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3448A - 촉각자극 제공 장치 - Google Patents

촉각자극 제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3448A
KR20220083448A KR1020200173698A KR20200173698A KR20220083448A KR 20220083448 A KR20220083448 A KR 20220083448A KR 1020200173698 A KR1020200173698 A KR 1020200173698A KR 20200173698 A KR20200173698 A KR 20200173698A KR 20220083448 A KR20220083448 A KR 202200834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achable
detachable member
front panel
tactile stimulation
str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36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기욱
조영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햅틱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햅틱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햅틱스
Priority to KR10202001736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83448A/ko
Priority to CN202180081995.7A priority patent/CN116635914A/zh
Priority to US18/256,151 priority patent/US20240032617A1/en
Priority to PCT/KR2021/018596 priority patent/WO2022124806A1/ko
Priority to JP2023534180A priority patent/JP2023553017A/ja
Priority to EP21903852.8A priority patent/EP4261658A1/en
Publication of KR202200834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34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02Garments adapted to accommodate electronic equipment
    • A41D1/005Garments adapted to accommodate electronic equipment with embedded cable or connector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4Vests, jerseys, sweaters or the lik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6/00Tacti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12Surgeons' or patients' gowns or dresses
    • A41D13/1236Patients' garments
    • A41D13/1245Patients' garments for the upper part of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22Closures using slide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38Shaping the contour of the body or adjusting the fig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 Outerwear In General, And Traditional Japanese Garments (AREA)
  • Outer Garments And Coa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촉각자극 제공 장치는, 조끼 형태의 촉각자극 제공 장치로서, 일측 및 타측 사이에 배열된 제1 액츄에이터들을 포함하는 제1 전면 패널; 일측 및 타측 사이에 배열된 제2 액츄에이터들을 포함하는 제2 전면 패널; 및 제3 액츄에이터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전면 패널 및 상기 제2 전면 패널과 연결된 후면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전면 패널은 일측을 따라 길게 형성된 제1 리세스(recess)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전면 패널은 일측을 따라 길게 형성된 제2 리세스를 더 포함한다.

Description

촉각자극 제공 장치{TACTILE STIMULATION PROVIDING DEVICE}
본 발명은 촉각자극 제공 장치에 관한 것이다.
촉각자극 제공 장치는 액츄에이터들(actuators)을 포함하고, 액츄에이터들을 선택적으로 진동시킴으로써 사용자에게 촉각자극을 제공할 수 있다. 촉각자극 제공 장치는 목표하는 사용자의 다양한 신체 부위에 맞춰 제공될 수 있다.
하지만 사용자는 해당 신체 부위를 단순히 촉각자극을 느끼는 데 이용할 뿐만 아니라, 터치, 모션 등을 통한 입력 수단으로 활용할 수도 있다. 따라서, 촉각자극 제공 장치는 사용자의 입력 행위에 불편함을 주지 않기 위한 구조로 적절히 제공되어야 한다. 또한 사용자의 입력 행위가 격렬해지는 경우라도 촉각자극 제공 장치가 착용 해제되지 않고, 액츄에이터들이 목표하는 신체 부위에 밀착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사용자는 촉각자극 제공 장치를 단순히 신체 부위 위에 직접 착용하는 경우 외에도, 양말, 장갑, 신발 등 의복 위에 착용하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촉각자극 제공 장치는 상황에 따라 사이즈의 변형이 용이하면서도, 액츄에이터들이 목표하는 신체 부위에 밀착될 수 있어야 한다.
미국 공개특허공보 제2015-0123774호(2015.05.07.)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이즈 변형이 용이하고, 사용자의 신체 부위에 단단히 고정될 수 있으면서도 사용자의 입력 행위를 방해하지 않는 촉각자극 제공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촉각자극 제공 장치는, 조끼 형태의 촉각자극 제공 장치로서, 일측 및 타측 사이에 배열된 제1 액츄에이터들을 포함하는 제1 전면 패널; 일측 및 타측 사이에 배열된 제2 액츄에이터들을 포함하는 제2 전면 패널; 및 제3 액츄에이터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전면 패널 및 상기 제2 전면 패널과 연결된 후면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전면 패널은 일측을 따라 길게 형성된 제1 리세스(recess)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전면 패널은 일측을 따라 길게 형성된 제2 리세스를 더 포함한다.
상기 촉각자극 제공 장치는, 상기 제1 리세스의 내측 상부면에 위치한 제1 탈부착 부재; 및 상기 제1 리세스의 내측 하부면에 위치한 제2 탈부착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탈부착 부재 및 상기 제2 탈부착 부재는 서로 탈부착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촉각자극 제공 장치는, 상기 제2 리세스의 내측 상부면에 위치한 제3 탈부착 부재; 및 상기 제2 리세스의 내측 하부면에 위치한 제4 탈부착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탈부착 부재 및 상기 제4 탈부착 부재는 서로 탈부착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촉각자극 제공 장치는, 일측이 상기 제1 리세스에 삽입가능하고, 타측이 상기 제2 리세스에 삽입가능한 잠금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잠금 부재는: 일측의 상부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탈부착 부재와 탈부착 가능한 제5 탈부착 부재; 일측의 하부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2 탈부착 부재와 탈부착 가능한 제6 탈부착 부재; 타측의 상부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3 탈부착 부재와 탈부착 가능한 제7 탈부착 부재; 및 타측의 하부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4 탈부착 부재와 탈부착 가능한 제8 탈부착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촉각자극 제공 장치는, 상기 제1 전면 패널과 상기 후면 패널을 연결하는 제1 어깨 스트랩; 및 상기 제1 어깨 스트랩의 일부를 커버하는 제1 커버 레이어(cover layer)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커버 레이어는 상기 제1 어깨 스트랩보다 부드러운 재질일 수 있다.
