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1186B1 - 웨빙 권취장치 - Google Patents

웨빙 권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1186B1
KR100601186B1 KR1019990045768A KR19990045768A KR100601186B1 KR 100601186 B1 KR100601186 B1 KR 100601186B1 KR 1019990045768 A KR1019990045768 A KR 1019990045768A KR 19990045768 A KR19990045768 A KR 19990045768A KR 100601186 B1 KR100601186 B1 KR 1006011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
webbing
gear
shaft
t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57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67789A (ko
Inventor
아사기리요시키
스미야시키아키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도카이리카덴키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도카이리카덴키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도카이리카덴키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000677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77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11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11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36Belt retractors, e.g. reels self-locking in an emergency
    • B60R22/38Belt retractors, e.g. reels self-locking in an emergency responsive only to belt mov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 Retarder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로크의 강도를 확보하면서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는 웨빙 권취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베이스 로크(24)의 유지부(24C)에 형성된 수용부(40)에는, 차량이 급감속할 때에 내측 기어 래칫(38)과 맞물리는 단일 로크 플레이트(42)가 유지되어 있다. 차량이 급감속하게 되면 V기어(46)의 가이드 구멍(50)에 인도되어 로크 플레이트(42)가 대략 반경방향 외측으로 이동하여 내측 기어 래칫(38)과 결합한다. 또한 이 때의 힘을 이용하여 베이스 로크(24)의 유지부(24C) 반대측이 내측 기어 래칫(38)에 압접(壓接)되어 스스로 소성변형하여 결합된다. 따라서 베이스 로크(24)의 유지부(24C)는 반경방향에 대향하는 두 곳에서 내측 기어 래칫(38)과의 로크상태를 얻을 수 있고 또한 로크 플레이트(42)는 1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로크의 강도를 확보하면서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Description

웨빙 권취장치{WEBBING RETRACTOR}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것으로서 웨빙 권취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것으로서 웨빙 권취장치의 비 로크(非lock)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3은 본 실시예에 관한 것으로서 웨빙 권취장치의 로크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4는 도1에 나타낸 토션 샤프트(torsion shaft)의 정면도,
도5는 도1에 나타낸 베이스 로크의 측면도,
도6은 도1에 나타낸 로크 플레이트의 정면도,
도7은 도1에 나타낸 V기어의 정면도,
도8은 도1에서는 도시하지 않은 가속도 센서의 측면도,
도9는 종래예에 관한 웨빙 권취장치에 있어서 로크구조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웨빙 권취장치 12 : 스풀(spool)(권취축)
14 : 프레임(frame)
24 : 베이스 로크(base lock)(제2로크부)
38 : 내측 기어 래칫(內側 gear ratchet)(제4로크부)
38A : 래칫 기어(로크 기어)
42 : 로크 플레이트(제3로크부) 42C : 로크 기어
46 : V기어(제1로크부)
60 : 센서 홀더(sensor holder)(안내부)
본 발명은 차량 급감속시에 웨빙이 인출되는 방향으로 권취축이 회전하는 것을 저지하는 로크 수단을 구비한 웨빙 권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9에는 종래의 웨빙 권취장치(150)의 로크구조의 개략적인 구성이 나타나 있다. 도9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웨빙 권취장치(150)를 차체측에 고정시키기 위한 프레임(152)을 구비하는 한 쪽의 레그 플레이트(leg plate)(154)에는 내측 기어 래칫(156)이 형성되어 있다. 내측 기어 래칫(156)의 내주측에는 대략 반달 모양의 판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로크 플레이트(158, 160)가 거의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각 로크 플레이트(158, 160)의 외주의 일부에는 로크 기어(158A, 160A)가 형성되어 있어 내측 기어 래칫(156)의 래칫 기어(156A)와 대향하고 있다
또한 한 쌍의 로크 플레이트(158, 160)의 중심부에는 결합홈부(162, 164)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결합홈부(162, 164)에는 내측 기어 래칫(156)의 축심부(軸芯部)로부터 돌출된 권취축(166)의 포크부(fork部)(166A)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내측 기어 래칫(156)에 인접하는 위치에는 권취축(166)이 회전함에 따라 회전하는 V기어(168)가 배치되어 있다. V기어(168)의 외주부에는 로크 기어(168A)가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축심측에는 로크 플레이트(158, 160)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 각 한 쌍의 돌기(158B, 160B)가 삽입되는 4개의 가이드 구멍(170, 17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차량 급감속시에 도시하지 않은 가속도 센서가 이것을 감지하여 그 가속도 센서의 센서 레버의 쐐기가 V기어(168)의 로크 기어(168A)와 맞물려 웨빙이 인출되는 방향으로 V기어(168)가 회전하는 것을 저지한다. 이로 인하여 탑승자로부터 작용하는 웨빙의 장력에 의하여 웨빙이 인출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려고 하는 권취축(166)과 웨빙이 인출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 저지된 V기어(168)의 사이에 상대회전이 발생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V기어(168)의 가이드 구멍(170, 172)의 안내를 받아 한 쌍의 로크 플레이트(158, 160)가 서로 이간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내측 기어 래칫(156)의 래칫 기어(156A)에 로크 기어(158A, 160A)가 결합된다. 그 결과 도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권취축(166)이 인출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 저지되어 로크상태가 된다.
