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1576B1 - 자동 변속기의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자동 변속기의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1576B1
KR101601576B1 KR1020147015864A KR20147015864A KR101601576B1 KR 101601576 B1 KR101601576 B1 KR 101601576B1 KR 1020147015864 A KR1020147015864 A KR 1020147015864A KR 20147015864 A KR20147015864 A KR 20147015864A KR 101601576 B1 KR101601576 B1 KR 1016015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tomatic transmission
control
vehicle speed
running
oil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58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01360A (ko
Inventor
히로미치 아케보노
Original Assignee
쟈트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쟈트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쟈트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013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13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15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15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04Smoothing ratio shift
    • F16H61/06Smoothing ratio shift by controlling rate of change of fluid pressure
    • F16H61/061Smoothing ratio shift by controlling rate of change of fluid pressure using electric contro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1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change-speed gearings
    • B60W10/11Stepped g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12Detecting malfunction or potential malfunction, e.g. fail safe; Circumventing or fixing fail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0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 B60W10/06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including control of combustion eng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36Inputs being a function of speed
    • F16H59/44Inputs being a function of speed dependent on machine speed of the machine, e.g. the vehicle
    • F16H2059/446Detecting vehicle stop, i.e. the vehicle is at stand still, e.g. for engaging parking loc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04Smoothing ratio shift
    • F16H2061/0485Smoothing ratio shift during range shift from neutral (N) to reverse (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04Smoothing ratio shift
    • F16H2061/0488Smoothing ratio shift during range shift from neutral (N) to drive (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12Detecting malfunction or potential malfunction, e.g. fail safe; Circumventing or fixing failures
    • F16H2061/1208Detecting malfunction or potential malfunction, e.g. fail safe; Circumventing or fixing failures with diagnostic check cycles; Monitoring of fail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12Detecting malfunction or potential malfunction, e.g. fail safe; Circumventing or fixing failures
    • F16H2061/1256Detecting malfunction or potential malfunction, e.g. fail safe; Circumventing or fixing failures characterised by the parts or units where malfunctioning was assumed or detected
    • F16H2061/1276Detecting malfunction or potential malfunction, e.g. fail safe; Circumventing or fixing failures characterised by the parts or units where malfunctioning was assumed or detected the failing part is a friction device, e.g. clutches or brak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36Inputs being a function of speed
    • F16H59/44Inputs being a function of speed dependent on machine speed of the machine, e.g. the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Abstract

자동 변속기의 제어 장치이며, 시프트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 수단과, 차속을 검출하는 차속 검출 수단과, 자동 변속기의 입력 회전수를 검출하는 회전수 검출 수단과, 시프트 위치가 주차 위치 또는 중립 위치로부터 주행 위치로 전환된 경우에, 자동 변속기의 상태를 나타내는 물리량이 소정값 이상으로 된 후에, 자동 변속기의 입력 회전수에 기초하여 체결 요소로의 공급 유압을 제어하는 정지시 제어로부터 자동 변속기의 입력 회전수를 사용하지 않고 체결 요소로의 공급 유압을 제어하는 주행시 제어로의 전환 판정을 차속에 기초하여 행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자동 변속기의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DEVICE FOR CONTROLLING AUTOMATIC TRANSMISS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본 발명은 자동 변속기의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시프트 레버가 N 레인지로부터 D 레인지 혹은 R 레인지로 전환 조작된 경우에, 엔진 회전 속도에 기초하여 목표 터빈 회전 속도 변화율을 결정하고, 터빈 회전 속도를 목표 터빈 회전 속도 변화율에 일치하도록 감소시키는 것이, JP5-322027A에 개시되어 있다.
또한, 주행중에 시프트 레버가 D 레인지로부터 N 레인지로 조작된 후에, 다시 D 레인지로 조작된 경우에, 시프트 레버의 조작에 따라서 솔레노이드에 공급하는 전류의 필터 처리를 변경하는 것이, JP2003-97688A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발명에 있어서는, 시프트 레버의 조작에 따른 제어를 차속에 기초하여 개시, 또는 종료하는 것이 생각된다. 차속은 변속기의 출력축의 회전을 검지하는 차속 센서의 신호에 기초하여 검출된다.
차량은, 주차시에 출력축을 기계적으로 고정하는 주차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주차 기구는, 시프트 레버가 P 레인지로 조작되면 출력축을 고정하여, 차량이 움직이지 않도록 한다. 주차 기구는, 시프트 레버가 주행 레인지이며, 차량이 정차하고 있는 상태로부터 시프트 레버가 P 레인지로 조작됨으로써, 작동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때, 출력축에 엔진으로부터 동력이 전달된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차륜이 풋 브레이크에 의해 강제적으로 정지되어 있으므로, 출력축에 비틀림이 발생되어 있고, 이 비틀림이 해소되지 않은 상태에서, 주차 기구에 의해 출력축이 고정되는 경우가 있다. 출력축의 비틀림은 시프트 레버가 P 레인지로부터 P 레인지 이외의 레인지로 조작되면 해소된다. 그러나 비틀림의 해소에 의해 출력축이 회전하여, 차속 센서로부터 신호가 출력되므로, 차량은 정차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차량이 주행중이라고 오판정되어, 차량 주행시에 행해지는 제어가 개시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시프트 레버가 비주행 레인지로부터 주행 레인지로 변경된 경우에, 차량이 정차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차량이 주행중이라고 오판정되어, 차량 주행중에 행해지는 제어가 실행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한 자동 변속기의 제어 장치는, 시프트 레버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 수단과, 차속을 검출하는 차속 검출 수단과, 자동 변속기의 입력 회전수를 검출하는 회전수 검출 수단과, 시프트 레버가 주차 위치 또는 중립 위치로부터 주행 위치로 전환된 경우에, 자동 변속기의 상태를 나타내는 물리량이 소정값 이상으로 된 후에, 자동 변속기의 입력 회전수에 기초하여 체결 요소로의 공급 유압을 제어하는 정지시 제어로부터 자동 변속기의 입력 회전수를 사용하지 않고 체결 요소로의 공급 유압을 제어하는 주행시 제어로의 전환 판정을 차속에 기초하여 행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관한 자동 변속기의 제어 방법은, 시프트 레버가 주차 위치 또는 중립 위치로부터 주행 위치로 전환된 경우에, 자동 변속기의 상태를 나타내는 물리량이 소정값 이상으로 된 후에, 자동 변속기의 입력 회전수에 기초하여 체결 요소로의 공급 유압을 제어하는 정지시 제어로부터 자동 변속기의 입력 회전수를 사용하지 않고 체결 요소로의 공급 유압을 제어하는 주행시 제어로의 전환 판정을 차속에 기초하여 행한다.
