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8521B1 - 적층 안전 유리의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적층 안전 유리의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8521B1
KR101718521B1 KR1020127008590A KR20127008590A KR101718521B1 KR 101718521 B1 KR101718521 B1 KR 101718521B1 KR 1020127008590 A KR1020127008590 A KR 1020127008590A KR 20127008590 A KR20127008590 A KR 20127008590A KR 101718521 B1 KR101718521 B1 KR 1017185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glass
base plate
cover plate
laminated safe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85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87126A (ko
Inventor
마이클 무스치올
Original Assignee
포토버분트글라스 마를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토버분트글라스 마를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포토버분트글라스 마를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200871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71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85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85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009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 B32B17/1003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comprising two outer glass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5/00Press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ressing means other than those mentioned in the preceding grou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5/00Press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ressing means other than those mentioned in the preceding groups
    • B30B5/02Press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ressing means other than those mentioned in the preceding groups wherein the pressing means is in the form of a flexible element, e.g. diaphragm, urged by fluid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32B17/10761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containing vinyl ac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807Making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Apparatus therefor
    • B32B17/10816Making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Apparatus therefor by pressing
    • B32B17/10871Making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Apparatus therefor by pressing in combination with particular heat 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essing technique, e.g. using action of vacuum or fluid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essing technique, e.g. using action of vacuum or fluid pressure
    • B32B37/1009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essing technique, e.g. using action of vacuum or fluid pressure using vacuum and fluid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9/00Layout of apparatus or plants, e.g. modular laminating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7/00Joining pieces of glass to pieces of other inorganic material; Joining glass to glass other than by fusing
    • C03C27/06Joining glass to glass by processes other than fusing
    • C03C27/10Joining glass to glass by processes other than fusing with the aid of adhesive specially adapted for that purpo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16Drying; Softening; Cleaning
    • B32B38/164Drying
    • B32B2038/166Removing mois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10/00Treatment by energy or chemical effects
    • B32B2310/04Treatment by energy or chemical effects using liquids, gas or steam
    • B32B2310/0409Treatment by energy or chemical effects using liquids, gas or steam using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15/00Other materials containing non-metallic inorganic compou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32B2311/00 - B32B2313/04
    • B32B2315/08G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29/00Polyvinylalcohols, polyvinylethers, polyvinylaldehydes, polyvinylketones or polyvinylketals
    • B32B2329/06PVB, i.e. polyinylbutyr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007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involving treatment or provisions in order to avoid deformation or air inclusion, e.g. to improve surface quality
    • B32B37/003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involving treatment or provisions in order to avoid deformation or air inclusion, e.g. to improve surface quality to avoid air inclus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24Structural elements or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rmal insulation
    • Y02A30/249Glazing, e.g. vacuum glaz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80/00Architectural or constructional elements improving the thermal performance of buildings
    • Y02B80/22Glazing, e.g. vaccum glaz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Joining Of Glass To Oth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두 개의 유리판과 상기 유리판 사이에 배치되는 부착층을 가지는 적층 안전 유리의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적층 안전 유리의 효율적인 생산을 감안하여 적층 안전 유리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장치는 작동상태 및 제거상태 사이에서 서로에 관하여 조절될 수 있는 베이스 플레이트 및 커버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커버 플레이트에 작동상태에서 압력 타이트 방식(pressure tight manner)으로 배치되는 밀봉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작동상태에서 유리판을 커버하는 피복재료 사이에 형성되는 빈 공간(hollow space)에 진공을 생성하기 위한 수단, 상기 작동상태에서 상기 유리판에 배치되는 유연한 피복재료와 상기 커버 플레이트 사이에 생성되는 작업공간에 과중 압력을 생성하기 위한 수단, 및 연결되는 유리판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적층 안전 유리의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LAMINATED SAFETY GLASS}
본 발명은 적어도 두 개의 유리판과 상기 유리판들 사이 안에 배치되는 부착층으로 제조되는 적층 안전 유리의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앞서 언급한 형태의 적층 안전 유리는 두 개의 유리판과 상기 유리판을 연결하는 가급적 폴리비닐 부티랄(이하, 'PVB'라 칭함) 필름으로 형성되는 부착층을 포함한다. 이러한 형태의 유리판들은 예로, 모터 차량 분야 또는 건설 분야에서 사용된다.
