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40164A - 안전 벨트 보조 장치 - Google Patents

안전 벨트 보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40164A
KR20190140164A KR1020180066603A KR20180066603A KR20190140164A KR 20190140164 A KR20190140164 A KR 20190140164A KR 1020180066603 A KR1020180066603 A KR 1020180066603A KR 20180066603 A KR20180066603 A KR 20180066603A KR 20190140164 A KR20190140164 A KR 201901401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belt
auxiliary
main
connection
faste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66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영용
Original Assignee
유영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영용 filed Critical 유영용
Priority to KR10201800666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40164A/ko
Publication of KR201901401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401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0Coupling devices other than buckles, including length-adjusting fittings or anti-slip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03Adaptations for seat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or animals
    • B60R22/105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or animals for childr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48Control systems, alarms, or interlock systems, for the correct application of the belt or harn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에 장착된 안전 벨트를 어린이도 사용할 수도 있도록 한 안전 벨트 보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그 기술적 과제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안전 벨트 보조 장치는, 사용자의 가슴을 경사져 가로지르는 사선부와, 사용자의 배를 가로지르는 가로부와, 그리고 상기 사선부와 상기 가로부가 만나는 지점에 위치되며 시트 측에 고정된 메인 소켓부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메인 체결부를 포함한 3점식 안전 벨트에 연장되어 사용되는 안전 벨트 보조 장치로, 상기 메인 체결부가 삽입되어 체결되는 보조 소켓부; 상기 메인 소켓부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보조 체결부; 및 상기 보조 소켓부와 상기 보조 체결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안전 벨트 보조 장치{Seat belt assis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자동차의 안전 벨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안전 벨트는, 차량 주행 중 탑승객의 위치를 가능한 한 시트에 고정하는 것으로, 이것을 장착하므로 충돌시 등의 충격력 때문에 발생하는 2차적인 상해를 줄이는 것이다. 이러한 안전 벨트는, 지지하는 점의 수에 따라 2점식에서 레이스용에 사용되는 6점식까지 대별되고 있으며, 허리와 어깨를 동시에 지지하는 3점식 안전벨트가 보편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기존의 3점식 안전 벨트는, 제1 점에서 제3 점으로 사용자의 가슴을 경사져 가로지르는 사선부와, 제2 점에서 상기 제3 점으로 사용자의 골반을 가로지르는 직선부와, 그리고 상기 제3 점을 이루며 시트 측에 고정된 소켓부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체결부를 포함한다. 특히, 센터필러(center pillar)하부에 설치되어 안전 벨트를 풀었을 때 자동적으로 벨트를 감는 장치인 벨트 리트랙터에 의해 차량이 감속되거나 방향변화가 생긴 경우 안전 벨트를 록킹하여 탑승객을 시트에 고정시켜 줄 수 있다.
하지만, 기존의 3점식 안전 벨트는, 통상 어른을 기준으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시트에 어린이가 착석한 경우 안전 벨트의 사선부가 얼굴에 걸리는 등 어린이가 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소켓부가 시트 사이에 묻혀 있어 안전벨트 착용이 불편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자동차에 장착된 안전 벨트를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어린이도 사용할 수도 있도록 한 안전 벨트 보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 벨트 보조 장치는, 사용자의 가슴을 경사져 가로지르는 사선부와, 사용자의 골반을 가로지르는 가로부와, 그리고 상기 사선부와 상기 가로부가 만나는 지점에 위치되며 시트 측에 고정된 메인 소켓부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메인 체결부를 포함한 3점식 안전 벨트를 어린이의 앉은 키에 맞게 위치시키기 위한 안전 벨트 보조 장치로, 상기 메인 체결부가 삽입되어 체결되는 보조 소켓부; 상기 메인 소켓부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보조 체결부; 및 상기 보조 소켓부와 상기 보조 체결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보조 소켓부에 구비되는 연결 몸체; 상기 연결 몸체의 내부에 일단이 구비되고 타단이 상기 보조 체결부에 구비되는 연결 스트랩; 및 상기 연결 스트랩의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길이 조절부는, 상기 연결 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연결 스트랩이 감기는 회전축; 상기 연결 몸체에 일단이 구비되고 타단이 회전축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축에 감기는 힘을 제공하는 감김용 탄성체; 상기 회전축과 같은 회전 중심을 가지며 상기 회전축에 고정되고 외주면에 복수의 골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록킹 기어; 상기 연결 몸체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골에 끼워져 상기 회전축의 회전을 정지시키거나 상기 골에서 떨어져 상기 회전축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록킹 걸이; 및 상기 연결 몸체와 상기 록킹 걸이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록킹 걸이가 상기 골에 끼워지도록 상기 록킹 걸이를 이동시키는 록킹용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잠김용 탄성체는 스파이럴 스프링(spiral spring) 일 수 있다.