이들 형태에 따르면, 시프트 레버가 주차 위치 또는 중립 위치로부터 주행 위치로 변경된 경우에, 차속에 기초하여 적절하게 정지시 제어로부터 주행시 제어로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 본 발명의 이점에 대해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의 자동 변속기를 갖는 차량의 일부를 도시하는 개략 구성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 형태의 시프트 레버가 비주행 레인지로부터 주행 레인지로 변경된 경우의 제어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은 차량이 정차하고 있는 상태로부터 시프트 레버가 N 레인지로부터 D 레인지로 변경된 경우의 타임차트이다.
도 4는 차량이 주행하고 있고, 시프트 레버가 D 레인지로부터 N 레인지로 변경되고, 또한 N 레인지로부터 D 레인지로 변경되는 경우의 타임차트이다.
도 5는 제2 실시 형태의 시프트 레버가 비주행 레인지로부터 주행 레인지로 변경된 경우의 제어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제3 실시 형태의 시프트 레버가 비주행 레인지로부터 주행 레인지로 변경된 경우의 제어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은 제4 실시 형태의 시프트 레버가 비주행 레인지로부터 주행 레인지로 변경된 경우의 제어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구성에 대해 도 1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의 자동 변속기를 갖는 차량의 일부를 도시하는 개략 구성도이다.
차량은, 엔진(1)과, 토크 컨버터(2)와, 자동 변속기(3)와, 밸브 보디(7)와, 파킹 기구(9)와, 컨트롤러(10)를 구비한다.
엔진(1)은, 운전자가 조작하는 액셀러레이터 페달에 연동하여 완전 폐쇄로부터 완전 개방을 향해 개방도 증대되는 스로틀 밸브에 의해 출력이 가감되어, 엔진(1)의 출력 회전은 토크 컨버터(2)를 거쳐 자동 변속기(3)의 입력축(4)에 입력된다.
자동 변속기(3)는, 동축에 배치된 입력축(4)과 출력축(5) 상에, 도시하지 않은 프론트 유성 기어 조, 리어 유성 기어 조가 배치되어 구성되고, 유압에 의해 작동되는 복수의 체결 요소(6)의 체결, 해방의 조합에 의해 동력 전달 경로를 전환하여, 원하는 변속단을 실현한다.
출력축(5)은, 시프트 레버가 P 레인지로 조작된 경우에, 파킹 기구(9)에 의해 회전 불가능하게 로크된다.
밸브 보디(7) 내에는, 각 체결 요소(6)에 유압을 공급하는 유로(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고, 컨트롤러(10)로부터 입력되는 지령에 기초하여 구동되는 솔레노이드(8)가, 각 유로에 설치된 압력 조절 밸브(도시하지 않음)를 조작하여, 컨트롤러(10)가 설정된 지령압의 유압이 소정의 체결 요소(6)에 공급되도록 제어된다. 또한, 차량의 주행시에는, 솔레노이드(8)는 원하는 변속비를 얻기 위해 필요한 체결 요소(6)에만 유압을 공급하도록 제어된다.
컨트롤러(10)는, 엔진 회전 센서(11), 터빈 회전 센서(12), 출력축 회전 센서(13), 인히비터 스위치(14) 등의 출력에 기초하여, 체결시키는 체결 요소(6)에 공급되는 작동 유압의 지령압을 결정한다. 그리고 컨트롤러(10)는 결정된 지령압의 작동 유압이 체결 요소(6)에 공급되도록 솔레노이드(8)을 구동시키는 지령을 출력한다. 컨트롤러(10)는, CPU, ROM, RAM 등에 의해 구성되고, CPU가 ROM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각 기능이 발휘된다.
엔진 회전 센서(11)는, 엔진(1)의 출력축의 회전을 검출하여, 검출된 출력축의 회전 속도(엔진 회전 속도 Ne)를 나타내는 신호를, 컨트롤러(10)에 출력한다. 터빈 회전 센서(12)는, 자동 변속기(3)의 입력축(4)의 회전을 검출하여, 입력축(4)의 회전 속도(터빈 회전 속도 Nt)를 나타내는 신호를, 컨트롤러(10)에 출력한다. 출력축 회전 센서(13)는, 자동 변속기(3)의 출력축(5)의 회전을 검출하여, 출력축(5)의 회전 속도(출력축 회전 속도 No)를 나타내는 신호를, 컨트롤러(10)에 출력한다. 출력축 회전 센서(13)에 의해 검출되는 출력축 회전 속도 No는, 차속으로서 사용된다. 인히비터 스위치(14)는, 시프트 레버의 조작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매뉴얼 샤프트(도시하지 않음)에 설치되어 있고, 시프트 레버의 선택 레인지를 나타내는 신호를, 컨트롤러(10)에 출력한다.
