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3769B1 - 촉각자극 제공 장치 - Google Patents

촉각자극 제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3769B1
KR102263769B1 KR1020200117991A KR20200117991A KR102263769B1 KR 102263769 B1 KR102263769 B1 KR 102263769B1 KR 1020200117991 A KR1020200117991 A KR 1020200117991A KR 20200117991 A KR20200117991 A KR 20200117991A KR 102263769 B1 KR102263769 B1 KR 1022637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member
actuators
band
tactile stimulation
main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79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08819A (ko
KR102263769B9 (ko
Inventor
곽기욱
고영훈
유원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햅틱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80074358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157904B1/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햅틱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햅틱스
Publication of KR202001088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88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37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3769B1/ko
Publication of KR102263769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3769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6/00Tacti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1/00Belts, strips or combs for massage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5Wearable inte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rosthes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촉각자극 제공 장치는 제1 측 및 상기 제1 측의 반대측인 제2 측 사이에 액츄에이터들이 배치된 착용부; 일단이 상기 착용부의 제1 측 부근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착용부의 제2 측 부근에 체결 가능한 제1 메인 밴드; 일단이 상기 착용부의 제3 측 부근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착용부의 제3 측 부근에 체결 가능한 서브 밴드; 상기 서브 밴드의 일단 부근의 상면에 위치한 제1 스트랩; 상기 제1 스트랩과 연결되는 A타입 체결 부재; 상기 서브 밴드의 타단 부근의 상면에 위치한 제2 스트랩; 및 상기 제2 스트랩과 연결되는 B타입 체결부재를 포함하고, 체결 부재들은 서로 다른 타입인 경우에 서로 체결 가능하다.

Description

촉각자극 제공 장치{TACTILE STIMULATION PROVIDING DEVICE}
본 발명은 촉각자극 제공 장치에 관한 것이다.
촉각자극 제공 장치는 액츄에이터들(actuators)을 포함하고, 액츄에이터들을 선택적으로 진동시킴으로써 사용자에게 촉각자극을 제공할 수 있다.
촉각자극 제공 장치는 목표하는 사용자의 다양한 신체 부위에 맞춰 제공될 수 있다.
하지만 사용자는 해당 신체 부위를 단순히 촉각자극을 느끼는 데 이용할 뿐만 아니라, 터치, 모션 등을 통한 입력 수단으로 활용할 수도 있다. 따라서, 촉각자극 제공 장치는 사용자의 입력 행위에 불편함을 주지 않기 위한 구조로 적절히 제공되어야 한다. 또한 사용자의 입력 행위가 격렬해지는 경우라도 촉각자극 제공 장치가 착용 해제되지 않고, 액츄에이터들이 목표하는 신체 부위에 밀착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사용자는 촉각자극 제공 장치를 단순히 신체 부위 위에 직접 착용하는 경우 외에도, 양말, 장갑, 신발 등 의복 위에 착용하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촉각자극 제공 장치는 상황에 따라 사이즈의 변형이 용이하면서도, 액츄에이터들이 목표하는 신체 부위에 밀착될 수 있어야 한다.
미국 공개특허공보 제2015-0123774호(2015.05.07.)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이즈 변형이 용이하고, 사용자의 신체 부위에 단단히 고정될 수 있으면서도 사용자의 입력 행위를 방해하지 않는 촉각자극 제공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촉각자극 제공 장치는, 제1 측 및 상기 제1 측의 반대측인 제2 측 사이에 액츄에이터들이 배치된 착용부; 일단이 상기 착용부의 제1 측 부근에 위치하고, 타단이 상기 착용부의 제2 측 부근에 체결 가능한 제1 메인 밴드; 일단이 상기 착용부의 제3 측 부근에 위치하고, 타단이 상기 착용부의 제3 측 부근에 체결 가능한 서브 밴드; 상기 서브 밴드의 일단 부근의 상면에 위치한 제1 스트랩; 상기 제1 스트랩과 연결되는 A타입 체결 부재; 상기 서브 밴드의 타단 부근의 상면에 위치한 제2 스트랩; 및 상기 제2 스트랩과 연결되는 B타입 체결부재를 포함하고, 체결 부재들은 서로 다른 타입인 경우에 서로 체결 가능하다.
상기 제1 메인 밴드가 체결될 때, 상기 제1 메인 밴드 및 상기 액츄에이터들이 링 형상을 이루어 사용자의 제1 신체 부위에 밀착되고, 상기 서브 밴드가 체결될 때, 상기 서브 밴드는 자체적으로 링 형상을 이루어 사용자의 제2 신체 부위에 밀착되며, 상기 제1 신체 부위 및 상기 제2 신체 부위는 관절을 통해 연결된 서로 인접한 신체 부위들일 수 있다.
상기 착용부는 제1 층 부재; 및 상기 제1 층 부재 상에서 상기 제1 층 부재와 가장자리 중 적어도 일부가 결합된 제2 층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층 부재에 밀착되도록 상기 액츄에이터들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촉각자극 제공 장치는 상기 제1 층 부재의 하면에 밀착되는 바텀 케이스들; 및 상기 제1 층 부재의 상면에 밀착되고, 대응하는 상기 바텀 케이스들과 결합되어 대응하는 상기 액츄에이터들을 고정시키는 탑 케이스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촉각자극 제공 장치는 상기 서브 밴드의 하면에 배치된 제1 A타입 탈부착 부재; 및 상기 제2 층 부재의 상면에 배치된 제1 B타입 탈부착 부재를 더 포함하고, 탈부착 부재들은 서로 다른 타입인 경우에 서로 탈부착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착용부는, 상기 제2 층 부재 상에서, 일단이 상기 제2 층 부재와 연결되는 제3 층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촉각자극 제공 장치는 상기 제3 층 부재의 타단 부근의 하면에 배치된 제2 A타입 탈부착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촉각자극 제공 장치는 상기 제3 층 부재에 끼워 맞춤된 컨트롤러 케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층 부재는 제1 배선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층 부재는 제2 배선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 케이스는 제3 배선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액츄에이터들 및 상기 컨트롤러 케이스 내부의 컨트롤러는 상기 제1 배선 개구부, 상기 제2 배선 개구부, 및 상기 제3 배선 개구부를 통한 배선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촉각자극 제공 장치는 상기 제1 메인 밴드의 타단 부근의 상면에 위치한 제2 B타입 탈부착 부재; 및 상기 제1 메인 밴드의 타단 부근의 하면에 위치한 제3 A타입 탈부착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촉각자극 제공 장치는 상기 제3 층 부재의 타단 부근의 상면에 위치한 제3 B타입 탈부착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촉각자극 제공 장치는 상기 제3 층 부재의 일단 부근의 상면에 위치한 제4 B타입 탈부착 부재; 상기 제1 메인 밴드의 일단 부근의 상면에 위치한 제5 B타입 탈부착 부재; 및 상기 제1 메인 밴드의 일단 부근의 하면에 위치한 제4 A타입 탈부착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액츄에이터들은 적어도 2 개의 그룹으로 그룹화되고, 제1 그룹의 액츄에이터들은 제1 방향에서 제1 거리로 서로 이격되고, 제2 그룹의 액츄에이터들은 상기 제1 방향에서 제2 거리로 서로 이격되고, 상기 제1 방향에서, 상기 제1 그룹의 액츄에이터와 상기 제2 그룹의 액츄에이터 사이의 최소 거리는 상기 제1 거리 및 상기 제2 거리보다 길 수 있다.
