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5940B1 - 안전 벨트용 리트랙터의 긴급 록킹 기구 - Google Patents

안전 벨트용 리트랙터의 긴급 록킹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5940B1
KR100835940B1 KR1020070047786A KR20070047786A KR100835940B1 KR 100835940 B1 KR100835940 B1 KR 100835940B1 KR 1020070047786 A KR1020070047786 A KR 1020070047786A KR 20070047786 A KR20070047786 A KR 20070047786A KR 100835940 B1 KR100835940 B1 KR 1008359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wl
locking
retractor
seat belt
locking mechanis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77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인수
이정민
이병진
이동섭
배상홍
배기영
김종각
김도식
Original Assignee
델파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델파이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델파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477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59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59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59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195Anchoring device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e.g. means of the through-anchor or splitted reel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36Belt retractors, e.g. reels self-locking in an emergency
    • B60R22/38Belt retractors, e.g. reels self-locking in an emergency responsive only to belt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46Reel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by forced winding u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록킹 베이스, 폴, 록킹 클러치 및 로커 암으로 이루어지는 긴급 록킹 기구에 관한 것으로, 리턴 스프링 삽입부와 폴 작동부를 구비한 록킹 베이스, 상기 폴 작동부에 삽입되는 폴, 한쪽 면에 상기 록킹 베이스가 끼워맞춰지는 록킹 클러치 및 상기 록킹 클러치의 다른 쪽 면에 끼워맞춰지는 로커 암으로 이루어지는 안전 벨트용 리트랙터의 긴급 록킹 기구로서, 상기 폴은 폴 본체부와 상기 폴 본체부에서 돌출된 연동핀을 구비하고, 상기 폴 본체부는 단일 곡면으로 형성되는 구성을 마련한다.
상기와 같은 안전 벨트용 리트랙터의 긴급 록킹 기구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긴급 록킹 기구의 구성 부품을 간소화하는 것에 의해 제조 비용을 저감할 뿐만 아니라 조립을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록킹, 클러치, 암, 베이스

Description

안전 벨트용 리트랙터의 긴급 록킹 기구{Emergency locking mechanism of retractor for safety belt}
도 1은 리트랙터의 구조의 일부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록 클러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록킹 베이스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록킹 클러치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로커 암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폴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메카니즘 커버 및 연결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700 : 록킹 베이스
710 : 록킹 클러치
720 : 로커 암
730 : 폴
본 발명은 안전 벨트용 리트랙터의 록킹 클러치를 구비한 긴급 록킹 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안전 벨트용 리트랙터의 구성 요소인 록킹 베이스, 폴, 록킹 클러치 및 로커 암으로 이루어지는 긴급 록킹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시트에는 안전벨트가 설치된다. 이러한 안전벨트는 차량의 사고발생시 운전자 또는 승객을 좌석에 고정시켜 상해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 것이다.
최근에는 이와 같은 안전벨트는 리트랙터의 프리텐셔너에 의해 차량의 충돌시 벨트를 되감아 운전자나 승객을 좌석에 밀착 고정시키게 된다. 즉, 차량의 충돌이 감지되면 리트랙터에 설치된 폭발 부재가 작동하여 폭발력을 발생시키게 되고, 이 폭발 부재의 폭발력으로 볼 부재가 벨트 감김 부재를 역회전시켜 벨트가 되감기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차량의 충돌시 벨트를 순간적으로 되감아 승객 또는 운전자를 좌석에 밀착 고정시켜 운전자나 승객의 관성에 의한 이동거리를 최소화시키고, 이로 인하여 차량의 내부에서 발생할 수 있는 운전자 또는 승객의 상해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리트랙터는 본체를 구성하는 하우징, 하우징에 내장되는 가이드 드럼, 가이드 드럼의 일 측에 삽입되는 커넥터, 커넥터를 감싸는 베이스 부재, 베이스 부재에 끼워지는 기어 부재, 기어 부재를 작동시키는 실린더, 가이드 드럼에 삽입되는 토션 바, 토션 바 및 가이드 드럼 사이에 끼워져 고정되는 록킹 부재, 록킹 부재의 일측면에 설치되는 록킹 클러치, 록킹 클러치의 일면에 설치된 메커니즘 커버 등으로 구성된다.