상기 촉각자극 제공 장치는, 상기 제1 어깨 스트랩 및 상기 제1 커버 레이어 사이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1 액츄에이터들 또는 상기 제3 액츄에이터들 중 적어도 하나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배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촉각자극 제공 장치는, 상기 제1 어깨 스트랩 상에 위치하고 서로 탈착가능한 제1 어깨 조절기 및 제2 어깨 조절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어깨 조절기들은 상기 제1 커버 레이어를 사이에 두고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촉각자극 제공 장치는, 상기 후면 패널의 일측과 상기 제1 전면 패널의 타측을 연결하는 제1 허리 조립체; 및 상기 후면 패널의 타측과 상기 제2 전면 패널의 타측을 연결하는 제2 허리 조립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허리 조립체는: 제1 허리 조절기; 일단이 상기 제1 전면 패널의 타측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1 허리 조절기에 고정되는 제1 전면 스트랩; 및 일단이 상기 후면 패널의 일측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1 허리 조절기에 고정되는 제1 후면 스트랩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후면 스트랩은 상기 제1 전면 스트랩보다 신축성이 높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촉각자극 제공 장치는 사이즈 변형이 용이하고, 사용자의 신체 부위에 단단히 고정될 수 있으면서도 사용자의 입력 행위를 방해하지 않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촉각자극 제공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액츄에이터 케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츄에이터 케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촉각자극 제공 장치의 전면 패널들을 개방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상태에서 내피들을 제거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상태에서 분리된 베이스 밴드의 일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전면 패널의 리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교체 가능한 잠금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 및 도 13은 전면 패널의 리세스에 잠금 부재를 장착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어깨 스트랩, 커버 레이어, 및 어깨 조절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허리 조립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 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따라서 앞서 설명한 참조 부호는 다른 도면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과장되게 나타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촉각자극 제공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촉각자극 제공 장치(24)는, 조끼 형태의 촉각자극 제공 장치로서, 제1 전면 패널(lp4), 제2 전면 패널(rp4), 및 후면 패널(bp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면 패널(lp4)는 일측(lp4s1) 및 타측(lp4s2) 사이에 배열된 제1 액츄에이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전면 패널(rp4)는 일측(rp4s1) 및 타측(rp4s2) 사이에 배열된 제2 액츄에이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후면 패널(bp4)은 제3 액츄에이터들을 포함하고, 제1 전면 패널(lp4) 및 제2 전면 패널(rp4)과 연결될 수 있다.
각각의 패널들(lp4, rp4, bp4)은 복수의 층들로 구성될 수 있고, 복수의 층들 중 적어도 한 층은 베이스 밴드에 해당할 수 있다. 베이스 밴드는 액츄에이터들을 고정시키기 위한 부재일 수 있다. 베이스 밴드의 일면은 패널 내부에 위치하여 보이지 않을 수도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내피를 제거할 경우, 베이스 밴드의 타면은 안쪽으로 노출될 수 있다.
도 1에서, 제1 전면 패널(lp4)의 일측(lp4s1) 및 제2 전면 패널(rp4)의 일측(rp4s1)은 서로 결합되지 않은 상태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전면 패널(lp4)의 일측(lp4s1) 및 제2 전면 패널(rp4)의 일측(rp4s1)을 결합시킬 수 있는 잠금 부재(도 1에서 미도시)가 탈부착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액츄에이터 케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액츄에이터 케이스(2)는 바텀 케이스(bc2), 커버 케이스(cc2), 및 탑 케이스(tc2)를 포함한다.
바텀 케이스(bc2), 커버 케이스(cc2), 및 탑 케이스(tc2)의 위치 관계는 베이스 밴드를 기준으로 정해질 수 있다. 베이스 밴드는 커버 케이스(cc2)와 탑 케이스(tc2)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액츄에이터(ac2)는 베이스 밴드의 일면에 위치하고, 구동부(mb2)와 편심 질량체(em2)를 포함한다. 구동부(mb2)와 편심 질량체(em2)는 샤프트를 통해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액츄에이터(ac2)는 ERM 모터(eccentric rotation mass motor)일 수 있다. 액츄에이터(ac2)는 구동부(mb2)에 의해 회전하는 편심 질량체(em2)가 불균형적인 진동자로 역할하면서 진동을 만들어낼 수 있다. 액츄에이터(ac2)는 원통의 지름이 약 6 mm, 전체 높이가 약 17 mm인 원통형 진동 모터일 수 있다. 코인 형태의 모터는 진동자가 수평으로 회전해서 수평 방향의 진동을 만들지만, 본 실시예의 액츄에이터(ac2)는 수직 방향의 진동을 만들어 낼 수 있다.
바텀 케이스(bc2)는 베이스 밴드의 일면에 위치하고, 구동부(mb2)를 수용하는 제1 수용부(tha2)와 편심 질량체(em2)를 수용하는 제2 수용부(thb2)를 포함한다. 즉, 바텀 케이스(bc2)는 배선을 제외한 액츄에이터(ac2)의 전부 또는 일부를 수용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바텀 케이스(bc2)가 액츄에이터(ac2)의 일부만 수용한다면, 액츄에이터(ac2)의 나머지 부분은 후술하는 커버 케이스(cc2)에 의해 수용될 수 있다.
커버 케이스(cc2)는 베이스 밴드의 일면에 위치하고, 제1 수용부(tha2)에 구동부(mb2)를 밀착시키도록 바텀 케이스(bc2)와 결합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커버 케이스(cc2)가 액츄에이터(ac2)를 덮으면서 바텀 케이스(bc2)와 결합될 수 있다. 커버 케이스(cc2)의 수체결부(cm2)가 바텀 케이스(bc2)의 암체결부(bsf2)와 끼워맞춤되면서, 커버 케이스(cc2)는 바텀 케이스(bc2)와 단단히 고정될 수 있다. 특히, 액츄에이터(ac2)의 구동부(mb2)가 단단히 고정되도록 제1 수용부(tha2)와 수용부(cha2)가 형성될 수 있다. 커버 케이스(cc2)의 수체결부(cm2)는 커버 케이스(cc2)가 베이스 밴드와 맞닿는 면에 평행하도록 돌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수체결부(cm2)와 암체결부(bsf2)는 네 쌍이지만, 실시예에 따라 그 개수는 달라질 수 있다.
