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2472B1 - 높이 조절 장치를 갖는 차량 시트 - Google Patents

높이 조절 장치를 갖는 차량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2472B1
KR101702472B1 KR1020157019908A KR20157019908A KR101702472B1 KR 101702472 B1 KR101702472 B1 KR 101702472B1 KR 1020157019908 A KR1020157019908 A KR 1020157019908A KR 20157019908 A KR20157019908 A KR 20157019908A KR 101702472 B1 KR101702472 B1 KR 1017024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vehicle
rocker
guide track
toothed seg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99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89098A (ko
Inventor
세르게이 코스틴
요하네스 울트쉬
Original Assignee
브로제 파르쪼이크타일레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코부르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브로제 파르쪼이크타일레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코부르크 filed Critical 브로제 파르쪼이크타일레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코부르크
Publication of KR201500890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90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24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24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B60N2/163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characterised by the drive mechanism
    • B60N2/165Gear wheel driven mechan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B60N2/163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characterised by the drive mechan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246Electric motors therefor
    • B60N2/02253Electric moto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between the electric motor and the seat or seat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7Slide construction
    • B60N2/0722Constructive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B60N2/160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characterised by the cinematic
    • B60N2/161Rods
    • B60N2/1615Parallelogram-like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B60N2/168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characterised by a lo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시트에 관한 것으로, 본 차량 시트는 시트 착석자를 위한 시트면을 제공하기 위한 시트부; 상기 시트부를 차량에 길이 방향으로 조절가능하게 배치하기 위한 안내 트랙 장치; 및 높이 조절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높이 조절 장치는, 상기 시트부와 안내 트랙 장치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시트부가 높이 조절될 수 있도록 그 시트부를 상기 안내 트랙 장치에 연결하는 복수의 로커, 및 이들 복수의 로커 중의 제 1 로커를 구동시키기 위한 전동식 구동 유닛을 포함한다. 구동 유닛은 출력 피니언을 가지며, 이 출력 피니언은 치형 세그먼트의 치부와 결합하고 상기 안내 트랙 장치에 대해 시트부의 시트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치형 세그먼트에 대해 회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출력 피니언(531)은 상기 제 1 로커(51a)에 배치되고 상기 치형 세그먼트(552)는 상기 안내 트랙 장치(4) 또는 시트부(2)에 정치식으로 배치된다. 이렇게 하여, 전기 모터에 의해 동력을 받는 구동 유닛을 차량 시트의 소위 터널측에 공간 절약적인 방식으로 배치하는 것을 가능케 해주며 또한 동시에 하중력에 대한 신뢰적인 지지를 제공할 수 있는 차량 시트가 실현된다.

Description

높이 조절 장치를 갖는 차량 시트{VEHICLE SEAT HAVING A HEIGHT ADJUSTMENT DEVICE}
본 발명은 청구항 1 의 전제부에 따른 차량 시트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차량 시트는, 시트 착석자를 위한 시트면을 제공하기 위한 시트부, 상기 차량 시트를 차량에 길이 방향으로 조절가능하게 배치하기 위한 안내 트랙 장치, 및 차량 시트의 시트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 조절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높이 조절 장치는, 상기 시트부와 안내 트랙 장치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의 로커(rocker)를 포함하며, 이들 로커는 시트부가 높이 조절될 수 있도록 그 시트부를 상기 안내 트랙 장치에 연결한다. 이들 로커 중의 제 1 로커를 구동시키고 또한 시트 높이 조절을 위해 안내 트랙 장치에 대해 시트부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높이 조절 장치는 전동식 구동 유닛을 포함하고, 이 구동 유닛은 출력 피니언을 포함하고, 이 피니언은 치형 세그먼트의 치부와 결합하며 또한 시트 높이 조절을 위해 치부 세그먼트에 대해 회전될 수 있다.
이러한 종류인 종래의 차량 시트의 경우, 치형 세그먼트는 제 1 로커에 연결되고, 시트부 또는 안내 트랙 장치에 연결되는 구동 유닛에 의해 움직인다. 구동 유닛은 치형 세그먼트와 결합하는 출력 피니언을 구동시키며 이렇게 해서 그 치형 세그먼트에 연결되어 있는 제 1 로커에 조절력을 가하게 된다. 출력 피니언은 치형 세그먼트 상에서 구르므로, 4-조인트형에 따른 제 1 로커 및 이와 함께 또한 나머지 로커는 시트부가 시트 높이에 있어서 조절되도록 회전된다.
EP 0 366 364 B1 에 공지된 차량 시트의 경우, 피니언이 시트부의 측방부에 배치되어, 로커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치형 세그먼트와 결합한다. 피니언은 할당된 로커를 이렇게 회전시키기 위해 차량 시트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 수동으로 회전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시트부의 경사는 로커에 배치되어 있는 피니언을 안내 트랙 장치에 있는 치형 세그먼트에 결합시켜 조절될 수 있다.
US 4,229,041 에 공지된 차량 시트의 경우, 시트부의 시트 프레임이 안내 트랙 장치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시트 프레임에 배치되는 피니언은 안내 트랙 장치에 배치되어 있는 치형 세그먼트와 결합하고 시트부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안내 트랙 장치에 대해 시트 프레임을 회전시키기 위해 회전될 수 있다.
FR 2503061 에는, 시트부가 안내 트랙 장치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시트부의 경사가 안내 트랙 장치에 있는 치형 세그먼트와 결합하는 피니언에 의해 조절될 수 있는 차량 시트가 알려져 있다.
