 적어도 하나의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트랩은 적어도 하나의 밴드 리세스를 포함하며, 상기 밴드 리세스는 상기 제 1 부재에 형성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트랩의 길이 방향과 실질적으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홈 및 상기 제 2 부재의 일부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홈의 표면의 굴곡을 따라서 형성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시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트랩의 적어도 일부에 연결된 버클을 더 포함하고, 상기 버클은 상기 본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된(coupled)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버클은 상기 스피커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과, 상기 버클의 측면에 형성된 수용구 및 상기 수용 공간을 덮는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트랩은 상기 수용구를 통하여 상기 수용 공간까지 연장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트랩의 단부는 상기 수용구에 삽입되기 위한 장착 돌기(protrusion) 및 상기 스피커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기적 연결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트랩은, 상기 장착 돌기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적어도 하나의 링형 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트랩은 제 1 부재 및 상기 제 1 부재의 적어도 일부분을 감싸는(enclose) 제 2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부재는 상기 장착 돌기의 적어도 한면으로부터 연장되는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전기적 연결 수단은, 상기 연장되는 부분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구를 포함하고, 상기 관통구는 상기 수용구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체결구와 대응 배치되어 스크류 체결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버클은 상기 스피커의 상단에 위치하는 커버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씰링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씰링 부재는 상기 수용 공간의 테두리를 따라 배치되는 커버 씰링 부재 및 상기 커버를 통해 상기 수용 공간에 형성된 체결구에 체결되는 스크류 고정구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스크류 씰링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체결 수단은 상기 커버의 외면에 돌출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트랩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개구에 대응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밴드 고정폴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버클의 외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체결 시 상기 적어도 하나의스트랩을 지지하는 버클 링크를 더 포함하되, 상기 체결 수단은 상기 버클 링크에 배치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버클 링크는 상기 하우징의 외면에서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링크와, 상기 제1링크의 타단에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링크 및 상기 제2링크의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트랩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개구에 대응 삽입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밴드 고정폴이 돌출 설치되는 걸림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본체는 적어도 하나의 제1전자 부품이 실장되는 제1케이스 프레임과, 상기 제1케이스 프레임과 결합되며, 적어도 하나의 제2전자 부품이 실장되는 제2케이스 프레임 및 상기 제1케이스 프레임과 제2케이스 프레임의 결합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수용되며, 상기 제1전자 부품과 상기 제2전자 부품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기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기판 장치는 상기 제1케이스 프레임에 고정되는 제1기판과, 상기 제2케이스 프레임에 고정되는 제2기판 및 상기 제1기판과 제2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중첩되는 방식으로 다수번 폴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연결부는 리지드(rigid)한 재질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플레이트부 및 상기 플레이트부 사이에 개재되는 유연성 재질의 접힘부를 포함하고, 상기 플레이트부가 상기 접힘부에 의해 접혀서 서로 중첩되는 방식으로 적층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플레이트부와 상기 접힘부의 신호 배선의 폭은 동일하게 형성시키되, 서로 다른 조밀도를 갖는 해치 패턴(hatch pattern)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적어도 일부분과 연결된 착용부(wearable member) 및 상기 착용부의 일부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전자 부품을 포함하는 웨어러블 (wearable)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 부품은 카메라 장치, 스피커 장치, 마이크로폰 장치, 바이브레이터 장치, 센서 장치 또는 안테나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착용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 부품이 장착된 제 1 부재 및 상기 제 1 부재의 적어도 일부분을 감싸는(enclose) 제 2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착용부는 상기 제 1 부재 및 상기 제 2 부재를 통하여 형성된 홀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 부품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홀 내에 위치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 부품의 일부가 상기 착용부의 제 1 면을 통하여 노출되고, 상기 제 1 면과 반대 방향으로 향하는 상기 착용부의 제 2 면에 위치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홀을 덮는 씰링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착용부는 상기 제 1 부재 및 상기 제 2 부재의 제 1 면을 통하여 형성된 홀을 포함하고, 상기 홀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제 2 부재의 제 2 면을 감싸이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착용부는 상기 제 1 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관통하는 홀을 포함하고, 상기 홀의 적어도 일부분은 제 2 부재를 통하여 감싸이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착용부는 씰링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부품은, 상기 제 1 부재의 적어도 일부, 상기 제 2 부재의 적어도 일부, 또는 상기 씰링 부재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에 의하여 감싸딜 