커버 케이스(cc2)는 바텀 케이스(bc2)와 결합됨으로써 편심 질량체(em2)를 베이스 밴드의 일면과 격리시키면서, 제2 수용부(thb2)와 함께 편심 질량체(em2)의 여유 회전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커버 케이스(cc2)의 수용부(chb2)는 제2 수용부(thb2)와 매칭됨으로써 편심 질량체(em2)의 회전에 방해가 되지 않는 여유 회전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커버 케이스(cc2)의 수용부(chb2)는 편심 질량체(em2)를 베이스 밴드의 일면과 격리시키는 역할도 한다. 따라서, 베이스 밴드가 가요성있는 천이나 고무 재질인 경우에도 편심 질량체(em2)는 베이스 밴드에 부딪힐 염려없이 신뢰성있게 회전할 수 있다.
탑 케이스(tc2)는 베이스 밴드의 타면에 위치하고, 바텀 케이스(bc2)를 베이스 밴드에 고정시킨다.
탑 케이스(tc2)의 수체결부(tm2)는 베이스 밴드를 관통하여 바텀 케이스의 암체결부(bf2)에 결합됨으로써, 액츄에이터(ac2) 및 액츄에이터 케이스(2)가 베이스 밴드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베이스 밴드는 수체결부(tm2)가 통과할 수 있는 형상의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베이스 밴드의 타면에 밀착하는 탑 케이스(tc2)의 면적은 베이스 밴드의 일면에 밀착하는 바텀 케이스(bc2)의 면적과 대응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수체결부(tm2)가 위치할 수 있는 공간이 비교적 충분하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수체결부(tm2) 및 암체결부(bf2)가 네 쌍으로 형성되었다. 따라서, 액츄에이터(ac2)가 보다 강하게 진동하더라도 이를 견딜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라, 탑 케이스(tc2)의 면적이 바텀 케이스(bc2)의 면적과 대응하면 비교적 덜 민감한 사용자의 등에도 충분한 진동력이 전달되므로, 사용자가 더욱 확실히 진동을 체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탑 케이스(tc2)의 일면의 모서리를 둥그스름하게 구성함에 따라 사용자에게 보다 편안한 느낌을 제공할 수 있다.
바텀 케이스(bc2)는 돌출부(bm2)를 포함하고, 탑 케이스(tc2)는 함몰부(tf2)를 포함할 수 있다. 바텀 케이스(bc2)의 돌출부(bm2)가 베이스 밴드를 압박하며 함몰부(tf2)에 끼워맞춤됨으로써, 액츄에이터(ac2) 및 액츄에이터 케이스(2)가 베이스 밴드에 더욱 단단히 고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탑 케이스(tc2)의 면적이 비교적 충분하므로 그에 맞춰 돌출부(bm2) 및 함몰부(tf2)의 쌍이 여섯 쌍으로 형성되어 충분한 지지력을 제공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츄에이터 케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츄에이터 케이스(3)는 바텀 케이스(bc3), 커버 케이스(cc3), 및 탑 케이스(tc3)를 포함한다.
바텀 케이스(bc3), 커버 케이스(cc3), 및 탑 케이스(tc3)의 위치 관계는 베이스 밴드를 기준으로 정해질 수 있다. 베이스 밴드는 커버 케이스(cc3)와 탑 케이스(tc3)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액츄에이터(ac3)는 베이스 밴드의 일면에 위치하고, 구동부(mb3)와 편심 질량체(em3)를 포함한다. 구동부(mb3)와 편심 질량체(em3)는 샤프트를 통해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액츄에이터(ac3)는 ERM 모터일 수 있다. 액츄에이터(ac3)는 구동부(mb3)에 의해 회전하는 편심 질량체(em3)가 불균형적인 진동자로 역할하면서 진동을 만들어낼 수 있다. 액츄에이터(ac3)는 원통의 지름이 약 6 mm, 전체 높이가 약 17 mm인 원통형 진동 모터일 수 있다. 코인 형태의 모터는 진동자가 수평으로 회전해서 수평 방향의 진동을 만들지만, 본 실시예의 액츄에이터(ac3)는 수직 방향의 진동을 만들어 낼 수 있다.
바텀 케이스(bc3)는 베이스 밴드의 일면에 위치하고, 구동부(mb3)를 수용하는 제1 수용부(tha3)와 편심 질량체(em3)를 수용하는 제2 수용부(thb3)를 포함한다. 즉, 바텀 케이스(bc3)는 배선을 제외한 액츄에이터(ac3)의 전부 또는 일부를 수용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바텀 케이스(bc3)가 액츄에이터(ac3)의 일부만 수용한다면, 액츄에이터(ac3)의 나머지 부분은 후술하는 커버 케이스(cc3)에 의해 수용될 수 있다.