컨트롤러(10)는, 체결 요소(6)를 체결하는 경우에, 피스톤 스트로크 페이즈, 체결 진행 페이즈, 최종 체결 페이즈의 순으로 실행하여, 체결 요소(6)를 체결한다. 피스톤 스트로크 페이즈에서는, 높은 지령압의 지령 후에 낮은 지령압을 유지함으로써 유압 회로의 충전 및 체결 요소(6)의 피스톤 스트로크가 완료된다. 체결 진행 페이즈에서는, 피스톤 스트로크 페이즈의 지령압으로부터 소정 증가율로, 지령압이 상승한다. 최종 체결 페이즈에서는, 체결 진행 페이즈 후에, 지령압이 단시간에 클러치 체결시의 최대값까지 상승한다. 체결 요소(6)는 체결 진행 페이즈가 종료되면 체결 상태로 되어 있다.
컨트롤러(10)는, 시프트 레버가 비주행 레인지로부터 주행 레인지로 변경된 경우에, 통상 제어와, 오픈 모드 제어를 사용하여 체결 요소(6)의 체결을 행한다. 비주행 레인지는 P 레인지 및 N 레인지이다. 주행 레인지는 D 레인지(L 레인지 등을 포함함) 및 R 레인지이다.
통상 제어는, 엔진 회전 센서(11), 터빈 회전 센서(12), 출력축 회전 센서(13) 등으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체결 요소(6)를 체결하는 제어이며, 차량이 정차하고 있는 경우에 실행된다. 통상 제어에서는, 수학식 1에 나타내는 진행도에 기초하여 체결 요소(6)에 공급되는 유압이 제어된다.
Figure 112014054549343-pct00001
진행도는, 차량이 정차하고 있고, 체결 요소(6)가 해방되어 있는 경우에는 엔진 회전 속도 Ne와 터빈 회전 속도 Nt가 거의 동등하므로 대략 0%로 되고, 차량이 정차하고 있고, 체결 요소(6)가 완전히 체결된 경우에는 터빈 회전 속도 Nt와, 출력축 회전 속도 No에 자동 변속기(3)의 기어비를 곱한 값이 동등해지므로, 100%로 된다.
차량이 주행하고 있는 상태에서, 예를 들어 시프트 레버가 D 레인지로부터 N 레인지로 변경되고, 그 후 다시 D 레인지로 변경되면, 체결 요소(6)의 체결 상태에 관계없이, 진행도가 거의 일정한 값으로 될 우려가 있어, 진행도에 기초하여 체결 요소(6)의 상태를 정확하게 검출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그로 인해, 주행중에는 오픈 모드 제어에 의해 체결 요소(6)의 체결을 행한다.
오픈 모드 제어는, 컨트롤러(10)에 설치한 타이머에 의한 시간 경과에 따라서 체결 요소(6)를 체결하는 제어이다.
또한, 상세하게는 이하에 있어서 설명하지만,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피스톤 스트로크 페이즈에 있어서는, 차량이 주행하고 있는지, 정차하고 있는지에 관계없이 통상 제어가 실행된다.
다음에, 시프트 레버가 비주행 레인지로부터 주행 레인지로 변경된 경우의 제어에 대해 도 2의 흐름도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있어서 비주행 레인지를 N 레인지로 하고, 주행 레인지를 D 레인지로 한 경우를 예로서 설명한다.
스텝 S100에서는, 컨트롤러(10)는, 인히비터 스위치(14)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시프트 레버가 N 레인지로부터 D 레인지로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컨트롤러(10)는, 시프트 레버가 N 레인지로부터 D 레인지로 변경된 경우에는, 타이머에 의해 시프트 레버가 N 레인지로부터 D 레인지로 변경된 후의 경과 시간의 계측을 개시하여 스텝 S101로 진행하고, 시프트 레버가 N 레인지로부터 D 레인지로 변경되어 있지 않은 경우, 즉 D 레인지로 변경된 후의 상태인 경우나, D 레인지가 선택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 스텝 S105로 진행한다.
스텝 S101에서는, 컨트롤러(10)는, 통상 제어에 의해 체결 요소(6)에 유압을 공급한다.
스텝 S102에서는, 컨트롤러(10)는, 자동 변속기(3)의 상태를 나타내는 물리량인 경과 시간이 소정 시간(제1 소정 시간)으로 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소정 시간은, 고체간의 편차를 고려하여, 시프트 레버가 N 레인지로부터 D 레인지로 변경된 후, 발진시에 체결되는 체결 요소(6)의 피스톤 스트로크가 완료될 때까지의 시간, 즉 피스톤 스트로크 페이즈가 종료될 때까지의 시간보다도 긴 시간으로 되지 않도록 실험 등에 의해 미리 설정한 시간이다. 컨트롤러(10)는, 경과 시간이 소정 시간으로 된 경우에는 스텝 S103으로 진행하고, 경과 시간이 소정 시간으로 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101로 복귀하여, 상기 제어를 반복한다.
차량 정차시에, 출력축(5)에 비틀림이 발생되어 있었던 경우라도, 소정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의 동안에 출력축(5)의 비틀림은 해소된다. 즉, 경과 시간은, 출력축(5)의 비틀림이 해소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물리량이기도 하다.
