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3163B1 - 촉각자극 제공 장치 - Google Patents

촉각자극 제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3163B1
KR102173163B1 KR1020180067673A KR20180067673A KR102173163B1 KR 102173163 B1 KR102173163 B1 KR 102173163B1 KR 1020180067673 A KR1020180067673 A KR 1020180067673A KR 20180067673 A KR20180067673 A KR 20180067673A KR 102173163 B1 KR102173163 B1 KR 1021731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achable member
detachable
band
tactile stimulation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76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35819A (ko
Inventor
고영훈
곽기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햅틱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햅틱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햅틱스
Publication of KR201801358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5819A/ko
Priority to KR10202001406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32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31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31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2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61H23/0254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with rotary motor
    • A61H23/0263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with rotary motor using rotating unbalanced mas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02Garments adapted to accommodate electronic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4Vests, jerseys, sweater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08Arm or ha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1/00Belts, strips or combs for massage purpos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6/00Tacti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32Therapeutic use
    • A41D2400/322Massa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5Wearable inte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촉각자극 제공 장치는 조끼 형태의 촉각자극 제공 장치로서, 일측 및 타측 사이에 배열된 복수의 액츄에이터들을 포함하는 제1 전면 패널; 일측 및 타측 사이에 배열된 복수의 액츄에이터들을 포함하고, 일측이 상기 제1 전면 패널의 타측과 체결가능한 제2 전면 패널; 및 일측 및 타측 사이에 배열된 복수의 액츄에이터들을 포함하고, 일측이 상기 제1 전면 패널의 일측과 체결가능하고, 타측이 상기 제2 전면 패널의 타측과 체결가능한 후면 패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촉각자극 제공 장치{TACTILE STIMULATION PROVIDING DEVICE}
본 발명은 촉각자극 제공 장치에 관한 것이다.
촉각자극 제공 장치는 복수의 액츄에이터(actuator)를 포함하고, 복수의 액츄에이터를 선택적으로 진동시킴으로써 사용자에게 촉각자극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액츄에이터로서 코인 모터(coin motor), ERM 모터(eccentric rotation mass motor)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코인 모터는 10 mm 지름에 3.4 mm 두께 정도로 작고 얇아 촉각자극 제공 장치를 쉽게 구성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코인 모터는 실제로 회전하면서 진동을 만들어내는 진동자의 크기와 무게의 한계 때문에, 진동의 세기를 증가시키는데 한계가 있다.
코인 모터보다 더욱 강한 진동을 위해서 ERM 모터가 사용될 수 있다. ERM 모터는 진동 모터의 샤프트에 위치한 편심 질량체의 회전에 의해서 진동이 발생한다.
ERM 모터는 코인 모터보다 더욱 강한 진동을 제공하지만, 진동자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진동자의 회전을 확보할 수 있는 케이싱(casing)이 필수적이다.
하지만 기존의 원통형 알루미늄 케이스를 이용하는 경우, 다른 장치와 결합할 때(예를 들어, 천 주머니에 봉합), 진동력의 감소와 두께의 증가라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미국 공개특허공보 제2015-0123774호(2015.05.07.)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편심 질량체를 가진 액츄에이터가 진동력 감쇠 없이 결합되어 효율적인 촉각자극을 제공하는 촉각자극 제공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액츄에이터의 진동력이 사용자에게 잘 전달되면서, 착용 편의성 및 심미성이 강화된 촉각자극 제공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촉각자극 제공 장치는, 조끼 형태의 촉각자극 제공 장치로서, 일측 및 타측 사이에 배열된 복수의 액츄에이터들을 포함하는 제1 전면 패널; 일측 및 타측 사이에 배열된 복수의 액츄에이터들을 포함하고, 일측이 상기 제1 전면 패널의 타측과 체결가능한 제2 전면 패널; 및 일측 및 타측 사이에 배열된 복수의 액츄에이터들을 포함하고, 일측이 상기 제1 전면 패널의 일측과 체결가능하고, 타측이 상기 제2 전면 패널의 타측과 체결가능한 후면 패널을 포함한다.
상기 후면 패널은 일측에 연결된 제1 링 및 타측에 연결된 제2 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전면 패널은 일측에 연결된 제1 윙 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전면 패널은 타측에 연결된 제2 윙 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촉각자극 제공 장치는, 상기 제1 윙 밴드의 전면의 일단에 위치한 제1 탈부착 부재; 상기 제1 전면 패널의 전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탈부착 부재와 탈부착가능한 제2 탈부착 부재; 상기 제2 윙 밴드의 전면의 일단에 위치한 제3 탈부착 부재; 및 상기 제2 전면 패널의 전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3 탈부착 부재와 탈부착가능한 제4 탈부착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윙 밴드의 일단의 폭은 상기 제1 링의 내주면의 폭보다 크고, 상기 제2 윙 밴드의 일단의 폭은 상기 제2 링의 내주면의 폭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2 탈부착 부재는 상기 제1 전면 패널의 전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 윙 밴드의 전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4 탈부착 부재는 상기 제2 전면 패널의 전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2 윙 밴드의 전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촉각자극 제공 장치는, 상기 제1 윙 밴드의 후면의 일단에 위치하고, 상기 제2 탈부착 부재와 탈부착가능한 제5 탈부착 부재; 및 상기 제2 윙 밴드의 후면의 일단에 위치하고, 상기 제4 탈부착 부재와 탈부착 가능한 제6 탈부착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촉각자극 제공 장치는, 상기 제1 윙 밴드의 후면에서 상기 제5 탈부착 부재와 상기 제1 윙 밴드의 타단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2 탈부착 부재와 탈부착가능한 제7 탈부착 부재; 및 상기 제2 윙 밴드의 후면에서 상기 제6 탈부착 부재와 상기 제2 윙 밴드의 타단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4 탈부착 부재와 탈부착가능한 제8 탈부착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면 패널은 일측에 연결된 제1 윙 밴드 및 타측에 연결된 제2 윙 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전면 패널은 일측에 연결된 제1 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전면 패널은 타측에 연결된 제2 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윙 밴드는 후면의 일단에 위치한 제1 탈부착 부재 및 상기 제1 탈부착 부재와 상기 제1 윙 밴드의 타단 사이에 위치한 제2 탈부착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윙 밴드는 전면에 위치한 제3 탈부착 부재, 후면의 일단에위치한 제4 탈부착 부재, 및 상기 제4 탈부착 부재와 상기 제2 윙 밴드의 타단 사이에 위치한 제5 탈부착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후면 패널은 후면에 위치한 제6 탈부착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4 탈부착 부재는 상기 제6 탈부착 부재와 탈부착 가능하고, 상기 제1 탈부착 부재는 상기 제3 탈부착 부재와 탈부착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촉각자극 제공 장치는, 팔 토시 형태의 촉각자극 제공 장치로서, 복수의 액츄에이터들; 상기 복수의 액츄에이터들을 지지하고, 전면에 위치한 제1 탈부착 부재를 포함하는 베이스 밴드; 후면에 상기 제1 탈부착 부재와 탈부착가능한 제2 탈부착 부재를 포함하고, 일단이 상기 베이스 밴드의 일단과 연결된 보조 밴드; 및 상기 복수의 액츄에이터들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내부에 포함하고, 상기 보조 밴드가 삽입되는 개구부를 포함하는 컨트롤러 케이스를 포함한다.
상기 촉각자극 제공 장치는, 상기 베이스 밴드의 일단과 연결된 링; 및 상기 베이스 밴드의 전면의 타단에서 상기 제1 탈부착 부재와 이격되어 위치하고, 상기 제1 탈부착 부재와 탈부착가능한 제3 탈부착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촉각자극 제공 장치는, 상기 보조 밴드의 전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3 탈부착 부재와 탈부착가능한 제4 탈부착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밴드의 타단의 폭은 상기 링의 내주면의 폭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촉각자극 제공 장치는, 상기 베이스 밴드의 후면의 타단에 위치하고, 상기 제1 탈부착 부재와 탈부착가능한 제5 탈부착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촉각자극 제공 장치는, 베이스 밴드; 상기 베이스 밴드의 일면에 위치하고, 구동부와 편심 질량체(eccentric mass)를 포함하는 액츄에이터(actuator); 상기 베이스 밴드의 일면에 위치하고, 상기 구동부를 수용하는 제1 수용부와 상기 편심 질량체를 수용하는 제2 수용부를 포함하는 바텀 케이스(bottom case); 상기 베이스 밴드의 일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수용부에 상기 구동부를 밀착시키도록 상기 바텀 케이스와 결합되는 커버 케이스(cover case); 및 상기 베이스 밴드의 타면에 위치하고, 상기 바텀 케이스를 상기 베이스 밴드에 고정시키는 탑 케이스(top case)를 포함한다.
상기 촉각자극 제공 장치는, 상기 구동부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며, 상기 구동부 및 상기 제1 수용부의 사이에 개재되는 이격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 케이스는 상기 바텀 케이스와 결합됨으로써 상기 편심 질량체를 상기 베이스 밴드의 일면과 격리시키면서, 상기 제2 수용부와 함께 상기 편심 질량체의 여유 회전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촉각자극 제공 장치는 편심 질량체를 가진 액츄에이터가 진동력 감쇠 없이 결합되어 효율적인 촉각자극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촉각자극 제공 장치는 액츄에이터의 진동력이 사용자에게 잘 전달되면서, 착용 편의성 및 심미성이 강화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액츄에이터 케이스를 한 시점에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액츄에이터 케이스를 다른 시점에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팔 토시 형태의 촉각자극 제공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촉각자극 제공 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촉각자극 제공 장치를 사용자가 착용 중인 시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3의 촉각자극 제공 장치를 사용자가 착용한 시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3의 촉각자극 제공 장치의 베이스 밴드와 보조 밴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3의 촉각자극 제공 장치의 컨트롤러 케이스를 한 시점에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컨트롤러 케이스를 다른 시점에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츄에이터 케이스를 한 시점에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의 액츄에이터 케이스를 다른 시점에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조끼 형태의 촉각자극 제공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촉각자극 제공 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14는 도 12의 촉각자극 제공 장치의 전면 패널들을 개방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츄에이터 케이스를 한 시점에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은 도 15의 액츄에이터 케이스를 다른 시점에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팔 토시 형태의 촉각자극 제공 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촉각자극 제공 장치의 크기를 조절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끼 형태의 촉각자극 제공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0은 도 19의 촉각자극 제공 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21은 도 19의 촉각자극 제공 장치의 크기를 1단계 조절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2는 도 19의 촉각자극 제공 장치의 크기를 2단계 조절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3은 도 19의 촉각자극 제공 장치의 크기가 2단계 조절되어 사용자에게 장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4는 도 19의 촉각자극 제공 장치의 전면 패널들을 개방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5는 도 24의 상태에서 내피들을 제거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6은 도 25의 상태에서 분리된 베이스 밴드의 일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끼 형태의 촉각자극 제공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8은 도 27의 촉각자극 제공 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29 및 30은 도 27의 촉각자극 제공 장치를 사용자가 착용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1 및 32는 도 27의 촉각자극 제공 장치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3 및 34는 도 27의 촉각자극 제공 장치의 또 다른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 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따라서 앞서 설명한 참조 부호는 다른 도면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과장되게 나타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액츄에이터 케이스를 한 시점에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액츄에이터 케이스를 다른 시점에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액츄에이터 케이스(1)는 바텀 케이스(bc1), 커버 케이스(cc1), 및 탑 케이스(tc1)를 포함한다.
