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1692B1 - 화상 형성 장치, 인체 검지 장치 및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화상 형성 장치, 인체 검지 장치 및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1692B1
KR101601692B1 KR1020120061919A KR20120061919A KR101601692B1 KR 101601692 B1 KR101601692 B1 KR 101601692B1 KR 1020120061919 A KR1020120061919 A KR 1020120061919A KR 20120061919 A KR20120061919 A KR 20120061919A KR 101601692 B1 KR101601692 B1 KR 1016016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man body
person
body detecting
human
detect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19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1677A (ko
Inventor
모토후미 바바
겐타 오가타
스스무 야마시나
Original Assignee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016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16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16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16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03G15/5004Power supply control, e.g. power-saving mode, automatic power turn-of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7/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e.g. lidar systems
    • G01S17/02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 G01S17/06Systems determining position data of a targe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03G15/5016User-machine interface; Display panels; Control conso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06F1/3231Monitoring the presence, absence or movement of us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885Power supply means, e.g.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power supply to the apparatus or components thereof
    • H04N1/00888Control thereof
    • H04N1/00896Control thereof using a low-power mode, e.g. standb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Abstract

사람에 의해 조작되는 피조작 장치이며, 당해 장치가 구동될 때의 구동 전력이 공급된 제 1 전력 상태와, 당해 장치에 대한 전력의 공급량이 저하됨으로써 당해 제 1 전력 상태보다 적은 소비 전력량이 되는 제 2 전력 상태의 두 가지 전력 상태를 구비한다.
상기 피조작 장치는: 상기 제 2 전력 상태일 때에 전력이 공급되며, 사람을 검지하는 제 1 인체 검지 수단과; 상기 제 1 인체 검지 수단의 검지 범위보다 좁은 범위에서 사람을 검지함과 함께, 사람을 검지하는데 필요한 전력량이 상기 제 1 인체 검지 수단이 사람을 검지하는데 필요한 전력량보다 큰 제 2 인체 검지 수단과; 상기 장치가 상기 제 2 전력 상태에 있을 때에 상기 제 1 인체 검지 수단이 사람을 검지했을 경우에, 상기 제 2 인체 검지 수단에 대하여 상기 사람을 검지하는데 필요한 전력량을 전송하는 전송 수단과; 상기 사람을 검지하는데 필요한 전력량이 공급된 상기 제 2 인체 검지 수단이 사람을 검지했을 경우에, 상기 장치가 상기 제 2 전력 상태로부터 상기 제 1 전력 상태로 전환되도록 지시하는 지시 수단;을 가진다.

Description

화상 형성 장치, 인체 검지 장치 및 제어 장치{IMAGE FORMING DEVICE, HUMAN DETECTION DEVICE AND CONTROL DEVICE}
본 발명은 피조작 장치, 인체 검지 장치,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에너지 절감을 실현하기 위해, 사용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용될 때의 소비 전력량보다 적은 소비 전력 상태에서 대기하고, 사람이 접근한 것을 센서에서 검지하면 대기 상태로부터 복귀하는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평6-242226호 공보에 기재된 화상 형성 장치는, 초전형(焦電型) 적외선 센서를 구비하며, 상기 초전형 적외선 센서의 센서 신호가 온(ON)이면, 정착 장치의 온도를 화상 형성 동작시의 온도로 설정하고, 전력 절감 모드를 해제한다.
또한 일본국 특개2010-217303호 공보의 화상 처리 장치는, 이하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즉, 장치 내부의 전력 공급 상태가 상이한 에너지 절감 모드와 통상 모드를 포함하는 복수의 전력 모드를 가지는 화상 처리 장치에 있어서, 에너지 절감 모드에서 동작 가능하며 트리거를 검지했을 때에 전력 모드를 전환하는 전원 제어부를 구비한다. 또한 트리거를 입력하기 위해 장치에 접근하는 인체를 검지하도록 배치된 인체 검지부와, 트리거의 입력과는 다른 목적으로 장치에 접근하는 인체를 검지하도록 배치된 제 2 인체 검지부를 구비한다. 전원 제어부는, 에너지 절감 모드에 있어서 인체 검지부가 인체를 검지했을 때에 제 2 인체 검지부가 인체를 검지하고 있지 않으면 통상 모드로 전환한다. 또한 전원 제어부는, 인체 검지부가 인체를 검지했을 때에 제 2 인체 검지부가 인체를 검지하고 있으면 에너지 절감 모드를 유지한다.
본 발명은, 절전 모드(에너지 절감 모드) 중에 사람을 검지 가능한 상태에서 복수의 인체 검지 수단을 기동시켜 두는 경우에 비하여, 소비 전력량을 저감시킬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 방안에 의하면, 장치 내에서 필요로 하는 기구부를 구동시키기 위한 전력이 공급되는 제 1 전력 상태에 있어서의 소비 전력량보다 적은 소비 전력량이 되는 제 2 전력 상태일 때에 전력이 공급되며, 사람을 검지하는 제 1 인체 검지 수단과, 상기 제 1 인체 검지 수단의 검지 범위보다 좁은 범위에서 사람을 검지함과 함께, 사람을 검지하는데 필요한 전력량이 상기 제 1 인체 검지 수단이 사람을 검지하는데 필요한 전력량보다 큰 제 2 인체 검지 수단과, 상기 제 1 인체 검지 수단이 사람을 검지했을 경우에, 상기 제 2 인체 검지 수단에 대하여 사람을 검지하는데 필요한 전력을 전송하는 전송 수단과, 상기 제 2 인체 검지 수단이 사람을 검지했을 경우에 상기 제 2 전력 상태로부터 상기 제 1 전력 상태로 전환하도록 지시하는 지시 수단을 가지는 피조작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 2 방안에 의하면, 상방에서 본 경우에, 상기 제 2 인체 검지 수단의 검지 범위는 상기 제 1 인체 검지 수단의 검지 범위 내측에 존재한다.
본 발명의 제 3 방안에 의하면, 상기 제 1 인체 검지 수단 및 상기 제 2 인체 검지 수단 중 적어도 한쪽은 복수 설치되며, 각각의 검지 범위가 상이하다.
본 발명의 제 4 방안에 의하면, 상기 제 1 인체 검지 수단은, 상방에서 본 경우에, 장치의 가로 방향에 있어서의 한쪽의 단부측에 배치되며, 다른 단부측을 당해 제 1 인체 검지 수단의 검지 범위로는 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제 5 방안에 의하면, 상기 제 1 인체 검지 수단은, 광을 발광(發光)하는 발광부와 광을 수광(受光)하는 수광부를 가지는 반사형 센서를 가지며, 상기 제 2 인체 검지 수단은 사람이 발하는 적외선을 초전(焦電) 효과를 이용하여 검지하는 초전형 센서를 가진다.
본 발명의 제 6 방안에 의하면, 접속되는 장치 내에서 필요로 하는 기구부를 구동시키기 위한 전력을 공급하는 제 1 전력 상태에 있어서의 소비 전력량보다 적은 소비 전력량이 되는 제 2 전력 상태일 때에 전력이 공급되며, 사람을 검지하는 제 1 인체 검지 수단과, 상기 제 1 인체 검지 수단의 검지 범위보다 좁은 범위에서 사람을 검지함과 함께, 사람을 검지하는데 필요한 전력량이 상기 제 1 인체 검지 수단이 사람을 검지하는데 필요한 전력량보다 큰 제 2 인체 검지 수단과, 상기 제 1 인체 검지 수단이 사람을 검지했을 경우에, 상기 제 2 인체 검지 수단에 대하여 사람을 검지하는데 필요한 전력을 전송하는 전송 수단과, 상기 제 2 인체 검지 수단이 사람을 검지했을 경우에 상기 제 2 전력 상태로부터 상기 제 1 전력 상태로 전환하도록 접속되는 장치에 지시하는 지시 수단을 가지는 인체 검지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 7 방안에 의하면, 제 1 인체 검지 수단에 의한 인체 검지 신호를 수신했을 경우에, 당해 제 1 인체 검지 수단의 검지 범위보다 좁은 범위에서 사람을 검지함과 함께 사람을 검지하는데 필요한 전력량이 당해 제 1 인체 검지 수단이 사람을 검지하는데 필요한 전력량보다 큰 제 2 인체 검지 수단에 전력을 전송하는 전송 수단과, 상기 제 2 인체 검지 수단에 의한 인체 검지 신호를 수신했을 경우에, 미리 정해진 장치 내에서 필요로 하는 기구부를 구동시키기 위한 전력이 공급되는 제 1 전력 상태에 있어서의 소비 전력량보다 적은 소비 전력량이 되는 제 2 전력 상태로부터 당해 제 1 전력 상태로 전환하도록 당해 장치에 지시하는 지시 수단을 가지는 제어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제 1 방안에 의하면, 제 2 전력 상태 중에 사람을 검지 가능한 상태에서 복수의 인체 검지 수단을 기동시켜두는 경우에 비하여, 소비 전력량을 저감시킬 수 있다.
상기 제 2 방안에 의하면, 본 발명을 채용하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오(誤) 검지를 억제하면서 소비 전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상기 제 3 방안에 의하면, 본 발명을 채용하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오검지가 더욱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상기 제 4 방안에 의하면, 본 발명을 채용하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장치를 조작할 의사가 있는 사람을 보다 높은 정확도로 검지할 수 있다.
상기 제 5 방안에 의하면, 본 발명을 채용하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오검지를 억제하면서 소비 전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상기 제 6 방안에 의하면, 본 발명을 채용하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장치를 사용할 의사가 있는 사람의 검지 정확도가 보다 높은 인체 검지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 7 방안에 의하면, 본 발명을 채용하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사람을 검지함으로써 절전 모드 등의 제 2 전력 상태로부터 통상 모드 등의 제 1 전력 상태로 전환하는 제어를, 오검지를 보다 저감해서 행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외관도.
도 2는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프런트 커버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지지부 커버의 이면측을 나타내는 도면.
도 5의 (a)는 도 1의 VA부에 있어서의 확대도, 도 5의 (b)는 도 5의 (a)의 VB-VB부의 단면도, 도 5의 (c)는 도 5의 (a)의 VC-VC부의 단면도.
도 6은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의 인체 검지 장치의 검지 범위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제 2 인체 검지부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투과 부재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지지부 커버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은 도 9에 있어서의 X-X부의 단면도.
도 11은 인체 검지 장치의 블럭도.
도 12의 (a)는 반사형 센서의 발광부가 광을 발광하는 영역과 수광부가 광을 수광하는 영역을 나타내는 도면, 도 12의 (b)는 발광부의 발광 강도 분포, 도 12의 (c)는 수광부의 수광 강도 분포.
도 13은 유저 인터페이스를 조작하는 유저와, 제 1 적재 트레이 혹은 제 2 적재 트레이에 적재된 용지를 꺼내는 유저가 위치할 것으로 상정되는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14는 CPU가 행하는 절전 모드 해제 처리의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 15는 CPU가 행하는 절전 모드로의 이행 처리의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 16은 CPU가 행하는 다른 형태의 절전 모드로의 이행 처리의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 17은 다른 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18의 (a) ∼ 도 18의 (c)는 제 1 인체 검지부를 복수 설치함과 함께, 각각의 검지 범위를 상이한 범위로 했을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 도면.
도 19의 (a) ∼ 도 19의 (c)는 제 2 인체 검지부를 복수 설치함과 함께, 각각의 검지 범위를 상이한 범위로 했을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 도면.
도 20은 화상 형성 장치에 탑재되는 기판과, 인체 검지 장치의 초전형 센서를 실장(實裝)하는 제 1 기판의 관계를 설명한 도면.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해서 실시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의 외관도이다. 도 2는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화상 형성 장치(1)는, 원고의 화상을 읽어내는 화상 판독 장치(100)와, 기록재(이하, 대표로서 「용지」로 기재하는 경우도 있음) 상에 화상을 기록하는 화상 기록 장치(20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1)는, CPU, ROM, RAM 등으로 이루어지는 마이크로컴퓨터를 가지며, 장치 전체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300)와, 터치 패널 등에 의해 구성되며 유저로부터 받은 지시를 제어 장치(300)에 출력함과 함께 제어 장치(300)로부터의 정보를 유저에게 제시하는 유저 인터페이스(UI)(400)를 구비하고 있다.
화상 판독 장치(100)는 화상 형성 장치(1)의 상부에 배치되고, 화상 기록 장치(200)는 화상 판독 장치(100)의 하측에 배치되며 제어 장치(300)를 내장하고 있다. 유저 인터페이스(400)는 사람이 조작하는 조작부의 일례로서 기능하며, 화상 형성 장치(1) 상부의 앞쪽, 즉 화상 판독 장치(100)의 후술하는 화상 판독부(110)의 앞쪽에 배치되어 있다.
우선, 화상 판독 장치(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화상 판독 장치(100)는, 원고의 화상을 읽어내는 화상 판독부(110)와, 이 화상 판독부(110)에 원고를 반송하는 원고 반송부(120)를 구비하고 있다. 원고 반송부(120)는 화상 판독 장치(100)의 상부에 배치되고, 화상 판독부(110)는 화상 판독 장치(100)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다.
원고 반송부(120)는, 원고를 수용하는 원고 수용부(121)와, 이 원고 수용부(121)로부터 반송된 원고가 배출되는 원고 배출부(122)를 가지며, 원고 수용부(121)로부터 원고 배출부(122)로 원고를 반송한다.
