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7565B1 - 웨빙 권취 장치 - Google Patents

웨빙 권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7565B1
KR101677565B1 KR1020120110072A KR20120110072A KR101677565B1 KR 101677565 B1 KR101677565 B1 KR 101677565B1 KR 1020120110072 A KR1020120110072 A KR 1020120110072A KR 20120110072 A KR20120110072 A KR 20120110072A KR 101677565 B1 KR101677565 B1 KR 1016775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rotating body
clutch
receiving portion
pr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00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38156A (ko
Inventor
타쿠히로 사이토
신지 모리
타카히로 오사키
토모나리 우마코시
사토시 쿠라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도카이리카덴키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도카이리카덴키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도카이리카덴키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300381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81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75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75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44Belt retractors, e.g. reels with means for reducing belt tension during use under normal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44Belt retractors, e.g. reels with means for reducing belt tension during use under normal conditions
    • B60R2022/4446Belt retractors, e.g. reels with means for reducing belt tension during use under normal conditions using one spring and one additional retraction device in series
    • B60R2022/4453Belt retractors, e.g. reels with means for reducing belt tension during use under normal conditions using one spring and one additional retraction device in series the additional retraction device being a second sp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용이나 중량을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리듀스 밸런스 스프링에 대한 부하를 경감시킬 수 있는 웨빙 권취 장치를 얻는 것이다.
래칫 기어와 함께 링(152)이 권취방향으로 관성 회전하면, 링(152)에 형성된 하중받이부 수용부(176)의 링측 가압부(178)가, 클러치 스프링(160)의 스프링측 하중받이부(174)를 권취방향으로 가압한다. 이로써, 클러치 스프링(160)이 느슨해짐에 따라, 래칫 기어와 함께 링(152)이 권취방향으로 용이하게 관성 회전할 수 있어, 리듀스 밸런스 스프링(130)에 가해지는 부하를 경감시킬 수가 있다.

Description

웨빙 권취 장치{WEBBING RETRACTOR}
본 발명은, 탑승자의 신체를 구속하는 웨빙을 장착한 상태에서 웨빙을 감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력을 작게 할 수 있는 텐션 리듀서(tension reducer)를 구비한 웨빙 권취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03-19946호(특허문헌 1)에 개시된 웨빙 권취 장치(특허문헌 1에서는 「자동차용 시트벨트 권취 장치」로 호칭됨)에서는, 스풀(특허문헌 1에서는 「시트벨트 권취축」으로 호칭됨)을 권취방향으로 가압하기 위한 권취 스프링(특허문헌 1에서는 「메인 파워 스프링」으로 호칭됨)과는 별개로 리듀스 밸런스 스프링(특허문헌 1에서는 「보조 파워 스프링」으로 호칭됨 )이 설치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웨빙 권취 장치에서는, 리듀스 밸런스 스프링이 권취 상태(wound state)로부터 해방 상태(released state)로 이행될 때, 리듀스 밸런스 스프링의 탄성 에너지에 의해 래칫 휠(ratchet wheel)이 링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권취방향으로 회전하여, 리듀스 밸런스 스프링의 내측단 근방부를 직경방향 외측으로 좌굴(座屈)시키려 한다. 이 때문에, 이러한 리듀스 밸런스 스프링의 내측단 근방부의 좌굴을 방지 또는 억제시키기 위하여 비용이나 중량이 증가된다.
본 발명은, 상기 사실을 고려하여, 비용이나 중량을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리듀스 밸런스 스프링에 대한 부하를 경감시킬 수 있는 웨빙 권취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양태 1에 기재된 본 발명에 관한 웨빙 권취 장치는,
웨빙(webbing)을 감는 스풀(spool)과,
상기 웨빙을 감는 권취방향으로 상기 스풀을 가압하는 권취(卷取) 스프링과,
상기 스풀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제 1 회전체와,
상기 제 1 회전체에 탄성적으로 가압 접촉한 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제 1 회전체와 함께 회전하는 클러치 수단과,
(상기 클러치 수단이 걸림결합되며) 상기 클러치 수단으로부터의 가압력을 받아 회전하는 제 2 회전체와,
상기 제 2 회전체에 일단(一端)이 걸림결합되고, 타단(他端)에 대하여 상기 스풀의 상기 권취방향으로의 회전에 대응된 방향으로 상기 일단이 회전함으로써 가압력이 증가하는 리듀스 밸런스 스프링(reduce balance spring)과,
상기 리듀스 밸런스 스프링의 타단이 걸림결합된 제 3 회전체와,
상기 웨빙에 설치된 텅(tongue)이 버클에 장착됨으로써 상기 제 3 회전체의 회전을 규제하는 규제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회전체와 함께 상기 클러치 수단이 회전했을 때에 상기 클러치 수단이 상기 제 2 회전체로부터 받는 가압 반력에 의해 상기 제 1 회전체에 대한 상기 클러치 수단의 가압접촉이 느슨해지는 동시에, 상기 리듀스 밸런스 스프링의 가압력에 의해 회전된 상기 제 3 회전체가 상기 리듀스 밸런스 스프링을 통해 상기 클러치 수단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제 1 회전체에 대한 상기 클러치 수단의 가압접촉이 느슨해지도록 설정된 웨빙 권취 장치.
양태 1에 기재된 웨빙 권취 장치에서는, 탑승자가 웨빙을 장착하기 위해 웨빙을 잡아 당기면, 스풀이 인출(引出)방향으로 회전된다. 이어서, 웨빙을 인출한 상태에서 웨빙에 설치된 텅(tongue)이 버클에 장착되면, 규제 수단이 작동하여 제 3 회전체에 걸림결합된다. 이로써, 제 3 회전체의 회전이 규제된다. 이 상태에서 탑승자에 의한 웨빙의 인출이 해소되면, 웨빙이 탑승자의 신체에 피트될 때까지 권취 스프링의 가압력이 스풀을 권취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러한 스풀의 회전에 연동하여 제 1 회전체가 회전하며, 또한, 제 1 회전체와 함께 클러치 수단이 회전한다.
또, 회전하는 클러치 수단에 의해 제 2 회전체가 가압되어 제 2 회전체가 회전하면, 제 2 회전체에 걸림결합되어 있는 리듀스 밸런스 스프링의 일단이 회전한다. 이 상태에서는 리듀스 밸런스 스프링의 타단이 걸림결합되어 있는 제 3 회전체의 회전이 규제되어 있으므로, 상기한 바와 같이 제 2 회전체가 회전하면 리듀스 밸런스 스프링의 일단이 타단에 대하여 회전하고, 이로써, 리듀스 밸런스 스프링의 가압력이 증가한다.
이 상태에서 제 1 회전체, 클러치 수단 및 제 2 회전체를 통해 리듀스 밸런스 스프링의 일단을 회전시키는 힘은, 권취 스프링의 가압력이다. 이 때문에, 권취 스프링의 가압력의 일부 또는 전부가 리듀스 밸런스 스프링의 가압력으로 상쇄된다. 이로써, 권취 스프링이 스풀을 권취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웨빙을 장착한 탑승자가 느끼는 압박감이 경감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리듀스 밸런스 스프링의 가압력은, 제 2 회전체를 통해 클러치 수단에 전해져, 제 1 회전체에 대한 클러치 수단의 탄성적인 가압접촉을 느슨하게 하려 한다. 이 때문에, 리듀스 밸런스 스프링의 가압력이 소정의 크기를 초과하면, 이 가압력에 의해 제 1 회전체에 대한 탄성적인 가압접촉이 느슨해진 클러치 수단은, 탄성적인 가압접촉에 의한 제 1 회전체와의 기계적 연결이 해소된다.
이 상태에서는, 리듀스 밸런스 스프링의 가압력이 소정 크기 이하가 되며, 탄성적인 가압접촉에 의해 제 1 회전체에 다시 연결될 때까지 제 2 회전체와 함께 클러치 수단이 회전한다. 이와 같이, 리듀스 밸런스 스프링은 가압력이 소정의 크기를 초과하는 일이 없으므로, 리듀스 밸런스 스프링에 대한 부하를 경감시킬 수 있다.
