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3658B1 - 기기 상태 정보 수집 방법, 및 거기에 사용하는 기기 상태 정보 수집 킷 - Google Patents

기기 상태 정보 수집 방법, 및 거기에 사용하는 기기 상태 정보 수집 킷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3658B1
KR101683658B1 KR1020117013363A KR20117013363A KR101683658B1 KR 101683658 B1 KR101683658 B1 KR 101683658B1 KR 1020117013363 A KR1020117013363 A KR 1020117013363A KR 20117013363 A KR20117013363 A KR 20117013363A KR 101683658 B1 KR101683658 B1 KR 1016836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agement
collection
group
collect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33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99245A (ko
Inventor
마모루 나가세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티엘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티엘브이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티엘브이
Publication of KR201100992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92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36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36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418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 G05B19/4183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characterised by data acquisition, e.g. workpiece identification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30Nc systems
    • G05B2219/31From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till monitoring
    • G05B2219/31282Data acquisition, BDE MD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30Nc systems
    • G05B2219/31From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till monitoring
    • G05B2219/31319Use data groups as inventory control value, adapt inventory need to new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5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mobile data collecting device, e.g. walk by or drive b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6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transmitting utility meters data, i.e. transmission of data from the reader of the utility me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02Total factory control, e.g. smart factories,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or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 Testing And Monitoring For Control System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Testing Of Devices, Machine Parts, Or Other Structures Thereof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다수의 관리 대상 기기의 적확(的確)한 기기 상태 정보를 효율적으로 수집한다. 기기 관리용의 기기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다수의 관리 대상 기기(2)를, 기기 상태 검지용의 가반(可搬) 유닛(4)의 각 관리 대상 기기(2)로의 검지 조작에 의해 기기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직접 수집 그룹(7)과, 관리 대상 기기(2)의 기기 상태 정보를 검지 가능한 상태로 설치된 기기 상태 검지용의 고정 유닛(5, 6)과의 통신에 의해 기기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간접 수집 그룹(8a, 8b)으로 그룹 분류한다.

Description

기기 상태 정보 수집 방법, 및 거기에 사용하는 기기 상태 정보 수집 킷{METHOD FOR COLLECTING DEVICE STATE INFORMATION AND DEVICE STATE INFORMATION COLLECTION KIT USED FOR THE METHOD}
본 발명은, 공장이나 플랜트 등에 배치되는 다수의 관리 대상 기기[예를 들면, 증기 트랩(steam trap)으로 대표되는 밸브 종류나 펌프에 대표되는 유체 기기 등]에 대하여 교환 또는 수리를 적절하게 실시하는 기기 관리에 사용되는 기기 상태 정보(예를 들면, 정상인지 불량인지 또는 그 종류나 정도의 정보, 또는 그것을 판정하기 위한 온도 등의 정보)를 수집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종래, 예를 들면, 관리 대상 기기의 일례인 증기 트랩의 기기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방법으로서 하기 (1), (2)에 기재된 것이 알려져 있다.
(1) 증기 트랩의 외표면의 초음파 진동 및 온도를 검출하는 센서를 구비한 가반식(可搬式)의 소형 수집기(收集器)[기기 상태 검지용(檢知用)의 가반 유닛의 일례]의 접촉 조작(검지 조작의 일례)에 의해, 다수의 증기 트랩 각각에 대한 기기 상태 정보를 순차적으로 수집하는 직접 수집 방법(하기 특허 문헌 1 참조).
(2) 증기 트랩의 외표면에서의 초음파 진동 및 온도를 검출하는 센서를 구비한 고정식의 수집 장치를 상기 센서가 증기 트랩의 외표면에 접촉하는 상태로 설치하고, 또한 상기 수집 장치와 중앙 관리 장치와의 무선 통신에 의해 다수의 증기 트랩의 기기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간접 수집 방법(하기 특허 문헌 2 참조).
일본 특허출원 공개번호 2005-114409호 공보 일본 특허출원 공개번호 2003-132476호 공보
그런데, 상기 (1)에 기재된 직접 수집 방법에서는, 공장 내의 다수의 증기 트랩 각각에 대하여 수집원(收集員)에 의한 검지 작업(즉, 수집기를 사용한 검지 조작)이 필요하게 되고, 또한 기기 관리상, 증기 트랩 각각의 상황이나 실정에 따른 빈도나 시점에서의 적확(的確)한 기기 상태 정보를 요하므로 수집원단(收集員團)에 의한 일제 작업 형태를 채용하기가 곤란하므로, 기기 상태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수집원수가 다대(多大)하게 되어, 수집 시간과 수집 비용의 양면에서 효율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기 (2)에 기재된 간접 수집 방법에서는, 기기 상태 정보의 수집 시간은 짧아도 되지만, 공장 내의 다수의 증기 트랩과 동일한 수량의 센서가 필요하게 되고, 또한 수집 장치 각각에 통신 기능을 가지게 할 필요도 있으므로, 센서나 수집 장치의 비용 등의 설비 비용이 커져서, 마찬가지로, 수집 비용면에서 효율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실정을 감안하여, 본 발명의 주된 과제는, 다수의 관리 대상 기기의 적확한 기기 상태 정보를 효율적으로 수집할 수 있는 기기 상태 정보 수집 방법 및 거기에 사용하는 기기 상태 정보 수집 킷(kit)을 제공하는 점에 있다.
본 발명의 제1 특징적 구성은, 기기 상태 정보 수집 방법에 관한 것이며, 그 특징은, 다수의 관리 대상 기기 각각에 대한 기기 관리용의 기기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기기 상태 정보 수집 방법으로서,
기기 상태 검지용의 가반 유닛의 각 관리 대상 기기로의 검지 조작에 의해 상기 기기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직접 수집 그룹과, 관리 대상 기기의 상기 기기 상태 정보를 검지 가능한 상태로 설치된 기기 상태 검지용의 고정 유닛과의 통신에 의해 상기 기기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간접 수집 그룹으로 다수의 관리 대상 기기를 그룹 분류하는 점에 있다.
전술한 구성에 의하면, 직접 수집 방법이 채용되는 상기 직접 수집 그룹과, 간접 수집 방식이 채용되는 상기 간접 수집 그룹의 적어도 2종의 수집 그룹으로 다수의 관리 대상 기기를 그룹 분류하기 때문에, 관리 대상 기기 각각의 상황(예를 들면, 종류, 설치 장소, 중요성)이나 실정(불량의 발생 빈도나 발생 확률)에 따라, 수집의 빈도(시점), 작업 시간, 작업성, 작업 비용, 설비 비용 등의 면을 고려하여 보다 적절한 수집 방식에 의해 관리 대상 기기 각각의 기기 상태 정보를 수집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다수의 관리 대상 기기의 적확한 기기 상태 정보를 효율적으로 수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특징적 구성은, 제1 특징적 구성을 실시하기에 바람직한 구성으로서, 그 특징은, 상기 간접 수집 그룹의 관리 대상 기기에 대하여, 상기 고정 유닛과 중앙 관리 장치와의 통신에 의해 상기 기기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제1 간접 수집 그룹과, 상기 고정 유닛과 상기 가반 유닛과의 통신에 의해 상기 기기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제2 간접 수집 그룹으로 더욱 그룹 분류하는 점에 있다.
즉, 전술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간접 수집 그룹의 관리 대상 기기에 대하여, 수집원에 의한 가반 유닛의 운반 작업이나 조작 작업이 불필요한 제1 간접 수집 그룹과, 수집원에 의한 운반 작업이나 조작 작업이 적은 제2 간접 수집 그룹으로, 더욱 그룹 분류하게 되기 때문에, 예를 들면, 불량의 발생 빈도가 높은 관리 대상 기기나 중요성이 높은 관리 대상 기기 등의 수집 빈도가 많은 관리 대상 기기를 상기 제1 간접 수집 그룹으로 그룹 분류를 행하는 등에 의해, 기기 상태 정보의 수집 공정의 한층 더 효율화를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특징적 구성은, 제2 특징적 구성을 실시하기에 바람직한 구성으로서, 그 특징은, 다수의 관리 대상 기기 각각에 대하여 상기 기기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빈도를 설정하고, 동일한 수집 빈도가 설정된 관리 대상 기기로부터 상기 직접 수집 그룹을 선정하고, 또한 상기 직접 수집 그룹으로 선정된 관리 대상 기기와는 상이한 수집 빈도가 설정된 관리 대상 기기의 전부 또는 일부를 상기 제1 간접 수집 그룹으로 선정하는 점에 있다.
전술한 구성에 의하면, 동일한 수집 빈도가 설정된 관리 대상 기기로부터 상기 직접 수집 그룹을 선정하기 때문에, 수집원의 수집 작업을 동일한 작업 날짜 또는 동일한 작업 기간에 한번에, 그리고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기기 상태 정보의 수집 공정의 한층 더 효율화를 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수집 빈도의 설정은, 예를 들면, 30초마다, 혹은 1시간마다, 혹은 1년마다 등의 단위 시간마다, 또는 시각마다, 또는 상시(常時)(또는 거의 상시) 등으로 적절하게 설정하면 된다.