앞서 언급한 적층 안전 유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특징을 포함하며, 전형적으로 유리판은 오토클레이브(autoclaves)로 생산되고, 유리판들 사이에 배치되는 부착물로 사전적층(pre-laminate)에 결합하고, 145℃까지의 온도에서 10 bar 이상의 압력을 가하여 실제의 적층 안전 유리를 형성한다. 상기 오토클레이브의 사용은 실제 생산 공정뿐만 아니라 특히 비용적으로 고가이며, 시간낭비이고, 특히 소량 생산에 대해 경제적으로 실현가능 하지않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적층 안전 유리에 대해 저렴한 비용으로 생산 가능한 적층 안전 유리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은 청구항 1항의 특징이 있는 장치와, 청구항 12항의 특징이 있는 방법에 의해 해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달성을 위한 추가의 이로운 개선방안은 종속항에 명시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적층 안전 유리의 제조를 위한 장치는 작동상태(operating position)와 제거상태(removal position) 사이의 서로에 대해 조절할 수 있도록 베이스 플레이트(base plate)와 커버 플레이트(cover plate)로 구성한다. 제거상태에서 베이스 플레이트는 적어도 하나의 측면, 바람직하게는 세 개의 측면에서 자유롭게 접근할 수 있고, 두 개의 유리판과 상기 두 개의 유리판 사이에 배치되는, 바람직하게는 PVB 필름인 부착층으로 형성된 사전적층(pre-laminate)을 베이스 플레이트에 장치의 조작자에게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한다. 그와 동시에, 상기 제거상태는 또한 제조공정을 완성한 후에 대체로 방해받지 않고 장치에서 제조되는 적층 안전 유리를 제거하는 것을 조작자에게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장치의 작동상태에서, 커버 플레이트와 함께 베이스 플레이트는 빈틈이 없게 압력을 가하는 방식으로 플레이트들 사이에 배치되는 밀봉 프레임(sealing frame)과 함께 작업공간에 대해 플레이트들 사이를 벌어지게 하거나, 밀폐하거나, 각각 빈틈이 없게 압력을 가하게 된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및 커버 플레이트는 특히 상기 작동상태와 제거상태 사이의 장치를 조절하기 위해 서로를 향해 이동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작동상태에서 과중 압력을 생성하기 위한 수단과 진공을 생성하기 위한 수단을 더 구성한다. 진공을 생성하기 위한 수단을 이용하여, 베이스 플레이트와 사전적층을 덮는 유연한 피복재료 사이에 형성되는 빈 공간(hollow space)에 진공이 생성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과중 압력(overpressure)을 생성하기 위한 수단은 공기압력을 생산하기 위해 사용되고, 커버 플레이트와 유리판들에 배치되는 피복재료 사이의 작업공간 내의 공기압력보다 더 크다. 상기 빈 공간(hollow space)에서 진공에 의해 지지가 되고, 피복재료의 유연성 있는 디자인 때문에, 상기 작업공간에서 과중 압력은 사전적층에 균일하게 작용하고 유리판이 붙도록 압력이 가해진다.
적층 안전 유리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유리판이 결합하도록 압력을 가하는 것뿐 것 아니라 사용된 부착층에 따라 제조온도의 조절이 필요하다. 작동상태에서, 가열수단은 빈 공간에서 진공 및 작업공간에서 과중 압력을 생성하기 전, 직전, 또는 후에 요구되는 온도에 대해 사전적층을 가열하고, 명시된 기간에 대해 그 온도를 유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간단한 디자인이라는 것과, 사전적층의 사이즈에 알맞은 가변적인 크기(variable dimensions)로 밀봉 프레임(sealing frame)을 사용할 수 있다는 것과, 유연성 있는 피복재료를 사용하기 때문에 기본적인 조건을 효과적으로 충족시키면서 간단한 조작이 가능하고, 생산을 위해서 비용효율 측면에서 높다는 것이 특징이다.
작업공간에서의 과중 압력과 빈 공간에서의 진공에 대한 상호작용은 피복재료의 유연한 디자인 때문에 사전적층에 적용되고, 특히 폴리비닐 부티랄(PVB) 필름의 흡수성 때문에 기존의 공기방울 또는 수분이 사용되도록 유리판들 사이에서 촉진할 수 있는 특정한 방법이 보장된다. 더욱이, 기계적으로 적용된 압력에 대해, 작업공간에서 과중 압력은 특히 유리판들이 균일한 방식으로 압력이 가해지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적층 안전 유리의 비용효율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생산을 보장한다.
적층 안전 유리를 제조하는 데 있어 추가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서, 실리콘 고무매트는 예를 들면, 장치에 있는 보관통(storage roll)에 각기 삽입되거나, 보관되거나, 또는 각각 배치될 수 있도록 피복재료로 유리하게 사용된다. 이러한 실리콘 고무매트는 여러 번 재사용이 가능하고, 특히 단순 방식으로 사전적층에 제공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밀봉된 빈 공간(hollow space)을 진공 상태가 되도록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 상기 실리콘 고무매트는 흡입관(suction line)에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실리콘 고무매트에 형성되는 연결기를 구성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밀봉 프레임(sealing frame)은 주로 플레이트 사이의 영역에서 밀봉된 작업공간을 생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앞에서 언급한 피복재료(cladding material)로 실리콘 고무매트를 사용한 디자인의 경우, 밀봉 프레임은 피복재료와 베이스 플레이트 사이의 특히 신뢰할 수 있는 밀봉된 빈 공간을 형성하기 위하여 밀봉하는 방식으로 커버 플레이트에 실리콘 고무매트를 추가로 압축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공정과정에 있어서, 피복재료는 또한 환경에 대하여 작업공간을 밀봉하는 요소로 제공된다.