한편, 예컨대, 탑승자가 웨빙을 벗겨내기 위해 버클로부터 텅(tongue)을 빼내면, 규제 수단에 의한 제 3 회전체의 회전 규제가 해제된다. 제 3 회전체는 리듀스 밸런스 스프링의 가압력에 의해 회전한다. 리듀스 밸런스 스프링의 일단에 대한 타단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가 초기 상태로 돌아간 상태에서 제 3 회전체가 관성에 의해 더욱 회전하려고 하면, 이 회전이 리듀스 밸런스 스프링에 전해져 제 2 회전체를 회전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 회전된 제 2 회전체는 클러치 수단을 가압한다. 제 2 회전체로부터의 가압력을 받은 클러치 수단은 제 1 회전체에 대한 탄성적인 가압접촉이 느슨해져, 탄성적인 가압접촉에 의한 제 1 회전체와의 기계적 연결이 해소된다. 이로써, 비용이나 중량을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리듀스 밸런스 스프링에 대한 부하를 경감시킬 수가 있다.
양태 2에 기재된 본 발명에 관한 웨빙 권취 장치는, 양태 1에 기재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 1 회전체의 외주부(外周部)에 감기는 스프링 본체와,
상기 스프링 본체의 일단으로부터 직경방향 외측으로 연장 돌출되고, 상기 제 2 회전체에 설정된 제 2 회전체측 하중받이부에 대하여 상기 스풀의 권취방향으로의 회전에 연동한 상기 클러치 수단의 회전 방향인 소정의 회전 방향과는 반대방향측에 위치하며 제 2 회전체측 하중받이부에 대향되고, 상기 스프링 본체가 상기 소정의 회전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제 2 회전체측 하중받이부를 상기 소정의 회전 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제 2 회전체를 상기 소정의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스프링측 가압부와,
상기 스프링 본체의 타단으로부터 직경방향 외측으로 연장 돌출되고, 상기 제 2 회전체에 설정된 제 2 회전체측 가압부에 대하여 상기 소정의 회전 방향측에 위치하며 제 2 회전체측 가압부에 대향되고, 상기 제 2 회전체가 상기 소정의 회전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제 2 회전체측 가압부에 의해 가압되는 스프링측 하중받이부를 포함시켜 상기 클러치 수단을 구성한 웨빙 권취 장치.
한편, 상기 스프링 본체는 코일형상이어도 무방하고, 판 스프링형상이어도 무방하다.
양태 2에 기재된 본 발명에 관한 웨빙 권취 장치에 따르면, 제 1 회전체의 외주부에는 클러치 수단을 구성하는 스프링 본체가 감겨 있다. 이 스프링 본체의 일단으로부터는 스프링 본체의 직경방향 외측을 향해 스프링측 가압부가 연장 돌출되어 있다. 상기 스프링측 가압부는, 제 2 회전체에 설정된 제 2 회전체측 하중받이부에 대하여 소정의 회전 방향과는 반대방향측에 위치하여 대향되어 있다. 이 때문에, 스풀이 권취방향으로 회전했을 때의 클러치 수단의 회전 방향인 소정의 회전 방향으로 제 1 회전체가 회전하고, 이로써, 스프링 본체가 소정의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면, 스프링 본체와 함께 회전하는 스프링측 가압부가 제 2 회전체측 하중받이부를 소정의 회전 방향으로 가압한다. 이로써, 제 2 회전체가 소정의 회전 방향으로 회전한다.
한편, 스프링 본체의 타단으로부터는, 스프링 본체의 직경방향 외측을 향해 스프링측 하중받이부가 연장 돌출되어 있다. 상기 스프링측 하중받이부는, 제 2 회전체에 설정된 제 2 회전체측 가압부에 대하여 소정의 회전 방향측에 위치하여 대향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 3 회전체가 소정의 회전 방향으로 관성회전하며, 이로써, 리듀스 밸런스 스프링과 함께 제 2 회전체가 소정의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 2 회전체의 제 2 회전체측 가압부가 스프링측 하중받이부를 소정의 회전 방향으로 가압한다. 이로써, 제 1 회전체에 대한 스프링 본체의 가압접촉이 느슨해져, 제 1 회전체와 스프링 본체 사이의 마찰이 저감된다.
이 상태에서는, 제 1 회전체에 대하여 스프링 본체가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으므로, 제 2 회전체가 제 1 회전체에 대하여 용이하게 상대회전할 수 있다. 이로써, 제 3 회전체가 소정의 회전 방향으로 관성으로 회전하여도, 리듀스 밸런스 스프링이나 제 2 회전체가 제 3 회전체와 함께 회전하여, 리듀스 밸런스 스프링의 일단과 타단 사이의 상대변위가 생기지 않거나, 또는 리듀스 밸런스 스프링의 일단과 타단 사이의 상대변위가 억제된다. 이로써, 비용이나 중량을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리듀스 밸런스 스프링에 대한 부하를 경감시킬 수가 있다.
양태 3에 기재된 본 발명에 관한 웨빙 권취 장치는, 양태 2에 기재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측 가압부 및 상기 스프링측 하중받이부 중 적어도 어느 일방(一方)에 대하여 상기 제 2 회전체의 중심축선방향으로 상기 어느 일방과 대향되고, 상기 어느 일방에 간섭하여 상기 중심축선방향을 따른 상기 어느 일방의 변위를 규제하는 클러치 스토퍼가 상기 제 2 회전체에 설치되어 있다.
양태 3에 기재된 본 발명에 관한 웨빙 권취 장치에 따르면, 제 2 회전체에는 클러치 스토퍼가 설치된다. 클러치 스토퍼는 스프링측 가압부 및 스프링측 하중받이부 중 적어도 어느 일방에 대하여 제 2 회전체의 중심축선방향으로 대향되도록 설치된다(예컨대, 중심축선방향 측방). 클러치 수단이 제 2 회전체의 중심축선방향으로 변위하려고 하면, 클러치 스토퍼가 스프링측 가압부 또는 스프링측 하중받이부에 간섭한다. 이로써, 제 2 회전체의 중심축선방향을 따른 클러치 수단의 변위가 규제된다.
양태 2에 있어서,
상기 제 2 회전체는 링형상이고, 그 내측에 상기 클러치 수단이 배치되며,
상기 스프링측 가압부, 상기 스프링측 하중받이부는, 상기 제 2 회전체의 내주부에 개구된 수용부 내에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 2 회전체측 하중받이부, 상기 제 2 회전체측 가압부는, 상기 수용부에 있어서의 상기 제 2 회전체의 둘레방향을 향한 벽부인 구성도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비용이나 중량을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리듀스 밸런스 스프링에 대한 부하를 경감시킬 수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웨빙 권취 장치의 주요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웨빙 권취 장치 클러치 수단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제 1~제 3 회전체 및 클러치 수단의 측면도이다.
도 4는 스프링측 가압부가 회전체측 하중받이부를 가압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5는 회전체측 가압부가 스프링측 하중받이부를 가압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6은 클러치 수단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 2에 대응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클러치 수단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 2에 대응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클러치 수단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 2에 대응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클러치 수단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 2에 대응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클러치 수단을 나타내는 도 4에 대응된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클러치 수단을 나타내는 도 5에 대응된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웨빙 권취 장치의 클러치 수단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웨빙 권취 장치의 클러치 수단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웨빙 권취 장치의 클러치 수단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단면도이다.
하기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의 구성>
도 1에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웨빙 권취 장치(10)의 주요부의 구성이 분해 사시도에 의해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웨빙 권취 장치(10)는 스풀(18)을 구비하고 있다. 스풀(18)은, 도시되지 않은 프레임을 구성하는 한 쌍의 레그 플레이트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스풀(18)에는 길이가 긴 띠형상으로 형성된 웨빙(20)의 길이방향 기단측이 걸림고정되어 있으며, 스풀(18)이 그 축둘레의 한쪽인 권취방향으로 회전하면 웨빙(20)이 길이방향 기단(基端)측부터 스풀(18)의 외주부에 감긴다. 이에 대하여, 웨빙(20)을 그 선단측으로 잡아 당기면, 스풀(18)에 감겨 있는 웨빙(20)이 스풀(18)로부터 인출되면서, 웨빙 권취 장치(10)가 권취방향과는 반대인 인출방향으로 회전된다.
한편, 스풀(18)의 축방향 한쪽에는 텐션 리듀서(22)를 구성하는 케이스(24)가 설치되어 있다. 케이스(24)는 판형상의 베이스부(26)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베이스부(26)가 나사 등의 체결고정수단이나 스터드 핀(stud pin) 등의 끼움결합 고정수단에 의해 프레임에 고정된다. 상기 베이스부(26)에는 소정 형상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구멍의 가장자리를 따른 링형상의 둘레벽(2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둘레벽(28)의 베이스부(26)와는 반대측의 단부에는 중간벽(30)이 둘레벽(28)으로부터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중간벽(30)은 두께 방향이 베이스부(26)의 두께 방향을 따른 판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중간벽(30)보다 베이스부(26)측에서 둘레벽(28)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은 권취 스프링 유닛 수용부(32)로 되어 있다.
