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8411B1 - 접합유리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접합유리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접합유리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접합유리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8411B1
KR101438411B1 KR1020130072272A KR20130072272A KR101438411B1 KR 101438411 B1 KR101438411 B1 KR 101438411B1 KR 1020130072272 A KR1020130072272 A KR 1020130072272A KR 20130072272 A KR20130072272 A KR 20130072272A KR 101438411 B1 KR101438411 B1 KR 1014384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ction chamber
pressure reaction
glass
bonding
laminated gl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22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길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인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인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인이엔지
Priority to KR10201300722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8411B1/ko
Priority to PCT/KR2014/005529 priority patent/WO2014208960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84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84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807Making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Apparatus therefor
    • B32B17/10816Making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Apparatus therefor by pressing
    • B32B17/10871Making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Apparatus therefor by pressing in combination with particular heat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7/00Joining pieces of glass to pieces of other inorganic material; Joining glass to glass other than by fusing
    • C03C27/06Joining glass to glass by processes other than fusing
    • C03C27/10Joining glass to glass by processes other than fusing with the aid of adhesive specially adapted for that purpose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7/00Joining pieces of glass to pieces of other inorganic material; Joining glass to glass other than by fusing
    • C03C27/06Joining glass to glass by processes other than fusing

Abstract

본 발명은 접합유리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접합유리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초기 접합유리가 가열 가압 작용을 하는 1차 고압반응챔버와 가압 냉각 작용을 하는 2차 고압반응챔버를 순차적으로 거치면서 최종 접합유리로 제조되게 함으로써 접합유리의 생산성 및 작업성을 향상되게 하는 접합유리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접합유리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접착재에 의해 가접되어 예열된 초기 접합유리를 투입받아 가열하면서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가압하여 상기 초기 접합유리를 1차 접합하면서 기포를 제거하는 1차 고압반응챔버; 상기 1차 고압반응챔버로부터 배출된 중간 접합유리를 투입받아 냉각하면서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가압하여 상기 중간 접합유리를 2차 접합하면서 상기 1차 고압반응챔버에 의해 제거되지 않은 기포를 재차 제거한 후, 최종 접합유리로 배출하는 2차 고압반응챔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접합유리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접합유리 제조방법{APPARATUS OF LAMINATED GLASS AND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접합유리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접합유리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초기 접합유리가 가열 가압 작용을 하는 1차 고압반응챔버와 가압 냉각 작용을 하는 2차 고압반응챔버를 순차적으로 거치면서 최종 접합유리로 제조되게 함으로써 접합유리의 생산성 및 작업성을 향상되게 하는 접합유리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접합유리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접합유리란 두 장 이상의 판유리 사이에 투명하면서도 접착력이 강한 폴리비닐부틸랄(PVB)소재의 접합필름을 융착시켜 접합한 유리를 말한다.
이러한 접합유리는 외부의 충격에 대한 흡수력이 우수하여 쉽게 파손되지 않고, 설령 판유리가 파손된다 하더라도 접합필름이 파손된 판유리의 비산을 방지하며, 물체의 관통이 쉽지 않아 도난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기존 일반 강화유리를 대체하여 건축자재, 산업용 및 기타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접합유리를 제조하는 경우 고압반응챔버 일명 오토클레이브를 사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종래의 고압반응챔버(1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꺼번에 다량의 제품들을 처리하기 위하여 겹쳐진 상태로 제품(20)을 트레이(30)에 안착시킨 후 내압용기 내부(40)에 넣어 거치시키고, 뚜껑을 닫아 내부를 밀폐시킨 상태에서 가열하여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고 가압작동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제품이 한꺼번에 적층된 상태로 가열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제품들의 전부위에 걸쳐 원하는 가열온도에 이르기까지는 많은 시간이 소요되게 되며, 가압작동의 경우에도 적층된 제품의 전부위에 걸쳐 고른 압력이 전달되기까지는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가열 가압 처리작업이 이루어진 후에 제품을 인출하기 위하여는 오토클레이브의 내부압력과 내부온도를 낮추어야 하기 때문에 많은 대기시간이 소요되게 되어 생산성이 크게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최근에는 접합안전유리의 제조시 하나의 챔버에서 가열 가압 및 냉각 가압 처리과정을 수행하도록 하여 접합부위에서의 기포 발생을 최소화하여 더욱 안정적인 접합안전유리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오토클레이브 장치가 개발된 바 있다.
