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8577B1 - 폴리글리시딜에테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폴리글리시딜에테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8577B1
KR101728577B1 KR1020127014140A KR20127014140A KR101728577B1 KR 101728577 B1 KR101728577 B1 KR 101728577B1 KR 1020127014140 A KR1020127014140 A KR 1020127014140A KR 20127014140 A KR20127014140 A KR 20127014140A KR 101728577 B1 KR101728577 B1 KR 1017285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neral formula
transfer catalyst
polyhydric alcohol
polyglycidyl ether
phase trans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41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15239A (ko
Inventor
료 오가와
미츠노리 이데
켄이치 타마소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아데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아데카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아데카
Publication of KR201201152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52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85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85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01/00Preparation of oxiranes
    • C07D301/27Condensation of epihalohydrins or halohydrins with compounds containing active hydrogen atoms
    • C07D301/28Condensation of epihalohydrins or halohydrins with compounds containing active hydrogen atoms by reaction with hydroxyl radic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03/00Compounds containing three-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303/02Compounds containing oxirane rings
    • C07D303/12Compounds containing oxirane rings with hydrocarbon radicals, substituted by singly or doubly bound oxygen atoms
    • C07D303/18Compounds containing oxirane rings with hydrocarbon radicals, substituted by singly or doubly bound oxygen atoms by etherified hydroxyl radicals
    • C07D303/28Ethers with hydroxy compounds containing oxirane rings
    • C07D303/30Ethers of oxirane-containing polyhydroxy compounds in which all hydroxyl radicals are etherified with oxirane-containing hydroxy compoun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poxy Compounds (AREA)
  • Low-Molecular Organic Synthesis Reactions Using Cataly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기 일반식 (I)로 표시되는 다가 알코올, β-메틸에피클로로히드린 및 알칼리를 반응시켜서, 하기 일반식 (II)로 표시되는, 전 염소 함유량이 저감된 폴리글리시딜에테르를 제조하는 방법으로, 상기 반응을 상간이동촉매의 존재하에 실시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단, 일반식 (I) 중의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4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m 및 n은 각각 독립적으로 1~10의 수를 나타내며, 일반식 (II) 중의 R1 및 R2는 각각, 일반식 (I) 중의 R1 및 R2와 같다.
Figure 112012043684327-pct00006

Description

폴리글리시딜에테르의 제조방법{PROCESS FOR PRODUCING POLYGLYCIDYL ETHER}
본 발명은 폴리글리시딜에테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관이동 촉매의 존재하에, 비스페놀의 프로필렌 옥시드 부가물, β-메틸에피클로로히드린 및 알칼리를 반응시키는, 염소 함유량이 적은 폴리글리시딜에테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폴리에폭시 화합물로부터 얻어지는 경화물은, 각종 기재에 대한 접착성, 내열성, 내약품성, 전기 특성, 기계 특성 등이 비교적 우수하기 때문에, 넓은 산업분야, 특히, 도료나 접착제의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이들 폴리에폭시 화합물 중에서도, 비스페놀의 프로필렌 옥시드 부가물과 β-메틸에피클로로히드린으로부터 얻어지는 특정의 폴리글리시딜에테르가, 양이온 경화계에서 뛰어난 경화성을 나타내는 재료로서 유용하다는 것이 판명되었다.
그러나, 종래, β-메틸에피클로로히드린을 이용하여 폴리글리시딜에테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해서는 거의 검토되어 오지 않았다. 예를 들면, 다가 페놀 화합물과 β-메틸에피클로로히드린 및 에피클로로히드린을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의 존재하에서 반응시키는 방법이 알려져 있지만(특허문헌 1), 이러한 방법에 의해 상기 특정의 폴리글리시딜에테르를 제조하려고 하여도, 목적물을 얻는 것은 곤란하다. 또한, 1단째에 루이스산 촉매 등을 이용하는 부가 반응을 실시하고, 계속해서 2단째에 알칼리를 이용하는 비누화 반응을 실시하게 한다는 일반적인 다가 알코올 또는 글리콜의 제조방법을 전용했을 경우에는 부반응을 피하지 못하여, 염소 함유량이 많아진다는 결점을 가지고 있었다.
