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3468A - 시트 벨트 리트랙터 - Google Patents

시트 벨트 리트랙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3468A
KR20240033468A KR1020220112144A KR20220112144A KR20240033468A KR 20240033468 A KR20240033468 A KR 20240033468A KR 1020220112144 A KR1020220112144 A KR 1020220112144A KR 20220112144 A KR20220112144 A KR 20220112144A KR 20240033468 A KR20240033468 A KR 202400334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seat belt
frame
rotation
coupl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21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성훈
Original Assignee
(유)삼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삼송 filed Critical (유)삼송
Priority to KR10202201121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33468A/ko
Priority to PCT/KR2023/012776 priority patent/WO2024053920A1/ko
Publication of KR202400334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34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36Belt retractors, e.g. reels self-locking in an emergenc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46Reel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by forced winding u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022/3402Retractor casings; Mounting thereof

Abstract

본 발명은 시트 벨트 리트랙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시트 벨트 리트랙터는, 다수의 부품을 지지하는 제1 프레임과, 상기 제1 프레임의 내부에 구비되며 시트 벨트와 결합됨으로써 시트 벨트의 권취 또는 권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샤프트와, 상기 제1 프레임의 일측에 구비되며 차량의 충돌 또는 급정지 또는 센서에 의하여 충돌이 예상될 경우 시트 벨트가 되감길 수 있도록 하는 프리텐셔너와, 상기 프리텐셔너의 일측에 구비되며 다수의 부품을 지지하는 제2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의 일측 또는 내부에 구비되며 외륜을 따라 기어 이가 형성되면서 샤프트와 결합됨으로써 함께 회전되는 회전 제한 기어와, 상기 회전 제한 기어의 일측에 구비되며 제2 레버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회전 제한 기어와 접함으로써 회전 제한 기어의 회전이 제한될 수 있도록 하는 제1 레버와, 상기 제1 레버의 일측에 구비되며 제3 레버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제1 레버와 접함으로써 제1 레버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제2 레버와, 상기 제2 레버의 일측에 구비되며 기울기 또는 가속도에 따라 제2 레버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제3 레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시트 벨트 리트랙터에 프리텐셔너를 결합하더라도 컴팩트한 구조를 가질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시트 벨트 리트랙터{seat belt retractor}
본 발명은 시트 벨트 리트랙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2 레버를 추가로 더 구비함으로써 프리텐셔너의 결합이 이루어지면서도 컴팩트한 구조를 가질 수 있도록 한 시트 벨트 리트랙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트 벨트 리트랙터(Seat Belt Retractor)는 시트 벨트의 권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면서도 자동으로 권취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차량의 충돌 또는 급정지 또는 센서에 의하여 충돌이 예상될 경우 시트 벨트의 권출이 제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시트 벨트 리트랙터는, 시트 벨트의 권취 또는 권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의 회전이 선택적으로 제한될 수 있도록 하는 회전 제한 기어 및 잠금 레버와, 가속도 또는 기울기에 따라 잠금 레버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센서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시트 벨트 리트랙터는 한국 등록 특허 제10-0248839호, 한국 등록 특허 제10-2184227호, 한국 등록 특허 제10-0255445호 등에 제시되고 있는 바와 같다.
이러한, 시트 벨트 리트랙터에는 프리텐셔너가 추가로 더 구비된다.
상기 프리텐셔너(Pre-tensioner)는, 차량의 충돌 또는 급정지 또는 센서에 의하여 충돌이 예상될 경우 시트 벨트를 되감아 탑승자가 시트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탑승자가 충돌에 따른 관성에 의한 이동 거리가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프리텐셔너는 한국 등록 특허 제10-1718691호, 한국 등록 특허 제10-1766841호, 한국 등록 특허 제10-1684981호 등에 제시되고 있는 바와 같다.
이처럼, 시트 벨트 리트랙터에 프리텐셔너를 추가로 더 구비할 경우, 프리텐셔너와 시트 벨트 리트랙터의 결합을 위해 시트 벨트 리트랙터를 이루는 구성 요소의 위치 변화가 필요한 것이었다.