종래 많이 사용되어 온 상기 로크 구조는 2장의 로크 플레이트(158, 160)를 사용함으로써 로크의 강도를 확보하도록 하였으나, 2장의 로크 플레이트(158, 160)를 사용함으로써 부품의 개수가 증가하고 나아가서는 웨빙 권취장치(150)의 중량이 증가한다는 불리한 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사실을 고려하여 로크의 강도를 확보하면서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는 웨빙 권취장치를 얻는 것이 목적이다.
청구항1의 본 발명은 차체측에 지지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되며 탑승자 구속용 웨빙을 잡아 당기어 층상으로 감는 권취축과, 차량 급감속시에 웨빙이 인출되는 방향으로 권취축이 회전하는 것을 저지하는 로크수단을 구비한 웨빙 권취장치에 있어서, 상기 로크수단은, 권취축을 중심으로 동축상에 배치됨과 아울러 권취축이 회전함에 따라 회전하고 차량 급감속시에 웨빙이 인출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저지하는 제1로크부와, 권취축을 중심으로 동축상에 배치됨과 아울러 권취 축과 일체로 회전하며 웨빙이 인출되는 방향으로 제1로크부가 회전하는 것이 저지된 경우에 상기 제1로크부와의 사이에 상대회전이 발생되어 소성변형할 수 있는 제2로크부와, 상기 제2로크부에 대략 직경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유지됨과 아울러 제1로크부와 제2로크부 사이에 상대회전이 발생한 경우에 대략 직경방향 외측으로 이동하며 고강도의 로크 기어를 구비한 단일부품으로 이루어진 제3로크부와, 프레임에 설치되며 제3로크부가 대략 직경방향 외측으로 이동한 경우에 제3로크부의 로크 기어와 결합되는 고강도의 로크 기어를 구비한 제4로크부와, 상기 제4로크부의 로크 기어에 제3로크부의 로크 기어가 결합되었을 때에 그 결합시의 힘을 이용하여 제2로크부의 소정부위를 결합위치와 반대방향으로 변위시키며 상기 소정부위를 소성변형시키면서 제4로크부에 직접적으로 결합되는 안내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1의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 급감속시에 권취축을 중심으로 동축상에 배치됨과 아울러 권취축이 회전함에 따라 회전하는 웨빙이 인출되는 방향으로 제1로크부가 회전하는 것이 저지된다. 한편 권취축을 중심으로 동축상에 배치된 제2로크부는 권취축과 일체로 회전하기 때문에, 탑승자로부터 웨빙에 작용하는 장력(張力)에 의하여 권취축과 함께 제2로크부는 웨빙이 인출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려고 한다. 이로 인하여 제1로크부와 제2로크부 사이에 상대회전이 발생한다. 양자간에 상대회전이 발생하면 제2로크부의 대략 직경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유지된 단일부품으로 이루 어진 제3로크부가 대략 직경방향 외측으로 이동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제3로크부가 구비하고 있는 고강도의 로크 기어가 프레임에 형성된 제4로크부가 구비하고 있는 고강도의 로크 기어와 결합된다. 따라서 웨빙이 인출되는 방향으로 권취축이 회전하는 것이 저지되어 소위 로크상태가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제4로크부의 로크 기어에 제3로크부의 로크 기어가 결합되었을 때의 힘을 이용함으로써 안내부에 의하여 다른 결합을 얻을 수 있다. 즉 제4로크부의 로크 기어에 제3로크부의 로크 기어가 결합되었을 때에 안내부에 의하여 상기 결합시의 힘을 이용하여 제2로크부의 소정부위가 제3로크부의 결합위치와 반대방향으로 변위된다. 그리고 상기 제2로크부의 소정부위를 소성변형시키면서 상기 소정부위를 제4로크부에 직접적으로 결합시킨다. 이렇게 함으로써 반경방향에서 대향하는 두 곳에서 로크상태를 얻을 수 있으므로 충분한 로크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가동측의 로크부(즉, 제3로크부) 자체는 단일부품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부품의 개수를 삭감시킬 수 있다. 따라서 두 개의 로크 플레이트를 사용했던 종래구조와 비하여 웨빙 권취장치의 중량도 경감된다.
(실시예)
이하 도1 ∼ 도8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관한 웨빙 권취장치(10)에 대하여 설명한다.
