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1210B1 - 물품 수납 설비 - Google Patents

물품 수납 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1210B1
KR101451210B1 KR1020117015843A KR20117015843A KR101451210B1 KR 101451210 B1 KR101451210 B1 KR 101451210B1 KR 1020117015843 A KR1020117015843 A KR 1020117015843A KR 20117015843 A KR20117015843 A KR 20117015843A KR 101451210 B1 KR101451210 B1 KR 1014512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ing
height
shelf
footrest
rotatin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58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18625A (ko
Inventor
히데오 요시오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Publication of KR201101186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86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12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12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97Wafer casset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 Robotics (AREA)

Abstract

승강식 발판을, 회전 조작되는 권취 회전체(13)로부터 풀어내어지는 복수의 현수용(懸垂用) 와이어에 의해 현수 지지되고 권취 회전체(13)의 회전에 의해 승강 이동하도록 구성하고, 하강 조작되는 승강식 발판을 작업용 높이에서 받쳐서 지지하는 지지부와, 권취 회전체(13)의 승강식 발판의 하강 측으로의 회전을 승강식 발판이 작업용 높이에 도달하면 저지하는 스토퍼(31)를 설치한다.

Description

물품 수납 설비{ARTICLE RECEIVING FACILITY}
본 발명은, 물품 수납용의 복수의 수납부가 선반 상하 폭 방향 및 선반 가로 폭 방향으로 병설(竝設)된 물품 수납 선반과, 상기 물품 수납 선반의 전방의 이동 공간을 퇴피 높이와 작업용 높이와의 사이에서 선반 상하 방향으로 승강 이동하는 승강식 발판을 구비하는 물품 수납 설비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물품 수납 설비에서는, 작업원이, 작업을 행하는 높이까지 승강식 발판을 하강시켜 승강식 발판에 탑승하고, 이 승강식 발판으로부터 물품 수납 선반에 대하여 유지 보수 작업을 행함으로써, 물품 수납 선반의 높은 곳에 대한 유지 보수 작업이 쉽게 행하여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유지 보수 작업을 행하지 않을 경우에는, 승강식 발판을 작업용 높이보다 상방으로 상승시켜 퇴피시켜 두어, 이동 공간을 이용하여 물품을 이송 탑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은 물품 수납 설비에서는, 일반적으로, 승강식 발판은 회전 조작되는 권취 회전체로부터 풀어내어지는 복수의 현수용(懸垂用) 와이어에 의해 현수 지지되어 있고, 권취 회전체의 정역(正逆) 회전에 의해 승강식 발판이 승강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일본 특허출원 공개번호 2002-249204호 공보
상기 물품 수납 설비에서는, 승강식 발판을 작업용 높이까지 하강시켜 유지 보수 작업을 행할 때, 승강식 발판은, 권취 회전체로부터 풀어내어지는 복수의 현수용 와이어에 의해 복수 개소가 현수 지지되어 있는 것뿐이므로, 승강식 발판에서 작업자가 유지 보수 작업을 행할 때 승강식 발판이 흔들리기 쉬워 승강식 발판의 안정성이 좋지못하여, 유지 보수 작업을 행하기 어렵다.
이에, 하강 조작되는 승강식 발판을 작업용 높이에서 받쳐서 지지하는 지지부를 설치하여, 작업용 높이에 위치하는 승강식 발판을 지지부로 받쳐서 지지함으로써, 승강식 발판의 안정성을 양호하게 하여 승강식 발판에서 작업자가 유지 보수 작업을 행할 때 승강식 발판이 잘 흔들리지 않아, 유지 보수 작업을 행하기 쉽게 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승강식 발판을 작업용 높이에서 지지부에 의해 받쳐서 지지하도록 구성한 경우에는, 작업용 높이에 위치하는 승강식 발판이 지지부로 받쳐서 지지되어 있는 상태에서 권취 회전체를 승강식 발판이 하강하는 쪽으로 회전시키면, 승강식 발판을 현수 지지하는 복수의 현수용 와이어가 권취 회전체로부터 필요 이상으로 풀어내어져서 느슨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권취 회전체에 권취되어 있는 복수의 현수용 와이어가 바르게 권취되어 있지 않은 상태[난(亂)권취 상태]로 되므로, 권취 회전체로부터 풀어내어지는 복수의 현수용 와이어 각각으로의 투입량이 변경되므로, 승강식 발판을 작업용 높이로부터 상승시켰을 때 승강식 발판이 기울어지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상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수동으로 승강되는 승강식 발판이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수동 승강 조작에서의 조작성이 향상되고, 승강식 발판을 작업용 높이에 정확하게 배치할 수 있는 물품 수납 설비를 제공하는 점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물품 수납 설비는, 물품 수납용의 복수의 수납부가 선반 상하 폭 방향 및 선반 가로 폭 방향으로 병설된 물품 수납 선반과, 상기 물품 수납 선반의 전방의 이동 공간을 퇴피 높이와 작업용 높이와의 사이에 선반 상하 방향으로 승강 이동하는 승강식 발판을 구비하는 물품 수납 설비로서, 수동으로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조작되는 권취 회전체가 설치되고, 상기 승강식 발판은, 상기 권취 회전체로부터 풀어내어지는 복수의 현수용 와이어에 의해 현수 지지되고, 또한 상기 권취 회전체의 회전에 의해 승강 이동하도록 구성되며, 하강 조작되는 상기 승강식 발판을 상기 작업용 높이에서 받쳐서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권취 회전체의 상기 승강식 발판의 하강 측으로의 회전을 상기 승강식 발판이 상기 작업용 높이에 도달하면 저지하는 스토퍼 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즉, 승강식 발판이 하강하도록 권취 회전체를 회전시킴으로써, 승강식 발판을 작업용 높이까지 하강시킬 수 있으므로, 이 승강식 발판으로부터 물품 수납 선반에 대하여 유지 보수 작업을 행함으로써, 물품 수납 선반의 높은 곳에 대한 유지 보수 작업을 쉽게 행할 수 있다. 이 권취 회전체는 수동으로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조작되므로, 전동 모터 등을 구비할 필요가 없다. 그러므로, 전동 모터에 필요한 유지 보수나 고장 시의 수리를 행할 필요가 없고, 승강식 발판의 승강 조작을 간단한 장치에 의해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승강식 발판이 상승하도록 권취 회전체를 회전시킴으로써, 승강식 발판을 작업용 높이보다 상방으로 상승시켜 퇴피시킬 수 있으므로, 물품 수납 선반의 전방의 이동 공간을 이용하여 물품을 반송할 수 있어, 이동 공간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승강식 발판이 하강하도록 권취 회전체를 회전시켜 승강식 발판을 작업용 높이까지 하강시켰을 때는, 승강식 발판이 작업용 높이에서 지지부에 의해 받쳐서 지지되는 동시에 권취 회전체의 승강식 발판의 하강 측으로의 회전이 스토퍼 수단에 의해 저지된다. 따라서, 승강식 발판이 작업용 높이에 위치하여 지지부에 의해 받쳐서 지지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권취 회전체를 승강식 발판의 하강 측으로 회전시킬 수 없다. 이 결과, 승강식 발판을 현수 지지하는 복수의 현수용 와이어가 권취 회전체로부터 필요 이상으로 풀어내어져서 느슨해지지 않게 되어, 권취 회전체에 권취되어 있는 복수의 현수용 와이어가 상기 난권취 상태로 되지 않으므로 승강식 발판이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수동으로 승강식 발판을 승강 조작할 때, 현수용 와이어가 권취 회전체로부터 필요 이상으로 풀어내어져서 느슨하게 되어, 현수용 와이어가 난권취 상태로 되지 않도록 배려하면서 승강 조작할 필요가 없고, 단지 스토퍼 수단에 의해 권취 회전체의 회전이 정지될 때까지 승강 조작만 하면 되므로, 수동 승강 조작에서의 조작성이 향상되어 승강식 발판을 작업용 높이에 정확하게 배치할 수 있는 물품 수납 설비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수동 조작식의 승강 조작구(操作具)의 회전체로부터 풀어내어지는 조작용 와이어를 권취하고, 또한 상기 승강 조작구의 회전체에 권취되는 조작용 와이어를 풀어내는 회전 조작용 회전체가 설치되고, 상기 권취 회전체가, 상기 회전 조작용 회전체와 일체로 회전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수동 조작식의 승강 조작구를 조작하여 승강 조작구의 회전체를 회전시킴으로써, 승강 조작구의 회전체로부터 풀어내어진 조작용 와이어를 권취하도록 회전 조작용 회전체가 회전하거나, 또는 승강 조작구의 회전체에 권취되는 조작용 와이어를 풀어내도록 회전 조작용 회전체가 회전한다. 이와 같이 회전 조작용 회전체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이것과 일체로 회전하는 권취 회전체도 정역 회전하여 승강식 발판이 승강 이동한다.
그리고, 수동 조작식의 승강 조작구와 회전 조작용 회전체와의 사이에는 조작용 와이어를 설치만 하면 되고, 승강식 발판과 권취 회전체와의 사이에서와 같이 복수의 현수용 와이어를 설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수동 조작식의 승강 조작구를 배치한 곳까지 복수의 현수용 와이어를 배치한 경우에 비해 와이어의 개수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승강식 발판을 승강 조작하기 위한 장치가 차지하는 스페이스를 작게 할 수 있는 물품 수납 설비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수단이, 상기 권취 회전체와 일체로 회전하는 회전축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권취 회전체의 회전에 따라 회전축의 축심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체와, 이 이동체의 회전축심 방향의 이동 범위의 일단(一端)이 상기 승강식 발판의 상기 작업용 높이에 대응하는 위치가 되도록 상기 이동체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권취 회전체가 회전 조작되어 회전축이 회전하면, 이 회전축에 나사 결합된 이동체가 회전축의 축심 방향을 따라 이동한다. 권취 회전체의 승강식 발판의 하강 측으로의 회전에 의해, 승강식 발판이 하강 측으로 이동하는 동시에 이동체가 회전축의 축심 방향을 따른 일측으로 이동하고, 승강식 발판이 작업용 높이에 도달하면, 이동체가 규제체에 맞닿음으로써 이동체의 회전축의 축심 방향을 따른 일측으로의 이동이 규제되어, 그 이상의 권취 회전체의 승강식 발판의 하강 측으로의 회전이 저지된다.