그러나, 시트 벨트 리트랙터를 이루는 회전 제한 기어와 잠금 레버는, 상호 간의 견고한 잠금 또는 분리의 용이성 등을 고려하여 위치 이동이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한국 등록 특허 제10-0248839호 한국 등록 특허 제10-2184227호 한국 등록 특허 제10-0255445호 한국 등록 특허 제10-1718691호 한국 등록 특허 제10-1766841호 한국 등록 특허 제10-1684981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제2 레버를 추가로 더 구비함으로써 프리텐셔너의 결합이 이루어지면서도 컴팩트한 구조를 가질 수 있도록 한 시트 벨트 리트랙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다수의 부품을 지지하는 제1 프레임과, 상기 제1 프레임의 내부에 구비되며 시트 벨트와 결합됨으로써 시트 벨트의 권취 또는 권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샤프트와, 상기 제1 프레임의 일측에 구비되며 차량의 충돌 또는 급정지 또는 센서에 의하여 충돌이 예상될 경우 시트 벨트가 되감길 수 있도록 하는 프리텐셔너와, 상기 프리텐셔너의 일측에 구비되며 다수의 부품을 지지하는 제2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의 일측 또는 내부에 구비되며 외륜을 따라 기어 이가 형성되면서 샤프트와 결합됨으로써 함께 회전되는 회전 제한 기어와, 상기 회전 제한 기어의 일측에 구비되며 제2 레버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회전 제한 기어와 접함으로써 회전 제한 기어의 회전이 제한될 수 있도록 하는 제1 레버와, 상기 제1 레버의 일측에 구비되며 제3 레버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제1 레버와 접함으로써 제1 레버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제2 레버와, 상기 제2 레버의 일측에 구비되며 기울기 또는 가속도에 따라 제2 레버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제3 레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프레임은, 상기 제2 프레임의 내부에 형성되며 제1 레버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제1 회전축과, 상기 제2 프레임의 내부에 형성되며 제1 레버를 이루는 제1 이탈 방지단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제1 이탈 방지홈과, 상기 제2 프레임의 내부에 형성되면서 제1 회전축과는 이격되게 위치되며 제2 레버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제2 회전축과, 상기 제2 프레임의 내부에 형성되며 제2 레버를 이루는 제2 이탈 방지단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제2 이탈 방지홈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레버는, 일면에 제1 결합홀이 형성됨으로써 제1 회전축과 결합되는 제1 결합부와, 상기 제1 결합부의 일측에 형성되며 제2 레버의 일부와 접하는 제1 레버 바디와, 상기 제1 레버 바디의 일측에 형성되며 제1 레버 바디의 회전 반경이 줄어들 수 있도록 하면서 회전 제한 기어의 일부와 선택적으로 접하는 제1 접촉부와, 상기 제1 결합부의 다른 일측에 형성되며 제1 결합부가 제1 회전축과 결합되는 과정에서 제1 이탈 방지홈의 내부로 삽입됨으로써 제1 회전축으로부터 제1 결합부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는 제1 이탈 방지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레버는, 일면에 제2 결합홀이 형성됨으로써 제2 회전축과 결합되는 제2 결합부와, 상기 제2 결합부의 일측에 형성되며 제1 레버의 일부 또는 제3 레버의 일부와 접하는 제2 레버 바디와, 상기 제2 레버 바디의 일측에 형성되며 제2 레버 바디의 회전 반경이 줄어들 수 있도록 하면서 제3 레버의 일부와 선택적으로 접하는 제2 접촉부와, 상기 제2 결합부의 다른 일측에 형성되며 제2 결합부가 제2 회전축과 결합되는 과정에서 제2 이탈 방지홈의 내부로 삽입됨으로써 제2 회전축으로부터 제2 결합부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는 제2 이탈 방지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레버 바디는, 회전 반경이 줄어들 수 있도록 일단이 제1 레버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 제한 기어의 이끝이 이루는 직경의 일단과 회전되지 않은 상태의 제1 레버를 이루는 제1 접촉부의 일단 간의 이격 거리가 0.5 내지 1.5 mm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시트 벨트 리트랙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제2 레버를 추가로 더 구비함으로써 시트 벨트 리트랙터에 프리텐셔너를 결합하면서도 컴팩트한 구조를 가질 수 있게 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제1 레버에 제1 접촉부가 형성되고, 제2 레버에 제2 접촉부가 형성됨으로써 제1 레버 또는 제2 레버의 회전 반경이 최소화될 수 있게 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회전 제한 기어의 이끝이 이루는 직경의 하단과 회전되지 않은 상태의 제1 레버를 이루는 제1 접촉부 간의 이격 거리가 0.5 내지 1.5 mm로 이루어짐으로써 의도치 않게 회전 제한 기어의 회전이 이루어지는 현상은 방지될 수 있게 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시트 벨트 리트랙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시트 벨트 리트랙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일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시트 벨트 리트랙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다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시트 벨트 리트랙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또 다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시트 벨트 리트랙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1 레버 및 제2 레버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시트 벨트 리트랙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회전 제한 기어와 제1 레버의 이격 거리를 보인 개략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시트 벨트 리트랙터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시트 벨트 리트랙터의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즉,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시트 벨트 리트랙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시트 벨트 리트랙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일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시트 벨트 