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4675B1 - 판재 반송 시스템 - Google Patents

판재 반송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4675B1
KR101564675B1 KR1020147011849A KR20147011849A KR101564675B1 KR 101564675 B1 KR101564675 B1 KR 101564675B1 KR 1020147011849 A KR1020147011849 A KR 1020147011849A KR 20147011849 A KR20147011849 A KR 20147011849A KR 101564675 B1 KR101564675 B1 KR 1015646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livery device
sheet material
conveying
plate glass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18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85482A (ko
Inventor
모리마사 쿠게
히데유키 타나카
카즈노리 타카하라
케이지 츠지타
Original Assignee
카와사키 주코교 카부시키 카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와사키 주코교 카부시키 카이샤 filed Critical 카와사키 주코교 카부시키 카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854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54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46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46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 B65G49/063Transporting devices for sheet glass
    • B65G49/064Transporting devices for sheet glass in a horizontal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 B65G49/063Transporting devices for sheet glass
    • B65G49/064Transporting devices for sheet glass in a horizontal position
    • B65G49/065Transporting devices for sheet glass in a horizontal position supported partially or completely on fluid cushions, e.g. a gas cush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6Mechanical details, e.g. roller, bel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36Loading to or unloading from a convey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49/00Aspects relating to conveying systems for the manufacture of fragile sheets
    • B65G2249/04Arrangements of vacuum systems or suction cu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49/00Aspects relating to conveying systems for the manufacture of fragile sheets
    • B65G2249/04Arrangements of vacuum systems or suction cups
    • B65G2249/045Details of suction cups suction cu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 Delivering By Means Of Belts And Roll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판재 반송 시스템(100)은 제1 송출 장치(10)에서 제2 송출 장치(11)로 판재(101)가 전달되기 전에 있어서는 제1 송출 장치(10)는 반송부(20)와 가압부(40)의 유체(104)에 의해 판재(101)를 사이에 두도록 유지하면서 반송하는 동시에 제2 송출 장치(11)의 반송부(20)는 판재(101)와 접촉하지 않도록 하고, 제1 송출 장치(10)에서 제2 송출 장치(11)로 판재(101)가 전달된 후에 있어서는 제2 송출 장치(11)는 반송부(20)와 가압부(40)의 유체(104)에 의해 판재(101)를 사이에 두도록 유지하면서 반송하는 동시에 제1 송출 장치(10)의 반송부(20)는 판재(101)와 접촉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판재 반송 시스템{BOARD MATERIAL TRANSFER SYSTEM}
본 발명은 판재를 반송하는 판재 반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판재 반송 시스템으로는 판재의 양면을 협지 부재로 파지하고, 그 협지 부재의 이동에 따라 판재를 반송하도록 구성된 것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3 참조). 하지만, 예를 들면, TFT(박막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에 사용하는 판유리(판재)의 가공 라인 등에서는 일측면에 접촉하지 않고 판유리를 반송할 수 있는 반송 시스템이 요구된다. 왜냐하면, 액정 디스플레이용 판유리는 일측면에 반도체 등의 박막층이 형성되기 때문에, 그 면에서는 미세한 흠집조차도 허용할 수 없기 때문이다(이하에서는 이와 같이 정밀한 가공이 실시되는 면을 "정밀면"이라고 칭한다).
일본특허공개공보 평6-126583호 일본특허공개공보 소53-71396호 일본특허공개공보 소55-129753호
따라서, 출원인은 반송하는 판재 중 정밀면의 후측에 해당하는 면(이하, "보통면"이라고 칭한다)을 반송용 벨트에 접촉시키는 한편, 정밀면에는 유체압을 가하도록 구성된 반송 시스템을 검토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판유리의 정밀면에 기계류가 접촉하지 않고도 판유리를 안정적으로 반송할 수 있다.
이 반송 시스템에서는 판재의 가공을 하는 스테이지의 사이에서 또는 동일한 스테이지 내에서 상기 벨트가 분할되어 있고, 그 경계 부분에서는 분할된 전후의 벨트에 의해 판재의 전달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시스템에서는 분할된 벨트마다 반송 속도를 변경할 수 있다면 가공의 사이클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하지만, 전달이 되기 전후의 벨트 반송 속도가 다르면, 전달시 판재는 어느 하나의 벨트 위를 미끄러지게 된다. 만일, 판재의 미끄러짐이 발생하면 판재 반송 속도를 정확하게 제어할 수 없게 되어 오히려 사이클 시간의 단축에는 역효과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판재 전달시 판재가 미끄러지지 않는 판재 반송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판재 반송 시스템은 제1 송출 장치와 제2 송출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송출 장치에서 상기 제2 송출 장치로 판재가 전달되는 판재 반송 시스템이며, 상기 제1 송출 장치 및 상기 제2 송출 장치는 각각 상기 판재의 일측면에 접촉하고 상기 판재를 반송 방향으로 보내는 반송부와, 상기 판재의 타측 면에 유체에 의한 수직 방향의 압력을 가하여 상기 판재를 상기 반송 부를 향하여 가압할 수 있는 가압부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제1 송출 장치에서 상기 제2 송출 장치로 상기 판재가 전달되기 전에 있어서, 상기 제1 송출 장치는 반송부와 상기 가압부의 유체에 의해 상기 판재를 사이에 두도록 유지하면서 반송하는 동시에 상기 제2 송출 장치의 반송부는 상기 판재와 접촉하지 않도록 하고, 상기 제1 송출 장치에서 상기 제2 송출 장치로 상기 판재가 전달된 후에 있어서, 상기 제2 송출 장치는 반송부와 상기 가압부의 유체에 의해 상기 판재를 사이에 두도록 유지하면서 반송하는 동시에 상기 제1 송출 장치의 반송부는 상기 판재와 접촉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제1 송출 장치에서 제2 송출 장치로 판재가 전달되기 전에 있어서, 제2 송출 장치의 반송부는 판재와 접촉하지 않고, 제1 송출 장치에서 제2 송출 장치로 전달된 후에 있어서, 제1 송출 장치의 반송부는 판재와 접촉하지 않게 된다. 그 때문에, 판재 전달 전후에 있어서, 판재가 제1 송출 장치와 제2 송출 장치 모두에 의해 동시에 반송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판재 반송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 송출 장치 및 상기 제2 송출 장치는 각각 상기 반송부 측에서 상기 판재의 상기 일측면에 수직 방향의 힘을 가하여 상기 판재를 띄우도록 하여 상기 반송부와 접촉하지 않도록 하는 부양부를 더 구비하도록 구성하여도 된다.
