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5326B1 - 3-디할로메틸피라졸-4-카복실산 유도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3-디할로메틸피라졸-4-카복실산 유도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5326B1
KR101445326B1 KR1020097005762A KR20097005762A KR101445326B1 KR 101445326 B1 KR101445326 B1 KR 101445326B1 KR 1020097005762 A KR1020097005762 A KR 1020097005762A KR 20097005762 A KR20097005762 A KR 20097005762A KR 101445326 B1 KR101445326 B1 KR 1014453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ula
aryl
radical
alkyl radical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5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43580A (ko
Inventor
세르기이 파제녹
노르베르트 루이
아른트 네프
Original Assignee
바이엘 크롭사이언스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이엘 크롭사이언스 아게 filed Critical 바이엘 크롭사이언스 아게
Publication of KR200900435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35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53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53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3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2-diazole or hydrogenated 1,2-diazole rings
    • C07D23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2-diazole or hydrogenated 1,2-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31/1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2-diazole or hydrogenated 1,2-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or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31/1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2-diazole or hydrogenated 1,2-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or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Low-Molecular Organic Synthesis Reactions Using Cataly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학식 (III)의 α-플루오로아민을 루이스산의 존재하에 화학식 (II)의 아크릴산 유도체와 반응시켜 화학식 (IV)의 빈아미디늄 염을 제공하고, 이를 히드라진과 반응시킴으로써 화학식 (I)의 3-디할로메틸피라졸-4-카복실산 유도체를 제조하는 방법 및 화학식 (IV)의 빈아미디늄 염 자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3-디할로메틸피라졸-4-카복실산 유도체의 제조방법{PROCESS FOR PREPARING 3-DIHALOMETHYLPYRAZOLE-4-CARBOXYLIC ACID DERIVATIVES}
본 발명은 화학식 (III)의 α-플루오로아민을 루이스산의 존재하에 화학식 (II)의 아크릴산 유도체와 반응시켜 화학식 (IV)의 빈아미디늄(vinamidinium)염을 제공하고, 이를 히드라진과 반응시킴으로써 화학식 (I)의 3-디할로메틸피라졸-4-카복실산 유도체를 제조하는 방법 및 화학식 (IV)의 빈아미디늄 염 자체에 관한 것이다.
3-디플루오로메틸피라졸-4-카복실산 에스테르, -카복사미드 및 -카보니트릴은 농약 활성 성분, 특히 피라졸릴카복스아닐리드 살진균제를 제조하는데 중요한 합성 단위이다.
WO-A-05 042 468호는 산 할라이드를 디알킬아미노아크릴산 에스테르와 반응시킨 후, 이를 히드라진 유도체와 반응시켜 3-디할로메틸피라졸-4-카복실산 에스테르를 제공함으로써 2-디할로아실-3-아미노아크릴산 에스테르를 제조하는 방법을 교시하였다.
WO-A-03 051 820호는 N-치환된 3-아미노아크릴산 에스테르를 할로알킬카복실산 무수물과 반응시킨 후, 이어서 이를 히드라진 유도체와 반응시켜 3-할로알킬피라졸-4-카복실산 에스테르를 제공함으로써 2-할로아실-3-아미노아크릴산 에스테르 를 제조하는 방법을 교시하였다. 3-할로알킬피라졸-4-카복실산 에스테르를 제공하는 반응은 실온에서 비선택적으로 진행되며, 따라서 저온(-80 ℃)에서 수행되어야 한다.
WO-A-06 005 612호는 2,2-디플루오로-N-디알킬아세트아미드를 염기의 존재하에 아세트산 에스테르와 반응시킴으로써 에틸 4,4-디플루오로-3-옥소부티레이트를 제조하는 방법을 교시하였다. 이어서, [JACS, 73, 3684 (195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에틸 4,4-디플루오로-3-옥소부티레이트를 트리메틸 오르토포르메이트 및 아세트산 무수물과 반응시켜 에틸 (2-에톡시메틸렌)-4,4-디플루오로메틸아세토아세테이트를 제공하고, US-A-5,489,624호에 따라, 메틸히드라진을 이용하여 에틸 3-디플루오로메틸-1-메틸-4-피라졸카복실레이트로 전환시킬 수 있다. 기술된 경로는 우선, 다수의 반응 단계를 포함하고, 그 다음으로, 사용된 2,2-디플루오로-N-디알킬아세트아미드는 상업적으로 입수할 수 없는 것이며 2,2-디클로로-N-디알킬아세트아미드를 불소화함으로써 약 70% 정도의 저수율로만 수득될 수 있다,
선행 기술에 지금까지 개시된 방법은 사용한 카보닐 할라이드, 할로알킬카복실산 무수물 및 할로아크릴산 에스테르가 고가이며, 부식의 문제를 야기하고/하거나, 매우 복잡한 기술적 수준으로만 정제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하면서, 보다 경제적으로 실행가능하게 2-할로아실-3-아미노-아크릴산 에스테르 유도체, 특히 에스테르, 니트릴 및 아미드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하기 화학식 (III)의 α-플루오로아민을 루이스산 (Z)의 존재하에서 하기 화학식 (II)의 아크릴산 유도체와 반응시킨 후, 이를 하기 화학식 (V)의 히드라진과 반응시킴으로써 화학식 (I)의 3-디할로메틸피라졸-4-카복실산 유도체를 제조하는 방법에 의해 이루어진다:
Figure 112009016947358-pct00001
Figure 112009016947358-pct00002
Figure 112009016947358-pct00003
Figure 112009016947358-pct00004
상기 식에서,
R1은 C1-12-알킬 래디칼, C5-18-아릴 및 C7-19-아릴알킬 래디칼 중에서 선택되고,
Y는 (C=O)OR6, CN 및 (C=O)NR7R8 중에서 선택되며, 여기에서 R6, R7 R8은 각각 독립적으로 C1-12-알킬 래디칼, C5-18-아릴 및 C7-19-아릴알킬 래디칼 중에서 선택되 며;
X는 F, Cl 또는 CF3이고;
R4는 C1-12-알킬 래디칼, C5-18-아릴 및 C7-19-아릴알킬 래디칼 중에서 선택되며;
R5 R4와 독립적으로 C1-12-알킬 래디칼, C5-18-아릴 및 C7-19-아릴알킬 래디칼 중에서 선택되고;
A는 O, S 및 NR3 중에서 선택되며;
R2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C1-12-알킬 래디칼, C5-18-아릴 및 C7-19-아릴알킬 래디칼, -OR', -SR' 및 -NR'2 중에서 선택되고, 여기에서 R'는 (C1-C5) 알킬 래디칼일 수 있거나,
R2 R3은 이들이 결합된 질소 원자와 함께, 5- 또는 6-원 환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중간체로서 형성된 화학식 (IV)의 빈아미디늄 염에 관한 것이다:
Figure 112009016947358-pct00005
상기 식에서,
모든 래디칼은 상기 정의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추가의 구체예에는 청구범위의 종속항 및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 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하기 반응식 (I)을 참조로 하여 설명될 수 있다:
반응식 (I)
Figure 112009016947358-pct00006
일반 정의
본 발명과 관련하여, 용어 할로겐(X)은 달리 정의되지 않으면, 불소, 염소, 브롬 및 요오드로 구성된 그룹중에서 선택되는 원소들을 포함하며, 불소, 염소 및 브롬이 바람직하고, 불소 및 염소가 특히 바람직하다.
