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8839B1 - 시트벨트용 리트랙터 - Google Patents

시트벨트용 리트랙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8839B1
KR100248839B1 KR1019940701254A KR19940701254A KR100248839B1 KR 100248839 B1 KR100248839 B1 KR 100248839B1 KR 1019940701254 A KR1019940701254 A KR 1019940701254A KR 19940701254 A KR19940701254 A KR 19940701254A KR 100248839 B1 KR100248839 B1 KR 1002488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bbing
clamp
retractor
ratchet wheel
tee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7012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데카즈 나카야
도시히로 아마쓰
Original Assignee
나카하라 도시미쓰
아시모리고교가부시키가시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카하라 도시미쓰, 아시모리고교가부시키가시야 filed Critical 나카하라 도시미쓰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88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88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36Belt retractors, e.g. reels self-locking in an emergency
    • B60R22/42Belt retractors, e.g. reels self-locking in an emergency having means for acting directly upon the belt, e.g. by clamping or fri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36Belt retractors, e.g. reels self-locking in an emergency
    • B60R22/405Belt retractors, e.g. reels self-locking in an emergency responsive to belt movement and vehicle mov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긴급시에, 웨빙의 인출을 록크하는 긴급 록크기구를 구비한 시트벨트 리트랙터의 록크수단에 관한 것이다.
이 리트랙터의 록크수단은, 래치트휠(16)과, 멈춤쇠(32)로 이루어지며, 멈춤쇠는 2개의 톱니로 되어 있으며, 멈춤쇠와 래치트휠은, 웨빙에 가해지는 가중이 비교적 작을 때에는 2개의 톱니로된 멈춤쇠의 한편 톱니만이 래치트휠의 톱니와 맞물리며, 멈춤쇠의 다른 톱니와 여기에 대응하는 래치트휠의 톱니와의 사이에 간극이 존재하도록 위치하고, 웨빙에 가해지는 하중이 클 때에는, 멈춤쇠의 양쪽톱니와 래치트휠의 톱니가 맞물리도록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1톱니마다에 걸리는 하중은, 1톱니의 멈춤쇠가 걸어맞춤하는 경우에 비하여 반으로 되기 때문에, 2배의 토오크에 견디고, 또한, 래치트휠의 외경을 작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시트벨트용 리트랙터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발명은, 차량 등의 좌석에 장착되는 시트벨트의 리트랙터(retractor)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차량 충돌시 등에 있어서의 급격한 가속도의 변화를 민감하게 감지하여서 웨빙의 감김축회전을 로크하여 웨빙이 풀려 나오는 것을 로크하는 긴급 로크기구를 갖춘 시트벨트의 리트랙터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차량 등의 좌석에 장착되는 시트벨트 장치는, 일반적으로 웨빙이, 긴급 로크기구가 부착된 리트랙터에 감기게 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시트벨트 장치는, 차량 등이 충돌 혹은 급정차한 경우, 그때의 충격력에 의한 가속도 변화를 긴급 로크기구가 감지하여 작동하여서, 웨빙이 감겨있는 감김축의 회전을 정지시키므로서 웨빙이 풀려 나오는 것이 정지되어, 승차자의 몸을 고정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종류의 리트랙터에 관한 공보의 예로서는, 일본국 실용신안 5-32176호, 미국특허 5137226호, 미국특허 5154368호 및, 미국특허 5156356호등 기타 다수의 공보를 볼 수 있다.
시트벨트의 리트랙터는,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그 강도조건이 정하여져 있다. 그 강도조건을 클리어하기 위해서는, 종래의 1개의 톱니를 가지는 멈춤쇠를 사용하는 전술한 바와 같은 기구에 의해서는, 래치트휠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가 없고, 따라서 리트랙터의 소형화를 도모하는 것도 당연히 곤란하였다.
그런데, 근년에, 승용차의 뒷좌석에도 긴급 로크기구를 갖춘 리트랙터 부착 3점식 시트벨트가 많이 사용되도록 되고 있으며, 리트랙터를 장착하는 스페이스의 관점에서 보아도, 리트랙터를 소형화 하는 것에 대한 요구가 강하여지고 있다.
본 발명의 제1의 목적은, 리트랙터를 소형으로 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또, 긴급 로크기구를 갖춘 리트랙터에 있어서, 긴급시에 웨빙 감김축을 로크함과 동시에, 그 웨빙 감김축으로 부터 풀려 나온 웨빙까지도 집어서 그 웨빙이 풀려나오는 것을 저지하는, 이른바 다이렉트 로그식 리트랙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트벨트의 긴급 로크식 리트랙터는, 긴급시에 웨빙 감김축을 로크하므로서 웨빙이 풀려 나오는 것을 저지하여, 그에 의하여 시트벨트 착용자의 신체를 파지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류의 리트랙터에 있어서는, 웨빙 감김축의 회전을 로크하여도, 웨빙에 큰 하중이 가하여졌을 때 웨빙 감김축에 감긴 웨빙자체가 단단히 감겨져, 약간 량의 웨빙이 더 풀려나온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점을 해결하기 위해, 웨빙 감김축으로부터 풀려나온 웨빙 부분에 집게 수단을 설치하여, 상기 웨빙 감김축의 로크수단과 연동해서 집게수단으로 웨빙을 집어, 웨빙 감김축으로부터 웨빙이 풀려나오는 것을 저지하도록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2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리트랙터와 동일한 작동하에서, 작동간의 회전각도를 크게 하지 않고 제1의 클램프 부재의 이동거리를 크게하여, 급속하게 웨빙을 집도록 한 리트랙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시트벨트의 리트랙터에 관해서 이하에 설명한다.
제1의 목적을 위해서는, 아래와 같은 리트랙터가 제공된다.
차체에 장착되는 시트벨트로서, 프레임과, 이 프레임에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된 웨빙 감김축과, 이 웨빙 감김축에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된 로크플레이트와, 차체에 가하여지는 가속도, 차체의 이상 경사 및/또는 웨빙 감김축의 웨빙 인출방향으로의 급속한 회전을 검지하여, 상기 로크플레이트와 웨빙 감김축을 연결하는 기능을 가지는 관성 검지수단과, 로크플레이트와 웨빙 감김축이 연결되어서 웨빙 감김축의 회전에 따르는 로크플레이트의 회전에 의해서 웨빙 감김축의 회전을 로크하는 로크수단과, 상기 로크수단이 웨빙 감김축과 일체로 회전하는 래치트휠과, 프레임에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된 래치트휠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힘이 가하여져 있어, 상기 로크플레이트에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 구멍에 안내되어서 래치트휠에 서로 맞물리는 멈춤쇠로서 이루어지는 시트벨트의 리트랙터로서, 상기 멈춤쇠가 2개의 톱니로서 이루어지고, 그 멈춘쇠와 래치트휠은, 웨빙에 가하여지는 하중이 비교적 작을때에는 상기 2개의 톱니의 멈춤쇠의 한쪽톱니만이 래치트휠의 톱니와 맞물리고, 멈춤쇠의 다른 한편의 톱니와 톱니에 대응하는 래치트휠의 톱니외의 사이에 약간의 간극이 존재하도록 위치하며, 웨빙에 가하여지는 하중이 비교적 큰 때에는, 멈춤쇠의 양쪽의 톱니와 래치트휠의 톱니가 맞물리도록 위치하게 되어 있는 시트벨트의 리트랙터.
제2의 목적을 위하여는, 아래와 같은 리트랙터가 제공된다.