상기 권취 스프링 유닛 수용부(32)의 내측에는 권취 스프링 유닛(40)이 배치되어 있다. 권취 스프링 유닛(40)은 유지체로서의 스프링 커버(42)를 구비하고 있다. 스프링 커버(42)는 평판 형상의 바닥벽(44)을 구비하고 있다. 이 바닥벽(44)의 외주부로부터는 둘레벽(46)이 세워 설치되어 있으며, 스프링 커버(42)는 전체적으로 일단이 개구된 상자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스프링 커버(42)의 외주형상은 권취 스프링 유닛 수용부(32)의 내주형상(즉, 둘레벽(28)의 내주형상)보다 약간 작고, 스프링 커버(42)는 권취 스프링 유닛 수용부(32)의 내측에서 케이스(24)에 대해 회전이 멈춰진 상태로 끼워 넣어져 있다.
스프링 커버(42)의 내측에는 권취 스프링(50)이 설치되어 있다. 권취 스프링(50)은 나선 방향 외측으로부터 나선 방향 내측으로의 방향이 인출방향으로 된 파워 스프링(플랫 스파이럴 스프링; flat spiral spring)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권취 스프링(50)의 나선방향 외측의 단부 근방에서는 권취 스프링(50)이 반대방향으로 되접어 꺽여 걸림고정부(52)가 형성되어 있으며, 바닥벽(44)으로부터 세워 설치된 걸림고정벽(54)에 걸림고정되어 있다. 이에 대하여, 권취 스프링(50)의 나선방향 내측의 단부는 연결부재로서 회전전달수단을 구성하는 어댑터(56)의 외주부에 걸림고정되어 있다.
어댑터(56)는 스풀(18)에 대하여 대략 동축으로 된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스풀(18)에 있어서의 축방향 일단부와 대향되는 어댑터(56)의 단부에는, 스풀(18)에 대하여 동축적으로 스풀(18)로부터 돌출 형성된 연결 축부(58)가 끼워지는 끼움결합 구멍(60)이 형성되어 있으며, 연결 축부(58)가 끼움결합 구멍(60)에 끼워짐으로써 스풀(18)에 대한 어댑터(56)의 상대회전이 불가능한 상태로 스풀(18)과 어댑터(56)가 연결된다.
이 때문에, 웨빙(20)을 그 선단측으로 잡아 당겨 스풀(18)을 인출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권취 스프링(50)의 나선방향 내측의 단부가 나선 방향 외측의 단부에 대하여 인출방향으로 상대 회전한다. 이와 같이 하여 권취 스프링(50)이 감김에 따라 스풀(18)을 권취방향으로 가압하는 동시에, 권취 스프링(50)의 나선방향 외측 단부에 대한 나선방향 내측 단부의 인출방향으로의 상대회전량이 많을수록 상기 가압력(즉, 권취 가압력)이 증대된다.
상기 권취 스프링(50)이 수용된 스프링 커버(42)의 개구측에는 판형상의 시트(6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시트(62)에는 관통 구멍(64)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어댑터(56)가 통과한다. 또한, 시트(62)의 외주 일부로부터는 끼움결합편(66)이 연장 돌출되어 있다. 상기 끼움결합편(66)이 프레임에 끼움결합됨으로써 시트(62)가 프레임에 일체적으로 부착되어, 권취 스프링 유닛 수용부(32)의 개구측이나 스프링 커버(42)의 개구측이 폐쇄된다.
한편, 중간벽(30)에는 소정 형상의 구멍부(8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중간벽(30)으로부터는 구멍부(82)의 가장자리를 따른 둘레벽(8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둘레벽(84)의 중간벽(30)과는 반대측의 단부는 바닥벽(86)에 의해 폐쇄되어 있으며, 바닥벽(86)보다 중간벽(30)측에 있어서의 둘레벽(84)의 내측은 리듀스 스프링 유닛 수용부(88)가 되고, 상기 리듀스 스프링 유닛 수용부(88)에는 리듀스 스프링 유닛(90)이 수용되어 있다. 리듀스 스프링 유닛(90)은 제 3 회전체로서의 래칫 기어(92)를 구비하고 있다.
래칫 기어(92)는 두께 방향이 바닥벽(86)의 두께 방향을 따른 판형상의 바닥벽부(94)를 구비하고 있다. 바닥벽부(94)의 중앙에는 보스(96)가 형성되어 있다. 보스(96)는 바닥벽(86)측을 향해 개구된 바닥이 있는 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축방향 중간부보다 일방 측(보스(96)의 개구측)은 바닥벽부(94)의 바닥벽(86)측으로 돌출되고, 보스(96)의 축방향 중간부보다 타방 측(보스(96)의 바닥부(98)측)은 바닥벽부(94)의 바닥벽(86)과는 반대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보스(96)의 내주형상은 원형인 외주형상에 대하여 동축의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바닥부(98)에는 보스(96)의 내주형상에 대하여 동축의 관통 구멍(10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통 구멍(100)은 바닥부(98)를 관통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바닥부(98)의 개구단을 향해 점차 내경(內徑) 치수가 작아지는 원추대 형상으로 되어 있다.
상기 보스(96)에 대응하여 케이스(24)의 바닥벽(86)에는 지지부(102)가 형성되어 있다. 지지부(102)는 케이스(24)를 프레임에 부착한 상태에서 스풀(18)에 대해 동축 형상이 되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단, 지지부(102)의 선단측은 보스(96)의 바닥부(98)에 형성된 관통 구멍(100)에 대응하여 선단을 향해 점차 외경(外徑) 치수가 작아지는 원추대 형상으로 되어 있다. 리듀스 스프링 유닛 수용부(88) 내에 래칫 기어(92)를 배치한 상태에서 지지부(102)를 축으로 하고, 이 지지부(102)의 외측에 보스(96)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보스(96)에 의해 래칫 기어(92)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보스(96)의 내측에는 스풀(18)에 대하여 동축형상으로 원기둥형상으로 어댑터(56)에 일체로 형성된 축부(104)가 들어가, 축부(104)(즉, 어댑터(56))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바닥벽부(94)의 외주부에는 래칫부(106)가 형성되어 있으며, 래칫 기어(92)는 전체적으로 트레이(tray) 형상(축방향 치수가 비교적 짧은 바닥이 있는 통형상)으로 되어 있다. 래칫부(106)의 직경방향 외측(본 실시형태에서는 래칫부(106)의 하방)에는 규제 수단으로서의 솔레노이드(110)가 설치되어 있다. 솔레노이드(110)는 제어 수단으로서의 ECU를 통해 차량에 탑재된 배터리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상기 ECU는 본 웨빙 권취 장치(10)와 함께 시트 벨트 장치를 구성하는 버클 장치에 설치된 버클 스위치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의 웨빙(20)에 설치된 텅 플레이트가 버클 장치에 장착된 것을 버클 스위치가 검출하면, ECU가 솔레노이드(110)를 통전(通電) 상태로 한다. 이와 같이 솔레노이드(110)가 통전 상태가 되면 솔레노이드(110)는 자계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솔레노이드(110)에는 플런저(112)가 설치되어 있다. 플런저(112)는 자성체에 의해 봉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길이방향 기단측은 솔레노이드(110)에 들어가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110)가 통전되면 솔레노이드(110)가 형성하는 자계에 의해 플런저(112)는 솔레노이드(110)의 내측으로 더욱 인입(引入)되게 되어 있다. 상기 플런저(112)의 선단측에는 폴(pawl ; 114)이 설치되어 있다. 폴(114)이 원통부(116)를 구비하고 있다. 원통부(116)는 축방향이 스풀(18)의 축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되어 있다. 상기 원통부(116)에는 적어도 일단이 시트(62) 및 케이스(24)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유지된 축부가 통과하고, 축부 둘레로 폴(114)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원통부(116)의 외주 일부로부터는 회전 규제편(120)이 연장 돌출되어 있다.
폴(114)이 축부 둘레의 한쪽인 걸림결합방향으로 회동하면, 회전 규제편(120)의 선단은 래칫부(106)의 외주부에 접근하여 래칫부(106)의 래칫 톱니에 걸림결합된다. 이와 같이 회전 규제편(120)의 선단이 래칫부(106)의 래칫 톱니에 걸림결합된 상태에서는, 래칫 기어(92)의 권취방향으로의 회전이 규제된다. 또한, 원통부(116)의 외주 일부로부터는 연결편(122)이 연장 돌출되어 있다. 폴(114)은 상기 연결편(122)에 의해 폴(114)이 플런저(112)에 연결되어 있으며, 플런저(112)가 솔레노이드(110)에 인입되면 연결편(122)이 플런저(112)에 의해 잡아 당겨져 축부 둘레로 폴(114)이 걸림결합방향으로 회동한다. 또한, 상기 폴(114)에는 리턴 스프링(124)의 일단이 걸림고정되어 있어, 폴(114)은 걸림결합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가압되며, 솔레노이드(110)가 통전되지 않으면 회전 규제편(120)의 선단측이 래칫부(106)의 외주부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유지된다.