리트랙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다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발명에 의한 시트 벨트 리트랙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또 다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는 본 발명에 의한 시트 벨트 리트랙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1 레버 및 제2 레버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본 발명에 의한 시트 벨트 리트랙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회전 제한 기어와 제1 레버의 이격 거리를 보인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시트 벨트 리트랙터는, 다수의 부품을 지지하는 제1 프레임(100)과, 제1 프레임(100)의 내부에 구비되며 시트 벨트와 결합됨으로써 시트 벨트의 권취 또는 권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샤프트(200)와, 상기 제1 프레임(100)의 일측에 구비되며 차량의 충돌 또는 급정지 또는 센서에 의하여 충돌이 예상될 경우 시트 벨트가 되감길 수 있도록 하는 프리텐셔너(300)와, 상기 프리텐셔너(300)의 일측에 구비되며 다수의 부품을 지지하는 제2 프레임(400)과, 상기 제2 프레임(400)의 일측 또는 내부에 구비되며 외륜을 따라 기어 이가 형성되면서 샤프트(200)와 결합됨으로써 함께 회전되는 회전 제한 기어(500)와, 상기 회전 제한 기어(500)의 일측에 구비되며 제2 레버(700)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회전 제한 기어(500)와 접함으로써 회전 제한 기어(500)의 회전이 제한될 수 있도록 하는 제1 레버(600)와, 상기 제1 레버(600)의 일측에 구비되며 제3 레버(800)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제1 레버(600)와 접함으로써 제1 레버(600)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제2 레버(700)와, 상기 제2 레버(700)의 일측에 구비되며 기울기 또는 가속도에 따라 제2 레버(700)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제3 레버(80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 프레임(100)은, 육면체와 유사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내부가 중공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다수의 부품을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제1 프레임(100)의 내부에는 샤프트(200)가 구비된다.
상기 샤프트(200)는, 제1 프레임(100)의 내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제1 프레임(100)의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이다.
이러한, 샤프트(200)에는 시트 벨트(미도시)가 결합된다.
상기 시트 벨트는, 샤프트를 축으로 하여 권취 또는 권출되는 것으로, 사용자와 접촉되는 부위이다.
이러한, 시트 벨트가 사용자의 몸을 죔으로써 상황 발생 시 사용자의 보호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황 발생은 차량의 충돌 또는 급정지 또는 센서에 의하여 충돌이 예상될 경우를 의미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샤프트(200)는, 판 스프링 등에 의하여 평상 시에 계속해서 시트 벨트가 권취될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샤프트(200)는 시트 벨트의 권출도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더불어, 샤프트(200)는 제1 프레임(100)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게 구성된다.
그리고, 제1 프레임(100)의 우측(도 1에서)에는 프리텐셔너(300)가 구비된다.
상기 프리텐셔너(300)는, 상황 발생 시 시트 벨트가 되감길 수 있도록 함으로써 탑승자가 시트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프리텐셔너(300)는 상황 발생 시 가스가 발생될 수 있도록 하고, 가스를 통해 내부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볼(미도시)이 이동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샤프트(200)의 강제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처럼, 프리텐셔너(300)는 상황 발생 시 복수개의 볼이 이동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샤프트(200)의 강제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인 만큼, 복수개의 볼은 샤프트(200)의 중심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이는, 샤프트(200)로부터 이격될 수록 볼에 의한 샤프트(200)의 강제 회전이 용이하기 때문이다.
이에,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리텐셔너(300)가 샤프트(200)를 기준으로 좌측)에 위치되게 되고, 상기 제3 레버(800)는 샤프트(200)의 좌측에 위치되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3 레버(800)는 샤프트(200)를 기준으로 하측(도 3에서) 또는 우측에 위치되게 된다.
한편, 프리텐셔너(300)의 우측(도 1에서)에는 제2 프레임(400)이 구비된다.
상기 제2 프레임(400)은, 육면체와 유사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내부가 중공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다수의 부품을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상기 제2 프레임(400)은, 상기 제2 프레임(400)의 내부에 형성되며 제1 레버(600)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제1 회전축(410)과, 상기 제2 프레임(400)의 내부에 형성되며 제1 레버(600)를 이루는 제1 이탈 방지단(640)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제1 이탈 방지홈(420)과, 상기 제2 프레임(400)의 내부에 형성되면서 제1 회전축(410)과는 이격되게 위치되며 제2 레버(700)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제2 회전축(430)과, 상기 제2 프레임(400)의 내부에 형성되며 제2 레버(700)를 이루는 제2 이탈 방지단(740)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제2 이탈 방지홈(44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 회전축(410)은, 제2 프레임(400)의 내측면(프리텐셔너와 인접하는 부위)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제1 레버(600)와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부위이다.
이러한, 제1 회전축(410)의 좌측(도 3에서)에는 제1 이탈 방지홈(420)이 형성된다.