처음에 웨빙 권취장치(10)의 스풀(spool)(12) 및 이것과 일체로 설치된 부품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고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의 요부인 로크 구조 등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스풀(12) 및 이것과 일체로 설치된 부품 구성]
도1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웨빙 권취장치(10)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종단면도가 나타나 있다. 도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웨빙 권취장치(10)는 정면에서 보면 대략 'ㄷ'자형으로 형성된 프레임(14)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프레임(14)은 차체측(車體側)에 고정되어 있다. 프레임(14)은 서로 평행으로 연장된 제1레그 플레이트(leg plate)(16)와 제2레그 플레이트(18)를 구비하고 있고 이들 제1레그 플레이트(16)와 제2레그 플레이트(18) 사이에 다이캐스트(die casting)에 의하여 제작된 「권취축」으로서의 스풀(12)이 회전할 수 있도록 축에 지지되어 있다.
스풀(12)은 축심부(軸芯部)를 구성하는 원통 형태의 스풀 축(12A)과, 상기 스풀 축(12A)의 양단부에 대략 원판 형태로 각각 형성된 한 쌍의 플랜지부(flange部)(이하 제1레그플레이트(16)측에 배치되는 플랜지부를 「제1플랜지부(12B)」라고 하고 제2레그 플레이트(18)측에 배치되는 플랜지부를 「제2플랜지부(12C)」라고 한다)로 구성되어 있고 전체는 장고의 형태를 하고 있다.
스풀 축(12A)의 축심부에는 축 삽입공(20)이 형성되어 있다. 축 삽입공(20)의 제1플랜지부(12B)측에는 축 삽입공(20)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된 오목 형태의 베이스 로크 수용부(base lock 收容部)(22)가 동축상에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 로크 수용부(22)는 그 대부분을 차지하는 오목부 본체(22A)와 상기 오목부 본체(22A)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된 오목 단말부(22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 로크 수용부(22)에는 다이 캐스트에 의하여 제작된 「제2로크부」로서의 베이스 로크(24)가 결합되어 고정된 상태로 장착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 로크(24)를 장착하는 방법은 베이스 로크 수용부(22)의 안쪽으로 향하여 베이스 로크(24)를 삽입한 후에 정면에서 볼 때에 'ㄷ'자형으로 형성된 도시하지 않은 스톱퍼(고정 부재)를 축의 직각방향으로 눌러 넣는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베이스 로크(24)를 다이캐스트에 의하여 제작하였지만 반드시 다이캐스트에 의할 필요는 없고, 후술하는 작용 및 효과로부터 명백해지는 것과 같이 차량 급감속시에 래칫 기어(38A)에 압접(壓接)될 때의 소성변형에 의하여 상기 래칫 기어(38A)와 결합할 수 있는 재질로 구성되기만 하면 무방하다.
베이스 로크(24)는 원판이 달린 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베이스 로크 수용부(22)의 오목부 본체(22A)와 결합하는 기부(24A)와, 기부(24A)보다 큰 직경이고 베이스 로크 수용부(22)의 오목 단말부(22B)와 결합하는 중간부(24B)와, 중간부(24B)보다 큰 직경이고 제1플랜지부(12B)의 외측면에 접해 있는 상태로 형성되는 유지부(24C)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 로크(24)의 축심부 내측에는 육각형 구멍의 결합공(26)이 형성되어 있고 또 한 상기 축심부 외단(外端)에는 결합공(26)의 축심부와 서로 연통되며 결합공(26)보다 작은 직경으로 되어 있는 소공(小孔)(28)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스풀 축(12A)에 있어서 축 삽입공(20)의 제2플랜지부(12C)측에는 축 삽입공(20)보다도 큰 직경으로 된 오목 형태의 슬리브 수용부(sleeve 收容部)(30)가 형성되어 있다. 이 슬리브 수용부(30)의 내주부에는 암 스플라인(spline)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슬리브 수용부(30)에는 외주부의 숫 스플라인이 형성되고 축심부에는 육각형 구멍의 결합공(32)이 형성된 슬리브(34)가 결합되어 있다. 슬리브(34)의 선단부에는 스풀(12)이 웨빙의 권취회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힘을 가하는 가압수단(플랫 스파이럴 스프링(flat spiral spring))의 내단(內端)이 도시하지 않은 어댑터를 통하여 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구성의 슬리브(34)는 차량 급감속시에 스풀(12)을 순간적으로 웨빙의 권취회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프리텐셔너의 구성 부품의 하나이다.
