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6167B1 -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6167B1
KR101636167B1 KR1020140167007A KR20140167007A KR101636167B1 KR 101636167 B1 KR101636167 B1 KR 101636167B1 KR 1020140167007 A KR1020140167007 A KR 1020140167007A KR 20140167007 A KR20140167007 A KR 20140167007A KR 101636167 B1 KR101636167 B1 KR 1016361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light emitting
pedestals
light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70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65143A (ko
Inventor
토시히로 사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재팬 디스프레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재팬 디스프레이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재팬 디스프레이
Publication of KR201500651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51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61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61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H10K50/81Anodes
    • H10K50/818Reflective anodes, e.g. ITO combined with thick metallic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H10K50/82Cathodes
    • H10K50/822Cathod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H10K50/82Cathodes
    • H10K50/828Transparent cathodes, e.g. comprising thin metal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0/852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a resonant cavity structure, e.g. Bragg reflector pair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0/856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reflective mea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1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8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colour filters or colour changing media [CCM]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7Passive-matrix OLED displays
    • H10K59/173Passive-matrix OLED displays comprising banks or shadow mask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ome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혼색 방지 및 효율 개선을 목적으로 한다.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는, 제1 기판과, 경사진 측면을 갖도록 제1 기판에 볼록형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받침대와, 각각이 어느 하나의 받침대의 측면에 구비된 복수의 제1 전극과, 복수의 받침대의 상방에서 복수의 제1 전극에 적층하는 발광층을 포함하도록 구비된 복수의 유지 전계 발광막과, 복수의 받침대 상방에서 유기 전계 발광막 상에 적층하도록 구비된 제2 전극을 갖는다. 발광층에서 발생한 광은, 제1 반사면 및 제2 반사면 사이에서 도파한다. 제2 전극은, 받침대의 상단부의 상방에, 광이 통과하는 광투과부를 갖는다. 제2 전극의 유기 전계 발광막과 대향하는 면이, 광투과부를 제외하고, 제2 반사면이다.

Description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ORGANIC ELECTRO-LUMINECENCE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에 관한 것 이다.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는, 유기막을 양극과 음극으로 끼워 넣은 구조를 갖는다(특허 문헌1 참조). 통상, 복수의 유기막이 적층되어 있고, 그 한 층은 발광층이다. 유기막은, 광투과성의 봉지막에 의해 덮여져 수분으로부터 차단된다.
(특허 문헌1) 일본특허 공개 2012-234748호 공보
고화질의 표시장치에서는, 화소의 미세화에 의해, 이웃하는 화소가 접근하도록 되어 왔다. 그 때문에, 어느 한 화소에서 발생한 광이 봉지막을 도파하여 그 이웃의 화소로 들어가는 경우가 있고, 이에 의해 혼색이라는 문제가 발생됐다. 지금까지, 광의 약 80%가 횡 방향 또는 비스듬한 방향으로 도파하기 때문에 효율이 나빠졌다.
따라서, 본 발명은, 혼색의 방지 및 효율의 개선을 목적으로 한다.
(1) 본 발명에 따른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는, 기판과, 경사진 측면을 갖도록 상기 기판에 볼록형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받침대와, 각각이 상기 받침대의 어느 하나의 상기 측면에 구비된 복수의 제1 전극과, 상기 복수의 받침대의 상방에서 상기 복수의 제1 전극에 적층하는 발광층을 포함하도록 구비된 유기 전계 발광막과, 상기 복수의 받침대의 상방에서 상기 유기 전계 발광막 상에 적층하도록 구비된 제2 전극을 갖고, 상기 발광층에서 발생한 광은, 제1 반사면 및 제2 반사면의 사이에서 도파하고、상기 제2 전극은, 상기 받침대의 상단부의 상방에, 상기 광이 통과하는 광투과부를 갖고, 상기 제2 전극의 상기 유기 전계 발광막과 대향하는 면이, 상기 광투과부를 제외하고, 상기 제2 반사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받침대의 상단부의 상방에서, 발광층에서 발생한 광이 출사하므로, 이웃의 화소로 광이 들어가기 어렵다. 이에 의해, 혼색 방지 및 효율 개선이 가능해진다.
