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2463B1 -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2463B1
KR101442463B1 KR1020147013128A KR20147013128A KR101442463B1 KR 101442463 B1 KR101442463 B1 KR 101442463B1 KR 1020147013128 A KR1020147013128 A KR 1020147013128A KR 20147013128 A KR20147013128 A KR 20147013128A KR 101442463 B1 KR101442463 B1 KR 1014424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elevator car
call
stopping
fl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31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82814A (ko
Inventor
마사시 고마츠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828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28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24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24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2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6B1/2408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where the allocation of a call to an elevator car is of importance, i.e. by means of a supervisory or group controller
    • B66B1/2458For elevator systems with multiple shafts and a single car per sh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02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 B66B1/06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 B66B1/14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with devices, e.g. push-buttons, for indirect control of mov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10Details with respect to the type of call input
    • B66B2201/102Up or down call inp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20Details of the evaluation method for the allocation of a call to an elevator car
    • B66B2201/241Standby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20Details of the evaluation method for the allocation of a call to an elevator car
    • B66B2201/243Distribution of elevator cars, e.g. based on expected future ne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vator Control (AREA)

Abstract

소정의 휴지 조건이 성립하면 엘리베이터를 휴지 운전으로 이행시키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에 있어서, 빌딩의 시큐리티성을 저하시키는 일 없이, 또한 엘리베이터의 운전의 전환을 호출 차단 상황에 따라 적절히 행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제어 장치는 휴지 운전 선택 수단과 엘리베이터 칸 호출 차단 수단을 구비한다. 휴지 운전 선택 수단은 휴지 조건이 성립하면 휴지 운전을 선택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칸을 소정의 휴지층에 정지시켜서 도어 열림한 후에 도어 닫힘하고, 엘리베이터를 휴지시킨다. 또, 엘리베이터 칸 호출 차단 수단은 엘리베이터 칸 호출의 차단을 행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칸 내의 행선 버튼으로부터 엘리베이터 칸 호출의 등록을 행해지지 않게 한다. 그리고 엘리베이터 칸 호출 차단 수단에 의해서 휴지층의 엘리베이터 칸 호출이 차단되어 있는 경우는, 휴지 조건이 성립해도 엘리베이터를 휴지 운전으로 이행시키지 않도록 구성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ELEVATOR CONTROLLER}
본 발명은 휴지(休止) 운전의 기능과 호출 차단(cutoff) 기능 양쪽 모두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하기 특허 문헌 1에는 특정 층의 행선 호출의 차단이 행해진 경우에, 자동적으로 소정의 파킹 운전을 행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것으로는, 5층 빌딩에 있어서 4층 및 5층을 상기 특정 층으로 설정해 두고, 4층 및 5층 양쪽의 행선 호출이 차단되면, 엘리베이터 칸을 5층(소정의 파킹층)까지 주행시키는 파킹 운전을 행하고 있다.
또, 이하 특허 문헌 2에는, 엘리베이터를 파킹 운전으로 전환하기 위한 스위치를, 제어반 등 엘리베이터로부터 떨어진 장소에 설치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개 2000-7235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실개소 60-78366호 공보
엘리베이터에는 소정의 휴지 조건이 성립하면, 휴지 운전으로의 전환을 행하는 것이 있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휴지 운전은, 특허 문헌 1 및 2에 기재된 상기 파킹 운전과는 그 제어 내용이 다소 다르다. 즉, 휴지 운전에서는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을 소정의 휴지층까지 주행시킨 후, 엘리베이터 칸 내의 승객을 하차시키기 위해서, 엘리베이터의 도어를 일단 개방한다. 그리고 휴지층에 있어서 도어 열림 동작 후에 도어 닫힘이 완료되면, 엘리베이터를 소정의 휴지 상태로 이행시키고, 운전을 휴지시킨다.
또, 엘리베이터에는 빌딩의 시큐리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것과 같이, 호출(서비스) 차단을 행하는 것이 있다.