본 발명의 제4 특징적 구성은, 제3 특징적 구성을 실시하기에 바람직한 구성으로서, 그 특징은, 동일한 수집 빈도가 설정된 관리 대상 기기 각각에 대하여 상기 가반 유닛에 의한 상기 기기 상태 정보의 직접 수집이 적절한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직접 수집이 적절한 것으로 판정된 관리 대상 기기의 전부 또는 일부를 상기 직접 수집 그룹으로 선정하고, 또한 직접 수집이 부적절한 것으로 판정된 관리 대상 기기의 전부 또는 일부를 상기 제2 간접 수집 그룹으로 선정하는 점에 있다.
전술한 구성에 의하면, 동일한 수집 빈도가 설정된 관리 대상 기기 각각에 대하여, 예를 들면, 설치 상황 등에 기초한 수집원의 작업성이나 안전성 등의 판정 지표에 의해 가반 유닛에 의한 직접 수집의 여부를 판정하고, 여기에 더하여, 수집원에 의한 검지 작업이 필요한 상기 직접 수집 그룹과 수집원에 의한 검지 작업이 불필요한 상기 제2 간접 수집 그룹으로 그룹 분류할 수 있으므로, 관리 대상 기기 각각을 수집 효율면에서 보다 더욱 적확한 수집 그룹으로 그룹 분류할 수 있으므로, 기기 상태 정보의 수집 공정의 한층 더 효율화를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특징적 구성은, 기기 상태 정보 수집 킷에 관한 것으로서, 그 특징은, 다수의 관리 대상 기기 각각에 대한 기기 관리용의 기기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기기 상태 정보 수집 방법에 사용되는 기기 상태 정보 수집 킷으로서, 관리 대상 기기 각각에 대한 검지 조작에 의해 상기 기기 상태 정보를 수집 가능한 기기 상태 검지용의 가반 유닛과, 관리 대상 기기의 상기 기기 상태 정보를 검지 가능한 상태로 설치 가능하고, 또한 검지한 상기 기기 상태 정보를 통신 가능한 기기 상태 검지용의 고정 유닛과, 상기 고정 유닛과의 통신에 의해 상기 기기 상태 정보를 수집 가능한 중앙 관리 장치를 구비하는 점에 있다.
전술한 구성에 의하면, 가반 유닛에 의한 직접 수집 방법이 채용되는 상기 직접 수집 그룹과, 중앙 관리 장치에 의한 간접 수집 방식이 채용되는 상기 간접 수집 그룹의 적어도 2종의 수집 그룹으로 다수의 관리 대상 기기를 그룹 분류할 수 있으므로, 관리 대상 기기 각각의 상황(예를 들면, 종류, 설치 장소, 중요성)이나 실정(불량의 발생 빈도나 발생 확률)에 따라 수집의 빈도(시점), 작업 시간, 작업성, 작업 비용, 설비 비용 등의 면을 고려하여 보다 적절한 수집 방식으로 관리 대상 기기 각각의 기기 상태 정보를 수집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다수의 관리 대상 기기의 적확한 기기 상태 정보를 효율적으로 수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6 특징적 구성은, 기기 상태 정보 수집 킷에 관한 것으로서, 그 특징은, 다수의 관리 대상 기기 각각에 대한 기기 관리용의 기기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기기 상태 정보 수집 방법에 사용되는 기기 상태 정보 수집 킷으로서, 관리 대상 기기 각각에 대한 검지 조작에 의해 상기 기기 상태 정보를 수집 가능한 기기 상태 검지용의 가반 유닛과, 관리 대상 기기의 상기 기기 상태 정보를 검지 가능한 상태로 설치 가능하고, 또한 검지한 상기 기기 상태 정보를 무선 통신 가능한 기기 상태 검지용의 고정 유닛을 구비하고, 또한 상기 가반 유닛이, 상기 고정 유닛과의 무선 통신에 의해 상기 고정 유닛에서 검지한 상기 기기 상태 정보를 수집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는 점에 있다.
전술한 구성에 의하면, 가반 유닛에 의한 직접 수집 방법이 채용되는 상기 직접 수집 그룹과, 가반 유닛에 의한 간접 수집 방식이 채용되는 상기 간접 수집 그룹의 적어도 2종의 수집 그룹으로 다수의 관리 대상 기기를 그룹 분류할 수 있으므로, 관리 대상 기기 각각의 상황(예를 들면, 종류, 설치 장소, 중요성)이나 실정(불량의 발생 빈도나 발생 확률)에 따라 수집의 빈도(시점), 작업 시간, 작업성, 작업 비용, 설비 비용 등의 면을 고려하여 보다 적절한 수집 방식으로 관리 대상 기기 각각의 기기 상태 정보를 수집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다수의 관리 대상 기기의 적확한 기기 상태 정보를 효율적으로 수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7 특징적 구성은, 기기 상태 정보 수집 킷에 관한 것으로서, 그 특징은, 다수의 관리 대상 기기 각각에 대한 기기 관리용의 기기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기기 상태 정보 수집 방법에 사용되는 기기 상태 정보 수집 킷으로서, 관리 대상 기기 각각에 대한 검지 조작에 의해 상기 기기 상태 정보를 수집 가능한 기기 상태 검지용의 가반 유닛과, 관리 대상 기기의 상기 기기 상태 정보를 검지 가능한 상태로 설치 가능하고, 또한 검지한 상기 기기 상태 정보를 무선 통신 가능한 기기 상태 검지용의 고정 유닛과, 상기 고정 유닛에서 검지한 상기 기기 상태 정보를 상기 고정 유닛과의 무선 통신에 의해 수집 가능한 중앙 관리 장치를 구비하고, 또한 상기 가반 유닛이, 상기 고정 유닛과의 무선 통신에 의해 상기 고정 유닛에서 검지한 상기 기기 상태 정보를 수집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는 점에 있다.
전술한 구성에 의하면, 가반 유닛에 의한 직접 수집 방법이 채용되는 직접 수집 그룹과, 중앙 관리 장치 또는 가반 유닛에 의한 간접 수집 방식이 채용되는 간접 수집 그룹의 적어도 2종의 수집 그룹으로 다수의 관리 대상 기기를 그룹 분류할 수 있으므로, 관리 대상 기기 각각의 상황(예를 들면, 종류, 설치 장소, 중요성)이나 실정(불량의 발생 빈도나 발생 확률)에 따라 수집의 빈도(시점), 작업 시간, 작업성, 작업 비용, 설비 비용 등의 면을 고려하여 보다 적절한 수집 방식으로 관리 대상 기기 각각의 기기 상태 정보를 수집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다수의 관리 대상 기기의 적확한 기기 상태 정보를 효율적으로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간접 수집 그룹의 관리 대상 기기에 대하여, 수집원에 의한 가반 유닛의 운반 작업이나 조작 작업이 불필요한 중앙 관리 장치에 의한 제1 간접 수집 그룹과, 수집원에 의한 가반 유닛의 운반 작업이나 조작 작업이 적은 가반 유닛에 의한 제2 간접 수집 그룹으로 더욱 그룹 분류할 수 있으므로, 예를 들면, 불량의 발생 빈도가 높은 관리 대상 기기나 중요성이 높은 관리 대상 기기 등의 수집 빈도가 많은 관리 대상 기기를 상기 제1 간접 수집 그룹으로 그룹 분류를 행하는 등에 의해, 기기 상태 정보의 수집 공정의 한층 더 효율화를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8 특징적 구성은, 제7 특징적 구성을 실시하기에 바람직한 구성으로서, 그 특징은, 상기 고정 유닛으로서, 상기 중앙 관리 장치와의 무선 통신용의 제1 고정 유닛과, 상기 제1 고정 유닛보다 통신 가능 거리가 짧은 상기 가반 유닛과의 무선 통신용의 제2 고정 유닛을 구비하는 점에 있다.
전술한 구성에 의하면, 제2 고정 유닛에 대한 가반 유닛의 이동에 의해 상기 제2 수집 그룹의 기기 상태 정보의 수집은 문제없이 행할 수 있으면서도, 제2 고정 유닛을 제1 고정 유닛보다 염가로, 또한 소비 전력이 적게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기기 상태 정보의 수집 공정의 한층 더 효율화를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9 특징적 구성은, 제2 내지 제4 특징적 구성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기기 상태 정보 수집 방법에 사용되는 기기 상태 정보 수집 킷으로서, 상기 가반 유닛과, 상기 고정 유닛과, 상기 중앙 관리 장치를 구비하는 점에 있다.
