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5274B1 - 냉매배관의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냉매배관의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5274B1
KR101605274B1 KR1020147003981A KR20147003981A KR101605274B1 KR 101605274 B1 KR101605274 B1 KR 101605274B1 KR 1020147003981 A KR1020147003981 A KR 1020147003981A KR 20147003981 A KR20147003981 A KR 20147003981A KR 101605274 B1 KR101605274 B1 KR 1016052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transfer
refrigerant pipe
transfer member
elastic member
pr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39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48984A (ko
Inventor
주니치 데라키
Original Assignee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489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89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52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52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07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 F28F9/013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for tubes or tube-assembl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20Electric components for separate outdoor units
    • F24F1/24Cooling of electric compon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1/00Compressor arrangements
    • F25B31/006Cooling of compressor or mo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refrigeration units with respect to devices or objects to be refrigerated, e.g. infrared detectors
    • F25D19/006Thermal coupling structure or interfa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34Arrangements for cooling, heating, ventilating or temperature compensation ; Temperature sensing arrangements
    • H01L23/40Mountings or securing means for detachabl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 fixed by friction, plugs or sp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34Arrangements for cooling, heating, ventilating or temperature compensation ; Temperature sensing arrangements
    • H01L23/46Arrangements for cooling, heating, ventilating or temperature compensation ; Temperature sensing arrangements involving the transfer of heat by flowing fluids
    • H01L23/473Arrangements for cooling, heating, ventilating or temperature compensation ; Temperature sensing arrangements involving the transfer of heat by flowing fluids by flowing liqui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34Arrangements for cooling, heating, ventilating or temperature compensation ; Temperature sensing arrangements
    • H01L23/40Mountings or securing means for detachabl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 fixed by friction, plugs or springs
    • H01L23/4006Mountings or securing means for detachabl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 fixed by friction, plugs or springs with bolts or screw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001Technical content checked by a classifier
    • H01L2924/0002Not covered by any one of groups H01L24/00, H01L24/00 and H01L2224/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Electrical Apparatus (AREA)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Semiconductors Or Solid State Devices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 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REA)

Abstract

냉매배관을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또한 냉매배관과 전열부재와의 사이의 열 저항을 충분히 저감시킬 수 있는 냉매배관의 설치구조를 제공한다. 냉매배관(15)이 감합(嵌合)되는 세로로 긴 홈부(72)를 가지며, 피(被)냉각 부품(63)과 열적(熱的)으로 접촉하는 전열부재(70)를 구비한다. 냉매배관(15)의 신장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긴 판형으로 형성되고, 이 냉매배관(15)에 대향하는 대향부(82)를 갖는 탄성부재(80)를 구비한다. 탄성부재(80)를, 전열부재(70)측을 향해 누르는 누름기구(90)를 설치한다.

Description

냉매배관의 설치구조{INSTALLATION STRUCTURE FOR COOLANT PIPE}
본 발명은, 냉매배관을 흐르는 냉매에 의해 피(被)냉각 부품을 냉각시키는 냉각구조의, 냉매배관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 냉매배관을 흐르는 냉매에 의해 피냉각 부품을 냉각시키는 냉각기구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는, 공기 조화기의 전장(電裝) 부품을 피냉각 부품으로 하는 냉각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특허문헌 1의 냉각구조는, 원호(圓弧)형의 저면(底面)을 갖는 홈(groove)부가 형성된 전열부재와, 냉매배관을 전열부재측을 향해 압접(壓接)하기 위한 유지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유지부재는, 예를 들어 냉매배관측이 개방하는 단면(斷面)이 "U"자형의 탄성 클립으로 구성되어 있다. 냉매배관은, 탄성 클립의 개방부측으로부터 이 탄성 클립의 내부로 삽입 관통된다. 탄성 클립은, 그 탄성력에 의해, 냉매배관을 전열부재측을 향해 부세(付勢, biasing)한다. 그 결과, 냉매배관이 전열부재에 압접하여, 냉매배관과 전열부재와의 사이 열 저항이 저감된다.
일본 특허공개 2010-114115호 공보
특허문헌 1의 유지부재는, 냉매배관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긴 판을 "U"자형으로 절곡(折曲)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탄성 클립을 구성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 유지부재에서는, 냉매배관을 전열부재측을 향해 누르기 위한 누름부의 면적이 비교적 작게 되어 버린다. 그 결과, 냉매배관의 누름이 불충분하게 되어, 냉매배관의 설치 강도(强度)가 저하하거나, 냉매배관과 전열부재 사이의 열 저항을 충분히 저감시킬 수 없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냉매배관을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고, 또한 냉매배관과 전열부재 사이의 열 저항을 충분히 저감시킬 수 있는, 냉매배관의 설치구조를 제안하는 데 있다.
제 1 발명은, 피(被)냉각 부품을 냉각하기 위한 냉매배관의 설치구조를 대상으로 하고, 냉매배관(15)이 감합(嵌合)되는 세로로 긴 홈부(72)를 가지며, 피냉각 부품(63)과 열적(熱的)으로 접촉하는 전열부재(70)와, 상기 냉매배관(15)의 신장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긴 판형으로 형성되고, 이 냉매배관(15)에 대향하는 대향부(82)를 갖는 탄성부재(80)와, 이 탄성부재(80)를 상기 전열부재(70)측을 향해 누르는 누름기구(9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 발명에서는, 전열부재(70)의 홈부(72)와 탄성부재(80)의 대향부(82)와의 사이에, 냉매매관(15)이 유지된다. 피냉각 부품(63)으로부터 발하는 열은, 전열부재(70), 냉매배관(15)을 차례로 전도(傳導)하고, 냉매배관(15)을 흐르는 냉매로 부여된다. 이에 따라, 피냉각 부품(63)이 냉각된다.
본 발명의 전열부재(70)는, 냉매배관(15)의 신장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긴 판형상으로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도록 탄성부재(80)의 홈부(72)도 세로로 길게 형성된다. 이로써, 누름기구(90)에 의해 탄성부재(80)가 전열부재(70)측으로 눌리면, 탄성부재(80)와 냉매배관(15)의 접촉면적 및 냉매배관(15)과 홈부(72)의 접촉면적이 비교적 크게 된다.
제 2 발명은, 제 1 발명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80)에는, 상기 냉매배관(15)의 신장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적어도 1개의 접힘부(86)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2 발명의 탄성부재(80)에는, 냉매배관(15)의 신장방향으로 연장되는 접힘부(86)가 형성된다. 이로써, 탄성부재(80)에서는, 이 길이방향의 강도(强度)가, 이 폭방향의 강도보다 크게 된다. 그 결과, 탄성부재(80)에서는, 길이방향의 강성(剛性)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한편, 폭방향에서도 어느 정도의 탄성을 얻을 수 있다.
제 3 발명은, 제 1 또는 제 2 발명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80)의 대향부(82)는, 상기 홈부(72)에 평판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3 발명의 탄성부재(80)에서는, 냉매배관(15)에 대향하는 대향부(82)가 평판형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누름기구(90)에 의해 눌려지는 상태의 대향부(82)는, 냉매배관(15)의 신장방향에서 이 냉매배관(15)과 실질적으로 선(線)접촉한다.
제 4 발명은, 제 1 내지 제 3 중 어느 하나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열부재(70)에는, 복수의 냉매배관(15)이 각각 감합되는 복수의 상기 홈부(72)가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재(80)는, 상기 복수의 홈부(72)에 걸치는 1장의 판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4 발명의 전열부재(70)에는, 복수의 냉매배관(15)에 1개씩 대응하도록, 복수의 홈부(72)가 형성된다. 탄성부재(80)는, 복수의 홈부(72)에 걸치는 판형으로 형성된다. 탄성부재(80)가 누름기구(90)에 의해 전열부재(70)측으로 눌리면, 탄성부재(80)와 전열부재(70) 사이에, 복수의 냉매배관(15)이 유지된다.
제 5 발명은, 제 4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열부재(70)에는, 2개의 상기 홈부(72)가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재(80)에는, 상기 2개의 홈부(72)에 각각 대향하는 2개의 대향부(82)와, 이 2개의 대향부(82)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누름기구(90)에 의해 눌리는 피(被)누름부(84)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5 발명에서는, 전열부재(70)의 2개 홈부(72)와 탄성부재(80)의 2개 대향부(82)와의 사이에, 각각 냉매배관(15)이 유지된다. 누름기구(90)는, 탄성부재(80) 중 2개의 대향부(82) 사이의 피누름부(84)를 전열부재(70)측으로 누른다. 이에 따라, 2개의 냉매배관(15)에는, 비교적 균등하게 누름력이 작용한다.
제 6 발명은, 제 1 내지 제 5 중 어느 하나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열부재(70)의 홈부(72)와, 상기 냉매배관(15)과의 사이에는, 전열을 촉진시키기 위한 전열촉진 재료(78)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6 발명에서는, 전열부재(70)의 홈부(72)에 전열 촉진용 전열촉진 재료(78)가 배치된다. 그 결과, 전열부재(70)와 냉매배관(15) 사이의 열저항이 작아진다.