상기 제1 메인 밴드는 상기 제1 그룹의 액츄에이터들 중 적어도 일부와 중첩되도록, 일단이 상기 착용부의 제1 측 부근에 위치하고 타단이 제2 측 부근에 위치하고, 상기 촉각자극 제공 장치는 상기 제2 그룹의 액츄에이터들 중 적어도 일부와 중첩되도록, 일단이 상기 착용부의 제1 측 부근에 위치하고 타단이 상기 착용부의 제2 측 부근에 위치하는 제2 메인 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촉각자극 제공 장치는 상기 제2 메인 밴드의 일단 부근의 하면에 위치한 제2 B타입 탈부착 부재; 상기 제2 메인 밴드의 일단 부근의 상면에 위치한 제3 A타입 탈부착 부재; 상기 제2 메인 밴드의 타단 부근의 하면에 위치한 제3 B타입 탈부착 부재; 및 상기 제2 메인 밴드의 타단 부근의 상면에 위치한 제4 A타입 탈부착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촉각자극 제공 장치는 상기 제1 메인 밴드의 일단 부근의 하면에 위치한 제4 B타입 탈부착 부재; 상기 제1 메인 밴드의 일단 부근의 상면에 위치한 제5 A타입 탈부착 부재; 상기 제1 메인 밴드의 타단 부근의 하면에 위치한 제5 B타입 탈부착 부재; 및 상기 제1 메인 밴드의 타단 부근의 상면에 위치한 제6 A타입 탈부착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촉각자극 제공 장치는 상기 액츄에이터들을 제어하는 컨트롤러; 상기 컨트롤러를 내부에 포함하는 컨트롤러 케이스; 일부가 상기 컨트롤러 케이스와 체결가능한 트랙커 지지 부재; 및 상기 트랙커 지지 부재의 다른 일부와 체결가능하고, 사용자의 모션을 센싱하는 모션 트랙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촉각자극 제공 장치는 상기 트랙커 지지 부재의 다른 일부와 상기 모션 트랙커를 결합시키는 볼트; 및 상기 볼트에 끼워 맞춤되는 각도 조절용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촉각자극 제공 장치는 사이즈 변형이 용이하고, 사용자의 신체 부위에 단단히 고정될 수 있으면서도 사용자의 입력 행위를 방해하지 않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촉각자극 제공 장치의 제1 층 부재의 상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제1 실시예의 촉각자극 제공 장치의 제1 층 부재의 하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및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액츄에이터 어셈블리를 서로 다른 시점에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제1 실시예의 촉각자극 제공 장치의 제2 층 부재의 상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제1 실시예의 촉각자극 제공 장치의 제3 층 부재의 상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제1 실시예의 촉각자극 제공 장치의 컨트롤러 케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제1 실시예의 촉각자극 제공 장치의 제3 층 부재의 하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 내지 12는 제1 실시예의 촉각자극 제공 장치의 착용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 및 14는 제1 실시예의 촉각자극 제공 장치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 및 16은 컨트롤러 케이스에 모션 트랙커가 결합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은 컨트롤러 케이스에 모션 트랙커가 달리 결합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촉각자극 제공 장치의 제1 층 부재의 상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는 제2 실시예의 촉각자극 제공 장치의 제1 층 부재의 하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은 제2 실시예의 촉각자극 제공 장치의 제2 층 부재의 상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1 및 22는 제2 실시예의 촉각자극 제공 장치의 제3 층 부재의 상면 및 하면을 각각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3은 제2 실시예의 촉각자극 제공 장치의 컨트롤러 케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4는 제2 실시예의 촉각자극 제공 장치의 착용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5는 제2 실시예의 촉각자극 제공 장치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6 및 2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츄에이터 어셈블리를 서로 다른 시점에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츄에이터 어셈블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9 및 3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러 케이스에 모션 트랙커가 결합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1은 제1 실시예의 촉각자극 제공 장치의 다른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2는 도 31의 제1 메인 밴드의 하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3은 제2 실시예의 촉각자극 제공 장치의 다른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4는 도 33의 제1 및 제2 메인 밴드들의 상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5는 도 33의 촉각자극 제공 장치의 상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 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따라서 앞서 설명한 참조 부호는 다른 도면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과장되게 나타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촉각자극 제공 장치의 제1 층 부재의 상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촉각자극 제공 장치(1)는 제1 층 부재(BP1), 메인 밴드(MB1), 및 서브 밴드(SB1)를 포함한다.
착용부는 촉각자극을 제공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제1 신체 부위에 착용되기 위한 부분이다. 본 실시예의 착용부는 3층 구조로 구성될 수 있으며, 도 1에서는 그 중 제1 층 부재(BP1)에 대해서 먼저 설명한다.
제1 층 부재(BP1)는 천, 고무, 플라스틱 등 가요성있는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층 부재(BP1)의 형태 및 사이즈는 사용자의 제1 신체 부위에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제1 층 부재(BP1)는 액츄에이터들을 지지하면서, 이러한 액츄에이터들을 사용자의 제1 신체 부위와 밀착시키는데 이용된다. 제1 실시예에서 제1 신체 부위는 사용자의 발등일 수 있다.
제1 층 부재(BP1), 즉 착용부의 제1 측(SE11) 및 제1 측(SE11)의 반대측인 제2 측(SE12) 사이에 액츄에이터들이 배치될 수 있다. 액츄에이터들은 탑 케이스들(tc1)에 의해 가려져 있으므로, 도 1에서 도시되지는 않는다. 탑 케이스들(tc1)은 제1 층 부재(BP1)의 상면에 밀착되고, 대응하는 바텀 케이스들과 결합되어 대응하는 액츄에이터들을 고정시킨다.
제1 메인 밴드(MB1)는 천, 고무, 플라스틱 등 신축성있는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메인 밴드(MB1)는 일단이 착용부의 제1 측(SE11) 부근에 위치하고, 타단이 착용부의 제2 측(SE12) 부근에 체결 가능하다. 제1 메인 밴드(MB1)의 타단을 체결하는 것은 도 9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제1 메인 밴드(MB1)가 체결될 때, 제1 메인 밴드(MB1) 및 액츄에이터들이 링 형상을 이루어 사용자의 제1 신체 부위에 밀착될 수 있다.
서브 밴드(SB1)는 천, 고무, 플라스틱 등 신축성있는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서브 밴드(SB1)는 일단이 착용부의 제3 측(SE13) 부근에 위치하고, 타단이 착용부의 제3 측(SE13) 부근에 체결 가능하다. 서브 밴드(SB1)의 타단을 체결하는 것은 도 12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서브 밴드(SB1)가 체결될 때, 서브 밴드(SB1)는 자체적으로 링 형상을 이루어 사용자의 제2 신체 부위에 밀착될 수 있다. 제1 신체 부위 및 제2 신체 부위는 관절을 통해 연결된 서로 인접한 신체 부위들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신체 부위가 사용자의 발등이라면, 제2 신체 부위는 사용자의 발목에 해당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신체 부위를 둘러싸는 링 형상의 착용부가 바람직하지 않은 방향으로 회전하지 않도록(미끄러지지 않도록), 서브 밴드(SB1)가 제2 신체 부위에서 고정될 수 있다.
제1 메인 밴드(MB1)의 타단 부근의 상면에는 제2 B타입 탈부착 부재(Vb12)가 위치할 수 있다.
이하에서, A타입 탈부착 부재와 B타입 탈부착 부재가 설명된다. 탈부착 부재들은 서로 상이한 타입인 경우에 서로 탈부착 가능하다. 탈부착 부재들은 서로 동일한 타입인 경우 서로 탈부착 불가능할 수 있다. 탈부착 부재는 볼트/너트, 단추/단추 구멍 등등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탈부착 부재가 벨크로(Velcro) 소재인 것으로 가정하고 설명한다.
또한 상술한 바에 따르면, 제1 측(SE11) "부근", 제2 측(SE12) "부근", 및 제3 측(SE13) "부근"이라는 용어가 사용된다. 이는 밴드가 착용부에 연결됨에 있어서, 반드시 착용부의 가장자리 변에 봉제되는 것이 아니라, 가장자리 변 부근의 임의의 영역에 봉제되거나, 임의의 영역에 탈부착될 수 있기에 사용되는 표현이다. "부근"의 범위는 본 실시예의 구조에 따른 효과가 동일유사하게 나타날 수 있는 영역까지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메인 밴드(MB1)의 일단이 제1 측(SE11) 부근에서 지나치게 벗어나서 임의의 액츄에이터 케이스들(tc1) 사이에 연결된 경우, 제1 메인 밴드(MB1)의 타단이 제2 측(SE12) 부근에 부착되면, 형성된 링 형상에서 제외되는 액츄에이터 케이스가 발생한다. 이런 액츄에이터 케이스는 사용자의 제1 신체 부위에 밀착될 수 없으므로, 촉각자극이 제대로 전달될 수 없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는 제1 메인 밴드(MB1)의 일단이 제1 측(SE11) 부근에 연결되었다고 볼 수 없다.
도 2는 제1 실시예의 촉각자극 제공 장치의 제1 층 부재의 하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층 부재(BP1)의 하면에는 바텀 케이스들(bc1)이 밀착되어 배치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바텀 케이스들(bc1)은 대응하는 탑 케이스들(tc1)과 결합되어 액츄에이터들을 고정시킨다. 액츄에이터 및 액츄에이터 케이스의 관계에 대해서는 도 3 및 4를 참조하여 더 상세히 후술한다.
제1 메인 밴드(MB1)의 타단 부근의 하면에는 제3 A타입 탈부착 부재(Va13)가 위치할 수 있다.
서브 밴드(SB1)의 타단 부근의 하면에는 제1 A타입 탈부착 부재(Va11)가 위치할 수 있다.
도 3 및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액츄에이터 어셈블리를 서로 다른 시점에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및 4를 참조하면, 한 실시예에 따른 액츄에이터 어셈블리(AA1)는 액츄에이터(ac1), 탑 케이스(tc1), 커버 케이스(mc1), 및 바텀 케이스(bc1)를 포함한다.
액츄에이터(ac1)는 구동부(mb1)와 편심 질량체(em1)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mb1)와 편심 질량체(em1)는 샤프트를 통해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츄에이터(ac1)는 ERM 모터일 수 있다. 액츄에이터(ac1)는 구동부(mb1)에 의해 회전하는 편심 질량체(em1)가 불균형적인 진동자로 기능하면서 진동을 만들어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츄에이터(ac1)는 원통의 지름이 약 6 mm, 전체 높이가 약 17 mm인 원통형 진동 모터일 수 있다. 코인 형태의 모터는 진동자가 수평으로 회전해서 수평 방향의 진동을 만들지만, 본 실시예의 액츄에이터(ac1)는 수직 방향의 진동을 만들어 낼 수 있다.
