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4143B1 - 2-플루오로아실-3-아미노아크릴산 유도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2-플루오로아실-3-아미노아크릴산 유도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4143B1
KR101574143B1 KR1020107014560A KR20107014560A KR101574143B1 KR 101574143 B1 KR101574143 B1 KR 101574143B1 KR 1020107014560 A KR1020107014560 A KR 1020107014560A KR 20107014560 A KR20107014560 A KR 20107014560A KR 101574143 B1 KR101574143 B1 KR 1015741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kyl
group
aryl
acid
formul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45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9237A (ko
Inventor
노르베르트 루이
토마스 볼너
위르겐 비셰메이어
미카엘 독크너
옌스-디트마르 하인리히
Original Assignee
바이엘 인텔렉쳐 프로퍼티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이엘 인텔렉쳐 프로퍼티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바이엘 인텔렉쳐 프로퍼티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000992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92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41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41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27/00Preparation of 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 C07C227/14Preparation of 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from compounds containing already amino and carboxyl groups or derivatives thereof
    • C07C227/16Preparation of 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from compounds containing already amino and carboxyl groups or derivatives thereof by reactions not involving the amino or carboxyl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53/00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 nitriles
    • C07C253/30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 nitriles by reactions not involving the formation of cyano group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불소화 카복실산을 디알킬아미노아크릴산 유도체 및 산 할라이드와 반응시켜 2-플루오로아실-3-아미노아크릴산 유도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2-플루오로아실-3-아미노아크릴산 유도체의 제조방법{METHOD FOR THE PRODUCTION OF 2-FLUOROACYL-3-AMINOACRYLIC ACID DERIVATIVES}
본 발명은 불소화 카복실산을 디알킬아미노아크릴산 유도체 및 산 할라이드와 반응시켜 2-플루오로아실-3-아미노아크릴산 유도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2-플루오로아실-3-아미노아크릴산 유도체, 예를 들어 2-트리플루오로메틸-3-아미노아크릴산 에스테르 및 2-디플루오로메틸-3-아미노아크릴산 에스테르는 살진균제로 사용될 수 있는 치환된 피라졸을 제조하는데 유용한 중간체이다.
상응하는 클로로아크롤레인을 치환된 아민과 반응시킴으로써 트리할로아실화 아미노아크릴산 에스테르를 수득하는 것은 알려졌다(참조: Tetrahedron Lett. 1996, 37, 8751-8754). 그러나, 이 방법의 단점은 출발 화합물로 사용된 클로로아크롤레인의 제조가 용이치 않고, 공업적으로 응용하기에는 비용이 너무 많이 든다는 것이다.
EP-A-1 000 926호에서는 트리할로아세토아세테이트를 디알킬포름아미드 아세탈과 반응시켜 트리할로아실아미노프로파노에이트를 수득하는 것을 기술하였다. 이 방법의 단점은 탈아실화 화합물이 부산물로 생겨 목적 생성물로부터 제거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WO-A-03/051820호에서는 3-아미노아크릴산 에스테르를 퍼할로알킬카복실산 무수물과 반응시킴으로써 2-퍼할로아실-3-아미노아크릴산 유도체가 수득될 수 있는 것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이 방법은 불소화된 유도체를 제조하는데 비점이 낮고 값비싼 산 클로라이드 또는 무수물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예를 들어,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무수물을 사용하는 경우, 1 당량의 유용한 불소화 단위가 손실된다.
WO-A-05/042468호에서는 산 할라이드가 사용되는 2-디할로아실-3-아미노아크릴산 에스테르의 제조방법에 대해 교시하였다. 산으로부터 이들 산 클로라이드를 제조하는 것은 복잡하다. 더욱이, 이는 비점이 낮아 사용이 용이치 않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된 단점을 갖지 않으며 공업적으로 실행가능한, 불소화 카복실산으로부터 2-플루오로아실-3-아미노아크릴산 유도체를 제조하는 신규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서 화학식 (II)의 불소화 카복실산을 화학식 (III)의 3-아미노아크릴산 유도체, 및 염기 존재하의 화학식 (IV)의 산 할라이드와 반응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화학식 (I)의 2-플루오로아실-3-아미노아크릴산 유도체의 제조 방법으로 달성된다:
Figure 112010042331806-pct00001
Figure 112010042331806-pct00002
Figure 112010042331806-pct00003
Figure 112010042331806-pct00004
상기 식에서,
R1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C1-12-알킬, C3-8-사이클로알킬, C2-12-알케닐, C2-12-알키닐, C6-8-아릴, C7-19-아릴알킬 및 C7-19-알킬아릴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이들은 각각 -R', -X, -OR', -SR', -NR'2, -SiR'3, -COOR', -(C=O)R', -CN 및 -CONR2'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그룹에 의해 치환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R'는 수소 또는 C1-12-알킬 그룹이거나;
R1 R2는 이들이 결합된 질소 원자와 함께, O, S 및 SO2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1 또는 2개의 추가의 헤테로원자를 임의로 가질 수 있고 -R', -X, -OR', -SR', -NR'2, -SiR'3, -COOR', -(C=O)R', -CN 및 -CONR2'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그룹에 의해 치환될 수 있는 5- 내지 6-원 환을 형성할 수 있고, 여기에서, R'는 수소 또는 C1-12-알킬 그룹이며;
Y는 (C=O)OR3, CN 및 (C=O)NR4R5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에서 R3, R4 R5는 각각 독립적으로 C1-12-알킬, C3-8-사이클로알킬, C2-12-알케닐, C2-12-알키닐, C6-8-아릴, C7-19-아릴알킬- 및 C7-19-알킬아릴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며, 이들은 각각 -R', -X, -OR', -SR', -NR'2, -SiR'3, -COOR', -(C=O)R', -CN 및 -CONR2'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그룹에 의해 치환될 수 있고, 여기에서 R'는 수소 또는 C1-12-알킬 그룹이며;
X1 X2는 각각 독립적으로 불소, 염소, 브롬, 수소, C1-12-알킬, C3-8-사이클로알킬, C2-12-알케닐, C2-12-알키닐, C6-8-아릴, C7-19-아릴알킬 또는 C7-19-알킬아릴 그룹이고, 상기 언급된 알킬, 사이클로알킬, 알케닐, 알키닐, 아릴, 아릴알킬 및 알킬아릴 그룹은 각각 -R', -X, -OR', -SR', -NR'2, -SiR'3, -COOR', -(C=O)R', -CN 및 -CONR2'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그룹에 의해 치환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R'는 수소 또는 C1-12-알킬 그룹이고;
R9는 C1-12-알킬, C3-8-사이클로알킬, C2-12-알케닐, C2-12-알키닐, C6-8-아릴, C7-19-아릴알킬- 및 C7-19-알킬아릴 그룹로부터 선택되고, 이들은 각각 -R', -X, -OR', -SR', -NR'2, -SiR'3, -COOR', -(C=O)R', -CN 및 -CONR2'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그룹에 의해 치환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R'는 수소 또는 C1-12-알킬 그룹이고;
Hal은 할로겐이다.