(2) (1)에 기재된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의 상기 발광층과 대향하는 면이 상기 제1 반사면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3) (2)에 기재된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발광층은, 복수 색 중 어느 하나의 색의 광을 각각 발하는 복수의 발광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 발광층은, 각각 어느 하나의 상기 제1 전극에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4) (3)에 기재된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에 있어서, 이웃하는 상기 받침대의 사이에서 이웃하는 상기 제1 전극의 단부에 얹히도록 구비된 절연층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5) (4)에 기재된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은, 굴절율이, 상기 복수의 발광층보다도 높고, 이웃하는 상기 발광층은, 각각의 단부가, 간격을 두고, 상기 절연층에 접촉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 전극은, 이웃하는 상기 발광층의 사이에서 상기 절연층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6) (1)에 기재된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발광층은, 1색의 광을 발하도록, 상기 복수의 제1 전극에 연속적으로 적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7) (6)에 기재된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에 있어서, 컬러 필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8) (6)에 기재된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받침대 아래에 배치된 미러 층을 더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받침대 및 상기 제1 전극은, 각각, 광투과성을 갖고, 상기 복수의 받침대는, 컬러 필터를 구성하도록 복수 색의 착색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미러 층의 상기 받침대와 대향하는 면이 상기 제1 반사면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9) (8)에 기재된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미러 층은, 도전성을 갖고, 어느 하나의 상기 제1 전극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10) (6) 내지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웃하는 상기 받침대의 사이에서 이웃하는 상기 제1 전극의 단부에 얹히도록 구비된 절연층을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11) (10)에 기재된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은, 굴절율이, 상기 발광층보다도 높고, 상기 발광층은, 상기 절연층을 덮도록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12) (1) 내지 (11)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전극은, 상기 복수의 받침대의 상기 상단부를 피하도록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13) (12)에 기재된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발광층은, 상기 복수의 받침대의 상기 상단부의 상방 영역을 피하도록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14) (13)에 기재된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극은, 상기 복수의 받침대의 상기 상단부의 상방 영역을 피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광투과부는, 상기 제2 전극에 형성된 개구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15) (1) 내지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전극은, 상기 복수의 받침대의 상기 상단부에 얹히도록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
(16) (15)항에 기재된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발광층은, 상기 복수의 받침대의 상단부의 상방에서 상기 복수의 제1 전극에 얹히도록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17) (16)항에 기재된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극은, 상기 복수의 받침대의 상기 상단부의 상방에서 상기 발광층에 얹히도록 구비되고, 상기 광투과부는, 투명 도전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18) (17)항에 기재된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극은, 상기 투명 도전 재료로 이루어진 투명층과, 광을 반사하는 재료로 이루어진 반사층을 포함하고, 상기 반사층은, 상기 복수의 받침대의 상기 상단부의 상방 영역을 피해서, 상기 복수의 받침대의 상기 측면의 상방에서 상기 유기 전계 발광막에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19) (18)항에 기재된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반사층이 상기 유기 전계 발광막에 접촉하고, 상기 투명층은, 상기 반사층을 덮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20) (1) 내지 (19)항 중 어느 한 항에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받침대의 형상에 대응하여, 상기 제2 전극은 요철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요철의 볼록부의 높이로 동일하게 되도록 오목부에 구비된 평탄화막을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21) (20)항에 기재된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기 전계 발광막을 봉지하도록, 상기 제2 전극 및 상기 평탄화막의 상방에 구비된 봉지막을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22) (1) 내지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받침대는, 각각, 뿔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받침대의 상단부의 상방에서, 발광층에서 발생한 광이 출사하므로, 이웃의 화소로 광이 들어가기 어렵다. 이에 의해, 혼색 방지 및 효율 개선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는 제1 기판 및 그 위의 적층 구조의 일부를 도시하는 단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하는 구조의 III-III선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하는 구조의 IV-IV선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5A ~ C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의 일부를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의 일부를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의 일부를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의 일부를 확대한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는, 제1 기판(10)을 갖는다. 제1 기판(10)에는,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소자를 구동하기 위한 집적 회로 칩(12)이 탑재되어 있다. 제1 기판(10)에는, 외부와의 전기적 접속을 위해, 플랙시블 배선 기판(14)이 접속되어 있다. 제1 기판(10)에는, 도시하지 않은 박막 트랜지스터, 배선 및 절연층을 포함하는 회로층(16)이 형성되어 있다. 회로층(16)에는, 소자층(18)이 적층되어 있다. 소자층(18)의 상세는 후술한다.