따라서, 승강식 발판이 작업용 높이까지 하강 이동하면, 이동체가 규제체에 맞닿음으로써, 권취 회전체와 일체로 회전하는 회전축의 회전이 규제되어, 권취 회전체와 일체로 회전하는 회전축의 회전을 직접적으로 규제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승강식 발판이 작업용 높이에 도달했을 때 권취 회전체의 승강식 발판의 하강 측으로의 회전을 확실하게 규제할 수 있는 물품 수납 설비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수단이, 상기 조작용 와이어에 구비된 접촉 부재와, 상기 조작용 와이어를 삽통(揷通)하고 또한 상기 승강식 발판이 상기 작업용 높이에 도달하는 위치에서 상기 접촉 부재를 받는 와이어 삽통체(揷通體)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수동 조작식의 승강 조작구가 조작되어 승강 조작구의 회전체로부터 조작용 와이어가 풀어내어지거나 권취되면, 이 조작용 와이어에 구비된 접촉 부재가 조작용 와이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한다. 수동 조작식의 승강 조작구를 승강식 발판이 하강 이동하도록 조작하면, 와이어 삽통체에 가까워지도록 접촉 부재가 조작용 와이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고, 승강식 발판이 작업용 높이까지 하강 이동하면, 접촉 부재가 와이어 삽통체에 받아져서 회전 조작용 회전체의 회전이 저지되고, 이로 인해서, 권취 회전체의 회전이 저지된다.
즉, 와이어에 구비된 접촉 부재의 이동을 와이어 삽통체에 의해 받아서 규제하는 구성이므로, 접촉 부재를 조작용 와이어에 설치함으로써 승강식 발판이 작업용 높이에 도달했을 때 접촉 부재가 와이어 삽통체에 의해 받아서 규제되도록 하여 정확하게 설치하기 쉽다. 따라서, 승강식 발판이 작업용 높이에 도달했을 때 권취 회전체의 승강식 발판의 하강 측으로의 회전을 정확하게 저지할 수 있는 물품 수납 설비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와 물품 반출입부 사이에 물품을 반송하기 위해 승강 이동하도록 구성된 반송 장치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퇴피 높이는, 상기 반송 장치의 승강 이동 범위의 상단(上端)의 높이보다 높은 높이이며, 상기 작업용 높이는, 상기 승강 이동 범위의 중간 위치에 위치하는 높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승강식 발판을 상기 퇴피 높이에 퇴피시켜 둠으로써, 상기 반송 장치를 상기 승강 이동 범위의 전체 범위에 걸쳐 승강 이동시킬 수 있고, 상기 반송 장치를 상기 승강 이동 범위의 상기 중간 위치보다 하측에 하강시킴으로써, 상기 승강식 발판을 상기 작업용 높이와 상기 퇴피 높이에 걸쳐 승강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승강식 발판의 상기 퇴피 높이는, 상기 물품 수납 선반의 전방의 이동 공간에서의 선반 상하 폭 방향의 상단 개소 근방에 있고, 상기 작업용 높이는 상기 이동 공간에서의 선반 상하 폭 방향의 상하 중간 개소에 있으며, 상기 물품 수납 선반이, 상기 작업용 높이에 위치하는 승강식 발판에 대하여 승강하기 위해 상기 이동 공간에 출입하기 위한 출입구와, 이 출입구를 개폐하는 유지 보수용 도어를 구비하고, 상기 승강식 발판이 상기 작업용 높이 근방의 높이에 위치할 때에는 상기 유지 보수용 도어의 열림 조작을 허용하고, 또한 상기 승강식 발판이 상기 작업용 높이 근방의 높이보다 상방에 위치할 때는 상기 유지 보수용 도어의 열림 조작을 저지하는 도어 열림 저지 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 기술에 의한 물품 수납 설비에서의 물품 수납 선반은, 일반적으로, 작업용 높이에 위치하는 승강식 발판에 대하여 승강하기 위해 이동 공간으로 출입하기 위한 출입구와, 상기 출입구를 개폐하는 유지 보수용 도어를 구비한다. 유지 보수 작업을 행할 때는, 승강식 발판을 작업용 높이까지 하강 이동시키는 동시에 유지 보수용 도어를 열림 조작하여 출입구를 열어, 출입구로부터 이동 공간으로 이동하여 승강식 발판 상에서 유지 보수 작업을 행하고, 유지 보수 작업이 종료한 후에는, 승강식 발판으로부터 내려 출입구로부터 이동 공간의 외부로 이동하여, 유지 보수용 도어를 닫는 조작을 행하여 출입구를 닫고, 승강식 발판을 퇴피 높이까지 상승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물품 수납 설비에서는, 유지 보수용 도어를 자유롭게 여는 조작을 행할 수 있으므로, 승강식 발판을 퇴피 높이로 퇴피시킨 상태 등과 같이 승강식 발판을 작업용 높이 또는 그 근방의 높이보다 상방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유지 보수용 도어를 열림 조작하여 출입구를 열게 되면, 작업용 높이에 승강식 발판이 위치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출입구로부터 이동 공간에 진입할 수 있게 되므로, 작업자가 승강 이동하는 승강식 발판에 접촉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유지 보수용 도어를 안심하고 열림 조작할 수 없었다.
한편,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승강식 발판이 작업용 높이 근방의 높이에 위치할 때는, 도어 열림 저지 수단에 의한 열림 조작의 저지가 해제되므로 유지 보수용 도어의 열림 조작이 허용되어 유지 보수용 도어를 열도록 조작할 수 있고, 승강식 발판이 작업용 높이 근방의 높이보다 상방에 위치할 때는, 유지 보수용 도어의 열림 조작이 도어 열림 저지 수단에 의해 저지되므로 유지 보수용 도어를 열도록 조작할 수 없으므로, 유지 보수용 도어를 열림 조작할 수 있을 때는 승강식 발판이 작업용 높이 근방의 높이에 위치하는 상태이므로, 유지 보수용 도어를 안심하고 열림 조작할 수 있는 물품 수납 설비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도어 열림 저지 수단은, 상기 유지 보수용 도어의 열림 조작을 허용하는 허용 자세와 열림 조작을 저지하는 저지 자세로 전환 가능한 저지체를 구비하고, 상기 저지체는, 상기 저지 자세쪽으로 가압되고, 상기 승강식 발판이 상기 작업용 높이 근방의 높이에 위치할 때는 상기 승강식 발판의 하강 이동에 따른 조작력에 의해 상기 허용 자세쪽으로 변위(變位)되고, 상기 승강식 발판이 상기 작업용 높이 근방의 높이보다 상방에 위치할 때는 상기 승강식 발판으로부터의 상기 조작력으로부터 해제되어 상기 저지 자세쪽으로 복귀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승강식 발판이 작업용 높이 근방의 높이에 위치하도록 하강 이동함으로써, 이 승강식 발판의 자중(自重)에 의해 도어 열림 저지 수단을 유지 보수용 도어의 열림 조작을 허용하는 허용 자세쪽으로 변위 조작되어 허용 자세로 되고, 또한, 승강식 발판이 작업용 높이 근방의 높이보다 상방에 위치하도록 상승 이동시킴으로써, 승강식 발판에 의한 조작력으로부터 해제되어 가압에 의해 저지 자세쪽으로 복귀되어 저지 자세로 되는 것이므로, 유지 보수용 도어의 열림 조작을 허용하는 허용 자세와 유지 보수용 도어의 열림 조작을 저지 자세로 전환하는 것을 자유롭게 행하며, 또한, 저지 자세쪽으로 복귀 가압된 도어 열림 저지 수단을, 작업용 높이 근방의 높이로 하강 이동하는 승강식 발판에 의해 허용 자세쪽으로 가압 조작되도록 설치만 하면 된다. 따라서, 도어 열림 저지 수단을 간소하게 구성할 수 있는 물품 수납 설비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저지체를, 상기 허용 자세 및 상기 저지 자세로 자세 변경 조작하는 인위(人爲) 조작구가, 상기 이동 공간의 외부로부터 액세스할 수 있는 장착부에 착탈(着脫)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승강식 발판을 작업용 높이 근방의 높이로 하강 이동시켰음에도 불구하고 도어 열림 저지 수단의 고장에 의해 저지체가 허용 자세로 전환되지 않는 등의 경우에도, 이동 공간의 외부로부터 액세스할 수 있는 장착부에 인위 조작구를 장착하여 인위 조작구에 의해 저지체를 허용 자세로 자세 변경 조작함으로써, 유지 보수용 도어를 열림 조작하여 출입구를 열어 유지 보수 작업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인위 조작구를 장착부로부터 떼어냄으로써, 승강식 발판이 작업용 높이 근방의 높이보다 상방에 위치하고 있을 때, 저지체를 인위적으로 허용 자세로 자세 변경 조작할 수 없게 하여, 작업자가 승강식 발판에 올라타지 못하고 낙하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게 되며, 유지 보수용 도어의 사용 편리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는 물품 수납 설비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권취 회전체를 회전 조작하기 위하여, 상기 출입구가 형성된 외벽의 외부측에 구비된 인위 조작식의 승강 조작구와, 상기 유지 보수용 도어와 상기 외벽 중 적어도 한쪽에 구비된 확인창과, 상기 승강식 발판이 상기 퇴피 높이까지 상승된 것을 표시하기 위하여, 상기 확인창으로부터 시각적으로 확인 가능한 개소에 위치하는 표시부가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의 물품 수납 설비에 있어서, 승강식 발판을 승강 조작하기 위해 외벽의 외부 측에 인위 조작식의 승강 조작구를 구비하여, 작업자가 이동 공간에 출입할 때 인위 조작에 의해 승강식 발판을 승강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한 경우에는, 인위 조작식의 승강 조작구를 조작하는 작업자는 외벽의 존재에 의해 승강식 발판의 승강 위치를 확인할 수 없으므로, 유지 보수 작업을 종료하여 승강식 발판을 퇴피 높이까지 상승 이동시킬 때에 상승 이동이 부족한 경우나 상승 이동이 지나친 경우가 있어, 승강식 발판을 퇴피용 높이까지 확실하게 상승 이동시키기 어려웠다.
또한, 본원 발명의 실시예와 같이, 도어 열림 저지 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라면, 승강식 발판이 상기 작업용 높이 근방의 높이보다 상방에 위치할 때는 유지 보수용 도어를 열 수 없으므로, 유지 보수용 도어를 열어서 승강식 발판의 승강 위치를 확인할 수 없다.