수(enclosed)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착용부는, 상기 제 2 부재의 일부를 관통하여 상기 제 1 부재의 일부까지 연장된 홀을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 부품은 상기 제 1 부재의 상기 일부에 장착되고, 상기 씰링 부재는 상기 홀을 덮을 수(enclosed)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본체는 적어도 하나의 제1전자 부품이 실장되는 제1케이스 프레임과, 상기 제1케이스 프레임과 결합되며, 적어도 하나의 제2전자 부품이 실장되는 제2케이스 프레임 및 상기 제1케이스 프레임과 제2케이스 프레임의 결합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수용되며, 상기 제1전자 부품과 상기 제2전자 부품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기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기판 장치는 상기 제1케이스 프레임에 고정되는 제1기판과, 상기 제2케이스 프레임에 고정되는 제2기판 및 상기 제1기판과 제2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중첩되는 방식으로 다수번 폴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연결부는 리지드(rigid)한 재질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플레이트부 및 상기 플레이트부 사이에 개재되는 유연성 재질의 접힘부를 포함하고, 상기 플레이트부가 상기 접힘부에 의해 접혀서 서로 중첩되는 방식으로 적층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플레이트부와 상기 접힘부의 신호 배선의 폭은 동일하게 형성시키되, 서로 다른 조밀도를 갖는 해치 패턴(hatch pattern)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착용부의 적어도 일부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전자 부품이 수용되는 하우징을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전자 부품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과,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 형성된 수용구 및 상기 수용 공간을 덮는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착용부는 상기 수용구를 통하여 상기 수용 공간까지 연장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착용부의 단부는 상기 수용구에 삽입되기 위한 장착 돌기(protrusion) 및 상기 전자 부품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기적 연결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착용부는, 상기 장착 돌기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적어도 하나의 링형 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착용부는 상기 제 1 부재는 상기 장착 돌기의 적어도 한면으로부터 연장되는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전기적 연결 수단은, 상기 연장되는 부분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구를 포함하고, 상기 관통구는 상기 수용구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체결구와 대응 배치되어 스크류 체결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전자 부품의 상단에 위치하는 커버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씰링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씰링 부재는 상기 수용 공간의 테두리를 따라 배치되는 커버 씰링 부재 및 상기 커버를 통해 상기 수용 공간에 형성된 체결구에 체결되는 스크류 고정구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스크류 씰링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본체에서 이미지 촬영 명령을 수신하는 동작과, 상기 이미지 촬영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본체로부터 상기 카메라 모듈로, 이미지 획득 명령을 전달하는 동작과, 상기 카메라 모듈에서 이미지를 획득하는 동작 및 상기 획득된 이미지를 상기 본체로 전달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이러한 방법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 전자 시계 또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 적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본체에서, 사운드 재생 명령을 수신하는 동작과, 상기 본체에서, 재생될 사운드 데이터를 처리하는 동작과, 상기 처리된 사운드 데이터를 상기 스피커로 전달하는 동작 및 상기 스피커에서 사운드를 재생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이러한 방법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 전자 시계 또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 적용될 수 있다.
분명히, 청구항들의 범위내에 있으면서 이러한 실시예들을 변형할 수 있는 많은 다양한 방식들이 있다. 다시 말하면, 이하 청구항들의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는 다양한 방식들이 있을 수 있을 것이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본체 및 적어도 일단이 상기 본체의 적어도 일부분과 연결되고, 상기 본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자 부품이 장착되는 실장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착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착용부는 외부 물체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거나 상기 적어도 일부에 부착되도록 형성된 전자 시계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본체 및 적어도 일단이 상기 본체의 적어도 일부분과 연결되고, 상기 본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자 부품이 장착되는 실장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착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착용부는 외부 물체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거나 상기 적어도 일부에 부착되도록 형성되는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와, 상기 본체에서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착용부를 포함하되, 상기 착용부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 부품이 실장되는 코어 부재와, 상기 전기적 연결 부재가 배치된 코어 부재의 적어도 일부분을 감싸는 방식으로 결합되는 밴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적 연결 부재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 부품이 상기 본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와, 상기 본체에서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착용부를 포함하되, 상기 착용부는 코어 부재와, 상기 코어 부재의 일면과 상기 일면과 대향되는 대향면을 관통하는 방식으로 양면에 고정되는 가요성 인쇄회로와,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가 관통되는 상기 코어 부재의 부분에 밀폐를 위하여 설치되는 씰링 부재와,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와 씰링 부재가 배치된 코어 부재의 적어도 일부분을 감싸는 방식으로 이중 사출 공정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코어 부재보다 연성 재질의 밴드 부재와, 상기 밴드 