높이 조절 장치를 위해 전동식 구동부를 사용하는 종래의 차량 시트에서, 구동부는 보통 차량 시트에 있어서 차량 도어를 향하는 측에 배치되며, 구동부를 시트부 또는 안내 트랙 장치에 연결하기 위한 충분한 구성 공간이 이용가능하다. 그러나, 구동부가 차량 중심 쪽에 위치되는 차량 시트의 소위 터널측에 배치되면, 구동부를 시트부 또는 안내 트랙 장치에 단단히 연결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는데, 왜냐하면 차량 시트의 이 측에서는 이용가능한 구성 공간이 더 적고 또한 특히 구동부를 시트부 또는 안내 트랙 장치의 외부에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시트 벨트를 시트부의 터널측에 부착하기 위한 예컨대 벨트 부착점이 제공되면, 구동부를 상기 터널측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 경우, 차량 시트의 터널측은 충돌시 높은 하중력을 받게 되는데, 이 하중력은 터널측에 배치되어 있는 구동 유닛 및 피동 로커에 있는 치형 세그먼트와 출력 피니언의 결합에 의해 지지되고 분산될 수 있다. 피동 로커와 시트부를 모두 함께 제 위치에 유지시켜 주는 출력 피니언-치형 세그먼트 결합의 강성 및 충돌 안정성을 위한 요건은 이 경우 높고, 충돌시 하중력이 터널측의 벨트 부착점을 통해 시트부로 분산되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동식 구동 유닛을 차량 시트의 터널측에 공간 절약적인 방식으로 배치할 수 있게 해주고 또한 동시에 하중력을 신뢰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차량 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종래의 구성과 비교한 중량 감소가 또한 바람직하다.
상기 목적은 청구항 1 의 특징을 갖는 대상으로 해결된다.
따라서, 출력 피니언은 상기 제 1 로커에 배치되고 상기 치형 세그먼트는 상기 안내 트랙 장치 또는 시트부에 정치식으로 배치된다.
이리하여, 전동식 구동 유닛은 바람직하게는 제 1 로커에 단단히 연결되고 그 제 1 로커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치형 세그먼트가 안내 트랙 장치 또는 시트부에 정치식으로 배치되고 출력 피니언이 제 1 로커에 정치식으로(하지만 회전은 가능하게) 배치되므로, 전동식 피동 출력 피니언과 전동식 구동 유닛을 안내 트랙 장치 또는 시트부에 부착하기 위한 구성 공간을 더 이상 제공할 필요가 없게 된다. 전동식 구동 유닛은 (제 1) 로커에 연결될 수 있고 작동 중에 (제 1) 피동 로커와 함께 움직이게 되며, 따라서 구동 유닛은 안내 트랙 장치와 시트부에 대해 회전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배치 구성에 의하면, 한편으로 구동 유닛을 차량 시트의 터널측에 공간 절약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는, 제 1 피동 로커 및 그에 제공되는 출력 피니언-치형 세그먼트 결합에 의해 시트부의 강성적인 내충돌성 지지가 제공될 수 있으며, 출력 피니언이 제 1 로커에 배치됨으로써, 짧은 힘 경로를 갖는 컴팩트한 구조가 얻어진다. 피니언-치형 세그먼트 구동을 사용함으로써, 간단한 구조로 인해 다른 구동 유닛(예컨대, 스핀들 기어형 구동 유닛)에 비해 중량이 감소되고 또한 부품의 수가 줄어든다.
상기 시트부는 바람직하게는 2개의 측방부를 포함하고, 이들 측방부 사이에는 가로 관이 피봇 축선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그리하여 가로 관은 측방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제 1 로커에 단단히 연결되어 있고, 그래서 그 로커는 가로 관을 통해 측방부 쪽에서 회전될 수 있다. 안전 벨트를 시트부에 고정시키기 위한 벨트 부착점이 상기 측방부 중의 제 1 측방부에 배치될 수 있고, 그리하여 이 경우 제 1 로커는 바람직하게는 가로 관에 있어서 상기 제 1 측방부와 대향하는 단부에 배치된다. 전동식 구동 유닛에 여결되어 있고 출력 피니언을 지탱하는 제 1 로커는 그래서 벨트 부착점을 갖는 제 1 측방부에 배치되고 그 측방부를 지지하며, 따라서 충돌의 경우 작용하는 하중력이 비교적 짧은 경로에서 제 1 로커 및 이 제 1 로커를 안내 트랙 장치에 연결하는 출력 피니언-치형 세그먼트 결합을 통해 안내 트랙 장치에 전달되고 이 안내 트랙 장치를 지나 차량 바닥으로 분산된다.
짧은 힘 경로 때문에, 중량 감소가 또한 얻어질 수 있다. 특히, 힘 경로에 있는 부품들은 안정성 요건들을 만족하기 위해 충분히 강하게 설계되어야 한다. 짧아진 힘 경로 및 치형 세그먼트-피니언 결합의 컴팩트한 설계로 인해, 특히 충돌시 작용하는 하중력의 힘 흐름의 외부에 위치되어 있는 부품들의 치수는 전체적으로 중량 감소를 이루기 위해 선택적으로 가볍게 되도록 정해질 수 있다.
상기 제 1 로커는 예컨대 후방 로커쌍의 일 부분이고, 차량 시트가 의도하는 대로 차량에 조립되면 상기 후방 로커쌍은 차량 길이 방향에 대해 전방 로커쌍 뒤에 배치된다. 후방 로커쌍은 제 1 측방부 쪽에서 가로 관에 배치되는 제 1 로커 및 가로 관에 있어서 시트부의 제 2 측방부와 대향하는 단부에 배치되어 그에 단단히 연결되는 제 2 로커로 형성된다. 벨트 부착점을 통해 도입되는 하중력을지지하고 분산시키기 위해, 제 1 로커는 벨트 부착점의 위치에 따라 특히 차량 중심 쪽에 위치되어 있는 차량 시트의 터널측에 배치된다. 벨트 로크가 예컨대 벨트 부착점에 장착될 수 있는데, 차량 시트의 길이 방향 조절 또는 높이 조절을 위해 시트부를 움직일 때 상기 벨트 로크는 시트부와 함께 움직이게 된다.
