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1632B1 - 차량 센서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센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1632B1
KR102551632B1 KR1020210168778A KR20210168778A KR102551632B1 KR 102551632 B1 KR102551632 B1 KR 102551632B1 KR 1020210168778 A KR1020210168778 A KR 1020210168778A KR 20210168778 A KR20210168778 A KR 20210168778A KR 102551632 B1 KR102551632 B1 KR 1025516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wobble gear
sensor device
webbing
steering di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87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81073A (ko
Inventor
문찬기
홍현기
유병개
김택춘
Original Assignee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filed Critical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Priority to KR10202101687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1632B1/ko
Publication of KR202300810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10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16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16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36Belt retractors, e.g. reels self-locking in an emergency
    • B60R22/40Belt retractors, e.g. reels self-locking in an emergency responsive only to vehicle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3416Unlocking devices for retra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36Belt retractors, e.g. reels self-locking in an emergency
    • B60R22/41Belt retractors, e.g. reels self-locking in an emergency with additional means for preventing locking during unwinding under predetermined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차량 센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시트에 설치되는 시트벨트 리트랙터에 설치되어 웨빙의 인출을 구속하도록 동작하는 파일롯 레버의 구조적인 변경에 따라 파일롯 레버와 연동하는 락캔슬러 레버와 에이엘알 레버의 구조적인 설계 및 작동 메카니즘을 변경하여 락캔슬러 레버와 에이엘알 레버가 정확하게 작동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차량 센서 장치{VEHICLE SENSOR DEVICE}
본 발명은 차량 센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락캔슬러 레버와 에이엘알 레버를 구비한 차량 센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탑승자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좌석에 시트벨트 안전 장치가 구비된다.
상기 시트벨트 안전 장치는 탑승자를 고정시켜 주는 띠 형태의 시트벨트 웨빙(이하 '웨빙'이라 함)을 스풀에 권취하거나 인출 가능하게 작동하는 리트랙터와 웨빙의 일단부에 고정된 텅이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는 버클로 이루어진다.
상기 리트랙터는 차량의 사고 등으로 인한 급정차 또는 급가속시, 시트벨트를 착용한 탑승자가 주행 관성 등으로 인해 전방으로 튕겨 나가거나 시트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리트랙터는 시트벨트 착용시 정상 상태에서는 웨빙의 인출을 허용하나, 차량 충돌 등으로 인해 웨빙의 인출 가속도 또는 차량의 기울기 변화가 검출되면 더 이상의 웨빙의 인출을 억제하는 장치 및 웨빙의 느슨함이나 처짐, 즉 슬랙(slack)을 줄여주는 비상 텐셔닝 장치와 프리 텐셔닝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기의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에는 시트벨트 웨빙의 인출 및 인입 동작을 제어하는 리트랙터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한편, 시트벨트 리트랙터에는 자동차의 충돌 발생 시와 같이, 수평 방향으로 소정치 보다 큰 가속도가 작용하거나 차량의 기울기가 변화하면, 시트벨트의 잠금장치를 작동시켜 웨빙의 인출이 불가능하게 하도록, 상기 가속도나 기울기를 검출하는 차량 센서가 적용된다.
상기 차량 센서에 사용되는 관성체로서 볼을 사용한 것이나 자립 관성체를 사용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차량 센서는 웨빙의 정상적인 감속도보다 높은 감속도 또는 기울기가 차량에 적용되는 위험 상황에서 움직이는 관성체와, 관성체에 의해 이동되어 시트벨트 리트랙터의 스풀과 함께 회전하는 제어 디스크의 외부 치형부와 상호 작용하는 센서 레버를 포함한다.
