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2602B1 - 시트 벨트용 리트렉터 - Google Patents

시트 벨트용 리트렉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2602B1
KR101152602B1 KR1020100048717A KR20100048717A KR101152602B1 KR 101152602 B1 KR101152602 B1 KR 101152602B1 KR 1020100048717 A KR1020100048717 A KR 1020100048717A KR 20100048717 A KR20100048717 A KR 20100048717A KR 101152602 B1 KR101152602 B1 KR 1011526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bbing
circumferential surface
outer circumferential
length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87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29208A (ko
Inventor
이경상
김두용
구광모
양현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셀트리온디비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셀트리온디비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셀트리온디비아이
Priority to KR10201000487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2602B1/ko
Priority to PCT/KR2011/003342 priority patent/WO2011149201A2/en
Priority to US13/699,294 priority patent/US9126565B2/en
Priority to CN201180025308.6A priority patent/CN102933434B/zh
Publication of KR201101292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92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26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26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347Belt retractors, e.g. reels with means for permanently locking the retractor during the wearing of the belt
    • B60R22/35Belt retractors, e.g. reels with means for permanently locking the retractor during the wearing of the belt the locking means being automatically actu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36Belt retractors, e.g. reels self-locking in an emergency
    • B60R22/41Belt retractors, e.g. reels self-locking in an emergency with additional means for preventing locking during unwinding under predetermined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36Belt retractors, e.g. reels self-locking in an emergency
    • B60R22/415Belt retractors, e.g. reels self-locking in an emergency with additional means allowing a permanent locking of the retractor during the wearing of the belt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시트벨트용 리트렉터는, 웨빙이 감겨있는 스풀; 상기 스풀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스풀에 감겨있는 웨빙을 수용하는 프레임; 중심부에 상기 스풀의 회전축과 동축의 구동 기어를 구비하고, 외주면을 따라 일방향 톱니가 형성되며, 상기 스풀의 일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스풀과 함께 회전하는 플라이 휠 기어; 상기 프레임이 기설정된 각도 이상 기울어지는 경우에 상기 일방향 톱니에 걸려서 상기 웨빙의 인출을 방지하는 경사센서; 상기 웨빙이 기설정된 제1 길이만큼 인출된 경우에는 상기 일방향 톱니에 걸려서 상기 웨빙의 인입을 허용하되 인출을 방지하며, 상기 웨빙이 기설정된 제1 길이만큼 인출된 이후에 다시 인입되어 기설정된 제2 길이만큼 인출된 경우에는 상기 일방향 톱니로부터 떨어져서 상기 웨빙의 인입과 인출을 모두 허용하는 레버; 및 상기 플라이 휠 기어의 구동 기어와 연동하는 종동 기어를 구비하여 상기 스풀 및 상기 플라이 휠 기어와 함께 회전하는 것으로, 상기 웨빙의 인출 길이에 따라 상기 레버를 조정하는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1 플레이트에 일체형 단차로 형성되어 상기 경사센서의 작동 여부를 결정하는 제2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통합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시트 벨트용 리트렉터 {RETRACTOR FOR SEAT BELT}
본 발명은 시트 벨트용 리트렉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 록킹 리트렉터(ALR; Automatic Locking Retractor) 기능과 블록 아웃(BO; Block Out) 기능을 함께 구현할 수 있는 시트 벨트용 리트렉터에 관한 것이다.
차량 또는 기구에 사람이 탑승하는 경우, 차량 간 또는 다른 물체와의 충돌에 의하여 상기 탑승한 사람이 상기 차량 또는 기구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의 안전장치가 마련된다.
그 중에서 대표적인 것이 시트 벨트(seat belt)로서, 상기 시트 벨트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 또는 기구에 탑승한 사람의 하복부와 흉부를 시트에 안정되게 고정한다. 그러나 차량 간 또는 다른 물체와의 충돌의 정도가 커서 시트 벨트가 제 기능을 하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여, 상기 차량 또는 기구에 탑승한 사람의 안전을 해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차량 간 또는 다른 물체와의 충돌의 정도가 큰 경우에도 시트 벨트가 제 기능을 발휘하도록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현재 각광받고 있는 기술이 리트렉터(retractor)이다.
이러한 리트렉터에 대하여, 오늘날에는 자동 록킹 리트렉터 기능을 갖거나, 블록 아웃 기능 중 어느 하나를 갖도록 설계되고 있다.
이때, 자동 록킹 리트렉터 기능이란, 예를 들어 유아용 시트를 차량 또는 기구의 시트에 장착하고 구속하는 방법과 같이, 사용자가 일정 길이만큼 웨빙을 인출하게 되면, 웨빙이 더 이상 인출되지 않고 인입만 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말한다. 또한, 블록 아웃 기능이란, 차체의 기울기를 감지하여 차체가 일정 각도 이상 기울어지면 웨빙이 더 이상 인출되지 않고 인입만 될 수 있도록 하는 경사센서가 사용자의 필요에 의해서 작동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말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자동 록킹 리트렉터 기능과 블록 아웃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구성 요소들은 서로 상이하기 때문에, 하나의 리트렉터 상에서 이들 기능 모두를 구현하는 리트렉터를 설계하는 것은 쉽지 않다.