놀랍게도, 화학식 (I)의 2-플루오로아실-3-아미노아크릴산 유도체를 본 발명의 조건하에서 고순도의 우수한 수율로 제조할 수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선행 기술과 관련하여 상술된 단점들을 해결할 수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하기 반응식 (I)로 설명될 수 있다:
반응식 (I)
Figure 112010042331806-pct00005
일반 정의
본 발명과 관련하여, 용어 "할로겐"(X)은, 달리 정의되지 않으면, 불소, 염소, 브롬 및 요오드, 바람직하게는 불소, 염소 및 브롬, 특히 바람직하게는 불소 및 염소로 구성된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원소를 포함한다.
임의로 치환된 그룹은 일- 또는 다치환될 수 있으며, 다치환된 경우, 치환체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할로겐 원자(-X)에 의해 치환된 알킬 그룹은, 예를 들어 트리플루오로메틸 (CF3), 디플루오로메틸 (CHF2), CF3CH2, ClCH2, CF3CCl2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달리 정의되지 않으면, 알킬 그룹은 O, N, P 및 S 중에서 선택되는 1, 2 또는 그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임의로 가질 수 있는 선형 또는 분지형 탄화수소 그룹이다. 또한, 본 발명의 알킬 그룹은 -R', 할로겐 (-X), 알콕시 (-OR'), 티오에테르 또는 머캅토 (-SR'), 아미노 (-NR'2), 실릴 (-SiR'3), 카복실 (-COOR'), 시아노 (-CN), 아실 (-(C=O)R') 및 아미드 그룹 (-CONR2')(여기에서, R'는 수소 또는 N, O, P 및 S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가질 수 있는 C1-12-알킬 그룹, 바람직하게는 C2-10-알킬 그룹, 보다 바람직하게는 C3-8-알킬 그룹임) 중에서 선택되는 추가의 그룹에 의해 임의로 치환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달리 정의되지 않으면, 사이클로알킬 그룹은 O, N, P 및 S 중에서 선택되는 1, 2 또는 그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임의로 가질 수 있는 3 내지 8 탄소 환 멤버의 단환식 포화 탄화수소 그룹이다. 또한, 본 발명의 사이클로알킬 그룹은 -R', 할로겐 (-X), 알콕시 (-OR'), 티오에테르 또는 머캅토 (-SR'), 아미노 (-NR'2), 실릴 (-SiR'3), 카복실 (-COOR'), 시아노 (-CN), 아실 (-(C=O)R') 및 아미드 그룹 (-CONR2')(여기에서, R'는 수소 또는 N, O, P 및 S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가질 수 있는 C1-12-알킬 그룹, 바람직하게는 C2-10-알킬 그룹, 보다 바람직하게는 C3-8-알킬 그룹임) 중에서 선택되는 추가의 그룹에 의해 임의로 치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 정의는, 예를 들어 사이클로프로필, 사이클로부틸, 사이클로펜틸 및 사이클로헥실의 의미를 포괄한다.
정의 C1-C12-알킬은 본 원에서 알킬 그룹에 대해 정의된 가장 넓은 범위를 망라한다. 구체적으로, 이 정의는, 예를 들어, 메틸, 에틸, n-, 이소프로필, n-, 이소-, sec- 및 t-부틸, n-펜틸, n-헥실, 1,3-디메틸부틸, 3,3-디메틸부틸, n-헵틸, n-노닐, n-데실, n-운데실, n-도데실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달리 정의되지 않으면, 알케닐 그룹은 적어도 하나의 단일 불포화 (이중 결합)를 가지며, 임의로 1, 2 또는 그 이상의 단일 또는 이중 불포화 또는 O, N, P 및 S 중에서 선택되는 1개, 2개 또는 그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가질 수 있는 선형 또는 분지형 탄화수소 그룹이다. 또한, 본 발명의 알케닐 그룹은 -R', 할로겐 (-X), 알콕시 (-OR'), 티오에테르 또는 머캅토 (-SR'), 아미노 (-NR'2), 실릴 (-SiR'3), 카복실 (-COOR'), 시아노 (-CN), 아실 (-(C=O)R') 및 아미드 그룹 (-CONR2') (여기에서, R'는 수소 또는 N, O, P 및 S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가질 수 있는 C1-12-알킬 그룹, 바람직하게는 C2-10-알킬 그룹, 보다 바람직하게는 C3-8-알킬 그룹임) 중에서 선택되는 추가의 그룹에 의해 임의로 치환될 수 있다.