표시장치는, 제2 기판(20)을 갖는다. 제2 기판(20)은, 제1 기판(10)과 간격을 두고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1 기판(10)과 제2 기판(20) 사이에는 충전제(22)가 구비되고, 충전제(22)는 씰재(24)에 둘러싸여 봉지되어 있다.
도 2는, 제1 기판 및 그 위의 적층 구조의 일부를 도시하는 단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하는 구조의 III-III선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하는 구조의 IV-IV선의 단면도이다.
소자층(18)은, 복수의 받침대(26)를 포함한다. 제1 기판(10)에는, 복수의 받침대(26)가 볼록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받침대(26)는, 아크릴 수지 등의 수지로 이루어진다. 받침대(26)는, 광투과성을 가질 수도 있고, 차광성을 가질 수도 있다. 받침대(26)는, 원뿔대 또는 각뿔대 등의 뿔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받침대(26)는, 경사진 측면을 갖는다. 원뿔대의 받침대(26)는, 측면이 테이퍼 형상으로 되어 있다. 받침대(26)의 상단부는, 평탄한 상면을 갖도록 되어 있다. 복수의 받침대(26)가, 복수 열을 이루도록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되어 있다.
받침대(26)의 측면에는 제1 전극(28)(양극)이 구비되어 있다. 제1 전극(28)은, 받침대(26)의 상단부에도 구비된다. 제1 전극(28)은 광을 반사하도록 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제1 전극(28)을, 은이나 알루미늄 등의 금속으로 이루어진 단일층으로 형성하여, 그 표면(받침대(26)와는 반대 측을 향하는 면)에서 광을 반사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는, 제1 전극(28)을 복수층으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표면에 가까운 층을 인듐 주석 산화물이나 인듐 아연 산화물 등의 투명 도전 재료로 형성하여, 그 아래의 은이나 알루미늄 등의 금속으로 이루어진 층의 표면에서 광을 반사하도록 할 수도 있다. 어느 쪽이든, 제1 전극(28)은, 받침대(26)와는 반대측에, 광을 반사하는 제1 반사면(30)을 갖는다.
제1 전극(28)은, 회로층(16)의 도시하지 않는 배선을 개재하여, 도시하지 않는 박막 트랜지스터에 접속된다. 제1 전극(28)은 받침대(26)로부터 삐져나오도록 구비되어 있다. 회로층(16)의 최상층은, 예를 들어, SiO2로 이루어진 패시베이션막이며, 그 위에 제1 전극(28)의 단부가 얹히도록 되어 있다.
이웃하는 받침대(26) 사이에서, 이웃하는 제1 전극(28)의 단부에 얹히도록, 절연층(32)이 구비되어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극(28)의, 받침대(26)로부터 삐져나온 부분에 절연층(32)이 얹히도록 되어 있다. 절연층(32)은, 이 예에서는, 받침대(26)와는 겹치지 않는 위치에 있다. 다시 말하면,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절연층(32)은, 받침대(26)를 피하도록 회로층(16) 상에 구비되어 있다. 절연층(32)은, 광투과성을 갖는다면, 실리콘 나이트라이드 등의 굴절율이 높은 재료로 형성한다.
받침대(26)의 상방에는, 유기 전계 발광막(34)이 구비되어 있다. 유기 전계 발광막(34)은, 도시하지 않지만 복수 층으로 이루어지고, 적어도 발광층을 포함하며, 또한, 전자 수송층, 정공 수송층, 전자 주입층 및 정공 주입층 중 적어도 한 층을 포함한다. 복수의 유기 전계 발광막(34)이, 각각의 발광층이 복수 색 중 어느 한 색의 광을 발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복수의 발광층에서 복수 색의 색 광이 발생한다.
발광층은, 받침대(26)의 상단부에도 얹히도록 구비되어 있다. 받침대(26)는, 볼록형상으로 구비되므로, 그 표면은 저면보다도 넓다. 그 때문에, 유기 전계 발광막(34)(발광층)을 넓게 구비할 수 있으므로, 발광 효율이 개선된다. 이에 의해, 고휘도를 얻을 수 있고, 또는 전류 밀도를 낮춤으로써 장수명화를 도모할 수 있다.
