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3777B1 - 드라이 에칭 방법 - Google Patents

드라이 에칭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3777B1
KR101703777B1 KR1020147006924A KR20147006924A KR101703777B1 KR 101703777 B1 KR101703777 B1 KR 101703777B1 KR 1020147006924 A KR1020147006924 A KR 1020147006924A KR 20147006924 A KR20147006924 A KR 20147006924A KR 101703777 B1 KR101703777 B1 KR 1017037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tching
gas
brf
clf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69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53333A (ko
Inventor
도모노리 우메자키
이사무 모리
Original Assignee
샌트랄 글래스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샌트랄 글래스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샌트랄 글래스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400533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33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37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37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02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change their surface-physical characteristics or shape, e.g. etching, polishing, cutting
    • H01L21/306Chemical or electrical treatment, e.g. electrolytic etch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1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form insulating layers thereon, e.g. for masking or by using photolithographic techniques; After treatment of these lay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se layers
    • H01L21/3205Deposition of non-insulating-, e.g. conductive- or resistive-, layers on insulating layers; After-treatment of these layers
    • H01L21/321After treatment
    • H01L21/3213Physical or chemical etching of the layers, e.g. to produce a patterned layer from a pre-deposited extensive layer
    • H01L21/32133Physical or chemical etching of the layers, e.g. to produce a patterned layer from a pre-deposited extensive layer by chemical means only
    • H01L21/32135Physical or chemical etching of the layers, e.g. to produce a patterned layer from a pre-deposited extensive layer by chemical means only by vapour etching only
    • H01L21/32136Physical or chemical etching of the layers, e.g. to produce a patterned layer from a pre-deposited extensive layer by chemical means only by vapour etching only using plasmas
    • H01L21/32137Physical or chemical etching of the layers, e.g. to produce a patterned layer from a pre-deposited extensive layer by chemical means only by vapour etching only using plasmas of silicon-containing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41/00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 H10B41/20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characterised by three-dimensional arrangements, e.g. with cells on different height levels
    • H10B41/23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characterised by three-dimensional arrangements, e.g. with cells on different height levels with source and drain on different levels, e.g. with sloping channels
    • H10B41/27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characterised by three-dimensional arrangements, e.g. with cells on different height levels with source and drain on different levels, e.g. with sloping channels the channels comprising vertical portions, e.g. U-shaped channe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43/00EEPROM devices comprising charge-trapping gate insulators
    • H10B43/20EEPROM devices comprising charge-trapping gate insulators characterised by three-dimensional arrangements, e.g. with cells on different height levels
    • H10B43/23EEPROM devices comprising charge-trapping gate insulators characterised by three-dimensional arrangements, e.g. with cells on different height levels with source and drain on different levels, e.g. with sloping channels
    • H10B43/27EEPROM devices comprising charge-trapping gate insulators characterised by three-dimensional arrangements, e.g. with cells on different height levels with source and drain on different levels, e.g. with sloping channels the channels comprising vertical portions, e.g. U-shaped chan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lasma & Fusion (AREA)
  • Drying Of Semiconductors (AREA)
  • Internal Circuitry I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드라이 에칭 방법은, 기판상에 형성되어 있는, 실리콘층과 절연층이 적층되어 있는 층 형상 구조를 가지는 적층막에 있어서, 기판면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구멍 또는 홈의 내측면에 나타나있는 실리콘층에 대해, 에칭 가스를 이용하여 에칭할 때, 에칭 가스로서, ClF3, BrF5, BrF3, IF7, IF5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류의 가스와 F2를 함유하는 가스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에 의해, 실리콘층의 드라이 에칭 깊이의 불균일화를 억제할 수 있다.

Description

드라이 에칭 방법{DRY ETCHING METHOD}
본 발명은, 기판상에 형성되어 있는 입체적인 삼차원 구조 소자의 실리콘층의 드라이 에칭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소자의 고집적화가 해마다 발달하고 있다. 지금까지, 집적도를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단위 표면적당 집적하는 반도체 소자의 수를 증가시킬 필요가 있기 때문에, 회로 선폭을 가늘게 하기 위한 미세 가공 기술이 진전되어 왔었다. 그러나, 소자의 미세화가 너무 진행되면 오작동이 증가한다는 것이 지적되어 있다.