제 7 발명은, 제 1 내지 제 6 중 어느 하나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열부재(70)에는, 감합 홈(100)이 형성되고, 상기 누름기구(90)는, 상기 감합홈(100)에 착탈 자유롭게 감합되는 감합부(96, 123)와, 상기 탄성부재(80) 외측에 변위 가능하게 배치되는 파지(把持)부(94, 125)와, 이 파지부(94, 125)를 변위시킴으로써 상기 탄성부재(80)를 누르는 제 1 위치와, 이 탄성부재(80)의 누름을 해제하는 제 2 위치로 변위하는 누름부(93, 124a)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7 발명에서는, 전열부재(70)의 감합 홈(100)에 누름기구(90)의 감합부를 감합시킴으로써, 전열부재(70)에 대해 누름기구(90)가 착탈 자유롭게 된다. 또, 작업자가 파지부(94, 125)를 조작하여 누름부(93, 124a)를 제 1 위치와 제 2 위치로 변위시킴으로써, 탄성부재(80)의 누름과, 이 누름 해제를 용이하게 전환시킬 수 있다.
제 8 발명은, 제 1 내지 제 7 중 어느 하나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80)에는, 슬릿(80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서는, 슬릿(80a)을 형성함으로써, 탄성부재(80)가 직관부(直管部)(16)를 확실하게 따르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슬릿(80a)에 의해, 탄성부재(80)가 냉매배관(15)에 부여하는 압력을, 용이하게 균일화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 9 발명은, 제 1 내지 제 8 중 어느 하나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80)는, 상기 신장방향으로 이어져 복수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서는, 탄성부재(80)를 복수로 함에 따라, 탄성부재(80)가 냉매배관(15)에 부여하는 압력을, 용이하게 균일화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 10 발명은, 제 1 내지 제 7 중 어느 하나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80)는, 상기 누름기구(90)가 눌리는 부위의 근방에는, 보강용 비드(bead)(80b)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서는, 탄성부재(80)의 강성(剛性)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 11 발명은, 제 5 발명에 있어서, 상기 누름기구(90)는, 비스(vis)(91)이고, 상기 탄성부재(80)에는, 상기 비스(91)의 머리가 통과하는 크기의 대경(大徑)부(75a)와, 상기 비스(91)가 체결 가능한 크기의 소경(小徑)부(75b)와의 복합 형상을 가진 비스공(75)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서는, 탄성부재(80)의 임시고정(temporarity fixed)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탄성부재(80)를 냉매배관(15)의 신장방향으로 연장함으로써, 탄성부재(80)와 냉매배관(15)과의 접촉면적을 확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냉매배관(15)을 확실하게 전열부재(70)측으로 누를 수 있고, 냉매배관(15)과 전열부재(70) 사이의 열저항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 전열부재(70)의 홈부(72)를 냉매배관(15)의 신장방향으로 연장시킴으로써, 전열부재(70)와 냉매배관(15)과의 전열면적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피냉각 부품(63)의 냉각성능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탄성부재(80)와 전열부재(70)와의 사이에 냉매배관(15)을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특히, 제 2 발명에서는, 탄성부재(80)에 접힘부(86)를 형성함으로써, 탄성부재(80) 길이방향의 강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탄성부재(80)에 작용하는 누름력이, 냉매배관(15)의 신장방향에서 비교적 균일하게 되기 쉽다. 그 결과, 냉매배관(15)의 설치 강도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며, 또한 냉매배관(15)과 전열부재(70)의 열저항도 저감시킬 수 있다. 또, 이와 같이 하면, 탄성부재(80)의 폭방향에서는, 접힘부(86)에 의해 어느 정도 스프링성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탄성부재(80)를 전열부재(70)측을 향해 충분히 변형시킬 수 있고, 원하는 누름력을 얻을 수 있다.
제 3 발명에서는, 탄성부재(80)의 대향부(82)를 평판형으로 형성함으로써, 대향부(82)와 냉매배관(15)을, 이 냉매배관(15)의 신장방향에서 선(線)접촉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누름기구(90)에 눌리는 상태의 대향부(82)가, 냉매배관(15)의 축주위로 약간 기울었다 하더라도, 대향부(82)와 냉매배관(15)과의 선접촉이 유지된다. 그 결과, 냉매배관(15)을 탄성부재(80)에 의해 확실하게 누를 수 있다. 따라서, 냉매배관(15)의 설치강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냉매배관(15)과 전열부재(70)의 전열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제 4 발명에서는, 전열부재(70)에 복수의 홈부(72)를 형성하고, 이들의 복수 홈부(72)에 걸쳐 탄성부재(80)를 형성하고 있다. 이로써, 전열부재(70)와 탄성부재(80)의 부품 점수를 삭감하면서, 전열부재(70)와 탄성부재(80)와의 사이에 복수의 냉매배관(15)을 유지할 수 있다.
특히 제 5 발명에서는, 전열부재(70)와 탄성부재(80)와의 사이에 2개의 냉매배관(15)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탄성부재(80)에서는, 2개의 홈부(72) 사이에 피누름부(84)를 형성하고 있다. 이로써, 1개의 누름기구(90)에 의해, 2개의 대향부(82)에 의한 각 냉매배관(15)의 누름력을 균일화 할 수 있다. 그 결과, 2개 냉매배관(15)의 설치강도를 각각 확보하면서, 양자의 냉매배관(15)과 전열부재(70)의 열저항도 저감시킬 수 있다.
제 6 발명에서는, 전열촉진 재료(78)에 의해, 냉매배관(15)과 전열부재(70) 사이의 열저항을 더욱 저감시킬 수 있다.
제 7 발명에서는, 누름기구(90)의 감합부(96, 123)를 전열부재(70)의 감합홈에 착탈 자유롭게 감합시키고, 또한 누름기구(90)의 파지부(94, 125)를 조작(操作)하여 탄성부재(80)의 누름을 전환하는 구조로 한다. 이로써, 누름기구(90)의 설치와, 탄성부재(80)의 누름 조작을 비교적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따라서, 냉매배관(15) 설치구조의 설치작업이 용이하게 되어, 냉매배관(15)과 피냉각 부품(63)의 레이아웃의 자유도도 향상된다.
제 8 및 제 9 발명의 각각에 의하면, 탄성부재(80)가 냉매배관(15)에 부여하는 압력을, 용이하게 균일화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므로, 냉매배관(15)과 전열부재(70)와의 전열을 보다 확실하게 확보할 수 있다.
제 10 발명에 의하면, 배관을 누르는 힘을 충분히 얻을 수 있게 된다.
제 11 발명에 의하면, 비스(91)의 체결을 간단하게 행할 수 있다.
도 1은,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공기 조화기의 개략 배관 계통도이다.
도 2는,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실외유닛의 개략 횡단면도이다.
도 3은,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설치구조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5는,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실외유닛의 개략 횡단면도이다.
도 6은,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설치구조의 배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D-D선 단면도이다.
도 8은,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판 스프링 부재의 후면도이다.
도 9는,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누름기구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제 3 실시형태에 관한 설치구조의 후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E-E선 단면도이다.
도 12는, 제 3 실시형태에 관한 냉매재킷의 후면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F-F선 단면도이다.
도 14는, 그 밖의 실시형태에 관한 설치구조의 도 2에 상당하는 도이다.
도 15는, 제 4 실시형태의 판 스프링 부재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6은, 제 5 실시형태의 판 스프링 부재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7(A)은, 제 6 실시형태의 판 스프링 부재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17(B)은, 보강용 비드의 단면도이다.
도 18은, 비스공의 다른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판 스프링 부재를 배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0은, 판 스프링 부재의 설치공정을 설명하는 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이하의 실시형태는, 본질적으로 바람직한 예시이며, 본 발명, 그 적용물, 또는 그 용도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을 의도하는 것은 아니다.
《제 1 실시형태》
본 발명에 관한 실시형태는, 냉매회로(10)를 구비하며 냉방운전과 난방운전을 전환하여 행하는 공기 조화기(1)이다. 공기 조화기(1)는, 실내에 설치되는 실내유닛(20)과, 실외에 설치되는 실외유닛(30)을 구비한다. 실내유닛(20)과 실외유닛(30)이, 2개의 연결배관(11, 12)에 의해 서로 접속됨으로써, 폐회로(closed circuit)로 되는 냉매회로(10)가 구성된다. 냉매회로(10)에는, 냉매가 충전된다. 냉매회로(10)의 냉매가 순환함으로써, 증기 압축식 냉동 사이클이 행해진다.
<실내유닛>
실내유닛(20)은, 실내 열교환기(21), 실내 팬(22) 및 실내 팽창밸브(23)를 갖는다. 실내 열교환기(21)는, 예를 들어 크로스 핀형의 핀 앤 튜브 열교환기로 구성된다. 실내 열교환기(21)에서는, 이 전열관 내부를 흐르는 냉매와, 실내 팬(22)이 송풍하는 공기가 열교환한다. 실내 팽창밸브(23)는, 예를 들어 전자(電子) 팽창밸브로 구성된다.