특허문헌 1: 특허등록공보 제3579959호
그래서 본 발명자들은, 전 염소 함유량이 저감된 폴리글리시딜에테르를 제조하기 위해서 예의 검토를 거듭한 결과, 비스페놀의 프로필렌 옥시드 부가물과 β-메틸에피클로로히드린을 알칼리로 폐환시킬 때, 상간이동촉매를 이용하는 것이 유효하다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에 도달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 염소 함유량이 저감된 폴리글리시딜에테르를 간편하게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즉 본 발명은, 하기 일반식 (I)로 표시되는 다가 알코올, β-메틸에피클로로히드린 및 알칼리를 반응시켜서, 하기 일반식 (II)로 표시되는 폴리글리시딜에테르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반응을 상간이동촉매의 존재하에 실시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글리시딜에테르의 제조방법이다.
일반식 (I)
Figure 112012043684327-pct00001
단, 식 중의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4의 알킬기를 나타내며, m 및 n은 각각 독립적으로 1~10의 수를 나타낸다;
일반식 (II)
Figure 112012043684327-pct00002
단, 식 중의 R1 및 R2는 각각, 일반식 (I) 중의 R1 및 R2와 같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상간이동촉매가 제4급 암모늄 염기 또는 제4급 암모늄염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제4급 암모늄염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자재료 혹은 전기 절연 재료로의 사용에 적절한, 염소 함유율이 지극히 낮고, 또한, 에폭시 당량이 작은 폴리글리시딜에테르를 간편한 조작으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폴리글리시딜에테르의 제조방법에 관히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출발 원료로서 이용되는 상기 일반식 (I)로 표시되는 다가 알코올은, 비스페놀에 프로필렌 옥시드를 부가시키는 등의 통상법에 따라 얻을 수 있는 것이며, 또한, 시판품으로서 용이하게 입수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상기 다가 알코올, β-메틸에피클로로히드린 및 알칼리를 반응시켜서, 상기 일반식 (II)로 표시되는 폴리글리시딜에테르를 제조하는 방법이다. 여기서, 상기 다가 알코올에 대한 상기 β-메틸에피클로로히드린의 사용 비율은, 그 다가 알코올의 수산기에 대해서 당량 이상인 한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없지만, 통상은 1.0~10.0당량이며, 특히 2.0~8.0당량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β-메틸에피클로로히드린의 비율이 1.0당량(등당량) 미만이면, 글리시딜에테르화되지 않은 수산기가 잔존하여 순도가 저하한다. 또한, 10.0당량을 넘었을 경우에는 β-메틸에피클로로히드린이 쓸모 없게 될 뿐만 아니라, 반응속도가 저하하거나, 부반응에 의해서 에폭시 당량이 커지거나 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상기 알칼리로서는, 수산화 나트륨, 수산화 칼륨 등의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탄산나트륨, 탄산칼륨 등의 알칼리 금속 탄산염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들 알칼리 중에서도, 특히 수산화 나트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들 알칼리를 수용액으로서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분말 또는 고형의 알칼리를, 물과 동시에 혹은 따로 따로 더할 수도 있다.
상기 알칼리의 사용량은, 상기 다가 알코올의 수산기에 대해서 당량(몰) 이상인 한 특별히 제한을 받는 일은 없지만, 통상은 1.0~2.0당량이며, 특히 1.0~1.5당량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알칼리의 사용량이 지방족 다가 알코올의 수산기에 대해서 당량 미만이면 글리시딜에테르화되지 않는 클로로히드린에테르기가 잔존하여 순도가 저하하고, 또한, 2.0당량을 넘어도 쓸모 없게 될 뿐 아니라, 부반응에 의해서 제품의 순도가 저하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특징은, 상기 다가 알코올, β-메틸에피클로로히드린 및 알칼리의 반응을, 상간이동촉매의 존재하에 실시하게 하는 점에 있으며, 이 상간이동촉매는, 물에 불용성의 유기 화합물과 유기용매에 불용성의 시약을 반응시키기 위해서 사용되는 시약으로서 알려져 있다.