특정 실시 형태에서, 상기 출력 피니언은 가로 관에 배치되어 있는 제 1 로커의 노치를 통과하여 치형 세그먼트와 결합할 수 있다. 출력 피니언은 출력축에 배치되고, 이 출력축은 일 단부로 출력 피니언으로부터 돌출되어 있고, 그 출력축은 가로 관에 대해 지지 요소에 의해 추가적으로 지지된다. 제 1 로커 및 지지 요소는 각 경우 바람직하게는 가로 관에 단단히 연결되고(예컨대, 용접되고) 피봇 축선을 가로질로 가로 관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피봇 축선을 따라 볼 때 그들 사이에 치형 세그먼트를 수용한다. 따라서, 피봇 축선을 따라 볼 때 제 1 로커 및 지지 요소는 서로 거리를 두고 가로 관에 배치되어 있으며 그들 사이에는 중간 공간이 형성되며, 이 공간에 치형 세그먼트가 배치되는 것이다. 출력 피니언은 이 중간 공간 내로 들어가 거기서 치형 세그먼트와 결합하게 된다.
이러한 지지 요소 대신에, 특히 간단한 실시 형태에서는, 출력 피니언과 치형 세그먼트의 결합을 축방향으로 안정되게 하기 위한 잠금 와셔가 출력축의 돌출 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치형 세그먼트는 바람직하게는 홀딩 요소에 의해 안내 트랙 장치에 단단히 연결되며, 그리하여 상기 홀딩 요소는 제 1 로커를 또한 지탱할 수 있고 안내 트랙 장치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안내 트랙 장치 상의 제 1 로커를 위한 베어링점 및 치형 세그먼트는 단일 부품으로 형성되는 컴팩트한 구조가 제공되며, 베어링점과 치형 세그먼트 사이의 관계(그래서 또한 출력 피니언과 치형 세그먼트의 결합)이 결정된다. 치형 세그먼트는 예컨대 홀딩 요소의 크랭크에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리하여 치형 세그먼트를 추가적인 부품으로서 설계하고 예컨대 리벳이나 스크류로 상기 홀딩 요소에 연결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고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을 이루는 아이디어를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실시 형태를 가지고 좀더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은 차량 시트의 개략도이다.
도 2 는 안내 트랙 장치에 연결된 차량 시트의 높이 조절가능한 시트부의 사시도이다.
도 3 은 가로 관에 연결된 로커의 분해도로, 그 로커는 안내 트랙 장치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구동 유닛에 의해 구동된다.
도 4a 는 조립된 상태에 있고 시트부가 내려가 있는 경우에 도 3 에 따른 배치 구성의 사시도이다.
도 4b 는 도 4a 에서와 같은 배치 구성의 도이지만, 시트부는 올라가 있다.
도 5a 는 시트부가 내려가 있는 배치 구성의 측면도이다.
도 5b 도 5a 에서와 같은 배치 구성의 측면도로, 하지만 시트부는 올라가 있다.
도 6a 는 시트부가 내려가 있는 배치 구성의 내부도이다.
도 6b 는 도 6a 에서와 같은 배치 구성의 내부도로, 하지만 시트부는 올라가 있다.
도 7 은 시트부가 내려가 있는 배치 구성의 부분 절개도이다.
도 1 은 시트부(2) 및 이 시트부(2)에 연결되어 있는 등받이(3)를 갖는 차량 시트(1)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등받이의 경사는 조절될 수 있다. 시트부(2)는 안내 트랙 장치(4)를 통해 길이 방향으로 조절가능하게 차량(미도시)의 차량 바닥 상에 배치되며, 높이 조절가능한 로커쌍(51, 52)을 통해 상기 안내 트랙 장치(4)에 연결되어 있다.
두개의 평행한 로커로 각각 형성되는 상기 로커쌍(51, 52)은 한편으로 시트부(2)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안내 트랙 장치(4)에 연결되고, 이렇게 해서 시트부(2) 및 안내 트랙 장치(4)와 함께, 안내 트랙 장치(4)에 대한 시트부(2)의 시트 높이의 조절을 가능하게 해주는 4-조인트를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목적으로, 로커쌍(51, 52)의 회전에 의해 시트부(2)가 안내 트랙 장치(4)에 대해 올라가거나 내려가도록 로커쌍(51, 52)은 회전 방향(V)을 따라 서로 평행하게 회전될 수 있다.
도 2 에 따른 시트부(2)와 안내 트랙 장치(4)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에서, 시트부(2)는 시트 프레임을 형성하는 2개의 측방부(20a, 20b)를 포함하고, 이들 두 측방부 사이에는 가로 관(54)이 연장되어 있고, 시트 팬(21)이 그 가로 관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된다. 가로 관(54)은 단부(540a, 540b)를 통해 측방부(20a, 20b)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2개의 로커(51a, 51b)를 지니고 있는데, 이들 로커는 후방 로커쌍(51)을 형성한다. 전방 로커쌍(52)은 로커(52a)(도 2 에서는 보이지 않음)로 형성되며, 이 로커는 후방 로커(51a, 51b)와 함께, 측방부(20a, 20b)의 안내 트랙 장치(4)에의 높이 조절가능한 연결을 위한 2개의 평행한 4-조인트를 형성한다.