또한, 상기 판재 반송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부양부는 상기 판재의 상기 일측면에 유체에 의해 수직 방향의 압력을 가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도 된다.
또한, 상기 판재 반송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부양부는 상기 판재의 상기 일측면과의 사이에 유체막을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도 된다.
또한, 상기 판재 반송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부양부는 상기 판재의 상기 일측면에 접촉하는 지지 롤러와, 그 지지 롤러를 상기 판재에 가압하는 가압 부재를 가지며, 상기 지지 롤러를 통하여 상기 판재의 상기 일측면에 수직 방향의 힘을 가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도 된다.
또한, 상기 판재 반송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 송출 장치의 반송부는 상기 제2 송출 장치 측의 단부가 이것과는 반대되는 측의 단부를 지점으로 하여 상기 판재와 접촉하지 않게 구동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송출 장치의 반송부는 상기 제1 송출 장치 측의 단부가 이것과는 반대되는 측의 단부를 지점으로 하여 상기 판재와 접촉하지 않게 구동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상기 판재 반송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 송출 장치 및 상기 제2 송출 장치의 반송부는 전체가 상기 판재와 접촉하지 않게 구동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판재 반송 시스템에 따르면, 판재 전달 전후에 있어서, 판재가 제1 송출 장치와 제2 송출 장치에 의해 동시에 반송되지 않는다. 그 때문에, 판재 전달시 판재가 미끄러지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반송 시스템의 우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Ⅲ-Ⅲ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낸 가압부의 저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반송 시스템의 판유리를 반송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제1 송출 장치와 제2 송출 장치의 경계 부근의 확대 우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반송 시스템의 종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반송 시스템의 종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반송 시스템의 판유리를 반송하는 동작을 나타낸 우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반송 시스템의 판유리를 반송하는 동작을 나타낸 우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모든 도면에 걸쳐 동일하거나 상응하는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판재 반송 시스템은 정밀면과 보통면을 가진 판유리(판재)를 반송하는 것으로 한다.
(제1 실시예)
먼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반송 시스템(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반송 시스템(100)의 우측면도이며(유체 가이드부(60)를 생략), 도 2는 도 1의 Ⅱ-Ⅱ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에 있어서, 지면 좌측에서 우측으로 향하는 방향이 판유리(101)의 반송 방향(이하, "반송 방향"이라고 칭한다)이고, 도 2에 있어서, 지면 바로 앞에서 안쪽으로 향하는 방향이 반송 방향이다. 또한, 이하에서는 "우측"이라고 할 때는 반송 방향을 향해서 우측을 지칭하고, "좌측"이라고 할 때는 반송 방향을 향해서 좌측을 지칭하는 것으로 한다.
반송 시스템(100)은 판유리(101)를 반송하는 장치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반송 시스템(100)은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는 제1 송출 장치(10)와 제2 송출 장치(11)를 구비하고 있다. 반송 대상인 판유리(101)는 상류 측에 위치하는 제1 송출 장치(10)에서 하류 측에 위치하는 제2 송출 장치(11)로 전달된다. 이 제1 송출 장치(10)와 제2 송출 장치(11)는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래서, 이하에서는 제1 송출 장치(10)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 제2 송출 장치(11)에 대해서는 필요한 범위에서 설명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송출 장치(10)는 반송부(20), 가압부(40), 부양부(50) 및 유체 가이드부(60)를 갖고 있다.
반송부(20)는 판유리(101)를 반송 방향으로 보내는 장치이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송부(20)는 무단 벨트(21), 벨트 받침 부재(22), 좌단 가이드 부재(23) 및 우단 가이드 부재(24)에 의해 주로 구성되어 있다.