스텝 S103에서는, 컨트롤러(10)는, 제1 오픈 모드 제어 조건이 성립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컨트롤러(10)는, 진행도가 제1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는, 제1 오픈 모드 제어 조건이 성립되었다고 판정한다. 컨트롤러(10)는, 제1 오픈 모드 제어 조건이 성립되면 스텝 S104로 진행하고, 제1 오픈 모드 제어 조건이 성립되지 않는 경우에는 통상 제어를 계속한다. 제1 임계값은, 차량이 주행하고 있다고 판정하는 값이다. 차량이 정차하고 있고, 피스톤 스트로크 페이즈가 종료된 직후에, 엔진 회전 속도 Ne와 터빈 회전 속도 Nt의 차는 거의 없어, 진행도는 대략 제로이다. 그러나 차량이 주행하고 있는 경우에는, 피스톤 스트로크 페이즈가 종료된 직후에는, 엔진 회전 속도 Ne와 터빈 회전 속도 Nt 사이에 차가 발생하여, 진행도가 대략 제로로 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컨트롤러(10)는, 진행도가 제1 임계값 이상으로 되는 경우에는, 차량이 주행하고 있다고 판정한다.
스텝 S104에서는, 컨트롤러(10)는, 통상 제어로부터 오픈 모드 제어로 변경한다.
스텝 S105에서는, 컨트롤러(10)는, 체결 요소(6)를 체결중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컨트롤러(10)는, 체결 요소(6)를 체결중인 경우에는, 스텝 S106으로 진행하고, 체결 요소(6)를 체결중이 아닌 경우, 즉 통상 제어 또는 오픈 모드 제어에 의한 체결 요소(6)의 체결 제어가 종료되어 있는 경우나 D 레인지가 선택되어 있지 않아 체결 요소(6)의 체결이 행해지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본 제어를 종료한다.
스텝 S106에서는, 컨트롤러(10)는, 제2 오픈 모드 제어 조건이 성립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컨트롤러(10)는, 체결 요소(6)의 체결 상태가 최종 체결 페이즈가 아니고, 또한 [Ne-No×자동 변속기(3)의 기어비]가 제2 임계값 이하인 경우에, 제2 오픈 모드 제어 조건이 성립되었다고 판정한다. 컨트롤러(10)는, 제2 오픈 모드 제어 조건이 성립되면 스텝 S107로 진행하고, 제2 오픈 모드 제어 조건이 성립되지 않는 경우에는, 현재의 제어를 계속한다. 제2 임계값은 차량이 주행하고 있다고 판정하는 값이다. 차량이 주행하고 있는 경우에는, 출력축 회전 속도 No가 제로가 아니므로 차량이 정차하고 있는 경우와 비교하여, [Ne-No×자동 변속기(3)의 기어비]의 값이 작아진다. 따라서, 컨트롤러(10)는, [Ne-No×자동 변속기(3)의 기어비]가 제2 임계값 이하로 되는 경우에는, 차량이 주행하고 있다고 판정한다. 또한, 최종 체결 페이즈인 경우에는, 체결 요소(6)는 체결 상태로 되어 있으므로 통상 제어가 행해지고 있는 경우라도 스텝 S107로는 진행하지 않는다.
스텝 S107에서는, 컨트롤러(10)는, 통상 제어가 행해지고 있는 경우에는 오픈 모드 제어로 변경한다.
다음에, 시프트 레버가 N 레인지로부터 D 레인지로 변경된 경우의 제어에 대해 도 3, 도 4의 타임차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3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3은, 차량이 정차하고 있는 상태로부터 시프트 레버가 N 레인지로부터 D 레인지로 변경된 경우의 타임차트이다.
시간 t0에 있어서, 시프트 레버가 N 레인지로부터 D 레인지로 변경되면, 피스톤 스트로크 페이즈가 개시된다. 여기서는 통상 제어에 의해 체결 요소(6)의 체결 제어가 실행된다.
시간 t1에 있어서, 피스톤 스트로크 페이즈가 종료되고, 체결 진행 페이즈가 개시된다. 여기서는, 진행도는 0%이며, 통상 제어가 계속된다. 유압 지령값이 높아짐에 따라서 체결 요소(6)가 서서히 체결되어, 진행도가 커진다.
시간 t2에 있어서, 체결 진행 페이즈가 종료되고, 체결 종료 페이즈가 개시된다.
시간 t3에 있어서, 지시 유압이 체결 요소(6)의 최대값으로 되면 체결 종료 페이즈가 종료되어, 체결 요소(6)의 체결 제어는 종료된다.
다음에, 도 4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차량이 주행하고 있고, 시프트 레버가 D 레인지로부터 N 레인지로 변경되고, 또한 N 레인지로부터 D 레인지로 변경되는 경우의 타임차트이다. 또한, 도 4는, 시프트 레버가 D 레인지로부터 N 레인지로 변경된 후의 타임차트이다.
시간 t0에 있어서, 시프트 레버가 N 레인지로부터 D 레인지로 변경되면, 피스톤 스트로크 페이즈가 개시된다. 여기서는 진행도는 0%는 아니지만, 통상 제어가 실행된다.
시간 t1에 있어서, 피스톤 스트로크 페이즈가 종료되고, 체결 진행 페이즈가 개시된다. 진행도는 제1 임계값 이상으로 되어 있으므로, 체결 요소(6)의 체결 제어는, 통상 제어로부터 오픈 모드 제어로 변경된다.
시간 t2에 있어서, 체결 진행 페이즈가 종료되고, 체결 종료 페이즈가 개시된다.
시간 t3에 있어서, 지시 유압이 체결 요소(6)의 최대값으로 되면 체결 종료 페이즈가 종료되어, 체결 요소(6)의 체결 제어는 종료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시프트 레버가 N 레인지로부터 D 레인지로 변경된 경우에, N 레인지로부터 D 레인지로 변경되고 나서 타이머가 소정 시간으로 된 후에, 통상 제어로부터 오픈 모드 제어로 전환되는지 여부의 판정을 행한다.
