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0300B1 - 웨빙 권취 장치 - Google Patents

웨빙 권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0300B1
KR101060300B1 KR1020067022875A KR20067022875A KR101060300B1 KR 101060300 B1 KR101060300 B1 KR 101060300B1 KR 1020067022875 A KR1020067022875 A KR 1020067022875A KR 20067022875 A KR20067022875 A KR 20067022875A KR 101060300 B1 KR101060300 B1 KR 1010603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ke
webbing
shaft
clutch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28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12442A (ko
Inventor
가츠키 아사기리
신지 모리
다쿠히로 사이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도카이리카덴키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도카이리카덴키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도카이리카덴키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700124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24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03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03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48Control systems, alarms, or interlock systems, for the correct application of the belt or har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44Belt retractors, e.g. reels with means for reducing belt tension during use under normal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46Reel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by forced winding u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44Belt retractors, e.g. reels with means for reducing belt tension during use under normal conditions
    • B60R2022/4473Belt retractors, e.g. reels with means for reducing belt tension during use under normal conditions using an electric retraction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46Reel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by forced winding up
    • B60R2022/4666Reel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by forced winding up characterised by electric actu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46Reel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by forced winding up
    • B60R2022/468Reel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by forced winding up characterised by clutching means between actuator and belt re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클러치에 의해 모터측으로부터의 회전만을 권취축에 전달할 수 있는 동시에, 통상 사용시의 웨빙의 인출 성능 및 권취 성능을 향상시키는 웨빙 권취 장치를 얻는다. 본 웨빙 권취 장치의 클러치(100)는, 클러치 본체부(114)는 권취축(20)에 지지된 구성이 아니라, 로터(124)의 수용부(132)의 축선 방향의 일측에 마련된 지지축부(133)가 홀더(170)의 회전 지지부(175)를 통해서 커버 클러치(102)의 원형 구멍(135)에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됨과 동시에, 수용부(132)의 축선 방향의 타측이 부싱(112)을 통해서 클러치 케이스(101)에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됨으로써, 케이스(클러치 케이스(101) 및 커버 클러치(102))에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본 웨빙 권취 장치에서는 클러치 연결 상태 이외에는, 권취축(20)은 클러치 본체부(114)와는 상관없이 회전할 수 있다.

Description

웨빙 권취 장치{Webbing winder}
본 발명은 웨빙 권취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모터에 의해 권취축을 회전시킴으로써 웨빙을 감는 웨빙 권취 장치에 관한 것이다.
승차자 구속용 시트 벨트 장치는 웨빙 권취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이 웨빙 권취 장치에는 웨빙 장착시 과도한 압박감을 경감 또는 해소하기 위한 기구나 프리텐셔너(pre-tensioner) 기구를 구비하는 것들이 있다. 전자의 기구는 텐션 리듀서(tenshion reducer) 기구라고 칭한다. 프리텐셔너 기구는 차량 급감속 상태 등에 일정량의 웨빙을 권취축에 감도록 함으로써 「슬랙」이라는 약간의 이완을 해소함과 동시에 웨빙에 의한 승차자 신체의 구속력을 증가시켜, 보다 확실하게 승차자의 신체를 지지하는 것이다. 또한, 그들의 각 기능을 모터에 의해 행하는 구성의 모터 리트랙터가 알려져 있다(일례로 일본 공개특허 2001-130376호 공보, 일본 공개특허 2001-347923호 공보 참조).
이러한 종류의 모터 리트랙터는 다음과 같은 기능에 의해 유익하다. 예를 들면, 상술한 바와 같이 텐션 리듀서나 프리텐셔너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통상적인 웨빙 장착시에 웨빙의 권취나 인출을 보조하는 등의 기능도 행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특히 최근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모터 리트랙터에 있어서, 전방의 다른 차량이나 장애물까지의 거리를 거리 센서 등의 전방 감시 장치로 검출하고, 전방의 차량이나 장애물까지의 거리가 일정값 미만이 되면 모터를 작동시키고, 모터의 회전력으로 권취축을 권취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성이 고려되고 있다. 이러한 모터 리트랙터에서는 권취축측으로부터의 회전이 모터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모터의 출력축과 권취축 사이에 클러치를 개재시키고, 이 클러치에 의해 모터 출력축측으로부터의 회전만을 권취축으로 전달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모터 리트랙터에서는, 클러치는 예를 들면, 권취축에 일체적으로 연결된 어댑터와, 이 어댑터에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어 모터로부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체와, 이 회전체에 지지된 폴을 구비한다. 회전체가 회전했을 때 폴을 어댑터에 걸어맞추어 회전체의 회전을 어댑터에 전달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상기 구성의 모터 리트랙터의 클러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어댑터, 회전체 및 폴 등의 클러치 구성 부재는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권취축에 지지된 구성이다. 이 때문에, 이 클러치 구성 부재들의 영향으로 권취축의 원활한 회전이 방해되는 경우가 있어, 통상 사용시에 웨빙의 인출 권취성이 저하되는 원인이 되어 왔다.
상기 사실을 감안하면, 클러치에 의해 모터측으로부터의 회전만을 권취축에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통상 사용시에 웨빙의 인출 권취성을 향상시키는 웨빙 권취 장치가 요구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태양에 따른 웨빙 권취 장치는 승차자 구속용 웨빙이 권취 인출 가능하도록 감긴 권취축과, 모터와, 기계적으로 상기 모터와 상기 권취축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모터의 회전을 상기 권취축에 전달하여 상기 권취축을 회전시킴과 동시에, 상기 권취축측에서 발생된 회전의 전달을 차단하여 그 회전이 상기 모터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클러치를 구비한다. 이 웨빙 권취 장치의 상기 클러치는 케이스와, 상기 권취축에 대해서 동축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 클러치는 상기 모터의 회전이 전달되어 회전하는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에 설치되고, 통상은 상기 권취축과의 걸어맞춤 해제 위치에 지지되며, 상기 회전체가 축선 둘레의 일방향으로 회전했을 때에는 상기 권취축에 걸어맞춤하여 상기 회전체의 상기 축선 둘레의 일방향으로의 회전을 상기 권취축에 전달함과 동시에, 상기 회전체가 축선 둘레의 타방향으로 회전했을 때에는 상기 걸어맞춤 해제 위치로 이동되어 지지되는 로킹바를 구비한다. 상기 회전체는 상기 케이스에 지지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태양에 따른 웨빙 권취 장치는 모터의 회전을 권취축에 전달하는 클러치를 구비하고 있다. 이 클러치는 모터의 회전이 전달되어 회전하는 회전체와, 회전체에 설치되어 권취축에 걸어맞춤됨으로써 회전체의 축선 둘레의 일방향으로의 회전을 권취축에 전달하는 로킹바를 가지고 있다. 이 로킹바는, 통상은 권취축과의 걸어맞춤 해제 위치에 지지되어 있다. 이 때문에, 통상은 회전체와 권취축은 서로 상대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 권취축측에서 발생된 회전의 모터로의 전달이 방지되어 있다.
이로써, 차량의 좌석에 착석한 승차자가 본 웨빙 권취 장치에 격납된 웨빙을 잡아당기면, 권취축이 회전하면서 웨빙이 인출된다. 이로써, 승차자는 인출된 웨빙을 신체에 두르고, 예를 들면, 웨빙에 부착된 텅 플레이트(tongue plate)를 버클 장치에 걸어맞춤으로써 웨빙을 신체에 장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모터가 회전하면, 클러치의 회전체가 축선 둘레의 일방향(권취 방향)으로 회전된다. 회전체가 축선 둘레의 일방향으로 회전되면, 회전체에 설치된 로킹바가 권취축에 걸어맞추어지고, 이로써, 회전체의 축선 둘레의 일방향으로의 회전이 로킹바를 통해서 권취축으로 전달되고, 권취축이 축선 둘레의 일방향으로 회전된다.