전술한 구성에 의하면, 직접 수집 방법이 채용되는 상기 직접 수집 그룹과, 간접 수집 방식이 채용되는 상기 간접 수집 그룹의 적어도 2종의 수집 그룹으로 다수의 관리 대상 기기를 그룹 분류할 수 있으므로, 관리 대상 기기 각각의 상황(예를 들면, 종류, 설치 장소, 중요성)이나 실정(불량의 발생 빈도나 발생 확률)에 따라 수집의 빈도(시점), 작업 시간, 작업성, 작업 비용, 설비 비용 등의 면을 고려하여 보다 적절한 수집 방식으로 관리 대상 기기 각각의 기기 상태 정보를 수집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다수의 관리 대상 기기의 적확한 기기 상태 정보를 효율적으로 수집할 수 있다.
또한, 간접 수집 그룹의 관리 대상 기기에 대하여, 수집원에 의한 가반 유닛의 운반 작업이나 조작 작업이 불필요한 상기 제1 간접 수집 그룹과, 수집원에 의한 가반 유닛의 운반 작업이나 조작 작업이 적은 상기 제2 간접 수집 그룹으로 더욱 그룹 분류할 수 있으므로, 예를 들면, 불량의 발생 빈도가 높은 관리 대상 기기나 중요성이 높은 관리 대상 기기 등의 수집 빈도가 많은 관리 대상 기기를 상기 제1 간접 수집 그룹으로 그룹 분류를 행하는 등에 의해, 기기 상태 정보의 수집 공정의 한층 더 효율화를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0 특징적 구성은, 제9 특징적 구성을 실시하기에 바람직한 구성으로서, 그 특징은, 상기 가반 유닛이, 상기 제1 간접 수집 그룹의 관리 대상 기기에 접속된 상기 고정 유닛과의 무선 통신에 의해 제1 간접 수집 그룹의 관리 대상 기기의 상기 기기 상태 정보도 수집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는 점에 있다.
전술한 구성에 의하면, 관리자나 상기 중앙 관리 장치의 측의 사정(예를 들면, 유지 보수나 보안 등)이나 수집자 측의 사정(예를 들면, 수집원의 인원수나 집계 작업의 작업성 등)에 따라, 상기 제1 간접 수집 그룹의 관리 대상 기기의 일부 또는 전부에 대하여, 고정 유닛과 가반 유닛과의 무선 통신에 의해 기기 상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1 특징적 구성은, 제9 또는 제10 특징적 구성을 실시하기에 바람직한 구성으로서, 그 특징은, 상기 가반 유닛과 상기 중앙 관리 장치와의 무선 통신에 의해, 상기 직접 수집 그룹, 및 상기 제1 간접 수집 그룹 및 상기 제2 간접 수집 그룹의 기기 상태 정보를 상기 가반 유닛의 기억부 또는 상기 중앙 관리 장치의 기억부 또는 이들 양쪽에서 일괄적으로 기억 가능한 구성으로 하고 있는 점에 있다.
전술한 구성에 의하면, 가반 유닛과 중앙 관리 장치와의 무선 통신에 의해, 관리 대상 기기 각각의 기기 상태 정보의 일원화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도 1은 설비의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2는 제1 간접 수집 그룹의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3은 가반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4는 검지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제2 간접 수집 그룹의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6은 설비도(設備圖) 화상의 표시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다른 실시예에서의 가반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1은, 증기를 사용하는 공장이나 플랜트 등의 설비(1)에 분산 배치된 다수의 증기 트랩(2)[이하, 트랩(2)이라고 함] 각각에 대한 기기 관리용의 기기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기기 상태 정보 수집 킷을 사용한 관리 시스템을 나타낸다.
상기 수집 킷은, 중앙 관리 장치(3)와, 트랩(2) 각각에 대한 검지 조작에 의해 기기 상태 정보를 수집 가능한 기기 상태 검지용의 가반 유닛(4)과, 트랩(2)의 기기 상태 정보를 검지 가능한 상태로 설치 가능하고, 또한 검지한 기기 상태 정보를 무선 통신 가능한 기기 상태 검지용의 제1, 제2 고정 유닛(5, 6)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시스템에서는, 다수의 트랩(2) 각각에 대하여, 상기 가반 유닛(4)의 각 트랩(2)으로의 검지 조작에 의해 기기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직접 수집 그룹(7)과, 트랩(2)의 기기 상태 정보를 검지 가능한 상태로 설치된 상기 제1, 제2 고정 유닛(5, 6)과의 무선 통신(통신의 일례)에 의해 기기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간접 수집 그룹으로 다수의 트랩(2)가 그룹 분류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간접 수집 그룹의 트랩(2)에 대하여, 제1 고정 유닛(5)과 중앙 관리 장치(3)와의 무선 통신에 의해 기기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제1 간접 수집 그룹(8a)과, 제2 고정 유닛(6)과 가반 유닛(4)과의 통신에 의해 기기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제2 간접 수집 그룹(8b)으로 더욱 그룹 분류되어 있다.
상기 제1 고정 유닛(5)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무선 통신에 의해 중앙 관리 장치(3)와 정보 교환하는 단말기(9)와, 트랩(2) 각각에 장비하는 센서(10)와, 거리나 장애물의 존재 등으로 제1 고정 유닛(5)과 중앙 관리 장치(3)의 무선 통신이 불량으로 되는 적절한 개소에 설치하는 중계기(11)를 구비한다. 부호 "12"는 단말기(9)와 센서(10)를 접속하는 리드선이다.
상기 단말기(9)는, 도시하지 않지만, 디지털 프로세서를 사용한 디지털 회로부, 센서(10)를 접속하는 아날로그 회로부, 안테나를 사용하여 정보의 송수신을 행하는 통신부, 전원 전지, 설정 정보 등을 기억하는 기억부 등을 구비한다.
그리고, 단말기(9)는, 중앙 관리 장치(3)로부터 무선 통신에 의해 부여된 설정 정보에 따라, 설정 빈도(예를 들면, 설정 일시마다, 또는 설정 시간마다, 또는 설정 시각, 또는 상시 또는 거의 상시)로 접속 센서(10)의 검출 정보를 입력하고, 또한 입력한 센서 검출 정보를 디지털 처리한 후에 중앙 관리 장치(3)에 송신하고, 이와 더불어, 중앙 관리 장치(3)로부터의 지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센서(10)에는, 진동 온도용 센서와 진동용 센서와 온도용 센서의 3종류가 있으며, 각 트랩(2)의 형식이나 관리 항목에 따라 3종의 센서 중 어느 하나를 채용한다. 진동 온도용 센서는 트랩(2)의 초음파 레벨의 진동(기기 상태 정보의 일례)과 트랩(2)의 온도(기기 상태 정보의 일례)와 트랩(2)의 주위 온도(기기 상태 정보의 일례)의 3자를 검출하는 것이다. 진동용 센서는 트랩(2)의 초음파 레벨의 진동만을 검출하는 것이다. 온도용 센서는 트랩(2)의 온도와 트랩(2)의 주위 온도와의 양자만을 검출하는 것이다.
그리고, 각 단말기(9)의 아날로그 회로부에는 상기 센서(10)로 한정되지 않고, 각 트랩(2)을 장비한 증기계로의 증기 공급관(13)에 개재된 밸브(14)의 개폐 상태(기기 상태 정보의 일례)를 검출하는 개폐 센서(15), 또는 증기 공급관(13)의 관내 압력(기기 상태 정보의 일례)이나 각 트랩(2)에 접속된 복수(復水) 유입관(16)의 관내 압력(기기 상태 정보의 일례)을 검출하는 압력 센서(17)를 리드선(12)을 통하여 적절하게 접속하고 있다.
상기 중앙 관리 장치(3)는, 내장 CPU(연산부의 일례) 및 내장 하드디스크(기억부의 일례)를 구비하는 퍼스널형의 컴퓨터 본체(18)에, 디스플레이 장치(19)(표시부의 일례), 키보드(20)(조작부의 일례) 등의 주변 장치와 함께, 무선 통신을 행하기 위한 무선 모뎀(21)을 접속하여 구성되어 있다.
중앙 관리 장치(3)의 내장 하드디스크에는, 관리 대상으로 하는 트랩(2) 각각에 대한 트랩 속성 정보(예를 들면, 형식, 제조 회사, 용도, 압력 등), 트랩 진단 결과 정보[기기 상태 정보의 일례, 예를 들면, 정상인지 혹은 불량인지, 증기 누출 이상(異常)이나 막힘 이상이나 온도 이상 등의 불량 종류, 증기 누출량 등], 트랩 참고 정보[예를 들면, 불량 발생 횟수, 수집 일시(진단 일시)], 소속하는 수집 그룹을 나타내는 트랩 소속 정보, 전술한 센서 검출 정보 등을 트랩 식별 정보(예를 들면, 영역 번호, 트랩 번호)와 관련시킨 상태로 기억시켜 두는 관리용 데이터베이스가 저장되어 있다.