부재 중 적어도 일부분에 노출된 가요성 인쇄회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 부품 및 상기이 장착된 상기 밴드 부재의 노출 부분을 밀폐시키기 위하여 장착되는 커버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와, 상기 본체에서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착용부 및 상기 착용부의 단부에 설치되어 다른 착용부와 체결되며, 적어도 하나의 전자 부품이 실장되는 버클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버클 장치는 상기 착용부의 단부에 고정되며, 적어도 하나의 전자 부품이 실장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외면에 배치되어 상기 다른 착용부와 체결되는 체결 수단을 포함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와, 상기 본체에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착용부와, 상기 착용부의 단부에 설치되며, 내부에 유닛 수용 공간을 갖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유닛 수용 공간에 수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 부품과, 상기 유닛 수용 공간을 밀폐시키기 위한 커버와, 상기 커버와 상기 유닛 수용 공간 사이에서 밀폐를 목적으로 개재되는 적어도 하나의 씰링 부재 및 상기 커버의 외면에 돌출되어 다른 착용부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개구에 대응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밴드 고정폴을 포함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와, 상기 본체에서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착용부 및 상기 착용부의 단부에 설치되어 다른 착용부와 체결되며, 적어도 하나의 전자 부품이 실장되는 버클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착용부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 부품이 실장되는 코어 부재와, 상기 코어 부재에 배치되는 전기적 연결 부재와, 상기 전기적 연결 부재가 배치된 코어 부재의 적어도 일부분을 감싸는 방식으로 결합되는 밴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적 연결 부재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 부품이 상기 본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버클 장치는 상기 착용부의 단부에 고정되며, 적어도 하나의 전자 부품이 실장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외면에 배치되어 상기 다른 착용부와 체결되는 체결 수단을 포함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본체에서 이미지 촬영 명령을 수신하는 동작과, 상기 이미지 촬영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본체로부터 상기 카메라 모듈로, 이미지 획득 명령을 전달하는 동작과, 상기 카메라 모듈에서 이미지를 획득하는 동작 및 상기 획득된 이미지를 상기 본체로 전달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이러한 방법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 전자 시계 또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 적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본체에서, 사운드 재생 명령을 수신하는 동작과, 상기 본체에서, 재생될 사운드 데이터를 처리하는 동작과, 상기 처리된 사운드 데이터를 상기 스피커로 전달하는 동작 및 상기 스피커에서 사운드를 재생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이러한 방법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 전자 시계 또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 적용될 수 있다.
1: 웨어러블 전자 장치(wearable electronic device)
2: 본체(main body) 10, 10': 착용부
11: 코어 부재(core member) 12: 가요성 인쇄회로(FPC)
13: 밴드 부재(band member) 14: 커버(cover)
23: 기판 장치(printed board assembly) 41: 하우징(housing)
45: 로킹 장치(locking device) 47: 버클 링크(buckle link)

Claims (58)

  1.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적어도 일부분과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스트랩;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트랩의 일부에 장착된 카메라 모듈;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트랩 내부에 배치되는 보강 와셔;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 와셔에는 상기 카메라 모듈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트랩의 외부로 보여지도록 하는 개구가 형성되는 전자 시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모듈은 상기 본체로부터 선택된 거리만큼 이격된 전자 시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본체로부터 연장된 연장 부분을 더 포함하며,
    상기 카메라 모듈은 상기 연장 부분에 장착된 전자 시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모듈은 렌즈를 포함하며, 상기 렌즈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트랩의 제 1 면을 통하여 노출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트랩의 제 2 면에 노출되고, 상기 카메라 모듈에 인접한 씰링(sealing) 부재를 더 포함하는 전자 시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와, 상기 씰링 부재의 노출된 적어도 일부는 서로 반대방향을 향하도록(facing away from each other) 배치된 전자 시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모듈은 렌즈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가 향하는 제 1 방향과 상기 렌즈가 향하는 제 2 방향은 서로 60° ~ 120°의 범위의 각도를 형성하는(forming an angle in a range of 60°to 120°) 전자 시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트랩은,
    상기 카메라 모듈의 적어도 일부분을 둘러싸는(surround) 제 1 부재; 및
    상기 제 1 부재의 적어도 일부분을 감싸는(enclose) 제 2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시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재는 제 1 연성을 가지고, 상기 제 2 부재는 제 1 연성보다 큰 제 2 연성을 가지는 전자 시계.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와 상기 카메라 모듈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기적 연결 부재를 더 포함하는 전자 시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부재는 상기 전기적 연결 부재의 적어도 일부분을 감싸도록(enclose) 형성된 전자 시계.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적 연결 부재는 가요성 인쇄회로(FPC; Flexible Printed Circuit) 또는 세선 케이블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 시계.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적 연결 부재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제 1 부재와 상기 제 2 부재 사이에 위치하는 전자 시계.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적 연결 부재는 지그재그(zigzag) 형태로 연장된 전자 시계.
