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4068B1 - 약제 불출 장치 - Google Patents

약제 불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4068B1
KR101704068B1 KR1020117006273A KR20117006273A KR101704068B1 KR 101704068 B1 KR101704068 B1 KR 101704068B1 KR 1020117006273 A KR1020117006273 A KR 1020117006273A KR 20117006273 A KR20117006273 A KR 20117006273A KR 101704068 B1 KR101704068 B1 KR 1017040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ister package
dispensing
container
medicine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62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5666A (ko
Inventor
쇼지 유야마
다까유끼 후지까와
나오끼 고이께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100556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56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40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40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076Medicament distribution means
    • A61J7/0084Medicament distribution means for multiple medicamen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68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in which the articles are torn or severed from strip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00Packaging fluent solid material, e.g. powders, granular or loose fibrous material,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1/30Devices or methods for controlling or determining the quantity or quality or the material fed or fil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e.g. tablets or pills
    • B65D83/0409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e.g. tablets or pills the dispensing means being adapted for delivering one article, or a single dose, upon each actua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6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in which the articles are stored in compartments in fixed receptacl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009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assembling and dispensing of pharmaceutical articl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G16H20/13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delivered from dispens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3/00Cutting
    • Y10T83/04Processes

Landscapes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 Control And Other Processes For Unpacking Of Materials (AREA)
  • Auxiliary Devices For And Details Of Packaging Control (AREA)

Abstract

장치 본체(1)와, 약제가 개별로 포장되는 복수의 블리스터 포장체(4)를 포갠 상태로 수용하고, 블리스터 포장체(4)의 중첩 방향이 수평 방향이 되도록 장치 본체(1)에 부착되는 수용 용기(2)와, 장치 본체(1)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수용 용기(2)까지 이동하여 수용한 블리스터 포장체(4)를 불출시키는 불출 부재(3)와, 불출 부재(3)에 의해 불출된 블리스터 포장체(4)를 파지하여 반송하는 파지 부재(35)와, 파지 부재(35)에 파지되어 반송되어 온 블리스터 포장체(4)로부터 단수분을 절단하는 절단 부재(36)를 구비한 구성으로 한다. 개폐 도어(10)의 개방 위치에 따라 브리스터 포장체(4)의 1매 전체의 불출과 단수의 불출을 가능하게 한다.
[대표도]
도 3 내지 도 5

Description

약제 불출 장치{MEDICATION DISPENSING APPARATUS}
본 발명은 약제 불출 장치 및 약제 불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블리스터 포장체를 불출하기 위한 약제 불출 장치로서, 그립 유닛에 의해 블리스터 포장체를 반송하고, 커터 기구에 의해 절단하여 필요량의 포장 시트를 취출할 수 있도록 한 것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또한, 블리스터 포장체를 불출하기 위한 다른 약제 불출 장치로서, 약제 카세트 내에 수용된 블리스터 포장체를 흡착 부재에 의해 흡착하여 취출할 수 있도록 한 것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2 참조).
그러나,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약제 불출 장치에서는 블리스터 포장체의 단수뿐만 아니라 1매 전체를 취출하는 경우에도 그립 유닛을 사용하고 있어 수율이 나쁘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블리스터 포장체가 상하 방향에 적층되기 때문에, 높이 방향의 점유 스페이스가 증대하여 수용하는 양 및 종류가 제약된다고 하는 문제도 있다.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약제 불출 장치에서는 블리스터 포장체의 단수를 불출할 수는 없다.
특허문헌1:일본특허제2818759호공보 특허문헌2:일본특허출원공개제2006-109859호공보
따라서, 본 발명은 블리스터 포장체의 수용량을 많게 하여 신속한 불출을 실현하면서, 단수이어도 적절하게 불출할 수 있는 약제 불출 장치 및 약제 불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약제 불출 장치를, 장치 본체와, 장치 본체에 격자 형상으로 장착된 복수의 약제 수용 용기와, 장치 본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수용 용기까지 이동하여 약제를 불출시키는 불출 부재를 구비하고, 불출 부재는, 불출하고자 하는 약제가 수용된 수용 용기를 장치의 전방으로 인출시킨 상태에서 약제를 눌러서 불출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수용 용기를 불출 위치에 위치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인출시키는 것이 가능한 제2 불출 부재를 구비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수용 용기에 수용된 약제는, 상기 수용 용기의 인출 방향으로 적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약제는 블리스터 포장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삭제
상기 약제 수용 용기는 저면 전단부에 약제 취출을 위한 취출구(15)를 구비하고, 상기 불출 부재는, 상기 수용 용기가 전방으로 인출된 약제의 불출 위치에 위치하였을 때, 상기 수용 용기의 선두에 위치하는 상기 약제를 밀어 내리는 제1 불출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불출 부재는 약제 수용 용기의 선두에 위치하는 약제를 상기 취출구(15)로 밀어 내리도록 승강이동을 하는 압하부(41)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불출 부재는 인력에 의해 상기 수용 용기를 인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불출 부재는 전자석부를, 상기 수용 용기는 자성부를 구비하여, 상기 전자석부를 여자하는 것으로 수용 용기를 인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불출 부재에 의해 불출된 블리스터 포장체를 파지하여 반송하는 파지 부재와, 상기 파지 부재에 파지되어 반송되어 온 블리스터 포장체로부터 단수분을 절단하는 절단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수용 용기는, 일단측 저면에 형성되는, 블리스터 포장체를 취출하기 위한 취출구와, 수용한 블리스터 포장체를 일단측을 향하여 압박하는 압박편(14)과, 일단면에 배치되는 개폐 도어를 구비하고, 상기 개폐 도어는, 수용 용기의 취출구로부터 배출되는 블리스터 포장체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구비하고, 불출 부재에 의한 블리스터 포장체의 불출 동작을 저지하는 폐쇄 위치와, 불출 부재에 의한 블리스터 포장체의 불출 동작을 허용하는 제1 개방 위치와, 불출 부재에 의한 블리스터 포장체의 불출 동작을 허용하여, 불출한 블리스터 포장체를 지지부에 지지 가능하게 하는 제2 개방 위치에 위치 결정 가능하고, 상기 파지 부재는, 제2 개방 위치에서 개폐 도어의 지지부에 지지된 블리스터 포장체를 파지하여 절단 부재에 반송 가능하고, 절단 부재로 단수분이 절단된 후의 블리스터 포장체의 잔여를 반송하여 개폐 도어의 지지부에 지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개폐 도어의 개방 위치의 차이에 따라 단수를 불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블리스터 포장체의 1매 전체를 신속하게 불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수용 용기에는 중첩 방향이 수평 또는 대략 수평 방향이 되도록 블리스터 포장체가 수용되어 있다. 이 때문에, 장치 본체에 복수의 수용 용기를 장착하는 경우이어도 상하 방향의 점유 스페이스를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약제 불출 장치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로부터 외장 패널을 제거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카세트 장착부에 장착되는 카세트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으로부터 개폐 도어를 90도 개방 위치에 회전시키고, 구동 기구의 케이싱을 제거한 상태를 도시하는 다른 각도로부터 본 부분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으로부터 개폐 도어를 180도 개방 위치에 회전시키고, 또 다른 각도로부터 본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불출 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을 다른 각도로부터 본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은 카세트로부터의 블리스터 포장체의 취출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측면도이다.
도 9의 (a)는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카세트를 도시하는 개략 부분 평면도, (b)는 그 측면도이다.
도 10은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카세트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으로부터 개폐 도어를 개방 위치에 회전시킨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개폐 도어 주변의 확대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도어 본체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제5 실시 형태에 관한 제1 불출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를 다른 각도로부터 본 상태를 도시하는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약제 불출 장치를 복수대 병설하고, 그 양측에 트레이 공급 유닛과 트레이 적상 유닛을 배치한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정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트레이 적상 유닛에 설치한 저널 프린터로 인쇄한 지시전의 내용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8은 제6 실시 형태에 관한 약제 불출 장치에 실장되는 카세트에 블리스터 포장체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대를 도시하는 개략 설명도이다.
도 19는 제7 실시 형태에 관한 블리스터 포장체의 정면도이다.
도 20은 제7의 실시 형태에 관한 카세트의 사시도이다.
도 21은 제7 실시 형태에 관한 단수 분리 처리의 내용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2는 제7 실시 형태에 관한 단수 분리 처리의 내용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3은 제7 실시 형태에 관한 단수 분리 처리의 내용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4는 제7 실시 형태에 관한 카세트의 개략 측면도이다.
도 25는 제8 실시 형태에 관한 카세트의 일부를 도시하는 측면 단면도이다.
도 26은 도 25의 저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실시 형태를 첨부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단, 이하의 설명에서는 구성 요소의 종류, 조합, 형상, 상대 배치 등은 특정적인 기재가 없는 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이것만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적절하게 필요에 따라 특정한 방향이나 위치를 도시하는 용어(예를 들면, 「상」, 「하」, 「전」, 「후」, 「일단」, 「타단」 등)를 사용하는데, 이들 용어의 사용은 도면을 참조한 발명의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해서이고, 이들 용어의 의미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성)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약제 불출 장치의 개략을 도시한다. 이 약제 불출 장치는, 장치 본체(1)에, 수용 용기인 복수의 카세트(2)를 격자 형상으로 간극 없이 장착하고, 불출 부재(3)에 의해 각 카세트(2)로부터 복수의 약제가 포장된 블리스터 포장체(4)를 순차 불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일련의 블리스터 포장체(4)의 불출 처리는 도시하지 않은 호스트 컴퓨터 등으로부터 입력되는 처방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어부에서 실행된다.
장치 본체(1)는, 프레임(5)의 주위에 외장 패널(6)을 부착하여 거의 직육면체 형상으로 한 것으로, 하방 영역에는 도시하지 않은 트레이를 반송하기 위한 반송 장치(7)가 설치되고, 배면측 반부의 상방 영역은 카세트 장착부(8)로 되어 있다. 여기서는 반송 장치(7)로서 롤러 컨베이어가 사용되어 있지만, 벨트 컨베이어, 푸셔 등 여러 가지 반송 수단을 사용할 수 있다. 카세트 장착부(8)는 좌우 방향에 소정 간격으로 배치한 지지 패널의 대향면에 가이드 홈(도시 생략)을 형성한 것으로, 이 가이드 홈에 카세트(2)를 삽입하여 장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카세트(2)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면이 개방하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의 카세트 본체(9)와, 이 카세트 본체(9)의 전면에 배치되는 개폐 도어(10)를 구비한다.