탑 케이스(tc1)는 구동부(mb1)를 수용하는 수용부(tha1)와 편심 질량체(em1)를 수용하는 수용부(thb1)를 포함한다. 즉, 탑 케이스(tc1)는 배선을 제외한 액츄에이터(ac1)의 전부 또는 일부를 수용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탑 케이스(tc1)가 액츄에이터(ac1)의 일부만 수용한다면, 액츄에이터(ac1)의 나머지 부분은 커버 케이스(mc1)에 의해 수용될 수 있다.
커버 케이스(mc1)는 수용부(mha1)에 구동부(mb1)를 밀착시키도록 탑 케이스(tc1)와 결합된다. 커버 케이스(mc1)는 액츄에이터(ac1)를 커버하면서 탑 케이스(tc1)와 결합될 수 있다. 커버 케이스(mc1)의 수체결부(mm1)가 탑 케이스(tc1)의 암체결부(tsf1)와 끼워 맞춤되면서, 커버 케이스(mc1)는 탑 케이스(tc1)와 단단히 고정될 수 있다. 특히, 액츄에이터(ac1)의 구동부(mb1)가 단단히 고정되도록 수용부(tha1)와 수용부(mha1)가 형성될 수 있다. 커버 케이스(mc1)의 수체결부(mm1)는 커버 케이스(mc1)가 제1 층 부재(BP1)와 맞닿는 면에 평행하도록 돌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수체결부(mm1)와 암체결부(tsf1)는 네 쌍이지만, 실시예에 따라 그 개수는 달라질 수 있다.
커버 케이스(mc1)는 탑 케이스(tc1)와 결합됨으로써 편심 질량체(em1)를 제1 층 부재(BP1)의 상면과 격리시키면서, 수용부(mhb1)와 함께 편심 질량체(em1)의 여유 회전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커버 케이스(mc1)의 수용부(mhb1)는 수용부(thb1)와 매칭됨으로써 편심 질량체(em1)의 회전에 방해가 되지 않는 여유 회전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커버 케이스(mc1)의 수용부(mhb1)는 편심 질량체(em1)를 제1 층 부재(BP1)의 상면과 격리시키는 역할도 한다. 따라서, 제1 층 부재(BP1)가 가요성있는 천이나 고무 재질인 경우에도 편심 질량체(em1)는 제1 층 부재(BP1)에 부딪힐 염려없이 신뢰성있게 회전할 수 있다.
바텀 케이스(bc1)는 제1 층 부재(BP1)의 하면에 위치하고, 탑 케이스(tc1)를 제1 층 부재(BP1)의 상면에 고정시킨다.
바텀 케이스(bc1)의 수체결부(bm1)는 제1 층 부재(BP1)를 관통하여 탑 케이스의 암체결부(tf1)에 결합됨으로써, 액츄에이터(ac1) 및 그 케이스(bc1, mc1, tc1)가 제1 층 부재(BP1)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제1 층 부재(BP1)는 수체결부(bm1)가 통과할 수 있는 형상의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탑 케이스(tc1)는 돌기(tm1)를 포함하고, 바텀 케이스(bc1)는 함몰부(bf1)를 포함할 수 있다. 탑 케이스(tc1)의 돌기(tm1)가 제1 층 부재(BP1)를 압박하며 함몰부(bf1)에 끼워 맞춤됨으로써, 액츄에이터(ac1) 및 그 케이스(bc1, mc1, tc1)가 제1 층 부재(BP1)에 더욱 단단히 고정될 수 있다.
도 5는 제1 실시예의 촉각자극 제공 장치의 제2 층 부재의 상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층 부재(BP1) 상에서 제1 층 부재(BP1)와 가장자리 중 적어도 일부가 결합된 제2 층 부재(MP1)가 도시된다. 제1 층 부재(BP1)는 제2 층 부재(MP1)에 가려져 도 5에서 도시되지 않는다.
제2 층 부재(MP1)는 천, 고무, 플라스틱 등 가요성있는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층 부재(MP1)의 형태 및 사이즈는 제1 층 부재(BP1)의 형태 및 사이즈에 대응할 수 있다.
제2 층 부재(MP1)는 탑 케이스들(tc1) 및 그로부터 연장되는 배선들을 사용자의 시선으로부터 가려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2 층 부재(MP1)는 제1 배선 개구부(WH11)를 포함하는데, 이를 통해 배선들이 한데 모여 깔끔하게 취출될 수 있다. 제2 층 부재(MP1)는 액츄에이터들 및 배선들을 정비하기 위한 통로로써 지퍼 부재(ZP1)를 선택적으로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제2 층 부재(MP1)의 상면에 제1 B타입 탈부착 부재(Vb11)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B타입 탈부착 부재(Vb11)의 크기 및 형태는 제2 층 부재(MP1)의 크기 및 형태와 대응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B타입 탈부착 부재(Vb11)는 제2 측(SE12) 부근 및 제3 측(SE13) 부근에만 최소한의 영역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도 6은 제1 실시예의 촉각자극 제공 장치의 제3 층 부재의 상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2 층 부재(MP1) 상에서, 일단이 제2 층 부재(MP1)와 연결되는 제3 층 부재(TP1)가 도시된다.
제3 층 부재(TP1)는 천, 고무, 플라스틱 등 가요성있는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제3 층 부재(TP1)는 제2 층 부재(MP1)와 달리, 제1 층 부재(BP1)와 그 형태 및 사이즈가 대응하지 않을 수 있다.
제3 층 부재(TP1)는 제2 배선 개구부(WH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층 부재(TP1)는 제1 배선 개구부(WH11)로부터 취출된 배선들을 사용자의 시야로부터 가리면서, 제2 배선 개구부(WH12)로 다시 취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7은 제1 실시예의 촉각자극 제공 장치의 컨트롤러 케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3 층 부재(TP1)에 끼워 맞춤된 컨트롤러 케이스(CC1)가 도시된다. 도 8을 더 참조하면, 제3 층 부재(TP1)의 폭은 컨트롤러 케이스(CC1)의 하단 개구부의 폭보다 좁게 구성되어, 컨트롤러 케이스(CC1)가 제3 층 부재(TP1)에 길이 방향으로 끼워 맞춰질 수 있다.
컨트롤러 케이스(CC1)는, 실시예에 따라, 상단에 볼트 삽입용 개구부(VH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제1 실시예의 촉각자극 제공 장치의 제3 층 부재의 하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배선(W1)이 제1 배선 개구부(WH11) 및 제2 배선 개구부(WH12)를 통과하여 컨트롤러 케이스(CC1)를 향하는 것이 도시된다. 도시되진 않았지만, 컨트롤러 케이스(CC1)는 그 하면에 제3 배선 개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액츄에이터들(ac1) 및 컨트롤러 케이스(CC1) 내부의 컨트롤러는 제1 배선 개구부(WH11), 제2 배선 개구부(WH12), 및 제3 배선 개구부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컨트롤러(controller)는 컨트롤러 케이스(cc1) 내부에 위치하고, 액츄에이터들(ac1)에 대응하는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컨트롤러는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 모터 드라이버(motor dirvier), 및 전력 관리 모듈(power management module) 등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컨트롤러 케이스(cc1) 내부에는 컨트롤러의 구동을 위한 별도의 배터리가 위치할 수 있다. 컨트롤러는 PCB, FPCB, IC 등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는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 등의 기존 무선 통신 기술을 통해서 또는 유선 통신 기술을 통해서 촉각자극 패턴을 입력받을 수도 있다. 촉각자극 패턴은 다방향 촉각자극 패턴일 수도 있다. 컨트롤러 케이스(cc1) 내부에 별도의 메모리 소자가 위치할 수도 있다.
배선(W1)은 컨트롤러로부터 액츄에이터들(ac1)로 구동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배선(W1)은 FPCB 또는 와이어(wire) 등의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8을 참조하면, 제3 층 부재(TP1)의 타단 부근의 하면에는 제2 A타입 탈부착 부재(Va12)가 배치될 수 있다.
도 9 내지 12는 제1 실시예의 촉각자극 제공 장치의 착용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9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제1 메인 밴드(MB1)의 제3 A타입 탈부착 부재(Va13)를 제2 층 부재(MP1) 상면의 제1 B타입 탈부착 부재(Vb11)와 부착할 수 있다. 이로써, 제1 메인 밴드(MB1) 및 액츄에이터들(ac1)이 링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이때, 제1 메인 밴드(MB1)의 제2 B타입 탈부착 부재(Vb12)가 제2 층 부재(MP1)의 제1 B타입 탈부착 부재(Vb11)와 함께 상면 방향으로 노출되게 된다.