무단 벨트(21)는 고리형으로 형성된 벨트이며, 반송 방향의 전후에 위치하는 2개의 구동 풀리(25)에 의해 구동된다. 이 무단 벨트(21)는 판유리(101)의 보통면(103)(하면)에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판유리(101)에 접촉한 구동 풀리(25)가 회전 구동함으로써 판유리(101)를 반송 방향으로 보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무단 벨트(21)는 고무제의 고무 벨트부(26)와 금속제의 금속 벨트부(27)에 의해 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층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 중에서, 고무 벨트부(26)는 무단 벨트(21)의 외부 표면 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판유리(101)에 접한다. 또한, 고무 벨트부(26)의 외부 표면에는 벨트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유체 배출 홈(28)이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금속 벨트부(27)는 무단 벨트(21)의 내부 표면 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구동 풀리(25)에 접한다. 금속 벨트부(27)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무 벨트부(26)보다 벨트 폭(좌우 방향 치수)이 조금 크고, 우단 및 좌단이 각각 고무 벨트부(26)의 우단 및 좌단보다 좌우 방향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벨트 받침 부재(22)는 무단 벨트(21)를 지지하는 부재이다. 벨트 받침 부재(22)는 반송 방향으로 연장되는 판형의 형상을 가지고 있다. 벨트 받침 부재(22)는 무단 벨트(21)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판유리(101)가 통과하는 반송로와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즉, 벨트 받침 부재(22)는 무단 벨트(21)를 사이에 두고 판유리(101)의 반송로와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벨트 받침 부재(22)에는 무단 벨트(21)에 접하는 평면형의 벨트 받침 면(29)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벨트 받침 면(29)의 표면을 무단 벨트(21)가 슬라이딩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벨트 받침 부재(22)에 따르면, 평면형의 벨트 받침 면(29)으로 무단 벨트(21)를 지지하기 때문에, 예를 들어 롤러 등으로 받쳤을 경우 등에 발생하는 무단 벨트(21)가 벨트 면과 수직 방향으로 울렁거리는 현상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판유리(101)를 안정적으로 반송할 수 있다.
좌단 가이드 부재(23)는 무단 벨트(21)가 좌측으로 변위하는 것을 억제하는 부재이다. 좌단 가이드 부재(23)는 반송 방향으로 직행하는 방향을 회전축 방향으로서 회전하는 롤러이다. 좌단 가이드 부재(23)는 판유리(101)의 반송로를 따라 그 근방에 복수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좌단 가이드 부재(23)는 무단 벨트(21)의 좌측에 위치하며, 금속 벨트부(27)의 좌단을 지지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좌단 가이드 부재(23)는 롤러이지만, 좌단 가이드 부재(23)는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좌단 가이드 부재(23)는 롤러 대신에 반송 방향으로 연장되는 판형의 부재이어도 된다.
우단 가이드 부재(24)는 무단 벨트(21)가 우측으로 변위하는 것을 억제하는 부재이다. 우단 가이드 부재(24)는 반송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회전축 방향으로서 회전하는 롤러이다. 우단 가이드 부재(24)는 좌단 가이드 부재(23)와 쌍을 이루도록 하며, 판유리(101)의 반송로 근방에 복수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우단 가이드 부재(24)는 무단 벨트(21)의 우측에 위치하며, 금속 벨트부(27)의 우단과 접촉하여 있다. 또한, 우단 가이드 부재(24)에는 스프링(30)에 의해 무단 벨트(21)를 향하는 좌향 힘이 가해져 있다. 이 구성에 따라, 우단 가이드 부재(24)는 항상 무단 벨트(21)에 접한 상태가 된다. 우단 가이드 부재(24)는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추고 있기 때문에 무단 벨트(21)를 좌측으로 눌러 무단 벨트(21)가 오른쪽으로 변위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가압부(40)는 판유리(101)에 수직 방향의 유체 압력을 가하는 장치이다. 또한, 판유리(101)에 유체 압력을 가할 때에 사용하는 유체(이하, "가압 유체"라고 칭한다)(104)는 본 실시예에서는 물로 한다. 다만, 가압 유체(104)는 세정액 이어도 좋고, 다른 액체이어도 좋고, 공기 등의 기체이어도 좋다. 가압부(40)는 판유리(101)를 개재하고 무단 벨트(21)에 대향하도록 반송 방향을 따라 복수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도 3은 도 1의 Ⅲ-Ⅲ 화살표 방향으로 본 단면도이고(구동 풀리(25)를 생략), 도 4는 가압부(40)의 저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압부(40)는 원주형의 유입측 부재(41)와 직사각형 판형의 유출측 부재(42)에 의해 주로 구성되어 있다.
유입측 부재(41)는 가압 유체(104)의 입구가 되는 부재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입측 부재(41)의 내부에는 유출측 부재(42)와는 반대되는 측의 단면에 개구되는 입구 유로(43)가 형성되어 있다. 이 입구 유로(43)에는 도시하지 않은 유체 공급 장치가 연결되어 있으며, 이 입구 유로(43)를 통하여 유입측 부재(41)의 내부에 가압 유체(104)가 공급된다. 또한, 유입측 부재(41)의 내부에는 유출측 부재(42) 측의 단면에 개구되는 유체 저류조(44)가 형성되어 있다. 이 유체 저류조(44)는 입구 유로(43)에서 유입된 가압 유체(104)를 일단 모아 둘 수 있다. 그 때문에, 예를 들어 입구 유로(43)에 공급되는 가압 유체(104)의 압력이 변동하는 경우이어도 이 유체 저류조(44)를 개재함으로써 압력 변동량을 줄인 상태로 가압 유체(104)를 유출측 부재(42)에 공급할 수 있다. 즉, 유체 저류조(44)는 댐퍼(damper)로서 기능하고 있다.