상기와 같이 하나의 챔버에서 가열 가압 및 냉각 가압 처리과정을 수행하는 경우, 먼저 챔버의 내측에 초기 접합유리를 수용한 후 그 챔버의 내부온도를 미리설정된 온도로 상승시키면서 가압하여 1차 접합처리과정을 수행하고, 다시 상기 챔버의 내부온도를 하강시켜 냉각하면서 가압하여 2차 접합처리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하나의 챔버에서 가열 가압 및 냉각 가압 처리과정을 한꺼번에 수행하는 경우, 일정온도로 올라간 상태의 챔버 내부온도를 하강시키는데 상당한 대기시간이 소요되어 최종 접합유리의 생산성에 문제가 있는 실정이며, 챔버 내부 온도를 하강시키는데 에너지 소비가 증가하여 제품의 제작비용의 상승을 초래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정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가열 가압, 냉각 가압을 통한 접합유리의 제조시, 가열 가압 작용을 하는 챔버와 냉각 가압 작용을 하는 챔버를 별개로 마련하고, 상기 가열 가압 작용을 하는 1차 고압반응챔버와 냉각 가압 작용을 하는 2차 고압반응챔버를 접합유리가 순차적으로 거치면서 최종 접합유리로 제조되게 함으로써 접합유리의 제조에 따른 생산성 및 작업성을 향상시키도록 함은 물론 에너지 소비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접합유리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접합유리 제조방법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접합유리 제조장치는 접착재에 의해 가접되어 예열된 초기 접합유리를 투입받아 가열하면서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가압하여 상기 초기 접합유리를 1차 접합하면서 기포를 제거하는 1차 고압반응챔버; 상기 1차 고압반응챔버로부터 배출된 중간 접합유리를 투입받아 냉각하면서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가압하여 상기 중간 접합유리를 2차 접합하면서 상기 1차 고압반응챔버에 의해 제거되지 않은 기포를 재차 제거한 후, 최종 접합유리로 배출하는 2차 고압반응챔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1차 고압반응챔버와 2차 고압반응챔버는 상호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연결컨베이어를 매개로 연결되게 설치되되 상기 1차 고압반응챔버의 제품출구와 2차 고압반응챔버의 제품인입구가 상호 마주본 상태로 설치된다.
또한, 상기 연결컨베이어는, 상기 1차 고압반응챔버의 제품출구 및 2차 고압반응챔버의 제품인입구와 평행되게 설치되는 다수개의 회전가이드봉, 상기 회전가이드봉에 설치되어 이동되는 제품의 표면 손상을 방지하는 탄성회전구, 상기 회전가이드봉을 구동하는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1차 고압반응챔버와 2차 고압반응챔버에는, 그 1,2차 고압반응챔버의 내측으로 제품이 인입된 후 상기 제품인입구와 제품출구를 폐쇄하는 차단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2차 고압반응챔버에서 배출되는 최종 접합유리를 안전하게 이동시키도록 하는 이송컨베이어가 상기 2차 고압반응챔버의 출구방향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이송컨베이어는 상기 2차 고압반응챔버의 제품출구와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다수개의 안내가이드봉, 상기 안내가이드봉에 설치되어 최종 접합유리의 이송시 표면 손상을 방지하는 탄성체의 지지구, 상기 안내가이드봉을 구동하는 구동부로 구성되고,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일측에는 상기 2차 고압반응챔버로부터 배출된 제품을 감지하는 감지구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1차 고압반응챔버와 2차 고압반응챔버는, 사각평판형 제품의 형상에 대응될 수 있도록 사각 박스체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접합유리 제조장치를 이용한 접합유리 제조방법은 접착재에 의해 가접되어 예열된 초기 접합유리를 1차 고압반응챔버에 투입후, 상기 1차 고압반응챔버에 의해 가열하면서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가압하여 상기 초기 접합유리를 1차 접합하면서 기포를 제거하는 1차 접합단계; 상기 1차 접합단계를 거친 중간 접합유리를 2차 고압반응챔버에 투입 후, 상기 2차 고압반응챔버에 의해 냉각하면서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가압하여 상기 중간 접합유리를 2차 접합하면서 상기 1차접합단계에 의해 제거되지 않는 기포를 제거하는 2차 접합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접착재에 의해 가접하여 예열하기 전, 세척장치에 의해 접합되는 대상물을 세척하는 세척단계와, 상기 2차접합단계를 거쳐 외부로 배출되는 최종 접합유리를 이송컨베이어에 의해 