도 9 및 10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제3 층 부재(TP1)의 제2 A타입 탈부착 부재(Va12)를 제1 B타입 탈부착 부재(Vb11) 또는 제2 B타입 탈부착 부재(Vb12)에 적절히 부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A타입 탈부착 부재(Va12)는 제1 B타입 탈부착 부재 (Vb11)및 제2 B타입 탈부착 부재(Vb12)와 동시에 부착될 수도 있다. 이로써, 딱딱한 소재의 컨트롤러 케이스(CC1)가 사용자의 제1 신체 부위의 사이즈와 무관하게 착용부에 고정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도 9 및 10의 과정을 통해 만들어낸 링 형상의 착용부를 사용자의 제1 신체 부위(여기서, 발등)에 끼워 맞춤이 도시되어 있다. 이때, 바텀 케이스들(bc1)이 위치하는 제1 층 부재(BP1)의 하면이 사용자의 제1 신체 부위에 밀착하도록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2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서브 밴드(SB1)가 자체적으로 링 형상을 이루도록 제2 신체 부위(여기서, 발목)를 감고, 제1 A타입 탈부착 부재(Va11)를 제3 측(SE13) 부근의 제1 B타입 탈부착 부재(Vb11)와 부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신체 부위를 둘러싸는 링 형상의 착용부가 바람직하지 않은 방향으로 회전하지 않도록(미끄러지지 않도록), 서브 밴드(SB1)를 제2 신체 부위에 고정시킬 수 있다.
도 13 및 14는 제1 실시예의 촉각자극 제공 장치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 및 도 14에서는 도 7 및 8과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 유사한 도면 부호를 기재하였다. 이하에선 설명의 편의를 위해 촉각자극 제공 장치(1')와 촉각자극 제공 장치(1)의 차이점에 대해서 중점적으로 설명한다.
도 13을 도 7과 비교하였을 때, 촉각자극 제공 장치(1')는 제3 B타입 탈부착 부재(Vb13')를 더 포함한다. 제3 B타입 탈부착 부재(Vb13')는 제3 층 부재(TP1')의 타단 부근의 상면에 위치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촉각자극 제공 장치(1')의 착용 과정을 도 9 내지 11과 달리 할 수 있다. 도 9 내지 11에서는 사용자가 제1 메인 밴드(MB1), 착용부, 및 제3 층 부재(TP1)를 링 형상으로 먼저 만들고, 이러한 링 형상을 제1 신체 부위에 끼워 맞춤으로써 촉각자극 제공 장치(1)를 제1 신체 부위에 착용하였다.
하지만 도 13의 구조에 의하면, 사용자는 제2 A타입 탈부착 부재(Va12')를 제1 B타입 탈부착 부재(Vb11')와 부착시킴으로써 컨트롤러 케이스(CC1')를 착용부에 먼저 고정시킬 수 있다. 도 14를 도 8과 비교했을 때, 제2 A타입 탈부착 부재(Va12')의 형상과 면적이 제3 층 부재(TP1')의 형상과 면적에 대응하도록 확장되었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 A타입 탈부착 부재(Va12')와 제1 B타입 탈부착 부재(Vb11') 사이의 부착력이 증가하므로, 컨트롤러 케이스(CC1')의 상부에 모션 트랙커가 결합되어 무게가 증가하더라도 제2 A타입 탈부착 부재(Va12')가 쉽게 탈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착용부를 제1 신체 부위에 지지한 상태에서 제1 메인 밴드(MB1')를 제1 신체 부위에 감아 제3 A타입 탈부착 부재를 제3 B타입 탈부착 부재(Vb13')에 부착시킴으로써 제1 메인 밴드(MB1') 및 액츄에이터들이 링 형상을 이룰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의 제1 신체 부위의 사이즈에 정확히 맞춰 제1 메인 밴드(MB1') 및 액츄에이터들을 밀착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도 13 및 14를 참조하면, 도 7 및 8과 비교했을 때, 제2 층 부재(MP1')와 서브 밴드(SB1')의 연결 부위(CM1')가 변경되었다. 도 7 및 8에서는 오른발 및 왼발 중 목적하는 신체 부위에 적합하도록 제2 층 부재(MP1)와 서브 밴드(SB1)의 연결 부위(CM1)가 편심되어 있었다. 하지만 도 13 및 14의 실시예에서는 촉각자극 제공 장치(1')를 오른발 및 왼발 중 어느 신체 부위에 착용하더라도 불편함이 없도록 제2 층 부재(MP1')와 서브 밴드(SB1')의 연결 부위(CM1')가 착용부의 중심에 위치하게 되었다.
또한, 도 13 및 14의 실시예에서는 서브 밴드(SB1')의 연장 방향이 제1 메인 밴드(MB1')와 평행할 수 있다. 또한, 연결 부위(CM1')는 제1 신체 부위 및 제2 신체 부위의 사이 관절을 충분히 커버하도록 길게 형성(종아리 아래쪽까지 올라올 수 있도록)될 수 있다. 이로써, 촉각자극 제공 장치(1')를 오른발 및 왼발 중 어느 신체 부위에 착용하더라도 서브 밴드(SB1')가 자체적으로 이루는 링 형상의 각도나 위치가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주지 않는 장점이 있다.
도 15 및 16은 컨트롤러 케이스에 모션 트랙커가 결합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 및 16을 참조하면, 컨트롤러 케이스(CC1)의 볼트 삽입용 개구부(VH1)를 통해서 볼트(V1)가 수직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러한 볼트(V1)에 각도 조절용 너트(N1) 및 모션 트랙커(MT1)가 순차적으로 끼워 맞춰질 수 있다.
모션 트랙커(motion tracker, MT1)는 외부 베이스 스테이션(base station)에서 방출되는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여, 모션 트랙커(MT1)의 3차원 공간 상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기기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모션 트랙커(MT1)는 내부에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등을 내장하여 초기에 설정된 특정 절대 값을 기준으로 변화되는 양을 계산하는 형태로 설계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이러한 모션 트랙커(MT1)를 움직임으로써 자신의 모션을 입력 수단으로 이용할 수 있다.
먼저, 사용자는 모션 트랙커(MT1)를 볼트(V1)에 끼워 맞춘 후 각도 조절용 너트(N1) 방향(아래 방향)으로 회전시켜 목표하는 높이 및 각도로 위치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각도 조절용 너트(N1)를 모션 트랙커(MT1) 방향(윗 방향)으로 회전시켜, 모션 트랙커(MT1)를 볼트(V1)에 고정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각도 조절용 너트(N1)의 회전용 지지대(WW1, WW2)를 손가락으로 잡거나 밀어서, 각도 조절용 너트(N1)를 회전시킬 수 있다.
도 17은 컨트롤러 케이스에 모션 트랙커가 달리 결합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모션 트랙커(MT1)와 촉각자극 제공 장치(1)의 결합에 있어서, 각도 조절용 너트(N1)를 대신하여 와셔 조립체(washer assembly, WS1)가 사용된다.
와셔 조립체(WS1)는 고무 와셔들(RW1, RW2, RW3) 및 고무 와셔들(RW1, RW2, RW3) 사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금속 와셔(MW1, MW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7의 실시예에서는 고무 와셔(RW1), 금속 와셔(MW1), 고무 와셔(RW2), 금속 와셔(MW2), 고무 와셔(RW3)가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와셔 조립체(WS1)를 구성하지만, 당업자라면 각 구성의 개수를 달리할 수 있다. 고무 와셔(RW1, RW2, RW3)는 탄성력과 지지력을 제공하며, 금속 와셔(MW1, MW2)는 고무 와셔(RW1, RW2, RW3) 간의 지나친 마찰력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사용자는 모션 트랙커(MT1)를 볼트(V1)에 끼워 맞춘 후 와셔 조립체(WS1) 방향(아래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모션 트랙커(MT1)가 와셔 조립체(WS1)에 맞닿더라도 고무 와셔(RW1, RW2, RW3)의 탄성력으로 인해서, 사용자는 모션 트랙커(MT1)가 원하는 각도가 될 때까지 더 회전시킬 수 있다. 도 15 및 16과 비교했을 때, 사용자는 각도 조절용 너트(N1)에 손가락을 넣어 조절하는 불편함이 없이, 단순히 모션 트랙커(MT1)만 회전시킴으로써 모션 트랙커(MT1)를 목적하는 각도로 컨트롤러 케이스(CC1)에 단단히 고정시킬 수 있다.
도 17의 실시예에서는 와셔 조립체(WS1)가 제공되었지만, 탄성량과 두께 조절을 통해 최적화된 단일(single)의 고무 와셔가 제공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금속 와셔가 불필요하게 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촉각자극 제공 장치의 제1 층 부재의 상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9는 제2 실시예의 촉각자극 제공 장치의 제1 층 부재의 하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 및 1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촉각자극 제공 장치(2)는 제1 층 부재(BP2), 제1 메인 밴드(MB21), 제2 메인 밴드(MB22), 및 서브 밴드(SB2)를 포함한다.