상기 상간이동촉매로서는, 트리메틸아민, 트리옥틸아민, 트리데실아민과 같은 제3급 아민, 테트라메틸암모늄, 메틸트리옥틸암모늄, 메틸트리데실암모늄, 벤질트리메틸암모늄과 같은 제4급 암모늄염기, 염화테트라메틸암모늄, 염화메틸트리옥틸암모늄, 염화메틸트리데실암모늄, 염화벤질트리메틸암모늄과 같은 제4급 암모늄염을 들 수 있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특히 제4급 암모늄염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간이동촉매의 사용량은, 다가 알코올의 종류, β-메틸에피클로로히드린의 과잉율, 반응 용매의 사용량, 반응 온도 등을 고려하여 적당히 사용하면 되지만, 다가 알코올 100중량부에 대해서 통상 0.1~10.0중량부이며, 0.5~5.0중량부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간이동촉매의 사용량이 0.1중량부 미만이면 반응속도가 현저하게 늦어지거나, 부반응이 진행하여 에폭시 당량이 작아지거나 하기 때문에 실용적이지 않으며, 또한, 10.0중량부를 넘어도 상간이동촉매가 쓸모 없게 되고, 경우에 따라서는 반응을 저해하는 일마저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있어서는, 일단의 반응에서 염소 함유율이 현저하게 낮은 폴리글리시딜에테르가 얻어진다는 이점도 있다. 여기서, 일단의 반응이란, 모든 원료 및 촉매를 일괄해서 투입하여 반응시키는 방법 뿐만 아니라, 지방족 다가 알코올, 에피클로로히드린 및 촉매를 투입하고, 다음으로 알칼리를 첨가하여 반응시키는 방법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반응 제어의 용이함의 관점에서, 후자의 방법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반응은, 약 30℃~약 100℃에서 실시되지만, 약 40℃~약 80℃에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반응시에는, 탄화수소, 에테르 또는 케톤과 같은 반응에 불활성인 용매를 이용할 수도 있지만, β-메틸에피클로로히드린을 과잉으로 이용했을 경우에는, β-메틸에피클로로히드린이 용매로서도 기능하기 때문에, 상기한 바와 같은, 반응에 불활성인 용매를 사용하는 것은 필수는 아니다.
반응 종료후의, 목적으로 하는 폴리글리시딜에테르의 단리는, 예를 들면, 과잉의 β-메틸에피클로로히드린을 증류제거한 후, 필요에 따라서 탄화수소 등의 비수용성 용매를 더한 후 수세하여, 생성한 식염, 촉매 및 미반응 혹은 부생하는 알코올 성분을 제거하는 등의, 통상 조작에 의해서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해 얻어진 폴리글리시딜에테르는, 전자·전기 절연재료로서 이용되는 것 외, 여러 가지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서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에 의해서 제한을 받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 등에 있어서, 에폭시 당량이란 에폭시기 1개당의 에폭시 화합물(수지)의 분자량을 나타낸다.
실시예 1
온도계, 교반기 및 냉각관을 구비한 유리제 플라스크에, 수산기값이 314인 비스페놀 A의 프로필렌 옥시드 부가물(주식회사 ADEKA제 BPX-11) 178.9 g(0.5 몰), β-메틸에피클로로히드린 462.5g(5.0몰), 염화테트라메틸암모늄 1.5g(다가 알코올 100중량부에 대해서 0.84중량부)를 투입하여, 플라스크내를 60℃로 승온하고, 내부 압력을 11.3kPa로 유지하여 환류시켰다.
반응계의 온도 및 압력을 유지하면서, 48.5중량%의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108.3g(수산화 나트륨으로서 1.3몰)을 90분에 걸쳐서 적하하고, 60℃에서 150분간 숙성한 후, 반응계 내에 생성한 염을 여과 분리했다. 노액 중의 과잉인 β-메틸에피클로로히드린을 감압하의 120℃로 증류제거한 후, 톨루엔을 더하여 충분히 수세하고, 다음으로 감압하에 톨루엔을 증류제거한 후 재차 여과하여, 담황색 액체의 생성물(MEP-1: 비스페놀 A-프로필렌옥시드 부가물의 디β-메틸글리시딜에테르) 222g을 얻었다.