본 실시 형태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출력축에 비틀림이 발생된 상태에서 정차하고 있었던 경우에, 출력축의 비틀림이 해소될 때에 차속 센서로부터 출력된 신호에 기초하여 실제로는 차량이 주행하고 있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차량이 주행하고 있다고 오판정되어, 체결 요소가 오픈 모드 제어로 체결될 우려가 있다.
본 실시 형태를 사용한 경우에는, 비틀림이 발생되어 있었던 경우라도 비틀림이 해소되는 소정 시간 경과 후에 판정을 행함으로써, 이러한 오판정을 방지할 수 있어, 차량이 정차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오픈 모드 제어가 실행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는, 시프트 레버가 비주행 레인지로부터 주행 레인지로 변경된 경우의 제어가 제1 실시 형태와 다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시프트 레버가 비주행 레인지로부터 주행 레인지로 변경된 경우의 제어에 대해 도 5의 흐름도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스텝 S200에서는, 컨트롤러(10)는, 인히비터 스위치(14)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시프트 레버가 N 레인지로부터 D 레인지로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컨트롤러(10)는, 시프트 레버가 N 레인지로부터 D 레인지로 변경된 경우에는 스텝 S201로 진행하고, 시프트 레버가 N 레인지로부터 D 레인지로 변경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205로 진행한다.
스텝 S201에서는, 컨트롤러(10)는, 통상 제어에 의해 체결 요소(6)에 유압을 공급한다.
스텝 S202에서는, 컨트롤러(10)는, 자동 변속기(3)의 상태를 나타내는 물리량인 체결 요소(6)의 피스톤 스트로크량을 산출하여, 피스톤 스트로크량이 소정량 이상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피스톤 스트로크량은, 미리 실험 등에 의해 정한 체결 요소(6)로의 지시 유압과 피스톤 스트로크 속도의 맵에 기초하여 산출된다. 피스톤 스트로크 속도는 지시 유압이 커질수록 커진다. 피스톤 스트로크량은, 스텝 S202의 판정 주기마다의 지시 유압에 대한 피스톤 스트로크 속도를 적산함으로써 산출된다. 소정량은, 피스톤 스트로크가 완료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는 양이다. 컨트롤러(10)는, 피스톤 스트로크량이 소정량 이상으로 된 경우에는 스텝 S203으로 진행하고, 피스톤 스트로크량이 소정량으로 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201로 복귀하여, 상기 제어를 반복한다.
스텝 S203 이후의 제어는 제1 실시 형태의 스텝 S103과 동일한 제어이므로, 여기서의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스트로크 센서 등을 사용하여 피스톤 스트로크량을 산출해도 좋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의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피스톤 스트로크량에 기초하여 통상 제어로부터 오픈 모드 제어로 전환되는지 여부의 판정을 행함으로써, 공통의 제어 방법인 피스톤 스트로크가 완료된 후에, 차량이 주행하고 있는 경우에는 통상 제어로부터 오픈 모드 제어로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는, 시프트 레버가 비주행 레인지로부터 주행 레인지로 변경된 경우의 제어가 제1 실시 형태와 다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시프트 레버가 비주행 레인지로부터 주행 레인지로 변경된 경우의 제어에 대해 도 6의 흐름도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스텝 S300에서는, 컨트롤러(10)는, 인히비터 스위치(14)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시프트 레버가 N 레인지로부터 D 레인지로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컨트롤러(10)는, 시프트 레버가 N 레인지로부터 D 레인지로 변경된 경우에는, 타이머에 의해 시프트 레버가 N 레인지로부터 D 레인지로 변경된 후의 시간의 계측을 개시하여 스텝 S301로 진행하고, 시프트 레버가 N 레인지로부터 D 레인지로 변경 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305로 진행한다.
스텝 S301에서는, 컨트롤러(10)는, 통상 제어에 의해 체결 요소(6)에 유압을 공급한다.
스텝 S302에서는, 컨트롤러(10)는, 자동 변속기(3)의 상태를 나타내는 물리량인 출력축 회전 센서(13)로부터의 신호, 및 타이머의 값에 기초하여 차속이 소정 차속 이상으로 되는 상태가 소정 시간(제2 소정 시간) 계속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소정 차속은, 차량이 주행하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는 차속이다. 소정 시간은, 출력축(5)의 회전이 출력축(5)의 비틀림이 해소된 것에 기초하는 회전이 아니라고 판단할 수 있는 시간이다. 컨트롤러(10)는, 차속이 소정 차속 이상으로 되는 상태가 소정 시간 계속된 경우에는 차량이 주행하고 있다고 판정하여, 스텝 S303으로 진행한다.
스텝 S303 이후의 제어는 제1 실시 형태의 스텝 S103과 동일한 제어이므로, 여기서의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차속 센서로부터의 신호수가 소정수 이상으로 되었을 때에, 출력축(5)의 비틀림에 의한 회전이 아니라, 차량이 주행하고 있다고 판정해도 좋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의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출력축(5)의 비틀림이 확실하게 해소되는 시간이 경과된 후에, 통상 제어, 또는 오픈 모드 제어를 선택할 수 있어, 차량이 정차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오픈 모드 제어가 실행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는, 시프트 레버가 비주행 레인지로부터 주행 레인지로 변경된 경우의 제어가 제1 실시 형태와 다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시프트 레버가 비주행 레인지로부터 주행 레인지로 변경된 경우의 제어에 대해 도 7의 흐름도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스텝 S400에서는, 컨트롤러(10)는, 인히비터 스위치(14)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시프트 레버가 N 레인지로부터 D 레인지로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컨트롤러(10)는, 시프트 레버가 N 레인지로부터 D 레인지로 변경된 경우에는 스텝 S401로 진행하고, 시프트 레버가 N 레인지로부터 D 레인지로 변경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405로 진행한다.