상기 안내 트랙 장치(4)는 (의도하는 대로 차량에 조립되는 차량 시트(1)에 대해) 차량 길이 방향(X)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2개의 평행한 안내 트랙 쌍(41a, 42a 또는 41b, 42b)으로 형성된다. 이리하여 상기 안내 트랙 쌍(41a, 41b, 42a, 42b)의 각각의 상측 안내 트랙(41a, 41b)은 로커(51a, 51b, 52a, 52b)를 지탱하며, 하측 안내 트랙(42a, 42b)은 차량 바닥(미도시)에 연결된다.
상기 로커(51a, 51b, 52a, 52b)는 전동식 구동 유닛(53)과 함께 높이 조절 장치(5)의 일 부분을 형성하며, 그 구동 유닛은 로커(51a, 51b, 52a, 52b)를 회전시켜 안내 트랙 장치(4)에 대해 시트부(2)를 올리거나 내릴 수 있게 해 준다. 높이 조절 장치(5)를 작동시키면, 가로 관(54)의 (제 1) 단부(540a)에 배치되어 있는 로커(51a)가 상기 구동 유닛(53)에 의해 구동되어 움직이게 되며, 그리하여 가로 관(54)의 (제 2) 단부(540b)에 연결되어 있는 로커(51b)에 조절 운동이 가로 관(54)을 통해 동기적으로 전달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로커(51a, 51b)가 회전되며, 이에 따라 시트 팬(2)이 조절되고 전방 로커(52a, 52b)가 피동적으로 움직이게 된다.
도 3 ∼ 7 에 자세히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구동 유닛(53)은 치형 세그먼트-피니온 구동을 실현하는데, 출력축(530)에 배치되어 있는 구동 유닛(53)의 출력 피니언(531)은 안내 트랙(41a)에 배치되어 있는 치형 세그먼트(552)와 결합하게 된다. 구동 유닛(53)은 부착점(533)을 통해 로커(51a) 및 이 로커에 배치되어 있는 부착점(512)에 단단히 연결되며, 치형 세그먼트(552)는 홀딩 요소(55)에 연결되며(예컨대, 리벳 이음되며), 그 홀딩 요소(55)를 통해 안내 트랙(41a)에 단단히 유지된다.
상기 홀딩 요소(55)는 한편으로 치형 세그먼트(552)를 지탱하는 역할을 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로커(51a)를 안내 트랙(41a)에 장착하는 역할을 한다. 이리하여, 로커(51a)는 부착점(510)을 통해 체결 볼트(515) 및 체결 너트(516)에 의해 홀딩 요소(55)의 부착점(550)에 회전가능하게 유지된다.
조립된 상태에서, 예컨대 도 4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 피니언(531)은 로커(51a)의 노치(511)(도 3 참조)를 통과하여, 홀딩 요소(55)에 있는 치형 세그먼트(552)의 치부(553)와 결합한다. 그리하여, 출력 피니언(531)으로부터 돌출하는 출력 축(530)의 단부(532)는 지지 요소(513)의 노치(514)를 통과하고, 그 지지 요소는 로커(51a)에 평행하며 가로 관(54)에 연결되어 있고 가로 관(54)에 대해 출력 축(530)을 지지하고 그래서 추가로 출력 피니언(531)을 지지한다.
축방향 고정을 위한 너트(534)가 출력 축(530)의 단부(532)에 나사 결합된다(그래서 그 단부는 나사산을 갖고 있다).
로커(51a)와 지지 요소(513)는 각각 가로 관(54)에 단단히 연결되는데, 특히 용접된다. 이리하여, 가로 관(54)은 피봇 축선(L)을 따라 연장되어 있고, 가로 관(54)은 그 피봇 축선 둘레로 회전가능하게 측방부(20a, 20b)(도 2 참조)에 연결되며, 그리하여 지지 요소(513)와 로커(51a)는 피봇 축선(L)을 따라 볼 때 서로에 대해 오프셋되어 있고 높이 조절 장치(5)의 조립 상태(도 4a 참조)에서 그들 사이에 치형 세그먼트(552)를 수용한다. 출력 피니언(531)은 로커(51a)의 노치(511)를 통과하여 치형 세그먼트(552)의 치부(553)와 결합한다. 출력 축(530)은 그의 단부(532)로 상기 홀딩 요소(55)에 있는 크랭크형 노치(551)를 더 통과하여 지지 요소(513) 쪽으로 이르며, 출력 피니언(531)과 치형 세그먼트(552)의 결합이 특히 충돌로 인해 큰 하중력이 발생되는 경우에도 느슨하게 되지 않도록 지지 요소(513)에 의해 지지된다.
도 4a, 4b, 5a, 5b, 6a, 6b 는 다른 작동 조건에 있는 로커(51a)를 나타낸다. 도 4a, 5a 및 6a 는 시트부(2)가 내려가 있는 경우의 로커(51a)를 나타내며, 도 4b, 5b 및 6b 는 이와는 대조적으로 시트부(2)가 올라가 있는 경우의 로커를 나타낸다. 출력 피니언(531)은 조절을 위해 구동 유닛(53)에 의해 구동되고 치형 세그먼트(552)에 대해 회전되며, 그래서 출력 피니언(531)이 치형 세그먼트(552)를 따라 구르게 되며 안내 트랙(41a)에 장착되어 있는 정치식(stationary) 치형 세그먼트(552)에 대해 로커(51a)를 조절한다. 로커(51a)에 단단히 연결되어 있는 구동 유닛(53)은 또한 그 로커(51a)와 함께 회전된다.
상기 구동 유닛(53)은 로커(51a)에 정치식으로 배치되고 그 로커(51a)와 함께 움직이므로, 공간 요건이 감소되고 충돌 안전성이 높은 컴팩트한 구조가 얻어진다. 구동 유닛(53)을 로커(51a)에 배치할 때, 특히 측방부(20a, 20b) 중의 하나 또는 안내 트랙(41a, 41b) 중의 하나에, 구동 유닛(53)을 부착하기 위한 구성 공간을 제공할 필요가 없다.