유기 전계 발광막(34)(발광층)은, 제1 전극(28)에 적층된다. 이웃하는 유기 전계 발광막(34)(발광층)은, 각각의 단부가, 간격을 두고, 절연층(32)에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발광층의 굴절율은, 절연층(32)의 굴절율보다도 낮다. 절연층(32)의 굴절율은, 발광층의 굴절율보다도 높다. 발광층과 절연층(32)의 굴절율이 다르기 때문에, 발광층에서 발생한 광은, 발광층과 절연층(32)의 계면에서 반사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절연층(32)이 광투과성을 갖고 있어도, 발광층에서 발생한 광은 절연층(32)을 통과하기 어렵다.
복수의 받침대(26)의 상방에는, 유기 전계 발광막(34)(발광층) 상에, 제2 전극(36)(음극)이 적층되어 있다. 제2 전극(36)은, 은이나 알루미늄 등의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광을 반사하게 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제2 전극(36)은, 유기 전계 발광막(34)(발광층)을 향하는 측에, 광을 반사하는 제2 반사면(38)을 갖는다.
제1 전극(38) 및 제2 전극(36)에 전압을 거는 것으로 각각으로부터 정공과 전자를 유기 전계 발광막(34)에 주입한다. 주입된 정공과 전자가 발광층에서 결합하여 광을 발한다. 제1 전극(28)의 단부와 제2 전극(36) 사이에는, 절연층(32)이 개재하여 있으므로, 양자간의 쇼트가 방지되어 있다.
유기 전계 발광막(34)(발광층)은, 제1 반사면(30) 및 제2 반사면(38)의 사이에 있다. 제1 전극(28)의 발광층과 대향하는 면이 제1 반사면(30)이다. 제2 전극(36)의, 유기 전계 발광막(34)(발광층)과 대향하는 면이, 제2 반사면(38)이다. 제1 반사면(30) 및 제2 반사면(38)은 광 캐비티를 구성한다. 발광층에서 발생한 광은, 제1 반사면(30) 및 제2 반사면(38)의 사이에서 도파하고, 특정 파장의 광이 증폭된다.
제2 전극(36)은, 받침대(26)의 상단부의 상방영역을 피하도록 구비되어 있다. 제2 전극(36)은, 받침대(26)의 상단부 상방에, 광이 통과하는 광투과부(40)을 갖는다. 광투과부(40)는, 제2 전극(36)에 형성된 개구이다. 유기 전계 발광막(34)(발광층)에서 발광한 광은, 제2 전극(36)의 광투과부(40)에서 출사한다. 광은, 제1 반사면(30) 및 제2 반사면(38)의 사이에서 도파하므로, 전(全)방위로 균등하게 방사된다. 그 때문에, 넓은 시야각 특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광 출사영역이 광투과부(40)에 한정되므로, 광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받침대(26) 상단부 상방에서, 발광층에서 발생한 광이 출사하므로, 이웃하는 화소에 광이 들어가기 어렵고, 이에 의해, 혼색 방지 및 효율 개선이 가능해 진다.
제2 전극(36)은, 이웃하는 발광층 사이에서 절연층(32)에 접촉한다. 제2 전극(36)은, 복수의 받침대(26)의 형상에 대응하여, 요철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2 전극의 요철의 볼록부의 높이로 동일해 지도록, 오목부에 평탄화막(42)이 구비되어 있다. 평탄화막(42)의 상면은, 제2 전극(36)의 볼록부의 가장 높은 상단면(개구의 주연면) 및 유기 전계 발광막(34)(발광층)의 가장 높은 상면(받침대(26)의 상단부의 상방에 있는 면)과 일면이 되어 있다. 평탄화막(42)은, 광투과성을 가지므로, 외광이 입사하도록 되어 있다. 평탄화막(42)에 입사한 광은, 제2 전극(36)의 요철에서 산란하므로, 반사광에 의한 시인성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제2 전극(36) 및 평탄화막(42)의 상방에, 봉지막(44)이 구비되어 있다. 봉지막(44)은, 유기 전계 발광막(34)을, 수분으로부터 차단하도록 봉지하고 있다. 봉지막(44)은, 1층으로 형성할 수도 있고, 복수층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봉지막(44)의 하면은, 제2 전극(36)의 개구 내에 있는 유기 전계 발광막(34)(발광층)과 접촉한다.