커버 케이스(cc3)는 베이스 밴드의 일면에 위치하고, 제1 수용부(tha3)에 구동부(mb3)를 밀착시키도록 바텀 케이스(bc2)와 결합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커버 케이스(cc3)가 액츄에이터(ac3)를 덮으면서 바텀 케이스(bc3)와 결합될 수 있다. 커버 케이스(cc3)의 수체결부(cm3)가 바텀 케이스(bc3)의 암체결부(bsf3)와 끼워맞춤되면서, 커버 케이스(cc3)는 바텀 케이스(bc3)와 단단히 고정될 수 있다. 특히, 액츄에이터(ac3)의 구동부(mb3)가 단단히 고정되도록 제1 수용부(tha3)와 수용부(cha3)가 형성될 수 있다. 커버 케이스(cc3)의 수체결부(cm3)는 커버 케이스(cc3)가 베이스 밴드와 맞닿는 면에 평행하도록 돌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수체결부(cm3)와 암체결부(bsf3)는 네 쌍이지만, 실시예에 따라 그 개수는 달라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2 및 도 3의 실시예와 달리, 구동부(mb3)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며, 구동부(mb3) 및 제1 수용부(tha3)의 사이에 개재되는 이격재(ar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격재(ar3)는 구동부(mb3)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원통 형태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이격재(ar3)는 구동부(mb3), 제1 수용부(tha3), 및 수용부(cha3)를 서로 이격시킬 수 있다. 이격재(ar3)는 고무, 실리콘, 폴리우레탄, 스펀지 등의 신축성있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공정 편차에 따라 구동부(mb3), 제1 수용부(tha3), 수용부(cha3) 사이에 틈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격재(ar3)는 이러한 공정 편차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소음을 방지해준다. 또한 이격재(ar3)는 각각의 액츄에이터(ac3)가 진동시켜야 하는 로드(load)가 일정하지 않음으로써 액츄에이터(ac3) 내부에서 발생할 수 있는 소음을 방지할 수도 있다.
커버 케이스(cc3)는 바텀 케이스(bc3)와 결합됨으로써 편심 질량체(em3)를 베이스 밴드의 일면과 격리시키면서, 제2 수용부(thb3)와 함께 편심 질량체(em3)의 여유 회전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커버 케이스(cc3)의 수용부(chb3)는 제2 수용부(thb3)와 매칭됨으로써 편심 질량체(em3)의 회전에 방해가 되지 않는 여유 회전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커버 케이스(cc3)의 수용부(chb3)는 편심 질량체(em3)를 베이스 밴드의 일면과 격리시키는 역할도 한다. 따라서, 베이스 밴드가 가요성있는 천이나 고무 재질인 경우에도 편심 질량체(em3)는 베이스 밴드에 부딪힐 염려없이 신뢰성있게 회전할 수 있다.
탑 케이스(tc3)는 베이스 밴드의 타면에 위치하고, 바텀 케이스(bc3)를 베이스 밴드에 고정시킨다.
탑 케이스(tc3)의 수체결부(tm3)는 베이스 밴드를 관통하여 바텀 케이스(bc3)의 암체결부(bf3)에 결합됨으로써, 액츄에이터(ac3) 및 액츄에이터 케이스(3)가 베이스 밴드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베이스 밴드는 수체결부(tm3)가 통과할 수 있는 형상의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베이스 밴드의 타면에 밀착하는 탑 케이스(tc3)의 하부면의 면적은 베이스 밴드의 일면에 밀착하는 바텀 케이스(bc3)의 면적과 대응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수체결부(tm3)가 위치할 수 있는 공간이 비교적 충분하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수체결부(tm3) 및 암체결부(bf3)가 네 쌍으로 형성되었다. 따라서, 액츄에이터(ac3)가 보다 강하게 진동하더라도 이를 견딜 수 있다. 또한 도 3의 탑 케이스(tc2)의 상부면(tts2)과 비교했을 때, 도 16의 탑 케이스(tc3)의 상부면(tts3)은 면적을 좁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에 국부적으로 집중된 진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탑 케이스(tc3)는 원뿔대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바텀 케이스(bc3)는 돌출부(bm3)를 포함하고, 탑 케이스(tc3)는 함몰부(tf3)를 포함할 수 있다. 바텀 케이스(bc3)의 돌출부(bm3)가 베이스 밴드를 압박하며 함몰부(tf3)에 끼워맞춤됨으로써, 액츄에이터(ac3) 및 액츄에이터 케이스(3)가 베이스 밴드에 더욱 단단히 고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탑 케이스(tc3)의 하부면의 면적이 비교적 충분하므로 그에 맞춰 돌출부(bm3) 및 함몰부(tf3)의 쌍이 여섯 쌍으로 형성되어 충분한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촉각자극 제공 장치의 전면 패널들을 개방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촉각자극 제공 장치(24)는 제1 내피(lip4), 제2 내피(rip4), 및 제3 내피(bip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내피들(lip4, rip4, bip4)은 방수가능한 소재로 구성될 수도 있고, 망사 등의 흡습성 및 통기성이 좋은 소재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제1 내피(lip4)는 제1 전면 패널(lp4)의 후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내피(lip4)는 탈부착 부재를 통해서 제1 전면 패널(lp4)의 후면에 탈부착될 수 있다.
제2 내피(rip4)는 제2 전면 패널(rp4)의 후면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내피(rip4)는 탈부착 부재를 통해서 제2 전면 패널(rp4)의 후면에 탈부착될 수 있다.
제3 내피(bip4)는 후면 패널(bp4)의 전면에 위치할 수 있다. 제3 내피(bip4)는 탈부착 부재를 통해서 후면 패널(bp4)의 전면에 탈부착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내피들(lip4, rip4, bip4)이 교체되거나 세척됨으로써, 다수의 사용자가 불쾌감없이 촉각자극 제공 장치(24)를 사용할 수 있다.
도 7은 도 6의 상태에서 내피들을 제거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복수의 탑 케이스들(tcl4)이 제1 전면 패널(lp4)의 제1 베이스 밴드(lbb4)의 타면 상에 배열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탑 케이스들(tcr4)이 제2 전면 패널(rp4)의 제2 베이스 밴드(rbb4)의 타면 상에 배열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탑 케이스들(tcb4)이 후면 패널(bp4)의 제3 베이스 밴드(bbb4)의 타면 상에 배열될 수 있다.
도 8은 도 7의 상태에서 분리된 베이스 밴드의 일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설명의 용이를 위해 베이스 밴드들(lbb4, rbb4, bbb4)이 촉각자극 제공 장치(24)로부터 분리되고, 베이스 밴드들(lbb4, rbb4, bbb4)의 일면들이 도시되었다.