화상 판독부(110)는, 플래튼 글래스(111)와, 광을 원고의 피판독면(화상면)에 조사하는 광 조사 유닛(112)과, 광 조사 유닛(112)에서 원고의 피판독면으로 광(L)이 조사되어 원고의 피판독면에서 반사된 반사광(L)을 유도하는 도광(導光) 유닛(113)과, 도광 유닛(113)에 의해 유도된 광(L)의 광학 상(像)을 결상(結像)하는 결상 렌즈(114)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화상 판독부(110)는, 결상 렌즈(114)에 의해 결상된 광(L)을 광전(光電) 변환하는 CCD(Charge Coupled Device) 이미지 센서 등의 광전 변환 소자로 구성되며 결상된 광학 상을 검출하는 검출부(115)와, 검출부(115)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검출부(115)에 의해 얻어진 전기 신호가 보내지는 화상 처리부(116)를 구비하고 있다.
화상 판독부(110)는 원고 반송부(120)에 의해 반송되는 원고의 화상 및 플래튼 글래스(111)에 얹어진 원고의 화상을 읽어낸다.
이어서 화상 기록 장치(200)에 대하여 설명한다.
화상 기록 장치(200)는, 용지 상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부(20)와, 화상 형성부(20)에 대하여 용지(P)를 공급하는 용지 공급부(60)와, 화상 형성부(20)에 의해 화상이 형성된 용지(P)를 배출하는 용지 배출부(70)와, 화상 형성부(20)에 의해 한쪽의 면에 화상이 형성된 용지(P)의 표리(表裏)를 반전시켜서 재차 화상 형성부(20)를 향하여 반송하는 반전 반송부(80)를 구비하고 있다.
화상 형성부(20)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병렬적으로 배치되는 옐로(Y), 마젠타(M), 시안(C), 흑색(K)의 4개의 화상 형성 유닛(21Y, 21M, 21C, 21K)을 구비하고 있다. 각 화상 형성 유닛(21)은, 감광체 드럼(22)과, 감광체 드럼(22)의 표면을 균일하게 대전(帶電)하는 대전기(23)와, 후술하는 광학계 유닛(50)에 의한 레이저 조사에 의해 형성된 정전 잠상(潛像)을 미리 정해진 색 성분 토너로 현상하여 가시화하는 현상기(24)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화상 형성부(20)에는, 화상 형성 유닛(21Y, 21M, 21C, 21K)의 현상기(24)에 대하여 각 색의 토너를 공급하기 위한 토너 카트리지(29Y, 29M, 29C, 29K)가 설치되어 있다.
화상 형성부(20)는, 화상 형성 유닛(21Y, 21M, 21C, 21K)의 하방에, 화상 형성 유닛(21Y, 21M, 21C, 21K)의 감광체 드럼(22)에 대하여 레이저광을 조사하는 광학계 유닛(50)을 구비하고 있다. 광학계 유닛(50)은, 도시하지 않은 반도체 레이저, 변조기 이외에도, 반도체 레이저로부터 출사된 레이저광을 편향 주사하는 폴리곤 미러(도시 생략)와, 레이저광을 통과하는 유리제의 윈도(도시 생략)와, 각 구성 부재를 밀폐하기 위한 프레임(도시 생략)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화상 형성부(20)는, 화상 형성 유닛(21Y, 21M, 21C, 21K)의 감광체 드럼(22)에 형성된 각 색의 토너 상(像)을 중간 전사 벨트(31) 상에 다중 전사시키는 중간 전사 유닛(30)과, 중간 전사 유닛(30) 상에 중첩되어 형성된 토너 상을 용지(P)에 전사하는 이차 전사 유닛(40)과, 용지(P) 상에 형성된 토너 상을 가열 및 가압하여 정착하는 정착 장치(45)를 구비하고 있다.
중간 전사 유닛(30)은, 중간 전사 벨트(31)와, 이 중간 전사 벨트(31)를 구동하는 드라이브 롤러(32)와, 중간 전사 벨트(31)에 일정한 텐션을 부여하는 텐션 롤러(33)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중간 전사 유닛(30)은, 각 감광체 드럼(22)과 중간 전사 벨트(31)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여 감광체 드럼(22) 상에 형성된 토너 상을 중간 전사 벨트(31) 상에 전사하기 위한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4개)의 일차 전사 롤러(34)와, 중간 전사 벨트(31)를 통해서 후술하는 이차 전사 롤러(41)와 대향하는 백업 롤러(35)를 구비하고 있다.
중간 전사 벨트(31)는, 드라이브 롤러(32), 텐션 롤러(33), 복수의 일차 전사 롤러(34), 백업 롤러(35) 및 종동(從動) 롤러(36) 등의 복수의 회전 부재에 팽팽하게 걸려 있다. 그리고, 중간 전사 벨트(31)는, 구동 모터(도시 생략)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드라이브 롤러(32)에 의해 화살표 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속도로 순환 구동된다. 이 중간 전사 벨트(31)는 예를 들면 고무 또는 수지에 의해 성형된 것이 사용된다.
또한 중간 전사 유닛(30)은, 중간 전사 벨트(31) 상에 존재하는 잔류 토너 등을 제거하는 클리닝 장치(37)를 구비하고 있다. 클리닝 장치(37)는, 토너 상의 전사 공정이 종료된 후의 중간 전사 벨트(31)의 표면으로부터 잔류 토너나 지분(紙粉) 등을 제거한다.
이차 전사 유닛(40)은, 이차 전사 위치에 설치되어 중간 전사 벨트(31)를 통해서 백업 롤러(35)를 압압(押壓)하여, 용지(P) 상에 화상을 이차 전사하는 이차 전사 롤러(41)를 구비하고 있다. 이차 전사 롤러(41)와, 중간 전사 벨트(31)를 통해서 이차 전사 롤러(41)와 대향하는 백업 롤러(35)에 의해, 중간 전사 벨트(31)에 전사된 토너 화상이 용지(P)에 전사되는 이차 전사 위치가 구성된다.
정착 장치(45)는, 중간 전사 유닛(30)에 의해 이차 전사된 용지(P) 상의 화상(토너 상)을, 가열 정착 롤러(46)와 가압 롤러(47)에 의해, 열 및 압력을 이용해서 용지(P)에 정착시킨다.
용지 공급부(60)는, 화상이 기록되는 용지를 수용하는 용지 수용부(61)와, 용지 수용부(61)의 각각에 수용된 용지(P)를 송출하는 송출 롤(62)과, 송출 롤(62)에 의해 송출된 용지(P)가 반송되는 반송로(63)와, 반송로(63)를 따라 배치되어 송출 롤(62)에 의해 송출된 용지(P)를 이차 전사 위치로 반송하는 반송 롤(64, 65, 66)을 구비하고 있다.
용지 배출부(70)는, 화상 형성부(20)의 상방에 설치되어 화상 형성부(20)에 의해 화상이 형성된 용지를 적재하는 제 1 적재 트레이(71)와, 이 제 1 적재 트레이(71)와 화상 판독 장치(100) 사이에 설치되어 화상 형성부(20)에 의해 화상이 형성된 용지를 적재하는 제 2 적재 트레이(72)를 구비하고 있다.
용지 배출부(70)는, 정착 장치(45)보다 반송 방향 하류측에 설치되어 토너 화상이 정착된 용지(P)를 반송하는 반송 롤(75)과, 이 반송 롤(75)의 반송 방향 하류측에 설치되어 용지(P)의 반송 방향을 전환하는 전환 게이트(76)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용지 배출부(70)는, 전환 게이트(76)의 반송 방향 하류측에, 전환 게이트(76)에 의해 전환된 반송 방향의 일방측(도 2에 있어서의 우측)으로 반송되는 용지(P)를 제 1 적재 트레이(71)로 배출하는 제 1 배출롤(77)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용지 배출부(70)는, 전환 게이트(76)의 반송 방향 하류측에, 전환 게이트(76)에 의해 전환된 반송 방향의 타방측(도 2에 있어서의 상측)으로 반송되는 용지(P)를 반송하는 반송 롤(78)과, 반송 롤(78)에 의해 반송되는 용지(P)를 제 2 적재 트레이(72)로 배출하는 제 2 배출롤(79)을 구비하고 있다.
반전 반송부(80)는, 정착 장치(45)의 측방에, 반송 롤(78)을 제 2 적재 트레이(72)로 용지(P)를 배출하는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반전된 용지(P)가 반송되는 반전 반송로(81)를 구비하고 있다. 이 반전 반송로(81)에는, 반전 반송로(81)를 따라 복수의 반송 롤(82)이 설치되어 있다. 이들 반송 롤(82)에 의해 반송된 용지(P)는 반송 롤(82)에 의해 재차 이차 전사 위치로 보내진다.
또한 화상 기록 장치(200)는, 화상 형성부(20), 용지 공급부(60), 용지 배출부(70), 반전 반송부(80) 및 제어 장치(300)를,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지지하는 장치 본체 프레임(11)과, 이 장치 본체 프레임(11)에 부착되어 화상 형성 장치(1)의 외면을 형성하는 장치 케이싱(12)을 구비하고 있다.
장치 본체 프레임(11)은, 화상 형성 장치(1)에 있어서의 가로 방향의 한쪽의 단부측의 내부에, 전환 게이트(76), 제 1 배출롤(77), 반송 롤(78) 및 제 2 배출롤(79) 등을 구비함과 함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화상 판독 장치(100)를 지지하는 판독 장치 지지부(13)를 구비하고 있다. 판독 장치 지지부(13)는 장치 본체 프레임(11)에 있어서의 안쪽의 부위와 협동하여 화상 판독 장치(100)를 지지한다.
또한 화상 기록 장치(200)는, 장치 케이싱(12)의 일부로서 화상 형성부(20)의 앞쪽에 설치됨과 함께, 장치 본체 프레임(11)에 대하여 개폐 가능하게 장착되는 프런트 커버(15)를 구비하고 있다.
도 3은 프런트 커버(15)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유저는, 프런트 커버(15)를 개방함으로써, 화상 형성부(20)의 중간 전사 유닛(30)이나 토너 카트리지(29Y, 29M, 29C, 29K)를 새것으로 교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화상 형성 장치(1)는 이하와 같이 작용한다.
화상 판독 장치(100)에 의해 읽어내어진 원고의 화상이나, 퍼스널 컴퓨터(도시 생략) 등에서 수신한 화상 데이터는 미리 정해진 화상 처리가 실시되고, 화상 처리가 실시된 화상 데이터는 옐로(Y), 마젠타(M), 시안(C), 흑색(K)의 4색의 색재 계조(階調) 데이터로 변환되어 광학계 유닛(50)에 출력된다.
광학계 유닛(50)은, 입력된 색재 계조 데이터에 따라, 반도체 레이저(도시 생략)로부터 출사된 레이저광을, f-θ 렌즈(도시 생략)를 통하여 폴리곤 미러에 출사한다. 폴리곤 미러에서는, 입사된 레이저광을 각 색의 계조 데이터에 따라 변조하여 편향 주사하고, 도시하지 않은 결상 렌즈 및 복수 매의 미러를 통하여 화상 형성 유닛(21Y, 21M, 21C, 21K)의 감광체 드럼(22)에 조사한다.
화상 형성 유닛(21Y, 21M, 21C, 21K)의 감광체 드럼(22)에서는, 대전기(23)에 의해 대전된 표면이 주사 노광되어 정전 잠상이 형성된다. 형성된 정전 잠상은, 각각의 화상 형성 유닛(21Y, 21M, 21C, 21K)에 의해, 옐로(Y), 마젠타(M), 시안(C), 흑색(K)의 각 색의 토너 상으로서 현상된다. 화상 형성 유닛(21Y, 21M, 21C, 21K)의 감광체 드럼(22) 상에 형성된 토너 상은, 중간 전사체인 중간 전사 벨트(31) 상에 다중 전사된다.
한편, 용지 공급부(60)에서는, 화상 형성의 타이밍에 맞춰서 송출 롤(62)이 회전하여 용지 수용부(61)에 수용되어 있는 용지(P)가 들어올려지고, 반송로(63)를 통하여 반송 롤(64, 65)에 의해 반송된다. 그 후, 토너 상이 형성된 중간 전사 벨트(31)의 이동 타이밍에 맞춰서 반송 롤(66)이 회전하고, 용지(P)는 백업 롤러(35) 및 이차 전사 롤러(41)에 의해 형성되는 이차 전사 위치에 반송된다. 이차 전사 위치에서, 하방에서 상방을 향하여 반송되는 용지(P)에는, 압접력(壓接力) 및 미리 정해진 전계(電界)를 이용하여, 4색이 다중되어 있는 토너 상이 부(副)주사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전사된다. 그리고, 각 색의 토너 상이 전사된 용지(P)는, 정착 장치(45)에 의해 열 및 압력으로 정착 처리를 받은 후에 배출되어 제 1 적재 트레이(71) 혹은 제 2 적재 트레이(72)에 적재된다.
양면 인쇄의 요구가 있었을 경우에는, 한쪽의 면에 화상이 형성된 용지(P)는, 반전 반송부(80)에서 표리가 반전하도록 반송되어 재차 이차 전사 위치에 보내진다. 그리고, 이차 전사 위치에서, 용지(P)의 다른 쪽의 면에 토너 상이 전사되고, 정착 장치(45)에서 전사된 화상이 정착된다. 그 후, 양면에 화상이 형성된 용지(P)는, 배출되어 제 1 적재 트레이(71) 혹은 제 2 적재 트레이(72)에 적재된다.