그러나, 본원 발명의 상기 실시예와 같은 구성에서는, 상기 권취 회전체를 회전 조작하기 위하여, 상기 출입구가 형성된 외벽의 외부측에 구비된 인위 조작식의 승강 조작구와, 승강식 발판의 높이를 확인하기 위해 상기 유지 보수용 도어와 상기 외벽 중 적어도 일측에 구비된 확인창과, 상기 승강식 발판이 상기 퇴피 높이까지 상승된 것을 표시하기 위하여, 상기 확인창으로부터 시각적으로 확인 가능한 개소에 위치하는 표시부가 더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외벽의 외부측에 구비된 인위 조작식의 승강 조작구에 의해, 이동 공간에 출입할 때 이동 공간의 외부에 있어서 승강식 발판을 인위적 조작에 의해 용이하게 승강 조작할 수 있는 것이면서, 작업자는 이동 공간의 외부로부터 확인창을 통해 표시부를 시각적으로 확인하여 승강식 발판이 퇴피 높이까지 상승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면서 승강 조작구를 조작하여 승강식 발판을 상승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동 공간의 외부에 있으면서, 승강식 발판을 퇴피용 높이까지 확실하게 상승 이동시키기 쉬운 물품 수납 설비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확인창이, 상기 이동 공간에서의 선반 가로 폭 방향의 일단측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된 상기 유지 보수용 도어에 구비되고, 상기 표시부가, 상기 이동 공간에서의 선반 가로 폭 방향의 타단측에 대응하는 개소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예를 들면, 확인창에 대하여 표시부가 높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라도 확인창을 통해 표시부를 시인(視認)하기 쉬운 점 등, 이동 공간의 외부로부터 확인창을 통해 표시부를 시각적으로 확인하기 쉬운 물품 수납 설비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가, 시각 확인용의 착색 부분을 구비한 표시체와, 상기 시각 확인용의 착색 부분을 덮는 커버체를 구비하고, 상기 표시부에서의 상기 표시체가, 상승하는 상기 승강식 발판에 걸림으로써 상승측으로 변위 조작되는 것에 의해 상기 착색 부분이 상기 커버체로부터 노출되고, 또한 하강하는 상기 승강식 발판에 걸림으로써 하강 측으로 변위 조작되는 것에 의해 상기 착색 부분이 상기 커버체에 의해 덮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노출되는 착색 부분을 확인창으로부터 시각적으로 확인함으로써 승강식 발판이 퇴피 높이까지 상승하는 승강식 발판의 높이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표시부는, 승강식 발판이 승강 이동했을 때 표시체가 승강식 발판에 걸림으로써 승강 이동하여, 표시체의 착색 부분이 커버체로부터 노출되는 상태와 표시체의 착색 부분이 커버체에 덮힌 상태로 전환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승강식 발판의 승강 이동에 맞추어 표시체를 상승측이나 하강측으로 조작하는 장치가 별도로 필요 없어, 표시부의 구성의 간소화를 도모한 물품 수납 설비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시각 확인용의 착색 부분이, 상기 표시체의 선반 상하 폭 방향을 따라 복수의 상이한 색이 되도록 구분된 상태로 착색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복수의 상이한 색으로 되도록 구분된 상태로 착색되어 있으므로, 승강식 발판이 상승함에 따라 노출되는 착색 부분에 의해 승강식 발판이 어느 정도 상승했는지를 인식하기 쉽고, 또한, 승강식 발판이 하강함에 따라 덮히는 착색 부분에 의해 승강식 발판이 어느 정도 하강하였는지를 인식하기 쉽다. 따라서, 승강식 발판이 어느 정도 승강 이동한 것인지를 용이하게 인식하면서 승강식 발판을 승강 이동시킬 수 있는 물품 수납 설비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표시체에서의 가로 폭 방향의 중앙부에, 상기 승강식 발판이 걸리는 피걸림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승강식 발판은 표시체에서의 가로 폭 방향의 중앙부에 설치된 피걸림부에 걸려서 표시체를 승강 이동시키는 것이므로, 만일 승강식 발판이 기울어진 상태라도 표시체의 가로 폭 방향의 중앙부에 설치된 피걸림부를 걸림 조작하기 때문에, 걸림 조작되는 표시체가 쉽게 기울어진 상태로 되지 않으므로, 표시체를 원활하게 승강 이동시킬 수 있는 물품 수납 설비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승강식 발판의 상기 퇴피 높이는, 상기 물품 수납 선반의 전방의 이동 공간에서의 선반 상하 폭 방향의 상단 개소 근방에 있고, 상기 작업용 높이는 상기 이동 공간에서의 선반 상하 폭 방향의 상하 중간 개소에 있고, 상기 물품 수납 선반이, 상기 이동 공간에 출입하기 위한 출입구와, 상기 출입구를 개폐하는 유지 보수용 도어를 구비하고, 상기 권취 회전체가, 상기 물품 수납 선반에서의 상기 출입구의 상방 개소에 설치되고, 상기 물품 수납 선반에서의 상기 출입구의 가로측 개소에, 상기 권취 회전체에 연결되어 상기 권취 회전체를 회전 조작하기 위해 수동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된 승강 조작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의 물품 수납 설비에서는, 복수의 현수용 와이어에 의해 승강식 발판의 복수 개소를 현수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복수의 현수용 와이어를 풀어내는 권취 회전체를, 물품 수납 선반에서의 출입구의 가로 방향 개소에 설치하면, 출입구를 출입하는 작업자는 권취 회전체를 회전 조작하기 쉽지만, 복수의 현수용 와이어를 출입구의 가로 방향 개소까지 끌어서 설치해야 하며, 복수의 현수용 와이어를 권취하기 위해서 축심 방향으로 대형으로 되는 권취 회전체를 물품 수납 선반의 가로측 개소에 형성하므로, 출입구 주위가 번잡해지기 쉬웠다.
한편,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의 구성에서는, 권취 회전체를 물품 수납 선반에서의 출입구의 상방 개소에 설치하고, 권취 회전체에 연결되어 권취 회전체를 회전 조작하는 수동 조작식의 회전 조작부를 물품 수납 선반에서의 출입구의 가로측 개소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출입구의 가로측 개소에 설치된 수동 조작식의 회전 조작부를 회전 조작함으로써 권취 회전체가 회전 조작되어 승강식 발판이 승강 이동하므로, 출입구를 출입하는 작업자가 권취 회전체를 회전 조작하기 쉽다. 또한, 권취 회전체를 출입구의 상방 개소에 설치함으로써, 복수의 현수용 와이어를 끌고 다니는 것을 출입구의 상방 개소까지 행하면 되고 출입구의 가로측 개소까지 끌고 다닐 필요가 없다. 또한, 출입구의 가로측 개소에 설치되는 수동 조작식의 회전 조작부가, 예를 들면, 1개의 와이어를 권취 회전체와 연결시키는 등, 권취 회전체에 비해 축심 방향으로 소형으로 형성하기 쉽기 때문에, 출입구의 주위가 번잡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출입구를 출입하는 작업자가 권취 회전체를 회전 조작하기 쉬우면서 출입구의 주위가 번잡하게 되지 않는 물품 수납 설비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승강식 발판이, 선반 가로 폭 방향을 따른 장척형(長尺形)으로 형성되고, 상기 권취 회전체가, 선반 전후 폭 방향으로 배열된 상태로 복수개 설치되어, 상기 승강식 발판에서의 선반 가로 폭 방향의 양측 개소를 복수의 와이어에 의해 현수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선반 가로 폭 방향을 따른 장척형으로 형성된 승강식 발판이, 선반 가로 폭 방향의 양측 개소를 복수의 와이어에 의해 현수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흔들림을 억제한 상태에서 승강식 발판을 현수 지지할 수 있는 물품 수납 설비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권취 회전체와 일체로 회전하는 회전 조작용 회전체가 설치되고, 상기 승강 조작구로서의 수동 조작식의 윈치(winch)의 회전체로부터 풀어내어지는 조작용 와이어가, 상기 승강식 발판의 하강 측으로의 이동에 따라 상기 회전 조작용 회전체에 권취되도록 상기 회전 조작용 회전체에 걸려 권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수동 조작식의 윈치에 의한 회전 조작에 의해 권취 회전체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승강식 발판을 승강시킬 수 있도록 권취 회전체를 회전 조작할 때의 작업성이 양호하며, 또한, 조작용 와이어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므로 내하중(耐荷重)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승강식 발판을 승강시킬 수 있도록 권취 회전체를 회전 조작할 때의 작업성이 양호하며, 또한 내하중이 높은 물품 수납 설비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물품 수납 설비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물품 수납 선반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물품 수납 선반의 상부를 나타낸 평면도다.
도 4는 승강식 발판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안내 레일과 승강식 발판의 안내 롤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중간부용 지지부와 단부용 지지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중간부용 지지부를 나타낸 종단 정면도이다.
도 8은 단부용 지지부를 나타낸 종단 측면도이다.
도 9는 현수용 와이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물품 수납 선반의 상부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1은 스토퍼 수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도어 열림 저지 수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표시부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4는 표시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5는 표시부를 나타낸 측면도다.
도 16은 다른 실시예에서의 스토퍼 수단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복수의 실시예가 기재되어 있지만, 하나의 실시예에서의 특징과 다른 실시예에서의 특징의 조합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물품 수납 설비는, 물품 수납용의 수납부(1)가 선반 상하 방향 및 선반 가로 폭 방향으로 병설된 물품 수납 선반(2)과, 이 물품 수납 선반(2)의 전방의 이동 공간 S를 선반 상하 방향으로 승강 이동하는 승강식 발판(3)과, 수납부(1)와 물품 반출입부(4)와의 사이에서 물품을 반송하는 반송 장치(5)를 구비하고 있다.
도 2에 있어서, X는 선반 가로 폭 방향을 따른 방향을 나타내고, Y는, 선반 전후 방향을 따른 방향을 나타낸다.