표면손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이송시키는 제품배출단계와, 상기 이송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는 최종 접합유리를 감지하여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작동을 멈추도록 하는 감지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초기 접합유리가 별개로 마련된 가열 가압 작용에 의해 1차 접합하는 1차 고압반응챔버와 냉각 가압 작용에 의해 2차 접합하는 2차 고압반응챔버를 순차적으로 거쳐 최종 접합유리로 제조됨에 따라 접합유리 제조에 따른 생산성 및 작업성이 향상되고, 에너지 소비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접합유리 제조장치의 개략적인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1,2차 고압반응챔버에 설치되는 차단부재의 설치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1차 고압반응챔버에 형성되는 제1컨베이어의 형성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2차 고압반응챔버에 형성되는 제2컨베이어의 형성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컨베이어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송컨베이어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접합유리 제조방법을 나타낸 공정도,
도 8은 종래 일반적인 챔버의 개략적인 단면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접합유리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접합유리 제조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 용어들은 제품을 생산하는 생산자나 제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며,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고,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접합유리 제조장치의 개략적인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1,2차 고압반응챔버에 설치되는 차단부재의 설치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1차 고압반응챔버에 형성되는 제1컨베이어의 형성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2차 고압반응챔버에 형성되는 제2컨베이어의 형성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컨베이어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송컨베이어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기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접합유리 제조장치는 초기 접합유리를 1차 접합하는 1차 고압반응챔버(400), 상기 1차 고압반응챔버(400)를 거친 중간 접합유리를 2차 접합하는 2차 고압반응챔버(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1차 고압반응챔버(400)는 접착재에 의해 가접되어 예열된 초기 접합유리를 투입받아 가열하면서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가압하여 상기 초기 접합유리를 1차 접합하면서 기포를 제거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1차 고압반응챔버(400)는 사각평판형 제품 즉 접합유리의 형상이 사각평판형이므로 이에 대응하기 위하여 사각 박스체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사각편팡형 제품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음을 밝혀두는 바이다.
상기 1차 고압반응챔버(400)에 대해 더욱 상세히 살펴보면, 사각박스체의 형상으로 일측에는 제품인입구(403)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제품출구(405)가 형성된다.
즉, 상기 제품인입구(403)로 인입된 초기 접합유리는 상기 1차 고압반응챔버(400)의 내측을 통과하여 상기 제품출구(405)로 배출되는 것이다.
상기 1차 고압반응챔버(400)는 사각통상의 몸체(410)와 상기 몸체(410)의 전면부 외측에 장착되는 전방개폐부(430)와, 상기 몸체(410)의 후면부 외측에 상기 전방개폐부(430)와 대응되어 장착되는 후방개폐부(4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몸체(410)는 상기 전방개폐부(430)를 통해 제품을 투입받을 수 있도록 몸체투입구(413)가 형성되고, 상기 후방개폐부(450)를 통해 제품을 배출할 수 있도록 몸체배출구(415)가 형성된다.