분석의 결과, 전 염소 함유율은 0.23중량%(그 중, 가능 비누화 염소 0.01중량%)로 현저하게 낮고, 또한, 에폭시 당량은 286(계산치 242)으로, 부반응에 의한 고분자량화가 지극히 적은 것을 알았다. 또한, 비스페놀 A-프로필렌옥시드 부가물을 기준으로 한 수율은 90%였다.
비교예 1
온도계, 교반기 및 냉각관을 구비한 유리제 플라스크에, 수산기값 314인 비스페놀 A의 프로필렌옥시드 부가물(아사히덴카코교주식회사제 BPX-11) 178.9 g(0.5 몰) 및 4염화주석 수화물 2.Og을 투입하여, 70℃로 가온했다. 70~75℃로 유지하면서, β-메틸에피클로로히드린 127.8g(1.2몰)을 2시간에 걸쳐 적하하고, 적하 종료후 또 1시간, 70~75℃에서 교반하여 β-메틸클로로히드린에 의한 에테르화를 실시했다. 이 단계에 있어서의 β-메틸클로로히드린 부가 에스테르의 생성율은 이론치 대로이며, 100%(비스페놀 A의 프로필렌 옥시드 부가물 기준)였다.
다음으로 톨루엔 60g을 더하여, 60~65℃로 유지하면서, 48.5중량%의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 91.6g(수산화 나트륨으로서 1.1몰)을 1시간에 걸쳐 적하하고, 60~65℃에서 30분간 교반하였다. 또한 100g의 톨루엔을 더하여, 충분히 수세한 후, 감압하에 톨루엔을 증류제거하여 담황색의 액체 생성물(MEP-2: 비스페놀 A-프로필렌 옥시드 부가물의 β-메틸글리시딜에테르) 209g을 얻었다. 얻어진 생성물의 전 염소 함유율은 4.55중량%(그 중, 가비누화 염소 0.05%), 에폭시 당량은 365(계산치 263)이며, 부반응에 의한 고분자량화 등이 현저한 것이었다.
[표 1]에 나타낸 배합으로 조제한 실시예 및 비교 예의 조성물을 이용하여 이하의 시험을 실시하였다.
(겔화 시간)
각 측정 온도로 유지된 열반 위에, 얻어진 조성물을 0.5g 적하하고, 주걱 등으로 혼합하면서, 유동성이 없어질 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했다.
(유리 전이점, Tg)
SII 나노테크놀로지즈사제의 시차주사 열량계 DSC6220를 이용하여, 온도상승 속도 10℃/분 , 주사 온도 범위 25~300℃로 하여 DSC 차트를 얻었다. 또한, 2차 승온을 같은 조건으로 실시하여, 열용량의 변곡점으로부터 유리 전이점을 측정했다.
(전단(剪斷) 접착력)
JISK6850에 준거한 방법에 의해, 100℃에서 1시간 경화시킨, 경화 후의 강판/강판의 전단 접착력을 구했다.
[표 1]
Figure 112012043684327-pct00003
상기의 결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지방족 다가 알코올과 β-메틸에피클로로히드린 상간이동촉매의 존재하에서, 반응을 일단으로 실시하게 한 본 발명의 경우에는, 염소 함유율이 낮고 에폭시 당량이 작은 지방족 폴리글리시딜에테르를 고수율로 제조할 수 있는 것, 또한, 얻어진 수지는, 반응성 및 접착성이 뛰어난 것이 실증되었다.
이에 대하여, 상간이동촉매를 이용하지 않고 금속 착체 촉매 또는 루이스산 촉매만을 이용했을 경우에는, 얻어지는 지방족 폴리글리시딜에테르의 염소 함유율이 높은 데다가, 에폭시 당량이 크고, 순도가 저하하므로, 반응성 및 접착성이 저하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β위에 메틸기를 가지지 않은 에폭시 수지와 비교하여도(비교예 2, 3), 본 발명에서 얻어진 지방족 폴리글리시딜에테르는 보다 높은 반응성과 접착성을 가지고 있는 것이 실증되었다.