임의로 치환된 그룹은 일- 또는 다치환될 수 있으며, 다치환된 경우, 치환체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X 그룹은 불소, 염소, 브롬 및 요오드, 바람직하게는 불소, 염소 및 브롬, 보다 바람직하게는 불소 및 염소 중에서 선택되는 할로겐 원 자를 나타낸다.
하나 이상의 할로겐 원자(-X)에 의해 치환된 알킬 그룹은, 예를 들어, 트리플루오로메틸 (CF3), 디플루오로메틸 (CHF2), CF3CH2, ClCH2 및 CF3CCl2 중에서 선택된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알킬 그룹은 임의로 1개, 2개 또는 그 이상의 단일 또는 이중 불포화를 가질 수 있거나, O, N, P 및 S 중에서 선택되는 1개, 2개 또는 그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가질 수 있는 선형, 분지형 또는 환식 탄화수소 그룹이다. 또한, 본 발명의 알킬 그룹은 -R', 할로겐 (-X), 알콕시 (-OR'), 티오에테르 또는 머캅토 (-SR'), 아미노 (-NR'2), 실릴 (-SiR'3), 카복실 (-COOR'), 시아노 (-CN), 아실 (-(C=O)R') 및 아미드 그룹 (-CONR2')(여기에서, R'는 수소 또는 N, O, P 및 S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가질 수 있는 C1-12-알킬 그룹, 바람직하게는 C2-10-알킬 그룹, 보다 바람직하게는 C3-8-알킬 그룹일 수 있음) 중에서 선택되는 추가의 그룹에 의해 임의로 치환될 수 있다.
정의 C1-C12-알킬은 본 원에서 알킬 그룹에 대해 정의된 가장 넓은 범위를 망라한다. 구체적으로, 이 정의는, 예를 들어, 메틸, 에틸, n-, 이소프로필, n-, 이소-, sec- 및 t-부틸, n-펜틸, n-헥실, 1,3-디메틸부틸, 3,3-디메틸부틸, n-헵틸, n-노닐, n-데실, n-운데실, n-도데실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알케닐 그룹은 적어도 하나의 단일 불포화 (이중 결합)를 가지며, 임의로 1개, 2개 또는 그 이상의 단일 또는 이중 불포화 또는 O, N, P 및 S 중에서 선택되는 1개, 2개 또는 그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가질 수 있는 선형, 분지형 또는 환식 탄화수소 그룹이다. 또한, 본 발명의 알케닐 그룹은 -R', 할로겐 (-X), 알콕시 (-OR'), 티오에테르 또는 머캅토 (-SR'), 아미노 (-NR'2), 실릴 (-SiR'3), 카복실 (-COOR'), 시아노 (-CN), 아실 (-(C=O)R') 및 아미드 그룹 (-CONR2') (여기에서, R'는 수소 또는 N, O, P 및 S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가질 수 있는 C1-12-알킬 그룹, 바람직하게는 C2-10-알킬 그룹, 보다 바람직하게는 C3-8-알킬 그룹일 수 있음) 중에서 선택되는 추가의 그룹에 의해 임의로 치환될 수 있다.
정의 C2-C12-알케닐은 본 원에서 알케닐 그룹에 대해 정의된 가장 넓은 범위를 망라한다. 구체적으로, 이 정의는 비닐; 알릴 (2-프로페닐), 이소프로페닐 (1-메틸에테닐); 부트-1-에닐(크로틸), 부트-2-에닐, 부트-3-에닐; 헥스-1-에닐, 헥스-2-에닐, 헥스-3-에닐, 헥스-4-에닐, 헥스-5-에닐; 헵트-1-에닐, 헵트-2-에닐, 헵트-3-에닐, 헵트-4-에닐, 헵트-5-에닐, 헵트-6-에닐; 옥트-1-에닐, 옥트-2-에닐, 옥트-3-에닐, 옥트-4-에닐, 옥트-5-에닐, 옥트-6-에닐, 옥트-7-에닐; 논-1-에닐, 논-2-에닐, 논-3-에닐, 논-4-에닐, 논-5-에닐, 논-6-에닐, 논-7-에닐, 논-8-에닐; 덱-1-에닐, 덱-2-에닐, 덱-3-에닐, 덱-4-에닐, 덱-5-에닐, 덱-6-에닐, 덱-7-에닐, 덱-8-에닐, 덱-9-에닐; 운덱-1-에닐, 운덱-2-에닐, 운덱-3-에닐, 운덱-4-에닐, 운 덱-5-에닐, 운덱-6-에닐, 운덱-7-에닐, 운덱-8-에닐, 운덱-9-에닐, 운덱-10-에닐; 도덱-1-에닐, 도덱-2-에닐, 도덱-3-에닐, 도덱-4-에닐, 도덱-5-에닐, 도덱-6-에닐, 도덱-7-에닐, 도덱-8-에닐, 도덱-9-에닐, 도덱-10-에닐, 도덱-11-에닐; 부타-1,3-디에닐, 펜타-1,3-디에닐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알키닐 그룹은 적어도 하나의 이중 불포화 (삼중 결합)를 가지며, 임의로 1개, 2개 또는 그 이상의 단일 또는 이중 불포화 또는 O, N, P 및 S 중에서 선택되는 1개, 2개 또는 그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가질 수 있는 선형, 분지형 또는 환식 탄화수소 그룹이다. 또한, 본 발명의 알키닐 그룹은 -R', 할로겐 (-X), 알콕시 (-OR'), 티오에테르 또는 머캅토 (-SR'), 아미노 (-NR'2), 실릴 (-SiR'3), 카복실 (-COOR'), 시아노 (-CN), 아실 (-(C=O)R') 및 아미드 그룹 (-CONR2') (여기에서, R'는 수소 또는 N, O, P 및 S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가질 수 있는 선형, 분지형 또는 환식 C1-12-알킬 그룹일 수 있음) 중에서 선택되는 추가의 그룹에 의해 임의로 치환될 수 있다.
정의 C2-C12-알키닐은 본 원에서 알키닐 그룹에 대해 정의된 가장 넓은 범위를 망라한다. 구체적으로, 이 정의는, 예를 들어, 에티닐 (아세틸레닐); 프로프-1-이닐 및 프로프-2-이닐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아릴 그룹은 O, N, P 및 S 중에서 선택되는 1개, 2개 또는 그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가질 수 있고, -R', 할로겐 (-X), 알콕시 (-OR'), 티오에테르 또는 머캅토 (-SR'), 아미노 (-NR'2), 실릴 (-SiR'3), 카복실 (-COOR'), 시아노 (-CN), 아실 (-(C=O)R') 및 아미드 그룹 (-CONR2') (여기에서, R'는 수소 또는 N, O, P 및 S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가질 수 있는 C1-12-알킬 그룹, 바람직하게는 C2-10-알킬 그룹, 보다 바람직하게는 C3-8-알킬 그룹일 수 있음) 중에서 선택되는 추가의 그룹에 의해 임의로 치환될 수 있는 방향족 탄화수소 그룹이다.