스텝 S401에서는, 컨트롤러(10)는, 통상 제어에 의해 체결 요소(6)에 유압을 공급한다.
스텝 S402에서는, 컨트롤러(10)는, 자동 변속기(3)의 상태를 나타내는 물리량인 체결 요소(6)로의 지시 유압이 소정 유압 이상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소정 유압은, 피스톤 스트로크 제어중이라고 판정할 수 있는 유압이다. 컨트롤러(10)는, 지시 유압이 소정 유압 이상으로 된 경우에는 스텝 S403으로 진행하고, 지시 유압이 소정 유압보다도 낮은 경우에는 스텝 S401로 복귀하여 상기 제어를 반복한다.
스텝 S403 이후의 제어는 제1 실시 형태의 스텝 S103과 동일한 제어이므로 여기서의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지시 유압에 기초하여 판정을 행하였지만, 유압 센서 등에 의해 체결 요소(6)에 공급되고 있는 유압을 검출하여, 검출된 유압에 기초하여 판정을 행해도 된다. 또한, 시프트 레버가 N 레인지로부터 D 레인지로 변경되고 나서 소정 시간 경과 후의 유압에 기초하여 판정을 행해도 된다.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의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체결 요소(6)로의 지시 유압에 기초해도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상기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의 적용예 일부를 기재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상기 실시 형태의 구체적 구성에 한정하는 취지가 아니다.
제1 오픈 모드 조건이 성립되는지 여부의 판정에 진행도를 사용하였지만, 차속이 임계 차속 이상으로 된 경우에 통상 제어로부터 오픈 모드 제어로 변경해도 된다.
본원은 2011년 11월 18일에 일본 특허청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1-253169에 기초하는 우선권을 주장하고, 이 출원의 모든 내용은 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Claims (8)

  1. 자동 변속기의 제어 장치이며,
    시프트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 수단과,
    차속을 검출하는 차속 검출 수단과,
    상기 자동 변속기의 입력 회전수를 검출하는 회전수 검출 수단과,
    상기 시프트 위치가 주차 위치 또는 중립 위치로부터 주행 위치로 전환된 경우에, 상기 자동 변속기의 상태를 나타내는 물리량이 소정값 이상으로 된 후에, 상기 자동 변속기의 입력 회전수에 기초하여 체결 요소로의 공급 유압을 제어하는 정지시 제어로부터 상기 자동 변속기의 입력 회전수를 사용하지 않고 상기 체결 요소로의 공급 유압을 제어하는 주행시 제어로의 전환 판정을 상기 차속에 기초하여 행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물리량은, 상기 시프트 위치가 상기 주차 위치 또는 상기 중립 위치로부터 상기 주행 위치로 전환된 후의 경과 시간이며,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경과 시간이 제1 소정 시간 이상으로 된 후에 상기 정지시 제어로부터 상기 주행시 제어로의 전환 판정을 행하는, 자동 변속기의 제어 장치.
  2. 자동 변속기의 제어 장치이며,
    시프트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 수단과,
    차속을 검출하는 차속 검출 수단과,
    상기 자동 변속기의 입력 회전수를 검출하는 회전수 검출 수단과,
    상기 시프트 위치가 주차 위치 또는 중립 위치로부터 주행 위치로 전환된 경우에, 상기 자동 변속기의 상태를 나타내는 물리량이 소정값 이상으로 된 후에, 상기 자동 변속기의 입력 회전수에 기초하여 체결 요소로의 공급 유압을 제어하는 정지시 제어로부터 상기 자동 변속기의 입력 회전수를 사용하지 않고 상기 체결 요소로의 공급 유압을 제어하는 주행시 제어로의 전환 판정을 상기 차속에 기초하여 행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물리량은, 상기 체결 요소를 체결하는 유압 액추에이터의 피스톤 스트로크량이며,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피스톤 스트로크량이 소정량 이상으로 된 후에 상기 정지시 제어로부터 상기 주행시 제어로의 전환 판정을 행하는, 자동 변속기의 제어 장치.
  3. 자동 변속기의 제어 장치이며,
    시프트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 수단과,
    차속을 검출하는 차속 검출 수단과,
    상기 자동 변속기의 입력 회전수를 검출하는 회전수 검출 수단과,
    상기 시프트 위치가 주차 위치 또는 중립 위치로부터 주행 위치로 전환된 경우에, 상기 자동 변속기의 상태를 나타내는 물리량이 소정값 이상으로 된 후에, 상기 자동 변속기의 입력 회전수에 기초하여 체결 요소로의 공급 유압을 제어하는 정지시 제어로부터 상기 자동 변속기의 입력 회전수를 사용하지 않고 상기 체결 요소로의 공급 유압을 제어하는 주행시 제어로의 전환 판정을 상기 차속에 기초하여 행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물리량은, 상기 차속 검출 수단이 출력하는 신호의 계속 시간 또는 상기 차속 검출 수단이 출력하는 신호의 신호수이며,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신호수가 소정수 이상으로 된 후, 또는 상기 신호수에 기초하여 검출되는 차속이 소정 차속 이상으로 되는 상태가 제2 소정 시간 계속된 후에 상기 정지시 제어로부터 상기 주행시 제어로의 전환 판정을 행하는, 자동 변속기의 제어 장치.