원칙적으로, 밀봉 프레임은 베이스 플레이트와 커버 플레이트의 크기를 초과하지 않는다면 그 어떠한 디자인으로도 제공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생산될 적층 안전 유리의 크기에 따라 다른 밀봉 프레임 사용이 가능하며, 여기에서 밀봉 프레임은 개별적으로 간단하게 장치에 놓인다. 대안적으로, 밀봉 프레임을 갖는 베이스 플레이트 또는 커버 플레이트는 하나의 디자인으로 가능하며, 상기 밀봉 프레임은 망을 둘러싸는 방식으로 플레이트들 중 하나로부터, 바람직하게는 커버 플레이트로부터 돌출되도록 한다. 그러나, 특히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 예에 의하면, 밀봉 프레임은 베이스 플레이트 또는 커버 플레이트에 분리될 수 있게 연결된다. 분리될 수 있는 연결은 다양한 사이즈의 밀봉 프레임을 이용한다는 장점과 함께 베이스 플레이트와 커버 플레이트에 연결되는 하나의 밀봉 프레임의 장점을 겸비한다. 게다가, 이러한 분리될 수 있는 연결은 프레임이 정확한 위치에서 결합하고 배치되어 사용되도록 보장한다. 제조되는 적층 안전 유리에 대한 사이즈에 알맞은 밀봉 프레임의 사용은 빈 공간 또는 각각의 작업공간과 같은 형성이 가능하도록 하여 특히, 압력과 온도와 같은 제조에 필요한 조건을 갖춰 신속하게 제조될 수 있도록 해준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장치는 빈 공간에서 진공(vacuum) 및 작업공간에서의 과중 압력(overpressure)을 생성하기 위한 수단을 가진다. 피복재료로써 실리콘 고무매트를 유용하게 사용하는 경우에는 관(line)의 다른 말단이 진공을 생성하기 위한 진공장치를 제공하여 알맞게 연결될 수 있다. 과중 압력을 생성하기 위한 수단은 예를 들면, 작업공간 안에 도달하였을 때 압력관(pressure lines)으로 형성될 수 있다.
원칙적으로, 연결관(connection lines)은 어떠한 방식으로든 장치의 바깥쪽으로 안내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커버 플레이트 및/또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바깥쪽으로 연결기를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본 발명에 특히 유리한 실시 예 의하면, 상기 밀봉 프레임은 진공장치 및/또는 압력장치의 라인을 연결하기 위한 관통형 라인(line feed-throughs)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작업공간 및/또는 빈 공간에 장치 내부로 연결되는 연결기들은 작동상태에서 밀봉 프레임에서 바깥쪽에 배치된다. 상기 밀봉 프레임에서의 관통형 라인의 방식은 특히 작동상태에서 이러한 관통형 라인이 바깥쪽으로부터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다는 점에서 특징이 있어서, 그러므로 바람직하게는 제공되는 진공장치 및/또는 압력장치의 연결이 용이하다. 또한, 설정되는 작동상태에 따라 알려진 방식으로 스위치 될 수 있도록 하나의 펌프장치로 진공장치 및/또는 압력장치를 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베이스 플레이트와 커버 플레이트 사이의 영역에 제조하는 동안 빈틈이 없는 압력이 있도록 하는 작업공간의 형성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기능에 필수적이다. 원칙적으로, 신뢰할 수 있는 방식은 커버 플레이트에 관련한 베이스 플레이트를 조절하기 위해서 알맞은 수단을 쓰는 것으로 이룰 수 있는데, 여기서 커버 플레이트에 대하여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태를 안전하게 보호하는 것은 선택된 조절 수단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유리한 추가적인 개발의 실시 예에 따르면, 베이스 플레이트와 커버 플레이트는 작동상태에서 잠금 장치를 제공한다. 예를 들면, 알맞은 잠금 요소와 함께 기계적으로 작동되는 잠금 장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커버 플레이트가 작동상태에서 서로 각각에 대하여 고정되므로 특별히 믿을 수 있는 방식으로 안전이 보장된다. 잠금 장치의 설계는 기본적으로 자유롭게 선택 가능하며, 기계적으로 작동되는 잠금 장치, 유압식 또는 전기식 잠금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유사하게, 결합하는 유리판을 가열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가열수단의 설계는 기본적으로 자유롭게 선택 가능하다. 전기식 가열관의 운용은 예를 들면, 베이스 플레이트와 커버 플레이트에 있어서 하나 또는 둘 모두의 플레이트를 가열하는 미앤더링 방식(meandering manner)으로 가능하게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유리한 추가적인 개발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가열 장치는 베이스 플레이트 및/또는 커버 플레이트에서 운용되는 파이프라인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파이프라인은 상기 파이프라인을 통해 전도되는 물과 같은 액체 가열 배지(liquid heating medium)를 각기 전도하거나 전달받기 위해 제공된다.
파이프라인의 사용은 열 전달이 전도되는 액체 배지의 흐름 속도를 이용하는 것이 다양할 수 있다는 점에서 특징이 있다. 신속한 열 전달을 위해서, 예를 들면, 물의 양이 높은 흐름 속도에 이르게 하기 위해 극도로 낮게 유지한다. 게다가, 베이스 플레이트 및/또는 커버 플레이트에 있는 파이프라인들은 가속화하거나, 각각 조절하거나, 또는 제조공정 후에 냉각되도록 사용되며, 여기서 그 다음은, 예를 들면 물과 같이 뜨거운 유체 배지는 차가운 배지로 전환된다. 냉각단계의 시기를 줄이는 것은 상호 보완적인 방식으로 장치의 비용적인 측면에서 효율성을 높인다.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 베이사 플레이트뿐만 아니라 커버 플레이트 유리하게 제공된 파이프라인을 제공함으로써 특히 이점이 있다. 열의 단열(thermal insulation)은 유리하게 제공되며, 바람직하게는 베이스 플레이트 및/또는 커버 플레이트의 바깥쪽에 배치되며, 유사하게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제공된다. 또한, 효울적으로 단열(insulation)은 열이 가열되는 것으로부터 조작자에 접근하는 장치의 요소들을 방지하기 때문에 열 단열은 장치를 작동하는 동안 안전을 높여준다.
