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9505B1 - 관 조인트 - Google Patents

관 조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9505B1
KR101519505B1 KR1020117024796A KR20117024796A KR101519505B1 KR 101519505 B1 KR101519505 B1 KR 101519505B1 KR 1020117024796 A KR1020117024796 A KR 1020117024796A KR 20117024796 A KR20117024796 A KR 20117024796A KR 101519505 B1 KR101519505 B1 KR 1015195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seal
cap nut
stop ring
di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47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24553A (ko
Inventor
준 후쿠야마
미츠히로 와시노
Original Assignee
히가시오 멕 가부시키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 이노아크 쥬칸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가시오 멕 가부시키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 이노아크 쥬칸쿄 filed Critical 히가시오 멕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245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45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95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95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6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in which radial clamping is obtained by wedging action on non-deformed pipe ends
    • F16L19/065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in which radial clamping is obtained by wedging action on non-deformed pipe ends the wedging action being effected by means of a 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8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with metal rings which bite into the wall of the pi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4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using additional rigid rings, sealing directly on at least one pipe end, which is flared either before or during the making of the connection
    • F16L19/05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using additional rigid rings, sealing directly on at least one pipe end, which is flared either before or during the making of the connection with a rigid pressure ring between the screwed member and the exterior of the flared pipe en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6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in which radial clamping is obtained by wedging action on non-deformed pipe e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5/00Constructive types of pipe joi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L13/00 - F16L23/00 ; Details of pipe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ally conducting or insulating means
    • F16L25/02Electrically insulating joints or couplings
    • F16L25/023Electrically insulating joints or couplings for 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is maintained only by friction of the parts being join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8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with metal rings which bite into the wall of the pipe
    • F16L19/1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with metal rings which bite into the wall of the pipe the profile of the ring being altered
    • F16L19/106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with metal rings which bite into the wall of the pipe the profile of the ring being altered the ring comprising a shoulder against which the pipe end abu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With Pressure Members (AREA)
  • Joints With Sleeves (AREA)

Abstract

특히, 냉매 배관용으로서 적합한 관 조인트를 제공하기 위해서, Al제 파이프 등을 사용해도 이종 금속의 접촉에 의한 부식을 발생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파이프에는 플레어 가공을 생략할 수 있어, 배관 접속 작업의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접속의 품질도 개선할 수 있고, 느슨함도 발생하기 어려운 관 조인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플레어 조인트 본체(1)와 캡너트(2)와 스톱링(3)을 가지고, 스톱링(3)의 R형상의 압접 구배면(32)이 플레어 조인트 본체(1)의 선단 직경축소 테이퍼부(5)에 압접하여 금속면 상호 접촉에 의한 시일을 이룬다. 또한, 스톱링(3)은 파이프의 스트레이트형상 선단부(10)의 외주면(10A)에 파고들기 위한 클로부(36)를 일체로 가진다.

Description

관 조인트{PIPE JOINT}
본 발명은 관 조인트에 관한 것이다.
관 조인트의 일종으로서, 플레어 조인트가 널리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이 플레어 조인트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파이프(P)의 단부에 플레어 가공부(f)를 특별한 지그로 소성 가공하여 형성하고, 이 플레어 가공부(f)를, 플레어 조인트 본체(h)의 테이퍼부(a)에 대고 캡너트(n)로 체결하여, 캡너트(n)의 테이퍼면(t)과 플레어 조인트 본체(h)의 테이퍼부(a)에서 협압하여, 금속면의 상호 압접으로 밀봉성을 확보하는 구성이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일본 특허 공개 2005-42858호 공보
그러나, 피접속용 파이프(P)의 재질로서, Al을 사용하는 경우, 조인트 본체(h)와 캡너트(n)가 황동 등의 Cu계 합금이면, 이종 금속에 의한 접촉 부식이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부로부터 물(물방울)이 플레어 가공부(f)의 협압 부위에 침입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파이프(P)와 조인트 본체(h), 캡너트(n) 사이에서, 이종 금속에 의한 접촉 부식이 용이하게 발생한다.