엘리베이터에 상기 휴지 운전의 기능과 호출 차단 기능 양쪽 모두가 구비되어 있는 경우, 예를 들면, 빌딩의 관리인이 휴지층에서의 엘리베이터 칸 호출 차단 상황을 확인하지 않고, 엘리베이터를 휴지 운전으로 전환해 버리면, 엘리베이터 칸 호출이 차단되어 있는 휴지층에서 도어 열림 동작이 행해져 버릴 우려가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는, 휴지 운전으로의 전환을 행하기 위한 스위치 등이 빌딩의 관리인실 등 엘리베이터로부터 떨어진 장소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특히 발생하기 쉽다.
또한, 휴지층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칸 호출 차단 기능을 휴지 운전의 기능보다도 우선시킴으로써, 예를 들면, 휴지층의 엘리베이터 칸 호출 차단이 행해졌을 때에 휴지 운전을 해제해 버리면, 상기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가능하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경우는, 엘리베이터가 휴지층에서 정상적으로(엘리베이터 칸 내에 승객이 없는 상태로) 휴지하고 있을 때에도, 휴지층의 엘리베이터 칸 호출 차단에 의해서 휴지 운전이 해제되게 되어, 휴지 운전의 정상적인 기능까지도 손상되어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과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소정의 휴지 조건이 성립하면 엘리베이터를 휴지 운전으로 이행시키는 제어 장치에 있어서, 빌딩의 시큐리티성을 저하시키는 일 없이, 또한 엘리베이터의 운전의 전환을 호출 차단 상황에 따라 적절히 행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는 소정의 휴지 조건이 성립하면, 엘리베이터를 휴지 운전으로 이행시킴으로써, 엘리베이터 칸을 소정의 휴지층에 정지시켜 도어 열림한 후에 도어 닫힘하고, 엘리베이터를 휴지시키는 휴지 운전 선택 수단과, 엘리베이터 칸 호출의 차단을 행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칸 내의 행선 버튼으로부터 엘리베이터 칸 호출의 등록을 행해지지 않게 하는 엘리베이터 칸 호출 차단 수단을 구비하고, 휴지 운전 선택 수단은 엘리베이터 칸 호출 차단 수단에 의해서 휴지층의 엘리베이터 칸 호출이 차단되어 있는 경우는, 휴지 조건이 성립해도 엘리베이터를 휴지 운전으로 이행시키지 않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소정의 휴지 조건이 성립하면 엘리베이터를 휴지 운전으로 이행시키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에 있어서, 빌딩의 시큐리티성을 저하시키는 일 없이, 또한 엘리베이터의 운전의 전환을 호출 차단 상황에 따라 적절히 행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첨부 도면에 따라서 이것을 설명한다. 또한, 각 도면 중, 동일 또는 상당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있고, 그 중복 설명은 적당하게 간략화 내지 생략한다.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에 있어서, 1은 엘리베이터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엘리베이터 칸, 2는 엘리베이터 칸(1)이 정지하는 승강장, 3은 기계실이나 승강로 내 등에 설치된 엘리베이터의 제어반이다.
제어반(3)은 엘리베이터 칸(1)의 주행 제어나 도어 개폐 제어 등, 엘리베이터 전체(全體)의 운행을 제어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엘리베이터의 평상 운전시, 제어반(3)은 등록된 승강장 호출이나 엘리베이터 칸 호출에 엘리베이터 칸(1)을 순차 응답시키는 서비스를 행한다. 또, 제어반(3)에는 상기 평상 운전을 제어하는 기능 외, 소정의 휴지 운전이나 호출 차단을 행하는 기능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휴지 운전은 엘리베이터 칸(1)을 소정의 휴지층에 정지시켜서, 엘리베이터를 그 휴지층에서 휴지시키는 운전이다. 구체적으로, 휴지 운전에서는 엘리베이터 칸(1)을 소정의 휴지층까지 주행시킨 후, 엘리베이터 칸(1) 내의 승객을 하차시키기 위해, 엘리베이터의 도어를 일단 개방한다. 그리고 엘리베이터 칸(1)을 휴지층에 정지시켜서 도어 열림한 후에 도어 닫힘을 완료하면, 엘리베이터를 소정의 휴지 상태로 이행시킨다.