제1 베이스 밴드(lbb4)의 일면 상에 제1 바텀 케이스들(bcl4)이 배열됨으로써 제1 액츄에이터들을 커버할 수 있다. 제2 베이스 밴드(rbb4)의 일면 상에 제2 바텀 케이스들(bcr4)이 배열됨으로써 제2 액츄에이터들을 커버할 수 있다. 제3 베이스 밴드(bbb4)의 일면 상에 제3 바텀 케이스들(bcb4)이 배열됨으로써 제3 액츄에이터들을 커버할 수 있다.
복수의 탑 케이스들(tcl4, tcr4, tcb4) 및 복수의 바텀 케이스들(bcl4, bcr4, bcb4)의 사이에 복수의 커버 케이스들(미도시)이 위치할 수 있다. 복수의 액츄에이터들(미도시)은 복수의 커버 케이스들과 복수의 바텀 케이스들(bcl4, bcr4, bcb4)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각각의 액츄에이터는 접지 전압, 구동 전압, 제어 신호 등을 제공받기 위하여 최소한 2 내지 3개의 채널들(즉, 배선들)이 필요할 수 있다. 하지만, 촉각자극 제공 장치에 사용되는 복수의 액츄에이터들이 각각 컨트롤러와 연결되는 경우, 배선들의 개수가 지나치게 많아져서, 배선들이 쉽게 손상될 수 있다. 배선들의 손상을 막기 위해서 경질의 배선 커버를 삽입할 수도 있으나, 사용자가 불편함을 느낄 수도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액츄에이터들을 그룹화하고, 한 그룹의 액츄에이터들이 배선들(sw4)을 통해서 하나의 서브 FPCB 기판(sfpcb4)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각 서브 FPCB 기판(sfcb4)은 대응하는 서브 PCB 기판(spcb4)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서브 PCB 기판(spcb4)은 배선을 통해서 컨트롤러와 연결될 수 있다. 서브 PCB 기판(spcb4)은 RS232, USB, I2C, SPI 등의 방식을 통해서 컨트롤러와 유선 통신을 할 수 있다. 또한, 서브 PCB 기판(spcb4)은 블루투스, WIFI, Zigbee 등의 방식을 통해서 컨트롤러와 무선 통신을 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많은 수의 액츄에이터들이 사용되더라도, 그 배선 구조를 간단히 할 수 있다.
도 9는 전면 패널의 리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제1 전면 패널(lp4)은 일측(lp4s1)을 따라 길게 형성된 제1 리세스(recess, acm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리세스(acm4)의 길이는 제1 전면 패널(lp4)의 일측(lp4s1)의 길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제1 탈부착 부재(uv14)는 제1 리세스(acm4)의 내측 상부면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탈부착 부재(uv24)는 제1 리세스(acm4)의 내측 하부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탈부착 부재(uv14)의 길이는 제2 탈부착 부재(uv24)의 길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탈부착 부재(uv14, uv24) 각각의 길이는 제1 전면 패널(lp4)의 일측(lp4s1)의 길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탈부착 부재(uv14) 및 제2 탈부착 부재(uv24)는 A 종류(A type)의 탈부착 부재일 있다. 본 실시예에서 탈부착 부재는 A 종류 및 B 종류(B type) 중 어느 한 타입일 수 있다. A 종류 및 B 종류는 서로 탈부착이 가능하다. 하지만 A 종류 및 A 종류는 서로 탈부착이 불가능할 수 있다. 유사하게 B 종류 및 B 종류는 서로 탈부착이 불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종류를 갖는 모든 형태의 탈부착 부재가 본 실시예의 탈부착 부재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탈부착 부재는 예를 들어, 벨크로(velcro), 자석, 전자석, 스냅(snap) 단추 등이 있을 수 있다. 이하 실시예들의 도면에서는 탈부착 부재가 벨크로인 경우를 가정하여 도시되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탈부착 부재(uv14) 및 제2 탈부착 부재(uv24)는 서로 탈부착되지 않음으로써, 후술되는 잠금 부재의 일측을 제1 리세스(acm4)에 용이하게 삽입가능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술한 설명은 제2 전면 패널(rp4)의 제2 리세스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전면 패널(rp4)은 일측(rp4s1)을 따라 길게 형성된 제2 리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탈부착 부재는 제2 리세스의 내측 상부면에 위치할 수 있다. 제4 탈부착 부재는 제2 리세스의 내측 하부면에 위치할 수 있다. 제3 탈부착 부재 및 제4 탈부착 부재는 서로 탈부착되지 않을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교체 가능한 잠금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잠금 부재(zp4)의 정면도이고, 도 11은 잠금 부재(zp4)의 배면도이다.
예를 들어, 잠금 부재(zp4)는 교체가능한(replaceable) 지퍼(zipper)일 수 있다. 지퍼는 필요로 하는 면적이 작기 때문에, 전면 패널들(lp4, rp4)이 많은 액츄에이터들을 수용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더 사실적이고 풍부한 촉각자극을 전달하는 것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외관 상으로도 깔끔한 마무리가 가능하여, 많은 의류에서 잠금 장치로 채용되고 있다.
기존의 지퍼는 내구성이 약하고 교체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사용자가 지퍼를 잘못 끼우거나, 너무 큰 힘으로 잘못된 방향으로 잡아 당기거나 하는 등의 상황에서 쉽게 고장날 수 있다. 특히, 배가 나오거나 허리를 숙여서 굴곡이 생겼을 때 억지로 큰 힘을 들여 잡아당기면 쉽게 고장날 수 있다. 기존에는, 고장난 지퍼를 교체하기 위해서는, 지퍼의 봉제를 뜯어서 분리하고 다시 재봉해야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이렇게 할 경우에도 외관에 바늘자국들이 남고, 봉제의 다른 부분과 지퍼와의 연결 부위의 내구성이 약해져서, 지퍼가 봉제와 더 쉽게 분리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지퍼 대신 단추를 사용하는 경우, 착용 시간이 오래 걸리고 벗기 어려워질 수 있다. 지퍼 대신 버클을 사용하는 경우, 버클이 차지하는 면적이 너무 커서 외관 및 햅틱 느낌에 있어서 단점이 있다.
