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81646A - 시트벨트용 텐션 리듀서 - Google Patents

시트벨트용 텐션 리듀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81646A
KR19990081646A KR1019980015679A KR19980015679A KR19990081646A KR 19990081646 A KR19990081646 A KR 19990081646A KR 1019980015679 A KR1019980015679 A KR 1019980015679A KR 19980015679 A KR19980015679 A KR 19980015679A KR 19990081646 A KR19990081646 A KR 199900816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coil spring
retainer
holde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56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59716B1 (ko
Inventor
곽태봉
Original Assignee
정몽훈
주식회사 성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훈, 주식회사 성우 filed Critical 정몽훈
Priority to KR10199800156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59716B1/ko
Priority to AU92325/98A priority patent/AU719642B2/en
Priority to DE19852975A priority patent/DE19852975C2/de
Priority to US09/198,487 priority patent/US6149093A/en
Priority to CN98125616A priority patent/CN1086349C/zh
Priority to JP00497199A priority patent/JP3238903B2/ja
Publication of KR199900816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1646A/ko
Priority to HK00100230A priority patent/HK1021353A1/xx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97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97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44Belt retractors, e.g. reels with means for reducing belt tension during use under normal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44Belt retractors, e.g. reels with means for reducing belt tension during use under normal conditions
    • B60R2022/4446Belt retractors, e.g. reels with means for reducing belt tension during use under normal conditions using one spring and one additional retraction device in series
    • B60R2022/4453Belt retractors, e.g. reels with means for reducing belt tension during use under normal conditions using one spring and one additional retraction device in series the additional retraction device being a second spring
    • B60R2022/446Belt retractors, e.g. reels with means for reducing belt tension during use under normal conditions using one spring and one additional retraction device in series the additional retraction device being a second spring with external control means

Abstract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의 홀더를 지닌 압박감 감소장치를 장착하여 탑승자에게 가해지는 압박감을 줄여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시트벨트용 텐션 리듀서에 관한 것으로, 이 압박감 감소장치는 시트벨트의 웨빙(106)이 감겨져 있는 와인딩 샤프트(102)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웨빙 플레이트(100)의 일측면에 부착된 리테이너(112)와, 리테이너(112)의 외주부에 형성된 걸림편(118)에 의해서 대향으로 결합되는 커버(170)와, 리테이너(112)와 커버(170)사이에 배치되어 와인딩 샤프트(102)에 감김력을 제공하는 제 1 및 제 2코일 스프링(130, 150)과, 외주부가 리테이너(112)에 형성된 안착홀(114)에 회전 가능하게 안착되는 것으로, 와인딩 샤프트(102)와 동축적으로 배치되는 장착돌기(126)및 제 1코일 스프링(130)의 내측 걸림단(130b)이 삽입되는 내측 걸림홈(124)이 형성된 부시 샤프트(122)와, 내주면에 제 1코일 스프링(130)의 외측 걸림단(130a)이 삽입되는 제 1외측 걸림홈(144) 및 제 2코일 스프링(150)의 외측 걸림단(150a)이 삽입되는 제 2외측 걸림홈(146)이 형성되어 있는 홀더(140)와, 장착돌기(126)상에 고정되는 것으로, 외주면에는 제 2코일 스프링(150)의 내측 걸림단(150b)이 삽입되는 내측 걸림홈(164)이 형성된 스테이 샤프트(160)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시트벨트용 텐션 리듀서
본 발명은 시트벨트용 텐션 리듀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시트벨트의 웨빙이 감겨져 있는 리트랙터의 측면에 간단한 구조의 홀더를 지닌 압박감 감소장치를 장착하여 탑승자에게 가해지는 압박감을 줄여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시트벨트용 텐션 리듀서에 관한 것이다.
시트벨트를 착용하는 경우에는 벨트의 웨빙(webbing)이 탑승자의 가슴부분을 압박하여 안락감을 저하시킬 우려가 있으며, 이를 해소하기 위한 여러 종류의 압박감 감소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도 1은 일본국 실개평5-71067호에 개시되어 있는 압박감 감소장치(tension reducer)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리트랙터를 구성하는 웨빙 플레이트의 일측면에는 와인딩 샤프트의 회전을 정지시켜 웨빙의 감김을 제지함과 동시에, 소정의 범위내에서 와인딩 샤프트의 역방향 회전을 가능케 하여 웨빙을 인출할 수 있도록 하여 압박감을 완화시키는 압박감 감소장치(10)가 장착되어 있다.