이어서 화상 형성 장치(1)의 전력 모드에 대하여 설명한다.
화상 형성 장치(1)는, 소비 전력이 상이한 복수의 전력 모드(동작 모드)를 가진다. 이 전력 모드의 예로서는, 전원 스위치가 온(on)이 되어 화상 형성 장치(1)의 전원이 투입되었을 때의 웜업(warm up) 모드와, 발생한 잡(job)을 실행하는 런(run) 모드와, 잡의 발생에 대비하여 대기하는 스탠바이(stand by) 모드와, 소비 전력량을 저감하기 위한 절전 모드가 있다. 이하, 런 모드를 통상의 동작 상태에서 동작하는 모드로서의 통상 모드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스탠바이 모드 및 절전 모드에 있어서는, 화상 형성부(20) 등에 공급하는 전력을 정지 또는 통상 모드에 있어서의 전력량보다 저하시킨다. 이것에 의해 절전 모드의 소비 전력량은 통상 모드의 소비 전력량보다 낮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1)가, 유저를 인증하는 IC 카드 리더 등의 인증 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경우에는, 스탠바이 모드에서 인증 장치에 전력이 공급되도록 하면 된다.
제어 장치(300)는, 미리 정해진 복귀 조건이 성립되었을 때에 절전 모드로부터 통상 모드로 복귀한다. 이 복귀 조건으로서는, 예를 들면, 외부 장치로부터의 데이터의 수신(취득), 후술하는 인체 검지 장치(2)의 제 2 인체 검지부(700)로부터의 사람을 검지한 취지의 신호의 수신(취득)인 것을 예시할 수 있다.
한편, 제어 장치(300)는, 미리 정해진 절전 조건이 성립되었을 때에 통상 모드로부터 절전 모드로 이행한다. 이 절전 조건으로서는, 예를 들면,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취득)한 데이터에 관한 작업의 완료, 인체 검지 장치(2)의 제 2 인체 검지부(700)로부터의 사람을 검지하지 못한 취지의 신호(비검지 신호)의 수신(취득), 상기 제 2 인체 검지부(700)로부터 비검지 신호를 수신(취득)한 뒤 미리 정해진 기간의 경과인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 장치(300)는, 제 1 전력 상태로서의 통상 모드와, 제 2 전력 상태로서의 절전 모드를 전환하는 전환 수단의 일례로서 기능한다.
이어서 사람(인체)을 검지하여 절전 모드로부터 통상 모드로 복귀하는 기구에 대하여 설명한다.
화상 형성 장치(1)는, 사람(인체)을 검지하는 인체 검지 장치(2)(도 1 참조)를 구비하고 있다. 인체 검지 장치(2)는, 절전 모드에서도 항상 전력이 공급되며, 미리 정해진 영역 내에 사람이 들어온 것을 검지하는 제 1 인체 검지 수단의 일례로서의 제 1 인체 검지부(600)와, 제 1 인체 검지부(600)가 사람의 진입을 검지했을 경우에 전력이 공급되며, 미리 정해진 영역 내에 사람이 존재하는 것을 검지하는 제 2 인체 검지 수단의 일례로서의 제 2 인체 검지부(700)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제 2 인체 검지부(700)가, 미리 정해진 영역 내에 사람이 존재하는 것을 검지했을 경우에, 제어 장치(300)에 대하여 검지한 취지의 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에서, 화상 형성 장치(1)는, 판독 장치 지지부(13)의 앞쪽에, 이 판독 장치 지지부(13)의 전면(前面)을 덮는 지지부 커버(500)를 구비하고 있다. 지지부 커버(500)는, 장치 케이싱(12)의 일부이며, 유저 인터페이스(400)를 조작하는 사람이 위치할 것으로 상정되는 장치 앞쪽의 외면을 형성하는 외면 형성 부재로서 기능한다. 지지부 커버(500)는 판 형상의 부재이며 장치 본체 프레임(11)에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 커버(500)의 이면측에 인체 검지 장치(2)가 장착되어 있다.
우선은 제 1 인체 검지부(6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1 인체 검지부(600)는, 사람이 발하는 특정 파장의 적외선을 초전(焦電) 효과를 이용하여 검지하는 것에 의해 미리 정해진 영역(도 6에 나타내는 검지 범위(A1)) 내에 사람이 들어온 것을 검출한다. 제 1 인체 검지부(600)는, 초전 소자, 렌즈, IC, 프린트 기판 등을 구비하며, 사람이 움직일 때에 발생하는 적외선의 변화량을 검출하고, 검출된 변화량이 미리 정해진 기준치를 상회했을 경우에, 미리 정해진 영역 내에 사람이 들어온 것을 검지하는 초전형 센서(610)와, 초전형 센서(610)를 실장하는 프린트 기판인 제 1 기판(630)을 구비하고 있다.
초전형 센서(610)는 제 1 기판(630)에 실장되며, 미리 정해진 영역 내에 사람이 들어온 것을 검지했을 때에, 그 취지의 신호를 출력한다.
도 4는 지지부 커버(500)의 이면측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기판(630)은, 지지부 커버(500)의 이면측에 볼트(640)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 1 기판(630)의 앞쪽에 실장된 초전형 센서(610)가 장치 본체 프레임(11)에 간접적으로 고정된다.
도 5의 (a)는 도 1의 VA부에 있어서의 확대도이다. 도 5의 (b)는 도 5의 (a)의 VB-VB부의 단면도이다. 도 5의 (c)는 도 5의 (a)의 VC-VC부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에 있어서의 인체 검지 장치(2)의 검지 범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의 (a)는 화상 형성 장치(1)를 앞쪽에서 본 도면, 도 6의 (b)는 화상 형성 장치(1)를 상방에서 본 도면, 도 6의 (c)는 화상 형성 장치(1)를 가로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지지부 커버(500)는, 고정 틀과 이 고정 틀에 대하여 이동 가능한 가동 틀을 이용하여 성형되며, 고정 틀에 대한 가동 틀의 상대 이동 방향이 안쪽에서 앞쪽을 향한 수평 방향과 평행한 방향이 되도록 장치 본체 프레임(11)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지지부 커버(500)에는, 제 1 기판(630)을 체결하는 볼트(640)가 나사끼움되는 암 나사부(501)가, 그 중심선 방향이 고정 틀에 대한 가동 틀의 상대 이동 방향과 평행한 방향이 되도록 지향되어 있다.
초전형 센서(610)는, 그 중심선 방향이 암 나사부(501)의 중심선 방향, 환언하면 안쪽에서 앞쪽을 향한 수평 방향이 되도록 제 1 기판(630)을 통하여 지지부 커버(500)에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초전형 센서(610)의 검지 범위는, 중심 방향에 대하여 모든 방향에서 좌우 대칭으로 미리 정해진 각도(도 5, 도 6에서는 각도(α)로 표시) 범위가 된다. 즉, 검지면이 지향된 방향을 중심 방향으로 했을 경우에, 중심 방향에 대하여 모든 방향 각도(α)의 각도 범위가 초전형 센서(610)의 검지 범위가 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에 있어서는, 상기 초전형 센서(610)의 검지 범위를, 초전형 센서(610)의 앞쪽에 지지부 커버(500)를 배치함으로써, 도 6에서 사선으로 나타낸 범위로 한정하고, 상기 범위를 제 1 인체 검지부(600)의 검지 범위(A1)로 하고 있다.
즉, 초전형 센서(610)의 앞쪽에 지지부 커버(500)를 배치하고, 상하 방향에 관해서는, 그 지지부 커버(500)에 있어서의, 초전형 센서(610)의 중심위치보다 하방에 위치하는 부위에만 내외를 관통하는 관통구멍의 일례로서의 개구부(502)를 형성하고, 그 부위 이외는 초전형 센서(610)를 가린다. 그리고,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1)를 설치한 바닥면에 있어서의, 화상 형성 장치(1)의 전면으로부터의, 안쪽에서 앞쪽을 향한 수평 방향의 거리가 규정 거리(L1)가 되도록, 초전형 센서(610)에 대한 개구부(502)의 위치를 설정한다. 규정 거리(L1)로서는, 예를 들면 0.8m ∼ 1.3m(800㎜ ∼ 1300㎜) 정도인 것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 커버(500)에,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면에서 본 경우에, 수평면에 대하여 경사 하방 안쪽으로 경사진 경사부(503)를 설치하고, 개구부(502)를 이 경사부(503)에 형성한다.
가로 방향의 검지 범위에 관해서는, 개구부(502)의 가로 방향 양단부의 위치를, 초전형 센서(610)의 검지면이 지향된 중심 방향에 대하여 좌우 대칭으로 미리 정해진 각도(도 5, 도 6에서는 각도(α)로 표시)의 각도 범위를 가로막지 않는 위치로 설정하고 있다. 단, 개구부(502)의 가로 방향 복수의 부위에는, 그 개구부(502)의 상측 벽과 하측 벽을 연결하는 리브(502a)를 복수 설치하고 있다.
이것들에 의해, 본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에 있어서의 제 1 인체 검지부(600)의 검지 범위(A1)를, 도 6에 사선으로 나타낸 수평면에 대하여 경사 하방의 영역으로 설정하고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초전형 센서(610)의 앞쪽에 지지부 커버(500)를 배치하여 초전형 센서(610)의 검지 범위의 일부를 가려서, 초전형 센서(610)가 설치된 위치로부터 경사 하방만을 검지 가능한 범위로 함으로써, 제 1 인체 검지부(600)의 검지 범위(A1)가 광범위해지는 것에 기인하여, 화상 형성 장치(1)를 사용할 예정이 없는, 예를 들면 통행하는 사람을 검지하는 것을 억제하고 있다.
또한 개구부(502)는, 지지부 커버(500)에 설치된 수평면에 대하여 경사 하방 안쪽으로 경사진 경사부(503)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개구부(502) 및 초전형 센서(610)를 유저가 보기 어렵게 되어 있어, 개구부(502)가 존재하는 것에 기인하여 화상 형성 장치(1) 외관의 미관이 훼손되는 것을 억제하고 있다. 또한 제 1 인체 검지부(600)는, 화상 형성 장치(1)의 앞쪽의 영역을 검지 범위(A1)로 하고, 제 1 적재 트레이(71) 및 제 2 적재 트레이(72)를 검지 범위로 하지 않으므로, 제 1 인체 검지부(600)가 이들 적재 트레이(71, 72)를 향하여 배출되는 용지(P)를 검지하는 것을 억제하고 있다. 또한 초전형 센서(610)를, 그 중심 방향이 안쪽에서 앞쪽을 향한 수평선과 평행하게 되도록 배치하고 있으므로, 중심 방향이 수평선에 대하여 경사지도록 설치하는 구성과 비교하면, 지지부 커버(500)에, 초전형 센서(610) 및 제 1 기판(630)을 쉽게 조립할 수 있음과 함께, 지지부 커버(500)의 형상을 성형 용이한 형상으로 할 수 있다.
이어서 제 2 인체 검지부(7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제 2 인체 검지부(700)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4에서는 지지부 커버(500)의 이면측에 제 2 인체 검지부(700)가 부착되어 있는 상태도 나타내고 있다.
제 2 인체 검지부(700)는, 발광(發光) 소자와 수광(受光) 소자를 가지는 적외선 반사형의 반사형 센서(710)와, 이 반사형 센서(710)를 실장하는 프린트 기판인 반사형 센서 기판(720)(도 4 참조)과, 이들 반사형 센서(710) 및 반사형 센서 기판(720)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730)를 구비하고 있다.
반사형 센서(710)는, 발광 소자로서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하여 광을 발광하는 발광부(711)와, 수광 소자로서 포토 다이오드를 이용한 수광부(712)와, 발광부(711) 및 수광부(712)를 지지하는 케이싱(713)과, 발광부(711) 및 수광부(712)에 대한 급전, 및 수광부(712)로부터의 출력 신호를 전송하는 하니스(도시 생략)를 구비하고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사형 센서(710) 및 반사형 센서 기판(720)이 지지 부재(730)에 부착되고, 지지 부재(730)가 지지부 커버(500)의 이면측에 볼트(731)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또한 제 2 인체 검지부(700)는, 반사형 센서(710)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에 의거하여 사람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740)(도 11 참조)를 구비하고 있다. 판단부(740)는, 반사형 센서(710)로부터의 출력 전압(이 전압을 증폭한 전압이어도 좋음)과 미리 정해진 기준 전압을 비교하고, 출력 전압이 기준 전압을 상회했을 경우에 사람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그리고, 판단부(740)는, 사람이 존재하는 취지의 신호를 제어 장치(300)에 대하여 출력한다. 부가하여, 판단부(740)로부터의 사람이 존재하는 취지의 신호를 기초로, 반사형 센서(710), 후술하는 통지부(751)에 전력이 공급된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판단부(740)는 제 1 기판(630)에 설치되며, 제 1 인체 검지부(600)가 사람의 진입을 검지했을 경우에 전력이 공급된다.