모터가 역회전하면, 클러치의 회전체가 축선 둘레의 타방향으로 회전된다. 회전체가 축선 둘레의 타방향(인출 방향)으로 회전되면, 회전체에 설치된 로킹바는 권취축과의 걸어맞춤 해제 위치로 이동되어 지지된다. 이로써, 회전체와 권취축은 다시 상대 회전할 수 있게 되어 권취축의 자유로운 회전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이 웨빙 권취 장치에서는 클러치를 구성하는 회전체 및 로킹바는 권취축에 지지된 구성이 아니라 케이스에 지지된 구성이다. 따라서, 이 웨빙 권취 장치에서는 로킹바에 의해 회전체와 권취축이 연결된 상태 이외에는, 권취축은 클러치를 구성하는 회전체 및 로킹바와는 상관없이 회전할 수 있다. 이로써, 권취축의 원활한 회전이 보장되고, 통상 사용시에 웨빙의 인출 권취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른 웨빙 권취 장치는 승차자 구속용 웨빙이 권취 인출 가능하도록 감긴 권취축과, 모터와, 기계적으로 상기 모터와 상기 권취축의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모터의 회전을 상기 권취축으로 전달하여 상기 권취축을 상기 웨빙 권취 방향으로 회전시킴과 동시에, 상기 권취축측에서 발생된 회전의 전달을 차단하여 그 회전이 상기 모터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클러치를 구비한 웨빙 권취 장치이다. 이 웨빙 권취 장치의 상기 클러치는, 케이스와, 상기 권취축에 대해서 동축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 클러치는 상기 모터의 회전이 전달되어 회전하는 회전체와, 상기 케이스에 마찰력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상기 회전체에 대해서 소정 범위 내에서 상대 이동 가능하도록 된 슬라이더와, 로킹바를 구비한다. 이 로킹바는 상기 회전체에 설치되고, 항상 상기 권취축과의 걸어맞춤 방향으로 바이어스됨과 동시에, 통상은 상기 슬라이더에 의해 상기 권취축과의 걸어맞춤 해제 위치에 지지되고, 상기 회전체가 상기 웨빙 권취 방향으로 회전했을 때에는 상기 슬라이더로부터 이격 이동하여 상기 지지를 해제하여 상기 바이어스력에 의해 상기 권취축에 걸어맞춤되어 상기 회전체의 상기 웨빙 권취 방향으로의 회전을 상기 권취축으로 전달함과 동시에, 상기 권취축의 상기 회전체에 대한 상기 웨빙 권취 방향으로의 상대 회전을 허용하고, 상기 회전체가 상기 웨빙 인출 방향으로 회전했을 때에는 상기 슬라이더에 접근 이동하여 상기 슬라이더에 의해 상기 걸어맞춤 해제 위치로 이동되어 지지된다. 상기 회전체는 상기 케이스에 지지되어 있다.
이 웨빙 권취 장치에서는 모터의 회전을 권취축에 전달하는 클러치를 구비하고 있다. 이 클러치는 모터의 회전이 전달되어 회전하는 회전체와, 이 회전체에 설치되고, 권취축에 걸어맞추어짐으로써 회전체의 웨빙 권취 방향으로의 회전을 권취축에 전달하는 로킹바를 가지고 있다. 이 로킹바는 항상 권취축과의 걸어맞춤 방향으로 바이어스되어 있으며, 통상은 슬라이더에 의해 권취축과의 걸어맞춤 해제 위치에 지지되어 있다. 이 때문에, 통상은 회전체와 권취축은 서로 상대 회전 가능하도록 되어 있어서, 권취축측에서 발생된 회전의 모터로의 전달이 방지되어 있다.
이로써, 차량의 좌석에 착석한 승차자가 본 웨빙 권취 장치에 격납된 웨빙을 잡아당기면, 권취축이 웨빙 인출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웨빙이 인출된다. 이로써, 승차자는 인출된 웨빙을 신체에 두르고, 예를 들면, 웨빙에 설치된 텅 플레이트를 버클 장치에 걸어맞춤으로써 웨빙을 신체에 장착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차량 주행 중에 차량의 전방에 장애물이 있고, 차량과 장애물 사이의 간격(차량에서 장애물까지의 거리)이 어느 범위 내에 도달하면 모터가 회전하여, 클러치의 회전체가 웨빙 권취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 때, 슬라이더는 케이스에 마찰력에 의해 지지되므로, 회전체가 슬라이더에 대해서 소정 범위 내에서 상대 이동하고, 회전체에 설치된 로킹바가 슬라이더로부터 이격 이동한다. 이 때문에, 로킹바는 바이어스력에 의해 권취축에 걸어맞춤되고, 그 로킹바를 통해서 회전체의 웨빙 권취 방향으로의 회전이 권취축에 전달되어, 권취축이 웨빙 권취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로써, 웨빙이 권취축에 감기고, 장착 상태에서의 웨빙의 약간의 이완, 소위 「슬랙」이 해소되어, 웨빙에 의한 승차자 신체의 구속력을 강화할 수 있다.
또한, 이 상태에서는 로킹바는 권취축의 회전체에 대한 웨빙 권취 방향으로의 상대 회전을 허용하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슬랙」이 해소된 상태에서, 예를 들면, 차량의 충돌을 피할 수 없는 상황이 된 경우에는, 또 다른 프리텐셔너 장치 등에 의해 권취축을 웨빙 권취 방향으로 강제적으로 회전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 웨빙에 의한 승차자 신체의 구속력을 한층 더 강화시킬 수 있다. 이로써, 차량 충돌시에 승차자의 피해를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차량 충돌의 위험이 회피된 경우에는, 모터가 역회전되어 클러치의 회전체가 웨빙 인출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 때, 슬라이더는 케이스에 마찰력에 의해 지지되기 때문에, 회전체가 슬라이더에 대해서 소정 범위 내에서 상대 이동하여 회전체에 설치된 로킹바가 슬라이더로 접근 이동한다. 이 때문에, 로킹바는 슬라이더에 의해 다시 권취축과의 걸어맞춤 해제 위치로 이동되어 지지된다. 이로써, 회전체와 권취축은 다시 상대 회전할 수 있게 되어 권취축의 자유로운 회전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이 웨빙 권취 장치에서는 클러치를 구성하는 회전체, 슬라이더 및 로킹바는 권취축에 지지된 구성이 아니라 케이스에 지지된 구성이다. 따라서, 이 웨빙 권취 장치에서는 로킹바에 의해 회전체와 권취축이 연결된 상태 이외에는, 권취축은 클러치(회전체, 슬라이더 및 로킹바)와는 상관없이 회전할 수 있다. 이로써, 권취축의 원활한 회전이 보장되어 통상 사용시의 웨빙의 인출 권취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웨빙 권취 장치는 일태양 또는 다른 태양의 웨빙 권취 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는 상기 모터의 회전이 전달되어 회전하는 기어 휠과, 상기 로킹바를 지지하는 로터와, 상기 기어 휠과 상기 로터 사이에 설치되어 양자를 연결하여, 상기 기어 휠의 회전을 상기 로터에 전달함과 동시에, 상기 로터에 소정 값 이상의 하중이 작용했을 때에는 상기 하중에 의해 상기 기어 휠과 상기 로터 사이의 회전의 전달을 차단하여 양자를 상대적으로 공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스프링편을 구비하며, 상기 로터가 상기 케이스에 지지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러한 웨빙 권취 장치에서는, 모터의 회전에 의해 기어 휠이 회전되면, 그 회전이 스프링편을 통해서 로터에 전달되어 로터가 회전된다. 이 로터에는 로킹바가 지지되어 있고, 로터가 축선 둘레의 일방향으로 회전된 경우에는 로킹바는 권취축에 걸어맞춤되고, 로터가 축선 둘레의 타방향으로 회전된 경우에는 로킹바는 권취축과의 걸어맞춤 해제 위치로 이동되어 지지된다.
예를 들면, 로킹바에 의해 권취축과 로터가 연결된 상태에서 권취축에 웨빙으로부터 소정 값 이상의 하중이 작용한 경우에는, 로터에는 로킹바를 통해서 소정 값 이상의 하중이 작용한다. 로터에 소정 값 이상의 하중이 작용하면, 스프링편은 그 하중에 의해 기어 휠과 로터 사이의 회전의 전달을 차단하여 양자를 상대적으로 공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소위, 「로드 리미터 기구」). 이로써, 로킹바를 통해서 로터에 연결된 권취축이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필요 이상의 힘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이 웨빙 권취 장치에서는 회전체를 구성하는 기어 휠, 로터 및 스프링편은 권취축에 지지된 구성이 아니라 로터가 케이스에 지지되어 있으며, 이 로터에 로킹바가 지지됨과 동시에 스프링편을 통해서 기어 휠이 연결된 구성이다. 따라서, 이 웨빙 권취 장치에서는 클러치를 구성하는 모든 부재가 케이스에 지지되어 있어, 로킹바에 의해 로터와 권취축이 연결된 상태 이외에는, 권취축은 클러치(기어 휠, 로터, 스프링편 및 로킹바)와는 상관없이 회전할 수 있다. 이로써, 권취축의 원활한 회전이 보장되어 통상 사용시의 웨빙의 인출 권취성이 향상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웨빙 권취 장치는 클러치에 의해 모터측으로부터의 회전만을 권취축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하여, 통상 사용시의 웨빙의 인출 권취성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웨빙 권취 장치의 구성 부재인 클러치의 주요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웨빙 권취 장치의 구성 부재인 클러치의 주요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웨빙 권취 장치의 구성 부재인 클러치의 주요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웨빙 권취 장치의 구성 부재인 클러치의 부분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웨빙 권취 장치의 구성 부재인 클러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로킹바가 슬라이더에 지지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웨빙 권취 장치의 구성 부재인 클러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로킹바가 래칫에 걸어맞춤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웨빙 권취 장치의 구성 부재인 클러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스프링편에 의해 기어 휠과 로터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웨빙 권취 장치의 구성 부재인 클러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기어 휠과 로터가 상대적으로 공회전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웨빙 권취 장치의 구성 부재인 클러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로킹바가 래칫에 걸어맞춤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웨빙 권취 장치의 구성 부재인 클러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로킹바가 래칫의 로터에 대한 웨빙 권취 방향으로의 상대 회전을 허용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웨빙 권취 장치의 구성 부재인 클러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로킹바가 래칫에 걸어맞춤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웨빙 권취 장치의 구성 부재인 클러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로킹바가 슬라이더에 지지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웨빙 권취 장치의 구성 부재인 모터를 포함하는 주변 부재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웨빙 권취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웨빙 권취 장치의 주요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웨빙 권취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부호의 설명]
10 웨빙 권취 장치
20 권취축
44 모터
100 클러치
101 클러치 케이스(케이스)
102 커버 클러치(케이스)
116 기어 휠
124 로터
144 슬라이더
154 로킹바
182 스프링편
도 16에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웨빙 권취 장치(10)의 전체 구성이 사 시도로서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15에는 웨빙 권취 장치(10)의 주요부의 구성이 사시도로서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14에는 웨빙 권취 장치(10)의 전체 구성이 분해 사시도로서 도시되어 있다.