상기 제1 이탈 방지홈(420)은, 제1 회전축(410)의 좌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제1 회전축(410)에 제1 레버(600)가 결합될 경우 제1 레버(600)를 이루는 제1 이탈 방지단(640)의 일부가 내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부위이다.
이러한, 제1 이탈 방지홈(420)은 제2 프레임(400)의 내측면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관통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2 프레임(400)의 내측면에는 제2 회전축(430)이 더 형성된다.
상기 제2 회전축(430)은, 제2 프레임(400)의 내측면(프리텐셔너와 인접하는 부위)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제1 회전축(410)으로부터 우측(도 3에서) 방향으로 이격되게 위치되면서 제2 레버(700)와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부위이다.
이러한, 제2 회전축(430)의 우측(도 3에서)에는 제2 이탈 방지홈(440)이 형성된다.
상기 제2 이탈 방지홈(440)은, 제2 회전축(430)의 우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제2 회전축(430)에 제2 레버(700)가 결합될 경우 제2 레버(700)를 이루는 제2 이탈 방지단(740)의 일부가 내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부위이다.
이러한, 제2 이탈 방지홈(440)은 제2 프레임(400)의 내측면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관통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2 프레임(400)의 내부에는 회전 제한 기어(500)가 구비된다.
상기 회전 제한 기어(500)는, 제2 프레임(400)의 내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샤프트(200)와 결합되는 부위이다.
즉, 회전 제한 기어(500)는 샤프트(200)와 결합됨으로써 샤프트(200)와 함께 회전되는 부위이며, 제2 프레임(400)에 의하여 외부로부터 보호되는 부위이다.
이를 위해, 제2 프레임(400)은 내부의 일부가 구획되게 형성됨으로써 회전 제한 기어(500)가 외부로의 노출이 최소화되면서 제1 레버(600)와의 접촉이 이루어질 수 있게 구성된다.
이러한, 회전 제한 기어(500)는 외륜을 따라 기어 이가 복수개로 형성되는 구성이다.
한편, 회전 제한 기어(500)의 하측(도 3에서)에는 제1 레버(600)가 구비된다.
상기 제1 레버(600)는, 일면에 제1 결합홀(611)이 형성됨으로써 제1 회전축(410)과 결합되는 제1 결합부(610)와, 상기 제1 결합부(610)의 일측에 형성되며 제2 레버(700)의 일부와 접하는 제1 레버 바디(620)와, 상기 제1 레버 바디(620)의 일측에 형성되며 제1 레버 바디(620)의 회전 반경이 줄어들 수 있도록 하면서 회전 제한 기어(500)의 일부와 선택적으로 접하는 제1 접촉부(630)와, 상기 제1 결합부(610)의 다른 일측에 형성되며 제1 결합부(610)가 제1 회전축(410)과 결합되는 과정에서 제1 이탈 방지홈(420)의 내부로 삽입됨으로써 제1 회전축(410)으로부터 제1 결합부(610)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는 제1 이탈 방지단(64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 결합부(610)는, 저면(프리텐셔너와 인접하는 부위)으로부터 상면측으로 제1 결합홀(611)이 형성됨으로써 제1 회전축(410)과 결합되는 부위이다.
이러한, 제1 결합부(610)의 우측(도 5에서)에는 제1 레버 바디(620)가 형성된다.
상기 제1 레버 바디(620)는, 제1 결합부(610)의 우측으로부터 우측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제2 레버 바디(720)와 접하는 부위이다.
즉, 제1 레버 바디(620)는 제2 레버(70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부위이다.
더불어, 상기 제1 레버 바디(620)의 다른 일측에는, 제1 레버 바디(620)와 제2 레버 바디(720)가 접하면서 슬라이딩되는 과정에서 제1 레버 바디(620)로부터 제2 레버 바디(720)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는 돌출단(621)이 형성된다.
상기 돌출단(621)은, 제1 레버 바디(620)의 우측단(도 5에서)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으로, 제2 레버 바디(720)가 제1 레버 바디(62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부위이다.
즉, 제2 레버 바디(720)가 제1 레버 바디(620)의 저면과 접하여 들어올리는 과정에서 제2 레버 바디(720)가 제1 레버 바디(620)의 저면으로부터 우측 방향으로 슬라이딩이 발생되게 되고, 이 슬라이딩 과정에서 제2 레버 바디(720)가 제1 레버 바디(62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그리고, 제1 레버 바디(620)의 상측(도 5에서)에는 제1 접촉부(630)가 형성된다.
상기 제1 접촉부(630)는, 제1 레버 바디(620)의 상측으로부터 우상측(도 5에서)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으로, 회전 제한 기어(500)의 일부와 접하는 부위이다.