본 발명은, 전자·전기 절연 재료에 적절한, 염소 함유율이 지극히 낮은 데다가 에폭시 당량이 작은 폴리글리시딜에테르를 간편한 조작으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으므로, 산업상 극히 의의가 있다.

Claims (5)

  1. 하기 일반식 (I)로 표시되는 다가 알코올 100질량부에 대하여 0.1~10.0질량부의 상간이동촉매의 존재하에, 30℃~100℃에서, 상기 다가 알코올의 수산기 1당량에 대하여, 1.0~10.0당량의 β-메틸에피클로로히드린 및 1.0~2.0당량의 알칼리를 반응시켜서, 하기 일반식 (II)로 표시되는 비스페놀-프로필렌옥시드 부가물의 β-메틸글리시딜에테르를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글리시딜에테르의 제조방법;
    일반식 (I)
    Figure 112016101292859-pct00004

    단, 식 중의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4의 알킬기를 나타내며, m 및 n은 각각 독립적으로 1~10의 수를 나타낸다;
    일반식 (II)
    Figure 112016101292859-pct00005

    단, 식 중의 R1 및 R2는 각각, 일반식 (I) 중의 R1 및 R2와 같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간이동촉매가 제4급 암모늄 염기 및 제4급 암모늄염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화합물인, 폴리글리시딜에테르의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간이동촉매가, 제4급 암모늄염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화합물인, 폴리글리시딜에테르의 제조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간이동촉매가, 염화테트라메틸암모늄, 염화메틸트리옥틸암모늄, 염화메틸트리데실암모늄, 및 염화벤질트리메틸암모늄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화합물인, 폴리글리시딜에테르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가 알코올, 상간이동촉매 및 β-메틸에피클로로히드린을 투입하고, 이어서 상기 알칼리를 첨가하는, 폴리글리시딜에테르의 제조방법.
KR1020127014140A 2010-01-07 2010-12-17 폴리글리시딜에테르의 제조방법 KR1017285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001663A JP5761775B2 (ja) 2010-01-07 2010-01-07 ビスフェノールAプロピレンオキシド付加物のジβ−メチルグリシジルエーテル及びそれを用いた硬化性樹脂組成物
JPJP-P-2010-001663 2010-01-07
PCT/JP2010/007322 WO2011083537A1 (ja) 2010-01-07 2010-12-17 ポリグリシジルエーテル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5239A KR20120115239A (ko) 2012-10-17
KR101728577B1 true KR101728577B1 (ko) 2017-04-19

Family

ID=44305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4140A KR101728577B1 (ko) 2010-01-07 2010-12-17 폴리글리시딜에테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5761775B2 (ko)
KR (1) KR101728577B1 (ko)
CN (1) CN102712611A (ko)
TW (1) TWI487729B (ko)
WO (1) WO201108353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83696B2 (ja) * 2010-01-07 2014-05-07 株式会社Adeka 硬化性樹脂組成物
JP5956159B2 (ja) * 2012-01-13 2016-07-27 株式会社Adeka グリシジルエーテルの製造方法
JP6007022B2 (ja) * 2012-08-06 2016-10-12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回路接続材料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571499B2 (en) * 1983-04-01 1988-04-21 Dow Chemical Company, The Preparing epoxy resins
CN1003516B (zh) * 1986-06-17 1989-03-08 武汉大学 相转移催化法合成多缩乙二醇双环氧丙基醚
JPH07116171B2 (ja) * 1987-12-08 1995-12-13 三洋化成工業株式会社 グリシジルエーテルの製造法
JPH02202883A (ja) * 1989-02-01 1990-08-10 Sanyo Chem Ind Ltd グリシジルエーテルの製造法