치형 세그먼트-피니언 구동을 실현하는 구동 유닛(53)을 갖는 높이 조절 장치(5)는 안내 트랙 장치(4)에의 시트부(2)의 연결의 높은 안정성에 기여한다. 이리하여, 충돌시 벨트 부착점(22)(도 1 및 2 참조)을 통해 시트부(2)에 도입되는 하중력을 지지하기 위한 구성이 설계되며,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하중력이 비교적 짧은 힘 경로를 경유하여 안내 트랙 장치(4) 및 이어서 차량 바닥으로 분산된다.
벨트 부착점(22)(도 1 참조)을 통해 안전 벨트(221)를 시트부(2)에 연결하기 위한 벨트 로크(220)가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이점으로서, 벨트 로크(220)는 시트부(2)와 함께 움직이며 시트부(2)에 대한 벨트 로크(220)의 위치는 시트부(2)에 앉아 있는 탑승자를 위한 시트부(2)의 조절되는 높이 또는 길이 방향 위치와는 독립적이다. 그러나 단점으로서는, 충돌의 경우에 큰 힘이 벨트 부착점(2)을 통해 시트부(2)에 작용하여 그 시트부(2)에 도입될 수 있는데, 충돌의 경우에 벨트 부착점(22)의 부적절한 이동(특히, 전방 충돌의 경우에 예비 이동)을 피하기 위해 상기 힘은 안전하게 지지되어야 한다.
도 2 및 도 5a, 5b 및 도 6b 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벨트 부착점(22)은 도시된 실시 형태에서, 구동 유닛(53)을 지니고 있는 로커(51a) 가까이에 배치된다. (의도하는 대로 차량에 조립된 차량 시트(1)에 대해) 차량 중심 쪽에 위치되는 시트부(2)의 터널측(T)(도 2 참조)에 위치되고 따라서 터널 측방부(20a)에 위치되는 벨트 부착점(22)은 그리하여 측방부(20a)와 가로 관(54)의 연결점에 직접 인접한다.
구동 유닛(53) 및 출력 피니언(531)과 치형 세그먼트(552)의 결합을 통해 로커(51a)가 안내 트랙(41a)에 대해 잠금 및 지지되므로, 벨트점(22)을 통해 도입되어 바람직하게는 하중 방향(F)(도 5b 참조)으로 작용하는 하중력에 대해 짧은 힘 경로가 나타나게 된다. 이들 하중력은 짧은 경로에 있는 측방부(20a), 가로 관(54), 로커(51a), 출력 피니언(531) 및 홀딩 요소(55)를 경유하여 안내 트랙(41a) 및 이어서 차량 바닥으로 분산되고 따라서 강성적으로 단단히 지지되며, 그래서 허용 불가능하게 큰 벨트점 이동이 큰 하중력의 경우에도 회피된다. 이 짧은 힘 경로가 가능한 이유는, 출력 피니언(531)을 갖는 구동 유닛(53)이 로커(51a)에 정치식으로 배치되고 따라서 안내 레일(41a) 상에 정치식으로 배치되어 있는 치형 세그먼트(552)를 통해 힘이 안내 트랙(41a)에 직접 입력될 수 있게 해주기 때문이다.
본 발명을 이루는 아이디어는 전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특성을 갖는 실시 형태로도 실현될 수 있다.
예컨대 시트부(2)에 (터널측) 벨트 부착점이 제공되지 않으면, 구동 유닛을 차량 도어 쪽에 위치되는 차량 시트의 일 측에 배치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고 가능하다. 구동 유닛을 전방 로커에 배치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구동 유닛을 피동 로커에 장착하지 않고 출력 피니언만 로커에 정치식으로 배치하고 예컨대 가요성 축으로 구동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1 차량 시트
2 시트부
20a, 20b 측방부
21 시트 팬
22 벨트 부착점
220 벨트 로크
221 안전 벨트
3 등받이
4 안내 트랙 장치
41a, 41b, 42a, 42b 안내 트랙
5 높이 조절 장치
51, 52 로커 쌍
51a, 51b, 52a, 52b 로커
410 장착점
511 노치
512 체결점
513 지지 요소
514 노치
515 체결 볼트
516 체결 너트
53 구동 유닛
530 출력 축
531 피니언
532 단부
533 체결점
534 너트
54 가로 관
440a, 440b 단부
55 홀딩 요소
550 장착점
551 노치
552 치형 세그먼트
553 치부
F 하중력
L 피봇 축선
T 터널 측
W 회전 방향
X 차량 길이 방향
Y 차량 가로 방향
Z 차량 수직 방향

Claims (7)

  1. 시트 착석자를 위한 시트면을 제공하기 위한 시트부;
    차량 시트를 차량에 길이 방향으로 조절가능하게 배치하기 위한 안내 트랙 장치; 및
    높이 조절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 시트로서,
    상기 높이 조절 장치는, 상기 시트부와 안내 트랙 장치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시트부가 높이 조절될 수 있도록 상기 시트부를 상기 안내 트랙 장치에 연결하는 복수의 로커, 및 상기 복수의 로커 중의 제 1 로커를 구동시키기 위한 전동식 구동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 유닛은 출력 피니언을 가지며, 상기 출력 피니언은 치형 세그먼트의 치부와 결합하고 상기 안내 트랙 장치에 대해 시트부의 시트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치형 세그먼트에 대해 회전될 수 있으며,
    상기 출력 피니언(531)은 상기 제 1 로커(51a)에 배치되고 상기 치형 세그먼트(552)는 상기 안내 트랙 장치(4) 또는 상기 시트부(2)에 정치식으로 배치되고,
    상기 시트부(2)는 2개의 측방부(20a, 20b)를 포함하고, 상기 2개의 측방부 사이에는 가로 관(54)이 피봇 축선(L)을 따라 연장되어 있고, 상기 가로 관(54)은 상기 피봇 축선(L) 둘레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또한 상기 제 1 로커(51a)에 견고하게 연결되는, 차량 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안전 벨트를 부착하기 위한 벨트 부착점(22)이 상기 측방부(20a, 20b) 중의 제 1 측방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로커(51a)는 가로 관(54)에 있어서 상기 제 1 측방부(20a)와 대향하는 단부(540a)에 배치되는, 차량 시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로커(51a)는 후방 로커쌍(51)의 일부분이고, 차량 시트(1)가 의도하는 대로 차량에 조립되면 상기 후방 로커쌍은 차량 길이 방향(X)에 대해 전방 로커쌍(52) 뒤에 배치되는, 차량 시트.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시트(1)가 의도하는 대로 차량에 조립되어 있는 경우 차량 가로 방향(Y)을 따라 볼 때 상기 제 1 로커(51a)는 차량 중심 쪽에 위치되는 차량 시트(1)의 터널측(T)에 배치되는, 차량 시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피니언(531)은 제 1 로커(51a)의 노치(411)를 통과하여 치형 세그먼트(552)의 치부(553)와 결합하고, 출력 피니언(531)은 단부(532)로 출력 피니언(531)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출력축(530)에 배치되고, 상기 출력축은 가로 관(54)에 대해 지지 요소(513)에 의해 지지되는, 차량 시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로커(51a) 및 지지 요소(513)는 각 경우 가로 관(54)에 견고히 연결되고 피봇 축선(L)을 가로질러 가로 관(54)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피봇 축선(L)을 따라 볼 때 상기 제 1 로커와 지지 요소 사이에는 치형 세그먼트(552)가 수용되는, 차량 시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피니언(531)은 제 1 로커(51a)의 노치(511)를 통과하여 치형 세그먼트(552)의 치부(553)와 결합하고, 출력 피니언(531)은 출력축(530)에 배치되고, 상기 출력축은 일 단부(532)로 상기 출력 피니언(531)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으며, 출력 피니언(531)과 치형 세그먼트의 결합을 축방향으로 안정되게 하기 위한 잠금 와셔가 상기 단부에 배치되어 있는, 차량 시트.