또한, 설사 하나의 리트렉터 상에서 이들 기능 모두를 구현한다고 하더라도, 리트렉터를 제조하기 위한 공정수는 많이 증가할 것이다. 아울러, 그 부품수도 이들 기능 중 어느 하나만을 구현하는 리트렉터보다 많이 증가할 것이며, 이러한 부품수의 증가는 각 부품 사이의 간섭, 마찰, 소음 등도 아울러 수반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자동 록킹 리트렉터 기능과 블록 아웃 기능을 함께 구현할 수 있는 시트 벨트용 리트렉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웨빙이 감겨있는 스풀; 상기 스풀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스풀에 감겨있는 웨빙을 수용하는 프레임; 중심부에 상기 스풀의 회전축과 동축의 구동 기어를 구비하고, 외주면을 따라 일방향 톱니가 형성되며, 상기 스풀의 일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스풀과 함께 회전하는 플라이 휠 기어; 상기 프레임이 기설정된 각도 이상 기울어지는 경우에 상기 일방향 톱니에 걸려서 상기 웨빙의 인출을 방지하는 경사센서; 상기 웨빙이 기설정된 제1 길이만큼 인출된 경우에는 상기 일방향 톱니에 걸려서 상기 웨빙의 인입을 허용하되 인출을 방지하며, 상기 웨빙이 기설정된 제1 길이만큼 인출된 이후에 다시 인입되어 기설정된 제2 길이만큼 인출된 경우에는 상기 일방향 톱니로부터 떨어져서 상기 웨빙의 인입과 인출을 모두 허용하는 레버; 및 상기 플라이 휠 기어의 구동 기어와 연동하는 종동 기어를 구비하여 상기 스풀 및 상기 플라이 휠 기어와 함께 회전하는 것으로, 상기 웨빙의 인출 길이에 따라 상기 레버를 조정하는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1 플레이트에 일체형 단차로 형성되어 상기 경사센서의 작동 여부를 결정하는 제2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통합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시트 벨트용 리트렉터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플레이트는, 상기 웨빙이 기설정된 제1 길이만큼 인출된 이후에 다시 인입될 때 상기 레버와 접하는 제1 외주면과, 상기 웨빙이 기설정된 제2 길이만큼 인출된 이후에 다시 인입될 때 상기 레버와 접하는 제2 외주면을 구비하되, 상기 제1 외주면과 상기 제2 외주면은 서로 다른 반경을 갖는 원주면으로 형성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레버의 위치를 변경시킴으로써 상기 레버를 상기 일방향 톱니에 걸리거나 떨어지도록 조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외주면의 반경은 상기 제1 외주면의 반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레버가 상기 제1 외주면에 접하는 경우에는 상기 레버가 상기 일방향 톱니에 걸려있으나, 상기 제1 플레이트가 회전하여 상기 제2 외주면에 상기 레버가 접하는 경우에는 상기 레버가 상기 플라이 휠 기어의 외측으로 밀려져서 상기 일방향 톱니로부터 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레버가 상기 제1 외주면과 상기 제2 외주면이 연결되는 일측에 위치할 때 상기 웨빙은 기설정된 제1 길이만큼 인출되고, 상기 레버가 상기 제1 외주면과 상기 제2 외주면이 연결되는 타측에 위치할 때 상기 웨빙은 기설정된 제2 길이만큼 인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웨빙의 기설정된 제1 길이는 상기 웨빙이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완전히 인출되었을 때의 길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통합 플레이트는, 상기 웨빙이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완전히 인출되었을 때의 길이로 상기 웨빙의 기설정된 제1 길이를 설정할 때 상기 레버가 상기 제1 외주면과 상기 제2 외주면이 연결되는 일측에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플라이 휠 기어 또는 상기 플라이 휠 기어를 감싸는 케이스에 마련된 기준점에 대응하는 기준자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2 플레이트는, 상기 경사센서와 접하는 제3 외주면과 제4 외주면을 구비하되, 상기 제3 외주면은, 상기 프레임이 기설정된 각도 이상 기울어지는 경우에 상기 웨빙의 인출을 방지하도록, 상기 경사센서가 상기 일방향 톱니에 걸리는 것을 허용하고, 상기 제4 외주면은, 상기 웨빙이 기설정된 제3 길이만큼 인출되어 인입되는 경우에 상기 프레임이 기울어진 각도와 무관하게 상기 웨빙의 인출을 허용하도록, 상기 경사센서가 상기 일방향 톱니에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4 외주면은 상기 제3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웨빙이 기설정된 제3 길이만큼 인출되어 인입되는 경우에, 상기 제4 외주면에 접하는 상기 경사센서는 상기 플라이 휠 기어의 외측으로 밀려져 상기 일방향 톱니에 걸리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시트벨트용 리트렉터의 일 실시예는, 일측은 상기 플라이 휠 기어의 구동 기어와 연동하고, 타측은 상기 통합 플레이트의 종동 기어와 연동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구동 기어에 대한 상기 종동 기어의 회전비를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플라이 휠 기어의 회전속도보다 상기 통합 플레이트의 회전속도를 감속시키는 감속 기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통합 플레이트의 종동 기어는, 상기 통합 플레이트의 회전 중심을 향하여 상기 제1 외주면 내지 상기 제4 외주면의 반대측에 마련된 내측 기어로 형성되고, 상기 감속 기어의 일측보다 작은 기어수를 갖는 상기 감속 기어의 타측과 맞물려서 회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레버는, 상기 플라이 휠 기어 및 상기 통합 플레이트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몸체; 상기 몸체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접하는 제1 돌출부; 상기 제1 돌출부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몸체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웨빙이 기설정된 제1 길이만큼 인출된 경우에 상기 일방향 톱니에 걸리는 제2 돌출부; 및 상기 제2 돌출부가 상기 일방향 톱니에 걸린 이후 상기 웨빙이 인입될 때 발생되는 외력으로 인해 상기 제2 돌출부가 상기 일방향 톱니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위치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웨빙이 기설정된 제1 길이만큼 인출된 경우에는,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제1 외주면과 접하며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일방향 톱니에 걸려서, 상기 웨빙은 더 이상 인출이 불가능하게 될 수 있으며, 상기 웨빙이 기설정된 제1 길이만큼 인출된 이후에 다시 인입되어 기설정된 제2 길이만큼 인출된 경우에,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제2 외주면과 접하며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일방향 톱니로부터 떨어져서, 상기 웨빙은 다시 인출이 가능하게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 고정부는, 상기 프레임 또는 상기 플라이 휠 기어를 감싸는 케이스에 마련된 돌기에 걸리는 걸쇠로 형성되되, 상기 제2 돌출부가 상기 일방향 톱니에 걸린 이후에 상기 걸쇠가 상기 돌기에 걸림으로써, 상기 웨빙이 인입될 때 발생되는 외력으로 인해 상기 제2 돌출부가 상기 일방향 톱니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 고정부는, 일측은 상기 프레임 또는 상기 플라이 휠 기어를 감싸는 케이스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제1 돌출부 또는 상기 제2 돌출부에 연결되는 탄성 부재로 형성되되,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제2 돌출부가 상기 일방향 톱니를 향하도록 탄성력을 가함으로써, 상기 웨빙이 인입될 때 발생되는 외력으로 인해 상기 제2 돌출부가 상기 일방향 톱니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레버는, 상기 탄성 부재로 인해 상기 제1 돌출부가 상기 제1 플레이트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몸체로부터 돌출된 제3 돌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프레임 또는 상기 플라이 휠 기어를 감싸는 케이스에는, 상기 제2 돌출부가 상기 일방향 톱니를 향해 이동하거나 상기 일방향 톱니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하는 것을 안내하는 안내부가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시트 벨트용 리트렉터에 의하면, 자동 록킹 리트렉터 기능과 블록 아웃 기능을 함께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자동 록킹 리트렉터 기능과 블록 아웃 기능을 함께 구현함으로써, 제조 공정수의 감소, 부품 수의 감소, 부품 수의 감소에 따른 각 부품 사이의 소음 감소 등과 같이, 특정 기능을 통합하는 장치의 발명시 수반되는 일반적인 효과도 가져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트 벨트용 리트렉터의 일 실시예를 각 구성 요소별로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트 벨트용 리트렉터의 일 실시예를 플라이 휠 기어를 감싸는 케이스를 제외하고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트 벨트용 리트렉터의 일 실시예에서 통합 플레이트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시트 벨트용 리트렉터의 일 실시예에서 통합 플레이트를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시트 벨트용 리트렉터의 일 실시예에서 감속 기어를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시트 벨트용 리트렉터의 일 실시예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하여 스풀 및 웨빙을 도시한 일부 사시도이다.