제 2 인체 검지부(700)는, 판단부(740)에서 반사형 센서(710)가 사람을 검지한 것으로 판단했을 경우에 발광함으로써 사람을 검지한 취지를 유저에 대하여 통지하는 통지부(751)와, 통지부(751)가 발광한 광을 균일하게 면 발광시키는 판인 도광판(752)(도 8 참조)을 구비하고 있다. 통지부(751)는, 발광하는 반도체 소자인 발광 다이오드(LED)(751a)와, 이 발광 다이오드(751a)를 실장하는 제어 기판인 통지부 기판(751b)을 가지며, 통지부 기판(751b)이 지지부 커버(500)의 이면측에 볼트(753)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화상 형성 장치(1)에 장착된다.
또한 제 2 인체 검지부(700)는, 반사형 센서(710)의 앞쪽에 반사형 센서(710)가 수/발광하는 적외선을 투과하는 투과 부재(760)를 구비하고 있다.
도 8은 투과 부재(760)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지지부 커버(500)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투과 부재(760)는, 사람의 눈으로는 반사형 센서(710)의 발광부(711) 및 수광부(712)를 보기 어렵게 하는 흑색의 부재이며, 폴리카보네이트에 의해 성형되어 있다. 또한 투과 부재(760)는, 판 형상의 부재이며, 앞쪽의 면이 지지부 커버(500)의 표면과 같은 높이가 되도록 지지부 커버(500)에 부착되어 있다.
도 10은 도 9에 있어서의 X-X부의 단면도이다.
도 6에서는 반사형 센서(710)의 검지 범위(A2)도 나타내고 있다.
반사형 센서(710)는, 발광부(711)로부터 화상 형성 장치(1)의 유저 인터페이스(400) 앞쪽의 미리 정해진 영역을 향하여 적외선 광을 조사하고, 그 반사광을 수광부(712)에 의해 수광한다. 그리고, 반사형 센서(710)의 검지 범위(A2)는, 유저 인터페이스(400)를 조작하는 사람이 위치할 것으로 상정되는 상정 범위에 존재하는 사람을 검지하는 범위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상방에서 본 경우에, 이 반사형 센서(710)의 검지 범위(A2)는, 전술한 제 1 인체 검지부(600)의 검지 범위(A1) 내의 영역이다(도 6의 (b) 참조). 즉, 반사형 센서(710)는, 발광부(711)가 발광하는 광 및 수광부(712)가 수광하는 광의 광축이, 안쪽에서 앞쪽을 향한 수평선에 대하여, 유저 인터페이스(400)측으로, 예를 들면 20°∼ 50° 등으로 미리 정해진 각도(도 6에서는 각도(β)로 표시) 경사지도록, 지지부 커버(500)에 부착되어 있다. 환원하면, 화상 형성 장치(1)의 유저 인터페이스(400)의 앞쪽에 위치하는 사람을 보다 높은 정확도로 검지할 수 있도록, 화상 형성 장치(1)의 가로 방향의 검지 범위가 보다 넓어지도록, 발광부(711) 및 수광부(712)가 수/발광하는 광의 광축이, 안쪽에서 앞쪽을 향한 수평선에 대하여 경사지도록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제 2 인체 검지부(700)(반사형 센서(710))의 검지 범위(A2)는, 화상 형성 장치(1)의 전면으로부터의, 안쪽에서 앞쪽을 향한 수평 방향의 거리가 규정 거리(L2)(도 6 참조)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규정 거리(L2)로서는, 예를 들면 0.3m ∼ 0.5m(300㎜ ∼ 500㎜) 정도인 것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규정 거리(L2)를, 예를 들면 화상 형성 장치(1)에 설치된 버튼을 조작하는 것에 의해 변경 가능하게 하여도 된다.
예를 들면 휠체어 이용자의 경우에는, 화상 형성 장치(1)에 대하여 정면 방향이 아닌, 정면 방향에 대하여 직각 방향으로 몸을 향하여 조작을 행하는 자세가 된다. 이때 반사형 센서(710)의 검지 범위(A2)로부터 벗어남으로써, 휠체어 이용자가 반사형 센서(710)에 의해 검지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반사형 센서(710)의 규정 거리(L2)를 길게 하는 것이 유효하다. 예를 들면 규정 거리(L2)가 최초에 0.3m로 설정되어 있었던 경우, 이것을 0.6m(600㎜)로 변경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휠체어 이용자의 경우에도 반사형 센서(710)에 의해 보다 쉽게 검지된다. 단, 휠체어 이용자의 경우에는, 이와 같이 하여도 원고 세트나 유저 인터페이스(400)를 조작하는 등의 조작 위치가 검지 범위(A2)로부터 벗어나게 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반사형 센서(710)의 규정 거리(L2)를 길게 하고 있으므로, 앞으로 손으로 뻗음으로써 용이하게 반사형 센서(710)에 의해 검지되어, 조작 위치를 바꾸지 않고 작업할 수 있다. 또한 넓은 오피스 공간에 있어서는, 반사형 센서(710)의 규정 거리(L2)를 상기한 바와 같이 길게 함으로써, 유저(사람)가 급격하게 화상 형성 장치(1)에 액세스해 온 경우이더라도, 보다 빠르게 반사형 센서(710)에 의해 검지된다. 따라서 유저(사람)는 유저 인터페이스(400)를 보다 양호한 응답성으로 조작할 수 있다.
도 11은 인체 검지 장치(2)의 블럭도이다.
제 1 기판(630)과 반사형 센서 기판(720)은, 제 1 기판(630)으로부터 반사형 센서(710)로의 급전, 및 반사형 센서(710)로부터 제 1 기판(630)에 설치된 판단부(740)(지시 수단)로의 출력을 전송하는 전선(하니스)(도시 생략)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제 1 기판(630)과 통지부 기판(751b)은, 제 1 기판(630)으로부터 통지부(751)로의 급전을 담당하는 전선(하니스)(도시 생략)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제 1 기판(630)에는, 초전형 센서(610)로부터 출력된 인체를 검지한 취지의 신호를 취득했을 경우에, 미리 정해진 기간(T1) 동안, 반사형 센서(710) 및 판단부(740)에 대한 전력의 공급을 허용하는 전력 공급 허용부(650)(전송 수단)가 구비되어 있다. 이 전력 공급 허용부(650)는, 초전형 센서(610)로부터의 인체를 검지한 취지의 신호의 기동 에지에 동기하여 기동함과 함께, 미리 정해진 기간(T1) 동안 하이 레벨을 유지한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안정(單安定) 멀티바이브레이터인 것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미리 정해진 기간(T1)으로서는 30초간인 것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기판(630)에는 초전형 센서(610) 및 판단부(740)가 구비되어 있다. 판단부(740)는, 반사형 센서(710)로부터의 출력 전압과 미리 정해진 기준 전압을 비교하고, 어느 쪽이 큰지에 따라 출력이 전환되는 소자인 콤퍼레이터인 것을 예시할 수 있다. 판단부(740)는, 반사형 센서(710)로부터의 출력 전압에 의거하여 사람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했을 경우, 즉 반사형 센서(710)가 사람을 검지했을 경우에는, 사람이 존재하는 취지의 신호를 제어 장치(300)에 대하여 출력한다. 부가하여, 판단부(740)로부터의 사람이 존재하는 취지의 신호를 기초로, 반사형 센서(710), 통지부(751), 및 자신에게 전력이 공급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화상 형성 장치(1)에 있어서는, 제 1 인체 검지부(600)가 사람을 검지하면, 전력 공급 허용부(650)가 미리 정해진 기간(T1) 동안, 제 2 인체 검지부(700)의 반사형 센서(710) 및 판단부(740)에 대한 전력의 공급을 허용한다. 그리고, 제 2 인체 검지부(700)가 미리 정해진 기간(T1) 내에 사람을 검지했을 경우, 즉, 판단부(740)가 반사형 센서(710)로부터의 출력 전압이 기준 전압을 상회하여 사람이 존재한 것으로 판단했을 경우에는, 제어 장치(300)에 대하여 사람을 검지한 취지의 신호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제어 장치(300)에 의해 화상 형성 장치(1)가 절전 모드로부터 통상 모드로 복귀한다. 부가하여, 제 2 인체 검지부(700)의 반사형 센서(710) 및 판단부(740)에, 전술한 미리 정해진 기간(T1)을 초과하여 전력이 공급된다. 또한 제 2 인체 검지부(700)의 통지부(751)에 전력이 공급된다.
한편, 제 2 인체 검지부(700)가 미리 정해진 기간(T1) 내에 사람을 검지하지 못한 경우에는, 제 2 인체 검지부(700)의 반사형 센서(710) 및 판단부(740)에 대한 전력의 공급이 정지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에 있어서는, 절전 모드 중에도 제 1 인체 검지부(600)의 초전형 센서(610)의 전원을 온(on)으로 하고(초전형 센서(610)에 전력을 공급하고), 제 1 인체 검지부(600)가 사람을 검지했을 경우에 제 2 인체 검지부(700)의 전원을 온으로 한다(반사형 센서(710) 등에 전력을 공급한다). 그리고, 제 1 인체 검지부(600)가 사람을 검지한 후 미리 정해진 기간(T1) 내에 제 2 인체 검지부(700)가 사람을 검지했을 때에 제어 장치(300)에 그 취지의 신호를 출력하여, 절전 모드로부터 통상 모드로 복귀한다. 한편, 기간(T1) 내에 제 2 인체 검지부(700)가 사람을 검지하지 못했을 경우에는 제 2 인체 검지부(700)의 전원을 오프(off)로 한다.
여기에서, 제 1 인체 검지부(600)와 제 2 인체 검지부(700)를 비교한다.
제 2 인체 검지부(700)의 반사형 센서(710)의 소비 전력이 0.255W인 것에 반하여, 제 1 인체 검지부(600)의 초전형 센서(610)의 소비 전력은 0.002W이며 반사형 센서(710)의 소비 전력의 1/128이다. 전원이 오프인 상태에서 전력이 공급되어 인체를 검지 가능하게 될 때까지의 소요시간은, 반사형 센서(710)가 2, 3초인 것도 있고 1초 이하인 것도 있는 것에 반하여, 초전형 센서(610)는 약 30초 정도이며 반사형 센서(710)와 비교해서 길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인체 검지부(600)의 검지 범위(A1)는, 제 2 인체 검지부(700)(반사형 센서(710))의 검지 범위(A2)보다 넓고, 상방에서 본 경우에 제 2 인체 검지부(700)의 검지 범위(A2)는 제 1 인체 검지부(600)의 검지 범위(A1)의 영역 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인체 검지부(600)의 초전형 센서(610)는, 사람이 움직일 때에 발생하는 적외선의 변화량에 의거하여 검지 범위(A1) 내에 사람이 들어온 것을 검지하는 센서이며, 사람이 정지해 있는 경우에는, 그 정지 위치가 검지 범위(A1) 내이더라도 검지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 1 인체 검지부(600)는, 화상 형성 장치(1)의 유저 인터페이스(400)의 앞쪽에 사람이 존재하고 있더라도 정지하고 있으면 그 사람을 검지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한편, 제 2 인체 검지부(700)의 반사형 센서(710)는, 유저 인터페이스(400)의 앞쪽을 검지 범위(A2)로 하며, 그 검지 범위(A2)에 사람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그 사람이 정지해 있더라도 검지한다.
이들 제 1 인체 검지부(600)의 초전형 센서(610)와 제 2 인체 검지부(700)의 반사형 센서(710)의 특성의 차이에 의해, 본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는 이하에 기술하는 이점이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와 같이, 절전 모드 중에 항상 전원 온(on)으로 된 제 1 인체 검지부(600)가 사람을 검지했을 경우에 제 2 인체 검지부(700)의 전원을 온으로 하고, 제 2 인체 검지부(700)가 사람을 검지했을 경우에 절전 모드로부터 복귀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제 2 인체 검지부(700)의 전원을 절전 모드 중 항상 온으로 하는 구성과 비교하면 소비 전력을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는, 검지 범위가 넓은 제 1 인체 검지부(600)가 사람을 검지한 것을 계기로 하여 절전 모드로부터 복귀하는 장치와 비교하면, 사용할 예정이 없는 사람이나 개 등을 잘못 검지하여 절전 모드로부터 복귀하는, 소위 오(誤)검지를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본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는, 검지 범위가 넓은 제 1 인체 검지부(600)가 사람을 검지했을 경우에 제 2 인체 검지부(700)의 전원을 온으로 하고, 검지 범위가 좁은 제 2 인체 검지부(700)가 사람을 검지했을 경우에 절전 모드로부터 복귀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오검지를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본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에 의하면, 화상 형성 장치(1)를 사용할 의사가 있는 사람을 보다 높은 정확도로 검지하여 절전 모드로부터 복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 2 인체 검지부(700)의 반사형 센서(710)는, 전원 오프인 상태에서 전력이 공급되어 인체를 검지 가능하게 될 때까지의 소요시간이, 예를 들면 1초 이하로 짧으므로, 예를 들면 유저 인터페이스(400) 내, 혹은 유저 인터페이스(400)의 근방에 설치된 절전 해제 버튼을 누름으로써 절전 모드로부터 복귀하는 구성과 비교하여, 보다 빠르게 절전 모드로부터 복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절전 해제 버튼을 누르는 수고를 삭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에 의하면, 유저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져서 상품성이 증대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에 있어서는, 인체 검지 장치(2)를, 판독 장치 지지부(13)에 있어서의 앞쪽의 외면을 형성하는 지지부 커버(500)에 장착하고 있다. 이에 반하여 화상 형성 장치(1)에 있어서의 앞쪽의 부위에는, 유저 인터페이스(400)나 프런트 커버(15)가 존재하므로, 이것들에 인체 검지 장치(2)를 장착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유저 인터페이스(400) 안에는, 작은 스페이스에 버튼, 화면, 기판 등의 많은 부품이 채워져 있으므로, 인체 검지 장치(2)를 더 배치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 또한 프런트 커버(15)는, 장치 케이싱(12) 내에 수납된, 예를 들면 토너 카트리지(29Y, 29M, 29C, 29K) 등을 착탈하기 위해서 개폐된다. 따라서, 장치 케이싱(12) 내에 장착된 부품의 착탈 경로와 간섭되지 않도록 프런트 커버(15)에 장착하는 것은 곤란하다. 또한 프런트 커버(15)가 개방된 상태를 고려하면 하니스의 길이가 길어질 우려가 있다. 이러한 사정들에 의해, 인체 검지 장치(2)를 판독 장치 지지부(13)에 배치함으로써, 유저 인터페이스(400)나 프런트 커버(15)에 배치하는 구성과 비교하여, 장치 구성의 간략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에 있어서는, 제 2 인체 검지부(700)의 반사형 센서(710)의 발광부(711)와 수광부(712)를 상하 방향으로 나열하는 것에 의해, 이하에 기술한 이점이 있다.