<실외유닛>
실외유닛(30)은, 실외 열교환기(31), 실외 팬(32), 실외 팽창밸브(33), 압축기(34) 및 사방전환밸브(35)를 구비한다. 실외 열교환기(31)는, 예를 들어 크로스핀 형의 핀 앤 튜브 열교환기로 구성된다. 실외 열교환기(31)에서는, 이 전열관의 내부를 흐르는 냉매와, 실외 팬(32)이 송풍하는 공기가 열교환한다. 실외 팽창밸브(33)는, 예를 들어 전자 팽창밸브로 구성된다. 압축기(34)는, 예를 들어, 스크롤 압축기 등의 회전식 압축기로 구성된다. 사방전환밸브(35)는, 제 1에서 제 4까지의 포트(port)를 가지고, 냉매회로(10)의 냉매 순환방향을 전환하도록 구성된다. 사방전환밸브(35)는, 냉방운전 시에 제 1 포트와 제 2 포트를 연통시키며 또한 제 3 포트와 제 4 포트를 연통시키는 상태(도 1에서 실선으로 나타내는 상태)로 되고, 난방운전 시에 제 1 포트와 제 3 포트를 연통시키며 또한 제 2 포트와 제 4 포트를 연통시키는 상태(도 1에서 파선으로 나타내는 상태)로 된다.
도 2에 나타내듯이, 실외유닛(30)은 상자형 케이싱(40)을 갖는다. 케이싱(40)은, 전면(前面)패널(41), 후면(後面)패널(42), 제 1 측면패널(43), 및 제 2 측면패널(44)을 갖는다. 전면패널(41)은, 실외유닛(30) 앞측에 형성된다. 전면패널(41)에는, 실외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41a)가 형성된다. 전면패널(41)은, 케이싱(40) 본체에 대해 착탈 자유롭게 구성된다. 후면패널(42)은, 실외유닛(30)의 후측에 형성된다. 후면패널(42)에는, 실외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42a)가 형성된다. 제 1 측면패널(43)은, 실외유닛(30)의 폭방향(도 2에서 화살표 A로 나타내는 방향) 일단(一端)측에 형성된다. 제 1 측면패널(43)에는, 토출구(43a)가 형성된다. 제 2 측면패널(44)은, 실외유닛(30) 폭방향의 타단(他端)측에 형성된다.
케이싱(40)은, 종 구획판(45)과 횡 구획판(46)을 구비하고 있다. 케이싱(40)의 내부공간은, 횡 구획판(45)에 의해 폭방향에 2개의 공간으로 구획된다. 이들 공간 중 제 1 측면패널(43)측의 공간은, 열교환기실(47)을 구성한다. 또한, 이들 공간 중 제 2 측면패널(44)측의 공간은, 또한 횡 구획판(46)에 의해 전후 2개 공간으로 구획된다. 이들 공간 중 후측의 공간이 압축기실(48)을 구성하고, 전측의 공간이 전장품(電裝品)실(49)을 구성한다.
<전장품실 내의 구성기기>
전장품실(49) 내의 구성부품에 대해, 도 1∼도 4를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전장품실(49) 내에는, 전력변환장치(60), 전열부재(70)(본 실시예에서는 '냉매재킷'으로 구체화되어 있음), 냉매배관(15)(본 실시예에서는 '냉각관'으로 구체화되어 있음)이 수용된다. 전력변환장치(60)는, 압축기(34)의 모터로 전력을 공급함과 동시에, 이 모터의 회전 수를 제어한다. 전력변환장치(60)는, 프린트 기판(61)과, 이 프린트 기판(61)에 리드선(62)을 개재하여 장착되는 피냉각 부품(63)(본 실시예에서는 '파워소자'로 구체화되어 있음)을 구비한다. 프린트 기판(61)은, 예를 들어 지지부재(51)를 개재하여 횡 구획판(46)에 고정된다. 그리고, 프린트 기판(61)을 케이싱(40) 내 다른 부위에 고정하여도 된다.
본 실시형태의 피냉각 부품(63)은, 프린트 기판(61)의 앞측에 배치된다. 피냉각 부품(63)은, 예를 들어 인버터 회로의 스위칭 소자를 구성한다. 피냉각 부품(63)은, 압축기(34) 운전 시에 발열하는 발열부품이고, 전열부재(70)의 피냉각 부품을 구성한다. 피냉각 부품(63)은, 동작 가능한 온도(예를 들어 90℃)를 초과하지 않도록 전열부재(70)에 의해 냉각된다.
전열부재(70)는, 알루미늄 등의 열전도율이 높은 금속재료로 구성된다. 전열부재(70)는, 피냉각 부품(63)의 표면(전면(前面)측)에 접촉하여 배치되고, 피냉각 부품(63)과 열적으로 접촉하고 있다. 전열부재(70)는, 전후로 편평한 거의 판형으로 형성된다. 전열부재(70)는, 틀형상의 고정부재(52)를 개재하여 프린트 기판(61)에 고정된다. 고정부재(52)는, 전열부재(70)의 외주(外周) 연부(緣部)(70a)가 감합하는 틀본체(52a)와, 이 틀본체(52a)에 감합된 전열부재(70)를 외측으로부터 유지하는 복수의 네일부(52b, 52b, 52b, 52b)를 갖는다. 이에 따라, 전열부재(70)는, 고정부재(52)에 착탈 자유롭게 장착된다.
냉매배관(15)은, 냉매회로(10)의 냉매배관의 일부를 구성한다. 본 실시형태의 냉매배관(15)은, 냉매회로(10)의 고압 액 라인에 접속된다. 즉, 냉매배관(15)에는, 열교환기(21, 31)에서 응축된 후의 고압 액 냉매가 유통한다. 냉매배관(15)은, 2개의 직관부(16, 16)와, 이 직관부(16, 16)의 단부끼리를 서로 연결하는 "U"자 관부(17)를 갖는다. 2개의 직관부(16, 16)는, 각각의 신장방향이 거의 평행이 되도록, 서로 인접하여 배치된다.
<냉각배관의 설치구조>
냉매배관(15)을 전열부재(70)에 설치하기 위한 설치구조(50)에 대해,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설치구조(50)는, 1개의 전열부재(70)와, 1개의 탄성부재(80)(본 실시예에서는 '판 스프링 부재'로 구체화되어 있음)와, 1개의 비스(91)를 가진다.
전열부재(70)는, 냉매배관(15) 직관부(16)의 신장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전열부재(70) 중 프린트 기판(61)과 반대측 면(71)에는, 한 쌍의 홈부(72, 72)(본 실시예에서는 '배관홈부'로 구체화되어 있음), 한 쌍의 오목부(73, 73) 및 하나의 중간부(74)가 형성된다.
홈부(72)는, 냉매배관(15)의 직관부(16)를 따르도록, 전열부재(7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다. 홈부(72)는, 냉매배관(15)의 축 직각단면(斷面)의 형상이, 거의 원호형으로 형성된다. 홈부(72)는, 냉매배관(15)의 외주면(外周面) 일부가 감합되는 홈부를 구성한다. 냉매배관(15)과 홈부(72) 사이에는, 전열촉진 재료(78)(본 실시예에서는 '열전도 그리스(grease)'로 구체화되어 있음)가 형성된다. 전열촉진 재료(78)는, 냉매배관(15)과 홈부(72) 사이의 미소(微小)한 틈새를 메움으로써 열저항을 저감시키고, 이 냉매배관(15)과 홈부(72) 사이의 전열을 촉진시키는 전열촉진 재료를 구성한다.
한 쌍의 오목부(73, 73)는, 한 쌍의 홈부(72, 72) 사이에 배치된다. 오목부(73)는, 전열부재(70)의 길이방향 양단(兩端)에 걸쳐 직선형으로 연장된다. 오목부(73)의 내부에는, 탄성부재(80)의 "V"자 접힘부(86c)가 배치된다(상세한 것은 후술한다).
중간부(74)는, 한 쌍의 오목부(73, 73) 사이에 형성된다. 중간부(74)에는, 비스공(75)이 형성된다. 비스공(75)은, 전열부재(70) 중심부에 형성된다. 즉, 비스공(75)은 전열부재(70)의 길이방향 중간부위이며, 또한 전열부재(70) 폭방향의 중간부위에 배치된다.
탄성부재(80)는, 판형의 스프링 강판(鋼板)이 접혀 성형된다. 탄성부재(80)는, 냉매배관(15)의 신장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긴 판형으로 형성되고, 전열부재(70)에 대향하여 배치된다. 탄성부재(80)는, 전열부재(70)의 2개 홈부(72, 72)에 걸친다. 탄성부재(80)는, 한 쌍의 외측 판부(81, 81)와, 한 쌍의 대향부(82, 82)와, 한 쌍의 내측 판부(83, 83)와, 1개의 피누름부(84)(본 실시예에서는 '설치판부'로 구체화되어 있음)를 구비하고, 냉매배관(15)을 전열부재(70)측으로 부세하는 탄성부재를 구성한다.
외측 판부(81)는, 탄성부재(80)의 폭방향 양측 단부(端部)에 각각 형성된다. 외측 판부(81)는, 대향부(82)로부터 냉매배관(15) 직관부(16)측을 향해 굴곡하는 평판형으로 형성된다.
대향부(82)는, 냉매배관(15)의 직관부(16)에 대향하도록, 이 직관부(16)의 신장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즉, 대향부(82)는, 전열부재(70)의 홈부(72)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대향부(82)는, 직관부(16)의 외주(外周)면과 실질적으로 선접촉하는 평판형으로 형성된다.