상기 전방개폐부(430)는 상기 몸체투입구(413)에 장착되어 제품을 투입받을 수 있도록 제품인입구(403)가 형성되고, 상기 후방개폐부(450)는 상기 몸체배출구(415)에 장착되어 몸체(410)의 내부에 있는 제품을 배출하기 위한 제품출구(405)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전방개폐부(430) 및 후방개폐부(450)에는 상기 몸체(410)의 내부의 압력에 의해 상기 제품인입구(403)와 제품출구(405)를 각각 개폐하는 차단부재가 설치된다.
상기 차단부재는 상기 몸체(410)의 내부의 압력을 받아 유동될 수 있는 원기둥형상의 개폐봉(460)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전방개폐부(430)는, 상기 개폐봉(460)이 상하로 유동될 수 있는 개폐봉 이동부(433)와, 상기 제품인입구(403)가 형성된 전방하우징(431)과, 저면에 장착되고 상기 개폐봉(460)을 상하로 유동시키기 위한 개폐구동실린더(43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후방개폐부(450)도 상기 전방개폐부(430)와 마찬가지로 상기 개폐봉(460)이 상하로 유동되도록 개폐봉 이동부(453) 및 상기 제품출구(405)가 형성된 후방하우징(451) 및 상기 개폐구동실린더(43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방하우징(431)에 형성된 제품인입구(403) 및 상기 후방하우징(451)에 형성된 제품출구(405)는 평판디스플레이나 접합안전유리 등이 투입되거나 배출될 수 있도록 사각형상으로 형성되고, 외부로부터 개폐봉 이동부(433, 453)와 몸체투입구(413) 및 몸체배출구(415)를 통해 몸체 내부(418)로 연통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개폐봉 이동부(433, 453)와 인접하는 전방하우징(431) 및 후방하우징(451)의 내측면에는 상기 개폐봉(460)이 밀접하게 안착되도록 반원호 형상으로 음각된 개폐봉 안착부(440, 441)가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개폐구동실린더(435)는, 공압 또는 유압으로 작동되고 실린더로드(436)가 동작되어 상기 개폐봉(460)을 상하로 유동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실린더로드(436)의 상단부에는 개폐가이드(437)가 장착되어 상기 개폐봉(460)을 전방하우징(431) 및 후방하우징(451)에 형성된 제품인입구(403) 및 제품출구(405)에 근접되게 하여 몸체(410) 내부의 압력에 의해 상기 제품인입구(403) 및 제품출구(405)를 폐쇄시키거나, 개폐봉(460)의 자중에 의해 상기 제품인입구(403) 및 제품출구(405)를 개방하게 된다.
상기 개폐가이드(437)는 상단면으로부터 경사가 상이한 지지경사면(438)이 형성되어 상기 개폐봉(460)이 자중에 의해 상기 지지경사면(438)을 따라 흘러 내려오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후방개폐부(450)에서도 동일하게 상기와 같은 개폐봉(460)의 동작이 수행되어 상기 몸체(410)를 완전히 밀폐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1차 고압반응챔버(400)의 내측에는 초기 접합유리의 원활한 이동을 위하여 다수개의 봉체가 체인에 의해 연결되어 회전모터의 구동으로 회전되게 구성된 제1컨베이어(47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1차 고압반응챔버(400)의 내측으로 초기 접합유리가 유입되면 상기 차단부재에 의해 제품인입구(403)와 제품출구(405)가 폐쇄되고, 가열 가압에 의해 상기 초기 접합유리가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접합되면서 기포가 제거된다.
상기 1차 고압반응챔버(400)을 통해 1차 접합되어 배출된 중간 접합유리는 2차 고압반응챔버(500)의 내측으로 유입되고, 그 2차 고압반응챔버(500)는 내측을 냉각하면서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가압하여 상기 중간 접합유리를 2차 접합하고, 그로 인해 1차 고압반응챔버(400)를 통해 제거되지 않은 기포를 재차 제거하게 된다.