또, 작업 현장에서, 피접속 파이프(P)의 단부에, 전용 공구를 사용하여, 플레어 가공부(f)를 형성할 필요가 있어, 작업 능률이 나쁘고, 품질의 불균일도 생긴다. 또한, 파이프(P)의 플레어 가공부(f)의 소직경 단 가장자리(f1)에 균열이 발생하기 쉽고, 특히, 파이프 재질이 Al일 때에 그 균열 발생율이 높다. 캡너트(n)를 체결했을 때에 파이프(P)의 두께가 감소하고, 그 결과, 밀봉성의 저하나 캡너트(n)에 느슨함을 발생시키기 쉽다는 문제도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여, Al제 파이프 등을 사용해도 이종 금속의 접촉에 의한 부식을 발생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플레어 조인트 본체를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파이프에는 플레어 가공을 생략할 수 있어, 배관 접속 작업의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접속의 품질도 개선할 수 있고, 느슨함도 발생하기 어려운 관 조인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냉매 배관용으로서 적합한 관 조인트의 제공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그래서, 본 발명에 따른 관 조인트는, 수나사부와 선단 직경축소 테이퍼부를 가지는 플레어 조인트 본체와; 상기 수나사부에 나사장착되는 암나사부를 구멍부의 기단에 가지고, 또한, 이 구멍부의 중간에는 동일 직경부와 선단 직경축소 테이퍼부를 가지는 수납 공간부를 형성한 캡너트와; 이 수납 공간부에 내장됨과 아울러, 상기 선단 직경축소 테이퍼부에 압접하여 밀봉 작용을 이루는 직경확대 R형상 또는 경사선형상의 압접 구배면을 가짐과 아울러, 선단측에는 소성변형 가능한 두께가 얇은 원통부와 그 선단의 파이프 외주면을 파고들어 그 파이프 외주면에 물리는 클로부를 가지고, 또한, 내주 중간부에 오목하게 설치된 시일 오목홈을 가지는 스톱링과; 상기 스톱링의 상기 시일 오목홈에 끼움장착되는 내(耐)냉매 시일;을 구비하고, 피접속용 파이프의 스트레이트형상 선단부의 외주면에 상기 스톱링의 상기 클로부가, 상기 캡너트의 나사 진행에 따라 파고 들고, 파이프 인발 저항력을 발생시킴과 아울러 상기 내냉매 시일로의 산소 유입을 저지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 상기 캡너트는, 상기 피접속용 파이프의 외주면에 접촉하여 절연 작용을 이루는 원환형상 절연 링이 캡너트 선단부에 부착설치되고, 게다가, 이 절연 링은 피접속용 파이프의 외주면에 긴밀하게 접촉하는 시일 돌조부를 구비하고 있다.
또, 상기 캡너트의 상기 구멍부에 형성된 상기 암나사부와 상기 동일 직경부 사이에, 시일을 내장하고, 또한, 내장 상태에서 이 시일의 내경 치수를 상기 스톱링의 외경 치수보다 작게 설정하여, 미사용 상태하에서 상기 스톱링이 상기 캡너트로부터 이탈을 방지하도록 구성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선단 직경축소 테이퍼부를 가지는 플레어 조인트 본체에 대하여, 파이프 단부에 완전히 플레어 가공을 생략한 스트레이트형상의 파이프를 용이하고 또한 신속하게 접속할 수 있어, 배관 작업을 능률적으로 행할 수 있다. 작업의 불균일이 생기기 어려워져, 품질이 안정된다. 피접속용 파이프의 재질로서 (비교적 저렴한) Al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이종 금속의 접촉에 의한 부식을 교묘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 캡너트의 느슨함도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특히, 에어컨 등의 냉매 배관용으로서 적합한 관 조인트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일 형태를 나타내며 파이프 접속 완료 직전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파이프 접속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캡너트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캡너트의 주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스톱링의 일례를 나타내는 주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절연 링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작용 설명을 겸한 주요부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8은 종래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도시하는 실시형태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7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관 조인트(J)는, 플레어 조인트 본체(1)와 캡너트(2)와 스톱링(3)과 내냉매 시일(4)을 구비하고, 또한, 피접속용 파이프(P)의 선단에는 (종래의 플레어 가공을 완전히 생략하고) 스트레이트형상 선단부(10)를 가지고 있다.