카세트 본체(9)의 저면에는 팽출한 측벽과는 반대측의 측벽을 따라 전면측으로부터 배면측에 가이드 홈(11)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홈(11)에는 왕복 이동 가능하게 압출 부재(12)가 배치되어 있다. 압출 부재(12)는 가이드 홈(11)을 미끄럼 이동하는 미끄럼 이동부(13)와, 이곳으로부터 카세트 본체(9) 내를 가로지르도록 연장하는 압박편(14)으로 구성되어 있다. 미끄럼 이동부(13)에는 도시하지 않은 정 가중 스프링(콘스톤)이 수용되고, 미끄럼 이동부(13)의 위치에 관계없이 압출 부재(12)를 개폐 도어측에 일정 하중으로 압박한다.
또한, 카세트 본체(9)의 저면 전단부에는 선두의 블리스터 포장체(4)를 취출 가능하게 하는 취출구(15)가 형성되어 있다. 취출구(15)는 저면 전단부의 중앙의 절결부(15a)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 폐쇄편(16)에 의해 일부 폐쇄되고, 선두의 블리스터 포장체(4)의 낙하가 방지되어 있다. 폐쇄편(16)은 스프링(17)에 의해 폐쇄 방향으로 압박되어 있다.
카세트 본체(9)의 전면은 중앙부가 절결됨으로써 연통부(18)가 형성되어 있다. 연통부(18)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선두의 블리스터 포장체(4)를 취출할 때에 압하편을 이동 가능하게 하기 위한 도피부이다.
카세트 본체(9)의 배면에는 단차부(19)가 형성되고, 이곳에 형성된 개구부에는 걸림편(20)이 부착되어 있다. 걸림편(20)은 카세트(2)를 장치 본체(1)의 카세트 장착부(8)에 장착하였을 때, 도시하지 않은 걸림 받침부에 분해 가능하게 걸린다.
카세트 본체(9)에는 블리스터 포장체(4)(PTP(Press Through Package) 시트)가 복수매 적층되어 횡방향에 수용되어 있다. 블리스터 포장체(4)는 상세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지만, 약제를 수용하는 복수의 포켓부를 구비하고, 이 포켓부를 막도록 커버 필름을 점착한 구성이다. 블리스터 포장체(4)의 적층 방향은 커버 필름측이 카세트 본체(9)의 전방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하고 있다.
개폐 도어(10)는 카세트 본체(9)의 전면 하단에 설치한 지지축(10a)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개폐 도어(10)는 지지축(10a)으로부터 연장하는 전면부(21)와, 이 전면부(21)의 전단 가장자리로부터 단면이 거의 U자형으로 절곡된 가이드부(22; 지지부)로 이루어진다. 가이드부(22)는 블리스터 포장체(4)의 단수(잔여)를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 때문에, 적어도 탄성을 갖고 블리스터 포장체(4)를 지지 가능한 구성(탄성 지지부)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 지지부로서는, 예를 들면 가이드부(22)를 구성하는 대향면의 한쪽에 고무 등을 설치한 것을 들 수 있다. 전면부(21)의 한쪽 측가장자리 중앙부에는 절결부(23)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절결부(23)를 이용하여 후술하는 파지부에 의해 블리스터 포장체(4)의 단수를 파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개폐 도어(10)는 카세트 본체(9)의 한쪽 측벽 전방부에 설치한 구동 기구(24)에 의해 회전한다. 구동 기구(24)는 케이싱(24a)의 전단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압입 바(25)를 압입함으로써, 케이싱 내에 설치한 제1 기어(26)를 통하여 제1 기어(26)에 맞물린 제2 기어(27)를 회전시키고, 그곳에 일체화된 지지축(10a)을 회전시킴으로써 개폐 도어(10)를 회전시킨다. 개폐 도어(10)는 압입 바(25)의 압입량을 변경함으로써 폐쇄 위치(도 3 참조), 90도 개방 위치(도 4 참조), 180도 개방 위치(도 5 참조)에 위치 결정 가능하다. 제1 기어(26)는 핀에 부착된 정 가중 스프링(26a)에 의해 압입 바(25)를 돌출시키도록 하는 회전 방향으로 압박되어 있다. 또한, 정 가중 스프링(26a)의 압박력에 의해 개폐 도어(10)는 폐쇄 위치에 지지되어 있다. 또한, 제1 기어(26)에는 걸림 기어(28)가 맞물림 가능하게 되어 있다. 걸림 기어(28)는 케이싱(24a)의 측면에 돌출한 조작부(29)를 회전 조작함으로써, 수동으로 제1 기어(26)에 결합 분리 가능이다. 걸림 기어(28)는 개폐 도어(10)를 90도 개방 위치, 180도 개방 위치에 각각 위치 결정하는 경우나, 카세트 장착부(8)로부터 카세트(2)를 분해할 때에 개폐 도어(10)가 개방하지 않도록 하는 경우에 수동에 의해 제1 기어(26)에 맞물리게 하여 사용한다.
또한, 케이싱(24a) 내에는 전단면측에 자성부(30)가 배치되어 있다. 이 자성부(30)는 카세트 장착부(8)로부터 카세트(2)를 인출할 때, 전자석부(42)에 흡인된다. 또한, 케이싱(24a)의 전단면에는 발광부(31)가 설치되고, 장치 본체측에 설치한 LED(도시 생략)로부터의 광이 조사되도록 되어 있다. LED에 의해 발광부(31)를 조사하는 것은, 예를 들면 약품의 결품이나 이상을 통지하는 경우이다. 이에 의하면, 카세트(2)측에는 전기 부품이나 배선을 필요로 하지 않을 수 있고, 구성을 간략화하여 저렴하게 제작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불출 부재(3)는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32)에 제1 불출 부재(33), 제2 불출 부재(34), 파지 부재(35), 절단 부재(36) 및 회수 부재(37)를 설치한 것이다. 베이스(32)는 장치 본체(1)의 전면 좌우에 배치한 수직 레일(38)에 대하여 승강 가능한 수평 레일(39)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제1 불출 부재(33)는 모터의 회전축에 설치한 기어에 랙(40)을 맞물리게 하고, 이 랙(40)에 일체화한 압하부(41)를 모터를 정역 회전 구동함으로써 승강시키도록 한 것이다. 압하부(41)의 하단부가 카세트(2)의 선두에 위치하는 블리스터 포장체(4)를 밀어 내리고, 카세트(2)의 저면 전단부에 형성한 취출구(15)를 통하여 배출한다.
제2 불출 부재(34)는 전자석부(42) 및 압입부(43)을 구비한다. 이 전자석부(42)는 이동편(44)에 고정되고, 통전에 의해 여자하여 자성체를 흡인 가능하게 된다. 이동편(44)의 상단부는 스크루(45)에 나사 결합하고 있다. 스크루(45)는 전판(46) 및 후판(47)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모터(45a)의 구동에 의해 도시하지 않은 기어를 통하여 회전하고, 이동편(44)을 통하여 전자석부(42)가 전후에 왕복 이동한다. 전자석부(42)는 전진 위치에서 카세트(2)의 자성부(30)를 흡인하고, 후퇴함으로써 카세트 장착부(8)로부터 카세트(2)를 약품 취출 위치에 인출한다. 압입부(43)는 도시하지 않은 모터의 구동에 의해 전후(수평 방향)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고, 카세트(2)의 압입 바(25)를 압입한다. 그리고, 압입부(43)로 압입 바(25)를 압입하는 위치를 2단계로 변경함으로써, 폐쇄 위치에 있는 개폐 도어(10)를 90도 개방 위치, 180도 개방 위치에 각각 위치 결정 가능하게 되어 있다.
파지 부재(35)는 도시하지 않은 모터의 구동에 의해 개폐하는 한 쌍의 파지편(35a)을 구비하고, 베이스(32)의 전방부에 형성된 수평 홈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한 쌍의 파지편(35a)으로 블리스터 포장체(4)를 파지한다.
절단 부재(36)는 지지대(48)에 고정날(49)과, 수평 방향에 왕복 이동하여 고정날(49)에 대하여 접리하는 가동날(50)을 부착한 것이다. 지지대(48)는 일단면이 위치 조정 부재인 부채 형상의 회전 플레이트(51)에 고정되어 있다. 회전 플레이트(51)는 외주연에 기어가 형성되어 있다. 기어에는 모터(51a)의 회전축에 형성한 기어가 맞물려 있다. 그리고, 모터(51a)를 구동함으로써 기어를 통하여 회전 플레이트(51)가 정역 회전한다. 이에 의해, 고정날(49)과 이동날이 회전 플레이트(51)와 함께 회전하고, 파지 부재(35)에 의해 파지된 블리스터 포장체(4)에 대한 절단 위치를 변경한다. 여기서는 절단 부재(36)를 수평 위치와 수직 위치의 2개소에 위치 결정하여 사용하고 있다. 또한, 절단 부재(36)는 도시하지 않은 승강 기구를 구비하고 있고, 고정날(49) 및 가동날(50)에 의한 절단 위치를 조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에 의해, 복수열 있는 블리스터 포장체(4)를 최소 1정 단위의 단수로 절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가동날(50)에 의한 절단 전에 블리스터 포장체(4)를 누르는 판 스프링 부재를 설치하고, 절단시의 충격에 의한 블리스터 포장체(4)의 위치 어긋남(튀어오름 등)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수 부재(37)는 안내 통로(52)와 회수 용기(53)를 구비한다. 안내 통로(52)는 직선부(52a)와 경사부(52b)로 구성되고, 직선부(52a)에는 카세트(2)의 취출구(15)로부터 낙하하는 블리스터 포장체(4)가 통과하고, 경사부(52b)에는 절단 부재(36)에 의해 절단된 단수의 블리스터 포장체(4)가 통과하여 직선부에 합류한다. 회수 용기(53)는 3개의 저류부(도시 생략)를 갖고, 안내 통로(52)를 통하여 공급된 블리스터 포장체(4)가 반송 장치(7)에 의해 반송되는 도시하지 않은 트레이 내의 구획된 각 구획 내에 이송한다.
(동작)
다음에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약제 불출 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시하지 않은 호스트 컴퓨터 등으로부터 처방 데이터가 입력되면, 입력된 처방 데이터에 기초하여 불출 부재(3)를 해당하는 약제의 블리스터 포장체(4)가 수용된 카세트(2)에 이동시킨다.