웨빙 권취 장치(10)는 프레임(12)을 구비하고 있다. 프레임(12)은 대략 판 형상의 배면판(14)과, 이 배면판(14)의 폭 방향 양단으로부터 일체로 연장되는 한 쌍의 다리판(16, 18)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배면판(14)이 볼트 등의 체결 수단(미도시)에 의해 차체에 고정됨으로써 차체에 장착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프레임(12)의 한 쌍의 다리판(16, 18)의 사이에는 다이캐스팅 등에 의해 제작된 권취축(20)이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권취축(20)은 전체적으로는 북 모양을 이룬다. 권취축(20)은 긴 띠 모양으로 형성된 웨빙(도시 생략)의 기단부(基端部)가 연결 고정되어 있다. 권취축(20)을 그 축 둘레의 일방향(이하, 이 방향을 「권취 방향」이라고 함)으로 회전시키면, 웨빙이 그 기단측으로부터 권취축(20)의 외주부에 층 모양으로 감기고, 한편 웨빙을 그 선단측에서 잡아당기면, 그에 따라 권취축(20)이 회전하면서 웨빙이 인출된다(이하, 웨빙을 인출할 때의 권취축(20)의 회전 방향을 「인출 방향」이라고 함).
권취축(20)의 일단측은 다리판(18)을 관통하여 프레임(12)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다. 다리판(18)의 측방에는 로킹 기구(미도시)가 배치되어 있다. 로킹 기구는 가속도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다리판(16, 18)의 사이에 걸쳐진 로킹 플레이트(22), 및 권취축(20)의 축심 부분에 설치된 토션 바(24)에 연계되어 있다. 차량의 급감속시 등에는 로킹 기구의 작동에 의해 토션 바(24)의 일단이 로킹 플레 이트(22)를 통해서 구속되어 에너지 흡수가 행해지면서, 권취축(20)의 인출 방향의 회전이 방해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한편, 권취축(20)의 타단측은 다리판(16)을 관통하여 프레임(12)의 외측으로 약간 돌출되어 있다. 이 권취축(20)의 타단측에는 육각 기둥 모양으로 형성된 연결 스크류(21)가 동축적으로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또 다리판(16)의 외측에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클러치(100)을 구성하는 케이스로서의 클러치 케이스(101)가 배치되어 있다. 이 클러치 케이스(101)는 금속 재료 등(예를 들면, 알루미늄 합금 등)에 의해 상자 모양으로 형성된 것으로, 다리판(16)의 반대측을 향해서 개구되어 있다. 이 클러치 케이스(101)의 개구측에는 케이스로서의 철판 등으로 이루어진 커버 클러치(102)가 배치되어 있다. 이들 클러치 케이스(101) 및 커버 클러치(102)는 스크류(104)에 의해 다리판(16)에 일체적으로 고정되어 있다.
클러치 케이스(101)의 저벽 중앙 부분에는 원형의 관통공(106)이 권취축(20)과 동축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연결 스크류(21)가 관통되어 있다. 또 이 관통공(106)의 주변 부위는 다리판(16)과는 반대측을 향해서 원형 모양으로 약간 돌출되어 있고 링 형상의 슬라이딩면(108)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관통공(106)의 구멍 둘레부에는 다리판(16)과는 반대측으로 돌출된 원통 모양의 부싱 지지부(110)가 형성되어 있다. 이 부싱 지지부(110)에는 수지 재료 등에 의해 링 형상으로 형성된 부싱(112)(도 1 내지 도 3 참조)이 지지되어 있다.
클러치 케이스(101)의 내부에는 클러치 기어부(28)가 배치되어 있다. 클러치 기어부(28)는 웜 기어(34)를 구비하고 있다. 웜 기어(34)는 권취축(20)과 직교하는 상태에서 자신의 축이 배치되고, 그 단부가 부쉬(36, 37)를 통해서 클러치 케이스(101)에 지지되어 있으며, 일단측은 클러치 케이스(101)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다. 또 웜 기어(34)의 선단부를 지지하는 클러치 케이스(101)의 베어링 부분에는 쇠볼(38; 鋼球)이 수용되어 웜 기어(34)의 선단부에 접촉되어 있으며, 조정 스크류(40)가 나사 삽입되어 있다. 조정 스크류(40)는 그 선단부에서 쇠볼(38)을 압압함으로써 쇠볼(38)을 웜 기어(34)의 선단에 압접시키고 있다. 이로써, 웜 기어(34)의 축 방향 변위가 규제되고 있다(스러스트 조정되어 있다). 쇠볼(38)을 조정 스크류(40)의 선단부에 일체적으로 형성하는 구성(조정 스크류(40)의 선단부를 구형으로 형성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이 웜 기어(34)의 상측에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클러치(100)를 구성하는 클러치 본체부(114)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도 1 및 도 2에는 클러치 본체부(114)의 구성이 분해 사시도에 의해 도시되어 있다.
이 도면들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러치 본체부(114)는 기어 휠(116)을 구비하고 있다. 기어 휠(116)은 수지 재료 등에 의해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권취축(20)과 동축적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그 외주부에는 소위, 웜 휠 톱니(118)가 형성되어 있다. 이 웜 휠 톱니(118)는 상술한 웜 기어(34)에 맞물려 있다. 또 기어 휠(116)의 내주부에는 그 직경 방향을 따라서 일정 간격마다 여러 개(본 실시형태에서는 6개)의 둘레 방향 하중 지지부(120)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둘레 방향 하중 지지 부(120)는 후술하는 링(176)의 스프링편(182)에 대응하고 있다. 또한, 기어 휠(116)의 축선 방향의 일측(도 1 및 도 2의 화살표 A 방향측) 단면(端面)에는 그 둘레 방향을 따라서 일정 간격마다 여러 개(본 실시형태에서는 6개)의 회전 방지 오목부(122)가 형성되어 있다. 이 회전 방지 오목부(122)는 후술하는 링(176)의 회전방지편(180)에 대응하고 있다.
기어 휠(116)의 내측에는 금속 재료 등(예를 들면, 아연 알루미늄 합금 등)에 의해 원반 모양으로 형성된 로터(124)가 기어 휠(116)과 동축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로터(124)는 바닥이 있는 원통 모양의 본체부(126)와, 본체부(126)의 축선 방향의 일측(도 1 및 도 2의 화살표(B) 방향측)으로부터 직경 방향으로 돌출된 플랜지부(128)을 가지고 있다.
본체부(126)의 외주부에는 그 둘레 방향을 따라서 동일 간격으로 복수의 외측 톱니(130)가 형성되어 있다. 각 외측 톱니(130)는 본체부(126)의 둘레 방향을 따른 일측(도 1 및 도 2의 화살표 C 방향측)의 측벽이 본체부(126)의 둘레 방향에 대해서 기울어져 형성되고, 본체부(126)의 둘레 방향을 따른 타측(도 1 및 도 2의 화살표 D 방향측)의 측벽이 본체부(126)의 직경 방향을 따라서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다시 말하면, 단면 형상이 사다리꼴로 되어 있다). 각 외측 톱니(130)는 후술하는 링(176)의 스프링편(182)에 대응하고 있다.