또, 상기 호출 차단은 빌딩의 시큐리티성 향상을 위해서 행해지는 것이다. 호출 차단이 행해지면, 그 호출을 등록하기 위한 버튼이 조작되었을 경우에도, 그 승객에 대한 엘리베이터 칸(1)의 응답은 행해지지 않는다.
이와 같은 기능을 실현하기 위해, 제어반(3)에는 휴지 운전 선택 수단(4), 휴지층 결정 수단(5),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수단(6), 엘리베이터 칸 호출 차단층 검출 수단(7), 승강장 호출 차단층 검출 수단(8)이 구비되어 있다.
휴지 운전 선택 수단(4)은 각종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의 운전으로서 휴지 운전을 선택하는, 즉, 엘리베이터의 운전을 휴지 운전으로 전환하기 위한 것이다. 이 휴지 운전 선택 수단(4)은 소정의 휴지 조건이 성립하는 것에 의해, 엘리베이터를 휴지 운전으로 이행시키는 기본적인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운전 휴지 스위치(9)는 엘리베이터를 휴지 운전으로 전환하기 위한 스위치이다. 이 운전 휴지 스위치(9)는 엘리베이터가 구비되어 있는 빌딩의 관리인실이나 상기 휴지층의 승강장(2) 등에 설치된다. 휴지 운전 선택 수단(4)은 예를 들면, 운전 휴지 스위치(9)가 OFF인 상태로부터 ON으로 전환되는 것에 의해, 상기 휴지 조건이 성립한 것으로 하여, 엘리베이터의 운전을 평상 운전으로부터 휴지 운전으로 전환한다.
또한, 휴지 운전 선택 수단(4)에 구비된 귀착(歸着) 완료 검출 수단(10)은 휴지 운전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1)이 휴지층에 귀착한 것을 검출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면, 귀착 완료 검출 수단(10)은 휴지 운전이 개시되어 엘리베이터 칸(1)이 휴지층에 정지하여, 휴지층에서 도어 열림 후에 도어 닫힘이 완료되는 것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1)의 귀착 완료를 검출한다.
또, 휴지 운전 선택 수단(4)은 호출 차단 상황에 따라서, 휴지 운전의 선택의 요부(要否)나 휴지 운전 해제의 요부를 적절히 판단하는 기능도 구비하고 있다. 휴지 운전 선택 수단(4)의 이 기능의 구체적인 설명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휴지층 결정 수단(5)은 상기 휴지층을 기억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수단(6)은 승강로 내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칸(1)의 현재 위치를 검출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수단(6)은, 예를 들면 모터 인코더(도시하지 않음) 등으로부터의 펄스 신호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칸(1)의 이동거리를 산출하고, 엘리베이터 칸(1)의 현재 위치를 특정한다.
엘리베이터 칸 호출 차단층 검출 수단(7)은 엘리베이터 칸 호출의 차단이 행해지고 있는 층(floor)을 검출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 칸 호출 차단층 검출 수단(7)이 접속된 엘리베이터 칸 호출 차단 스위치(11)(엘리베이터 칸 호출 차단 수단)는 엘리베이터 칸 호출 서비스의 차단을 행하여, 엘리베이터 칸(1) 내의 행선 버튼으로부터 엘리베이터 칸 호출의 등록을 행해지지 않게 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 엘리베이터 칸 호출 차단 스위치(11)는 엘리베이터 칸(1)이 정지하는 각 층(각 행선 버튼)에 대응해서 마련되어 있다(도 1에 도시된 N은 층을 나타냄).
엘리베이터 칸(1)에는 승객이 행선층(엘리베이터 칸 호출)을 등록하기 위한 행선 버튼이 마련되어 있고, 엘리베이터의 평상 운전시, 승객은 이 행선 버튼을 조작(누름)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칸 호출의 등록을 행한다. 이때, 엘리베이터 칸 호출 차단 스위치(11)는 OFF로 설정되어 있다.