도 7은 자동 록킹 리트렉터 기능을 구현하는 본 발명에 따른 시트 벨트용 리트렉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일부 평면도이다.
도 8은 자동 록킹 리트렉터 기능을 구현하는 본 발명에 따른 시트 벨트용 리트렉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일부 저면도이다.
도 9는 블록 아웃 기능을 구현하는 본 발명에 따른 시트 벨트용 리트렉터의 일 실시예의 일부를 도시한 일부 평면도이다.
도 10은 블록 아웃 기능을 구현하는 본 발명에 따른 시트 벨트용 리트렉터의 일 실시예의 일부를 도시한 일부 저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시트 벨트용 리트렉터의 일 실시예에서 레버와 통합 플레이트의 변형례를 도시한 일부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5 및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시트 벨트용 리트렉터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이하 설명한다.
여기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트 벨트용 리트렉터의 일 실시예를 각 구성 요소별로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트 벨트용 리트렉터의 일 실시예를 플라이 휠 기어를 감싸는 케이스를 제외하고 도시한 평면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트 벨트용 리트렉터의 일 실시예에서 통합 플레이트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시트 벨트용 리트렉터의 일 실시예에서 통합 플레이트를 도시한 저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시트 벨트용 리트렉터의 일 실시예에서 감속 기어를 도시한 저면도이다. 한편,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시트 벨트용 리트렉터의 일 실시예에서 레버와 통합 플레이트의 변형례를 도시한 일부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 및 도 1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트 벨트용 리트렉터의 일 실시예는, 스풀(100)과, 프레임(200)과, 플라이 휠 기어(300)와, 경사센서(400)와, 레버(500) 및 통합 플레이트(600)를 포함한다.
스풀(spool, 100)은 웨빙(110)이 감겨있는 원통형의 감게(winder)이다. 이때, 웨빙(110)은 리턴 스프링 조립체(120)에 의해 항상 후술할 프레임(200)에 인입되는 방향으로 스풀(100)에 감겨 있다.
프레임(frame, 200)은 내부에 웨빙(110)을 수용하는 것으로, 스풀(100)이 프레임(200)에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스풀(100)의 일단부가 결합되는 프레임(200)의 일측 외부면에는 전술한 리턴 스프링 조립체(120)가 결합될 수 있으며, 스풀(100)의 타단부가 결합되는 프레임(200)의 타측 외부면에는 후술할 플라이 휠 기어(300)를 감싸는 케이스(330)가 결합될 수 있다. 한편, 프레임(200)의 일측 외부면과 타측 외부면 사이에는 웨빙(110)이 한 방향으로만 나올 수 있도록 안내하는 안내홈이 마련될 수 있다.
플라이 휠 기어(fly wheel gear, 300)는 스풀(100)과 함께 회전 가능하도록 스풀(100)의 타단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후술할 경사센서(400), 레버(500), 통합 플레이트(600) 등과 함께 스풀(100)의 회전 여부를 결정한다. 이때, 스풀(100)의 회전 여부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웨빙(110)의 인출 또는 인입과 상관관계를 갖는다.
이러한 플라이 휠 기어(300)는 중심부에 스풀(100)의 회전축과 동축의 구동 기어(310)를 구비하고, 외주면을 따라 일방향 톱니(320)가 형성된다.
구동 기어(310)는 스풀(100)의 타단부 중앙에 돌출된 회전 중심축과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구동 기어(31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통합 플레이트(600)의 종동 기어(610)와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거나, 감속 기어(700)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동 기어(310)는 웨빙(110)의 인출 또는 인입에 따른 스풀(100)의 회전이 플라이 휠 기어(300)와 통합 플레이트(600)에도 전달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일방향 톱니(320)는 웨빙(110)이 인입되는 방향으로는 후술할 경사센서(400) 또는 레버(500)가 걸리지 않으나, 웨빙(110)이 인출되는 방향으로는 후술할 경사센서(400) 또는 레버(500)가 걸리도록 형성된다.
한편, 이와 같이 구성되는 플라이 휠 기어(300)는 케이스(330)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이는 후술할 통합 플레이트(600)와의 상호 간섭을 방지하기 위하기 위한 목적을 포함한 다양한 목적으로 마련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케이스(3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할 경사센서(400)를 수용하는 수용공간(332)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경사센서(400)가 수용공간(332)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커버하는 덮개(334)도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500), 통합 플레이트(600), 감속 기어(700) 등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는 각종 돌기들(336a, 336b, 336c)이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레버(500), 통합 플레이트(600), 감속 기어(700) 등이 케이스(33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이후에 이탈되지 않도록 커버하는 덮개(338)도 구비될 수 있다.
경사센서(vehicle sensor, 400)는 프레임(200)이 기설정된 각도 이상 기울어지는 경우에 일방향 톱니(320)에 걸려서 웨빙(110)의 인출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경사센서(400)는 전술한 바와 같은 역할을 할 수 있다면 어떠한 구조를 갖더라도 무방하다. 일 예로, 본 발명에 따른 시트 벨트용 리트렉터의 일 실시예에 포함되는 경사센서(400)는 일방향 톱니(320)를 향해 있는 누름부와, 프레임(200)이 기설정된 각도 이상 기울어지는 경우 누름부를 가압하는 구 형상의 무게 추로 구성될 수 있다.
레버(lever, 500)는 특정 길이만큼 웨빙(110)이 인출되었을 때 웨빙이 더 이상 인출될 수 없도록 하여 자동 록킹 리트렉터 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즉, 레버(500)는, 웨빙(110)이 기설정된 제1 길이(l1, 도 6 참고)만큼 인출되었을 때에는, 일방향 톱니(320)에 걸려서 웨빙(110)의 인입은 허용하되, 웨빙(110)의 인출은 방지한다. 그리고, 레버(500)는, 기설정된 제1 길이(l1, 도 6 참고)만큼 인출된 웨빙(110)이 인입되어 기설정된 제2 길이(l2, 도 6 참고)만큼 인출되었을 때에는 일방향 톱니(320)로부터 떨어져서 웨빙(110)의 인입과 인출을 모두 허용한다.
이러한 레버(500)의 작동은 스풀(100) 및 플라이 휠 기어(300)와 함께 회전하는 후술할 통합 플레이트(600)의 제1 플레이트(620)에 의해 조정된다.
이와 같이 작동하는 레버(500)는 다양한 방법으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에 따른 시트 벨트용 리트렉터의 일 실시예에서는 예시적으로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레버(500)의 일 예는, 몸체(510), 제1 돌출부(520), 제2 돌출부(530) 및 위치 고정부(540)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510)는 플라이 휠 기어(300) 및 통합 플레이트(600)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것으로, 플라이 휠 기어(300)를 감싸는 케이스(330) 또는 프레임(2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몸체(510)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 돌출부(520) 및 제2 돌출부(530)가 돌출될 수 있으며, 위치 고정부(540)가 마련될 수 있다.