상기 웨빙 감김축으로부터 풀려 나온 웨빙을 집도록 설치된 클램프 장치와, 상기 로크플레이트의 회전운동과 연동해서 클램프장치를 작동시키는 클램프 작동아암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클램프장치가, 웨빙을 끼고 서로 대향하여 배치된 제1 및 제2의 클램프 부재와, 제1의 클램프 부재를 제2의 클램프 부재에 분리, 접근 가능하게 또한 양 클램프 부재를 웨빙의 길이방향으로 동시 이동 가능하게 유지하는 미끄럼 운동틀 및 클램프 케이스로서 이루어지며, 상기 클램프 작동아암이 상기 프레임에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축지지되어서 그 선단부가 제1의 클램프부재의 오목홈에 끼워 맞추어지고, 상기 로크플래이트의 회전운동에 연동되어서 클램프 작동아암이 웨빙이 풀려나오는 방향으로 회전운동하여서 상기 제1의 클램프부재를 제2의 클램프부재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누르도록 한 시트벨트의 리트랙터에 있어서, 그 클램프 작동아암의 선단부 단면이, 이 선단부의 두께이상의 지름을 가지며 또한 그 중심이 클램프 작동아암의 중심선 보다도 웨빙 감김축에 가까운 위치에 있는 원의 일부를 이루는 원호면을 형성하고 있는 시트벨트의 리트랙터.
제1의 목적을 위한 리트랙터에서의 멈춤쇠의 톱니에 관해서는, 멈춤쇠의 톱니 간격과 래치트휠의 톱니 간격을 미소량 만큼 다르게 하고 있다.
또한, 가이드 구멍의 형성에 대해서는, 가이드 구멍이 멈춤쇠에 세워서 설치한 지지핀과 맞물리고, 멈춤쇠의 2개의 톱니가 래치트 휠의 톱니 앞의 원위치까지 급속히 접근한 후에, 멈춤쇠의 운동이 감속되어서 래치트휠에 맞물리도록 만곡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멈춤쇠와 래치트휠이 맞물리는 위치에서의 가이드구멍부의 형상은 큰 구멍부로 되어 있다.
이 리트랙터의 특징에 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도에서 11은 프레임이다.
프레임(11)은, 차체에 부착하기 위한 배판(背板) (12)의 양측 가장자리부로부터, 서로 대향하도록 측판(13a, 13b)을 접어서 형성하고 있다.
프레임(11)의 양측판(13a, 13b)의 중앙부에는, 웨빙(14)를 감아들이는 감김축(15)이 회전이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감김축(15)은, 웨빙(14)을 바깥 둘레에 감는 방향으로 회전력이 가해저 있다.
16은 래치트 휠이며, 이 래치트휠은, 측판(13a)외측으로 나와 있는 감김축(15)의 기단부에 고착되고, 감김축(15)과 일체로 회전한다.
측판(13a) 외측으로 나와 있는 감김축(15)의 끝부에는, 감김축(15)과 동축적으로 회전가능한 로크 플레이트(17)가 축지지되어 있다. 로크플레이트(17)의 내부 둘레에는, 내부 톱니 래치트(18)가 형성되어 있다.
로크플레이트(17)의 바깥 둘레 가장자리에는, 가이드판(19)이 나와서 형성되고 있다. 가이드판(19)에는, 멈춤쇠(32)를 가이드하는 가이드구멍(20)이 형성되어 있다.
이 가이드 구멍(20)의 형상은, 르크플레이트(17)의 회전에 따라서, 멈춤쇠(32)가 래치트휠(16)에 대해서, 초기에는 급속하게 접근하고, 이어서 감속되어 래치트휠과 맞물릴 수 있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즉, 감김축(15)의 위치와 멈춤쇠 회전 지지축(33)의 위치 기타에 대응하여, 감김축에 대해서 떨어지는 방향으로 만곡되고 있는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또, 가이드 구멍(20)은, 감김축에 가까운 부위에서는 홈의 폭을 넓게 형성하여, 큰 구멍부(20a)로 하고 있다.
21은, 감김축(15)과 일체로 회전하도록, 감김축(15) 끝부에 축 지지된 플레이트이다. 플레이트(21)에는 핀(22)이 세워서 설치되어 있다.
23은, 상기 핀(22)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로크부재이다. 로크부재(23)는, 플레이트(21)와 로크부재(23)와의 사이에 개재시킨 스프링(24)에 의해서, 로크부재(23)의 맞물림 멈춤부재(25)가 내부 톱니 래치트(18)와 맞물리지 않는 방향으로 힘이 가하여지고 있다.
26은, 로크플레이트(17) 외측에 감김축(15)과 동축적으로 회전가능하게 축지지된 래치기어이다.
27은, 프레임(11)의 측판(13a)에 장착된 검지기구이다. 이 검지기구(27)는, 차체에 가하여지는 가속도 혹은 차체의 이상 경사등을 검지하여 경사하는 진자(28)와, 이 진자(28)의 경사에 따라서 기립하는 멈춤부재(29)를 갖추고 있다. 그리고, 이 멈춤부재(29)는, 세위졌을 때에 래치기어(26)와 맞물린다.
래치기어(26)의 로크플레이트(17)측에는, 관성 웨이트(30)를 감김축(15)과 동축적으로 회전운동 가능하게 장착하고 있으며, 관성웨이트(30)와 래치기어(26)는 회전운동 가능하게 마찰 결합되고 있다.
관성웨이트(30)에는, 로크플레이트(17)측으로 돌기(31)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돌기(31)는, 멈춤부재(29)와 래치기어(26)와의 맞물림에 의해서 관성웨이트(30)의 회전이 멈추어지면, 로크부재(23)의 맞물림 멈춤부재(25)를 내부 톱니 래치트(18)와 맞물리게 하도록 작용한다.
32는 멈춤쇠이며, 그 기단부가 프레임(11)이 측판(13a)에 멈춤쇠 회전지지축(33)에 의해서 회전운동이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다.
멈춤쇠(32)의 선단부에는, 2개의 톱니가 형성되어 있다. 이 2개의 톱니의 간격은, 래치트휠(16)의 톱니 간격과 미소량 다르게 하여도 좋다. 멈춤쇠(32)의 톱니 간격과 래치트휠(16)의 톱니 간격을 미소량 다르게 하면, 저하중의 경우는 한편 톱니만이 래치트휠(16)과 맞물리며, 고하중의 경우는 탄성 변형에 의하여 2개의 톱니가 공히 래치트휠(16)과 맞물려서 하중을 지지하게 되어, 멈춤쇠(32)의 톱니 간격과 래치트휠(16)의 톱니 간격이 등간격인 경우에 비하여, 멈춤쇠(32)와 래치트휠(16)의 맞물림이, 1개의 톱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원활하게 떨어진다.
또, 멈춤쇠(32)는, 래치트휠(16)과 맞물리지 않는 방향으로 스프링에 의해서 힘이 가하여지고 있다.
또한 멈춤쇠(32)에 세워서 설치된 지지핀(34)은, 로크 플레이트(17)에 설치한 가이드판(19)의 가이드구멍(20)에 삽입되어 있다. 그리고, 로크플레이트(17)의 회전에 의해서 멈춤쇠(32)의 톱니 부분이 가이드구멍(20)에 안내되어서, 멈춤쇠(32)가 래치트휠(16)과 맞물리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긴급 로크기구 작동시에는, 감김축(15)과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로크플레이트(17)에 의하여, 가이드구멍(20)내를 안내되어서 멈춤쇠(32)가 래치트휠(16)과 맞물리는 방향으로 회전운동하고, 멈춤쇠(32)는 래치트휠(16)의 톱니 앞부분을 잇는 선에 의해서 상정되는 원의 위치에까지 급속하게 접근하였을때, 가이드 구멍(20)의 큰 구멍부(20a)에서 멈춤쇠(32)의 운동이 감속되어 래치트휠(16)에 맞물린다.
이와 같이 하여, 검지기구(27)에 의해서 차체에 가하여지는 가속도 혹은 차체의 이상 경사 등이 검지되면, 관성 작동력에 의해서 로크 플레이트(17)는 감김축(15)과 연결되게 된다.