종래의 압박감 감소장치(10)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면, 웨빙 플레이트(100)에 부착되는 플레이트(12)와, 이 플레이트(12)의 중앙에 형성된 홀(14)에 삽입되는 장착부(17)를 지닌 홀더(16)와, 양단의 장착부(22, 33)에는 각각, 내측 걸림홈(35, 38)이 형성되어 있으며, 중앙에는 래치(ratchet)(34)가 형성되어 있는 홀더(32)와, 외측 걸림단(20A)은 아답터(16)의 외측 걸림홈(18)에 삽입되고 내측 걸림단(20B)은 홀더(32)의 내측 걸림홈(35)에 삽입되어 감김력을 제공하는 제 1코일 스프링(20)과, 외측 걸림단(40A)은 커버(42)에 고정되고 내측 걸림단(40B)은 홀더(32)의 내측 걸림홈(38)에 삽입되는 것으로, 상기 제 1코일 스프링(20)보다 강한 탄성력을 지닌 제 2코일 스프링(40)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에서, 어댑터(16)를 비롯하여 제 1 및 제 2코일 스프링(20, 40)과 홀더(32)는 축(CL)을 따라 직렬로 배치되며, 홀더(32)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제지하기 위한 레버(50) 및 솔레노이드(56)가 구비되어 있다. 레버(50)에는 솔레노이드(56)의 플런저(58)에 의해서 회동되어 래치(34)와 걸어 맞춤되는 후크(52)가 형성되어 있으며, 레버(50)에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리턴 스프링(54)이 설치된다.
시트벨트를 착용하기 전에는 웨빙이 완전히 감긴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제 1코일 스프링(20)은 완전히 감겨져 있는 반면에, 제 2코일 스프링(40)은 최대한 풀려 있어 탑승자가 웨빙을 당기게 되면, 제 2코일 스프링(40)의 감김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어댑터(16)가 회전되면서 웨빙의 인출을 가능케 한다.
탑승자가 웨빙을 인출하여 벨트를 착용하게 되면, 버클 스위치의 작동에 따라 솔레노이드(56)에 전기가 공급되면서 플런저(58)가 돌출하게 된다. 플런저(58)가 돌출되면서 레버(50)를 회동시키면, 레버(50)에 형성된 후크(52)가 홀더(32)의 래치(34)와 걸어 맞춤되면서 홀더(32)의 회전을 제지하게 된다.
이때, 제 2코일 스프링(40)의 감김력은 더 이상 어댑터(16)에 작용하지 않게 되며, 웨빙은 제 1코일 스프링(20)에 의해서만 작은 범위 내에서 인출할 수 있게 된다. 즉, 압박감 감소장치(10)가 작동되면 제 1코일 스프링(20)의 감김력이 어댑터(16)에 작용하게 되며, 와인딩 샤프트가 회전되면 제 1코일 스프링(20)의 감김력이 해제되어 웨빙의 인출이 가능해지므로 탑승자에게 가해지는 압박감이 해소된다.