  14.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재는 PC, TR90, SUS 또는 알루미늄 중 적어도 하나의 재질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부재는 우레탄, 실리콘, 러버, TPU 또는 TPSiV 중 적어도 하나의 재질을 포함하는 전자 시계.
  15.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은 적어도 하나의 밴드 리세스를 포함하며, 상기 밴드 리세스는,
    상기 제 1 부재에 형성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트랩의 길이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홈; 및
    상기 제 2 부재의 일부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홈의 표면의 굴곡을 따라서 형성된 부분을 포함하는 전자 시계.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시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트랩의 적어도 일부에 연결된 버클을 더 포함하고,
    상기 버클은, 상기 본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된(coupled) 스피커 및 다른 스트랩과 체결되는 체결 수단을 포함하는 전자 시계.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버클은,
    상기 스피커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
    상기 버클의 측면에 형성된 수용구; 및
    상기 수용 공간을 덮는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트랩은 상기 수용구를 통하여 상기 수용 공간까지 연장되는 전자 시계.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트랩의 단부는 상기 수용구에 삽입되기 위한 장착 돌기(protrusion) 및
    상기 스피커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기적 연결수단을 포함하는 전자 시계.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트랩은, 상기 장착 돌기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적어도 하나의 링형 돌기를 더 포함하는 전자 시계.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트랩은,
    제 1 부재; 및
    상기 제 1 부재의 적어도 일부분을 감싸는(enclose) 제 2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부재는 상기 장착 돌기의 적어도 한면으로부터 연장되는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전기적 연결 수단은, 상기 연장되는 부분을 따라 연장되는 전자 시계.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구를 포함하고,
    상기 관통구는 상기 수용구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체결구와 대응 배치되어 스크류 체결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전자 시계.
  22.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버클은
    상기 스피커의 상단에 위치하는 커버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씰링 부재를 더 포함하는 전자 시계.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씰링 부재는 상기 수용 공간의 테두리를 따라 배치되는 커버 씰링 부재 및 상기 커버를 통해 상기 수용 공간에 형성된 체결구에 체결되는 스크류 고정구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스크류 씰링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시계.
  24.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수단은 상기 커버의 외면에 돌출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트랩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개구에 대응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밴드 고정폴인 전자 시계.
  25.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버클의 외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체결 시 상기 적어도 하나의스트랩을 지지하는 버클 링크를 더 포함하되, 상기 체결 수단은 상기 버클 링크에 배치되는 전자 시계.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버클 링크는,
    상기 커버의 외면에서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링크;
    상기 제1링크의 타단에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링크; 및
    상기 제2링크의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트랩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개구에 대응 삽입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밴드 고정폴이 돌출 설치되는 걸림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시계.
  2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적어도 하나의 제1전자 부품이 실장되는 제1케이스 프레임;
    상기 제1케이스 프레임과 결합되며, 적어도 하나의 제2전자 부품이 실장되는 제2케이스 프레임; 및
    상기 제1케이스 프레임과 제2케이스 프레임의 결합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수용되며, 상기 제1전자 부품과 상기 제2전자 부품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기판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시계.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장치는,
    상기 제1케이스 프레임에 고정되는 제1기판;
    상기 제2케이스 프레임에 고정되는 제2기판; 및
    상기 제1기판과 제2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중첩되는 방식으로 다수번 폴딩되는 전자 시계.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리지드(rigid)한 재질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플레이트부; 및
    상기 플레이트부 사이에 개재되는 유연성 재질의 접힘부를 포함하고,
    상기 플레이트부가 상기 접힘부에 의해 접혀서 서로 중첩되는 방식으로 적층되는 전자 시계.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부와 상기 접힘부의 신호 배선의 폭은 동일하게 형성시키되, 서로 다른 조밀도를 갖는 해치 패턴(hatch pattern)으로 형성되는 전자 시계.