본체부(126)의 저벽 중앙부에는 대략 원통 모양의 수용부(132)가 동축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수용부(132)의 축선 방향의 일측(도 1 및 도 2에서는 화살표 A 방향측)에는 링 형상의 지지축부(133)가 동축적으로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다. 이 지 지축부(133)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 클러치(102)에 형성된 원형 구멍(135)에, 후술하는 홀더(170)의 회전 지지부(175)를 통해서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또 수용부(132)의 축선 방향의 타측(도 1 및 도 2의 화살표 B 방향측)에는 상술한 부싱(112)이 회전 가능하도록 끼워 맞춤되어 있으며, 수용부(132)의 축선 방향의 타측은 부싱(112)을 통해서 클러치 케이스(101)에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이로써, 본체부(126)(로터(124))는 스스로의 축선 둘레로 회전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이 본체부(126)의 수용부(132) 내에는 철판 등에 의해 대략 링 형상으로 형성된 래칫(134)이 수용되어 있다. 래칫(134)의 외주부에는, 소위 래칫 톱니인 외측 톱니(136)가 형성되어 있다. 또 래칫(134)의 축심부에는 단면이 육각형상인 관통공(138)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술한 연결 스크류(21)가 관통된 상태로 그 축선 둘레에 대해서는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로써, 래칫(134)과 권취축(20)은 연결 스크류(21)를 통해서 일체적으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래칫(134)의 축선 방향의 일측(도 1 및 도 2에서는 화살표 B 방향측)은 상술한 부싱(112)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맞닿아 있다. 또 래칫(134)의 축선 방향의 타단(도 1 및 도 2에서는 화살표 A 방향측)에는 수지 재료 등으로 이루어진 와셔(140)가 장착되어 있다. 이 와셔(140)는 수용부(132)의 링 형상의 저벽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맞닿아 있으며, 이로써, 래칫(138)의 축선 방향을 따른 변위가 규제되고 있다.
한편, 본체부(126)의 저벽에는, 수용부(132)의 직경 방향의 외측에서 본체 부(126)의 둘레 방향을 따라서 만곡된 한 쌍의 가이드 구멍(142)이 형성되어 있다. 각 가이드 구멍(142)에는 각각 수지 재료 등에 의해 본체부(126)의 둘레 방향을 따라서 구부러진 대략 블록 모양으로 형성된 슬라이더(144)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들 한 쌍의 슬라이더(144)는 본체부(126)의 내주면 및 수용부(132)의 외주면에 의해 지지되어 있으며, 가이드 구멍(142)에 따른 소정 범위 내에서 본체부(126)(로터(124))에 대해서 상대 이동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각 슬라이더(144)의 일측(도 1 및 도 2에서는 화살표 A 방향측)에는 슬라이딩편(146)이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으며,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 클러치(102)에 맞닿아 있다. 또 각 슬라이더(144)의 슬라이딩편(146)의 반대측에는 리테이너(148)가 설치되어 있다. 리테이너(148)는 스프링성을 갖는 좁은 폭의 금속 부재로서, 대략 ㄱ자 모양으로 절곡되어 있다. 이 리테이너(148)는 길이 방향의 중앙부에 설치된 연결부(150)가 슬라이더(144)에 형성된 연결 구멍(152)에 삽입되어 슬라이더(144)에 일체적으로 연결됨과 동시에, 길이 방향의 양단부가 각각 상술한 클러치 케이스(101)의 슬라이딩면(108)에 눌러붙여져 소정량 탄성 변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슬라이더(144)의 슬라이딩편(146)은 리테이너(148)의 탄성력에 의해 커버 클러치(102)에 눌러붙여져 있으며, 가이드 구멍(142)을 따른 슬라이더(144)의 이동(로터(124)에 대한 상대 이동)에는 소정의 마찰력이 부여되도록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로터(124)가 회전하면, 슬라이더(144)는 슬라이딩편(146) 및 리테이너(148)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에 작용하는 마찰력에 의해 일시적으로 케이스(클러치 케이스(101) 및 커버 클러치(102))에 지지되고, 로터(124)에 대해서 가 이드 구멍(142)에 따른 소정 범위 내에서 상대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또 각 슬라이더(144)의 만곡 방향의 일단부(도 1 및 도 2에서는 화살표 C 방향측의 단부)에는 압압 지지편(145)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압압 지지편(145)은 각각 한 쌍의 로킹바(154)에 대응하고 있다.
각 로킹바(154)는 철판 등에 의해 대략 ㄱ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각 슬라이더(144)의 만곡 방향의 일단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링 형상의 베어링부(156)를 구비하고 있다. 각 베어링부(156)는 본체부(126)의 저벽에 돌출되어 설치된 원기둥 모양의 지지축(158)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각 베어링부(156)의 슬라이더(144)의 반대측(도 1 및 도 2의 화살표 C 방향측)에는 연결편(160)이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 연결편(160)들은 베어링부(156)와 함께 지지축(158)의 둘레로 회전함으로써, 그 선단부가 로터(124)의 수용부(132)에 형성된 구멍부(162)를 관통하여 상술한 래칫(134)의 외측 톱니(136)에 맞물리도록 되어 있다. 또 이 연결편(160)들은 토션 코일 스프링(164)의 바이어스력에 의해 항상 외측 톱니(136)(래칫(134))과의 맞물림 방향으로 바이어스되어 있다. 또한, 토션 코일 스프링(164)은 로터(124)의 본체부(126)의 저벽에 돌출되어 설치된 원기둥 모양의 지지축(166)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각 베어링부(156)의 슬라이더(144)측(도 1 및 도 2의 화살표 D 방향측)에는 상술한 압압 지지편(145)에 대응되는 해제편(168)이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각 해제편(168)은 슬라이더(144)와 대향하는 단부가 슬라이더(144)의 이동 방향(도 1 및 도 2의 화살표 C 방향 및 화살표 D 방향)에 대해서 기울어진 경사면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터(124)가 슬라이더(144)에 대해서 상대 이동함으로써, 로킹바(154)는 슬라이더(144)에 대해서 소정 범위 내에서 접근 및 이격 이동하도록 되어 있어, 로킹바(154)가 슬라이더(144)에 접근한 상태(도 5에 도시한 상태)에서는, 로킹바(154)의 해제편(168)은 슬라이더(144)의 압압 지지편(145)의 내측(래칫(134)측)으로 들어감으로써, 토션 코일 스프링(164)의 바이어스력에 저항하여 걸어맞춤 해제 위치에 지지되도록 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는 로킹바(154)의 연결편(160)은 래칫(134)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로킹바(154)가 슬라이더(144)로부터 이격된 상태(도 6에 도시한 상태)에서는, 로킹바(154)의 해제편(168)은 슬라이더(144)의 압압 지지편(145)에 의한 지지가 해제되도록 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는, 로킹바(154)의 연결편(160)은 토션 코일 스프링(164)의 바이어스력에 의해 래칫(134)측(걸어맞춤 위치)으로 이동되어 그 선단부가 외측 톱니(136)에 맞물리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클러치 본체부(114)는, 슬라이더(144)는 통상적으로는 로킹바(154)에 접근하여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로킹바(154)는 통상은 해제편(168)이 슬라이더(144)의 압압 지지편(145)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걸어맞춤 해제 위치(도 5에 도시 상태)에 지지되는 구성이다.
한편, 로킹바(154)를 통해서 로터(124)의 반대측(도 1 및 도 2의 화살표 A 방향측)에는 수지 재료 등에 의해 링 형상으로 형성된 홀더(170)가 배치되어 있다. 홀더(170)는 링 형상의 본체부(172)와, 본체부(172)의 외주부에 마련된 한 쌍의 지 지편(174)을 구비하고 있다. 본체부(172)는 로킹바(154)의 지지축(158)(로터(124))에 대한 축선 방향의 변위를 규제하고 있으며, 한 쌍의 지지편(174)은 토션 코일 스프링(164)의 지지축(166)(로터(124))에 대한 축선 방향의 변위를 규제하고 있다.