그리고, 중앙 관리 장치(3)의 내장 CPU[컴퓨터 본체(18)의 내장 CPU]는, 각 단말기(9)로부터 보내지는 전술한 센서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각 트랩(2)을 진단하고, 그 진단 결과의 정보(상기 트랩 진단 결과 정보)와 추출한 상기 트랩 참고 정보를 센서 검출 정보나 작동 횟수 검출 정보와 함께 상기 관리용 데이터베이스에 축적하는 방법으로 기록(즉, 이력 정보를 남기면서 기록)한다.
즉, 상기 제1 간접 수집 그룹(8a)의 트랩(2)의 각각에 대하여는, 제1 고정 유닛(5)의 단말기(9)와 중앙 관리 장치(3)와의 무선 통신[직접 무선 통신, 또는 중계기(11)에 의한 중계 처리를 통한 간접 무선 통신]에 의해, 제1 고정 유닛(5)의 센서(10)에서 검출한 기기 상태 정보를 중앙 관리 장치(3)의 하드디스크 내의 상기 관리용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는 수집 방법을 채용한다.
상기 가반 유닛(4)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반식의 휴대형 진단기(수집기)(22)와 가반식의 퍼스널 컴퓨터(이하, 휴대용 컴퓨터라고 함)(23)와 ID 태그 리더(24)로 이루어진다.
상기 진단기(22)는, 키 류(25)(조작부의 일례)와 소형 디스플레이(26)(표시부의 일례)와 내장 CPU(연산부의 일례)와 내장 메모리(기억부의 일례)를 구비한다. 상기 진단기(22)는, 내장 메모리에 저장된 진단용 프로그램을 내장 CPU에 의하여 실행됨으로써 동작한다.
또한, 진단기(22)는 프로브(probe)(27)를 구비하고, 이 프로브(27)의 선단(先端)에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트랩(2)의 외표면에 맞닿게 누른 상태로 트랩 외표면에서의 초음파 진동 및 온도를 검출하는 센서(28)가 설치되어 있고, 이 센서(28)에 의한 진동 및 온도의 검출 정보는 접속 코드(29)(내지는, 적외선 통신 수단 등의 무선 통신 수단)를 통해서 진단기(22)에 입력된다.
ID 태그 리더(24)는, 도 3의 쇄선으로 나타내는 돌출 자세와 실선으로 나타내는 격납(格納) 자세로 전환 가능하도록 하여 프로브(27)에 장비된 암(30)의 선단에 장비되어 있으며, 암(30)을 돌출 자세로 한 상태로 ID 태그 리더(24)를 트랩(2)각각[적어도 직접 수집 그룹의 트랩(2) 각각]의 근방에 부설된 ID 태그(31)에 근접시키면, 이 ID 태그(31)에 기록되어 있는 대응 트랩(2)의 상기 트랩 식별 정보가 ID 태그 리더(24)에 의해 판독되어 진단기(22)에 입력된다.
상기 휴대용 컴퓨터(23)는, 키보드(32), 조작 보조구(補助具)로서의 터치펜(33), 마우스(도시하지 않음), 디스플레이(34)(표시부의 일례), 내장 CPU(연산부의 일례), 내장 하드디스크(기억부의 일례), 내장 무선 모뎀을 구비하고, 또한, 하드디스크에는 관리용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으므로, 이 휴대용 컴퓨터(18)는 내장 CPU에 의한 관리용 프로그램의 실행에 의해 동작한다.
또한, 휴대용 컴퓨터(23)는 접속 코드(35)[내지는 적외선 통신 수단 등의 무선 통신 수단]를 통하여 진단기(22)와 양방향 통신 가능하게 되어 있으므로, ID 태그 리더(24)에 의해 판독된 트랩 식별 정보는 진단기(22)에 입력되고, 또한 휴대용 컴퓨터(23)에도 입력된다.
상기 진단기(22)의 내장 메모리에는, 상기 트랩 속성 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므로, 진단기(22)는, ID 태그 리더(24)에 의해 판독된 상기 트랩 식별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트랩(2)의 상기 트랩 속성 정보를 내장 메모리로부터 판독하고, 이 판독된 트랩 속성 정보와 센서(28)에 의한 검출 진동 및 검출 온도를 마찬가지로 내장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판정 기준 정보(예를 들면, 트랩 형식, 온도, 진동, 증기 누출량 등의 상관 데이터)와 대조하여 증기 누출량을 추정하는 판정 형태로, 그 진단 대상 트랩(2)이 정상인지 불량인지를 판정하고, 누출량의 대·중·소, 계속 누출, 막힘 등의 불량의 정도나 종류의 판정을 행한다.
그리고, 진단기(22)는, 대상 트랩(2) 각각에 대하여, 키 류(25) 등의 조작에 의해 입력되는 상기 트랩 참고 정보와 함께, 정상인지 불량인지의 판정 결과 및 불량 종류의 판정 결과 등을 트랩 진단 결과 정보로 하여, 트랩 식별 정보 및 트랩 속성 정보와 관련시킨 상태로 내장 메모리에 저장하고, 또한 휴대용 컴퓨터(23)에 전송한다.
또한, 휴대용 컴퓨터(23)의 내장 하드디스크에는, 중앙 관리 장치(3)에 저장된 것과 동일한 구성의 관리용 데이터베이스가 저장되어 있다. 상기 휴대용 컴퓨터(23)는, 전술한 바와 같이 진단기(22)로부터 센서 검출 정보와 트랩 진단 결과 정보와 트랩 참고 정보가 전송되면 데이터베이스 갱신 기능으로서, 이들 정보와 관련된 트랩 식별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대상 트랩(2)에 대하여, 진단기(22)로부터 전송되는 센서 검출 정보 및 트랩 진단 결과, 트랩 참고 정보를 상기 관리용 데이터베이스에 축적하는 방법으로 기록한다.
즉, 상기 직접 수집 그룹(7)의 트랩(2)에 대하여는, 진단원(診斷員)(수집원)에 의한 진단기(22)의 검지 조작[즉, 진단기(22)의 프로브(27)의 접촉 조작]에 의해 진단기(22)의 내장 메모리에 기기 상태 정보를 순차적으로 수집하고, 또한, 휴대용 컴퓨터(23)에 적절하게 전송함으로써 휴대용 컴퓨터(23)의 하드디스크 내의 관리용 데이터베이스에 기기 상태 정보를 축적하는 방법으로 기록하는 수집 방식을 채용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2 고정 유닛(6)은, 디지털 프로세서를 사용한 디지털 회로부, 아날로그 회로부, 무선 통신에 의해 휴대용 컴퓨터(23)와 정보의 송수신을 행하는 통신부, 전술한 센서(10)와 동종의 센서(도시하지 않음), 전원 전지, 설정 정보 등을 기억하는 기억부 등을 내장한, 소형 센서가 부착된 단말기(36)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센서가 부착된 단말기(36)의 통신부는, 비교적 가까운 거리의 통신이 가능하면 되므로, 단말기(9)와 중계기(11)에 의한 통신 가능 거리보다 짧은 통신 가능 거리를 가지는 것, 구체적으로는, 단말기(9)의 통신부보다 통신 가능 거리가 짧고 염가이면서, 또한 간단하고 소비 전력이 낮은 것을 채용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센서가 부착된 단말기(36)는, 비교적 가까운 설정 위치로 이동된 휴대용 컴퓨터(23)로부터 무선 통신에 의해 부여된 명령에 따라, 대응 트랩(2)의 센서 검출 정보를 디지털 처리한 후 가반 유닛(4)에 송신하고, 이와 더불어, 가반 유닛(23)으로부터의 지시 정보를 수신한다.
그리고, 센서가 부착된 단말기(36)는, 각 트랩(2)를 장비한 증기계로의 증기 공급관(13)에 개재된 밸브(14)의 개폐 상태(기기 상태 정보의 일례)를 검출하는 개폐 센서(15), 또는 증기 공급관(13)의 관내 압력(기기 상태 정보의 일례)이나 각 트랩(2)에 접속된 복수 유입관(16)의 관내 압력(기기 상태 정보의 일례)을 검출하는 압력 센서(17)를 내장 센서로서 채용한 것도 적절하게 사용한다.
그리고, 휴대용 컴퓨터(23)의 내장 CPU는, 각 센서가 부착된 단말기(36)로부터 보내지는 센서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각 트랩(2)을 진단하고, 그 진단 결과의 정보(상기 트랩 진단 결과 정보)와 추출한 트랩 참고 정보를 상기 센서 검출 정보나 작동 횟수 검출 정보와 함께 상기 관리용 데이터베이스에 축적하는 방법으로 기록한다.
즉, 제2 간접 수집 그룹(8b)의 트랩(2)에 대하여는, 제2 고정 유닛(6)과 휴대용 컴퓨터(23)와의 무선 통신(직접 무선 통신)에 의해, 제2 고정 유닛(6)을 통하여 휴대용 컴퓨터(23)의 하드디스크 내의 관리 데이터베이스에 기기 상태 정보를 기록하는 수집 방법을 채용한다.