블리스터 포장체(4)를 1 시트 전체로 불출하는 경우, 모터를 구동하여 압입부(43)를 전진시키고, 전자석부(42)를 여자한다. 이에 의해, 카세트(2)의 자성부(30)가 흡인되기 때문에, 압입부(43)를 후퇴시키고,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세트(2)를 약품 불출 위치에 위치 결정한다. 이 상태에서 카세트(2)의 압입 바(25)를 압입한다. 이 경우의 압입량은 개폐 도어(10)가 90도 개방 위치까지 회전하는 양이다. 이에 의해, 카세트 본체(9)의 전단면의 연통부(18)가 노출되고, 불출 부재(3)의 압하부(41)에 의해 선두에 위치하는 블리스터 포장체(4)를 밀어 내림 가능한 상태로 된다. 그래서, 모터를 구동하여 기어 및 랙(40)을 통하여 압하부(41)을 아래쪽으로 이동시키면, 선두에 위치하는 블리스터 포장체(4)가 스프링(17)의 압박력에 저항하여 폐쇄판을 회전시키고, 취출구(15)을 통하여 카세트(2)로부터 배출된다. 배출된 블리스터 포장체(4)는 안내 통로(52)를 통하여 회수 용기(53)에 회수된다. 블리스터 포장체(4)가 회수 용기(53)에 회수되면, 전자석부(42)를 전진시켜 카세트(2)를 카세트 장착부(8) 내에 수용한다. 그리고, 전자석부(42)를 소자하여 자성부(30)의 흡인을 해제한 후, 회수 용기(53)(불출 부재(3))를 도시하지 않은 트레이에 이동시킨다. 또한, 블리스터 포장체(4)를 복수매 불출하는 경우, 압하부(41)를 강하시키는 압하 동작과 상승시키는 복귀 동작을 반복한다.
블리스터 포장체(4)를 단수로 불출하는 경우, 압입 바(25)의 압입량은 개폐 도어(10)가 180도 개방 위치까지 회전하는 양으로 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와 마찬가지로 하여 압하부(41)에 의해 선두에 위치하는 블리스터 포장체(4)를 밀어 내리면, 이 블리스터 포장체(4)는 취출구(15)를 통하여 배출되고, 개폐 도어(10)의 가이드부(22)에 지지된다. 그래서, 파지 부재(35)를 구동하여 가이드부(22)에 형성된 절결부(23)을 통하여 블리스터 포장체(4)를 파지한다. 그리고, 파지 부재(35)를 수평 이동함으로써, 파지한 블리스터 포장체(4)를 절단 부재(36)에 이동시킨다. 절단 부재(36)에서는 블리스터 포장체(4)의 단수에 따라 회전 위치를 변경한다.
블리스터 포장체(4)의 포켓부가 짝수열(2열 혹은 4열)인 경우, 단수가 짝수이면, 절단 부재(36)를 90도 회전한 수직 위치로 하고, 파지 부재(35)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분리되는 부분이 원하는 수량이 되도록 위치 결정한다. 이에 의해, 절단 부재(36)로 블리스터 포장체(4)를 절단하면, 희망하는 단수분만큼 안내 통로(52)를 통하여 회수 용기(53)에 회수된다.
또한 단수가 홀수이면, 전술한 바와 같이 하여 블리스터 포장체(4)를 절단한 후, 잔여의 블리스터 포장체(4)로부터 남는 1개분을 절단한다. 이 경우, 잔여의 블리스터 포장체(4)를 폭 방향에 가장자리로부터 절반만 절단한 후, 회전 플레이트(51)를 90도 회전시켜 수평 위치로 하고, 또한 절반만을 절단하도록 하면 된다.
또한, 블리스터 포장체(4)의 포켓부가 홀수열(3열)인 경우, 단수가 짝수인 경우와 홀수인 경우에서 전술한 바와는 반대의 처리를 행하도록 하면 된다.
이와 같이 하여 단수가 절단된 잔여의 블리스터 포장체(4)는, 파지 부재(35)를 이동시켜 개폐 도어(10)의 가이드부(22)에 반송하고, 파지 부재(35)에 의한 파지 상태를 해제함으로써, 잔여의 블리스터 포장체(4)를 가이드부(22)에 설치한 탄성 지지부로 지지해 둔다. 이 경우, 탄성 지지부에 의한 지지 위치를 좌표 데이터로서 잔여 수량(포켓부의 수)과 함께 기억해 두고, 다음 회의 불출시, 이 데이터에 기초하여 파지 부재(35)를 이동시키고, 잔여의 블리스터 포장체(4)를 불출하도록 하면 된다. 또한, 가이드부(22)에 지지하고 있는 잔여의 블리스터 포장체(4)가 없어지면, 상기와 마찬가지로 하여 새로운 블리스터 포장체(4)를 카세트(2)로부터 가이드부(22)에 배출하고, 절단하도록 하면 된다.
(다른 실시 형태)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항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등이 가능하다.
(제2 실시 형태)
예를 들면, 상기 카세트(2)의 취출구(15)에는 폐쇄편(16)을 설치하여 블리스터 포장체(4)의 낙하를 방지하도록 하였으나, 이 폐쇄편(16)은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9에서는 폐쇄편(16)은 카세트 본체(9)의 저면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선단 가장자리가 위치하는 블리스터 포장체(4)의 포켓부의 형상에 맞춰 요철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카세트(2) 내에 수용된 블리스터 포장체(4)는 선두에 위치하는 것만이 폐쇄편(16)의 선단측에 형성되는 간극을 통하여 아래쪽으로 낙하 가능해진다. 단, 카세트(2) 내에 수용된 블리스터 포장체(4)는 정 가중 스프링에 의해 압박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간극으로부터는 낙하하는 일이 없다. 압하편으로 강제적으로 선두의 블리스터 포장체(4)를 밀어 내린 경우, 선두에 위치하는 블리스터 포장체(4)만이 취출구(15)로부터 배출되고, 2번째 이행의 블리스터 포장체(4)는 폐쇄편(16)에 의해 이동이 저지된다. 또한, 폐쇄편(16)의 선단 가장자리는 상면측으로부터 하면측을 향하여 단면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블리스터 포장체(4)를 배출할 때에 막히기 어려운 구조로 되어 있다.
(제3 실시 형태)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회전 플레이트(51)를 회전시킴으로써 파지 부재(35)에 파지한 블리스터 포장체(4)에 대한 절단 부재(36)의 위치를 변경하도록 하였으나, 파지 부재(35)를 회전시키거나 절단 부재(36)와 파지 부재(35)의 양쪽을 회전시키거나 함으로써, 절단 부재(36)에 대한 파지 부재(35)에 파지한 블리스터 포장체(4)의 위치를 변경하도록 하여도 된다.
(제4 실시 형태)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카세트 본체(9)의 한쪽 측벽 전방부에 설치한 구동 기구(24)에 의해 개폐 도어(10)를 개폐하도록 하였으나, 도 10 내지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불출 부재(33)에 그 기능을 부가한 구성으로 하도록 하여도 된다.
즉,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한 카세트(100)는 카세트 본체(101)와 그 전면에 배치되는 개폐 도어(102)만으로 구성되어 있다.
카세트 본체(101)는 상면이 개방하는 상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정 가중 스프링(103)(콘스톤)을 갖는 압출 부재(103)가 설치되고, 도 9에 도시하는 상태와 마찬가지로 카세트(100) 내에 포개서 수용된 블리스터 포장체(4)를 개폐 도어(102)에 일정 하중으로 압박한다. 또한, 카세트 본체(101)의 전면측 양측면에는 상하에 개폐 도어(102)의 도어 본체(107)를 부착하기 위한 관통 구멍(104)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양쪽 관통 구멍(104) 사이의 위치에는 가이드 구멍(105)이 형성되고, 상방측의 관통 구멍(104)의 근방에는 결합 구멍(106)이 형성되어 있다.
카세트 본체(101)의 전면측 측면의 상부 가장자리끼리는 천판(101a)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이에 의하면,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개폐 도어(102)를 폐쇄 위치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그 상면을 천판(101a)으로 덮을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카세트 본체(101)를 수동으로 인출할 때, 잘못하여 개폐 도어(102)가 개방된다고 하는 문제의 발생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천판(101a)에는 오목부가 형성되고, 블리스터 포장체(4)의 명칭, 정 수 등을 인쇄한 라벨이 점착되게 되어 있다.
개폐 도어(102)는 도어 본체(107)와 개폐 부재(108)와 압박판(109)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어 본체(107)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보아 직사각 형상의 판재로, 양측부 상하에 카세트 본체(101)에 형성한 관통 구멍(104)을 통하여 나사를 나사 결합하기 위한 나사 구멍(110)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어 본체(107)를 카세트 본체(101)에 설치한 상태에서 도어 본체(107)와 카세트 본체(101)의 저면 전단부의 사이에 블리스터 포장체(4)를 통과 가능하게 하는 연통구(도시 생략)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나사 구멍(110)의 사이에는 상기 가이드 구멍(105)에 대응하는 위치에 중심을 향하여 서서히 깊어지는 원추면을 구비한 가이드 오목부(112)가 형성되어 있다. 도어 본체(107)의 배면측 중앙부에는 도피 홈(113)이 형성되고, 선두의 블리스터 포장체(4)를 취출할 때에 압하편(41)(도 14 및 도 15 참조)을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도어 본체(107)의 하단 양측부에는 도어 본체 베어링부(115)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 도어 본체 베어링부(115)에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축(120)이 지지되고, 이 지지축(120)에 개폐 부재(108)가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도 13으로 되돌아가서 각 도어 본체 베어링부(115)의 배면측에는 지지 오목부(111)가 각각 형성되고, 여기에는 볼 플런저(도시 생략)가 각각 부착되어 있다. 볼 플런저는 도어 본체(107)에 압박된 블리스터 포장체(4)의 하부 가장자리에 접촉하여 연통구로부터의 낙하를 방지한다.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카세트 본체(101)의 저면 전단면의 2개소로부터 핀(도시 생략)이 전면측에 돌출하고 있다. 이들 핀은, 압하편(114)에 의해 도어 본체(107)에 압박된 블리스터 포장체(4)가 밀려 내려가서 연통구를 통과할 때, 다음에 위치하는 블리스터 포장체(4)가 함께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도어 본체(107)의 전면 중앙부에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폭 방향에 소정 간격으로 돌조부(116)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돌조부(116)의 하단부에는 삽입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각 삽입 관통 구멍에는 후술하는 스프링(159)의 양단의 다리부(159c)가 각각 삽입 관통되어 있다.