이러한, 제1 접촉부(630)는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제1 레버 바디(620)의 회전 반경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한번 더 설명하면, 제1 접촉부(630)가 형성되지 않을 경우 제1 레버 바디(620)는 더 연장되게 형성되어야 하고, 제1 레버 바디(620)가 더 연장되게 형성될 경우에는 제1 레버 바디(620)의 회전 반경을 고려하여 너무 많은 공간을 차지하게 되므로, 제1 접촉부(630)는 이를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여기서, 제1 접촉부(630)는 회전 제한 기어(500)의 이뿌리면에 접촉될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자세히 설명하지 않았으나, 회전 제한 기어(500)의 내륜에는 별도의 기어가 더 형성되고, 회전 제한 기어(500)의 내부에는 회전 제한 기어(500)의 회전 과정에서 저항이 발생될 경우 내륜에 형성되는 기어에 결합됨으로써 회전 제한 기어(500)의 회전이 제한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 추가적으로 더 구비되기 때문이다.
즉, 회전 제한 기어(500)와 제1 레버(600)의 접촉을 통해 회전 제한 기어(500)의 회전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므로, 제1 레버(600)는 회전 제한 기어(500)의 이뿌리면에 접촉함으로써 회전 제한 기어(500)의 회전 과정에서 저항이 발생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또한, 제1 접촉부(630)는 회전 제한 기어(500)의 이뿌리면에 접촉함에 있어서 인접하는 두 기어 이의 중심에 위치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는, 제1 접촉부(630)가 회전 제한 기어(500)의 이뿌리면으로부터 분리되는 과정에서 회전 제한 기어(500)의 기어 이와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회전 제한 기어(500)의 이끝이 이루는 직경의 일단과 회전되지 않은 상태의 제1 레버(600)를 이루는 제1 접촉부(630)의 일단 간의 이격 거리(A)가 0.5 내지 1.5 mm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즉,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제한 기어(500)의 이끝이 이루는 직경의 하단과 회전되지 않은 상태의 제1 레버(600)를 이루는 제1 접촉부(630)의 우측단 간의 이격 거리(A)가 0.5 내지 1.5 mm로 이루어짐이 가장 좋다.
여기서, 이격 거리(A)는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되지 않고 자중에 의하여 제1 레버(600)가 제2 레버(700)와 접한 상태에서 제1 레버(600)를 이루는 제1 접촉부(630)의 우측단과 회전 제한 기어(500)의 이끝이 이루는 직경의 하단(회전 제한 기어의 중심으로부터 하측) 간의 거리를 의미한다.
이는, 차량의 흔들림 또는 기울어짐에 의하여 제1 레버(600)의 유동이 발생되게 되며, 이 유동에 의하여 제1 레버(600)와 회전 제한 기어(500)의 접촉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함께, 제1 접촉부(630)는 회전 제한 기어(500)와 점 접촉될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1 접촉부(630)에 의하여 회전 제한 기어(500)의 회전이 제한될 수 있도록 하는 과정에서 민감도가 향상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제1 결합부(610)의 좌측(도 5에서)에는 제1 이탈 방지단(640)이 형성된다.
상기 제1 이탈 방지단(640)은, 제1 결합부(610)의 좌측으로부터 하측(프리텐셔너와 인접하는 부위)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면서 좌측(도 5에서) 방향으로 절곡되게 형성되는 것이다.
즉, 제1 이탈 방지단(640)의 절곡된 부위가 제1 이탈 방지홈(420)의 내부로 삽입되면서 제1 결합부(610)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1 레버(600)의 우측(도 3에서)에는 제2 레버(700)가 구비된다.
상기 제2 레버(700)는, 일면에 제2 결합홀(711)이 형성됨으로써 제2 회전축(430)과 결합되는 제2 결합부(710)와, 상기 제2 결합부(710)의 일측에 형성되며 제1 레버(600)의 일부 또는 제3 레버(800)의 일부와 접하는 제2 레버 바디(720)와, 상기 제2 레버 바디(720)의 일측에 형성되며 제2 레버 바디(720)의 회전 반경이 줄어들 수 있도록 하면서 제3 레버(800)의 일부와 선택적으로 접하는 제2 접촉부(730)와, 상기 제2 결합부(710)의 다른 일측에 형성되며 제2 결합부(710)가 제2 회전축(430)과 결합되는 과정에서 제2 이탈 방지홈(440)의 내부로 삽입됨으로써 제2 회전축(430)으로부터 제2 결합부(710)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는 제2 이탈 방지단(74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2 결합부(710)는, 저면(프리텐셔너와 인접하는 부위)으로부터 상면측으로 제2 결합홀(711)이 형성됨으로써 제2 회전축(430)과 결합되는 부위이다.
이러한, 제2 결합부(710)의 좌측(도 5에서)에는 제2 레버 바디(720)가 형성된다.
상기 제2 레버 바디(720)는, 제2 결합부(710)의 좌측으로부터 좌측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제1 레버 바디(620)와 접하는 부위이다.