그리고, 휴대용 컴퓨터(23)와 중앙 관리 장치(3)와의 무선 통신에 의해, 휴대용 컴퓨터(23) 측의 관리용 데이터베이스와 중앙 관리 장치(3) 측의 관리용 데이터베이스의 상호간의 재기록 갱신(일괄 갱신, 또는 수집 일시가 새로운 정보만의 부분 갱신)이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휴대용 컴퓨터는, 진단원에 의한 제1 고정 유닛(5)으로의 근접 이동 등이나 휴대용 컴퓨터로부터의 송신 명령 등에 의해, 제1 고정 유닛(5)과의 무선 통신에 의해 제1 고정 유닛(5)의 대응 트랩(2)에 대한 기기 상태 정보의 수집이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휴대용 컴퓨터(23)는, 진단원의 작업용 맵 기능을 구비하고,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설비(1)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설비도 화상 G를 내장 하드디스크에 저장되어 있는 설비도 정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34)에 표시하고, 또한 관리 대상의 트랩(2) 각각을 나타내는 표시자(表示子) E(아이콘)를 마찬가지로 내장 하드디스크에 저장되어 있는 트랩(2) 각각의 트랩 배치 정보에 기초하여 실제 트랩 위치에 맞는 배치로 설비도 화상 G 상에 중첩하여 디스플레이(34)에 표시한다. 이 때, 표시자 E의 표시 형태의 상이에 따라 대응 트랩(2)이 소속된 수집 그룹을 표시한다.
상기 정보 수집 킷(3∼6)을 사용하여 실시하는 다수의 트랩(2)의 관리는 다음의 (a)∼(h)의 수순으로 행한다.
(a) 트랩 관리의 의뢰자와의 협의에 의해, 진단자는, 설비(1) 중에서의 트랩(2) 중 어느 것을 관리 대상의 트랩(2)으로 할지를 결정한다. 즉, 설비(1) 중에서의 전체 트랩(2)을 관리 대상으로 하거나, 설비 중에서의 일부 구획의 트랩(2)만을 관리 대상으로 하거나, 또한, 설비(1) 중에서 특정 증기 계통에 속하는 트랩(2)만을 관리 대상으로 하는 등을 의뢰자와의 협의에 의해 결정한다.
(b) 진단자는, 의뢰자로부터 제시된 설비 배치도나 배관 계통도 등에 기초하여, 설비도 정보 및 트랩 배치 정보를 작성하고, 이 작성한 설비도 정보 및 트랩 배치 정보를 가반 유닛(4)에서의 휴대용 컴퓨터(23)의 내장 하드디스크에 저장한다.
(c) 진단자가 가반 유닛(4)을 휴대하여 휴대용 컴퓨터(23)의 디스플레이(34)에 표시되는 설비도 화상 G 및 그 설비도 화상 상의 표시자 E를 참조하면서 관리 대상의 트랩(2) 각각의 설치 개소로 이동하여, 트랩(2)마다 ID 태그(31)를 부설하고, 그리고 ID 태그 리더(24)에 의한 트랩 식별 정보의 판독을 행하고, 이에 따라, 관리 대상의 트랩(2) 각각의 정보를 휴대용 컴퓨터(3)의 내장 하드디스크의 관리용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고, 또한 터치펜(33) 등의 조작에 의해 트랩(2) 각각에 대하여 트랩 식별 정보와 표시자 E를 관련시킨다.
또한, ID 태그(31)의 부설, 및 트랩 식별 정보의 판독과 함께, 진단자가 트랩(2)마다 트랩 속성 정보나 트랩 참고 정보를 확인하여, 이들 트랩 속성 정보나 트랩 참고 정보를 키보드(32)나 터치펜(33) 등의 조작에 의해 휴대용 컴퓨터(23)의 관리용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고, 이로써, 관리 대상의 트랩(2)의 전체 수에 대한 관리용 데이터베이스를 신규로 작성한다.
그리고, 또한, 진단자는, 이들 ID 태그(31)의 부설, 트랩 식별 정보의 판독, 트랩 속성 정보나 트랩 참고 정보의 기록과 함께, 트랩(2)마다 휴대용 컴퓨터(23)의 관리용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트랩(2) 각각의 트랩 속성 정보나 트랩 참고 정보를 진단기(22)의 내장 메모리에 기록한 상태로, 진단기(22)에 의해 트랩(2) 각각을 진단하고, 그 진단 결과의 정보 및 센서 검출 정보 등을 진단기(22)의 메모리(8)에 저장하고, 또한 휴대용 컴퓨터(23)의 관리용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한다.
(d) 진단자는, 상기 휴대용 컴퓨터(23)의 관리용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된 트랩(2)의 전체 수에 대한 트랩 진단 결과에 기초하여, 관리 대상 트랩(2) 전체에 대한 현재 상태(예를 들면, 불량율, 증기 누출 총량, 증기 누출에 의한 손실 금액 등)를 의뢰자에게 보고하고, 여기에 더하여, 의뢰자와의 협의에 의해, 트랩(2)의 전체 수를 추천 트랩으로 교환하는 전체 수 갱신과, 트랩(2) 중에서 불량 트랩만을 수리하거나 또는 추천 트랩으로 교환하는 부분 갱신 중 어느 하나를 초기 갱신으로서 실시한다.
(e) 진단자는, 초기 갱신 실시 후, 관리 대상의 트랩(2) 각각에 대하여, 직접 수집 그룹(7), 제1 간접 수집 그룹(8a), 제2 간접 수집 그룹(8b)의 어디에 소속시킬 것인지, 트랩(2) 각각의 상황(예를 들면, 종류, 설치 장소, 중요성)이나 실정(불량의 발생 빈도나 발생 확률) 및 초기 작업에서 수집한 트랩 진단 결과 정보 등에 따라, 수집의 빈도(시점), 작업 시간, 작업성, 작업 비용, 설비 비용 등의 시점에 따라 종합적으로 판정하고, 또한 의뢰자와의 협의를 거쳐서 결정한다.
예를 들면, 다수의 트랩(2)의 그룹 분류는 다음과 같이 행한다.
먼저, 진단자는, 트랩(2) 각각에 대하여, 각각의 상황이나 실정에 따라 기기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빈도를 설정한다.
다음으로, 진단자는, 동일한 수집 빈도가 설정된 트랩(2) 중, 가장 수집 빈도가 긴 등의 적절한 수집 빈도(예를 들면, 1년에 1회)가 설정된 트랩(2)에 대하여, 작업성이나 설비 비용면에서 가반 유닛(4)에 의한 직접 수집이 적절한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가반 유닛(4)에 의한 직접 수집이 적절한 것으로 판정한 트랩(2)을 직접 수집 그룹(7)으로 선정한다.
또한, 진단자는, 가반 유닛(4)에 의한 직접 수집이 부적절한 것으로 판정한 트랩(2)에 대해서는, 작업성면에서 가반 유닛(4)에 의한 간접 수집이 부적합한 트랩(2)을 제외하고, 기본적으로 제2 수집 그룹(8b)으로 선정한다.
또한, 진단자는, 직접 수집 그룹(7)에 선정된 트랩(2)과는 상이한 수집 빈도이 설정된 트랩(2)에 대해서는, 설비 비용면에서 중앙 관리 장치(3)에 의한 간접 수집이 부적합한 트랩(2)을 제외하고, 기본적으로 제1 간접 수집 그룹(8a)으로 선정한다.
(f) 진단자는, 트랩(2) 각각에 대한 수집 그룹의 정보를 트랩 소속 정보로서 키보드(32)나 터치 펜(33) 등의 조작에 의해 휴대용 컴퓨터(23)의 관리용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고, 또한 휴대용 컴퓨터(23)와 중앙 관리 장치(3)와의 무선 통신에 의해 휴대용 컴퓨터(23)의 관리용 데이터베이스를 복제하는 형태로 중앙 관리 장치(3)의 내장 하드디스크에 관리용 데이터베이스를 저장한다.
또한, 진단자는, 제1 간접 수집 그룹(8a)의 트랩(2)을 대상으로 제1 고정 유닛(5)을 설비(1) 중에 설치하고, 또한 제2 간접 수집 그룹(8b)의 트랩(2)을 대상으로 제2 고정 유닛을 설비(1) 중에 설치한다.
(g) 진단자는, 수집 킷(3∼6)을 사용하여 트랩(2)의 기기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수집 공정의 실시를 반복하는 과정에 있어서, 그 수집 공정마다 트랩(2) 각각 의 센서 검출 정보 및 트랩 진단 결과 정보를 관리용 데이터베이스에 추가로 기록하고, 또한 불량 트랩이 발생할 때는, 이 불량 트랩을 수리하거나 또는 추천 트랩으로 교환한다.