개폐 부재(108)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폐 지지부(117)와 개폐판(118)으로 구성되고, 카세트 본체(101)의 전면에 위치하는 폐쇄 위치(도 10)와, 폐쇄 위치로부터 90도 회전한, 블리스터 포장체(4)를 그대로 불출하기 위한 제1 개방 위치와, 연직 아래쪽으로 회전한 블리스터 포장체(4)로부터 단수를 잘라내서 배출하기 위한 제2 개방 위치(도 11)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개폐 지지부(117)는 자성 재료로 이루어지고, 개폐판(118)이 부착되고, 양단부로부터 직각으로 절곡된 아암부(119)가 연장되어 있다. 아암부(119)의 선단은 지지축(120)을 중심으로 하여 도어 본체(107)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한쪽 아암부(119)는 부착 플레이트(135)와 거의 동일 폭이 되도록 확장되고, 이곳에는 조작 구멍(121)이 형성되어 있다.
개폐판(118)은 개폐 도어(102)의 배면 및 저면을 구성하는 제1 평탄부(122)와 제2 평탄부(123)로 이루어지는 단면이 거의 L자형을 하고 있다. 제1 평탄부(122)에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폐쇄 위치에서 전면측에 위치하는 면에 오목부(124)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124)에는 적절하게 카세트(100) 내에 수용하는 블리스터 포장체(4)의 명칭, 정 수 등을 인쇄한 라벨이 점착된다. 오목부(124)의 근방에는 부착 플레이트(135)의 일부를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부(125)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1 불출 부재(133)에 설치한, 전진 및 후퇴 이동 가능한 전자석부(42)(도 14 참조)에 의해 개구부(125)에 노출한 부착 플레이트(135)의 일부를 흡인하고, 선반으로부터 카세트(100)를 잡아당겨 꺼낼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전자석부(42)에 의해 카세트(100)를 잡아당겨 꺼낼 수 있는지의 여부는 그 근방에 설치한 검출 센서(도시 생략)에 의해 검출된다. 또한, 제1 평탄부(122)의 측부에는 절결부(126)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절결부(126)는 단수를 잘라낸 블리스터 포장체(4)의 잔여를 파지 부재(35)로 파지하기 위해서 이용한다. 한편, 제2 평탄부(123)는 선단 가장자리부가 축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양단부에는 결합 돌기부(127)(볼 캣치)가 형성되어 있다. 결합 돌기부(127)는 카세트 본체(101)의 전면측 양측면에 각각 형성한 결합 구멍(106)에 결합 분리하고, 결합 상태에서 카세트 본체(101)에 대하여 개폐 부재(108)를 폐쇄 위치에 위치 결정한다.
압박판(109)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 본체 베어링부(115)의 사이에서 노출하는 지지축(120)에, 소정 간격으로 설치한 압박판 베어링부(128)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압박판(109)은 스프링(159)에 의해 압박되고, 개폐판(118)의 제1 평탄부(122)와의 사이에 단수가 잘라내진 잔여의 블리스터 포장체(4)를 끼움 지지한다.
스프링(159)은, 압박판(109)에 압접하는 대략 U자 형상부(159a)와, 그 양단측에 연속하고, 압박판 베어링부(128)의 사이에서 노출하는 지지축(120)에 외장되는 코일 형상부(159b)와, 또한 그 단부에 연속하고, 도어 본체(107)의 돌조부(116)의 삽입 관통 구멍에 삽입 관통되는 다리부(159c)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스프링(159)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압박판(109)에 의한 블리스터 포장체(4)의 끼움 지지 상태가 개폐 부재(108)의 회전 위치에 따라 변화된다. 즉, 개폐 부재(108)가 폐쇄 위치에 위치할 때, 가장 끼움 지지 상태가 견고한 것이 된다. 이 때문에, 단수를 분리시킨 잔여의 블리스터 포장체(4)를 사용하지 않는 상태에서의 끼움 지지 상태를 안정시킬 수 있다. 또한, 개폐 부재(108)가 개방 위치에 위치할 때, 끼움 지지하는 힘이 가장 약해진다(단, 끼움 지지한 블리스터 포장체(4)의 하방측에는 개폐판(118)의 제2 평탄부(123)가 위치하여 낙하하는 일은 없다.). 이에 의해, 파지 부재(35)로 블리스터 포장체(4)를 파지하여 간단하게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5 실시 형태)
도 14에 도시하는 제1 불출 부재(133)는 상기 실시 형태의 구성에 더하여 개폐 도어(102)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 기구(134)를 구비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주로 이 구동 기구(134)에 대하여 언급하고, 다른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구동 기구(134)는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착 플레이트(135)에 설치한 모터(136)의 구동력을 기어를 통하여 회전 핀(140)에 전달하도록 구성되고, 카세트(100)의 사이즈에 따라 폭 방향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여기서는 사이즈가 상이한 3종류의 카세트(100)에 대응하여 3개소의 가이드 위치와 1개소의 퇴피 위치에 위치 결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구동 기능(134)의 상세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즉, 모터(136)의 회전축에는 구동 기어(137)가 형성되고, 이 구동 기어(137)에는 중간 기어(138)가 맞물리고, 이 중간 기어(138)에는 종동 기어(139)가 맞물려 있다. 종동 기어(139)의 단면에는 회전 핀(140)을 갖는 종동 플레이트(141)가 일체화되어 있다. 회전 핀(140)은 그 선단 부분을 개폐 부재(108)의 개폐 지지부(117)(한쪽 아암부(119))에 형성한 조작 구멍(121) 내에 위치시킨다. 또한, 부착 플레이트(135)에는 카세트 본체(101)의 가이드 구멍(105) 및 도어 본체(107)의 가이드 오목부(112)에 위치 결정되는 가이드 핀(135a)이 일체화되어 있다. 가이드 핀(135a)의 선단은 원추 형상으로 형성되고, 가이드 구멍(105)에의 침입을 용이하게 해서 가이드 오목부(112)의 원추 받이면에 접촉한다. 가이드 핀(135a)을 가이드 구멍(105) 및 가이드 오목부(112) 내에 위치시키고, 회전 핀(140)을 조작 구멍(121) 내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모터(136)를 정역 회전 구동하면, 기어를 통하여 종동 플레이트(141) 즉 회전 핀(140)이 회전한다. 이에 의해, 개폐 부재(108)는 가이드 핀(135a)에 의해 위치 결정된 상태에서, 지지축(120)을 중심으로 하여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의 사이에서 회전한다. 또한, 모터(136)로부터 종동 플레이트(141)에 이르기까지의 동력 전달 경로의 어느 하나(예를 들면, 종동 기어(139)의 회전축)에 토크 리미터 등을 설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구동 기구(134)에 의해 개폐 도어(102)를 폐쇄 위치에 회전시킬 때, 카세트 본체(101)측에 필요 이상의 부하가 작용하지 않아 손상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의 약제 불출 장치는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되고,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 나열하여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양측에는 트레이 공급 유닛(142)과 트레이 적상 유닛(143)을 각각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하방측에 반송 라인(144)(벨트 컨베이어 등)을 설치하도록 하면 된다.
트레이 공급 유닛(142)에서는 빈 트레이(148)가 복수 적재된 상태로 세팅되어 있다. 그리고, 최하부에 위치하는 트레이(148)부터 차례로 반송 라인(144)에 공급된다. 반송 라인(144)에 공급된 트레이(148)는 약제 불출 장치(149)에 반송되고, 그곳에서 처방 데이터에 기초하여 해당하는 약제가 불출된다. 약제가 불출된 트레이(148)는 다시 트레이 적상 유닛(143)에 반송되고, 그곳에서 저널 프린터(145)로부터 도 17에 도시하는 불출 약제의 일람표(처방 데이터)가 인자된 용지(지시전(146))가 공급된다. 그리고, 트레이 적상 유닛(143)의 상방측에 반송된다. 트레이(148)가 상방측에 반송되어 위치 결정되면, 그 위치의 LED(147)가 점등하고, 트레이(148)에의 약제의 불출이 완료된 것이 통지된다. 또한, LED(147) 대신에 액정 패널 등으로 구성하고, 환자명 등을 표시하도록 하여도 된다.
그런데, 결품 등에 의해 처방 데이터에 포함되는 모든 약제의 불출이 완료되어 있지 않으면, 트레이 적상 유닛(143)에서는 다른 색의 LED(147)를 점등시키거나 「손」 등의 문자를 표시시키거나 하여 사용자가 수작업으로 보급할 필요가 있는 부족 약제가 있음을 통지한다. 또한, 저널 프린터(145)로 인쇄하여 각 트레이(148)에 불출하는 지시전(146)에는 약제 불출 장치로 불출할 수 없었던 약제에 대하여 다른 것과 식별 가능(예를 들면, 붉은 글자)하게 인쇄한다(다른 부분은 검은 글자). 즉, 카세트(100) 내의 블리스터 포장체(4)가 결품되어 있는 경우와, 손 불출 약제(약제 불출 장치(149)에 세팅할 수 없는, 사람의 손을 통하여 불출할 필요가 있는 약제)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사용자(약사)가 이 약제를 보급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그 취지를 LED(147) 및 지시전(146)으로 통지한다.
이에 의해, 약사가 트레이(148) 내에 약제를 보급할 때, LED(147)가 점등된 트레이(148)를 취출하면 된다. 그리고, 지시전(146)의 붉은 글자로 인쇄된 약제를 수작업에 의해 보급하면 되므로 처방을 잊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그 지시전(146)에는 바코드가 인쇄되어 있다. 이 바코드를 바코드 리더로 판독함으로써, 예를 들면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내의 기억부에 그것을 기억시킬 수 있다. 또한, 서버 등과 통신하여 PDA의 화면에 처방 데이터 내의 부족 약제를 표시시킬 수도 있다. 트레이(148)에 약제를 보급하는 경우, 지시전(146)의 바코드와 보급하는 약제가 수용된 약제 상자의 바코드를 바코드 리더로 각각 판독함으로써, 보급하는 약제에 실수가 없도록 체크하면 된다. 이에 의해, 사람의 손을 통하여 약제를 트레이(148)에 보급한 경우이어도, 그 내용을 기록해 둘 수 있고, 약제 불출 장치(149)와의 불출 기록과 함께 모든 약품 불출 기록(트레이서빌리티)을 관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6 실시 형태)
결품이 발생한 약제의 보급은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용의 충전대(150)로 행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충전대(150)는 경사면(151)을 구비하고, 이 경사면(151)에 카세트(100)를 전면측이 하방측에 위치하도록 적재한다. 경사면(151)의 우반부의 상방측에는 표시 패널(152)이 설치되어 있다. 보급하는 약제가 수용된 약제 상자의 바코드를 바코드 리더(153)로 판독함으로써, 표시 패널(152)의 상방란에 약제명이 표시된다. 또한, 바코드 리더(153)로 제약 회사로부터의 약병에 점착한 라벨의 약종을 식별하기 위한 바코드를 읽어들임으로써, 표시 패널(152)의 하방란에 충전해야 할 약제명이 표시된다. 사용자는 약제명을 비교하고, 합치되어 있으면 「수동 입력」 버튼(154) 또는 「자동 카운트」 버튼(155)을 조작한다. 단, 약제명이 일치하고 있는지의 여부는 자동 판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일치하고 있는 경우와 불일치의 경우에서 식별 가능하게 표시하도록 하면 된다.