정의 C5-18-아릴은 본 원에서 5 내지 18 원자의 아릴 그룹에 대해 정의된 가장 넓은 범위를 망라한다. 구체적으로, 이 정의는, 예를 들어, 사이클로펜타디에닐, 페닐, 사이클로헵타트리에닐, 사이클로옥타테트라에닐, 나프틸 및 안트라세닐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아릴알킬 그룹 (아르알킬 그룹)은 아릴 그룹에 의해 치환되고, C1-8-알킬렌 쇄를 가질 수 있으며, 아릴 골격 또는 알킬렌 쇄가 O, N, P 및 S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에 의해 치환될 수 있고, -R', 할로겐 (-X), 알콕시 (-OR'), 티오에테르 또는 머캅토 (-SR'), 아미노 (-NR'2), 실릴 (-SiR'3), 카복실 (-COOR'), 시아노 (-CN), 아실 (-(C=O)R') 및 아미드 그룹 (-CONR2') (여기에서, R'는 수소 또는 N, O, P 및 S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가질 수 있는 C1-12-알킬 그룹, 바람직하게는 C2-10-알 킬 그룹, 보다 바람직하게는 C3-8-알킬 그룹일 수 있음) 중에서 선택되는 추가의 그룹에 의해 임의로 치환될 수 있는 알킬 그룹이다.
정의 C7-19-아르알킬 그룹은 본 원에서 골격 및 알킬렌 쇄에 총 7 내지 19개의 원자를 가지는 아릴알킬 그룹에 대해 정의된 가장 넓은 범위를 망라한다. 구체적으로, 이 정의는, 예를 들어, 벤질 및 페닐에틸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알킬아릴 그룹 (알크아릴 그룹)은 알킬 그룹에 의해 치환되고,C1-8-알킬렌 쇄를 가질 수 있으며, 아릴 골격 또는 알킬렌 쇄가 O, N, P 및 S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에 의해 치환될 수 있고, -R', 할로겐 (-X), 알콕시 (-OR'), 티오에테르 또는 머캅토 (-SR'), 아미노 (-NR'2), 실릴 (-SiR'3), 카복실 (-COOR'), 시아노 (-CN), 아실 (-(C=O)R') 및 아미드 그룹 (-CONR2') (여기에서, R'는 수소 또는 N, O, P 및 S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가질 수 있는 C1-12-알킬 그룹, 바람직하게는 C2-10-알킬 그룹, 보다 바람직하게는 C3-8-알킬 그룹일 수 있음) 중에서 선택되는 추가의 그룹에 의해 임의로 치환될 수 있는 아릴 그룹이다.
정의 C7-19-알킬아릴 그룹은 본 원에서 골격 및 알킬렌 쇄에 총 7 내지 19개의 원자를 가지는 알킬아릴 그룹에 대해 정의된 가장 넓은 범위를 망라한다. 구체적으로, 이 정의는, 예를 들어, 톨릴, 2,3-, 2,4-, 2,5-, 2,6-, 3,4- 또는 3,5-디 메틸페닐의 의미를 포함한다.
알킬, 알케닐, 알키닐, 아릴, 알크아릴 및 아르알킬 그룹은 -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 N, O, P 및 S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추가로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헤테로원자는 번호 지정된 탄소 원자를 대체한다. 자연의 법칙에 위반되고 따라서 당업자들에세 의해서 그의 기술적 지식에 기초해 배제되는 조합은 포함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세개 이상의 인접 산소 원자를 가지는 환 구조는 제외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임의로 가능한 상이한 이성체 형태, 특히 입체이성체, 예를 들어 E 및 Z, 스레오 및 에리스로, 및 광학 이성체, 임의로 또한 호변이성체의 혼합물로서 존재할 수 있다. E 및 Z 이성체, 및 또한 스레오 및 에리스로, 및 광학 이성체, 이들 이성체의 임의 혼합물, 및 가능한 호변이성체가 개시되고 청구된다.
아크릴산 유도체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아크릴산 유도체는 하기 화학식 (II)의 화합물이 다:
Figure 112009016947358-pct00007
상기 화합물에서,
A는 O, S 및 NR3 중에서 선택되고,
R2 R3 래디칼은 각각 독립적으로 C1-12-알킬 래디칼, C5-18-아릴, C7-19-아릴알킬 래디칼, 알콕시 그룹 (-OR'), 머캅토 그룹 (-SR') 및 아미노 그룹 (-NR'2) 중에서 선택되며, 여기에서 R'는 C1-5-알킬 래디칼일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R2 및 R3은 이들이 결합된 질소 원자와 함께, 5- 또는 6-원 환을 형성한다.
R2 및 R3 래디칼은 바람직하게는 각각 독립적으로 C2-8-알킬 래디칼, O-(C2-6-알킬), S-(C2-6-알킬) 및 N(C2-6-알킬)2 중에서 선택된다.
R2 R3 래디칼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각각 독립적으로 C3-6-알킬 래디칼, O-(C3-4-알킬), S-(C3-4-알킬) 및 N(C3-4-알킬)2 중에서 선택된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바람직한 디알킬아미노아크릴산 유도체는 하기 화학식 (II-a) 내지 (II-e)로 예시된다:
Figure 112009016947358-pct00008
Y 그룹은 카복실산 에스테르 그룹 ((C=O)OR6), 니트릴 그룹 (CN) 및 아미드 그룹 ((C=O)NR7R8) 중에서 선택된다; 상기 화학식들에서, R6, R7 R8은 각각 독립적으로 C1-12-알킬 래디칼, C5-18-아릴 또는 C7-19-아릴알킬 래디칼; 바람직하게는 C2-8-알킬 래디칼, 보다 바람직하게는 C3-6-알킬 래디칼중에서 선택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적합한 아크릴산 에스테르의 예는 메톡시아크릴산 에스테르, 알킬티오아크릴산 에스테르, 메틸 3-(N,N-디메틸아미노)아크릴레이트, 에틸 3-(N,N-디메틸아미노)아크릴레이트, 에틸 3-(N,N-디에틸아미노)아크릴레이트, 3-(N,N-디메틸아미노)아크릴로니트릴, N',N'-디메틸-3-(N,N-디메틸아미노)아크릴아미드 및 N',N'-디에틸-3-(N,N-디메틸아미노)아크릴아미드이고, 특히 바람직한 것은 에틸 3-(N,N-디에틸아미노)아크릴레이트이다.
디알킬아미노아크릴산 에스테르의 제조방법은 선행 기술, 예를 들어 EP-A- 0 608 725호에 이미 기술되었다.
디알킬아미노아크릴로니트릴의 제조방법은 선행 기술, 예를 들어 문헌 [Rene et al in Synthesis (1986), (5), 419-420]에 기술되었다.
아크릴산 유도체는 필요에 따라, 예를 들어 증류에 의해 정제될 수 있다. 그러나, 이 과정은 본 발명의 반응과 관련하여 일반적으로 필요치 않다.