KR1020157019908A 2010-12-22 2011-12-16 높이 조절 장치를 갖는 차량 시트 KR1017024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0063972.9 2010-12-22
DE102010063972A DE102010063972A1 (de) 2010-12-22 2010-12-22 Fahrzeugsitz mit einer Höhenverstelleinrichtung
PCT/EP2011/006372 WO2012084158A1 (de) 2010-12-22 2011-12-16 Fahrzeugsitz mit einer höhenverstelleinrichtung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8942A Division KR20130114689A (ko) 2010-12-22 2011-12-16 높이 조절 장치를 갖는 차량 시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9098A KR20150089098A (ko) 2015-08-04
KR101702472B1 true KR101702472B1 (ko) 2017-02-03

Family

ID=4547050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8942A KR20130114689A (ko) 2010-12-22 2011-12-16 높이 조절 장치를 갖는 차량 시트
KR1020157019908A KR101702472B1 (ko) 2010-12-22 2011-12-16 높이 조절 장치를 갖는 차량 시트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8942A KR20130114689A (ko) 2010-12-22 2011-12-16 높이 조절 장치를 갖는 차량 시트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045061B2 (ko)
JP (1) JP5779658B2 (ko)
KR (2) KR20130114689A (ko)
CN (1) CN103269903B (ko)
CZ (1) CZ306157B6 (ko)
DE (2) DE102010063972A1 (ko)
WO (1) WO201208415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6888A (ko) 2017-09-28 2019-04-05 주식회사다스 자동차용 시트의 높이 조절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35347A1 (en) * 2011-03-28 2012-10-04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Energy management feature for vehicle seating
JP2012254777A (ja) * 2011-05-19 2012-12-27 Shiroki Corp シートリフタ
DE102013001805B3 (de) * 2013-01-29 2014-05-28 Keiper Gmbh & Co. Kg Neigungseinsteller für einen Fahrzeugsitz und Fahrzeugsitz
JP6168970B2 (ja) * 2013-06-16 2017-07-26 株式会社デルタツーリング パワーシートスライド装置及び乗物用シート
DE102013218993A1 (de) * 2013-09-20 2015-03-26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Coburg Sitzverstelleinrichtung
FR3017343B1 (fr) * 2014-02-13 2017-07-21 Faurecia Sieges D'automobile Siege de vehicule comprenant un dispositif de reglage de la hauteur de l'assise du siege
DE102014220131B4 (de) * 2014-07-17 2019-10-24 Adient Luxembourg Holding S.À R.L. Verstellvorrichtung und Fahrzeugsitz mit Verstellvorrichtung
DE102014216948B4 (de) 2014-08-26 2021-02-11 Brose Fahrzeugteile SE & Co. Kommanditgesellschaft, Coburg Fahrzeugsitzgestell mit miteinander gekoppelten Rastbeschlägen
DE102014217506A1 (de) 2014-09-02 2016-03-03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Coburg Deformationselement für einen Kraftfahrzeugsitz
US9586506B2 (en) * 2014-10-03 2017-03-0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Rear seat cushion with H-point articulation
DE102015201649B4 (de) * 2014-11-13 2017-07-27 Adient Luxembourg Holding S.à.r.l. Verbindungselement zur Höhenverstellung eines Fahrzeugsitzes und Fahrzeugsitz
DE102015221563A1 (de) * 2015-06-30 2017-01-05 Johnson Controls Components Gmbh & Co. Kg Höheneinstellbarer fahrzeugsitz mit crashsperreneinheit
DE102015216054A1 (de) 2015-08-21 2017-02-23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Coburg Verstelleinrichtung für einen Fahrzeugsitz
GB201515703D0 (en) * 2015-09-04 2015-10-21 Jaguar Land Rover Ltd Vehicle seat assembly
KR101683397B1 (ko) * 2015-09-25 2016-12-06 주식회사다스 자동차 시트의 하이트링크 구동장치
US9701227B2 (en) 2015-10-08 2017-07-11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Assembly group of a vehicle seat comprising a tube element and an attachment part arranged thereon
US10189385B2 (en) 2015-10-08 2019-01-29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Coburg Vehicle seat