전술한 베이스 로크(24)와 슬리브(34)는 토션 샤프트(torsion shaft)(36)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다. 도4에도 나타낸 바와 같이 토션 샤프트(36)는 그 주요 부분을 구성하는 축부(軸部)(36A)와, 축부(36A)의 일단에 형성된 육각형의 두부(頭部)(36B)와, 축부(36A)의 타단에 형성된 육각형의 결합부(36C)와, 결합부(36C)의 축심부로부터 축부(36A)와 동축상으로 연장된 소경부(36D)와, 소경부(36D)로부터 테이퍼면을 거쳐 직경이 작아지고 나서 환형으로 직경이 확대된 고리를 구비하는 기어 유지부(36E)와, 상기 기어 유지부(36E)로부터 더 동축상으로 연장되어 키(key)가 형성된 선단부(36F)로 구성되어 있다. 도1로 돌아가서 토션 샤프트(36)의 두부(36B)는 슬리브(34)에 형성된 육각형구멍인 결합공(32)에 결합되어 있고 또한 토션 샤프트(36)의 결합부(36C)는 베이스 로크(24)에 형성된 육각형 구멍인 결합공(26)에 결합되어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토션 샤프트(36)는 베이스 로크(24) 및 슬리브(34)를 통하여 스풀 축(12A)과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구성의 토션 샤프트(36)는 차량급감속시에 소정치 이상의 웨빙 장력이 스풀(12)에 작용함으로써 비틀림 변형되어 에너지를 흡수하는 포스 리미터의 주요 구성 부품이다.
[로크 구조 등]
도2 및 도3에도 나타낸 바와 같이 전술한 프레임(frame)(14)의 제1레그 플레이트(16)의 상부측에는 「제4로크부」로서의 내측 기어 래칫(ratchet) (38)이 천공(穿孔, punching)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 내측 기어 래칫(38)의 「로크부」로서의 래칫 기어(38A)는 고강도(高强度)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내측 기어 래칫(38)의 내측에는 베이스 로크(24)의 유지부(24C)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유지부(24C)의 축심부에 형성된 전술한 소공(28)내에는 토션 샤프트(36)의 소경부(36D)가 삽입되어 있다. 상기 유지부(24C)의 정면측에는 소공(28) 주위에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오목 형태의 수용부(40)(도2, 도3, 도5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수용부(40)의 일단부는 폐쇄되어 있지만 수용부(40)의 타단부는 개방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 로크(24)의 유지부(24C)에 있어서 수용부(40)의 타단부측은 후술하는 로크 플레이트(42)가 내측 기어 래칫(38)에 결합하는 동작을 방해하지 않도록 모서리가 깍여져 있다. 상기 수용부(40)에는 대략 원호판(圓弧板)의 형태를 이루는 단일의 「제3로크부」로서의 로크 플레이트(42)(도2, 도3, 도6 참조)가 수용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 로크(24)의 유지부(24C)에 있어서의 외측면에는 로크 플레이트(42)의 이탈을 방지하는 박막의 원판형태인 로크 커버(44)가 회전되지 않는 상태로 부착되어 있다.
도6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크 플레이트(42)는 대략 원호판의 형태를 이루는 금속제의 플레이트 본체(42A)와, 이 플레이트 본체(42A)의 일단부로부터 연장된 직사각형의 돌기부(42B)와, 플레이트 본체(42A)의 타단부의 외주부에 형성됨과 아울러 제1레그 플레이트(16)의 내측 기어 래칫(38)의 래칫 기어(38A)와 맞물리며 고강도로 제작된 로크 기어(42C)와, 동일한 플레이트 본체(42A)의 타단부로부터 세워져 형성된 가이드 핀(42D)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플레이트 본체(42A)의 폭과 돌기부(42B)의 돌출 길이를 더한 길이는 베이스 로크(24)의 수용부(40)의 광폭부(廣幅部)(40A)(도2, 도3 참조)의 폭과 대략 일치한다.
전술한 베이스 로크(24)에 인접하는 위치에는 베이스 로크(24)보다도 큰 직경으로 형성되고 대략 원판 형태의 「제1로크부」로서의 V기어(46)가 배치되어 있다. 도7에도 나타낸 바와 같이 V기어(46)의 축심부에는 원통 형태의 보스(boss)(48)가 형성되어 있고 토션 샤프트(36)의 기어 유지부(36E)가 회전함에 따라 회전할 수 있도록 축에 지지되어 있다. 또한 V기어 (46)에는 대략 「ㅅ」자형의 가이드 구멍(5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 구멍(50)에는 로크 플레이트(42)로부터 세워져 형성된 가이드 핀(42D)이 삽입된다. 또한 V기어(46)의 외주부에는 로크 기어(46A)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V기어(46)의 하방측에는 도8에 나타내는 VSIR(차체 감응식 리트랙터(車體 感應式 retractor))용의 주지의 가속도 센서(52)가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도1에는 가속도 센서(52)의 도시가 생략되어 있다. 차량 급감속시에는 가속도 센서(52)의 볼(ball)(54)이 센서 하우징(56)상에서 굴러 센서 바(58)를 회전시키고 상기 센서 바(58)의 로크 폴(lock pawl)(58A)이 V기어(46)의 로크 기어(46A)에 결합되도록 되어 있다.