C2-C12-알케닐 정의는 본 원에서 알케닐 그룹에 대해 정의된 가장 넓은 범위를 망라한다. 구체적으로, 이 정의는 예를 들어 비닐; 알릴 (2-프로페닐), 이소프로페닐 (1-메틸에테닐); 부트-1-에닐 (크로틸), 부트-2-에닐, 부트-3-에닐; 헥스-1-에닐, 헥스-2-에닐, 헥스-3-에닐, 헥스-4-에닐, 헥스-5-에닐; 헵트-1-에닐, 헵트-2-에닐, 헵트-3-에닐, 헵트-4-에닐, 헵트-5-에닐, 헵트-6-에닐; 옥트-1-에닐, 옥트-2-에닐, 옥트-3-에닐, 옥트-4-에닐, 옥트-5-에닐, 옥트-6-에닐, 옥트-7-에닐; 논-1-에닐, 논-2-에닐, 논-3-에닐, 논-4-에닐, 논-5-에닐, 논-6-에닐, 논-7-에닐, 논-8-에닐; 데크-1-에닐, 데크-2-에닐, 데크-3-에닐, 데크-4-에닐, 데크-5-에닐, 데크-6-에닐, 데크-7-에닐, 데크-8-에닐, 데크-9-에닐; 운데크-1-에닐, 운데크-2-에닐, 운데크-3-에닐, 운데크-4-에닐, 운데크-5-에닐, 운데크-6-에닐, 운데크-7-에닐, 운데크-8-에닐, 운데크-9-에닐, 운데크-10-에닐; 도데크-1-에닐, 도데크-2-에닐, 도데크-3-에닐, 도데크-4-에닐, 도데크-5-에닐, 도데크-6-에닐, 도데크-7-에닐, 도데크-8-에닐, 도데크-9-에닐, 도데크-10-에닐, 도데크-11-에닐; 부타-1,3-디에닐, 펜타-1,3-디에닐의 의미를 포괄한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달리 정의되지 않으면, 사이클로알케닐 그룹은 적어도 하나의 이중 결합을 가지며, O, N, P 및 S 중에서 선택되는 1, 2 또는 그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임의로 가질 수 있는 3 내지 8 탄소 환 멤버의 단환식, 비방향족 탄화수소 그룹이다. 또한, 본 발명의 사이클로알케닐 그룹은 -R', 할로겐 (-X), 알콕시 (-OR'), 티오에테르 또는 머캅토 (-SR'), 아미노 (-NR'2), 실릴 (-SiR'3), 카복실 (-COOR'), 시아노 (-CN), 아실 (-(C=O)R') 및 아미드 그룹 (-CONR2') (여기에서, R'는 수소 또는 N, O, P 및 S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가질 수 있는 C1-12-알킬 그룹, 바람직하게는 C2-10-알킬 그룹, 보다 바람직하게는 C3-8-알킬 그룹임) 중에서 선택되는 추가의 그룹에 의해 임의로 치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 정의는, 예를 들어 사이클로펜텐-1-일, 사이클로헥센-1-일, 사이클로헵타-1,3-디엔-1-일의 의미를 포괄한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달리 정의되지 않으면, 알키닐 그룹은 적어도 하나의 이중 불포화 (삼중 결합)를 가지며, 임의로 1, 2 또는 그 이상의 단일 또는 이중 불포화 또는 O, N, P 및 S 중에서 선택되는 1, 2 또는 그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가질 수 있는 선형, 분지형 또는 환식 탄화수소 그룹이다. 또한, 본 발명의 알키닐 그룹은 -R', 할로겐 (-X), 알콕시 (-OR'), 티오에테르 또는 머캅토 (-SR'), 아미노 (-NR'2), 실릴 (-SiR'3), 카복실 (-COOR'), 시아노 (-CN), 아실 (-(C=O)R') 및 아미드 그룹 (-CONR2') (여기에서, R'는 수소 또는 N, O, P 및 S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가질 수 있는 선형, 분지형 또는 환식 C1-12-알킬 그룹임) 중에서 선택되는 추가의 그룹에 의해 임의로 치환될 수 있다.
C2-C12-알키닐 정의는 본 원에서 알키닐 그룹에 대해 정의된 가장 넓은 의미를 망라한다. 구체적으로, 이 정의는, 예를 들어 에티닐 (아세틸에닐); 프로프-1-이닐 및 프로프-2-이닐의 의미를 포괄한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달리 정의되지 않으면, 아릴 그룹은 O, N, P 및 S 중에서 선택되는 1, 2 또는 그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가질 수 있고, -R', 할로겐 (-X), 알콕시 (-OR'), 티오에테르 또는 머캅토 (-SR'), 아미노 (-NR'2), 실릴 (-SiR'3), 카복실 (-COOR'), 시아노 (-CN), 아실 (-(C=O)R') 및 아미드 그룹 (-CONR2') (여기에서, R'는 수소 또는 N, O, P 및 S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가질 수 있는 C1-12-알킬 그룹, 바람직하게는 C2-10-알킬 그룹, 보다 바람직하게는 C3-8-알킬 그룹임) 중에서 선택되는 추가의 그룹에 의해 임의로 치환될 수 있는 방향족 탄화수소 그룹이다.
C5-18-아릴 정의는 본 원에서 5 내지 18 골격 원자를 가지며 탄소 원자가 헤테로원자로 대체될 수 있는 아릴 그룹에 대해 정의된 가장 넓은 의미를 망라한다. 구체적으로, 이 정의는, 예를 들어 사이클로펜타디에닐, 페닐, 사이클로헵타트리에닐, 사이클로옥타테트라에닐, 나프틸 및 안트라세닐; 2-푸릴, 3-푸릴, 2-티에닐, 3-티에닐, 2-피롤릴, 3-피롤릴, 3-이속사졸릴, 4-이속사졸릴, 5-이속사졸릴, 3-이소티아졸릴, 4-이소티아졸릴, 5-이소티아졸릴, 3-피라졸릴, 4-피라졸릴, 5-피라졸릴, 2-옥사졸릴, 4-옥사졸릴, 5-옥사졸릴, 2-티아졸릴, 4-티아졸릴, 5-티아졸릴, 2-이미다졸릴, 4-이미다졸릴, 1,2,4-옥사디아졸-3-일, 1,2,4-옥사디아졸-5-일, 1,2,4-티아디아졸-3-일, 1,2,4-티아디아졸-5-일, 1,2,4-트리아졸-3-일, 1,3,4-옥사디아졸-2-일, 1,3,4-티아디아졸-2-일 및 1,3,4-트리-아졸-2-일; 1-피롤릴, 1-피라졸릴, 1,2,4-트리아졸-1-일, 1-이미다졸릴, 1,2,3-트리아졸-1-일, 1,3,4-트리아졸-1-일; 3-피리다지닐, 4-피리다지닐, 2-피리미디닐, 4-피리미디닐, 5-피리미디닐, 2-피라지닐, 1,3,5-트리아진-2-일 및 1,2,4-트리아진-3-일의 의미를 포괄한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달리 정의되지 않으면, 아릴알킬 그룹 (아르알킬 그룹)은 아릴 그룹에 의해 치환되고, C1-8-알킬렌 쇄를 가질 수 있으며, 아릴 골격 또는 알킬렌 쇄가 O, N, P 및 S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에 의해 치환될 수 있고, -R', 할로겐 (-X), 알콕시 (-OR'), 티오에테르 또는 머캅토 (-SR'), 아미노 (-NR'2), 실릴 (-SiR'3), 카복실 (-COOR'), 시아노 (-CN), 아실 (-(C=O)R') 및 아미드 그룹 (-CONR2') (여기에서, R'는 수소 또는 N, O, P 및 S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가질 수 있는 C1-12-알킬 그룹, 바람직하게는 C2-10-알킬 그룹, 보다 바람직하게는 C3-8-알킬 그룹임) 중에서 선택되는 추가의 그룹에 의해 임의로 치환될 수 있는 알킬 그룹이다.