이러한 구성을 지닌 종래의 시트벨트용 텐션 리듀서에서는 제 1코일 스프링과 제 2코일 스프링의 내측단이 홀더에 고정되는 한편, 이들 스프링의 외측단은 홀더와 커버 내면에 각각 고정되기 때문에, 전체적인 구조가 복잡하고 조립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제 1코일 스프링이 홀더에 고정되고 제 2코일 스프링이 커버에 각각 고정되기 때문에 마찰부분이 많으며, 시트벨트의 착용시에는 마찰로 인한 이음이 발생되어 승차감을 저하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본 발명은 2개의 코일 스프링을 동시에 장착하여 마찰부분을 최소화함으로써 이음의 발생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으며, 구조가 간단하고 조립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한편, 리테이너와 커버 사이에 배치되는 홀더와 스테이 샤프트 및 부시 샤프트를 일체화하여 웨빙의 당김력을 단속할 수 있는 클러치 장치로 구성함으로써 코일 스프링에 의해 발생되는 회전 마찰을 최대한 감소시켜 소음을 저감할 수 있는 시트벨트용 텐션 리듀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압박감 감소장치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압박감 감소장치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채용한 홀더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압박감 감소장치의 조립상태를 분리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압박감 감소장치의 조립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압박감 감소장치의 조립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웨빙 플레이트 102:와인딩 샤프트
104:장착축 106:웨빙
110:압박감 감소장치 112:리테이너
114:안착홀 118:걸림편
122:부시 샤프트 124, 164:제 1, 2내측걸림홈
126:장착돌기 130, 150:제 1, 2코일스프링
140:홀더 160:스테이 샤프트
170:커버 180:레버
190:솔레노이드 194:플런저
196:리턴 스프링 202:텅
204:버클 스위치 206:ECU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제 1외측 걸림홈을 지닌 제 1스프링 장착부와 제 2외측 걸림홈을 지닌 제 2스프링 장착부가 격벽을 중심으로 양면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홀더와; 제 1코일 스프링의 내측 걸림단이 고정되는 내측 걸림홈을 지니며, 일단의 장착홀에는 와인딩 샤프트가 삽입되고 타단의 장착돌기에는 홀더의 격벽에 형성된 중앙홀이 고정되는 것으로, 플랜지에 의해 리테이너에 회전 가능하게 안착되는 부시 샤프트와; 제 2코일 스프링의 내측 걸림단이 고정되는 내측 걸림홈을 지니며, 부시 샤프트의 장착돌기상에 고정되어 홀더를 커버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스테이 샤프트가 일체로 형성된 클러치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용 텐션 리듀서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 첨부한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시트벨트용 텐션 리듀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압박감 감소장치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채용한 홀더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압박감 감소장치의 조립상태를 분리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압박감 감소장치의 조립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압박감 감소장치의 조립상태를 도시한 측면도로, 도 1에서 설명한 웨빙은 동일부호로 표시한다.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리트랙터의 웨빙 플레이트(100)에는 웨빙(106)이 감겨져 있는 와인딩 샤프트(102)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리트랙터에 있어서, 웨빙 플레이트(100)의 일측면에 부착되어 탑승자에게 가해지는 압박감을 완화시켜 안락감을 제공하기 위한 종래의 압박감 감소장치(10)에서는 제 1코일 스프링과 제 2코일 스프링을 각각 고정하기 위한 어댑터와 홀더를 별도로 사용하였으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이들 코일 스프링을 하나의 홀더를 사용하여 고정하는 구조를 채용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압박감 감소장치(100)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면, 웨빙 플레이트(100)에 부착되는 리테이너(112)와, 격벽(141)을 중심으로 양면에 제 1스프링(130)과 제 2스프링(150)이 장착됨으로써 웨빙(106)의 당김력을 단속하는 클러치 장치와, 리테이너(112)와 대향으로 조립되어 내부 부품을 보호하는 커버(170)로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에서 채용한 클러치 장치의 구성을 보면, 제 1외측 걸림홈(144)을 지닌 제 1스프링 장착부(140a)와 제 2외측 걸림홈(146)을 지닌 제 2스프링 장착부(140b)가 격벽(141)을 중심으로 양면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홀더(140)와; 제 1코일 스프링(130)의 내측 걸림단(130b)이 고정되는 내측 걸림홈(124)을 지니며, 일단의 장착홀(128)에는 장착축(104)가 삽입되고 타단의 장착돌기(126)에는 홀더(140)의 격벽(141)에 형성된 중앙홀(142)이 고정되는 것으로, 플랜지(120)에 의해 리테이너(112)에 회전 가능하게 안착되는 부시 샤프트(122)와; 제 2코일 스프링(150)의 내측 걸림단(150b)이 고정되는 내측 걸림홈(164)을 지니며, 부시 샤프트(122)의 장착돌기(126)상에 고정되어 홀더(140)를 커버(17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스테이 샤프트(160)를 하나의 유닛으로 형성하였다.