  4. 자동 변속기의 제어 장치이며,
    시프트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 수단과,
    차속을 검출하는 차속 검출 수단과,
    상기 자동 변속기의 입력 회전수를 검출하는 회전수 검출 수단과,
    상기 시프트 위치가 주차 위치 또는 중립 위치로부터 주행 위치로 전환된 경우에, 상기 자동 변속기의 상태를 나타내는 물리량이 소정값 이상으로 된 후에, 상기 자동 변속기의 입력 회전수에 기초하여 체결 요소로의 공급 유압을 제어하는 정지시 제어로부터 상기 자동 변속기의 입력 회전수를 사용하지 않고 상기 체결 요소로의 공급 유압을 제어하는 주행시 제어로의 전환 판정을 상기 차속에 기초하여 행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물리량은, 상기 체결 요소로의 공급 유압, 또는 지시 유압이며,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공급 유압 또는 상기 지시 유압이 소정 유압보다도 높아진 후에 상기 정지시 제어로부터 상기 주행시 제어로의 전환 판정을 행하는, 자동 변속기의 제어 장치.
  5. 자동 변속기의 제어 방법으로서, 시프트 위치가 주차 위치 또는 중립 위치로부터 주행 위치로 전환된 경우에, 상기 자동 변속기의 상태를 나타내는 물리량이 소정값 이상으로 된 후에, 상기 자동 변속기의 입력 회전수에 기초하여 체결 요소로의 공급 유압을 제어하는 정지시 제어로부터 상기 자동 변속기의 입력 회전수를 사용하지 않고 상기 체결 요소로의 공급 유압을 제어하는 주행시 제어로의 전환 판정을 차속에 기초하여 행하는 자동 변속기의 제어 방법이며,
    상기 물리량은, 상기 시프트 위치가 상기 주차 위치 또는 상기 중립 위치로부터 상기 주행 위치로 전환된 후의 경과 시간이며,
    상기 자동 변속기의 제어 방법은, 상기 경과 시간이 제1 소정 시간 이상으로 된 후에 상기 정지시 제어로부터 상기 주행시 제어로의 전환 판정을 행하는, 자동 변속기의 제어 방법.
  6. 자동 변속기의 제어 방법으로서, 시프트 위치가 주차 위치 또는 중립 위치로부터 주행 위치로 전환된 경우에, 상기 자동 변속기의 상태를 나타내는 물리량이 소정값 이상으로 된 후에, 상기 자동 변속기의 입력 회전수에 기초하여 체결 요소로의 공급 유압을 제어하는 정지시 제어로부터 상기 자동 변속기의 입력 회전수를 사용하지 않고 상기 체결 요소로의 공급 유압을 제어하는 주행시 제어로의 전환 판정을 차속에 기초하여 행하는 자동 변속기의 제어 방법이며,
    상기 물리량은, 상기 체결 요소를 체결하는 유압 액추에이터의 피스톤 스트로크량이며,
    상기 자동 변속기의 제어 방법은, 상기 피스톤 스트로크량이 소정량 이상으로 된 후에 상기 정지시 제어로부터 상기 주행시 제어로의 전환 판정을 행하는, 자동 변속기의 제어 방법.
  7. 자동 변속기의 제어 방법으로서, 시프트 위치가 주차 위치 또는 중립 위치로부터 주행 위치로 전환된 경우에, 상기 자동 변속기의 상태를 나타내는 물리량이 소정값 이상으로 된 후에, 상기 자동 변속기의 입력 회전수에 기초하여 체결 요소로의 공급 유압을 제어하는 정지시 제어로부터 상기 자동 변속기의 입력 회전수를 사용하지 않고 상기 체결 요소로의 공급 유압을 제어하는 주행시 제어로의 전환 판정을 차속에 기초하여 행하는 자동 변속기의 제어 방법이며,
    상기 물리량은, 상기 차속을 검출하는 차속 검출 수단이 출력하는 신호의 계속 시간 또는 상기 차속 검출 수단이 출력하는 신호의 신호수이며,
    상기 자동 변속기의 제어 방법은, 상기 신호수가 소정수 이상으로 된 후, 또는 상기 신호수에 기초하여 검출되는 차속이 소정 차속 이상으로 되는 상태가 제2 소정 시간 계속된 후에 상기 정지시 제어로부터 상기 주행시 제어로의 전환 판정을 행하는, 자동 변속기의 제어 방법.
  8. 자동 변속기의 제어 방법으로서, 시프트 위치가 주차 위치 또는 중립 위치로부터 주행 위치로 전환된 경우에, 상기 자동 변속기의 상태를 나타내는 물리량이 소정값 이상으로 된 후에, 상기 자동 변속기의 입력 회전수에 기초하여 체결 요소로의 공급 유압을 제어하는 정지시 제어로부터 상기 자동 변속기의 입력 회전수를 사용하지 않고 상기 체결 요소로의 공급 유압을 제어하는 주행시 제어로의 전환 판정을 차속에 기초하여 행하는 자동 변속기의 제어 방법이며,
    상기 물리량은, 상기 체결 요소로의 공급 유압, 또는 지시 유압이며,
    상기 자동 변속기의 제어 방법은, 상기 공급 유압 또는 상기 지시 유압이 소정 유압보다도 높아진 후에 상기 정지시 제어로부터 상기 주행시 제어로의 전환 판정을 행하는, 자동 변속기의 제어 방법.