α-플루오로아민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α-플루오로아민은 하기 화학식 (III)의 화합물이다:
Figure 112009016947358-pct00009
상기 식에서,
R4는 C1-12-알킬 래디칼, C5-18-아릴 및 C7-19-아릴알킬 래디칼, 바람직하게는 C2-8-알킬 래디칼, 보다 바람직하게는 C3-6-알킬 래디칼 중에서 선택되고,
R5는 R4와 독립적으로 C1-12-알킬 래디칼, C5-18-아릴 및 C7-19-아릴알킬 래디칼, 바람직하게는 C2-8-알킬 래디칼, 보다 바람직하게는 C3-6-알킬 래디칼 중에서 선택되 며,
X는 CF3, F 또는 Cl이다.
화합물은 문헌 [Petrov et al., Journal of Fluorine Chemistry 109 (2001) 25-31] 및 [Dmowski et al., Chemistry of Organic Fluorine Compounds II, A Critical Review, ACS, Washington DC (1995) 263]에 따라 불소화/할로겐화 알켄을 이차 아민과 반응시켜 수득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듀퐁사(DuPont)에서 시판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라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α-플루오로아민은 예를 들어, 1,1,2,2-테트라플루오로에틸-N,N-디메틸아민, 1,1,2,2-테트라플루오로에틸-N,N-디에틸아민, 1,1,2-트리플루오로-2-(트리플루오로메틸)에틸-N,N-디메틸아민, 1,1,2-트리플루오로-2-(트리플루오로메틸)에틸-N,N-디에틸아민 (이시카와(Ishikawa) 시약), 1,1,2-트리플루오로-2-클로로에틸-N,N-디메틸아민 및 1,1,2-트리플루오로-2-클로로에틸-N,N-디에틸아민 (야로벤코(Yarovenko) 시약), 바람직하게는 1,1,2,2-테트라플루오로에틸-N,N-디메틸아민 및 1,1,2,2-테트라플루오로에틸-N,N-디에틸아민 및 특히 바람직하게는 1,1,2,2-테트라플루오로에틸-N,N-디메틸아민으로 구성된 그룹 중에서 선택된다.
루이스산
상술된 α-플루오로아민을 문헌 [Wakselman et al., J.C.S. Chem. Comm. 565 (1975) 956]에 기술된 바와 같이, 루이스산 (Z)의 존재하에 반응시켜 임모늄 염을 제공한다.
α-플루오로아민은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50 ℃,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40 ℃, 보다 바람직하게는 0 내지 30 ℃의 온도에서 루이스산과 반응된다.
임의로, 루이스산은 첨가하지 않아도 된다.
반응은 벌크로(in bulk) 또는 용매 중에서 수행될 수 있다. 반응을 용매 중에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합한 용매는, 예를 들어, 불소 및 염소 원자에 의해 치환될 수 있는 지방족 및 방향족 탄화수소, 예를 들어 n-헥산, 벤젠 또는 톨루엔, 예컨대 메틸렌 클로라이드, 디클로로메탄, 트리클로로메탄, 사염화탄소, 플루오로벤젠, 클로로벤젠 또는 디클로로벤젠; 에테르, 예를 들어 디에틸 에테르, 디페닐 에테르, 메틸 t-부틸 에테르, 이소프로필 에틸 에테르, 디옥산, 디글림, 디메틸 글리콜 또는 THF; 니트릴, 예컨대 메틸니트릴, 부틸니트릴 또는 페닐니트릴, 특히 바람직하게는 디클로로메탄 및 아세토니트릴로 구성된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것이다.
적합한 루이스산은, 예를 들어, BF3, AlCl3, AlF3, ZnCl2, PF5, SbF5, SnCl4, BiCl3, GaCl3 및 SiCl4로 구성된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화합물이다.
루이스산 및 α-플루오로아민은 바람직하게는 동몰량으로 사용된다. 다른 한편으로, 루이스산은 과량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루이스산:α-플루오로아민의 비는 1:1 내지 10:1, 바람직하게는 1:1 내지 5:1, 보다 바람직하게 는 1:1 내지 1:1.3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α-플루오로아민을 우선 벌크로 투입하거나, 적합한 용매에 용해시킨 다음, 루이스산과 서서히 혼합한다.
α-플루오로아민은 가수분해에 민감하기 때문에, α-플루오로아민과 루이스산의 반응은 불활성 가스 분위기하에 무수 장치에서 수행되어야 한다.
이에 반해, 생성된 화학식 (IV)의 빈아미디늄 염은 흡습성도 아니고, 가수분해에 민감하지도 않으며, 따라서 공기중에서 취급 및 저장될 수 있다.
임모늄 염과 화학식 (II)의 디알킬아미노아크릴산 에스테르의 반응은 바람직하게는 임모늄 염의 선행 분리없이 수행된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서, 임모늄 염은 사전 분리되어 필요에 따라 사용될 수 있다.
화학식 (IV)의 빈아미디늄 염을 제공하기 위한 임모늄 염과 화학식 (II)의 아크릴산 유도체의 반응은 -40 내지 60 ℃,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40 ℃, 보다 바 람직하게는 0 내지 50 ℃의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다:
Figure 112009016947358-pct00010
상기 식에서,
음이온 Z-는, 예를 들어, [BF4]-, [AlCl3F]-, [AlF4]-, [ZnCl2F]-; [SbF6]-, [SnCl4F]-, [BiCl3F]-, [GaCl3F]-, [ZnCl2F]-, [SnCl4F]-, [BiCl3F]-, [GaCl3F]- 및 [SiCl4F]-로 구성된 그룹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임모늄 염 및 아크릴산 유도체는 바람직하게는 동몰량으로 사용된다. 다른 한편으로, 임모늄 염 또는 아크릴산 유도체는 또한 과량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임모늄 염:아크릴산 유도체의 비는 1:10 내지 10:1,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5:1, 보다 바람직하게는 1.3:1 내지 1:1.3이다.
사용된 용매는 바람직하게는 임모늄 염의 합성과 관련하여 상술된 용매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임모늄 염을 우선 벌크로 투입하거나, 적합한 용매에 용해시킨 다음, 아크릴산 유도체와 서서히 혼합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또 다른 구체예에서, 아크릴산 유도체 (II) 및 α-플 루오로아민 (III)을 임의로 우선 용매에 투입하고, 루이스산과 서서히 혼합한다. 마지막으로, 화학식 (V)의 히드라진을 첨가한다.
용매의 단순 제거로 화학식 (IV)의 임모늄 염을 분리할 수 있다.
그러나, 화학식 (IV)의 임모늄 염은 바람직하게는 선행 분리 과정없이 화학식 (V)의 히드라진, 바람직하게는 메틸히드라진과 반응하여, 화학식 (I)의 3-디할로메틸피라졸-4-카복실산 에스테르를 제공한다.