이러한 시트벨트 리트랙터는 차체, 예컨대 차량의 센터 필러, 시트의 등받이, 후방 필러 등에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시트벨트 리트랙터의 마운팅 자세는 센터 필러, 시트의 등받이, 후방 필러 등의 구조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시트벨트 리트랙터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종래기술에 따른 시트벨트 리트렉터(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벨트 웨빙(이하 '웨빙'이라 약칭함)(2)이 감기는 스핀들(3), 차량의 기울기와 가속도 및 웨빙 인출 가속도를 감지하는 센서유닛(4), 차량 충돌 발생시 웨빙(2)을 감아 슬랙을 줄여주는 비상 텐셔닝 유닛(5) 및 차량의 정상 주행시 웨빙(2)을 원활하게 인출하고 충돌 발생 직전에 웨빙(2)을 감아 슬랙을 줄여주는 프리 텐셔닝 유닛(6)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유닛(4)은 차량의 충돌로 인한 웨빙의 인출 가속도 변화 또는 차량의 기울기와 가속도 변화를 감지한다.
비상 텐셔닝 유닛(5)은 차량의 충돌을 감지한 감지 신호에 의해 화약이 내장된 인플레이터(도면 미도시)를 작동시켜 발생하는 가스의 압력을 이용해서 웨빙(2)을 스핀들(3)에 감아준다. 따라서 비상 텐셔닝 유닛(5)은 차량 충돌시 웨빙(2)을 감아서 웨빙(2)의 슬랙을 감소시켜 승객의 상해치를 감소시킬 수 있다.
프리 텐셔닝 유닛(6)은 차량에 적용된 센서를 통해 차량의 충돌이 예측되는 경우, 정역 회전이 가능한 모터를 구동해서 웨빙(2)을 스핀들에 감아준다. 즉, 프리 텐셔닝 유닛(6)은 정상적인 주행 상황일 때, 사고의 발생 없이도 차량의 더 강한 가속 또는 감속이 발생할 때까지, 착용된 웨빙(2)을 팽팽하게 유지시키며 웨빙(2)이 느슨해질 가능성을 방지하고, 차량의 충돌 직전에 웨빙(2)을 감아서 웨빙(2)의 슬랙을 감소시켜 승객의 상해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여기서, 스핀들(3)은 고정프레임(7)의 내부에 설치되고, 센서유닛(4)과 비상 텐셔닝 유닛(5) 및 프리 텐셔닝 유닛(6)은 고정프레임(7)의 양측에 배치되며, 각 유닛의 외측에는 좌측과 우측 하우징(8,9)이 결합된다.
즉, 각 유닛(4, 5, 6)은 스핀들(2)의 양측에 횡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시트벨트 리트랙터에 있어서, 시트벨트 리트랙터는 차량 센서를 갖는 리트랙터가 시트의 등받이에 장착되기 때문에 상기 차량 센서가 차량의 기울기와 가속도 변화를 감지해야 할 뿐만 아니라 시트의 기울기도 감지하여 정확한 작동이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상기 차량 센서에 구비되어 시트벨트의 인출을 구속하는 파일롯 레버를 직선왕복 운동으로 구조적인 설계가 변경되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파일롯 레버의 구조적인 변경에 따라 파일롯 레버와 연동하여 작동하는 락캔슬러 레버와 에이엘알 레버의 구조적인 설계 및 작동 메카니즘을 변경하여 정확하게 작동할 수 있는 락캔슬러 레버와 에이엘알 레버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미국 특허번호 6,499,554호 (2002년 12월 31일 등록) 미국 특허번호 6,443,382호 (2002년 9월 3일 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차량의 시트에 설치되는 시트벨트 리트랙터에 설치되어 웨빙의 인출을 구속하도록 동작하는 파일롯 레버의 구조적인 변경에 따라 파일롯 레버와 연동하여 작동하는 락캔슬러 레버와 에이엘알 레버의 구조적인 설계 및 작동 메카니즘을 변경하여 락캔슬러 레버와 에이엘알 레버가 정확하게 작동할 수 있는 차량 센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센서 장치는 바디와, 차량의 기울기 및 가속도 변화에 따라 센서 하우징 내부에서 외부로 인입출되도록 직선 왕복 운동하는 파일롯 레버를 포함하는 차량 센서 장치로서, 상기 바디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파일롯 레버와의 접촉에 의하여 회전 운동이 구속되어 웨빙의 인출 동작이 정지되도록 하는 스티어링 디스크와; 상기 바디의 판면을 기준으로 상기 스티어링 디스크의 대향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와블 기어와; 상기 스티어링 디스크와 상기 와블 기어의 중심에 체결되어 상기 스티어링 디스크(100)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하면서 상기 와블 기어와의 접촉면에서의 마찰에 의하여 상기 와블 기어가 회전되도록 하는 스프링 카세트 축과; 상기 바디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와블 기어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스티어링 디스크와 상기 파일롯 레버와의 접촉을 해지시키고 상기 파일롯 레버의 직선왕복 운동을 방지하여 상기 스티어링 디스크가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락캔슬러 레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센서 장치는 차량의 시트에 설치되는 시트벨트 리트랙터에 설치되어 웨빙의 인출을 구속하도록 동작하는 파일롯 레버의 구조적인 변경에 따라 파일롯 레버와 연동하여 작동하는 락캔슬러 레버와 에이엘알 레버의 구조적인 설계 및 작동 메카니즘을 변경하여 락캔슬러 레버와 에이엘알 