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7056B1 - 엘리베이터의 정전시 운전방법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정전시 운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7056B1
KR100197056B1 KR1019970007101A KR19970007101A KR100197056B1 KR 100197056 B1 KR100197056 B1 KR 100197056B1 KR 1019970007101 A KR1019970007101 A KR 1019970007101A KR 19970007101 A KR19970007101 A KR 19970007101A KR 100197056 B1 KR100197056 B1 KR 1001970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
call
emergency
power failure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71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5381A (ko
Inventor
기요지 가와이
Original Assignee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Publication of KR9700653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53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70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70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2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6B1/28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lectr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21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being independent of the system
    • B66B5/024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being independent of the system where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 is caused by an accident, e.g. fi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Elevator Control (AREA)

Abstract

비상운전이 종료되었다고 해도, 확실하게 다른 카에 대해 귀착지령을 출력할 수가 없어 효율이 좋은 카의 운전을 할 수가 없었다.
통상 전원의 공급 정지시, 비상용 전원의 공급으로 전환하는 제1의 공정과, 화재시의 비상 호출 운전을 검출하는 제2의 공정과, 제1및 제2의 공정에 의해 비상용 전원에 따른 호출운전을 검출했을 때에, 상기 비상 호출 운전으로서 정해진 호출 층에의 카의 도착을 검출하는 제3의 공정과, 이 제3의 공정에 의해, 상기 카의 상기 호출 층에의 도착이 검출되었을 때, 이를 귀착 층에의 도착으로서 다른 카에 대해 정전 시에 귀착 층으로 귀착지령을 하는 제4의 공정을 구비하였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정전시 운전방법
제1도는 본 실시형태에서의 정전시 운전을 하는 군관리반과 제어반의 전체 구성을 표시한 구성도,
제2도는 군관리반 내의 정전시 운전의 호출 운전 프로그램을 표시한 플로 차트,
제3도는 제어반 내의 정전시 운전 프로그램을 표시한 플로차트,
제4도는 군관리반 내의 정전시 운전의 소방원 운전 프로그램을 표시한 플로차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군관리반 2 : 각대 제어반
3 : 전송선
[발명의 목적]
엘리베이터의 정전시 운전방법에서 정전과 동시에 비상운전이 종료되었다 하드래도, 확실하게 다른 카에 대해서 귀착지령을 출력할 수가 없어 효율 좋은 카의 운전을 할 수 없었던 것을 해결하는데 발명의 목적이 있다.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및 그 분야의 종래기술]
본 발명은 자가 발전원에 의해 정전시 운전과 화재시의 비상 호출 운전, 소방원 운전이 중복했을 때 안전하고, 최적한 정전시 운전을 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정전시 운전방법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일본국 실공소 61-26303호 공보 또는, 일본국 특공소 63-342호 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정전 시에는 자가 발전 설비등의 비상용 전원으로 전환해서, 그 전원에 의해 미리 정해진 구출 층에 귀착시키는 귀착운전을 한다. 이 정전시의 귀착운전은 비상용 전원의 용량 관계로 부터, 정전에의해 비상정지한 카에 대해 제어장치가 한대씩 귀착지령을 부여해서 운전시키는 경우가 많다. 귀착 운전 종료 후에는 미리 정한 임의의 몇 호기의 카를 계속운전호기로 선택하고 계속해서 빌딩내의 카 호출, 승강장 호출에 서비스시키고 있다.
또, 화재가 발생했을 때는 모든 호출을 캔슬하고, 카내 스위치 평량장치 및 관련장치등 승강객 검출장치를 무효로해서 피난층 또는 그 바로 위층이나 바로 아래층(호출 층이라 함)에 직행시키는 비상 호출 운전(이하 호출 운전이라고 함) 및 소방원에 의한 카 내에서만 운전이 가능한 소방원 운전으로 되는 소방운전을 한다.
본래, 소방운전에 사용하는 소방용 엘리베이터는 정전 시에도 사용가능한 전용(소방용)의 자가 발전원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나, 경우에 따라 정전 시에 사용하는 비상용 전원을 사용해서,소방용 엘리베이터를 정전시 운전을 구성하는 복수대의 한대로 실시할 때도 있다.