한편, 엘리베이터 칸 호출 차단 스위치(11)가 ON으로 전환되면, 제어반(3)은 ON으로 전환된 엘리베이터 칸 호출 차단 스위치(11)에 대응하는 엘리베이터 칸 호출에 대해서, 호출 등록을 금지한다.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칸 호출 차단 스위치(11-3)가 ON으로 전환되면, 승객이 엘리베이터 칸(1) 내에서 3층의 행선 버튼을 눌러도, 그 엘리베이터 칸 호출은 등록되지 않는다. 상기 엘리베이터 칸 호출 차단층 검출 수단(7)은 엘리베이터 칸 호출 차단 스위치(11)로부터 입력되는 각 접점 정보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칸 호출 차단이 행해지고 있는 층을 특정한다.
승강장 호출 차단층 검출 수단(8)은 승강장 호출의 차단이 행해지고 있는 층을 검출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또한, 승강장 호출 차단층 검출 수단(8)이 접속된 승강장 호출 차단 스위치(12)(승강장 호출 차단 수단)는 승강장 호출 서비스의 차단을 행하여, 승강장(2)에 설치된 승강장 버튼으로부터 승강장 호출의 등록을 행해지지 않게 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 승강장 호출 차단 스위치(12)는 엘리베이터 칸(1)이 정지하는 각 층(각 승강장(2))에 대응해서 마련되어 있다(도 1에 도시된 N은 층을 나타냄).
엘리베이터의 각 승강장(2)에는 상방향 버튼이나 하방향 버튼이라고 하는 승강장 버튼이 마련되어 있고, 엘리베이터의 평상 운전시, 승객은 이 승강장 버튼을 조작(누름)으로써, 상방향 혹은 하방향의 승강장 호출의 등록을 행한다. 이때, 승강장 호출 차단 스위치(12)는 OFF로 설정되어 있다.
한편, 승강장 호출 차단 스위치(12)가 ON으로 전환되면, 제어반(3)은 ON으로 전환된 승강장 호출 차단 스위치(12)에 대응하는 승강장 호출에 대해서, 호출 등록을 금지한다. 예를 들면, 승강장 호출 차단 스위치(12-3)가 ON으로 전환되면, 승객이 3층 승강장(2)에서 승강장 버튼을 눌러도, 그 승강장 호출은 등록되지 않는다. 상기 승강장 호출 차단층 검출 수단(8)은 승강장 호출 차단 스위치(12)로부터 입력되는 각 접점 정보에 기초하여, 승강장 호출의 차단이 행해지고 있는 층을 특정한다.
다음으로, 도 2 및 도 3도 참조하여, 상기 구성을 가지는 제어 장치의 동작 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로서, 운전 휴지 스위치(9)가 OFF로부터 ON으로 전환되었을 때의 휴지 운전 선택 수단(4)의 구체적인 처리 플로우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이하에 있어서는, 휴지층 결정 수단(5)의 기능에 의해 휴지층이 미리 1층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엘리베이터의 평상 운전시, 휴지 운전 선택 수단(4)은 운전 휴지 스위치(9)가 ON으로 전환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S101). 운전 휴지 스위치(9)가 OFF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휴지 운전 선택 수단(4)은 휴지 운전의 선택을 행하지 않는다. 즉, 제어반(3)은 엘리베이터의 평상 운전을 제어한다.
운전 휴지 스위치(9)가 ON으로 전환되면(S101의 예), 휴지 운전 선택 수단(4)은 다음으로 1층(휴지층)에 대한 엘리베이터 칸 호출이 차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여기서, 엘리베이터 칸 호출 차단 스위치(11-1)가 OFF로 설정되어, 1층에 대한 엘리베이터 칸 호출이 차단되어 있지 않으면(S102의 아니오), 휴지 운전 선택 수단(4)은 엘리베이터의 운전으로서 휴지 운전을 선택한다(S103).