(h) 진단자는, 각 회의 수집 공정 후 등의 적절한 시기에, 중앙 관리 장치(3)나 휴대용 컴퓨터(4)의 관리용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여 관리 대상의 트랩(2)에 대하여 사용 상황의 양호 여부나 불량의 발생 원인 등을 분석하여, 트랩(2)이 소속된 수집 그룹의 적합성 여부의 판정 및 기종의 적합성 여부의 판정 및 적합 기종의 선정을 행하고, 그 결과에 따라 트랩(2) 각각의 수집 그룹을 변경하거나, 트랩(2)의 교환 기종을 결정하거나 트랩(2) 각각의 설치 조건을 개선하거나 하는 등의 조치를 취한다.
[다른 실시예]
다음으로, 다른 실시예를 나열하여 기재한다.
진단기(22)는, 전술한 실시예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프로브(27)와 ID 태그 리더(24)를 별체로 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로브(27)와 ID 태그 리더(24)를 일체적으로 구비하는 것 등일 수도 있다. 그리고, 도 7에 나타내는 다른 실시예에서는, 진단기(22)에 조립 프로브(27)의 선단부에 센서(28)와 ID 태그 리더(24)의 양쪽을 장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진단기(22)도, 전술한 실시예에서 나타낸 것과 동일하게, 접속 코드(35)(내지는 적외선 통신 수단 등의 무선 통신 수단)를 통하여 휴대용 컴퓨터(23)와 양방향 통신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고정 유닛으로서, 통신 가능 거리가 상이한 제1 고정 유닛(5)과 제2 고정 유닛(6)의 2종류를 사용하는 경우를 예로 나타냈으나, 공통의 1종류를 사용해도 되고, 또는 트랩(2)마다, 혹은 각 트랩(2)의 영역마다 등에 따라 통신 가능 거리를 설정한 3종류 이상을 사용해도 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간접 수집 그룹에 대하여 중앙 관리 장치(3) 또는 가반 유닛(4)과 고정 유닛과의 통신에 의해 기기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경우를 예로 나타냈으나, 중앙 관리 장치(3)나 가반 유닛(4)과는 상이한 전용의 장치 또는 기구와 고정 유닛과의 통신에 의해 기기 상태 정보를 수집해도 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간접 수집 그룹을 2개의 그룹으로 더 나누는 경우를 예로 나타냈으나, 3개 이상의 그룹으로 나누어도 되고, 또는 전혀 그룹 분류를 하지 않아도 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직접 수집 그룹(7)을 더 그룹 분류하지 않는 경우를 예로 나타냈으나, 가반 유닛(4)의 종류 등으로 더 그룹 분류해도 된다.
다수의 관리 대상 기기의 그룹 분류의 구체적 방법은, 전술한 실시예에서 나타낸 방법으로 한정되지 않고, 설비의 상황이나 실정, 또는 각각의 관리 대상 기기의 상황이나 실정, 또는 관리자나 진단자의 상황이나 실정에 따라 각종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중앙 관리 장치(3), 가반 유닛(4), 고정 유닛(5, 6)의 구체적 구성은, 전술한 실시예에서 나타낸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고, 각종 구성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제1 고정 유닛(5)을 단말기(9)와 센서(10)와 중계기(11)로 구성하는 경우를 예로 나타냈으나, 제2 고정 유닛(6)과 동일한 센서가 부착된 단말기로 구성하거나, 또는 센서가 부착된 단말기와 단계적인 중계가 가능한 복수의 중계기로 구성해도 된다.
또한, 예를 들면,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제2 고정 유닛(6)을 센서가 부착된 단말기(36)로 구성하는 경우를 예로 나타냈으나, 예를 들면, 센서가 부착된 단말기(36)와 중계기로 구성하거나, 또는 제1 고정 유닛(5)과 동일한 단말기와 센서로 구성하거나, 또는 상기 단말기와 센서와 중계기로 구성해도 된다.
또한, 예를 들면,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가반 유닛(4)을 휴대용 컴퓨터(23)와 진단기(22)로 구성하는 경우를 예로 나타냈으나, 진단기(22)만으로 구성해도 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중앙 관리 장치(3)와 제1 고정 유닛(5)과의 통신 형태나 가반 유닛(4)과 제2 고정 유닛(6)과의 통신 형태 또는 중앙 관리 장치(3)와 가반 유닛(4)과의 통신 형태가 무선 통신인 경우를 예로 나타냈으나, 코드 등을 사용한 유선 통신이라도 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증기 트랩(2)을 관리 대상 기기로 하는 경우를 예로 나타냈으나, 각종 밸브나 탱크 또는 생산 기기 또는 공작 기기 등을 관리 대상 기기로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증기를 사용하는 설비로 한정되지 않고, 전기나 가스 등을 사용하는 설비 등의 다수의 기기를 구비하는 각종 설비에 적용할 수 있다.
진단기(22)는, 전술한 실시예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기기의 외표면에 대한 접촉 조작(검지 조작의 일례)으로 기기의 외표면의 초음파 진동 및 온도를 검출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기기의 외표면에 대하여 지향성(指向性) 마이크로폰 등의 초음파 검출 수단을 기기에 향하는 자세(초음파 검출 자세의 일례)로 하는 조작(검지 조작의 일례)에 의해 기기로부터 발생하는 초음파를 검출하는 것 등일 수도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다수의 트랩(2)의 그룹 분류를 진단자가 행하는 경우를 예로 나타냈으나, 진단자 이외의 사람이 그룹 분류를 행해도 되고, 또는 그룹 분류용의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 등의 그룹 분류 수단에 그룹 분류를 행하게 해도 된다.
[산업상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공장이나 플랜트 등에 배치되는 다수의 관리 대상 기기의 관리에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2: 관리 대상 기기 3: 중앙 관리 장치
4: 가반 유닛 5: 고정 유닛, 제1 고정 유닛
6: 고정 유닛, 제2 고정 유닛 7: 직접 수집 그룹
8a: 간접 수집 그룹, 제1 간접 수집 그룹
8b: 간접 수집 그룹, 제2 간접 수집 그룹

Claims (11)

  1. 다수의 관리 대상 기기 각각에 대한 기기 관리용의 기기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기기 상태 정보 수집 방법으로서,
    기기 상태 검지용(檢知用)의 가반(可搬) 유닛의 각각의 상기 관리 대상 기기로의 검지 조작에 의해 상기 기기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직접 수집 그룹과, 상기 관리 대상 기기의 상기 기기 상태 정보를 검지 가능한 상태로 설치된 기기 상태 검지용의 고정 유닛과의 통신에 의해 상기 기기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간접 수집 그룹으로 다수의 관리 대상 기기를 그룹 분류하고,
    상기 간접 수집 그룹의 관리 대상 기기에 대하여, 상기 고정 유닛과 중앙 관리 장치와의 통신에 의해 상기 기기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제1 간접 수집 그룹과, 상기 고정 유닛과 상기 가반 유닛과의 통신에 의해 상기 기기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제2 간접 수집 그룹으로 더욱 그룹 분류하고,
    다수의 관리 대상 기기 각각에 대하여 상기 기기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빈도를 설정하고, 동일한 수집 빈도가 설정된 관리 대상 기기로부터 상기 직접 수집 그룹을 선정하고, 또한 상기 직접 수집 그룹으로 선정된 관리 대상 기기와는 상이한 수집 빈도가 설정된 관리 대상 기기의 전부 또는 일부를 상기 제1 간접 수집 그룹으로 선정하는,
    기기 상태 정보 수집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동일한 수집 빈도가 설정된 관리 대상 기기 각각에 대하여 상기 기기 상태 정보를 상기 가반 유닛에서 직접 수집할지 여부를 판정하여, 상기 가반 유닛에서 직접 수집하는 것으로 판정된 관리 대상 기기의 전부 또는 일부를 상기 직접 수집 그룹으로 선정하고, 또한 상기 가반 유닛에서 직접 수집하지 않는 것으로 판정된 관리 대상 기기의 전부 또는 일부를 상기 제2 간접 수집 그룹으로 선정하는, 기기 상태 정보 수집 방법.