내측 판부(83)는, 대향부(82)보다 탄성부재(80)의 폭방향 중간부 쪽에 형성된다. 내측 판부(83)는, 대향부(82)로부터 냉매배관(15)의 직관부(16)측을 향해 굴곡하는 평판형으로 형성된다. 탄성부재(80)에서는, 외측 판부(81), 대향부(82), 및 내측 판부(83)가, 직관부(16)를 외측에서부터 둘러싸고 있다.
피누름부(84)는, 한 쌍의 내측 판부(83)에 개재하도록, 탄성부재(80)의 폭방향 중간부에 형성된다. 피누름부(84)는, 직관부(16)의 신장 방향으로 연장되는 평판형으로 형성되어, 전열부재(70)의 중간부(74)를 따른다. 피누름부(84)의 중심부에는, 전열부재(70)의 비스공(75)에 대응하도록, 관통공(85)이 형성된다.
탄성부재(80)에는, 6개의 접힘부(86)가 형성된다. 각 접힘부(86)는 탄성부재(80)의 길이방향에 직선형으로 형성된다. 6개의 접힘부(86)는, 한 쌍의 외측 접힘부(86a, 86a), 한 쌍의 내측 접힘부(86b, 86b), 한 쌍의 "V"자 접힘부(86c, 86c)에 의해 구성된다. 외측 접힘부(86a)는, 외측 판부(81)와 대향부(82) 사이에 형성되고, 내측 접힘부(86b)는, 대향부(82)와 내측판부(83) 사이에 형성된다. "V"자 접힘부(86c)는, 내측 판부(83)와 피누름부(84) 사이에 형성된다. "V"자 접힘부(86c)는, 전열부재(70)의 오목부(73) 내부를 향해 거의 "V"자 형상으로 돌출된다. 이들 접힘부(86)는, 탄성부재(80)의 길이방향 강성(剛性)을 증대시키기 위한 보강 리브(rib)로서 기능한다. 이에 따라, 탄성부재(80)에서는, 폭방향의 강성보다 길이방향의 강성이 크게 된다. 또한, 접힘부(86)를, 예를 들어, 거의 "U"자형의 접힌 형상으로 하여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비스(91)는, 탄성부재(80)를 전열부재(70)측을 향해 누르는 누름기구(90)를 구성한다. 피누름부(84)는, 비스(91)의 체결에 수반하여 전열부재(70)측으로 눌리는, 피(被)누름부를 구성한다.
-운전동작-
공기 조화기(1)의 운전동작에 대해 도 1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공기 조화기(1)는, 냉방운전과 난방운전을 전환하여 행한다.
<냉방운전>
냉방운전에서는, 압축기(34)에서 압축된 냉매가, 실외 열교환기(31)에서 응축된다. 응축된 냉매는, 예를 들어 전(全)개방상태의 실외 팽창밸브(33)를 통과하여, 냉매배관(15)을 흐른다.
압축기(34)의 운전 시에는, 피냉각 부품(63)이 발열한다. 때문에, 피냉각 부품(63)의 열은, 전열부재(70), 전열촉진 재료(78), 냉매배관(15)을 차례로 전해지고, 냉매배관(15) 내의 냉매로 부여된다. 그 결과, 피냉각 부품(63)이 냉각되어, 피냉각 부품(63)이 동작 가능한 소정 온도로 유지된다.
냉매배관(15)을 흐른 냉매는, 실내 팽창밸브(23)에서 감압된 후, 실내 열교환기(21)에서 증발된다. 이에 따라, 실내공기가 냉각된다. 증발된 냉매는, 압축기(34)에 흡입되어 압축된다.
<난방운전>
난방운전에서는, 압축기(34)에서 압축된 냉매가, 실내 열교환기(21)에서 응축된다. 이에 따라, 실내공기가 가열된다. 응축된 냉매는, 예를 들어 전 개방상태의 실내 팽창밸브(23)를 통과하여, 냉매배관(15)을 흐른다. 이 냉매는, 상기 냉방운전과 마찬가지로 하여, 피냉각 부품(63)의 냉각에 이용된다. 냉매배관(15)을 흐른 냉매는, 실외 팽창밸브(33)에서 감압된 후, 실외 열교환기(31)에서 증발된다. 증발된 냉매는, 압축기(34)에 흡입되어 압축된다.
-냉각배관의 설치구조에 대해-
설치구조(50)에서는, 전열부재(70)의 각 홈부(72)에 각각 냉매배관(15)이 감합된다. 이 상태에서, 전열부재(70)에 대향하여 탄성부재(80)를 배치한다. 전열부재(70)의 비스공(75)과 탄성부재(80)의 관통공(85)과의 위치를 맞추고, 비스(91)를 비스공(75)에 체결한다. 이 체결 작업은, 전면 패널(41)을 케이싱(40)의 본체로부터 떼어낸 상태에서 행해진다. 또한, 케이싱(40) 외부에서, 전열부재(70)와 탄성부재(80)를 비스(91)에 의해 임시체결(temporary tightening)한 후, 전열부재(70)와 탄성부재(80)와의 사이에 냉매배관(15)을 끼우고 비스(91)를 정체결(final tightening)하면, 비스(91)의 체결 작업을 간편하게 행할 수 있다.
비스(91)를 체결하면, 탄성부재(80)의 피누름부(84)가, 전열부재(70)측으로 눌린다. 이에 수반하여, 피누름부(84)와 연결되는 한 쌍의 대향부(82)가, 전열부재(70)측으로 탄성 변형된다. 이 때, "V"자형 접힘부(86c)에 의해, 탄성부재(80)의 스프링 성이 향상되어, 대향부(82)를 확실하게 전열부재(70)측으로 변위 시킬 수 있다. 한편으로, 복수의 접힘부(86)에 의해 탄성부재(80) 길이방향의 강성이 향상되므로, 직관부(16)에는, 신장방향에 걸쳐 비교적 균등하게 누름력이 작용한다. 또, 비스(91)는, 피누름부(84)의 길이방향 중간부에 체결되므로, 탄성부재(80) 길이방향의 누름력도 균일화되기 쉽다.
또, 한 쌍의 대향부(82, 82) 사이의 피누름부(84)를 비스(91)에 의해 누르도록 하므로, 2개의 대향부(82)에 의한 냉매배관(15)의 누름력도 균일화되기 쉽다. 또한, 1개의 비스(91)에 의해, 2개의 냉매배관(15)을 전열부재(70)측으로 누를 수 있으므로, 부품 점수를 삭감할 수 있어, 조립의 공정 수도 삭감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하여, 2개의 냉매배관(15)이, 전열부재(70)의 각 홈부(72) 측을 향해 부세된다. 이에 따라, 전열부재(70)의 각 홈부(72)와 탄성부재(80)의 각 대향부(82)와의 사이에, 각 냉매배관(15)이 협지(挾持)된다. 이와 같이 냉매배관(15)에 탄성부재(80)를 압접(壓接)함으로써, 냉매배관(15)과 전열부재(70)의 틈새가 축소되어, 냉매배관(15)과 전열부재(70)의 열 저항이 작아진다. 또, 냉매배관(15)과 홈부(72)와의 사이에는, 전열촉진 재료(78)가 개재하므로, 이 전열촉진 재료(78)에 의해 냉매배관(15)과 홈부(72) 사이의 작은 틈새를 메울 수 있다. 이에 따라, 냉매배관(15)과 홈부(72) 사이의 열 저항이 더욱 저감된다.
탄성부재(80)는, 어느 정도 유연성을 가지므로, 탄성부재(80)의 가공 정밀도가 약간 저하되어도, 탄성부재(80)에 의해 냉매배관(15)을 충분히 누를 수 있다. 또한, 대향부(82)는 평판형으로 형성되므로, 대향부(82)가 냉매배관(15)의 축 주위로 약간 기울어도, 대향부(82)와 냉매배관(15) 사이의 선접촉이 유지된다. 따라서, 냉매배관(15)을 확실하게 전열부재(70)측으로 누를 수 있다.
대향부(82) 및 홈부(72)는, 냉매배관(15) 직관부(16)의 신장방향으로 연장된다. 이로써, 대향부(82)와 직관부(16)의 접촉면적이 확대되어, 직관부(16)의 누름력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또, 대향부(82)와 홈부(72) 사이에 냉매배관(15)을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냉매배관(15)과 홈부(72) 사이의 전열면적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피냉각 부품(63)의 냉각효과를 충분히 발휘할 수 있어, 피냉각 부품(63)의 발열을 억제할 수 있다.
-제 1 실시형태의 효과-
상기 제 1 실시형태에 의하면, 냉매배관(15)과 홈부(72) 사이의, 냉매배관(15) 설치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으며, 또한 피냉각 부품(63)으로부터 냉매배관(15)에 이르기까지의 전열을 촉진시킬 수 있다. 따라서, 피냉각 부품(63)을 확실하고 또한 효과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전력변환장치(60), 나아가 공기 조화기(1)의 신뢰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공기 조화기(1)는, 상기 실시형태와 냉매배관(15) 설치구조(50)의 구성이 다른 것이다. 이하에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다른 점에 대해, 도 5∼도 9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5에 나타내듯이, 제 2 실시형태의 공기 조화기(1)에서는, 전력변환장치(60)가 전면 패널(41)측에 면하여 배치되고, 냉매배관(15)이 전력변환장치(60) 후측에 배치된다.