  31.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적어도 일부분과 연결된 착용부(wearable member); 및
    상기 착용부의 일부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전자 부품; 및
    상기 착용부 내부에 배치되는 보강 와셔;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 와셔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 부품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착용부의 외부에 보여지도록 하는 개구가 형성되는 웨어러블(wearable) 전자 장치.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 부품은,
    카메라 장치, 스피커 장치, 마이크로폰 장치, 바이브레이터 장치, 센서 장치 또는 안테나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33.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 부품이 장착된 제 1 부재; 및
    상기 제 1 부재의 적어도 일부분을 감싸는(enclose) 제 2 부재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는 상기 제 1 부재 및 상기 제 2 부재를 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 부품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개구 내에 위치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 부품의 일부가 상기 착용부의 제 1 면을 통하여 노출되고,
    상기 제 1 면과 반대 방향으로 향하는 상기 착용부의 제 2 면에 위치하며, 상기 개구를 덮는 씰링 부재를 더 포함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36.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부는,
    상기 제 1 부재 및 상기 제 2 부재의 제 1 면을 통하여 형성된 홀을 포함하고, 상기 홀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제 2 부재의 제 2 면을 통하여 감싸이도록 형성된 웨어러블 전자 장치.
  37.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부는,
    상기 제 1 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관통하는 홀을 포함하고, 상기 홀의 적어도 일부분은 제 2 부재를 통하여 감싸이도록 형성된 웨어러블 전자 장치.
  38.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부는 씰링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부품은, 상기 제 1 부재의 적어도 일부, 상기 제 2 부재의 적어도 일부, 또는 상기 씰링 부재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에 의하여 감싸지는(enclosed) 웨어러블 전자 장치.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부는, 상기 제 2 부재의 일부를 관통하여 상기 제 1 부재의 일부까지 연장된 홀을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 부품은 상기 제 1 부재의 상기 일부에 장착되고,
    상기 씰링 부재는 상기 홀을 덮는(enclosed) 웨어러블 전자 장치.
  40.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적어도 하나의 제1전자 부품이 실장되는 제1케이스 프레임;
    상기 제1케이스 프레임과 결합되며, 적어도 하나의 제2전자 부품이 실장되는 제2케이스 프레임; 및
    상기 제1케이스 프레임과 제2케이스 프레임의 결합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수용되며, 상기 제1전자 부품과 상기 제2전자 부품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기판 장치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4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장치는,
    상기 제1케이스 프레임에 고정되는 제1기판;
    상기 제2케이스 프레임에 고정되는 제2기판; 및
    상기 제1기판과 제2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중첩되는 방식으로 다수번 폴딩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42.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리지드(rigid)한 재질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플레이트부; 및
    상기 플레이트부 사이에 개재되는 유연성 재질의 접힘부를 포함하고,
    상기 플레이트부가 상기 접힘부에 의해 접혀서 서로 중첩되는 방식으로 적층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43.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부와 상기 접힘부의 신호 배선의 폭은 동일하게 형성시키되, 서로 다른 조밀도를 갖는 해치 패턴(hatch pattern)으로 형성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4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착용부의 적어도 일부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전자 부품이 수용되는 하우징을 갖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45.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전자 부품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 형성된 수용구; 및
    상기 수용 공간을 덮는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착용부는 상기 수용구를 통하여 상기 수용 공간까지 연장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46.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착용부의 단부는 상기 수용구에 삽입되기 위한 장착 돌기(protrusion) 및
    상기 전자 부품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기적 연결수단을 포함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47.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착용부는, 상기 장착 돌기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적어도 하나의 링형 돌기를 더 포함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48.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착용부는,
    상기 제 1 부재는 상기 장착 돌기의 적어도 한면으로부터 연장되는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전기적 연결 수단은, 상기 연장되는 부분을 따라 연장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49.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구를 포함하고,
    상기 관통구는 상기 수용구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체결구와 대응 배치되어 스크류 체결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웨어러블 전자 장치.