유출측 부재(42)는 가압 유체(104)를 판유리(101)에 방출하는 부재이다. 유출측 부재(42)는 유입측 부재(41)보다 판유리(101)의 반송로에 가까운 부분에 위치하며 유입측 부재(41)에 연결되어 있다. 유출측 부재(42)의 내부에는 유입측 부재(41) 측의 면에 개구되는 중간 유로(45)가 형성되어 있다. 중간 유로(45)는 소경부(46)와, 소경부(46)보다 직경이 큰 대경부(47)로 구성되어 있다. 이로써 유입측 부재(41)의 유체 저류조(44)를 통과한 가압 유체(104)는 소경부(46), 대경부(47)의 순서로 이것들의 내부를 흐른다. 유출측 부재(42)에는 판유리(101)의 반송로 측에 개구되는 방출 개구부(48)가 형성되어 있다. 방출 개구부(48)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판유리(101)의 반송로 측에서 볼 때 대략 직사각형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중간 유로(45)를 통과한 가압 유체(104)는 방출 개구부(48)에 유입되고 판유리(101)의 정밀면(102)으로 방출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유출측 부재(42)는 가압부(40)마다 각각 독립적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이것들을 일체로 형성하여도 된다.
상기 구성을 구비한 가압부(40)는 반송되는 판유리(101)와의 사이에 작은 틈새가 생기도록 배치되어 있다(도 3에서는 발명을 이해하기 쉽도록 틈새를 크게 그리고 있다). 이와 같이 배치함으로써, 가압부(40)에서 방출된 가압 유체(104)가 가압부(40)와 판유리(101) 사이의 작은 틈새를 통해서 가압부(40)의 외부로 유출하게 된다. 이로써 가압부(40)와 판유리(101) 사이에 가압 유체(104)의 막이 생긴다. 그 때문에, 가압부(40)는 판유리(101)에 접촉하지 않고 이 가압 유체(104)의 압력에 의해 판유리(101)를 무단 벨트(21)를 향하여 수직 방향으로 누를 수 있다. 또한, 가압부(40)에 의한 판유리(101)에의 하향 힘은 가압부(40)에서 방출하는 가압 유체(104)의 유량을 증감시킴으로써 조정할 수 있다.
부양부(50)는 판유리(101)를 무단 벨트(21)에서 띄워 양자가 접촉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부재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양부(50)는 판유리(101)의 보통면(103) 측이며, 무단 벨트(21)의 좌우 양측에 위치하고, 반송 방향을 따라 복수 배치되어 있다. 각 부양부(50)는 입구 유로(51), 유체 저류조(52), 중간 유로(53) 및 방출 개구부(54)가 형성되어 있다. 이것들은 각각 가압부(40)의 입구 유로(43), 유체 저류조(44), 중간 유로(45) 및 방출 개구부(48)에 대응하고 있으며, 동일한 기능을 한다. 이와 같이, 부양부(50)는 가압부(40)에 가까운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가압부(40)와 마찬가지로 판유리(101)와의 사이에 유체의 막을 형성하고, 또 판유리(101)의 보통면(103)에 수직 방향의 유체 압력을 가할 수 있다.
또한, 가압부(40)의 경우와 달리, 부양부(50)에서 방출되는 가압 유체(104)의 유량은 일정하다. 그 때문에, 판유리(101)를 무단 벨트(21)와 접촉하지 않도록 할지는 부양부(50)가 아니라 가압부(40)의 제어에 따른다. 즉, 가압부(40)에서 방출되는 가압 유체(104)의 유량을 늘려 판유리(101)에 가하는 하향 힘을 늘리면, 가압부(40)로부터의 힘이 부양부(50)로부터의 힘보다 커지고, 그 결과 판유리(101)가 무단 벨트(21)에 밀어붙여진다. 반면에, 가압부(40)에서 방출되는 가압 유체(104)의 유량을 줄여 판유리(101)에 가하는 하향 힘을 줄이면, 가압부(40)로부터의 힘이 부양부(50)로부터의 힘보다 작아지고, 그 결과, 판유리(101)가 상측으로 밀어 올려져 무단 벨트(21)에서 떨어진다.
유체 가이드부(60)는 판유리(101)의 양면에 수직 방향의 유체 압력을 가하여 판유리(101)의 세로 흔들림을 억제하는 장치이다. 이 유체 가이드부(60)는 6개의 유로 관(61)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6개의 유로 관(61)은 판유리(101)의 좌우 양단 근방이며 정밀면(102) 측 및 보통면(103) 측과, 이것들보다 좌우 방향 중앙 측이며 보통면(103) 측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유로 관(61)은 판유리(101)의 반송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유로 관(61) 중 판유리(101)에 대향하는 부분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분사구(62)가 복수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 유로 관(61)의 내부에는 가압 유체인 물이 흐르고 있으며, 그 가압 유체의 압력을 높이면 분사구(62)에서 판유리(101)를 향해 수직 방향으로 가압 유체가 분사된다. 따라서, 유체 가이드부(60)에 의하면, 판유리(101)에 기계류가 접촉하지 않고 그 양면에 가압 유체에 의한 수직 방향의 압력을 가할 수 있어 판유리(101)의 세로 방향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유체 가이드부(60)는 가압 유체를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판유리(101)에 이물질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하고 있다.
지금까지 제1 송출 장치(10)의 각 구성 요소를 설명하였다. 제1 송출 장치(10)는 이상과 같은 구성 요소를 갖추고 있으며, 반송부(20)의 무단 벨트(21)와 가압부(40)의 가압 유체(104)에 의해 판유리(101)를 사이에 두도록 유지하면서 반송 방향으로 반송할 수 있다. 또한, 제1 송출 장치(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가압부(40)에서 방출되는 가압 유체(104)의 유량을 조정함으로써 판유리(101)를 무단 벨트(21)에 밀어붙이거나 무단 벨트(21)와 접촉하지 않도록 하거나 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송출 장치(11)도 제1 송출 장치(10)와 같은 구성을 가지고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고, 가압부(40)에서 방출되는 가압 유체(104)의 유량을 조정함으로써 판유리(101)를 무단 벨트(21)에 밀어붙이거나 무단 벨트(21)와 접촉하지 않도록 하거나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반송 시스템(100)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제1 송출 장치(10)와 제2 송출 장치(11)의 경계 부근의 확대 우측면도이며, 반송 시스템(100)이 판유리(101)를 반송하는 동작을 나타내고 있다. 반송 시스템(100)에서는 제1 송출 장치(10)에서 제2 송출 장치(11)로 판유리(101)를 전달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은 전술한 바와 같다.