제2 실시예의 착용부 또한 3층 구조로 구성될 수 있으며, 도 18에서는 그 중 제1 층 부재(BP2)에 대해서 먼저 설명한다.
제1 층 부재(BP2)는 천, 고무, 플라스틱 등 가요성있는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층 부재(BP2)의 형태 및 사이즈는 사용자의 제1 신체 부위에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제2 실시예에서 제1 신체 부위는 사용자의 손등 및 손가락일 수 있다.
제1 층 부재(BP2), 즉 착용부의 제1 측(SE21) 및 제2 측(SE22) 사이에 액츄에이터들(ac1)이 배치될 수 있다. 액츄에이터들(ac1)은 탑 케이스들(tc1)에 의해 가려져 있으므로, 도 18에서 도시되지는 않는다. 탑 케이스들(tc1)은 제1 층 부재(BP2)의 상면에 밀착되고, 대응하는 바텀 케이스들(bc1)과 결합되어 대응하는 액츄에이터들(ac1)을 고정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액츄에이터들(ac1)은 적어도 2 개의 그룹으로 그룹화될 수 있다. 제1 그룹(ag21)의 액츄에이터들은 제1 방향(D1)에서 제1 거리(d21)로 서로 이격되고, 제2 그룹(ag22)의 액츄에이터들은 제1 방향(D1)에서 제2 거리(d22)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제1 거리(d21) 및 제2 거리(d22)는 서로 동일하거나 서로 다를 수 있다. 다만, 제1 방향(D1)에서, 제1 그룹(ag21)의 액츄에이터와 제2 그룹(ag22)의 액츄에이터 사이의 최소 거리(dg)는 제1 거리(d21) 및 제2 거리(d22)보다 길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제1 신체 부위는 전술한 바와 같이, 손등 및 손가락일 수 있다. 제1 그룹(ag21)의 액츄에이터들은 손가락에 대응하도록 배치되고, 제2 그룹(ag22)의 액츄에이터들은 손등에 대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손가락과 손등 사이에는 관절이 존재하므로, 제1 그룹(ag21)과 제2 그룹(ag22)은 최소 거리(dg) 이상으로 이격될 필요가 있다.
제1 및 제2 메인 밴드(MB21, MB22)는 천, 고무, 플라스틱 등 신축성있는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메인 밴드(MB21, MB22)는 일단이 착용부의 제1 측(SE21) 부근에 위치하고, 타단이 착용부의 제2 측(SE22) 부근에 체결 가능하다. 도 16 이하에서는 제1 및 제2 메인 밴드(MB21, MB22)의 타단이 착용부의 제2 측(SE22) 부근에 계속해서 체결된 상태를 가정한다.
제1 메인 밴드(MB21)는 제1 그룹(ag21)의 액츄에이터들 중 적어도 일부와 중첩되도록, 일단이 착용부의 제1 측(SE21) 부근에 위치하고 타단이 제2 측(SE22) 부근에 위치하고, 제2 메인 밴드(MB22)는 제2 그룹(ag22)의 액츄에이터들 중 적어도 일부와 중첩되도록, 착용부의 제1 측(SE21) 부근에 위치하고 타단이 제2 측(SE22) 부근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메인 밴드(MB21)는 제1 그룹(ag21)의 액츄에이터들과 링 형상을 형성하여, 사용자의 손가락에 제1 그룹(ag21)의 액츄에이터들을 밀착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메인 밴드(MB22)는 제2 그룹(ag22)의 액츄에이터들과 링 형상을 형성하여, 사용자의 손등에 제2 그룹(ag22)의 액츄에이터들을 밀착시킬 수 있다.
서브 밴드(SB2)는 천, 고무, 플라스틱 등 신축성있는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서브 밴드(SB2)는 일단이 착용부의 제3 측(SE23) 부근에 연결되고, 타단이 착용부의 제3 측(SE23) 부근에 체결 가능하다. 서브 밴드(SB2)의 타단을 체결하는 것은 도 21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서브 밴드(SB2)가 체결될 때, 서브 밴드(SB2)는 자체적으로 링 형상을 이루어 사용자의 제2 신체 부위에 밀착될 수 있다. 제1 신체 부위 및 제2 신체 부위는 관절을 통해 연결된 서로 인접한 신체 부위들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신체 부위가 사용자의 손가락 및 손등이라면, 제2 신체 부위는 사용자의 손목에 해당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신체 부위를 둘러싸는 링 형상의 착용부가 바람직하지 않은 방향으로 회전하지 않도록(미끄러지지 않도록), 서브 밴드(SB2)가 제2 신체 부위에서 고정될 수 있다.
서브 밴드(SB2)의 타단 부근의 하면에는 제1 A타입 탈부착 부재(Va21)가 위치할 수 있다.
도 20은 제2 실시예의 촉각자극 제공 장치의 제2 층 부재의 상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제1 층 부재(BP2) 상에서 제1 층 부재(BP2)와 가장자리 중 적어도 일부가 결합된 제2 층 부재(MP2)가 도시된다. 제1 층 부재(BP2)는 제2 층 부재(MP2)에 가려져 도 17에서 도시되지 않는다.
제2 층 부재(MP2)는 천, 고무, 플라스틱 등 가요성있는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층 부재(MP2)의 형태 및 사이즈는 제1 층 부재(BP2)의 형태 및 사이즈에 대응할 수 있다.
제2 층 부재(MP2)는 탑 케이스들(tc1) 및 그로부터 연장되는 배선들을 가려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2 층 부재(MP2)는 제1 배선 개구부(WH21)를 포함하는데, 이를 통해 배선들이 한데 모여 깔끔하게 취출될 수 있다. 제2 층 부재(MP2)는 액츄에이터들(ac1) 및 배선들을 정비하기 위한 통로로써 지퍼 부재(ZP2)를 선택적으로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제2 층 부재(MP2)의 상면에 제1 B타입 탈부착 부재(Vb21)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B타입 탈부착 부재(Vb21)의 크기 및 형태는 제2 층 부재(MP2)의 크기 및 형태와 대응할 수 있다.
도 21 및 22는 제2 실시예의 촉각자극 제공 장치의 제3 층 부재의 상면 및 하면을 각각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제2 층 부재(MP2) 상에서, 일단이 제2 층 부재(MP2)와 연결되는 제3 층 부재(TP2)가 도시된다.
제3 층 부재(TP2)는 천, 고무, 플라스틱 등 가요성있는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제3 층 부재(TP2)는 제2 층 부재(MP2)와 달리, 제1 층 부재(BP2)와 그 형태 및 사이즈가 대응하지 않을 수 있다.
제3 층 부재(TP2)는 제2 배선 개구부(WH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층 부재(TP2)는 제1 배선 개구부(WH21)로부터 취출된 배선들을 사용자의 시야로부터 가리면서, 제2 배선 개구부(WH22)로 다시 취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2를 참조하면, 제3 층 부재(TP2)의 타단 부근의 하면에는 제2 A타입 탈부착 부재(Va22)가 배치될 수 있다.
도 23은 제2 실시예의 촉각자극 제공 장치의 컨트롤러 케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3을 참조하면, 제3 층 부재(TP2)에 끼워 맞춤된 컨트롤러 케이스(CC2)가 도시된다. 제3 층 부재(TP2)의 폭은 컨트롤러 케이스(CC2)의 하단 개구부의 폭보다 좁게 구성되어, 컨트롤러 케이스(CC2)가 제3 층 부재(TP2)에 길이 방향으로 끼워 맞춰질 수 있다.
컨트롤러 케이스(CC2)는, 실시예에 따라, 상단에 볼트 삽입용 개구부(VH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실시예와 유사하게, 컨트롤러 케이스(CC2)는 그 하면에 제3 배선 개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액츄에이터들(ac1) 및 컨트롤러 케이스(CC2) 내부의 컨트롤러는 제1 배선 개구부(WH21), 제2 배선 개구부(WH22), 및 제3 배선 개구부를 통한 배선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24는 제2 실시예의 촉각자극 제공 장치의 착용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사용자는 제1 신체 부위의 일부인 손가락을 제1 메인 밴드(MB21)에 끼워 맞추고, 제1 신체 부위의 나머지인 손등을 제2 메인 밴드(MB22)에 끼워 맞춘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제2 신체 부위인 손목에 서브 밴드(SB2)를 자체적으로 링 형상을 이루도록 감아, 제1 A타입 탈부착 부재(Va21)가 제1 B타입 탈부착 부재(Vb21)에 부착되도록 한다.
도시되진 않았지만,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2 A타입 탈부착 부재(Va12)를 제1 B타입 탈부착 부재(Vb11)에 적절히 부착함으로써, 컨트롤러 케이스(CC2)가 사용자의 제1 신체 부위의 사이즈와 무관하게 착용부에 고정될 수 있다.
도 25는 제2 실시예의 촉각자극 제공 장치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5에서는 도 22와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 유사한 도면 부호를 기재하였다. 이하에선 설명의 편의를 위해 촉각자극 제공 장치(2')와 촉각자극 제공 장치(2)의 차이점에 대해서 중점적으로 설명한다.