커버 플레이트에 대하여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대적인 조절장치는 원하는 방식으로 설계가 가능하다. 그러나, 베이스 플레이트가 커버 플레이트를 향한 방향으로 조절되어 세로로 미끄러지듯 분리될 수 있다면 유리한 이점이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이러한 설계는 세로로 조절가능 하기 때문에 베이스 플레이트는 예를 들면, 레일(rails)에서, 베이스 플레이트의 간단한 접근이 허용되고, 그것과 함께 공정 마무리 후에 사전적층과 적층 안전 유리의 간단한 배치 및 제거를 허용되어 장치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사전적층의 배치 후에, 예를 들면 서랍의 형태로 베이스 플레이트는 장치에서 분리될 수 있고, 그 다음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닫힌 작업공간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커버 플레이트를 향한 방향으로 조정될 수 있다.
커버 플레이트를 향하는 방향으로 베이스 플레이트의 조절기능을 위한 수단은 유압식뿐만 아니라 기계식으로 된 수단 모두 원하는 방식으로 설계가 가능하다. 그러나, 상기 수단은 베이스 플레이트가 커버 플레이트를 향한 방향으로 조절될 수 있는 방식으로 압축공기 벨로즈 실린더(pneumatic bellows cylinders)에 의해 형성된다. 이러한 압축공기 벨로즈 실린더의 사용은 환경에 대하여 밀봉되는 작업공간의 형성을 특히 실현 가능하도록 제공하여, 커버 플레이트를 향하는 방향으로 한결같이 베이스 플레이트를 조절한다는 점에서 특히 특징이 있다.
또한, 압축공기 벨로즈 실린더의 사용은 고객의 사양에 따라 장치를 간단히 확장하거나, 또는 각각 조절기능을 할 수 있다. 다른 플레이트의 사이즈에 맞출 수 있도록 시스템을 확장하기 위해서는 단지 벨로즈 실린더의 수를 늘리는 것이 필요하며, 단순한 방식으로 가능한 길이와 너비에 있어서 장치를 크기에 맞도록 조절하거나 제조가 가능하다.
상기 디자인과 마찬가지로, 본 발명에 따른 유리한 특징으로, 장치는 특히 모든 차원의 크기로 확장 또는 제조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는 특징이 있으며; 상기 디자인에 따르면, 작동상태에서 베이스 플레이트와 커버 플레이트는 적어도 두 개의 고리모양의 캐리(annular carries)로 형성되는 프레임 안에 배치된다. 상기 장치의 길이는 커버 플레이트와 베이스 플레이트로 받는 인테리어 공간의 서로 다른 빌딩에 따라 고리모양의 캐리(carries)의 개수만큼 원하는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캐리(carries)는 모든 공정에 대한 영향력이 주위의 캐리(carries) 내에 커버 플레이트와 베이스 플레이트의 작동상태에서 위치하기 때문에 상기 캐리(carries)에 의해 흡수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장치는, 그것의 일부에 대해 상기 장치의 무게에 따라 단지 상기 캐리(carries)에 배치되어 지원하는 제조 사이트에서 설치될 수 있다. 특히, 상기 고리모양의 캐리(carries)는 "T" 자형의 단면을 갖는다.
상기 압축공기 벨로즈 실린더(pneumatic bellows cylinders)와 함께 상기 고리모양의 캐리(annular carries)를 사용하는 경우에, 이들은 또한 상기 고리모양의 캐리(carries)에 의해 형성된 인테리어 내부에 배치되며, 그것에 의하여 상호 보완적인 방식으로 압력의 힘이 없이 바깥쪽을 향해 전도된다.
상기 압축공기 벨로즈 실린더와 상기 고리모양의 캐기(carries)의 사용 모두는 따라서 기본적으로 자유롭게 크기를 선택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생산을 위한 기준척도 설계타입으로 인정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장치는 고객의 요구를 충족하는 비용효율적인 생산을 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는 적층 안전 유리를 제조하는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 베이스 플레이트에 적어도 두 개의 유리판과 상기 유리판 사이에 배치되는 바람직하게는 폴리비닐 부티랄(PVB)로 된 부착층이 배치되는 단계,
- 유연한 피복재료, 바람직하게는 실리콘 고무매트와 함께 상기 유리판을 커버하는 단계와,
- 상기 피복재료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사이에 빈 공간(hollow space)에 진공이 생성되는 단계,
- 상기 유리판에 배치되는 상기 피복재료와 커버 플레이트 사이에 밀봉된 작업공간을 제조하는 단계,
- 상기 작업공간에 과중 압력을 생성하는 하는 단계, 및
- 부착층과 함께 유리를 가열하고, 이어서 냉각시키는 단계.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은 특히 효율적이고 저렴한 비용으로 안전적으로 적층 안전 유리를 생산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특징이 있다. 상기 유리판에 배치되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와 상기 피복재료 사이에 밀봉된 작업공간을 제조한 후에, 상기 커버 플레이트와 상기 피복재료 사이에 빈 공간에 진공을 생성하기 위한 단계, 작업공간에 과중 압력을 생성하는 단계, 사전적층(pre-laminate)를 가열하는 단계는 단계적 또는 동시에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가열단계는 상기 빈 공간에서 바람직하게는 -1.0 bar 내지 -0.5 bar, 더 바람직하게는 -0.95 bar의 진공을 생성한 후에 시작되며; 상기 가열단계가 끝난 후에 상기 작업공간은 1.5 bar 내지 4 bar, 바람직하게는 2 bar 내지 3 bar, 더 바람직하게는 1.4 bar 내지 1.8 bar의 압력으로 진공 되는 것에 그 특징이 있다. 설정되는 온도는 사용되는 부착층의 종류에 따라 결정되고, 여기에서 바람직하게는 PVB 필름으로 사용하는 경우, 온도는 125℃ 내지 155℃, 바람직하게는 130℃ 내지 140℃, 더 바람직하게는 135℃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첨부되는 다음과 같은 도면으로 이 후에 설명하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적층 안전 유리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의 첫 번째 실시 예로 제거상태에서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도 1의 장치에 대한 작동상태에서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작동상태에 있어서 적층 안전 유리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의 두 번째 실시 예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은 적층 안전 유리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를 관통한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여기서 평면도는 수직으로 장치(1)의 사용상태로 된다.