도 5A ~ C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5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기판(10)에 회로층(16)을 형성하고, 회로층(16)에 복수의 받침대(26)를 형성한다. 받침대(26)는 수지로 형성하고, 그 형성방법은 나노 임프린트를 적용할 수 있다. 이어서, 받침대(26)에 제1 전극(28)을 형성한다. 제1 전극(28)은, 받침대(26)를 덮도록 형성한 도전막을 에칭 등에 의해 패터닝함으로써 형성한다. 제1 전극(28)의 하단부를, 받침대(26)로부터 삐져나오도록 형성하고, 이것에 얹히도록 절연층(32)을 형성한다. 그리고, 증착 또는 스퍼터링에 의해 유기 전계 발광막(34)을 형성한다. 유기 전계 발광막(34)은, 발광층을 포함하도록, 그리고 제1 전극(28)을 덮도록 형성한다. 도 5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전극(36)을, 받침대(26)의 상단부의 상방에 개구를 갖도록 형성한다. 그리고, 도 5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평탄화막(42)을 형성한다. 그 후,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봉지막(44)을 형성한다. 제조 방법의 상세는, 상술한 장치의 설명에서 자명한 내용을 포함한다.
[제2 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의 일부를 확대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제1 전극(228)은, 복수의 받침대(226)의 상단부를 피하도록 구비되어 있다. 유기 전계 발광막(234)(발광층)은, 받침대(226)의 상단부의 상방 영역을 피하도록 구비되어 있다. 이들이 제1 실시예와의 상이점이다.
그 밖의 상세는,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내용이 해당한다. 예를 들어, 제2 전극(236)은, 받침대(226)의 상단부의 상방 영역을 피하도록 구비되어 있다. 광투과부(240)는, 제2 전극(236)에 형성된 개구이다.
[제3 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의 일부를 확대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유기 전계 발광막(334)은, 복수의 제1 전극(328)에 연속적으로 적층하고, 발광층이 1색(예를 들어 백색)의 광을 발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풀 컬러의 화상 표시를 행하기 위해, 제2 기판(320)에는, 컬러 필터(346)가 구비되어 있다. 컬러 필터(346)는, 블랙 매트릭스(348)와 복수 색의 착색층(350)을 포함한다. 이들이, 제1 실시예와의 상이점이다. 그 밖의 상세는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내용이 해당한다.
[제4 실시예]
도 8은 제 4실시예에 따른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의 일부를 확대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유기 전계 발광막(434)(발광층)은, 받침대(426)의 상단부의 상방에서 제1 전극(428)에 얹히고, 복수의 제1 전극(428)에 연속적으로 적층되어 있다. 발광층은, 1색(예를 들어 백색)의 광을 발하도록 되어 있다.
제1 전극(428)은, 받침대(426)의 상단부에도 실리도록 구비되어 있다. 제1 전극(428)은, 인듐 주석 산화물이나 인듐 아연 산화물 등의 투명 도전 재료로 이루어지고, 광투과성을 갖는다. 따라서, 발광층에서 발생한 광은 제1 전극(428)을 통과하도록 되어 있다.
복수의 받침대(426)는, 각각, 광투과성을 갖지만, 특정 파장의 광을 통하게 되어 있다. 제1 전극(428)을 통과한 광 중, 특정 색의 광이 받침대(426)을 통과한다. 그리고, 다른 색(예를 들어, 적, 청 및 녹)의 광을 통하는 복수 종류의 받침대(426)가 구비되어 있다. 즉, 복수의 받침대(426)는, 컬러 필터를 구성하도록 복수 색의 착색층으로 이루어진다.
각각의 받침대(426)의 아래에는 미러 층(452)이 배치되어 있다. 미러 층(452)의, 받침대(426)와 대향하는 면이, 제1 반사면(430)이다. 발광층에서 발생한 광이, 미러 층(452)의 제1 반사면(430)에서 반사하여, 받침대(426)를 진행하여, 제2 전극(436)의 광투과부(440)(개구)로부터 출사한다. 미러 층(452)은, 도전성을 갖고 있고, 어느 하나의 제1 전극(428)과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있다.
이웃하는 받침대(426)의 사이에서, 이웃하는 제1 전극(428)의 단부에 얹히도록, 절연층(432)이 구비되어 있다. 절연층(432)은, 굴절율이, 발광층보다도 높다. 발광층은, 절연층(432)를 덮도록 구비되어 있다. 그 밖의 상세는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내용이 해당한다.