더불어, 상기 제2 레버 바디(720)는, 회전 반경이 줄어들 수 있도록 일단이 제1 레버(600)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즉, 제2 레버 바디(720)의 좌측단(도 5에서)은 좌상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이는 제1 레버 바디(620)에 제1 접촉부(630)가 형성되는 것과 동일한 이유를 갖는다.
이와 함께, 제2 레버 바디(720)의 좌측단(도 5에서)은 제1 레버(600)와 점 접촉될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2 레버 바디(720)에 의하여 제1 레버(600)의 회전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민감도가 향상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제2 레버 바디(720)의 하측(도 5에서)에는 제2 접촉부(730)가 형성된다.
상기 제2 접촉부(730)는, 제2 레버 바디(720)의 하측으로부터 좌하측(도 5에서)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으로, 제3 레버(800)의 일부와 접하는 부위이다.
이러한, 제2 접촉부(730)는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제2 레버 바디(720)의 회전 반경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제2 접촉부(730)는 제3 레버(800)와 점 접촉될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3 레버(800)에 의하여 제2 레버 바디(720)의 회전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민감도가 향상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제2 접촉부(730)는 제3 레버(80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부위이다.
또한, 제2 결합부(710)의 우측(도 5에서)에는 제2 이탈 방지단(740)이 형성된다.
상기 제2 이탈 방지단(740)은, 제2 결합부(710)의 우측으로부터 하측(프리텐셔너와 인접하는 부위)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면서 우측(도 5에서) 방향으로 절곡되게 형성되는 것이다.
즉, 제2 이탈 방지단(740)의 절곡된 부위가 제2 이탈 방지홈(440)의 내부로 삽입되면서 제2 결합부(710)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제2 프레임(400)의 일면에는 자중에 의한 제2 레버(700)의 회전이 제한될 수 있도록 하는 지지단(450)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단(450)은, 제2 프레임(400)의 외측면(프리텐셔너로부터 멀어지는 방항)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제2 레버(700)가 자중에 의한 하측(도 6에서) 방향으로의 회전이 제한될 수 있도록 하는 부위이다.
즉, 제2 레버(700)는 지지단(450)에 의하여 반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이 제한되게 된다.
이는, 제2 레버(700)에 의한 제3 레버(800) 측으로의 가압력이 저감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3 레버(800)의 민감도가 향상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그리고, 상기 제2 레버(700)의 하측(도 3에서)에는 제3 레버(800)가 구비된다.
상기 제3 레버(800)는, 차량의 기울기 또는 가속도에 따라 제2 레버(700)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부위이다.
즉, 제3 레버(800)는 일면에 센서 부재(820)의 수용이 이루어지는 수용홈(811)이 형성되는 제3 레버 바디(810)와, 상기 제3 레버 바디(810)의 내부에 구비되며 수용홈(811)의 내부에서 유동되는 센서 부재(820)와, 상기 센서 부재(820)의 일측에 구비되며 센서 부재(820)의 유동에 따라 제2 레버(700)의 일부와 선택적으로 접하는 제3 접촉 부재(83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3 레버 바디(810)는, 상면(도 4에서)이 개방되면서 내부가 중공되게 형성된 육면체와 유사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제3 레버(800)의 외형을 이루는 부위이다.
이러한, 제3 레버 바디(810)의 내면에는 수용홈(811)이 형성된다.
상기 수용홈(811)은, 제3 레버 바디(810)의 내면 중에서도 하면(도 4에서)의 상측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것으로, 아래로 오목하게 함몰 형성되는 것이다.
즉, 수용홈(811)은 구의 일부와 유사한 형상으로 함몰 형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수용홈(811)의 둘레면 중 어느 하나에는 제3 접촉 부재(830)가 구비된다.
상기 제3 접촉 부재(830)는, 수용홈(811)의 둘레면 중 어느 하나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으로, 센서 부재(820)와 접함으로써 센서 부재(820)의 상측(도 4에서)회전되는 부위이다.
즉, 제3 접촉 부재(830)는 센서 부재(820)에 의하여 회전되고, 제3 접촉 부재(830)가 회전됨에 따라 제2 레버(700)의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구성이다.
한편, 수용홈(811)의 내부에는 센서 부재(820)가 구비된다.
상기 센서 부재(820)는, 제3 레버 바디(810)의 내부 중에서도 수용홈(811)에 위치되는 것으로, 차량의 가속도 또는 기울기 변화에 따라 수용홈(811)의 내부에서 유동되는 부위이다.
이처럼, 센서 부재(820)가 수용홈(811)의 내부에서 유동되는 과정에서 제3 접촉 부재(830)와 접하게 되며, 제3 접촉 부재(830)는 센서 부재(820)의 유동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회전되게 되는 것이다.