바텀 케이스(bc1), 커버 케이스(cc1), 및 탑 케이스(tc1)의 위치 관계는 베이스 밴드를 기준으로 정해질 수 있다. 베이스 밴드는 커버 케이스(cc1)와 탑 케이스(tc1)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베이스 밴드와 액츄에이터 케이스(1)의 상대적 위치 관계는 도 3 및 4의 설명을 더 참조한다.
액츄에이터(actuator)(ac1)는 베이스 밴드의 일면에 위치하고, 구동부(mb1)와 편심 질량체(eccentric mass)(em1)를 포함한다. 구동부(mb1)와 편심 질량체(em1)는 샤프트(shaft)를 통해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액츄에이터(ac1)는 ERM 모터(eccentric rotation motor)일 수 있다. 액츄에이터(ac1)는 구동부(mb1)에 의해 회전하는 편심 질량체(em1)가 불균형적인 진동자로 역할하면서 진동을 만들어낼 수 있다. 액츄에이터(ac1)는 원통의 지름이 약 6 mm, 전체 높이가 약 17 mm인 원통형 진동 모터일 수 있다. 코인 형태의 모터는 진동자가 수평으로 회전해서 수평 방향의 진동을 만들지만, 본 실시예의 액츄에이터(ac1)는 수직 방향의 진동을 만들어 낼 수 있다.
바텀 케이스(bottom case)(bc1)는 베이스 밴드의 일면에 위치하고, 구동부(mb1)를 수용하는 제1 수용부(tha1)와 편심 질량체(em1)를 수용하는 제2 수용부(thb1)를 포함한다. 즉, 바텀 케이스(bc1)는 배선을 제외한 액츄에이터(ac1)의 전부 또는 일부를 수용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바텀 케이스(bc1)가 액츄에이터(ac1)의 일부만 수용한다면, 액츄에이터(ac1)의 나머지 부분은 후술하는 커버 케이스(cc1)에 의해 수용될 수 있다.
커버 케이스(cover case)(cc1)는 베이스 밴드의 일면에 위치하고, 제1 수용부(tha1)에 구동부(mb1)를 밀착시키도록 바텀 케이스(bc1)와 결합된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커버 케이스(cc1)가 액츄에이터(ac1)를 덮으면서 바텀 케이스(bc1)와 결합될 수 있다. 커버 케이스(cc1)의 수체결부(cm1)가 바텀 케이스(bc1)의 암체결부(bsf1)와 끼워맞춤되면서, 커버 케이스(cc1)는 바텀 케이스(bc1)와 단단히 고정될 수 있다. 특히, 액츄에이터(ac1)의 구동부(mb1)가 단단히 고정되도록 제1 수용부(tha11)와 수용부(cha1)가 형성될 수 있다. 커버 케이스(cc1)의 수체결부(cm1)는 커버 케이스(cc1)가 베이스 밴드와 맞닿는 면에 평행하도록 돌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수체결부(cm1)와 암체결부(bsf1)는 네 쌍이지만, 실시예에 따라 그 개수는 달라질 수 있다.
커버 케이스(cc1)는 바텀 케이스(bc1)와 결합됨으로써 편심 질량체(em1)를 베이스 밴드의 일면과 격리시키면서, 제2 수용부(thb1)와 함께 편심 질량체(em1)의 여유 회전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커버 케이스(cc1)의 수용부(chb1)는 제2 수용부(thb1)와 매칭됨으로써 편심 질량체(em1)의 회전에 방해가 되지 않는 여유 회전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커버 케이스(cc1)의 수용부(chb1)는 편심 질량체(em1)를 베이스 밴드의 일면과 격리시키는 역할도 한다. 따라서, 베이스 밴드가 가요성있는 천이나 고무 재질인 경우에도 편심 질량체(em1)는 베이스 밴드에 부딪힐 염려없이 신뢰성있게 회전할 수 있다.
탑 케이스(top case)(tc1)는 베이스 밴드의 타면에 위치하고, 바텀 케이스(bc1)를 베이스 밴드에 고정시킨다.
탑 케이스(tc1)의 수체결부(tm1)는 베이스 밴드를 관통하여 바텀 케이스의 암체결부(bf1)에 결합됨으로써, 액츄에이터(ac1) 및 액츄에이터 케이스(1)가 베이스 밴드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베이스 밴드는 수체결부(tm1)가 통과할 수 있는 형상의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베이스 밴드의 타면에 밀착하는 탑 케이스(tc1)의 면적은 베이스 밴드의 일면에 밀착하는 바텀 케이스(bc1)의 면적보다 작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수체결부(tm1)가 위치할 수 있는 공간이 비교적 부족하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수체결부(tm1) 및 암체결부(bf1)가 두 쌍으로 형성되었다. 본 실시예에 따라, 탑 케이스(tc1)의 면적이 바텀 케이스(bc1)의 면적보다 작으면 복수의 액츄에이터가 밀집되어 배치되더라도, 각각의 진동이 집중되는 복수의 탑 케이스 간의 간격이 충분해지기 때문에, 사용자가 체감하는 진동의 해상도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탑 케이스(tc1)의 일면이 원형으로 구성됨에 따라 사용자에게 모서리가 느껴지지 않아 보다 편안한 느낌을 제공할 수 있다.
바텀 케이스(bc1)는 돌출부(bm1)를 포함하고, 탑 케이스(tc1)는 함몰부(tf1)를 포함할 수 있다. 바텀 케이스(bc1)의 돌출부(bm1)가 베이스 밴드를 압박하며 함몰부(tf1)에 끼워맞춤됨으로써, 액츄에이터(ac1) 및 액츄에이터 케이스(1)가 베이스 밴드에 더욱 단단히 고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탑 케이스(tc1)의 면적이 비교적 작으므로 그에 맞춰 돌출부(bm1) 및 함몰부(tf1)의 쌍이 네 쌍으로 형성되었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팔 토시 형태의 촉각자극 제공 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촉각자극 제공 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3 및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팔 토시 형태의 촉각자극 제공 장치(10)는 베이스 밴드(100), 복수의 액츄에이터들, 복수의 바텀 케이스들, 복수의 커버 케이스들, 및 복수의 탑 케이스들(500c)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촉각자극 제공 장치(10)는 보조 밴드(200), 컨트롤러 케이스(300), 링(400), 컨트롤러, 신호 전달 부재를 선택적으로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베이스 밴드(100)의 후면에는 복수의 탑 케이스(500c)가 위치할 수 있다. 베이스 밴드(100)의 전면에는 복수의 바텀 케이스들 및 커버 케이스들이 위치할 수 있다. 복수의 바텀 케이스들 및 커버 케이스들은 보호 커버(CV) 및 탈부착 부재들(110, 120)로 커버될 수 있다. 복수의 액츄에이터들은 대응하는 바텀 케이스 및 커버 케이스 사이에 개재되어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베이스 밴드(100)는 복수의 액츄에이터들을 지지할 수 있다.
베이스 밴드(100)(base band)의 구성에는 천 소재, 메쉬(mesh) 소재, 고무 소재, 네오프렌(Neoprene) 등의 가요성(flexible)있는 소재가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들은 동일한 신체 부위일지라도 각자 다양한 형태 및 크기를 갖기 때문에, 가요성있는 소재가 베이스 밴드(100)로 채용되는 경우, 사용자에게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다. 베이스 밴드(100)는 한 층으로 구성될 수도 있지만,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복수의 층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복수의 층은 서로 다른 소재로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 밴드(100)의 후면은 메쉬 소재의 층으로 구성될 수 있고, 베이스 밴드(100)의 전면은 네오프렌 소재의 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메쉬 소재로 구성된 베이스 밴드(100)의 후면에는 복수의 액츄에이터들이 위치할 수 있는데, 메쉬 소재는 복수의 액츄에이터들의 진동을 퍼뜨리지 않고 또한 그 움직임을 방해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네오프렌 소재로 구성된 베이스 밴드(100)의 전면은 복수의 액츄에이터들로부터 발생한 진동이 컨트롤러 케이스(300)까지 도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탈부착 부재(110)는 베이스 밴드(100)의 전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탈부착 부재(120)는 베이스 밴드(100)의 전면의 타단에서 탈부착 부재(110)와 이격되어 위치하고, 탈부착 부재(110)와 탈부착가능할 수 있다.
탈부착 부재(110)는 A 종류(A type)의 탈부착 부재일 수 있고, 탈부착 부재(120)는 B 종류의 탈부착 부재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탈부착 부재는 A 종류 및 B 종류(B type) 중 어느 한 타입일 수 있다. A 종류 및 B 종류는 서로 탈부착이 가능하다. 하지만 A 종류 및 A 종류는 서로 탈부착이 불가능할 수 있다. 유사하게 B 종류 및 B 종류는 서로 탈부착이 불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종류를 갖는 모든 형태의 탈부착 부재가 본 실시예의 탈부착 부재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탈부착 부재는 예를 들어, 벨크로(velcro), 자석, 전자석, 스냅(snap) 단추, 버클(buckle) 등이 있을 수 있다. 이하 실시예들의 도면에서는 탈부착 부재가 벨크로인 경우를 가정하여 도시되었다.
베이스 밴드(100)의 상측 가장자리 및 하측 가장자리는 유선형일 수 있다. 베이스 밴드(100)의 펼쳐진 모양은 원뿔대의 전개도와 같이 유선형이 됨으로써, 베이스 밴드(100)를 말았을 때 사용자의 팔에 보다 잘 밀착될 수 있다.
보조 밴드(200)는 후면에 탈부착 부재(110)와 탈부착 가능한 B 종류의 탈부착 부재(미도시)를 포함하고, 일단이 베이스 밴드(100)의 일단과 연결될 수 있다.