JP3458465B2 (ja) * 1994-07-26 2003-10-20 大日本インキ化学工業株式会社 高純度エポキシ樹脂の製造方法
JPH08333356A (ja) * 1995-06-09 1996-12-17 Asahi Chiba Kk 新規グリシジル化合物およびその製法ならびに該化合物を含有する硬化性組成物
JP3644761B2 (ja) * 1996-06-21 2005-05-11 旭電化工業株式会社 脂肪族ポリグリシジルエーテルの製造方法
CN1073581C (zh) * 1998-09-04 2001-10-24 巴陵石化岳阳石油化工总厂 高压电开关用注射环氧树脂的制造方法
JP2003246837A (ja) * 2002-02-26 2003-09-05 Asahi Kasei Epoxy Kk エポキシ樹脂および硬化性樹脂組成物
CA2521615A1 (en) * 2003-04-08 2004-10-21 Nippon Kayaku Kabushiki Kaisha Liquid crystal sealing agent and liquid crystalline display cell using the same
CN100469812C (zh) * 2006-09-26 2009-03-18 蓝星化工新材料股份有限公司无锡树脂厂 低有机氯含量的环氧树脂活性稀释剂的制备方法
CN101668727A (zh) * 2007-04-27 2010-03-10 陶氏环球技术公司 新的烷氧基-醚及其烷氧基化物
CN101130582A (zh) * 2007-08-07 2008-02-27 重庆拓桑生物科技有限公司 聚乙烯醇缩水甘油醚交联剂及其合成方法
CN101519489A (zh) * 2009-02-24 2009-09-02 江苏工业学院 一种环氧树脂的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487729B (zh) 2015-06-11
CN102712611A (zh) 2012-10-03
JP2011140458A (ja) 2011-07-21
TW201129608A (en) 2011-09-01
WO2011083537A1 (ja) 2011-07-14
JP5761775B2 (ja) 2015-08-12
KR20120115239A (ko) 2012-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29054B1 (en) Derivative of cardanol and uses therefor
JP5754731B2 (ja) エポキシ樹脂、エポキシ樹脂の製造方法、及びその使用
NO157174B (no) Diglycidyletere.
KR101728577B1 (ko) 폴리글리시딜에테르의 제조방법
KR101614329B1 (ko) 에폭시 반응성 희석제의 제조방법
US20230097638A1 (en) Curable Resin, Curable Resin Composition, Cured Product, Electronic Device, Laminated Board Material, Electronic Component Encapsulant, and Method for Producing Curable Resin
JP4354242B2 (ja) 新規結晶性エポキシ樹脂、硬化性エポキシ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硬化体
JP6474050B2 (ja) 芳香族炭化水素ホルムアルデヒド樹脂、変性芳香族炭化水素ホルムアルデヒド樹脂及びエポキシ樹脂、並びにそれらの製造方法
JP3644761B2 (ja) 脂肪族ポリグリシジルエーテルの製造方法
JP6194738B2 (ja) 重合ロジングリシジルエステ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7074946B2 (en) Method of producing glycidyl 2-hydroxyisobutyrate
KR910004902B1 (ko) 에폭시드기를 함유하는 페놀 에테르
JP2009209117A (ja) エポキシ化合物、及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エポキシ樹脂組成物、及びその硬化体
JP2008285544A (ja) フルオレン環を含むエポキシ化合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6084295A (ja) 多価ヒドロキシ化合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4383180B2 (ja) 結晶性エポキシ化合物の製造方法
JP4671018B2 (ja) 2−ヒドロキシイソ酪酸グリシジルの製造方法
JP5051150B2 (ja) 結晶性エポキシ樹脂の製造方法
JP2823056B2 (ja) エポキシ樹脂組成物及びその硬化物
WO2008035514A1 (fr) Composition durcissable liquide et produit durci associé
JP2022102229A (ja) エポキシ化合物の製造方法
JP2000204136A (ja) 液状エポキシ樹脂の製造方法
JPS59175482A (ja) ポリエポキシ化合物の製造方法
JP2003002880A (ja) 多価アルコールポリグリシジルエーテルの製造方法
JP6103476B2 (ja) 電子部品封止用硬化性組成物およびその硬化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