전력변환장치(60)에서는, 전면 패널(41)의 뒷면 측에 프린트 기판(61)이 배치되고, 프린트 기판(61)의 후측에 피냉각 부품(63)이 배치된다. 프린트 기판(61)은, 지지부재(51)를 개재하여 케이싱(40)에 고정된다. 지지부재(51)는, 전면 패널(41)을 착탈할 수 있도록, 예를 들어 케이싱(40)의 천장판과 타부재에 고정된다.
피냉각 부품(63)의 표면(후측면)에는, 전열부재(70)가 고정된다. 전열부재(70)의 표면(후측면)에는,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하여, 홈부(72)가 형성된다. 탄성부재(80)는, 냉매배관(15)을 전열부재(70)측으로 부세한다.
도 7에 나타내듯이, 제 2 실시형태의 전열부재(70)에는, 감합홈(100)이 형성된다. 감합홈(100)은, 전열부재(70)의 중간부(74)에서, 이 전열부재(70)의 길이방향 양단에 걸쳐 형성된다. 즉, 감합홈(100)은, 전열부재(70)를 길이방향으로 압출성형(extrusion)함으로써 용이하게 가공된다.
감합홈(100)은, 중간부(74) 표면에 형성되는 외(外)홈(101)과, 이 외홈(101)과 연통하여 중간부(74) 내부에 형성되는 내홈(102)으로 구성된다. 외홈(101) 및 내홈(102)은, 중간부(74) 폭방향의 중간부위에 형성된다. 외홈(101)과 내홈(102)은, 폭방향의 중심위치가 서로 일치한다. 내홈(102)의 폭은 외홈(101)의 폭보다 크게 된다.
도 8에 나타내듯이, 제 2 실시형태의 탄성부재(80)의 피누름부(84)에는, 길이방향 중간부위이며 또한 폭방향의 중간부위에, 삽입공(110)이 형성된다. 삽입공(110)의 내주(內周)연부에는, 한 쌍의 직사각형부(111)와 한 쌍의 원호부(112)가 둘레방향에 서로 배열된다. 한 쌍의 직사각형부(111)는, 서로 대향하도록 감합홈(100)의 길이방향으로 배열된다. 한 쌍의 직사각형부(111)에서, 서로 대향하는 변(111a, 111a)끼리의 간격은, 내홈(102)의 폭과 대략 동등하게 된다. 한 쌍의 원호부(112)는, 서로 대향하도록 감합홈(100)의 길이방향에 직교하여 배열된다. 각 원호부(112) 둘레방향의 중간부위에는, 지름방향 안쪽으로 돌출하도록 단차(段差)부(112a)가 형성된다.
도 6, 도 7, 및 도 9에 나타내듯이, 제 2 실시형태의 누름기구(90)는, 회전식 파스너(92)로 구성된다. 회전식 파스너(92)는, 원주(圓柱)형의 누름부(93)(본 실시예에서는 '본체부'로 구체화되어 있음), 이 누름부(93) 폭방향의 일단측에 형성되는 파지부(94)(본 실시예에서는 '파지판'으로 구체화되어 있음), 누름부(93) 축방향 타단측에 형성되는 회전축(95), 및 회전축(95) 선단부에 형성되는 한 쌍의 감합부(96, 96)(본 실시예에서는 '돌출핀'으로 구체화되어 있음)를 구비한다.
파지부(94)는, 누름부(93)의 축심을 통과하도록 지름방향 외방(外方)으로 연장되는 긴 판형으로 형성된다. 파지부(94)는, 탄성부재(80)의 외측에 배치되는 파지부를 구성한다. 파지부(94)는, 도 6의 2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위치와, 도 6의 실선으로 나타내는 위치 사이를, 회전 자유롭게 변위한다.
누름부(93)는, 탄성부재(80)의 피누름부(84)를 누르기 위한 누름부를 구성한다. 구체적으로, 누름부(93)에는, 축방향의 파지부(94)와 반대측 단면(端面)에, 피누름부(84)와 접촉하는 누름면(93a)이 형성된다. 누름부(93)는, 파지부(94)의 회동(pivot)에 수반하여, 누름면(93a)이 탄성부재(80)를 누르는 위치(제 1 위치, 도 6을 참조)와, 누름면(93a)에 의한 탄성부재(80)의 누름이 해제되는 위치(제 2 위치, 도시생략)로 변위된다.
회전축(95)은, 누름부(93)보다 지름이 작은 거의 원주형으로 형성된다. 회전축(95)은, 누름부(93)와 동축이 되도록 이 누름부(93)와 일체로 형성된다. 회전축(95)은, 탄성부재(80)의 삽입공(110)에 삽입 관통된다. 도 9에 나타내듯이, 회전축(95)의 외주면에는, 누름부(93) 근방에 스토퍼부(95a)가 형성된다. 스토퍼부(95a)는, 회전축(95)의 표면으로부터 지름방향 외방으로 돌출하는 돌기부로 구성된다. 스토퍼부(95a)는, 탄성부재(80)의 단차부(112a)(도 8 참조)와 접촉함으로써, 회전식 파스너(92)의 회전을 규제한다. 이에 따라, 회전식 파스너(92)는, 약 90˚의 회전각도 범위를 초과하는 회동이 금지된다.
회전축(95)의 외주면에는, 누름부(93) 근방에 고리형 홈(95b)이 형성된다. 고리형 홈(95b)에는, 탄성부재(80)의 삽입공(110)에 회전축(95)이 삽입 관통된 상태에서, 와셔(washer), 또는, 이른바 E 링 등의 링형 부재가 고정된다(도시 생략). 이에 따라, 회전식 파스너(92)에 탄성부재(80)를 일체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한 쌍의 감합부(96, 96)는, 회전축(95)의 외주연부로부터 지름방향 외방으로 돌출된다. 한 쌍의 감합부(96, 96)는, 서로 등피치(equal pitch)를 두도록 배열된다. 본 실시형태의 감합부(96, 96) 돌출방향은, 파지부(94)의 길이방향과 거의 일치한다.
감합부(96)는, 이 돌출방향과 직각인 단면(斷面)형상이, 거의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감합부(96)에는, 회전축(95)의 선단면과 거의 동일 평면인 직사각형면(96a)과, 누름부(93)측에 위치하여 직사각형면(96a)에 대해 비스듬하게 경사지는 경사면(96b)이 형성된다. 경사면(96b)은, 회전식 파스너(92)를 전열부재(70)에 장착하기 위한 회전방향(도 6의 화살표 C방향)으로 진행함에 따라, 회전축(95)의 선단(先端)면에 가까워지도록 비스듬하게 경사진다. 한 쌍의 감합부(96)는, 탄성부재(80) 삽입공(110)의 각 직사각형부(111), 및 전열부재(70)의 감합홈(100)에 감합 가능한 감합부를 구성한다.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작업자가 파지부(94)를 잡고 회전식 파스너(92)를 회동시킴으로써, 탄성부재(80)와 전열부재(70)와의 사이에, 냉매배관(15)을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케이싱(40) 본체로부터 전면(前面)패널(41)을 떼어낸 상태에서, 탄성부재(80)와 전열부재(70) 사이에 냉매배관(15)을 끼운다. 이 상태에서, 작업자는 냉매배관(15)의 후측까지 손을 뻗쳐, 회전식 파스너(92)의 감합부(96)를, 삽입공(110)의 각 직사각형부(111)를 통해 감합홈(100)에 끼워 넣는다. 즉, 감합부(96)는, 감합홈(100)의 길이방향을 향한 상태에서, 내(內)홈(102)의 저부(底部)까지 끼워진다. 이 상태(즉, 도 6의 2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상태)의 파지부(94)를, 화살표 C방향으로 회동(回動, pivot)시킨다. 이에 따라, 감합부(96)는, 그 경사면(96b)이 원호(圓弧)부(112)로 안내되도록 되어, 내홈(102)의 폭방향을 향한 상태(도 7에 나타내는 상태)가 된다. 그 결과, 감합부(96)가, 감합홈(100) 내부에 유지됨과 동시에, 회전식 파스너(92)가 전열부재(70)측으로 변위하여, 누름부(93)가 탄성부재(80)를 누르는 상태가 된다. 이상과 같이 하여, 피누름부(84)가 전열부재(70)측으로 눌리면, 한 쌍의 대향부(82)는,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하여, 냉매배관(15)측으로 탄성 변형된다. 그 결과, 탄성부재(80)와 전열부재(70)와의 사이에 냉매배관(15)이 유지된다.
탄성부재(80)의 누름을 해제할 시에는, 파지부(94)를 도 6 화살표방향 C와 반대측으로 회동시킨다. 이에 따라, 감합부(96)가 외(外)홈(101)을 따른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파지부(94)를 후측(전열부재(70)와 반대측)으로 당김으로써, 감합홈(100)으로부터 감합부(96)가 빠져 탄성부재(80)의 누름이 해제된다.
이상과 같이, 제 2 실시형태에서는, 감합부(96)를 감합홈(100)에 감합시키고, 파지부(94)를 회동시켜 탄성부재(80)를 누르는 구조로 하고 있다. 이로써, 상술과 같이, 냉매배관(15)의 후측으로부터도 탄성부재(80)를 용이하게 착탈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전력변환장치(60)를 냉매배관(15)의 전면(前面)측(즉, 케이싱(40)의 외부측쪽)에 배치할 수 있고, 전력변환장치(60)의 부품 교환과 유지관리도 간편하게 된다.