KR1020147015864A 2011-11-18 2012-10-04 자동 변속기의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6015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253169 2011-11-18
JP2011253169 2011-11-18
PCT/JP2012/075820 WO2013073309A1 (ja) 2011-11-18 2012-10-04 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1360A KR20140101360A (ko) 2014-08-19
KR101601576B1 true KR101601576B1 (ko) 2016-03-08

Family

ID=48429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5864A KR101601576B1 (ko) 2011-11-18 2012-10-04 자동 변속기의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028356B2 (ko)
EP (1) EP2781804B1 (ko)
JP (1) JP5836390B2 (ko)
KR (1) KR101601576B1 (ko)
CN (1) CN103946602B (ko)
WO (1) WO201307330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0420B1 (ko) * 2011-11-30 2014-02-11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차량의 오일펌프 제어방법
CN106958651B (zh) * 2017-04-01 2018-12-21 重庆大学 一种机械式刚柔换挡装置
JP7128642B2 (ja) * 2018-04-04 2022-08-31 ナブテスコ株式会社 油圧駆動装置
CN109139899B (zh) * 2018-08-14 2020-09-11 吉利汽车研究院(宁波)有限公司 一种换挡装置、方法及车辆
CN110985662A (zh) * 2020-02-28 2020-04-10 盛瑞传动股份有限公司 一种防止自动变速器离合器故障的控制方法
CN114893310A (zh) * 2022-04-24 2022-08-12 潍柴动力股份有限公司 发动机保护控制方法、装置及电子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97688A (ja) 2001-09-26 2003-04-03 Jatco Ltd 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
US7463952B2 (en) 2004-10-13 2008-12-09 Continental Automotive France Method and device for processing measurement signals from a movement sensor on board a motor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24878A1 (de) * 1988-01-20 1989-07-26 Csepel Autogyár Verfahren und Einrichtung zum sicherheitsvollen Anfahren und energiesparenden Parken von mit elektrohydraulisch gesteuertem hydromechanischen automatischen Wechselgetriebe ausgestatteten Strassenkraftfahrzeugen
US5046178A (en) * 1990-01-11 1991-09-03 General Motors Corporation Control method for automatic transmission garage shifts
JP2917666B2 (ja) * 1992-05-18 1999-07-12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車両用自動変速機の変速制御方法
JP3479180B2 (ja) * 1995-04-17 2003-12-1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変速機の変速制御装置
US5655993A (en) 1995-04-17 1997-08-12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Shift control apparatus for an automatic transmission
JP2002039366A (ja) * 2000-07-31 2002-02-06 Toyota Motor Corp 車両用変速機の制御装置
JP4193965B2 (ja) * 2001-01-11 2008-12-10 ジヤトコ株式会社 自動変速機の変速制御装置
JP4306132B2 (ja) * 2001-02-22 2009-07-29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副変速機の切換制御装置及び切換制御方法
FR2823351B1 (fr) * 2001-04-04 2003-07-18 Siemens Automotive Sa Dispositif de transmission de mesures d'un capteur vers une unite centrale
JP2003106437A (ja) * 2001-09-28 2003-04-09 Jatco Ltd 自動変速機の変速制御装置
JP4603600B2 (ja) * 2008-06-06 2010-12-22 ジヤトコ株式会社 自動変速機の油圧制御装置
JP5071422B2 (ja) * 2009-03-25 2012-11-1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シフト制御装置
JP4852130B2 (ja) * 2009-07-17 2012-01-11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無段変速機の制御装置
JP5266158B2 (ja) * 2009-08-03 2013-08-2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変速機の制御装置
JP2011099530A (ja) * 2009-11-09 2011-05-19 Hino Motors Ltd 機械式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及び同期開始タイミング取得装置
US8386132B2 (en) * 2010-01-11 2013-02-26 Chrysler Group Llc Manual transmission neutral switch diagnostic and movement prevention method and system
JP5406744B2 (ja) * 2010-01-21 2014-02-05 株式会社クボタ 作業車の車速制御構造
US9086949B2 (en) * 2011-02-14 2015-07-21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Control device for vehicl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97688A (ja) 2001-09-26 2003-04-03 Jatco Ltd 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
US7463952B2 (en) 2004-10-13 2008-12-09 Continental Automotive France Method and device for processing measurement signals from a movement sensor on board a motor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946602A (zh) 2014-07-23
CN103946602B (zh) 2016-06-08
KR20140101360A (ko) 2014-08-19
JP5836390B2 (ja) 2015-12-24
US20140349816A1 (en) 2014-11-27
JPWO2013073309A1 (ja) 2015-04-02
EP2781804A4 (en) 2017-03-15
WO2013073309A1 (ja) 2013-05-23
EP2781804B1 (en) 2017-12-20
EP2781804A1 (en) 2014-09-24
US9028356B2 (en) 2015-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1576B1 (ko) 자동 변속기의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4214405B2 (ja) 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
CN103998830B (zh) 自动变速器的控制装置
JP4972566B2 (ja) 自動変速機の制御方法及び制御装置
JP2006069267A (ja) 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
JP5217294B2 (ja) 車両の制御装置、制御方法およびその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現させるプログラムならびに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6359108B2 (ja) 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
JP4743289B2 (ja) 車両用駆動装置の制御装置
EP2781795B1 (en) Automatic transmission and method for control at takeoff of same
JP2010169162A (ja) 車両の制御装置
KR101629591B1 (ko) 자동 변속기의 제어 장치
KR101793075B1 (ko) 자동 변속기의 변속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273216B1 (ko) 자동 변속기의 유압 제어 방법
JP2010007767A (ja) 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
JP5407985B2 (ja) 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
KR101602590B1 (ko) 자동 변속기의 제어 장치
KR101114459B1 (ko) 자동변속기용 파워 오프 다운 시프트 제어방법
CN108027051A (zh) 自动变速器的控制装置及自动变速器的控制方法
JP2008014254A (ja) 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
JP2008309066A (ja) 車両の制御装置
JP2020094654A (ja) 学習制御装置及び学習制御方法
KR20120068384A (ko) 토크 컨버터 클러치의 제어에 대한 학습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JP2009014130A (ja) 自動変速機および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