여기에서, 리테이너(112)의 외주부에는 걸림편(118)이 형성되어 있어 커버(170)와의 조립시에 탄성력을 제공함으로써 커버(170)의 이탈을 방지한다. 중앙에 형성된 안착홀(114)에는 부시 샤프트(122)의 플랜지(120)가 안착된다. 이 플랜지(120)에 의해서 리테이너(112)와 커버(170)사이에 배치되는 부품의 일체화가 가능하며, 일체로 결합된 홀더유닛의 회전시에 제 1코일 스프링(130)에 의해 발생되는 회전 마찰을 최대한 감소시켜 소음을 저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부시 샤프트(122)에는 홀더(140)의 중앙에 형성된 중앙홀(142)에 삽입되는 장착돌기(126)가 형성되어 있으며, 외주면에 형성된 내측 걸림홈(124)에는 제 1코일 스프링(130)의 내측 걸림단(130b)이 삽입된다. 홀더(140)와 마주보고 있는 장착돌기(126)의 앞단은 라운드 형상으로 만들어 조립시에 홀더(140)에 형성된 중앙홀(142)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였다. 제 2스프링 장착부(140b)가 형성된 홀더(140)의 내측면(143)에는 제 2코일 스프링(150)의 마찰소음을 줄이기 위한 다수의 돌기부(143b)가 형성되어 있다.
홀더(140)의 내주면에는 2개의 홈(144, 146)이 형성되어 있다. 이 중에서, 제 1외측 걸림홈(144)에는 제 1코일 스프링(130)의 외측 걸림단(130a)이 삽입되며, 제 2외측 걸림홈(146)에는 제 2코일 스프링(150)의 외측 걸림단(150a)이 삽입된다. 웨빙(106)에 감김력을 제공하는 제 2코일 스프링(150)은 종래와 마찬가지로 제 1코일 스프링(130)보다 강한 탄성력을 갖도록 구성하였다.
홀더(140)의 외주부에는 다수의 톱니로 이루어진 래치(148)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래치(148)와 걸어맞춤되어 홀더(140)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제지하기 위한 레버(180) 및 솔레노이드(190)가 구비되어 있다. 레버(180)에는 솔레노이드(190)의 플런저(194)에 의해서 회동되어 래치(148)와 걸어 맞춤되는 후크(184)가 형성되어 있으며, 레버(180)에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리턴 스프링(196)이 설치된다. 플런저(194)의 상단에 구비된 걸림편(192)은 레버(180)의 하단에 형성된 결합홈(183)에 작동적으로 결합되어 레버(180)를 회동시키게 된다.
레버(180)를 작동시키는 솔레노이드(190)는 전자제어유닛(Electrical Control Unit; 이하, ECU라 칭함)(206)의 제어에 의해 작동되어 핀(186)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된다. 즉, ECU(206)는 텅(202)의 삽입상태를 감지하는 버클 스위치(204)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바탕으로 밧데리(208)의 전기를 솔레노이드(190)로 공급한다. 그에 따라, 솔레노이드(190)가 통전되면서 플런저(194)를 당겨 레버(180)를 회동시키게 되는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6에서 설명한다.
다음에, 도 3에는 본 발명에서 채용한 홀더가 도시되어 있다. 홀더(140)의 중앙에는 부시 샤프트(122)의 장착돌기(126)가 삽입되는 중앙홀(142)이 형성되어 있으며, 양측면에 형성된 스프링 장착부(140a, 140b)에는 각각, 제 1코일 스프링(130)과 제 2코일 스프링(150)이 장착된다. 여기에서, 제 1코일 스프링(130)이 장착되는 제 1스프링 장착부(140a)에는 제 1코일 스프링(130)의 외측 걸림단(130a)이 삽입되는 제 1외측 걸림홈(144)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 2코일 스프링(150)이 장착되는 제 2스프링 장착부(140b)에는 제 2코일 스프링(150)의 외측 걸림단(150a)이 삽입되는 제 2외측 걸림홈(146)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홀더(140)의 중앙홀(142)둘레에는 부시 샤프트(122)와 스테이 샤프트(160)가 각각 안착되는 제 1 및 제 2원형보스(142a, 142b)를 형성하여 부시 샤프트(122)와 스테이 샤프트(160)의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조립후에는 원활한 회전을 가능케 한다. 또한, 부시 샤프트(122)가 장착되는 제 1스프링 장착부(140a)로 연장되는 제 1원형보스(142a)의 축방향 길이(ℓ1)보다 상기 스테이 샤프트(160)가 장착되는 제 2스프링 장착부(140b)로 연장되는 제 2원형보스(142b)의 축방향 길이(ℓ2)가 더욱 길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홀더 유닛의 편심회전을 유도할 수 있다.