상기 물품 수납 선반(2)에는, 대향하는 한쌍의 수납 선반 부분(2a)이 설치되어 있고, 이 한쌍의 수납 선반 부분(2a) 사이에 이동 공간 S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한쪽의 수납 선반 부분(2a)의 하측에 위치하는 수납부(1)의 영역이, 선반 가로 폭 방향으로 병설되는 복수의 물품 반입출부(4)로서 기능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물품 수납 선반(2)에는, 상기 이동 공간 S에 출입하기 위한 출입구(6)와, 상기 출입구(6)를 개폐하는 유지 보수용 도어(7)가 구비되어 있다. 즉, 물품 수납 선반(2)에는, 이동 공간 S에서의 선반 가로 폭 방향의 양측을 덮는 한쌍의 외벽(2b)의 일측에 작업용 높이에 위치하는 승강식 발판(3)에 대하여 승강하기 위한 출입구(6)가 형성되고, 세로 축심 주위의 요동(搖動) 조작에 의해 개폐 조작 가능한 유지 보수용 도어(7)가 출입구(6)를 막도록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물품 수납 선반(2)의 옆쪽에는, 사다리(8a)를 이용하여 오를 수 있는 가대(架臺)(8)가 출입구(6)에 대응하는 높이에 설치되어 있고, 가대(8)로부터 출입구(6)를 통하여 이동 공간 S에 출입함으로써 작업용 높이에 위치하는 승강식 발판(3)에 대하여 승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반송 장치(5)는, 각 수납부(1)에 대하여 물품을 이송 탑재하는 물품 이송탑재 장치(9)와, 이 물품 이송탑재 장치(9)를 선반 가로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또한, 이동 공간 S를 선반 상하 폭 방향을 따라 승강 이동 가능한 승강 범위(10)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물품 이송탑재 장치(9)는, 포크 장치를 세로 축심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하고 있고, 한쌍의 수납 선반 부분(2a)의 어디 쪽에 대해서도 각 수납부(1)에 대하여 물품을 이송 탑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승강식 발판(3)은, 그 복수 개소에 있어서, 회전 조작되는 권취 회전체(13)로부터 풀어내어지는 복수의 현수용 와이어(14)에 의해 현수 지지되어 있다. 상기 권취 회전체(13)의 정방향 및 역방향의 회전에 의해, 이동 공간 S에서의 선반 상하 폭 방향의 상단 개소 또는 그 상단 개소 근방의 퇴피 높이와 이동 공간 S에서의 선반 상하 폭 방향의 중간 개소의 작업용 높이에 걸쳐, 물품 수납 선반(2)을 따라 승강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권취 회전체(13)와 현수용 와이어(14)에 의해 승강식 발판(3)을 승강 가능하게 지지하는 승강 지지 수단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승강식 발판(3)은, 평면에서 볼 때 형상이 직사각형으로 형성된 발판 부분(15)과, 이 발판 부분(15)에서의 선반 전후 방향의 양 단부 각각에 연결된 피지지 프레임 부분(16)을 구비하고, 선반 가로 폭 방향을 따라 장척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발판 부분(15)과 한쌍의 피지지 프레임 부분(16)의 각각은, 이동 공간 S의 선반 가로 폭 방향의 폭과 대략 같은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퇴피 높이는, 반송 장치(5)가 승강 이동하는 승강 이동 범위의 상단의 높이보다 높은 높이(도 3에 있어서 실선으로 표시)이며, 작업용 높이는, 반송 장치(5)가 승강 이동하는 승강 이동 범위의 중간 위치에 위치하는 높이(도 3에 있어서 가상선으로 표시)이며, 승강식 발판(3)을 퇴피 높이로 퇴피시켜 둠으로써, 반송 장치(5)를 그 승강 이동 범위의 전체 범위에 걸쳐 승강 이동시킬 수 있고, 또한, 반송 장치(5)를 승강 이동 범위의 상기 중간 위치보다 하측으로 하강시킴으로써, 승강식 발판(3)을 작업용 높이와 퇴피 높이에 걸쳐 승강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3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승강식 발판(3)에 설치된 피안내부로서의 안내 롤러(17)를 상하 방향을 따라 안내하는 안내 레일(18)이 설치되어 있다. 안내 롤러(17) 또는 안내 레일(18)은, 안내 롤러(17)의 수평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설명을 추가하면, 안내 롤러(17)는, 승강식 발판(3)에서의 한쌍의 피지지 프레임 부분(16)의 각각에 상기 피지지 프레임 부분(16)으로부터 선반 전후 폭 방향의 외측으로 돌출하는 상태에서 선반 가로 폭 방향의 양 단부에 설치되고, 안내 레일(18)은, 물품 수납 선반(2)에서의 수납 선반 부분(2a)의 각각에 안내 롤러(17)에 대응하도록 상하 방향을 따른 자세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선반 전후 방향으로 배열된 안내 레일(18)의 사이에 안내 롤러(17)가 위치함으로써, 나아가서는 안내 롤러(17)에 선반 가로 폭 방향의 외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리브(rib)가 설치되어 있는 것에 의해, 안내 롤러(17)가 안내 레일(18)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된 상태에서 상하 방향을 따라 안내되어 승강식 발판(3)이 물품 수납 선반(2)을 따라 승강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물품 수납 선반(2)에는, 하강 조작되는 상기 승강식 발판(3)을 작업용 높이에서 받쳐서 지지하는 지지부(19)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부(19)로서 피지지 프레임 부분(16)에서의 선반 가로 폭 방향의 중간부를 탑재 지지하는 중간부용 지지부(19a)와, 피지지 프레임 부분(16)에서의 선반 가로 폭 방향의 단부를 탑재 지지하는 단부용 지지부(19b)가 구비되어 있다.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간부용 지지부(19a)는, 선반 가로 폭 방향을 따른 자세의 가로 프레임(11)에 고착된 블록형의 부재이며, 피지지 프레임 부분(16)에 상기 피지지 프레임 부분(16)으로부터 선반 전후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상태로 설치된 판형 부재(16a)를 탑재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중간부용 지지부(19a)는, 대략 수평으로 연장되는 상면을 가진다. 판형 부재(16a)는, 전체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평탄한 형상을 가지고, 그 바닥면이 중간부용 지지부(19a)의 대략 수평으로 연장되는 상면에 대하여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가로 프레임(11)의, 선반 가로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적어도 1개의 면에는 선반 가로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중간부용 지지부(19a)는, 상기 홈을 통하여 가로 프레임(11)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도 6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부용 지지부(19b)는, 선반 전후 폭 방향을 따른 자세의 전후 프레임(12)에 고착된, L자형으로 굴곡 형성된 판형의 부재이며, 발판 부분(15)의 선반 가로 폭 방향의 단부를 탑재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이 단부용 지지부(19b)에 구비된 상방으로 돌출하는 복수의 돌기부(20)가 발판 부분(15)에서의 선반 가로 폭 방향의 단부에 맞닿음으로써 작업용 높이에 위치하는 승강식 발판(3)이 선반 가로 폭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전후 프레임(12)의, 선반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적어도 1개의 면에는 선반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홈이 형성되어 있고, 단부용 지지부(19b)는, 이 홈을 통하여 가로 프레임(11)에 고정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각 지지부(19)는, 승강 이동하는 반송 장치(5)와 간섭하지 않도록 반송 장치(5)의 승강 이동 경로의 수평 방향 외측에 설치되어 있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현수용 와이어(14)는, 2개의 루프형 와이어(21)를 가진다. 루프형 와이어(21) 각각은, 한쌍의 하향 부분(21b)과 이들 하향 부분(21b)의 하단부끼리를 연결하는 수평 자세 부분(21c)을 구비하는 현수 지지 부분(21A)을 가지고, 대응하는 권취 회전체(13)로부터 그 투입량이 변경되도록 내보내어진다. 상기 승강식 발판(3)의 선반 전후 방향의 일측에는, 선반 가로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위치하고 쌍을 이루는 제1 와이어 안내 회전체(22)가 설치되고, 상기 승강식 발판(3)의 선반 전후 방향의 타측에는, 선반 가로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위치하고 쌍을 이루는 제2 와이어 안내 회전체(22)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2개의 루프형 와이어(21)의 각각의 상기 현수 지지 부분(21A)이, 와이어 안내 회전체(22)의 제1과 제2의 각 쌍에 권취되어 있다. 또한, 루프형 와이어(21) 각각은, 그 일단부 및 타단부가 권취 회전체(13)에 권취됨으로써 루프형으로 되어 있다.
설명을 추가하면, 한쌍의 와이어 안내 회전체(22)가 승강식 발판(3)에서의 선반 가로 폭 방향의 양 단부에 나누어 설치되고, 상기 한쌍의 와이어 안내 회전체(22)의 조(組)가 승강식 발판(3)에서의 선반 전후 방향의 일단측과 타단측의 양측에 설치되어 있다. 즉, 와이어 안내 회전체(22)는, 승강식 발판(3)에서의 선반 전후 방향의 일단측 부분과 타단측 부분이 되는 한쌍의 피지지 프레임 부분(16)의 선반 가로 폭 방향의 양 단부 각각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물품 수납 선반(2)의 상단부에는, 루프형 와이어(21)를 안내하는 복수의 안내 회전체(23)가 설치되어 있고, 이 복수의 안내 회전체(23)로서, 선반 가로 폭 방향에서의 권취 회전체(13)와 같은 측에 설치되어 권취 회전체(13)로부터 상방으로 풀어내어진 루프형 와이어(21)를 수평 방향으로 안내하는 한쌍의 수평 안내용 안내 회전체(23a)와, 선반 가로 폭 방향에서의 권취 회전체(13)와는 반대측에 설치되어 루프형 와이어(21)를 되돌림 상태로 안내하는 되돌림용 안내 회전체(23b)와, 수평 안내용 안내 회전체(23a)와 되돌림용 안내 회전체(23b)와의 사이에 설치되어 루프형 와이어(21)에서의 한쌍의 수평 안내용 안내 회전체(23a)의 일측과 되돌림용 안내 회전체(23b)와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을 아래쪽으로 안내하는 한쌍의 하방 안내용 안내 회전체(23c)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한쌍의 수평 안내용 안내 회전체(23a), 되돌림용 안내 회전체(23b) 및 한쌍의 하방 안내용 안내 회전체(23c)의 5개의 안내 회전체(23)의 조가, 물품 수납 선반(2)의 상단부에서의 선반 가로 폭 방향의 일측과 타측에 2조 설치되어 있다.
또한, 물품 수납 선반(2)의 상단부에서의 일측과 타측의 양측에 루프형 와이어(21)에 장력(tension)을 부여하는 장력 회전체(24)가 설치되어 있다.