보조 밴드(200)는 컨트롤러 케이스(300)를 베이스 밴드(100)와 분리시킴으로써, 베이스 밴드(100)에 위치한 복수의 액츄에이터들의 진동이 컨트롤러 케이스(300)에 전달되지 않도록 하여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보조 밴드(200)는 후면의 탈부착 부재와 탈부착 부재(110)의 상대적 부착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컨트롤러 케이스(300)가 사용자의 체형에 맞게 위치 조절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탈부착 부재(210)는 보조 밴드(200)의 전면에 위치하고, 탈부착 부재(120)와 탈부착 가능할 수 있다. 탈부착 부재(210)는 A 종류의 탈부착 부재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촉각자극 제공 장치(10)를 착용시에, 탈부착 부재(120)는 탈부착 부재(110)뿐만 아니라 탈부착 부재(210)에도 탈부착될 수 있으므로, 촉각자극 제공 장치(10)는 더욱 다양한 사용자 체형에 맞춰질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밴드(200)의 타단의 폭은 컨트롤러 케이스(300)의 개구부의 내주면의 폭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조 밴드(200)의 타단은 나팔 형태, 또는 갈고리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컨트롤러 케이스(300)가 보조 밴드(200)로부터 쉽게 빠지지 않을 수 있다.
링(ring)(400)은 베이스 밴드(100)의 일단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베이스 밴드(100)의 타단의 폭은 링의 내주면의 폭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 밴드(100)의 타단은 나팔 형태, 또는 갈고리 형태일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촉각자극 제공 장치(10)를 팔에서 제거할 때, 베이스 밴드(100)의 타단이 링(400)에 걸림으로써 장치의 갑작스러운 추락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밴드(100)의 타단이 링(400)에 걸린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다음 사용자가 촉각자극 제공 장치(10)를 착용할 때 베이스 밴드(100)의 타단을 링(400)에 다시 삽입하는 절차를 생략할 수 있다. 베이스 밴드(100)는 신축성이 있으므로, 사용자는 촉각자극 제공 장치(10)를 착용할 때, 베이스 밴드(100)의 타단을 구부려 링(400)을 통과시킬 수 있다.
복수의 탑 케이스들(500c)은 외부에 노출될 수 있고, 외부에 노출된 복수의 탑 케이스들(500c)은 사용자의 팔과 밀착될 수 있다. 복수의 탑 케이스들(500c)은 대응하는 액츄에이터의 구동력을 사용자의 신체에 전달함으로써 사용자는 촉각자극을 느낄 수 있다.
컨트롤러는 컨트롤러 케이스(300) 내부에 위치하고, 복수의 액츄에이터들을 제어하는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컨트롤러는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 모터 드라이버(motor dirvier), 및 전력 관리 모듈(power management module) 등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컨트롤러 케이스(300) 내부에는 컨트롤러의 구동을 위한 별도의 배터리가 있을 수 있다. 컨트롤러는 PCB, FPCB, IC 등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는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 등의 기존 무선 통신 기술을 통해서 또는 유선 통신 기술을 통해서 촉각자극 패턴을 입력받을 수도 있다. 촉각자극 패턴은 다방향 촉각자극 패턴일 수도 있다. 컨트롤러 케이스(300) 내부에 별도의 메모리 소자가 위치할 수도 있다.
신호 전달 부재는 컨트롤러로부터 복수의 액츄에이터들로 구동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신호 전달 부재는 FPCB 또는 와이어(wire) 등의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신호 전달 부재는 복수의 액츄에이터들과 컨트롤러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신호 전달 부재가 통과하기 위해서, 베이스 밴드(100), 보조 밴드(200), 및 컨트롤러 케이스(300)는 각각의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도 3의 촉각자극 제공 장치를 사용자가 착용 중인 시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자신의 신체에 촉각자극 제공 장치(10)를 착용하고 있다. 도 5에서는, 촉각자극 제공 장치(10)가 사용자의 신체에 얹혀지고, 촉각자극 제공 장치(10)의 탈부착 부재(120)를 포함하는 일단이 링(400)을 통과한 상태이다.
도 6은 도 3의 촉각자극 제공 장치를 사용자가 착용한 시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촉각자극 제공 장치(10)의 탈부착 부재(120)를 탈부착 부재(210)에 부착함으로써, 촉각자극 제공 장치(10)를 사용자의 신체에 고정시키고 있다. 만약 사용자의 착용 신체 부위의 두께가 보다 두껍다면, 탈부착 부재(120)는 탈부착 부재(110)에 부착될 수도 있다. 따라서 탈부착 부재(120)는 탈부착 부재(110) 또는 탈부착 부재(210)에 부착가능함으로써 다양한 사용자 신체에 대응할 수 있다.
도 7은 도 3의 촉각자극 제공 장치의 베이스 밴드와 보조 밴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에서는 도 3과 비교했을 때 컨트롤러 케이스(300)가 제거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보조 밴드(200)는 신호 전달 부재가 삽입되는 개구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에서는 보조 밴드(200)에 가려 도시되지 않았지만, 베이스 밴드(100)는 신호 전달 부재가 삽입되는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각 개구부는 크기와 위치가 대략 유사할 수 있다.
도 8은 도 3의 촉각자극 제공 장치의 컨트롤러 케이스를 한 시점에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9는 도 8의 컨트롤러 케이스를 다른 시점에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컨트롤러 케이스(300)는 보조 밴드(200)가 삽입되는 개구부들(310, 32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 케이스(300)는 신호 전달 부재가 삽입되는 개구부(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러 케이스(300)는 사용자의 팔에 밀착되기 위해서 하부면이 오목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컨트롤러 케이스(300)는 설계 목표하는 사용자의 신체의 굴곡에 맞추어 곡률을 가질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츄에이터 케이스를 한 시점에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1은 도 10의 액츄에이터 케이스를 다른 시점에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 및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츄에이터 케이스(2)는 바텀 케이스(bc2), 커버 케이스(cc2), 및 탑 케이스(tc2)를 포함한다.
바텀 케이스(bc2), 커버 케이스(cc2), 및 탑 케이스(tc2)의 위치 관계는 베이스 밴드를 기준으로 정해질 수 있다. 베이스 밴드는 커버 케이스(cc2)와 탑 케이스(tc2)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베이스 밴드와 액츄에이터 케이스(2)의 상대적 위치 관계는 도 12 내지 14의 설명을 더 참조한다.
액츄에이터(ac2)는 베이스 밴드의 일면에 위치하고, 구동부(mb2)와 편심 질량체(em2)를 포함한다. 구동부(mb2)와 편심 질량체(em2)는 샤프트를 통해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액츄에이터(ac2)는 ERM 모터일 수 있다. 액츄에이터(ac2)는 구동부(mb2)에 의해 회전하는 편심 질량체(em2)가 불균형적인 진동자로 역할하면서 진동을 만들어낼 수 있다. 액츄에이터(ac2)는 원통의 지름이 약 6 mm, 전체 높이가 약 17 mm인 원통형 진동 모터일 수 있다. 코인 형태의 모터는 진동자가 수평으로 회전해서 수평 방향의 진동을 만들지만, 본 실시예의 액츄에이터(ac2)는 수직 방향의 진동을 만들어 낼 수 있다.
바텀 케이스(bc2)는 베이스 밴드의 일면에 위치하고, 구동부(mb2)를 수용하는 제1 수용부(tha2)와 편심 질량체(em2)를 수용하는 제2 수용부(thb2)를 포함한다. 즉, 바텀 케이스(bc2)는 배선을 제외한 액츄에이터(ac2)의 전부 또는 일부를 수용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바텀 케이스(bc2)가 액츄에이터(ac2)의 일부만 수용한다면, 액츄에이터(ac2)의 나머지 부분은 후술하는 커버 케이스(cc2)에 의해 수용될 수 있다.
커버 케이스(cc2)는 베이스 밴드의 일면에 위치하고, 제1 수용부(tha2)에 구동부(mb2)를 밀착시키도록 바텀 케이스(bc2)와 결합된다.
도 10 및 11을 참조하면, 커버 케이스(cc2)가 액츄에이터(ac2)를 덮으면서 바텀 케이스(bc2)와 결합될 수 있다. 커버 케이스(cc2)의 수체결부(cm2)가 바텀 케이스(bc2)의 암체결부(bsf2)와 끼워맞춤되면서, 커버 케이스(cc2)는 바텀 케이스(bc2)와 단단히 고정될 수 있다. 특히, 액츄에이터(ac2)의 구동부(mb2)가 단단히 고정되도록 제1 수용부(tha2)와 수용부(cha2)가 형성될 수 있다. 커버 케이스(cc2)의 수체결부(cm2)는 커버 케이스(cc2)가 베이스 밴드와 맞닿는 면에 평행하도록 돌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수체결부(cm2)와 암체결부(bsf2)는 네 쌍이지만, 실시예에 따라 그 개수는 달라질 수 있다.
커버 케이스(cc2)는 바텀 케이스(bc2)와 결합됨으로써 편심 질량체(em2)를 베이스 밴드의 일면과 격리시키면서, 제2 수용부(thb2)와 함께 편심 질량체(em2)의 여유 회전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커버 케이스(cc2)의 수용부(chb2)는 제2 수용부(thb2)와 매칭됨으로써 편심 질량체(em2)의 회전에 방해가 되지 않는 여유 회전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커버 케이스(cc2)의 수용부(chb2)는 편심 질량체(em2)를 베이스 밴드의 일면과 격리시키는 역할도 한다. 따라서, 베이스 밴드가 가요성있는 천이나 고무 재질인 경우에도 편심 질량체(em2)는 베이스 밴드에 부딪힐 염려없이 신뢰성있게 회전할 수 있다.
탑 케이스(tc2)는 베이스 밴드의 타면에 위치하고, 바텀 케이스(bc2)를 베이스 밴드에 고정시킨다.
탑 케이스(tc2)의 수체결부(tm2)는 베이스 밴드를 관통하여 바텀 케이스의 암체결부(bf2)에 결합됨으로써, 액츄에이터(ac2) 및 액츄에이터 케이스(2)가 베이스 밴드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베이스 밴드는 수체결부(tm2)가 통과할 수 있는 형상의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베이스 밴드의 타면에 밀착하는 탑 케이스(tc2)의 면적은 베이스 밴드의 일면에 밀착하는 바텀 케이스(bc2)의 면적과 대응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수체결부(tm2)가 위치할 수 있는 공간이 비교적 충분하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수체결부(tm2) 및 암체결부(bf2)가 네 쌍으로 형성되었다. 따라서, 액츄에이터(ac2)가 보다 강하게 진동하더라도 이를 견딜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라, 탑 케이스(tc2)의 면적이 바텀 케이스(bc2)의 면적과 대응하면 비교적 덜 민감한 사용자의 등에도 충분한 진동력이 전달되므로, 사용자가 더욱 확실히 진동을 체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탑 케이스(tc2)의 일면의 모서리를 둥그스름하게 구성함에 따라 사용자에게 보다 편안한 느낌을 제공할 수 있다.