상기 록킹용 탄성체는 압축 스프링(compression spring)일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 벨트 보조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보조 소켓부와, 보조 체결부와, 그리고 연결부를 포함하고, 보조 소켓부는 자동차의 3점식 안전 벨트의 메인 체결부가 이에 삽입되어 체결되고, 보조 체결부는 자동차의 3점식 안전 벨트의 메인 소켓부에 삽입되어 체결되며, 그리고 연결부는 보조 소켓부와 보조 체결부를 연결하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자동차의 3점식 안전 벨트의 메인 체결부와 메인 소켓부 사이에 본 발명의 안전 벨트 보조 장치를 구비하는 것으로 사선부가 어린이의 얼굴에 걸리지 않고 어린이의 가슴을 가로지를 수 있어, 어른에게 맞게 제작된 기존의 3점식 안전 벨트를 어린이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자동차의 운전석을 포함한 앞자리의 안전벨트의 메인 소켓부는 좁은 시트 사이 밑에 있어 안전벨트 착용이 불편하지만 본 발명의 안전 벨트 보조 장치를 연결해 놓으면 보조 소켓부가 시트 위로 고정이 되어 어린이뿐만 아니라 성인에게 있어서도 안전벨트 체결이 쉽고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어린이용 카 시트 이용시에도 카 시트의 높이 때문에 상대적으로 더 낮아지게 되는 메인 소켓부에 본 발명의 안전 벨트 보조 장치를 연결하여 카 시트 위로 연장시킬 경우 어린이도 스스로 착용할 수 있다.
또한, 유아용 카 시트 이용시 뒤로 보기로 장착 할 때 기존 안전벨트가 짧아 장착이 어려운 경우에도 본 발명의 안전 벨트 보조 장치를 연장시켜 용이하게 장착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안전 벨트 보조 장치는 사이즈가 작고 휴대가 간편해 대중교통 이용시에도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벨트 보조 장치가 3점식 안전 벨트에 장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안전 벨트 보조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안전 벨트 보조 장치 중 연결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부분 절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벨트 보조 장치가 3점식 안전 벨트에 장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안전 벨트 보조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그리고 도 3은 도 2의 안전 벨트 보조 장치 중 연결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부분 절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벨트 보조 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가슴을 경사져 가로지르는 사선부(11)와, 사용자의 골반을 가로지르는 가로부(12)와, 그리고 사선부(11)와 가로부(12)가 만나는 지점에 위치되며 시트 측에 고정된 메인 소켓부(14)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메인 체결부(13)를 포함한 3점식 안전 벨트를 어린이의 앉은 키에 맞게 위치시키기 위한 안전 벨트 보조 장치로, 보조 소켓부(110)와, 보조 체결부(120)와, 그리고 연결부(130)를 포함한다.
보조 소켓부(110)는, 본 발명의 안전 벨트 보조 장치(100)를 자동차의 3점식 안전 벨트에 체결하기 위한 구성요소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의 3점식 안전 벨트의 메인 체결부(13)가 이에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다.
이러한 보조 소켓부(110)는, 통상적인 자동차의 3점식 안전 벨트의 메인 소켓부와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즉, 보조 소켓부(110)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메인 체결부에 형성된 체결공에 걸리도록 그 내부에 탄성적으로 지지된 걸이 부재와 이와 연동되며 그 외부에 구비되는 누름 버튼을 포함하는 메커니즘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메인 체결부를 보조 소켓부에 끼워 넣으면 걸이 부재가 먼저 후퇴되고 나서 걸이 부재에 체결공이 위치되면 걸이 부재가 탄성에 의해 이동되면서 체결공에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고, 사용자가 누름 버튼을 누르면 걸이 부재가 체결공으로부터 나오게 되어 메인 체결부를 뺄 수 있다.