레버가 정확하게 작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시트벨트를 사용함에 있어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센서 장치는 차량의 시트에 시트벨트를 이용하여 유아용 카시트와 같은 물품을 고정시에 편리하게 설치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시트벨트를 이용하여 유아용 카시트와 같은 물품을 시트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시트벨트 리트랙터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센서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센서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센서 장치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5a와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센서 장치의 락캔슬러 레버가 작동하는 과정을 도시한 작동도이고,
도 6a와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센서 장치의 에이엘알 레버가 작동하는 과정을 도시한 작동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 센서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센서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센서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센서 장치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5a와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센서 장치의 락캔슬러 레버가 작동하는 과정을 도시한 작동도이고, 도 6a와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센서 장치의 에이엘알 레버가 작동하는 과정을 도시한 작동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센서 장치는, 바디(10)와, 차량의 기울기 및 가속도 변화에 따라 센서 하우징(20) 내부에서 외부로 인입출되도록 직선 왕복 운동하는 파일롯 레버(30)를 포함하는 차량 센서 장치로서, 상기 바디(1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파일롯 레버(30)와의 접촉에 의하여 회전 운동이 구속되어 웨빙의 인출 동작이 정지되도록 하는 스티어링 디스크(100)와; 상기 바디(10)의 판면을 기준으로 상기 스티어링 디스크(100)의 대향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와블 기어(200)와; 상기 스티어링 디스크(100)와 상기 와블 기어(200)의 중심에 체결되어 상기 스티어링 디스크(100)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하면서 상기 와블 기어(200)와의 접촉면에서의 마찰에 의하여 상기 와블 기어(200)가 회전되도록 하는 스프링 카세트 축(300)과; 상기 바디(1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와블 기어(200)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스티어링 디스크(100)와 상기 파일롯 레버(30)와의 접촉을 해지시키고 상기 파일롯 레버(30)의 직선왕복 운동을 방지하여 상기 스티어링 디스크(100)가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락캔슬러 레버(400)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디(10)는 일면이 개구되고, 측면에서 보았을 때 단면이 대략 사각 형상이나 삼각 형상을 갖는 통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디(10)의 상단과 하단에는 각각 볼트 등을 체결해서 바디(10)를 스핀들 장치(미도시)에 고정하기 위한 한 쌍의 고정돌부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바디(10)의 내부에는 센서 하우징(20)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파일롯 레버(30)가 돌출되는 통로가 되며 파일롯 레버(30)가 직선 왕복 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결합부가 형성되어 있다.
바디(10)의 일측에는 파일롯 레버(30)와의 접촉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회전 운동이 구속되는 스티어링 디스크(10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바디(10)의 판면을 기준으로 스티어링 디스크(100)의 대향측에는 와블 기어(20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바디(10)의 판면에는 와블 기어(20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와블 기어(200)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갖는 수용홈(11)이 함몰 형성되고, 수용홈(11)의 내측 벽면에는 굴곡진 형상의 내접기어니(12)가 둘레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어 있다.