또한, S102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 호출 차단 스위치(11-1)가 OFF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휴지 운전 선택 수단(4)은 승강장 호출 차단 스위치(12-1)가 ON으로 설정되어 있어도(즉, 휴지층의 승강장 호출이 차단되어 있어도), 엘리베이터의 운전으로서 휴지 운전을 선택한다(S103).
한편, S102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 호출 차단 스위치(11-1)가 ON으로 설정되어 있고, 엘리베이터 칸 호출 차단층 검출 수단(7)에 의해서 1층에 대한 엘리베이터 칸 호출 차단이 검출되면(S102의 예), 휴지 운전 선택 수단(4)은 다음으로 엘리베이터 칸(1)이 휴지층에서 귀착 완료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S104).
여기서,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수단(6)에 의해서 엘리베이터 칸 위치로서 1층이 검출되고, 또한 1층에서의 도어 개폐 동작이 완료되어 있으면, 귀착 완료 검출 수단(10)에 의해서 엘리베이터 칸(1)의 귀착 완료가 검출된다(S104의 예). 이러한 경우, 휴지 운전 선택 수단(4)은 승객의 하차가 완료되어 있어, 엘리베이터 칸(1) 내에 승객이 없다고 판단하여, 엘리베이터의 운전으로서 휴지 운전을 선택한다(S103).
한편, S104에 있어서 귀착 완료 검출 수단(10)이 엘리베이터 칸(1)의 귀착 완료를 검출하고 있지 않은 경우(S104의 아니오), 휴지 운전 선택 수단(4)은 휴지 운전을 해제한다(S105). 즉, 휴지 운전 선택 수단(4)은 엘리베이터의 평상 운전시에 1층에 대한 엘리베이터 칸 호출이 차단된 경우는, 그 후에 운전 휴지 스위치(9)가 ON으로 전환되어서 휴지 조건이 성립해도, 엘리베이터를 휴지 운전으로는 이행시키지 않는다. 이것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 호출이 차단되어 있는 휴지층에서 도어 열림 동작이 행해지는 것을 방지한다.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여 휴지 운전이 개시된 후의 구체적인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휴지 운전이 개시되면(S201), 휴지 운전 선택 수단(4)은 1층(휴지층)에 대한 엘리베이터 칸 호출이 차단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S202). 여기서, 엘리베이터 칸 호출 차단 스위치(11-1)가 OFF로 설정되어 1층에 대한 엘리베이터 칸 호출이 차단되어 있지 않으면(S202의 아니오), 휴지 운전 선택 수단(4)은 휴지 운전을 계속시킨다.
또한, S202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 호출 차단 스위치(11-1)가 OFF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휴지 운전 선택 수단(4)은 승강장 호출 차단 스위치(12-1)가 ON으로 설정되어 있어도(즉, 휴지층의 승강장 호출이 차단되어 있어도), 엘리베이터의 운전으로서 휴지 운전을 선택하여, 휴지 운전을 계속시킨다.
한편, 휴지 운전 개시 후에 엘리베이터 칸 호출 차단 스위치(11-1)가 ON으로 설정되고, 엘리베이터 칸 호출 차단층 검출 수단(7)에 의해서 1층에 대한 엘리베이터 칸 호출의 차단이 검출되면(S202의 예), 휴지 운전 선택 수단(4)은 다음으로 엘리베이터 칸(1)이 휴지층에서 귀착 완료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S203).
여기서,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수단(6)에 의해서 엘리베이터 칸 위치로서 1층이 검출되고, 또한 1층에서의 도어 개폐 동작이 완료되어 있으면, 귀착 완료 검출 수단(10)에 의해서 엘리베이터 칸(1)의 귀착 완료가 검출된다(S203의 예). 이러한 경우, 휴지 운전 선택 수단(4)은 승객의 하차가 완료되어 있어 엘리베이터 칸(1) 내에 승객이 없다고 판단하고, 휴지 운전을 계속시킨다. 즉, 휴지 운전 선택 수단(4)은 귀착 완료 검출 수단(10)에 의해서 엘리베이터 칸(1)의 귀착 완료가 검출된 후는, 휴지 운전 중에 휴지층의 엘리베이터 칸 호출이 차단되어도, 휴지 운전을 그대로 계속시킨다.