그래서 최근, 소자를 기판면에 대하여 평행 방향뿐만 아니라 수직 방향으로 늘어놓는 삼차원 구조 반도체 소자의 개발이 시도되어지고 있다(특허문헌 1). 종래와 같이 기판면에 대하여 평행 방향으로 소자를 형성할 뿐만 아니라, 단결정 실리콘 등의 기판면 상에 실리콘 전극과 절연체의 막을 번갈아 여러 층으로 성막하고, 얻어지는 적층막을 관통하는 20∼200nm정도의 미세한 구멍 또는 홈을 반응성 이온 에칭 등의 이방성 프로세스에 의해 다수 형성하고, 또한, 상기 구멍 또는 홈의 내측면에 나타나있는 특정층(예를 들면 실리콘 전극층)의 형상을 가공함으로써, 기판면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도 반도체 소자가 배열된 입체적인 삼차원 구조 소자가 형성된다. 예를 들면, 대용량 메모리 BiCS의 제조에 있어서, BiCS 메모리 홀 에칭에 의해, Si전극층과 산화 실리콘 절연층에 대하여 관통하는 구멍을 플라즈마 에칭하는 방법이 보고되어 있다(비특허문헌 1).
상기 구멍 또는 홈의 내측면에 나타나있는 특정층을 커패시터나 트랜지스터로서의 기능성을 부여하기 위해 가공하려면, 에칭 처리가 필요해진다. 이 에칭 처리로서, 당해 특정층과의 선택적인 반응 특성을 가지는 약액(藥液)을 이용하여 제거하는 웨트 에칭법이나, 당해 특정층과의 선택적인 반응 특성을 가지는 가스를 이용하여 제거하는 드라이 에칭법이 이용되어지고 있다.
드라이 에칭법에 의해 미세한 구멍의 내측면에 나타나있는 실리콘층을 에칭할 때에는, 기판면에 대하여 평행 방향으로 에칭하는 것이 필요해지기 때문에, 등방적인 에칭이 가능한 ClF3나 XeF2 가스가 이용되어지고 있다(비특허문헌 2).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10-225694호 공보
이치카와 히사시(市川尙志), 도시바 리뷰, vol.66, No.5(2011) Gregory T.A. Kovacs, Proceedings of the IEEE, vol.86(8), pp1536-1551, 1998
비특허문헌 1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은 종래의 삼차원 구조 반도체 소자의 제조에서는, 에칭 처리에 의해 형상 가공하는 복수의 특정층이 상기 구멍 내 또는 홈 내의 다른 깊이에 존재하기 때문에, 공경 또는 홈의 폭이 미세해질수록, 에칭되는 특정층의 에칭 깊이가 층마다 편차가 있어, 구멍 또는 홈의 깊이 방향에 대하여 에칭 깊이의 균일성(이하,「에칭 깊이의 균일성」이라고 한다)이 얻어지지 않게 되는 경향이 높아, 그것이 소자 성능의 악화를 일으키는 원인 중 하나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상기 구멍 또는 홈의 내측면에 나타나있는 특정층의 에칭 처리에 있어서, 에칭 깊이가 상기 구멍 또는 홈의 깊이 방향에 의존하지 않는 에칭 방법이 기대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구멍 또는 홈의 내측면에 나타나있는 특정층인 실리콘층의 에칭에 있어서, 상기 구멍 또는 홈의 깊이 방향에 대한 에칭 깊이의 불균일화를 억제 가능한 에칭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자들은, 예의 검토를 거듭한 결과, ClF3, BrF5, BrF3, IF7, IF5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류의 가스에 F2를 혼합한 가스를 에칭 가스로서 이용함으로써, 상기 구멍 또는 홈 내의 깊이 방향에 대해, 상기 구멍 또는 홈의 내측면에 나타나있는 실리콘층의 에칭 깊이의 불균일화를 억제 가능하다는 것을 찾아내, 본 발명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기판상에 형성되어 있는, 실리콘층과 절연층이 적층되어 있는 층 형상 구조를 가지는 적층막에 있어서, 기판면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구멍 또는 홈의 내측면에 나타나있는 실리콘층에 대해, 에칭 가스를 이용하여 에칭하는 드라이 에칭 방법에 있어서, 에칭 가스로서, ClF3, BrF5, BrF3, IF7, IF5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류의 가스와 F2를 함유하는 가스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 에칭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에칭 가스에 함유하는 ClF3, BrF5, BrF3, IF7, IF5 또는 F2의 분압은, 각각 1Pa 이상 2000Pa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에칭 가스에, N2, He, Ar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류의 가스를 더 함유해도 된다. 또한, 온도가 -30℃ 이상 100℃ 이하의 기판에, 상기 에칭 가스를 접촉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판상에 형성되어 있는 실리콘층과 절연층이 적층되어 있는 층 형상 구조를 가지는 적층막에 있어서, 기판면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구멍 또는 홈의 내측면에 나타나있는 실리콘층을, 본 발명의 드라이 에칭 방법에 의해 에칭 처리함으로써, 당해 구멍 또는 홈의 깊이 방향에 대한 실리콘층의 에칭 깊이의 불균일화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에칭 반응 장치의 개략 계통도이다.