제1 돌출부(520)는 몸체(510)로부터 돌출되어 제1 플레이트(620)와 접하는 것으로, 제1 플레이트(620)에 의한 조정을 받아 웨빙(110)의 인출 길이에 따라 제2 돌출부(530)가 일방향 톱니(320)에 걸리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즉, 기설정된 길이만큼 인출된 웨빙(110)이 리턴 스프링 조립체(120)에 의해 인입되면, 웨빙(110)이 감겨 있는 스풀(100)이 회전하게 되고, 스풀(100)과 연동하는 통합 플레이트(600)도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통합 플레이트(600)가 회전하면, 통합 플레이트(600)를 구성하는 제1 플레이트(620)도 회전하게 되어, 제1 돌출부(520)를 이동시킨다. 제1 돌출부(520)가 이동하게 되면, 몸체(510)는 회전하게 되고, 몸체(510)로부터 돌출된 제2 돌출부(530)가 이동하게 되어, 제2 돌출부(530)가 일방향 톱니(320)에 걸리도록 한다.
제2 돌출부(530)는 제1 돌출부(520)로부터 이격되어 몸체(510)로부터 돌출되고, 전술한 바와 같이 이동하여, 웨빙(110)이 기설정된 제1 길이(l1, 도 6 참고)만큼 인출된 경우 일방향 톱니(320)에 걸린다.
더욱 구체적으로, 웨빙(110)이 기설정된 제1 길이(l1, 도 6 참고)만큼 인출된 경우에, 제1 돌출부(520)는 제1 플레이트(620)의 제1 외주면(622)과 접하며 제2 돌출부(630)는 일방향 톱니(320)에 걸려서, 웨빙(110)은 더 이상 인출이 불가능하게 된다. 또한, 웨빙(110)이 기설정된 제1 길이(l1, 도 6 참고만큼 인출된 이후에 다시 인입되어 기설정된 제2 길이(l2, 도 6 참고만큼 인출된 경우에, 제1 돌출부(520)는 제1 플레이트(620)의 제2 외주면(624)과 접하며 제2 돌출부(530)는 일방향 톱니(320)로부터 떨어져서, 웨빙(110)은 다시 인출이 가능하게 된다.
위치 고정부(540)는 이러한 제2 돌출부(530)가 일방향 톱니(320)에 걸린 이후 웨빙(110)이 인입될 때 발생되는 외력으로 인해 제2 돌출부(530)가 일방향 톱니(320)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일방향 톱니(320)가 웨빙(110)이 인입되는 방향으로는 경사센서(400) 또는 레버(500)가 걸리지 않도록 형성된다고 하더라도, 톱니의 특성상 어느 정도 높이의 나사산을 가지므로, 웨빙(110)이 인입될 때 경사센서(400) 또는 레버(500)와의 접촉으로 충격력 또는 마찰력과 같은 외력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외력은 일방향 톱니(320)에 걸려 있는 제2 돌출부(530)가 이탈시킬 수도 있는데, 위치 고정부(540)는 제2 돌출부(530)의 이탈을 방지한다.
이러한 위치 고정부(540)를 구성하는 방법도 전술한 바와 같은 역할을 하면 어떠한 구성을 갖더라도 무방하다. 이하에서는 위치 고정부(540)를 걸쇠로 형성하는 경우와 탄성부재로 형성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 고정부(540)는 프레임(200) 또는 플라이 휠 기어(300)를 감싸는 케이스(330)에 마련된 돌기(350)에 걸리는 걸쇠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돌출부(530)가 일방향 톱니(320)에 걸린 이후에, 위치 고정부(540)가 돌기(350)에 걸림으로써, 웨빙(110)이 인입될 때 발생되는 외력으로 인한 제2 돌출부(530)가 일방향 톱니(320)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 고정부(540)는 일측이 프레임(200) 또는 플라이 휠 기어(300)를 감싸는 케이스(330)에 연결되고 타측이 제1 돌출부(520) 또는 제2 돌출부(530)에 연결되는 탄성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위치 고정부(540)는 제2 돌출부(530)가 일방향 톱니(320)를 향하도록 탄성력을 가함으로써, 웨빙(110)이 인입될 때 발생되는 외력으로 인한 제2 돌출부(530)가 일방향 톱니(320)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위치 고정부(540)가 탄성 부재로 형성되는 경우, 레버(500)는 위치 고정부(540)로 인해 제1 돌출부(520)가 제1 플레이트(62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몸체(510)로부터 돌출된 제3 돌출부(5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3 돌출부(550)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통합 플레이트(600)의 일 예가 아닌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통합 플레이트(600)의 변형례에 더욱 필요할 수 있다.
한편, 위치 고정부(540)를 걸쇠로 형성하는 경우와 탄성부재로 형성하는 경우와 무관하게, 프레임(200) 또는 플라이 휠 기어(300)를 감싸는 케이스(330)에는 제2 돌출부(530)가 일방향 톱니(320)를 향해 이동하거나 일방향 톱니(320)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하는 안내부(560)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안내부(560)를 구성하는 일 구성요소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500)의 이동 범위를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걸림턱(562)도 형성될 수 있다.
통합 플레이트(600)는 스풀(100) 및 플라이 휠 기어(300)와 함께 회전하는 것으로, 웨빙(110)의 인출 길이에 따라 레버(500) 및 경사센서(400)를 조정하는 역할을 한다. 즉, 통합 플레이트(600)는 본 발명에 따른 시트 벨트용 리트렉터의 일 실시예가 자동 록킹 리트렉터 기능과 블록 아웃 기능을 함께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 요소이다.
특히, 통합 플레이트(600)는 별도의 부품이 조립된 조립품가 아니라 후술할 각 구성 요소를 포함하는 일체품이므로, 자동 록킹 리트렉터 기능과 블록 아웃 기능을 함께 구현하는데 있어서 조립품이 갖는 마찰, 소음 등과 같은 단점이 없다.
이러한 통합 플레이트(600)는 종동 기어(610)와, 제1 플레이트(620) 및 제2 플레이트(630)를 포함할 수 있다.
종동 기어(610)는 플라이 휠 기어(300)의 구동 기어(310)와 연동하는 기어이다. 즉, 종동 기어(610)는 통합 플레이트(600)가 스풀(100)과 결합된 플라이 휠 기어(300)와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역할을 하는 종동 기어(610)는 구동 기어(310)와 연동할 수 있는 기어이면 될 뿐, 그 형상이나 구조는 제한되지 않는다. 일 예로서, 도 3 및 도 4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종동 기어(610)는 통합 플레이트(600)의 회전 중심을 향하여 후술할 제1 외주면(622) 내지 제4 외주면(634)의 반대측에 마련된 내측 기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구동 기어(310)와 종동 기어(610) 사이에는 감속 기어(700)가 마련될 수 있다. 감속 기어(700)는 구동 기어(310)에 대한 종동 기어(610)의 회전비를 감소시킴으로써, 플라이 휠 기어(300)의 회전속도보다 통합 플레이트(600)의 회전속도를 감속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역할을 하는 감속 기어(700)는 일측이 구동 기어(310)와 연동하고 타측이 종동 기어(610)와 연동되도록 배치된다. 이때, 구동 기어(310)에 대한 종동 기어(610)의 회전비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구동 기어(310)와 연동되는 일측의 기어수가 종동 기어(610)와 연동되는 타측의 기어수보다 크다.