플레어 조인트 본체(1)는 종래의 조인트 본체와 마찬가지의 형상·구성이며(도 8의 플레어 조인트 본체(h) 참조), 선단 직경축소 테이퍼부(5)를 가진다. 즉, 유로 구멍(6)이 관통설치된 접속통부(7)의 선단에 선단 직경축소 테이퍼부(5)가 형성된다.
또, 전체 형상은 스트레이트형상, T자형, Y자형, 십자형 등 자유이지만, (도 1, 도 2의) 도면 밖에 존재하는 다른 접속 단부의 형상은, 도 1, 도 2와 마찬가지의 접속통부(7)를 가지고 있어도 되고, 테이퍼 수나사, 평행 암나사, 용접용 통부 등을 가지고 있어도 되며 자유이다.
요컨대, 도 1,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적어도 1개의 접속통부(7)를 구비하고, 또, 도 1, 도 2의 도시예에서는, 상기 테이퍼부(5)의 기단 가장자리에 연결설치된 짧은 스트레이트부(8)를 통하여, 평행 나사의 수나사부(9)를 상기 접속통부(7)가 가지고 있다. 이 플레어 조인트 본체(1)의 재질로서는 황동(놋쇠)이 (종래부터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므로) 적합하다.
캡너트(2)는 축심방향으로 구멍부(11)가 관통설치되고, 이 구멍부(11)의 기단에는 상기 수나사부(9)에 나사장착되는 암나사부(12)를 가지고, 거기에서 선단을 향하여 순차적으로 축심방향으로 작은 폭 치수(W13)의 시일홈(13), 동일 직경부(스트레이트부)(14), 단차부(15), 작은 폭 치수(W16)의 짧은 스트레이트부(16), 선단 직경축소 테이퍼부(17), (피접속 파이프(P)의 외경보다 약간 큰 내경치수의) 짧은 스트레이트부(18), 오목홈부(19), 내측 플랜지부(20)가 형성된다.
상기 구멍부(11)의 중간의 동일 직경부(스트레이트부)(14)와 단차부(15)와 짧은 스트레이트부(16)와 테이퍼부(17)를 가지고, 스톱링(3)을 수납(내장)하기 위한 수납 공간부(E)를 형성한다(도 1, 도 2, 도 3, 도 4 참조). 이 캡너트(2)의 재질은 C3604 등의 황동(놋쇠)으로 하는 것이 플레어 조인트 본체(1)와의 이종 금속 접촉 부식 대책의 의미에서 바람직하다. 또, 이 캡너트(2)의 외주면 형상은 선단측을 제외하고 횡단면 육각형으로 형성하고, 작업 공구로 파지하면서 회전 토크를 부여하기 쉬운 형상으로 한다. 또한, 외주면 선단측에는 40°~50°의 큰 경사각도의 선단 직경축소 제1 테이퍼면(21)과, 10°~25°의 작은 경사각도의 선단 직경축소 제2 테이퍼면(22)을 순차적으로 배열설치하고, 최선단측 외경 치수(D22)를, 파이프(P)의 외경 치수에 강도가 허용하는 범위에서 가깝게 한다. 즉, 도 8의 종래예에 비교하여, 캡너트 선단면(23)의 외경 치수는 충분히 작고, 이 선단면(23)의 (축심방향에서 본) 원환형상의 폭 치수는 작게 설정되어 있다.