바텀 케이스(bc2)는 돌출부(bm2)를 포함하고, 탑 케이스(tc2)는 함몰부(tf2)를 포함할 수 있다. 바텀 케이스(bc2)의 돌출부(bm2)가 베이스 밴드를 압박하며 함몰부(tf2)에 끼워맞춤됨으로써, 액츄에이터(ac2) 및 액츄에이터 케이스(2)가 베이스 밴드에 더욱 단단히 고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탑 케이스(tc2)의 면적이 비교적 충분하므로 그에 맞춰 돌출부(bm2) 및 함몰부(tf2)의 쌍이 여섯 쌍으로 형성되어 충분한 지지력을 제공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조끼 형태의 촉각자극 제공 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촉각자극 제공 장치의 배면도이고, 도 14는 도 12의 촉각자극 제공 장치의 전면 패널들을 개방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 내지 14를 참조하면 촉각자극 제공 장치(21)는 제1 전면 패널(rp1), 제2 전면 패널(lp1), 및 후면 패널(bp1)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패널(rp1, lp1, bp1)은 복수의 층들로 구성될 수 있고, 복수의 층들 중 적어도 한 층은 베이스 밴드에 해당할 수 있다. 베이스 밴드의 일면은 패널 내부에 위치하여 보이지 않을 수도 있다. 베이스 밴드의 타면은 도 14를 참조하면 안쪽으로 노출될 수도 있다.
제1 전면 패널(rp1)은 일측 및 타측 사이에 배열된 복수의 액츄에이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전면 패널(lp1)은 일측 및 타측 사이에 배열된 복수의 액츄에이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전면 패널(lp1)은 일측이 제1 전면 패널(rp1)의 타측과 체결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전면 패널(lp1)의 일측과 제1 전면 패널(rp1)의 타측은 지퍼, 벨크로, 버클, 단추 등으로 체결가능할 수 있다.
후면 패널(bp1)은 일측 및 타측 사이에 배열된 복수의 액츄에이터들을 포함하고, 일측이 제1 전면 패널(rp1)의 일측과 체결가능하고, 타측이 제2 전면 패널(lp1)의 타측과 체결가능할 수 있다.
후면 패널(bp1)은 일측에 연결된 제1 링(rr1) 및 타측에 연결된 제2 링(lr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면 패널(rp1)은 일측에 연결된 제1 윙 밴드(rwb1)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전면 패널(lp1)은 타측에 연결된 제2 윙 밴드(lwb1)를 포함할 수 있다.
탈부착 부재(rv21)는 제1 윙 밴드(rwb1)의 전면의 일단에 위치할 수 있다. 탈부착 부재(rv11)는 제1 전면 패널(rp1)의 전면에 위치하고, 탈부착 부재(rv21)와 탈부착가능할 수 있다.
탈부착 부재(lv21)는 제2 윙 밴드(lwb1)의 전면의 일단에 위치할 수 있다. 탈부착 부재(lv11)는 제2 전면 패널(lp1)의 전면에 위치하고, 탈부착 부재(lv21)와 탈부착가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1 윙 밴드(rwb1)의 일단을 제1 링(rr1)으로 통과시킨 후에 신체 사이즈에 맞게 잡아당기고, 탈부착 부재(rv21)를 탈부착 부재(rv11)에 부착함으로써, 제1 전면 패널(rp1)을 사용자의 몸통에 밀착시킬 수 있다. 유사하게, 사용자는 제2 윙 밴드(lwb1)의 일단을 제2 링(lr1)으로 통과시킨 후에 신체 사이즈에 맞게 잡아당기고, 탈부착 부재(lv21)를 탈부착 부재(lv11)에 부착함으로써, 제2 전면 패널(lp1)을 사용자의 몸통에 밀착시킬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윙 밴드(rwb1)의 일단의 폭은 제1 링(rr1)의 내주면의 폭보다 크고, 제2 윙 밴드(lwb1)의 일단의 폭은 제2 링(lr1)의 내주면의 폭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윙 밴드(rwb1)의 일단 및 제2 윙 밴드(lwb1)의 일단은 나팔 형태 또는 갈고리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촉각자극 제공 장치(21)를 몸통에서 제거할 때, 윙 밴드들(rwb1, lwb1)의 일단들이 각 링들(rr1, lr1)에 걸린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다음 사용자가 촉각자극 제공 장치(21)를 착용할 때 윙 밴드들(rwb1, lwb1)을 각 링들(rr1, lr1)에 다시 삽입하는 절차를 생략할 수 있다.
후면 패널(bp1)은 배터리를 보관하거나 기타 용도를 위한 주머니(bpp)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주머니(bpp)의 일부에 개구부가 있어 배터리의 전선을 패널(lp1, rp1, bp1) 안쪽으로 연장시킬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컨트롤러는 내장 배터리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주머니(bpp)가 불필요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촉각자극 제공 장치(21)의 우측 전면 패널(rp1), 후면 패널(bp1), 및 좌측 전면 패널(lp1)은 각각 복수의 액츄에이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4와 같이 전면 패널들(rp1, lp1)을 개방한 경우, 제1 전면 패널들(rp1)의 복수의 탑 케이스들(tcr1), 후면 패널(bp1)의 복수의 탑 케이스들(tcb1), 제2 전면 패널(lp1)의 복수의 탑 케이스들(tcl1)이 노출될 수도 있다.
이러한 복수의 탑 케이스들(tcr1, tcb1, tcl1)은 윙 밴드들(lwb1, rwb1), 탈부착 부재들(rv11, rv21, lv11, lv21), 링들(lr1, rr1)에 의해 촉각자극 제공 장치(21)가 사용자의 몸통에 조여짐에 따라, 사용자의 몸통에 밀착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밀착된 복수의 탑 케이스들(tcr1, tcb1, tcl1)을 통해 내장된 복수의 액츄에이터들의 진동을 강하게 느낄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패널들(rp1, bp1, lp1)의 안감 역할을 하는 내피들이 복수의 탑 케이스들(tcr1, tcb1, tcl1)을 커버함으로써, 복수의 탑 케이스(tcr1, tcb1, tcl1)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1 전면 패널(rp1)은 연결 밴드(rcb1)를 통해 후면 패널(bp1)과 신축성있게 연결될 수 있다. 제2 전면 패널(lp1)은 연결 밴드(lcb1)를 통해 후면 패널(bp1)과 신축성있게 연결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츄에이터 케이스를 한 시점에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6은 도 15의 액츄에이터 케이스를 다른 시점에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 및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츄에이터 케이스(3)는 바텀 케이스(bc3), 커버 케이스(cc3), 및 탑 케이스(tc3)를 포함한다.
바텀 케이스(bc3), 커버 케이스(cc3), 및 탑 케이스(tc3)의 위치 관계는 베이스 밴드를 기준으로 정해질 수 있다. 베이스 밴드는 커버 케이스(cc3)와 탑 케이스(tc3)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액츄에이터(ac3)는 베이스 밴드의 일면에 위치하고, 구동부(mb3)와 편심 질량체(em3)를 포함한다. 구동부(mb3)와 편심 질량체(em3)는 샤프트를 통해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액츄에이터(ac3)는 ERM 모터일 수 있다. 액츄에이터(ac3)는 구동부(mb3)에 의해 회전하는 편심 질량체(em3)가 불균형적인 진동자로 역할하면서 진동을 만들어낼 수 있다. 액츄에이터(ac3)는 원통의 지름이 약 6 mm, 전체 높이가 약 17 mm인 원통형 진동 모터일 수 있다. 코인 형태의 모터는 진동자가 수평으로 회전해서 수평 방향의 진동을 만들지만, 본 실시예의 액츄에이터(ac3)는 수직 방향의 진동을 만들어 낼 수 있다.
바텀 케이스(bc3)는 베이스 밴드의 일면에 위치하고, 구동부(mb3)를 수용하는 제1 수용부(tha3)와 편심 질량체(em3)를 수용하는 제2 수용부(thb3)를 포함한다. 즉, 바텀 케이스(bc3)는 배선을 제외한 액츄에이터(ac3)의 전부 또는 일부를 수용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바텀 케이스(bc3)가 액츄에이터(ac3)의 일부만 수용한다면, 액츄에이터(ac3)의 나머지 부분은 후술하는 커버 케이스(cc3)에 의해 수용될 수 있다.
커버 케이스(cc3)는 베이스 밴드의 일면에 위치하고, 제1 수용부(tha3)에 구동부(mb3)를 밀착시키도록 바텀 케이스(bc2)와 결합된다.
도 15 및 16을 참조하면, 커버 케이스(cc3)가 액츄에이터(ac3)를 덮으면서 바텀 케이스(bc3)와 결합될 수 있다. 커버 케이스(cc3)의 수체결부(cm3)가 바텀 케이스(bc3)의 암체결부(bsf3)와 끼워맞춤되면서, 커버 케이스(cc3)는 바텀 케이스(bc3)와 단단히 고정될 수 있다. 특히, 액츄에이터(ac3)의 구동부(mb3)가 단단히 고정되도록 제1 수용부(tha3)와 수용부(cha3)가 형성될 수 있다. 커버 케이스(cc3)의 수체결부(cm3)는 커버 케이스(cc3)가 베이스 밴드와 맞닿는 면에 평행하도록 돌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수체결부(cm3)와 암체결부(bsf3)는 네 쌍이지만, 실시예에 따라 그 개수는 달라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10 및 11과 달리, 구동부(mb3)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며, 구동부(mb3) 및 제1 수용부(tha3)의 사이에 개재되는 이격재(ar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격재(ar3)는 구동부(mb3)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원통 형태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이격재(ar3)는 구동부(mb3), 제1 수용부(tha3), 및 수용부(cha3)를 서로 이격시킬 수 있다. 이격재(ar3)는 고무, 실리콘, 폴리우레탄, 스펀지 등의 신축성있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공정 편차에 따라 구동부(mb3), 제1 수용부(tha3), 수용부(cha3) 사이에 틈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격재(ar3)는 이러한 공정 편차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소음을 방지해준다. 또한 이격재(ar3)는 각각의 액츄에이터(ac3)가 진동시켜야 하는 로드(load)가 일정하지 않음으로써 액츄에이터(ac3) 내부에서 발생할 수 있는 소음을 방지할 수도 있다.