센서 하우징(20)은 바디(10)의 내부공간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부재로서, 차량이나 시트의 기울기에 따라 회전하게 되는데, 센서 하우징(20)이 회전하는 각도는 바디(10)의 바닥면과 수직으로 배치된 상태의 기울기를 0°라고 했을때, + 90°내지 - 90°의 범위까지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센서 하우징(20)이 바디(10)의 내부공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은 차량이 기울어지거나 혹은 탑승자의 기호에 따라 시트를 원하는 만큼 기울이게 되더라도 바디(10)의 내부공간에서 센서 하우징(20)은 항상 연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파일롯 레버(30)가 안정적으로 직선 왕복 운동할 수 있도록 하여 웨빙의 락킹 동작이 항상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파일롯 레버(30)는 센서 하우징(20)에 형성된 관통공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데, 이러한 파일롯 레버(30)가 바디(10)의 내부로 인입되는 방향으로 직선 이동시에는 파일롯 레버(30)의 단부가 락킹 장치에 마련된 스티어링 디스크(100)의 외주면에 형성된 복수의 걸림돌기(110) 중에서 어느 하나와 걸림에 따라, 락킹 장치는 웨빙이 인출되지 않도록 락킹 동작하게 된다.
반면에, 파일롯 레버(30)가 바디(10)의 외부로 인출되는 방향으로 직선 이동시에는 파일롯 레버(30)와 락킹 장치의 결합이 해제됨에 따라, 웨빙이 자유롭게 인출될 수 있게 된다.
파일롯 레버(30)의 단부에는 후술할 락캔슬러 레버(400)에 형성된 경사부재(430)의 경사를 따라 상향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경사부재(430)의 경사면의 접촉에 의하여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센서 하우징(20)의 내측으로 안정적으로 인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스티어링 디스크(100)는 바디(1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웨빙이 인출되거나 인입시에 웨빙의 인입출 동작과 연동하여 회전 구동하는 디스크 형상의 부재이다.
이러한 스티어링 디스크(100)의 외면에는 파일롯 레버(30)나 혹은 연장부재(530)가 스티어링 디스크(100)의 외면과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웨빙의 인입은 가능하되 상기 웨빙의 인출은 불가능하도록 상기 웨빙이 인입시에 파일롯 레버(30)나 혹은 연장부재(530)와 접촉되는 면은 접선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되고 웨빙이 인출시에 파일롯 레버(30)나 혹은 연장부재(530)와 접촉되는 면은 접선에 대하여 수직되게 형성된 걸림돌기(110)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걸림돌기(110)는 스티어링 디스크(100)의 둘레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로 구비됨으로써 파일롯 레버(30)에 의하여 신속하게 회전 운동이 구속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와블 기어(200)는 바디(10)의 판면을 기준으로 스티어링 디스크(100)와 대향되는 위치의 바디(10) 판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락캔슬링 레버(400)와 에이엘알 레버(500)가 회전 구동하여 작동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와블 기어(200)의 외면에는 외접기어니(230)가 돌출 형성되어 와블 기어(200)가 바디(10)에 형성된 수용홈(11)의 내부에서 유동하면서 수용홈(11)의 내면에 형성된 내접기어니(12)와 맞물리어 회전 구동하게 된다.