멈춤쇠(32)와 래치트휠(16)이 맞물릴때, 멈춤쇠(32)는 2개의 톱니로 구성하였으므로, 각각의 톱니에 걸리는 하중은 분산되어, 톱니 1개당에 걸리는 하중은, 톱니가 1개인 멈춤쇠가 맞물리는 경우에 비하여 절반이 된다. 따라서, 톱니가 1개인 멈춤쇠의 경우에 비하여, 2배의 토오크에 견딜 수 있는 강도를 가지게 된다.
그리고, 톱니의 수량을 변경하지 않고 래치트휠(16)의 외경을 작게한 경우, 리트랙터의 로크 성능을 저하시키지 않고, 약 70% 소형화를 도모할 수가 있다.
또한, 래치트휠(16)의 소형화를 다소 삼가하여, 토오크 강도를 톱니가 1개인 멈춤쇠의 경우와 같이하면, 래치트휠(16)의 톱니 수자가 증가하게 되어, 리트랙터의 로크성능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충돌시의 큰 가속도 또는 감속도가 작용하면, 검지기구(27)가 이것을 검지하여, 진자(28)가 경사해서 멈춤부재(29)가 기립하여, 래치기어(26)와 맞물린다.
그리고, 래치기어(26)와 톱니에 마찰결합하고 있는 관성 웨이트(30)에 일체적으로 설치된 돌기(31)의 회전이 멈추어 진다. 이때, 감김축(15)과 감김축(15)의 끝부분에 고착된 플레이트(21)는 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자 하므로, 플레이트(21)에 세워서 설치된 핀(22)에 요동이 가능하게 지지된 로크부재(23)도 회전하고자 하나, 돌기(31)가 정지하고 있으므로 돌기(31)를 따라서 움직여져, 로크부재(23)의 맞물림 멈춤부재(25)가 내부 톱니 래치트(18)와 맞물린다.
이와 같이 하여, 관성작동기구가 작동해서 감김축(15)과 로크플레이트(17)가 연결된다.
로크부재(23)와 내부 톱니 래치트(18)가 맞물리면, 로크 플레이트(17)가 감김축(15)과 일체가 되어서 회전하므로, 지지핀(34)이 가이드구멍(20) 측면을 미끄럼 운동하고, 멈춤쇠(32)가 제3도에서의 시계방향으로 회전운동하여, 멈춤쇠(32)와 래치트휠이 맞물린다.
이와 같이 하여, 감김축(15)의 웨빙(14)이 풀려 나오는 방향의 회전이 저지된다.
또, 멈춤쇠(32)와 래치트휠(16)이 맞물릴때, 멈춤쇠(32)는 가이드 구멍(20) 측면으로 안내되어서 래치트휠(16)과 맞물리는 방향으로 회전 운동하여, 래치트휠(16)의 톱니 선단을 잇는 선에 의해서 상정 형성되는 원의 위치까지 급속히 접근하였을때, 가이드구멍(20)의 큰 구멍부(20a)에서 멈춤쇠(32)의 운동은 감속되어 래치트휠(16)과 맞물린다.
따라서, 멈춤쇠(32)는, 타이밍이 맞게 확실히 래치트휠(16)과 맞물린다.
또, 맞물린 상태에서, 가이드구멍(20)에서 큰 구멍부(20a) 형상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여유가 있게 되어, 무리한 힘이 가이드구멍(20)등에 걸리는 일이 없다.
상술한 바와같이 멈춤쇠를 2개의 톱니로 구성하므로서, 래치트휠의 외경을 작게할 수가 있어, 리트랙터를 소형화할 수가 있다.
또, 리트랙터를 소형으로 하여, 래치트휠의 톱니 수량을 종래 예보다도 증가시킬 수가 있어, 긴급 로크기구 작동시에, 감김축이 로크될때까지의 감김축 회전각도를 작게 할 수가 있고, 로크 성능을 향상시킬 수가 있으며, 또한, 멈춤쇠와 래치트 휠의 맞물림을 타이밍 맞게 신속 확실하게 행할 수가 있어, 무리한 힘이 걸리지 않는다.
다음에, 상기 제2의 목적을 위한 리트랙터에 관해서 설명한다.
이 리트랙터는, 아래와 같은 특징을 가진다.
상기 웨빙 감김축으로부터 풀려 나온 웨빙을 잡도록 설치된 클램프장치와, 상기 로크플레이트의 회전운동과 연동해서 클램프장치를 작동시키는 클램프작동아암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클램프장치가, 웨빙을 끼고 서로 대향해서 배치된 제1 및 제2의 클램프 부재와 제1의 클램프 부재를 제2의 클램프 부재에 분리, 접근 가능하게 또한 양 클램프 부재를 웨빙의 길이방향으로 동시 이동 가능하게 유지하는 미끄럼운동틀 및 클램프 케이스로서 이루어지며, 상기 클램프 작동아암이 상기 프레임에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축지지되어서 그 선단부가 제1의 클램프부재의 오목홈에 끼워 맞추어지고, 상기 로크플레이트의 회전운동과 연동해서 클램프 작동아암이 웨빙의 풀려나오는 방향으로 요동하여 상기 제1의 클램프 부재를 제2의 클램프부재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누르도록 한 시트벨트의 리트랙터에 있어서, 그 클램프 작동아암의 선단부 단면이, 이 선단부의 두께 이상의 직경을 가지며 또한 그 중심이 클램프 작동아암의 중심선보다도 웨빙 감김축에 가까운 위치에 있는 원의 일부를 이루는 원호면을 형성하고 있는 시트벨트의 리트랙터.
이 시트벨트의 리트랙터에 있어서는, 상기 클램프 작동아암의 선단부에, 상기 제1의 클램프부재 일부에 걸어서 클램프장치의 비 작동시에 당해 제1의 클램프 부재를 제2의 클램프 부재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한쪽으로 치우치게 하는 멈춤부재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시트벨트의 리트랙터에 있어서는, 상기 클램프 작동아암과 상기 제1의 클램프부재와 그리고, 상기 제2의 클램프부재의 배면과 프레임을, 각각 폭방향의 중앙부에서만 접촉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이하에, 이 리트랙터의 실시예를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도면에서 11은 프레임이며, 이 프레임(11)은 배면판(12)과 이 배면판(12)의 양측 가장자리에 서로 대향해서 세워서 설치된 측판(13a, 13b)으로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측판(13a, 13b)에는 웨빙 감김축(15)이 회전이 자유롭게 축지지되고 있으며, 그 측판(13a,13b)사이의 웨빙 감김축(15)에는 웨빙(14)이 감겨져 있다.
그리고, 이 웨빙 감김축(15)의 끝부에는 소용돌이식 스프링(6)이 설치되고, 웨빙 감김축(15)은 그 소용돌이식 스프링(6)에 의해서 항시 웨빙(14)을 감아들이는 방향으로 회전력이 가하여지고 있다.
16은, 측판(13a)으로부터 돌출하는 웨빙 감김축(15)의 끝부에, 그 웨빙 감김축(15)과 일체가 되어서 회전하도록 장착된 래치트휠이다. 또, 32는, 측판(13a)의 외면으로 돌출한 핀(34)에 의해서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장착된 멈춤쇠이며, 그 회전운동에 의해서 상기 래치트휠(16)에 대하여 맞물림 위치와 맞물리지 않는 위치를 취할 수가 있으며, 스프링수단(도시하지 않음)에 의해서 래치트휠(16)에 대하여 항시 맞물리지 않는 위치로 힘이 가하여지고 있다.