물론, 센서 부재(820)는 15˚ 초과 내지 27˚ 미만의 영역에서 제3 접촉 부재(830), 제2 레버(700), 제1 레버(600)의 회전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제3 레버(800)에 의하여 차량의 가속도 또는 기울기 변화에 의하여 제2 레버(700)와 제1 레버(600)가 순차적으로 회전되게 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시트 벨트 리트랙터에서는 제2 레버를 추가로 더 구비함으로써 시트 벨트 리트랙터에 프리텐셔너를 결합하면서도 컴팩트한 구조를 가질 수 있게 된 것이다.
더불어, 본 발명에 의한 시트 벨트 리트랙터에서는 제1 레버에 제1 접촉부가 형성되고, 제2 레버에 제2 접촉부가 형성됨으로써 제1 레버 또는 제2 레버의 회전 반경이 최소화될 수 있게 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시트 벨트 리트랙터에서는 회전 제한 기어의 이끝이 이루는 직경의 하단과 제1 레버를 이루는 제1 접촉부의 우측단이 이루는 직경의 상단 간의 이격 거리가 0.5 내지 1.5 mm로 이루어짐으로써 의도치 않게 회전 제한 기어의 회전이 이루어지는 현상은 방지될 수 있게 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 범위 안에서 당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100. 제1 프레임 200. 샤프트
300. 프리텐셔너 400. 제2 프레임
410. 제1 회전축 420. 제1 이탈 방지홈
430. 제2 회전축 440. 제2 이탈 방지홈
450. 지지단 500. 회전 제한 기어
600. 제1 레버 610. 제1 결합부
611. 제1 결합홀 620. 제1 레버 바디
621. 돌출단 630. 제1 접촉부
640. 제1 이탈 방지단 700. 제2 레버
710. 제2 결합부 711. 제2 결합홀
720. 제2 레버 바디 730. 제2 접촉부
740. 제2 이탈 방지단 800. 제3 레버
810. 제3 레버 바디 811. 수용홈
820. 센서 부재 830. 제3 접촉 부재

Claims (5)

  1. 다수의 부품을 지지하는 제1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의 내부에 구비되며, 시트 벨트와 결합됨으로써 시트 벨트의 권취 또는 권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샤프트;
    상기 제1 프레임의 일측에 구비되며, 차량의 충돌 또는 급정지 또는 센서에 의하여 충돌이 예상될 경우 시트 벨트가 되감길 수 있도록 하는 프리텐셔너;
    상기 프리텐셔너의 일측에 구비되며, 다수의 부품을 지지하는 제2 프레임;
    상기 제2 프레임의 일측 또는 내부에 구비되며, 외륜을 따라 기어 이가 형성되면서 샤프트와 결합됨으로써 함께 회전되는 회전 제한 기어;
    상기 회전 제한 기어의 일측에 구비되며, 제2 레버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회전 제한 기어와 접함으로써 회전 제한 기어의 회전이 제한될 수 있도록 하는 제1 레버;
    상기 제1 레버의 일측에 구비되며, 제3 레버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제1 레버와 접함으로써 제1 레버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제2 레버;
    상기 제2 레버의 일측에 구비되며, 기울기 또는 가속도에 따라 제2 레버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제3 레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벨트 리트랙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프레임은,
    상기 제2 프레임의 내부에 형성되며, 제1 레버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제1 회전축;
    상기 제2 프레임의 내부에 형성되며, 제1 레버를 이루는 제1 이탈 방지단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제1 이탈 방지홈;
    상기 제2 프레임의 내부에 형성되면서 제1 회전축과는 이격되게 위치되며, 제2 레버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제2 회전축;
    상기 제2 프레임의 내부에 형성되며, 제2 레버를 이루는 제2 이탈 방지단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제2 이탈 방지홈;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벨트 리트랙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레버는,
    일면에 제1 결합홀이 형성됨으로써 제1 회전축과 결합되는 제1 결합부;
    상기 제1 결합부의 일측에 형성되며, 제2 레버의 일부와 접하는 제1 레버 바디;
    상기 제1 레버 바디의 일측에 형성되며, 제1 레버 바디의 회전 반경이 줄어들 수 있도록 하면서 회전 제한 기어의 일부와 선택적으로 접하는 제1 접촉부;
    상기 제1 결합부의 다른 일측에 형성되며, 제1 결합부가 제1 회전축과 결합되는 과정에서 제1 이탈 방지홈의 내부로 삽입됨으로써 제1 회전축으로부터 제1 결합부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는 제1 이탈 방지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벨트 리트랙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레버는,
    일면에 제2 결합홀이 형성됨으로써 제2 회전축과 결합되는 제2 결합부;
    상기 제2 결합부의 일측에 형성되며, 제1 레버의 일부 또는 제3 레버의 일부와 접하는 제2 레버 바디;
    상기 제2 레버 바디의 일측에 형성되며, 제2 레버 바디의 회전 반경이 줄어들 수 있도록 하면서 제3 레버의 일부와 선택적으로 접하는 제2 접촉부;
    상기 제2 결합부의 다른 일측에 형성되며, 제2 결합부가 제2 회전축과 결합되는 과정에서 제2 이탈 방지홈의 내부로 삽입됨으로써 제2 회전축으로부터 제2 결합부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는 제2 이탈 방지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벨트 리트랙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제한 기어의 이끝이 이루는 직경의 일단과 회전되지 않은 상태의 제1 레버를 이루는 제1 접촉부의 일단 간의 이격 거리가 0.5 내지 1.5 mm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벨트 리트랙터.