[제5 실시예]
도 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의 일부를 확대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제2 전극(536)은, 광을 반사하는 재료(예를 들어, 은이나 알루미늄 등의 금속)로 이루어진 반사층(554)을 포함한다. 반사층(554)은, 복수의 받침대(526)의 상단부의 상방 영역을 피해서 구비되어 있다. 반사층(554)이 피한 영역은, 제2 전극(536)의 광투과부(540)이다. 반사층(554)은, 복수의 받침대(526)의 측면 상방에서, 유기 전계 발광막(534)에 적층되어 있다. 반사층(554)는 유기 전계 발광막(534)에 접촉하고 있다.
제2 전극(536)은, 인듐 주석 산화물이나 인듐 아연 산화물 등의 투명 도전 재료로 이루어진 투명층(556)을 포함한다. 투명층(556)은, 반사층(554)을 덮도록 구비되어 있다. 투명층(556)은, 복수의 받침대(526)의 상단부의 상방에서, 유기 전계 발광막(534)(발광층)에 얹히도록 구비되어 있다. 광투과부(540)는 투명층(556)(투명 도전 재료)으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는, 반사층(554) 및 투명층(556)을 포함하는 제2 전극(536)을 제4 실시예에 적용한 예이다. 이 특징은, 다른 실시예에도 적용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예를 토대로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 가능한 것은 당연한 것이다.
10: 제1 기판 12: 집적 회로 칩
14: 플랙시블 배선 기판 16: 회로층
18: 소자층 20: 제2 기판
22: 충전제 24: 씰재
26: 받침대 28: 제1 전극
30: 제1 반사면 32: 절연층
34: 유기 전계 발광막 36: 제2 전극
38: 제2 반사면 40: 광투과부
42: 평탄화막 44: 봉지막
226: 받침대 228: 제1 전극
234: 유기 전계 발광막 236: 제2 전극
240: 광투과부 320: 제2 기판
328: 제1 전극 334: 유기 전계 발광막
346: 컬러 필터 348: 블랙 매트릭스
350: 착색층 426: 받침대
428: 제1 전극 430: 제1 반사면
432: 절연층 434: 유기 전계 발광막
436: 제2 전극 440: 광투과부
452: 미러 층 526: 받침대
534: 유기 전계 발광막 536: 제2 전극
540: 광투과부 554: 반사층
556: 투명층

Claims (22)

  1. 기판과,
    경사진 측면을 갖도록 상기 기판에 볼록형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받침대와,
    각각이 어느 하나의 상기 받침대의 상기 측면에 구비된 복수의 제1 전극과,
    상기 복수의 받침대의 상방에서 상기 복수의 제1 전극에 적층하는 발광층을 포함하도록 구비된 유기 전계 발광막과,
    상기 복수의 받침대의 상방에서 상기 유기 전계 발광막 상에 적층하도록 구비된 제2 전극을 갖고,
    상기 발광층에서 발생한 광은, 제1 반사면 및 제2 반사면의 사이에서 도파하고,
    상기 제2 전극은, 상기 받침대의 상단부의 상방에, 상기 광이 통과하는 광투과부를 갖고,
    상기 제2 전극의 상기 유기 전계 발광막과 대향하는 면이, 상기 광투과부를 제외하고, 상기 제2 반사면이고,
    상기 복수의 제1 전극은, 상기 복수의 받침대의 상기 상단부를 피하도록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의 상기 발광층과 대향하는 면이 상기 제1 반사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층은, 복수 색 중 어느 하나의 색의 광을 각각 발하는 복수의 발광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 발광층은, 각각 어느 하나의 상기 제1 전극에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이웃하는 상기 받침대의 사이에서 이웃하는 상기 제1 전극의 단부에 얹히도록 구비된 절연층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은, 굴절율이, 상기 복수의 발광층보다도 높고,
    이웃하는 상기 발광층은, 각각의 단부가, 간격을 두고, 상기 절연층에 접촉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 전극은, 이웃하는 상기 발광층 사이에서 상기 절연층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층은, 1색의 광을 발하도록, 상기 복수의 제1 전극에 연속적으로 적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컬러 필터를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받침대의 아래에 배치된 미러 층을 더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받침대 및 상기 제1 전극은, 각각, 광투과성을 갖고,
    상기 복수의 받침대는, 컬러 필터를 구성하도록 복수 색의 착색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미러 층의 상기 받침대와 대향하는 면이 상기 제1 반사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 층은, 도전성을 갖고, 어느 하나의 상기 제1 전극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
  10.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웃하는 상기 받침대의 사이에서 이웃하는 상기 제1 전극의 단부에 얹히도록 구비된 절연층을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은, 굴절율이, 상기 발광층보다도 높고,
    상기 발광층은, 상기 절연층을 덮도록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
  12. 삭제
  13. 제1항 내지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층은, 상기 복수의 받침대의 상기 상단부의 상방 영역을 피하도록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극은, 상기 복수의 받침대의 상기 상단부의 상방 영역을 피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광투과부는, 상기 제2 전극에 형성된 개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받침대의 형상에 대응하여, 상기 제2 전극은 요철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요철의 볼록부의 높이에 동일하게 되도록 오목부에 구비된 평탄화막을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전계 발광막을 봉지하도록, 상기 제2 전극 및 상기 평탄화막의 상방에 구비된 봉지막을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