  50.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전자 부품의 상단에 위치하는 커버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씰링 부재를 더 포함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51. 제50항에 있어서,
    상기 씰링 부재는 상기 수용 공간의 테두리를 따라 배치되는 커버 씰링 부재 및 상기 커버를 통해 상기 수용 공간에 형성된 체결구에 체결되는 스크류 고정구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스크류 씰링 부재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52. 제 1 항의 전자 시계를 동작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서 이미지 촬영 명령을 수신하는 동작;
    상기 이미지 촬영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본체로부터 상기 카메라 모듈로, 이미지 획득 명령을 전달하는 동작;
    상기 카메라 모듈에서 이미지를 획득하는 동작; 및
    상기 획득된 이미지를 상기 본체로 전달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53. 제 16 항의 전자 시계를 동작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서, 사운드 재생 명령을 수신하는 동작;
    상기 본체에서, 재생될 사운드 데이터를 처리하는 동작;
    상기 처리된 사운드 데이터를 상기 스피커로 전달하는 동작; 및
    상기 스피커에서 사운드를 재생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54. 본체;
    상기 본체에서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착용부를 포함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착용부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 부품이 실장되는 코어 부재;
    상기 코어 부재에 인서트 몰딩 방식으로 고정되는 보강 와셔;
    상기 코어 부재에 배치되는 전기적 연결 부재; 및
    상기 전기적 연결 부재가 배치된 코어 부재의 적어도 일부분을 감싸는 방식으로 결합되는 밴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 와셔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 부품의 일부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착용부의 외부로 보여지도록 하는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전기적 연결 부재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 부품이 상기 본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55. 본체;
    상기 본체에서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착용부를 포함하되,
    상기 착용부는,
    코어 부재;
    상기 코어 부재의 일면과 상기 일면과 대향되는 대향면을 관통하는 방식으로 양면에 고정되는 가요성 인쇄회로;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가 관통되는 상기 코어 부재의 부분에 밀폐를 위하여 설치되는 씰링 부재;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와 씰링 부재가 배치된 코어 부재의 적어도 일부분을 감싸는 방식으로 이중 사출 공정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코어 부재보다 연성 재질의 밴드 부재;
    상기 밴드 부재 중 적어도 일부분에 노출된 가요성 인쇄회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 부품; 및
    상기 전자 부품이 장착된 상기 밴드 부재의 노출 부분을 밀폐시키기 위하여 장착되는 커버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56. 본체;
    상기 본체에서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착용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착용부 내부에 배치되는 보강 와셔; 및
    상기 착용부의 단부에 설치되어 다른 착용부와 체결되며, 적어도 하나의 전자 부품이 실장되는 버클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보강 와셔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착용부의 내부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착용부의 외부로 보여지도록 하는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버클 장치는,
    상기 착용부의 단부에 고정되며, 적어도 하나의 전자 부품이 실장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외면에 배치되어 상기 다른 착용부와 체결되는 체결 수단을 포함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57. 본체;
    상기 본체에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착용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착용부 내부에 배치되는 보강 와셔;
    상기 착용부의 단부에 설치되며, 내부에 유닛 수용 공간을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유닛 수용 공간에 수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 부품;
    상기 유닛 수용 공간을 밀폐시키기 위한 커버;
    상기 커버와 상기 유닛 수용 공간 사이에서 밀폐를 목적으로 개재되는 적어도 하나의 씰링 부재; 및
    상기 커버의 외면에 돌출되어 다른 착용부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개구에 대응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밴드 고정폴;을 포함하고,
    상기 보강 와셔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착용부의 내부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착용부의 외부로 보여지도록 하는 개구가 형성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58. 본체;
    상기 본체에서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착용부; 및
    상기 착용부의 단부에 설치되어 다른 착용부와 체결되며, 적어도 하나의 전자 부품이 실장되는 버클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착용부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 부품이 실장되는 코어 부재;
    상기 코어 부재에 인서트 몰딩 방식으로 고정되는 보강 와셔;
    상기 코어 부재에 배치되는 전기적 연결 부재; 및