상기 장치(1)는 베이스 플레이트(3)와 커버 플레이트(2)로 구성되고, 상기 장치에 관련하여 조절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는 두 개의 유리판(10)과 도면에서는 미도시된 상기 두 개의 유리판 사이에 바람직하게는 폴리비닐 부티랄(PVB)필름으로 배치되는 부착층을 포함하는 사전적층을 받기 위해 제공되며, 상기 장치(1) 내부에 적층 안전 유리로 적층된다. 도 1에서 나타낸 제거상태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 위에 사전적층을 배열한 후에, 실리콘 고무매트(7)와 같이 형성되는 피복재료는 상기 실리콘 고무매트(7)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 사이에 빈 공간(12)이 생기도록 하여 사전적층을 평평하게 펴서 덮어지도록 한다.
도 2에서 나타낸 작동상태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2)에 밀봉하여 배치되고 상기 실리콘 고무매트(7)의 가장자리 사이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에 인접한 밀봉 프레임(4)을 포함하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2)에 대하여 조절된다. 상기 실리콘 고무매트(7)와 함께 상기 밀봉 프레임(4)은 양쪽의 빈 공간(12)과 또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와 상기 커버 플레이트(2) 사이의 작동상태에 형성되는 작업공간(13)이 있도록 하여, 밀폐되도록 밀봉하거나 각각 빈틈이 없게 압력을 가하는 방식으로 밀봉한다.
작동상태에 있어서, 파이프라인(9, 11)은 상기 빈 공간(12)에서 진공을 생성하기 위한 것이거나, 상기 작업공간(13)에서 과중 압력을 생성하기 위한 것이다. 진공을 생성하기 위한 목적으로, 상기 파이프라인(9)이 실리콘 고무매트(7)에 연결되고, 상기 빈 공간(12)이 상기 파이프라인(9)을 통해 진공상태로 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은 진공장치를 연결하기 위해서, 상기 파이프 라인(9)은 상기 밀봉 프레임(4)에 배치되는 관통형 라인(15)을 통해 상기 장치(1)의 밖으로 안내되어, 상기 진공장치가 간단한 방식으로, 예를 들면 퀵 커넥터(quick connects)를 이용하여 상기 파이프라인(9)에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게다가, 상기 밀봉 프레임(4)은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상기 작업공간(13)이 가압 되도록 하는 수단으로 압축기(compressor)와 같은 압력장치에 연결하기 위해서 형성되는 라인(11)에 대해 관통형 라인(14)을 구성하고, 여기서 특히 상기 작업공간에서 유리하게 압력이 조절되도록 하여 상기 사전적층에 작용하는 절대적 압력이 2.4 bar가 되도록 한다. 상기 빈 공간(12)에 진공은 바람직하게는 -0.95 bar에 이르게 한다.
제조 공정의 안전을 위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에 대하여 상기 커버 플레이트(2)의 상태는 잠금 수단(8)에 의해 작동상태에 고정된다. 처리되는 공정온도는 상기 빈 공간(12)에 진공을 생성하는 것과 함께 필수적인 공정 한도를 나타내거나, 또는 상기 작업공간(13)에 각각의 과중 압력을 나타낸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와 상기 커버 플레이트(2)에 미앤더링 방식(meandering manner)으로 배치되는 파이프라인(6)은 사전적층을 가열하기 위해 제공된다. 이러한 파이프 라인(6)은 액체 배지, 바람직하게는 물을 운반하기 위해 제공되고, 가열단계에서는 공정온도에 해당하는 온도를 가지고, 가열단계 이후에는 차가운 물에 의해 온도가 바뀔 수 있게 하여 냉동공정이 가속화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와 상기 커버 플레이트(2)의 밖으로 배치되는 단열 플레이트(5)와 같이 형성되는 단열(thermal insulation)은 공정을 보다 나은 최적화를 제공하고, 뿐만 아니라 효율성을 높이는데 기여한다. 더욱이, 상기 단열 플레이트(5)는 과도한 열로부터 바깥쪽 측면에 접촉될 수 있는 장치(1)의 부품을 보호하는 목적으로 제공되며, 조작 시에는 특별한 안전주의가 요구된다.