도 4와 도 5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압박감 감소장치의 조립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커버(170)와 리테이너(112)를 분리 및 결합된 상태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170)와 리테이너(112)사이에 배치되는 홀더(140)에는 제 1코일 스프링(130)과 제 2코일 스프링(150)이 장착되어 있으며, 중앙홀(142)에는 부시 샤프트(122)의 장착돌기(126)가 끼워져 있다. 장착돌기(126)의 끝단부에는 스테이 샤프트(160)의 접촉돌기(160a)가 일체적으로 끼워져 있다.
도면에서 보아 홀더(140)의 좌측 장착부(140a)에 장착되는 제 1코일 스프링(130)의 내측 걸림단(130b)은 부시 샤프트(122)의 내측 걸림홈(124)에 삽입되어 있으며, 외측 걸림단(130a)은 홀더(140)의 내주면에 형성된 제 1외측 걸림홈(144)에 삽입되어 있어, 부시 샤프트(122)의 장착홀(128)에 삽입되는 와인딩 샤프트(102)에 감김력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홀더(140)의 우측 스프링 장착부(140b)에 장착되는 제 2코일 스프링(150)의 내측 걸림단(150b)은 스테이 샤프트(160)의 내측 걸림홈(164)에 삽입되어 있으며, 외측 걸림단(150a)은 홀더(140)의 내주면에 형성된 제 2외측 걸림홈(146)에 삽입되어 있어, 스테이 샤프트(160)를 개재하여 부시 샤프트(122)의 장착홀(128)에 삽입되는 와인딩 샤프트(102)에 감김력을 제공하게 된다.
시트벨트를 착용하기 전의 초기에 웨빙(106)은 와인딩 샤프트(102)에 충분히 감겨진 상태로 유지되며, 이 때, 제 1코일 스프링(130)은 최대한 풀어져 있는 반면에, 제 2코일 스프링(150)은 최대한 감겨져 있다. 그러므로, 탑승자가 웨빙(106)을 당기게 되면, 제 2코일 스프링(150)의 감김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와인딩 샤프트(102)가 회전되면서 웨빙(106)의 인출을 가능케 한다.
부시 샤프트(122)와 대향으로 커버(170)의 내측면에는 요홈(172)을 제공하는 돌출부(173)가 형성되어 있다. 이 요홈(172)에는 부시 샤프트(122)의 장착돌기(126)가 회전 가능한 상태로 삽입되며 돌출부(173)는 스테이 샤프트(164)에 형성된 홀(162)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결합된다.
홀더(140)의 하부에는 레버(180)가 작동적으로 결합되어 있으며, 레버(180)는 리테이너(112)와 커버(170)의 내측면에 각각 형성된 수납홈(116, 174)에 수납되는 핀(186)에 의해서 회동하게 된다. 레버(180)를 작동시키는 솔레노이드(190)는 리테이너(112)와 커버(170)의 내측면에 각각 형성된 수납홈(119, 176)에 수납되며, 와이어(210) 및 커넥터(212)를 통해 공급되는 밧데리(208)전기에 의해서 작동된다.
다음에는 도 5와 도 6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압박감 감소장치의 작동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탑승자가 시트에 앉은 후에 웨빙(106)을 잡고 인출하게 되면, 웨빙(106)이 풀리면서 와인딩 샤프트(102)가 회전하게 된다. 와인딩 샤프트(102)의 회전에 의해서 부시 샤프트(122)가 회전하게 되며, 부시 샤프트(122)의 회전에 따라 제 1코일 스프링(130)이 감기게 된다. 제 1코일 스프링(130)이 최대로 감기는 시점에서 홀더(140)가 회전하게 되며, 홀더(140)의 회전으로 제 2코일 스프링(150)은 풀리게 되어 와인딩 샤프트(102)에 감김력을 제공한다.