C7-19-아르알킬 그룹 정의는 본 원에서 골격 및 알킬렌 쇄에 총 7 내지 19개의 원자를 가지는 아릴알킬 그룹에 대해 정의된 가장 넓은 범위를 망라한다. 구체적으로, 이 정의는, 예를 들어, 벤질 및 페닐에틸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달리 정의되지 않으면, 알킬아릴 그룹 (알크아릴 그룹)은 알킬 그룹에 의해 치환되고, C1-8-알킬렌 쇄를 가질 수 있으며, 아릴 골격 또는 알킬렌 쇄가 O, N, P 및 S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에 의해 치환될 수 있고, -R', 할로겐 (-X), 알콕시 (-OR'), 티오에테르 또는 머캅토 (-SR'), 아미노 (-NR'2), 실릴 (-SiR'3), 카복실 (-COOR'), 시아노 (-CN), 아실 (-(C=O)R') 및 아미드 그룹 (-CONR2') (여기에서, R'는 수소 또는 N, O, P 및 S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가질 수 있는 C1-12-알킬 그룹, 바람직하게는 C2-10-알킬 그룹, 보다 바람직하게는 C3-8-알킬 그룹임) 중에서 선택되는 추가의 그룹에 의해 임의로 치환될 수 있는 아릴 그룹이다.
정의 C7-19-알킬아릴 그룹은 본 원에서 골격 및 알킬렌 쇄에 총 7 내지 19개의 원자를 가지는 알킬아릴 그룹에 대해 정의된 가장 넓은 범위를 망라한다. 구체적으로, 이 정의는, 예를 들어, 톨릴, 2,3-, 2,4-, 2,5-, 2,6-, 3,4- 또는 3,5-디메틸페닐의 의미를 포함한다.
알킬, 알케닐, 알키닐, 아릴, 알크아릴 및 아르알킬 그룹은 - 달리 정의되지 않으면, - N, O, P 및 S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추가로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헤테로원자는 지정된 번호의 탄소 원자를 대체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임의로 가능한 상이한 이성체 형태, 특히 입체이성체, 예를 들어 E 및 Z, 스레오 및 에리스로, 및 광학 이성체, 임의로 또한 호변이성체의 혼합물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E 및 Z 이성체, 및 또한 스레오 및 에리스로 이성체, 및 광학 이성체, 이들 이성체의 임의 혼합물, 및 가능한 호변이성체가 개시되고 청구된다.
디알킬아미노아크릴산 유도체 (III)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는데 출발 물질로 사용되는 디알킬아미노아크릴산 유도체는 일반적으로 하기 화학식 (III)으로 정의된다:
Figure 112010042331806-pct00006
상기 식에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C1-12-알킬, C3-8-사이클로알킬, C2-12-알케닐, C2-12-알키닐, C6-8-아릴, C7-19-아릴알킬 및 C7-19-알킬아릴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이들은 각각 -R', -X, -OR', -SR', -NR'2, -SiR'3, -COOR', -(C=O)R', -CN 및 -CONR2'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그룹에 의해 치환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R'는 수소 또는 C1-12-알킬 그룹이거나;
R1 및 R2는 이들이 결합된 질소 원자와 함께, O, S 및 SO2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1 또는 2개의 추가의 헤테로원자를 임의로 가질 수 있는 5- 내지 6-원 환을 형성할 수 있고;
Y는 (C=O)OR3, CN 및 (C=O)NR4R5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R3, R4 R5는 각각 독립적으로 C1-12-알킬, C3-8-사이클로알킬, C2-12-알케닐, C2-12-알키닐, C6-8-아릴, C7-19-아릴알킬- 및 C7-19-알킬아릴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이들은 각각 -R', -X, -OR', -SR', -NR'2, -SiR'3, -COOR', -(C=O)R', -CN 및 -CONR2'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그룹에 의해 치환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R'는 수소 또는 C1-12-알킬 그룹이다.
바람직하게,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메틸, 에틸, n-프로필 및 이소프로필로부터 선택될 수 있거나
R1 및 R2는 이들이 결합된 질소 원자와 함께, 피페리디닐, 피롤리디닐 또는 모르폴리디닐 환을 형성할 수 있고;
Y는 (C=O)OR3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R3은 메틸, 에틸, n-프로필 및 이소프로필로부터 선택된다.
더욱 바람직하게,
R1 및 R2는 각각 메틸일 수 있고;
Y는 -(C=O)OC2H5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적합한 디알킬아미노아크릴산 에스테르로는 메틸 3-(N,N-디메틸아미노)아크릴레이트, 에틸 3-(N,N-디메틸아미노)아크릴레이트, 에틸 3-(N,N-디에틸아미노)아크릴레이트, 3-(N,N-디메틸아미노)아크릴로니트릴, N,N-디메틸-3-(N,N-디메틸아미노)아크릴아미드 및 N,N-디에틸-3-(N,N-디메틸아미노)아크릴아미드를 예로 들 수 있으며, 에틸 3-(N,N-디-메틸-아미노)아크릴레이트가 특히 바람직하다
디알킬아미노아크릴산 에스테르의 제조방법에 대해서는 선행 기술, 예를 들어 EP-A-0 608 725호에서 개시되었다.
디알킬아미노아크릴로니트릴의 제조방법에 대해서는 선행 기술, 예를 들어 [Rene et al. in Synthesis (1986), (5), 419-420]에서 개시되었다.
디알킬아미노아크릴산 유도체는 필요에 따라, 예를 들면 증류로 정제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반응과 관련하여서는 필요치 않다.
사용된 디알킬아미노아크릴산 유도체 대 불소화 카복실산의 몰비는, 예를 들어, 0.5 내지 3, 바람직하게는 0.8 내지 2,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5일 수 있다
불소화 카복실산 (II)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불소화 카복실산은 하기 화학식 (II)의 화합물이다:
Figure 112010042331806-pct00007
상기 식에서,
X1 및 X2는 각각 독립적으로 불소, 염소, 브롬, 수소, C1-12-알킬 래디칼, C1-12-할로알킬 래디칼, C5-18-아릴, C7-19-알킬아릴 또는 C7-19-아릴알킬 래디칼, 바람직하게는 수소, 불소 및 염소, C2-8-알킬 래디칼, C2-8-할로알킬 래디칼, 더욱 바람직하게는 불소, 염소, 수소, C3-6-알킬 래디칼, CF3 CF2H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적합한 불소화 카복실산으로는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디플루오로아세트산, 디플루오로클로로아세트산, 클로로플루오로아세트산, 2,3,3,3-테트라플루오로프로피온산, 2,2,3,3-테트라플루오로프로피온산, 2,2-디플루오로프로피온산, 펜타플루오로프로피온산, 2,3,3,4,4,4-헥사플루오로부탄카복실산을 예로 들 수 있다.