커버 케이스(cc3)는 바텀 케이스(bc3)와 결합됨으로써 편심 질량체(em3)를 베이스 밴드의 일면과 격리시키면서, 제2 수용부(thb3)와 함께 편심 질량체(em3)의 여유 회전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커버 케이스(cc3)의 수용부(chb3)는 제2 수용부(thb3)와 매칭됨으로써 편심 질량체(em3)의 회전에 방해가 되지 않는 여유 회전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커버 케이스(cc3)의 수용부(chb3)는 편심 질량체(em3)를 베이스 밴드의 일면과 격리시키는 역할도 한다. 따라서, 베이스 밴드가 가요성있는 천이나 고무 재질인 경우에도 편심 질량체(em3)는 베이스 밴드에 부딪힐 염려없이 신뢰성있게 회전할 수 있다.
탑 케이스(tc3)는 베이스 밴드의 타면에 위치하고, 바텀 케이스(bc3)를 베이스 밴드에 고정시킨다.
탑 케이스(tc3)의 수체결부(tm3)는 베이스 밴드를 관통하여 바텀 케이스(bc3)의 암체결부(bf3)에 결합됨으로써, 액츄에이터(ac3) 및 액츄에이터 케이스(3)가 베이스 밴드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베이스 밴드는 수체결부(tm3)가 통과할 수 있는 형상의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베이스 밴드의 타면에 밀착하는 탑 케이스(tc3)의 하부면의 면적은 베이스 밴드의 일면에 밀착하는 바텀 케이스(bc3)의 면적과 대응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수체결부(tm3)가 위치할 수 있는 공간이 비교적 충분하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수체결부(tm3) 및 암체결부(bf3)가 네 쌍으로 형성되었다. 따라서, 액츄에이터(ac3)가 보다 강하게 진동하더라도 이를 견딜 수 있다. 또한 도 11의 탑 케이스(tc2)의 상부면(tt2)과 비교했을 때, 도 16의 탑 케이스(tc3)의 상부면(tt3)은 면적을 좁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에 국부적으로 집중된 진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탑 케이스(tc3)는 원뿔대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바텀 케이스(bc3)는 돌출부(bm3)를 포함하고, 탑 케이스(tc3)는 함몰부(tf3)를 포함할 수 있다. 바텀 케이스(bc3)의 돌출부(bm3)가 베이스 밴드를 압박하며 함몰부(tf3)에 끼워맞춤됨으로써, 액츄에이터(ac3) 및 액츄에이터 케이스(3)가 베이스 밴드에 더욱 단단히 고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탑 케이스(tc3)의 하부면의 면적이 비교적 충분하므로 그에 맞춰 돌출부(bm3) 및 함몰부(tf3)의 쌍이 여섯 쌍으로 형성되어 충분한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팔 토시 형태의 촉각자극 제공 장치의 배면도이고, 도 18은 도 17의 촉각자극 제공 장치의 크기를 조절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의 촉각자극 제공 장치(10')는 도 4의 촉각자극 제공 장치(10)에 비해서, 탈부착 부재(130)를 더 포함한다.
탈부착 부재(130)는 베이스 밴드(100)의 후면의 타단에 위치하고, 탈부착 부재(110')와 탈부착가능할 수 있다(도 18 참조). 탈부착 부재(130)는 B 종류의 탈부착 부재일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베이스 밴드(100)의 타단이 접혀져, 탈부착 부재(110')와 탈부착 부재(120)가 서로 부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촉각자극 제공 장치(10')의 타단의 길이는 도 4의 촉각자극 제공 장치(10)의 타단의 길이보다 짧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탈부착 부재(130)는 탈부착 부재(120)의 기능을 대체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는, 특히, 여성 등 팔목이 얇은 사람들에게 유용할 수 있다.
또한, 촉각자극 제공 장치(10')는 도 4의 촉각자극 제공 장치(10)의 탈부착 부재(110)에 비해 더 넓은 면적의 탈부착 부재(11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탈부착 부재(110')는 탈부착 부재(120)가 위치한 영역을 제외한 베이스 밴드(100)의 전면의 전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도 4의 보호 커버(CV)가 촉각자극 제공 장치(10')에서는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촉각자극 제공 장치(10')에서는 탈부착 부재(110')가 보호 커버(CV)의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넓어진 면적의 탈부착 부재(110')는 보조 밴드(200)의 후면의 탈부착 부재가 탈부착될 수 있는 여유 영역을 제공한다. 따라서, 촉각자극 제공 장치(10')는 보다 다양한 사용자의 신체에 대응할 수 있다.
촉각자극 제공 장치(10')의 다른 구성은 촉각자극 제공 장치(1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끼 형태의 촉각자극 제공 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20은 도 19의 촉각자극 제공 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19 및 20을 참조하면, 촉각자극 제공 장치(22)는 제1 전면 패널(rp2), 제2 전면 패널(lp2), 및 후면 패널(bp2)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패널(rp2, lp2, bp2)은 복수의 층들로 구성될 수 있고, 복수의 층들 중 적어도 한 층은 베이스 밴드에 해당할 수 있다.
제1 전면 패널(rp2)은 일측 및 타측 사이에 배열된 복수의 액츄에이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전면 패널(lp2)은 일측 및 타측 사이에 배열된 복수의 액츄에이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전면 패널(lp2)은 일측이 제1 전면 패널(rp2)의 타측과 체결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전면 패널(lp2)의 일측과 제1 전면 패널(rp2)의 타측은 지퍼, 벨크로, 버클, 단추 등의 체결 부재(zp2)로 체결가능할 수 있다.
후면 패널(bp2)은 일측 및 타측 사이에 배열된 복수의 액츄에이터들을 포함하고, 일측이 제1 전면 패널(rp2)의 일측과 체결가능하고, 타측이 제2 전면 패널(lp2)의 타측과 체결가능할 수 있다.
후면 패널(bp2)은 일측에 연결된 제1 링(rr2) 및 타측에 연결된 제2 링(lr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면 패널(rp2)은 일측에 연결된 제1 윙 밴드(rwb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전면 패널(lp2)은 타측에 연결된 제2 윙 밴드(lwb2)를 포함할 수 있다.
탈부착 부재(rv22)는 제1 윙 밴드(rwb2)의 전면의 일단에 위치할 수 있다. 탈부착 부재(rv12)는 제1 전면 패널(rp2)의 전면에 위치하고, 탈부착 부재(rv22)와 탈부착가능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탈부착 부재(rv12)는 제1 전면 패널(rp2)의 전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제1 윙 밴드(rwb2)의 전면에 위치할 수 있다. 탈부착 부재(rv12)의 연장된 부분은 탈부착 부재들(rv22, rv42)이 부착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탈부착 부재(lv22)는 제2 윙 밴드(lwb2)의 전면의 일단에 위치할 수 있다. 탈부착 부재(lv12)는 제2 전면 패널(lp2)의 전면에 위치하고, 탈부착 부재(lv22)와 탈부착가능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탈부착 부재(lv12)는 제2 전면 패널(lp2)의 전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제2 윙 밴드(lwb2)의 전면에 위치할 수 있다. 탈부착 부재(lv12)의 연장된 부분은 탈부착 부재들(lv22, lv42)이 부착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탈부착 부재들(rv22, lv22)은 B 종류의 탈부착 부재들일 수 있고, 탈부착 부재들(rv12, lv12)은 A 종류의 탈부착 부재들일 수 있다.
사용자는 제1 윙 밴드(rwb2)의 일단을 제1 링(rr2)으로 통과시킨 후에 신체 사이즈에 맞게 잡아당기고, 탈부착 부재(rv22)를 탈부착 부재(rv12)에 부착함으로써, 제1 전면 패널(rp2)을 사용자의 몸통에 밀착시킬 수 있다. 유사하게, 사용자는 제2 윙 밴드(lwb2)의 일단을 제2 링(lr2)으로 통과시킨 후에 신체 사이즈에 맞게 잡아당기고, 탈부착 부재(lv22)를 탈부착 부재(lv12)에 부착함으로써, 제2 전면 패널(lp2)을 사용자의 몸통에 밀착시킬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윙 밴드(rwb2)의 일단의 폭은 제1 링(rr2)의 내주면의 폭보다 크고, 제2 윙 밴드(lwb2)의 일단의 폭은 제2 링(lr2)의 내주면의 폭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윙 밴드(rwb2)의 일단 및 제2 윙 밴드(lwb2)의 일단은 나팔 형태 또는 갈고리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촉각자극 제공 장치(22)를 몸통에서 제거할 때, 윙 밴드들(rwb2, lwb2)의 일단들이 각 링들(rr2, lr2)에 걸린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다음 사용자가 촉각자극 제공 장치(22)를 착용할 때 윙 밴드들(rwb2, lwb2)을 각 링들(rr2, lr2)에 다시 삽입하는 절차를 생략할 수 있다.
촉각자극 제공 장치(22)는 도 12의 촉각자극 제공 장치(21)에 비해서, 탈부착 부재들(rv42, rv32, lv42, lv3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탈부착 부재(rv42)는 제1 윙 밴드(rwb2)의 후면의 일단에 위치하고, 탈부착 부재(rv12)와 탈부착가능할 수 있다. 탈부착 부재(rv42)는 B 종류의 탈부착 부재일 수 있다. 탈부착 부재(lv42)는 제2 윙 밴드(lwb2)의 후면의 일단에 위치하고, 탈부착 부재(lv12)와 탈부착 가능할 수 있다. 탈부착 부재(lv42)는 B 종류의 탈부착 부재일 수 있다.
또한, 탈부착 부재(rv32)는 제1 윙 밴드(rwb2)의 후면에서 탈부착 부재(rv42)와 제1 윙 밴드(rwb2)의 타단 사이에 위치하고, 탈부착 부재(rv12)와 탈부착가능할 수 있다. 탈부착 부재(rv32)는 B 종류의 탈부착 부재일 수 있다. 탈부착 부재(lv32)는 제2 윙 밴드(lwb2)의 후면에서 탈부착 부재(lv42)와 제2 윙 밴드(lwb2)의 타단 사이에 위치하고, 탈부착 부재(lv12)와 탈부착 가능할 수 있다. 탈부착 부재(lv32)는 B 종류의 탈부착 부재일 수 있다.