먼저, 도 5의 상단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송출 장치(10)에서 제2 송출 장치(11)로 판유리(101)가 전달되기 전에 있어서는 제2 송출 장치(11)는 판유리(101) 중 제2 송출 장치(11) 내에 위치하는 부분을 띄워 무단 벨트(21)와 접촉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이로써 판유리(101)의 일부가 제2 송출 장치(11) 내에 위치하고 있음에도, 판유리(101)는 제1 송출 장치(10)의 반송부(20)에 의해서만 반송된다.
계속하여, 도 5의 중간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판유리(101)의 무게 중심 위치가, 제1 송출 장치(10)와 제2 송출 장치(11)의 경계에 도달하면 판유리(101)는 제1 송출 장치(10)에서 제2 송출 장치(11)로 전달된다(도 5의 중간 도면은 판유리(101)는 제1 송출 장치(10)에서 제2 송출 장치(11)로 전달되기 직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8의 중간 도면 및 도 9의 중간 도면도 마찬가지이다). 도 5의 중간 도면에서는 판유리(101)를 지지하고 있는 부분이 적게도 보이지만 실제로는 판유리(101)의 좌우 양단부 등을 유체 가이드부(60)가 지지하고 있기 때문에 무게에 의해 휘어지지 않는다. 또한, 판유리(101)가 제1 송출 장치(10)에서 제2 송출 장치(11)로 전달되는 타이밍은 상기와 같은 경우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판유리(101)의 무게 중심 위치가 제1 송출 장치(10) 안이나 제2 송출 장치(11) 안에 있을 때에 판유리(101)를 제1 송출 장치(10)에서 제2 송출 장치(11)로 전달하도록 하여도 된다.
계속해서, 도 5의 하단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송출 장치(10)에서 제2 송출 장치(11)로 판유리(101)가 전달된 후에 있어서는 제1 송출 장치(10)는 판유리(101) 중 제1 송출 장치(10) 안에 위치하는 부분을 띄워 무단 벨트(21)에서 떼어 놓는다. 이로써 판유리(10)의 일부가 제1 송출 장치(10) 안에 위치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판유리(101)는 제2 송출 장치(11)의 반송부(20)에 의해서만 반송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반송 시스템(100)에 따르면, 판유리(101)를 제1 송출 장치(10)에서 제2 송출 장치(11)로 전달시 판유리(101)가 두 장치의 무단 벨트(21)에 동시에 접하지 않기 때문에, 만일 제1 송출 장치(10)의 무단 벨트(21)와 제2 송출 장치(11)의 무단 벨트의 반송 속도가 다르더라도 판유리(101)가 어느 하나의 장치 위를 미끄러지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판유리(101)를 전달시 판유리(101)의 일부를 띄우기 때문에 판유리(101)는 부분적으로 만곡된다. 이 때문에, 판유리(101)가 어느 정도 휘는 경우에는 본 실시예의 반송 방법은 유효하다. 예를 들어, 판유리(101)의 두께가 1mm 이하 정도이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반송 시스템(100)은 유효하다.
또한, 제1 송출 장치(10) 및 제2 송출 장치(11)의 반송 속도는 각각 일정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제1 송출 장치(10)에서 제2 송출 장치(11)로 판유리(101)가 전달될 때에는 양자의 반송 속도를 동일하게 하고, 판유리(101)가 제2 송출 장치(11)에 전달된 후에 제2 송출 장치(11)의 반송 속도를 증가시켜도 된다. 이 경우, 제2 송출 장치(11)의 반송 속도를 증가시켰을 때, 판유리(101)의 일부가 제1 송출 장치(10)의 내측에 남아 있었다고 하여도 그 부분이 제1 송출 장치(10) 위를 미끄러지지 않는다.
또한, 이상에서는 부양부(50)에서 방출되는 가압 유체(104)의 유량이 일정하고, 가압부(40)에서 방출되는 가압 유체(104)의 유량이 가변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했지만,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부양부(50)에서 방출되는 가압 유체(104)의 유량을 가변으로 하는 동시에 가압부(40)에서 방출되는 가압 유체(104)의 유량을 일정하게 하고, 부양부(50) 측의 조정에 의해 판유리(101)를 무단 벨트(21)와 접촉시킬지 여부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도 된다.
(제2 실시예)
다음으로,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반송 시스템(2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제2 실시예에 따른 반송 시스템(200)을 구성하는 제1 송출 장치(210)(제2 송출 장치(211))의 단면도이며, 제1 실시예의 도 3에 해당하는 도면이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반송 시스템(200)은 도 3에 나타낸 부양부(50) 대신에 부양부(250)를 구비하고 있는 점에서, 제1 실시예에 따른 반송 시스템(100)과 구성이 다르다. 본 실시예의 부양부(250)는 이른바 제트 노즐(jet nozzle)이며, 선단에서는 고압의 가압 유체(104)가 판유리(101)의 보통면(103)을 향하여 수직으로 분사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로써 판유리(101)는 상향 힘이 가해져 상측으로 밀어 올려져 무단 벨트(21)에서 떨어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부양부(250)로서 제트 노즐을 채용하고 있기 때문에, 부양부(250)와 판유리(101)의 거리가 비교적 큰 경우이어도 판유리(101)에 상향 힘을 가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부양부(250)와 판유리(101)의 거리의 설정을 넓은 범위에서 실시할 수 있다.