제1 플레이트(620)는 웨빙(110)의 인출 길이에 따라 레버(500)를 조정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제1 외주면(622)과 제2 외주면(624)을 구비한다.
제1 외주면(622)은 웨빙(110)이 기설정된 제1 길이(l1, 도 6 참고)만큼 인출된 이후에 다시 인입될 때 레버(500)와 접하는 외주면이고, 제2 외주면(624)은 웨빙(110)이 기설정된 제2 길이(l2, 도 6 참고)만큼 인출된 이후에 다시 인입될 때 레버(500)와 접하는 외주면이다.
이때, 제1 외주면(622)과 제2 외주면(624)은 서로 다른 반경을 갖는 원주면으로 형성되어, 회전하면서 레버(500)의 위치를 변경시킴으로써, 레버(500)를 일방향 톱니(320)에 걸리거나 떨어지도록 조정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2 외주면(624)의 반경은 제1 외주면(622)의 반경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 레버(500)를 조정할 수 있다. 즉, 웨빙(110)이 기설정된 제1 길이(l1, 도 6 참고)만큼 인출되어 다시 인입될 때에는, 레버(500)의 제1 돌출부(520)가 제1 외주면(622)에 접하고 레버(500)의 제2 돌출부(530)가 일방향 톱니(320)에 걸려 있다. 그러나, 계속하여 인입되던 웨빙(110)이 기설정된 제2 길이(l2, 도 6 참고)만큼 인출되어 있을 때에는, 반경이 더 큰 제2 외주면(624)에 레버(500)의 제1 돌출부(520)를 밀어내면서 접하게 되어, 레버(500)의 몸체(510)가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레버(500)의 몸체(510) 회전은 레버(500)의 제2 돌출부(530)를 이동시켜, 레버(500)의 제2 돌출부(530)가 일방향 톱니(320)로부터 떨어지게 된다.
제2 플레이트(630)는 웨빙(110)의 인출 길이에 따라 경사센서(400)의 작동 여부를 결정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제1 플레이트(620)에 일체형 단차로 형성된다. 즉, 제2 플레이트(630)는 제1 플레이트(620)와 계단형의 형상을 갖는 하나의 사출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플레이트(630)는 그 넓이가 제1 플레이트(620)의 넓이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플레이트(630)는 경사센서(400)와 접하는 제3 외주면(632)과 제4 외주면(634)을 구비한다.
제3 외주면(632)은, 경사센서(400)가 작동하여 프레임(200)이 기설정된 각도 이상 기울어지는 경우에 웨빙(110)의 인출이 방지될 때, 경사센서(400)가 제2 플레이트(630)와 접하는 외주면이다. 또한, 제4 외주면(634)은, 웨빙(110)이 기설정된 제3 길이(l3, 도 6 참고)만큼 인출된 경우에 프레임(200)이 기울어지는 각도와 무관하게 웨빙(110)의 인출이 허용될 때, 즉 경사센서(400)가 작동되지 않을 때, 경사센서(400)와 접하는 외주면이다.
이때, 제4 외주면(634)은 제3 외주면(632)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웨빙(110)이 기설정된 제3 길이(l3, 도 6 참고)만큼 인출된 경우에, 경사센서(400)를 플라이 휠 기어(300)의 외측으로 밀어내어 경사센서(400)가 일방향 톱니(320)에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웨빙(110)이 기설정된 제3 길이(l3, 도 6 참고)보다 더 많이 인출되어 기설정된 제3 길이(l3, 도 6 참고)에 도달하기 전까지 인입될 때, 경사센서(400)는, 제3 외주면(632)과 접하고 있으며, 프레임(200)이 기설정된 각도 이상 기울어지는 경우에 일방향 톱니(320)에 걸릴 수 있다. 그러나, 웨빙(110)이 기설정된 제3 길이(l3, 도 6 참고)만큼 인출되어 인입될 때, 경사센서(400)는 제4 외주면(634)과 접하게 되고, 돌출된 제4 외주면(634)은 경사센서(400)를 플라이 휠 기어(300)의 외측으로 밀어내어, 경사센서(400)가 더 이상 일방향 톱니(320)에 걸리지 않도록 하여, 프레임(200)이 기울어지는 각도와 무관하게 웨빙(110)의 인입 및 인출을 자유롭게 허용한다.
한편, 통합 플레이트(600)는, 종동 기어(610)와, 제1 플레이트(620) 및 제2 플레이트(630) 이외에도, 기준자(6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준자(640)는 플라이 휠 기어(300) 또는 플라이 휠 기어(300)를 감싸는 케이스(330)에 마련된 기준점(340)에 대응하는 것으로, 웨빙(110)이 프레임(200)으로부터 완전히 인출되었을 때의 길이를 웨빙(110)의 기설정된 제1 길이(l1, 도 6 참고)로 설정할 때 제1 외주면(622)과 제2 외주면(624)이 연결되는 일측(650)에 레버(500)가 위치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기준자(640)는 통합 플레이트(600)의 일면에 화살표와 같은 도형으로 표시할 수 있거나, 제2 플레이트(630)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된 돌기일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시트 벨트용 리트렉터의 일 실시예의 작동과정을 이하 설명한다.
여기서,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시트 벨트용 리트렉터의 일 실시예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하여 스풀 및 웨빙을 도시한 일부 사시도이다. 또한, 도 7은 자동 록킹 리트렉터 기능을 구현하는 본 발명에 따른 시트 벨트용 리트렉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일부 평면도이고, 도 8은 자동 록킹 리트렉터 기능을 구현하는 본 발명에 따른 시트 벨트용 리트렉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일부 저면도이다. 또한, 도 9는 블록 아웃 기능을 구현하는 본 발명에 따른 시트 벨트용 리트렉터의 일 실시예의 일부를 도시한 일부 평면도이며, 도 10은 블록 아웃 기능을 구현하는 본 발명에 따른 시트 벨트용 리트렉터의 일 실시예의 일부를 도시한 일부 저면도이다.
먼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시트 벨트용 리트렉터의 일 실시예가 웨빙(110)이 인출된 길이에 따라 어떠한 기능을 구현하는지 설명한다.
웨빙(110)은 리턴 스프링 조립체(120)에 의하여 항상 인입되도록 스풀(100)에 감기게 되나,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웨빙(110)을 다음과 같은 기설정된 길이로 인출하게 된다.
그러나, 웨빙(110)이 기설정된 제1 길이(l1)만큼 인출된 경우에는 레버(500)의 제1 돌출부(520)는 통합 플레이트(600)의 제1 플레이트(620)의 제1 외주면(622)에 접하게 되고, 레버(500)의 제2 돌출부(530)는 플라이 휠 기어(300)의 일방향 톱니(320)에 걸리게 된다. 따라서, 웨빙(110)이 기설정된 제1 길이(l1)만큼 인출된 경우에는 웨빙(110)은 더 이상 인출되지 않으며 인입만 된다.