즉, 2개의 루프형 와이어(21) 각각은, 전술한 바와 같은 설치된 한쌍의 와이어 안내 회전체(22) 및 5개의 안내용 회전체(23)에 의해, 한쌍의 하향 부분과 이들 하향 부분(21b)의 하단부끼리를 연결하는 수평 자세 부분(21c)을 구비하는 현수 지지 부분(21A)을 구비하는 상태로 권취되어 있고, 루프형 와이어(21)에서의 한쌍의 하방 안내용 안내 회전체(23c)의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현수 지지 부분(21A)이, 한쌍의 와이어 안내 회전체(22)의 하측에 걸려 권취되어 있다.
또한, 루프형 와이어(21)에서의 하방 안내용 안내 회전체(23c)로부터 와이어 안내 회전체(22)에 이르는 상하 방향을 따른 부분이 하향 부분(21b)에 해당하고, 루프형 와이어(21)에서의 한쌍의 와이어 안내 회전체(22)의 사이에 위치하는 선반 가로 폭 방향을 따른 부분이 수평 자세 부분(21c)에 해당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권취 회전체(13)는, 물품 수납 선반(2)에서의 출입구(6)의 상방 개소에 설치되어 있고, 이 권취 회전체(13)로서 일측의 루프형 와이어(21)의 일단측을 권취하는 권취 회전체(13), 일측의 루프형 와이어(21)의 타단측을 권취하는 권취 회전체(13), 타측의 루프형 와이어(21)의 일단측을 권취하는 권취 회전체(13), 및 타측의 루프형 와이어(21)의 타단측을 권취하는 권취 회전체(13)의 4개의 권취 회전체(13)가, 물품 수납 선반(2)의 외벽(2b)의 외면측에서의 출입구(6)의 상방 개소에 선반 전후 폭 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지만,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4개의 권취 회전체(13)는 회전축(32)에 의해 일체로 회전하도록 연계되어 있고, 4개의 권취 회전체(13) 각각은 회전축(32)과의 연결을 해제함으로써 별도로 회전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물품 수납 선반(2)에서의 출입구(6)의 가로측 개소에, 권취 회전체(13)에 연결되어 권취 회전체(13)를 회전 조작하는 수동 조작식의 승강 조작구 또는 회전 조작부로서의 윈치(25)가 설치되어 있다. 즉,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동 조작식의 윈치(25)의 회전체(26)로부터 풀어내어지는 조작용 와이어(27)를 권취하고, 또한 상기 윈치(25)의 회전체(26)에 권취되는 조작용 와이어(27)를 풀어내는 회전 조작용 회전체(28)가 설치되고, 상기 권취 회전체(13)가, 상기 회전 조작용 회전체(28)와 일체로 회전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이로써, 윈치(25)가 권취 회전체(13)와 연결되어 있다.
회전 조작용 회전체(28)는, 물품 수납 선반(2)의 외벽(2b)의 외면측에서의 출입구(6)의 가로측 상방 개소에 설치되어 있다.
즉, 작업자가 조작용 와이어(27)를 회전체(26)에 의해 권취하도록 윈치(25)를 조작하면, 회전 조작용 회전체(28)가 조작용 와이어(27)를 풀어내도록 회전함에 따라 권취 회전체(13)가 현수용 와이어(14)를 권취하도록 회전하고, 2개의 루프형 와이어(21)의 투입량이 작게 되어 현수 지지 부분(21A)이 짧아지면, 승강식 발판(3)이 현수용 와이어(14)에 의해 끌어 올려져 상승 이동한다.
또한, 작업자가 조작용 와이어(27)를 회전체(26)로부터 풀어내도록 윈치(25)를 조작하면, 회전 조작용 회전체(28)가 조작용 와이어(27)를 권취하도록 회전함 따라 권취 회전체(13)가 현수용 와이어(14)를 풀어내도록 회전하고, 2개의 루프형 와이어(21)의 투입량이 커져서 현수 지지 부분(21A)이 길어지면, 길어짐에 따라 승강식 발판(3)이 자중에 의해 하강 이동한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승강식 발판(3)이 상기 작업용 높이에 도달하면, 상기 권취 회전체(13)의 상기 승강식 발판(3)의 하강 측으로의 회전을 저지하는 스토퍼 수단(31)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스토퍼 수단(31)은, 상기 권취 회전체(13)와 일체로 회전하는 회전축(32)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권취 회전체(13)의 회전에 따라 회전축(32)의 축심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체(33)와, 이 이동체(33)의 회전축심 방향의 이동 범위를 상기 승강식 발판(3)이 상기 작업용 높이에 이르는 범위로 규제하는 규제체(34)로 구성되어 있다.
스토퍼 수단(31)에 대하여 설명을 추가하면, 스토퍼 수단(31)은, 회전 조작용 회전체(28)에 있어서, 권취 회전체(13)가 위치하는 측과는 반대측에 설치되어 있고, 규제체(34)에서의 이동체(33)는, 기단부(基端部)가 회전축(32)에 대하여 평행 상태로 설치된 안내축(35)에 그 축심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면서, 회전 가능하게 끼워맞추어져 있으며, 선단부(先端部)가 회전축(32)에서의 나사부(32a)에 나사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회전 조작용 회전체(28) 및 권취 회전체(13)가 회전하여 회전축(32)이 회전함에 따라 이동체(33)가 회전축(32)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하여 안내축(35)의 축심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고, 이동체(33)의 슬라이드 이동 범위에서의 승강식 발판(3)의 작업용 높이에 대응하는 개소까지 이동하면, 이동체(33)에서의 기단부와 선단부와의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부에 규제체(34)가 맞닿아서 받아서 규제되는 것에 의해, 권취 회전체(13)의 승강식 발판(3)의 하강 측으로의 회전을 규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규제체(34)는, 지지판(36)에 나사 결합하는 나사 부분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고, 회전 조작함으로써 축심 방향으로 이동 조작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현수용 와이어(14)가 늘어나더라도 승강식 발판(3)이 작업용 높이까지 하강하면 이동체(33)를 받아서 규제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이동체(33)에 대하여 맞닿는 위치를 안내축(35)의 축심 방향을 따라 위치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승강식 발판(3)이 상기 작업용 높이 또는 그 근방의 높이에 위치할 때는 상기 유지 보수용 도어(7)의 열림 조작을 허용하며, 또한 상기 승강식 발판(3)이 상기 작업용 높이 또는 그 근방의 높이보다 상방에 위치할 때는 상기 유지 보수용 도어(7)의 열림 조작을 저지하는 도어 열림 저지 수단(39)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도어 열림 저지 수단(39)은, 상기 유지 보수용 도어(7)의 열림 조작을 허용하는 허용 자세[도 12의 (B) 및 (C) 참조]와 열림 조작을 저지하는 저지 자세[도 12의 (A) 참조]로 전환 가능한 저지체(40)를, 상기 저지 자세쪽으로 탄성 복귀 가압한 상태로, 또한 상기 작업용 높이 또는 그 근방의 높이에 위치할 때는 그 승강식 발판(3)의 하강 이동에 의해 상기 허용 자세[도 12의 (B) 참조]쪽으로 가압 조작하고, 또한 상기 승강식 발판(3)이 상기 작업용 높이 또는 그 근방의 높이보다 상방에 위치할 때는 상기 승강식 발판(3)에 의한 가압 조작으로부터 해제되어 상기 저지 자세쪽으로 탄성 복귀시키도록, 승강식 발판의 승강 이동 경로에 위치하는 상태로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저지체(40)를, 상기 허용 자세[도 12의 (C) 참조] 및 상기 저지 자세[도 12의 (A) 참조]로 자세 변경 조작하는 인위 조작구로서의 조작키(41)가, 상기 이동 공간 S의 외부에 노출되는(즉 외부 측으로부터 액세스할 수 있음) 장착부(42)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즉, 저지체(40)는, 도 12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은 승강식 발판(3)의 하강 이동에 의해 전환된 통상용 해제 자세 외에, 도 12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은 조작키(41)의 인위적 조작에 의해 비상용 해제 자세로 전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저지체(40)에 대하여 설명을 추가하면, 저지체(40)는, 한쌍의 외벽(2b)의 일측에 설치된 승강 조작용 부재(37)와, 상기 승강 조작용 부재(37)에 걸어맞추도록 유지 보수용 도어(7)의 내면측, 상세하게는, 이 내면측의 가로 폭 방향에서의 여유단측 단부의 하단에 설치된 요동 조작용 부재(38)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요동 조작용 부재(38)는, 도 12의 (A) 및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평 혹은 대략 수평이면서, 또한 장착부(42)에 대하여 조작키(41)가 착탈 가능한 걸어맞춤 자세와, 도 12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단부가 기단부보다 상방에 위치하도록 경사지고, 또한 장착부(42)에 장착된 조작키(41)가 이탈 불가능한 걸어맞춤 해제 자세로 요동 조작이 가능하며, 이 요동 조작용 부재(38)의 요동 조작은, 장착부(42)에 장착된 조작키(41)에 의해 요동 조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승강 조작용 부재(37)는, 도 12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탄성 가압에 저항하여 승강식 발판(3)의 피지지 프레임 부분(16)에 의해 가압 조작되어 하부측으로 이동한 하방 위치와, 도 12의 (A) 및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승강식 발판(3)의 피지지 프레임 부분(16)에 의한 가압 조작으로부터 해제되어 탄성 가압에 의해 상방으로 이동한 상방 위치로 승강 이동 가능하며, 이 승강 조작용 부재(37)의 승강 조작은 승강식 발판(3)의 승강 이동에 의해 조작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승강 조작용 부재(37)에는, 승강 조작용 부재(37)가 하강 위치에 위치할 때는 걸어맞춤 자세의 요동 조작용 부재(38)의 선단부보다 하방에 위치하고, 승강 조작용 부재(37)가 상승 위치에 위치할 때는 걸어맞춤 자세의 요동 조작용 부재(38)의 선단부와 같은 높이에 위치하도록, 돌출부(37a)가 승강 조작용 부분(37)의 본체 부분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도 12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승강식 발판(3)이 작업용 높이 또는 그 근방의 높이보다 높은 위치로 상승 이동하고, 또한 장착부(42)로부터 조작키(41)가 이탈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승강 조작용 부재(37)가 상방 위치에 위치하고, 또한 요동 조작용 부재(38)가 걸어맞춤 자세로 자세 변경되어 있고, 승강 조작용 부재(37)가 요동 조작용 부재(38)에 걸어맞추어지므로, 저지체(40)는 저지 자세로 되어, 유지 보수용 도어(7)는 요동 조작용 부재(38)의 선단부가 승강 조작용 부재(37)의 돌출부(37a)에 맞닿음으로써 열림 조작을 행할 수 없다.