도 2는, 에칭 전의 시료의 단면 모식도이다.
도 3은, 에칭 후의 시료의 오목부를 확대한 단면 모식도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드라이 에칭 방법의 처리 대상이 되는 것은, 기판상에 형성되어 있는 실리콘층과 절연층이 적층되어 있는 층 형상 구조를 가지는 적층막에 있어서, 기판면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구멍 또는 홈의 내측면에 나타나있는 실리콘층이다.
실리콘층으로서는, 아몰퍼스 실리콘막, 폴리 실리콘막, 단결정 실리콘막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들 수 있다.
절연막으로서는, 산화 규소막, 질화 규소막, 질화 티탄막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드라이 에칭 방법에서는, 에칭 가스로서, ClF3, BrF5, BrF3, IF7, IF5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류의 인터할로겐(interhalogen)과 F2를 함유하는 가스를 이용한다. 그 에칭 가스를 내부에 기판이 설치되어 있는 반응 챔버 내에 도입하고, 그 기판상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 또는 홈에 접촉시킨다.
접촉하는 에칭 가스 중의 ClF3, BrF5, BrF3, IF7, IF5, F2의 분압은, 각각 1Pa 이상 2000Pa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서는 5Pa 이상 1000Pa 이하인 것이, 에칭 깊이의 균일성에 관하여 보다 높은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에칭 가스 중에는, ClF3, BrF5, BrF3, IF7, IF5, F2 이외에도, N2, He, Ar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류의 희석 가스가 더 함유되어 있어도 된다. 함유하는 N2, He, Ar의 분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일반적인 반응 챔버의 기밀성을 감안하면, 에칭 가스의 전압(全壓)이 대기압을 초과하는 조건이 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에칭 가스에 함유되는 가스 성분에 대해서는 각각 독립하여 반응 챔버 내에 도입해도 되고, 또는 미리 혼합 가스로서 조정한 후에, 반응 챔버 내에 도입해도 상관없다.
상기 에칭 가스를 상기 실리콘층에 접촉시킬 때의 기판 온도는, -30℃ 이상 1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이상 80℃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0℃ 이상 50℃ 이하인 것이, 에칭 깊이의 균일성에 관하여 보다 높은 효과와, 보다 큰 에칭 속도를 얻는데 특히 바람직하다.
기판의 에칭 대상면에 대한 단위면적당, 상기 에칭 가스 중에 포함되는 F원자를 포함하는 가스 성분의 총 유량은, 분자 중의 F원자의 수를 F2로 환산하여 0.3scc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0.3sccm/㎠ 미만이면 에칭 깊이의 균일성이 악화될 우려가 있다. 0.3sccm/㎠ 이상이면 에칭 깊이의 균일성은 양호해지나, 에칭 가스의 소비 효율의 관점에서, 2000scc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기판상에 형성되는 삼차원 구조의 반도체 소자에 있어서, 반응성 이온 에칭 등의 방법으로 기판면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구멍의 직경 또는 홈의 폭은, 10nm 이상 500nm 이하의 정도이다. 형성된 구멍의 내면에 나타나는 실리콘층과 절연층의 적층 구조가 커패시터나 트랜지스터로서의 기능을 다함으로써, 보다 집적 밀도가 높은 반도체 소자가 형성 가능해진다.