(제3 실시예)
다음으로,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반송 시스템(3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제2 실시예에 따른 반송 시스템(300)을 구성하는 제1 송출 장치(310)(제2 송출 장치(311))의 단면도이며, 제1 실시예의 도 3에 해당하는 도면이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반송 시스템(300)은 도 3에 나타낸 부양부(50) 대신에 부양부(350)를 구비하고 있는 점에서 제1 실시예에 따른 반송 시스템(100)과 구성이 다르다. 본 실시예의 부양부(350)는 판유리(101)에 접촉하는 지지 롤러(351)와, 좌우 방향을 회전축으로서 이 지지 롤러를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는 유지 부재(352)와, 이 유지 부재(352)를 통하여 지지 롤러(351)를 판유리(101)의 보통면(103)에 수직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 부재(353)에 의해 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구성에 따르면, 가압 유체(104)(도 1 등 참조)를 사용하지 않아도, 판유리(101)에 상향 힘을 가하여 판유리(101)를 띄우도록 하여 반송부(20)와 접촉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제4 실시예)
다음으로,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반송 시스템(4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제4 실시예에 따른 반송 시스템(400)의 판유리(101)를 반송하는 동작을 나타낸 우측면도이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반송 시스템(400)은 판유리(101)를 밀어 올리기 위한 부양부(50)(도 1 등 참조)를 구비하고 않고 제1 송출 장치(410) 및 제2 송출 장치(411)가 변위하는 점에서, 제1 실시예에 따른 반송 시스템(100)과 구성이 다르다.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반송 시스템(400)에서는 제1 송출 장치(410)는 하류측이 하측이 되도록 경사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며, 제2 송출 장치(411)는 상류측이 하측이 되도록 경사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송출 장치(410)의 하류측 구동 풀리(25B)가 상류측의 구동 풀리(25A)를 지점으로 하여 원래의 수평 위치보다 아래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며, 제2 송출 장치(411) 의 상류측 구동 풀리(25C)가 하류측 구동 풀리(25D)를 지점으로 하여 원래의 수평 위치보다 아래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구동 풀리(25B,25C)를 오르내리게 하는 수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에어 실린더(air cylinder) 등의 액추에이터를 이용하여 구동 풀리(25B,25C)를 지지하고 있는 부재를 오르내리도록 구성하여도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반송 시스템(400)에 따르면, 다음과 같이 하여 제1 송출 장치(410)에서 제2 송출 장치(411)로 판유리(101)가 전달된다. 먼저, 도 8의 상단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송출 장치(410)에서 제2 송출 장치(411)로 판유리(101)가 전달되기 전에 있어서는 제2 송출 장치(411)의 상류측 구동 풀리(25C)를 내려 제2 송출 장치(411) 내의 무단 벨트(21)에서 판유리(101)를 떼어 놓는다. 이로써, 판유리(101)의 일부가 제2 송출 장치(411) 내에 위치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판유리(101)는 제1 송출 장치(410)의 반송부(20)에 의해서만 반송된다.
계속하여, 도 8의 중간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판유리(101)의 무게 중심 위치가, 제1 송출 장치(410)와 제2 송출 장치(411)의 경계에 도달하면, 판유리(101)는 제1 송출 장치(410)에서 제2 송출 장치(411)로 전달된다.
계속하여, 도 8의 하단의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송출 장치(410)에서 제2 송출 장치(411)로 판유리(101)가 전달된 후에 있어서는 제1 송출 장치(410)의 하류측 구동 풀리(25B)를 내려 제1 송출 장치(410) 내의 무단 벨트(21)에서 판유리(101)를 떼어 놓는다. 이로써 판유리(101)의 일부가 제1 송출 장치(410) 내에 위치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판유리(101)는 제2 송출 장치(411)의 반송부(20)에 의해서만 반송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반송 시스템(400)에 따르면, 제1 실시예에 따른 반송 시스템(100)과 마찬가지로, 제1 송출 장치(410)의 무단 벨트(21)와 제2 송출 장치(411)의 무단 벨트의 반송 속도가 다르더라도 판유리(101)가 미끄러지지 않는다. 또한, 제1 실시예에서 판유리(101)가 어느 정도 휘는 경우에는 유효하다고 설명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판유리(101)를 휘게하지 않기 때문에, 예를 들어, 두께가 1mm 이상의 비교적 두께가 두꺼워 뒤틀리기 어려운 판유리를 반송하는 경우에는 본 실시예에 따른 반송 시스템(400)이 유효하다.