다음에, 스톱링(3)에 대해서 설명하면, 도 5 및 도 1, 도 2,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스톱링(3)은 캡너트(2)의 상기 서술한 수납 공간부(E)에, 도 7 내지 도 2의 축심방향 범위를 이동 가능 영역으로 하여 내장된다. 그 단면형상은 짧은 원통형이며, 외주면이 기단으로부터 중간 위치까지가 캡너트(2)의 구멍부(11)의 동일 직경부(스트레이트부)(14)에 슬라이딩운동 가능하게 끼워맞춤(대응)하는 기본 외경부(24)와, 단차부(25)를 통하여 선단측에 연결설치된 소직경부(26)를 가진다. 또, 내주면(27)은 축심방향 중간에 기본 내경부(28)를 가지고, 또한, 이 기본 내경부(28)의 축심방향 중간 위치에 시일 오목홈(29)이 배열설치되며, 파이프(P)는 이 기본 내경부(28)에 도 1과 도 2와 같이 삽입된다. 시일 오목홈(29)에 공조용 냉매에 대한 내구성이 우수한 (IIR로 이루어지는) 내냉매 시일(4)이 끼움장착된다.
또한, 기본 내경부(28)의 단부(도 5의 좌측)에는, 단차부(30)와 R형상 압접 구배면(32)이 순차적으로 연결설치된 내주면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1,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R형상 압접 구배면(32)은 플레어 조인트 본체(1)의 선단 직경축소 테이퍼부(5)에 압접(금속면의 상호 접촉)하여, 밀봉 작용을 이룬다. 또한, 도시예에서는, R형상 압접 구배면(32)은 내주면(27)으로부터 축심방향 기단면(33)에 걸쳐 큰 곡률반경으로 그려지는 단면형상을 나타내고, 대략 사반원형의 팽출부(31)를 형성하고 있다.
바꾸어 말하면, 이 스톱링(3)은 내주면(27)과 기단면(33)의 각부에 큰 곡률반경으로 R형상 모따기를 시행하여, 압접 구배면(32)으로 하고 있다. 또한, 도시를 생략하지만 이 압접 구배면(32)을 경사선형상(경사직선형상)으로 하는 것도 자유이다.
상기 단차부(30)는 삽입되는 파이프(P)의 단면(34)이 맞닿는다.
그리고, 스톱링(3)의 선단측에는 소성변형 가능한 두께가 얇은 원통부(35)와, 그 선단의 파이프 외주면을 파고들어 그 파이프 외주면에 물리는 클로부(36)를 일체로 가진다.
즉, 스톱링(3)에 있어서, 그 내주면(27)에는 선단측에 얕은 오목부(37)를 오목하게 설치하고, 게다가, 외주측의 소직경부(26)와의 협동에 의해, 선단의 클로부(36)가 도 5와 도 1의 자유 상태로부터, 도 2에 나타낸 파고드는 상태로 탄성적으로 직경축소 가능하게, 상기 두께가 얇은 원통부(35)를 형성한다. 또한, 클로부(36)를 포함한 두께가 얇은 원통부(35)에는 축심방향의 슬릿은 전혀 존재하지 않고, 소 구멍 등도 존재하지 않는다.
클로부(36)는 횡단면 부등변삼각형으로서, 안쪽 기단 방향을 향하여, 도 2와 같이 파이프(P)의 외주면에 대하여, 파이프(P)의 인발력에 대항하여 파고들기 쉬운 형상으로 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파이프(P)를 삽입하고, 캡너트(2)에 작은 회전 토크를 주어 수나사부(9)에 대하여 암나사부(12)를 가볍게 나사장착하면, 스톱링(3)의 소직경부(26)(두께가 얇은 원통부(35))의 선단이 가볍게 캡너트(2)의 테이퍼부(17)에 접촉한다. 이 때, 스톱링(3)의 단차부(25)와, 캡너트(2)의 단차부(15) 사이에는 축심방향으로 소정 작은 치수(G)의 간극이 존재하고 있다.
그 후, 캡너트(2)를 나사 진행하면, 도 1 내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두께가 얇은 원통부(35)의 선단 외주 각부(38)가 테이퍼부(17)에 의해 강하게 좁혀지고―내경방향으로 압압되고―, 클로부(36)가 파이프(P)의 스트레이트형상 선단부(10)의 외주면(10A)에 파고들어간다. 이 파고들어감에 의해, 파이프 인발 저항력(Z)(도 2 참조)을 발생시킨다. 동시에, 이 파고들어감에 의해, 대기측(A)으로부터(내부의) 내냉매 시일(4)로의 산소 유입을 저지한다.