히드라진, 메틸히드라진 및 에틸히드라진을 사용하는 것이 매우 특히 바람직하고, 메틸히드라진을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화학식 (I)의 화합물로는 메틸 1-메틸-3-디플루오로메틸-4-피라졸카복실레이트, 에틸 1-메틸-3-디플루오로메틸-4-피라졸카복실레이트, 에틸 1-메틸-3-클로로플루오로메틸-4-피라졸카복실레이트, 에틸 1-메틸-3-클로로플루오로메틸-4-피라졸-카복실레이트, 메틸 1-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플루오로메틸-4-피라졸카복실레이트, 에틸 1-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플루오로메틸-4-피라졸카복실레이트, 특히 바람직하게는 에틸 1-메틸-3-디플루오로메틸-4-피라졸카복실레이트 및 메틸 1-메틸-3-디플루오로메틸-4-피라졸카복실레이트를 들 수 있다.
화학식 (IV)의 임모늄 염과 화학식 (V)의 히드라진의 반응을 용매의 존재하에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합한 용매는, 예를 들어, 전 단계를 수행하는데 언급했던 것들이다.
알킬히드라진과의 반응은, 예를 들어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80 ℃,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25 ℃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40 ℃에서 수행될 수 있다.
경제적인 실행성 때문에, 실온(RT)에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유리한 방식으로 3-할로알킬-4-피라졸카복실산 유도체의 형성이 실온에서도 고 위치선택성으로 진행된다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저 비율(≤8%)로 형성된 위치이성체인 4-할로알킬-3-피라졸카복실산 유도체는 그의 상이한 물리적 성질에 따라 적합한 공정, 예를 들어 증류 또는 결정화, 또는 예를 들어, 사이클로헥산에 의한 단순 세척에 의해 목적 생성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모든 반응 단계가 중간체 정제/중간체 분리없이 한 단계 후 그 다음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이 또한 유리한 점이라고 언급하고자 한다.
화학식 (I)의 3-할로알킬-4-피라졸카복실산 유도체는, 임의로 자체 공지된 방법(Houben-Weyl, Methoden der organischen Chemie [Methods of organic chemistry], 4th edition, volume E5, p. 223ff.)에 따라, 예를 들어 산성 또는 알칼리 가수분해에 의해 3-할로알킬-4-피라졸카복실산으로 전환될 수 있다.
알칼리 가수분해가 바람직하다. 이는 자체 공지된 방법으로, 예를 들어 염기, 이를테면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예를 들어 수산화리튬, 수산화나트륨 또는 수산화칼륨 또는 이들의 수용액과의 반응에 의해 실시될 수 있다. 적합한 용매의 예로 물, 알콜, 예를 들어 메탄올, 에탄올 및 이소프로판올, 방향족 탄화수소, 예를 들어 톨루엔, 아세톤, 피리딘 또는 이들 용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바람직한 3-할로알킬-4-피라졸카복실산은 1-메틸-3-디플 루오로메틸-4-피라졸카복실산, 1-메틸-3-클로로플루오로메틸-4-피라졸카복실산, 1-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플루오로메틸-4-피라졸카복실산, 3-디플루오로메틸-4-피라졸카복실산, 3-(트리플루오로메틸)플루오로메틸-4-피라졸카복실산 및 3-클로로플루오로메틸-4-피라졸카복실산이고, 1-메틸-3-디플루오로메틸-4-피라졸카복실산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이 실시예를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나, 이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N-[(2E)-1-(디플루오로메틸)-3-(디메틸아미노)-2-(에톡시카보닐)프로프-2-엔-1-일리덴]-N-메틸메탄아미늄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Figure 112009016947358-pct00011
8.8 g (60 mmol)의 N-1,1,2,2-테트라플루오로에틸디메틸아민을 우선 50 ml의 디클로로메탄에 아르곤하에 투입하고, 8.2 g (60 mmol)의 삼불화붕소-디에틸 에테르 복합체를 RT에서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30 분동안 교반한 후, 7.15 g (50 mmol)의 에틸 디메틸아미노아크릴레이트와 혼합하였다. RT에서 2 시간동안 교 반한 후, 디클로로메탄을 감압하에 제거하여 12.4 g의 생성물 (100% 수율)을 황색 오일로 수득하였다.
Figure 112009016947358-pct00012
실시예 2:
N-[(2E)-1-(클로로플루오로메틸)-3-(디메틸아미노)-2-(에톡시카보닐)프로프-2-엔-1-일리덴]-N-메틸메탄아미늄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Figure 112009016947358-pct00013
17.6 g (0.1 mmol)의 N-1,1,2-트리플루오로-2-클로로에틸디메틸아민을 우선 100 ml의 디클로로메탄에 아르곤하에 투입하고, RT에서 13.6 g (0.1 mol)의 삼불화붕소-디에틸 에테르 복합체와 혼합하였다. 30 분동안 교반한 후, 14.3 g (0.1 mol)의 에틸 디메틸아미노아크릴레이트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RT에서 2 시간동안 교반하였다. 디클로로메탄을 감압하에 제거한 후, 25.2 g (이론치의 95%)의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3:
에틸 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복실레이트
Figure 112009016947358-pct00014
10.0 g (30 mmol)의 N-[(2E)-1-(디플루오로메틸)-3-(디메틸아미노)-2-(에톡시카보닐)프로프-2-엔-1-일리덴]-N-메틸메탄아미늄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를 50 ml의 아세토니트릴에 용해시켜 2.3 g의 메틸히드라진과 혼합하였다. RT에서 2 시간동안 교반한 후, 아세토니트릴을 감압하에 완전히 제거하였다. 감압하에서 증류시키거나, n-헥산으로부터 결정화하여 m.p. 63-65 ℃인 5.3 g (이론치의 86%)의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09016947358-pct00015
실시예 4:
에틸 3-(클로로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복실레이트
Figure 112009016947358-pct00016
N-[(2E)-1-(디플루오로메틸)-3-(디메틸아미노)-2-(에톡시카보닐)프로프-2-엔-1-일리덴]-N-메틸메탄아미늄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 시예 3의 과정을 반복하였다.
Figure 112009016947358-pct00017
실시예 5:
에틸 3-(1,2,2,2-테트라플루오로에틸)-1-메틸-1H-피라졸-4-카복실레이트
Figure 112009016947358-pct00018
25.3 g (0.1 mmol)의 N,N-디에틸-1,1,2,3,3,3-헥사플루오로프로필아민을 우선 100 ml의 디클로로메탄에 아르곤하에 투입하고, RT에서 13.6 (0.1 mol)의 삼불화붕소-디에틸 에테르 복합체와 혼합하였다. 30 분동안 교반한 후, 14.3 g (0.1 mmol)의 에틸 디메틸아미노아크릴레이트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RT에서 2 시간동안 교반하였다. 디클로로메탄을 감압하에 제거하여 약 35 g의 빈아미디늄 염을 수득하였다. 5.6 g의 메틸히드라진을 우선 40 ml의 아세토니트릴에 투입하고, 30 ml 아세토니트릴중의 빈아미디늄 염 용액을 10 ℃에서 첨가하였다.
RT에서 2 시간동안 교반한 후, 아세토니트릴을 감압하에 완전히 제거하였다. SiO2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20 g (82%)의 생성물을 오일로 분리하였다.