그리고, 도 12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승강식 발판(3)이 작업용 높이 또는 그 근방의 높이로 하강 이동하면, 승강 조작용 부재(37)가 하강 위치로 이동하여 승강 조작용 부재(37)가 요동 조작용 부재(38)로부터 이격되므로, 저지체(40)는 통상용 해제 자세로 되어, 유지 보수용 도어(7)는 열림 조작될 수 있다.
또한, 도 12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착부(42)에 조작키(41)가 장착되어 이 조작키(41)에 의해 요동 조작용 부재(38)가 걸어맞춤 해제 자세로 요동 조작되면, 요동 조작용 부재(38)가 승강 조작용 부재(37)로부터 이격되므로, 저지체(40)는 비상용 해제 자세로 되어, 유지 보수용 도어(7)는 열림 조작될 수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승강식 발판(3)의 높이를 확인하기 위한 확인창(43)과, 상기 승강식 발판(3)이 퇴피 높이까지 상승된 것을 표시하고, 또한 상기 확인창(43)으로부터 시각 확인 가능한 개소에 위치하는 표시부(44)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확인창(43)은, 상기 이동 공간 S에서의 선반 가로 폭 방향의 일단측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된 상기 유지 보수용 도어(7)에 구비되고, 상기 표시부(44)는, 상기 이동 공간 S에서의 선반 가로 폭 방향의 타단측에 대응하는 개소에 설치되어 있다.
도 13∼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표시부(44)는, 시각 확인용의 착색 부분(45a)을 구비한 표시체(45)와, 상기 시각 확인용의 착색 부분(45a)을 덮는 커버체(46)를 구비하여 구성되며, 상기 표시부(44)에서의 상기 표시체(45)가, 상승하는 상기 승강식 발판(3)에 의해 상승측에 걸리도록 조작됨에 따라 상기 착색 부분(45a)이 상기 커버체(46)로부터 노출되고, 또한 하강하는 상기 승강식 발판(3)에 의해 하강측에 걸리도록 조작됨에 따라 상기 착색 부분(45a)이 상기 커버체(46)에 의해 덮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시각 확인용의 착색 부분(45a)이, 상기 표시체(45)의 선반 상하 폭 방향을 따라 복수의 상이한 색으로 되도록 구분된 상태로 착색되어 있다. 상기 표시체(45)에서의 가로 폭 방향의 중앙부에, 상기 승강식 발판(3)이 걸리는 피걸림부(45b)가 설치되어 있다.
설명을 추가하면, 표시부(44)에는, 판형의 본체 부분의 상부에 착색 부분(45a)이 구비되어 있고, 판형의 본체 부분에서의 상단부의 가로 폭 방향 중앙부에 승강식 발판(3)이 위치하는 측을 향해 수평 방향으로 돌출하는 형태로 피걸림부(45b)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착색 부분(45a)은 선반 상하 폭 방향으로 2색으로 착색된 밴드형으로 구분되어 있고, 착색 부분(45a)에서의 상부가 녹색으로 착색되고, 하부가 적색으로 착색되어 있다. 또한, 착색 부분(45a)의 적색으로 착색된 하부에 대하여 녹색으로 착색된 하부쪽이 선반 상하 폭 방향으로 폭이 넓게 착색되어 있다.
또한, 커버체(46)는, 가로 폭 방향의 중앙부의 내부에 표시체(45)에 형성된 상하 방향을 따른 슬릿형의 안내용 구멍(45c)에 삽통되는 상하 한쌍의 안내용 부재(46a)가 설치되어 있고, 이 상하 한쌍의 안내용 부재(46a)에 의해 표시체(45)를 선반 상하 방향으로 안내하는 동시에 상측의 안내용 부재(46a)가 안내용 구멍(45c)의 상단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표시체(45)를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커버체(46)에 의해 표시체(45)를 지지한 상태에서는, 이 커버체(46)에 의해 표시체(45)에서의 착색 부분(45a) 전체가 덮혀 있고, 표시체(45)가 커버체(46)에 대하여 상방으로 이동함으로써, 착색 부분(45a)의 상부, 착색 부분(45a)의 하부의 차례로 착색 부분(45a)이 커버체(46)의 상방으로 노출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커버체(46)는 벽부(壁部)(2b)에 고착되어 있다.
즉, 승강식 발판(3)이 작업용 높이 또는 그 근방의 높이에 위치하는 상태에서는, 승강식 발판(3)이 표시체(45)의 피걸림부(45b)에 걸려있지 않고 표시체(45)가 상승 조작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표시체(45)가 커버체(46)에 의해 지지되어 있고, 이 상태에서는 커버체(46)에 의해 착색 부분(45a) 전체가 덮혀져 있다.
또한, 승강식 발판(3)이 작업용 높이 또는 그 근방의 높이로부터 상승 조작되어, 승강식 발판(3)이 퇴피 높이 또는 그 근방의 높이에 근접하면, 승강식 발판(3)이 표시체(45)의 피걸림부(45b)에 걸리고, 이 상태로부터 승강식 발판(3)이 상승 조작되면, 착색 부분(45a)에서의 녹색으로 착색된 상부가 커버체(46)의 상방으로부터 노출되고, 또한 승강식 발판(3)이 상승 조작되면, 착색 부분(45a)에서의 적색으로 착색된 하부가 커버체(46)의 상방으로부터 노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표시부 상태를 확인창(43)을 통하여 볼 수 있다.
[다른 실시예]
(1) 상기 실시예에서는, 스토퍼 수단(31)을, 권취 회전체(13)와 일체로 회전하는 회전축(32)에 나사 결합되어 권취 회전체(13)의 회전에 따라 회전축(32)의 축심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체(33)와, 그 이동체(33)의 회전축심 방향의 이동 범위를 승강식 발판(3)이 작업용 높이에 이르는 범위로 규제하는 규제체(34)로 구성했다. 그러나, 스토퍼 수단(31)의 구성은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즉,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토퍼 수단(31)을, 상기 조작용 와이어(27)에 고정된 접촉 부재(51)와, 상기 조작용 와이어(27)를 삽통하고 또한, 상기 승강식 발판(3)이 상기 작업용 높이에 이르는 위치에서 상기 접촉 부재(51)를 받는 와이어 삽통체(52)를 구비하여 구성해도 된다.
(2) 상기 실시예에서는, 수동 조작식의 윈치(25)의 회전체(26)로부터 풀어내어지는 조작용 와이어(27)를 권취하고, 또한 회전체(26)에 권취되는 조작용 와이어(27)를 풀어내는 회전 조작용 회전체(28)를 설치하고, 권취 회전체(13)를, 회전 조작용 회전체(28)와 일체로 회전하도록 설치하였으나, 조작용 와이어(27)나 회전 조작용 회전체(28)를 설치하지 않고, 수동 조작식의 윈치(25)에 의해 권취 회전체(13)를 직접적으로 회전 조작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3) 상기 실시예에서는, 수동 조작식의 회전 조작부를 수동 조작식의 윈치(25)에 의해 구성하고, 윈치(25)의 회전체(26)로부터 풀어내어지는 조작용 와이어(27)를 회전 조작용 회전체(28)에 권취하도록 구성하였지만, 수동 조작식의 회전 조작부를 웜 기어와 상기 웜 기어를 회전 조작하는 조작 레버를 구비하여 구성하고, 웜 기어에 권취한 톱니 부착 벨트를 회전 조작용 회전체에 걸어서 권취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4) 상기 실시예에서는, 유지 보수용 도어(7)의 열림 조작을 허용하는 허용 자세와 열림 조작을 저지하는 저지 자세로 전환 가능한 저지체(40)를, 저지 자세쪽으로 탄성 가압한 상태에서, 승강식 발판(3)의 하강 이동에 의해 허용 자세쪽으로 가압 조작되고, 또한 승강식 발판(3)의 가압 조작으로부터 해제되어 저지 자세쪽으로 탄성 복귀되도록 구성하였다. 그러나, 저지체(40)를, 승강식 발판(3)이 작업용 높이 또는 그 근방의 높이까지 하강하면 승강식 발판(3)에 구비한 걸림 부재가 저지체(40)에 걸리도록 구성하여, 승강식 발판(3)이 작업용 높이의 근방의 높이로 승강 이동함에 따라 저지체(40)가 걸림 부재와의 걸림에 의해 허용 자세쪽과 저지 자세쪽으로 전환되도록 구성해도 된다.
또한, 승강식 발판(3)의 높이를 검출하는 높이 검출 수단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승강식 발판(3)이 작업용 높이 또는 그 근방의 높이까지 하강하면 저지체(40)를 허용 자세로 자세 변경하고, 승강식 발판(3)이 작업용 높이 또는 그 근방의 높이보다 상방으로 상승하면 저지체(40)를 저지 자세로 자세 변경하도록, 저지체(40)를 허용 자세와 저지 자세로 자세 변경 가능한 조작 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여 구성해도 된다.
(5) 상기 실시예에서는, 저지체(40)를 허용 자세 및 저지 자세로 자세 변경 조작하는 인위 조작구(41)를, 이동 공간 S의 외부 측으로부터 액세스할 수 있는 장착부(42)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고, 인위 조작구(41)의 조작에 의해, 장착부(42)를 통하여 저지체(40)를 허용 자세와 저지 자세로 자세 변경 조작하도록 구성하였지만, 인위 조작구(41)를 이동 공간 S의 외부에 위치 고정 상태로 설치하고, 인위 조작구의 조작에 의해, 저지체(40)를 직접 허용 자세와 저지 자세로 자세 변경 조작하도록 구성해도 되고, 또한, 인위 조작구(41)나 장착부(42)를 형성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승강식 발판(3)의 승강 이동에 의해 승강 조작되는 승강 조작용 부재(37)와 인위 조작구(41)에 의해 요동 조작용 부재(38)를 구비하였으나, 요동 조작용 부재(38)를 구비하지 않고 인위 조작구(41)에 의해 승강 조작용 부재(37)를 승강 조작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6) 상기 실시예에서는, 확인창(43)을 이동 공간 S에서의 선반 가로 폭 방향의 일단측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된 유지 보수용 도어(7)에 구비하고, 표시부(44)를 이동 공간 S에서의 선반 가로 폭 방향의 타단측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하였으나, 이들 확인창(43)이나 표시부(44)는 이동 공간 S의 외부에 위치하는 작업자가 확인창(43)으로부터 표시부(44)를 시인할 수 있으면 되고, 예를 들면, 확인창(43)을 이동 공간 S에서의 선반 가로 폭 방향의 일단측에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하는 외벽(2b)에 구비하고, 표시부(44)를 이동 공간 S에서의 선반 가로 폭 방향의 중앙부에 대응하는 개소에 설치해도 된다.