산 할라이드 (IV)
하기 화학식 (IV)의 산 할라이드를 첨가하여 상술된 불소화 카복실산을 디알킬아미노아크릴산 유도체와 반응시킨다:
Figure 112010042331806-pct00008
상기 식 (IV)에서,
R9는 C1-12-알킬 래디칼, C5-18-아릴, C7-19-알킬아릴 및 C7-19-아릴알킬 또는 헤테로아릴 래디칼, 바람직하게는 C2-8-알킬 래디칼, 더욱 바람직하게는C3-6-알킬 래디칼로부터 선택되고,
Hal은 불소, 염소, 브롬 및 요오드, 바람직하게는 염소 및 브롬, 더욱 바람직하게는 염소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적합한 산 할라이드로는 아세틸 클로라이드, 피발로일 클로라이드, 이소발레로일 클로라이드 및 벤조일 클로라이드를 예로 들 수 있다.
사용된 화학식 (IV)의 산 할라이드 대 화학식 (II)의 불소화 카복실산의 몰비는, 예를 들어 0.5 내지 5,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 더욱 바람직하게는 2 내지 2.5일 수 있다.
염기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염기의 존재하에서 수행된다. 적합한 염기는, 예를 들어, 삼차 질소 염기, 예를 들면 삼차 아민,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피리딘 및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퀴놀린;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 수산화물, 탄산수소염 또는 탄산염 및 기타 무기 수성 염기이다. 삼차 아민,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피리딘,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퀴놀린 또는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이미다졸, 및 하기 화학식 (V)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NR10R11R12 (V)
상기 식에서,
R10, R11 R12는 각각 독립적으로 C1-12-알킬, C6-18-아릴, C7-19-알킬아릴 또는 C7-19-아릴알킬이거나, 또는 각 경우에 두 래디칼이 함께, 또한 5- 내지 8-원 N-헤테로사이클릭 래디칼의 일부를 이룰 수 있거나, 또는 세 래디칼이 모두 함께, 사이클당 5 내지 9개의 환 원자를 가지며 임의로 다른 헤테로원자, 예를 들면 산소를 가질 수 있는 N-헤테로바이사이클릭 또는 N-트리사이클릭 래디칼의 일부를 이룰 수 있다.
바람직한 화학식 (V)의 염기로는 트리에틸아민, 트리메틸아민,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트리-n-프로필아민, 트리-n-부틸아민, 트리-n-헥실아민, 트리사이클로헥실아민, N-메틸사이클로헥실아민, N-메틸피롤리딘, N-메틸피페리딘, N-에틸피페리딘, N,N-디메틸아닐린, N-메틸모르폴린, 피리딘, 2-, 3-, 4-피콜린, 2-메틸-5-에틸피리딘, 2,6-루티딘, 2,4,6-콜리딘, 4-디메틸아미노피리딘, 퀴놀린, 메틸이미다졸, 에틸이미다졸, 부틸이미다졸, 퀴날딘, N,N,N,N-테트라메틸에틸렌디아민, N,N-디메틸-1,4-디아자사이클로헥산, N,N-디에틸-1,4-디아자사이클로헥산, 1,8-비스(디메틸아미노)나프탈렌, 디아자비사이클로옥탄(DABCO), 디아자비사이클로노난(DBN) 및 디아자비사이클로운데칸(DBU)을 예로 들 수 있다.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 수산화물, 탄산염 또는 탄산수소염, 예를 들어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수산화리튬, 수산화칼슘, 탄산나트륨, 탄산칼륨, 탄산수소나트륨 및 탄산수소칼륨이 또한 바람직하다. 무기 염기는 임의로 10 내지 40% 농도의 수용액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트리에틸아민, 트리부틸아민, 메틸이미다졸, 부틸이미다졸, 피리딘, 2-, 3-, 4-피콜린, 2-메틸-5-에틸피리딘, 2,6-루티딘,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을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사용된 염기 대 불소화 카복실산의 몰비는, 예를 들어 0.5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1 내지 8,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6일 수 있다.
염기를 더 과량으로 사용하는 것도 무방하나 경제성이 없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예를 들어, -30 내지 130 ℃,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60 ℃의 온도에서 수행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일반적으로 표준 압력하에서 수행된다. 그러나, 승압이나 진공중에서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용매
반응은 벌크로(in bulk) 또는 용매 중에서 수행될 수 있다. 반응을 용매 중에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합한 용매는, 예를 들어 불소 및 염소 원자에 의해 치환될 수 있는 지방족 및 방향족 탄화수소, 예를 들어 n-헥산, 벤젠, 톨루엔 및 크실렌, 예컨대 메틸렌 클로라이드, 디클로로메탄, 트리클로로메탄, 사염화탄소, 플루오로벤젠, 클로로벤젠 또는 디클로로벤젠; 에테르, 예를 들어 디에틸 에테르, 디페닐 에테르, 메틸 tert-부틸 에테르, 이소프로필 에틸 에테르, 디옥산, 디글림, 디메틸글리콜 또는 THF; 니트릴, 예컨대 메틸 니트릴, 부틸 니트릴 또는 페닐 니트릴; DMF,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며, 톨루엔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바람직한 구체예에 있어서, 염기에 먼저 용매중 또는 벌크로 불소화 카복실산을 도입한 후, 디알킬아미노아크릴산 유도체를 첨가하고, 카보닐 클로라이드와 혼합한다. 염기에 먼저 용매중 또는 벌크로 카보닐 클로라이드를 도입한 후, 디알킬아미노아크릴산 유도체를 첨가하고 불소화 카복실산과 혼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서는, 염기에 먼저 용매중 또는 벌크로 불소화 카복실산을 도입한 후, 카보닐 클로라이드를 첨가하고, 디알킬아미노아크릴산 유도체와 혼합한다.
다른 한편으로, 염기가 또한 용매를 대체할 수 있다. 이는 특히 사용된 염기 염이 일반적인 반응 조건하에서 액체인 경우 바람직하다.