한편, 래칫 기어(92)는 둘레벽(108)을 구비하고 있다. 둘레벽(108)은 바닥부(98)로부터 스프링 커버(42)측을 향해 통형상으로 세워 설치되어 있다. 상기 둘레벽(108)의 내측에는 리듀스 밸런스 스프링(130)이 배치되어 있다. 리듀스 밸런스 스프링(130)은 권취 스프링(50)보다 가압력이 약하고, 더욱이, 나선방향 외측으로부터 나선 방향 내측으로의 방향이 권취방향으로 된 파워 스프링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듀스 밸런스 스프링(130)에 있어서의 나선방향 외측의 단부에 대응하여 바닥부(98)로부터는 걸림고정벽(109)이 세워 설치되어 있다. 걸림고정벽(109)은 둘레벽(108)의 내측에서 둘레벽(108) 일부의 근방에 형성되어 있으며, 리듀스 밸런스 스프링(130)의 나선방향 외측의 단부 근방은, 걸림고정벽(109)과 둘레벽(108) 사이의 틈새에 들어가, 걸림고정벽(109)에 걸림고정되어 있다.
한편, 리듀스 밸런스 스프링(130)의 나선방향 최내층의 부분(나선의 가장 내측의 부분)의 더욱 내측에는, 클러치(150)가 설치되어 있다. 클러치(150)는 제 2 회전체로서의 링(152)을 구비하고 있다. 링(152)은 전체적으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링(152)은, 래칫 기어(92)의 바닥벽부(94)에 형성된 보스(96)에 래칫 기어(92)에 대하여 동축적으로 상대회전이 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상기 링(152)에는 어댑터(56)의 축부(104)가 관통되어 있으며, 축부(104)에 대하여 동축적으로 상대회전이 가능하게 축부(104)에 지지되어 있다. 또한, 상기 링(152)에는 걸림고정 홈(153)이 형성되어 있다. 걸림고정 홈(153)은 링(152)의 축방향에서 볼 때, 그 일부가 링(152)의 둘레방향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되어 있고, 이 부분의 인출방향측의 단부로부터 링(152)의 직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갈고리 형상으로 되어 있다. 상기 걸림고정 홈(153)은 링(152)의 축방향 양단면에서 개구되어 있는 동시에, 링(152)의 직경방향 외측으로 굴곡된 부분의 선단이 링(152)의 외주면에서 개구되어 있다.
상기 걸림고정 홈(153)에는 리듀스 밸런스 스프링(130)의 나선방향 내측의 단부가 삽입되어 걸림고정되어 있는 동시에, 서포트 부재(155)의 일단이 삽입되어 걸림고정되어 있다. 서포트 부재(155)의 타단측은, 걸림고정 홈(153)으로부터 리듀스 밸런스 스프링(130)에 있어서의 나선방향의 가장 내측의 층과 그 두 번째의 층의 사이로 연장되어 있다.
래칫 기어(92)가 리듀스 밸런스 스프링(130)의 가압력에 의해 권취방향으로 회전하면, 리듀스 밸런스 스프링(130)의 나선방향 내측 단부 근방에는 둘레방향의 부하가 가해지지만, 이러한 나선방향 내측 단부 근방에 서포트 부재(155)가 맞닿음으로써 나선방향 내측 단부 근방을 보강하여, 나선방향 내측 단부 근방에 있어서의 좌굴(buckling) 등을 방지 또는 억제한다.
또한,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클러치(150)는 제 1 회전체로서의 클러치 휠(154)을 구비하고 있다. 클러치 휠(154)은 외주형상이 원형으로 되며, 클러치 휠(154)이 지지부(102)에 대하여 동축인 상태에서 링(152)의 내측에 들어가, 이 상태에서 클러치 휠(154)이 링(152)에 조립 설치되어 있다. 또한, 클러치 휠(154)에는 어댑터(56)의 본체 부분과 지지부(102)의 사이에 존재하는 비(非)원형의 회전 멈춤부(158)가 관통하고 있어, 클러치 휠(154)의 어댑터(56)에 대한 상대회전이 규제되어 있다.
상기 링(152)의 내측이면서 또한 클러치 휠(154)의 외측에는, 클러치 수단으로서의 클러치 스프링(160)이 배치되어 있다. 클러치 스프링(160)은 전체적으로 단면 원형상이 원형이며 스프링성을 갖는 선재(線材)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단, 클러치 스프링(160)을 구성하는 선재의 단면형상은 원형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컨대, 사각형이어도 무방하다. 클러치 스프링(160)은 스프링 본체(162)를 구비하고 있다. 스프링 본체(162)는 축방향이 스풀(18)의 축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된 코일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스프링 본체(162)의 일단으로부터는 스프링 본체(162)의 반경방향 외측을 향해 스프링측 가압부(164)가 연장 돌출되어 있다. 상기 스프링측 가압부(164)에 대응하여 상기 링(152)에 가압부 수용부(166)가 형성되어 있다.
가압부 수용부(166)는 링(152)의 내주부에서 개구되며, 또한, 링(152)의 축방향 양단부에서 개구된 홈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압부 수용부(166)는 링(152)의 둘레방향을 따른 개구 폭 치수가, 클러치 스프링(160)을 형성하는 선재(線材)에 있어서 스프링측 가압부(164)를 구성하는 부분의 외경 치수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으며, 가압부 수용부(166)에 있어서의 링(152)의 둘레방향을 향한 양 벽부와 스프링측 가압부(164)의 사이에 틈새를 갖는 상태에서 스프링측 가압부(164)를 가압부 수용부(166) 내에 수용할 수 있다.
가압부 수용부(166)에 있어서의 링(152)의 둘레방향을 향한 양 벽부 중, 스프링측 가압부(164)에 대하여 권취방향에 위치하는 벽부는, 제 2 회전체측 하중받이부로서의 링측 하중받이부(168)로 되며(즉, 스프링측 가압부(164)는, 링측 하중받이부(168)에 대하여, 권취방향과는 반대방향측에 위치하며 링측 하중받이부(168)에 대향되어 있음), 클러치 스프링(160)이 권취방향으로 회전하면, 링측 하중받이부(168)가 스프링측 가압부(164)에 의해 권취방향으로 가압된다.
한편, 스프링 본체(162)의 타단으로부터는 스프링 본체(162)의 반경방향 외측을 향해 스프링측 하중받이부(174)가 연장 돌출되어 있다. 상기 스프링측 하중받이부(174)에 대응하여 상기 링(152)에 하중받이부 수용부(176)가 형성되어 있다.
하중받이부 수용부(176)는 링(152)의 내주부에서 개구되며, 또한, 링(152)의 축방향 양단부에서 개구된 홈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중받이부 수용부(176)는 링(152)의 둘레방향을 따른 개구 폭 치수가, 클러치 스프링(160)을 형성하는 선재에 있어서 스프링측 하중받이부(174)를 구성하는 부분의 외경 치수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으며, 하중받이부 수용부(176)에 있어서의 링(152)의 둘레방향을 향한 양 벽부와 스프링측 하중받이부(174)의 사이에 틈새를 갖는 상태에서 스프링측 하중받이부(174)를 하중받이부 수용부(176) 내에 수용할 수 있다.
하중받이부 수용부(176)에 있어서의 링(152)의 둘레방향을 향한 양 벽부 중, 스프링측 하중받이부(174)에 대하여 인출방향에 위치하는 벽부는, 제 2 회전체측 가압부로서의 링측 가압부(178)로 되고(즉, 스프링측 하중받이부(174)는, 링측 가압부(178)에 대하여, 권취방향 측에 위치하여 링측 가압부(178)에 대향되어 있다), 링(152)이 권취방향으로 회전하면, 링측 가압부(178)가 스프링측 하중받이부(174)를 권취방향으로 가압한다.