(7) 상기 실시예에서는, 표시부(44)를, 상승하는 승강식 발판(3)에 의해 상승 측에 걸림 조작됨에 따라 착색 부분(45a)이 커버체(46)로부터 노출되고, 또한 하강하는 승강식 발판(3)에 의해 하강 측으로 걸림 조작됨에 따라 착색 부분(45a)이 커버체(46)에 의해 덮히도록 구성하였지만, 표시부(44)를, 상승하는 승강식 발판(3)에 의해 상승 측에 걸림 조작됨에 따라 착색 부분(45a)이 커버체(46)로부터 노출되고, 또한 하강하는 승강식 발판(3)에 의해, 하강 측에 걸림 조작됨에 따라 착색 부분(45a)이 커버체(46)에 의해 덮히도록 구성해도 된다.
(8) 상기 실시예에서는, 표시부(44)를, 시각 확인용의 착색 부분(45a)을 구비한 표시체(45)와, 시각 확인용의 착색 부분(45a)을 덮는 커버체(46)를 구비하여 구성하였지만, 표시부(44)를, 커버체(46)를 구비하지 않고 표시체(45)만을 구비하여 구성하고, 상승하는 승강식 발판(3)의 하방으로부터 표시체(45)가 노출되고, 하강하는 승강식 발판(3)에 의해 표시체(45)가 덮히도록 구성해도 된다.
(9) 상기 실시예에서는, 시각 확인용의 착색 부분(45a)을, 표시체(45)의 선반 상하 방향을 따라 복수의 상이한 색이 되도록 2색으로 구분된 상태로 착색했지만, 시각 확인용의 착색 부분(45a)을, 단색으로 착색해도 되고, 3색 이상으로 구분된 상태로 착색해도 된다.
(10) 상기 실시예에서는, 표시체(45)에서의 가로 폭 방향의 중앙부에, 승강식 발판(3)이 걸리는 피걸림부(45b)를 설치하였으나, 피걸림부(45b)의 크기나 설치하는 위치는 적절하게 변경해도 되고, 예를 들면, 피걸림부(45b)를, 표시체(45)에서의 가로 폭 방향의 전체 또는 거의 전체에 이르도록 설치해도 되고, 또한, 피걸림부(45a)를, 표시체(45)에서의 가로 폭 방향의 단부에 설치해도 된다.
(11) 상기 실시예에서는, 권취 회전체(13)를, 선반 전후 폭 방향으로 배열된 상태로 설치하여, 승강식 발판(3)에서의 선반 가로 폭 방향의 양측 개소를 복수의 와이어(14)에 의해 현수 지지하도록 구성하였지만, 권취 회전체(13)를 1개 설치하고, 승강식 발판(3)에서의 선반 가로 폭 방향의 단부 또는 중앙부를 단일 와이어(14)에 의해 현수 지지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12) 상기 실시예에서는, 승강식 발판(3)을 선반 가로 폭 방향으로 장척형으로 형성하였으나, 승강식 발판(3)을 선반 전후 방향을 따라 장척형으로 형성해도 되고, 또한, 승강식 발판(3)을 선반 가로 폭 방향과 선반 전후 방향의 길이를 동일한 길이로 되도록 형성해도 된다.
[산업상 이용 가능성]
본원 발명에 의한 물품 수납 설비는, 각종 물품을 수납하는 설비로서 각종 형태의 이용이 가능하다.

Claims (16)

  1. 물품 수납용의 복수의 수납부가 선반 상하 폭 방향 및 선반 가로 폭 방향으로 병설(竝設)된 물품 수납 선반; 및
    상기 물품 수납 선반의 전방의 이동 공간을 퇴피 높이와 작업용 높이와의 사이에 선반 상하 방향으로 승강 이동하는 승강식 발판
    을 포함하는 물품 수납 설비로서,
    수동으로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조작되는 권취 회전체가 설치되고,
    상기 승강식 발판은, 상기 권취 회전체로부터 풀어내어지는 복수의 현수용(懸垂用) 와이어에 의해 현수 지지되고, 또한 상기 권취 회전체의 회전에 의해 승강 이동하도록 구성되며,
    하강 조작되는 상기 승강식 발판을 상기 작업용 높이에서 받쳐서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권취 회전체의 상기 승강식 발판의 하강 측으로의 회전을 상기 승강식 발판이 상기 작업용 높이에 도달하면 저지하는 스토퍼 수단
    이 설치되어 있는 물품 수납 설비.
  2. 제1항에 있어서,
    수동 조작식의 승강 조작구(操作具)의 회전체로부터 풀어내어지는 조작용 와이어를 권취하고, 또한 상기 승강 조작구의 회전체에 권취되는 조작용 와이어를 풀어내는 회전 조작용 회전체가 설치되고,
    상기 권취 회전체는, 상기 회전 조작용 회전체와 일체로 회전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물품 수납 설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수단은, 상기 권취 회전체와 일체로 회전하는 회전축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권취 회전체의 회전에 따라 회전축의 축심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체와, 상기 이동체의 회전축심 방향의 이동 범위의 일단(一端)이 상기 승강식 발판의 상기 작업용 높이에 대응하는 위치로 되도록 상기 이동체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체를 가지는, 물품 수납 설비.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수단은, 상기 조작용 와이어에 고정된 접촉 부재와, 상기 조작용 와이어가 삽통(揷通)하고, 또한 상기 승강식 발판이 상기 작업용 높이에 도달한 위치에서 상기 접촉 부재에 접촉하여 상기 조작용 와이어의 풀어내어짐(繰出)을 규제하는 와이어 삽통체를 포함하는, 물품 수납 설비.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와 물품 반출입부와의 사이에 물품을 반송하기 위해 승강 이동하도록 구성된 반송 장치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퇴피 높이는, 상기 반송 장치의 승강 이동 범위의 상단(上端)의 높이보다 높은 높이이며, 상기 작업용 높이는, 상기 승강 이동 범위의 중간 위치에 위치하는 높이이며,
    이로써, 상기 승강식 발판을 상기 퇴피 높이에 퇴피시켜 둠으로써, 상기 반송 장치를 상기 승강 이동 범위의 전체 범위에 걸쳐 승강 이동시킬 수 있고, 상기 반송 장치를 상기 승강 이동 범위의 상기 중간 위치보다 하방으로 하강시켜 둠으로써, 상기 승강식 발판을 상기 작업용 높이와 상기 퇴피 높이에 걸쳐 승강 이동시킬 수 있는, 물품 수납 설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식 발판의 상기 퇴피 높이는, 상기 물품 수납 선반의 전방의 이동 공간에서의 선반 상하 폭 방향의 상단 개소 근방에 있으며, 상기 작업용 높이는 상기 이동 공간에서의 선반 상하 폭 방향의 상하 중간 개소에 있고,
    상기 물품 수납 선반은, 상기 작업용 높이에 위치하는 승강식 발판에 대하여 승강하기 위하여 상기 이동 공간에 출입하기 위한 출입구와, 상기 출입구를 개폐하는 유지 보수용 도어를 구비하고,
    상기 승강식 발판이 상기 작업용 높이 근방의 높이에 위치할 때는 상기 유지 보수용 도어의 열림 조작을 허용하고, 또한 상기 승강식 발판이 상기 작업용 높이 근방의 높이보다 상방에 위치할 때는 상기 유지 보수용 도어의 열림 조작을 저지하는 도어 열림 저지 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물품 수납 설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열림 저지 수단은, 상기 유지 보수용 도어의 열림 조작을 허용하는 허용 자세와 상기 열림 조작을 저지하는 저지 자세로 전환 가능한 저지체를 구비하고,
    상기 저지체는, 상기 저지 자세 측으로 가압되고, 상기 승강식 발판이 상기 작업용 높이 근방의 높이에 위치할 때는 상기 승강식 발판의 하강 이동에 따른 조작력에 의해 상기 허용 자세의 측으로 변위되고, 상기 승강식 발판이 상기 작업용 높이 근방의 높이보다 상방에 위치할 때는 상기 승강식 발판으로부터의 상기 조작력으로부터 해제되어 상기 저지 자세 측으로 복귀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물품 수납 설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저지체를, 상기 허용 자세 및 상기 저지 자세로 자세 변경 조작하는 인위(人爲) 조작구가, 상기 이동 공간의 외부로부터 액세스할 수 있는 장착부에 착탈(着脫)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물품 수납 설비.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 회전체를 회전 조작하기 위하여, 상기 출입구가 형성된 외벽의 외부측에 구비된 인위 조작식의 승강 조작구;
    상기 유지 보수용 도어와 상기 외벽 중 적어도 한쪽에 구비된 확인창; 및
    상기 승강식 발판이 상기 퇴피 높이까지 상승된 것을 표시하기 위하여, 상기 확인창으로부터 시각적으로 확인 가능한 개소에 위치하는 표시부
    가 더 설치되어 있는, 물품 수납 설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창은, 상기 이동 공간에서의 선반 가로 폭 방향의 일단 측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된 상기 유지 보수용 도어에 구비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이동 공간에서의 선반 가로 폭 방향의 타단 측에 대응하는 개소에 설치되어 있는, 물품 수납 설비.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시각 확인용의 착색 부분을 구비한 표시체와, 상기 시각 확인용의 착색 부분을 덮는 커버체를 구비하고,
    상기 표시부에서의 상기 표시체는, 상승하는 상기 승강식 발판에 거는 것에 의해 상승 측으로 변위 조작됨에 따라 상기 착색 부분이 상기 커버체로부터 노출되고, 또한 하강하는 상기 승강식 발판에 거는 것에 의해 하강 측으로 변위 조작됨에 따라 상기 착색 부분이 상기 커버체에 의해 덮히도록 구성되어 있는, 물품 수납 설비.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시각 확인용의 착색 부분은, 상기 표시체의 선반 상하 폭 방향을 따라 복수의 상이한 색이 되도록 구분된 상태로 착색되어 있는, 물품 수납 설비.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체에서의 가로 폭 방향의 중앙부에, 상기 승강식 발판이 걸리는 피걸림부가 설치되어 있는, 물품 수납 설비.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식 발판의 상기 퇴피 높이는, 상기 물품 수납 선반의 전방의 이동 공간에서의 선반 상하 폭 방향의 상단 개소 근방에 있으며, 상기 작업용 높이는 상기 이동 공간에서의 선반 상하 폭 방향의 상하 중간 개소에 있고,
    상기 물품 수납 선반은, 상기 이동 공간에 출입하기 위한 출입구와, 상기 출입구를 개폐하는 유지 보수용 도어를 구비하고,
    상기 권취 회전체는, 상기 물품 수납 선반에서의 상기 출입구의 상방 개소에 설치되고,
    상기 물품 수납 선반에서의 상기 출입구의 가로측 개소에, 상기 권취 회전체에 연결되어 상기 권취 회전체를 회전 조작하기 위해 수동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된 승강 조작구가 설치되어 있는, 물품 수납 설비.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식 발판은, 선반 가로 폭 방향을 따른 장척형(長尺形)으로 형성되고,
    상기 권취 회전체는, 선반 전후 폭 방향으로 배열된 상태로 복수개 설치되어, 상기 승강식 발판에서의 선반 가로 폭 방향의 양쪽 개소를 복수의 와이어에 의해 현수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물품 수납 설비.