자신의 체형에 맞게 웨빙(106)을 인출한 상태에서 텅(202)을 클립에 끼우면, 버클 스위치(204)가 접촉되면서 ECU(206)에 전기적인 신호가 입력된다. ECU(206)는 이 신호를 바탕으로 밧데리(208)의 전기를 솔레노이드(190)로 공급하게 되며, 솔레노이드(190)는 플런저(194)를 당기게 된다. 이때, 플런저(194)는 리턴 스프링(196)의 힘을 극복하고 당겨지면서 레버(180)를 가상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회동시키게 되며, 레버(180)의 회동으로 후크(184)가 래치(148)에 걸어맞춤되어 홀더(140)의 회전을 제지하게 된다.
그에 따라, 와인딩 샤프트(102)의 감김이 제지되어 웨빙(106)은 감기지 않게 되며, 와인딩 샤프트(102)와 연결되어 있는 제 1코일 스프링(130)만이 작용하게 되어 압박감 감소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다음에, 텅(202)을 빼내게 되면, ECU(206)는 솔레노이드(190)로 공급되던 전기를 차단하게 되고, 플런저(194)는 리턴 스프링(196)에 의해 가압되어 돌출하게 된다. 그에 따라, 레버(180)는 핀(186)을 중심으로 회동되어 도 6에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되어 래치(148)와의 결합상태가 해제됨으로써, 와인딩 샤프트(102)가 회전되어 웨빙(106)이 감겨지게 된다.
이상으로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하면, 홀더의 내주면에 제 1 및 제 2외측 걸림홈을 형성한 다음, 제 1코일 스프링과 제 2코일 스프링의 외측 걸림단을 이들 제 1 및 제 2걸림홈에 고정함으로써, 구조가 간단하고 조립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플랜지에 의해서 리테이너와 커버 사이에 배치되는 부품의 일체화가 가능하여, 일체로 결합된 홀더유닛의 회전시에 제 1코일 스프링에 의해 발생되는 회전 마찰을 최대한 감소시켜 소음을 저감할 수 있으며, 홀더의 중앙홀 둘레에 원형보스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부시 샤프트와 스테이 샤프트의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조립후에도 원활한 회전을 가능케 한다. 또한, 부시 샤프트가 장착되는 제 1스프링 장착부로 연장되는 제 1원형보스의 축방향 길이보다 스테이 샤프트가 장착되는 제 2스프링 장착부로 연장되는 제 2원형보스의 축방향 길이가 더욱 길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홀더 유닛의 편심회전을 유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7)

  1. 시트벨트의 웨빙(106)이 감겨져 있는 와인딩 샤프트(102)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웨빙 플레이트(100)의 일측면에 부착된 리테이너(112)와, 상기 리테이너(112)의 외주부에 형성된 걸림편(118)에 의해서 대향으로 결합되는 커버(170)와, 상기 리테이너(112)와 상기 커버(170)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와인딩 샤프트(102)에 감김력을 제공하는 제 1 및 제 2코일 스프링(130, 150)으로 이루어진 시트벨트용 텐션 리듀서에 있어서,
    제 1외측 걸림홈(144)을 지닌 제 1스프링 장착부(140a)와 제 2외측 걸림홈(146)을 지닌 제 2스프링 장착부(140b)가 격벽(141)을 중심으로 양면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홀더(140)와; 상기 제 1코일 스프링(130)의 내측 걸림단(130b)이 고정되는 내측 걸림홈(124)을 지니며, 일단의 장착홀(128)에는 상기 와인딩 샤프트(102)가 삽입되고 타단의 장착돌기(126)에는 상기 홀더(140)의 격벽(141)에 형성된 중앙홀(142)이 고정되는 것으로, 플랜지(120)에 의해 상기 리테이너(112)에 회전 가능하게 안착되는 부시 샤프트(122)와; 상기 제 2코일 스프링(150)의 내측 걸림단(150b)이 고정되는 내측 걸림홈(164)을 지니며, 상기 부시 샤프트(122)의 장착돌기(126)상에 고정되어 상기 홀더(140)를 커버(17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스테이 샤프트(160)가 일체로 형성된 클러치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용 텐션 리듀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시 샤프트(122)의 일단에 형성된 플랜지(120)는 상기 리테이너(112)에 형성된 장착홀(114)에 삽입되고, 이 플랜지(120)의 타단인 장착돌기(126)는 상기 커버(170)의 내측면에 형성된 돌출부(173)에 의해 제공되는 요홈(17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용 텐션 리듀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부시 샤프트(122)의 플랜지(120)에는 웨빙 플레이트(100)와 독립체를 구성할 수 있도록 리테이너(112)의 안착홀(114)에 안착되는 돌출단(129) 및 안착돌기(120a)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용 텐션 리듀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 샤프트(160)의 내측면에는 상기 부시 샤프트(122)의 장착돌기(126)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접촉돌기(160a)가 형성되며 커버(170)와 분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용 