또, 제 2 실시형태에서는, 회전식 파스너(92)의 감합부(96)를 내홈(102)을 따라 자유롭게 위치 결정할 수 있다. 즉,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전열부재(70)에 대해 감합부(96)의 위치를 자유롭게 결정할 수 있어, 설치작업의 용이화를 도모할 수 있다.
《제 3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한 공기 조화기(1)는, 상기 실시형태와 냉매배관(15) 설치구조(50)의 구성이 다른 것이다. 이하에는, 제 2 실시형태와 다른 점에 대해, 도 10∼도 13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 3 실시형태의 전열부재(70)의 감합홈(100)은, 전열부재(70)를 두께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다. 감합홈(100)은, 중간부(74)의 중심위치에 형성된다. 감합홈(100)은, 전열부재(70)의 표면측(탄성부재(80)측)에 형성되는 한 쌍의 키 홈(104)과, 이 키 홈(104) 안쪽에 형성되는 원주홈(105)을 갖는다.
제 3 실시형태의 누름기구(90)는, 레버식 파스너(120)로 구성된다. 레버식 파스너(120)는, 원주형의 로드(rod)부(121)와, 이 로드부(121)의 폭방향 일단(一端)측에 회동축(121a)을 개재하여 경동(傾動) 자유롭게 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레버부(122)와, 로드부(121) 폭방향의 타단(他端)측에 형성되는 한 쌍의 감합부(123, 123)(본 실시예에서는 '키'로 구체화되어 있음)를 갖는다.
레버부(122)는, 회전축(121a) 축 주위에 형성되는 원판부(124)와, 이 원판부(124)로부터 지름방향 외방으로 연장되는 파지부(125)(본 실시예에서는 '레버 본체'로 구체화되어 있음)를 가진다. 파지부(125)는, 탄성부재(80)의 외측에 형성되어 변위 자유로운 파지부를 구성한다. 원판부(124)에는, 파지부(125)의 연장방향과 직교하도록 지름방향 외방으로 팽출(膨出)하는 누름부(124a)(본 실시예에서는 '팽출 원호부'로 구체화되어 있음)가 형성된다. 누름부(124a)는 파지부(125)를 변위시킴으로써 탄성부재(80)를 누르는 제 1 위치(도 13의 실선으로 나타내는 위치)와, 탄성부재(80)의 누름을 해제하는 제 2 위치(도 13의 2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위치)로 변위하는 누름부를 구성한다.
로드부(121)는, 탄성부재(80)의 삽입 관통공(87)을 통해 감합홈(100)에 삽입 관통된다. 한 쌍의 감합부(123, 123)는, 로드부(121)의 선단부 외주면에 일체로 형성된다. 한 쌍의 감합부(123, 123)는, 한 쌍의 키 홈(104)에 감합하는 사각주형으로 형성된다. 한 쌍의 감합부(123, 123)를 키홈(104)을 통해 원주홈(105) 내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파지부(125)를 로드부(121)의 축심(軸心)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시키면, 감합부(123)가 원주홈(105) 내부에 감합한다. 즉, 감합부(123)는, 감합홈(100)에 착탈 자유롭게 감합되는 감합부를 구성한다.
제 3 실시형태에서는, 작업자가 파지부(125)를 경동시킴으로써, 탄성부재(80)와 전열부재(70)와의 사이에, 냉매배관(15)을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케이싱(40)의 본체로부터 전면패널(41)을 떼어낸 상태에서, 탄성부재(80)와 전열부재(70)와의 사이에 냉매배관(15)을 끼워 넣는다. 이 상태에서, 작업자는 냉매배관(15)의 후측까지 손을 뻗쳐, 레버식 파스너(120)의 감합부(123)를 키홈(104)에 끼워 넣는다. 그 후, 레버부(122)를 잡고 로드부(121)를 축 주위로 회전시킴으로써, 감합부(123)가 원주홈(105) 내부에 감합되어 유지된다(도 11을 참조).
이어서, 도 13의 2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상태의 레버부(122)를, 도 13의 화살표 G방향으로 경동시키면, 누름부(124a)가 탄성부재(80)의 피누름부(84)를 서서히 눌러 간다. 이에 수반하여, 한 쌍의 대향부(82)는, 제 2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하여, 냉매배관(15)측으로 탄성 변형된다. 그 결과, 탄성부재(80)와 전열부재(70)와의 사이에 냉매배관(15)이 유지된다.
탄성부재(80)의 누름을 해제할 시에는, 레버부(122)를 도 13의 화살표 G방향과 반대측으로 회동시킨다. 이에 따라, 누름부(124a)가, 피누름부(84)로부터 멀어지고 피누름부(84)의 누름이 해제된다.
제 3 실시형태에서도, 레버부(122)를 조작함으로써, 레버식 파스너(120)를 전열부재(70)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이로써, 제 2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전력변환장치(60)와 냉매배관(15) 레이아웃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제 2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전력변환장치(60)를 냉매배관(15) 전면측에 배치할 수 있어, 전력변환장치(60)의 부품 교환과 유지관리도 간편하게 된다.
《제 4 실시형태》
탄성부재(80)에는, 도 15에 나타내듯이, 슬릿(80a)을 형성하여도 된다. 도 15의 예에서는, 6개의 슬릿(80a)이 형성된다. 각각의 슬릿(80a)은, 냉매배관(15)의 직관부(16)에 직교하는 방향이며, 탄성부재(80)의 외측 판부(81), 대향부(82), 및 내측판부(83)에 걸쳐 형성된다. 이 예에서는, 탄성부재(80)는, 2개의 비스(91)에 의해, 피누름부(84)가 전열부재(70)측으로 눌린다.
전열부재(70)가, 직관부(16)의 신장방향으로 길어질수록, 탄성부재(80)도 길어지고, 탄성부재(80)에 의해 직관부(16)에 부여되는 누름 압력을 균일하게 하는 것이 어려워진다. 이에 반해, 이 구성에서는, 슬릿(80a)을 형성함으로써, 탄성부재(80)가 직관부(16)를 확실하게 따르도록 할 수 있다. 이로써, 탄성부재(80)에 의해 직관부(16, 16)에 부여하는 압력을, 용이하게 균일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냉매배관(15)과 전열부재(70)와의 전열을 보다 확실하게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5에 나타낸 슬릿(80a)의 형상은 예시이다. 또 슬릿(80a)의 수와 비스(91)의 수도 예시이다.
《제 5 실시형태》
탄성부재(80)는, 도 16에 나타내듯이, 1개의 전열부재(70)에 대해, 복수 배치하도록 하여도 된다. 이 예에서는, 1개의 전열부재(70)에, 2개의 탄성부재(80)가, 직관부(16)의 신장방향에 이어져 배치된다. 각각의 탄성부재(80)는, 비스(91)에 의해, 피누름부(84)가 전열부재(70)측으로 눌린다. 이 구성에서는, 전열부재(70)가 직관부(16) 신장방향에 길게 형성된 경우에도, 탄성부재(80)에 의해 직관부(16, 16)에 부여되는 압력을, 용이하게 균일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냉매배관(15)과 전열부재(70)와의 전열을 보다 확실하게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탄성부재(80)의 수는 2개로 한정되지 않는다. 탄성부재(80) 수는, 예를 들어 전열부재(70)의 크기에 따라, 적절히 정하면 된다.
《제 6 실시형태》
탄성부재(80)에는, 도 17(A), 도 17(B)에 나타내듯이, 보강용 비드(80b)를 형성하여도 된다. 보강용 비드(80b)는, 비스(91)에 의해 고정되는 부위(피누름부(84)) 근방에 형성된다. 도 17(A)의 예에서는, 피누름부(84)에, 비스공(75)을 피해 8개의 보강용 비드(80b)가 형성된다. 각각의 보강용 비드(80b)는, 평면형상이 대략 타원형이고, 탄성부재(80)의 피누름부(84)에 형성된다. 각각의 보강용 비드(80b)는, 피누름부(84)에 비드(엠보스 또는 오목부) 가공을 행한 것이고, 전열부재(70)와는 반대방향으로 돌출된다(도 17(B)).
예를 들어, 탄성부재(80)를 얇게 한 경우 등에는, 탄성부재(80)의 강성이 부족하여, 직관부(16)를 누르는 힘이 충분히 얻어지지 못 할 가능성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탄성부재(80)의 판 두께를 두껍게 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으나, 원가가 비싸지거나, 원하는 판 두께 재료를 얻지 못하거나 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에 반해, 본 실시형태에서는 보강용 비드(80b)를 탄성부재(80)의 중앙부(피누름부(84))에만 형성함으로써, 탄성부재(80)의 중앙부만 강성(剛性)이 상승되고, 탄성부재(80)의 스프링성을 남긴 채, 강성을 상승시킬 수 있다. 따라서, 직관부(16)를 누르는 힘을 충분히 얻을 수 있게 된다.
《제 7 실시형태》
도 18은, 비스공(75)의 다른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또, 도 19는, 도 18의 탄성부재(80)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8에 나타내듯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탄성부재(80)에는, 1개의 비스공(75)이 형성된다. 이 비스공(75)은, 비스(91) 머리가 통과하는 크기의 대경부(75a)와, 비스(91)를 체결 가능한 크기의 소경부(75b)와의 복합 형상을 갖는다.