바꾸어 말하면, (두께가 얇은 원통부(35)는 슬릿도 관통구멍도 없으므로,) 클로부(36)가 파이프 선단부(10)의 외주면(10A)에 파고들어가면, 스톱링(3)의 내주면(27)의 축심 중간 위치에 있는 내냉매 시일(4)로 공기(산소)의 유입이 차단되고, IIR로 이루어지는 내냉매 시일(4)의 장수명화가 도모되게 된다. 이 스톱링(3)의 재질로서는, 플레어 조인트 본체(1)의 선단 직경축소 테이퍼부(5)의 압접부의 밀봉 성 향상이나 소성변형성을 고려하면 C3604 등의 황동(놋쇠)이 바람직하다.
또한, 클로부(36) 근방의 외주 각부(38)와, 테이퍼부(17)의 강한 압접에 의해, 이 압접 부위에서의 산소의 내부로의 침입도 저지된다.
다음에, 도 6, 및 도 1, 도 2, 도 7에 있어서, 캡너트(2)에는 원환형상 절연 링(40)이 부착설치되어 있다. 이 원환형상 절연 링(40)은 절연성을 가지는 고무재 또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고, 예를 들면, 내수명성, 내후성이 우수한 EPDM 등의 고무가 바람직함과 아울러, 그 부착설치 위치는 캡너트 선단부(41)로 한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횡단면을 대략 오각형으로 한 팽출부(42)와 두께가 얇은 원통벽부(43)와, 그 원통벽부(43)의 외단으로부터 외경방향으로 기립한 외측 플랜지부(44)로 일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팽출부(42)는 (도 4에 나타낸) 오목홈부(19)에 끼움장착되고, 삼각산형의 시일 돌조부(45)가 내경방향으로 돌출형상으로 형성된다. 이 시일 돌조부(45)는 파이프(P)의 외주면에 탄성적 압접력을 가지고 긴밀하게 접촉하여, 관 조인트 내부로의 물 등의 전해질의 침입을 방지하고, 관 조인트 내부에 있어서 이종 금속의 접촉에 의한 부식을 확실하게 막고 있다.
또, 캡너트(2)의 내측 플랜지부(20)의 내주면, 및, 그 외주면(캡너트 선단면(23))을, 절연 링(40)이 그 원통벽부(43)와 외측 플랜지부(44)로 포위한다(피복한다). 이렇게 하여, 피접속용 파이프(P)의 외주면에 대하여, 절연 링(40)이 접촉하여, 황동(놋쇠) 등의 캡너트(2)와 Al 등의 파이프(P)의 외주면에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것을 저지하여, 절연 작용을 이루고, 이종 금속 접촉에 의한 부식을 막고 있다.
또한, 외측 플랜지부(44)의 외경 치수(D44)는 (상기 서술한) 캡너트 선단면(23)의 외경 치수(D22)보다 약간 크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물방울이 캡너트 선단면(23)과 파이프 외주면에 의해 형성되는 모서리부에 브리지형상으로 고이는 것을 외측 플랜지부(44)가 확실하게 방지한다. 만일, 절연 링(40)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또는, 외측 플랜지부(44)의 외경 치수(D44)가 극단적으로 작은 경우에는, 상기 모서리부에 물방울 등의 전해질이 (브리지 작용으로) 고이고, 이종 금속의 접촉에 의한 부식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러한 부식(전식)을 절연 링(40)이 유효하게 방지한다. 또한, 팽출부(42)의 단면형상은 변형이 자유로우며, 원형으로 해도 됨(그 때도 원호형상 시일 돌조부(45)가 형성됨)과 아울러, 시일 돌조부(45)가 2개 이상 형성되어도 된다.
그런데, 캡너트(2)의 암나사부(12)의 옆의 시일홈(13)에는 O링 등의 시일(46)이 끼움장착되고, 이 시일(46)의 재질은 냉매 시일성, 내수명성이 우수한 EPDM 등의 고무가 바람직하고, 또, 도 2의 사용(접속) 상태에서 플레어 조인트 본체(1)의 스트레이트부(8)에 접촉하여 밀봉 작용을 이룬다.