도 3은 적층 안전 우리를 생산하기 위한 장치(1a)의 두 번째 실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에 해당하는 실시 예는 압축공기 벨로즈 실린더(pneumatic bellows cylinders)(16)을 이용하여 베이스 플레이트(3)가 커버 플레이트(2) 쪽으로 향하여 조절될 수 있다는 점에서 도 1과 2에 해당하는 실시 예와 다르다. 상기 압축공기 벨로즈 실린더(16)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2)의 밀봉 프레임(4)에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의 특히 등압력(uniform pressure)을 보장한다는 점에서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압축공기 벨로즈 실린더(16)는 세로방향으로 배치되는 플레이트(2, 3)의 고리모양의 캐리(annular carries)(17)와 함께 상기 장치(1a)의 유연한 구성을 가능하게 한다. 적어도 두 개의 고리모양의 상기 캐리(17)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2)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를 수용하기 위한 내부 공간을 구축하면서 순차적으로 배치된다. 상기 캐리(17)에 의해 형성되는 프레임(18)은 그것의 수에 의해 임의로 확장될 수 있어서, 장치(1a)는 고객의 요구에 부합되도록 기본적으로 어떠한 길이로 생산될 수 있으며, 여기서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는 상기 압축공기 벨로즈 실린더(16)의 수의 증가와 더 큰 플레이트(2, 3)에 일치하도록 사용하면 된다.
또한, 상기 캐리(17)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프레임(18)은 상기 압축공기 벨로즈 실린더(16)의 접촉압력 때문에 상기 프레임(18)의 바깥쪽에 하중이 발생 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면, 생산 홀에서 장치(1a)를 배열하기 위해서 단지 상기 프레임(18)을 고정하는 것만이 필요하다.
그런데, 장치(1a)의 디자인은 도 1과 도 2에 있는 장치(1)에 해당하는 디자인과 동일하며, 여기서 관통형 라인과 냉각라인, 또는 각각의 가열라인은 장치(1a)에서 편의상 나타내지 않고 생략하기로 한다. 제거상태에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를 조절하기 위해서, 여기서 나타내지 않은 레일(rails)에 상기 프레임(18)을 간단한 접근성이 보장되도록 취소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 또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또한 시행하기 어려운 적층 작업을 실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적층 안전 유리의 안정적인 제조를 위해서 격자 구조 또는 인쇄 필름을 갖는 필름의 사용 가능성이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3), 커버 플레이트(2), 밀봉 프레임(4), 유리판(10), 피복재료(7), 빈 공간(12), 피복재질(7), 작업공간(13), 가열수단(6)

Claims (12)

  1. 적어도 두 개의 유리판 사이에 배치되는 부착층과 함께 상기 유리판으로 제조되는 적층 안전 유리의 제조장치에 있어서,
    작동상태(operating position)와 제거상태(removal position) 사이에서 서로에 대해 상대적인 위치가 조절될 수 있는 베이스 플레이트(3)와 커버 플레이트(2),
    압력 타이트 방식(pressure tight manner)으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와 상기 커버 플레이트(2)에서 작동상태로 배치되는 밀봉 프레임(4),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와 상기 커버 플레이트(2)에서 상기 유리판(10)을 커버하는 피복재료(7) 사이에 형성되는 빈 공간(12)에 진공을 생성하는 수단,
    상기 커버 플레이트(2)와 상기 유리판(10)에 배치되는 유연성 있는 피복재질(7) 사이에서 상기 작동상태로 형성되는 작업공간(13)에 과중 압력을 생성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유리판(10)을 가열하기 위해 연결되는 가열수단(6)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와 상기 커버 플레이트(2)는 적어도 두 개의 고리모양의 캐리(carries, 17)에 의해 형성된 프레임(18) 내에 상기 작동상태로 배치되고, 적어도 두 개의 고리모양의 상기 캐리(17)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2)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를 수용하기 위한 내부 공간을 구축하면서 순차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캐리(17)에 의해 형성된 상기 프레임(18)은 상기 캐리(17)의 수에 의해 임의로 확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안전 유리의 제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프레임(4)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 또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2)에 분리될 수 있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안전 유리의 제조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프레임(4)은 상기 커버 플레이트(2)로부터 돌출하여 동봉하는 웹(web)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안전 유리의 제조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프레임(4)은 진공장치 및/또는 압력장치의 파이프라인(6, 9)을 연결하기 위해서 관통형 라인(14, 15)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안전 유리의 제조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와 상기 커버 플레이트(2)는 작동상태에서 서로에 대하여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안전 유리의 제조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수단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 및/또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2)에서 운영되는 파이프라인(6)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안전 유리의 제조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단열 플레이트(5)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 및/또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2)의 바깥쪽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안전 유리의 제조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는 세로로 꽂을 수 있고, 상기 커버 플레이트(2)를 향한 방향으로 조절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안전 유리의 제조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는 압축공기 벨로즈 실린더에 의해 상기 커버 플레이트(2)를 향한 방향으로 조절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안전 유리의 제조장치.