상기 2차 고압반응챔버(500)는 상기 1차 고압반응챔버(400)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 것으로, 몸체, 전방개폐부, 후방개폐부 및 차단부재의 구성이 상기 2차 고압반응챔버(500)에도 동일한 구조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2차 고압반응챔버(500)의 차단부재 세부구성이나 작동상태 또한 상기 1차 고압반응챔버(400)의 차단부재와 동일하게 이루어지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2차 고압반응챔버(500)의 내측에도 상기 1차 고압반응챔버(400)의 내측에 형성된 제1컨베어이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제2컨베이어(510)가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원 발명은, 1차 고압반응챔버(400)에서 가열 가압을 통해 접합유리를 1차 접합하고, 2차 고압반응챔버(500)에서 1차 접합된 접합유리를 2차 접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종래에 비해 작업성 및 최종접합유리의 생산성이 현저히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종래에는 하나의 챔버에서 가열 가압과정, 냉각 가압과정을 한꺼번에 수행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상승된 챔버의 내부 온도를 하강시키는데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어 생산성이 저하됨은 물론 에너지 소비가 증가하여 제품단가의 상승을 초래하는 문제를 야기하는데 반해 본원발명은 접합 대상물이 1차 고압반응챔버, 2차 고압반응챔버를 순차적으로 지나가면서 1차, 2차 접합되도록 이루어짐에 따라 생산성 및 에너지 소비 감소, 작업성 향상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1차 고압반응챔버(400)와 2차 고압반응챔버(500)는 상호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연결컨베이어(600)를 매개로 연결되게 설치되되 상기 1차 고압반응챔버(400)의 제품출구(405)와 2차 고압반응챔버(500)의 제품인입구(403)가 상호 마주본 상태로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컨베이어(600)는 상기 1차 고압반응챔버(400)의 제품출구(405) 및 2차 고압반응챔버(500)의 제품인입구(403)와 평행되게 설치되는 다수개의 회전가이드봉(610), 상기 회전가이드봉(610)에 설치되어 이동되는 제품의 표면 손상을 방지하는 탄성회전구(620), 상기 회전가이드봉(610)을 구동하는 구동수단(6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1차 고압반응챔버(400)의 제품출구(405)를 통해 배출된 중간 접합유리는 상기 회전가이드봉(610)의 상측면을 거쳐 상기 2차 고압반응챔버(500)의 제품인입구(403)로 인입된다.
이때, 상기 회전가이드봉(610) 상측으로 배출되는 중간 접합유리는 상기 탄성회전구(620)로 인해 상기 회전가이드봉(610)의 회전시 미끌림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되고, 표면 손상이 발생하지 않는 상태로 상기 2차 고압반응챔버(500)의 내측으로 인입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1차 고압반응챔버(400)에서 배출된 중간 접합유리는 상기 연결컨베이어(600)를 거쳐 상기 2차 고압반응챔버(500)의 내측으로 10초이상 ~ 30초 이하의 시간 내에 인입되도록 상기 연결컨베이어(600)의 회전이나 길이를 적절히 조절하여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구동수단(630)은 상기 회전가이드봉(610)의 양측을 연이어 연결되게 설치되는 연결체인(631)과 상기 연결체인(631)에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635)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구동모터(635)의 구동시 상기 연결체인(631)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회전가이드봉(610)의 회전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2차 고압반응챔버(500)의 제품출구방향에는 배출되는 최종 접합유리를 안전하게 이동시키도록 하는 이송컨베이어(700)가 설치된다.
상기 이송컨베이어(700)는 상기 2차 고압반응챔버(500)의 제품출구와 평행하도록 설치되는 다수개의 안내가이드봉(710), 상기 안내가이드봉(710)에 설치되어 최종 접합유리의 이송시 표면 손상을 방지하는 탄성체의 지지구(720), 상기 안내가이드봉(710)을 구동하는 구동부(73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구동부(730)는 상기 안내가이드봉(710)의 양측을 연이어 연결되게 설치되는 체인부재(731)와 상기 체인부재(731)에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모터부(735)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모터부(735)의 구동시 상기 체인부재(731)의 회전에 따라 상기 안내가이드봉(710)이 회전되어 최종 접합유리를 이송하게 된다.