즉 이러한 안전 벨트용 리트랙터는 일본국 공개공보 2002-178877에 개시되 어 있다. 도 1은 상기 공보에 개시된 리트랙터의 구조의 일부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트랙터는 웨빙이 권취되는 알루미늄재로 형성된 가이드 드럼(2)을 구비하고, 그 축심 방향 양단부에는 직경방향으로 장출성형(張出成形)된 플랜지(Flange)부(2a)에 스플라인(Spline) 요부(3b)를 갖는 스틸재로 되는 결합체(3)가 상대회전 불가능하게 압입 고정되어 있다.
또, 토션 바(4)가 가이드 드럼(2) 안에 삽입되어, 그 일단부에 구비된 스플라인부(4a)가 스플라인 요부(3b)에 스플라인 결합되고, 토션 바(4)와 가이드 드럼(2)이 일단부에서 서로 상대회전 불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토션 바(4)의 타단부에는 스틸재로 되는 래치트 휠(5)이 압입 고정되어 서로 상대회전 불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가이드 드럼(2) 타단부의 플랜지부(2a) 외면측에는 변형 부재(7)의 외주면과 이격하여 대향하는 내주면을 갖는 내치기어(8)가 배치되어 있다. 이 내치기어(8)는 스틸재로 형성되어 있고, 일측부에 스플라인 구멍부(8a)를 구비한 지지측벽(8b)을 구비하고, 지지측벽(8b)의 스플라인 구멍부(8a)가 래치트 휠(5)의 축부(5a)에 형성된 스플라인부에 스플라인 결합되어 있다. 즉, 토션 바(4)와 내치기어(8)는 서로 상대회전이 불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또한, 변형 부재(7) 외주면과 내치기어(8) 내주면의 기어 면과의 사이에 위치하여 한쌍의 스틸재로 되는 유성기어(13)가 조립되어 있고, 각 유성기어(13)는 내치기어(8)의 기어면에 맞물려짐과 함께, 변형부재(7) 외주면의 직경방향으로 이 격한 2개소 위치에 형성된 톱니부(7a)에 맞물리는 형상으로 결합되어 있어 토션 바(4)에 대하여 상대회전 불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차체에 고정되는 배판(背板, 15a)과 그 양측테두리에 의해 서로 대향하여 연장설치된 한쌍의 측판(15b)을 구비한 평면에서 바라본 대략 'ㄷ'자 형상의 하우징(15)에 각 유성기어(13)가 조립상태로 된 가이드 드럼(2) 및 토션 바(4) 등이 회전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안전 벨트용 리트랙터의 각각의 구조에 대해서는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2003-212085호, 2000-289571호, 일본국 특개소 5-193441, 미국특허공보 4,858,847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즉, 예를 들어 상기 공개특허공보 2003-212085호에 있어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록 클러치(lock clutch)의 구조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도 2에서 록 클러치체(12)는 록 베이스(lock bass)의 외측면측에 인접하여 상대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이 록 클러치체(12)의 외주부에는 래칫(ratchet, 12a)이 형성되어 있는 원통상의 래칫 휠(ratchet wheel)부(12b)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 록 클러치체(12)의 한 측면에는 스프링 베어링부(12c)이 돌설되며, 이 스프링 베어링부(12c)는 록 베이스 본체에 형성되는 오목 형상의 스프링 수용부 내에서 상대 이동 자유롭게 끼워지며, 리턴 스프링에 의해 록 클러치체(12)는 웨빙의 인출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는 상태로 록 베이스와 동기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록 클러치체(12)에는 폴(Pawl)에 돌설된 연동 핀이 습동 안내되는 돌 출 가이드 홈(12d), 록 암(19)의 요동 범위를 규제하는 요동 스토퍼(stopper 12e)이 마련됨과 동시에, 코일 스프링 등으로 되는 해제 부세 스프링(22)가 록 클러치체(12)와 록 암(19)의 사이에 장착된다.
다음에 이러한 록 클러치체(12)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웨빙의 인출에 의한 가이드 드럼의 회전에 따라 토션 바 및 록 베이스가 회전할 때 리턴 스프링의 탄발력에 의해 록 클러치체(12)가 동기 회전된다.