또 본체부(172)의 중앙부에 형성된 원형 구멍(173)에는 로터(124)의 지지축부(133)가 관통되어 있다. 이 원형 구멍(173)의 구멍 둘레부에는 로터(124)의 반대측(커버 클러치(102)측)을 향해 원통 모양으로 약간 돌출된 회전 지지부(175)가 설치되어 있으며, 로터(124)의 지지축부(133)는 이 회전 지지부(175)를 통해서 커버 클러치(102)의 원형 구멍(135)에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홀더(170)의 직경 방향의 외측이면서 로터(124)의 축선 방향의 일측(도 1 및 도 2의 화살표 A 방향측)에는 스프링성을 갖는 금속 재료(예를 들면, 스텐리스 스틸 등)로 구성되는 링(176)이 배치되어 있다. 링(176)은 링 형상으로 형성된 커버부(178)를 구비하고 있다. 커버부(178)의 외주부에, 그 직경 방향의 외측으로 돌출된 여러 개(본 실시형태에서는 6개)의 회전방지편(180)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회전방지편(180)들은 상술한 기어 휠(116)의 회전 방지 오목부(122)에 끼워 맞춤되어 있다. 이로써, 링(176)은 기어 휠(116)에 대해서 그 둘레 방향으로는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커버부(178)의 외주부에는 탄성(스프링성)을 갖는 좁은 폭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여러 개(본 실시형태에서는 6개)의 스프링편(182)이 커버부(178)의 둘레 방향을 따라서 일정 간격마다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각 스프링편(182)은 각 기단부가 커버부(178)에 일체적으로 접속되며, 각 길이 방향의 중간부가 커버 부(178)의 직경 방향의 내측을 향해서 약간 절곡되고, 각 선단부가 커버부(178)의 직경 방향의 외측을 향해서 절곡되어 있어, 전체적으로 커버부(178)의 둘레 방향을 따라서 만곡되어 있다.
이 스프링편(182)들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터(124)의 외측 톱니(130)와 기어 휠(116)의 내주면 사이에서, 로터(124) 및 기어 휠(116)의 둘레 방향을 따라서 배치되어 있으며, 스스로의 탄성력에 의해 그 내측 부분이 로터(124)의 외측 톱니(130)에 눌러붙여져 있다. 이로써, 링(176)은 로터(124)에 일체적으로 지지되어 있다.
또 각 스프링편(182)의 외측 부분은 각각 기어 휠(116)의 내주면에 걸어맞춤되어 있고, 기어 휠(116)은 각 스프링편(182)을 통해서 로터(124)에 지지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는 기어 휠(116)은 링(176)의 회전방지편(180) 및 로터(124)의 플랜지부(128)에 의해 축선 방향의 이동이 규제되어 있다. 또한 이 상태에서는 링(176)의 커버부(178)에 의해 슬라이더(144), 로킹바(154), 토션 코일 스프링(164) 및 홀더(170)의 로터(124)로부터의 탈락이 방지되어 있으며, 이 구성 부재들은 소정의 조립 위치에 지지되어 있다.
또한, 각 스프링편(182)의 각 선단부는 각각 외측 톱니(130)의 골 부분으로 들어가 외측 톱니(130)의 한쪽 측벽(본체부(126)의 직경 방향을 따라서 평행하게 형성된 쪽의 측벽)에 맞닿아 있으며, 각 기단부는 상술한 기어 휠(116)의 둘레 방향 하중 지지부(120)에 맞닿아 있다. 이로써, 기어 휠(116)과 로터(124)는 그 둘레 방향에 대해서는 각 스프링편(182)에 의해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상대 회전 이 규제되어 있으며), 기어 휠(116)이 회전한 경우에는 기어 휠(116)과 로터(124)는 기본적으로 일체적으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이 경우, 기어 휠(116)의 권취 방향으로의 회전력은 둘레 방향 하중 지지부(120)를 통해서 스프링편(182)의 기단부에 전달되고, 스프링편(182)의 선단부로부터 로터(124)의 외측 톱니(130)로 전달되도록 되어 있어, 기어 휠(116)은 둘레 방향 하중 지지부(120)를 통해서 스프링편(182)으로부터 작용하는 하중을 둘레 방향을 따라 받게 되어 있다(기어 휠(116)은 스프링편(182)으로부터의 하중을 받는 방향이 그 회전 방향을 따라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이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스프링편(182)이 스프링성을 갖는 금속 부재이므로, 로터(124)에 대한 기어 휠(116)의 상대 회전으로 생기는 회전력이 스프링편(182)의 스프링력(바이어스력)에 저항하여 각 스프링편(182)의 선단부를 외측 톱니(130)의 골 부분으로부터 빠져나가도록 하기에 충분한 크기이면, 스프링편(182)에 의한 기어 휠(116)과 로터(124)의 축선 둘레의 연결이 해제되므로, 기어 휠(116)과 로터(124)의 상대 회전이 가능해지는 구성이다(도 8 참조).
또 기어 휠(116)의 인출 방향으로의 회전력은 회전 방지 오목부(122)를 통해서 링(176)의 회전방지편(180)에 전달되고, 링(176)의 스프링편(182) 선단부로부터 로터(124)의 외측 톱니(130)로 전달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링(176)의 로터(124)의 반대측(도 1 및 도 2의 화살표 A 방향측)에는 수지 재료 등에 의해 링 형상으로 형성된 스페이서(184)가 배치되어 있다. 스페이서(184)는 링(176)과 커버 클러치(102)의 사이에 끼워져 있고, 링(176)에 대해서 그 축선 둘레로는 상대 회전할 수 없도록 되어 있다. 이 스페이서(184)는 금속제의 링(176)이 직접 커버 클러치(102)와 슬라이딩하는 것을 방지하며, 링(176)(클러치 본체부(114))의 커버 클러치(102)에 대한 상대 회전을 원활하게 하도록 되어 있다.
이상 구성의 클러치(100)는 클러치 기어부(28)의 웜 기어(34)가 회전함으로써 클러치 본체부(114)의 기어 휠(116)이 회전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고, 이 클러치 본체부(114)와 클러치 기어부(28)는 단일의 케이스(클러치 케이스(101) 및 커버 클러치(102))에 일체적으로 조립되어 전체적으로 유닛화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한편,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 클러치(102)의 측면에는 스프링·컴플리트(42)가 배치되어 있다. 스프링·컴플리트(42)는 내부에 소용돌이 형상의 스프링(미도시)을 수용하고 있다. 이 소용돌이 형상의 스프링은 소용돌이 방향의 외측 단부가 케이스 본체에 결합됨과 동시에, 소용돌이 방향의 내측 단부가 클러치 본체부(114)를 관통한 연결 스크류(21)의 선단에 결합되어 있어, 권취축(20)을 권취 방향으로 바이어스시키고 있다.
또 한편, 권취축(20)의 하방에서 다리판(16)과 다리판(18)의 사이에는 모터(44) 및 모터 기어부(46)가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도 13에는 이 모터(44) 및 모터 기어부(46)의 구성이 분해 사시도로서 도시되어 있다.
모터(44) 및 모터 기어부(46)는 하우징(48)을 구비하고 있다. 이 하우징(48)의 일측에 모터(44)가 설치됨과 동시에, 하우징(48)의 타측에 모터 기어부(46)가 설치되어 있다. 모터(44)는 그 회전축(50)의 선단측(출력측)이 하우징(48)을 향하 는 상태로 하우징(48)의 일측에 고정되어 있으며, 회전축(50)의 선단(출력측)은 하우징(48)의 타측(모터 기어부(46)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 모터(44)의 후단측에는 모터 구동용 전기 하네스(52)가 접속된 베이스 플레이트(54)가 설치되어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54)에는 전기 하네스(52)가 접속되어 있으며, 이 전기 하네스(52)의 접속 부분은 모터(44)의 본체 부분에 설치된 전기 공급 단자(56)에 압착 단자 구조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전기 하네스(52)의 접속 부분과 전기 공급 단자(56)를 납땜 등으로 접속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모터(44)는 커버 모터(58)에 의해 피복되어 있다. 커버 모터(58)에는 걸림부(60)가 마련되어 있으며, 이 걸림부(60)가 하우징(48)에 마련된 걸림부 받침 돌기(62)에 끼워져 결합됨으로써 커버 모터(58)가 하우징(48)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여기서, 커버 모터(58)에는 제1 오목부(64)가 마련되어 있으며, 이 제1 오목부(64)에 대응하여 베이스 플레이트(54)에는 제1 오목부(64) 내에 삽입 가능한 볼록부(66)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상기 모터(44)에는 베이스 플레이트(54)의 볼록부(66)에 대응하여 볼록부(66)가 삽입 가능한 제2 오목부(68)가 설치되어 있다.
즉, 볼록부(66)를 제2 오목부(68)에 삽입시켜 모터(44)를 베이스 플레이트(54)에 대해서 위치 결정함과 동시에, 볼록부(66)를 제1 오목부(64)에 삽입시켜 베이스 플레이트(54)를 커버 모터(58)에 위치 결정하고, 또한 걸림부(60)를 걸림부 받침 돌기(62)에 끼워 결합시켜 커버 모터(58)를 하우징(48)에 장착 고정함으로써 하우징(48)에 대한 모터(44)의 축 둘레의 조립 위치가 일의적으로 특정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모터 구동용 전기 하네스(52)는 모터(44)의 출력측과 반대측 프레임(12)의 배면판(14)을 향해서 커버 모터(58)의 후단 부분으로부터 빼내어져 있다. 또 이 커버 모터(58)의 전기 하네스(52)의 인출 부분은 고무 캡(70)에 의해 방수되어 있다.