에칭 시간은 소자 제조 프로세스의 효율을 고려하면, 30분 이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 에칭 시간이란, 에칭 처리가 행해지는 내부에 기판이 설치되어 있는 프로세스 챔버의 내부에 에칭 가스를 도입하고, 그 후, 당해 에칭 처리를 완료하기 위해 당해 프로세스 챔버 내의 에칭 가스를 진공 펌프 등에 의해 배기할 때까지의 시간을 가리킨다.
실리콘층의 에칭 깊이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삼차원 구조의 반도체 소자의 형성에 있어서, 다음의 성막 공정에서의 프로세스 특성을 양호하게 하기 위해서는, 5nm 이상 90n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 층의 에칭 깊이는 구멍 또는 홈의 깊이 방향에 대하여, 편차가 작을수록 소자 특성이 양호해진다.
실시예
[실시예 1∼32]
도 1은 에칭 시험에서 이용한 에칭 장치의 개략 계통도이다. 반응 챔버(1)에는 시료(7)를 지지하기 위한 스테이지(5)가 구비되어 있다. 스테이지(5)에는 스테이지의 온도를 조정 가능한 스테이지 온도 조정기(6)가 구비되어 있다. 반응 챔버(1)에는 가스 도입을 위한 가스 배관(41) 및 가스 배기를 위한 가스 배관(42)이 접속되어 있다. 인터할로겐 공급계(21), F2 공급계(22), 희석 가스 공급계(23)는, 각각 밸브(31), 밸브(32), 밸브(33)를 통하여 가스 배관(41)에 접속되어 있다. 진공 펌프(8)는 가스 배기를 위해, 밸브(33)를 통하여 가스 배관(42)에 접속되어 있다. 반응 챔버(1) 내부의 압력은 반응 챔버(1) 부설의 압력계(도면 내 생략)의 지시값을 기초로, 밸브(33)에 의해 제어된다.
도 2는 본 시험에 이용한 시료(7)의 단면의 모식도이다. 시료(7)는, 20mm 모서리(角)(기판 표면적 4㎠)에서 판 두께가 0.1mm인 형상의 실리콘 기판(11) 상에 질화 규소막(12)이 30nm 성막되고, 또한, 그 위에 산화 실리콘막(9)과 폴리 실리콘막(10)이 각각 30nm의 두께로 번갈아 합계 16층 성막되어 있는 적층막에 소정의 직경(D)의 구멍(13)을 질화 규소막(12)까지 기판면 수직 방향으로 형성한 것이다. 구멍(13)은 실리콘 기판면 상에 종횡 400nm 간격으로 균등하게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에칭 조작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스테이지(5) 상에 시료(7)를 설치하고, 반응 챔버(1) 및 가스 배관(41, 42)을 10Pa 미만까지 진공 치환 후, 스테이지(5)의 온도를 소정값으로 설정한다. 스테이지(5)의 온도가 소정값에 도달한 것을 확인 후, 밸브(31, 32, 33)를 개방하고, 인터할로겐 공급계(21), F2 공급계(22), 희석 가스 공급계(23)로부터 각각 소정 유량의 가스를 공급함으로써, 가스 배관(41)으로부터 에칭 가스를 반응 챔버(1)에 도입한다. 또한, 에칭 가스에 함유되는 인터할로겐, F2, 희석 가스의 유량비와 반응 챔버(1) 내부의 압력을 소정의 값으로 설정함으로써, 에칭 가스에 함유되는 인터할로겐, F2, 희석 가스가 각각 목적하는 분압이 되도록 하였다. 이 경우, 에칭 가스 총 유량, 각 분압 및 시료(7)의 기판 표면적으로부터, 당해 기판의 에칭 대상면의 단위면적당, 에칭 가스 중에 포함되는 F원자를 포함하는 가스 성분의 총 유량을, F2로 환산하여 산출한다.
에칭 가스를 도입하고 나서 소정 시간(에칭 시간) 경과 후, 에칭 가스의 도입을 정지하고, 반응 챔버(1) 내부를 진공 치환 후, 시료(7)를 취출하여 구멍의 단면 형상을 SEM 관찰하였다.