한편, S203에 있어서 귀착 완료 검출 수단(10)이 엘리베이터 칸(1)의 귀착 완료를 검출하고 있지 않은 경우(S203의 아니오), 휴지 운전 선택 수단(4)은 휴지 운전을 해제한다(S204). 즉, 휴지 운전 선택 수단(4)은 상기 휴지 조건이 성립하고 나서 귀착 완료 검출 수단(10)에 의해서 엘리베이터 칸(1)의 귀착 완료가 검출될 때까지의 동안에, 휴지층의 엘리베이터 칸 호출 차단이 행해진 경우는 휴지 운전을 해제하여, 휴지층에서 도어 열림 동작이 행해지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하면, 휴지 운전의 기능과 호출의 차단 기능 양쪽 모두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에 있어서, 휴지 운전의 선택과 해제를 호출 차단 상황에 따라서 적절히 행할 수 있다. 즉, 휴지 운전과 휴지층의 호출 차단이 중복된 경우더라도, 빌딩의 시큐리티성을 저하시키는 일 없이, 또, 휴지 운전의 정상적인 기능을 해치는 일 없이, 상황에 따라서 최적인 운전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는 휴지 운전의 기능과 호출 차단 기능 양쪽 모두를 구비한 것에 대해서 적용할 수 있다.
1: 엘리베이터 칸
2: 승강장
3: 제어반
4: 휴지 운전 선택 수단
5: 휴지층 결정 수단
6: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수단
7: 엘리베이터 칸 호출 차단층 검출 수단
8: 승강장 호출 차단층 검출 수단
9: 운전 휴지 스위치
10: 귀착 완료 검출 수단
11: 엘리베이터 칸 호출 차단 스위치
12: 승강장 호출 차단 스위치

Claims (4)

  1. 소정의 휴지 조건이 성립하면, 엘리베이터를 휴지 운전으로 이행시킴으로써, 엘리베이터 칸을 소정의 휴지층에 정지시켜서 도어 열림한 후에 도어 닫힘하고, 엘리베이터를 휴지시키는 휴지 운전 선택 수단과,
    엘리베이터 칸 호출의 차단을 행하는 것에 의해, 상기 엘리베이터 칸 내의 행선 버튼으로부터 엘리베이터 칸 호출의 등록이 행해지지 않게 하는 엘리베이터 칸 호출 차단 수단과,
    휴지 운전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칸이 상기 휴지층에서 도어 열림 후에 도어 닫힘되는 것에 의해,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귀착(歸着) 완료를 검출하는 귀착 완료 검출 수단
    을 구비하고,
    상기 휴지 운전 선택 수단은,
    상기 엘리베이터 칸 호출 차단 수단에 의하여 상기 휴지층의 엘리베이터 칸 호출이 차단되어 있는 경우는 상기 휴지 조건이 성립해도 엘리베이터를 휴지 운전으로 이행시키지 않고,
    상기 휴지 조건이 성립하고 나서 상기 귀착 완료 검출 수단에 의하여 귀착 완료가 검출될 때까지, 상기 엘리베이터 칸 호출 차단 수단에 의해 상기 휴지층의 엘리베이터 칸 호출이 차단된 경우는 휴지 운전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휴지 운전 선택 수단은, 상기 귀착 완료 검출 수단에 의하여 귀착 완료가 검출된 후는, 휴지 운전 중에 상기 엘리베이터 칸 호출 차단 수단에 의해 상기 휴지층의 엘리베이터 칸 호출이 차단되어도, 휴지 운전을 계속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승강장 호출의 차단을 행하는 것에 의해, 승강장의 승강장 버튼으로부터 승강장 호출의 등록이 행해지지 않도록 하는 승강장 호출 차단 수단
    을 더 구비하고,
    상기 휴지 운전 선택 수단은, 상기 엘리베이터 칸 호출 차단 수단에 의해 상기 휴지층의 엘리베이터 칸 호출이 차단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 휴지 운전 중에 상기 승강장 호출 차단 수단에 의하여 상기 휴지층의 승강장 호출이 차단되어도, 휴지 운전을 계속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
  4. 소정의 휴지 조건이 성립하면, 엘리베이터를 휴지 운전으로 이행시킴으로써, 엘리베이터 칸을 소정의 휴지층에 정지시켜서 도어 열림한 후에 도어 닫힘하고, 엘리베이터를 휴지시키는 휴지 운전 선택 수단과,
    엘리베이터 칸 호출의 차단을 행하는 것에 의해, 상기 엘리베이터 칸 내의 행선 버튼으로부터 엘리베이터 칸 호출의 등록이 행해지지 않게 하는 엘리베이터 칸 호출 차단 수단과,
    승강장 호출의 차단을 행하는 것에 의해, 승강장의 승강장 버튼으로부터 승강장 호출의 등록이 행해지지 않도록 하는 승강장 호출 차단 수단
    을 구비하고,
    상기 휴지 운전 선택 수단은,
    상기 엘리베이터 칸 호출 차단 수단에 의하여 상기 휴지층의 엘리베이터 칸 호출이 차단되어 있는 경우는 상기 휴지 조건이 성립해도 엘리베이터를 휴지 운전으로 이행시키지 않고,
    상기 엘리베이터 칸 호출 차단 수단에 의하여 상기 휴지층의 엘리베이터 칸 호출이 차단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 휴지 운전 중에 상기 승강장 호출 차단 수단에 의해 상기 휴지층의 승강장 호출이 차단되어도, 휴지 운전을 계속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