한편, 하우징(48)의 타측(모터 기어부(46)측)으로 돌출되는 모터(44)의 회전축(50)의 선단에는, 모터 기어부(46)의 복수의 평톱니 기어를 구성하는 피니언(72)이 장착되어 있다. 또 모터 기어부(46)에는 각각 외측 톱니의 평톱니 기어로 된 구동력 전달 수단을 구성하는 기어(74, 76)가 서로 맞물린 상태로 수용되어 있다. 이들 기어(74, 76)는 모두 자신의 축이 모터(44)의 회전축(50)과 평행한 상태로 배치되어 있고, 기어(74)는 피니언(72)에 맞물려 있으며, 최종 평톱니 기어가 되는 기어(76)는 상술한 클러치 기어부(28)의 클러치 케이스(101)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웜 기어(34)의 일단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이 때문에, 모터(44)가 구동하면, 피니언(72) 및 기어(74, 76)를 통해서 구동력이 전달되어 웜 기어(34)가 회전되는 구성이다.
또한, 이들 피니언(72) 및 기어(74, 76)는 하우징(48)에 장착된 커버 기어(78)에 의해 피복되어 있다. 커버 기어(78)에는 걸림부(80)가 마련되어 있고, 이 걸림부(80)가 하우징(48)에 설치된 끼움부(82)에 끼워져 결합됨으로써 커버 기어(78)가 하우징(48)에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모터(44)와 모터 기어부(46)는 모두 단일의 하우징(48)에 일체적으로 조립되어 있어 전체적으로 유닛화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을 갖는 모터(44) 및 모터 기어부(46)는 하우징(48)에 일체로 설치된 장착 스테이(84)가 클러치 본체부(114) 및 클러치 기어부(28)를 수용하는 클러치 케이스(101)(즉, 프레임(12))에 스크류(86)에 의해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 하우징(48)의 클러치 케이스(101)(프레임(12))에 대한 장착 상태에서는, 모터(44)는 회전축(50)이 권취축(20)과 직교하면서도 그 출력측이 프레임(12)의 배면판(14)과 반대측을 향하는 상태로 되어 있으며, 한 쌍의 다리판(16, 18)의 사이에서 권취축(20)의 바로 밑에 위치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모터(44) 및 모터 기어부(46)는 모터 기어부(46)의 최종 평톱니 기어로서의 기어(76)가 클러치(26) 및 클러치 기어부(28)의 웜 기어(34)에 분리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으며, 장착 스테이(84)가 클러치 케이스(101)에 스크류(86)에 의해 착탈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스크류(86)를 분리하여 장착 스테이(84)를 클러치 케이스(101)로부터 분리함으로써, 모터(44) 및 모터 기어부(46)를 어셈블리 상태로 클러치 케이스(101)(프레임(12))로부터 독립적으로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술한 모터(44)는 예를 들면, 전방 감시 장치 등의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작동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구성의 웨빙 권취 장치(10)에서는 클러치 본체부(114)의 슬라이더(144)는, 통상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킹바(154)에 접근하여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로킹바(154)의 해제편(168)은, 통상은, 슬라이더(144)의 압압 지지편(145)에 의해 지지되어 있고, 로킹바(154)의 연결편(160)은 래칫(134)의 외측 톱니(136)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이 때문에, 래칫(134)(권취축(20))은 로터(124)에 대해서 상대 회전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승차자가 차량의 좌석에 착석하여 본 웨빙 권취 장치(10)에 격납된 웨빙을 잡아당기면, 권취축(20)이 인출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웨빙이 인출된다. 이로써, 승차자는 웨빙을 신체에 두르고, 예를 들면, 웨빙에 설치된 텅 플레이트를 버클 장치에 걸어맞춤으로써 웨빙을 신체에 장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량 주행 중에 차량의 전방에 장애물이 존재하고, 차량과 장애물 사이의 간격(차량부터 장애물까지의 거리)이 소정 범위 내에 도달하면, 모터(44)의 구동이 개시되어 회전축(50)이 급격하게 회전된다.
이 모터(44)의 회전축(50)이 회전되면, 그 회전력이 모터 기어부(46)의 피니언(72), 기어(74, 76), 및 클러치 기어부(28)의 웜 기어(34)를 통해서 클러치 본체부(114)의 기어 휠(116)에 전달되어, 기어 휠(116)이 급격하게 권취 방향으로 회전된다. 기어 휠(116)의 권취 방향으로의 회전은 둘레 방향 하중 지지부(120)를 통해서 링(176)의 스프링편(182)의 기단부에 전달됨과 동시에, 스프링편(182)의 선단부로부터 로터(124)의 외측 톱니(130)로 전달되어 로터(124)가 급격하게 권취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 때, 슬라이더(144)는 슬라이딩편(146) 및 리테이너(148)에 작용하는 마찰력에 의해 케이스(클러치 케이스(101) 및 커버 클러치(102))에 지지되기 때문에, 로터(124)가 슬라이더(144)에 대해서 소정 범위 내에서 상대 이동하고, 로터(124) 에 지지된 로킹바(154)가 슬라이더(144)로부터 이격 이동한다.
이 때문에, 압압 지지편(145)에 의한 해제편(168)의 지지가 해제되고, 로킹바(154)의 연결편(160)은 토션 코일 스프링(164)의 바이어스력에 의해 래칫(134) 측으로 이동하여, 연결편(160)의 선단부가 래칫(134)의 외측 톱니(136)에 맞물린다(도 6의 화살표 E 참조). 이로써, 로터(124)의 권취 방향으로의 회전이 로킹바(154)를 통해서 래칫(134)에 전달되고, 래칫(134)이 권취 방향으로 급격하게 회전된다. 이 래칫(134)은 권취축(20)에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권취축(20)이 래칫(134)과 함께 권취 방향으로 급격하게 회전된다.
이로써, 웨빙이 권취축(20)에 감겨지고, 웨빙의 약간의 이완, 소위 「슬랙」이 해소되어 웨빙에 의한 승차자의 신체에 대한 구속력이 향상되고, 만약 그 후에 승차자가 차량 급제동(급브레이크) 조작을 하여 차량이 급감속 상태가 되었다고 하더라도, 웨빙이 확실하게 승차자의 신체를 지지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슬랙」이 해소된 상태에서는, 승차자의 신체가 방해가 되어 기본적으로는 더 이상 권취축(20)에 웨빙을 감을 수 없게 된다. 이 때문에, 권취축(20)에는 웨빙으로부터 소정 값 이상의 하중이 작용하고, 그 결과, 로터(124)에는 래칫(134) 및 로킹바(154)를 통해서 소정 값 이상의 하중이 작용한다. 로터(124)에 소정 값 이상의 하중이 작용하면,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프링편(182)이 탄성 변형됨으로써 스프링편(182)의 각 선단부가 로터(124)의 외측 톱니(130)의 골 부분으로부터 빠져나가, 기어 휠(116)과 로터(124)의 상대적인 공회전이 가능해진다(소위, 「로드 리미터 기구」, 도 8의 화살표 F 참조).
이로써, 래칫(134) 및 로킹바(154)를 통해서 로터(124)에 연결된 권취축(20)이, 모터(44)의 구동력에 의해 필요 이상의 힘으로 권취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웨빙이 필요 이상의 힘으로 승차자의 신체를 조여붙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 상태에서는, 래칫(134)의 외측 톱니(136)가, 소위 래칫 톱니로 되어 있기 때문에,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래칫(134)(권취축(20))이 로터(124)에 대해서 권취 방향으로 상대 회전하고자 한 경우(도 10의 화살표 H 참조)에는, 로킹바(154)는 래칫(134)의 외측 톱니(136)로 튀어오름으로써(도 10의 화살표 G 참조), 래칫(134)(권취축(20))의 로터(124)에 대한 권취 방향으로의 상대 회전을 허용한다. 이로써, 상술한 바와 같이 「슬랙」이 해소된 상태에서, 예를 들면, 차량의 충돌을 피할 수 없는 상황이 된 경우에는, 또 다른 프리텐셔너 장치 등에 의해 권취축(20)을 권취 방향으로 강제적으로 회전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 웨빙에 의한 승차자 신체의 구속력을 더욱 확실하게 하여, 차량 충돌시에 승차자의 피해를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차량 충돌 위험이 회피된 경우에는, 모터(44)의 회전축(50)이 역회전된다. 이 회전축(50)의 회전력은 모터 기어부(46)의 피니언(72), 기어(74, 76), 및 클러치 기어부(28)의 웜 기어(34)를 통해서 클러치 본체부(114)의 기어 휠(116)에 전달되어, 기어 휠(116)이 급격하게 인출 방향으로 회전된다(도 11의 화살표 D 참조).