탄성부재(80)를 나사 고정할 시에는, 탄성부재(80)를 한 손으로 누르면서, 한 손으로 비스(91)를 비스공(75)에 삽입하여 드라이버로 장착할 필요가 있어, 나사 고정 작업이 곤란해진다. 이에 반해, 본 실시형태의 비스공(75) 형상을 채용함으로써, 예를 들어, 도 20에 나타내는 공정으로 조립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도 20의 예에서는, 먼저 전열부재(70)에 비스(91)를 반정도 체결한 상태에서 장착하여 두고, 탄성부재(80)를 비스공(75)의 대경부(75a) 부분에서 나사에 삽입하고, 피누름부(84)를, 소경부(75b) 부분이 나사 부분에 오도록 슬라이드시킨다. 그 후, 드라이버에 의해 비스(91)를 체결한다. 이와 같이, 탄성부재(80)의 임시고정이 가능하게 되므로, 비스(91)의 체결을 간단히 행할 수 있다.
《그 밖의 실시형태》
상기 실시형태에 대해서는, 이하와 같은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 냉매배관(15)과 탄성부재(80) 사이에 완충재(130)를 배치하여도 된다(예를 들어 도 14를 참조). 완충재(130)는, 예를 들어 고무제 또는 합성 수지제의 탄성을 가진 유연한 재료로 구성된다. 완충재(130)는, 냉매배관(15)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시트형 내지 판형으로 형성되어, 냉매배관(15) 표면에 고정된다. 이 완충재(130)에 의해, 탄성부재(80)측으로부터 냉매배관(15)에 작용하는 누름력을 균일화 할 수 있다. 또, 냉매배관(15)과 탄성부재(80)가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탄성부재(80)와 냉매배관(15)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냉매배관(15)과 전열부재(70)의 홈부(72) 사이에 전열촉진 재료(78)를 개재시키고 있다. 그러나, 이 전열촉진 재료(78) 대신에, 열전도 시트를 전열 촉진부재로서 이용하여도 된다.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전열부재(70)에 2개의 홈부(72)를 형성하여, 각 홈부(72)에 각각 냉매배관(15)을 감합하고 있다. 그러나, 전열부재(70)에 1개의 홈부(72), 또는 3개 이상의 홈부(72)를 형성하여, 대응하는 홈부(72)에 냉매배관(15)을 감합하여도 된다. 이 경우에도, 상술한 장착구조(50)를 채용하여, 탄성부재(80)와 전열부재(70) 사이에 냉매배관(15)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각 실시형태는, 도 1에 나타내듯이, 1개의 실내유닛(20)과 1개의 실외유닛(30)을 갖는 공기 조화기(1)이나, 복수의 실내유닛(20)과 복수의 실내유닛(30)을 갖는, 이른바 멀티형 공기 조화기라도 된다. 또, 냉동기와 급탕기 등 다른 방식의 냉동장치라도 된다.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고압 액 라인의 냉매를 냉매배관(15)에 흐르도록 하나, 고압 가스라인, 또는 저압 액 라인과 가스라인의 냉매를 냉매배관(15)에 흐르게 하여도 된다.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전력변환장치(60)의 피냉각 부품(63)을 피냉각 부품으로 하나, 다른 종류의 스위칭소자와 전기부품을 피(被)냉각 부품으로 하여도 된다.
[산업상 이용 가능성]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냉매배관을 흐르는 냉매에 의해 피냉각 부품을 냉각하는 냉각구조의, 냉매배관의 설치구조에 대해 유용하다.
15 : 냉각관(냉매배관) 70 : 냉매재킷(전열부재)
72 : 배관홈부(홈부) 78 : 열전도 그리스(전열촉진 재료)
80 : 판 스프링 부재(탄성부재) 82 : 대향부
84 : 설치판부(피누름부) 86 : 접힘부
93 : 본체부(누름부) 94 : 파지판(파지부)
96 : 돌출핀(감합부) 100 : 감합홈
123 : 키(감합부) 124a : 팽출 원호부(누름부)
125 : 레버 본체(파지부)

Claims (11)

  1. 냉매배관(15)이 감합(嵌合)되는 세로로 긴 홈(groove)부(72)를 갖고, 프린트 기판(61)에 고정되는 고정부재(52)를 개재하여 상기 프린트 기판(61) 상의 피(被)냉각 부품(63)을 끼우도록 상기 프린트 기판(61)에 고정되어 상기 피냉각 부품(63)과 열적(熱的)으로 접촉하는 전열부재(70)와,
    상기 냉매배관(15)의 신장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긴 판형으로 형성되어, 이 냉매배관(15)에 대향하는 대향부(82)를 갖는 판 스프링 부재(80)와,
    상기 판 스프링 부재(80)를 상기 전열부재(70) 측을 향해 누르는 누름력의 부여 및 해제가 가능한 누름기구(90)를 구비하며,
    상기 판 스프링 부재(80)에는, 상기 냉매배관(15)의 신장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적어도 1개의, 이 신장방향과 직교하는 단면이 V자형 또는 U자형인 접힘부(86)가 형성되고,
    상기 전열부재(70)에는, 이 전열부재(70)의 길이 방향에 걸쳐 직선형으로 연장되는 오목부(73)가 형성되며,
    상기 접힘부(86)는, 상기 오목부(73)의 내부로 돌출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배관의 설치구조.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판 스프링 부재(80)의 대향부(82)는, 평판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배관의 설치구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열부재(70)에는, 복수의 냉매배관(15)이 각각 감합되는 복수의 상기 홈부(72)가 형성되고,
    상기 판 스프링 부재(80)는, 상기 복수의 홈부(72)에 걸치는 1장의 판(板)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배관의 설치구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전열부재(70)에는, 2개의 상기 홈부(72)가 형성되고,
    상기 판 스프링 부재(80)에는, 상기 2개의 홈부(72)에 각각 대향하는 2개의 대향부(82)와, 이 2개의 대향부(82)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누름기구(90)에 의해 눌리는 피(被)누름부(84)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배관의 설치구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열부재(70)의 홈부(72)와, 상기 냉매배관(15)과의 사이에는, 전열을 촉진시키기 위한 전열촉진 재료(78)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배관의 설치구조.
  7. 냉매배관(15)이 감합되는 세로로 긴 홈부(72)를 가지며, 피냉각 부품(63)과 열적으로 접촉하는 전열부재(70)와,
    상기 냉매배관(15)의 신장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긴 판형으로 형성되어, 이 냉매배관(15)에 대향하는 대향부(82)를 갖는 판 스프링 부재(80)와,
    상기 판 스프링 부재(80)를 상기 전열부재(70)측을 향해 누르는 누름기구(90)를 구비하고,
    상기 전열부재(70)에는, 감합 홈(100)이 형성되고,
    상기 누름기구(90)는, 상기 감합홈(100)에 착탈 자유롭게 감합되는 감합부(96, 123)와, 상기 판 스프링 부재(80) 외측에 변위 가능하게 배치되는 파지(把持)부(94, 125)와, 이 파지부(94, 125)를 변위시킴으로써 상기 판 스프링 부재(80)를 누르는 제 1 위치와, 이 판 스프링 부재(80)의 누름을 해제하는 제 2 위치로 변위하는 누름부(93, 124a)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배관의 설치구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판 스프링 부재(80)에는, 슬릿(80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배관의 설치구조.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판 스프링 부재(80)는, 상기 신장방향으로 이어져 복수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배관의 설치구조.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판 스프링 부재(80)는, 상기 누름기구(90)가 눌리는 부위의 근방에는, 보강용 비드(bead)(80b)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배관의 설치구조.