보조 체결부(120)는, 상술한 보조 소켓부(110)와 함께 본 발명의 안전 벨트 보조 장치(100)를 자동차의 3점식 안전 벨트에 체결하기 위한 구성요소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의 3점식 안전 벨트의 메인 소켓부(14)에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다. 참고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소켓부(14)는 시트 측에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보조 체결부(120)는, 통상적인 자동차의 3점식 안전 벨트의 메인 체결부(13)와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즉, 보조 체결부(12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121)와 이에 관통되는 체결공(122)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130)는, 보조 소켓부(110)와 보조 체결부(120)를 연결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이하, 도 3을 계속 참조하여, 연결부(130)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연결부(1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몸체(131), 연결 스트랩(strap)(132), 그리고 길이 조절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몸체(131)는 보조 소켓부(110)의 말단에 연장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고, 연결 스트랩(132)은 연결 몸체(131)의 내부에 그 일단이 구비되고 그 타단이 보조 체결부(120)에 구비될 수 있으며, 그리고 길이 조절부(133)는 연결 스트랩(132)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구성요소로, 아래와 같은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길이 조절부(133)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133a), 감김용 탄성체(133b), 록킹 기어(133c), 록킹 걸이(133d), 그리고 록킹용 탄성체(133e)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회전축(133a)은 연결 몸체(131)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이에 연결 스트랩(132)이 감길 수 있다. 감김용 탄성체(133b)는, 연결 몸체(131)에 그 일단이 구비되고 그 타단이 회전축(133a)에 구비되어 회전축(133a)에 감기는 힘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외력(사용자가 당기는 힘)에 의해 연결 스트랩(132)이 풀리는 동안에는 감김용 탄성체(133b)가 복원력을 보유하게 되고, 외력이 제거되면 감김용 탄성체(133b)의 복원력에 의해 회전축(133a)이 반대로 회전되면서 연결 스트랩(132)을 권취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감김용 탄성체(133b)는 스파이럴 스프링(spiral spring) 일 수 있다.
록킹 기어(133c)와 록킹 걸이(133d)와 그리고 록킹용 탄성체(133e)는, 연결 스트랩(132)의 길이를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록킹 기어(133c)는 회전축(133a)과 같은 회전 중심을 가지며 회전축(133a)에 고정되고 외주면에 복수의 골(V1)이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다.
록킹 걸이(133d)는, 골(V1)에 끼워져 회전축(133a)의 회전을 정지시키거나 골(V1)에서 떨어져 회전축(133a)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연결 몸체(131)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참고로, 록킹 걸이(133d)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연결 몸체의 외면에 구비되는 슬라이더와 연동되게 구비될 수 있고, 슬라이더는 사용자에 의해 전후 이동 가능하게 놓일 수 있다.
록킹용 탄성체(133e)는, 연결 몸체(131)와 록킹 걸이(133d) 사이에 구비되며 사용자가 슬라이더(미도시)에서 손을 때면 록킹 걸이(133d)가 골(V1)에 끼워지도록 록킹 걸이(133d)를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록킹용 탄성체(133e)는 압축 스프링(compression spring)일 수 있다. 즉, 록킹용 탄성체(133e)는, 평상시 압축된 상태에 있다가 사용자가 슬라이더(미도시)를 뒤로 밀면 그 길이가 길어지면서 복원력을 보유할 수 있고, 사용자가 슬라이더에서 손을 때면 그 복원력에 의해 압축되면서 록킹 걸이(133d)가 골(V1)에 끼워지도록 록킹 걸이(133d)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벨트 보조 장치(100)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보조 소켓부(110)와, 보조 체결부(120)와, 그리고 연결부(130)를 포함하고, 보조 소켓부(110)는 자동차의 3점식 안전 벨트의 메인 체결부(13)가 이에 삽입되어 체결되고, 보조 체결부(120)는 자동차의 3점식 안전 벨트의 메인 소켓부(14)에 삽입되어 체결되며, 그리고 연결부(130)는 보조 소켓부(110)와 보조 체결부(120)를 연결하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자동차의 3점식 안전 벨트의 메인 체결부(13)와 메인 소켓부(14) 사이에 본 발명의 안전 벨트 보조 장치(100)를 구비하는 것으로 사선부(11)가 어린이의 얼굴에 걸리지 않고 어린이의 가슴을 가로지를 수 있어, 어른에게 맞게 제작된 기존의 3점식 안전 벨트를 어린이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자동차의 운전석을 포함한 앞자리의 안전벨트의 메인 소켓부(14)는 좁은 시트 사이 밑에 있어 안전벨트 착용이 불편하지만 본 발명의 안전 벨트 보조 장치(100)를 연결해 놓으면 보조 소켓부(110)가 시트 위로 고정이 되어 어린이뿐만 아니라 성인에게 있어서도 안전벨트 체결이 쉽고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어린이용 카 시트 이용시에도 카 시트의 높이 때문에 상대적으로 더 낮아지게 되는 메인 소켓부(14)에 본 발명의 안전 벨트 보조 장치(100)를 연결하여 카 시트 위로 연장시킬 경우 어린이도 스스로 착용할 수 있다.