17은 래치트휠(16)의 외측에서 웨빙 감김축(15)에 대하여 회전이 자유롭게 축지지된 로크플레이트로서, 이 로크플레이트(17)의 내부 둘레면에는 내부 톱니 래치트(18)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 그 로크 플레이트(17)의 바깥 둘레에는, 플레이트베이스(55) 및 가이드판(19)이 연이어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판(19)에 뚫은 가이드구멍(20)에는 상기 멈춤쇠(32)에 붙인 핀(34)이 끼워 맞추어지고, 로크 플레이트(17)가 도면중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운동하므로서 멈춤쇠(32)가 시계방향으로 회전운동하여, 래치트 휠(16)과 맞물리게 되어 있다.
21은 웨빙 감김축(15)과 일체로 회전하도록 장착된 플레이트이며, 이 플레이트(21)에 붙여진 핀(22)에 로크부재(23)가 요동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이 플레이트(21) 및 로크부재(23)는 상기 내부 톱니 래치트(18)내에 배치되고, 상기 로크부재(23)가 요동하므로서 이 로크 부재(23)에 형성된 맞물림 멈춤부재(25)가 내부 톱니 래치트(18)과 맞물리도록 되어 있으며, 플레이트(21)와 로크부재(23)와 톱니사이에 끼워진 스프링(24)에 의해서, 맞물림 멈춤부재(25)가 내부 톱니 래치트(18)과 맞물리지 않는 방향으로 힘이 가하여져 있다.
30은 로크부재(23)의 외측방에서 웨빙 감김축(15)에 대하여 회전이 자유롭게 축받이 된 관성 웨이트이며, 이 관성 웨이트(30)의 로크부재(23)와 대향하는 면에는 돌기(31)가 돌출 설치되고, 웨빙 감김축(15)이 관성 웨이트(30)에 대해서 웨빙이 풀려나오는 방향으로 급격히 회전하였을때, 관성웨이트의 관성력 작용으로 돌기(31)를 따라서 로크부재(23)가 스프링(24)에 저항하면서 플레이트(21)에 대하여 요동시키고, 맞물림 박톱(25)을 내부 톱니 래치트(18)에 맞물리게 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관성웨이트(30)의 외측방에는, 래치기어(26)가 웨빙 감김축(15)에 대하여 회전이 자유롭게 축받이되어 있으며, 이 래치기어(26)는 관성 웨이트(30)에 대해서 마찰 맞물림되어 있다.
27은 측판(13a)에 장착된 검지기구로서, 진자케이스(61)내에 진자(28)가 세워서 설치되어 있으며, 이 진자(28)상에는 진자케이스(61)에 요동이 자유롭게 지지된 멈춤부재(29)가 재치되어 있다.
그리하여, 진자(28)는, 항시 진자케이스(61)내에서 바로서 있으나, 차체에 가속도가 가하여지거나 차체가 비정상적으로 경사되었을때에는 경사하고, 멈춤부재(29)를 밀어올려서 래치기어(26)에 맞물리게 하도록 되어 있다.
53은 측판(13a)의 상부에 회전운동에 자유롭게 축받이된 캠부재로서, 그 선단에 장착된 회전 롤러(54)가 상기 로크플레이트(17)의 플레이트베이스(55)에 뚫릴 긴구멍(56)에 끼워 맞추어져 있으며, 로크플레이트(17)가 회전운동하므로서 캠부재(53)가 요동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그 캠부재(53)의 측면 가장자리에는, 캠돌기(57)가 형성되어 있다.
또, 그 캠부재(53) 상부에서 클램프 작동아암(58)이 측판(13a,13b)에 대하여 요동이 자유롭게 축받이 되어 있다. 이 클램프 작동아암(58)의 측면에는 핀(59)이 돌출설치되고 있으며, 이 핀(59)은 측판(13a)에 뚫린 긴 구멍(60)에 끼워지고, 상기 캠부재(53)의 캠 돌기(57)와 맞닿고 있다. 그리고, 캠부재(53)는 스프링수단(35)에 의하여, 핀(59)이 캠 돌기(57)로 눌리는 방향으로 힘이 가하여져 있다.
36은 프레임(11)의 상부에 설치된 클램프장치이다. 이 클램프장치(36)에서 37은 프레임(11) 상부에 장착된 클램프 케이스이며, 배면부에는 프레임(11)의 배면판(12)을 따라서 지지판(38)이 장착되어 있다. 클램프케이스(37)의 상부 및 하부에는 웨빙(14)을 꼽는 슬리트(39,40)가 형성되어 있으며, 또 양측부에는 미끄럼운동 창(41)이 형성되어 있다.
42는 상기 미끄럼운동창(41)을 따라서 클램프케이스(37)의 내부에서 상하로 미끄럼운동이 자유롭게 배치된 미끄럼운동틀(42)로서, 이 미끄럼운동틀(42)의 배면측에는 제2의 클램프부재(43)가 장착되어 있으며, 그 제2의 클램프부재(43) 전면부에는 그 제2의 클램프부재(43)에 대향해서 제1의 클램프부재(44)가 배치되고, 이 제1의 클램프부재(44)는 미끄럼운동틀(42) 양측부에 형성된 투과구멍(45)에 지지되어서 상기 제2의 클램프부재(43)에 분리, 접근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하여, 이 클램프장치(36)에 있어서는, 웨빙 감김축(15)으로부터 풀려나온 웨빙(14)이 슬리트(40)를 통과하여, 제1의 클램프부재(44)와 제2의 클램프부재(43)사이를 통해서 슬리트(39)로부터 상방으로 풀려 나온다.
그리고, 제1의 클램프부재(44)와 제2의 클램프부재(43)가 대향하는 면에는 서로 맞물리는 요철의 돌기선(46)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1의 클램프부재(44)가 제2의 클램프부재(43)에 접근하였을때 요철의 돌기선(46)사이에 웨빙(14)을 눌러서 웨빙(14)의 이동을 저지하도록 되어 있다.
또, 제1의 클램프부재(44) 앞면에는 오목홈(47)이 형성되어 있고, 이 오목홈(47)에 상기 클램프 작동아암(58)의 선단부(48)가 끼워 맞추어져 있으며, 클램프 작동아암(58)이 상방으로 회전운동하므로서, 제1의 클램프부재(44)를 제2의 클램프부재(43)에 접근시킴과 동시에, 양 클램프부재(43,44)를 미끄럼운동틀(42)과 함께 상방으로 미끄럼운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오목홈(47) 및 클램프 작동아암(58)의 선단부(48)의 아래측에는 멈춤부재(49,50)가 형성되어 있고, 선단부(48)가 오목홈(47)에 끼워 맞추어진 상태에서 양자의 멈춤부재(49,50)가 서로 맞물리고 있으며, 클램프 작동아암(58)이 도면중 아래방향으로 요동하였을때, 제1의 클램프부재(44)를 제2의 클램프부재(43)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치우치게 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하여, 클램프 작동아암(58)의 선단부(48)는, 제9도 및 제10도와 같이 원호면(51)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 원호면(51)은 그 단면에서, 클램프 작동아암(58)의 선단부(48)의 두께보다도 큰 직경을 가지며 또한 그 중심이 클램프 작동아암(58)의 중심선(A) 보다 웨빙감김축(15)에 가까운 위치에 있는 원(C)의 일부를 이루고 있다.
그리고, 클램프 작동아암(58)이 아래방향으로 요동한 상태에 있어서는, 제10도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바와같이, 원호면(51)의 비교적 상부 위치에서 제1의 클램프부재(44) 앞면(52a)과 맞닿고 있으며, 클램프 작동아암(58)이 상방으로 요동하므로서, 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같이 제1의 클램프부재(44)를 배면판(12)방향으로 미는 것과 동시에, 클램프 작동아암(58)의 선단부(48)는 원호면(51)의 비교적 하부 위치에서 제1의 클램프부재(44)의 앞면(52b)에 맞닿게 된다.