기어 휠(116)의 인출 방향으로의 회전은 기어 휠(116)의 회전 방지 오목 부(122)를 통해서 링(176)의 회전방지편(180)에 전달됨과 동시에, 링(176)의 스프링편(182)의 선단부로부터 로터(124)의 외측 톱니(130)로 전달되어, 로터(124)가 급격하게 인출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 때, 슬라이더(144)는 슬라이딩편(146) 및 리테이너(148)에 작용하는 마찰력에 의해 케이스(클러치 케이스(101) 및 커버 클러치(102))에 지지되기 때문에, 로터(124)가 슬라이더(144)에 대해서 소정 범위 내에서 상대 이동하고, 로터(124)에 지지된 로킹바(154)가 슬라이더(144)로 접근 이동한다.
이 때문에, 슬라이더(144)의 압압 지지편(145)이, 로킹바(154)의 해제편(168)이 경사진 단면을 압압함으로써, 해제편(168)이 토션 코일 스프링(164)의 바이어스력에 저항하여 래칫(134) 측으로 이동되고(도 12의 화살표 J 참조), 로킹바(154)의 연결편(160)이 래칫(134)의 외측 톱니(136)로부터 이격된다. 또한, 로킹바(154)가 슬라이더(144)에 접근하면, 로킹바(154)의 해제편(168)은 슬라이더(144)의 압압 지지편(145)의 내측(래칫(134) 측)에 들어가고, 로킹바(154)는 걸어맞춤 해제 위치에 지지된다(도 12에 도시한 상태). 이로써, 로터(124)와 래칫(134)은 다시 상대 회전할 수 있게 되어 권취축(20)의 자유로운 회전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이 웨빙 권취 장치(10)의 클러치(100)에서는, 클러치 본체부(114)는 권취축(20)에 지지된 구성이 아니라, 케이스(클러치 케이스(101) 및 커버 클러치(102))에 지지된 구성이다. 즉,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러치 본체부(114)는 로터(124)의 수용부(132)의 축선 방향의 일측에 마련된 지지축부(133)가, 홀더(170)의 회전 지지부(175)를 통해서 커버 클러치(102)의 원형 구멍(135)에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됨과 동시에, 수용부(132)의 축선 방향의 타측이 부싱(112)을 통해서 클러치 케이스(101)에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됨으로써, 케이스(클러치 케이스(101) 및 커버 클러치(102))에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이 웨빙 권취 장치(10)에서는, 로킹바(154)에 의해 로터(124)와 래칫(134)(권취축(20))이 연결된 상태(차량 급감속시 등) 이외에는, 권취축(20)은 클러치 본체부(114)와는 상관없이 회전할 수 있다. 이로써, 권취축(20)의 원활한 회전이 보장되고, 통상 사용시의 웨빙의 인출 권취성이 향상된다.
또한, 이 웨빙 권취 장치(10)의 클러치(100)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클러치 본체부(114)의 슬라이더(144)를 마찰력에 의해 케이스(클러치 케이스(101) 및 커버 클러치(102))에 지지시킴으로써, 슬라이더(144)와 로킹바(154)를 상대 이동시키고, 이 상대 이동에 의해 로킹바(154)를 래칫(134)과의 걸어맞춤 위치 또는 걸어맞춤 해제 위치로 이동시키는 간단한 구성이다. 따라서, 종래의 클러치와 같이 대형이면서 중량이 있는 관성 원반을 사용하여 폴을 이동시키는 구성에 비해, 클러치(100)의 전체 구성을 대폭적으로 소형화(특히, 박형화)할 수 있으므로 웨빙 권취 장치(10)의 전체 구성을 간단히 할 수 있다.
또한, 이 웨빙 권취 장치(10)의 클러치(100)에서는, 클러치 본체부(114)의 기어 휠(116)에는 둘레 방향 하중 지지부(120)가 마련되어 있고, 기어 휠(116)로부터 로터(124)로의 권취 방향의 회전력 전달시에 스프링편(182)으로부터 기어 휠(116)로 작용하는 하중은, 그 둘레 방향 하중 지지부(120)를 통해서 기어 휠(116)의 둘레 방향을 따라서 작용한다. 이 때문에, 상기 회전력 전달시에 스프링 편(182)으로부터 기어 휠(116)의 직경 방향을 따라서 작용하는 하중을 상정하여 기어 휠(116)의 강성을 높일 필요가 없다.
또한, 이 클러치(100)에서는, 스프링편(182)은 로터(124)에 소정 값 이상의 하중이 작용했을 때에는 탄성 변형됨으로써 선단부를 로터의 외측 톱니로부터 빠져나가도록 하여 기어 휠(116)과 로터(124) 사이의 회전의 전달을 차단하는 구성이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은 「로드 리미터 기구」의 작동은 로터(124)와 스프링편(182) 사이에 행해지는 구성이며, 이 경우에도, 기어 휠(116)에는 직경 방향을 따른 하중이 작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 점에서도 기어 휠(116)의 강성을 높일 필요가 없다. 따라서, 이 클러치(100)에서는 기어 휠(116)을 얇게 성형하거나 또는 수지 등으로 성형할 수 있으므로, 클러치(100)의 소형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이 웨빙 권취 장치(10)의 클러치(100)에서는, 클러치 본체부(114)의 링(176)은 기어 휠(116), 슬라이더(144), 로킹바(154), 토션 코일 스프링(164) 및 홀더(170)를 소정의 조립 위치에 지지하는 커버부(178)와, 상술한 「로드 리미터 기구」용 스프링편(182)을 일체적으로 가지고 있다. 또한, 이 링(176)은 스프링편(182)의 탄성력에 의해 로터(124)에 일체적으로 지지되는 구성이다. 즉, 이 클러치 본체부(114)에서는, 기어 휠(116), 슬라이더(144), 로킹바(154), 토션 코일 스프링(164) 및 홀더(170)를 소정의 조립 위치에 조립함과 동시에, 스프링편(182)의 탄성력에 의해 링(176)을 로터(124)에 지지시킴으로써, 상기 각 클러치 구성 부재를 일체적으로 임시 지지(서브 어셈블리화)할 수 있다. 이로써, 클러치 본체부(114)를 케이스(클러치 케이스(101) 및 커버 클러치(102))에 조립시, 조립성이 크게 향상되어 웨빙 권취 장치(10)의 생산성이 향상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웨빙 권취 장치(10)에서는, 클러치(100)에 의해 모터(44) 측으로부터의 회전만을 권취축(20)에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클러치(100)의 소형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는 동시에 조립성이 향상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클러치(100)에 의해 모터(44)의 회전축(50)의 회전을 권취축(20)에 전달하여 권취축(20)을 웨빙 권취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성으로 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클러치에 의해 모터(44)의 회전축(50)의 회전을 권취축(20)에 전달하여 권취축(20)을 웨빙 인출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웨빙 권취 장치는, 클러치에 의해 모터측으로부터의 회전만을 권취축에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통상 사용시에 웨빙의 인출 권취성이 향상된다.

Claims (8)

  1. 삭제
  2. 승차자 구속용 웨빙이 권취 인출 가능하도록 감긴 권취축과, 모터와, 기계적으로 상기 모터와 상기 권취축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모터의 회전을 상기 권취축으로 전달하여 상기 권취축을 상기 웨빙 권취 방향으로 회전시킴과 동시에, 상기 권취축측에서 발생된 회전의 전달을 차단하여 그 회전이 상기 모터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클러치를 구비한 웨빙 권취 장치로서,
    상기 클러치는,
    케이스와,
    상기 권취축에 대해서 동축적으로 설치되고, 상기 모터의 회전이 전달되어 회전하는 회전체와,
    상기 케이스에 마찰력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상기 회전체에 대해서 소정 범위 내에서 상대 이동 가능하도록 된 슬라이더와,
    항상 상기 권취축과의 걸어맞춤 방향으로 바이어스됨과 동시에 통상은 상기 슬라이더에 의해 상기 권취축과의 걸어맞춤 해제 위치에 지지되고, 상기 회전체가 상기 웨빙 권취 방향으로 회전했을 때에는 상기 슬라이더로부터 이격 이동하여 상기 지지가 해제됨으로써 상기 권취축에 걸어맞춤되어 상기 회전체의 상기 웨빙 권취 방향으로의 회전을 상기 권취축으로 전달함과 동시에 상기 권취축의 상기 회전체에 대한 상기 웨빙 권취 방향으로의 상대 회전을 허용하고, 상기 회전체가 상기 웨빙 인출 방향으로 회전했을 때에는 상기 슬라이더로 접근 이동하여 상기 슬라이더에 의해 상기 걸어맞춤 해제 위치로 이동되어 지지되는 로킹바를 구비하고,
    상기 모터의 회전이 전달되어 회전하는 회전체는, 그 회전체의 축선방향의 양측에서 상기 권취축과 독립하여 상기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웨빙 권취 장치.