도1로 돌아가서 전술한 가속도 센서(52)는 수지제(樹脂製)의 「안내부」로서의 센서 홀더(60)에 의하여 유지되어 있다. 센서 홀더(60)의 외측에는 센서 홀더(60)와 비슷한 형태인 수지제의 센서 커버(62)가 설치되어 있고 센서 홀더(60)와 센서 커버(62)는 일체로 형성되어 프레임(14)의 제1레그 플레이트(16)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센서 홀더(60)의 축심부에는 짧은 원통 형태의 보스(60A)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보스(60A)에는 토션 샤프트 (36)의 선단부(36F)가 축으로 지지되어 있다. 즉 센서 홀더(60)에는 토션 샤프트(36)의 축받이로서의 기능이 부여되어 있고, 그 광의의 의미에서 센서 홀더(60)는 「축받이부재」 혹은 「지지부재」라고 볼 수 있는 요소가 있다. 또한 표면적인 관점에서 보면 센서 홀더(60)를 「지지부재」 혹은 「커버 본체」로서 볼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센서 홀더(60)의 내주부에는 전술한 V기어(46)의 축으로 지지된 도시하지 않은 WSIR(웨빙 감응식 리트랙터(webbing 感應式 retractor))용의 파울과 결합할 수 있는 내측 기어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탑승자가, 웨빙으로 연결된 도시하지 않은 텅 플레이트(tongue plate)를 잡아 당겨 플랫 스파이럴 스프링의 탄성력에 반발하여 웨빙을 스풀 (12)로부터 인출하고 상기 텅 플레이트를 도시하지 않은 버클 장치에 결합시킴으로써 탑승자는 삼점식(三點式) 안전벨트장치의 웨빙을 장착한 상태가 된다. 즉 중심 지지대의 상부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숄더 앵커 (shoulder anchor)로부터 텅 플레이트까지의 웨빙이 숄더측의 웨빙이 되고 텅 플레이트로부터 버클 장치까지의 웨빙이 랩(lap)측의 웨빙이 된다.
상기 상태에서 차량 주행 상태가 된 경우에 있어서 차량이 급감속하게 되면 도시하지 않은 프리텐셔너가 작동하고 슬리브(34)를 통하여 스풀(12)을 순간적으로 웨빙의 권취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또한 이것과 동시에 차량 급감속 상태가 가속도 센서(52)에 의하여 검출된다. 즉 가속도 센서 (52)의 볼(54)이 센서 하우징(56)상을 굴러 센서 레버(58)를 회전시킨다. 이것에 의하여 센서 레버(58)의 로크 폴(58A)이 V기어(46)의 로크 기어(46A)에 결합되고 V기어(46)는 웨빙이 인출되는 방향으로 회전이 저지된다.
한편 스풀(12)은 탑승자로부터 받는 웨빙 장력에 의하여 웨빙이 인출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려고 한다. 이로써 웨빙 인출방향으로 회전하려고 하는 스풀(12)과 웨빙 인출방향으로의 회전이 저지된 V기어(46) 사이에서 상대 회전이 발생한다. 양자간에 상대 회전이 발생하면, 도2와 도3을 비교하여 판단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베이스 로크(24)의 유지부(24C)에 형성된 수용부(40)에 유지되는 로크 플레이트(42)의 가이드 핀(42D)이 V기어(46)의 가이드 구멍(50)에 의하여 인도되어 베이스 로크(24)의 대략 반경방향의 외측으로 이동된다. 이것에 의하여 로크 플레이트(42)의 로크 기어(42C)가 프레임(14)의 제1레그 플레이트(16)에 형성된 내측 기어 래칫(38)의 래칫 기어(38A)와 맞물린다.