또, 클램프장치(36)에 있어서는, 클램프 작동아암(58)의 선단부(48)가 제1의 클램프부재(44) 앞면과 맞닿아서 오목홈(47)에 끼워 맞추어지고, 위방향으로 요동하므로서 제1의 클램프부재(44)와 제2의 클램프부재(43)와의 사이에 웨빙(14)이 끼워지며, 또한 제2의 클램프부재(43)의 배면이 지지판(38)에 맞닿고, 지지판(38)은 프래임(11)의 배면판(12)에 지지되고 있다.
여기에서 본 실시예에서는, 제11도 도시내용과 같이, 클램프 작동아암(58)의 선단부(48)는 그 중앙부가 약간 돌출하고, 양단부는 약간의 테이퍼를 이루고 가늘게 되어 있으며, 또 제2의 클램프부재(43) 배면도 양단부가 약간의 테이퍼를 이루고 엷게 되어 있다. 그리하여 클램프 작동아암(58)의 선단부(48)가 제1의 클램프부재(44)로 눌리고, 제1의 클램프부재(44)와 제2의 클램프부재(43)와의 사이에 웨빙(14)을 끼워 둘때에는, 주로 양 클램프부재(43,44)의 중앙부에 하중을 걸도록 되어 있다.
멈춤쇠(32)와 래치트휠(16)은, 멈춤쇠(32)가 래치트휠(16)에 대해서 맞물리는 경우에, 제1의 클램프부재(44)와 제2의 클램프부재(43)에 의해서 웨빙(14)이 끼워진 후, 맞물리게 되는 위치에 놓여져 있다.
웨빙(14)은 그 기단부가 웨빙 감김축(15)에 감겨서 리트랙터에 수용되어 있으며, 그 웨빙 감김축(15)으로부터 풀려 나온 웨빙(14)은 클램프장치(36)에 있어서의 제2의 클램프부재(43)와 제1의 클램프부재(44)와의 사이를 통과해서 도면중 위방향으로 풀려나오고, 차실내에서의 시트벨트 시스템을 구성하고 있다.
그리하여, 평상 상태에서는, 검지기구(27)의 진자(28)는 진자케이스(61)내에서 바로 서 있으며, 멈춤부재(29)는 제5도에서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같이 하강하여, 래치기어(26)에 맞물려 있지 않다.
또, 로크부재(23)는, 스프링(24)의 탄력에 의하여 플레이트(21)에 대해서, 맞물림 멈춤부재(25)가 내부 톱니 래치트(18)과 맞물리는 일은 없다. 또한 멈춤쇠(32)도 스프링수단(도시하지 않음)의 작용에 의하여 제5도 및 제7도에서 실선으로 도시하는 바와같이 멈춤쇠 회전지지축(33)을 축으로 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운동한 위치에 있으며, 래치트휠(16)과 맞물려 있지 않다.
따라서, 웨빙 감지축(15)은 프레임(11)에 대하여 자유롭게 회전할 수가 있음과 동시에, 웨빙 감김축(15)이 회전하면, 그 회전에 따라서 래치트휠(16) 및 플레이트(21)도 일체로 회전한다.
또한, 플레이트(21)가 회전하면, 그 플레이트(21)에 대해서 스프링(24)을 통하여 정위치로 유지된 로크부재(23)도 플레이트(21)와 함께 회전하며, 또 그 로크부재(23)를 따라서 관성웨이트(30)도 회전하고, 그 관성웨이트(30)에 마찰 맞물림한 래치기어(26)도 웨빙 감김축(15)과 일체가 되어 회전한다.
또, 웨빙 감김축(15)에 대해서 회전이 자유롭게 축받이된 로크플레이트(17)는, 맞물림 멈춤부재(25)가 내부 톱니 래치트(18)와 맞물려 있지 않으므로 웨빙 감김축(15)의 회전에는 관계없고, 멈춤쇠(32)의 반시계방향으로의 회전운동에 의해서 가이드 구멍(20)과 지지핀(34)과의 작용으로 제5도 실선 표시와 같이, 프레임(11)에 대해서 시계방향으로 회전 운동한 위치에 있다.
또, 클램프 작동아암(58)은 스프링수단(35)의 탄력에 의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운동되고, 그 클램프 작동아암(58)의 핀(59)과 캠부재(53)의 캠돌기(57)의 작용에 의하여 캠부재(53)도 시계방향으로 회전운동 되고 있으며, 제5도에서 실선으로 도시하는 바와같이 회전 롤러(54)가 로크 플레이트(17)이 플레이트베이스(55)에 뚫린 긴 구멍(56)의 좌단(제5도 참조)에 위치하고 있다.
클램프장치(36)에 있어서는, 미끄럼운동틀(42)이 미끄럼운동창(41)을 따라서 아래방향으로 미끄럼운동을 하고 있음을 동시에, 제1의 클램프부재(44)가 제2의 클램프부재(43)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있으며, 양 클램프부재(43, 44)사이를 웨빙(14)은 자유롭게 통과할 수가 있다.
그리하여, 시트벨트가 사용되지 않는 상태에 있어서는, 웨빙 감김축(15)은 소용돌이식 스프링(6) (제6도)의 탄력에 의해서 도면중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그 웨빙감김축 바깥 둘레에 웨빙(14)을 감아서 들어가 있다.
그리고, 시트벨트를 사용할때에는, 리트렉터로 부터 웨빙(14)을 끌어내면, 그 웨빙(14)은 소용돌이식 스프링(6)의 탄력에 저항하면서 웨빙 감김축(15)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그 웨빙 감김축(15)으로부터 풀려 나오고, 클램프장치(36)의 제1의 클램프부재(44)와 제2의 클램프부재(43)와의 사이를 통과해서 풀려나와서, 착용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착용상태에 있어서는, 웨빙(14)에는 항시 소용돌이식 스프링(6)에 의한 감아드리기 힘이 작용하고 있으며, 착용자의 신체에 적절하게 착용됨과 동시에, 착용자가 신체를 움직였을때에는, 웨빙 감김축(15)에 감겨있는 잉여 웨빙(14)이 풀려나오고 또 감겨 들어가므로서, 차실내에서 자유롭게 신체를 움직일 수가 있다.
그리하여, 사고 등으로 차체에 비정상적인 가속도가 가하여지거나, 차체가 비정상적으로 경사하였을때에는, 진자케이스(61)내에서 진자(28)가 기울어, 멈춤부재(29)를 밀어 올려서 그 선단이 래치기어(26)와 맞물린다.
이 상태에서 웨빙(14)이 리트랙터로 부터 풀려나와서 웨빙 감김축(15)이 제5도중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래치기어(26)가 멈춤부재(29)와 맞물려 회전하지 못하므로, 그 래치기어(26)에 마찰 맞물림을 한 관성웨이트(30)도 그 회전이 정지되어, 그 관성웨이트(30)와 웨빙 감김축(15)에 고정된 플레이트(21)와의 사이에 상대적인 회전운동이 생긴다.
그 결과 로크부재(23)가 스프링(24)의 탄력에 저항하여 플레이트(21)에 대해서 관성웨이트(30)에 형성된 돌기(31)를 따라서 요동하며, 맞물림 멈춤부재(25)가 둘레방향으로 돌출하여 내부 톱니 래치트(18)와 맞물린다.
또, 착용자의 신체가 차실내에서 급격한 이동을 하게 되어 웨빙(14)이 급속하게 끌려나왔을때에는, 웨빙 감김축(15)이 급속히 회전하며, 플레이트(21)도 그에 따라 회전하나, 관성웨이트(30)는 관성때문에 회전에 지연이 생겨, 플레이트(21)와 관성웨이트와의 사이에 상대적인 회전운동이 생긴다. 그 때문에 앞서 설명한 바와같이 로크부재(23)에 이동이 생기고, 맞물림 멈춤부재(25)가 둘레방향으로 돌출하여 내부 톱니 래치트(18)와 맞물린다.