이 시일(46)의 기능은 2개 있고, 하나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접 구배면(32)과 테이퍼부(5)의 금속면의 상호 압접에 의한 시일 작용에 대하여 보조하는 예비적 밀봉 기능이며, 다른 하나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톱링(3)의 탈락 방지 기능이다.
후자의 기능, 및, 그 기능과 작용을 나타내기 위한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면, (도 7과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캡너트(2)의 구멍부(11)에 형성된 암나사부(12)와 동일 직경부(14) 사이(의 시일홈(13))에, 시일(46)을 내장하고, 또한 내장 상태에서 이 시일(46)의 내경 치수(D46)를 스톱링(3)의 외경 치수(d)보다 작게 설정함으로써, 미사용 상태하에서 스톱링(3)이 캡너트(2)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시일(46)의 내주 단 가장자리에 스톱링(3)의 기단면(33)의 각부가 걸리도록 유지되어, 도 7의 상태하에서도 하방으로 탈락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미사용 상태(공장 취급중, 재고중, 수송중, 배관 작업중 등)에 있어서, 시일(46)이 갑자기 이탈하는 것을 막는다.
그런데, 본 발명에 따른 관 조인트는 공조의 냉매(가스)의 밀봉에 적합하며, 시공도 용이하고 작업성이 우수하여, 종래와 같은 파이프(P)의 플레어 가공부(f) (도 8 참조)의 형성 작업은 완전히 생략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나 작업 공구에 의한 작업의 불균일이 없어져 품질이 안정된다. 또한, 전용 공구도 불필요하게 된다. 또한, 인코어 없이 작업성이 더욱 향상된다.
또, 도 1의 작은 치수(G)가 없어질 때까지, 도 2와 같이, 캡너트(2)를 나사 진행하면, 자동적으로 클로부(36)가 파이프(P)의 외주면에 파고들어가 인발 저항력(Z)을 발휘하고, 동시에, 스톱링(3)의 압접 구배면(32)이 플레어 조인트 본체(1)의 테이퍼부(5)에 강하게 금속면 상호가 압접하여 밀봉 작용을 이룬다. 게다가, 동시에 시일(46)은 도 1 내지 도 2와 같이 약간 이동하여, 스트레이트부(8)에 있어서 탄성 압축되어, 압접 구배면(32)과 테이퍼부(5)의 금속면 상호 압접에 의한 시일 부위에 대한 부(副)시일(예비 시일)의 기능을 한다.
내냉매 시일(4)은 IIR(부틸고무)의 O링이 적합하며, 냉매(가스)의 투과성이 매우 낮고 우수하다. 그러나, 산화 열화하기 쉬운 결점이 있지만, 이것을 클로부(36)의 파이프 외주면으로 파고들어가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는 파이프(P)로서 Cu를 사용하는 것도 바람직하고, 또, 그 때에는 절연 링(40)을 생략하는 것도 자유이다.