또한, 유아용 카 시트 이용시 뒤로 보기로 장착 할 때 기존 안전벨트가 짧아 장착이 어려운 경우에도 본 발명의 안전 벨트 보조 장치(100)를 연장시켜 용이하게 장착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안전 벨트 보조 장치(100)는 사이즈가 작고 휴대가 간편해 대중교통 이용시에도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1: 사선부 12: 가로부
13: 메인 체결부 14: 메인 소켓부
100: 안전 벨트 보조 장치
110: 보조 소켓부 120: 보조 체결부
130: 연결부 131: 연결 몸체
132: 연결 스트랩 133: 길이 조절부
133a: 회전축 133b: 감김용 탄성체
133c: 록킹 기어 133d: 록킹 걸이
133e: 록킹용 탄성체

Claims (3)

  1. 사용자의 가슴을 경사져 가로지르는 사선부와, 사용자의 골반을 가로지르는 가로부와, 그리고 상기 사선부와 상기 가로부가 만나는 지점에 위치되며 시트 측에 고정된 메인 소켓부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메인 체결부를 포함한 3점식 안전 벨트에 연장되어 사용되는 안전 벨트 보조 장치로,
    상기 메인 체결부가 삽입되어 체결되는 보조 소켓부;
    상기 메인 소켓부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보조 체결부; 및
    상기 보조 소켓부와 상기 보조 체결부를 연결하는 연결부;
    를 포함하는
    안전 벨트 보조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보조 소켓부에 구비되는 연결 몸체;
    상기 연결 몸체의 내부에 일단이 구비되고 타단이 상기 보조 체결부에 구비되는 연결 스트랩; 및
    상기 연결 스트랩의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 조절부;
    를 포함하는
    안전 벨트 보조 장치.
  3. 제2항에서,
    상기 길이 조절부는,
    상기 연결 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연결 스트랩이 감기는 회전축;
    상기 연결 몸체에 일단이 구비되고 타단이 회전축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축에 감기는 힘을 제공하는 감김용 탄성체;
    상기 회전축과 같은 회전 중심을 가지며 상기 회전축에 고정되고 외주면에 복수의 골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록킹 기어;
    상기 연결 몸체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골에 끼워져 상기 회전축의 회전을 정지시키거나 상기 골에서 떨어져 상기 회전축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록킹 걸이; 및
    상기 연결 몸체와 상기 록킹 걸이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록킹 걸이가 상기 골에 끼워지도록 상기 록킹 걸이를 이동시키는 록킹용 탄성체;
    를 포함하는
    안전 벨트 보조 장치.
KR1020180066603A 2018-06-11 2018-06-11 안전 벨트 보조 장치 KR201901401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6603A KR20190140164A (ko) 2018-06-11 2018-06-11 안전 벨트 보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6603A KR20190140164A (ko) 2018-06-11 2018-06-11 안전 벨트 보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0164A true KR20190140164A (ko) 2019-12-19

Family

ID=69056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6603A KR20190140164A (ko) 2018-06-11 2018-06-11 안전 벨트 보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4016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3219B1 (ko) * 2022-12-08 2023-06-14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 내 탑승자 가슴 착용 안전벨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3219B1 (ko) * 2022-12-08 2023-06-14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 내 탑승자 가슴 착용 안전벨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294966B (zh) 将儿童安全座椅连接在车座上的装置和方法
JPH0440988Y2 (ko)
KR20010033138A (ko) 아동 구속 시트 안전 벨트 조립체
US20240123941A1 (en) Safety belt automatic adjustment apparatus and child safety seat therewith
EP1253052A1 (en) Safety belt webbing with tongue stop
KR20190140164A (ko) 안전 벨트 보조 장치
KR200177910Y1 (ko) 유아 보호용 4점식 시트벨트
CN111669987B (zh) 肩带定位器
JPH10157564A (ja) 子供用保持装置
KR102168231B1 (ko) 자동차의 시트벨트 고정장치
KR100285806B1 (ko)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웨빙 가이드
KR100534449B1 (ko) 시트벨트 텅 수납 및 웨빙가이드 위치 고정장치
KR100488880B1 (ko) 자동차용 시트벨트 웨빙 가이드 장치
JP2002046577A (ja) チヤイルドシート用ベルト調節器具
KR200157227Y1 (ko) 차량시트의 헤드레스트겸 아동용 안전밸트
KR100471317B1 (ko) 유아용 리어 시트
KR100513678B1 (ko) 차량용 4점 지지 시트벨트
JPH0421724Y2 (ko)
JPH0224354Y2 (ko)
US20150028651A1 (en) Combination Structure of Safety Vest and Safety Belt for Vehicle Seat
KR19980015516A (ko) 시트벨트 리트렉터의 스톱퍼장치
JP2002219977A (ja) 車・座席基盤とフック・ホルダー付き補助具
KR19980048725U (ko) 시트벨트장치
JPH0715426U (ja) 車輛装備の既存シートベルトを利用する子供用安全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