후면 패널(bp2)의 후면에는 컨트롤러 케이스(mc2)를 수납하기 위한 컨트롤러 주머니(mcp2) 및 배터리(bt2)를 수납하기 위한 배터리 주머니(btp2)가 위치할 수 있다. 또한, 후면 패널(bp2)의 후면에는 컨트롤러 케이스(mc2) 내부의 컨트롤러와 배터리(bt2)를 연결하는 배선이 통과하는 배선 주머니(cbp2)가 더 위치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컨트롤러 케이스(mc2) 내부에 배터리가 위치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배터리 주머니(btp2) 및 배선 주머니(cbp2)가 불필요할 수도 있다.
도 21은 도 19의 촉각자극 제공 장치의 크기를 1단계 조절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탈부착 부재(rv22)가 탈부착 부재(rv12)와 부착되어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탈부착 부재(rv42)가 기존의 탈부착 부재(rv22)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제1 윙 밴드(rwb2)의 일단을 제1 링(rr2)으로 통과시킨 후에 신체 사이즈에 맞게 잡아당기고, 탈부착 부재(rv42)를 탈부착 부재(rv12)에 부착함으로써, 제1 전면 패널(rp2)을 사용자의 몸통에 밀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여성 등 몸통 크기가 작은 사용자이더라도, 윙 밴드들(rwb2, lwb2)의 길이를 1단계 줄임으로써 촉각자극 제공 장치(22)의 고정이 가능하다.
도 22는 도 19의 촉각자극 제공 장치의 크기를 2단계 조절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탈부착 부재(rv42)가 탈부착 부재(rv12)와 부착되어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탈부착 부재(rv32)가 기존의 탈부착 부재(rv22)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제1 윙 밴드(rwb2)의 일단을 제1 링(rr2)으로 통과시킨 후에 신체 사이즈에 맞게 잡아당기고, 탈부착 부재(rv32)를 탈부착 부재(rv12)에 부착함으로써, 제1 전면 패널(rp2)을 사용자의 몸통에 밀착시킬 수 있다.
따라서, 도 21의 상태에 비해, 몸통 크기가 더욱 작은 사용자들도 윙 밴드들(rwb2, lwb2)의 길이를 2단계 줄임으로써 촉각자극 제공 장치(22)의 고정이 가능하다.
도 23은 도 19의 촉각자극 제공 장치의 크기가 2단계 조절되어 사용자에게 장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3을 참조하면, 윙 밴드들(rwb2, lwb2)의 단부들이 체결 부재(zp2)를 가로지르지 않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도 21 내지 23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제1 윙 밴드(rwb2)가 체결 부재(zp2)를 가로질러 탈부착 부재(lv12)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제2 윙 밴드(lwb2)가 체결 부재(zp2)를 가로질러 탈부착 부재(rv12)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만약, 윙 밴드들(rwb2, lwb2)이 체결 부재(zp2)를 가로질러 반대 패널의 탈부착 부재(lv12, rv12)에 부착된다면, 사용자가 체결 부재(zp2)를 탈착하더라도 촉각자극 제공 장치(22)의 착용을 해제할 수 없게 되는 불편함이 발생할 수 있다.
도 24는 도 19의 촉각자극 제공 장치의 전면 패널들을 개방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4를 참조하면, 촉각자극 제공 장치(22)는 제1 내피(rip2), 제2 내피(lip2), 및 제3 내피(bip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내피들(rip2, lip2, bip2)은 방수가능한 소재로 구성될 수도 있고, 망사 등의 흡습성 및 통기성이 좋은 소재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제1 내피(rip2)는 제1 전면 패널(rp2)의 후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내피(rip2)는 탈부착 부재를 통해서 제1 전면 패널(rp2)의 후면에 탈부착될 수 있다.
제2 내피(lip2)는 제2 전면 패널(lp2)의 후면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내피(lip2)는 탈부착 부재를 통해서 제2 전면 패널(lp2)의 후면에 탈부착될 수 있다.
제3 내피(bip2)는 후면 패널(bp2)의 전면에 위치할 수 있다. 제3 내피(bip2)는 탈부착 부재를 통해서 후면 패널(bp2)의 전면에 탈부착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내피들(rip2, lip2, bip2)이 교체되거나 세척됨으로써, 다수의 사용자가 불쾌감없이 촉각자극 제공 장치(22)를 사용할 수 있다.
도 25는 도 24의 상태에서 내피들을 제거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5를 참조하면, 복수의 탑 케이스들(tcr2)이 제1 전면 패널(rp2)의 제1 베이스 밴드(rbb2)의 타면 상에 배열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탑 케이스들(tcl2)이 제2 전면 패널(lp2)의 제2 베이스 밴드(lbb2)의 타면 상에 배열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탑 케이스들(tcb2)이 후면 패널(lp2)의 제3 베이스 밴드(bbb2)의 타면 상에 배열될 수 있다.
도 26은 도 25의 상태에서 분리된 베이스 밴드의 일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6을 참조하면, 설명의 용이를 위해 베이스 밴드들(rbb2, lbb2, bbb2)이 촉각자극 제공 장치(22)로부터 분리되고, 베이스 밴드들(rbb2, lbb2, bbb2)의 일면들이 도시되었다.
제1 베이스 밴드(rbb2)의 일면 상에 복수의 바텀 케이스들(bcr2)이 배열되고, 제2 베이스 밴드(lbb2)의 일면 상에 복수의 바텀 케이스들(bcl2)이 배열되고, 제3 베이스 밴드(bbb2)의 일면 상에 복수의 바텀 케이스들(bcb2)이 배열될 수 있다.
복수의 탑 케이스들(tcr2, tcl2, tcb2) 및 복수의 바텀 케이스들(bcr2, bcl2, bcb2)의 사이에 복수의 커버 케이스들(미도시)이 위치할 수 있다. 복수의 액츄에이터들(미도시)은 복수의 커버 케이스들과 복수의 바텀 케이스들(bcr2, bcl2, bcb2)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각각의 액츄에이터는 접지 전압(GND), 구동 전압(VDD), 제어 신호 등을 제공받기 위하여 최소한 2 내지 3개의 채널들(즉, 배선들)이 필요할 수 있다. 하지만, 촉각자극 제공 장치에 사용되는 복수의 액츄에이터들이 각각 컨트롤러와 연결되는 경우, 배선들의 개수가 지나치게 많아져서, 배선들이 쉽게 손상될 수 있다. 배선들의 손상을 막기 위해서 경질의 배선 커버를 삽입할 수도 있으나, 사용자가 불편함을 느낄 수도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액츄에이터들을 그룹화하고, 한 그룹의 액츄에이터들이 배선들(sw2)을 통해서 하나의 서브 FPCB 기판(sfpcb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각 서브 FPCB 기판(sfcb2)은 대응하는 서브 PCB 기판(spcb2)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서브 PCB 기판(spcb2)은 배선을 통해서 컨트롤러와 연결될 수 있다. 서브 PCB 기판(spcb2)은 RS232, USB, I2C, SPI 등의 방식을 통해서 컨트롤러와 유선 통신을 할 수 있다. 또한, 서브 PCB 기판(spcb2)은 블루투스, WIFI, Zigbee 등의 방식을 통해서 컨트롤러와 무선 통신을 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많은 수의 액츄에이터들이 사용되더라도, 그 배선 구조를 간단히 할 수 있다.
도 2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끼 형태의 촉각자극 제공 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28은 도 27의 촉각자극 제공 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27 및 28을 참조하면, 촉각자극 제공 장치(23)는 제1 전면 패널(rp3), 제2 전면 패널(lp3), 및 후면 패널(bp3)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패널(rp3, lp3, bp3)은 복수의 층들로 구성될 수 있고, 복수의 층들 중 적어도 한 층은 베이스 밴드에 해당할 수 있다.
제1 전면 패널(rp3)은 일측 및 타측 사이에 배열된 복수의 액츄에이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전면 패널(lp3)은 일측 및 타측 사이에 배열된 복수의 액츄에이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전면 패널(lp3)은 일측이 제1 전면 패널(rp3)의 타측과 체결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전면 패널(lp3)의 일측과 제1 전면 패널(rp3)의 타측은 지퍼, 벨크로, 버클, 단추 등의 체결 부재(zp3)로 체결가능할 수 있다.
후면 패널(bp3)은 일측 및 타측 사이에 배열된 복수의 액츄에이터들을 포함하고, 일측이 제1 전면 패널(rp3)의 일측과 체결가능하고, 타측이 제2 전면 패널(lp3)의 타측과 체결가능할 수 있다.
후면 패널(bp3)은 일측에 연결된 제1 윙 밴드(rwb3) 및 타측에 연결된 제2 윙 밴드(lwb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면 패널(rp3)은 일측에 연결된 제1 링(rr3)을 포함하고, 제2 전면 패널(lp3)은 타측에 연결된 제2 링(lr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윙 밴드(rwb3)는 후면의 일단에 위치한 탈부착 부재(rv43) 및 탈부착 부재(rv43)와 제1 윙 밴드(rwb3)의 타단 사이에 위치한 탈부착 부재(rv3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윙 밴드(lwb3)는 전면에 위치한 탈부착 부재(lv13, lv23), 후면의 일단에 위치한 탈부착 부재(lv43), 및 탈부착 부재(lv43)와 제2 윙 밴드(lwb3)의 타단 사이에 위치한 탈부착 부재(lv33)를 포함할 수 있다.
후면 패널(bp3)은 후면에 위치한 탈부착 부재(bv3)를 포함할 수 있다.
탈부착 부재(lv43)는 탈부착 부재(bv3)와 탈부착 가능할 수 있다. 탈부착 부재(rv43)는 탈부착 부재(lv13, lv23, bv3)와 탈부착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탈부착 부재들(lv13, lv23, lv33, bv3, rv33)은 A 종류의 탈부착 부재일 수 있고, 탈부착 부재들(lv43, rv43)은 B 종류의 탈부착 부재일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윙 밴드(rwb3)의 일단의 폭은 제1 링(rr3)의 내주면의 폭보다 크고, 제2 윙 밴드(lwb3)의 일단의 폭은 제2 링(lr3)의 내주면의 폭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윙 밴드(rwb3)의 일단 및 제2 윙 밴드(lwb3)의 일단은 나팔 형태 또는 갈고리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촉각자극 제공 장치(23)를 몸통에서 제거할 때, 윙 밴드들(rwb3, lwb3)의 일단들이 각 링들(rr3, lr3)에 걸린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다음 사용자가 촉각자극 제공 장치(23)를 착용할 때 윙 밴드들(rwb3, lwb3)을 각 링들(rr2, lr2)에 다시 삽입하는 절차를 생략할 수 있다.