이때, 상기 안내가이드봉(710) 상측으로 배출되는 최종 접합유리는 탄성체의 상기 지지구(720)로 인해 상기 안내가이드봉(710)의 회전시 미끌림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되고, 표면 손상이 발생하지 않는 상태로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이송컨베이어(700)의 일측에는 상기 2차 고압반응챔버(500)로부터 배출된 제품을 감지하는 감지구(800)가 설치된다.
즉, 상기 이송컨베이어(700)에 의해 이동되는 최종 접합유리를 상기 감지구(800)가 감지하게 되면 그 감지신호에 의해 상기 모터부(735)의 구동이 멈추게 되고, 그로 인해 상기 이송컨베이어(700)의 계속적인 작동으로 인한 최종 접합유리의 지면낙하를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접합유리 제조장치에는, 접합대상물이 되는 유리의 표면을 세척하는 세척장치(100)가 설치되고, 상기 세척장치(100)에 의해 세척된 유리는 접착장치(200)의 내측으로 유입되어 접착필름에 의해 한 쌍의 유리 사이가 가접된 상태로 투입컨베이어(300)를 거쳐 상기 1차 고압반응챔버(400)의 내측으로 인입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접합유리 제조장치를 이용한 접합유리 제조방법은, 도 7의 공정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단계(S1), 가접단계(S2), 1차 접합단계(S3), 2차 접합단계(S4), 제품배출단계(S5), 감지단계(S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세척단계(S1)에서는 접착재에 의해 가접하여 예열하기 전, 세척장치에 의해 접합되는 대상물을 세척한다.
상기 세척단계(S1)를 거친 접합대상물은 상기 접착장치(200)의 내측으로 이동되어 접착필름에 의해 가접되어 예열되는 가접단계(S2)를 거치게 된다.
상기 가접단계(S2)를 거친 초기 접합유리는 투입컨베이어(300)를 통해 상기 1차 고압반응챔버(400)에 투입되고, 투입된 초기 접합유리는 상기 1차 고압반응챔버(400)에 의해 가열되면서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가압 되어 상기 초기 접합유리를 1차 접합하면서 기포를 제거하는 1차 접합단계(S3)를 거친다.
이때, 상기 1차 고압반응챔버(400)에서는 미리 설정된 압력조건 및 온도 조건에 맞게 가압 가열되고, 정해진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1차 고압반응챔버(400)의 내측에 수용된 중간 접합유리가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1차 접합단계(S3)를 거친 중간 접합유리는 2차 접합단계(S4)를 거치게 되는데, 상기 2차 접합단계(S4)에서는 상기 1차 접합단계(S3)를 거친 중간 접합유리를 2차 고압반응챔버(500)에 투입 후, 상기 2차 고압반응챔버(500)에 의해 냉각하면서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가압하여 상기 중간 접합유리를 2차 접합하면서 상기 1차 접합단계(S3)에 의해 제거되지 않는 기포를 제거한다.
이때, 상기 2차 고압반응챔버(500)의 내측에서는 미리 설정된 압력조건 및 온도 조건에 맞게 가압 냉각되고, 정해진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2차 고압반응챔버(500)의 내측에서 최종 접합유리가 배출된다.