「수동 입력」 버튼(154)을 조작한 경우, 텐키(156)로 보충할 블리스터 포장체(4)의 시트 매수를 입력한다. 이에 의해, 표시 패널(152)에 시트 매수가 표시된다. 사용자는 표시된 시트 매수분의 블리스터 포장체(4)를 카세트(100) 내에 충전하면, 「송신」 버튼(157)을 조작함으로써 서버 등에 그 데이터를 송신하여 기억시킨다. 「자동 카운트」 버튼(155)을 조작한 경우, 사용자에 의해 블리스터 포장체(4)를 카세트(100) 내에 충전하면, 경사면(151) 상부에 설치한 측장 센서(158)에 의해 카세트(100) 내의 시트 매수가 자동적으로 카운트된다(이 경우, 카세트(100)의 후단 벽에는 정 가중 스프링에 의해 방해받지 않고 최후단측의 블리스터 포장체(4)를 검출 가능한 개구부가 필요해진다.). 그리고, 블리스터 포장체(4)의 충전이 완료되면, 상기와 마찬가지로 「송신」 버튼(157)을 조작하고, 서버 등에 그 데이터를 송신하여 기억시킨다.
이와 같이, 충전대(150)를 이용하여 카세트(100) 내에 블리스터 포장체(4)를 충전하는 경우, 카세트(100)를 경사면(151)에 적재한 상태에서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충전 작업을 간단하고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충전하는 블리스터 포장체(4)의 시트 매수는 수동 또는 자동으로 서버 등에 송신하여 기억시켜 둘 수 있기 때문에, 카세트(100) 내의 블리스터 포장체(4)의 시트 매수를 정확하게 파악해 두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7 실시 형태)
블리스터 포장체(200)로서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단측에 파지 영역(201)을 구비하고, 이 파지 영역(201)으로부터 2열로 연장하고, 각 열에는 복수의 약품이 1개씩 소정 간격으로 포장된 것을 사용하고 있다. 이 블리스터 포장체(200)에는 각 열에서 인접하는 2개 1조로 되고, 각 조의 사이에는 분리 가능한 재봉선이 형성되고 있다(즉, 여기서는 2개의 정제가 손으로 분리 가능한 최소 단위로 되어 있다.). 그리고, 단수를 불출하는 경우, 전술한 절단 부재(36)에 의해 도 19 중 이점쇄선으로 나타내는 위치에서 절단한다.
상기 블리스터 포장체(200)는 도 20에 도시하는 구성의 카세트(210)에 수용된다. 카세트(210)는 상기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카세트(100)와 거의 마찬가지의 구성, 즉 카세트 본체(211)와 개폐 도어(212)를 구비하고,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
즉, 카세트 본체(211) 내에 배치되는, 정 가중 스프링(콘스톤)을 갖는 압출 부재(213)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이고, 상면에는 오목하게 되는 오목부(213a)가 형성되고, 하면에는 카세트 본체(211)의 저면에 형성된 2개의 돌조부(211a)의 사이를 미끄럼 이동하는 돌기(도시 생략)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압출 부재(213)의 전면측에는 폭 방향으로 돌출한 플랜지부(213b)와 상단 중앙부로부터 하방측을 향하는 경사면을 구비한 오목부(213c)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213c)는 카세트 본체(211) 내에 잔류하는 최종의 블리스터 포장체(200)를 불출할 때, 설령 압하부(41)와 압출 부재(213)가 서로 간섭하였다고 하더라도 압하부(41)를 밀어 되돌릴 수 있는 스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카세트 본체(211)의 전면측 내벽에도 마찬가지의 오목부(217)가 형성되고, 압하부(41)의 압하 위치가 다소 어긋났다고 하더라도 간섭하는 것을 회피 혹은 경감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카세트 본체(211)의 저면 전단부에는 2개소의 핀 대신에 2매의 가이드 플레이트(214)가 전후 방향에 위치를 조정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가이드 플레이트(214)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블리스터 포장체(200)가 밀려 내려가서 연통구(215)를 통과할 때, 다음에 위치하는 블리스터 포장체(200)가 함께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가이드 플레이트(214)는 선단 부분(연통구(215)측에 돌출하는 부분)이 상방을 향하여 만곡하는 만곡부(214a)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만곡부(214a)는 카세트 본체(211)로부터 배출되기 직전의 선두의 블리스터 포장체(200)를 들어 올리고, 다음 블리스터 포장체(200)와의 위치를 비켜 놓는 역할을 한다. 일반적으로 블리스터 포장체(200)는 상자에 수용되어 납품되는 관계상,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정제가 수용된 돌출측이 움푹 들어가도록 만곡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선두의 블리스터 포장체(200)만을 연통구(215)로부터 원활하게 배출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가이드 플레이트(214)에 만곡부(214a)를 형성하여 선두의 블리스터 포장체(200)와 다음 블리스터 포장체(200)의 위치를 비켜 놓고, 선두의 블리스터 포장체(200)만을 만곡부(214a)를 타고 넘어가게 함으로써 확실하게 배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카세트 본체(211)의 전단 내면에는 병설된 블리스터 포장체(200)의 상단 가장자리부를 누르는 압박편(216)이 폭 방향의 2개소에 형성되어 있다. 압박편(216)은 블리스터 포장체(200)의 사이즈에 맞춰 상하 방향에 위치를 조정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압박편(216)은 최전열의 블리스터 포장체(200)가 연통구(215)을 통과한 후, 압하부(41)가 상승할 때, 압하부(41)에 접촉하는 다음 블리스터 포장체(200)와, 또 그 다음 포장체(200)가 들뜨는 것을 방지한다.
블리스터 포장체(200)로부터 단수를 분리시키는 경우, 각 구성 부품을 다음과 같이 구동 제어하고 있다(단수 분리 처리).
즉, 도 21 내지 도 23의 흐름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선 수신 혹은 입력된 약품의 불출 명령 중에 단수 오더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지의 여부(약품의 불출 명령에 단수를 포함하는 데이터가 없는지(S=0)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 단수 오더가 있으면, 개폐 도어(212)에 단수용 블리스터 포장체(200)(블리스터 포장체(200)로부터 단수의 약품을 절단한 나머지)가 지지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2). 지지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제4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하여 개폐 도어(212)를 개방하고, 카세트(200)로부터 개폐 도어(212)에 블리스터 포장체(200)를 배출한다(스텝 S3).
그리고, 단수 오더수(S)가 재고 약품수(A)(개폐 도어(212)에 지지되어 있는 단수용 블리스터 포장체(20)의 약품수)보다도 큰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4). 단수 오더수(S)가 재고 약품수(A)보다도 크면, 단수용 블리스터 포장체(200)를 일단측으로부터 소정 치수 절단함으로써, 파지 영역(201)을 남기고 상하 각열에 분리한다. 그리고, 단수용 블리스터 포장체(200)를 파지 영역(201)측에서 절단함으로써, 파지 영역(201)으로부터 모든 약품을 분리시킨다(스텝 S5). 즉, 단수용 블리스터 포장체(200)의 약품을 모두 불출한다. 그리고, 재고 약품수(A)를 갱신하여 「0」으로 한 후(스텝 S6), 스텝 S1에 복귀하여 마찬가지의 처리를 반복한다.
단수 오더수(S)가 재고 약품수(A) 이하이면, 단수 오더수(S)가 단수용 블리스터 포장체(200)의 상방열의 정제수(Aup)와 동일한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7). 단수 오더수(S)가 단수용 블리스터 포장체(200)의 한쪽 열(여기서는, 상방열)의 정제수(Aup)와 동일하면, 단수용 블리스터 포장체(200)의 상방열의 약품을 모두 분리시킨다(스텝 S8). 그리고, 재고 약품수(A)를 (A-S)로 갱신하고(스텝 S11), 단수 분리 처리를 종료한다. 단수 오더수(S)가 단수용 블리스터 포장체(200)의 상방열의 정제수(Aup)와 동일하지 않으면, 다른 쪽 열(여기서는, 하방열)의 상방열로부터 밀려나온 부분의 약품수(Adw-Aup)가 단수 오더수(S)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9).
밀려나온 부분의 약품수(Adw-Aup)가 단수 오더수(S) 이상이면, 하방열을 단수 오더수(S)만큼 절단한다(스텝 S10). 그리고, 상기와 마찬가지로 재고 약품수(A)를 갱신(A→A-S)하고(스텝 S11), 단수 분리 처리를 종료한다.
밀려나온 부분의 약품수가 단수 오더수(S) 이하이면, 상방열의 약품수(Aup)가 단수 오더수(S)보다도 큰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2). 상방열의 약품수(Aup)가 단수 오더수(S)보다도 크면, 절단 후에 남는 상방열의 약품수가 2 이상이 되는지의 여부(Aup-S>1)를 판단한다(스텝 S13). 이는 다음에 절단할 때가 1개만으로 불출되는 경우가 없도록, 남는 약품수가 1개로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절단 후에 남는 상방열의 약품수(Aup)가 2 이상이 되는 경우, 블리스터 포장체(200)를 일단측으로부터 소정 치수 절단(가로 커트)하고, 상하 2열로 분리한다(스텝 S14). 그리고, 블리스터 포장체(200)를 90도 선회시켜 상방열을 단수 오더수(S)로 절단(세로 커트)하고(스텝 S15), 재고 약품수(A)를 갱신(A→A-S)함과 함께 단수 오더수(S)를 갱신(S→0)한다(스텝 S16).
절단 후에 남는 상방열의 약품수(Aup)가 1개로 되는 경우, 단수 오더수(S)가 3 이하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7). 단수 오더수(S)가 3 이하인 경우, 상방열의 나머지가 4 이하로 되기 때문에, 희망하는 바와 같은 절단 방법으로는 절단할 수 없다고 판단하고, 상방열에서 단수 오더수(S)만큼 절단한다(스텝 S18). 그리고, 재고 약품수(A)를 갱신(A→A-S)함과 함께 단수 오더수(S)를 갱신(S→0)한다(스텝 S19). 한편, 단수 오더수(S)가 4를 초과하고 있으면, 단수 오더수(S)에 1을 가산한 후, 2로 제산한 값(B)으로 상방열의 약품을 절단한다(스텝 S20). 그리고, 재고 약품수(A)를 갱신(A→A-B)함과 함께 단수 오더수(S)를 갱신(S→S-B) 한 후(스텝 S21), 상기 스텝 S1에 복귀하여 마찬가지의 처리를 반복한다.