도 12의 (a)는 반사형 센서(710)의 발광부(711)가 광을 발광하는 영역과 수광부(712)가 광을 수광하는 영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의 (b)는 발광부(711)의 발광 강도 분포이다. 도 12의 (c)는 수광부(712)의 수광 강도 분포이다.
반사형 센서(710)의 발광부(711)의 발광 영역은 광축을 중심으로 한 ±5°의 영역이고, 수광부(712)의 수광 영역은 광축을 중심으로 한 ±5°의 영역이다. 또한 발광부(711)의 발광 강도 분포는, 도 12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광축을 중심으로 하는 중앙 부분의 발광 강도가 크고, 반경 방향의 외측으로 갈수록 발광 강도가 점차 감쇠하는 분포가 된다. 마찬가지로 수광부(712)의 수광 강도 분포는, 도 12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광축을 중심으로 하는 중앙 부분의 수광 강도가 크고, 반경 방향의 외측으로 갈수록 수광 강도가 점차 감쇠하는 분포가 된다.
따라서, 발광부(711)와 수광부(712)가 나열되는 방향에 있어서, 발광 영역이지만 수광 영역이 아닌 영역이 존재하며(예를 들면 도 12의 (a)의 A점), 이러한 영역에서는, 발광부(711)가 발광하는 광이 비춰지고는 있지만 수광부(712)가 광을 수광하기 어려우므로 사람을 검지하기 어려워진다. 마찬가지로, 수광 영역이지만 발광 영역이 아닌 영역이 존재하며(예를 들면 도 12의 (a)의 B점), 이러한 영역에서는, 수광부(712)가 광을 수광하지만 발광부(711)가 발광하는 광이 비춰지기 어려우므로 사람을 검지하기 어려워진다. 또한 발광부(711)의 발광 강도는 크지만 수광부(712)의 수광 강도가 작은 영역(예를 들면 도 12의 (a)의 C점)에서는, 수광부(712)의 수광 강도가 작으므로 광을 수광하기 어려워 사람을 검지하기 어려워진다. 마찬가지로, 수광부(712)의 수광 강도는 크지만 발광부(711)의 발광 강도가 작은 영역(예를 들면 도 12의 (a)의 D점)에서는, 발광부(711)의 발광 강도가 작으므로 사람을 검지하기 어려워진다.
이에 반하여, 발광부(711)와 수광부(712)의 나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관해서는, 발광부(711)의 광축과 수광부(712)의 광축은 기본적으로 같은 직선상에 있으므로, 이 방향의 발광 영역과 수광 영역은 기본적으로 동일하며, 발광 강도 및 수광 강도의 강도 분포도 기본적으로는 동일해진다.
상기한 바에 의해, 반사형 센서(710)는, 발광부(711)와 수광부(712)의 나열 방향보다 발광부(711)와 수광부(712)의 나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 쪽이 보다 넓은 범위에서 높은 정확도로 사람을 검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화상 형성 장치(1)의 사용형태에 관하여 고려하면, 유저는 통상, 화상 형성 장치(1)의 가로 방향으로 이동해 와서, 혹은 앞쪽에서 접근해 와서 유저 인터페이스(400)의 앞에 위치할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유저가, 화상 형성 장치(1)의 상하 방향으로 이동해 오는 것은 생각하기 어렵다.
이러한 사항들을 감안하여, 본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에 있어서는, 반사형 센서(710)를, 발광부(711)와 수광부(712)의 나열 방향이 상하 방향이 되도록 배치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반사형 센서(710)를, 발광부(711)와 수광부(712)의 나열 방향이 가로 방향이 되도록 배치하는 경우보다, 가로 방향으로 이동해 와서 유저 인터페이스(400)의 앞에 위치하려고 하는 유저를, 보다 빠르게 검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에 있어서는, 제 2 인체 검지부(700)가 사람을 검지했을 경우에 통지부(751)를 점등하는 것에 의해 이하에 기술하는 이점이 있다.
유저는, 통지부(751)가 점등되어 있는 것을 보고, 화상 형성 장치(1)의 절전 모드가 해제되어 절전 모드보다 소비 전력량이 큰 상태인 것을 인식한다. 이것에 의해, 제 2 인체 검지부(700)가 사람을 검지했을 때에 통지부(751)를 점등함으로써, 유저에 대하여, 어느 위치에 존재하면 제 2 인체 검지부(700)가 검지하여 절전 모드가 해제되는지를 학습하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그 결과, 유저에 대하여, 제 1 적재 트레이(71) 혹은 제 2 적재 트레이(72)에 적재된 용지(P)를 꺼내러 올 뿐인 경우에, 제 2 인체 검지부(700)에 검지되지 않도록 이동하는 것을 촉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에 있어서는, 제 2 인체 검지부(700)는, 유저(사람)가 유저 인터페이스(400)를 조작할 때에는 검지하기 쉽고, 유저(사람)가 제 1 적재 트레이(71) 혹은 제 2 적재 트레이(72)에 적재된 용지(P)를 꺼낼 때에는 검지하기 어려운 위치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적재 트레이(71, 72)에 적재된 용지(P)를 꺼내러 올 뿐인 유저가, 제 2 인체 검지부(700)에 검지되지 않도록 이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는, 제 1 적재 트레이(71) 및 제 2 적재 트레이(72)가 화상 형성부(20)와 화상 판독 장치(100) 사이에 배치되고, 제 1 배출롤(77) 및 제 2 배출롤(79)은, 가로 방향에 있어서의 어느 한쪽의 단부측(도 1에서는 좌측)에 배치된 판독 장치 지지부(13)에 있어서의 적재 트레이(71, 72) 측에 설치되어 이들 적재 트레이(71, 72)를 향하여 용지(P)를 배출한다. 그리고, 제 2 인체 검지부(700)는, 발광부(711) 및 수광부(712)가, 가로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한쪽의 단부측(도 1에서는 좌측)에 배치되며, 배치된 단부측의 앞쪽의 영역을 검지 범위(A2)로 한다.
도 13은, 유저 인터페이스(400)를 조작하는 유저와, 제 1 적재 트레이(71) 혹은 제 2 적재 트레이(72)에 적재된 용지(P)를 꺼내는 유저가 위치할 것으로 상정되는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는, 상기한 배치 구성이므로,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적재 트레이(71) 혹은 제 2 적재 트레이(72)에 적재된 용지(P)를 꺼내러 올 뿐인 유저가, 제 2 인체 검지부(700)에 검지되지 않고 행동하는 것을 기대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적재 트레이(71, 72)에 적재된 용지(P)를 꺼내러 올 뿐인 유저를 검지하게 되는 오검지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에 있어서는, 제 1 인체 검지부(600)는, 유저(사람)가 유저 인터페이스(400)에 접근해 있을 때에는 검지하기 쉽고, 유저(사람)가 가로 방향에서 제 1 적재 트레이(71) 혹은 제 2 적재 트레이(72)에 적재된 용지(P)를 꺼낼 때에는 검지하기 어려운 위치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적재 트레이(71, 72)에 적재된 용지(P)를 꺼내러 올 뿐인 유저가, 제 1 인체 검지부(600)에 검지되지 않도록 이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는, 제 1 적재 트레이(71) 및 제 2 적재 트레이(72)가 화상 형성부(20)와 화상 판독 장치(100) 사이에 배치되고, 제 1 배출롤(77) 및 제 2 배출롤(79)은, 가로 방향에 있어서의 어느 한쪽의 단부측(도 1에서는 좌측)에 배치된 판독 장치 지지부(13)에 있어서의 적재 트레이(71, 72) 측에 설치되어 이들 적재 트레이(71, 72)를 향해서 용지(P)를 배출한다. 그리고, 제 1 인체 검지부(600)는, 가로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한쪽의 단부측(도 1에서는 좌측)에 배치되며, 배치된 단부측의 앞쪽의 영역을 검지 범위(A1)로 한다. 그리고 제 1 인체 검지부(600)는, 다른 단부측을 제 1 인체 검지부(600)의 검지 범위로는 하지 않는다. 즉 제 1 인체 검지부(600)는, 상방에서 본 경우에, 유저 인터페이스(400)를 사이에 두고 제 1 인체 검지부(600)를 대향하는 위치를 검지 범위(A1)로는 하지 않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것은, 제 1 인체 검지부(600)는, 상방에서 본 경우에, 적재 트레이(71, 72)에 인접하는 위치를 검지 범위(A1)로는 하지 않도록 설치된다고 환언할 수도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는, 상기와 같은 배치 구성이므로,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적재 트레이(71) 혹은 제 2 적재 트레이(72)에 적재된 용지(P)를 꺼내러 올 뿐인 유저가, 제 1 인체 검지부(600)에 검지되지 않고 행동하는 것을 기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에 의해 제 1 인체 검지부(600)가, 적재 트레이(71, 72)에 적재된 용지(P)를 꺼내러 올 뿐인 유저를 검지하게 되어, 반사형 센서(710) 등의 전원을 온으로 하게 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부가하여, 제 1 인체 검지부(600)는, 화상 형성 장치(1)의 앞쪽의 영역을 검지 범위(A1)로 하고, 제 1 적재 트레이(71) 및 제 2 적재 트레이(72)를 검지 범위로 하지 않으므로, 제 1 인체 검지부(600)가 이들 적재 트레이(71, 72)를 향하여 배출되는 용지(P)를 검지하는 것을 억제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제 1 인체 검지부(600)가, 적재 트레이(71, 72)를 향하여 배출되는 용지(P)를 검지하게 되어 반사형 센서(710) 등의 전원을 온으로 하게 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판단부(740), 전력 공급 허용부(650)를 하드웨어로 구성했을 경우를 예로 들었지만, 반드시 이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와 같은 동작을 하는 것이 가능하면, 어떠한 구성이어도 좋다. 예를 들면 CPU(Central Processing Unit)와 메모리에 의해 구성되며 소프트웨어에 의해 동작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CPU와 메모리에는 제 1 인체 검지부(600)가 사람을 검지했을 경우에 전력이 공급되도록 하면 된다.
판단부(740) 및 전력 공급 허용부(650)를 CPU와 메모리로 구성했을 경우의 절전 모드 해제 처리의 순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4는 CPU가 행하는 절전 모드 해제 처리의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제 1 인체 검지부(600)가 사람을 검지하면 CPU에 전력이 공급되어 전원 온이 되고, CPU는 전원 온이 되면 상기 절전 모드 해제 처리를 실행한다.
CPU는 우선, 미리 정해진 기간(T1)을 타이머 세트하고(스텝(이하, 간단히 「S」로 기재함)101), 반사형 센서(710)에 전력을 공급 개시한다(S102). 그 후, 반사형 센서(710)로부터의 출력 전압이 미리 정해진 기준 전압을 상회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S103). 그리고, 반사형 센서(710)로부터의 출력 전압이 미리 정해진 기준 전압을 상회했을 경우(S103에서 예), 제어 장치(300)에 대하여 제 2 인체 검지부(700)가 사람을 검지한 취지의 신호를 출력한다(S104). 이것에 의해 절전 모드가 해제되어 화상 형성 장치(1)가 절전 모드로부터 복귀한다. 또한 통지부(751)에 전력을 공급하여 통지부(751)를 점등한다(S105).
한편, 반사형 센서(710)로부터의 출력 전압이 미리 정해진 기준 전압을 상회하고 있지 않을 경우(S103에서 아니오), 기간(T1)이 경과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S106). 그리고, 기간(T1)이 경과했을 경우(S106에서 예), 반사형 센서(710)에 대한 전력 공급을 정지하고(S107), CPU 자신에 대한 전력 공급도 정지한다(S108). 한편 기간(T1)이 경과하지 않았을 경우(S105에서 아니오), S103 이후의 처리를 행한다.
도 15는 CPU가 행하는 절전 모드로의 이행 처리의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CPU는 전술한 절전 모드 해제 처리에 의해 절전 모드가 해제된 후, 즉, S104에서 제어 장치(300)에 대하여 제 2 인체 검지부(700)가 사람을 검지한 취지의 신호를 출력한 후, 이 처리를 미리 정한 기간마다 반복 실행한다.