또한, 스프링 본체(162)가 감겨있지 않은 상태에서 스프링측 가압부(164)가 링측 하중받이부(168)에 맞닿아도, 스프링측 하중받이부(174)는 하중받이부 수용부(176)에 있어서의 양 벽부 중 링측 가압부(178)와는 반대측의 벽부로부터 이격되어, 스프링측 하중받이부(174)가 링측 가압부(178)에 맞닿아도 스프링측 가압부(164)가 가압부 수용부(166)에 있어서의 양 벽부 중 링측 하중받이부(168)와는 반대측의 벽부로부터 이격되도록 클러치 스프링(160)에 있어서의 스프링측 가압부(164)나 스프링측 하중받이부(174)의 형성 위치, 링(152)에 있어서의 가압부 수용부(166)나 하중받이부 수용부(176)의 형성 위치 등이 설정되어 있다.
또한, 하중받이부 수용부(176) 및 가압부 수용부(166)의 각각은, 링(152)의 내주부에 있어서의 개구단으로부터 링(152)의 반경방향 외측의 바닥부까지의 깊이 치수가, 스프링측 가압부(164) 및 스프링측 하중받이부(174) 중, 스프링 본체(162)로부터의 연장 돌출 치수가 긴 쪽보다 깊게 설정되어 있다.
<제 1 실시형태의 작용, 효과>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본 웨빙 권취 장치(10)에서는, 차량의 좌석에 착석한 탑승자가 신체에 웨빙(20)을 장착하기 위해 웨빙(20)을 그 선단(先端)측으로 잡아당겨 웨빙(20)을 스풀(18)로부터 인출하면, 스풀(18)이 인출방향으로 회전한다. 스풀(18)이 인출방향으로 회전하면, 어댑터(56)가 인출방향으로 회전하여 권취 스프링(50)의 나선방향 내측 단부를 나선 방향 외측 단부에 대하여 인출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로써, 권취 스프링(50)이 감기고, 어댑터(56)를 통해 스풀(18)을 권취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력이 점차 증가한다.
또한, 이와 같이 어댑터(56)가 인출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클러치 휠(154)이 인출방향으로 회전한다. 클러치 휠(154)의 외주부에는 클러치 스프링(160)이 슬라이딩 접촉하고 있으므로, 클러치 휠(154)의 외주부와 클러치 스프링(160)간의 마찰에 의해 클러치 스프링(160)이 클러치 휠(154)과 함께 인출방향으로 회전하면, 클러치 스프링(160)의 일단이 걸림고정된 링(152)의 인출방향으로 회전한다.
링(152)에는 리듀스 밸런스 스프링(130)의 나선방향 내측 단부가 걸림고정되어 있으므로, 링(152)이 인출방향으로 회전하면 리듀스 밸런스 스프링(130)의 나선방향 내측 단부가 인출방향으로 회전한다. 리듀스 밸런스 스프링(130)의 나선방향 외측 단부는 리듀스 스프링 유닛(90)의 걸림고정벽(109)에 걸림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리듀스 밸런스 스프링(130)의 나선방향 내측 단부가 인출방향으로 회전하면, 리듀스 밸런스 스프링(130)과 래칫부(106)의 내주부와의 사이의 마찰에 의해 래칫 기어(92)가 인출방향으로 회전한다. 즉, 이러한 상태에서는, 스풀(18)의 인출방향으로의 회전력이 래칫 기어(92)까지 전해졌다 하더라도 래칫 기어(92)는 인출방향으로 회전할 뿐이며, 리듀스 밸런스 스프링(130)에 특별히 변화가 생기지는 않는다.
이어서, 웨빙(20)이 충분히 인출되어 탑승자의 신체에 걸쳐지고, 또한, 웨빙(20)에 설치된 텅이 버클 장치에 장착되면, 버클 장치에 설치된 버클 스위치로부터의 전기신호에 근거하여 ECU가 솔레노이드(110)를 통전 상태로 한다. 솔레노이드(110)가 통전됨에 따라 형성된 자계에 의해 플런저(112)가 솔레노이드(110)에 인입되면, 플런저(112)의 선단측에 연결편(122)이 걸림결합되어 있는 폴(114)이 리턴 스프링(124)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걸림결합 방향으로 회동한다. 이로써, 폴(114)의 회전 규제편(120)이 래칫부(106)의 외주부에 형성된 래칫 톱니에 걸림결합되면, 래칫 기어(92)의 권취방향으로의 회전이 규제된다.
이 상태에서, 탑승자가 웨빙(20)을 인출하기 위해 웨빙(20)에 부여하던 인장력이 해소되면(탑승자가 웨빙(20)을 잡아 당기는 동작을 멈추면), 권취 스프링(50)이 그 가압력에 의해 어댑터(56)를 통해 스풀(18)을 권취방향으로 회전시켜 웨빙(20)의 느슨함을 해소시킨다. 어댑터(56)가 권취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클러치 휠(154)이 권취방향으로 회전하면, 클러치 휠(154)의 외주부에 슬라이딩 접촉하고 있는 클러치 스프링(160)이 클러치 휠(154)의 외주부와의 마찰에 의해 권취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로써 클러치 스프링(160)이 클러치 휠(154)과 함께 권취방향으로 회전하면, 링(152)의 링측 하중받이부(168)가 클러치 스프링(160)의 스프링측 가압부(164)에 의해 도 4의 화살표 F1방향(즉, 권취방향)으로 가압된다. 이로써, 링(152)이 권취방향으로 회전하면, 링(152)에 걸림고정되어 있는 리듀스 밸런스 스프링(130)의 나선방향 내측 단부가 권취방향으로 회전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클러치 스프링(160)은 권취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클러치 휠(154)에 대한 팽팽하게 감김(wound-tightness)이 느슨해진다. 그러나, 팽팽하게 감김이 느슨해진 상태에서도 클러치 스프링(160)이 클러치 휠(154)의 외주부와의 마찰에 의해 받는 회전 토크가 리듀스 밸런스 스프링(130)의 토크보다 커지도록 클러치 스프링(160)의 가압력 등이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클러치 스프링(160)은 권취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클러치 휠(154)에 대한 팽팽하게 감김이 느슨해져도, 클러치 스프링(160)이 권취방향으로 회전하며, 이로써, 리듀스 밸런스 스프링(130)의 나선방향 내측단부가 권취방향으로 회전한다.
리듀스 밸런스 스프링(130)의 나선방향 외측단부는 리듀스 스프링 유닛(90)의 걸림고정벽(109)에 걸림고정되어 있으며, 더욱이, 상기한 바와 같이 래칫 기어(92)의 권취방향으로의 회전이 규제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이 상태에서 리듀스 밸런스 스프링(130)의 나선방향 내측 단부가 권취방향으로 회전하여도, 리듀스 밸런스 스프링(130)의 나선방향 외측 단부는 회전하지 않는다.
리듀스 밸런스 스프링(130)은 나선 방향 외측으로부터 나선 방향 내측으로의 방향이 권취방향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리듀스 밸런스 스프링(130)은 나선 방향 내측 단부가 나선 방향 외측 단부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권취방향으로 회전하면, 리듀스 밸런스 스프링(130)이 감겨 나선방향 내측단부를 인출방향으로 회전시키려고 하는 가압력(urging force)이 증대한다. 이와 같이 하여 발생된(증대된) 리듀스 밸런스 스프링(130)의 가압력은 리듀스 밸런스 스프링(130)의 나선방향 내측단부가 걸림고정된 링(152)을 권취방향으로 회전시키려고 하는 힘, 즉, 권취 스프링(50)의 가압력에 대항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권취 스프링(50)의 가압력의 일부 또는 전부가 리듀스 밸런스 스프링(130)의 가압력으로 상쇄됨으로써, 스풀(18)을 권취방향으로 회전시키려고 하는 힘이 감소하며, 탑승자의 신체에 장착되어 있는 웨빙(20)을 그 기단측으로 잡아 당기는 힘이 감소한다. 이로써, 웨빙(20)이 탑승자에게 부여하는 조임(정적 체결력, static tightening force)이 경감된다.
또한, 웨빙(20)을 장착한 탑승자의 신체가 이동하면, 웨빙(20)이 인출된다. 웨빙(20)이 인출됨에 따라 스풀(18)이 인출방향으로 회전하면 권취 스프링(50)이 감기며, 스풀(18)을 권취방향으로 가압하는 힘, 나아가, 웨빙(20)을 잡아 당겨 탑승자의 신체를 조이는 힘이 증가한다. 그러나, 본 웨빙 권취 장치(10)에서는, 리듀스 밸런스 스프링(130)의 가압력이 권취 스프링(50)의 가압력을 상쇄하므로, 탑승자의 신체가 이동하여 웨빙(20)을 잡아당겼을 때의 웨빙(20)의 조임력(동적 체결력)의 증가를 억제할 수가 있다.