(제5 실시예)
다음으로,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반송 시스템(5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는 제5 실시예에 따른 반송 시스템(500)이 판유리(101)를 반송하는 동작을 나타낸 우측면도이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반송 시스템(400)은 제1 송출 장치(510) 및 제2 송출 장치(511)가 일측의 단부뿐 아니라 전체가 상하로 이동하는 점에서 제4 실시예에 따른 반송 시스템(400)과 구성이 다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반송 시스템(500)의 제1 송출 장치(510) 및 제2 송출 장치(511)는 무단 벨트(21) 전체가 원래 위치보다 아래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각 무단 벨트(21) 양단의 구동 풀리(25A,25B,25C,25D)가 동시에 아래쪽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동 풀리(25A,25B,25C,25D)를 오르내리게 하는 수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에어 실린더 등의 액추에이터를 사용하여 전후의 구동 풀리(25A,25B,25C,25D)를 지지하고 있는 부재를 오르내리도록 구성하여도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반송 시스템(500)에 따르면, 다음과 같이 하여 제1 송출 장치(510)에서 제2 송출 장치(511)로 판유리(101)가 전달된다. 먼저, 제1 송출 장치(510)에서 제2 송출 장치(511)로 판유리(101)가 전달되기 전에 있어서는 제2 송출 장치(511) 양측의 구동 풀리(25C,25D)를 내려 제2 송출 장치(511) 내의 무단 벨트(21)에서 판유리(101)를 떼어 놓는다. 이로써, 판유리(101)의 일부가 제2 송출 장치(511) 내에 위치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판유리(101)는 제1 송출 장치(510)의 반송부(20)에 의해서만 반송된다.
계속하여, 도 9의 중간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판유리(101)의 무게 중심 위치가 제1 송출 장치(510)와 제2 송출 장치(511)의 경계에 도달하면, 판유리(101)는 제1 송출 장치(510)에서 제2 송출 장치(511)로 전달된다.
계속하여, 도 9의 하단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송출 장치(510)에서 제2 송출 장치(511)로 판유리(101)가 전달된 후에 있어서, 제1 송출 장치(510) 양측의 구동 풀리(25A,25B)를 내려 제1 송출 장치(510) 내의 무단 벨트(21)에서 판유리(101)를 떼어 놓는다. 이로써 판유리(101)의 일부가 제1 송출 장치(510) 내에 위치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판유리(101)는 제2 송출 장치(511)의 반송부(20)에 의해서만 반송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했지만, 구체적인 구성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이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의 설계 변경 등이 있어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또한, 이상에서는 반송되는 판유리(101)가 정밀면(102)과 보통면(103)을 갖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예를 들면, 반송하는 판유리(101)의 양면이 보통면이어도 된다. 이와 같은 경우에도 판유리의 표면을 깨끗하게 유지해야 함에 변함없고 본 발명에 따른 판재 반송 시스템은 유효하다.
또한, 이상에서는 반송 시스템이 판유리를 반송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만일 어떤 장치가 판유리 이외의 판재를 전달하는 것이었다고 하여도 그것을 이유로 그 장치가 본 발명에 포함되지 않게 되는 이유는 될 수 없다.
또한, 이상에서는 반송 시스템이 고리형의 무단 벨트(21)를 사용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예를 들면 무단 벨트(21) 대신에 고리형 이외의 벨트를 사용하여도 된다.
또한, 이상에서는 반송 시스템이 판재(판유리(101))를 수평으로 한 상태에서 반송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판재를 연직으로 한 상태에서 반송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즉, 예를 들면, 반송 시스템이 도 2와 도 3에 나타낸 구성을 반시계 방향으로 90°회전시키는 것과 같은 구성이어도 좋다.
또한, 이상에서는 판유리를 띄우는 반송 시스템(100,200,300)과 제1 송출 장치 및 제2 송출 장치 자체를 변위시키는 반송 시스템(400,500)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이들을 합쳐도 된다. 즉, 판유리를 띄우는 동시에 제1 송출 장치 및 제2 송출 장치를 변위시킬 수 있는 반송 시스템으로도 좋다.
본 발명에 따른 판재 반송 시스템에 따르면, 판재 전달시 판재가 미끄러지지 않기 때문에 판재 반송 시스템의 기술분야에서 유익하다.
10,210,310,410,510: 제1 송출 장치
11,211,311,411,511: 제2 송출 장치
20: 반송부 21: 무단 벨트(벨트)
40: 가압부 50: 부양부
100,200,300,400,500: 반송 시스템
101: 판유리(판재) 104: 가압 유체(유체)

Claims (7)

  1. 제1 송출 장치와 제2 송출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송출 장치에서 상기 제2 송출 장치로 판재가 전달되는 판재 반송 시스템이며,
    상기 제1 송출 장치 및 상기 제2 송출 장치는 각각
    상기 판재의 일측면에 접촉하고 상기 판재를 반송 방향으로 보내는 반송부와,
    상기 판재의 타측 면에 유체에 의한 수직 방향의 압력을 가하여 상기 판재를 상기 반송부를 향하여 가압할 수 있는 가압부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제1 송출 장치에서 상기 제2 송출 장치로 상기 판재가 전달되기 전에 있어서, 상기 제1 송출 장치는 반송부와 상기 가압부의 유체에 의해 상기 판재를 사이에 두도록 유지하면서 반송하는 동시에 상기 제2 송출 장치의 반송부는 상기 판재와 접촉하지 않도록 하고,
    상기 제1 송출 장치에서 상기 제2 송출 장치로 상기 판재가 전달된 후에 있어서, 상기 제2 송출 장치는 반송부와 상기 가압부의 유체에 의해 상기 판재를 사이에 두도록 유지하면서 반송하는 동시에 상기 제1 송출 장치의 반송부는 상기 판재와 접촉하지 않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 반송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송출 장치 및 상기 제2 송출 장치는 각각 상기 반송부 측에서 상기 판재의 상기 일측면에 수직 방향의 힘을 가하여 상기 판재를 띄우도록 해서 상기 반송부와 접촉하지 않도록 하는 부양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 반송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부양부는 상기 판재의 상기 일측면에 유체에 의한 수직 방향의 압력을 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 반송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부양부는 상기 판재의 상기 일측면과의 사이에 유체막을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 반송 시스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부양부는 상기 판재의 상기 일측면에 접촉하는 지지 롤러와, 상기 지지 롤러를 상기 판재에 가압하는 가압 부재를 가지며, 상기 지지 롤러를 통하여 상기 판재의 상기 일측면에 수직 방향의 힘을 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 반송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송출 장치의 반송부는 상기 제2 송출 장치 측의 단부가 상기 제2 송출 장치 측의 단부와 반대되는 측의 단부를 지점으로 하여 상기 판재와 접촉하지 않게 구동되어, 상기 제2 송출 장치의 반송부에 의해 판재가 반송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 송출 장치의 반송부는 상기 제1 송출 장치 측의 단부가 상기 제1 송출 장치 측의 단부와 반대되는 측의 단부를 지점으로 하여 상기 판재와 접촉하지 않게 구동되어, 상기 제1 송출 장치의 반송부에 의해 판재가 반송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 반송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송출 장치 및 상기 제2 송출 장치의 반송부는 교대로 상기 판재와 접촉하지 않게 구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 반송 시스템.