상방열의 약품수(Aup)가 단수 오더수(S) 이하이면(스텝 S12:NO), 상기와 같이 다음에 절단한 후에 남는 상방열의 약품수가 2 이상이 되는지의 여부를(S-Aup>1?)를 판단한다(스텝 S22). 절단 후에 남는 상방열의 약품수가 2 이상이 되는 경우, 블리스터 포장체(200)를 일단측으로부터 소정 치수 절단(가로 커트)하고, 상하 2열로 분리한다(스텝 S23). 그리고, 블리스터 포장체(200)를 90도 선회시켜 단수 오더수(S)에 따라 상방열을 절단하고(스텝 S24), 재고 약품수(A)를 갱신(A→A-S)함과 함께 단수 오더수(S)를 갱신(S→0)한 후(스텝 S26), 상기 스텝 S1에 복귀하여 마찬가지의 처리를 반복한다.
절단 후에 남는 상방열의 약품수가 1이면(스텝 S22:NO), 단수 오더수 S가 3 이하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26). 단수 오더수(S)가 3 이하이면, 상방열을 절단하고(스텝 S27), 블리스터 포장체(200)의 잔여의 약품수(A)를 갱신(A→A-S)함과 함께 단수 오더수(S)를 갱신(S→0)한다(스텝 S28). 단수 오더수(S)가 3을 초과하고 있으면, 하방열의 약품수가 상방열의 약품수보다도 많은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29). 하방열의 약품수가 상방열의 약품수보다도 많으면, 단수 오더수(S)의 절반을 상방열로부터 절단하고(스텝 S30), 블리스터 포장체(200)의 잔여의 약품수(A)를 갱신(A→A-B)함과 함께 단수 오더수(S)를 갱신(S→S-B)한다(스텝 S31). 또한, 하방열의 약품수가 상방열의 약품수 이하이면, 단수 오더수(S)에 1을 가산하여 2로 제산한 값의 정수부에 상당하는 약품을 상방열로부터 절단하고(스텝 S32), 스텝 S31에 이행한다. 그 후, 스텝 S1에 복귀하여 상기 처리를 반복한 결과, 단수 오더수(S)가 「0」이 되면(스텝 S1:예), 상기 일련의 처리를 종료한다.
이와 같이 상기 실시 형태에 의하면, 단수 오더에 따라 블리스터 포장체(200)를 절단할 때, 절단된 약품이 가능한 한 1개로 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즉, 절단된 약품이 1개로 된 경우, 환자가 실수로 포장 부분으로부터 약품을 취출하지 않고 그대로 복용할 우려가 있는데, 그러한 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이를 위한 절단 방법으로서, 블리스터 포장체(200)를 상하 2열의 약품군으로 잡고, 90도 선회시킴으로써, 1개의 절단 부재(36)이어도 적절하게 절단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제7 실시 형태에서는 우선 블리스터 포장체(200)를 횡방향, 즉 약품군이 상하 2열로 배치되도록 하여 절단한 후, 종방향으로서 절단하도록 하였으나, 절단할 때의 블리스터 포장체(200)의 방향은 절단 부재(36)의 구성에 따라 자유롭게 변경하면 된다.
또한, 상기 제7 실시 형태에서는 가로 커트는 파지 영역(201)을 남기고 상하열의 약품을 완전하게 2분할하여도 되고, 그때마다 필요한 약품수만큼 절단하여도 된다. 또한, 파지 영역(201)측의 최종 1약품분(상하열로 2약품분)을 남기고 2분할하여도 된다. 이 경우, 최종 상하열의 2 약품을 합하여 절단할 수 있기 때문에, 1 약품분만이 불출되는 빈도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제7 실시 형태에서는 블리스터 포장체(200)로서 2열로 약제를 포장한 것을 도시하였으나, 3열 이상의 것이어도, 단수를 전술한 바와 같이 하여 절단함으로써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도 21의 흐름도에서 스텝 S7 이후의 처리를 열수에 따라 추가하도록 하면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카세트 본체(9, 101, 211)의 취출구(15)의 일부를, 스프링(17)에 의해 압박된 폐쇄편(16)이나 고정된 폐쇄편(16)에 의해 폐쇄하거나, 취출구(15)의 일부에 핀이나 가이드 플레이트(214)를 돌출시키거나 하여 블리스터 포장체(4, 200)를 1매만 통과 가능하게 하였으나, 고정된 폐쇄편(16)과 탄성을 갖는 가이드 플레이트(214)로 구성하거나, 스프링(17)에 의해 압박된 폐쇄편(16)과 강성을 갖는 가이드 플레이트(214)로 구성하거나 하는 등의 조합이 가능하다.
(제8 실시 형태)
도 25 및 도 26에 도시하는 카세트(300)에서는 단판을 향하여 블리스터 포장체(301)의 시트측(정제가 수용되어 부풀어진 쪽과는 반대측)을 압박하도록 하고 있다. 블리스터 포장체(301)는 구조상,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짧은 길이 방향에 만곡하기 쉽다. 따라서, 카세트(300)의 내면이 평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었던 것에서는, 블리스터 포장체(301)가 접촉할 때 양쪽 가장자리부가 내측에 돌출하여 취출구(309)로부터 잘 배출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제8 실시 형태에서는 다음과 같은 구성을 구비하고 있다.
즉, 카세트 본체(302)의 일단측에 위치하는 단판(303)의 내면측 2개소에 폭 방향에 소정 간격으로 곡면 받침부(304)가 각각 장착되어 있다. 곡면 받침부(304)의 외면부는 전체적으로 단면이 거의 T자형이 되는 부착부(305)이고, 이 부착부(305)는 단판(303)에 형성한 부착 홈(303a)에 분해 가능하게 장착된다. 곡면 받침부(304)는 카세트 본체(302) 내에 위치하는 내면에 만곡면(304a)를 갖는다. 만곡면(304a)은 상하 방향의 대략 중앙부(수용되는 블리스터 포장체(301)의 폭 방향의 중앙 부분에 대응하는 부위인 것이 바람직하다.)에서 가장 움푹 들어간 형상이다. 따라서, 곡면 받침부(304)의 내면은 상하의 평탄면(304b)으로부터 거의 중앙부에 접근함에 따라 서서히 움푹 들어가도록 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만곡면(304a)의 최대 오목부 치수는 블리스터 포장체(301)의 두께 이하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곡면 받침부(304)는 단판(303)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되어 있고, 블리스터 포장체(301)의 시트부(301a)의 폭 치수나 형상의 차이에 따라 적절한 것으로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카세트 본체(302)의 저면 전단부에는 폭 방향의 2개소에 가이드 플레이트(306)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 플레이트(306)는 상기 제7 실시 형태에 기재된 것과 마찬가지로 상기 단판(303)을 향하여 서서히 상방측에 돌출하는 제1 만곡면(307)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제1 만곡면(307)으로부터 선단 부분에는 볼록 형상으로 형성된 제2 만곡면(308)(안내면)이 설치되어 있다. 제2 만곡면(308)은 그곳을 미끄럼 접촉하는 블리스터 포장체(301)를 취출구(309)에 유도함과 함께, 이 블리스터 포장체(301)가 짧은 길이 방향에 만곡되어 있으면, 곧게 되도록 하는 방향에 힘을 작용시킨다. 가이드 플레이트(306)는 폭 방향(도 26 중 상하 방향)에 위치를 조정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에 의해, 가이드 플레이트(306)를 블리스터 포장체(301)의 정제의 사이에 위치 결정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플레이트(306)는 단판(303)과의 사이에 시트부(301a)가 1매만 통과 가능한 약간의 간극을 형성하여 부착되어 있다. 이에 의해, 취출구(309)의 근방에 위치하는 블리스터 포장체(301)의 하부 가장자리부를 확실하게 지지할 수 있고, 블리스터 포장체(301)가 겹쳐서 불출되거나 막힘이 발생하거나 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 기재한 폐쇄편(16) 등도 불필요하게 된다.
또한, 카세트 본체(302)로부터 블리스터 포장체(301)를 배출하기 위한 압하부(310)는 판 형상체의 하단 부분이 가이드부(311)로 구성되어 있다. 가이드부(311)에 계속되는 상방측 부분에는 제1 받침부(312)가 형성되어 있다. 제1 받침부(312)는 가이드부(311)로부터 예각으로 돌출하는 제1 받침면(312a)을 구비하고, 이 제1 받침면(312a)에서 블리스터 포장체(301)의 시트부(301a)의 가장자리를 밀어 내리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제1 받침부(312)에 계속되는 상방측 부분에는 제2 받침부(313)가 형성되어 있다. 제2 받침부(313)는 제1 받침부(312)로부터 연장하는 평면(312b)으로부터 둔각으로 돌출하는 제2 받침면(313a)을 구비한다. 이 제2 받침면(313a)은 제1 받침부(312)로 밀어 내릴 수 없을 만큼 만곡한 블리스터 포장체(301)의 시트면(301b)에 접촉한다. 또한, 제1 받침부(312)로부터 연장하는 평면(312b)에는 마찰 형성부(314)가 설치되어 있다. 마찰 형성부(314)는 클로로프렌고무(CR:Chloroprene Rubber, 네오프렌고무) 등의 마찰 계수가 높은 재료를 점착한 것이다. 제2 받침면(313a) 및 마찰 형성부(314)의 작용에 의해 만곡한 블리스터 포장체(301)이어도 밀어 내리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압하부(310)는 제2 받침부(313)가 가이드 플레이트(306)를 통과하는 위치까지 강하하도록 구성되어 만곡량이 큰 블리스터 포장체(301)이어도 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8 실시 형태에서는 카세트(300)로부터의 블리스터 포장체(301)의 불출은 다음과 같이 된다.
즉, 카세트(300) 내의 블리스터 포장체(301)는 가이드 플레이트(306)의 제1 만곡면(307)에 의해 일단측을 향함에 따라 서서히 상방에 위치를 이동시킨다. 그리고, 블리스터 포장체(301)가 제2 만곡면(308)에 이르면, 만곡되어 있는 것은 평탄 형상이 되도록 하는 힘이 부여되면서 이동하여 취출구(309)의 상방(배출 위치)에 이른다.