후처리 절차는, 예를 들어 임의의 침전 염을, 예를 들면 여과, 원심분리 또는 침강 및 경사분리로 제거하고, 얻은 반응 용액을 직접 더 반응시키거나, 농축, 바람직하게는 농축 건조하여 2-플루오로아실-3-아미노아크릴산 유도체를 수득하는 것일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생성된 2-플루오로아실-3-아미노아크릴산 유도체는 또한 증류에 의해 정제될 수도 있다. 반응 혼합물에 물을 첨가하고 나서 상 분리함으로써 추가의 후처리 방법이 행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2-플루오로아실-3-아미노아크릴산 유도체의 제조방법이 본 발명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할 목적으로 제공되는 하기 실시예로 설명된다. 그러나, 실시예를 제한적인 의미로 해석하여서는 안된다.
제조 실시예:
실시예 1
60 ml 톨루엔중의 32.7 g의 트리에틸아민의 용액에 먼저 11.6 g의 디플루오로아세트산을 실온에서 첨가하고, 이어서 14.35 g의 에틸 디메틸아미노아크릴레이트를 첨가하였다. 이 용액에 28 g의 트리메틸아세틸 클로라이드를 계량 첨가하고, 실온에서 8 시간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30 ml의 물에 붓고, 유기상을 제거한 다음, 유기상을 20 ml의 물로 세척하고, 수성상을 합하여 10 ml의 톨루엔으로 한번 더 추출하였다. 유기상을 합해 감압하에 농축하였다. 21 g(이론치의 94%)의 에틸 2-(디플루오로아세틸)-3-(디메틸아미노)아크릴레이트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2
50 ml 톨루엔중의 17.8 g의 트리에틸아민의 용액에 먼저 5.7 g의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을 실온에서 첨가하고 이어서 7.23 g의 에틸 디메틸아미노아크릴레이트를 첨가하였다. 이 용액에 14 g의 트리메틸아세틸 클로라이드를 계량 첨가하고, 실온에서 6 시간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0 ml의 물에 붓고, 유기상을 제거한 다음, 유기상을 20 ml의 물로 세척하고, 수성상을 합하여 10 ml의 톨루엔으로 한번 더 추출하였다. 유기상을 합해 감압하에 농축하였다. 10.7 g(이론치의 90%)의 에틸 2-(트리플루오로아세틸)-3-(디메틸아미노)아크릴레이트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3
50 ml 톨루엔중의 17.8 g의 트리에틸아민의 용액에 먼저 4.8 g의 디플루오로아세트산을 실온에서 첨가하고, 이어서 7.23 g의 에틸 디메틸아미노아크릴레이트를 첨가하였다. 이 용액에 16.3 g의 벤조일 클로라이드를 계량 첨가하고, 실온에서 6 시간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여과한 뒤, 30 ml의 물에 붓고, 유기상을 제거한 다음, 유기상을 20 ml의 물로 세척하고, 수성상을 합하여 10 ml의 톨루엔으로 한번 더 추출하였다. 유기상을 합해 감압하에 농축하였다. 에틸 2-(디플루오로아세틸)-3-(디메틸아미노)아크릴레이트를 81%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실시예 4
560 ml 톨루엔중의 298 g의 1-메틸-1H-이미다졸의 용액에 먼저 실온 (RT)에서 97 g의 디플루오로아세트산을 첨가하고, 이어서 144 g의 에틸 디메틸아미노아크릴레이트를 첨가하였다. 이 용액에 304 g의 트리메틸아세틸 클로라이드를 계량 첨가하고, RT에서 2 시간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완료 후, 상을 분리하고, 하부상을 50 ml의 톨루엔으로 1회 추출한 다음, 유기상을 합해 감압하에 농축하였다. 에틸 2-(디플루오로아세틸)-3-(디메틸아미노)아크릴레이트를 91%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Claims (10)

  1. 화학식 (II)의 불소화 카복실산을 화학식 (III)의 3-아미노아크릴산 유도체, 및 염기 존재하의 화학식 (IV)의 산 할라이드와 반응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화학식 (I)의 2-플루오로아실-3-아미노아크릴산 유도체의 제조 방법:
    Figure 112015057290520-pct00009

    Figure 112015057290520-pct00010

    Figure 112015057290520-pct00011

    Figure 112015057290520-pct00012

    상기 식에서,
    R1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C1-12-알킬, C3-8-사이클로알킬, C2-12-알케닐, C2-12-알키닐, C6-8-아릴, C7-19-아릴알킬 및 C7-19-알킬아릴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이들은 각각 -R', -X, -OR', -SR', -NR'2, -SiR'3, -COOR', -(C=O)R', -CN 및 -CONR'2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그룹에 의해 치환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R'는 수소 또는 C1-12-알킬 그룹이거나;
    R1 R2는 이들이 결합된 질소 원자와 함께, O, S 및 SO2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1 또는 2개의 추가의 헤테로원자를 임의로 가질 수 있고 -R', -X, -OR', -SR', -NR'2, -SiR'3, -COOR', -(C=O)R', -CN 및 -CONR'2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그룹에 의해 치환될 수 있는 5- 내지 6-원 환을 형성할 수 있고, 여기에서, R'는 수소 또는 C1-12-알킬 그룹이며;
    Y는 (C=O)OR3, CN 및 (C=O)NR4R5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에서 R3, R4 R5는 각각 독립적으로 C1-12-알킬, C3-8-사이클로알킬, C2-12-알케닐, C2-12-알키닐, C6-8-아릴, C7-19-아릴알킬- 및 C7-19-알킬아릴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며, 이들은 각각 -R', -X, -OR', -SR', -NR'2, -SiR'3, -COOR', -(C=O)R', -CN 및 -CONR'2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그룹에 의해 치환될 수 있고, 여기에서 R'는 수소 또는 C1-12-알킬 그룹이며;
    X1 X2는 각각 독립적으로 불소, 염소, 브롬, 수소, C1-12-알킬, C3-8-사이클로알킬, C2-12-알케닐, C2-12-알키닐, C6-8-아릴, C7-19-아릴알킬 또는 C7-19-알킬아릴 그룹이고, 상기 언급된 알킬, 사이클로알킬, 알케닐, 알키닐, 아릴, 아릴알킬 및 알킬아릴 그룹은 각각 -R', -X, -OR', -SR', -NR'2, -SiR'3, -COOR', -(C=O)R', -CN 및 -CONR'2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그룹에 의해 치환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R'는 수소 또는 C1-12-알킬 그룹이고;
    R9는 C1-12-알킬, C3-8-사이클로알킬, C2-12-알케닐, C2-12-알키닐, C6-8-아릴, C7-19-아릴알킬- 및 C7-19-알킬아릴 그룹로부터 선택되고, 이들은 각각 -R', -X, -OR', -SR', -NR'2, -SiR'3, -COOR', -(C=O)R', -CN 및 -CONR'2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그룹에 의해 치환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R'는 수소 또는 C1-12-알킬 그룹이고;
    Hal은 할로겐이다.