잠금 부재(zp4)는 기본적인 지퍼 구성인 슬라이더(slider, sld4), 일측의 이빨(teath, tth14), 이빨(tth14)을 고정시키는 일측의 테이프(tape, tp14), 타측의 이빨(tth24), 및 이빨(tth24)을 고정시키는 타측의 테이프(tp24)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잠금 부재(zp4)는 일측이 상기 제1 리세스(acm4)에 삽입가능하고, 타측이 제2 리세스에 삽입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잠금 부재(zp4)는 탈부착 부재들(zv14, zv24, zv34, zv4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5 탈부착 부재(zv14)는 잠금 부재(zp4)의 일측의 상부면에 위치하고, 제1 탈부착 부재(uv14)와 탈부착 가능할 수 있다. 제5 탈부착 부재(zv14)는 B 종류의 탈부착 부재일 수 있다. 제5 탈부착 부재(zv14)는 테이프(tp14)의 상부면과 재봉될 수 있다. 제5 탈부착 부재(zv14)의 길이는 테이프(tp14)의 길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제6 탈부착 부재(zv34)는 잠금 부재(zp4)의 일측의 하부면에 위치하고, 제2 탈부착 부재(uv24)와 탈부착 가능할 수 있다. 제6 탈부착 부재(zv34)는 B 종류의 탈부착 부재일 수 있다. 제6 탈부착 부재(zv34)는 테이프(tp14)의 하부면과 재봉될 수 있다. 제6 탈부착 부재(zv34)의 길이는 테이프(tp14)의 길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제7 탈부착 부재(zv24)는 잠금 부재(zp4)의 타측의 상부면에 위치하고, 제3 탈부착 부재와 탈부착 가능할 수 있다. 제7 탈부착 부재(zv24)는 B 종류의 탈부착 부재일 수 있다. 제7 탈부착 부재(zv24)는 테이프(tp24)의 상부면과 재봉될 수 있다. 제7 탈부착 부재(zv24)의 길이는 테이프(tp24)의 길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제8 탈부착 부재(zv44)는 잠금 부재(zp4)의 타측의 하부면에 위치하고, 제4 탈부착 부재와 탈부착 가능할 수 있다. 제8 탈부착 부재(zv44)는 B 종류의 탈부착 부재일 수 있다. 제8 탈부착 부재(zv44)는 테이프(tp24)의 하부면과 재봉될 수 있다. 제8 탈부착 부재(zv44)의 길이는 테이프(tp24)의 길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은 전면 패널의 리세스에 잠금 부재를 장착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2 탈부착 부재(uv24)와 제6 탈부착 부재(zv34)가 부착된 상태가 예시적으로 도시된다. 제1 탈부착 부재(uv14) 및 제5 탈부착 부재(zv14)가 더 부착됨으로써, 잠금 부재(zp4)와 제1 리세스(acm4)가 완전히 결합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잠금 부재(zp4)의 탈부착 부재들(zv14, zv24, zv34, zv44)이 제1 리세스(acm4) 및 제2 리세스의 제1 내지 제4 탈부착 부재들에 부착된 상태가 예시적으로 도시된다. 이로써, 제1 전면 패널(lp4)의 일측(lp4s1) 및 제2 전면 패널(rp4)의 일측(rp4s1)은, 잠금 부재(zp4)를 통해서,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쉽게 고장이 날 수 있는 잠금 부재(zp4)를 용이하게 교체가능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색/종류의 잠금 부재(zp4)를 쉽게 선택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여, 제1 어깨 스트랩(lss4), 제1 돌출 스트랩(lsl4), 제2 어깨 스트랩(rss4), 및 제2 돌출 스트랩(rsl4)을 설명한다. 제1 어깨 스트랩(lss4)은 제1 전면 패널(lp4)과 후면 패널(bp4)을 연결할 수 있다. 제1 돌출 스트랩(lsl4)의 일단은 제1 어깨 스트랩(lss4)의 일부에 재봉될 수 있다. 제2 어깨 스트랩(rss4)은 제2 전면 패널(rp4)과 후면 패널(bp4)을 연결할 수 있다. 제2 돌출 스트랩(rsl4)의 일단은 제2 어깨 스트랩(rss4)의 일부에 재봉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는,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여, 허리 조립체들(lws1, lws2, rws1, rws2)을 설명한다. 제1 허리 조립체(lws1)는 후면 패널(bp4)의 일측과 제1 전면 패널(lp4)의 타측(lp4s2)을 연결할 수 있다. 제2 허리 조립체(rws1)는 후면 패널(bp4)의 타측과 제2 전면 패널(rp4)의 타측(rp4s2)을 연결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3 허리 조립체(lws2)는 후면 패널(bp4)의 일측과 제1 전면 패널(lp4)의 타측(lp4s2)을 연결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4 허리 조립체(rws2)는 후면 패널(bp4)의 타측과 제2 전면 패널(rp4)의 타측(rp4s2)을 연결할 수 있다.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어깨 스트랩, 커버 레이어, 및 어깨 조절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2 커버 레이어(wcm4)는 제2 어깨 스트랩(rss4)의 일부를 커버할 수 있다. 이때, 제2 커버 레이어(wcm4)는 제2 어깨 스트랩(rss4)보다 부드러운 재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커버 레이어(wcm4)는 메시(mesh) 등의 얇은 원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배선(wr4)은 제2 어깨 스트랩(rss4) 및 제2 커버 레이어(wcm4) 사이에서 연장되고, 제2 액츄에이터들 또는 제3 액츄에이터들 중 적어도 하나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내지 제3 액츄에이터들의 컨트롤러가 후면 패널(bp4)에 위치하는 경우, 제2 배선(wr4)은 제2 전면 패널(rp4)의 제2 액츄에이터들과 컨트롤러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한편, 제1 내지 제3 액츄에이터들의 컨트롤러가 제2 전면 패널(rp4)에 위치하는 경우, 제2 배선(wr4)은 후면 패널(bp4)의 제3 액츄에이터들과 컨트롤러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제5 어깨 조절기(sm11)는 제2 어깨 스트랩(rss4)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제6 어깨 조절기(sf11)는 제2 어깨 스트랩(rss4) 상의 제2 돌출 스트랩(rsl4)에 위치할 수 있다. 제5 어깨 조절기(sm11) 및 제6 어깨 조절기(sf11)는 서로 탈착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6 어깨 조절기(sf11) 및 제5 어깨 조절기(sm11)는 각각 스냅 단추의 암수에 해당할 수 있다. 제5 및 제6 어깨 조절기들(sm11, sf11)은 제2 커버 레이어(wcm4)를 사이에 두고 이격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7 어깨 조절기(sm12) 및 제8 어깨 조절기(sf12)는 각각 제5 어깨 조절기(sm11) 및 제6 어깨 조절기(sf11)와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제5 어깨 조절기(sm11) 및 제6 어깨 조절기(sf11)가 서로 체결된 상태가 도시된다.