배출된 최종접합유리는 이송컨베이어(700)에 의해 표면손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이송되는데, 상기 이송컨베이어(700)의 일측에는 상기 이송컨베이어(700)에 의해 이송되는 최종 접합유리를 감지하는 감지구(800)이 설치되어 상기 이송컨베이어(700)의 작동을 멈추도록 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접합유리가 세척단계부터 감지단계까지 순차적이동에 의해 최종 접합유리로 생산되므로 생산시간이 절감됨은 물론 1차 고압반응챔버에서 가압 가열에 의해 접합유리를 1차 접합하고, 2차 고압반응챔버에서 가압 냉각에 의해 접합유리를 2차 접합하도록 분리함으로써 종래에 비해 작업성 및 최종 접합유리의 생산성이 현저히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해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세척장치 200: 접착장치
300: 투입컨베이어 400: 1차 고압반응챔버
500: 2차 고압반응챔버 600: 연결컨베이어
700: 이송컨베이어

Claims (12)

  1. 접착재에 의해 가접되어 예열된 초기 접합유리를 투입받아 가열하면서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가압하여 상기 초기 접합유리를 1차 접합하면서 기포를 제거하는 1차 고압반응챔버;
    상기 1차 고압반응챔버로부터 배출된 중간 접합유리를 투입받아 냉각하면서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가압하여 상기 중간 접합유리를 2차 접합하면서 상기 1차 고압반응챔버에 의해 제거되지 않은 기포를 재차 제거한 후, 최종 접합유리로 배출하는 2차 고압반응챔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합유리 제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차 고압반응챔버와 2차 고압반응챔버는 상호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연결컨베이어를 매개로 연결되게 설치되되 상기 1차 고압반응챔버의 제품출구와 2차 고압반응챔버의 제품인입구가 상호 마주본 상태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합유리 제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컨베이어는, 상기 1차 고압반응챔버의 제품출구 및 2차 고압반응챔버의 제품인입구와 평행되게 설치되는 다수개의 회전가이드봉, 상기 회전가이드봉에 설치되어 이동되는 제품의 표면 손상을 방지하는 탄성회전구, 상기 회전가이드봉을 구동하는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합유리 제조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1차 고압반응챔버와 2차 고압반응챔버에는, 그 1,2차 고압반응챔버의 내측으로 제품이 인입된 후 상기 제품인입구와 제품출구를 폐쇄하는 차단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합유리 제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차 고압반응챔버에서 배출되는 최종 접합유리를 안전하게 이동시키도록 하는 이송컨베이어가 상기 2차 고압반응챔버의 출구방향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합유리 제조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컨베이어는 상기 2차 고압반응챔버의 제품출구와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다수개의 안내가이드봉, 상기 안내가이드봉에 설치되어 최종 접합유리의 이송시 표면 손상을 방지하는 탄성체의 지지구, 상기 안내가이드봉을 구동하는 구동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합유리 제조장치.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일측에는 상기 2차 고압반응챔버로부터 배출된 제품을 감지하는 감지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합유리 제조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차 고압반응챔버와 2차 고압반응챔버는, 사각평판형 제품의 형상에 대응될 수 있도록 사각 박스체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합유리 제조장치.
  9. 접착재에 의해 가접되어 예열된 초기 접합유리를 1차 고압반응챔버에 투입후, 상기 1차 고압반응챔버에 의해 가열하면서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가압하여 상기 초기 접합유리를 1차 접합하면서 기포를 제거하는 1차 접합단계;
    상기 1차 접합단계를 거친 중간 접합유리를 2차 고압반응챔버에 투입 후, 상기 2차 고압반응챔버에 의해 냉각하면서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가압하여 상기 중간 접합유리를 2차 접합하면서 상기 1차접합단계에 의해 제거되지 않는 기포를 제거하는 2차 접합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합유리 제조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접착재에 의해 가접하여 예열하기 전, 세척장치에 의해 접합되는 대상물을 세척하는 세척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합유리 제조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2차접합단계를 거쳐 외부로 배출되는 최종 접합유리를 이송컨베이어에 의해 표면손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이송시키는 제품배출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합유리 제조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는 최종 접합유리를 감지하여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작동을 멈추도록 하는 감지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합유리 제조방법.