  10. 삭제
  11. 청구항 1항 내지 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장치를 사용하여, 적어도 두 개의 유리판과 상기 유리판 사이에 배치되는 부착층으로 제조되는 적층 안전 유리를 생산하는 방법에 있어서,
    베이스 플레이트(3)에 상기 유리판(10) 사이에 배치되는 부착층과 함께 상기 유리판을 배치하는 단계,
    유연성 있는 피복재료(7)로 유리판(10)을 커버하고, 상기 피복재료(7)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 사이에 빈 공간(12)에 진공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커버 플레이트(2)와 상기 유리판(10)에 배치되는 상기 피복재료(7) 사이에 밀봉된 작업공간(13)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작업공간(13)에 과중 압력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부착층을 가지는 상기 유리판(10)을 가열하고, 이어서 냉각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안전 유리의 제조방법.

  12. 삭제
KR1020127008590A 2009-10-09 2010-09-14 적층 안전 유리의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7185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9048999.1 2009-10-09
DE102009048999A DE102009048999A1 (de) 2009-10-09 2009-10-09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von Verbundsicherheitsglas
PCT/EP2010/063470 WO2011042285A1 (de) 2009-10-09 2010-09-14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von verbundsicherheitsgla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7126A KR20120087126A (ko) 2012-08-06
KR101718521B1 true KR101718521B1 (ko) 2017-03-21

Family

ID=42282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8590A KR101718521B1 (ko) 2009-10-09 2010-09-14 적층 안전 유리의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1) US9242434B2 (ko)
EP (1) EP2485886B1 (ko)
JP (1) JP5701303B2 (ko)
KR (1) KR101718521B1 (ko)
CN (1) CN102596552B (ko)
BR (1) BR112012008184B1 (ko)
CA (1) CA2776985C (ko)
DE (2) DE102009048999A1 (ko)
DK (1) DK2485886T3 (ko)
ES (1) ES2457492T3 (ko)
MX (1) MX2012003691A (ko)
PL (1) PL2485886T3 (ko)
PT (1) PT2485886E (ko)
RU (1) RU2537336C2 (ko)
SI (1) SI2485886T1 (ko)
WO (1) WO201104228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1010336A1 (de) 2011-02-04 2012-08-09 Jürgen Polenz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Verbundsicherheitsglas
DE102012002175A1 (de) 2012-02-07 2013-08-08 Jürgen Polenz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r Verbundscheibe
JP5780209B2 (ja) * 2012-05-29 2015-09-16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JP5862536B2 (ja) 2012-10-04 2016-02-16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JP5867356B2 (ja) 2012-10-04 2016-02-24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DE102013100316A1 (de) 2013-01-11 2014-07-17 L&S Technischer Handel Gmbh & Co. K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von Verbundglas
DE102013204338B4 (de) * 2013-03-13 2016-06-09 Sm Innotech Gmbh & Co. K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Verbundplatten und wiederverwendbarer Vakuumsack
KR101438411B1 (ko) 2013-06-24 2014-09-15 주식회사 삼인이엔지 접합유리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접합유리 제조방법
CN105034537A (zh) * 2015-07-14 2015-11-11 常州拓普泰克玻璃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夹层安全玻璃射频加热层压装置及工艺条件
CN105060740A (zh) * 2015-08-25 2015-11-18 武汉耀华安全玻璃有限公司 夹层玻璃连续生产装置及工艺
DE102016101038A1 (de) * 2016-01-21 2017-07-27 Bundesdruckerei Gmbh Laminiervorrichtung sowie Verfahren zum Laminieren von mehreren in einem Stapel angeordneten Schichten
CN112794658B (zh) * 2020-12-31 2022-08-30 张家界永兴玻璃有限公司 一种中空玻璃填充粘合设备
CN113062896B (zh) * 2021-03-18 2022-09-27 秦皇岛金辰太阳能设备有限公司 顶针杆的驱动方法及负压顶升式光伏组件层压机
CN114801408B (zh) * 2022-03-11 2023-04-18 湖北宝源家居有限公司 一种夹胶玻璃合片预热一体机
EP4249238A1 (de) * 2022-03-22 2023-09-27 Fotoverbundglas Marl GmbH Verfahren sowie vorrichtung zum herstellen von verbundsicherheitsgla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048974A1 (de) * 2000-09-27 2002-04-18 Wemhoener Heinrich Gmbh Co Membranpresse und Arbeits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plattenförmigen Verbundmaterial
JP2002361067A (ja) * 2001-06-01 2002-12-17 Kobe Steel Ltd 高圧容器装置
DE102004030658A1 (de) * 2004-06-24 2006-01-19 Meier Vakuumtechnik Gmbh Laminator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392822B (sv) * 1973-12-06 1977-04-25 Asea Ab Hydraulisk press med en tryckcell med ett elastiskt membran och en av detta paverkad formdyna
SU804589A1 (ru) * 1979-02-28 1981-02-15 Предприятие П/Я Р-6209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 многослойныхиздЕлий
SU1289839A1 (ru) * 1985-08-26 1987-02-15 Предприятие П/Я А-7840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 многослойного стекла