KR1020147011849A 2011-11-14 2012-11-12 판재 반송 시스템 KR1015646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248753A JP5931409B2 (ja) 2011-11-14 2011-11-14 板材の搬送システム
JPJP-P-2011-248753 2011-11-14
PCT/JP2012/007241 WO2013073156A1 (ja) 2011-11-14 2012-11-12 板材の搬送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5482A KR20140085482A (ko) 2014-07-07
KR101564675B1 true KR101564675B1 (ko) 2015-10-30

Family

ID=48429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1849A KR101564675B1 (ko) 2011-11-14 2012-11-12 판재 반송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5931409B2 (ko)
KR (1) KR101564675B1 (ko)
CN (1) CN103906692B (ko)
IN (1) IN2014CN03271A (ko)
TW (1) TWI480216B (ko)
WO (1) WO201307315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49943B1 (fr) * 2016-04-06 2020-08-28 Saint Gobain Dispositif de convoyage et de maintien de feuilles de verre notamment dans une installation de lavage, et procede de mise en oeuvre
FR3079507A1 (fr) * 2018-03-29 2019-10-04 Saint-Gobain Glass France Ensemble de convoyage amelior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45650A (ja) 2003-11-14 2005-06-09 Daifuku Co Ltd 搬送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35330B1 (en) * 1998-12-18 2002-08-20 Asyai Technologies, Inc. In/out load port transfer mechanism
JP2001151318A (ja) * 1999-09-13 2001-06-05 Press Gijutsu Kenkyusho:Kk 加工用送り装置
JP3887549B2 (ja) * 2001-07-16 2007-02-28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基板搬送装置
JP2004154893A (ja) * 2002-11-06 2004-06-03 Mitsubishi Materials Techno Corp 板硝子の研磨方法および研磨装置
JP4626205B2 (ja) * 2004-07-28 2011-02-02 シンフォニア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基板の受渡し方法、及びその装置
JP4800611B2 (ja) * 2004-12-13 2011-10-26 コーニングジャパン株式会社 板材収納方法および装置
JP4849969B2 (ja) * 2006-06-15 2012-01-11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基板処理システムおよび基板搬送方法
JP2008302487A (ja) * 2007-06-11 2008-12-18 Olympus Corp 基板吸着装置及び基板搬送装置並びに外観検査装置
JP5162640B2 (ja) * 2010-10-06 2013-03-13 川崎重工業株式会社 板ガラスの搬送装置とそれを備えた面取り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45650A (ja) 2003-11-14 2005-06-09 Daifuku Co Ltd 搬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3103797A (ja) 2013-05-30
CN103906692B (zh) 2016-01-06
TWI480216B (zh) 2015-04-11
IN2014CN03271A (ko) 2015-07-03
KR20140085482A (ko) 2014-07-07
CN103906692A (zh) 2014-07-02
TW201318943A (zh) 2013-05-16
JP5931409B2 (ja) 2016-06-08
WO2013073156A1 (ja) 2013-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3125303A1 (ja) ガラス板の搬送装置及びその搬送方法
TW201013825A (en) Substrate transporting apparatus and substrate positioning method and apparatus
JP2008525290A (ja) シート状物品、特に平らな板ガラスを輸送しかつ支持するための装置
KR101564675B1 (ko) 판재 반송 시스템
KR101225003B1 (ko) 물체 운반 방법 및 장치
JP2004137054A (ja) 紙葉類検知装置
KR101506850B1 (ko) 판재의 반송 장치 및 판재의 반송 방법
JP2016207847A (ja) 基板の搬送方法および搬送装置
KR20110024215A (ko) 부상식 기판 코터 장치 및 그 코팅 방법
KR101081885B1 (ko) 부상식 기판 코터 장치
TWI643826B (zh) Breaking device and breaking method
JP4590570B2 (ja) 板材の縦型搬送装置
TWI441768B (zh) Method for transporting sheet material and sheet material
CN105130178B (zh) 划线装置
JP6580026B2 (ja) 搬送装置及び搬送制御方法
JP2006088657A5 (ko)
JP2012101897A (ja) 搬送装置
JP2008273727A (ja) ワーク搬送装置
JP4830339B2 (ja) 搬送装置
JP5016987B2 (ja) 容器の整列装置
JP2006076723A (ja) 容器の間隔形成装置
KR20110077339A (ko) 기판 반송 방법
JP2020152480A (ja) 基板処理装置および基板処理方法
JP2018108892A5 (ko)
KR20190074390A (ko) 소재 이송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