또, 웨빙의 권취시에는 록 베이스가 회전할 때, 리턴 스프링의 누름력에 의하여 록 클러치체(12)가 동기 회전된다.
이것에 대해, 웨빙의 급격한 인출 시에는 록 클러치체(12)의 동기 회전시에, 록 암(19)의 회전이 추종하지 않고, 해제 부세 스프링(22)이 가하는 힘에 대항하고 회전 방향 후방측에 관성 지연이 생기고, 록 암(19)는 계합 방향으로 요동되고, 선단 끼워맞춤부(19a)이 지름 바깥쪽으로 돌출하고 끼워맞춤 내주벽(21)의 안쪽 기어(21a)에 끼워맞춰 지고,록 클러치체(12)의 동기 회전이 저지된다.
그리고, 록 클러치체(12)가 정지하면, 록 베이스의 회전에 따라 연동 핀 은 돌출 가이드 홈(12d) 내를 슬라이딩 이동한다. 이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폴은 록 베이스 본체보다 지름 방향 바깥쪽으로 돌출 이동되고, 하우징의 측판에 치합되고, 그 뒤의 록 베이스 본체의 회전이 저지되고, 웨빙의 인출이 정지되어 긴급 로크 기구가 작동된다.
또, 웨빙의 급격한 인출이 해제되면, 스프링(22)의 힘에 의하여 록 암(19)는 초기의 해제 위치로 복귀하고, 선단 끼워맞춤부(19a)와 안쪽 기어(21a)과의 끼워 맞춤 상태가 해지된다. 또, 리턴 스프링의 힘에 의하여 록 클러치 체(12)는 록 베이스에 대하여 상대 회전되고, 이 회전에 의하여 돌출 가이드 홈(12d)내의 연동 핀은 초기 위치로 되돌아오고, 폴도 초기의 매몰 상태에 되돌아오고, 폴과 록 기어와의 치합이 해제된다. 따라서, 웨빙의 인출이나 권취가 가능한 초기 상태로 복귀한다.
그러나, 상술한 문헌 등에 개시된 기술에 있어서는 록킹 베이스, 폴, 록킹 클러치 및 로커 암의 각각의 구성이 복잡하게 되어 있으므로, 이를 형성하기 위한 금형 과정이 번잡하고, 이에 따라 그 제조 비용이 증가하게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는 각각의 구성 부품의 형상이 번잡하게 이루어져 있으므로 조립과정이 복잡하다는 문제도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록킹 베이스, 록킹 클러치 및 로커 암의 각각의 구성을 단순화하여 조립을 용이하게 실현으로 할 수 있는 안전 벨트용 리트랙터의 긴급 록킹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웨빙의 인출 및 저지가 신속하게 실행됨과 동시에 폴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안전 벨트용 리트랙터의 긴급 록킹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안전 벨트용 리트랙터의 긴급 록킹 기구는 리턴 스프링 삽입부와 폴 작동부를 구비한 록킹 베이스, 상기 폴 작동부에 삽입되는 폴, 한쪽 면에 상기 록킹 베이스가 끼워맞춰지는 록킹 클러치 및 상기 록킹 클러치의 다른 쪽 면에 끼워맞춰지는 로커 암으로 이루어지는 안전 벨트용 리트랙터의 긴급 록킹 기구로서, 상기 폴은 폴 본체부와 상기 폴 본체부에서 돌출된 연동핀을 구비하고, 상기 폴 본체부는 단일 곡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록킹 베이스에는 상기 록킹 베이스와 일체로 마련된 살 보강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안전 벨트용 리트랙터의 긴급 록킹 기구에 있어서, 상기 폴 작동부에는 상기 단일 곡면의 폴 본체부를 삽입하여 안내하는 안내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 본 발명에 따른 안전 벨트용 리트랙터의 긴급 록킹 기구에 있어서, 상기 단일 곡면으로 형성된 폴 본체부의 외경은 상기 폴 작동부에 형성된 안내 홈의 내경과 동일하거나 작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안전 벨트용 리트랙터의 긴급 록킹 기구에 있어서, 상기 로커 암의 전면 및 이면에는 각각 2개의 홈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안전 벨트용 리트랙터의 긴급 록킹 기구에 있어서, 상기 로커 암이 끼워맞춰지는 상기 록킹 클러치 부분에 프릭션 스프링 걸림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안전 벨트용 리트랙터의 긴급 록킹 기구에 있어서, 상기 프릭션 스프링 걸림부는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그 밖의 목적과 새로운 특징은 본 명세서의 기술 및 첨부 도면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록킹 베이스(700)의 사시도 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록킹 클러치(710)의 사시도 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로커 암(720)의 사시도 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폴(730)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또,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상술한 종래의 기술과 동일 부분에 관해서는 그 반복적인 설명을 생략하고, 본 발명의 특징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록킹 베이스(700)는 결합부(701)를 통해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토션 바에 결합되며, 고정부(702)가 도 4에 도시된 록킹 클러치(710)의 관통 구멍에 삽입된다.