이러한 웨빙(110)의 인출 방지와 인입 허용은 본 발명에 따른 시트 벨트용 리트렉터의 일 실시예의 자동 록킹 리트렉터 기능을 구현하는 것으로, 웨빙(110)을 기설정된 제1 길이(l1)만큼 인출시키는 것을 자동 록킹 리트렉터 기능을 구현하는 시점이 될 수 있다.
즉, 시점을 레버(500)가 제1 외주면(622)과 제2 외주면(624)이 연결되는 제1 플레이트(620)의 일측(650)에 있을 때로 할 수 있으며, 이때, 웨빙(110)은 기설정된 제1 길이(l1)만큼 인출되어 있다.
한편, 시점은 사용자가 원하는 데로 조정할 수 있으나, 시점 설정의 편이성을 위하여 웨빙(110)이 프레임(200)으로부터 완전히 인출되었을 때로 할 수 있다. 즉, 웨빙(110)을 기설정된 제1 길이(l1)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빙(110)이 프레임(200)으로부터 완전히 인출되었을 때의 길이로 할 수 있다.
이후, 웨빙(110)이 계속 인입되다가 기설정된 제2 길이(l2)만큼 인출된 경우에는 레버(500)의 제1 돌출부(520)는 통합 플레이트(600)의 제1 플레이트(620)의 제2 외주면(624)에 접하게 되고, 레버(500)의 제2 돌출부(530)는 플라이 휠 기어(300)의 일방향 톱니(320)로부터 벗어나게 된다. 따라서, 웨빙(110)이 기설정된 제2 길이(l2)만큼 인출된 경우에는 웨빙(110)은 인출과 인입이 자유롭게 된다.
이러한 웨빙(110)의 자유로운 인출과 인입의 허용은 본 발명에 따른 시트 벨트용 리트렉터의 일 실시예의 자동 록킹 리트렉터 기능을 해제하는 것으로, 웨빙(110)을 기설정된 제2 길이(l2)만큼 인출시키는 것을 자동 록킹 리트렉터 기능을 구현하는 종점이 될 수 있다.
즉, 종점을 레버(500)가 제1 외주면(622)과 제2 외주면(624)이 연결되는 제1 플레이트(620)의 타측(660)에 있을 때로 할 수 있으며, 이때, 웨빙(110)은 기설정된 제2 길이(l2)만큼 인출되어 있다.
한편, 웨빙(110)의 기설정된 제1 길이(l1)와 제2 길이(l2)와 상관없이, 웨빙(110)이 기설정된 제3 길이(l3)만큼 인출되어 인입되는 경우, 경사센서(400)의 누름부는 통합 플레이트(600)의 제2 플레이트(620)의 제4 외주면(634)에 접하게 되고, 경사센서(400)의 누름부는 플라이 휠 기어(300)의 일방향 톱니(320)로부터 벗어나게 된다. 따라서, 웨빙(110)이 기설정된 제3 길이(l3)만큼 인출되어 인입되는 경우 프레임(200)이 기울어지는 각도와 무관하게 경사센서(400)는 작용하지 못하여 웨빙(110)은 인출과 인입이 자유롭게 된다.
이와 반대로, 만약 웨빙(110)이 기설정된 제3 길이(l3)보다 더 많이 인출된 경우에는, 경사센서(400)의 누름부는 통합 플레이트(600)의 제2 플레이트(620)의 제3 외주면(632)에 접하게 되고, 프레임(200)이 기울어지는 각도에 따라 경사센서(400)의 누름부가 플라이 휠 기어(300)의 일방향 톱니(320)에 걸리는지 여부가 결정된다.
이러한 웨빙(110)의 인출 방지와 인입 허용은 본 발명에 따른 시트 벨트용 리트렉터의 일 실시예의 블록 아웃 기능을 구현하는 것으로, 웨빙(110)을 기설정된 제3 길이(l3)만큼 인출시키는 것을 블록 아웃 기능을 구현하는 기준점이 될 수 있다.
이때, 블록 아웃 기능을 구현하는 기준점은 전술한 자동 록킹 리트렉터 기능의 시점 및 종점과 무관하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것과는 달리, 웨빙(110)의 기설정된 제3 길이(l3)는 기설정된 제2 길이(l2)보다 길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시트 벨트용 리트렉터의 일 실시예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므로, 자동 록킹 리트렉터 기능과 블록 아웃 기능을 함께 구현할 수 있다. 그러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자동 록킹 리트렉터 기능과 블록 아웃 기능을 각각 나누어 설명한다.
먼저,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시트 벨트용 리트렉터의 일 실시예가 자동 록킹 리트렉터 기능을 구현할 때의 과정을 이하 설명한다.
예를 들어 유아용 시트를 차량 또는 기구의 시트에 장착하고 구속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웨빙(110)을 기설정된 제1 길이(l1)만큼 인출시킨다. 그러면,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500)는 제1 외주면(622)과 제2 외주면(624)이 연결되는 제1 플레이트(620)의 일측(650)에 위치하게 된다.
그 후, 웨빙(110)은 리턴 스프링 조립체(120)에 의해 인입되기 시작한다. 그러나, 레버(500)의 제1 돌출부(520)는 통합 플레이트(600)의 제1 플레이트(620)의 제1 외주면(622)에 접하게 되어, 레버(500)의 제2 돌출부(530)는 플라이 휠 기어(300)의 일방향 톱니(320)에 걸리게 되는바, 웨빙(110)은 인출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웨빙(110)이 인입만 되고 인출은 되지 않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시트 벨트용 리트렉터의 일 실시예를 이용하여 자동 록킹 리트렉터 기능을 구현함으로써, 사용자는 유아용 시트를 차량 또는 기구의 시트에 장착하고 구속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도 9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시트 벨트용 리트렉터의 일 실시예가 블록 아웃 기능을 구현할 때의 과정을 설명한다.
예를 들어 경사센서를 갖는 시트 벨트용 리트렉터가 시트 백(seat back)에 설치되는 경우에 있어서, 사용자는 시트 백을 시트 좌석에 인접하게 붙였다가 필요에 따라 시트 백을 다시 시트 좌석으로부터 이격시켜야 할 때가 있다. 이때, 경사센서에 의해 웨빙이 더 이상 인출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한다면, 사용자는 시트 백을 다시 시트 좌석으로부터 이격시키는데 있어서 상당한 어려움이 따를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시트 벨트용 리트렉터의 일 실시예에 따라, 웨빙(110)이 기설정된 제3 길이(l3)만큼 인출되어 인입되는 경우, 경사센서(400)의 누름부는 통합 플레이트(600)의 제2 플레이트(620)의 제4 외주면(634)에 접하게 되고, 경사센서(400)의 누름부는 플라이 휠 기어(300)의 일방향 톱니(320)로부터 벗어나게 된다.