    상기 전기적 연결 부재가 배치된 코어 부재의 적어도 일부분을 감싸는 방식으로 결합되는 밴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 와셔에는 상기 코어 부재에 실장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 부품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착용부의 외부로 보여지도록 하는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전기적 연결 부재를 통해 상기 코어 부재에 실장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 부품이 상기 본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버클 장치는,
    상기 착용부의 단부에 고정되며, 적어도 하나의 전자 부품이 실장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외면에 배치되어 상기 다른 착용부와 체결되는 체결 수단을 포함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KR1020130105144A 2013-09-02 2013-09-02 웨어러블 전자 장치 KR1021123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5144A KR102112305B1 (ko) 2013-09-02 2013-09-02 웨어러블 전자 장치
CN201480047584.6A CN105492976B (zh) 2013-09-02 2014-08-22 可穿戴电子设备
PCT/KR2014/007834 WO2015030438A1 (en) 2013-09-02 2014-08-22 Wearable electronic device
EP14840741.4A EP3042251A4 (en) 2013-09-02 2014-08-22 Wearable electronic device
US14/472,777 US9939787B2 (en) 2013-09-02 2014-08-29 Wearable electronic device with electronic component in strap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5144A KR102112305B1 (ko) 2013-09-02 2013-09-02 웨어러블 전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6387A KR20150026387A (ko) 2015-03-11
KR102112305B1 true KR102112305B1 (ko) 2020-05-18

Family

ID=52583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5144A KR102112305B1 (ko) 2013-09-02 2013-09-02 웨어러블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939787B2 (ko)
EP (1) EP3042251A4 (ko)
KR (1) KR102112305B1 (ko)
CN (1) CN105492976B (ko)
WO (1) WO201503043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82034B2 (en) 2013-11-29 2017-02-28 Motiv, Inc. Wearable computing device
JP1537617S (ko) * 2014-01-22 2018-10-22
JP1536635S (ko) * 2014-01-22 2018-10-22
JP1537615S (ko) * 2014-01-22 2018-10-22
USD747714S1 (en) * 2014-03-07 2016-01-19 Sony Mobile Communications Ab Watch shaped communications equipment
USD762641S1 (en) * 2014-04-15 2016-08-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Smart watch
USD762210S1 (en) * 2014-07-02 2016-07-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USD759623S1 (en) * 2014-07-30 2016-06-21 Sony Mobile Communications Ab Communications equipment
WO2016114487A1 (ko) 2015-01-13 2016-07-21 주식회사 씨케이머티리얼즈랩 촉각 정보 제공 기기
KR101784472B1 (ko) 2015-01-13 2017-10-11 주식회사 씨케이머티리얼즈랩 촉각 정보 제공 기기
USD803831S1 (en) * 2015-03-09 2017-11-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9578261B1 (en) * 2015-03-24 2017-02-21 Phillip Flagg Rockwell Portable security surveillance device
US10498158B2 (en) * 2015-03-31 2019-12-03 Superior Communications, Inc. Watch strap battery
USD780602S1 (en) * 2015-04-06 2017-03-07 Swimmo Inc. Athletic timepiece
KR20160139733A (ko) 2015-05-28 2016-1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CN107949815B (zh) * 2015-09-23 2021-03-12 阿莫绿色技术有限公司 可穿戴设备及其制造方法
US10630871B2 (en) * 2015-11-03 2020-04-21 Sam Salemnia Body mounted camera system
KR102421849B1 (ko) * 2015-11-30 2022-07-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마트 와치의 제어방법
WO2017094962A1 (ko) * 2015-11-30 2017-06-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마트 와치 및 이의 제어방법
USD812497S1 (en) * 2016-04-04 2018-03-13 A Frame Watch LLC Watch for mounting on a surfboard leash
KR20180042606A (ko) 2016-10-18 2018-04-26 삼성전자주식회사 메탈 스트랩을 포함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KR101967209B1 (ko) * 2017-07-19 2019-04-09 김명진 웨어러블 디바이스용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웨어러블 디바이스
USD868780S1 (en) * 2017-08-02 2019-12-03 Glaxosmithkline Consumer Healthcare Holdings (Us) Llc Wearable device
USD854542S1 (en) * 2017-08-02 2019-07-23 Glaxosmithkline Consumer Healthcare Holdings (Us) Llc Wearable device
KR102395783B1 (ko) * 2017-08-04 2022-05-09 삼성전자주식회사 웨어러블 기기 및 전자 장치
USD850317S1 (en) * 2017-08-10 2019-06-04 Accesso Technology Group Plc Wrist strap
USD838716S1 (en) * 2017-08-23 2019-01-22 Lite-On Technology Corporation Smart watch
CN107809570B (zh) * 2017-11-30 2024-03-22 广东小天才科技有限公司 具有防水摄像头的智能穿戴设备