도 25의 촉각자극 제공 장치(2')는 도 22의 촉각자극 제공 장치(2)에 비해 확장된 제2 A타입 탈부착 부재(Va22')를 포함한다.
제2 A타입 탈부착 부재(Va22')의 형상과 면적은 제3 층 부재(TP2')의 형상과 면적에 대응하도록 확장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 A타입 탈부착 부재(Va22')와 제1 B타입 탈부착 부재(Vb21') 사이의 부착력이 증가하므로, 컨트롤러 케이스의 상부에 모션 트랙커가 결합되어 무게가 증가하더라도 제2 A타입 탈부착 부재(Va22')가 쉽게 탈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6 및 2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츄에이터 어셈블리를 서로 다른 시점에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6 및 27을 참조하면, 액츄에이터 어셈블리(AA2)는 액츄에이터(ac2), 탑 케이스(tc2), 및 바텀 케이스(bc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액츄에이터(ac2)는 코인 모터(coin motor)일 수 있다.
바텀 케이스(bc2)는 액츄에이터(ac2)를 수용하는 액츄에이터 수용부(bcr2)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액츄에이터(ac2)가 바텀 케이스(bc2)와 보다 가깝게 배치됨으로써, 사용자에게 액츄에이터(ac2)의 진동이 보다 잘 전달될 수 있다.
바텀 케이스(bc2)는 수체결부(bm21) 및 돌기(bm22)를 포함할 수 있고, 탑 케이스(tc2)는 암체결부(tf21) 및 함몰부(tf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층 부재(BP1, BP2)는 수체결부(bm21)에 대응하는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수체결부(bm21)는 제1 층 부재(BP1, BP2)의 개구부를 통해서 암체결부(tf21)와 결합될 수 있다. 돌기(bm22)는 제1 층 부재(BP1, BP2)를 압박하며 함몰부(tf22)에 끼워맞춤되어 탑 케이스(tc2) 및 바텀 케이스(bc2)를 제1 층 부재(BP1, BP2)에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탑 케이스(tc2)는 배선 통로(tw21, tw22)를 포함할 수 있다. 배선은 배선 통로(tw21, tw22)를 통해서 액츄에이터(ac2)와 컨트롤러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도 2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츄에이터 어셈블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8을 참조하면, 액츄에이터 어셈블리(AA3)는 액츄에이터(ac3), 바텀 케이스(bc3), 탑 케이스(tc3), 및 튜브형 배선 통로(wp3)를 포함한다.
액츄에이터(ac3)는 바텀 케이스(bc3)의 수용부(bh3)에 수용될 수 있으며, 튜브형 배선 통로(wp3)의 교차부(cp3)에서 지지될 수 있다.
탑 케이스(tc3)는 튜브형 배선 통로(wp3)의 교차부(cp3)를 덮으면서 바텀 케이스(bc3)와 결합될 수 있다.
도 28과 같은 형태의 액츄에이터 어셈블리(AA3) 구조를 채용하는 경우, 상바텀 케이스(tc3, bc3)는 제1 층 부재(BP1, BP2) 및 제2 층 부재(MP1, MP2) 사이에 위치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시인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액츄에이터들(ac3)은 튜브형 배선 통로(wp3)의 각각의 교차부(cp3)에 위치하여 지지될 수 있다.
도 29 및 3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러 케이스에 모션 트랙커가 결합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모션 트랙커(MT2)는 전술한 모션 트랙커(MT1)와 구성이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으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컨트롤러 케이스는 상부 케이스(NCCu) 및 하부 케이스(NCCd)를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러는 컨트롤러 케이스의 내부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는 상부 케이스(NCCu) 및 하부 케이스(NCCd) 사이에 수납될 수 있다.
하부 케이스(NCCd)는 제3 배선 개구부(WH3)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배선 개구부(WH3)를 통해서 복수의 액츄에이터들과 컨트롤러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하부 케이스(NCCd)는 전면측부(FSPd), 후면측부(BSPd), 좌측부(LSPd), 및 우측부(RSPd)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면측부(FSPd)는 오목부(CVP1)를 포함하고, 후면측부(BSPd)는 오목부(CVP2)를 포함할 수 있다. 오목부들(CVP1, CVP2)의 형상은 착용 대상인 사용자의 신체 부위의 굴곡에 대응하도록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좌측부(LSPd)는 개구부(LShd)를 포함하고, 우측부(RSPd)는 개구부(RShd)를 포함할 수 있다. 개구부들(LShd, RShd)에 제3 층 부재가 끼워 맞춤될 수 있다.
상부 케이스(NCCu)는 측부들(LSPu, RSPu)에 볼트 삽입용 개구부들(VH6, VH7)을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볼트 삽입용 개구부들(VH6, VH7)은 하부 케이스(NCCd)의 측부들(FSPd, BSPd, LSPd, RSPd)에 위치할 수도 있다.
트랙커 지지 부재(NCCs)는 일부가 컨트롤러 케이스와 체결가능할 수 있다. 또한, 트랙커 지지 부재(NCCs)의 다른 일부는 모션 트랙커(MT2)와 체결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랙커 지지 부재(NCCs)는 상부판(SPPs) 및 상부판(SPPs)의 양측에서 연장되는 2개의 측부들(LSPs, RSPs)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랙커 지지 부재(NCCs)는 디귿자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트랙커 지지 부재(NCCs)의 상부판(SPPs)은 볼트 삽입용 개구부(VH3)를 포함할 수 있다. 볼트 삽입용 개구부(VH3) 및 볼트(V2)를 이용하여, 모션 트랙커(MT2) 및 트랙커 지지 부재(NCCs)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부판(SPPs)의 상면, 하면, 또는 상하면에서 각도 조절용 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즉, 도 17의 와셔 조립체(WS1), 고무 와셔(RW1~RW3), 금속 와셔(MW1, MW2) 등이 사용될 수도 있고, 도 15의 각도 조절용 너트(N1)가 사용될 수도 있다. 각도 조절용 부재는 볼트(V2)에 끼워 맞춤될 수 있다.
트랙커 지지 부재(NCCs)의 측부들(LSPs, RSPs)은 각각 볼트 삽입용 개구부들(VH4, VH5)를 포함할 수 있다. 볼트 삽입용 개구부들(VH4, VH5)은 트랙커 지지 부재(NCCs)가 상부 케이스(NCCu)에 끼워 맞춤될 때, 볼트 삽입용 개구부들(VH6, VH7)과 대응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2개의 볼트를 더 이용하여 트랙커 지지 부재(NCCs)를 상부 케이스(NCCu)와 고정시킬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모션 트랙커(MT2)를 제거한 상태의 촉각자극 제공 장치를 사용하고자 할 때, 컨트롤러 케이스를 촉각자극 제공 장치에서 분리할 필요가 없게 되므로, 편의성이 증가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트랙커 지지 부재(NCCs)와 상부 케이스(NCCs)가 볼트를 이용하여 체결하는 것이 예시되었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플라스틱 버클 등 다른 체결 부재를 이용하여 체결될 수도 있다.
도 31은 제1 실시예의 촉각자극 제공 장치의 다른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2는 도 31의 제1 메인 밴드의 하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1의 촉각자극 제공 장치(1") 중에서 도 13의 촉각자극 제공 장치(1')와 중복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13과 비교했을 때, 컨트롤러 케이스(CC1')는 도 30의 컨트롤러 케이스로 대체되었다.
촉각자극 제공 장치(1")는 도 13과 비교해서 탈부착 부재들(Vb14", Vb15", Va14"), 스트랩들(STR11", STR12"), 및 체결 부재들(BCM1", BCF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4 B타입 탈부착 부재(Vb14")는 제3 층 부재(TP1")의 일단 부근의 상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5 B타입 탈부착 부재(Vb15")는 제1 메인 밴드(MB1")의 일단 부근의 상면에 위치할 수 있다. 제4 A타입 탈부착 부재(Va14")는 제1 메인 밴드(MB1")의 일단 부근의 하면에 위치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4 A타입 탈부착 부재(Va14")를 제4 B타입 탈부착 부재(Vb14")에 부착함으로써, 도 13의 촉각자극 제공 장치(1')와 유사하게 촉각자극 제공 장치(1")를 사용할 수 있다.
도 16의 착용예를 참조하면, 제1 메인 밴드(MB1")에는 사용자의 신체 부위 및 외부 물체(바닥 등)의 사이에서 마찰이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메인 밴드(MB1")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경우에는 이를 교체할 필요가 있다. 교체하지 않는 경우, 액츄에이터들과 사용자의 신체 부위가 적절하게 밀착되지 않아, 촉각자극의 제공이 어려울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촉각자극 제공 장치(1")의 전체 교체가 아닌 소모품인 제1 메인 밴드(MB1")만 교체함으로써, 촉각자극 제공 장치(1")의 수명을 늘릴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제1 스트랩(STR11")은 서브 밴드(SB1")의 일단 부근의 상면에 위치할 수 있다. A타입 체결 부재(BCM1")은 제1 스트랩(STR11")과 연결될 수 있다. 제2 스트랩(STR12")은 서브 밴드(SB1")의 타단 부근의 상면에 위치할 수 있다. B타입 체결 부재(BCF1")은 제2 스트랩(STR12")과 연결될 수 있다.