US5108532A (en) * 1988-02-02 1992-04-28 Northrop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haping, forming, consolidating and co-consolidating thermoplastic or thermosetting composite products
GB8811057D0 (en) * 1988-05-10 1988-06-15 Ici Plc Method of shaping blanks of thermoformable material
US5591369A (en) * 1991-04-05 1997-01-07 The Boeing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consolidating organic matrix composites using induction heating
JPH06213790A (ja) * 1993-01-14 1994-08-05 Mitsubishi Heavy Ind Ltd クロス荷重負荷装置
JP3243601B2 (ja) * 1996-11-29 2002-01-07 株式会社名機製作所 真空多段積層装置
AUPO531397A0 (en) * 1997-02-25 1997-03-20 Kory Dubay Manufacturing Pty Ltd Improvements to diaphragm press
JP3767324B2 (ja) * 2000-05-30 2006-04-19 株式会社大林組 大型岩盤試験装置
EP1293271B1 (en) 2001-08-31 2008-03-19 Kitagawa Seiki Kabushiki Kaisha Method and device for pressing workpiece
DE10218198C1 (de) * 2002-04-23 2003-12-18 Prokon Technologie Gmbh & Co K Laminator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Solarzellendachs eines Kraftfahrzeugs
DE102004027545A1 (de) 2004-06-04 2005-12-29 Meier Vakuumtechnik Gmbh Vorrichtung für das heiße Laminieren und anschließende Abkühlen von Bauteilen
DE102004034175B3 (de) * 2004-07-15 2005-09-08 Webasto Ag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gewölbten Scheibenanordnung für ein Fahrzeug
US8122929B2 (en) 2005-06-03 2012-02-28 3S Swiss Solar Systems Ag Machine for the production of sheet elements from composite material
DE202008008799U1 (de) 2008-07-01 2008-09-11 Robert Bürkle GmbH Laminierpresse zum Laminieren von Werkstücken unter Druck- und Wärmeeinwirkung
DE102008030927A1 (de) * 2008-07-02 2009-10-22 Robert Bürkle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Laminieren von im Wesentlichen plattenförmigen Werkstücken unter Druck- und Wärmeeinwirkung
DE102008044862A1 (de) * 2008-08-28 2010-03-04 Robert Bürkle GmbH Verfahren und Laminierpresse zum Laminieren von Werkstücken
EP2189283A1 (de) 2008-11-21 2010-05-26 komax Holding AG Vorrichtung zum Laminieren eines Solarmoduls
DE102009002023B4 (de) 2009-03-31 2013-04-04 Hans Gerd Stevens Laminationsvorrichtung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048974A1 (de) * 2000-09-27 2002-04-18 Wemhoener Heinrich Gmbh Co Membranpresse und Arbeits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plattenförmigen Verbundmaterial
JP2002361067A (ja) * 2001-06-01 2002-12-17 Kobe Steel Ltd 高圧容器装置
DE102004030658A1 (de) * 2004-06-24 2006-01-19 Meier Vakuumtechnik Gmbh Lamin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776985C (en) 2017-08-01
CN102596552A (zh) 2012-07-18
ES2457492T3 (es) 2014-04-28
RU2537336C2 (ru) 2015-01-10
CN102596552B (zh) 2015-04-29
JP2013507310A (ja) 2013-03-04
EP2485886B1 (de) 2014-01-22
SI2485886T1 (sl) 2014-05-30
DE102009048999A1 (de) 2010-07-29
EP2485886A1 (de) 2012-08-15
WO2011042285A1 (de) 2011-04-14
DK2485886T3 (da) 2014-04-22
MX2012003691A (es) 2012-06-27
PT2485886E (pt) 2014-04-15
BR112012008184B1 (pt) 2020-07-28
CA2776985A1 (en) 2011-04-14
BR112012008184A2 (pt) 2016-03-01
US9242434B2 (en) 2016-01-26
US20120318438A1 (en) 2012-12-20
DE202009018528U1 (de) 2012-02-27
PL2485886T3 (pl) 2014-06-30
JP5701303B2 (ja) 2015-04-15
RU2012111988A (ru) 2013-11-20
KR20120087126A (ko) 2012-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8521B1 (ko) 적층 안전 유리의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3098003B2 (ja) 太陽電池におけるラミネート装置
KR102037237B1 (ko) 열처리 강화 시스템 및 방법
US8191599B2 (en) Apparatus for laminating a solar module
JP5728493B2 (ja) 複合材部品を硬化させる方法
CN107833942B (zh) 多功能层压机及其使用方法
JP2013507310A5 (ko)
WO2012068903A1 (en) Vacuum glass sealing device
WO2014096924A1 (en) Laminator for solar modules using a tube like pressing member
US5069120A (en) Apparatus for pressing multilayer packs
US20110047934A1 (en) Flexible vacuum chamber
JP3205443B2 (ja) ホットプレス装置用の熱板およびホットプレス装置
KR101412512B1 (ko) 진공유리패널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CN209880633U (zh) 用于薄膜太阳能电池组件的热层压设备
CN208674145U (zh) 一种太阳能组件的热压封装装置
EP0226303B1 (en) Laminating press
WO2015037135A1 (ja) 曲面モジュールの積層化装置および積層化方法
CN215943958U (zh) 一种层压载具及层压机
JP2596585B2 (ja) 多段ホットプレス
TW201210806A (en) Multi-level press, level element of such a multi-level press, and method for producing plate-type workpieces by means of such a multi-level press
JP2966193B2 (ja) ホットプレス装置
JPS59114894A (ja) 多層プリント配線板の製造方法
CN110890439A (zh) 一种太阳能组件的热压封装装置及方法
CN110289229A (zh) 电子产品组件仓储式层压设备
JP2000349309A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封止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