Figure 112009016947358-pct00019
실시예 6
N-[(2E)-1-(디플루오로메틸)-3-메톡시-2-(메톡시카보닐)프로프-2-엔-1-일리덴]-N-메틸메탄아미늄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Figure 112009016947358-pct00020
8.7 g (60 mmol)의 N-1,1,2,2-테트라플루오로에틸디메틸아민을 우선 50 ml의 디클로로메탄에 아르곤하에 투입하고, 8.2 g (60 mmol)의 삼불화붕소-디에틸 에테르 복합체를 RT에서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30 분동안 교반한 후, 6.38 g (55 mmol)의 메틸 메톡시아크릴레이트와 혼합하였다. RT에서 2 시간동안 교반한 후, 디클로로메탄을 감압하에 제거하여 12.4 g의 생성물 (100% 수율)을 황색 오일 로 수득하였다.
Figure 112009016947358-pct00021
실시예 7
메틸 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복실레이트
Figure 112009016947358-pct00022
N-[(2E)-1-(디플루오로메틸)-3-메톡시-2-(메톡시카보닐)프로프-2-엔-1-일리덴]-N-메틸메탄아미늄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를 사용하는 것만을 제외하고 실시예 2의 과정을 반복하였다.
SiO2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생성물을 황색 오일로 분리하였다.
Figure 112009016947358-pct00023
실시예 8
에틸 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복실레이트 (단일-포트 공 정)
Figure 112009016947358-pct00024
10.8 g의 N-1,1,2,2-테트라플루오로에틸디메틸아민을 우선 50 ml의 아세토니트릴에 아르곤하에 투입하고, 26 g의 삼불화붕소를 CH3CN 중의 17% 용액으로서 RT에서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30 분동안 교반한 후, 8.67 g의 에틸 디메틸아미노아크릴레이트와 혼합하였다. 혼합물을 RT에서 2 시간동안 교반한 후, 10 ml 아세토니트릴 중의 3.4 g의 메틸히드라진의 용액에 10 ℃에서 첨가하였다. RT에서 2 시간동안 교반한 후, 아세토니트릴을 감압하에 완전히 제거한 뒤, 생성물을 물과 혼합하고, 여과하였다. 감압하에서 증류시키거나, 사이클로헥산으로 세척하여 m.p. 62-63 ℃인 10 g의 생성물을 99%의 순도로 수득하였다.

Claims (12)

  1. 하기 화학식 (III)의 α-플루오로아민을 루이스산 (Z)의 존재하에서 하기 화학식 (II)의 아크릴산 유도체와 반응시켜 하기 화학식 (IV)의 빈아미디늄 염을 제공한 후, 이를 하기 화학식 (V)의 알킬히드라진과 반응시킴으로써 화학식 (I)의 3- 디할로메틸피라졸-4-카복실산 유도체를 제조하는 방법:
    Figure 112009016947358-pct00025
    Figure 112009016947358-pct00026
    Figure 112009016947358-pct00027
    Figure 112009016947358-pct00028
    Figure 112009016947358-pct00029
    상기 식에서,
    R1은 C1-12-알킬 래디칼, C5-18-아릴 및 C7-19-아릴알킬 래디칼 중에서 선택되고,
    Y는 (C=O)OR6, CN 및 (C=O)NR7R8 중에서 선택되며, 여기에서 R6, R7 R8은 각각 독립적으로 C1-12-알킬 래디칼, C5-18-아릴 및 C7-19-아릴알킬 래디칼 중에서 선택되며;
    X는 F, Cl 또는 CF3이고;
    R4는 C1-12-알킬 래디칼, C5-18-아릴 및 C7-19-아릴알킬 래디칼 중에서 선택되며;
    R5 R4와 독립적으로 C1-12-알킬 래디칼, C5-18-아릴 및 C7-19-아릴알킬 래디칼 중에서 선택되고;
    A는 O, S 및 NR3 중에서 선택되며;
    R2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C1-12-알킬 래디칼, C5-18-아릴 및 C7-19-아릴알킬 래디칼, -OR', -SR' 및 -NR'2 중에서 선택되고, 여기에서 R'는 (C1-C5) 알킬 래디칼일 수 있거나,
    R2 R3은 이들이 결합된 질소 원자와 함께, 5- 또는 6-원 환을 형성할 수 있고,
    Z-는 음이온이다.
  2. 하기 화학식 (III)의 α-플루오로아민을 하기 화학식 (II)의 아크릴산 유도체와 반응시킨 후, 하기 화학식 (V)의 히드라진과 반응시킴으로써 화학식 (I)의 3-디할로메틸피라졸-4-카복실산 유도체를 제조하는 방법:
    Figure 112009016947358-pct00030
    Figure 112009016947358-pct00031
    Figure 112009016947358-pct00032
    Figure 112009016947358-pct00033
    상기 식에서,
    R1은 수소, C1-12-알킬 래디칼, C5-18-아릴 및 C7-19-아릴알킬 래디칼 중에서 선 택되고,
    Y는 (C=O)OR6, CN 및 (C=O)NR7R8 중에서 선택되며, 여기에서 R6, R7 R8은 각각 독립적으로 C1-12-알킬 래디칼, C5-18-아릴 및 C7-19-아릴알킬 래디칼 중에서 선택되며;
    X는 F, Cl 또는 CF3이고;
    R4는 C1-12-알킬 래디칼, C5-18-아릴 및 C7-19-아릴알킬 래디칼 중에서 선택되며;
    R5 R4와 독립적으로 C1-12-알킬 래디칼, C5-18-아릴 및 C7-19-아릴알킬 래디칼 중에서 선택되고;
    A는 O, S 및 NR3 중에서 선택되며;
    R2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C1-12-알킬 래디칼, C5-18-아릴 및 C7-19-아릴알킬 래디칼, -OR', -SR' 및 -NR'2 중에서 선택되고, 여기에서 R'는 (C1-C5) 알킬 래디칼일 수 있거나,
    R2 R3은 이들이 결합된 질소 원자와 함께, 5- 또는 6-원 환을 형성할 수 있다.
  3. 제 1 항에 있어서, Z-가 [BF4]-, [AlCl4]-, [AlF4]-, [ZnCl3]-, [PF6]-, [SbF6]-, [SnCl5]-, [BiCl4]- 및 [GaCl4]-로 구성된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Y 그룹이 식 (C=O)OR6의 카복실산 에스테르 그룹이고, 여기에서 R6은 C1-12-알킬 래디칼, C5-18-아릴 및 C7-19-아릴알킬 래디칼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모든 반응 단계가 중간체의 정제 또는 중간체의 분리 없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화학식 (IV)의 빈아미디늄 염:
    Figure 112009016947358-pct00034
    상기 식에서,
    모든 래디칼은 제 1 항에 정의된 바와 같고,
    Z-는 음이온이다.
  7. 제 6 항에 있어서, X가 F임을 특징으로 하는 빈아미디늄 염.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Y 그룹이 식 (C=O)OR6 카복실산 에스테르 그룹이고, 여기에서 R6은 C1-12-알킬 래디칼, C5-18-아릴 및 C7-19-아릴알킬 래디칼 중에서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빈아미디늄 염.