또한 로크 플레이트(42)의 로크 기어(42C)가 내측 기어 래칫(38)의 래칫 기어(38A)와 맞물리면 그 때의 힘이 베이스 로크(24)의 유지부(24C)에 작용한다. 이 힘은 차량 급감속시에 고강도의 로크 기어(42C)와 래칫 기어(38A)가 맞물림으로써 발생하는 것이므로 매우 크며, 따라서 베이스 로크(24)의 축심부를 관통하는 토션 샤프트(36)에도 당연히 작용한다. 또한 토션 샤프트(36)의 선단부(36F)는 수지제의 센서 홀더(60)의 보스(60A)의 축으로 지지되므로 상기 힘은 토션 샤프트(36)의 선단부(36F)와 센서 홀더(60)의 보스(60A)에도 작용하여 센서 홀더(60)의 보스(60A)를 힘의 작용방향, 즉 로크 플레이트(42)의 결합 위치와 반대방향으로 탄성 변형시킨다. 또한 베이스 로크(24)의 유지부(24C)의 외주 일부(도3의 화살표(P)가 표시하는 부분)가 프레임(14)의 내측 기어 래칫(38)의 래칫 기어(38A)에 강하게 밀착된다. 베이스 로크(24)는 다이캐스트에 의하여 제작되어 비교적 연질이므로 래칫 기어(38A)에 압접되면 소성변형하여 상기 래칫 기어(38A)가 파고 들어 직접 결합된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반경방향에서 대향하는 두 곳에서의 로크 상태가 획득되므로 충분한 로크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단일의 로크 플레이트(42)의 사용으로 상기의 작용 및 효과를 획득할 수 있으므로 부품의 개수를 삭감할 수 있다. 따라서 2개의 로크 플레이트를 사용하고 있는 종래 구조에 비하여 웨빙 권취장치(10)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로크 플레이트(42)에 있어서의 플레이트 본체(42A)의 폭과 돌기부(42B)의 돌출 길이를 더한 길이가 베이스 로크(24)의 수용부(40)의 광폭부(40A)(도2 참조)의 폭과 대략 일치하도록 설정되어 있으므로 로크 플레이트(42)의 로크 기어(42C)를 내측 기어 래칫(38)의 래칫 기어(38A)에 확실하게 맞물리게 할 수 있다. 즉 로크 수단 작동시, 로크 플레이트(42)는 그 돌기부(42B)가 수용부(40)의 조임부(40B)(또한 조임부 (40B)는 로크 플레이트(42)의 관계에 있어서는 스톱퍼로서 기능을 수행한다)에 접촉할 때 까지 이동하지만 돌기부(42B)가 존재함으로써 로크 플레이트 (42)의 실제 이동 경로가 이미 설정된 이동 경로로부터 이탈한다. 바꿔 말하면 로크 플레이트(42)의 로크 기어(42C)(가동 기어)가 내측 기어 래칫(38)의 래칫 기어(38A)(고정 기어)에 대하여 맞물림의 불량이 발생하는 것과 같이 생각지도 못한 회전 변위가 발생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차량 급감속시에 단일 로크 플레이트(42)의 로 크 기어(42C)를 내측 기어 래칫(38)의 래칫 기어(38A)에 확실하게 맞물리게 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맞물림의 불량함에 의한 로크의 부족한 강도를 보완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점은 내측 기어 래칫(38)과 맞물리는 로크 플레이트(42)가 1장인 본 타입의 로크 구조에 있어서는 중요한 의의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프리텐셔너 및 포스 리미터를 겸비한 웨빙 권취장치(10)를 본 발명에서 적용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은 다양한 타입의 웨빙 권취장치에 대하여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프레임(14)의 제1레그 플레이트(16)에 내측 기어 래칫(38)을 천공에 의하여 형성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부품의 내측 기어 래칫 호일을 제1레그 플레이트(16)에 고정하는 방법을 채용하여도 무방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청구항1의 본 발명에 관한 웨빙 권취장치는, 권취축을 중심으로 동축상에 배치됨과 아울러 권취축이 회전함에 따라 회전하고 차량 급감속시에 웨빙이 인출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저지하는 제1로크부와, 권취축을 중심으로 동축상에 배치됨과 아울러 권취축과 일체로 회전하며 웨빙이 인출되는 방향으로 제1로크부가 회전하는 것이 저지된 경우에 상기 제1로크부와의 사이에 상대회전이 발생되어 소성변형할 수 있는 제2로크부와, 상기 제2로크부에 대략 직경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유지됨과 아울러 제1로크부와 제2로크부 사이에 상대회전이 발생한 경우에 대략 직경방향 외측으로 이동하며 고강도의 로크 기어를 구비한 단일부품으로 이루어진 제3로크부와, 프레임에 설치되며 제3로크부가 대략 직경방향 외측으로 이동한 경우에 제3로크부의 로크 기어와 결합되는 고강도의 로크 기어를 구비한 제4로크부와, 상기 제4로크부의 로크 기어에 제3로크부의 로크 기어가 결합되었을 때에 그 결합시의 힘을 이용하여 제2로크부의 소정부위를 결합위치와 반대방향으로 변위시키며 상기 소정부위를 소성변형시키면서 제4로크부에 직접적으로 결합되는 안내부로 로크수단을 구성하였으므로 로크의 강도를 확보하면서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Claims (1)

  1. 차체측에 지지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되며 탑승자 구속용 웨빙을 잡아 당기어 층상으로 감는 권취축과,
    차량 급감속시에 웨빙이 인출되는 방향으로 권취축이 회전하는 것을 저지하는 로크수단,
    을 구비한 웨빙 권취장치에 있어서,
    상기 로크 수단은,
    권취축을 중심으로 동축상에 배치됨과 아울러 권취축이 회전함에 따라 회전하고 차량 급감속시에 웨빙이 인출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저지하는 제1로크부와,
    권취축을 중심으로 동축상에 배치됨과 아울러 권취축과 일체로 회전하며 웨빙이 인출되는 방향으로 제1로크부가 회전하는 것이 저지된 경우에 상기 제1로크부와의 사이에 상대회전이 발생되어 소성변형할 수 있는 제2로크부와,
    상기 제2로크부의 직경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유지됨과 아울러 제1로크부와 제2로크부 사이에 상대회전이 발생한 경우에 직경방향 외측으로 이동하며 고강도의 로크 기어를 구비한 단일부품으로 이루어진 제3로크부와,
    프레임에 설치되며 제3로크부가 직경방향 외측으로 이동한 경우에 제3로크부의 로크 기어와 결합되는 고강도의 로크 기어를 구비한 제4로크부와,
    상기 제4로크부의 로크 기어에 제3로크부의 로크 기어가 결합되었을 때에 그 결합시의 힘을 이용하여 제2로크부를 결합위치와 반대방향으로 변위시키며 상기 제2로크부를 소성변형시키면서 제4로크부에 직접적으로 결합되는 안내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빙 권취장치.