텐션 리듀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140)의 중앙홀(142)둘레에는 상기 부시 샤프트(122)와 스테이 샤프트(160)가 각각 안착되는 제 1 및 제 2원형보스(142a, 142b)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중에서 상기 부시 샤프트(122)가 장착되는 제 1스프링 장착부(140a)로 연장되는 제 1원형보스(142a)의 축방향 길이(ℓ1)보다 상기 스테이 샤프트(160)가 장착되는 제 2스프링 장착부(140b)로 연장되는 제 2원형보스(142b)의 축방향 길이(ℓ2)가 더욱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용 텐션 리듀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112)의 외주부에는 상기 커버(170)의 테두리에 형성된 걸림홈(178)에 걸어 맞춤되는 다수의 걸림편(118)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용 텐션 리듀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스프링 장착부(140b)가 형성된 홀더(140)의 내측면(143)에는 제 2코일 스프링(150)의 마찰을 줄이기 위한 다수의 돌기부(143b)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용 텐션 리듀서.
KR1019980015679A 1998-04-30 1998-04-30 시트벨트용 텐션 리듀서 KR1002597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5679A KR100259716B1 (ko) 1998-04-30 1998-04-30 시트벨트용 텐션 리듀서
AU92325/98A AU719642B2 (en) 1998-04-30 1998-11-10 Tension reducer of a retractor for an automobile safety seat belt
DE19852975A DE19852975C2 (de) 1998-04-30 1998-11-17 Spannungsreduzierer zum Entlasten der Zugkraft einer Aufrollvorrichtung für einen Sicherheitsgurt
US09/198,487 US6149093A (en) 1998-04-30 1998-11-24 Tension reducer of a retractor for an automobile safety seat belt
CN98125616A CN1086349C (zh) 1998-04-30 1998-12-18 用于汽车座椅安全带的降低卷取器拉力的机构
JP00497199A JP3238903B2 (ja) 1998-04-30 1999-01-12 シートベルト用圧迫感減少装置
HK00100230A HK1021353A1 (en) 1998-04-30 2000-01-14 Tension reducer of a retractor for an automobile safety seat bel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5679A KR100259716B1 (ko) 1998-04-30 1998-04-30 시트벨트용 텐션 리듀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1646A true KR19990081646A (ko) 1999-11-15
KR100259716B1 KR100259716B1 (ko) 2000-08-01

Family

ID=19536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5679A KR100259716B1 (ko) 1998-04-30 1998-04-30 시트벨트용 텐션 리듀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149093A (ko)
JP (1) JP3238903B2 (ko)
KR (1) KR100259716B1 (ko)
CN (1) CN1086349C (ko)
AU (1) AU719642B2 (ko)
DE (1) DE19852975C2 (ko)
HK (1) HK102135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6675B1 (ko) * 2002-11-11 2005-08-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시트벨트용 텐션 리듀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98823B1 (en) * 1999-10-29 2003-07-29 Takata Corporation Seat belt retractor
DE10158871C1 (de) * 2001-11-30 2003-02-27 Daimler Chrysler Ag Gurtstraffer
DE10236858B4 (de) * 2002-08-07 2004-06-09 Takata-Petri (Ulm) Gmbh Gurtvorrichtung
JP4571428B2 (ja) * 2004-04-01 2010-10-27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ウエビング巻取装置
DE102005017369B3 (de) * 2005-04-14 2006-08-10 Hugo Kern Und Liebers Gmbh & Co. Kg Platinen- Und Federnfabrik Gurtaufrollvorrichtung mit Rutschkupplung
JP4714525B2 (ja) * 2005-08-05 2011-06-29 タカタ株式会社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シートベルト装置、シートベルト装置付車両
DE102006052167B3 (de) * 2006-11-02 2008-02-21 Hugo Kern Und Liebers Gmbh & Co. Kg Platinen- Und Federnfabrik Vorrichtung zum Aufrollen eines Sicherheitsgurtes