배출 위치에서는 블리스터 포장체(301)는 시트면(301b)을 곡면 받침부(304)에 접촉시킨다. 즉, 평탄한 블리스터 포장체(301)이면, 그 상하 가장자리부를 곡면 받침부(304)의 평탄면(304b)에 접촉시킨다. 또한, 짧은 길이 방향에 만곡한 블리스터 포장체(301)이면, 곡면 받침부(304)의 만곡면(304a)에 의해 시트면(301b)의 접촉 위치가 변경된다. 즉, 접촉 위치는 시트면(301b)의 만곡해서 가장 돌출한 중앙부의 위치가 아니라, 그 상하로 빗겨난 위치가 되고, 만곡하여 돌출하는 부분은 만곡면(304a)이 형성되는 오목 부분에 위치하게 된다. 이 때문에, 블리스터 포장체(301)의 상하 가장자리부의(곡면 받침부(304)로부터의) 돌출 치수를 억제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압하부(310)를 강하시키면, 가이드부(311)가 곡면 받침부(304)에 의해 단판(303)과 선두의 블리스터 포장체(301)의 사이에 형성된 간극에 침입한다.
그리고, 블리스터 포장체(301)가 만곡하고 있지 않거나 만곡하고 있어도 그 양이 적은 경우, 제1 받침부(312)의 제1 받침면(312a)이 블리스터 포장체(301)의 시트부(31a)의 측가장자리부에 접촉한다. 제1 받침면(312a)은 예각으로 형성되어 있고, 블리스터 포장체(301)가 약간 만곡하고 있는 경우, 접촉한 상방측의 측가장자리부를 가이드부(311)측에 유도한다. 한편, 블리스터 포장체(301)의 하방측의 측가장자리부는 가이드 플레이트(306)의 제2 만곡면(308)에 의해 취출구(309)측에 힘이 부여된다. 이에 의해, 블리스터 포장체(301)는 원활하게 취출구(309)로부터 불출된다.
또한, 블리스터 포장체(301)가 크게 만곡하여 곡면 받침부(304)의 만곡면(304a)에 의해서도 측가장자리부의 돌출량을 흡수할 수 없는 경우, 압하부(310)의 제2 받침부(313)의 제2 받침면(313a)과 마찰 형성부(314)가 블리스터 포장체(301)의 시트면(301b)의 상방측에 접촉한다. 또한, 블리스터 포장체(301)의 하방측의 측가장자리부는 상기와 마찬가지로 가이드 플레이트(306)의 제2 만곡면(308)에 접촉하여 힘이 부여된다. 이에 의해, 블리스터 포장체(301)는 크게 만곡하고 있었다고 하더라도 취출구(309)에 배출되게 된다.
또한, 블리스터 포장체(301)를 카세트(300)에 충전할 때, 1매째가 취출구(309)로부터 낙하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제2 만곡면(308)의 선단 부분에 취출구(309)를 막는 회전식 셔터를 설치하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상기 제8 실시 형태에서는 가이드 플레이트(306)에 가이드면으로서 제1 만곡면(307) 및 제2 만곡면(308)을 형성하도록 하였으나, 이들은 만곡면에 한하지 않고, 경사면 등의 다른 가이드면으로 구성하여도 된다.
1: 장치 본체
2: 카세트(수용 용기)
3: 불출 부재
4: 블리스터 포장체
5: 프레임
6: 외장 패널
7: 반송 장치
8: 카세트 장착부
9: 카세트 본체
10: 개폐 도어
11: 가이드 홈
12: 압출 부재
13: 미끄럼 이동부
14: 압박편
15: 취출구
16: 폐쇄편
17: 스프링
18: 연통부
19: 단부
20: 걸림편
21: 전면부
22: 가이드부
23: 절결부
24: 구동 기구
25: 압입 바
26: 제1 기어
27: 제2 기어
28: 걸림 기어
29: 조작부
30: 자성부
31: 발광부
32: 베이스
33: 제1 불출 부재
34: 제2 불출 부재
35: 파지 부재
36: 절단 부재
37: 회수 부재
38: 수직 레일
39: 수평 레일
40: 랙
41: 압하부
42: 전자석부
43: 압입부
44: 이동편
45: 스크루
46: 전판
47: 후판
48: 지지대
49: 고정날
50: 가동날
51: 회전 플레이트
52: 안내 통로
53: 회수 용기
100: 카세트
101: 카세트 본체
102: 개폐 도어
103: 정 가중 스프링
104: 관통 구멍
105: 가이드 구멍
106: 결합 구멍
107: 도어 본체
108: 개폐 부재
109: 압박판
110: 나사 구멍
111: 지지 오목부
112: 가이드 오목부
113: 도피 홈
114: 압하편
115: 도어 본체 베어링부
116: 돌조부
117: 개폐 지지부
118: 개폐판
119: 아암부
120: 지지축
121: 조작 구멍
122: 제1 평탄부
123: 제2 평탄부
124: 오목부
125: 개구부
126: 절결부
127: 결합 돌기부
128: 압박판 베어링부
133: 제1 불출 부재
134: 구동 기구
135: 부착 플레이트
136: 모터
137: 구동 기어
138: 중간 기어
139: 종동 기어
140: 회전 핀
141: 종동 플레이트
142: 트레이 공급 유닛
143: 트레이 적상 유닛
144: 반송 라인
145: 저널 프린터
146: 지시전
147: LED
148: 트레이
149: 약제 불출 장치
150: 충전대
151: 경사면
152: 표시 패널
153: 바코더 리더
154: 「수동 입력」 버튼
155: 「자동 카운트」 버튼
156: 텐키
157: 「송신」 버튼
158: 측장 센서
159: 스프링
200: 블리스터 포장체
201: 파지 영역
210: 카세트
211: 카세트 본체
211a: 돌조부
212: 개폐 도어
213: 압출 부재
213a: 오목부
213b: 플랜지부
213c: 오목부
214: 가이드 플레이트
215: 연통구
216: 압박편
300: 카세트
301: 블리스터 포장체
301a: 시트부
301b: 시트면
302: 카세트 본체
303: 단판
303a: 부착 홈
304: 곡면 받이부
304a: 만곡면
304b: 평탄면
305: 부착부
306: 가이드 플레이트
307: 제1 만곡면
308: 제2 만곡면
309: 취출구
310: 압하부
311: 가이드부
312: 제1 받이부
312a: 제1 받이면
312b: 평면
313: 제2 받이부
313a: 제2 받이면
314: 마찰 형성부

Claims (15)

  1. 장치 본체(1)와,
    상기 장치 본체에 격자 형상으로 장착된 복수의 약제 수용 용기(2)와,
    상기 장치 본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수용 용기까지 이동하여 약제를 불출시키는 불출 부재(3)를 구비하고,
    상기 수용 용기에 수용된 약제는, 상기 수용 용기의 인출 방향으로 적층되어 있고,
    상기 수용 용기는 수용된 약제를 상기 수용 용기의 개폐 도어측으로 압박하는 압출 부재(12)를 구비하고,
    상기 불출 부재(3)는, 베이스(32)와, 베이스에 설치된 제1 불출 부재(33)와, 베이스에 설치된 제2 불출 부재(34)를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는 장치 본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처방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1 불출 부재와 제2 불출 부재를 수용 용기까지 이동시키고,
    상기 제1 불출 부재는 수용 용기내의 선두에 위치한 약제를 압출하고,
    상기 제2 불출 부재는 수용 용기를 배출 위치로 인출시키고,
    상기 배출 위치는 수용 용기 내의 선두에 위치한 약제가 다른 수용 용기의 전방면보다 앞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불출 부재가 선두에 위치한 약제를 압출하는 것이 가능한 위치이며,
    상기 제1 불출 부재는 선두에 위치한 약제를 압출하는 압하부(41)를 구비하고, 상기 압하부가 약제를 압출하는 방향은 상기 수용 용기의 인출 방향과 다른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불출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는 블리스터 포장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불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 수용 용기는 저면 전단부에 약제 취출을 위한 취출구(15)를 구비하고,
    상기 불출 부재는, 상기 수용 용기가 전방으로 인출된 약제의 불출 위치에 위치하였을 때, 상기 수용 용기의 선두에 위치하는 상기 약제를 밀어 내리는 제1 불출 부재(33)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불출 부재는 약제 수용 용기의 선두에 위치하는 약제를 상기 취출구(15)로 밀어 내리도록 승강이동을 하는 압하부(41)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불출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불출 부재는 인력(引力)에 의해 상기 수용 용기를 인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불출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불출 부재는 전자석부(42)를, 상기 수용 용기는 자성부(30)를 구비하여, 상기 전자석부를 여자하는 것으로 수용 용기를 인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불출 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불출 부재에 의해 불출된 블리스터 포장체를 파지하여 반송하는 파지 부재(35)와,
    상기 파지 부재에 파지되어 반송되어 온 블리스터 포장체로부터 단수분을 절단하는 절단 부재(36)를 구비하고,
    상기 수용 용기는, 일단측 저면에 형성되는, 블리스터 포장체를 취출하기 위한 취출구(15)와, 수용한 블리스터 포장체를 일단측을 향하여 압박하는 압박편(14)과, 일단면에 배치되는 개폐 도어(10)를 구비하고,
    상기 개폐 도어는, 수용 용기의 취출구로부터 배출되는 블리스터 포장체를 지지하는 지지부(22)를 구비하고, 불출 부재에 의한 블리스터 포장체의 불출 동작을 저지하는 폐쇄 위치와, 불출 부재에 의한 블리스터 포장체의 불출 동작을 허용하는 제1 개방 위치와, 불출 부재에 의한 블리스터 포장체의 불출 동작을 허용하여, 불출한 블리스터 포장체를 지지부에 지지 가능하게 하는 제2 개방 위치에 위치 결정 가능하고,
    상기 파지 부재는, 제2 개방 위치에서 개폐 도어의 지지부에 지지된 블리스터 포장체를 파지하여 절단 부재에 반송 가능하고, 절단 부재로 단수분이 절단된 후의 블리스터 포장체의 잔여를 반송하여 개폐 도어의 지지부에 지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불출 장치.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117006273A 2008-09-19 2009-09-18 약제 불출 장치 KR1017040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241652 2008-09-19
JP2008241652 2008-09-19
JP2009072877 2009-03-24
JPJP-P-2009-072877 2009-03-24
JPJP-P-2009-172207 2009-07-23
JP2009172207 2009-07-23
JP2009214317A JP5434420B2 (ja) 2008-09-19 2009-09-16 薬剤払出装置及び薬剤払出方法
JPJP-P-2009-214317 2009-09-16
PCT/JP2009/004714 WO2010032479A1 (ja) 2008-09-19 2009-09-18 薬剤払出装置及び薬剤払出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5666A KR20110055666A (ko) 2011-05-25
KR101704068B1 true KR101704068B1 (ko) 2017-02-22

Family

ID=42039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6273A KR101704068B1 (ko) 2008-09-19 2009-09-18 약제 불출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733217B2 (ko)
JP (1) JP5434420B2 (ko)
KR (1) KR101704068B1 (ko)
CN (2) CN103895997B (ko)
WO (1) WO201003247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6027521B4 (de) * 2006-06-10 2016-01-07 Edwin Kohl Anlage zur personenbezogenen Bestückung von Medikamentenspendern
KR20130105793A (ko) * 2010-06-30 2013-09-26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약제 분배 장치 및 약제 분배 방법
JP4888617B1 (ja) * 2010-06-30 2012-02-29 株式会社湯山製作所 薬剤払出装置