화재와 정전은 인과 관계가 있고, 화재의 발생에 의해 정전이 발생하는 가능성은 높고, 화재시의 호출 운전 또는 소방원 운전 중에 정전이 발생해서, 그 소방운전이 정전시의 비상용 전원을 사용해야 할 때가 자주 있다.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일반적으로, 화재발생에 따라, 호출 층으로 직행시키는 호출 운전 중에 정전이 발생하면, 그 호출 운전을 위한 전원을 정전시의 비상용 전원을 사용 하지 않으면 안되게 된다. 이때, 호출 운전에서의 호출 층과, 정전시의 귀착 운전에서의 구출 층이 다르면, 화재시의 호출 운전 쪽이 정전시의 귀착 운전보다 우선하고 있기 때문에, 카는 호출 운전에 의해 호출 층에 귀착한다.
여기서 호출 운전에 의해 소정의 호출 층으로 귀착해도, 승강객 검출장치의 소정의 위치 검출기가 동작하지 않으므로, 카가 호출 층으로 귀착한 것을 제어장치에 대해 통지하는 운전 완료신호가 출력되는일은 없다. 이 때문에, 제어장치에서는 카가 호출 층에 귀착하였다고 해도, 운전이 계속하고 있다고 판단하기 때문에 비상용 전원에 용량의 관계로부터 다른 호수의 기에 대해 귀착지령을 출력할 수 가 없고, 정전에 의해 정지한 다른 카 내에 승객이 갇히게 된다.
또, 비상용 전원에 의한 호출 운전으로 호출 층으로 귀착한 카는 소방원 운전을 할 수 있게 된다. 이 비상용 전원에 의한 소방원 운전 때, 호출 운전에 의해 정전시 미리 구출 층이라고 정해져 있는 층상에 정지하게 되면 제어장치에 대해 귀착운전이 완료된 것을 알리는 운전 완료신호가 출력되게되어, 제어장치는 다른 호기에 대해 귀착지령을 부여하고 결과로서 소방원 운전이 중단된다.
또, 정전시의 계속운전호기에 지정되어 있지 않은 카는, 정전시의 소방원 운전을 할 수가 없다.
본 발명은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된 것으로,제1의 목적은 호출 운전 중에 정전이 발생하였다해도,호출 운전이 종료 후 확실하게 다른 카에 대해 귀착 지령을 출력하고, 효율좋은 카의 운전을 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정전시 운전방법을 얻는 것이다. 또, 제2의 목적은 정전이 발생하여도 소방원 운전을 필요한 만큼 계속시켜서 운행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정전시 운전방법을 얻는 것이다. 또 제3의 목적은 소방원 운전 가능한 호기에 대해서 강제 적으로 계속해서 운전을 시킬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정전시 운전방법을 얻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정전시 운전방법에서는 통상 전원의 공급정지시 비상용 전원의 공급으로 전환하는 제1의공정과 화재시의 비상 호출 운전을 검출하는 제2의 공정과, 제1및 제2의 공정에 의해 비상용 전원에 따른 호출 운전을 검출했을 때, 상기 비상 호출 운전으로 정해진 호출 층에의 카의 도착을 검출하는 제3의 공정과, 이 제3의 공정에 의해 상기 카의 상기 호출 층에의 도착이 검출되었을 때, 이를 귀착층 내의 도착으로 해서 다른 카에대해 정전 시에서의 귀착 층에 귀착지령을 하는 제4의 공정을 구비한 것이다.
또, 모든 카의 호출 층 또는 귀착 층으로 도착 또는 귀착한 후, 호출 운전을 한 카에 의해 소방원 운전을 하도록 한 것이다.
또, 복수 설치되어 있는 카 중에서 소방원 운전을 할 수 있는 특정 카에 대해 우선 운전을 하도록 한 것이다.
[발명의 구성 및 작용]
[실시의형태 1]
제1도는 엘리베이터의 정전시 운전장치의 전체구성을 표시한 전체 구성도이다. 도면에서 1은 외부로부터의 정전정보 및 각대 제어 반으로부터의 정보에 따라 정전시의 귀착 운전지령, 계속 운전지령을 각대 제어반(2)에 부여하는 군 관리 반이고, 그 내부에는 통상 전원에 의한 통전시에 폐로 되어 있는 상폐접점(4) 및 통상전원이 다운했을 때에 자가 발전에 의한 통전이 되게 되면 폐로 하는 상계접점(5)에 따른 정전 정보 등의 외부정보를 입력하는 입력인터페이스(11), 외부정보, 제어 프로그램 등에 따라 각종 연산을 하고, 군 관리 제어를 하는 군 관리 마이크로 프로세서(12)(이하, 군 관리 CPU라고 한다), 군 관리반(1) 내의 엘리베이터 정전시 운전의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판독전용 메모리(ROM)(13), 기록, 판독전용메모리(RAM)(14) 전송선(3)을 통해서, 정전시의 귀착운전, 계속 운전 지령 등을 각대 제어반(2)에 출력하는 동시에, 귀착운전 완료검출, 소방원 운전 검출 등이 입력되는 인터페이스(15)를 갖고 있다.