  16.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 회전체와 일체로 회전하는 회전 조작용 회전체가 설치되고,
    상기 승강 조작구로서의 수동 조작식 윈치(winch)의 회전체로부터 풀어내어지는 조작용 와이어는, 상기 승강식 발판의 하강 측으로의 이동에 따라 상기 회전 조작용 회전체에 권취되도록 상기 회전 조작용 회전체에 걸려서 권취되어 있는, 물품 수납 설비.
KR1020117015843A 2009-01-08 2009-01-08 물품 수납 설비 KR1014512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9/050138 WO2010079600A1 (ja) 2009-01-08 2009-01-08 物品収納設備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8625A KR20110118625A (ko) 2011-10-31
KR101451210B1 true KR101451210B1 (ko) 2014-10-17

Family

ID=42316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5843A KR101451210B1 (ko) 2009-01-08 2009-01-08 물품 수납 설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045282B2 (ko)
EP (1) EP2380827B1 (ko)
KR (1) KR101451210B1 (ko)
CN (1) CN102272020B (ko)
SG (1) SG172866A1 (ko)
WO (1) WO201007960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72844B2 (en) * 2009-01-08 2016-03-01 Daifuku Co., Ltd. Vertically moving device
JP5713203B2 (ja) * 2012-03-27 2015-05-07 株式会社ダイフク 物品収納設備
BR102013022724B1 (pt) * 2013-09-05 2021-08-31 Carmine Alexandre Cifelli Equipamento e método para a movimentação de contêineres
JP6217598B2 (ja) * 2014-11-12 2017-10-25 株式会社ダイフク 物品収納設備
JP6443264B2 (ja) * 2015-08-12 2018-12-26 株式会社ダイフク 物品収納設備
JP6750574B2 (ja) * 2017-06-30 2020-09-02 株式会社ダイフク 物品支持棚
CN108190499B (zh) * 2018-01-24 2024-03-19 广东顺力智能物流装备股份有限公司 搬运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07681A (en) 1939-07-13 1943-01-05 Western Electric Co Hoisting apparatus
JPH08245185A (ja) * 1995-03-10 1996-09-24 Katsumi Otsuka バトン等の巻取装置
JP2002249204A (ja) 2001-02-21 2002-09-03 Shinko Electric Co Ltd 高層収納棚及びそのメンテナンス方法
JP2008144544A (ja) 2006-12-13 2008-06-26 Shinmaywa Engineerings Ltd 機械式駐車装置における作業装置とその作業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9026A (en) * 1891-03-24 Portable elevator
US588982A (en) * 1897-08-31 Scaffold
US3051335A (en) * 1959-07-15 1962-08-28 Bartlett Trailer Corp Trailer elevator
US3951277A (en) * 1968-03-20 1976-04-20 Standard Alliance Industries Stacker storage system
US3779403A (en) * 1968-03-29 1973-12-18 Kaiser Ind Corp Container storage and handling apparatus
US3672471A (en) * 1969-11-13 1972-06-27 Veda Inc Silo elevator
DE2100842C3 (de) * 1971-01-09 1974-04-25 Rene Blaser, Hebe- Und Foerderanlagen, Maschinenbau, Luzern (Schweiz) Anlage zum Fördern von in Behälterwagen befindlichem Gut
BE808143A (fr) * 1972-12-05 1974-06-04 Toyo Shutter Co Appareil de sauvetage pour immeubles a plusieurs etages
US3832802A (en) * 1973-02-12 1974-09-03 T Huys Apparatus and method for cultivating plants
US4073382A (en) * 1977-01-28 1978-02-14 Steel Storage Systems, Inc. Apparatus for racking steel and the like
NL8004549A (nl) * 1980-03-06 1981-10-01 Elten Tech Ontwickel Bv Opslaginrichting voor produkten met behulp van steunorganen.
US4406351A (en) * 1981-02-13 1983-09-27 Littlejohn Charles E Emergency escape system for use in multistoried buildings
US4386680A (en) * 1981-03-13 1983-06-07 Multi-Story Transporters, Inc. Emergency rescue system
US4469198A (en) * 1982-04-16 1984-09-04 Crump Robert F Outside rescue elevator system for high-rise buildings
US4496027A (en) * 1983-01-31 1985-01-29 Spider Staging, Inc. Mobile outrigger for suspending scaffold
JPS631689A (ja) * 1986-06-19 1988-01-06 宝工業株式会社 エレベ−タ−
NL8701239A (nl) * 1987-05-22 1988-12-16 Top Hendrik Van Den Inrichting voor het kweken van tuinbouwproducten, in het bijzonder champignons.
ATE64727T1 (de) * 1987-07-13 1991-07-15 Inventio Ag Steuereinrichtung fuer eine aufzugsanlage.
US4869634A (en) * 1988-03-28 1989-09-26 Carter Lee R Vehicle parking apparatus
US5141381A (en) * 1990-11-19 1992-08-25 Daifuku Co., Ltd. Safety arrangement for automatic warehousing facility
JPH09156886A (ja) * 1995-12-07 1997-06-17 Arakawa Giken Kogyo Kk 物品吊下装置
JP3776654B2 (ja) * 1999-11-26 2006-05-17 株式会社イトーキ 自動倉庫
US6325586B1 (en) * 1999-12-08 2001-12-04 Protosight, Inc. Automated storage and retrieval system
DE10013214A1 (de) * 2000-03-17 2001-09-27 Witron Logistik & Inf Gmbh Kommissioniervorrichtung
ITPO20010004A1 (it) * 2001-04-24 2002-10-24 Immobiliare La Valluccia Srl Impianto di magazzinaggio automatico
JP4929535B2 (ja) * 2001-06-11 2012-05-09 ムラテックオートメーション株式会社 高層収納棚
FI112792B (fi) * 2001-08-14 2004-01-15 Kone Corp Hissin matkustajalle informatiivinen kerrosnumeronäyttö kerroksesa ja korissa
JP3882714B2 (ja) * 2002-08-21 2007-02-21 日立工機株式会社 自動保管装置
US7537087B2 (en) * 2004-01-23 2009-05-26 Exterior Elevator,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reaching from outside an upper level of a tall structure
NZ539156A (en) * 2004-04-08 2005-07-29 Inventio Ag Generic operating panel for elevator car
JP4666213B2 (ja) * 2005-07-05 2011-04-06 株式会社ダイフク 物品収納設備
US20070095611A1 (en) * 2005-10-28 2007-05-03 Oertwig Terrance D Elevating Tree Stand
US8584803B2 (en) * 2008-07-24 2013-11-19 Roberto Ubaldo Arduino Sani Multi-point suspended scaffold
US9272844B2 (en) * 2009-01-08 2016-03-01 Daifuku Co., Ltd. Vertically moving device
AT510745A1 (de) * 2010-11-24 2012-06-15 Knapp Logistik Automation Kommissionierverfahren und -system
JP5674041B2 (ja) * 2011-08-11 2015-02-18 株式会社ダイフク 物品搬送設備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07681A (en) 1939-07-13 1943-01-05 Western Electric Co Hoisting apparatus
JPH08245185A (ja) * 1995-03-10 1996-09-24 Katsumi Otsuka バトン等の巻取装置
JP2002249204A (ja) 2001-02-21 2002-09-03 Shinko Electric Co Ltd 高層収納棚及びそのメンテナンス方法
JP2008144544A (ja) 2006-12-13 2008-06-26 Shinmaywa Engineerings Ltd 機械式駐車装置における作業装置とその作業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315479A1 (en) 2011-12-29
US9045282B2 (en) 2015-06-02
CN102272020A (zh) 2011-12-07
WO2010079600A1 (ja) 2010-07-15
KR20110118625A (ko) 2011-10-31
CN102272020B (zh) 2013-12-04
SG172866A1 (en) 2011-08-29
EP2380827A1 (en) 2011-10-26
EP2380827A4 (en) 2012-12-12
EP2380827B1 (en) 2013-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1210B1 (ko) 물품 수납 설비
KR20110113611A (ko) 승강 장치
JP5429559B2 (ja) 倉庫設備
JP4941759B2 (ja) 物品収納設備
JP5622003B2 (ja) ストッカー
JP5246464B2 (ja) 昇降装置
JP2009073625A (ja) 物品収納設備
TWI441754B (zh) 物品收納設備
JP2009073624A (ja) 物品収納設備
JP5421232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5360645B2 (ja) 折り畳み式作業用ゴンドラ
TWI415783B (zh) 昇降裝置
JP2009073626A (ja) 物品収納設備
JP4554396B2 (ja) タンク保管台
JP2004277026A (ja) 物品保管設備の安全装置
JP2915761B2 (ja) 立体駐車装置のメンテナンス用ゴンドラ装置およびその装着方法
JP5418948B2 (ja) 可動式点検架台
KR20140004211U (ko) 선박용 줄사다리 홀딩장치
JP2530834Y2 (ja) 建設用昇降機の搬器荷台装置
JPH09194164A (ja) カウンター側主ロープ交換用作業台
JPH05256018A (ja) 天井収納装置
JP2000052842A (ja) 荷受台昇降装置
JPH09150916A (ja) スタッカクレーンの保守用昇降装置
KR20090125546A (ko) 장비 이동 장치
JP2001316063A (ja) エレベーターの救出運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