  22.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받침대는, 각각, 뿔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
KR1020140167007A 2013-12-04 2014-11-27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 KR1016361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251199A JP6190709B2 (ja) 2013-12-04 2013-12-04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
JPJP-P-2013-251199 2013-12-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5143A KR20150065143A (ko) 2015-06-12
KR101636167B1 true KR101636167B1 (ko) 2016-07-04

Family

ID=53266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7007A KR101636167B1 (ko) 2013-12-04 2014-11-27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9252396B2 (ko)
JP (1) JP6190709B2 (ko)
KR (1) KR10163616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62169B (zh) * 2014-11-26 2017-10-1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有机发光二极管阵列基板及其制备方法、显示装置
WO2017033879A1 (ja) * 2015-08-27 2017-03-02 シャープ株式会社 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装置
CN105242465B (zh) * 2015-11-23 2018-03-13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蓝相液晶显示面板及蓝相液晶显示面板的制作方法
JP2017111926A (ja) 2015-12-15 2017-06-22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
KR102562896B1 (ko) * 2016-03-18 2023-08-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JP2019091346A (ja) * 2017-11-16 2019-06-13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CN109817664B (zh) * 2017-11-22 2021-01-2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基板及其制备方法、显示面板
KR102043846B1 (ko) * 2017-11-29 2019-11-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계발광표시장치
CN110164854B (zh) * 2018-07-25 2021-01-22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照明装置
CN109713011B (zh) * 2018-12-26 2020-09-08 云谷(固安)科技有限公司 显示面板及显示装置
JP7383958B2 (ja) * 2019-10-01 2023-11-21 大日本印刷株式会社 蒸着マスク、蒸着マスク群、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用電極、並びに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CN114122292A (zh) * 2021-11-15 2022-03-01 惠州华星光电显示有限公司 Oled显示面板及电子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65441A (ja) 2011-09-16 2013-04-11 Canon Inc 有機el素子

Family Cites Familie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85710B2 (ja) * 1996-12-24 2006-06-14 株式会社デンソー El表示装置
JP2002098948A (ja) * 2000-09-20 2002-04-05 Hitachi Ltd 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4916899B2 (ja) * 2000-10-18 2012-04-18 シャープ株式会社 発光型表示素子
JP4273191B2 (ja) * 2001-03-01 2009-06-03 三星モバイルディスプレイ株式會社 有機発光デバイス
JP4718761B2 (ja) * 2002-02-13 2011-07-06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発光装置の作製方法
JP4252297B2 (ja) * 2002-12-12 2009-04-0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発光素子およびこの発光素子を用いた表示装置
JP4357854B2 (ja) * 2003-02-28 2009-11-04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光学フィルターおよびこれを用いた有機elディスプレイ
JP4362696B2 (ja) * 2003-03-26 2009-11-11 ソニー株式会社 発光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表示装置
KR100529846B1 (ko) * 2003-12-26 2005-11-22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듀얼패널타입 유기전계발광 소자 및 그 제조방법
JP2005310534A (ja) * 2004-04-21 2005-11-04 Seiko Epson Corp 有機el装置の製造方法及び有機el装置並びに電子機器
KR100703158B1 (ko) * 2005-10-24 2007-04-06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장치와 그 제조방법
JP2007257909A (ja) * 2006-03-22 2007-10-04 Nippon Seiki Co Ltd 有機el素子
JP2008130486A (ja) * 2006-11-24 2008-06-05 Canon Inc 有機el素子および同有機el素子を有する有機el表示装置
JP2008288012A (ja) * 2007-05-17 2008-11-27 Seiko Epson Corp 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装置とその製造方法