KR1019990045768A 1999-04-09 1999-10-21 웨빙 권취장치 KR1006011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263599A JP3645445B2 (ja) 1999-04-09 1999-04-09 ウエビング巻取装置
JP11-102635 1999-04-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7789A KR20000067789A (ko) 2000-11-25
KR100601186B1 true KR100601186B1 (ko) 2006-07-13

Family

ID=14332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5768A KR100601186B1 (ko) 1999-04-09 1999-10-21 웨빙 권취장치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6305633B1 (ko)
EP (1) EP1177954B1 (ko)
JP (1) JP3645445B2 (ko)
KR (1) KR100601186B1 (ko)
CN (1) CN1157305C (ko)
AU (1) AU753339B2 (ko)
BR (1) BR0009428A (ko)
CA (1) CA2369140C (ko)
DE (1) DE60025699T2 (ko)
ES (1) ES2251963T3 (ko)
TW (1) TW470715B (ko)
WO (1) WO200006140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27515B2 (ja) * 2000-07-12 2005-12-14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ウエビング巻取装置
JP4658409B2 (ja) * 2001-08-31 2011-03-23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ウエビング巻取装置
DE60215914T2 (de) * 2002-04-08 2007-09-13 Key Safety Systems, Inc., Sterling Heights Gurtsensor
DE10236858B4 (de) * 2002-08-07 2004-06-09 Takata-Petri (Ulm) Gmbh Gurtvorrichtung
DE10304943B3 (de) * 2003-02-06 2004-08-19 Autoliv Development Ab Endbeschlagstraffer
JP4917395B2 (ja) * 2006-09-19 2012-04-18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ウエビング巻取装置
KR100835936B1 (ko) 2007-05-16 2008-06-09 델파이코리아 주식회사 안전벨트 리트랙터의 록킹 부재 결합 구조
KR100835940B1 (ko) * 2007-05-16 2008-06-09 델파이코리아 주식회사 안전 벨트용 리트랙터의 긴급 록킹 기구
KR100878105B1 (ko) 2007-05-18 2009-01-14 델파이코리아 주식회사 안전벨트 리트랙터
JP5587142B2 (ja) * 2010-01-15 2014-09-10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ウエビング巻取装置
JP2011246011A (ja) * 2010-05-27 2011-12-08 Tokai Rika Co Ltd ウェビング巻取装置
JP5456619B2 (ja) * 2010-08-27 2014-04-02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ウェビング巻取装置
US9121462B2 (en) * 2011-10-28 2015-09-01 D B Industries, Llc Self-retracting lifeline
DE102011086656A1 (de) 2011-11-18 2012-05-03 Takata-Petri Ag Sensor
JP5714624B2 (ja) * 2013-02-22 2015-05-07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ウェビング巻取装置
JP6566725B2 (ja) 2015-05-28 2019-08-28 Joyson Safety Systems Japan株式会社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及びシートベルト装置
US10315617B2 (en) * 2016-08-04 2019-06-11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Seat belt retractor with load limiting stop mechanism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017097A1 (de) * 1980-05-03 1981-11-05 Autoflug Gmbh, 2084 Rellingen Selbstsperrender gurtaufroller fuer kraftfahrzeug-sicherheitsgurte
SE8103237L (sv) * 1981-05-22 1982-11-23 Igloo Elements Ab Sperranordning till sekerhetsbelten
IN160516B (ko) * 1982-11-20 1987-07-18 Britax Kolb Gmbh & Co
DE3339527A1 (de) * 1983-11-02 1985-05-09 Autoflug Gmbh, 2084 Rellingen Aufwickelvorrichtung fuer sicherheitsgurte
DE3411067A1 (de) * 1984-03-26 1985-10-17 Autoflug Gmbh, 2084 Rellingen Selbstsperrender gurtaufroller fuer sicherheitsgurte
DE3421960C2 (de) * 1984-06-13 1991-10-31 Britax-Kolb GmbH & Co, 8065 Erdweg Gurtaufroll- und Sperrmechanismus