또한, 권취 스프링(50)의 가압력에 의한 권취방향으로의 링(152)의 회전에 의해 리듀스 밸런스 스프링(130)의 가압력이 클러치 스프링(160)의 가압력보다 커지면, 가압부 수용부(166)의 링측 하중받이부(168)가 클러치 스프링(160)의 스프링측 가압부(164)를 인출방향측으로 가압하여, 스프링 본체(162)의 팽팽하게 감김을 느슨하게 한다.
이로써, 리듀스 밸런스 스프링(130)의 가압력의 크기가 클러치 스프링(160)의 가압력의 크기 이하가 될 때까지 클러치 스프링(160)에 의한 클러치 휠(154)과 링(152)의 기계적인 연결이 해제되어, 리듀스 밸런스 스프링(130)의 가압력에 의해 링(152)이 인출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때문에, 리듀스 밸런스 스프링(130)이 클러치 스프링(160)의 가압력의 크기를 초과하여 팽팽히 감긴 상태로 유지되는 일이 없다. 이로써 리듀스 밸런스 스프링(130)에 가해지는 부하를 경감시킬 수 있다.
한편, 탑승자가 신체로부터 웨빙(20)을 벗겨 내기 위해 버클 장치로부터 텅을 제거하면, 버클 장치에 설치된 버클 스위치로부터의 전기신호에 근거하여 ECU가 솔레노이드(110)에 대한 통전을 정지한다. 솔레노이드(110)에 대한 통전이 정지됨으로써 솔레노이드(110)의 주위의 자계가 해소되면, 리턴 스프링(124)의 가압력에 의해 폴(114)이 회전하여, 회전 규제편(120)이 래칫부(106)의 외주부에 형성된 래칫 톱니로부터 이격된다. 이로써, 래칫 기어(92)의 권취방향으로의 회전 규제가 해소되면, 리듀스 밸런스 스프링(130)이 그 가압력에 의해 래칫 기어(92)를 권취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리듀스 밸런스 스프링(130)의 가압력이 거의 해소된 상태에서, 래칫 기어(92)가 권취방향으로 더욱 관성 회전하면, 래칫 기어(92)가 리듀스 밸런스 스프링(130)을 통해 링(152)을 권취방향으로 가압하여, 링(152)을 권취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 링(152)이 권취방향으로 회전하면, 링측 가압부(178)가 스프링측 하중받이부(174)를 도 5의 화살표 F2방향(즉, 권취방향)으로 가압한다. 스프링측 하중받이부(174)가 권취방향으로 가압되면, 스프링 본체(162)가 느슨해지고, 이로써, 클러치 스프링(160)과 클러치 휠(154) 간의 마찰이 저감된다. 따라서, 이러한 상태에서는, 클러치 스프링(160)은 클러치 휠(154)에 대하여 용이하게 상대회전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클러치 스프링(160)의 스프링측 하중받이부(174)를 가압하는 링(152)도, 리듀스 밸런스 스프링(130)을 통해 권취방향으로 관성 회전하는 래칫 기어(92)의 회전력을 받음으로써 용이하게 회전한다. 이와 같이, 래칫 기어(92)가 관성에 의해 권취방향으로 회전하여도, 래칫 기어(92)와 함께 리듀스 밸런스 스프링(130)이나 링(152)이 회전하므로, 래칫 기어(92)가 관성에 의해 권취방향으로 회전하여도 리듀스 밸런스 스프링(130)에 가해지는 부하를 경감시킬 수가 있다.
더욱이, 링(152)에 링측 가압부(178)를 갖는 하중받이부 수용부(176)가 형성되어, 스프링 본체(162)의 타단으로부터 스프링측 하중받이부(174)를 연장 돌출하는 것만으로도 무방하다.
또한, 하중받이부 수용부(176) 및 가압부 수용부(166)의 각각은, 링(152)의 내주부에 있어서의 개구단으로부터 링(152)의 반경방향 외측의 바닥부까지의 깊이 치수가, 스프링측 가압부(164) 및 스프링측 하중받이부(174) 중, 스프링 본체(162)로부터의 연장 돌출 치수가 긴 쪽보다 깊게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클러치 스프링(160)의 축방향을 반대 방향으로 하여도, 그 때까지 스프링측 가압부(164)였던 구성이 스프링측 하중받이부(174)가 되고, 그 때까지 스프링측 하중받이부(174)였던 구성이 스프링측 가압부(164)가 될 뿐이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클러치 스프링(160)의 그 축방향의 조립설치방향에 방향성이 없어져 조립 설치 오류 등의 발생을 방지할 수가 있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는, 스프링측 가압부(164)나 스프링측 하중받이부(174)를 스프링 본체(162)의 직경방향 외측으로 연장 돌출하였을 뿐이지만, 도 6 내지 도 8의 각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프링측 하중받이부(174) 및 스프링측 가압부(164) 중 적어도 어느 일방을, 그 연장 돌출 방향 중간부로부터 선단측이 스프링 본체(162)의 축방향을 따라 축방향 중앙쪽으로 갈고리 형상으로 굴곡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예컨대, 스프링측 하중받이부(174)를 그 연장 돌출 방향 중간부로부터 선단측이 스프링 본체(162)의 축방향을 따라 축방향 중앙쪽으로 갈고리 형상으로 굴곡되게 하면, 스프링측 하중받이부(174)에 있어서의 굴곡 부분의 선단측은 링(152)의 축방향 중앙측에서도 하중받이부 수용부(176)에 있어서의 링(152)의 둘레방향을 향한 양 벽부(한쪽은 링측 가압부(178))와 대향된다. 이 때문에, 링(152)이나 클러치 휠(154)로부터의 클러치 스프링(160)의 탈락이나, 링(152)이나 클러치 휠(154)에 대한 클러치 스프링(160)의 의도하지 않은 둘레방향의 어긋남 등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가 있다. 한편, 스프링측 가압부(164)를, 그 연장 돌출 방향 중간부로부터 스프링 본체(162)의 축방향 중앙쪽으로 갈고리 형상으로 굴곡시켰을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링(152)에 있어서 가압부 수용부(166)와 하중받이부 수용부(176)를 각각 개별 형성하였다. 그러나, 스프링측 가압부(164)에 맞닿아 스프링측 가압부(164)로부터의 하중(F1)을 받는 링측 하중받이부(168)와, 스프링측 하중받이부(174)에 맞닿아 스프링측 하중받이부(174)에 하중(F2)을 부여하는 링측 가압부(178)를 갖는 구성이면, 가압부 수용부(166)와 하중받이부 수용부(176)가 각각 개별 형성되지 않고, 스프링측 가압부(164) 및 스프링측 하중받이부(174)의 쌍방을 수용하는 1개의 홈으로 가압부 수용부(166)와 하중받이부 수용부(176)를 겸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클러치 수단을 코일형상의 클러치 스프링(160)으로 하였으나, 클러치 수단이 이러한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도 9 내지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판 스프링형상의 클러치 스프링(180)을 클러치 수단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클러치 스프링(180)은 링(152)이나 클러치 휠(154)의 중심축선 둘레로 대략 C자 형상으로 만곡된 스프링 본체(182)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스프링 본체(182)에는 기능적으로 상술한 클러치 스프링(160)의 스프링측 가압부(164)에 대응하는 스프링측 가압부(184)와, 기능적으로 상술한 클러치 스프링(160)의 스프링측 하중받이부(174)에 대응하는 스프링측 하중받이부(186)가 형성되어 있다.