DE102015015878A1 (de) * 2015-12-09 2017-06-14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 d. Ges. d. Staates Delaware) Kraftfahrzeug mit höhenverstellbaren Sitz
KR102493503B1 (ko) 2016-06-29 2023-01-31 주식회사 다스 차량용 시트의 높이 조절장치
KR101827130B1 (ko) * 2016-07-06 2018-0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시트의 높이 조절장치
US10562422B2 (en) 2017-02-08 2020-02-18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Coburg Vehicle seat
JP7089722B2 (ja) 2017-03-16 2022-06-23 Whill株式会社 コネクタ構造
DE102017207358B4 (de) * 2017-05-02 2023-07-06 Brose Fahrzeugteile SE & Co. Kommanditgesellschaft, Coburg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Kinematikteils einer Verstellkinematik eines Fahrzeugsitzes
FR3071199A1 (fr) * 2017-09-15 2019-03-22 Faurecia Sieges D'automobile Glissiere pour siege de vehicule et siege de vehicule comportant une telle glissiere
CN108556695B (zh) * 2018-04-24 2019-11-05 延锋安道拓座椅有限公司 一种具有高度调节结构的座椅
CN110406442B (zh) * 2018-04-28 2021-07-20 长城汽车股份有限公司 座垫骨架及具有该座垫骨架的座椅和车辆
US11040638B2 (en) 2018-05-04 2021-06-22 Lear Corporation Track assembly
US11040639B2 (en) 2018-05-04 2021-06-22 Lear Corporation Track assembly
US10882420B2 (en) 2019-03-08 2021-01-05 Lear Corporation Track assembly
US10926667B2 (en) 2018-05-04 2021-02-23 Lear Corporation Track assembly
US10850645B2 (en) 2018-05-04 2020-12-01 Lear Corporation Track assembly
US11358497B2 (en) 2018-05-04 2022-06-14 Lear Corporation Track system having a rolling member
US10906431B2 (en) 2018-05-04 2021-02-02 Lear Corporation Track assembly
DE102018207637B4 (de) * 2018-05-16 2020-10-29 Brose Fahrzeugteile SE & Co. Kommanditgesellschaft, Coburg Verstellvorrichtung mit Verzahnungssteuerung
DE102018208641B4 (de) 2018-05-30 2023-04-27 Brose Fahrzeugteile SE & Co. Kommanditgesellschaft, Coburg Fahrzeugsitz mit fremdkraftbetätigt verstellbarem Schwingenbauteil und Verriegelungseinheit
DE102018117927B4 (de) * 2018-07-25 2023-06-22 Keiper Seating Mechanisms Co., Ltd. Fahrzeugsitz
US11440482B2 (en) 2018-12-10 2022-09-13 Lear Corporation Track assembly
US11225201B2 (en) 2018-12-10 2022-01-18 Lear Corporation Track assembly
US11117538B2 (en) 2018-12-17 2021-09-14 Lear Corporation Electrical assembly
US11613220B2 (en) 2018-12-17 2023-03-28 Lear Corporation Electrical assembly
US10855037B2 (en) 2018-12-17 2020-12-01 Lear Corporation Support assembly with a support member and a track assembly
US10950977B2 (en) 2018-12-18 2021-03-16 Lear Corporation Track assembly for a vehicle component
US11975665B2 (en) 2019-02-20 2024-05-07 Lear Corporation Electrical assembly
US11040653B2 (en) 2019-02-25 2021-06-22 Lear Corporation Track assembly
US11299075B2 (en) 2019-03-06 2022-04-12 Lear Corporation Electrical assembly
US11807142B2 (en) 2019-03-06 2023-11-07 Lear Corporation Electrical track assembly
US10940776B2 (en) 2019-04-17 2021-03-0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djustable seat
US11214179B2 (en) * 2019-06-26 2022-01-0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ivoting seat assembly
US11214178B2 (en) * 2019-06-26 2022-01-0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ivoting seat assembly
DE102019211166B3 (de) * 2019-07-26 2020-11-12 Brose Fahrzeugteile SE & Co. Kommanditgesellschaft, Coburg Fahrzeugsitzgestell mit einer Höhenverstelleinrichtung
US11634101B2 (en) 2019-10-04 2023-04-25 Lear Corporation Removable component system
US11463083B2 (en) 2019-10-04 2022-10-04 Lear Corporation Electrical system
US11323114B2 (en) 2019-10-04 2022-05-03 Lear Corporation Electrical system
US20210262173A1 (en) 2020-02-21 2021-08-26 Lear Corporation Track system with a support member
CN111267695B (zh) * 2020-02-27 2021-05-04 广汽零部件有限公司 一种在碰撞中具有防下沉功能的汽车座椅高度调节结构
US11505141B2 (en) 2020-10-23 2022-11-22 Lear Corporation Electrical system with track assembly and support assembly
CN113306467B (zh) * 2021-06-21 2022-08-26 麦格纳座椅研发(重庆)有限公司 一种电机驱动齿轮副式坐垫翻折机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63091A (ja) 1999-12-09 2001-06-19 Aisin Seiki Co Ltd シートバーチカル装置