이와같이하여 맞물림 멈춤부재(25)가 내부 톱니 래치트(18)와 맞물린상태에서 웨빙(14)에 더욱 끌어내는 힘이 작용하면, 웨빙 감김축(15)의 회전에 따라서, 플레이트(21)도 회전하며, 로크부재(23)의 맞물림 멈춤부재(25)가 내부 톱니 래치트(18)와 맞물려 있으므로 플레이트(21)와 함께 로크플레이트(17)도 웨빙 감김축(15)과 함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운동한다.
그리하여, 로크플레이트(17)가 제5도에서 쇄선으로 도시한 바와같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운동되면, 가이드판(19)에 뚫린 가이드구멍(20)이 지지핀(34)을 우측으로 밀고, 멈춤쇠(32)가 핀(33)을 축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운동하여, 래치트휠(16)과 맞물려, 웨빙 감김축(15)의 회전을 로크한다.
또 한편, 로크플레이트(17)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운동하면, 플레이트베이스(55)에 뚫린 긴 구멍(56)이 회전 롤러(54)를 위 방향으로 밀어올리고, 캠부재(53)가 제5도에서 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같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운동한다. 이에 의해서 캠 돌기(57)가 핀(59)을 밀어올리고, 클램프 작동아암(58)도 스프링수단(35)의 탄련에 저항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운동한다.
이에 의하여 클램프 작동아암(58)의 선단부(48)는 제9도 및 제10도에서 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같이 우측 위방향으로 이동하고, 제1의 클램프부재(44)를 제2의 클램프부재(43)로 접근하여 방향으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그 양 클램프부재(43,44)를 미끄럼운동틀(42)과 함께 위방향으로 미끄럼운동시켜, 양 클램프부재(43,44)의 요철의 돌기선(46)사이에 웨빙(14)을 끼운다.
이에 의하여 웨빙 감김축(15)을 로크하여 웨빙(14)이 풀려 나오는 것을 저지함과 동시에, 클램프장치(36)로 웨빙(14)을 집어, 웨빙 감김축(15)에 감긴 웨빙(14)이 감길때 풀려나오는 것도 저지되며, 착용자의 신체를 보다 더 확실하게 파지한다.
또, 웨빙(14)이 집힌 상태에서 더욱 풀려나오고자 하는 힘이 작용하면, 그 웨빙(14)을 집은 클램프부재(43,44)가 웨빙(14)과의 마찰력에 의해서 위로 움직이고, 제1의 클램프부재(44)의 오목홈(47)에 끼워 맞추어진 클램프 작동아암(58)을 더욱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키도록 작용하므로, 그 회전운동에 의하여 제1의 클램프부재(44)는 다시 제2의 클램프부재(43)에 접근하여, 웨빙(14)을 더욱 강력하게 집게 된다.
이 장치에 있어서는, 클램프 작동아암(58)의 선단부(48)의 형상이, 그 선단부(48)의 두께 이상의 직경을 가지며 또한 그 중심이 클램프 작동아암(58)의 중심선보다도 웨빙 감김축(15)에 가끼운 위치에 있는 원(C)의 일부를 이루는 원호면(51)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제10도에서 클램프 작동아암(58)의 중심선이 A의 위치로부터 B의 위치까지 이동하였을때, 클램프 작동아암(58)의 원호면(51)에서의 제1의 클램프부재(44)에 대한 맞닿는 위치가 비교적 상부인 위치로부터 하부위치로 이동하고, 제1의 클램프부재(44)를 선(52a)의 위치로부터 선(52b)의 위치까지 이동시키게 된다.
종래의 클램프 작동아암과 마찬가지로 선단부(48)가 클램프 작동아암(58)의 중심선에 대하여 대칭이며, 그 선단부(48)의 두께와 같은 정도의 직경을 가지는 원호(D)라고 하면, 클램프 작동아암(58)이 아래방향으로부터 위방향으로 회전운동하므로서, 제1의 클램프부재(44)는 선(52a)의 위치로부터 선(52c)위치까지 밖에는 이동할 수가 없다.
즉, 이 장치에 있어서는, 클램프 작동아암(58)이 A로부터 B까지 같은 만큼만 회전운동하는 사이에, 제1의 클램프부재(44)의 이동거리를 제10도중의 a에 상당하는 거리만큼 크게할 수가 있어, 웨빙(14)의 집는 속도를 빠르게 할 수가 있는 것이다.
도면중 a의 거리는 작으며, 웨빙(14)을 집는데 요하는 시간의 차는 작으나, 긴급시에 착용자의 신체를 구속하기 위해서는, 밀리초단위의 작동이 필요하며, a로 표시되는 거리의 차가 큰 의미를 가지게 된다. 실제로는, 이 a의 거리는 통상 0.2㎜정도이나, 이 a의 거리를 크게할 수가 있으면 그것에 의해서 사고시 착용자의 신체를 파지하는 위치에는 수 ㎝의 차이가 생긴다. 그 차에 의해서 착용자의 생명을 좌우하게도 된다.
긴급상태가 해소되고, 웨빙(14)에 대해서 끌어내는 힘이 작용하지 않게 되면, 웨빙 감김축(15)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웨빙(14)을 감아드림과 동시에, 멈춤쇠(32)는 스프링수단의 탄력에 의하여 래치트휠(16)에 대해서 맞물리지 않는 위치로 복귀하며, 또 로크부재(23)도 스프링(24)에 의해서 내부 톱니 래치트(18)에 대하여 맞물리지 않는 위치로 복귀함과 동시에, 검지기구(27)에 있어서는 진자(28)가 바로 쓰고, 멈춤부재(29)가 아래로 움직여 래치기어(26)와의 맞물림이 해소된다.
또, 로크플레이트(17)가 전의 위치로 복귀함에 따라서 캠부재(53)가 시계방향으로 회전운동하고, 또 클램프 작동아암(58)도 스프링수단(35)의 탄력에 의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운동한다. 그리고, 선단부(48)의 멈춤부재(50)가 제1의 클램프부재(44)의 오목홈(47)의 멈춤부재(49)를 걸어서 제1의 클램프부재(44)를 앞면 아래방향으로 끌어당기고 제1의 클램프부재(44)가 제2의 클램프부재(43)로부터 떨어짐과 동시에 미끄럼운동틀(42)이 미끄럼운동창(41)을 따라서 아래로 운동한다.
그와 같이하여 리트랙터는 초기상태로 복귀하고, 재차 웨빙(14)을 감아드리고 끌어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클램프 작동아암(58)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운동하여 클램프장치(36)가 웨빙(14)을 집을 때에는, 클램프 작동아암(58)이 제1의 클램프부재(44)의 폭방향의 중앙부를 누르고, 또 제2의 클램프부재(43)는 그 중앙부에서 지지판(38)으로 지지되므로, 클램프장치(36)가 큰 힘으로 웨빙(14)을 집었을때, 제1의 클램프부재(44) 및 제2의 클램프부재(43)는 주로 그 중앙부에서 집게되어, 웨빙(14)의 양측 가장자리부가 강하게 눌려서 상처를 받는 일이 없다.
본 발명 장치에 의하여, 긴급시에 클램프 작동아암(58)의 회전운동에 따라서, 제1의 클램프 부재(44)를 급속하게 이동시켜, 보다 더 단시간에 웨빙(14)을 집어서 착용자의 신체를 파지할 수가 있다.
그리고, 긴급상태가 해소되었을때, 제1의 클램프부재(44)는 제2의 클램프부재(43)로부터 떨어지고, 웨빙(14)의 집는 작동은 해소된다.
또, 클램프장치(36)가 웨빙(14)을 집은 상태에서 주로 웨빙(14)의 중앙부에 힘이 걸리므로, 웨빙(14)의 측면 가장자리부는 상처를 입는 일이 없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도는, 본 발명의 시트벨트의 리트랙터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 모식도이다.