그리고, 와블 기어(200)의 판면 일측에는 와블 기어(200)의 두께 방향을 따라 일정 높이 돌출 형성되는 제1연동돌기(210)가 돌출 형성되고, 와블 기어(200)의 판면 타측에는 와블 기어(200)의 두께 방향을 따라 일정 높이 돌출 형성되는 제2연동돌기(220)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스프링 카세트 축(300)은 스티어링 디스크(100)와, 와블 기어(200)의 중심에삽입되어 바디(10)의 판면에 체결되어 와블 기어(200)와의 접촉면에서 마찰이 발생하도록 함으로써 스티어링 디스크(100)의 회전에 따라 스프링 카세트 축(300)의 회전 운동으로 인하여 와블 기어(200)가 수용홈(11)의 내부에서 유동하면서 내접기어니(12)와 외접기어니(230)가 맞물리어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락캔슬러 레버(400)는 바디(1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와블 기어(200)의 회전에 의하여 스티어링 디스크(100)와 파일롯 레버(30)와의 접촉을 해지시켜 스티어링 디스크(100)가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락캔슬러 레버(400)는 바디(10)의 판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체결부재(410)와, 체결부재(410)의 일측에서 와블 기어(200)를 향하여 연장 형성되며 단부에 상기 연동홈(421)이 형성된 제1연동부재(420)와, 체결부재(410)의 일단부에서 파일롯 레버(30)를 향하여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파일롯 레버(30)와 접촉되는 경사부재(43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체결부재(410)는 와블 기어(200)와 근접한 위치의 바디(10) 판면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바 형상의 부재이며, 제1연동부재(420)는 체결부재(410)의 일측에서 와블 기어(200)를 향하여 일정 길이 연장 형성되어 와블 기어(200)에 형성된 제1연동돌기(210)의 이동에 따라 연동하여 락캘슬러 레버(400)를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1연동돌기(210)가 원활하게 제1연동부재(420)와 접촉 및 이탈되어 연동될 수 있도록 제1연동부재(420)의 단부에는 제1연동돌기(210)가 삽입 및 이탈되는 연동홈(421)이 함몰 형성되어 있다.
경사부재(430)는 체결부재(410)의 일단부에서 파일롯 레버(30)를 향하여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락캔슬러 레버(400)의 회전에 의하여 파일롯 레버(30)와 접촉됨으로써 스티어링 디스크(100)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돌기(110)와 접촉되어 있는 파일롯 레버(30)를 원래 위치로 복귀시켜 웨빙의 인출 동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경사부재(420)의 경사진 정도는 파일롯 레버(30)의 단부가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정도와 동일한 정도로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파일롯 레버(30)와의 접촉 면적을 최대로 하여 파일롯 레버(30)를 원래 위치로 복귀시키는 동작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한편, 락캔슬러 레버(400) 일측의 바디(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락캔슬러 레버(400)와 연동되거나 와블 기어(200)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 구동하면서 일측이 스티어링 디스크(100)의 일측과 접촉 및 이탈하여 스티어링 디스크(100)의 회전 운동을 구속 및 해제시키는 에이엘알 레버(5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에이엘알 레버(500)는 차량의 시트에 웨빙을 이용하여 고정시키는 유아용 카시트와 같은 물품을 설치시에 웨빙을 끝까지 인출시키면 회전 동작하여, 웨빙의 인입은 이루어지되, 인출은 방지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유아용 카시트와 같은 물품을 차량의 시트에 편리하게 설치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설치가 완료된 후에는 견고하게 시트에 고정되도록 하기 위하여 스티어링 디스크(100)와 상시 접촉되는 부재이다.
이러한 에이엘알 레버(500)는 바디(10)의 판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링형상의 체결링(510)과, 체결링(510)의 일측에서 와블 기어(200)를 향하여 연장 형성되며 일단에 연동돌부(521)가 돌출 형성되고 타단에 락캔슬러 레버(400)의 일측과 접촉되는 접촉부재(522)가 돌출 형성된 제2연동부재(520)와, 체결링(510)의 타측에서 일정 길이 연장 형성되어 단부가 선택적으로 스티어링 디스크(100)와 접촉 및 이탈되면서 스티어링 디스크(100)의 회전 운동을 구속 및 해제시키는 연장부재(53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체결링(510)은 와블 기어(200) 및 락캔슬러 레버(400)와 근접한 위치의 바디(10)의 판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일정 두께를 갖는 링형상의 부재로서, 에이엘알 레버(500)가 제2연동돌기(220)나 혹은 락캔슬러 레버(400)와 연동하여 회전 동작이 가능하도록 한다.