또 록킹 베이스(700)의 일면에는 리턴 스프링 삽입부(703)가 형성되고, 그 내부에는 폴 작동부(704)가 형성된다. 이 폴 작동부(704)는 도 2에 도시된 종래의 기술과 달리 폴(730)을 삽입하여 안내하는 안내 홈과 살 보강부(705)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록킹 베이스의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을 안내하기 위한 커버가 별도로 마련되지 않고, 살 보강부(705)가 록킹 베이스(700)과 일체로 마련되므로, 토션 바의 회전과 연동하는 록킹 베이스의 비틀림 파괴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730)은 폴 본체부(731)와 상기 폴 본체부에서 돌출된 연동핀(730)을 구비하고, 이 폴 본체부(731)는 본체부에서 돌출 형성된 스토퍼를 마련한 도 2의 종래 기술과 달리 단일 곡면으로만 형성된다. 또 단일 곡면으로 형성된 폴 본체부(731)의 외경은 폴 작동부(704)에서 폴(730)을 삽입하여 안내하는 안내 홈의 내경과 거의 동일하거나 약간 작게 형성된다.
따라서, 폴 본체부(731)가 삽입되어 이동하는 공간을 마련하는 폴 작동부(704)에는 종래의 기술과 달리 스토퍼의 이동 공간이 형성되어 있지 않고, 이 공간을 록킹 베이스의 형성 부재로 채우므로, 록킹 베이스 자체의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록킹 클러치(710)에 있어서, 도 4에 도시된 형태의 하부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록킹 베이스(700)가 끼워맞춰지고, 상부에는 로커 암(720)이 끼워맞춰지며, 로커 암(720)이 끼워맞춰지는 록킹 클러치(710)의 부분에는 웨빙의 인출시 작동하지 않고 되감기 시에만 작동하는 프릭션 스프링(950)을 걸어맞추는 프릭션 스프링 걸림부(711)가 형성된다. 이 프릭션 스프링 걸림부(71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록킹 클러치(710)의 본체와 일체로 이루어진다.
도 7에 도시된 메카니즘 커버(900)는 크게 상측에 록킹 클러치(710)가 끼워지는 원형의 록킹 클러치 조립부와 그 아래쪽 일측에 형성되어 비이클 센서(930)가 조립되는 비이클 센서 조립부로 구성된다.
록킹 클러치 조립부 중앙에는 록킹 베이스(700)의 고정부(702)에 조립되는 캡(800)이 삽입된다.
이때, 돌출부(911)에는 프릭션 스프링(950)이 삽입된다. 특히, 상기 프릭션 스프링(950)이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돌출부(911)의 둘레에는 스프링 삽입홈(915)이 형성되는 것이 좋다.
또한, 메카니즘 커버(900)의 록킹 클러치 조립부에는 록킹 베이스(700)가 삽입되고, 로커 암(720)이 조립된 록킹 클러치(710)가 안착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안전 벨트용 리트랙터의 긴급 록킹 기구에 적용되는 로커 암(720)의 전면 및 이면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2개의 홈부(721)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로커 암(720)에 2개의 홈부(721) 만을 형성하는 이유는 도 2에 도시된 종래의 록 암(19)에 형성된 다수의 홈 사이에 형성된 지지부를 생략하는 것에 의해 로커 암의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로커 암(720)의 중량을 감소시키는 것에 의해 해제 부세 스프링(22)에 인가되는 힘을 감소되어 스프링(22)의 탄성력을 장시간 유지할 수 있게 한다.