  2. 화학식 (II)의 불소화 카복실산을 화학식 (III)의 3-아미노아크릴산 유도체, 및 염기 존재하의 화학식 (IV)의 산 할라이드와 반응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화학식 (I)의 2-플루오로아실-3-아미노아크릴산 유도체의 제조 방법:
    Figure 112010042331806-pct00013

    Figure 112010042331806-pct00014

    Figure 112010042331806-pct00015

    Figure 112010042331806-pct00016

    상기 식에서,
    R1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C1-12-알킬 래디칼, C5-18-아릴, C7-19-알킬아릴 및 C7-19-아릴알킬 래디칼로부터 선택되거나,
    R1 R2는 이들이 결합된 질소 원자와 함께, O, S 및 SO2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1 또는 2개의 추가의 헤테로원자를 임의로 가질 수 있는 5- 내지 6-원 환을 형성할 수 있고,
    Y는 (C=O)OR3, CN 및 (C=O)NR4R5로부터 선택되며, 여기에서 R3, R4 R5는 각각 독립적으로 C1-12-알킬 래디칼, C5-18-아릴, C7-19-알킬아릴 및 C7-19-아릴알킬 래디칼로부터 선택되며,
    X1 X2는 각각 독립적으로 불소, 염소, 브롬, 수소, C1-12-알킬 래디칼, C1-12-할로알킬 래디칼, C5-18-아릴, C7-19-알킬아릴 또는 C7-19-아릴알킬 래디칼이고,
    R9는 C1-12-알킬 래디칼, C3-8-사이클로알킬 래디칼, C1-12-할로알킬 래디칼, C5-18-아릴 또는 C7-19-아릴알킬 래디칼이며,
    Hal은 할로겐이다.
  3. 제 1 항 또는 2 항에 있어서,
    R1 R2가 각각 독립적으로 메틸, 에틸, n-프로필 및 이소프로필로부터 선택되거나,
    R1 R2는 이들이 결합된 질소 원자와 함께, 피페리디닐 또는 피롤리디닐 환을 형성하고;
    Y는 (C=O)OR3으로부터 선택되며, 여기에서 R3은 메틸, 에틸, n-프로필 및 이소프로필로부터 선택되고;
    X1 X2는 각각 독립적으로 불소, 염소, 브롬 및 수소로부터 선택되며;
    Hal은 염소 또는 브롬이고;
    R9는 C1-12-알킬 래디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R1 R2가 각각 메틸이고;
    Y는 (C=O)OC2H5이며;
    X1은 불소이고;
    X2는 수소이며;
    Hal은 염소이고;
    R9는 메틸인 방법.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불소화 카복실산이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디플루오로아세트산, 디플루오로클로로아세트산, 클로로플루오로아세트산, 2,3,3,3-테트라플루오로프로피온산, 2,2,3,3-테트라플루오로프로피온산, 2,2-디플루오로프로피온산, 펜타플루오로프로피온산 및 2,3,3,4,4,4-헥사플루오로부탄카복실산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화학식 (III)의 3-아미노아크릴산 유도체가 메틸 3-(N,N-디메틸아미노)아크릴레이트, 에틸 3-(N,N-디메틸아미노)아크릴레이트, 에틸 3-(N,N-디에틸아미노)아크릴레이트, 3-(N,N-디메틸아미노)아크릴로니트릴, N,N-디메틸-3-(N,N-디메틸아미노)아크릴아미드 및 N,N-디에틸-3-(N,N-디메틸아미노)아크릴아미드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사용된 화학식 (III)의 3-아미노아크릴산 유도체 대 불소화 카복실산의 몰비가 0.5 내지 3인 방법.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산 할라이드가 아세틸 클로라이드, 피발로일 클로라이드, 이소발레로일 클로라이드 및 벤조일 클로라이드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사용된 산 할라이드 대 불소화 카복실산의 몰비가 0.5 내지 5인 방법.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염기가 트리에틸아민, 트리메틸아민,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트리-n-프로필아민, 트리-n-부틸아민, 트리-n-헥실아민, 트리사이클로헥실아민, N-메틸사이클로헥실아민, N-메틸피롤리딘, N-메틸피페리딘, N-에틸피페리딘, N,N-디메틸아닐린, N-메틸모르폴린, 피리딘, 2-, 3-, 4-피콜린, 2-메틸-5-에틸피리딘, 2,6-루티딘, 2,4,6-콜리딘, 4-디메틸아미노피리딘, 퀴놀린, 메틸이미다졸, 에틸이미다졸, 부틸이미다졸, 퀴날딘, N,N,N,N-테트라메틸에틸렌디아민, N,N-디메틸-1,4-디아자사이클로헥산, N,N-디에틸-1,4-디아자사이클로헥산, 1,8-비스(디메틸아미노)나프탈렌, 디아자비사이클로옥탄(DABCO), 디아자비사이클로노난(DBN) 및 디아자비사이클로운데칸(DBU),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수산화리튬, 수산화칼슘, 탄산나트륨, 탄산칼륨, 탄산수소나트륨 및 탄산수소칼륨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KR1020107014560A 2007-12-21 2008-12-16 2-플루오로아실-3-아미노아크릴산 유도체의 제조방법 KR1015741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7150357.7 2007-12-21
EP07150357A EP2072497A1 (de) 2007-12-21 2007-12-21 Verfahren zum Herstellen von 2-Fluoracyl-3-amino-acrylsäure-Derivat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9237A KR20100099237A (ko) 2010-09-10
KR101574143B1 true KR101574143B1 (ko) 2016-02-19

Family

ID=39164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4560A KR101574143B1 (ko) 2007-12-21 2008-12-16 2-플루오로아실-3-아미노아크릴산 유도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8288582B2 (ko)
EP (2) EP2072497A1 (ko)
KR (1) KR101574143B1 (ko)
CN (1) CN101903333B (ko)
BR (1) BRPI0821752B1 (ko)
DK (1) DK2245001T3 (ko)
ES (1) ES2405549T3 (ko)
IL (1) IL205745A (ko)
MX (1) MX2010005938A (ko)
TW (1) TWI441802B (ko)
WO (1) WO200908313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042482A1 (de) * 2007-09-26 2009-04-01 Bayer CropScience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2-Dihalogenacyl-3-amino-acrylsäure-Derivaten
EP2263999A4 (en) * 2008-03-18 2012-11-07 Mitsui Chemicals Agro Inc METHOD FOR PRODUCING A FLUOROUS ACYL ACIDIC ACID DERIVATIVE,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A FLUOROUS PYRAZOL CARBOXYLIC ACID DERIVATIVE AND METHOD FOR PRODUCING A FLUOROUS PYRAZOL CARBOXYLENE DERIVATIVE
KR20110004891A (ko) 2008-05-02 2011-01-14 바스프 에스이 2-(아미노메틸리덴)-4,4-디플루오로-3-옥소부티르산 에스테르의 제조 방법