스트랩들(strap, STR11", STR12")은 밴드들(MB1", SB1")에 비해 신축성이 작은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트랩들(STR11", STR12")은 가죽, 천, 면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체결 부재들(BCM1", BCF1")은 서로 다른 타입인 경우에 서로 체결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체결 부재들(BCM1", BCF1")은 버클(buckle)일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체결 부재들(BCM1", BCF1")은 버클에 자석이 더 포함된 구조일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는 서브 밴드(SB1")를 탈부착 부재들을 이용하여 1차적으로 체결한 이후, 체결 부재들(BCM1", BCF1")을 이용하여 2차적으로 체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거운 모션 트랙커(MT2)가 컨트롤러 케이스에 체결될 때, 기존의 탈부착 부재들의 부착력만으로는 모션 트랙커(MT2)를 지지하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촉각자극 제공 장치(1")의 안정성이 증대될 수 있다.
만약, 서브 밴드(SB1")에서 탈부착 부재를 이용하지 않고, 체결 부재들(BCM1", BCF1")만 이용하여 체결한다면, 사용자가 한손으로 서브 밴드(SB1")를 고정시키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서브 밴드(SB1")를 탈부착 부재들을 이용하여 1차적으로 체결한 이후, 체결 부재들(BCM1", BCF1")을 이용하여 2차적으로 체결하는 것이 사용자 편의성 측면에서나 안정성 측면에서 가장 바람직할 수 있다.
도 33은 제2 실시예의 촉각자극 제공 장치의 다른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4는 도 33의 제1 및 제2 메인 밴드들의 상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5는 도 33의 촉각자극 제공 장치의 상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3 내지 35의 촉각자극 제공 장치(2") 중에서 도 19 내지 25의 촉각자극 제공 장치들(2, 2')과 중복되는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촉각자극 제공 장치(2")는 촉각자극 제공 장치들(2, 2')에 비해서, 탈부착 부재들(Vb22", Vb23", Vb24", Vb25", Va23", Va24", Va25", Va26"), 스트랩들(STR21", STR22"), 및 체결 부재들(BCM2", BCF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2 B타입 탈부착 부재(Vb22")는 제2 메인 밴드(MB22")의 일단 부근의 하면에 위치할 수 있다. 제3 A타입 탈부착 부재(Va23")는 제2 메인 밴드(MB22")의 일단 부근의 상면에 위치할 수 있다. 제3 B타입 탈부착 부재(Vb23")는 제2 메인 밴드(MB22")의 타단 부근의 하면에 위치할 수 있다. 제4 A타입 탈부착 부재(Va24")는 제2 메인 밴드(MB22")의 타단 부근의 상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라, 제4 B타입 탈부착 부재(Vb24")는 제1 메인 밴드(MB21")의 일단 부근의 하면에 위치할 수 있다. 제5 A타입 탈부착 부재(Va25")는 제1 메인 밴드(MB21")의 일단 부근의 상면에 위치할 수 있다. 제5 B타입 탈부착 부재(Vb25")는 제1 메인 밴드(MB21")의 타단 부근의 하면에 위치할 수 있다. 제6 A타입 탈부착 부재(Va26")는 제1 메인 밴드(MB21")의 타단 부근의 상면에 위치할 수 있다.
도 35를 참조하면, A타입 탈부착 부재들(Va23", Va24", Va25", Va26")이 제1 B타입 탈부착 부재(Vb21")과 부착됨으로써, 제1 및 제2 메인 밴드들(MB21", MB22")이 고정될 수 있다. 사용자 별로 손가락과 손바닥의 두께에 큰 차이는 없으므로, 실시예에 따라, 제1 및 제2 메인 밴드들(MB21", MB22")은 신축성이 다소 낮은 스트랩들로 대체될 수도 있다.
도 31 및 32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소모품인 제1 및 제2 메인 밴드들(MB21", MB22")을 교체할 수 있으므로, 촉각자극 제공 장치(2")의 수명이 증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제1 스트랩(STR21")은 서브 밴드(SB2")의 일단 부근의 상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스트랩(STR21")은 밴드들(MB21", MB22", SB2")에 비해 신축성이 작은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A타입 체결 부재(BCM2")는 제1 스트랩(STR21")과 연결될 수 있다. 제2 스트랩(STR22")은 서브 밴드(SB2")의 타단 부근의 상면에 위치할 수 있다. B타입 체결 부재(BCF2")는 제2 스트랩(STR22")과 연결될 수 있다. 스트랩들(STR21", STR22"), 및 체결 부재들(BCM2", BCF2")로 인한 효과는 도 31 및 32에 대한 설명을 참조한다.
지금까지 참조한 도면과 기재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촉각자극 제공 장치
BP1: 제1 층 부재
MP1: 제2 층 부재
TP1: 제3 층 부재
tc1: 탑 케이스
bc1: 바텀 케이스
MB1: 메인 밴드
SB1: 서브 밴드
CC1: 컨트롤러 케이스

Claims (18)

  1. 제1 측 및 상기 제1 측의 반대측인 제2 측 사이에 액츄에이터들이 배치된 착용부;
    일단이 상기 착용부의 제1 측 부근에 위치하고, 타단이 상기 착용부의 제2 측 부근에 체결 가능한 제1 메인 밴드;
    일단이 상기 착용부의 제3 측 부근에 위치하고, 타단이 상기 착용부의 제3 측 부근에 체결 가능한 서브 밴드;
    상기 서브 밴드의 일단 부근의 상면에 위치한 제1 스트랩;
    상기 제1 스트랩과 연결되는 A타입 체결 부재;
    상기 서브 밴드의 타단 부근의 상면에 위치한 제2 스트랩;
    상기 제2 스트랩과 연결되는 B타입 체결부재;
    상기 액츄에이터들을 제어하는 컨트롤러;
    상기 컨트롤러를 내부에 포함하는 컨트롤러 케이스; 및
    상기 컨트롤러 케이스와 체결가능한 일부 및 사용자의 모션을 센싱하는 모션 트랙커에 체결 가능한 다른 일부를 포함하는 트랙커 지지 부재를 포함하고,
    체결 부재들은 서로 다른 타입인 경우에 서로 체결 가능한,
    촉각자극 제공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인 밴드가 체결될 때, 상기 제1 메인 밴드 및 상기 액츄에이터들이 링 형상을 이루어 사용자의 제1 신체 부위에 밀착되고,
    상기 서브 밴드가 체결될 때, 상기 서브 밴드는 자체적으로 링 형상을 이루어 사용자의 제2 신체 부위에 밀착되며,
    상기 제1 신체 부위 및 상기 제2 신체 부위는 관절을 통해 연결된 서로 인접한 신체 부위들인,
    촉각자극 제공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부는
    제1 층 부재; 및
    상기 제1 층 부재 상에서 상기 제1 층 부재와 가장자리 중 적어도 일부가 결합된 제2 층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층 부재에 밀착되도록 상기 액츄에이터들이 배치된,
    촉각자극 제공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층 부재의 하면에 밀착되는 바텀 케이스들; 및
    상기 제1 층 부재의 상면에 밀착되고, 대응하는 상기 바텀 케이스들과 결합되어 대응하는 상기 액츄에이터들을 고정시키는 탑 케이스들을 더 포함하는
    촉각자극 제공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밴드의 하면에 배치된 제1 A타입 탈부착 부재; 및
    상기 제2 층 부재의 상면에 배치된 제1 B타입 탈부착 부재를 더 포함하고,
    탈부착 부재들은 서로 다른 타입인 경우에 서로 탈부착 가능한,
    촉각자극 제공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부는, 상기 제2 층 부재 상에서, 일단이 상기 제2 층 부재와 연결되는 제3 층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층 부재의 타단 부근의 하면에 배치된 제2 A타입 탈부착 부재를 더 포함하는
    촉각자극 제공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층 부재에 끼워 맞춤된 컨트롤러 케이스를 더 포함하는
    촉각자극 제공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층 부재는 제1 배선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층 부재는 제2 배선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 케이스는 제3 배선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액츄에이터들 및 상기 컨트롤러 케이스 내부의 컨트롤러는 상기 제1 배선 개구부, 상기 제2 배선 개구부, 및 상기 제3 배선 개구부를 통한 배선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촉각자극 제공 장치.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인 밴드의 타단 부근의 상면에 위치한 제2 B타입 탈부착 부재; 및
    상기 제1 메인 밴드의 타단 부근의 하면에 위치한 제3 A타입 탈부착 부재를 더 포함하는,
    촉각자극 제공 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층 부재의 타단 부근의 상면에 위치한 제3 B타입 탈부착 부재를 더 포함하는,
    촉각자극 제공 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층 부재의 일단 부근의 상면에 위치한 제4 B타입 탈부착 부재;
    상기 제1 메인 밴드의 일단 부근의 상면에 위치한 제5 B타입 탈부착 부재; 및
    상기 제1 메인 밴드의 일단 부근의 하면에 위치한 제4 A타입 탈부착 부재를 더 포함하는,
    촉각자극 제공 장치.