또, 원하는대로 급수, 급탕 배관에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1…플레어 조인트 본체
2…캡너트
3…스톱링
4…내냉매 시일
5…선단 직경축소 테이퍼부
9…수나사부
10…스트레이트형상 선단부
10A…외주면
11…구멍부
12…암나사부
14…동일 직경부
17…테이퍼부
29…시일 오목홈
32…압접 구배면
35…두께가 얇은 원통부
36…클로부
40…절연 링
41…캡너트 선단부
45…시일 돌조부
46…시일(O링)
P…파이프
E…수납 공간부
D46…내경 치수
d…외경 치수

Claims (3)

  1. 수나사부(9)와 선단 직경축소 테이퍼부(5)를 가지는 플레어 조인트 본체(1)와,
    상기 수나사부(9)에 나사장착되는 암나사부(12)를 구멍부(11)의 기단에 가지고, 또한, 이 구멍부(11)의 중간에는 동일 직경부(14)와 선단 직경축소 테이퍼부(17)를 가지는 수납 공간부(E)를 형성한 캡너트(2)와,
    이 수납 공간부(E)에 내장됨과 아울러, 상기 선단 직경축소 테이퍼부(5)에 압접하는 압접 구배면(32)을 가짐과 아울러, 선단측에는 소성변형 가능한 두께가 얇은 원통부(35)와 그 선단의 파이프 외주면을 파고들어 그 파이프 외주면에 물리는 클로부(36)를 가지고, 또한, 내주 중간부에 오목하게 설치된 시일 오목홈(29)을 가지는 스톱링(3)과,
    상기 스톱링(3)의 상기 시일 오목홈(29)에 끼움장착되는 시일(4),
    을 구비하고, 피접속용 파이프(P)의 스트레이트형상 선단부(10)의 외주면(10A)에 상기 스톱링(3)의 상기 클로부(36)가, 상기 캡너트(2)의 나사 진행에 따라 파고들어, 파이프 인발 저항력(Z)을 발생하도록 구성하고, 또한, 상기 캡너트(2)는 상기 접속용 파이프(P)의 외주면에 대응하는 캡너트 선단부(41)에 원환형상 절연 링(40)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조인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링(40)은 피접속용 파이프(P)의 외주면에 긴밀하게 접촉하는 시일 돌조부(45)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조인트.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캡너트(2)의 상기 구멍부 (11)에 형성된 상기 암나사부(12)와 상기 동일 직경부(14) 사이에, 시일(46)을 내장하고, 또한, 내장 상태에서 이 시일(46)의 내경 치수(D46)를 상기 스톱링(3)의 외경 치수(d)보다 작게 설정하여, 미사용 상태하에서 상기 스톱링(3)이 상기 캡너트(2)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조인트.
KR1020117024796A 2009-05-22 2010-05-19 관 조인트 KR1015195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123834 2009-05-22
JP2009123834A JP5091191B2 (ja) 2009-05-22 2009-05-22 管継手
PCT/JP2010/058473 WO2010134557A1 (ja) 2009-05-22 2010-05-19 管継手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4553A KR20120024553A (ko) 2012-03-14
KR101519505B1 true KR101519505B1 (ko) 2015-05-12

Family

ID=43126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4796A KR101519505B1 (ko) 2009-05-22 2010-05-19 관 조인트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2434191B1 (ko)
JP (1) JP5091191B2 (ko)
KR (1) KR101519505B1 (ko)
AU (1) AU2010250385B2 (ko)
ES (1) ES2683740T3 (ko)
NZ (1) NZ595373A (ko)
WO (1) WO201013455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9173B1 (ko) * 2012-05-14 2014-01-23 김호영 압축기 배관용 마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압축기의 리크 테스트 및 도금 방법
CN103591401A (zh) * 2013-11-04 2014-02-19 淄博职业学院 汽车空调系统冷媒管的接口装置
DE102016005301A1 (de) * 2016-05-02 2017-11-02 Eisele Pneumatics Gmbh & Co. Kg Verbindungsvorrichtung, insbesondere in Form einer Schlauchkupplung
CN107654766A (zh) * 2017-10-26 2018-02-02 慈溪雨洁净水设备有限公司 旋转锁紧式快速接头
CN108506604B (zh) * 2018-06-25 2023-06-30 海盐双赢管件制造有限公司 一种便于焊接连接稳定的直通接头
JP6777177B2 (ja) * 2019-02-15 2020-10-28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継手部材及び空気調和装置用ユニット
CN114008364A (zh) 2019-06-28 2022-02-01 东尾机械株式会社 管接头
JP7185877B2 (ja) 2019-07-01 2022-12-08 東尾メック株式会社 管継手
JP7126209B2 (ja) * 2019-06-28 2022-08-26 東尾メック株式会社 管継手
JP7427916B2 (ja) 2019-10-31 2024-02-0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流路部材、流路ユニット、および、液体噴射装置