CN102015653B (zh) 2008-05-02 2013-09-11 巴斯夫欧洲公司 制备卤素取代的2-(氨基亚甲基)-3-氧代丁酸酯的方法
CA2725446A1 (en) 2008-05-05 2009-11-12 Basf Se Method for preparing 1,3,4-substituted pyrazol compounds
US8344157B2 (en) 2008-07-21 2013-01-01 Basf Se Process for preparing 1,3-disubstituted pyrazolecarboxylic esters
KR20180021798A (ko) 2015-06-26 2018-03-05 바이엘 크롭사이언스 악티엔게젤샤프트 α,α-디할로알킬아민 및 케트이민으로부터 할로알콕시- 및 할로알킬티오 그룹을 가지는 치환된 피라졸의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10025109A1 (en) 1998-05-22 2001-09-27 Degussa-Huls Aktiengensellschaft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3-amino-2-oxo-pyrrolidines, novel intermediates and their use
US6706911B1 (en) 2001-12-17 2004-03-16 Bayer Aktiengesellschaft Preparation of 2-haloacyl-3-aminoacrylic acid derivatives
US20060252944A1 (en) 2003-10-23 2006-11-09 Reinhard Lantzsch Method for producing 2-dihaloacyl-3-amino-acrylic acid esters and 3-dihalomethyl pyrazole-4-carboxylic acid ester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415888B1 (de) * 1989-09-01 1994-06-01 Gretag Imaging Ag Photoelektrischer Abtaster
DE4302156A1 (de) 1993-01-27 1994-07-28 Bayer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Aminomethylenverbindungen
KR20000035081A (ko) 1998-11-10 2000-06-26 마크 에스. 아들러 2-(트리할로아세틸)-3-(치환된 아미노)-2-프로페노에이트 제조방법
HUE026011T2 (en) * 2006-03-22 2016-05-30 Hoffmann La Roche Pyrazoles as 11-beta-HSD-1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10025109A1 (en) 1998-05-22 2001-09-27 Degussa-Huls Aktiengensellschaft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3-amino-2-oxo-pyrrolidines, novel intermediates and their use
US6706911B1 (en) 2001-12-17 2004-03-16 Bayer Aktiengesellschaft Preparation of 2-haloacyl-3-aminoacrylic acid derivatives
US20060252944A1 (en) 2003-10-23 2006-11-09 Reinhard Lantzsch Method for producing 2-dihaloacyl-3-amino-acrylic acid esters and 3-dihalomethyl pyrazole-4-carboxylic acid esters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논문 Chemistry Letters, Vol. 1, pp. 499-502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072497A1 (de) 2009-06-24
BRPI0821752B1 (pt) 2017-10-24
WO2009083134A1 (de) 2009-07-09
ES2405549T3 (es) 2013-05-31
BRPI0821752A8 (pt) 2015-12-22
CN101903333A (zh) 2010-12-01
US8288582B2 (en) 2012-10-16
MX2010005938A (es) 2010-07-19
DK2245001T3 (da) 2013-06-17
CN101903333B (zh) 2013-11-06
EP2245001A1 (de) 2010-11-03
IL205745A0 (en) 2010-11-30
BRPI0821752A2 (pt) 2015-06-16
US20100274049A1 (en) 2010-10-28
EP2245001B1 (de) 2013-03-20
IL205745A (en) 2014-01-30
TW200940483A (en) 2009-10-01
TWI441802B (zh) 2014-06-21
KR20100099237A (ko) 2010-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4143B1 (ko) 2-플루오로아실-3-아미노아크릴산 유도체의 제조방법
JP5292405B2 (ja) 2−ジハロアシル−3−アミノアクリル酸誘導体の調製方法
KR101652916B1 (ko) 1-알킬-3-할로알킬피라졸-4-카복실산 유도체의 위치선택적인 합성 방법
US8350046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ryl carboxamides
KR101861116B1 (ko) 3,5-비스(플루오로알킬)피라졸-4-카복실산 유도체 및 3,5-비스(플루오로알킬)피라졸의 제조방법
US8609854B2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sorafenib tosylate
US20090312426A1 (en) Process of preparing derivatives of 1-(2-halobiphenyl-4-yl)-cyclopropanecarboxylic acid
JP5403205B2 (ja) 2−アミノ−n−(2,2,2−トリフルオロエチル)アセトアミド化合物又はその塩の製造方法
JP2004524358A (ja) フェニル酢酸誘導体の製造方法
KR101705287B1 (ko) 플루오로알킬 니트릴의 제조방법
JP5952305B2 (ja) 2,2−ジフルオロ−1−クロロエタンから出発して2,2−ジフルオロエチルアミンを製造する方法
WO2018184196A1 (zh) 一种制备2-芳基丙二酰胺的方法及其应用
US8093421B2 (en) Stereoselective one step fluorinatio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2-flouropropionate
EP2669268B1 (en) Process for production of aromatic amide carboxylic acid derivative
AU721099B2 (en) Preparation of acylated alpha-amino carboxylic acid amides
JP6843765B2 (ja) 両親媒性イミダゾリニウム化合物の製造方法
JP3013022B2 (ja) 3−フタリジリデン酢酸アルキルエステルの製造方法
JP5499572B2 (ja) 4−シアノテトラヒドロピランの製造方法
EP1967511A1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a benzophenone glycine imine alkyl ester derivative
JPH11140062A (ja) 2−置換5−ホルミルチアゾール類の製造方法
FR2508037A1 (ko)
KR20180101396A (ko) 산 할라이드 용액의 제조 방법, 및 모노에스테르 화합물의 제조 방법
BRPI0817747B1 (pt)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2-dihalogenoacyl-3-amino acrylic acid derivativ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