  5. 다수의 관리 대상 기기 각각에 대한 기기 관리용의 기기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기기 상태 정보 수집 방법에 사용되는 기기 상태 정보 수집 킷(kit)으로서,
    관리 대상 기기 각각에 대한 검지 조작에 의해 상기 기기 상태 정보를 수집 가능한 기기 상태 검지용의 가반 유닛;
    관리 대상 기기의 상기 기기 상태 정보를 검지 가능한 상태로 설치 가능하고, 또한 검지한 상기 기기 상태 정보를 통신 가능한 기기 상태 검지용의 고정 유닛; 및
    상기 고정 유닛과의 통신에 의해 상기 기기 상태 정보를 수집 가능한 중앙 관리 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가반 유닛의 각각의 상기 관리 대상 기기로의 검지 조작에 의해 상기 기기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직접 수집 그룹과, 상기 관리 대상 기기의 상기 기기 상태 정보를 상기 고정 유닛과의 통신에 의해 상기 기기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간접 수집 그룹으로 다수의 관리 대상 기기가 그룹 분류되고,
    상기 간접 수집 그룹의 관리 대상 기기에 대하여, 상기 고정 유닛과 중앙 관리 장치와의 통신에 의해 상기 기기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제1 간접 수집 그룹과, 상기 고정 유닛과 상기 가반 유닛과의 통신에 의해 상기 기기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제2 간접 수집 그룹으로 더욱 그룹 분류되고,
    다수의 관리 대상 기기 각각에 대하여 상기 기기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빈도가 설정되고, 동일한 수집 빈도가 설정된 관리 대상 기기로부터 상기 직접 수집 그룹으로 선정되고, 또한 상기 직접 수집 그룹으로 선정된 관리 대상 기기와는 상이한 수집 빈도가 설정된 관리 대상 기기의 전부 또는 일부가 상기 제1 간접 수집 그룹으로 선정되는,
    기기 상태 정보 수집 킷.
  6. 다수의 관리 대상 기기 각각에 대한 기기 관리용의 기기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기기 상태 정보 수집 방법에 사용되는 기기 상태 정보 수집 킷으로서,
    관리 대상 기기 각각에 대한 검지 조작에 의해 상기 기기 상태 정보를 수집 가능한 기기 상태 검지용의 가반 유닛; 및
    관리 대상 기기의 상기 기기 상태 정보를 검지 가능한 상태로 설치 가능하고, 또한 검지한 상기 기기 상태 정보를 무선 통신 가능한 기기 상태 검지용의 고정 유닛
    을 포함하고, 또한
    상기 가반 유닛은, 상기 고정 유닛과의 무선 통신에 의해 상기 고정 유닛에서 검지한 상기 기기 상태 정보를 수집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고,
    상기 가반 유닛의 각각의 상기 관리 대상 기기로의 검지 조작에 의해 상기 기기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직접 수집 그룹과, 상기 관리 대상 기기의 상기 기기 상태 정보를 상기 고정 유닛과의 통신에 의해 상기 기기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간접 수집 그룹으로 다수의 관리 대상 기기가 그룹 분류되고,
    상기 간접 수집 그룹의 관리 대상 기기에 대하여, 상기 고정 유닛과 중앙 관리 장치와의 통신에 의해 상기 기기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제1 간접 수집 그룹과, 상기 고정 유닛과 상기 가반 유닛과의 통신에 의해 상기 기기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제2 간접 수집 그룹으로 더욱 그룹 분류되고,
    다수의 관리 대상 기기 각각에 대하여 상기 기기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빈도가 설정되고, 동일한 수집 빈도가 설정된 관리 대상 기기로부터 상기 직접 수집 그룹으로 선정되고, 또한 상기 직접 수집 그룹으로 선정된 관리 대상 기기와는 상이한 수집 빈도가 설정된 관리 대상 기기의 전부 또는 일부가 상기 제1 간접 수집 그룹으로 선정되는,
    기기 상태 정보 수집 킷.
  7. 다수의 관리 대상 기기 각각에 대한 기기 관리용의 기기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기기 상태 정보 수집 방법에 사용되는 기기 상태 정보 수집 킷으로서,
    관리 대상 기기 각각에 대한 검지 조작에 의해 상기 기기 상태 정보를 수집 가능한 기기 상태 검지용의 가반 유닛;
    관리 대상 기기의 상기 기기 상태 정보를 검지 가능한 상태로 설치 가능하고, 또한 검지한 상기 기기 상태 정보를 무선 통신 가능한 기기 상태 검지용의 고정 유닛; 및
    상기 고정 유닛에서 검지한 상기 기기 상태 정보를 상기 고정 유닛과의 무선 통신에 의해 수집 가능한 중앙 관리 장치
    를 포함하고, 또한
    상기 가반 유닛은, 상기 고정 유닛과의 무선 통신에 의해 상기 고정 유닛에서 검지한 상기 기기 상태 정보를 수집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고,
    상기 가반 유닛의 각각의 상기 관리 대상 기기로의 검지 조작에 의해 상기 기기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직접 수집 그룹과, 상기 관리 대상 기기의 상기 기기 상태 정보를 상기 고정 유닛과의 통신에 의해 상기 기기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간접 수집 그룹으로 다수의 관리 대상 기기가 그룹 분류되고,
    상기 간접 수집 그룹의 관리 대상 기기에 대하여, 상기 고정 유닛과 중앙 관리 장치와의 통신에 의해 상기 기기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제1 간접 수집 그룹과, 상기 고정 유닛과 상기 가반 유닛과의 통신에 의해 상기 기기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제2 간접 수집 그룹으로 더욱 그룹 분류되고,
    다수의 관리 대상 기기 각각에 대하여 상기 기기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빈도가 설정되고, 동일한 수집 빈도가 설정된 관리 대상 기기로부터 상기 직접 수집 그룹으로 선정되고, 또한 상기 직접 수집 그룹으로 선정된 관리 대상 기기와는 상이한 수집 빈도가 설정된 관리 대상 기기의 전부 또는 일부가 상기 제1 간접 수집 그룹으로 선정되는,
    기기 상태 정보 수집 킷.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유닛으로서, 상기 중앙 관리 장치와의 무선 통신용의 제1 고정 유닛과, 상기 제1 고정 유닛보다 통신 가능 거리가 짧은 상기 가반 유닛과의 무선 통신용의 제2 고정 유닛을 포함하는 기기 상태 정보 수집 킷.
  9. 제1항 또는 제4항에 기재된 기기 상태 정보 수집 방법에 사용되는 기기 상태 정보 수집 킷으로서,
    상기 가반 유닛;
    상기 고정 유닛; 및
    상기 중앙 관리 장치
    를 포함하는 기기 상태 정보 수집 킷.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반 유닛은, 상기 제1 간접 수집 그룹의 관리 대상 기기에 접속된 상기 고정 유닛과의 무선 통신에 의해 제1 간접 수집 그룹의 관리 대상 기기의 상기 기기 상태 정보도 수집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는, 기기 상태 정보 수집 킷.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반 유닛과 상기 중앙 관리 장치와의 무선 통신에 의해, 상기 직접 수집 그룹 및 상기 제1 간접 수집 그룹 및 상기 제2 간접 수집 그룹의 기기 상태 정보를 상기 가반 유닛의 기억부, 또는 상기 중앙 관리 장치의 기억부, 또는 상기 가반 유닛의 기억부와 상기 중앙 관리 장치의 기억부의 양쪽에서 일괄적으로 기억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는 기기 상태 정보 수집 킷.