따라서, 웨빙(110)이 기설정된 제3 길이(l3)만큼 인출되어 인입되는 경우 프레임(200)이 기울어지는 각도와 무관하게 경사센서(400)는 작용하지 못하여 웨빙(110)은 인출과 인입이 자유롭게 되므로, 사용자가 시트 백을 시트 좌석에 인접하게 붙였다가 필요에 따라 시트 백을 다시 시트 좌석으로부터 이격시키는데 어려움이 없을 것이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스풀
110 : 웨빙 120 : 리턴 스프링 조립체
200 : 프레임
300 : 플라이 휠 기어 310 : 구동 기어
320 : 일방향 톱니 330 : 케이스
332 : 경사센서 수용공간 334 : 수용공간 덮개
336a, 336b, 336c : 돌기 338 : 케이스 덮개
340 : 기준점 350 : 돌기
400 : 경사센서
500 : 레버 510 : 몸체
520 : 제1 돌출부 530 : 제2 돌출부
540 : 위치 고정부 550 : 제3 돌출부
600 : 통합 플레이트 610 : 종동 기어
620 : 제1 플레이트
622 : 제1 외주면 624 : 제2 외주면
630 : 제2 플레이트
632 : 제3 외주면 634 : 제4 외주면
700 : 감속 기어
l1 : 웨빙의 기설정된 제1 길이
l2 : 웨빙의 기설정된 제2 길이
l3 : 웨빙의 기설정된 제3 길이

Claims (16)

  1. 웨빙이 감겨있는 스풀;
    상기 스풀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스풀에 감겨있는 웨빙을 수용하는 프레임;
    중심부에 상기 스풀의 회전축과 동축의 구동 기어를 구비하고, 외주면을 따라 일방향 톱니가 형성되며, 상기 스풀의 일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스풀과 함께 회전하는 플라이 휠 기어;
    상기 프레임이 기설정된 각도 이상 기울어지는 경우에 상기 일방향 톱니에 걸려서 상기 웨빙의 인출을 방지하는 경사센서;
    상기 웨빙이 기설정된 제1 길이만큼 인출된 경우에는 상기 일방향 톱니에 걸려서 상기 웨빙의 인입을 허용하되 인출을 방지하며, 상기 웨빙이 기설정된 제1 길이만큼 인출된 이후에 다시 인입되어 기설정된 제2 길이만큼 인출된 경우에는 상기 일방향 톱니로부터 떨어져서 상기 웨빙의 인입과 인출을 모두 허용하는 레버; 및
    상기 플라이 휠 기어의 구동 기어와 연동하는 종동 기어를 구비하여 상기 스풀 및 상기 플라이 휠 기어와 함께 회전하는 것으로, 상기 웨빙의 인출 길이에 따라 상기 레버를 조정하는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1 플레이트에 일체형 단차로 형성되어 상기 경사센서의 작동 여부를 결정하는 제2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통합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용 리트렉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레이트는,
    상기 웨빙이 기설정된 제1 길이만큼 인출된 이후에 다시 인입될 때 상기 레버와 접하는 제1 외주면과, 상기 웨빙이 기설정된 제2 길이만큼 인출된 이후에 다시 인입될 때 상기 레버와 접하는 제2 외주면을 구비하되,
    상기 제1 외주면과 상기 제2 외주면은 서로 다른 반경을 갖는 원주면으로 형성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레버의 위치를 변경시킴으로써 상기 레버를 상기 일방향 톱니에 걸리거나 떨어지도록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용 리트렉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외주면의 반경은 상기 제1 외주면의 반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레버가 상기 제1 외주면에 접하는 경우에는 상기 레버가 상기 일방향 톱니에 걸려있으나,
    상기 제1 플레이트가 회전하여 상기 제2 외주면에 상기 레버가 접하는 경우에는 상기 레버가 상기 플라이 휠 기어의 외측으로 밀려져서 상기 일방향 톱니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용 리트렉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가 상기 제1 외주면과 상기 제2 외주면이 연결되는 일측에 위치할 때 상기 웨빙은 기설정된 제1 길이만큼 인출되고,
    상기 레버가 상기 제1 외주면과 상기 제2 외주면이 연결되는 타측에 위치할 때 상기 웨빙은 기설정된 제2 길이만큼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용 리트렉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웨빙의 기설정된 제1 길이는 상기 웨빙이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완전히 인출되었을 때의 길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용 리트렉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플레이트는,
    상기 웨빙이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완전히 인출되었을 때의 길이로 상기 웨빙의 기설정된 제1 길이를 설정할 때 상기 레버가 상기 제1 외주면과 상기 제2 외주면이 연결되는 일측에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플라이 휠 기어 또는 상기 플라이 휠 기어를 감싸는 케이스에 마련된 기준점에 대응하는 기준자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용 리트렉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플레이트는,
    상기 경사센서와 접하는 제3 외주면과 제4 외주면을 구비하되,
    상기 제3 외주면은, 상기 프레임이 기설정된 각도 이상 기울어지는 경우에 상기 웨빙의 인출을 방지하도록, 상기 경사센서가 상기 일방향 톱니에 걸리는 것을 허용하고,
    상기 제4 외주면은, 상기 웨빙이 기설정된 제3 길이만큼 인출되어 인입되는 경우에 상기 프레임이 기울어진 각도와 무관하게 상기 웨빙의 인출을 허용하도록, 상기 경사센서가 상기 일방향 톱니에 걸리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용 리트렉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4 외주면은 상기 제3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웨빙이 기설정된 제3 길이만큼 인출되어 인입되는 경우에, 상기 제4 외주면에 접하는 상기 경사센서는 상기 플라이 휠 기어의 외측으로 밀려져 상기 일방향 톱니에 걸리는 것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용 리트렉터.