JP6678981B1 (ja) * 2019-12-23 2020-04-15 井上スダレ株式会社 冷媒用管継手構造
JP6730759B1 (ja) 2020-03-03 2020-07-29 井上スダレ株式会社 冷媒用管継手構造
CN115585320B (zh) * 2022-10-10 2024-04-26 中国核动力研究设计院 一种非接触式电绝缘密封结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519636A (ja) 2001-04-19 2004-07-02 フイルマツク ピーテイワイ リミテツド 樹脂製管を接続するための継手
JP2005221013A (ja) 2004-02-06 2005-08-18 Toa Kokyu Tsugite Valve Seizo Kk 管継手
JP2008546966A (ja) 2005-06-27 2008-12-25 スウエイジロク・カンパニー 管継手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52276A (en) * 1944-12-22 1948-10-26 George V Woodling Tube fitting device
US2930635A (en) * 1957-02-04 1960-03-29 George V Woodling Fluid coupling connection with contractible sleeve
CH420750A (de) * 1962-03-13 1966-09-15 Shell Int Research Lösbare Rohrkupplung
US4136896A (en) * 1977-11-18 1979-01-30 Aeroquip Corporation Flareless tube fitting for 37° adapter
JPS62204086U (ko) * 1986-06-19 1987-12-26
JPS6438385U (ko) * 1987-09-01 1989-03-07
DE4041677C2 (de) * 1990-12-22 2000-01-13 Voss Armaturen Rohrverschraubung mit Schneidring
CN1271361C (zh) * 2002-12-21 2006-08-23 Kulm控股股份公司 螺纹式管接头
JP4239739B2 (ja) 2003-07-24 2009-03-18 三菱電機株式会社 フレア配管継手構造およびそれを用いた製品
JP3847312B2 (ja) * 2004-09-29 2006-11-22 東尾メック株式会社 管継手
JP2006316816A (ja) * 2005-05-10 2006-11-24 Mitsubishi Plastics Ind Ltd 管継手構造
JP4935444B2 (ja) * 2007-03-19 2012-05-23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食い込み式管継手、冷凍装置及び温水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519636A (ja) 2001-04-19 2004-07-02 フイルマツク ピーテイワイ リミテツド 樹脂製管を接続するための継手
JP2005221013A (ja) 2004-02-06 2005-08-18 Toa Kokyu Tsugite Valve Seizo Kk 管継手
JP2008546966A (ja) 2005-06-27 2008-12-25 スウエイジロク・カンパニー 管継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683740T3 (es) 2018-09-27
WO2010134557A1 (ja) 2010-11-25
EP2434191A1 (en) 2012-03-28
EP2434191B1 (en) 2018-07-04
AU2010250385B2 (en) 2015-09-17
JP2010270846A (ja) 2010-12-02
JP5091191B2 (ja) 2012-12-05
EP2434191A4 (en) 2017-04-26
AU2010250385A1 (en) 2011-10-20
NZ595373A (en) 2013-04-26
KR20120024553A (ko) 2012-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9505B1 (ko) 관 조인트
US20120217742A1 (en) Pipe joint
WO2014045632A1 (ja) 管継手構造
JP5012118B2 (ja) 食い込み式管継手、冷凍装置及び温水装置
EP1521026A2 (en) Pipe joint with a swivel nut
US20070284878A1 (en) Sealing fitting for stainless steel tubing
JP2007198585A (ja) 樹脂管用ワンタッチ継手
JP5895330B2 (ja) 高圧パイプ用継手のシーリング構造
US20110127771A1 (en) Fittings for high pressure hydraulic couplings
US20070013189A1 (en) Sealing fitting for stainless steel tubing
JP5410945B2 (ja) 樹脂管用ワンタッチ継手
JP2007192270A (ja) 管継手構造
JP2008038924A (ja) 管継手
JP4206391B2 (ja) パイプジョイント構造
JP2012077804A (ja) 管継手
CN209991036U (zh) 一种管路连接结构及管路系统
JP5567633B2 (ja) 管継手
JP6087689B2 (ja) ユニオン継手
JP6404434B1 (ja) 管継手構造
JP2007192274A (ja) 管継手
JP2009275846A (ja) 管継手の構造
JP2015105695A (ja) フレキシブル管用継手
JP2014109295A (ja) 管継手構造
CN219933305U (zh) 流体连接器及液冷系统
CN211783560U (zh) 一种管道传感器安装基座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