제2연동부재(520)는 실질적으로 제2연동돌기(220)와 락캔슬러 레버(400)와 접촉되어 연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역할을 하며, 일단에는 제2연동돌기(220)와 접촉되는 연동돌부(521)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는 락캔슬러 레버(400)와 접촉되는 접촉부재(522)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연장부재(5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체결링(510)의 타측에서 일정 길이 연장 형성되어 단부가 선택적으로 스티어링 디스크(100)와 접촉 및 이탈되면서 스티어링 디스크(100)의 회전 운동을 구속 및 해제시키는 역할을 하는데 이를 위하여 단부가 와블 기어(200)의 외면을 향하여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연장부재(530)의 단부는 와블 기어(200)의 외면에 형성된 걸림돌기(230)와 접촉시에 와블 기어(200)의 회전 운동을 구속시킬 수 있도록 와블 기어(200)를 향하여 절곡 형성되며 걸림돌기(230)와 접촉되는 접촉면을 평탄하게 형성되어 견고한 접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센서 장치의 작동 방법을 도 5a 내지 도 6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5a와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락캔슬러 레버가 스티어링 디스크의 구속을 해지하여 웨빙의 인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동작을 설명하면, 인출이 이루어지지 않는 웨빙을 인입시키면 스티어링 디스크(10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스프링 카세트 축(300)을 회전시키게 되고, 스프링 카세트 축(300)이 회전되면 스프링 카세트 축(300)과 와블 기어(200) 사이의 마찰로 인하여 와블 기어(20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와블 기어(20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이 지속되면 제1연동돌기(210)가 락캔슬러 레버(400)의 제1연동부재(420)에 형성되어 있는 연동홈(421)에 삽입되어 락캔슬러 레버(400)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캔슬러 레버(400)의 회전에 의하여 경사부재(430)가 파일롯 레버(30)를 눌러서 파일롯 레버(30)가 센서 하우징(20)의 내부로 인입되도록 함으로써 스티어링 디스크(100)로부터 이탈되도록 하고, 파일롯 레버(30)가 스티어링 디스크(100)로부터 이탈되면 웨빙의 인입출이 자유로운 상태가 된다.
도 6a와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에이엘알 레버(500)에 의하여 스티어링 디스크(100)의 회전 운동이 구속되어 웨빙의 인입은 가능하되, 인출은 불가능하도록 하는 동작을 설명하면, 초기상태에서 웨빙을 더 이상 인출이 안 될때까지 인출시키면 스티어링 디스크(10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와블 기어(200)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그로 인하여 와블 기어(200)에 구비된 제2연동돌기(220)가 연동돌부(521)를 밀어올려 에이엘알 레버(500)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에이엘알 레버(50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에이엘알 레버(500)에 구비된 연장부재(530)가 스티어링 디스크(100)의 외면과 접촉되면서 걸림돌기(110)와 접촉되어 스티어링 디스크(100)의 회전 운동이 구속되어 웨빙의 인입은 가능하되 인출이 불가능한 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유아용 카시트와 같은 물품을 차량의 시트에 편리하게 설치하고 웨빙으로 유아용 카시트가 시트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에이엘알 레버(500)가 스티어링 디스크(100)의 외면과 접촉된 상태를 해지하기 위해서는 웨빙의 단부에 구비된 버클을 탈거시키고 웨빙을 인입시키면 스티어링 디스크(10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와블 기어(200)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그리고, 와블 기어(200)에 구비된 제1연동돌기(210)가 제1연동돌기(420)에 형성된 연동홈(421)에 삽입되면서 락캔슬러 레버(400)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락캔슬러 레버(40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접촉부재(522)와 접촉되어 에이엘알(500)레버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연장부재(530)가 스티어링 디스크(100)로부터 이탈되도록 함으로써 웨빙의 인입출이 자유로운 원래 상태로 복귀시키게 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자동차의 기울기 및 가속도 변화에 의하여 인출이 방지된 시트벨트의 상태를 시트벨트의 사용이 완료된 후에는 정상적으로 원활하게 인입출이 이루어질 수 있는 원래의 상태로 신속하고 정확하게 복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차량 센서 장치 기술에 적용된다.