다음에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안전 벨트용 리트랙터의 긴급 록킹 기구의 결합 구조 및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록킹 베이스(700)의 일 측면에 인접하고 고정부(702)를 통해 도 4에 도시된 원판형상의 록킹 클러치(71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또 록킹 베이스(700)의 내부에 형성된 폴 작동부(704)에 폴(730)이 삽입된다. 즉 폴 작동부(704)에 형성된 안내 홈으로 단일 곡면으로 이루어진 폴 본체부(731)가 삽입된다.
록킹 클러치(710)의 한 측면에는 프릭션 스프링 걸림부(711)가 돌설되고, 이 프릭션 스프링 걸림부(711)에는 웨빙의 인출시 작동하지 않고 되감기 시에만 작동하는 프릭션 스프링이 걸어맞춰진다.
또한 록킹 클러치(710)의 다른 측면에 리턴 스프링이 장착되어 리턴 스프링 삽입부(703)에 상대 이동 자유롭게 내장된다. 이 리턴 스프링에 의해 록킹 클러치(710)가 웨빙의 인출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상태로 록킹 베이스(700)와 동기 회전한다.
또한, 록킹 클러치(710)에는 폴(730)의 본체부(731)에 돌설되는 연동핀(730)이 슬라이딩 안내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있고, 리턴 스프링의 힘에 대항한 록킹 베이스(700)와 록킹 클러치(710)의 상대 회전에 의하여, 연동핀(730)이 가이드 홈에 따라 슬라이딩 안내된다.
또한, 록킹 클러치(710)에는 로커 암(721)의 요동 범위를 규제하는 요동 스토퍼가 마련됨과 동시에 해제 부세 스프링가 록킹 클러치(710)와 로커 암(721) 사이에 장착되고, 로커 암(720)를 걸어맞추거나 해제하는 방향으로 힘을 부가한다. 본 발명에서는 로커 암(720)에 2개의 홈부(721) 만이 형성되므로, 로커 암(720)의 중량이 감소되어 스프링의 탄성력을 장시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사용자가 웨빙을 인출할 때 가이드 드럼의 회전에 따라 토션 바 및 록킹 베이스(700)가 회전할 때 리턴 스프링의 탄력에 의해 록킹 클러치(710)가 동기 회전된다.
또, 웨빙의 되감기 시에는 록킹 베이스(700)가 회전할 때, 리턴 스프링의 누름력에 의하여 록킹 클러치(710)가 동기 회전된다.
따라서, 웨빙의 급격한 인출 시에는 록킹 클러치(710)의 동기 회전시에 록 킹 암(720)의 회전이 추종하지 않고, 스프링의 힘에 대항하고 회전 방향 후방 측에 관성 지연이 생기고, 록킹 클러치(710)의 동기 회전이 저지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폴 작동부(704)의 구성에 의해 록킹 베이스(700)의 강도가 보강되어 웨빙의 인출 및 되감기의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며, 메카니즘 커버에 웨빙이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안전 벨트용 리트랙터의 긴급 록킹 기구에 의하면, 긴급 록킹 기구의 구성 부품을 간소화하는 것에 의해 제조 비용을 저감할 뿐만 아니라 조립을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안전 벨트용 리트랙터의 긴급 록킹 기구에 의하면, 로커 암의 중량을 감소시켜 스프링의 탄성력을 장시간 유지하고, 토션 바의 회전과 연동하는 록킹 베이스의 비틀림 파괴를 방지할 수 있으므, 제품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도 얻어진다.