사용자의 체격이 작은 경우, 사용자는 제5 어깨 조절기(sm11) 및 제6 어깨 조절기(sf11)를 체결시킴으로써, 촉각자극 제공 장치(24)를 몸체에 더 밀착시킬 수 있다. 이때, 만약 제2 어깨 스트랩(rss4)과 제2 배선(wr4)이 서로 고정되어 있다면, 제2 어깨 스트랩(rss4)의 구부러짐에 따라서 제2 배선(wr4)도 구부러져 제2 배선(wr4)의 파손 위험이 있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서, 제2 배선(wr4)은 제2 어깨 스트랩(rss4)과 제2 커버 레이어(wcm4) 사이의 여유 공간에서 힘이 분산되도록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어서, 제2 배선(wr4)의 파손 위험이 줄어들게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제2 돌출 스트랩(rsl4)은 제5 어깨 조절기(sm11) 및 제6 어깨 조절기(sf11)의 체결 상태를 가려줌으로써, 촉각자극 제공 장치(24)의 심미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4 및 도 15는 제2 어깨 스트랩(rss4)을 기준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동일한 구조가 제1 어깨 스트랩(lss4)을 기준으로 적용될 수 있으므로, 제1 어깨 스트랩(lss4), 제1 돌출 스트랩(lsl4), 제1 커버 레이어, 제1 배선, 제1 내지 제4 어깨 조절기들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허리 조립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1 허리 조립체(lws1)는 제1 허리 조절기(ladj1), 제1 전면 스트랩(lwt11), 및 제1 후면 스트랩(lwt12)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허리 조절기(ladj1)는 웨빙 조리개(web adjuster)일 수 있다.
제1 전면 스트랩(lwt11)은 일단이 제1 전면 패널(lp4)의 타측(lp4s2)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1 허리 조절기(ladj1)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후면 스트랩(lwt12)은 일단이 후면 패널(bp4)의 일측(bp4s1)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1 허리 조절기(ladj1)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제1 후면 스트랩(lwt12)은 제1 전면 스트랩(lwt11)보다 신축성이 높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면 스트랩(lwt11)은 웨빙 스트랩(webbing strap)으로 구성되고, 제1 후면 스트랩(lwt22)은 엘라스틱 밴드(elastic band)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제1 전면 스트랩(lwt11)을 잡아 당겨 촉각자극 제공 장치(24)를 사용자의 몸에 밀착시킬 때, 제1 후면 스트랩(lwt22)이 늘어나게 됨으로써, 제1 허리 조절기(ladj1)가 후면 패널(bp4)보다 제1 전면 패널(lp4)에 더 가까이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보다 편리하게 제1 허리 조절기(ladj1)를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설명은 제3 허리 조립체(lws2), 제3 전면 스트랩(lwt21), 제3 허리 조절기(ladj2), 및 제3 후면 스트랩(lwt22)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러한 설명은 제2 허리 조립체(rws1), 제2 전면 스트랩, 제2 허리 조절기, 및 제2 후면 스트랩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러한 설명은 제4 허리 조립체(rws2), 제4 전면 스트랩, 제4 허리 조절기, 및 제4 후면 스트랩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지금까지 참조한 도면과 기재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24: 촉각자극 제공 장치
lp4: 제1 전면 패널
rp4: 제2 전면 패널
bp4: 후면 패널

Claims (12)

  1. 조끼 형태의 촉각자극 제공 장치로서,
    일측 및 타측 사이에 배열된 제1 액츄에이터들을 포함하는 제1 전면 패널;
    일측 및 타측 사이에 배열된 제2 액츄에이터들을 포함하는 제2 전면 패널; 및
    제3 액츄에이터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전면 패널 및 상기 제2 전면 패널과 연결된 후면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전면 패널은 일측을 따라 길게 형성된 제1 리세스(recess)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전면 패널은 일측을 따라 길게 형성된 제2 리세스를 더 포함하는,
    촉각자극 제공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리세스의 내측 상부면에 위치한 제1 탈부착 부재; 및
    상기 제1 리세스의 내측 하부면에 위치한 제2 탈부착 부재를 더 포함하는,
    촉각자극 제공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탈부착 부재 및 상기 제2 탈부착 부재는 서로 탈부착되지 않는,
    촉각자극 제공 장치.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리세스의 내측 상부면에 위치한 제3 탈부착 부재; 및
    상기 제2 리세스의 내측 하부면에 위치한 제4 탈부착 부재를 더 포함하는,
    촉각자극 제공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탈부착 부재 및 상기 제4 탈부착 부재는 서로 탈부착되지 않는,
    촉각자극 제공 장치.