본 시험에 있어서의, 실리콘의 에칭 형태에 대하여, 동일 구멍 내의 16층의 벽면의 각 폴리 실리콘층의 에칭 깊이(t)를 단면 SEM 관찰에 의해 측정하고, 그 에칭 깊이(t)의 평균값(tA) 및 표준 편차(σ)를 구해, σ/tA를 구함으로써, 구멍의 깊이 방향에 대한 에칭 깊이의 균일성을 평가하였다.
폴리 실리콘층의 에칭 깊이(t)는, 구멍(13)의 측면 중에 있는 폴리 실리콘층의 에칭 후의 상태를 단면으로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는 도 3에 나타내어져 있다. 폴리 실리콘층은, 상하를 산화 실리콘막(9)으로 끼워 폴리 실리콘막(10)이 적층되어 형성되어 있고, 에칭에 의해 구멍(13)의 측면의 폴리 실리콘층의 부분이 오목 형상이 된다. 이 때, 구멍의 측면의 에칭되어 있지 않은 면인 산화 실리콘막(9) 층의 면(에칭되기 전의 폴리 실리콘막(10) 층의 면과 동일 위치에 상당)과, 오목한 폴리 실리콘막(10) 층의 면의 거리가, 에칭 깊이(t)이다.
실시예 1∼32에 있어서의 에칭 조건과,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1∼5에서는, 기판 온도를 20℃로 하고, 인터할로겐으로서 ClF3, 희석 가스로서 N2를 이용하고, F2의 분압을 10Pa로 고정한 조건으로서, ClF3와 N2의 분압 및 에칭 시간을 표 1에 기재된 값으로 변화시켜 에칭 시험을 행하였다. 시료의 구멍(13)의 직경(D)은 100nm이며, 에칭 가스의 총 유량은 5000sccm이다.
실시예 6∼9에서는, 기판 온도를 20℃로 하고, 인터할로겐으로서 ClF3, 희석 가스로서 N2를 이용하고, ClF3의 분압을 10Pa로 고정한 조건으로서, F2와 N2의 분압 및 에칭 시간을 표 1에 기재된 값으로 변화시켜 에칭 시험을 행하였다. 시료의 구멍(13)의 직경(D)은 100nm이며, 에칭 가스의 총 유량은 5000sccm이다.
실시예 10∼14에서는, 인터할로겐으로서 ClF3, 희석 가스로서 N2를 이용하고, ClF3와 F2의 분압을 각각 10Pa, N2의 분압을 980Pa, 에칭 가스의 전압을 1000Pa로 고정한 조건으로서, 기판 온도 및 에칭 시간을 표 1에 기재된 값으로 변화시켜 에칭 시험을 행하였다. 시료의 구멍(13)의 직경(D)은 100nm이며, 에칭 가스의 총 유량은 5000sccm이다.
실시예 15∼19에서는, 기판 온도를 20℃, 에칭 시간을 3min으로 하고, 인터할로겐으로서 BrF3, BrF5, IF5, IF7, 혹은 ClF3와 IF7의 혼합 가스를, 희석 가스로서 N2를 이용하고, BrF3, BrF5, IF5, IF7, ClF3의 각 분압과 F2의 분압을 각각 10Pa로 고정한 조건으로서, N2의 분압을 표 1에 기재된 값으로 변화시켜 에칭 시험을 행하였다. 시료의 구멍(13)의 직경(D)은 100nm이며, 에칭 가스의 총 유량은 5000sccm이다.
실시예 20, 21에서는, 기판 온도를 20℃, 에칭 시간을 3min으로 하고, 인터할로겐으로서 ClF3를 이용하고, ClF3와 F2의 분압을 각각 10Pa, 에칭 가스의 전압을 4990Pa로 고정한 조건으로서, 희석 가스를 Ar 또는 He로 바꾸어 에칭 시험을 행하였다. 시료의 구멍(13)의 직경(D)은 100nm이며, 에칭 가스의 총 유량은 5000sccm이다.