제2도는, 본 발명의 시트벨트의 리트랙터 요부의 종단면도이다.
제3도는, 본 발명의 시트벨트 리트랙터의 감김축 로크시에 있어서 이행하는 상태에서의 로크플레이트 내부를 나타내는 요부의 종단면도이다.
제4도는, 본 발명 시트벨트의 리트랙터의 감김축의 로크 상태에서의 로크플레이트(17) 내부를 나타내는 요부의 종단면도이다.
제5도는, 본 발명의 시트벨트의 리트랙터의 있어서의 클램프 장치(36)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 모식도이다.
제6도는, 제5도의 측면 모식도에 있어서의 장치의 종단면도이다.
제7도는, 제6도에 도시되어 있는 리트랙터의 래치트휠(16)과 멈춤쇠(32)와의 맞물림관계를 나타내기 위한 Ⅳ-Ⅳ 단면도이다.
제8도는, 제7도의 래치트휠(16)과 멈춤쇠(32)의 맞물림관계를 확대해서 도시한 도면이다.
제9도는, 제6도에 도시되어 있는 리트랙터의 클램프장치(36)의 Ⅴ-Ⅴ 단면도이다.
제10도는, 본 발명의 시트벨트의 리트랙터에 있어서의 클램프 작동아암(58)선단부(48)와 제1의 클램프부재(44)와의 접촉부에 관해서 더욱 상세히 도시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제11도는, 제9도에 도시한 클램프장치(36)의 Ⅶ-Ⅶ 단면도이다.

Claims (7)

  1. 차체에 장착하기 위한 시트벨트에 있어서의 리트랙터로서, 프레임과, 이 프레임에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된 웨빙 감김축과, 이 웨빙 감김축에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된 로크 플레이트와, 차체에 가하여지는 가속도, 차체의 이상경사 및/또는 웨빙 감김축의 웨빙 인출방향으로의 급속한 회전을 검지하여, 상기 로크 플레이트와 웨빙 감김축을 연결하는 기능을 가지는 관성 검지수단과, 로크플레이트와 웨빙 감김축이 연결되어서 웨빙 감김축의 회전에 따르는 로크 플레이트의 회전운동에 의해서 웨빙 감김축의 회전을 로크하는 로크수단과, 상기 로크수단이 웨빙감김축과 일체로 회전하는 래치트휠과, 프레임에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된 래치트휠로 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힘이 가하여지고, 상기 로크플레이트에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 구멍으로 안내되어서 래치트휠과 맞물리는 멈춤쇠로서 이루어지는 시트벨트의 리트랙터에 있어서,
    상기 멈춤쇠는 2개의 톱니로 이루어지고, 그 멈춤쇠와 래치트휠은, 웨빙에 가하여지는 하중이 비교적 작을 때에는, 상기 2개의 톱니로 된 멈춤쇠의 한편의 톱니만이 래치트 휠의 톱니와 맞물리고, 멈춤쇠의 다른 한편의 톱니와 여기에 대응하는 래치트휠의 톱니와의 사이에 약간의 간극이 존재하도록 위치하며, 웨빙에 가하여지는 하중이 비교적 클때에는, 멈춤쇠의 양쪽의 톱니와 래치트휠의 톱니가 맞물리도록 위치하게 되어 있는 시트벨트의 리트랙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플레이트에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 구멍의 형상이, 멈춤쇠에 세워서 설치된 지지핀과 맞물려서, 멈춤쇠의 2개의 톱니가 래치트휠의 톱니 앞면 원의 위치까지 급속히 접근한 후에, 멈춤쇠의 움직임이 감속되어서 래치트휠과 맞물릴 수 있도록 만곡된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의 리트랙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멈춤쇠와 래치트휠이 맞물리는 위치에서의 가이드 구멍 부위를 큰 구멍부로 만든 시트벨트의 리트랙터.
  4. 차체에 장착하기 위한 시트벨트에 있어서의 리트렉터로서, 프레임과, 이 프레임에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된 웨빙 감김축과, 이 웨빙 감김축에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된 로크플레이트와, 차체에 가하여지는 가속도, 차체의 이상 경사 및/또는 웨빙 감김축의 웨빙 인출방향으로의 급속한 회전을 검지하여, 상기 로크프레이트와 웨빙 감김축을 연결하는 기능을 가지는 관성 검지수단과, 로크 플레이트와 웨빙 감김축이 연결되어서 웨빙 감김축의 회전에 따르는 로크 플레이트의 회전운동에 의하여 웨빙 감김축의 회전을 로크하는 로크수단과, 상기 로크수단이 웨빙 감김축과 일체로 회전하는 래치트휠과, 프레임에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된 래치트휠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힘이 가하여지고, 상기 로크플레이트에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 구멍에 안내되어서 래치트휠과 맞물리는 멈춤쇠로서 이루어지는 시트벨트의 리트랙터에 있어서, 상기 웨빙 감김축으로부터 끌려나온 웨빙을 끼우도록 설치된 클램프장치와, 상기 로크플레이트의 회전운동과 연동해서 클램프장치를 작동하는 클램프 작동아암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클램프장치가, 웨빙을 끼워서 서로 대향해서 배치된 제1 및 제2의 클램프 부재와, 제1의 클램프부재를 제2의 클램프 부재로 분리, 접근 가능하게 또한 양 클램프 부재를 웨빙의 길이방향으로 동시 이동 가능하게 유지하는 클램프 케이스로서 이루어지며, 상기 클램프 작동아암이 상기 프레임에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축받이되어서 그 선단부가 제1의 클램프부재의 오목홈에 끼워 맞추어지고, 상기 로크플레이트의 회전운동과 연동해서 클램프 작동아암이 웨빙 인출방향으로 요동해서 상기 제1의 클램프 부재를 제2의 클램프 부재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밀도록 한 시트벨트의 리트랙터에 있어서,
    그 클램프 작동아암의 선단부 단면이, 이 선단부의 두께 이상의 직경을 가지며 또한 그 중심이 클램프 작동아암의 중심선보다도 웨빙 감김축에 가까운 위치에 있는 원의 일부를 이루는 원호면을 형성하고 있는 시트벨트의 리트랙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 작동아암의 선단부에, 상기 제1의 클램프부재의 일부에 걸어멈춤하여 클램프장치의 비작동시에 이 제1의 클램프 부재를 제2의 클램프부재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치우치게 하는 멈춤부재를 설치한 시트벨트의 리트랙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의 작동과 제1의 클램프 부재와 그리고, 제2의 클램프부재의 배면과 프레임이, 각각 폭 방향의 중앙부에서만 접촉하고 있는 시트벨트의 리트랙터.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멈춤쇠가 2개의 톱니로서 이루어지고, 그 멈춤쇠와 래치트 휠은, 웨빙에 가하여지는 하중이 비교적 작을 때에는 상기한 2개의 톱니로 된 멈춤쇠의 한편 톱니 만이 래치트휠의 톱니와 맞물리며, 멈춤쇠의 다른 한편의 톱니와 여기에 대응하는 래치트 휠의 톱니와의 사이에 약간의 간극이 존재하도록 위치하고, 웨빙에 가하여지는 하중이 비교적 클 때에는, 멈춤쇠의 양쪽 톱니와 래치트휠의 톱니가 맞물리도록 위치하게 되어 있는 시트벨트의 리트랙터.