10 : 바디 11 : 수용홈
12 : 내접기어니 20 : 센서 하우징
30 : 파일롯 레버 100 : 스티어링 디스크
110 : 걸림돌기 200 : 와블 기어
210 : 제1연동돌기 220 : 제2연동돌기
230 : 외접기어니 300 : 스프링 카세트 축
400 : 락캔슬러 레버 410 : 체결부재
420 : 제1연동부재 421 : 연동홈
430 : 경사부재 500 : 에이엘알 레버
510 : 체결링 520 : 제2연동부재
521 : 연동돌부 522 : 접촉부재
530 : 연장부재

Claims (9)

  1. 바디(10)와, 차량의 기울기 및 가속도 변화에 따라 센서 하우징(20) 내부에서 외부로 인입출되도록 직선 왕복 운동하는 파일롯 레버(30)를 포함하는 차량 센서 장치로서,
    상기 바디(1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파일롯 레버(30)와의 접촉에 의하여 회전 운동이 구속되어 웨빙의 인출 동작이 정지되도록 하는 스티어링 디스크(100)와;
    상기 바디(10)의 판면을 기준으로 상기 스티어링 디스크(100)의 대향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와블 기어(200)와;
    상기 스티어링 디스크(100)와 상기 와블 기어(200)의 중심에 체결되어 상기 스티어링 디스크(100)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하면서 상기 와블 기어(200)와의 접촉면에서의 마찰에 의하여 상기 와블 기어(200)가 회전되도록 하는 스프링 카세트 축(300)과;
    상기 바디(1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와블 기어(200)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스티어링 디스크(100)와 상기 파일롯 레버(30)와의 접촉을 해지시키고 상기 파일롯 레버(30)의 직선왕복 운동을 방지하여 상기 스티어링 디스크(100)가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락캔슬러 레버(400)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센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락캔슬러 레버(400) 일측의 상기 바디(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락캔슬러 레버(400)와 연동되거나 상기 와블 기어(200)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 구동하면서 일측이 상기 스티어링 디스크(100)의 일측과 접촉 및 이탈하여 상기 스티어링 디스크(100)의 회전 운동을 구속 및 해제시키는 에이엘알 레버(500)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센서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10)의 판면에는 상기 와블 기어(20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와블 기어(200)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갖는 수용홈(11)이 함몰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11)의 내측 벽면에는 굴곡진 형상의 내접기어니(12)가 둘레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며, 상기 와블 기어(200)의 외면에는 상기 외접기어니(230)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와블 기어(200)가 상기 수용홈(11)의 내부에서 유동하면서 상기 내접기어니(12)와 맞물리어 회전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센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블 기어(200)의 판면 일측에는 상기 와블 기어(200)의 두께 방향을 따라 일정 높이 돌출 형성되는 제1연동돌기(210)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락캔슬러 레버(400)의 일단부에는 상기 제1연동돌기(210)가 삽입 및 이탈되는 연동홈(421)이 함몰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센서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락캔슬러 레버(400)는 상기 바디(10)의 판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체결부재(410)와, 상기 체결부재(410)의 일측에서 상기 와블 기어(200)를 향하여 연장 형성되며 단부에 상기 연동홈(421)이 형성된 제1연동부재(420)와, 상기 체결부재(410)의 일단부에서 상기 파일롯 레버(30)를 향하여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파일롯 레버(30)와 접촉되는 경사부재(430)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센서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와블 기어(200)의 판면 타측에는 상기 와블 기어(200)의 두께 방향을 따라 일정 높이 돌출 형성되는 제2연동돌기(220)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에이엘알 레버(500)의 일단부에는 상기 제2연동돌기(220)와 접촉되는 연동돌부(521)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센서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에이엘알 레버(500)는 상기 바디의 판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링형상의 체결링(510)과, 상기 체결링(510)의 일측에서 상기 와블 기어(200)를 향하여 연장 형성되며 일단에 상기 연동돌부(521)가 돌출 형성되고 타단에 상기 락캔슬러 레버(400)의 일측과 접촉되는 접촉부재(522)가 돌출 형성된 제2연동부재(520)와, 상기 체결링(510)의 타측에서 일정 길이 연장 형성되어 단부가 선택적으로 상기 스티어링 디스크(100)와 접촉 및 이탈되면서 상기 스티어링 디스크(100)의 회전 운동을 구속 및 해제시키는 연장부재(530)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센서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어링 디스크(100)의 외면에는 상기 파일롯 레버(30)나 혹은 상기 연장부재(530)가 상기 스티어링 디스크(100)의 외면과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웨빙의 인입은 가능하되 상기 웨빙의 인출은 불가능하도록 상기 웨빙이 인입시에 상기 파일롯 레버(30)나 혹은 상기 연장부재(530)와 접촉되는 면은 접선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웨빙이 인출시에 상기 파일롯 레버(30)나 혹은 상기 연장부재(530)와 접촉되는 면은 접선에 대하여 수직되게 형성된 걸림돌기(110)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센서 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롯 레버(30)의 단부는 상기 경사부재(430)의 경사를 따라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센서 장치.