JP5007170B2 (ja) * 2007-07-20 2012-08-22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イースト 有機el表示装置
KR20100066416A (ko) * 2007-09-06 2010-06-17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광 추출 소자, 광 추출 소자의 제조 방법 및 표시 장치
JP5140368B2 (ja) * 2007-10-01 2013-02-06 ローム株式会社 照明装置
JP5219745B2 (ja) * 2007-11-14 2013-06-26 キヤノン株式会社 発光装置
KR100943948B1 (ko) * 2008-01-08 2010-02-26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표시 장치
US7816677B2 (en) * 2008-02-12 2010-10-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JP4655102B2 (ja) * 2008-04-11 2011-03-23 ソニー株式会社 表示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表示装置
EP2434840A1 (en) * 2008-04-22 2012-03-28 Zeon Corporation Organic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
JP2010010098A (ja) * 2008-06-30 2010-01-14 Casio Comput Co Ltd Elパネル及びelパネルの製造方法
JP2010181534A (ja) * 2009-02-04 2010-08-19 Sumitomo Chemical Co Ltd 表示装置用基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577186B2 (ja) * 2009-09-04 2014-08-20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有機el表示装置
JP2011059621A (ja) * 2009-09-14 2011-03-24 Fujifilm Corp 光取り出し部材、並びに有機el素子及び有機el素子の製造方法
KR101661366B1 (ko) * 2010-07-05 2016-09-29 가부시키가이샤 제이올레드 유기 el 표시 패널과 그 제조 방법
JP2012209138A (ja) * 2011-03-30 2012-10-25 Toppan Printing Co Ltd 有機el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画像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5708140B2 (ja) * 2011-03-30 2015-04-30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12234748A (ja) 2011-05-06 2012-11-29 Jsr Corp 有機el表示素子および有機el表示素子の製造方法
JP5807443B2 (ja) 2011-08-23 2015-11-1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装置、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装置の製造方法及び電子機器
JP6080438B2 (ja) * 2011-09-30 2017-02-15 キヤノン株式会社 有機el装置の製造方法
KR101830301B1 (ko) * 2011-10-24 2018-02-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JP2013168242A (ja) * 2012-02-14 2013-08-29 Canon Inc 有機発光装置の製造方法
JP6082907B2 (ja) * 2012-02-17 2017-02-22 株式会社Joled 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65441A (ja) 2011-09-16 2013-04-11 Canon Inc 有機el素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111686A1 (en) 2016-04-21
JP2015109190A (ja) 2015-06-11
US9252396B2 (en) 2016-02-02
KR20150065143A (ko) 2015-06-12
US20150155525A1 (en) 2015-06-04
JP6190709B2 (ja) 2017-08-30
US9583737B2 (en) 2017-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6167B1 (ko)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
JP6512833B2 (ja) 表示装置
KR102476117B1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KR101460653B1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US7498735B2 (en) OLED device having improved power distribution
US20150162394A1 (en)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KR101567636B1 (ko) 전계발광 표시장치
KR101647554B1 (ko) 유기 일렉트로 루미네센스 표시 장치
KR20190058608A (ko) 어레이 기판 및 표시 장치
TWI730991B (zh) 有機el裝置、有機el裝置之製造方法、電子機器
KR101625292B1 (ko)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표시 장치
JP2018081815A (ja) 表示装置
KR101975084B1 (ko) 표시 장치
US7402939B2 (en) Organic EL display
KR20170032189A (ko) 표시 장치
JP2002299044A (ja) 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
JP6517597B2 (ja) 表示装置
US9954198B2 (en) Display device
JP2016167400A (ja) 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190319084A1 (en) Light-emitting device
JP2017147059A (ja)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KR20210006567A (ko) 발광소자 패키지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패널
US20090085471A1 (en) Organic El Display Device
JP6994914B2 (ja) 有機el表示装置
KR101957145B1 (ko) 유기발광소자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