단, 링(152)이나 클러치 휠(154)의 중심축선방향을 따른 동일한 방향에서 보았을 경우, 스프링 본체(182)에 있어서의 스프링측 가압부(184) 및 스프링측 하중받이부(186)의 형성 위치가 클러치 스프링(160)에 있어서의 스프링측 가압부(164) 및 스프링측 하중받이부(174)와는 반대로 되어 있다(즉, 스프링 본체(182)의 둘레방향 일단으로부터 스프링측 하중받이부(186)가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 돌출되어 있고, 타단으로부터 스프링측 가압부(184)가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 돌출되어 있다). 더욱이, 이들 스프링측 가압부(184)나 스프링측 하중받이부(186)의 형성 위치에 대응하여 가압부 수용부(166)나 하중받이부 수용부(176)의 형성 위치도 반대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이어도, 스프링측 가압부(184)가 가압부 수용부(166)의 링측 하중받이부(168)로부터 받는 힘(즉, 리듀스 밸런스 스프링(130)의 가압력)에 의해 스프링 본체(182)는 둘레방향 양단 사이가 이격되도록 탄성변형하며, 이로써 스프링 본체(182)가 느슨해진다. 또한, 스프링측 하중받이부(186)가 링측 가압부(178)로부터 받는 힘에 의해 스프링 본체(182)는 둘레방향 양단 사이가 이격되도록 탄성변형하며, 이로써 스프링 본체(182)가 느슨해진다. 따라서, 이러한 구성이어도 상술한 효과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클러치 수단을 클러치 스프링(160)과 같은 코일형상으로 했을 경우에도, 스프링측 가압부(164)가 링측 하중받이부(168)로부터 힘을 받았을 경우나 스프링측 하중받이부(174)가 링측 가압부(178)로부터 힘을 받았을 경우에 스프링 본체(162)가 느슨해지는 구성이면, 클러치 스프링(180)에 있어서의 스프링측 가압부(184)나 스프링측 하중받이부(186)와 같은 형성 위치에 스프링측 가압부(164)나 스프링측 하중받이부(174)를 형성하는 것도 당연히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서포트 부재(155)를 설치한 구성이지만, 상기한 바와 같이, 래칫 기어(92)가 관성에 의해 권취방향으로 회전하여도 리듀스 밸런스 스프링(130)에 큰 부하가 가해지는 것을 방지 또는 억제할 수가 있다. 따라서, 서포트 부재(155)를 설치하지 않는 구성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더욱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클러치 스프링(160)의 스프링 본체(162)의 형상을 원통으로 간주했을 경우의 스프링 본체(162)의 내경 치수와 클러치 휠(154)에 있어서 스프링 본체(162)가 걸쳐지는 부분의 외경 치수는 거의 같은 형상으로 하였다. 그러나, 스프링 본체(162)의 내주형상이나 클러치 휠(154)의 외주형상이 이러한 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클러치 휠(154)의 외주면과 스프링 본체(162)의 내주부에 틈새를 설정하는 동시에, 이 틈새의 크기를 클러치 휠(154)의 둘레방향이나 축방향으로 적절히 변화시켜, 클러치 휠(154)의 외주면과 스프링 본체(162)의 내주부와의 사이에서 생기는 마찰 저항을 클러치 휠(154)의 둘레방향이나 축방향으로 적절히 변화시키는 구성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클러치(150)를 구성하는 제 2 회전체로서의 링(152)은 링형상이며, 더욱이, 가압부 수용부(166)나 제 2 회전체측 가압부로서의 링측 가압부(178)도 링(152)의 중심축선방향으로 관통한 구성이었다. 그러나, 제 2 회전체의 구성이 이러한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제 2 회전체의 변형예를 제 2 실시형태로서 설명한다. 한편, 본 제 2 실시형태를 설명함에 있어서,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기본적으로 동일한 부위에 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 2 실시형태>
도 12에는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웨빙 권취 장치(200)의 클러치(202)의 구성이 상기 제 1 실시형태를 설명한 도 2에 대응하는 분해 사시도에 의해 도시되어 있다.
상기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웨빙 권취 장치(200)의 클러치(202)는, 제 2 회전체로서의 링(204)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링(204)은 클러치 스토퍼로서의 바닥벽(206)을 구비하고 있다. 바닥벽(206)은 거의 원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대략 중앙에는 축부(104)가 통과하는 원형의 투과 구멍(208)이 형성되어 있다.
바닥벽(206)의 외주부로부터는 스프링 커버(42)측을 향해 원통형상의 외측 둘레벽(21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외측 둘레벽(210)의 내측에서는 바닥벽(206)으로부터 스프링 커버(42)측을 향해 내측 둘레벽(212)이 형성되어 있다. 내측 둘레벽(212)은 외측 둘레벽(210)에 대하여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지만, 외측 둘레벽(210)과 같은 둥근 링형상이 아닌, 둥근 링의 일부를 절결한 대략 C자 형상으로 되어 있다.
상기 내측 둘레벽(212)의 둘레방향 일단으로부터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링측 가압부(178)에 대응하는 제 2 회전체측 가압부로서의 링측 가압벽(214)이 외측 둘레벽(210)측을 향해 연장 돌출되어 있다. 이에 대하여 내측 둘레벽(212)의 둘레방향 타단으로부터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링측 하중받이부(168)에 대응하는 링측 하중받이벽(216)이 외측 둘레벽(210)측을 향해 연장 돌출되어 있다. 이들 링측 가압벽(214) 및 링측 하중받이벽(216)의 내측 둘레벽(212)과는 반대측의 단부는 외측 둘레벽(210)에 연결되어 있으며, 링측 가압벽(214)과 링측 하중받이벽(216)의 사이(수용부)에 클러치 스프링(160)의 스프링측 하중받이부(174)나 스프링측 가압부(164)가 수용된다.
한편, 본 실시형태의 클러치 스프링(160)은 상기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클러치 스프링(160)과는 스프링 본체(162)에 있어서의 코일의 감기 방향이 반대이다. 이 때문에, 스프링측 하중받이부(174)는 스프링측 가압부(164)보다 스프링 커버(42)측에 위치한다.
한편, 클러치(202)는 클러치 휠(154)을 대신하는 클러치 휠(222)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 클러치 휠(222)의 본체 부분이 클러치 스프링(160)의 스프링 본체(162)를 관통한다. 상기 클러치 휠(222)은 내측 둘레벽(212)의 내측에 배치되며, 이 상태에서 클러치 휠(222)의 바닥벽(206)과 대향되는 면에는 클러치 휠(222)의 외주부와 동심의 링형상 홈(22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링형상 홈(224)에 대응하여 링(204)의 바닥벽(206)에는 가이드 링(226)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링(226)은 링(204)의 외측 둘레벽(210)이나 투과 구멍(208)에 대하여 동축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클러치 휠(222)을 내측 둘레벽(212)의 내측에 배치한 상태에서 가이드 링(226)은 링형상 홈(224)에 들어간다. 이로써, 클러치 휠(222)이 링(204)에 대하여 동축적으로 상대회전이 가능하도록 링(204)에 지지된다.
또한, 상술한 외측 둘레벽(210)의 바닥벽(206)과는 반대측의 단부에는 클러치 스토퍼로서의 규제벽(232)이 형성되어 있다. 규제벽(232)은 링측 가압벽(214)의 형성 위치로부터 링측 가압벽(214)과 링측 하중받이벽(216) 사이의 위치에서 외측 둘레벽(210)으로부터 외측 둘레벽(210)의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 돌출되어 있다. 클러치 휠(222)에 클러치 스프링(160)을 장착한 상태에서는,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클러치 스프링(160)의 스프링측 하중받이부(174)에 대하여 스프링 커버(42)측에서 규제벽(232)이 위치하며, 클러치 스프링(160)의 스프링측 가압부(164)에 대하여 스프링 커버(42)와는 반대측에 바닥벽(206)이 위치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클러치 휠(222)에 설치된 클러치 스프링(160)이 링(204)의 중심축선을 따라 스프링 커버(42)측으로 변위하려고 하면, 규제벽(232)이 스프링측 하중받이부(174)에 간섭한다. 이로써, 클러치 스프링(160)의 스프링 커버(42)측으로의 변위가 규제된다. 이에 대하여, 클러치 스프링(160)이 링(204)의 중심축선을 따라 스프링 커버(42)와는 반대측으로 변위하려고 하면, 바닥벽(206)이 스프링측 가압부(164)에 간섭한다. 이로써, 클러치 스프링(160)의 스프링 커버(42)와는 반대측으로의 변위가 규제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링(204)의 중심축선방향을 따라 클러치 스프링(160)이 부주의하게 변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링(204)이 바닥벽(206)이나 규제벽(232)을 갖는 것 이외에는 기본적으로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같은 구성이므로,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같은 작용을 거두며,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7)

  1. 웨빙(webbing)을 감는 스풀(spool)과,
    상기 웨빙을 감는 권취방향으로 상기 스풀을 가압하는 권취(卷取) 스프링과,
    상기 스풀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제 1 회전체와,
    상기 제 1 회전체에 탄성적으로 가압 접촉한 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제 1 회전체와 함께 회전하는 클러치 수단과,
    상기 클러치 수단으로부터의 가압력을 받아 회전하는 제 2 회전체와,
    상기 제 2 회전체에 일단(一端)이 걸림결합되고, 타단(他端)에 대하여 상기 스풀의 상기 권취방향으로의 회전에 대응된 방향으로 상기 일단이 회전함으로써 가압력이 증가하는 리듀스 밸런스 스프링(reduce balance spring)과,
    상기 리듀스 밸런스 스프링의 타단이 걸림결합된 제 3 회전체와,