KR1020130072272A 2013-06-24 2013-06-24 접합유리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접합유리 제조방법 KR1014384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2272A KR101438411B1 (ko) 2013-06-24 2013-06-24 접합유리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접합유리 제조방법
PCT/KR2014/005529 WO2014208960A1 (ko) 2013-06-24 2014-06-23 접합유리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접합유리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2272A KR101438411B1 (ko) 2013-06-24 2013-06-24 접합유리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접합유리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8411B1 true KR101438411B1 (ko) 2014-09-15

Family

ID=517595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2272A KR101438411B1 (ko) 2013-06-24 2013-06-24 접합유리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접합유리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38411B1 (ko)
WO (1) WO201420896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29981A (zh) * 2020-12-10 2021-03-02 凯盛科技股份有限公司蚌埠华益分公司 用于空气成像玻璃的贴合装置和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05905B (zh) * 2019-01-16 2020-10-13 佛山创兴玻璃科技有限公司 一种超薄夹层玻璃生产工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29431A (ja) * 1997-10-29 1999-05-18 Meiki Co Ltd 積層装置および積層方法
JP2005320206A (ja) 2004-05-10 2005-11-17 Mishiba Shouzai Kk 合わせガラスの接合方法と接合装置
KR20070110547A (ko) * 2007-10-10 2007-11-19 피피지 인더스트리즈 오하이오 인코포레이티드 한 장 이상의 유리 시트의 에지를 강화시키는 방법 및 장치
JP2013507310A (ja) 2009-10-09 2013-03-04 フォトフェアブントグラース マール ゲーエムベーハー 合わせ安全ガラスを製造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29431A (ja) * 1997-10-29 1999-05-18 Meiki Co Ltd 積層装置および積層方法
JP2005320206A (ja) 2004-05-10 2005-11-17 Mishiba Shouzai Kk 合わせガラスの接合方法と接合装置
KR20070110547A (ko) * 2007-10-10 2007-11-19 피피지 인더스트리즈 오하이오 인코포레이티드 한 장 이상의 유리 시트의 에지를 강화시키는 방법 및 장치
JP2013507310A (ja) 2009-10-09 2013-03-04 フォトフェアブントグラース マール ゲーエムベーハー 合わせ安全ガラスを製造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29981A (zh) * 2020-12-10 2021-03-02 凯盛科技股份有限公司蚌埠华益分公司 用于空气成像玻璃的贴合装置和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208960A1 (ko) 2014-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99695B2 (ja) ガラス積層方法および装置
US7143800B2 (en) Non-autoclave laminated glass
CN206254611U (zh) 一种太阳能电池组件层压机
US20080110551A1 (en) Non-autoclave laminated glass
KR101438411B1 (ko) 접합유리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접합유리 제조방법
KR20120031057A (ko) 태양 전지 패널의 제조 방법
JP5833227B2 (ja) オートクレーブの開閉装置及びオートクレーブ
JP2008535767A (ja) 1つ又は複数の板ガラスの縁部を補強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KR101497455B1 (ko) 관통 블록이 결합된 접합 유리 제조 방법
CN111098581A (zh) 一种异形玻璃夹胶设备
CN105680782B (zh) 一种太阳能板边框密封胶带自动粘接设备
KR20110072155A (ko) 오토클레이브 장치
CN111943528B (zh) 一种超大中空玻璃的生产方法及其装置
CN112901031A (zh) 真空玻璃生产线及加工工艺
CN115101615A (zh) 封闭式光伏组件层压机、层压设备及层压方法
CN102522289B (zh) 等离子显示屏中前基板与后基板的分离方法及装置
CN102117864A (zh) 一种光伏组件的加工方法
CN114367491A (zh) 全自动钕铁硼多槽煮胶清洗线
CN201296084Y (zh) 一种叠层保温的层压机
CN110265507A (zh) 一种多腔室模块结构层压机
CN105729687A (zh) 热板平移式轮胎硫化机
CN205364292U (zh) 一种箱包框条的自动软化处理装置
KR101487605B1 (ko) 안전 유리 제조장치
CN216705278U (zh) 全自动钕铁硼多槽煮胶清洗线
CN110077037A (zh) 一种平/弯玻璃层压方法及其层压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