  6. 제4 항에 있어서,
    일측이 상기 제1 리세스에 삽입가능하고, 타측이 상기 제2 리세스에 삽입가능한 잠금 부재를 더 포함하는,
    촉각자극 제공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부재는:
    일측의 상부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탈부착 부재와 탈부착 가능한 제5 탈부착 부재;
    일측의 하부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2 탈부착 부재와 탈부착 가능한 제6 탈부착 부재;
    타측의 상부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3 탈부착 부재와 탈부착 가능한 제7 탈부착 부재; 및
    타측의 하부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4 탈부착 부재와 탈부착 가능한 제8 탈부착 부재를 포함하는,
    촉각자극 제공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면 패널과 상기 후면 패널을 연결하는 제1 어깨 스트랩; 및
    상기 제1 어깨 스트랩의 일부를 커버하는 제1 커버 레이어(cover layer)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커버 레이어는 상기 제1 어깨 스트랩보다 부드러운 재질인,
    촉각자극 제공 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어깨 스트랩 및 상기 제1 커버 레이어 사이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1 액츄에이터들 또는 상기 제3 액츄에이터들 중 적어도 하나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배선을 더 포함하는,
    촉각자극 제공 장치.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어깨 스트랩 상에 위치하고 서로 탈착가능한 제1 어깨 조절기 및 제2 어깨 조절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어깨 조절기들은 상기 제1 커버 레이어를 사이에 두고 이격된,
    촉각자극 제공 장치.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 패널의 일측과 상기 제1 전면 패널의 타측을 연결하는 제1 허리 조립체; 및
    상기 후면 패널의 타측과 상기 제2 전면 패널의 타측을 연결하는 제2 허리 조립체를 더 포함하는,
    촉각자극 제공 장치.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허리 조립체는:
    제1 허리 조절기;
    일단이 상기 제1 전면 패널의 타측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1 허리 조절기에 고정되는 제1 전면 스트랩; 및
    일단이 상기 후면 패널의 일측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1 허리 조절기에 고정되는 제1 후면 스트랩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후면 스트랩은 상기 제1 전면 스트랩보다 신축성이 높은,
    촉각자극 제공 장치.
KR1020200173698A 2020-12-11 2020-12-11 촉각자극 제공 장치 KR20220083448A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3698A KR20220083448A (ko) 2020-12-11 2020-12-11 촉각자극 제공 장치
CN202180081995.7A CN116635914A (zh) 2020-12-11 2021-12-09 触觉刺激提供装置
US18/256,151 US20240032617A1 (en) 2020-12-11 2021-12-09 Tactile stimulus providing apparatus
PCT/KR2021/018596 WO2022124806A1 (ko) 2020-12-11 2021-12-09 촉각자극 제공 장치
JP2023534180A JP2023553017A (ja) 2020-12-11 2021-12-09 触覚刺激提供装置
EP21903852.8A EP4261658A1 (en) 2020-12-11 2021-12-09 Tactile stimulus provid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3698A KR20220083448A (ko) 2020-12-11 2020-12-11 촉각자극 제공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3448A true KR20220083448A (ko) 2022-06-20

Family

ID=81974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3698A KR20220083448A (ko) 2020-12-11 2020-12-11 촉각자극 제공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40032617A1 (ko)
EP (1) EP4261658A1 (ko)
JP (1) JP2023553017A (ko)
KR (1) KR20220083448A (ko)
CN (1) CN116635914A (ko)
WO (1) WO2022124806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123774A1 (en) 2013-11-04 2015-05-07 Disney Enterprises, Inc. Creating Tactile Content with Sound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434718B (zh) * 2006-12-07 2014-04-21 Cel Kom Llc 觸覺式可穿戴型遊戲裝置
US20120190460A1 (en) * 2011-01-21 2012-07-26 Cecil Sessions Vibrating Gaming Vest
AU2014210579B2 (en) * 2014-07-09 2019-10-10 Baylor College Of Medicine Providing information to a user through somatosensory feedback
US11458067B2 (en) * 2017-06-02 2022-10-04 Ecole polytechnique fédérale de Lausanne (EPFL) Soft portable wearable pneumatic interactive suit
KR102337869B1 (ko) * 2017-11-13 2021-12-10 주식회사 씨케이머티리얼즈랩 햅틱 제어 신호 제공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123774A1 (en) 2013-11-04 2015-05-07 Disney Enterprises, Inc. Creating Tactile Content with Soun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40032617A1 (en) 2024-02-01
WO2022124806A1 (ko) 2022-06-16
EP4261658A1 (en) 2023-10-18
JP2023553017A (ja) 2023-12-20
CN116635914A (zh) 2023-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73285B2 (ja) 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
KR102343255B1 (ko) 촉각자극 제공 장치
KR102200556B1 (ko) 촉각자극 제공 장치
JP2009219650A (ja) 装着型動作補助装置
WO2016024895A1 (en) A headband cover for a headband of a headphone
KR20200108819A (ko) 촉각자극 제공 장치
CN111492327A (zh) 带有触感反馈的电子服装
JP3194568U (ja) マッサージ用衣服
KR20220083448A (ko) 촉각자극 제공 장치
JP3132327U (ja) 指圧マッサージ手袋
JP2009219648A (ja) 装着型動作補助装置
WO2011145364A1 (ja) 頭部マッサージ機
JPH07207502A (ja) 婦人用ショーツ
KR102157904B1 (ko) 촉각자극 제공 장치
KR200324066Y1 (ko) 전동안마기능을 갖는 시트커버
WO2011145230A1 (ja) 頭部マッサージ機
US20240233934A1 (en) Medication Reminder Device
JP7313006B2 (ja) マッサージ装置およびその操作装置
EP4162992A1 (en) Wearable controller
JP6854533B2 (ja) バッグ
KR200213097Y1 (ko) 마우스
KR0121006Y1 (ko) 진동맛사지 벨트
JP2019037412A (ja) 制御装置および電動家具
JPH05298001A (ja) キーボード入力操作用手置き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