KR1020220112144A 2022-09-05 2022-09-05 시트 벨트 리트랙터 KR2024003346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2144A KR20240033468A (ko) 2022-09-05 2022-09-05 시트 벨트 리트랙터
PCT/KR2023/012776 WO2024053920A1 (ko) 2022-09-05 2023-08-29 시트 벨트 리트랙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2144A KR20240033468A (ko) 2022-09-05 2022-09-05 시트 벨트 리트랙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3468A true KR20240033468A (ko) 2024-03-12

Family

ID=90191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2144A KR20240033468A (ko) 2022-09-05 2022-09-05 시트 벨트 리트랙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33468A (ko)
WO (1) WO2024053920A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8839B1 (ko) 1992-09-07 2000-05-01 나카하라 도시미쓰 시트벨트용 리트랙터
KR100255445B1 (ko) 1997-12-09 2000-08-01 정몽규 승객 보호용 시트 벨트 록킹장치
KR101684981B1 (ko) 2014-10-10 2016-12-09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차량용 시트벨트 프리텐셔너 장치
KR101718691B1 (ko) 2015-10-27 2017-03-22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프리텐셔너
KR101766841B1 (ko) 2015-07-27 2017-08-09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프리텐셔너 장치
KR102184227B1 (ko) 2018-05-09 2020-11-27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96603B2 (ja) * 2013-06-04 2017-03-15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
JP6438425B2 (ja) * 2016-03-28 2018-12-12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シートベルト用リトラクタ
KR102024048B1 (ko) * 2018-12-31 2019-09-24 주식회사 우신세이프티시스템 자세 제어가 가능한 가변차량센서를 구비하는 안전벨트 리트랙터
KR102573808B1 (ko) * 2021-02-26 2023-09-04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차량 센서 장치 및 그가 적용된 시트벨트 리트랙터
KR102439218B1 (ko) * 2021-11-30 2022-09-01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차량 센서 장치 및 그가 적용된 시트벨트 리트랙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8839B1 (ko) 1992-09-07 2000-05-01 나카하라 도시미쓰 시트벨트용 리트랙터
KR100255445B1 (ko) 1997-12-09 2000-08-01 정몽규 승객 보호용 시트 벨트 록킹장치
KR101684981B1 (ko) 2014-10-10 2016-12-09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차량용 시트벨트 프리텐셔너 장치
KR101766841B1 (ko) 2015-07-27 2017-08-09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프리텐셔너 장치
KR101718691B1 (ko) 2015-10-27 2017-03-22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프리텐셔너
KR102184227B1 (ko) 2018-05-09 2020-11-27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53920A1 (ko) 2024-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750101B2 (ja) シートベルトウェブ・リトラクタ
US5882084A (en) Tilt locking seat belt retractor
KR101766844B1 (ko) 차량센서를 갖는 안전벨트 리트랙터
US4467981A (en) Webbing retractor
US9358951B2 (en) Seatbelt retractor
JPH01307671A (ja) 加速度感応装置
US6015164A (en) Seat belt device
JP3727514B2 (ja) ウェビング巻取装置
JP3455426B2 (ja) 加速度センサ
US10919489B2 (en) Seatbelt retractor
US20020005449A1 (en) Webbing retractor
US9499123B2 (en) Assembly for a belt retractor
US7770836B2 (en) Locking unit for seat belt retractor
US6254191B1 (en) Seatbelt retractor
JP4864139B2 (ja)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
CN103522979B (zh) 安全带卷取装置
KR20240033468A (ko) 시트 벨트 리트랙터
US20050224623A1 (en) Webbing retractor
JP6096603B2 (ja)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
JPH0585305A (ja)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
KR102573808B1 (ko) 차량 센서 장치 및 그가 적용된 시트벨트 리트랙터
CN103921757A (zh) 安全带卷取装置
JP3957111B2 (ja) 加速度センサ
KR100471028B1 (ko) 자동차 시트벨트의 리트랙터 장치
US5390874A (en) Vehicle sensitive retra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