KR1020147013128A 2010-05-18 2010-05-18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 KR1014424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0/058349 WO2011145170A1 (ja) 2010-05-18 2010-05-18 エレベーターの制御装置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7108A Division KR101422983B1 (ko) 2010-05-18 2010-05-18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2814A KR20140082814A (ko) 2014-07-02
KR101442463B1 true KR101442463B1 (ko) 2014-09-22

Family

ID=4499129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3128A KR101442463B1 (ko) 2010-05-18 2010-05-18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
KR1020127027108A KR101422983B1 (ko) 2010-05-18 2010-05-18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7108A KR101422983B1 (ko) 2010-05-18 2010-05-18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126808B2 (ko)
EP (1) EP2573032B1 (ko)
JP (1) JP5447660B2 (ko)
KR (2) KR101442463B1 (ko)
CN (1) CN102883982B (ko)
WO (1) WO201114517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98120A (zh) * 2015-11-15 2017-05-24 华东交通大学 一种智能电梯停靠系统
CN115427340A (zh) * 2020-04-17 2022-12-02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30001803A (ko) * 1980-02-19 1983-05-19 요시야마 히로기찌 엘리베이터의 운전 제어장치
JPS6139737A (ja) * 1984-07-31 1986-02-25 Nec Corp 送信受信監視回路
JP2003118944A (ja) * 2001-10-18 2003-04-23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エレベーターの運転制御装置
KR20070088521A (ko) * 2005-04-08 2007-08-29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28148A (en) * 1965-02-04 1969-02-18 Reliance Electric & Eng Co Conventional elevator control with additional means to selectively lock out floors
US3851733A (en) * 1973-03-12 1974-12-03 Westinghouse Electric Corp Elevator system
JPS6139737Y2 (ko) * 1979-10-24 1986-11-13
JPS56173575U (ko) * 1980-05-22 1981-12-22
US4365694A (en) * 1981-02-13 1982-12-28 Otis Elevator Company Preventing elevator car calls behind car
JPS6078366A (ja) 1983-10-06 1985-05-04 Oki Electric Ind Co Ltd 駆動素子テスト方法
JPS6078366U (ja) 1983-11-02 1985-05-3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タ−管制運転装置
JPH02132081A (ja) 1988-11-11 1990-05-21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運転管理装置
JPH0725491B2 (ja) * 1989-04-06 1995-03-22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群管理装置
US5159163A (en) * 1991-11-27 1992-10-27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management system time based security
KR19980075905A (ko) * 1997-04-03 1998-11-16 이종수 엘리베이터 분산제어기의 고장 점검방법
JP2000007235A (ja) 1998-06-17 2000-01-11 Hitachi Ltd エレベーターのパーキング運転制御方式
JP3435348B2 (ja) * 1998-06-17 2003-08-1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ー装置
US6808049B2 (en) * 2002-11-13 2004-10-26 Mitsubishi Electric Research Laboratories, Inc. Optimal parking of free cars in elevator group control