JP5314611B2 (ja) * 2010-02-03 2013-10-16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ウエビング巻取装置
JP2011157042A (ja) * 2010-02-03 2011-08-18 Tokai Rika Co Ltd ウエビング巻取装置
KR101152602B1 (ko) * 2010-05-25 2012-06-04 주식회사 셀트리온디비아이 시트 벨트용 리트렉터
DE102013201849B4 (de) * 2013-02-05 2015-08-27 Autoliv Development Ab Sicherheitsgurtaufroller mit einer 2-Federkomfortfunktion
CN105459949B (zh) * 2014-08-29 2019-05-17 天合汽车研发(上海)有限公司 织带卷收器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6851Y2 (ja) * 1987-11-06 1995-08-23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ウエビング巻取装置
JPH02114567U (ko) * 1989-02-28 1990-09-13
JPH0347844U (ko) * 1989-09-19 1991-05-07
US4993657A (en) * 1989-10-03 1991-02-19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Dual spring retractor
US4993567A (en) * 1990-03-12 1991-02-19 Hoover Universal, Inc. Involute embossment base structure for hot fill PET container
US5195693A (en) * 1990-03-29 1993-03-23 Kabushiki Kaisha Tokai-Rika-Denki Seisakusho Tension reducer
JPH0571067U (ja) * 1992-03-02 1993-09-24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テンションリデューサ
KR970000440B1 (en) * 1993-12-03 1997-01-11 Sungwoo Co Ltd Device of reducing the tension for a safety belt
JPH082380A (ja) * 1994-04-21 1996-01-09 Nippon Seiko Kk シートベルト用リトラクター
US5478024A (en) * 1994-05-04 1995-12-26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Tension reducing retractor with an energy absorbing device
DE19611748C2 (de) * 1996-03-25 1998-03-26 Autoliv Dev Sicherheitsgurtaufroller mit Komfortfunk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6675B1 (ko) * 2002-11-11 2005-08-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시트벨트용 텐션 리듀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149093A (en) 2000-11-21
HK1021353A1 (en) 2000-06-09
CN1233571A (zh) 1999-11-03
AU9232598A (en) 1999-11-11
JPH11321556A (ja) 1999-11-24
CN1086349C (zh) 2002-06-19
DE19852975A1 (de) 1999-11-11
DE19852975C2 (de) 2003-03-27
AU719642B2 (en) 2000-05-11
KR100259716B1 (ko) 2000-08-01
JP3238903B2 (ja) 2001-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81646A (ko) 시트벨트용 텐션 리듀서
JP2749478B2 (ja) 子供用シート
JP2004042788A (ja) ウエビング巻取装置及びクラッチ機構
JPH0545207Y2 (ko)
EP0934856A1 (en) Webbing winding device
CN107709103B (zh) 安全带卷取装置
KR980700919A (ko) 프리텐셔너를 가지는 리트랙터용 2차 잠금 메카니즘(secondary locking mechanism for retractor with pretensioner)
KR101060300B1 (ko) 웨빙 권취 장치
KR100601186B1 (ko) 웨빙 권취장치
JPH03197257A (ja)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
KR101677565B1 (ko) 웨빙 권취 장치
KR20010083164A (ko) 웨빙 권취장치
JP3709300B2 (ja) ウエビング巻取装置
EP0411738A2 (en) Seat belt retractor
US6598823B1 (en) Seat belt retractor
US10471929B2 (en) Webbing take-up device
JP3607114B2 (ja) ウエビング巻取装置
JPH11321555A (ja) 安全ベルト拘束装置用のベルトリトラクタ
JPH01141147A (ja) シートベルト巻取装置
KR100506675B1 (ko) 자동차의 시트벨트용 텐션 리듀서
JPH1178786A (ja) 自動車用シートベルトの巻取り装置
US5328119A (en) Tension reducer
JPH03552A (ja) シートベルト巻取装置
KR900007439B1 (ko) 안전벨트의 권취력 제어장치
JP3710395B2 (ja) シートベル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2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