실시예 22, 23에서는, 기판 온도를 20℃, 에칭 시간을 3min으로 하고, 인터할로겐으로서 ClF3를, 희석 가스로서 N2를 이용하고, ClF3와 F2의 분압을 각각 10Pa, 에칭 가스의 전압을 1000Pa로 고정한 조건으로서, 시료의 구멍(13)의 직경(D)을 30nm 또는 200nm으로 바꾸어 에칭 시험을 행하였다. 에칭 가스의 총 유량은 5000sccm이다.
실시예 24∼26에서는, 기판 온도를 20℃로 하고, 인터할로겐으로서 ClF3를, 희석 가스로서 N2를 이용하고, ClF3와 F2의 분압을 각각 10Pa로 고정한 조건으로서, 희석 가스의 분압과 에칭 시간을 표 1에 기재된 값으로 변화시켜 에칭 시험을 행하였다. 시료의 구멍(13)의 직경(D)은 100nm이며, 에칭 가스의 총 유량은 5000sccm이다.
실시예 27에서는, ClF3의 압력을 0.5Pa로 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2와 동일한 조건으로 에칭 시험을 행하였다.
실시예 28에서는, F2의 압력을 0.5Pa로 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6과 동일한 조건으로 에칭 시험을 행하였다.
실시예 29에서는, 희석 가스를 이용하지 않고 에칭 시간을 1min으로 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에칭 시험을 행하였다.
실시예 30에서는, 희석 가스 N2의 분압을 100000Pa로 함으로써 에칭 가스 중에 포함되는 F원자를 포함하는 가스 성분의 총 유량의 F2 환산값을 0.3sccm/㎠로 하고, 에칭 시간을 20분으로 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에칭 시험을 행하였다.
실시예 31에서는, 에칭 가스의 총 유량을 10000sccm으로 함으로써 에칭 가스 중에 포함되는 F원자를 포함하는 가스 성분의 총 유량의 F2 환산값을 3387.5sccm/㎠로 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4와 동일한 조건으로 에칭 시험을 행하였다.
실시예 32에서는, 에칭 가스의 총 유량을 30000sccm으로 함으로써 에칭 가스 중에 포함되는 F원자를 포함하는 가스 성분의 총 유량의 F2 환산값을 10162.5sccm/㎠로 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4와 동일한 조건으로 에칭 시험을 행하였다.
그 결과, 실시예 사이에서 평균 에칭 깊이(tA)는 다르나, 어느 실시예에 있어서도 σ/tA는 20% 이내로 에칭 깊이의 균일성은 양호하였다.
Figure 112014024901588-pct00001
[비교예 1∼6]
비교예 1∼6에 있어서의 에칭 조건과,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본 비교예 1에서는, F2 분압을 0Pa로 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에칭 시험을 행하였다.
본 비교예 2에서는, ClF3 분압을 0Pa로 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7과 동일한 조건으로 에칭 시험을 행하였다.
본 비교예 3에서는, F2 분압을 0Pa로, 희석 가스를 더 사용하지 않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3과 동일한 조건으로 에칭 시험을 행하였다.
본 비교예 4에서는, F2 분압을 0Pa로 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3과 동일한 조건으로 에칭 시험을 행하였다.
본 비교예 5에서는, F2 분압을 0Pa로 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5와 동일한 조건으로 에칭 시험을 행하였다.
본 비교예 6에서는, ClF3 분압을 0Pa로 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9와 동일한 조건으로 에칭 시험을 행하였다.
그 결과, σ/tA는 모두 20%를 넘어, 에칭 깊이의 균일성 불량이었다.
Figure 112014024901588-pct00002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드라이 에칭 방법에 의하면, 실리콘층의 드라이 에칭 깊이의 불균일화를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거하여 설명해 왔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변경을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실리콘층을 가지는 층 형상 구조에 구멍 또는 홈이 형성되어 있는 반도체의 제조에 있어서, 집적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기판면에 대하여 평행 방향 뿐만아니라 수직 방향으로도 반도체 소자를 배열시키는 삼차원 구조 소자의 형성에 유효하다.