JP2006181259A (ja) 2004-12-28 2006-07-13 Delta Kogyo Co Ltd シートの高さ調節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53190A (en) * 1958-05-07 1960-09-20 Gen Motors Corp Vehicle seat adjuster
DE2641243C2 (de) 1976-09-14 1984-01-05 Keiper Automobiltechnik Gmbh & Co Kg, 5630 Remscheid Sitz, insbesondere Fahrzeugsitz
DE2802616C2 (de) 1978-01-21 1982-06-09 Keiper Automobiltechnik Gmbh & Co Kg, 5630 Remscheid Verankerung für Gurtschlösser von in Fahrzeugen angeordneten Sicherheitsgurten
DE2841511A1 (de) 1978-09-23 1980-04-03 Keiper Automobiltechnik Gmbh Vorrichtung zur neigungsverstellung von sitzen, insbesondere kraftfahrzeugsitzen
DE2933092A1 (de) * 1979-08-16 1981-02-26 Keiper Automobiltechnik Gmbh Gestell fuer einen laengs- und hoehenverstellbaren fahrzeugsitz
FR2503061B1 (fr) 1981-04-07 1986-01-24 Tubauto Dispositif permettant le reglage vertical de la partie avant d'une assise de siege de vehicule
DE3225546A1 (de) 1982-07-08 1984-01-12 Keiper Automobiltechnik Gmbh & Co Kg, 5630 Remscheid Vorrichtung zur hoehenverstellung von sitzen, insbesondere kraftfahrzeugsitzen
GB2224198A (en) 1988-10-26 1990-05-02 Ford Motor Co Seat positioning mechanism
FR2748431B1 (fr) * 1996-05-10 1998-07-24 Faure Bertrand Equipements Sa Mecanisme de reglage en position angulaire d'un bras articule sur un support
DE29814448U1 (de) * 1998-08-12 1998-11-19 Hammerstein Gmbh C Rob Motorisch verstellbarer Fahrzeugsitz mit einstellbarem Sitz, insbesondere höhenverstellbarer Sitzfläche
FR2801543B1 (fr) 1999-11-30 2004-10-15 Aisin Seiki Appareil vertical pour siege de vehicule
DE10107694C1 (de) * 2001-02-19 2002-06-06 Brose Fahrzeugteile Kraftfahrzeugsitz, mit einem höhenverstellbaren Sitzträger
US6666423B1 (en) * 2002-05-31 2003-12-23 Tachi-S Co., Ltd. Ratchet-type lever mechanism for seat lifter
US7434877B2 (en) * 2005-09-23 2008-10-14 American Seating Company Transportation seating system
KR20090063583A (ko) * 2007-12-14 2009-06-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시트 높이 조절장치
CN101774358B (zh) * 2010-03-04 2011-12-14 常州昊邦汽车零部件有限公司 可调式减震座椅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63091A (ja) 1999-12-09 2001-06-19 Aisin Seiki Co Ltd シートバーチカル装置
JP2006181259A (ja) 2004-12-28 2006-07-13 Delta Kogyo Co Ltd シートの高さ調節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6888A (ko) 2017-09-28 2019-04-05 주식회사다스 자동차용 시트의 높이 조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Z306157B6 (cs) 2016-08-24
DE102010063972A1 (de) 2012-06-28
CZ2013487A3 (cs) 2013-08-07
DE112011104553A5 (de) 2013-10-10
WO2012084158A1 (de) 2012-06-28
CN103269903A (zh) 2013-08-28
US20130278031A1 (en) 2013-10-24
US9045061B2 (en) 2015-06-02
JP2014500190A (ja) 2014-01-09
CN103269903B (zh) 2016-01-20
KR20150089098A (ko) 2015-08-04
JP5779658B2 (ja) 2015-09-16
KR20130114689A (ko) 2013-10-18
DE112011104553B4 (de) 2019-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2472B1 (ko) 높이 조절 장치를 갖는 차량 시트
US9016785B2 (en) Vehicle seat with a seat depth adjusting device
JP5386344B2 (ja) シートアジャスタ用のトランスミッションデバイス
US20060131945A1 (en) Vehicular seat
KR101441027B1 (ko) 안내 레일에 설치되는 조절 기구를 갖는 조절 장치
US6921058B2 (en) Seat frame of a motor vehicle seat with a seat carrier and a padding support
US6814406B2 (en) Seat vertical position adjusting device
KR20180078247A (ko) 차량 시트의 머리받침대
US6264158B1 (en) Structural support for seat track assembly
JP4032827B2 (ja) シートバーチカル装置
CN108657031B (zh) 具有张紧作用元件的斜躺座椅总成
US8870286B2 (en) Adjusting device for a vehicle subassembly to be adjusted
US20220274510A1 (en) Seat frame
EP1149001B1 (en) Single horizontal drive configuration for a seat adjuster
US5988581A (en) Single horizontal drive for a vehicle seat
US20190016237A1 (en) Motor vehicle
US20240140275A1 (en) Height-adjustment apparatus for a vehicle seat
JP2008307388A (ja) 高さ調整可能な車両用アームレスト
FR2862260A1 (fr) Siege pour vehicule automobile, et vehicule automobile equipe d'un tel siege
FR2896457A1 (fr) Vehicule automobile pourvu de sieges comprenant une structure d'assise commune.
CN111963636A (zh) 赛车用链条张紧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