Claims (7)

  1. 리턴 스프링 삽입부와 폴 작동부를 구비한 록킹 베이스,
    상기 폴 작동부에 삽입되는 폴,
    한쪽 면에 상기 록킹 베이스가 끼워맞춰지는 록킹 클러치 및
    상기 록킹 클러치의 다른 쪽 면에 끼워맞춰지는 로커 암으로 이루어지는 안전 벨트용 리트랙터의 긴급 록킹 기구로서,
    상기 폴은 폴 본체부와 상기 폴 본체부에서 돌출된 연동핀을 구비하고,
    상기 폴 본체부는 단일 곡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록킹 베이스에는 상기 록킹 베이스와 일체로 마련된 살 보강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벨트용 리트랙터의 긴급 록킹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 작동부에는 상기 단일 곡면의 폴 본체부를 삽입하여 안내하는 안내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벨트용 리트랙터의 긴급 록킹 기구.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 곡면으로 형성된 폴 본체부의 외경은 상기 폴 작동부에 형성된 안내 홈의 내경과 동일하거나 작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벨트용 리트랙터의 긴급 록킹 기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로커 암의 전면 및 이면에는 각각 2개의 홈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벨트용 리트랙터의 긴급 록킹 기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로커 암이 끼워맞춰지는 상기 록킹 클러치 부분에 프릭션 스프링 걸림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벨트용 리트랙터의 긴급 록킹 기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릭션 스프링 걸림부는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벨트용 리트랙터의 긴급 록킹 기구.
KR1020070047786A 2007-05-16 2007-05-16 안전 벨트용 리트랙터의 긴급 록킹 기구 KR1008359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7786A KR100835940B1 (ko) 2007-05-16 2007-05-16 안전 벨트용 리트랙터의 긴급 록킹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7786A KR100835940B1 (ko) 2007-05-16 2007-05-16 안전 벨트용 리트랙터의 긴급 록킹 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5940B1 true KR100835940B1 (ko) 2008-06-09

Family

ID=39770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7786A KR100835940B1 (ko) 2007-05-16 2007-05-16 안전 벨트용 리트랙터의 긴급 록킹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594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74791A (zh) * 2016-08-04 2017-01-04 常州市赛诺安全系统科技有限公司 一种安全带卷收器及其工作方法、安全带装置和汽车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89571A (ja) * 1999-04-09 2000-10-17 Tokai Rika Co Ltd ウエビング巻取装置
JP2003212085A (ja) 2002-01-25 2003-07-30 Ashimori Ind Co Ltd シートベルト用リトラクター
JP2004042789A (ja) 2002-07-11 2004-02-12 Tokai Rika Co Ltd ウエビング巻取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89571A (ja) * 1999-04-09 2000-10-17 Tokai Rika Co Ltd ウエビング巻取装置
JP2003212085A (ja) 2002-01-25 2003-07-30 Ashimori Ind Co Ltd シートベルト用リトラクター
JP2004042789A (ja) 2002-07-11 2004-02-12 Tokai Rika Co Ltd ウエビング巻取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74791A (zh) * 2016-08-04 2017-01-04 常州市赛诺安全系统科技有限公司 一种安全带卷收器及其工作方法、安全带装置和汽车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46717B2 (en) Seat belt retractor
US7681824B2 (en) Webbing retracting device
WO2015037485A1 (ja)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及びシートベルト装置
WO2015037487A1 (ja)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及びシートベルト装置
JP2002127870A (ja) ウエビング巻取装置
US8608101B2 (en) Locking member mounting structure of seat belt retractor
CN107709103B (zh) 安全带卷取装置
WO2012165410A1 (ja) シートベルト用リトラクタ
JP2003211957A (ja) 予備組立されたウィンドウシェード部品群
JP2006282097A (ja) シートベルト用リトラクター
WO2013021787A1 (ja) シートベルトのリトラクタ装置及びシートベルト装置
EP3085586B1 (en) Webbing take-up device
WO2011055763A1 (ja) シートベルト用リトラクタ
EP2666680B1 (en) Seat belt retractor
JP3996779B2 (ja) シートベルト用リトラクター
US7240923B2 (en) Seatbelt retractor and seatbelt device
US9212024B2 (en) Webbing retractor
KR100835940B1 (ko) 안전 벨트용 리트랙터의 긴급 록킹 기구
JP5641882B2 (ja) ウェビング巻取装置
JP2677976B2 (ja) シートベルトウェブを格納するシートベルトのリトラクター
CN107444335B (zh) 安全带织带卷绕控制装置
US20040251364A1 (en) Pretensioner of a seatbelt retractor
JP2014162291A (ja) ウェビング巻取装置
JP2006159982A (ja) シートベルト用リトラクター
CN113819157B (zh) 单向离合器和安全带卷收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0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