1: 반응 챔버 21: 인터할로겐 공급계
22: F2 공급계 23: 희석 가스 공급계
31, 32, 33: 밸브 41, 42: 가스 배관
5: 스테이지 6: 스테이지 온도 조정기
7: 시료 8: 진공 펌프
9: 산화 실리콘막 10: 폴리 실리콘막
11: 실리콘 기판 12: 질화 규소막
13: 구멍

Claims (5)

  1. 기판상에 형성되어 있는, 실리콘층과 절연층이 복수 적층되어 있는 층 형상 구조를 가지는 적층막에 있어서, 기판면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구멍 또는 홈을 가지는 삼차원 구조의 반도체 소자를 반응 챔버 내에 설치하고, 에칭가스를 반응 챔버 내에 도입하여 상기 구멍 또는 홈에 접촉시켜, 상기 구멍 또는 홈의 내측면에 나타나있는 복수의 실리콘층을 상기 기판면에 대해 평행 방향으로 깊이 5nm 이상 90nm 이하 에칭하는 드라이 에칭 방법에 있어서, 에칭 가스로서, ClF3, BrF5, BrF3, IF7, IF5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류의 가스와 F2를 함유하는 가스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 에칭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에칭 가스에 함유하는 ClF3, BrF5, BrF3, IF7, IF5, 또는 F2의 분압은, 각각 1Pa 이상 2000Pa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 에칭 방법.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에칭 가스에, N2, He, Ar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류의 가스를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 에칭 방법.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30℃ 이상 100℃ 이하의 기판 온도에서, 상기 에칭 가스를 상기 실리콘층에 접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 에칭 방법.
  5. 제 3항에 있어서,
    -30℃ 이상 100℃ 이하의 기판 온도에서, 상기 에칭 가스를 상기 실리콘층에 접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 에칭 방법.
KR1020147006924A 2011-09-07 2012-08-08 드라이 에칭 방법 KR1017037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195359 2011-09-07
JP2011195359 2011-09-07
JP2011267110A JP6056136B2 (ja) 2011-09-07 2011-12-06 ドライエッチング方法
JPJP-P-2011-267110 2011-12-06
PCT/JP2012/070154 WO2013035476A1 (ja) 2011-09-07 2012-08-08 ドライエッチング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3333A KR20140053333A (ko) 2014-05-07
KR101703777B1 true KR101703777B1 (ko) 2017-02-07

Family

ID=47831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6924A KR101703777B1 (ko) 2011-09-07 2012-08-08 드라이 에칭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165776B2 (ko)
EP (1) EP2755229B1 (ko)
JP (1) JP6056136B2 (ko)
KR (1) KR101703777B1 (ko)
CN (1) CN103782369B (ko)
TW (1) TWI502642B (ko)
WO (1) WO201303547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11829A1 (ja) * 2013-07-26 2015-01-29 株式会社日立国際電気 基板処理装置及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WO2015016149A1 (ja) * 2013-07-29 2015-02-05 株式会社日立国際電気 基板処理装置、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記録媒体
JP6454492B2 (ja) * 2014-08-08 2019-01-16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多層膜をエッチングする方法
WO2016056300A1 (ja) * 2014-10-10 2016-04-14 関東電化工業株式会社 ケイ素化合物用エッチングガス組成物及びエッチング方法
US9728422B2 (en) 2015-01-23 2017-08-08 Central Glass Company, Limited Dry etching method
JP6544215B2 (ja) 2015-01-23 2019-07-17 セントラル硝子株式会社 ドライエッチング方法
FR3051973B1 (fr) 2016-05-24 2018-10-19 X-Fab France Procede de formation de transistors pdsoi et fdsoi sur un meme substrat
JP6823533B2 (ja) * 2017-04-24 2021-02-03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チタンシリサイド領域を形成する方法
JP6971823B2 (ja) * 2017-12-13 2021-11-24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シリコン含有膜のエッチング方法、コンピュータ記憶媒体、及びシリコン含有膜のエッチング装置
US11594429B2 (en) * 2018-03-16 2023-02-28 Lam Research Corporation Plasma etching chemistries of high aspect ratio features in dielectrics
US11447697B2 (en) * 2018-03-29 2022-09-20 Central Glass Company, Limited Substrate processing gas, storage container, and substrate processing method
JP7072440B2 (ja) * 2018-05-16 2022-05-20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シリコン含有膜のエッチング方法、コンピュータ記憶媒体、及びシリコン含有膜のエッチング装置