JP4375138B2 (ja) * 2004-06-22 2009-12-0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US7650967B2 (en) * 2005-02-17 2010-01-26 Otis Elevator Company Communicating to elevator passengers re car movement to pit or overhead
TWI376348B (en) * 2006-06-12 2012-11-11 Inventio Ag Method and device for reducing the energy consumption of a lift installation
FI119807B (fi) * 2007-11-30 2009-03-31 Kone Corp Hissin valmiustila
US8905196B2 (en) * 2009-05-26 2014-12-09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Elevator group control apparatus having standby operation
US9079752B2 (en) * 2009-11-19 2015-07-14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Elevator group supervisory control system and method with park floor cancellat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30001803A (ko) * 1980-02-19 1983-05-19 요시야마 히로기찌 엘리베이터의 운전 제어장치
JPS6139737A (ja) * 1984-07-31 1986-02-25 Nec Corp 送信受信監視回路
JP2003118944A (ja) * 2001-10-18 2003-04-23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エレベーターの運転制御装置
KR20070088521A (ko) * 2005-04-08 2007-08-29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001019A1 (en) 2013-01-03
KR101422983B1 (ko) 2014-07-23
EP2573032A4 (en) 2017-12-20
JP5447660B2 (ja) 2014-03-19
CN102883982B (zh) 2014-09-10
KR20120139814A (ko) 2012-12-27
EP2573032A1 (en) 2013-03-27
EP2573032B1 (en) 2020-03-25
KR20140082814A (ko) 2014-07-02
JPWO2011145170A1 (ja) 2013-07-22
US9126808B2 (en) 2015-09-08
WO2011145170A1 (ja) 2011-11-24
CN102883982A (zh) 2013-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1042444A (ja) 無人搬送車対応エレベータ装置及び該エレベータ装置の異常検出方法
KR20130137670A (ko) 승강장 구역에서의 엘리베이터 차체 이동 제어
KR101442463B1 (ko)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
JP2014172695A (ja) エレベータ群管理制御装置
JP2013049561A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6259369B2 (ja) エレベータ用呼び登録装置
JP2004231336A (ja) エレベータ制御システム
JP4737941B2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
JP2016016988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6351847B2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および災害発生時のエレベータ避難運転方法
KR100197056B1 (ko) 엘리베이터의 정전시 운전방법
JP2014231423A (ja) エレベータ装置
JP5463753B2 (ja) 荷物用エレベーターの制御装置
CN110723610A (zh) 汽车电梯的控制方法、装置、汽车电梯控制器和存储介质
JPH04125276A (ja) エレベーターの制御装置
JP7024048B1 (ja) エレベータの群管理制御装置および群管理制御方法
JP2016016911A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
JP6243820B2 (ja) 自動保守運転装置及び自動保守運転方法
JP5022936B2 (ja) エレベータの保守運転装置
JP2002362839A (ja) エレベータの運転装置
JP2006052057A (ja) エレベータの特定階回避運転装置
WO2012104986A1 (ja) エレベーターの群管理システム
JP2007186279A (ja) エレベータ運転操作装置
JP2004035221A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
JPH0781853A (ja) エレベータ群管理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