CPU는 우선, 반사형 센서(710)로부터의 출력 전압이 미리 정해진 기준 전압 이하가 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S201). 그리고, 반사형 센서(710)로부터의 출력 전압이 미리 정해진 기준 전압 이하가 되었을 경우(S201에서 예), 제어 장치(300)에 대하여 제 2 인체 검지부(700)가 사람을 검지하지 못한 취지의 신호(비검지 신호)를 출력한다(S202). 이것에 의해 화상 형성 장치(1)가 절전 모드로 이행한다. 또한 통지부(751)에 대한 전력 공급을 정지하고, 통지부(751)를 소등한다(S203). 또한 반사형 센서(710)에 대한 전력 공급을 정지하고(S204), CPU 자신에 대한 전력 공급도 정지한다(S205).
또한 도 15의 플로차트를 사용하여 설명한 절전 모드로의 이행 처리와는 달리, 제 2 인체 검지부(700)가 사람을 검지하지 않게 된 후, 미리 정해진 기간(T2) 경과 후에 절전 모드로 이행하도록 하여도 된다.
도 16은 CPU가 행하는 다른 형태의 절전 모드로의 이행 처리의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CPU는 우선, 반사형 센서(710)로부터의 출력 전압이 미리 정해진 기준 전압 이하가 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S301). 그리고, 반사형 센서(710)로부터의 출력 전압이 기준 전압 이하가 되었을 경우(S301에서 예), 제 2 인체 검지부(700)의 통지부(751)에 대한 전력 공급을 정지하여 통지부(751)를 소등하고(S302), 기간(T2)을 타이머 세트한다(S303). 그 후, 기간(T2)이 경과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S304). 그리고, 기간(T2)이 경과했을 경우(S304에서 예), 제어 장치(300)에 대하여 제 2 인체 검지부(700)가 사람을 검지하지 못한 취지의 신호를 출력한다(S305). 이것에 의해 화상 형성 장치(1)가 절전 모드로 이행한다. 또한 반사형 센서(710)에 대한 전력 공급을 정지하고(S306), CPU 자신에 대한 전력 공급도 정지한다(S307).
한편, 기간(T2)이 경과하지 않았을 경우(S304에서 아니오), 반사형 센서(710)로부터의 출력 전압이 미리 정해진 기준 전압을 상회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S308). 그리고, 반사형 센서(710)로부터의 출력 전압이 기준 전압을 상회했을 경우(S308에서 예), 통지부(751)에 전력을 공급하여 통지부(751)를 점등하고(S309), 기간(T2)의 타이머를 리셋한다(S310). 한편 반사형 센서(710)로부터의 출력 전압이 미리 정해진 기준 전압을 상회하고 있지 않은 경우(S308에서 아니오), S304 이후의 처리를 행한다.
또한, 도 16의 플로차트를 이용하여 설명한 절전 모드로의 이행 처리에 있어서는, CPU는, 반사형 센서(710)로부터의 출력 전압이 기준 전압 이하가 된 후, 기간(T2)이 경과한 후에 제어 장치(300)에 대하여 제 2 인체 검지부(700)가 사람을 검지하지 못한 취지의 신호를 출력하고 있지만 특별히 이러한 양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CPU는, 반사형 센서(710)로부터의 출력 전압이 기준 전압 이하가 되었을 경우(S301에서 예), 제어 장치(300)에 대하여 제 2 인체 검지부(700)가 사람을 검지하지 못한 취지의 신호를 출력하고, 제어 장치(300)는, 그 취지의 신호를 수신한 후, 스스로 기간(T2)을 계측하고, 기간(T2) 내에 재차 제 2 인체 검지부(700)가 사람을 검지한 취지의 신호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에 절전 모드로 이행하여도 된다.
도 17은, 다른 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화상 형성 장치(1)가, 바닥면에 대하여 평행하게 되도록 설치된 유저 인터페이스(400)에 부가하여, 바닥면에 대하여 직교하도록 배치된 다른 유저 인터페이스(450)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이 다른 유저 인터페이스(450)를, 인체 검지 장치(2)가 유저 인터페이스(400)와 다른 유저 인터페이스(450) 사이에 배치되도록 배치하면 된다.
이것에 의해 제 1 인체 검지부(600)에 의해, 유저 인터페이스(400)에 접근하려는 사람과, 다른 유저 인터페이스(450)에 접근하려는 사람의 양쪽을 높은 정확도로 검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 2 인체 검지부(700)에 의해, 유저 인터페이스(400)를 조작하고자 하는 사람과, 다른 유저 인터페이스(450)를 조작하고자 하는 사람의 양쪽을 높은 정확도로 검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 2 인체 검지부(700)의 반사형 센서(710)의 발광부(711) 및 수광부(712)가 수/발광하는 광의 광축이, 안쪽에서 앞쪽을 향한 수평선에 대하여 유저 인터페이스(400) 측으로 각도(β) 경사지도록 배치되어 있지만, 복수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경우에는 특별히 이러한 양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 2 인체 검지부(700)의 검지 범위(A2)가, 유저 인터페이스(400)의 앞쪽의 영역과 다른 유저 인터페이스(450)의 앞쪽의 영역 사이의 영역이 되도록 배치하면 된다. 이것에 의해 유저 인터페이스(400)를 조작하고자 하는 사람과, 다른 유저 인터페이스(450)를 조작하고자 하는 사람의 양쪽을 높은 정확도로 검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인체 검지 장치(2)로서, 검지 범위 및 소비 전력량이 상이한 제 1 인체 검지부(600)와 제 2 인체 검지부(700)의 두 가지 검지부를 구비하는 장치를 예시하였지만 특별히 이러한 양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인체 검지 장치(2)는, 검지 범위 및 소비 전력이 상이한 복수의 인체 검지부를 구비하여도 된다. 예를 들면 검지 범위가 상이한 3개의 인체 검지부를 구비하고, 검지 범위가 가장 넓은 인체 검지부가 사람을 검지한 것을 계기로 하여 검지 범위가 2번째로 넓은 인체 검지부에 전력을 공급하여 인체를 검지할 수 있는 상태로 하고, 상기 검지 범위가 2번째로 넓은 인체 검지부가 사람을 검지한 것을 계기로 하여 검지 범위가 가장 좁은 인체 검지부에 전력을 공급하여 인체를 검지할 수 있는 상태로 한다. 그리고, 검지 범위가 가장 좁은 인체 검지부가 사람을 검지하면 제어 장치(300)에 그 취지를 출력하여, 화상 형성 장치(1)를 절전 모드로부터 복귀시키도록 하면 된다. 또한 이러한 구성의 경우, 검지 범위가 가장 좁은 인체 검지부의 소비 전력량이 그 밖의 인체 검지부의 소비 전력량보다 크면, 절전 모드일 때에 검지 범위가 가장 좁은 인체 검지부에 항상 전력을 공급하는 구성에 비하여 소비 전력량을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이 형태에서는, 제 1 인체 검지부(600) 및 제 2 인체 검지부(700) 중 적어도 한쪽은 복수 설치되며, 각각의 검지 범위가 상이한 것으로 된다.
도 18의 (a) ∼ 도 18의 (c)는, 제 1 인체 검지부(600)를 복수 설치함과 함께, 각각의 검지 범위를 상이한 범위로 했을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 도면이다.
도 6의 경우와 비교하면, 제 2 인체 검지부(700)는, 도 6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1개소에 설치되며, 그 검지 범위(A2)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한편 제 1 인체 검지부(600)는, 같은 개소에 2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그 검지 범위(A1)에 대해서는, 각각 상이한 범위를 차지하고 있다. 도 18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그 범위를 검지 범위(A11) 및 검지 범위(A12)로서 도시하고 있다. 여기에서 검지 범위(A11)는, 화상 형성 장치(1)를 배치한 바닥면에 있어서의, 화상 형성 장치(1)의 전면으로부터의, 안쪽에서 앞쪽을 향한 수평 방향의 거리가 규정 거리(L11)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검지 범위(A12)는, 화상 형성 장치(1)를 배치한 바닥면에 있어서의, 화상 형성 장치(1)의 전면으로부터의, 안쪽에서 앞쪽을 향한 수평 방향의 거리가 규정 거리(L12)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여기에서 규정 거리(L12)는 규정 거리(L11)보다 크며(L12>L11), 검지 범위(A11)보다 검지 범위(A12) 쪽이 화상 형성 장치(1)의 전면에서 보다 먼 범위를 검지 범위로 한다. 또한 가로 방향의 검지 범위에 관해서는, 검지 범위(A11) 및 검지 범위(A12) 모두, 좌우 대칭의 각도(도 18에서는, 각도(α)로서 표시) 범위로 되어 있으며, 마찬가지이다.
이와 같이 제 1 인체 검지부(600)를 복수 설치함과 함께, 각각의 검지 범위가 상이하도록 설정함으로써, 보다 신속하게 화상 형성 장치를 절전 모드로부터 복귀시킬 수 있다. 즉 화상 형성 장치(1)를 사용할 의사가 있는 사람은, 우선 제 1 인체 검지부(600)의 검지 범위(A12)에 들어간 경우에 검지된다. 그리고 이어서 제 1 인체 검지부(600)의 검지 범위(A11)에 들어간 경우에 검지되고, 거듭 제 2 인체 검지부(700)의 검지 범위(A2)에 들어간 경우에 검지된다. 이것에 의해 유저(사람)의 접근을 단계적으로 파악할 수 있고, 화상 형성 장치(1)를 사용할 의사가 있는 사람을 보다 확실하게 판별할 수 있다. 그리고 화상 형성 장치(1) 내의 각 기구부에 있어서, 기동이 비교적 느린 것을 인체 검지부(600)의 검지 범위(A11)에 들어간 경우에 먼저 기동시키고, 그리고 기동이 비교적 빠른 것을 제 2 인체 검지부(700)의 검지 범위(A2)에 들어간 경우에 기동시키면, 보다 신속하게 화상 형성 장치를 절전 모드로부터 복귀시킬 수 있다.
또한 제 1 인체 검지부(600)의 검지 범위에 대하여, 그 규정 거리는, 개구부(502)(도 5 참조) 또는 경사부(503)(도 5 참조)의 위치나 크기, 각도 등을 변경함으로써 원하는 값으로 설정이 가능하다. 또한 가로 방향의 검지 범위는, 개구부(502)의 위치나 크기를 변경함으로써 마찬가지로 원하는 값으로 설정이 가능하다.
또한 도 19의 (a) ∼ 도 19의 (c)는 제 2 인체 검지부(700)를 복수 설치함과 함께, 각각의 검지 범위를 상이한 범위로 했을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 도면이다.
도 6의 경우와 비교하면, 제 1 인체 검지부(600)는, 도 6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1개소에 설치되며, 그 검지 범위(A1)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한편 제 2 인체 검지부(700)는 같은 개소에 2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그 검지 범위(A2)에 대해서는, 각각 상이한 범위를 차지하고 있다. 도 19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그 범위를 검지 범위(A21) 및 검지 범위(A22)로서 도시하고 있다. 여기에서 검지 범위(A21)는, 안쪽에서 앞쪽을 향한 수평선에 대하여 유저 인터페이스(400) 측으로 각도(β) 경사지도록 배치됨과 함께, 화상 형성 장치(1)의 전면으로부터의, 안쪽에서 앞쪽을 향한 수평 방향의 거리가 규정 거리(L21)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한편, 검지 범위(A22)는, 안쪽에서 앞쪽을 향한 수평선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음과 함께, 화상 형성 장치(1)의 전면으로부터의, 안쪽에서 앞쪽을 향한 수평 방향의 거리가 규정 거리(L22)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 2 인체 검지부(700)를 복수 설치함과 함께, 각각의 검지 범위가 상이하도록 설정함으로써, 화상 형성 장치(1)에 접근하는 사람을 복수의 제 2 인체 검지부(700) 중 어느 하나에 의해 검지하면 되는 것이 된다. 따라서 화상 형성 장치(1)를 사용할 의사가 있는 사람을 보다 확실하게 검지할 수 있다.