JP7174180B2 (ja) * 2018-05-16 2022-11-17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シリコン含有膜のエッチング方法、コンピュータ記憶媒体、及びシリコン含有膜のエッチング装置
JP2020068221A (ja) * 2018-10-22 2020-04-30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エッチング方法及びプラズマ処理装置
CN115376910B (zh) * 2022-09-06 2023-06-13 兰州大学 一种制备平行斜刻凹槽图形化硅衬底的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25694A (ja) 2009-03-19 2010-10-07 Toshiba Corp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10380A (en) * 1980-04-07 1982-01-12 Bell Telephone Laboratories, Incorporated Plasma etching of silicon
US5624582A (en) * 1993-01-21 1997-04-29 Vlsi Technology, Inc. Optimization of dry etching through the control of helium backside pressure
TW498440B (en) * 1998-03-30 2002-08-11 Hitachi Ltd Manufacture method of semiconductor device
US7041224B2 (en) * 1999-10-26 2006-05-09 Reflectivity, Inc. Method for vapor phase etching of silicon
AU2002303842A1 (en) * 2001-05-22 2002-12-03 Reflectivity, Inc. A method for making a micromechanical device by removing a sacrificial layer with multiple sequential etchants
JP4446202B2 (ja) 2006-09-22 2010-04-07 エルピーダメモリ株式会社 半導体装置及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US8278725B2 (en) 2006-11-10 2012-10-02 Agency For Science, Technology And Research Micromechanical structure and a method of fabricating a micromechanical structure
JP2010010596A (ja) * 2008-06-30 2010-01-14 Toshiba Corp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0177652A (ja) 2009-02-02 2010-08-12 Toshiba Corp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4968861B2 (ja) 2009-03-19 2012-07-04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基板のエッチング方法及びシステム
JP2011060958A (ja) * 2009-09-09 2011-03-24 Toshiba Corp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6080166B2 (ja) * 2011-08-25 2017-02-15 株式会社Screenホールディングス パターン形成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25694A (ja) 2009-03-19 2010-10-07 Toshiba Corp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056136B2 (ja) 2017-01-11
JP2013070012A (ja) 2013-04-18
TW201314770A (zh) 2013-04-01
CN103782369B (zh) 2017-02-15
WO2013035476A1 (ja) 2013-03-14
KR20140053333A (ko) 2014-05-07
TWI502642B (zh) 2015-10-01
CN103782369A (zh) 2014-05-07
EP2755229A1 (en) 2014-07-16
US9165776B2 (en) 2015-10-20
EP2755229B1 (en) 2018-04-25
EP2755229A4 (en) 2015-01-07
US20140206196A1 (en) 2014-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3777B1 (ko) 드라이 에칭 방법
JP7026237B2 (ja) 3D NANDデバイスアプリケーションのための非プラズマ乾式処理によるSiO2に対するSiN選択的エッチング
CN110235228B (zh) 用于高深宽比结构的移除方法
JP2018529225A (ja) 半導体構造物をエッチングするための窒素含有化合物
JP6080166B2 (ja) パターン形成方法
JP5690406B2 (ja) 3次元構造のメモリ素子を製造する方法
US11417534B2 (en) Selective material removal
CN104969333B (zh) 硅的干蚀刻方法
KR102547222B1 (ko) 드라이 에칭 방법
CN107919278A (zh) 湿蚀刻的方法和使用其制造半导体装置的方法
KR102340870B1 (ko) 플라즈마 에칭 방법
TWI797548B (zh) 半導體基板、半導體基板之製造方法及半導體裝置之製造方法
JP2011114216A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US10872778B2 (en) Systems and methods utilizing solid-phase etchants
CN105990096B (zh) 半导体结构的清洗方法
CN101996873B (zh) 氧化物层及包含其的闪存的栅极的制作方法
US20200203179A1 (en) Method for fabricating semiconductor component
CN107546230B (zh) 一种3d nand器件栅线缝隙氧化物的沉积的方法
TWI593104B (zh) 半導體元件及其製造方法
CN104253080A (zh) 浅沟槽隔离方法
TW201511124A (zh) 半導體裝置之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50617

Effective date: 20160715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5101003404;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50617

Effective date: 20160715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