후면 패널(bp3)의 후면에는 컨트롤러 케이스(mc3)를 수납하기 위한 컨트롤러 주머니(mcp3) 및 배터리(bt3)를 수납하기 위한 배터리 주머니(btp3)가 위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20의 실시예와 달리, 탈부착 부재(bv3)를 위한 영역을 확보하기 위해서, 배선 주머니가 별도로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컨트롤러 케이스(mc3) 내부에 배터리가 위치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배터리 주머니(btp3)가 불필요할 수도 있다.
도 29 및 30은 도 27의 촉각자극 제공 장치를 사용자가 착용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사용자는, 먼저, 제2 윙 밴드(lwb3)의 일단을 제2 링(lr3)을 통과시킨 후에 신체 사이즈에 맞게 잡아당기고, 탈부착 부재(lv43)를 탈부착 부재들(lv33, bv3, rv33) 중 적어도 하나에 부착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다음으로, 제1 윙 밴드(rwb3)의 일단을 제1 링(rr3)을 통과시킨 후에 신체 사이즈에 맞게 잡아당기고, 탈부착 부재(rv43)를 탈부착 부재들(lv13, lv23, bv3, rv33) 중 적어도 하나에 부착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전면 패널들(rp3, lp3)의 전면에 탈부착 부재들이 존재하지 않아 심미성이 강화될 수 있다. 또한, 촉각자극 제공 장치(22)와 달리 윙 밴드들(rwb2, lwb2)을 접지 않아도, 촉각자극 제공 장치(23)에서는 윙 밴드들(rwb3, lwb3)이 체결 부재(zp3)와 중첩될 일이 없으므로, 촉각자극 제공 장치(23)의 탈착이 용이하다. 또한, 사용자의 신체는 주로 배가 나오고 등 부분이 평평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촉각자극 제공 장치(23)를 착용시 촉각자극 제공 장치(23)의 전면은 유선형이 되고, 후면은 평평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촉각자극 제공 장치(23)의 후면에 윙 밴드들(rwb3, lwb3)을 부착하는 것이 더 안정적일 수 있다.
도 31 및 32는 도 27의 촉각자극 제공 장치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1 및 32를 참조하면, 촉각자극 제공 장치(23')의 후면 패널(bp3)은 돌출부들(brs3, bls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들(brs3, bls3)은 후면 패널(bp3) 중 사용자의 어깨 부위에 대응하여 위치할 수 있다. 돌출부(brs3)의 일면에는 탈부착 부재(rv63)가 위치할 수 있다. 돌출부(bls3)의 일면에는 탈부착 부재(lv63)가 위치할 수 있다.
제1 전면 패널(rp3)은 사용자의 어깨 부위에 대응하여 위치한 탈부착 부재(rv5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전면 패널(lp3)은 사용자의 어깨 부위에 대응하여 위치한 탈부착 부재(lv53)를 포함할 수 있다.
탈부착 부재들(rv63, lv63)은 B 종류의 탈부착 부재들이고, 탈부착 부재들(rv53, lv53)은 A 종류의 탈부착 부재들일 수 있다.
촉각자극 제공 장치(23)는 윙 밴드들(rwb3, lwb3)로 인해 사용자의 허리와 밀착이 잘 되지만, 사용자의 어깨와 가슴 부위와는 밀착이 잘 되지 않을 수도 있다. 하지만 단순히, 윙 밴드들(rwb3, lwb3)의 위치를 가슴 부위로 변경하거나, 윙 밴드들(rwb3, lwb3)의 폭을 넓힌다면 촉각자극 제공 장치(23)를 착용할 때 사용자의 팔을 삽입하기 어려울 수 있다.따라서, 본 실시예의 촉각자극 제공 장치(23')는 사용자의 어깨 부위에 대응하여 위치한 돌출부들(brs3, bls3) 및 탈부착 부재들(rv53, rv63, lv53, lv63)을 이용함으로써, 사용자의 어깨와 가슴 부위에 촉각자극 제공 장치(23')가 잘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도 33 및 34는 도 27의 촉각자극 제공 장치의 또 다른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3 및 34를 참조하면, 촉각자극 제공 장치(23")는 모션 트랙커(MT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모션 트랙커(motion tracker, MT1)는 외부 베이스 스테이션(base station)에서 방출되는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여, 모션 트랙커(MT1)의 3차원 공간 상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기기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모션 트랙커(MT1)는 내부에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등을 내장하여 초기에 설정된 특정 절대 값을 기준으로 변화되는 양을 계산하는 형태로 설계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이러한 모션 트랙커(MT1)를 움직임으로써 자신의 모션을 입력 수단으로 이용할 수 있다.
와셔 조립체(WS1)는 고무 와셔들(RW1, RW2, RW3) 및 고무 와셔들(RW1, RW2, RW3) 사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금속 와셔(MW1, MW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4의 실시예에서는 고무 와셔(RW1), 금속 와셔(MW1), 고무 와셔(RW2), 금속 와셔(MW2), 고무 와셔(RW3)가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와셔 조립체(WS1)를 구성하지만, 당업자라면 각 구성의 개수를 달리할 수 있다. 고무 와셔(RW1, RW2, RW3)는 탄성력과 지지력을 제공하며, 금속 와셔(MW1, MW2)는 고무 와셔(RW1, RW2, RW3) 간의 지나친 마찰력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사용자는 모션 트랙커(MT1)를 볼트(V1)에 끼워 맞춘 후 와셔 조립체(WS1) 방향(아래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모션 트랙커(MT1)가 와셔 조립체(WS1)에 맞닿더라도 고무 와셔(RW1, RW2, RW3)의 탄성력으로 인해서, 사용자는 모션 트랙커(MT1)가 원하는 각도가 될 때까지 더 회전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모션 트랙커(MT1)만 회전시킴으로써 모션 트랙커(MT1)를 목적하는 각도로 목적하는 부분에 단단히 고정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3에서는 모션 트랙커(MT1)가 배터리(bt3) 측에 고정되었지만, 다른 실시예에서 모션 트랜커(MT1)는 컨트롤러 케이스(mc3)에 고정될 수도 있다.
도 34의 실시예에서는 와셔 조립체(WS1)가 제공되었지만, 탄성량과 두께 조절을 통해 최적화된 단일(single)의 고무 와셔가 제공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금속 와셔가 불필요하게 된다.
지금까지 참조한 도면과 기재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21: 촉각자극 제공 장치
rp1: 제1 전면 패널
lp1: 제2 전면 패널
bp1: 후면 패널
rwb1: 제1 윙 밴드
lwb1: 제2 윙 밴드
rr1: 제1 링
lr1: 제2 링

Claims (17)

  1. 조끼 형태의 촉각자극 제공 장치로서,
    제1 전면 패널;
    일측이 상기 제1 전면 패널의 타측과 체결가능한 제2 전면 패널; 및
    일측이 상기 제1 전면 패널의 일측과 체결가능하고, 타측이 상기 제2 전면 패널의 타측과 체결가능한 후면 패널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전면 패널, 상기 제2 전면 패널, 및 상기 후면 패널 중 적어도 하나는,
    베이스 밴드;
    구동부와 편심 질량체(eccentric mass)를 포함하는 액츄에이터(actuator);
    상기 액츄에이터를 수용하는 케이스(case); 및
    상기 케이스를 상기 베이스 밴드에 고정시키는 탑 케이스(top case)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편심 질량체를 상기 베이스 밴드의 일면과 격리시키면서, 상기 편심 질량체의 여유 회전 공간을 형성하는,
    촉각자극 제공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 패널은 일측에 연결된 제1 링 및 타측에 연결된 제2 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전면 패널은 일측에 연결된 제1 윙 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전면 패널은 타측에 연결된 제2 윙 밴드를 더 포함하는,
    촉각자극 제공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윙 밴드의 전면의 일단에 위치한 제1 탈부착 부재;
    상기 제1 전면 패널의 전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탈부착 부재와 탈부착가능한 제2 탈부착 부재;
    상기 제2 윙 밴드의 전면의 일단에 위치한 제3 탈부착 부재; 및
    상기 제2 전면 패널의 전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3 탈부착 부재와 탈부착가능한 제4 탈부착 부재를 더 포함하는
    촉각자극 제공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윙 밴드의 일단의 폭은 상기 제1 링의 내주면의 폭보다 크고,
    상기 제2 윙 밴드의 일단의 폭은 상기 제2 링의 내주면의 폭보다 큰,
    촉각자극 제공 장치.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탈부착 부재는 상기 제1 전면 패널의 전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 윙 밴드의 전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4 탈부착 부재는 상기 제2 전면 패널의 전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2 윙 밴드의 전면에 위치한,
    촉각자극 제공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윙 밴드의 후면의 일단에 위치하고, 상기 제2 탈부착 부재와 탈부착가능한 제5 탈부착 부재; 및
    상기 제2 윙 밴드의 후면의 일단에 위치하고, 상기 제4 탈부착 부재와 탈부착 가능한 제6 탈부착 부재를 더 포함하는
    촉각자극 제공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윙 밴드의 후면에서 상기 제5 탈부착 부재와 상기 제1 윙 밴드의 타단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2 탈부착 부재와 탈부착가능한 제7 탈부착 부재; 및
    상기 제2 윙 밴드의 후면에서 상기 제6 탈부착 부재와 상기 제2 윙 밴드의 타단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4 탈부착 부재와 탈부착가능한 제8 탈부착 부재를 더 포함하는
    촉각자극 제공 장치.
  8. ◈청구항 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 패널은 일측에 연결된 제1 윙 밴드 및 타측에 연결된 제2 윙 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전면 패널은 일측에 연결된 제1 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전면 패널은 타측에 연결된 제2 링을 더 포함하는,
    촉각자극 제공 장치.
  9. ◈청구항 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윙 밴드는 후면의 일단에 위치한 제1 탈부착 부재 및 상기 제1 탈부착 부재와 상기 제1 윙 밴드의 타단 사이에 위치한 제2 탈부착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윙 밴드는 전면에 위치한 제3 탈부착 부재, 후면의 일단에위치한 제4 탈부착 부재, 및 상기 제4 탈부착 부재와 상기 제2 윙 밴드의 타단 사이에 위치한 제5 탈부착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후면 패널은 후면에 위치한 제6 탈부착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4 탈부착 부재는 상기 제6 탈부착 부재와 탈부착 가능하고,
    상기 제1 탈부착 부재는 상기 제3 탈부착 부재와 탈부착 가능한,
    촉각자극 제공 장치.