  9. 제7항에 있어서,
    일측은 상기 플라이 휠 기어의 구동 기어와 연동하고, 타측은 상기 통합 플레이트의 종동 기어와 연동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구동 기어에 대한 상기 종동 기어의 회전비를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플라이 휠 기어의 회전속도보다 상기 통합 플레이트의 회전속도를 감속시키는 감속 기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용 리트렉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플레이트의 종동 기어는,
    상기 통합 플레이트의 회전 중심을 향하여 상기 제1 외주면 내지 상기 제4 외주면의 반대측에 마련된 내측 기어로 형성되고,
    상기 감속 기어의 일측보다 작은 기어수를 갖는 상기 감속 기어의 타측과 맞물려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용 리트렉터.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상기 플라이 휠 기어 및 상기 통합 플레이트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몸체;
    상기 몸체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접하는 제1 돌출부;
    상기 제1 돌출부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몸체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웨빙이 기설정된 제1 길이만큼 인출된 경우에 상기 일방향 톱니에 걸리는 제2 돌출부; 및
    상기 제2 돌출부가 상기 일방향 톱니에 걸린 이후 상기 웨빙이 인입될 때 발생되는 외력으로 인해 상기 제2 돌출부가 상기 일방향 톱니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위치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용 리트렉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웨빙이 기설정된 제1 길이만큼 인출된 경우에,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제1 외주면과 접하며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일방향 톱니에 걸려서, 상기 웨빙은 더 이상 인출이 불가능하게 되며,
    상기 웨빙이 기설정된 제1 길이만큼 인출된 이후에 다시 인입되어 기설정된 제2 길이만큼 인출된 경우에,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제2 외주면과 접하며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일방향 톱니로부터 떨어져서, 상기 웨빙은 다시 인출이 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용 리트렉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고정부는, 상기 프레임 또는 상기 플라이 휠 기어를 감싸는 케이스에 마련된 돌기에 걸리는 걸쇠로 형성되되,
    상기 제2 돌출부가 상기 일방향 톱니에 걸린 이후에 상기 걸쇠가 상기 돌기에 걸림으로써, 상기 웨빙이 인입될 때 발생되는 외력으로 인해 상기 제2 돌출부가 상기 일방향 톱니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용 리트렉터.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고정부는, 일측은 상기 프레임 또는 상기 플라이 휠 기어를 감싸는 케이스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제1 돌출부 또는 상기 제2 돌출부에 연결되는 탄성 부재로 형성되되,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제2 돌출부가 상기 일방향 톱니를 향하도록 탄성력을 가함으로써, 상기 웨빙이 인입될 때 발생되는 외력으로 인해 상기 제2 돌출부가 상기 일방향 톱니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용 리트렉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상기 탄성 부재로 인해 상기 제1 돌출부가 상기 제1 플레이트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몸체로부터 돌출된 제3 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용 리트렉터.
  16.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또는 상기 플라이 휠 기어를 감싸는 케이스에는, 상기 제2 돌출부가 상기 일방향 톱니를 향해 이동하거나 상기 일방향 톱니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하는 것을 안내하는 안내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용 리트렉터.
KR1020100048717A 2010-05-25 2010-05-25 시트 벨트용 리트렉터 KR1011526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8717A KR101152602B1 (ko) 2010-05-25 2010-05-25 시트 벨트용 리트렉터
PCT/KR2011/003342 WO2011149201A2 (en) 2010-05-25 2011-05-04 Retractor for seat belt
US13/699,294 US9126565B2 (en) 2010-05-25 2011-05-04 Retractor for seat belt
CN201180025308.6A CN102933434B (zh) 2010-05-25 2011-05-04 用于座椅安全带的收进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8717A KR101152602B1 (ko) 2010-05-25 2010-05-25 시트 벨트용 리트렉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9208A KR20110129208A (ko) 2011-12-01
KR101152602B1 true KR101152602B1 (ko) 2012-06-04

Family

ID=45004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8717A KR101152602B1 (ko) 2010-05-25 2010-05-25 시트 벨트용 리트렉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126565B2 (ko)
KR (1) KR101152602B1 (ko)
CN (1) CN102933434B (ko)
WO (1) WO2011149201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42508A1 (ko) * 2013-03-12 2014-09-18 주식회사 우신세이프티시스템 유아 시트 장착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6202383B4 (de) * 2016-02-17 2018-05-24 Autoliv Development Ab Selbstsperrender Gurtaufroller
CN106740654A (zh) * 2016-12-24 2017-05-31 江阴市达安汽车零部件有限公司 卷收器及其带有该卷收器的安全带
CN106696886A (zh) * 2016-12-24 2017-05-24 江阴市达安汽车零部件有限公司 卷收器及其带有该卷收器的汽车安全带
US10377340B2 (en) 2017-03-16 2019-08-1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Restraint system
KR102225406B1 (ko) * 2019-08-27 2021-03-09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차량 센서를 갖는 시트벨트 리트랙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8839B1 (ko) 1992-09-07 2000-05-01 나카하라 도시미쓰 시트벨트용 리트랙터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38138A (en) * 1996-06-06 1999-08-17 Kabushiki Kaisha Tokai-Rika-Denki-Seisakusho Webbing retractor
JPH11291865A (ja) * 1998-04-10 1999-10-26 Nippon Seiko Kk シートベルト用リトラクター
KR100259716B1 (ko) * 1998-04-30 2000-08-01 정몽훈 시트벨트용 텐션 리듀서
JP4667600B2 (ja) * 1998-10-28 2011-04-13 タカタ シート ベルツ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リクライニング可能なシートバック用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
DE19957814C2 (de) * 1999-12-01 2003-07-31 Trw Automotive Electron & Comp Gurtaufrollersystem
KR20050007077A (ko) * 2003-07-11 2005-01-1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시트벨트 리트렉터의 구조
US7090304B2 (en) 2004-07-16 2006-08-15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Retractor having vehicle sensitive sensor disabling mechanis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8839B1 (ko) 1992-09-07 2000-05-01 나카하라 도시미쓰 시트벨트용 리트랙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42508A1 (ko) * 2013-03-12 2014-09-18 주식회사 우신세이프티시스템 유아 시트 장착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
KR101477615B1 (ko) * 2013-03-12 2014-12-31 주식회사 우신세이프티시스템 유아 시트 장착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933434A (zh) 2013-02-13
CN102933434B (zh) 2015-02-25
US9126565B2 (en) 2015-09-08
KR20110129208A (ko) 2011-12-01
WO2011149201A2 (en) 2011-12-01
WO2011149201A3 (en) 2012-04-19
US20130146698A1 (en) 2013-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2602B1 (ko) 시트 벨트용 리트렉터
JP4885764B2 (ja) ウエビング巻取装置
JP5778025B2 (ja) ウェビング巻取装置
KR100835936B1 (ko) 안전벨트 리트랙터의 록킹 부재 결합 구조
EP2390148B1 (en) Webbing retractor
JP4685674B2 (ja) ウエビング巻取装置
KR20070114029A (ko) 시트벨트의 웨빙로킹방지장치
JP6176719B2 (ja)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及びこれを備えるシートベルト装置
WO2020078171A1 (zh) 用于安全带卷收器的锁止装置以及安全带卷收器
JP5714617B2 (ja) ウェビング巻取装置。
US8662538B2 (en) Belt retractor for a vehicle safety belt
JP5319565B2 (ja) ウエビング巻取装置
JPH08133011A (ja) ウエビング巻取装置
KR101361339B1 (ko) 차량 시트벨트 록킹장치
JP6542298B2 (ja) ウェビング巻取装置
KR102551632B1 (ko) 차량 센서 장치
JP5319566B2 (ja) ウエビング巻取装置
KR101176785B1 (ko)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 및 이에 이용되는 클러치
WO2019082561A1 (ja) ウェビング巻取装置
KR20190140164A (ko) 안전 벨트 보조 장치
KR101128406B1 (ko)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 및 이에 이용되는 클러치
JP5215968B2 (ja) ウェビング巻取装置
JP5180005B2 (ja) ウエビング巻取装置
WO2020241141A1 (ja) ウェビング支持装置
WO2018142873A1 (ja) 回動部材支持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