  12.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들은 적어도 2 개의 그룹으로 그룹화되고,
    제1 그룹의 액츄에이터들은 제1 방향에서 제1 거리로 서로 이격되고,
    제2 그룹의 액츄에이터들은 상기 제1 방향에서 제2 거리로 서로 이격되고,
    상기 제1 방향에서, 상기 제1 그룹의 액츄에이터와 상기 제2 그룹의 액츄에이터 사이의 최소 거리는 상기 제1 거리 및 상기 제2 거리보다 긴,
    촉각자극 제공 장치.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인 밴드는 상기 제1 그룹의 액츄에이터들 중 적어도 일부와 중첩되도록, 일단이 상기 착용부의 제1 측 부근에 위치하고 타단이 제2 측 부근에 위치하고,
    상기 제2 그룹의 액츄에이터들 중 적어도 일부와 중첩되도록, 일단이 상기 착용부의 제1 측 부근에 위치하고 타단이 상기 착용부의 제2 측 부근에 위치하는 제2 메인 밴드를 더 포함하는,
    촉각자극 제공 장치.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메인 밴드의 일단 부근의 하면에 위치한 제2 B타입 탈부착 부재;
    상기 제2 메인 밴드의 일단 부근의 상면에 위치한 제3 A타입 탈부착 부재;
    상기 제2 메인 밴드의 타단 부근의 하면에 위치한 제3 B타입 탈부착 부재; 및
    상기 제2 메인 밴드의 타단 부근의 상면에 위치한 제4 A타입 탈부착 부재를 더 포함하는
    촉각자극 제공 장치.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인 밴드의 일단 부근의 하면에 위치한 제4 B타입 탈부착 부재;
    상기 제1 메인 밴드의 일단 부근의 상면에 위치한 제5 A타입 탈부착 부재;
    상기 제1 메인 밴드의 타단 부근의 하면에 위치한 제5 B타입 탈부착 부재; 및
    상기 제1 메인 밴드의 타단 부근의 상면에 위치한 제6 A타입 탈부착 부재를 더 포함하는
    촉각자극 제공 장치.
  16. 삭제
  1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랙커 지지 부재의 다른 일부와 상기 모션 트랙커를 결합시키는 볼트; 및
    상기 볼트에 끼워 맞춤되는 각도 조절용 부재를 더 포함하는,
    촉각자극 제공 장치.
  18. 제1 측 및 상기 제1 측의 반대측인 제2 측 사이에 액츄에이터들이 배치된 착용부;
    일단이 상기 착용부의 제1 측 부근에 위치하고, 타단이 상기 착용부의 제2 측 부근에 체결 가능한 제1 메인 밴드;
    일단이 상기 착용부의 제3 측 부근에 위치하고, 타단이 상기 착용부의 제3 측 부근에 체결 가능한 서브 밴드;
    상기 액츄에이터들을 제어하는 컨트롤러;
    상기 컨트롤러를 내부에 포함하는 컨트롤러 케이스; 및
    상기 컨트롤러 케이스와 체결가능한 일부 및 사용자의 모션을 센싱하는 모션 트랙커에 체결 가능한 다른 일부를 포함하는 트랙커 지지 부재를 포함하는,
    촉각자극 제공 장치.
KR1020200117991A 2017-12-29 2020-09-14 촉각자극 제공 장치 KR1022637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183617 2017-12-29
KR1020170183617 2017-12-29
KR1020180074358A KR102157904B1 (ko) 2017-12-29 2018-06-27 촉각자극 제공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4358A Division KR102157904B1 (ko) 2017-12-29 2018-06-27 촉각자극 제공 장치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8819A KR20200108819A (ko) 2020-09-21
KR102263769B1 true KR102263769B1 (ko) 2021-06-11
KR102263769B9 KR102263769B9 (ko) 2022-03-15

Family

ID=67059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7991A KR102263769B1 (ko) 2017-12-29 2020-09-14 촉각자극 제공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3) US11209904B2 (ko)
KR (1) KR10226376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0556B1 (ko) 2016-03-25 2021-01-08 주식회사 비햅틱스 촉각자극 제공 장치
KR101804453B1 (ko) 2016-08-02 2017-12-04 주식회사 비햅틱스 촉각자극 제공 장치
WO2018230790A1 (ko) 2017-06-13 2018-12-20 주식회사 비햅틱스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EP3640769B1 (en) * 2017-06-13 2024-02-28 Bhaptics Inc. Tactile stimulus providing apparatus
US20200222276A1 (en) * 2019-01-13 2020-07-16 Cofactor Systems, Inc. Therapeutic vibration device
IT202100026558A1 (it) 2021-10-18 2023-04-18 Atena S R L Pannello per la stimolazione cinestetica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2706B1 (ko) * 1990-02-02 2000-04-15 제임스 에프. 크래머 힘피이드백및텍스쳐시뮬레이팅인터페이스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32140A (en) * 1986-08-18 1988-03-22 Stoffregen Robert T Vibratory massager retained against body with belt having elastic strap
US20050113724A1 (en) * 2003-01-10 2005-05-26 Wriggle Steven D. Vibrator systems, methods of making and operating such systems, apparatus for controlling such systems
US7147610B2 (en) * 2003-06-19 2006-12-12 Tarek Maalouf Multiple combination heat/massage devices
US20090143704A1 (en) * 2005-07-20 2009-06-04 Bonneau Raymond A Device for movement detection, movement correction and training
GB0515294D0 (en) * 2005-07-26 2005-08-31 Novamedix Distrib Ltd Limited durability closure means for an inflatable medical garment
AU2009219009B2 (en) * 2008-02-29 2013-05-02 Sensory Neurostimulation, Inc. Devices for treating restless leg syndrome
US9147328B2 (en) 2013-11-04 2015-09-29 Disney Enterprises, Inc. Creating tactile content with sound
KR102188157B1 (ko) * 2015-12-11 2020-12-07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촉각자극 제공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US10102722B2 (en) * 2015-12-18 2018-10-16 Immersion Corporation Wearable article having an actuator that performs non-haptic and haptic operations
KR102200556B1 (ko) 2016-03-25 2021-01-08 주식회사 비햅틱스 촉각자극 제공 장치
EP3435864A4 (en) * 2016-03-31 2019-09-18 Zoll Medical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THE MOVEMENT OF A PATIENT
KR101804453B1 (ko) 2016-08-02 2017-12-04 주식회사 비햅틱스 촉각자극 제공 장치
KR101845018B1 (ko) 2016-11-14 2018-04-03 주식회사 비햅틱스 촉각자극 제공 시스템
EP3640769B1 (en) 2017-06-13 2024-02-28 Bhaptics Inc. Tactile stimulus providing apparatus
WO2018230790A1 (ko) 2017-06-13 2018-12-20 주식회사 비햅틱스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2706B1 (ko) * 1990-02-02 2000-04-15 제임스 에프. 크래머 힘피이드백및텍스쳐시뮬레이팅인터페이스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TOMOYA SASAKI 외 4인. MetaLimbs: multiple arms interaction metamorphism. SIGGRAPH’17: ACM SIGGRAPH 2017 Emerging Technologies. 2017.08.0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066563A1 (en) 2022-03-03
US20240012484A1 (en) 2024-01-11
KR20200108819A (ko) 2020-09-21
KR102263769B9 (ko) 2022-03-15
US20190204919A1 (en) 2019-07-04
US11209904B2 (en) 2021-12-28
US11809627B2 (en) 2023-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63769B1 (ko) 촉각자극 제공 장치
EP3148409B1 (en) Wearable electronic device
US9566706B2 (en) Robot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7284214B2 (ja) 触覚刺激提供装置
US4802463A (en) Foot massager
JP2017504443A5 (ko)
CN110770634B (zh) 头戴式显示器
EP3509801A1 (en) Jacket for embodied interaction with virtual or distal robotic device
KR102157904B1 (ko) 촉각자극 제공 장치
ES2744995T3 (es) Mecanismo de medición de fuerza
US11138857B2 (en) Sensor systems and methods for preventing falls
US20130216981A1 (en) 3d pin tactile device
US20240032617A1 (en) Tactile stimulus providing apparatus
WO2018168843A1 (ja) 情報伝達装置
US20230398695A1 (en) Haptic system for robot teleoperation in confined spaces
KR20190101273A (ko) 자유로운 발목 움직임을 위한 풋 유닛을 구비하는 근력 보조 로봇
Tan et al. “LIFE” Jacket
IT201800007012A1 (it) Guanto Sensoriale con Sistema di recupero dell’energi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