  10. 팔 토시 형태의 촉각자극 제공 장치로서,
    구동부와 편심 질량체(eccentric mass)를 포함하는 복수의 액츄에이터들;
    상기 복수의 액츄에이터들을 지지하고, 전면에 위치한 제1 탈부착 부재를 포함하는 베이스 밴드;
    상기 복수의 액츄에이터들을 각각 수용하는 복수의 케이스들(cases);
    상기 복수의 케이스들 각각을 상기 베이스 밴드에 고정시키는 복수의 탑 케이스들(top cases);
    후면에 상기 제1 탈부착 부재와 탈부착가능한 제2 탈부착 부재를 포함하고, 일단이 상기 베이스 밴드의 일단과 연결된 보조 밴드; 및
    상기 복수의 액츄에이터들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내부에 포함하고, 상기 보조 밴드가 삽입되는 개구부를 포함하는 컨트롤러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케이스들 각각은,
    상기 편심 질량체를 상기 베이스 밴드의 일면과 격리시키면서, 상기 편심 질량체의 여유 회전 공간을 형성하는,
    촉각자극 제공 장치.
  11. ◈청구항 1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밴드의 일단과 연결된 링; 및
    상기 베이스 밴드의 전면의 타단에서 상기 제1 탈부착 부재와 이격되어 위치하고, 상기 제1 탈부착 부재와 탈부착가능한 제3 탈부착 부재를 더 포함하는
    촉각자극 제공 장치.
  12. ◈청구항 1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밴드의 전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3 탈부착 부재와 탈부착가능한 제4 탈부착 부재를 더 포함하는
    촉각자극 제공 장치.
  13. ◈청구항 1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밴드의 타단의 폭은 상기 링의 내주면의 폭보다 큰,
    촉각자극 제공 장치.
  14. ◈청구항 1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밴드의 후면의 타단에 위치하고, 상기 제1 탈부착 부재와 탈부착가능한 제5 탈부착 부재를 더 포함하는
    촉각자극 제공 장치.
  15. 베이스 밴드;
    구동부와 편심 질량체(eccentric mass)를 포함하는 액츄에이터(actuator);
    상기 액츄에이터를 수용하는 케이스(case); 및
    상기 케이스를 상기 베이스 밴드에 고정시키는 탑 케이스(top case)를 포함하되,
    상기 케이스는,
    상기 편심 질량체를 상기 베이스 밴드의 일면과 격리시키면서, 상기 편심 질량체의 여유 회전 공간을 형성하는,
    촉각자극 제공 장치.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며, 상기 구동부와 상기 케이스를 서로 이격시키는 이격재를 더 포함하는,
    촉각자극 제공 장치.
  17. 삭제
KR1020180067673A 2017-06-13 2018-06-12 촉각자극 제공 장치 KR1021731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0672A KR102343255B1 (ko) 2017-06-13 2020-10-27 촉각자극 제공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4417 2017-06-13
KR20170074417 2017-06-13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0672A Division KR102343255B1 (ko) 2017-06-13 2020-10-27 촉각자극 제공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5819A KR20180135819A (ko) 2018-12-21
KR102173163B1 true KR102173163B1 (ko) 2020-11-03

Family

ID=6465914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7673A KR102173163B1 (ko) 2017-06-13 2018-06-12 촉각자극 제공 장치
KR1020200140672A KR102343255B1 (ko) 2017-06-13 2020-10-27 촉각자극 제공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0672A KR102343255B1 (ko) 2017-06-13 2020-10-27 촉각자극 제공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00206074A1 (ko)
EP (2) EP3640769B1 (ko)
JP (3) JP6908783B2 (ko)
KR (2) KR102173163B1 (ko)
CN (1) CN111052041B (ko)
ES (1) ES2974482T3 (ko)
WO (1) WO201823094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0556B1 (ko) 2016-03-25 2021-01-08 주식회사 비햅틱스 촉각자극 제공 장치
KR101804453B1 (ko) 2016-08-02 2017-12-04 주식회사 비햅틱스 촉각자극 제공 장치
WO2018230790A1 (ko) 2017-06-13 2018-12-20 주식회사 비햅틱스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US11209904B2 (en) 2017-12-29 2021-12-28 Bhaptics Inc. Tactile stimulation providing device
US20220062090A1 (en) * 2020-08-27 2022-03-03 Jamel L. Chisolm Back Massage Vest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1691A (en) * 1899-12-16 1900-11-13 Alphonso M Goodwin Baggage-check carrier.
US4167850A (en) * 1977-08-08 1979-09-18 Fairchild Camera And Instrument Corporation Electronic watch apparatus
US4638764A (en) * 1985-05-20 1987-01-27 Anderson Sharon K Security system
US5545125A (en) * 1995-03-28 1996-08-13 Tseng; Chin C. Auto cycling multi-functional massaging device
JP3598797B2 (ja) * 1998-02-16 2004-12-0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子機器
JP3935384B2 (ja) 2001-03-23 2007-06-20 株式会社東京信友 バイブレ−ション機能付き腕時計
US7050360B2 (en) * 2002-03-20 2006-05-23 Kabushiki-Kaisya Tokyo Shinya Wrist watch with vibration function
JP2003334492A (ja) 2002-05-20 2003-11-25 Konaga:Kk 振動式目覚まし時計
EP1524586A1 (en) * 2003-10-17 2005-04-20 Sony International (Europe) GmbH Transmitting information to a user's body
GB2430860B (en) * 2005-09-12 2010-12-08 Andrew Robert England Kerr Heat exchange garment
US20070166693A1 (en) * 2006-01-18 2007-07-19 Blas Carlos J Inaudible midi interpretation device
JP4237194B2 (ja) * 2006-03-30 2009-03-11 シチズン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血圧計用腕帯
TWI434718B (zh) * 2006-12-07 2014-04-21 Cel Kom Llc 觸覺式可穿戴型遊戲裝置
EP2277096A1 (en) * 2008-05-09 2011-01-26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and system for conveying an emotion
US20100268142A1 (en) * 2009-04-16 2010-10-21 Nyi Franklin H Elbow brace for preventing or attenuating tennis elbow
US8552847B1 (en) * 2012-05-01 2013-10-08 Racing Incident Pty Ltd. Tactile based performance enhancement system
US9744097B2 (en) * 2012-06-29 2017-08-29 Hill-Rom Services Pte. Ltd. Wearable thorax percussion device
US9304588B2 (en) * 2013-05-14 2016-04-05 Thieab AlDossary Tactile communication apparatus
US9147328B2 (en) 2013-11-04 2015-09-29 Disney Enterprises, Inc. Creating tactile content with sound
KR102205421B1 (ko) * 2013-12-04 2021-01-20 삼성전자주식회사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메시지 전달 방법
CN106061456A (zh) * 2013-12-31 2016-10-26 伊夫徳发明未来科技有限公司 用于感官刺激和操作以及生理数据采集的可穿戴式设备、系统、方法和架构
AU2014100006A4 (en) * 2014-01-03 2014-02-13 Wearable Experiments Pty Ltd Fan Garment
US9679546B2 (en) * 2014-05-16 2017-06-13 Not Impossible LLC Sound vest
US9874423B1 (en) * 2014-08-14 2018-01-23 Survivial Armor, Inc. Medical kit carrier for body armor vests
US20160058657A1 (en) * 2014-08-29 2016-03-03 Cornell University Flexible wearable devices having embedded actuators providing motion stimulations
KR101559288B1 (ko) * 2014-11-18 2015-10-20 (주)이미지스테크놀로지 센서전극 일체형 햅틱 액츄에이터와 이를 포함하는 착용형 장치
KR101784472B1 (ko) * 2015-01-13 2017-10-11 주식회사 씨케이머티리얼즈랩 촉각 정보 제공 기기
WO2016160826A1 (en) * 2015-03-30 2016-10-06 Thompson Gary Mcclellan Sports equipment carrier which can be worn
EP3088970A1 (fr) 2015-04-27 2016-11-02 ETA SA Manufacture Horlogère Suisse Montre destinée à être montée sur un support amovible
US20170160058A1 (en) * 2015-08-19 2017-06-08 Safariland, Llc Load Distribution Garment
KR20170090900A (ko) * 2016-01-29 2017-08-08 이준혁 착용자의 팔 또는 다리에 착용가능한 보호장비
US11471366B2 (en) * 2016-08-22 2022-10-18 Hill-Rom Services Pte. Ltd. Percussion therapy apparatus and methods thereof
WO2018230790A1 (ko) * 2017-06-13 2018-12-20 주식회사 비햅틱스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US11209904B2 (en) * 2017-12-29 2021-12-28 Bhaptics Inc. Tactile stimulation provid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3106504A (ja) 2023-08-01
EP4344567A2 (en) 2024-04-03
US20200206074A1 (en) 2020-07-02
EP3640769B1 (en) 2024-02-28
EP4344567A3 (en) 2024-06-19
ES2974482T3 (es) 2024-06-27
JP2021166993A (ja) 2021-10-21
WO2018230949A1 (ko) 2018-12-20
CN111052041B (zh) 2024-06-11
JP2020524865A (ja) 2020-08-20
EP3640769C0 (en) 2024-02-28
EP3640769A4 (en) 2021-02-24
KR20200127930A (ko) 2020-11-11
EP3640769A1 (en) 2020-04-22
KR102343255B1 (ko) 2021-12-27
CN111052041A (zh) 2020-04-21
JP7284214B2 (ja) 2023-05-30
KR20180135819A (ko) 2018-12-21
JP6908783B2 (ja) 2021-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3163B1 (ko) 촉각자극 제공 장치
JP6725721B2 (ja) 人体に触覚指示を伝達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EP3237081B1 (en) Tremor stabilisation apparatus and methods
US10860014B2 (en) Jacket for embodied interaction with virtual or distal robotic device
KR102263769B1 (ko) 촉각자극 제공 장치
US11192237B2 (en) Exosuit systems and methods
CN110770634B (zh) 头戴式显示器
WO2018121708A1 (en) Wearable motion capture apparatus and virtual reality system
CN115955925A (zh) 治疗振动服装
CN110520257B (zh) 具有柔软外皮的机器人
US11138857B2 (en) Sensor systems and methods for preventing falls
EP3061428B1 (en) Orthopaedic sling with removable fabric coatings
KR20220083448A (ko) 촉각자극 제공 장치
US20240157544A1 (en) Oversuit with static position support
CN206950638U (zh) 一种vr腰带
Bloomfield et al. A low cost tactor suit for vibrotactile feedback
JPWO2017010377A1 (ja) 肩用健康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