  9.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음이온 Z-가 [BF4]-, [AlCl4]-, [AlF4]-, [ZnCl3]-, [PF6]-, [SbF6]-, [SnCl5]-, [BiCl4]- 및 [GaCl4]-로 구성된 그룹 중에서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빈아미디늄 염.
  10. 삭제
  11. 화학식 (VI)의 화합물:
    Figure 112009016947358-pct00036
  12. 삭제
KR1020097005762A 2006-08-25 2007-08-22 3-디할로메틸피라졸-4-카복실산 유도체의 제조방법 KR1014453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6039909.9 2006-08-25
DE102006039909A DE102006039909A1 (de) 2006-08-25 2006-08-25 Verfahren zum Herstellen von 3-Dihalomethyl-pyrazol-4-carbonsäurederivaten
PCT/EP2007/007377 WO2008022777A2 (de) 2006-08-25 2007-08-22 Verfahren zum herstellen von 3-dihalomethyl-pyrazol-4-carbonsäurederivat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3580A KR20090043580A (ko) 2009-05-06
KR101445326B1 true KR101445326B1 (ko) 2014-09-29

Family

ID=390159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5762A KR101445326B1 (ko) 2006-08-25 2007-08-22 3-디할로메틸피라졸-4-카복실산 유도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1) US7939673B2 (ko)
EP (1) EP2057126B1 (ko)
JP (2) JP5511380B2 (ko)
KR (1) KR101445326B1 (ko)
CN (1) CN101506173B (ko)
AT (1) ATE487702T1 (ko)
BR (1) BRPI0715674B1 (ko)
CA (1) CA2661407C (ko)
DE (2) DE102006039909A1 (ko)
DK (1) DK2057126T3 (ko)
ES (1) ES2355309T3 (ko)
IL (1) IL196894A (ko)
MX (1) MX2009001840A (ko)
RU (1) RU2470015C2 (ko)
TW (1) TWI419880B (ko)
WO (1) WO2008022777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8257515B2 (en) 2007-06-01 2014-01-23 Basf Se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n-substituted (3-dihalomethyl-1-methyl-pyrazole-4-YL) carboxamides
EA200901652A1 (ru) * 2007-06-15 2010-06-30 Басф Се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дифторметилзамещённых пиразоловых соединений
US8481778B2 (en) 2007-08-16 2013-07-09 Solvay (Societe Anonyme)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esters of 4-fluorosubstituted 3-oxo-alcanoic acids
EP2133341A1 (de) * 2008-02-25 2009-12-16 Bayer CropScience AG Verfahren zur regioselektiven Synthese von 1-Alkyl-3-haloalkyl-pyrazol-4-carbonsäure-Derivaten
EP2100883A1 (de) * 2008-03-10 2009-09-16 Bayer CropScience AG Verfahren zur regioselektiven Synthese von 1-Alkyl-3-haloalkyl-pyrazol-4carbonsäure-Derivaten
CN102015653B (zh) * 2008-05-02 2013-09-11 巴斯夫欧洲公司 制备卤素取代的2-(氨基亚甲基)-3-氧代丁酸酯的方法
KR20110004891A (ko) * 2008-05-02 2011-01-14 바스프 에스이 2-(아미노메틸리덴)-4,4-디플루오로-3-옥소부티르산 에스테르의 제조 방법
CA2725446A1 (en) * 2008-05-05 2009-11-12 Basf Se Method for preparing 1,3,4-substituted pyrazol compounds
US8344157B2 (en) 2008-07-21 2013-01-01 Basf Se Process for preparing 1,3-disubstituted pyrazolecarboxylic esters
GB0908435D0 (en) 2009-05-15 2009-06-24 Syngenta Ltd Processes
CN102596911B (zh) 2009-11-05 2015-04-08 巴斯夫欧洲公司 制备缩醛胺的方法及其在制备1,3-二取代的吡唑化合物中的用途
BR112012010486A2 (pt) 2009-11-05 2016-03-15 Basf Se processo para preparação de compostos 1-3 pirazol, processo para preparação de um acido pirazolcarboxilico da formula ia e processo para preparação de um composto da formula v
EP2560961B1 (de) 2010-04-23 2016-11-16 Bayer Intellectual Property GmbH Verfahren zum herstellen von 5-fluor-1-alkyl-3-fluoralkyl-1h-pyrazol-4-carbonsäurechloriden und -fluoriden
BR112013032988A2 (pt) 2011-06-21 2016-08-16 Bayer Ip Gmbh método para a produção de pirazolilcarboxanilidas
EP2623496A1 (de) * 2012-02-01 2013-08-07 Bayer CropScience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3,5-bis (fluoralkyl)-pyrazol-4-carbonsäure-Derivaten und 3,5-bis(fluoralkyl)-pyrazolen
BR112015004097B1 (pt) 2012-08-30 2020-02-18 Bayer Cropscience Ag Procedimento para a descarboxilação de derivados do ácido 3,5-bis (haloalquil) -pirazol-4-carboxílico
US8871947B2 (en) 2013-02-04 2014-10-28 KingChem LLC Preparation of alkyl 3-difluoromethyl-1-methyl-1H-pyrazole-4-carboxylic acid ester
BR112015027707B1 (pt) * 2013-05-22 2021-02-09 Bayer Cropscience Aktiengesellschaft método de preparação de derivados de 3,5-bis(fluoroalquil)pirazole e compostos intermediários envolvidos nesse método
ES2627739T3 (es) * 2013-05-22 2017-07-31 Bayer Cropscience Aktiengesellschaft Procedimiento de preparación de derivados de 3,5-bis(fluoroalquil)pirazol a partir de alfa,alfa-dihaloaminas
TWI647215B (zh) * 2013-11-11 2019-01-11 德商拜耳作物科學股份有限公司 自α,α-二鹵胺製備3,5-雙鹵烷基吡唑衍生物之方法
US9139507B2 (en) 2013-12-09 2015-09-22 KingChem LLC.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alkyl 3-difluoromethyl-1-methyl-1H-pyrazole-4-carboxylate and its analogs
ES2663614T3 (es) * 2014-03-24 2018-04-16 Bayer Cropscience Aktiengesellschaft Procedimiento de preparación de derivados de 3,5-bis(haloalquil)pirazol a partir de alfa, alfa-dihaloaminas y cetiminas
EP3015458A1 (en) 2014-11-03 2016-05-04 Bayer CropScience AG Process for preparing 3,5-bis(haloalkyl)pyrazole derivatives from a,a-dihaloamines and ketimines
EP3154946B1 (en) 2014-06-11 2018-04-18 Bayer CropScience Aktiengesellschaft Process for preparing 3,5-bis(haloalkyl)pyrazole derivatives via acylation of hydrazones
ES2672581T3 (es) 2014-06-11 2018-06-15 Bayer Cropscience Aktiengesellschaft Proceso para la preparación de 3,5-bis(haloalquil)pirazoles por medio de la acilación de cetiminas
CN104529899A (zh) * 2014-12-19 2015-04-22 浙江泰达作物科技有限公司 高区域选择性制备1-烷基-3-卤代烷基吡唑衍生物的方法