  11. 삭제
KR1020147003981A 2011-07-20 2012-06-27 냉매배관의 설치구조 KR1016052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158834 2011-07-20
JPJP-P-2011-158834 2011-07-20
PCT/JP2012/004167 WO2013011636A1 (ja) 2011-07-20 2012-06-27 冷媒配管の取付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8984A KR20140048984A (ko) 2014-04-24
KR101605274B1 true KR101605274B1 (ko) 2016-03-21

Family

ID=47557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3981A KR101605274B1 (ko) 2011-07-20 2012-06-27 냉매배관의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9784506B2 (ko)
EP (1) EP2736315B1 (ko)
JP (2) JP5348282B2 (ko)
KR (1) KR101605274B1 (ko)
CN (1) CN103688605B (ko)
AU (1) AU2012285311B2 (ko)
BR (1) BR112014001008B1 (ko)
ES (1) ES2724227T3 (ko)
TR (1) TR201905887T4 (ko)
WO (1) WO201301163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25735A1 (ko) * 2020-07-31 2022-02-0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전력변환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49602B2 (ja) * 2013-03-07 2016-07-06 株式会社デンソー 電力変換装置
KR102130738B1 (ko) * 2013-04-05 2020-07-07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및 냉각장치
US20150059389A1 (en) * 2013-09-05 2015-03-05 Trane International Inc. System and apparatus for heating or cooling having fluid cooled electronics
KR102128584B1 (ko) * 2013-09-16 2020-06-30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CN103604167B (zh) * 2013-11-14 2017-02-08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器的室外机的散热控制方法
CN103604170A (zh) * 2013-11-14 2014-02-26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冷暖型空调器
CN103604168A (zh) * 2013-11-14 2014-02-26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冷暖型空调器
CN103604169B (zh) * 2013-11-14 2017-01-11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冷暖型空调器
CN103604171A (zh) * 2013-11-14 2014-02-26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单冷型空调器
US9510481B2 (en) 2014-03-24 2016-11-29 Daikin Industries, Ltd. Refrigerant jacket and air conditioning apparatus equipped therewith
US20150282386A1 (en) * 2014-03-27 2015-10-01 Daikin Industries, Ltd. Heat source unit of refrigerating apparatus
KR20150125530A (ko) * 2014-04-30 2015-11-09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이에 적용되는 냉각 유닛 및 냉각 유닛의 제조 방법
CN105627425A (zh) * 2014-10-28 2016-06-01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器
CN105627424A (zh) * 2014-10-28 2016-06-01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器
EP3214379B1 (en) 2014-10-28 2022-08-17 GD Midea Air-Conditioning Equipment Co., Ltd. Air conditioner
CN105627611A (zh) * 2014-10-28 2016-06-01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器
EP3214380B1 (en) * 2014-10-28 2022-07-20 GD Midea Air-Conditioning Equipment Co., Ltd. Air conditioner
CN104482610A (zh) * 2014-11-24 2015-04-01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冷暖型空调器
CN104482609A (zh) * 2014-11-24 2015-04-01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冷暖型空调器
CN104482611A (zh) * 2014-11-24 2015-04-01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冷暖型空调器
KR101693406B1 (ko) * 2014-12-02 2017-0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열교환기의 온도 감지 장치
CN104534575B (zh) * 2014-12-08 2018-05-22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器
CN104534576B (zh) * 2014-12-08 2018-08-17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器
JP6394386B2 (ja) * 2014-12-26 2018-09-26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冷凍装置
KR101744536B1 (ko) * 2015-02-09 2017-06-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열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JP2016205676A (ja) * 2015-04-20 2016-12-08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電装品の冷却システム
WO2017022001A1 (ja) * 2015-07-31 2017-02-09 ジョンソンコントロールズ ヒタチ エア コンディショニング テクノロジー(ホンコン)リミテッド 空気調和機の室外機および空気調和機
JP2017044455A (ja) * 2015-08-28 2017-03-02 三菱重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CN106766499A (zh) * 2015-11-24 2017-05-31 博西华家用电器有限公司 冰箱及其中梁
CN105928109A (zh) * 2016-05-27 2016-09-07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模块换热装置的空调系统及具有其的空调
DE112017007720T5 (de) * 2017-07-03 2020-03-19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Kühlkörper
US11181309B2 (en) * 2017-12-22 2021-11-23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Direct cooling ice maker
JP7000931B2 (ja) * 2018-03-12 2022-01-19 富士通株式会社 冷却機構付き基板
CN109556191B (zh) * 2018-10-19 2021-05-28 青岛海尔空调电子有限公司 一种铜管固定装置及具有其的空调室外机
CN113286470B (zh) * 2021-06-25 2022-05-31 四川农业大学 一种自然语言识别处理装置及其使用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68887A (ja) * 1999-08-30 2001-03-16 Ando Electric Co Ltd プリント基板の冷却構造
US20090205810A1 (en) 2008-02-19 2009-08-20 Man Zai Industrialco., Ltd. Liquid cool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60486A (en) * 1945-07-20 1951-07-10 United Carr Eastener Corp Spring fastening device
US2517411A (en) * 1946-07-08 1950-08-01 Admiral Corp Fastener for refrigerant evaporator
US3599915A (en) * 1969-12-10 1971-08-17 Illinois Tool Works Pipe clip
JPS4858498U (ko) * 1971-11-06 1973-07-25
US4235285A (en) * 1979-10-29 1980-11-25 Aavid Engineering, Inc. Self-fastened heat sinks
JPS5742155A (en) * 1980-08-26 1982-03-09 Furukawa Electric Co Ltd:The Heat pipe type heat sink
JPS63136656A (ja) 1986-11-28 1988-06-08 Nec Corp 電子回路パツケ−ジの放熱構造
JPH01145136A (ja) * 1987-12-01 1989-06-07 Taiyo Shokai Kk ハンドル付き底シール型袋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装置
JPH064593Y2 (ja) * 1988-03-28 1994-02-02 日本電気株式会社 集積回路の冷却構造
JP2548825Y2 (ja) * 1990-12-28 1997-09-24 株式会社東郷製作所 クランプ
JP3479734B2 (ja) * 1996-01-30 2003-12-15 オーケー器材株式会社 空調室外機の吊下げ設置方法及び装置
JP3057688U (ja) * 1998-09-11 1999-06-02 株式会社ヤマオカテクノフレックス 配管用管固定具
JP2003247765A (ja) 2002-02-22 2003-09-05 Sanyo Electric Co Ltd 電子装置
CN101026944A (zh) * 2006-02-22 2007-08-29 富准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散热装置
TW200739327A (en) * 2006-04-14 2007-10-16 Compal Electronics Inc Heat dissipating module
US7684198B2 (en) * 2006-08-31 2010-03-23 Adlink Technology Inc. Stacked heat-transfer interface structure
US7515423B2 (en) * 2006-09-22 2009-04-07 Fu Zhun Precision Industry (Shen Zhen) Co., Ltd. Heat dissipation device
JP5028204B2 (ja) * 2007-09-28 2012-09-19 三洋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の室外ユニット
CN101141871A (zh) * 2007-10-26 2008-03-12 北京工业大学 与平板热管均热器一体化设计的散热装置
JP4471023B2 (ja) * 2008-06-12 2010-06-02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機
CN101636067B (zh) * 2008-07-25 2012-08-22 富准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散热装置
JP5309901B2 (ja) 2008-11-04 2013-10-09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取付構造
JP5392552B2 (ja) * 2009-06-22 2014-01-22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冷媒配管の取付構造
JP5152154B2 (ja) 2009-11-04 2013-02-27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冷媒冷却構造
JP5445507B2 (ja) * 2010-06-03 2014-03-19 株式会社デンソー 電力変換装置
JP5397497B2 (ja) 2012-04-20 2014-01-22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冷凍装置
CN104254738B (zh) 2012-04-27 2017-11-03 大金工业株式会社 制冷装置
JP5408285B2 (ja) 2012-04-27 2014-02-05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冷却器、電装品ユニット及び冷凍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68887A (ja) * 1999-08-30 2001-03-16 Ando Electric Co Ltd プリント基板の冷却構造
US20090205810A1 (en) 2008-02-19 2009-08-20 Man Zai Industrialco., Ltd. Liquid cooling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25735A1 (ko) * 2020-07-31 2022-02-0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전력변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3042115A (ja) 2013-02-28
BR112014001008B1 (pt) 2021-01-19
BR112014001008A2 (pt) 2017-02-21
JP2013213662A (ja) 2013-10-17
AU2012285311B2 (en) 2015-04-02
TR201905887T4 (tr) 2019-05-21
EP2736315A4 (en) 2015-07-15
AU2012285311A1 (en) 2014-01-23
JP5348282B2 (ja) 2013-11-20
WO2013011636A1 (ja) 2013-01-24
CN103688605B (zh) 2016-05-04
CN103688605A (zh) 2014-03-26
ES2724227T3 (es) 2019-09-09
JP5605461B2 (ja) 2014-10-15
US20140138073A1 (en) 2014-05-22
EP2736315B1 (en) 2019-02-06
US9784506B2 (en) 2017-10-10
KR20140048984A (ko) 2014-04-24
EP2736315A1 (en) 2014-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5274B1 (ko) 냉매배관의 설치구조
EP3163186B1 (en) An outdoor unit for an air conditioner
US9769955B2 (en) Refrigerating apparatus
EP2615387B1 (en) Method of connecting a refrigerant pipe with an air conditioner
US20090277606A1 (en) Heat exchanger support and method of assembling a heat exchanger
JP2006162241A (ja) 二重管、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を備える冷凍サイクル装置
CN104254740A (zh) 空调装置
KR20110100035A (ko) 관 연결유닛 및 이를 갖춘 공기조화기
JP5724709B2 (ja) 冷媒冷却機構及び冷却ユニット
JP2013232519A (ja) 冷媒配管の取付構造
JP6821057B2 (ja) フィンレス熱交換器および冷凍サイクル装置
JP2008057852A (ja) 冷凍装置
KR20170048032A (ko)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JP2009186061A (ja) 室外機及びこれを備えた空気調和装置
JP2017198385A (ja) 熱交換器
JP5733261B2 (ja) 冷凍装置
CN219913537U (zh) 热交换器和空调机
JP2009168260A (ja) 冷凍空調装置の室外機
JP2010232212A (ja) 固定治具
EP2765343A1 (en) Coupling for connection of elements of an air-conditioning system and cooling circuit of an air-conditioning system
KR20070082860A (ko) 차량용 공조장치
JP5490587B2 (ja) ヒートポンプ式給湯室外機
KR20220062153A (ko) 배관 제조 장치
KR20190024402A (ko) 냉매유로 절환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및 냉장고
CN111670327A (zh) 配管配置构造和空调装置的室内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