KR1020117013363A 2008-12-17 2009-12-07 기기 상태 정보 수집 방법, 및 거기에 사용하는 기기 상태 정보 수집 킷 KR1016836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321215A JP4961417B2 (ja) 2008-12-17 2008-12-17 機器状態情報収集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機器状態情報収集キット
JPJP-P-2008-321215 2008-12-17
PCT/JP2009/070460 WO2010071040A1 (ja) 2008-12-17 2009-12-07 機器状態情報収集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機器状態情報収集キッ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9245A KR20110099245A (ko) 2011-09-07
KR101683658B1 true KR101683658B1 (ko) 2016-12-07

Family

ID=42268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3363A KR101683658B1 (ko) 2008-12-17 2009-12-07 기기 상태 정보 수집 방법, 및 거기에 사용하는 기기 상태 정보 수집 킷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9060211B2 (ko)
EP (1) EP2375391B1 (ko)
JP (1) JP4961417B2 (ko)
KR (1) KR101683658B1 (ko)
CN (1) CN102257833B (ko)
AU (1) AU2009328051B2 (ko)
CA (1) CA2746363C (ko)
ES (1) ES2671544T3 (ko)
MX (1) MX2011006322A (ko)
MY (1) MY153287A (ko)
SG (1) SG171860A1 (ko)
TR (1) TR201807615T4 (ko)
WO (1) WO201007104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9287A (ko) 2017-04-25 2018-11-02 팜클라우드 주식회사 디바이스의 상태정보를 제공하는 태그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316707A1 (en) * 2010-06-28 2011-12-29 Armstrong Global Holdings, Inc. Remote monitoring system for multiple steam traps
EP2950939A4 (en) * 2013-01-29 2016-08-24 Meggitt Orange County Inc SENSORS WITH MODULAR THREADED ENCAPSULATION
KR101606239B1 (ko) * 2013-05-31 2016-03-24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센싱 데이터 분석 시스템 및 방법
JP6413642B2 (ja) * 2013-11-05 2018-10-31 日本精工株式会社 軸受状態検知装置及び軸受状態検知方法
PE20161151A1 (es) 2013-12-25 2016-11-25 Tlv Co Ltd Sistema de gestion de sistema de proceso, aparato servidor, programa de gestion y metodo de gestion
JP6079656B2 (ja) * 2014-01-27 2017-02-15 中国電力株式会社 浸水量推定装置
PE20170646A1 (es) * 2014-04-01 2017-06-04 Tlv Co Ltd Sistema de evaluacion de riesgos para sistema de proceso, programa de evaluacion de riesgos y metodos de evaluacion de riesgos
ES2711775T3 (es) 2014-06-06 2019-05-07 Tlv Co Ltd Método de gestión de instalación de utilización de fluido y sistema de gestión de instalación de utilización de fluido
DE102014217880A1 (de) * 2014-09-08 2016-03-10 Robert Bosch Gmbh Anordnung und Verfahren zu deren Betrieb
JP2016056922A (ja) * 2014-09-11 2016-04-21 株式会社テイエルブイ 配管経路判断装置
JP2016080498A (ja) * 2014-10-16 2016-05-16 Ntn株式会社 機械部品の状態測定装置
JP2016080499A (ja) * 2014-10-16 2016-05-16 Ntn株式会社 機械部品の状態自動判定システム
JP2016080561A (ja) * 2014-10-20 2016-05-16 Ntn株式会社 ベルトシステムの状態判定システム
JP6072386B1 (ja) 2015-05-18 2017-02-01 株式会社テイエルブイ 機器管理システム及び機器管理方法
US10667023B2 (en) * 2015-05-21 2020-05-26 Armstrong International, Inc. Steam/hot water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EP3318942B1 (en) * 2015-07-10 2019-12-04 TLV Co., Ltd. Sensor connection structure
JP6288008B2 (ja) * 2015-08-27 2018-03-07 横河電機株式会社 機器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端末装置、および異常判別方法
JP2019117430A (ja) * 2017-12-26 2019-07-18 株式会社クボタ 可搬型診断装置、データ管理方法、制御プログラム、及び診断システム
JP7112288B2 (ja) * 2018-08-30 2022-08-03 株式会社テイエルブイ 姿勢判定機能付き検査装置及び検査装置の姿勢判定方法
WO2021070461A1 (ja) * 2019-10-08 2021-04-15 株式会社辰巳菱機 試験システム、試験システムを含む負荷試験装置
WO2021070924A1 (ja) * 2019-10-11 2021-04-15 株式会社テイエルブイ 診断システム、診断システムの運転方法、および診断プログラム
JP7304638B2 (ja) * 2020-12-18 2023-07-07 株式会社ミヤワキ スチームトラップ管理システム
JP2022098148A (ja) * 2020-12-21 2022-07-01 株式会社ミヤワキ スチームトラップ管理システム
JP2022098149A (ja) * 2020-12-21 2022-07-01 株式会社ミヤワキ スチームトラップ管理システム
JP7292739B2 (ja) * 2020-12-21 2023-06-19 株式会社ミヤワキ スチームトラップ管理システム
JP2022098150A (ja) * 2020-12-21 2022-07-01 株式会社ミヤワキ スチームトラップ管理システム
JP7349187B1 (ja) 2022-08-10 2023-09-22 株式会社ミヤワキ 出力方法、出力装置及びプログラム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66283A (ja) * 2000-03-21 2001-09-28 Chiyoda Security Service:Kk 検針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81941A (ja) 1984-02-29 1985-09-17 Fujitsu Ltd 状態情報収集方式
JPH02272665A (ja) 1989-04-13 1990-11-07 Nec Corp 装置状態管理制御方式
US5438329A (en) * 1993-06-04 1995-08-01 M & Fc Holding Company, Inc. Duplex bi-directional multi-mode remote instrument reading and telemetry system
JP3020402B2 (ja) 1994-02-04 2000-03-15 沖電気工業株式会社 状態情報収集システム及び状態管理システム
JP3435276B2 (ja) 1996-01-18 2003-08-11 富士通株式会社 装置状態通知方法
JPH10188190A (ja) * 1996-12-26 1998-07-21 Nec Eng Ltd 一斉検針システム
JPH10255190A (ja) * 1997-03-14 1998-09-25 Osaka Gas Co Ltd リモート検針装置及びリモート検針システム
JPH11296775A (ja) * 1998-04-15 1999-10-29 Kashiwabara Keiki Kogyo Kk 流量メータの検針システム
JP2000121508A (ja) * 1998-10-15 2000-04-28 Tlv Co Ltd 電源を内蔵するモニタリング・システム
JP2001222785A (ja) * 2000-02-07 2001-08-17 Toyo Tekku Kk 無線検針システム
TW522226B (en) * 2001-02-20 2003-03-01 Tlv Co Ltd Portable leak detector
JP4502536B2 (ja) * 2001-03-28 2010-07-14 大阪瓦斯株式会社 データ通信作業支援方法及びデータ通信装置
JP4086497B2 (ja) * 2001-10-29 2008-05-14 株式会社テイエルブイ 機器監視システム
US6985087B2 (en) * 2002-03-15 2006-01-10 Qualcomm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 remote telemetry using ad-hoc networks
JP2004062510A (ja) * 2002-07-29 2004-02-26 Kenwood Corp 自動検針無線システム
CN2632633Y (zh) * 2003-07-01 2004-08-11 北京正朝科技发展中心 设备点检仪
JP3721184B2 (ja) 2003-10-03 2005-11-30 株式会社テイエルブイ 設備診断用集計システムの動作方法、及び、設備診断用集計システム
US7246036B2 (en) * 2004-12-08 2007-07-17 Armstrong International, Inc. Remote monitor for steam traps
JP2006318148A (ja) * 2005-05-12 2006-11-24 Yokogawa Electric Corp フィールド機器制御システム
EP1926055A4 (en) * 2005-07-25 2010-06-02 Tlv Co Ltd DEVICE MANAGEMENT METHOD, ANALYSIS SYSTEM USED THEREFOR, MAINTENANCE INSPECTION SUPPORT METHOD, AND MAINTENANCE INSPECTION SUPPORT DEVICE USED THEREFOR
CN101113673A (zh) * 2007-07-25 2008-01-30 四川石油管理局安全环保质量监督检测研究院 防喷器安全信息数据采集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66283A (ja) * 2000-03-21 2001-09-28 Chiyoda Security Service:Kk 検針システ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9287A (ko) 2017-04-25 2018-11-02 팜클라우드 주식회사 디바이스의 상태정보를 제공하는 태그 시스템
US10192082B2 (en) 2017-04-25 2019-01-29 palmCLOUD Co., Ltd. Tag system for providing status data of a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295561A1 (en) 2011-12-01
US9060211B2 (en) 2015-06-16
MY153287A (en) 2015-01-29
EP2375391A1 (en) 2011-10-12
CN102257833A (zh) 2011-11-23
JP2010146186A (ja) 2010-07-01
AU2009328051A1 (en) 2010-06-24
MX2011006322A (es) 2011-09-06
JP4961417B2 (ja) 2012-06-27
WO2010071040A1 (ja) 2010-06-24
EP2375391A4 (en) 2016-01-20
AU2009328051B2 (en) 2015-06-18
ES2671544T3 (es) 2018-06-07
SG171860A1 (en) 2011-07-28
CA2746363A1 (en) 2010-06-24
KR20110099245A (ko) 2011-09-07
CA2746363C (en) 2017-07-04
CN102257833B (zh) 2014-07-02
TR201807615T4 (tr) 2018-06-21
EP2375391B1 (en) 2018-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3658B1 (ko) 기기 상태 정보 수집 방법, 및 거기에 사용하는 기기 상태 정보 수집 킷
EP1914689B1 (en) Analysis system used in a maintenance inspection operation
CN100520844C (zh) 用于非固定设备的可预测故障确定
US1002146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llecting, analyzing, recording, and transmitting fluid hydrocarbon production monitoring and control data
CN106414858B (zh) 挖土机的管理装置及支援装置
EP2838067A1 (en) Pipeline administration assistance device and pipeline administration assistance system
EP3584656B1 (en) Risk assessment device, risk assessment method, and risk assessment program
JP2013199804A (ja) 作業機械の異常診断装置
EP3857219A1 (en) Steam/hot water device monitoring
CN101238491B (zh) 机器管理方法、该机器管理方法所采用的分析系统、以及分析用数据结构、其机器管理方法所采用的维修检查支援装置
JP2006085573A (ja) 設備機器の保守管理システム
KR101559343B1 (ko) 철도차량 부품이력 및 상태진단 관리 분석 시스템
JP5227386B2 (ja) 可搬ユニット、機器状態情報収集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機器状態情報収集キット
JP6276441B2 (ja) 部品管理システム
KR100811076B1 (ko) 천연가스를 매체로 한 무선통신 시스템 및 방법
JP2015138466A (ja) タグリーダ、および部品管理システム
CN105122164A (zh) 工厂设备管理系统以及工厂设备管理系统的控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