KR1019940701254A 1992-09-07 1993-09-07 시트벨트용 리트랙터 KR1002488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2069077U JP2574488Y2 (ja) 1992-09-07 1992-09-07 シートベルトのリトラクター
JP92-69077 1992-09-07
PCT/JP1993/001260 WO1994005528A1 (en) 1992-09-07 1993-09-07 Retractor for seat bel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48839B1 true KR100248839B1 (ko) 2000-05-01

Family

ID=13392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701254A KR100248839B1 (ko) 1992-09-07 1993-09-07 시트벨트용 리트랙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5485971A (ko)
EP (2) EP0786384B1 (ko)
JP (1) JP2574488Y2 (ko)
KR (1) KR100248839B1 (ko)
AU (2) AU670129B2 (ko)
CA (1) CA2122341C (ko)
DE (2) DE69333922T2 (ko)
HU (1) HU213558B (ko)
WO (1) WO1994005528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2602B1 (ko) 2010-05-25 2012-06-04 주식회사 셀트리온디비아이 시트 벨트용 리트렉터
KR20240033468A (ko) 2022-09-05 2024-03-12 (유)삼송 시트 벨트 리트랙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444655C2 (de) * 1994-12-15 1996-09-26 Autoliv Dev Sicherheitsgurt-Blockiereinrichtung mit Selbstblockadeverhinderung
US5624086A (en) * 1995-09-01 1997-04-29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Seat belt retractor
DE29619380U1 (de) * 1996-11-07 1997-03-06 Trw Occupant Restraint Systems Gmbh, 73551 Alfdorf Kupplungsscheibe für einen Gurtaufroller
US5899298A (en) * 1997-03-19 1999-05-04 Crouse, Jr.; Benjamin F. Safety harness for stairs
US6019198A (en) * 1997-12-09 2000-02-01 Preo New Products Corp. Mechanically driven ratchet assembly
GB2347900A (en) * 1999-03-15 2000-09-20 Breed Automotive Tech Seat Belt Retractor
JP3709300B2 (ja) * 1999-04-16 2005-10-26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ウエビング巻取装置
GB2379910B (en) * 2001-09-19 2003-09-24 Breed Automotive Tech Seat belt retractor
GB0706999D0 (en) * 2007-04-11 2007-05-16 Ivax Pharmaceuticals Ireland Metered-dose inhaler
JP5479240B2 (ja) * 2010-06-23 2014-04-23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ウエビング巻取装置
GB2502791B (en) 2012-06-06 2014-08-20 Consort Medical Plc Dose indicator device
GB2522417B (en) * 2014-01-22 2016-09-14 Ford Global Tech Llc Roll cover assembly
CN106740654A (zh) * 2016-12-24 2017-05-31 江阴市达安汽车零部件有限公司 卷收器及其带有该卷收器的安全带
US11903345B2 (en) 2021-04-06 2024-02-20 Deere & Company Bale ejection system for a baler implement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36171A (en) * 1971-07-07 1974-09-17 Tokai Rika Co Ltd Safety belt locking device
US4071204A (en) * 1974-06-28 1978-01-31 Allied Chemical Corporation Multiple locking retractor
JPS51131025A (en) * 1975-05-07 1976-11-15 Takata Kk Retractor responsive to acceleration
US4069987A (en) * 1975-08-03 1978-01-24 Fisher Robert C Inertia locking seat belt retractor
AU1001683A (en) * 1982-01-26 1983-08-04 Britax (Wingard) Limited Safety belt inertia reel
JPS59161842A (ja) * 1983-03-07 1984-09-12 Hitachi Ltd 接合電極およびその形成方法
DE3313810A1 (de) * 1983-04-15 1984-10-25 Autoflug Gmbh, 2084 Rellingen Sicherheitsgurtaufroller
DE3400651A1 (de) * 1984-01-11 1985-09-12 Klippan Gmbh, 2000 Norderstedt Gurtaufrollschnellsperrautomat
JPS59161842U (ja) * 1984-03-29 1984-10-30 エヌエスケ−・ワ−ナ−株式会社 緊急ロツク機構を備えた安全ベルト巻取装置
DE3586724D1 (de) * 1984-12-21 1992-11-05 Autoliv Kolb Gmbh & Co Klemmvorrichtung fuer ein sicherheitsgurtsystem.
DE3446981A1 (de) * 1984-12-21 1986-09-18 Britax-Kolb GmbH & Co, 8060 Dachau Klemmvorrichtung fuer ein sicherheitsgurtsystem
DE3576941D1 (de) * 1984-12-21 1990-05-10 Autoliv Kolb Gmbh & Co Sicherheitsgurtsystem.
ES2039537T3 (es) * 1987-09-16 1993-10-01 Autoliv-Kolb Gmbh & Co. Dispositivo de fijacion del cinturon para un sistema de cinturon de seguridad con enrollador del cinturon.
KR900001552A (ko) * 1988-07-27 1990-02-27 다까다 쥬우이찌로오 시이트 벨트 리트랙터
JPH03197257A (ja) * 1989-12-26 1991-08-28 Takata Kk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
JP2767756B2 (ja) * 1990-08-01 1998-06-18 タカタ 株式会社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
JP2913789B2 (ja) * 1990-08-01 1999-06-28 タカタ株式会社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
JPH0532176A (ja) * 1991-07-26 1993-02-09 Komatsu Ltd 装軌車両の油圧式操向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2602B1 (ko) 2010-05-25 2012-06-04 주식회사 셀트리온디비아이 시트 벨트용 리트렉터
US9126565B2 (en) 2010-05-25 2015-09-08 Wooshin Safety Systems Co., Ltd. Retractor for seat belt
KR20240033468A (ko) 2022-09-05 2024-03-12 (유)삼송 시트 벨트 리트랙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786384B1 (en) 2005-11-30
AU4982893A (en) 1994-03-29
EP0618112B1 (en) 1998-01-21
JP2574488Y2 (ja) 1998-06-11
HU9401172D0 (en) 1994-07-28
DE69333922D1 (de) 2006-01-05
HUT68206A (en) 1995-06-28
CA2122341C (en) 2005-04-05
DE69316587T2 (de) 1998-05-14
AU5224396A (en) 1996-07-11
EP0786384A2 (en) 1997-07-30
AU670129B2 (en) 1996-07-04
HU213558B (en) 1997-08-28
AU689385B2 (en) 1998-03-26
EP0618112A1 (en) 1994-10-05
WO1994005528A1 (en) 1994-03-17
DE69316587D1 (de) 1998-02-26
JPH0627384U (ja) 1994-04-12
EP0786384A3 (en) 2000-06-07
US5485971A (en) 1996-01-23
CA2122341A1 (en) 1994-03-17
DE69333922T2 (de) 2006-06-29
EP0618112A4 (en) 1995-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48839B1 (ko) 시트벨트용 리트랙터
JPH07121673B2 (ja) 安全ベルト巻取り装置
US4570873A (en) Sensor sensitivity reducer for door mounted retractor
GB2347122A (en) Reversible safety belt pretensioner
WO1987006544A1 (en) Retractor for seat belt of automatic/emergency lock type
US4053117A (en) Automatic locking safety belt retractor
US4993656A (en) Webbing retractor
EP0269909A1 (en) Seat belt retractor
WO2012001879A1 (ja)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およびこれを備えたシートベルト装置
JP5603680B2 (ja)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およびこれを備えたシートベルト装置
US4361294A (en) Tension relieving mechanism
US4585184A (en) Webbing tension device
KR100614734B1 (ko) 좌석 벨트 리트랙터
CA1048983A (en) Retraction locking safety belt retractor
US4568037A (en) Webbing tension device
US4546934A (en) Webbing tension device
US6042042A (en) Seat belt retractor
JP3711372B2 (ja) 自動車用シートベルトのリトラクタ装置
US4725014A (en) Automatic locking retractor for a seat belt assembly
US4482102A (en) Webbing-lock mechanism suitable for use in vehicle seat belt
US5842658A (en) Seat belt retractor with deflection alarm
JPH0322048Y2 (ko)
JP2001515818A (ja) ベルト締付け式引込み具
JPH0315407Y2 (ko)
JPS628207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09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