또한 제 2 인체 검지부(700)의 검지 범위에 대하여, 그 각도에 대해서는, 반사형 센서(710)의 부착 방향을 변경함으로써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규정 거리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판단부(740)가 도 1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콤퍼레이터인 경우, 반사형 센서(710)로부터의 출력 전압과 비교되는 기준 전압을 변경함으로써 변경할 수 있다. 즉 기준 전압을 낮게 설정함으로써 규정 거리는 길어지고, 반대로 기준 전압을 높게 설정함으로써 규정 거리는 짧아진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 따른 인체 검지 장치(2)에 있어서는, 제 2 인체 검지부(700)에 전력을 공급하는 계기로서 제 1 인체 검지부(600)가 사람을 검지하는 것을 이용하고 있지만, 특별히 이러한 양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 2 인체 검지부(700)의 검지 범위(A2)에 사람이 접근하고 있는 것을 검지하는 기기로서, 제 1 인체 검지부(600)를 대신하여, 제 2 인체 검지부(700)의 검지 범위(A2)보다 넓은 범위에 있어서의 진동을 검지함과 함께 소비 전력량이 제 2 인체 검지부(700)의 소비 전력량보다 작은 진동 검지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진동 검지 센서가, 사람이 접근할 때의 진동을 검지하면 제 2 인체 검지부(700)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제 1 인체 검지부(600)를 대신하여, 온도가 변화함으로써 사람이 접근한 것을 검지하는 온도 센서, 형광등 등이 점등함으로써 화상 형성 장치(1)의 주위가 밝아진 것을 검지하는 밝기 센서 등을 이용하여도 된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 1 인체 검지부(600)와, 제 1 인체 검지부(600)의 검지 범위(A1)보다 좁은 범위에 있어서 사람을 검지하는 제 2 인체 검지부(700)를 구비하는 인체 검지 장치(2)이며, 제 1 인체 검지부(600)가 사람을 검지하는데 필요한 전력량은, 제 2 인체 검지부(700)가 사람을 검지하는데 필요한 전력량보다 작고, 제 2 인체 검지부(700)는, 제 1 인체 검지부(600)가 사람을 검지한 것을 계기로 하여 사람을 검지하는데 필요한 전력이 공급되어 사람을 검지 가능한 상태가 되며, 사람을 검지했을 경우에는 검지한 취지의 신호를 출력하는 인체 검지 장치(2)를, 화상 판독 장치(100)와 화상 기록 장치(200)를 가지는 화상 형성 장치(1)에 설치하고 있지만, 화상 형성 장치(1)에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이러한 기능을 가지는 인체 검지 장치(2)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사용할 때에 비하여 소비 전력량을 저감시킬 수 있는 장치의 어느 것에도 적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이러한 장치로서는, 예를 들면 프린터, 스캐너, 팩시밀리 등의 화상 형성 장치 혹은 화상 출력 장치, 자동판매기, 자동 개찰기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오피스, 공장, 창고, 점포, 호텔, 역, 비행장, 항구, 주차장, 노변, 통로, 시장, 감광 시설, 이벤트 회장, 학교, 도서관, 관청, 그 밖의 공공 시설 등, 장치를 사용하지 않는 사람이 이 장치 부근을 통과할 가능성이 있는 장소에 설치된 장치에, 상기 인체 검지 장치(2)를 설치하는 것이 적합하다.
즉, 인체 검지 장치(2)를, 사용할 때에는 충분한 전력을 필요로 하고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사용할 때보다 소비 전력량을 저감시킬 수 있는 장치이며, 이 장치를 사용하는 사람과 사용하지 않고 이 장치의 부근을 통과하는 사람이 혼재하는 장소에 설치되는 장치에, 적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이들 장소에 설치된 장치에 이 인체 검지 장치(2)를 설치함으로써, 소비 전력의 저감과, 편의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인체 검지 장치(2)를, 화상 형성 장치(1) 등의 상기 장치에 설치할 때에는, 반드시 장치에 내장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인체 검지 장치(2)를, 상기 장치와는 별체의 장치로서 구성하고, 예를 들면 하니스 등에 의해 접속하여도 된다. 또한 인체 검지 장치(2)의 일부의 부품, 예를 들면 제 1 인체 검지부(600)를 상기 장치에 내장하고, 다른 부품을 상기 장치와는 별체의 장치로 하여도 된다. 또한, 인체 검지 장치(2)가 상기 장치와는 별체의 장치로서 구성되었을 경우에 있어서의 인체 검지 장치(2)와 상기 장치의 접속 형태는, 인체 검지 장치(2)가 사람을 검지한 취지를 전달할 수 있으면 어떠한 형태이더라도 되며, 유선 혹은 무선이어도 된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1) 등의 장치에 내장하는 경우이더라도 인체 검지 장치(2)가 단독으로 동작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0은, 화상 형성 장치(1)에 탑재되는 기판과, 인체 검지 장치(2)의 초전형 센서(610)를 실장하는 제 1 기판(630)(도 11 참조)의 관계를 설명한 도면이다.
도 20에 나타낸 기판으로서는, 제 1 기판(630) 이외에, 집중 제어 기판(310)과, 집중 제어 기판(310) 및 제 1 기판(630) 사이에 설치되는 중계 기판(350)이 있다.
제 1 기판(630)에는, 초전형 센서(610)와, 전력 공급 허용부(650)와, 판단부(740)가 설치되며, 또한 제 1 기판(630)에는, 반사형 센서(710)와 통지부(751)가 접속되어 있다. 이 구성은, 도 11에서 설명한 제 1 기판(630)과 마찬가지이다. 한편, 도 20의 제 1 기판(630)에서는, 중계 기판(350)으로부터의 정보를 수신하는 분압(分壓) 회로(660)가 설치되어 있다.
집중 제어 기판(310)은, 예를 들면 장치 전체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300)(도 1 참조)의 기판이며, 제어 장치(300)의 일부를 구성한다. 그리고 중계 기판(350)은, 집중 제어 기판(310)과 제 1 기판(630) 사이에서 정보의 주고받기를 행하기 위한 기판이며, 도 20에서는, 1개만을 도시하고 있지만, 그 외에도 집중 제어 기판(310)과 화상 형성 장치(1)의 각 기구부에 설치된 기판과의 정보의 주고받기를 행하기 위해, 복수 설치되는 것이 보통이다. 그리고 제 1 기판(630)은,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지지부 커버(500)의 이면측에 설치되고, 집중 제어 기판(310)과 중계 기판(350)은 화상 형성 장치(1) 내의 다른 장소에 설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제 1 기판(630)의 분압 회로(660)가 수취하는 정보는, 예를 들면 반사형 센서(710)의 검지 범위(A2)의 규정 거리(L2)이다. 이 규정 거리(L2)가, 전술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유저가 화상 형성 장치(1)에 설치된 버튼을 조작하는 것에 의해 변경되었을 경우, 그 정보는, 집중 제어 기판(310)으로부터 중계 기판(350)의 분압 회로(351)를 통하여, 기판(630)의 분압 회로(660)에 송신된다. 또한 이 정보는, 판단부(740)에 전해진다. 그리고 예를 들면 판단부(740)가 도 1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콤퍼레이터인 경우, 반사형 센서(710)로부터의 출력 전압과 비교되는 기준 전압이 변경된다. 이것에 의해 규정 거리(L2)의 변경을 행할 수 있다.
한편, 판단부(740)에서 반사형 센서(710)에 의해 사람이 검지된 것으로 판단되었을 경우에는, 그 정보는, 사람을 검지한 취지의 신호로서, 중계 기판(350)을 통하여, 집중 제어 기판(310)에 송신된다. 이것에 의해 제어 장치(300)가 화상 형성 장치(1)의 각 기구부를 기동시키고, 화상 형성 장치(1)는 절전 모드로부터 통상 모드로 복귀한다.
이와 같이 제 1 기판(630)을 집중 제어 기판(310)과는 별개로 설치함으로써, 절전 모드에 있어서 제어 장치(300)가 동작하고 있지 않아도, 인체 검지 장치(2)는 단독으로 동작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소비 전력량을 더욱 저감시킬 수 있다.
또 인체 검지 장치(2)를 화상 형성 장치(1) 등의 장치에 대하여 별체의 장치로서 구성했을 경우, 상기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로서 파악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인체 검지 수단(2)은, 제 1 인체 검지부(600)에 의한 인체 검지 신호를 수신했을 경우에, 제 1 인체 검지부(600)의 검지 범위보다 좁은 범위에 있어서 사람을 검지함과 함께 사람을 검지하는데 필요한 전력량이 제 1 검지부(600)가 사람을 검지하는데 필요한 전력량보다 큰 제 2 인체 검지부(700)에 전력을 전송하는 전력 공급 허용부(650)와, 제 2 인체 검지부(700)에 의한 인체 검지 신호를 수신했을 경우에, 미리 정해진 장치 내에서 필요해지는 기구부를 구동시키기 위한 전력이 공급되는 통상 모드 등의 제 1 전력 상태에 있어서의 소비 전력량보다 적은 소비 전력량이 되는 절전 모드 등의 제 2 전력 상태로부터 제 1 전력 상태로 전환하도록 이 장치에 지시하는 판단부(740)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로서 기능한다.
1 - 화상 형성 장치 2 - 인체 검지 장치
11 - 장치 본체 프레임 12 - 장치 케이싱
13 - 판독 장치 지지부 15 - 프런트 커버
20 - 화상 형성부 30 - 중간 전사 유닛
40 - 이차 전사 유닛 45 - 정착 장치
50 - 광학계 유닛 60 - 용지 공급부
70 - 용지 배출부 80 - 반전 반송부
100 - 화상 판독 장치 200 - 화상 기록 장치
300 - 제어 장치 400, 450 - 유저 인터페이스(UI)
500 - 지지부 커버 600 - 제 1 인체 검지부
700 - 제 2 인체 검지부

Claims (11)

  1. 사람에 의해 조작됨과 함께 당해 조작에 따라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장치로서, 당해 장치가 구동될 때의 구동 전력이 공급된 제 1 전력 상태와, 당해 장치에 대한 전력의 공급량이 저하됨으로써 당해 제 1 전력 상태보다 적은 소비 전력량이 되는 제 2 전력 상태의 두 가지 전력 상태를 구비한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력 상태일 때에 전력이 공급되며, 사람을 검지하는 제 1 인체 검지 수단과,
    상기 제 1 인체 검지 수단의 검지 범위보다 좁은 범위에서 사람을 검지함과 함께, 사람을 검지하는데 필요한 전력량이 상기 제 1 인체 검지 수단이 사람을 검지하는데 필요한 전력량보다 큰 제 2 인체 검지 수단과,
    상기 장치가 상기 제 2 전력 상태에 있을 때에 상기 제 1 인체 검지 수단이 사람을 검지했을 경우에, 미리 정해진 제 1 기간에 걸쳐 상기 제 2 인체 검지 수단에 대하여 상기 사람을 검지하는데 필요한 전력량을 전송하는 전송 수단과,
    상기 사람을 검지하는데 필요한 전력량이 공급된 상기 제 2 인체 검지 수단이 상기 제 1 기간 내에 사람을 검지했을 경우에, 상기 장치가 상기 제 2 전력 상태로부터 상기 제 1 전력 상태로 전환되도록 지시하는 지시 수단을 갖고,
    상기 사람을 검지하는데 필요한 전력량이 공급된 상기 제 2 인체 검지 수단이 상기 제 1 기간 내에 사람을 검지하지 않은 경우, 상기 제 2 인체 검지 수단에 대한 당해 사람을 검지하는데 필요한 전력량의 공급이 정지되며,
    상기 제 2 인체 검지 수단은 상기 제 1 인체 검지 수단에 대해 유저 인터페이스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고, 당해 제 1 인체 검지 수단의 검지 범위는 당해 제 1 인체 검지 수단이 설치된 위치로부터 경사 하방으로 되도록 설정됨과 함께, 당해 제 2 인체 검지 수단의 검지 범위는 당해 제 1 인체 검지 수단의 검지 범위보다 상방을 향하여, 유저 인터페이스를 조작하는 사람이 위치하면 상정되는 상정 범위에 존재하는 사람을 검지하는 범위로 되도록 설정되는 화상 형성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방에서 본 경우에, 상기 제 2 인체 검지 수단의 검지 범위는, 상기 제 1 인체 검지 수단의 검지 범위 내측에 존재하는 화상 형성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인체 검지 수단 및 상기 제 2 인체 검지 수단 중 적어도 한쪽은, 복수 설치되며, 각각의 검지 범위가 상이한 화상 형성 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인체 검지 수단은, 상방에서 본 경우에, 장치의 가로 방향에 있어서의 한쪽의 단부측에 배치되며, 다른 단부측을 당해 제 1 인체 검지 수단의 검지 범위로는 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인체 검지 수단은, 상방에서 본 경우에, 장치의 가로 방향에 있어서의 한쪽의 단부측에 배치되며, 다른 단부측을 당해 제 1 인체 검지 수단의 검지 범위로는 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인체 검지 수단은, 사람이 발하는 적외선을 초전(焦電) 효과를 이용하여 검지하는 초전형 센서를 가지고,
    상기 제 2 인체 검지 수단은, 광을 발광(發光)하는 발광부와 광을 수광(受光)하는 수광부를 가지는 반사형 센서를 가지는 화상 형성 장치.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인체 검지 수단은, 사람이 발하는 적외선을 초전 효과를 이용하여 검지하는 초전형 센서를 가지고,
    상기 제 2 인체 검지 수단은, 광을 발광하는 발광부와 광을 수광하는 수광부를 가지는 반사형 센서를 가지는 화상 형성 장치.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인체 검지 수단은, 사람이 발하는 적외선을 초전 효과를 이용하여 검지하는 초전형 센서를 가지고,
    상기 제 2 인체 검지 수단은, 광을 발광하는 발광부와 광을 수광하는 수광부를 가지는 반사형 센서를 가지는 화상 형성 장치.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인체 검지 수단은, 사람이 발하는 적외선을 초전 효과를 이용하여 검지하는 초전형 센서를 가지고,
    상기 제 2 인체 검지 수단은, 광을 발광하는 발광부와 광을 수광하는 수광부를 가지는 반사형 센서를 가지는 화상 형성 장치.