    상기 웨빙에 설치된 텅(tongue)이 버클에 장착됨으로써 상기 제 3 회전체의 회전을 규제하는 규제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회전체와 함께 상기 클러치 수단이 회전했을 때에 상기 클러치 수단이 상기 제 2 회전체로부터 받는 가압 반력에 의해 상기 제 1 회전체에 대한 상기 클러치 수단의 가압 접촉이 느슨해지는 동시에, 상기 리듀스 밸런스 스프링의 가압력에 의해 회전된 상기 제 3 회전체가 상기 리듀스 밸런스 스프링을 통해 상기 클러치 수단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제 1 회전체에 대한 상기 클러치 수단의 가압 접촉이 느슨해지도록 설정한, 웨빙 권취 장치로서,
    상기 클러치 수단은,
    상기 제 1 회전체의 외주부(外周部)에 감기는 스프링 본체와,
    상기 스프링 본체의 일단으로부터 직경방향 외측으로 연장 돌출되며, 상기 제 2 회전체에 설정된 제 2 회전체측 하중받이부에 대하여 상기 스풀의 권취방향으로의 회전에 연동한 상기 클러치 수단의 회전 방향인 소정의 회전 방향과는 반대방향측에 위치하며 제 2 회전체측 하중받이부에 대향되고, 상기 스프링 본체가 상기 소정의 회전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제 2 회전체측 하중받이부를 상기 소정의 회전 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제 2 회전체를 상기 소정의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스프링측 가압부와,
    상기 스프링 본체의 타단으로부터 직경방향 외측으로 연장 돌출되며, 상기 제 2 회전체에 설정된 제 2 회전체측 가압부에 대하여 상기 소정의 회전방향측에 위치하며 제 2 회전체측 가압부에 대향되고, 상기 제 2 회전체가 상기 소정의 회전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제 2 회전체측 가압부에 의해 가압되는 스프링측 하중받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웨빙 권취 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측 가압부 및 상기 스프링측 하중받이부 중 적어도 어느 일방(一方)에 대하여 상기 제 2 회전체의 중심축선방향으로 상기 어느 일방과 대향되고, 상기 어느 일방에 간섭하여 상기 중심축선방향을 따른 상기 어느 일방의 변위를 규제하는 클러치 스토퍼를 상기 제 2 회전체에 설치한, 웨빙 권취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본체는 코일형상인, 웨빙 권취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본체는 판 스프링형상인, 웨빙 권취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회전체는 링형상이고, 그 내측에 상기 클러치 수단이 배치되며,
    상기 스프링측 가압부, 상기 스프링측 하중받이부는, 상기 제 2 회전체의 내주부에 개구된 수용부(도 2에서는 166/178, 도 12에서는 214와 216의 사이) 내에 배치되는, 웨빙 권취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회전체측 하중받이부, 상기 제 2 회전체측 가압부는, 상기 수용부에 있어서의 상기 제 2 회전체의 둘레방향을 향한 벽부인, 웨빙 권취 장치.
KR1020120110072A 2011-10-07 2012-10-04 웨빙 권취 장치 KR1016775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222875 2011-10-07
JP2011222875 2011-10-07
JPJP-P-2012-012469 2012-01-24
JP2012012469 2012-01-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8156A KR20130038156A (ko) 2013-04-17
KR101677565B1 true KR101677565B1 (ko) 2016-11-18

Family

ID=48017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0072A KR101677565B1 (ko) 2011-10-07 2012-10-04 웨빙 권취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925849B2 (ko)
JP (1) JP5921405B2 (ko)
KR (1) KR101677565B1 (ko)
CN (1) CN103029678B (ko)
DE (1) DE102012218098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84563B2 (ja) * 2012-09-24 2015-09-24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ウェビング巻取装置
JP6127006B2 (ja) 2014-03-07 2017-05-10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ウェビング巻取装置
JP6211142B1 (ja) * 2016-06-24 2017-10-11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ウェビング巻取装置
WO2018026189A2 (ko) * 2016-08-04 2018-02-08 성균관대학교 산학협력단 무한 변위 발생장치
DE102021102380B4 (de) 2021-02-02 2023-08-10 Autoliv Development Ab Kupplungselement für einen Gurtaufroller und Gurtaufroller mit einer elektromotorischen Antriebseinrichtung
DE102021102381B4 (de) 2021-02-02 2023-02-09 Autoliv Development Ab Gurtaufroller mit einer elektromotorischen Antriebseinrichtung und einem Leistungsstraff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19946A (ja) 2001-07-09 2003-01-21 Suncall Corp 自動車用シートベルトの巻取り装置
JP2011157044A (ja) 2010-02-03 2011-08-18 Tokai Rika Co Ltd ウエビング巻取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76766A (ja) * 1983-03-28 1984-10-06 Mita Ind Co Ltd トナ−像定着装置
US4993657A (en) * 1989-10-03 1991-02-19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Dual spring retractor
US5195693A (en) * 1990-03-29 1993-03-23 Kabushiki Kaisha Tokai-Rika-Denki Seisakusho Tension reducer
JP2958168B2 (ja) * 1991-02-27 1999-10-06 株式会社ユニシアジェックス 内燃機関のバルブタイミング制御装置
JPH0730055Y2 (ja) * 1991-04-11 1995-07-12 株式会社森木工 パチンコ機用景品球放出機構
JPH07743Y2 (ja) * 1991-04-11 1995-01-11 株式会社森木工 ブレーキ機構
JPH0728948Y2 (ja) * 1991-04-25 1995-07-05 直美 田渕 樋掃除器
US5452862A (en) * 1994-05-12 1995-09-26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Silent seat belt comfort retractor
JP3396027B2 (ja) * 2000-03-16 2003-04-14 サンコール株式会社 自動車用シートベルトの巻取り装置
KR100513743B1 (ko) * 2002-12-12 2005-09-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리트랙터 장치
DE102005017369B3 (de) * 2005-04-14 2006-08-10 Hugo Kern Und Liebers Gmbh & Co. Kg Platinen- Und Federnfabrik Gurtaufrollvorrichtung mit Rutschkupplung
ATE388863T1 (de) * 2005-11-09 2008-03-15 Delphi Tech Inc Sicherheitsgurtvorrichtung
DE102006052167B3 (de) * 2006-11-02 2008-02-21 Hugo Kern Und Liebers Gmbh & Co. Kg Platinen- Und Federnfabrik Vorrichtung zum Aufrollen eines Sicherheitsgurtes
JP5243386B2 (ja) * 2009-10-20 2013-07-24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ウエビング巻取装置
JP2011157042A (ja) * 2010-02-03 2011-08-18 Tokai Rika Co Ltd ウエビング巻取装置
JP5784563B2 (ja) * 2012-09-24 2015-09-24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ウェビング巻取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19946A (ja) 2001-07-09 2003-01-21 Suncall Corp 自動車用シートベルトの巻取り装置
JP2011157044A (ja) 2010-02-03 2011-08-18 Tokai Rika Co Ltd ウエビング巻取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921405B2 (ja) 2016-05-24
DE102012218098A1 (de) 2013-05-16
JP2013173515A (ja) 2013-09-05
US8925849B2 (en) 2015-01-06
CN103029678B (zh) 2015-06-10
US20130087649A1 (en) 2013-04-11
DE102012218098B4 (de) 2018-02-15
KR20130038156A (ko) 2013-04-17
CN103029678A (zh) 2013-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7565B1 (ko) 웨빙 권취 장치
US8070086B2 (en) Webbing winding device
WO2014013987A1 (ja) タングおよびこれを用いたシートベルト装置
US7621478B2 (en) Webbing retractor device
JP5784563B2 (ja) ウェビング巻取装置
JP2014141137A (ja) ウェビング巻取装置。
JP2006199116A (ja) ウエビング巻取装置
US20110186675A1 (en) Webbing take-up device
US8763943B2 (en) Webbing take-up device
KR20180006328A (ko) 웨빙 권취 장치
KR19990081646A (ko) 시트벨트용 텐션 리듀서
JP5641882B2 (ja) ウェビング巻取装置
JP5456619B2 (ja) ウェビング巻取装置
CN112714721A (zh) 安全带卷绕装置
JP2007145239A (ja) ウエビング巻取装置
KR102386889B1 (ko) 시트벨트용 리트랙터
JP5448891B2 (ja) ウエビング巻取装置
JP5399283B2 (ja) ウエビング巻取装置
JP4021166B2 (ja) 自動車用シートベルト巻取り装置
JP4384456B2 (ja) ウエビング巻取装置
JP5872308B2 (ja) ウェビング巻取装置
JP2011245930A (ja) リトラクタ
JP2005329797A (ja) ウエビング巻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