JPH0535026Y2 (ko) * 1985-07-22 1993-09-06
JPS63956A (ja) * 1986-06-19 1988-01-05 Canon Inc 照明装置
JPS63956U (ko) * 1986-06-21 1988-01-06
JPS6321173A (ja) 1986-07-15 1988-01-28 Brother Ind Ltd 情報処理装置
JPS6321173U (ko) * 1986-07-25 1988-02-12
DE3636847A1 (de) * 1986-10-29 1988-05-19 Britax Kolb Gmbh & Co Sensor- und sperrvorrichtung fuer ein sicherheitsgurtsystem
JPS6394070U (ko) * 1986-12-04 1988-06-17
JPH01168354A (ja) * 1987-12-24 1989-07-03 Ootake Seisakusho:Kk 脱ぷ装置付き精米機の玄米供給構造
DE3810701A1 (de) 1988-03-29 1989-10-12 Trw Repa Gmbh Rueckstrammvorrichtung
JPH0545582Y2 (ko) * 1988-05-20 1993-11-22
US5368251A (en) * 1989-02-24 1994-11-29 Autoliv-Kolb Gmbh & Co. Inertial reel assembly for a safety belt
JPH02310786A (ja) 1989-05-26 1990-12-26 Nec Ic Microcomput Syst Ltd マイクロコンピュータ
JPH0826225B2 (ja) 1990-06-13 1996-03-13 東レ・ダウコーニング・シリコーン株式会社 加熱硬化型シリコーンエラストマー組成物
JPH0446962U (ko) * 1990-08-24 1992-04-21
JP3153309B2 (ja) * 1992-01-30 2001-04-09 タカタ株式会社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
JPH0637021A (ja) * 1992-07-17 1994-02-10 Fuji Electric Co Ltd 学習予測・指示機能付半導体製造装置
JPH0637021U (ja) * 1992-10-21 1994-05-17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ウエビング巻取装置
JP3233518B2 (ja) * 1993-11-24 2001-11-26 タカタ株式会社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
DE19522777C2 (de) * 1994-06-30 2000-03-23 Autoliv Dev Warnvorrichtung für ein Sicherheitsgurtsystem
WO1996028321A1 (fr) * 1995-03-16 1996-09-19 Nsk Ltd. Enrouleur pour ceinture de securite
DE19524162A1 (de) * 1995-07-03 1997-01-09 Trw Repa Gmbh Gurtaufroller für einen Sicherheitsgurt
GB2310786B (en) * 1996-03-05 2000-06-14 Alliedsignal Ltd Retractor locking mechanism
JPH10230817A (ja) * 1997-02-21 1998-09-02 Nippon Seiko Kk シートベルト用リトラクタ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645445B2 (ja) 2005-05-11
AU2459600A (en) 2000-11-14
KR20000067789A (ko) 2000-11-25
DE60025699D1 (de) 2006-04-13
CA2369140C (en) 2007-10-16
DE60025699T2 (de) 2006-07-27
ES2251963T3 (es) 2006-05-16
EP1177954B1 (en) 2006-01-25
CN1157305C (zh) 2004-07-14
JP2000289571A (ja) 2000-10-17
WO2000061405A1 (fr) 2000-10-19
AU753339B2 (en) 2002-10-17
BR0009428A (pt) 2002-03-26
EP1177954A4 (en) 2004-06-23
CA2369140A1 (en) 2000-10-19
CN1346319A (zh) 2002-04-24
TW470715B (en) 2002-01-01
US6305633B1 (en) 2001-10-23
EP1177954A1 (en) 2002-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1186B1 (ko) 웨빙 권취장치
KR100602812B1 (ko) 프리텐셔너
JP4323081B2 (ja) ウエビング巻取装置
JP3727515B2 (ja) ウエビング巻取装置
EP1902911B1 (en) Webbing retractor device
US4168810A (en) Novel locking mechanism and reel for retractor
JP3745201B2 (ja) ウェビング巻取装置
KR100773972B1 (ko) 웨빙 권취장치
JP3984024B2 (ja) ウエビング巻取装置
JP3709300B2 (ja) ウエビング巻取装置
JP3842622B2 (ja) ウエビング巻取装置
JP3607115B2 (ja) ウエビング巻取装置
JP3607114B2 (ja) ウエビング巻取装置
JP4658409B2 (ja) ウエビング巻取装置
JP4081359B2 (ja) プリテンショナ装置
JPH04314650A (ja)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
JP3798394B2 (ja) プリテンショナー
JP4364236B2 (ja) プリテンショナー付ウエビング巻取装置
JPH0224685Y2 (ko)
JPH043893Y2 (ko)
JPH061496Y2 (ja) ウエビング巻取装置用ロツク機構
JPH08290754A (ja) プリテンショナ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9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