  10. 사람에 의해 조작됨과 함께 당해 조작에 따라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장치로서, 당해 장치가 구동될 때의 구동 전력이 공급된 제 1 전력 상태와, 당해 장치에 대한 전력의 공급량이 저하됨으로써 당해 제 1 전력 상태보다 적은 소비 전력량이 되는 제 2 전력 상태의 두 가지 전력 상태를 구비한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접속되는 인체 검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인체 검지 장치는,
    상기 제 2 전력 상태일 때에 전력이 공급되며, 사람을 검지하는 제 1 인체 검지 수단과,
    상기 제 1 인체 검지 수단의 검지 범위보다 좁은 범위에서 사람을 검지함과 함께, 사람을 검지하는데 필요한 전력량이 상기 제 1 인체 검지 수단이 사람을 검지하는데 필요한 전력량보다 큰 제 2 인체 검지 수단과,
    상기 장치가 상기 제 2 전력 상태에 있을 때에 상기 제 1 인체 검지 수단이 사람을 검지했을 경우에, 미리 정해진 제 1 기간에 걸쳐 상기 제 2 인체 검지 수단에 대하여 상기 사람을 검지하는데 필요한 전력량을 전송하는 전송 수단과,
    상기 사람을 검지하는데 필요한 전력량이 공급된 상기 제 2 인체 검지 수단이 상기 제 1 기간 내에 사람을 검지했을 경우에, 상기 장치가 상기 제 2 전력 상태로부터 상기 제 1 전력 상태로 전환되도록 지시하는 지시 수단을 갖고,
    상기 사람을 검지하는데 필요한 전력량이 공급된 상기 제 2 인체 검지 수단이 상기 제 1 기간 내에 사람을 검지하지 않은 경우, 상기 제 2 인체 검지 수단에 대한 당해 사람을 검지하는데 필요한 전력량의 공급이 정지되며,
    상기 제 2 인체 검지 수단은 상기 제 1 인체 검지 수단에 대해 유저 인터페이스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고, 당해 제 1 인체 검지 수단의 검지 범위는 당해 제 1 인체 검지 수단이 설치된 위치로부터 경사 하방으로 되도록 설정됨과 함께, 당해 제 2 인체 검지 수단의 검지 범위는 당해 제 1 인체 검지 수단의 검지 범위보다 상방을 향하여, 유저 인터페이스를 조작하는 사람이 위치하면 상정되는 상정 범위에 존재하는 사람을 검지하는 범위로 되도록 설정되는 인체 검지 장치.
  11. 사람에 의해 조작됨과 함께 당해 조작에 따라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장치로서 상기 사람을 검지하는 인체 검지 수단을 구비한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접속되고, 상기 인체 검지 수단에 의한 인체 검지 결과를 기초로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전력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인체 검지 수단은,
    제 2 전력 상태일 때에 전력이 공급되며, 사람을 검지하는 제 1 인체 검지 수단과,
    상기 제 1 인체 검지 수단의 검지 범위보다 좁은 범위에서 사람을 검지함과 함께, 사람을 검지하는데 필요한 전력량이 상기 제 1 인체 검지 수단이 사람을 검지하는데 필요한 전력량보다 큰 제 2 인체 검지 수단을 가지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장치가 상기 제 2 전력 상태에 있을 때에 상기 제 1 인체 검지 수단이 사람을 검지했을 경우에, 미리 정해진 제 1 기간에 걸쳐 상기 제 2 인체 검지 수단에 대하여 상기 사람을 검지하는데 필요한 전력량을 전송하는 전송 수단과,
    상기 사람을 검지하는데 필요한 전력량이 공급된 상기 제 2 인체 검지 수단이 사람을 상기 제 1 기간 내에 검지했을 경우에, 상기 장치가 상기 제 2 전력 상태로부터 제 1 전력 상태로 전환하도록 지시하는 지시 수단을 갖고,
    상기 사람을 검지하는데 필요한 전력량이 공급된 상기 제 2 인체 검지 수단이 상기 제 1 기간 내에 사람을 검지하지 않은 경우, 상기 제 2 인체 검지 수단에 대한 당해 사람을 검지하는데 필요한 전력량의 공급이 정지되며,
    상기 제 2 인체 검지 수단은 상기 제 1 인체 검지 수단에 대해 유저 인터페이스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고, 당해 제 1 인체 검지 수단의 검지 범위는 당해 제 1 인체 검지 수단이 설치된 위치로부터 경사 하방으로 되도록 설정됨과 함께, 당해 제 2 인체 검지 수단의 검지 범위는 당해 제 1 인체 검지 수단의 검지 범위보다 상방을 향하여, 유저 인터페이스를 조작하는 사람이 위치하면 상정되는 상정 범위에 존재하는 사람을 검지하는 범위로 되도록 설정되는 제어 장치.
KR1020120061919A 2011-06-27 2012-06-11 화상 형성 장치, 인체 검지 장치 및 제어 장치 KR1016016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142377 2011-06-27
JPJP-P-2011-142377 2011-06-27
JPJP-P-2011-245931 2011-11-09
JP2011245931A JP5083447B1 (ja) 2011-06-27 2011-11-09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用の人検知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用の制御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1677A KR20130001677A (ko) 2013-01-04
KR101601692B1 true KR101601692B1 (ko) 2016-03-09

Family

ID=47361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1919A KR101601692B1 (ko) 2011-06-27 2012-06-11 화상 형성 장치, 인체 검지 장치 및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768196B2 (ko)
JP (1) JP5083447B1 (ko)
KR (1) KR101601692B1 (ko)
CN (1) CN102854769B (ko)
AU (1) AU2012203128B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07981A (ja) * 2011-06-27 2013-01-10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
JP2013103423A (ja) * 2011-11-15 2013-05-30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被操作装置および人検知装置
JP5645885B2 (ja) * 2012-06-29 2014-12-24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CN103634491B (zh) * 2012-08-25 2016-09-21 华为技术有限公司 电话机用户在位状态检测方法、装置及系统
US9116484B2 (en) * 2012-09-03 2015-08-25 Konica Minolta, Inc. Image forming apparatus, power control method, and recording medium
JP6128781B2 (ja) * 2012-09-06 2017-05-1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
JP5629742B2 (ja) * 2012-09-28 2014-11-26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電子機器及び画像形成装置
JP5723847B2 (ja) * 2012-10-05 2015-05-27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電子機器及び画像形成装置
US9065955B2 (en) * 2012-10-15 2015-06-23 Fuji Xerox Co., Ltd. Power supply control apparatus, image processing apparatus,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and power supply control method
JP6071494B2 (ja) 2012-12-04 2017-02-0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
JP6150503B2 (ja) 2012-12-04 2017-06-2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
CN107861607B (zh) * 2012-12-05 2020-10-20 佳能株式会社 图像形成装置及图像形成装置的控制方法
JP5723866B2 (ja) * 2012-12-21 2015-05-27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電子機器及び画像形成装置
US9465429B2 (en) 2013-06-03 2016-10-11 Qualcomm Incorporated In-cell multifunctional pixel and display
CN103281842A (zh) * 2013-06-13 2013-09-04 慈溪思达电子科技有限公司 人体感应器的容错算法
JP6161417B2 (ja) * 2013-06-14 2017-07-1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6044472B2 (ja) 2013-06-28 2016-12-14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5590193B1 (ja) * 2013-06-28 2014-09-17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5836333B2 (ja) * 2013-07-31 2015-12-24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015589B2 (ja) * 2013-08-09 2016-10-26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5682772B1 (ja) * 2014-01-15 2015-03-11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351285B2 (ja) * 2014-02-13 2018-07-0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
JP2015154377A (ja) * 2014-02-18 2015-08-2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5161713A (ja) * 2014-02-26 2015-09-07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478469B2 (ja) * 2014-03-14 2019-03-0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415178B2 (ja) * 2014-08-19 2018-10-31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装置及びデータの更新方法
JP2016092765A (ja) 2014-11-11 2016-05-23 株式会社リコー 情報処理装置、ユーザー検知方法、プログラム
JP6135647B2 (ja) * 2014-11-14 2017-05-31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電源制御方法および電源制御プログラム
JP2016118707A (ja) * 2014-12-22 2016-06-30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CN105835534A (zh) * 2015-01-12 2016-08-10 重庆联佰博超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自助打印系统
JP2017021205A (ja) * 2015-07-10 2017-01-26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2018022010A (ja) * 2016-08-03 2018-02-08 株式会社リコー 電子機器
JP6377206B2 (ja) * 2017-05-19 2018-08-2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
WO2019163627A1 (ja) * 2018-02-23 2019-08-29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7176247B2 (ja) * 2018-06-22 2022-11-22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20220041387A1 (en) * 2019-04-30 2022-02-10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ADF With Automated Trays
WO2020222814A1 (en) 2019-04-30 2020-11-0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Automatic document feeder with automated media tray extender
EP3928182A1 (en) 2019-05-20 2021-12-29 Google LLC Mobile device-based radar system for providing a multi-mode interface and method therefor
EP3928181A1 (en) 2019-06-17 2021-12-29 Google LLC Mobile device-based radar system for applying different power modes to a multi-mode interface
US11827480B2 (en) 2019-07-31 2023-11-28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Automatic document feeder with automated media tray
WO2021025665A1 (en) 2019-08-02 2021-02-1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Rotatable media ramp for automatic document feeder
US11758062B1 (en) 2022-02-22 2023-09-12 Toshiba Tec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75638B2 (ja) * 1991-01-14 1999-03-31 浜松ホトニクス株式会社 物体検知装置
JP2010072716A (ja) * 2008-09-16 2010-04-02 Nec Personal Products Co Ltd 情報処理装置
JP2010282134A (ja) * 2009-06-08 2010-12-16 Sharp Corp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節電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31191Y2 (ko) * 1981-06-09 1988-08-19
JPH06242226A (ja) * 1993-02-20 1994-09-02 Ricoh Co Ltd オペレータ検出方法,オペレータ検出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H07114308A (ja) * 1993-10-18 1995-05-02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の予熱解除センサ
JPH10105746A (ja) * 1996-09-25 1998-04-24 Nippon Signal Co Ltd:The 自動改札機用人間検知装置
JPH10214546A (ja) 1996-11-29 1998-08-11 Omron Corp 光センサ、限定領域型光センサ、光ディスク判別センサ、光ディスク傾き検出センサ、複写装置及び移動体検出装置
JPH10186053A (ja) * 1996-12-27 1998-07-1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生体検知センサ
JP3572568B2 (ja) 1998-08-03 2004-10-06 清水建設株式会社 ダニセンサー
JP2000241560A (ja) * 1999-02-18 2000-09-08 Nippon Signal Co Ltd:The センサユニット
JP2001227018A (ja) * 2000-02-18 2001-08-24 Toto Ltd 自動吐水装置
JP2002071833A (ja) * 2000-08-31 2002-03-12 Ricoh Co Ltd 人体検知センサ装置、画像形成装置、人体検知センサ駆動方法及び記憶媒体
JP2005106514A (ja) * 2003-09-29 2005-04-21 Toto Ltd 反射型光電センサ及びそれを搭載した自動洗浄装置と衛生洗浄装置
JP4617347B2 (ja) 2007-12-11 2011-01-26 シャープ株式会社 制御装置、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5288786B2 (ja) * 2007-12-19 2013-09-11 三菱電機株式会社 警備装置及び現金自動預け払い装置及びプログラム及び不審者判定方法
JP5015072B2 (ja) * 2008-06-18 2012-08-29 株式会社リコー 入力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053188B2 (ja) * 2008-06-18 2012-10-17 株式会社リコー 入力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300451B2 (ja) * 2008-12-17 2013-09-2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
JP5424676B2 (ja) * 2009-03-13 2014-02-2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
EP2415035B1 (en) * 2009-03-31 2016-05-11 Koninklijke Philips N.V. Energy efficient cascade of sensors for automatic presence detection
JP5834230B2 (ja) * 2009-10-29 2015-12-1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子機器
JP5163761B2 (ja) * 2011-02-09 2013-03-13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電力供給制御装置、画像処理装置、電力供給制御プログラム
JP2013007981A (ja) * 2011-06-27 2013-01-10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
JP2013103423A (ja) * 2011-11-15 2013-05-30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被操作装置および人検知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75638B2 (ja) * 1991-01-14 1999-03-31 浜松ホトニクス株式会社 物体検知装置
JP2010072716A (ja) * 2008-09-16 2010-04-02 Nec Personal Products Co Ltd 情報処理装置
JP2010282134A (ja) * 2009-06-08 2010-12-16 Sharp Corp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節電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3033191A (ja) 2013-02-14
CN102854769A (zh) 2013-01-02
JP5083447B1 (ja) 2012-11-28
US20120327458A1 (en) 2012-12-27
AU2012203128A1 (en) 2013-01-17
CN102854769B (zh) 2017-03-01
KR20130001677A (ko) 2013-01-04
US8768196B2 (en) 2014-07-01
AU2012203128B2 (en) 2013-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1692B1 (ko) 화상 형성 장치, 인체 검지 장치 및 제어 장치
KR101682976B1 (ko) 화상 형성 장치, 피조작 장치 및 인체 검지 장치
US9069313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for detecting a human using a human detecting device
JP5793994B2 (ja) 画像形成装置
US9487370B2 (en) Sheet material conveying device, image scann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5278583B2 (ja)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用の人検知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用の制御装置
US20150028533A1 (en) Sheet feeder, document read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15133028A (ja) 画像形成装置
US20160212279A1 (en) Surveillance system
JP2016132249A (ja) 画像形成装置
JP6090417B2 (ja) 装置、画像形成装置
US9083841B2 (en) Image reading apparatus efficiently illuminating light
JP6056257B2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US9501035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20160212388A1 (en) Surveillance apparatus
JP2016134101A (ja) 画像形成装置
JP6398342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5740333B2 (ja) 画像形成装置
JP6492687B2 (ja) 監視装置および監視システム
JP2009303126A (ja) 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