CN110269785A (zh) * 2018-03-15 2019-09-24 Lg电子株式会社 可穿戴辅助装置以及可穿戴辅助装置的腿带
CN108513184B (zh) * 2018-06-04 2024-06-21 深圳市沃特沃德信息有限公司 智能穿戴装置
CN110989328A (zh) * 2019-12-23 2020-04-10 歌尔股份有限公司 智能手表及其加工工艺
CN115190984A (zh) * 2020-03-02 2022-10-14 无限科技有限公司 用于可穿戴设备的腕带
CN112019955B (zh) * 2020-08-11 2022-03-11 深圳市领为创新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手表扬声器密封防震机构
EP4389387A1 (en) * 2022-12-22 2024-06-26 Armour Surveillance Security Equipment and Technology Lt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trap for a wearable device
GB202219482D0 (en) * 2022-12-22 2023-02-08 Armour Surveillance Security Equipment And Tech Lt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trap for a wearable device
EP4389388A1 (en) * 2022-12-22 2024-06-26 Armour Surveillance Security Equipment and Technology Lt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trap for a wearable devi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8009B1 (ko) * 2000-05-17 2003-12-03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신체장착 가능한 정보기기
US20070279852A1 (en) * 2004-02-27 2007-12-06 Daniel Simon R Wearable Modular Interface Strap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2971Y1 (ko) 1988-08-26 1991-05-03 신중근 전자식(d.t.m.f) 전화기용 단축다이얼톤 제네레이터를 부착한 손목시계
JP3988102B2 (ja) 1998-11-06 2007-10-1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腕装着型カメラ
US6801476B2 (en) * 2002-04-15 2004-10-05 Daniel A. Gilmour Wrist-worn phone and body-worn data storage device
CN1832501A (zh) 2005-03-11 2006-09-13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多功能电子装置
TW200841683A (en) * 2007-04-04 2008-10-16 Hsien-Chin Chiang Watch shape cellular phone
KR101595384B1 (ko) * 2009-07-20 2016-0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와치형 이동 단말기
US20110205851A1 (en) * 2010-02-23 2011-08-25 Jared Harris E-Watch
US8814754B2 (en) * 2010-11-01 2014-08-26 Nike, Inc. Wearable device having athletic functionality
CN202975605U (zh) * 2012-10-26 2013-06-05 赵溢媛 一种多功能手表
US20150229813A1 (en) * 2013-02-11 2015-08-13 Oran Jacob Isaac-Lowry Miniature High Definition Camera System
US9329411B2 (en) * 2013-02-21 2016-05-03 Donn K. Harms Mounting interface for eyewear
US20140254083A1 (en) * 2013-03-09 2014-09-11 Hsin-Fu Wang Protection and Data Transmission Device Suitable for Use on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150106229A (ko) * 2014-03-11 2015-09-21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를 인증하는 장치 및 방법
KR102201921B1 (ko) * 2014-04-11 2021-01-12 삼성전자주식회사 버클을 갖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8009B1 (ko) * 2000-05-17 2003-12-03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신체장착 가능한 정보기기
US20070279852A1 (en) * 2004-02-27 2007-12-06 Daniel Simon R Wearable Modular Interface Stra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042251A1 (en) 2016-07-13
KR20150026387A (ko) 2015-03-11
US9939787B2 (en) 2018-04-10
WO2015030438A1 (en) 2015-03-05
CN105492976A (zh) 2016-04-13
CN105492976B (zh) 2018-11-27
US20150063075A1 (en) 2015-03-05
EP3042251A4 (en) 2017-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2305B1 (ko) 웨어러블 전자 장치
KR102189784B1 (ko) 휘어지는 전자 장치
EP3121681B1 (en) Watch type terminal
TWI573510B (zh) 手持裝置外殼
KR102242979B1 (ko) 곡형 본체 및 이를 구비한 웨어러블 장치
EP2640042A1 (en) Waterproof case for portable terminal
CN105322355B (zh) 连接器装置及具有该连接器装置的电子设备
US20160034002A1 (en) Wearable electronic device
KR20110041390A (ko) 휴대용 단말기의 방수 구조
KR100879543B1 (ko) 휴대용 전자기기 모듈
ES2758099T3 (es) Funda protectora y un dispositivo electrónico que la tiene
KR20170047771A (ko) 웨어러블 단말기
US9894191B2 (en) Mobile terminal
KR20190076299A (ko) 접촉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작 방법
KR101695989B1 (ko) 휴대용 단말기
KR20110109668A (ko) 커넥터 커버가 부착된 핸드폰 케이스
KR101248864B1 (ko) 휴대용 스테레오 스피커 장치
KR101294668B1 (ko) 마이크로폰이 내장된 인쇄회로기판이 장착된 휴대 단말기
KR20160070998A (ko) 웨어러블 단말기
CN209914246U (zh) 壳体组件以及电子设备
JP2005167788A (ja) 携帯電子機器
CN116074417A (zh) 保护壳和可折叠终端组件
WO2020042111A1 (zh) 机器人及其显示装置
JP5549910B2 (ja) 携帯機器の外装構造
KR100730075B1 (ko) 카메라모듈 하우징의 데코 조립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