CN105541716B (zh) * 2015-03-26 2024-02-23 Agc株式会社 吡唑衍生物的制造方法
US10407413B2 (en) * 2015-06-19 2019-09-10 Zhejiang Yongtai Technology Co., Ltd. Method for preparing pyrazolecarboxylic acid derivative, and intermediate thereof
KR20180021798A (ko) 2015-06-26 2018-03-05 바이엘 크롭사이언스 악티엔게젤샤프트 α,α-디할로알킬아민 및 케트이민으로부터 할로알콕시- 및 할로알킬티오 그룹을 가지는 치환된 피라졸의 제조방법
EP3178813A1 (en) 2015-12-09 2017-06-14 Basf Se Method for preparing halogenated 3-oxocarboxylates carrying a 2-alkoxymethylidene or a 2-dialkylaminomethylidene group
KR20180100587A (ko) 2016-01-21 2018-09-11 바이엘 크롭사이언스 악티엔게젤샤프트 폴리플루오로알킬화된 퀴놀린의 제조 방법
JP7044766B2 (ja) 2016-09-21 2022-03-30 バイエル・クロップサイエンス・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3-フルオロアルキル-5-ピラゾールカルボキシレート類及び3-フルオロアルキル-5-ピラゾールカルボン酸類を調製する方法
WO2018234184A1 (en) 2017-06-22 2018-12-27 Bayer Aktiengesellschaft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2,3,4-TRISUBSTITUTED QUINOLINES
EP3728198A1 (en) 2017-12-22 2020-10-28 Solvay Sa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pyrazole carboxylic derivatives and precursors thereof
KR20210011922A (ko) 2018-05-21 2021-02-02 피아이 인더스트리스 엘티디. 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릭 화합물의 제조 방법
KR20210022049A (ko) 2018-06-18 2021-03-02 바이엘 악티엔게젤샤프트 이치환된 5(3)-피라졸 카르복실레이트, 및 에놀레이트 및 플루오로알킬아미노시약 (far) 시약으로부터의 그의 제조 방법
JP6911143B2 (ja) 2018-11-07 2021-07-28 福建永晶科技股▲ふん▼有限公司Fujian Yongjing Technology Co., Ltd ピラゾール又はピリミジノンの新しい製造方法
CN110577503A (zh) * 2019-08-02 2019-12-17 宿迁市科莱博生物化学有限公司 一种卤素取代化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45504A1 (en) * 2004-10-21 2006-05-04 Syngenta Participations Ag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pyrazoles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89624A (en) 1992-12-01 1996-02-06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Hydrophilic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DE4302156A1 (de) 1993-01-27 1994-07-28 Bayer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Aminomethylenverbindungen
US5359089A (en) * 1993-12-22 1994-10-25 American Cyanamid Company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2,4,5-tribromopyrrole-3-carbonitrile
GB0101996D0 (en) * 2001-01-25 2001-03-14 Syngenta Participations Ag Organtic compounds
DE10161978A1 (de) 2001-12-17 2003-06-26 Bayer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2-Halogenacyl-3-amino-acrylsäure-derivate
DK1480955T3 (da) * 2002-03-05 2007-10-29 Syngenta Participations Ag O-cyclopropyl-carboxanilider og deres anvendelse som fungicider
DE10349500A1 (de) * 2003-10-23 2005-06-02 Bayer Cropscience Ag Verfahren zum Herstellen von 2-Dihalogenacyl-3-amino-acrylsäureestern und 3-Dihalogenmethyl-pyrazol-4-carbonsäureestern
GB0415764D0 (en) 2004-07-14 2004-08-18 Syngenta Participations Ag Chemical process
EA200901652A1 (ru) * 2007-06-15 2010-06-30 Басф Се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дифторметилзамещённых пиразоловых соединений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45504A1 (en) * 2004-10-21 2006-05-04 Syngenta Participations Ag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pyrazo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506173A (zh) 2009-08-12
IL196894A (en) 2015-03-31
US7939673B2 (en) 2011-05-10
ATE487702T1 (de) 2010-11-15
JP5511380B2 (ja) 2014-06-04
EP2057126A2 (de) 2009-05-13
CA2661407A1 (en) 2008-02-28
ES2355309T3 (es) 2011-03-24
RU2009110413A (ru) 2010-09-27
CN101506173B (zh) 2012-05-30
WO2008022777A2 (de) 2008-02-28
WO2008022777A3 (de) 2008-04-17
DE502007005625D1 (de) 2010-12-23
DK2057126T3 (da) 2011-02-28
WO2008022777A8 (de) 2009-04-09
BRPI0715674A2 (pt) 2013-07-09
US20090326242A1 (en) 2009-12-31
EP2057126B1 (de) 2010-11-10
BRPI0715674B1 (pt) 2015-06-16
JP2010501502A (ja) 2010-01-21
KR20090043580A (ko) 2009-05-06
DE102006039909A1 (de) 2008-03-13
TW200817335A (en) 2008-04-16
CA2661407C (en) 2014-07-15
JP5805717B2 (ja) 2015-11-04
JP2014001226A (ja) 2014-01-09
RU2470015C2 (ru) 2012-12-20
IL196894A0 (en) 2009-11-18
MX2009001840A (es) 2009-03-03
TWI419880B (zh) 2013-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5326B1 (ko) 3-디할로메틸피라졸-4-카복실산 유도체의 제조방법
ES2627700T3 (es) Procedimiento para la preparación de derivados de ácido 2-dihaloacil-3-amino-acrílico
KR101652916B1 (ko) 1-알킬-3-할로알킬피라졸-4-카복실산 유도체의 위치선택적인 합성 방법
KR101656690B1 (ko) 1-알킬-3-할로알킬피라졸-4-카복실산 유도체의 위치선택적인 합성 방법
JP5226994B2 (ja) 化学増幅型レジスト組成物の酸発生剤の中間体
KR101574143B1 (ko) 2-플루오로아실-3-아미노아크릴산 유도체의 제조방법
BR112016010413B1 (pt) processo para preparação de derivados de 3,5-bis(haloalquil)pirazole a partir de a,a-dihaloaminas
US20090253905A1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onium salts with alkyl- or arylsulfonate anions or alkyl- or arylcarboxylate anions having a low halide content
KR102091133B1 (ko) 퍼플루오로알킬 함유 피라졸 카복실레이트의 제조방법
KR102410034B1 (ko) α,α-디할로아민 및 케트이민으로부터 3,5-비스(할로알킬)피라졸 유도체의 제조방법
EP1437343A2 (en) Process for preparing substituted phenylhydrazine pesticidal intermediates
BRPI0817747B1 (pt)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2-dihalogenoacyl-3-amino acrylic acid derivatives
KR910000145B1 (ko) N-(2-메톡시아세틸)-n-(2,6-자일릴)-d,l-알라닌 메틸에스테르의 제조방법
JPH0114914B2 (ko)
JPH0892187A (ja) 2−フルオロシクロプロパンカルボヒドラジド類、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用いる2−フルオロシクロプロピルアミン類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