  3. 삭제
  4. 승차자 구속용 웨빙이 권취 인출 가능하도록 감긴 권취축과, 모터와, 기계적으로 상기 모터와 상기 권취축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모터의 회전을 상기 권취축에 전달하여 상기 권취축을 회전시킴과 동시에, 상기 권취축측에서 발생된 회전의 전달을 차단하여 그 회전이 상기 모터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클러치를 구비한 웨빙 권취 장치로서,
    상기 클러치는,
    케이스와,
    상기 권취축에 대해서 동축적으로 설치되고, 상기 모터의 회전이 전달되어 회전하는 회전체와,
    상기 권취축에 대해서 동축적으로 설치되고, 상기 회전체의 회전이 전달되어 회전하는 래칫과,
    통상은 상기 권취축과의 걸어맞춤 해제 위치에 지지되고, 상기 래칫이 축선 둘레의 일방향으로 회전했을 때에는 상기 권취축에 걸어맞춤되어 상기 래칫의 상기 축선 둘레의 일방향으로의 회전을 상기 권취축에 전달함과 동시에, 상기 래칫이 축선 둘레의 타방향으로 회전했을 때에는 상기 걸어맞춤 해제 위치로 이동되어 지지되는 로킹바를 구비하고,
    상기 모터의 회전이 전달되어 회전하는 회전체는, 그 회전체의 축선방향의 양측에서 상기 권취축과 독립하여 상기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웨빙 권취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래칫은 수지 부재로 둘러싸여 있는 웨빙 권취 장치.
  6. 삭제
  7. 제2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는,
    상기 모터의 회전이 전달되어 회전하는 기어 휠과,
    상기 로킹바를 지지하는 로터와,
    상기 기어 휠과 상기 로터 사이에 설치되어 양자를 연결하여, 상기 기어 휠의 회전을 상기 로터에 전달함과 동시에, 상기 로터에 소정 값 이상의 하중이 작용했을 때에는 상기 하중에 의해 상기 기어 휠과 상기 로터 사이의 회전의 전달을 차단하여 양자를 상대적으로 공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스프링편을 구비하고,
    상기 로터가 상기 케이스에 지지되어 있는 웨빙 권취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편은 링 형상의 형상을 가짐과 동시에 커버부를 구비한 웨빙 권취 장치.
KR1020067022875A 2004-04-01 2005-03-10 웨빙 권취 장치 KR1010603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109315 2004-04-01
JP2004109315A JP4571428B2 (ja) 2004-04-01 2004-04-01 ウエビング巻取装置
PCT/JP2005/004175 WO2005097561A1 (ja) 2004-04-01 2005-03-10 ウエビング巻取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2442A KR20070012442A (ko) 2007-01-25
KR101060300B1 true KR101060300B1 (ko) 2011-08-29

Family

ID=35049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2875A KR101060300B1 (ko) 2004-04-01 2005-03-10 웨빙 권취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070246593A1 (ko)
EP (1) EP1731387B1 (ko)
JP (1) JP4571428B2 (ko)
KR (1) KR101060300B1 (ko)
CN (2) CN100333945C (ko)
AU (1) AU2005230295A1 (ko)
CA (1) CA2561778A1 (ko)
TW (1) TWI314110B (ko)
WO (1) WO200509756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02005024374D1 (de) * 2004-04-01 2010-12-09 Tokai Rika Co Ltd Gurtaufroller
JP4501928B2 (ja) * 2006-11-16 2010-07-14 トヨタ車体株式会社 車椅子用ウインチ装置
JP5364463B2 (ja) * 2009-06-19 2013-12-11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ウエビング巻取装置
WO2012005538A2 (ko) * 2010-07-09 2012-01-12 주식회사 셀트리온디비아이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 및 이에 이용되는 클러치
JP2016037181A (ja) * 2014-08-07 2016-03-22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ウェビング巻取装置
CN105459948B (zh) * 2014-08-08 2018-03-27 比亚迪股份有限公司 车辆及其安全带卷绕装置
JP6175099B2 (ja) * 2015-05-27 2017-08-02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ウェビング巻取装置
JP6542298B2 (ja) * 2017-06-28 2019-07-10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ウェビング巻取装置
CN115139972B (zh) * 2021-03-31 2023-11-14 比亚迪股份有限公司 安全带回卷装置和具有其的车辆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42782A (ja) * 2002-07-11 2004-02-12 Tokai Rika Co Ltd ウエビング巻取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115316U1 (de) * 2001-09-17 2002-02-07 Trw Repa Gmbh Gurtaufroller
JPH0732294Y2 (ja) * 1988-11-21 1995-07-26 芦森工業株式会社 シートベルトのリトラクタ
JPH02168832A (ja) * 1988-12-20 1990-06-28 Asmo Co Ltd 歯車減速モータ
DE4345457C2 (de) * 1993-09-13 2002-07-04 Autoliv Dev Gurtaufroller-Gurtstrammer-Kombination mit Kraftbegrenzer
US5529258A (en) * 1994-12-21 1996-06-25 Alliedsignal Inc. Secondary locking mechanism for retractor with pretensioner
DE29500807U1 (de) * 1995-01-19 1995-03-02 Foehl Artur Kupplung zwischen der Gurtwelle eines Gurtaufrollers und einem Gurtstraffer-Drehantrieb
KR100259716B1 (ko) * 1998-04-30 2000-08-01 정몽훈 시트벨트용 텐션 리듀서
US6494395B1 (en) * 1999-11-02 2002-12-17 Takata Corporation Seat belt retractor with clutch mechanism
JP4800471B2 (ja) * 1999-11-02 2011-10-26 タカタ株式会社 シートベルト巻取装置
JP3886088B2 (ja) 1999-11-05 2007-02-28 タカタ株式会社 乗員拘束保護装置
JP2001180440A (ja) * 1999-12-24 2001-07-03 Takata Corp シートベルト巻取り装置
JP4811893B2 (ja) * 2000-04-21 2011-11-09 タカタ株式会社 モータ式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ー
JP4726099B2 (ja) 2000-04-21 2011-07-20 タカタ株式会社 モータ式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ー
JP3810060B2 (ja) * 2001-12-27 2006-08-16 タカタ株式会社 シートベルト巻取装置
JP3924212B2 (ja) * 2002-07-11 2007-06-06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ウエビング巻取装置
JP3924213B2 (ja) * 2002-07-11 2007-06-06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ウエビング巻取装置及びクラッチ機構
JP2005028970A (ja) * 2003-07-10 2005-02-03 Toyota Motor Corp 車両用シートベルト装置
DE20315870U1 (de) * 2003-10-15 2004-02-26 Trw Occupant Restraint Systems Gmbh & Co. Kg Gurtaufroller mit reversiblem Gurtstraffer und Rutschkupplung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42782A (ja) * 2002-07-11 2004-02-12 Tokai Rika Co Ltd ウエビング巻取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5097561A1 (ja) 2005-10-20
CA2561778A1 (en) 2005-10-20
US20070246593A1 (en) 2007-10-25
TWI314110B (en) 2009-09-01
KR20070012442A (ko) 2007-01-25
JP2005289261A (ja) 2005-10-20
CN1676381A (zh) 2005-10-05
EP1731387A4 (en) 2009-04-15
CN2818241Y (zh) 2006-09-20
EP1731387B1 (en) 2013-05-29
EP1731387A1 (en) 2006-12-13
TW200538330A (en) 2005-12-01
AU2005230295A1 (en) 2005-10-20
JP4571428B2 (ja) 2010-10-27
CN100333945C (zh) 2007-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71427B2 (ja) ウエビング巻取装置
KR101060300B1 (ko) 웨빙 권취 장치
KR101012915B1 (ko) 웨빙 권취 장치
US20070278338A1 (en) Webbing Take-Up Device
US6857594B2 (en) Webbing winding device
KR101004896B1 (ko) 웨빙 권취 장치
JP4491266B2 (ja) ウエビング巻取装置
JP2007145239A (ja) ウエビング巻取装置
JP4437963B2 (ja) モータリトラクタ
JP5199311B2 (ja) ウエビング巻取装置
JP2004042789A (ja) ウエビング巻取装置
KR100888916B1 (ko) 모터구동식 시트벨트 리트랙터의 클러치
JP4408403B2 (ja) モータリトラクタ
JP2010208638A (ja) ウエビング巻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