US9968517B2 (en) * 2011-11-08 2018-05-15 Isish Healthcare System, S.L. Tube for storing unit doses of a drug, method and device for filling same and dispensing cabinet using same
JP5382263B2 (ja) * 2011-11-11 2014-01-08 株式会社湯山製作所 薬剤払出装置および薬剤残量算出方法
JP5725369B2 (ja) * 2011-12-27 2015-05-27 株式会社ダイフク 収納設備
JP2013159389A (ja) * 2012-02-08 2013-08-19 Canon Marketing Japan Inc 錠剤供給システムおよび制御方法。
EP2840547A4 (en) * 2012-04-18 2016-08-03 Jvm Co Ltd DRUG DELIVERY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YSTEM
JP6118962B2 (ja) * 2012-04-24 2017-04-26 株式会社タカゾノテクノロジー 調剤システム
US9098983B2 (en) * 2012-05-29 2015-08-04 Carefusion 303, Inc. Single-item-access drawer
US9150119B2 (en) 2013-03-15 2015-10-06 Aesynt Incorporated Apparatuses, systems, and methods for anticipating and delivering medications from a central pharmacy to a patient using a track based transport system
US20140108027A1 (en) 2012-10-12 2014-04-17 Mckesson Automation Inc. Apparatuses, systems, and methods for delivering medications from a central pharmacy to a patient in a healthcare facility
KR102049273B1 (ko) * 2013-02-13 2020-01-08 (주)제이브이엠 약제 불출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약제 불출 장치
US9254961B2 (en) 2013-03-14 2016-02-09 Jvm Co., Ltd. Apparatus for collecting dispensed drugs
WO2014175060A1 (ja) * 2013-04-23 2014-10-30 株式会社湯山製作所 薬剤払出装置、薬剤払出方法および薬剤収容カセット
CN103552797B (zh) * 2013-08-23 2015-12-16 江苏迅捷装具科技有限公司 智能推送出药翻板装置
US10998092B2 (en) * 2013-11-14 2021-05-04 Mores, Inc. Dispenser apparatus
EP3122523B1 (en) * 2014-03-26 2018-01-10 Swisslog Italia S.p.A. Singling device for blister packs
CN104016052B (zh) * 2014-06-16 2017-01-18 深圳国控医疗有限公司 非机储片剂发药装置
CA2953624C (en) 2014-07-08 2019-09-24 Medipense Inc. Pill dispenser with cylindrical package holder for array-type packages
US10343806B2 (en) 2014-07-08 2019-07-09 Medipense Inc. Mechanism for dispensing pills from an array-type package
WO2016047487A1 (ja) * 2014-09-24 2016-03-31 株式会社湯山製作所 薬剤払出装置
JP6519848B2 (ja) * 2014-12-18 2019-05-29 キヤノンマーケティングジャパ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調剤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CN105982446A (zh) * 2015-01-29 2016-10-05 Hmh株式会社 药品匣以及包括药品匣的药品柜
CN105984654A (zh) * 2015-01-29 2016-10-05 Hmh株式会社 药品匣以及包括药品匣的药品存储柜
JP6212611B2 (ja) * 2016-08-26 2017-10-11 株式会社タカゾノテクノロジー 調剤システム
EP3398630A1 (en) * 2017-05-03 2018-11-07 Sanofi-Aventis Deutschland GmbH Auto-injector storage device
WO2019050470A1 (en) * 2017-09-07 2019-03-14 Medquest Marketing Pte Ltd APPARATUS WITH GRIPPING STATION, CUTTING STATION AND LIBRARY FOR CONTROLLING PACKAGING OF MEDICAMENT PACKAGES
TWI650277B (zh) * 2017-12-15 2019-02-11 技高工業股份有限公司 取藥系統
CN107929071B (zh) * 2018-01-09 2023-07-21 南通市中医院 外用中药制剂制备机
CN108839850B (zh) * 2018-05-16 2020-04-14 重庆大学 小包装中药药柜自动吸药牵拉式斜面出药机构
CN109230158B (zh) * 2018-09-28 2023-09-12 北京和利康源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中药饮片柜的自动加药方法
CN109353735A (zh) * 2018-10-29 2019-02-19 扬州笛莎服装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化物流运输入库辅助装置及其操作方法
CN114234526B (zh) * 2021-12-28 2023-08-11 江苏中美达制冷科技有限公司 减少温湿度波动的医用冷藏箱
CN114403648B (zh) * 2022-02-28 2022-11-11 安阳工学院 一种自动分药装置及分药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46901A (en) 1984-02-02 1985-10-15 Buttarazzi Patrick J Apparatus for dispensing medication
JP2005040458A (ja) * 2003-07-25 2005-02-17 Tosho Inc 薬剤払出装置
JP2006109858A (ja) * 2004-10-12 2006-04-27 Tosho Inc 調剤用薬剤払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18759B2 (ja) 1989-03-29 1998-10-30 高園産業株式会社 ブリスター包装体の取り出し装置
JPH0383165A (ja) 1989-08-28 1991-04-09 Nec Corp カード監視装置
JP3083165B2 (ja) * 1991-02-25 2000-09-04 日本電産コパル株式会社 調剤装置
JPH04272758A (ja) * 1991-02-27 1992-09-29 Copal Co Ltd 調剤装置
CN1102264A (zh) * 1993-10-23 1995-05-03 中国人民解放军成都军区总医院 自动发药机及信息处理系统
IT1273843B (it) * 1994-12-05 1997-07-11 Ima Spa Dispositivo erogatore di un numero viariabile e predeterminabile di compresse, o prodotti farmaceutici similari, riposti entro una confezione entro una confezione blister
CN1152806C (zh) * 1999-09-24 2004-06-09 成都三九数码医药设备有限公司 中药电子调配系统
JP4272758B2 (ja) * 1999-07-27 2009-06-03 タテヤマアドバンス株式会社 壁面直付照明看板
KR100705731B1 (ko) * 1999-12-29 2007-04-10 케이비에이-지오리 에스.에이. 시트 더미(sheet stack) 절단방법 및 절단장치
US7040077B2 (en) * 2001-09-28 2006-05-09 Yuyama Mfg. Co. Ltd. Medicine packing apparatus
ITBO20020640A1 (it) * 2002-10-10 2004-04-11 Swisslog Italia Spa Dispositivo di taglio per confezioni contenenti una pluralita' di unita' di prodotti.
TWI295573B (en) * 2002-10-18 2008-04-11 Yuyama Mfg Co Ltd Feeding device of drug
CN102173332B (zh) * 2004-10-12 2012-11-07 株式会社东商 振动排出盒、药剂分配装置、ptp分配装置、药品类收纳装置以及ptp分配系统
JP4347183B2 (ja) * 2004-10-12 2009-10-21 株式会社トーショー 振動排出カセット
JP2006109859A (ja) 2004-10-12 2006-04-27 Tosho Inc 調剤用薬剤払出装置
JP4520814B2 (ja) * 2004-10-15 2010-08-11 株式会社湯山製作所 薬品払出装置
JP3673273B1 (ja) * 2004-12-06 2005-07-20 株式会社ウィンディー 薬剤ピッキングシステム
JP5119593B2 (ja) * 2005-01-13 2013-01-16 株式会社湯山製作所 物品払出装置、方法及び薬品払出装置
TW200702257A (en) 2005-01-13 2007-01-16 Yuyama Mfg Co Ltd An apparatus and a method of discharging an object
US20060266188A1 (en) * 2005-05-25 2006-11-30 Jvm Co., Ltd. Apparatus for cutting series of medicine packets
JP4992262B2 (ja) * 2005-09-30 2012-08-08 株式会社湯山製作所 薬剤払出装置
CN101214107B (zh) * 2008-01-11 2010-08-25 苏州艾隆科技有限公司 自动化药房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46901A (en) 1984-02-02 1985-10-15 Buttarazzi Patrick J Apparatus for dispensing medication
JP2005040458A (ja) * 2003-07-25 2005-02-17 Tosho Inc 薬剤払出装置
JP2006109858A (ja) * 2004-10-12 2006-04-27 Tosho Inc 調剤用薬剤払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434420B2 (ja) 2014-03-05
WO2010032479A1 (ja) 2010-03-25
CN103895997B (zh) 2016-01-20
CN102159172A (zh) 2011-08-17
CN103895997A (zh) 2014-07-02
KR20110055666A (ko) 2011-05-25
JP2011041789A (ja) 2011-03-03
US8733217B2 (en) 2014-05-27
US20110168733A1 (en) 2011-07-14
CN102159172B (zh) 2014-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4068B1 (ko) 약제 불출 장치
US6370841B1 (en) Automated method for dispensing bulk medications with a machine-readable code
JP6167907B2 (ja) 薬剤カセット
KR100605769B1 (ko) 약제 수집 시스템
KR101411802B1 (ko) 정제 충전 장치
US20100147868A1 (en) Apparatus for releasing drugs
JP5429311B2 (ja) 薬剤払出方法
US11897647B2 (en) Individual packaging device for tablets
JP2009000291A5 (ko)
JP6462947B1 (ja) 分包薬剤収容装置、分包薬剤収容箱の製造方法、分包薬剤の配膳棚、及び投薬管理システム
JP2009023731A (ja) 錠剤充填装置
US20210150846A1 (en) An apparatus for handling and delivering dose medication pouches
JP4782170B2 (ja) 錠剤充填装置
TWI423795B (zh) Pharmaceuticals are given for devices and pharmaceuticals
CA2291558C (en) Automated method for dispensing bulk medications with machine-readable code
KR102666501B1 (ko) 정제 분포 장치
JPH0544138U (ja) 調剤装置
JP2016163599A (ja) 錠剤供給装置、錠剤供給方法、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