KR1020210168778A 2021-11-30 2021-11-30 차량 센서 장치 KR1025516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8778A KR102551632B1 (ko) 2021-11-30 2021-11-30 차량 센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8778A KR102551632B1 (ko) 2021-11-30 2021-11-30 차량 센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1073A KR20230081073A (ko) 2023-06-07
KR102551632B1 true KR102551632B1 (ko) 2023-07-06

Family

ID=86761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8778A KR102551632B1 (ko) 2021-11-30 2021-11-30 차량 센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163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1887B1 (ko) 2001-07-18 2008-06-27 키 세이프티 시스템즈 인코포레이티드 수축기
KR100875254B1 (ko) 2002-08-29 2008-12-19 가부시키가이샤 도카이리카덴키세이사쿠쇼 웨빙권취장치
KR101803755B1 (ko) 2016-05-25 2017-12-04 주식회사 우신세이프티시스템 모드전환레버를 포함하는 지능형 리트랙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84014B2 (en) * 2004-09-14 2008-06-10 Key Safety Systems, Inc. Retractor with ALR mode of operation with vehicle sensor block-ou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1887B1 (ko) 2001-07-18 2008-06-27 키 세이프티 시스템즈 인코포레이티드 수축기
KR100875254B1 (ko) 2002-08-29 2008-12-19 가부시키가이샤 도카이리카덴키세이사쿠쇼 웨빙권취장치
KR101803755B1 (ko) 2016-05-25 2017-12-04 주식회사 우신세이프티시스템 모드전환레버를 포함하는 지능형 리트랙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1073A (ko) 2023-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5936B1 (ko) 안전벨트 리트랙터의 록킹 부재 결합 구조
JP5706757B2 (ja)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およびこれを用いたシートベルト装置
WO2014080702A1 (ja)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およびこれを用いたシートベルト装置
JP3454790B2 (ja) 多点プレテンショナ・システム
US7377463B2 (en) Noise reducing seat belt retractor
KR102439218B1 (ko) 차량 센서 장치 및 그가 적용된 시트벨트 리트랙터
JPH04283150A (ja)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
US4583701A (en) Webbing retractor
KR101152602B1 (ko) 시트 벨트용 리트렉터
CN110139783B (zh) 儿童座椅检测装置
US6631865B2 (en) Seat belt retractor
KR102551632B1 (ko) 차량 센서 장치
KR100801603B1 (ko) 안전벨트 리트랙터의 회전 구조체
GB2264329A (en) Seat belt buckle means
KR102551626B1 (ko) 차량 센서 장치 및 그가 적용된 시트벨트 리트랙터
KR102496242B1 (ko) 시트벨트 리트랙터
KR102573808B1 (ko) 차량 센서 장치 및 그가 적용된 시트벨트 리트랙터
KR102702472B1 (ko) 차량 센서 장치 및 그가 적용된 시트벨트 리트랙터
US20210394709A1 (en) Seat belt retractor
US3999722A (en) Safety belt retractor with dual sensitive, commonly mounted, actuating mechanism
KR102673190B1 (ko) 차량 센서 장치 및 그가 적용된 시트벨트 리트랙터
KR102521551B1 (ko) 차량 센서 장치 및 그가 적용된 시트벨트 리트랙터
KR20230081611A (ko) 비상 텐셔닝 모듈이 적용된 시트벨트 리트랙터
KR20240047833A (ko) 차량 센서 장치 및 그가 적용된 시트벨트 리트랙터
KR102664601B1 (ko) 차량 센서 장치 및 그가 적용된 시트벨트 리트랙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