제2도는 외부로부터의 정전정보 및 군 관리 반으로부터의 정전시의 귀착운전지령, 계속운전 지령에 의해, 카에 대해 정전시 운전을 시행시키는 기능 및 외부로부터의 호출 운전지령, 소방원 운전지령에 의해 호출운전 소방원 운전을 하는 기능을 갖는 각대 제어 반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설명을 위해 카를 2대로 하고,제어반(2)은 각각 #1호기에 대응하는 각대 제어반(2a), #2호기에 대응하는 각대 제어반(2b), 로서 설명하나 카의 호기가 더욱 복수로 되어 있어도 마찬가지이다.
카 #1호기를 제어하는 각대 제어반(2a)은 상폐접점(4)와 상개접점(5)와 승강장에 설치되는 화재 시에 엘리베이터를 호출하는 호출 운전스위치(6a)및 카 내에 설치되는 화재시에 엘리베이터를 소방원 운전을 하는 소방원 운전스위치(7a)로부터의 외부정보 및 전송선(3a)을 통해서 군 관리반(1)으로 부터의 귀착운전지령 계속 운전 지령 등을 입력하는 입력인터페이스(21a), 외부정보 및 제어 프로그램등에 따라 각종연산을 하고 카 제어를 하는 각대 마이크로 프로세서(22a)(이하, 각대 CPU라 한다) 각대 제어반(2a)내의 엘리베이터의 정전시 운전의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판독전용메모리(23a), 기록 판독전용메모리(24a) 카 #1호기와의 데이터의 주고 받기를 하는 인터페이스(25a)를 갖고 있다. 또 각대 제어반(2)은 군 관리반(1)에 대해서는 정전시의 귀착운전 완료신호를 출력한다.
또 카 #2호기에 대응하는 각대 제어반(2b)도, 구성은 상술한 각대 제어반(2a)과 같으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제2도는 군 관리반(1)내의 판독전용메모리(13)내부에 저장된 엘리베이터의 정전시 운전프로그램의 동작을 표시한 플로차트이고 제3도는 각대 제어반내의 판독전용메모리(23)내부에 저장된 엘리베이터 정전시 운전프로그램의 동작을 표시하는 플로차트이다.
다음에 제2도 및 제3도의 플로차트를 사용해서 본 실시형태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카 #1호기 호출운전스위치(6a)가 On되고 호출운전이 진행될 때에 정전이 발생하고, 자가 발전원이 확립했을 때의 동작을 설명한다. 여기서 최초의 설정에 의해 정전시의 귀착운전의 귀착순서는 카 #1호기, 카 #2호기의 순이고, 귀착완료후의 계속 운전을 하는 카 #2호기로 한다.
군 관리반(1)내의 처리프로그램에 따라, 군 관리 CPU(12)는 스텝S1에서 통상 전원이 정전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통상전원에 의한 통전시에 폐로 되어 있는 상폐접점(4)에 따라 판단하고, 통상 전원이 정전되어 있다고 판단되면, 스텝S2로 이행해서 자가 발전 원이 통상전원이 다운되었을 때에 자가 발전이 확립 되었는지에 여부를 판단한다. 스텝 S1 및 스텝 S2에 의해 정전시에 자가발전원이 확립되었다고 판단되면 군 관리반(1)에는 미리 정해진 규칙에 따른 자가발전에 의한 정전시의 귀착운전을 시키도록 스텝 S3으로 이행해서 카 #1호기가 지정된 귀착 층에 귀착완료하였는지를 판단한다. 여기서는 아직 카 #1호기는 호출운전중이고 호출 중에 도착완료되어 있지 않으므로 각대 제어반(2a)으로부터 군 관리반(1)에 대해 귀착완료 신호는 출력되어 있지 않고, 스텝 S4로 이행해서 인터페이스(15)로 부터 카 #1호기에 대해 호출 층으로 되돌아가도록 카 #1호기를 제어하기 위한 귀착지령을 각대 제어반(2a)에 대해 전송선(3a)을 통해서 출력한다.
다음에 카 #1호기를 제어하기 위해 각대 제어반(2a)의 판독전용 메모리(23a)에 기억되어 있는 처리 프로그램에 따른 각대 CPU(23a)의 처리동작에 대해 제3도를 이용해 설명한다.
카 #1호기가 호출 운전 중에 통상전원의 정전(스텝 S21)및 자가발전 원에 따른 통전(스텝 S22)을 검출하면, 군 관리반(1)으로부터 자가 발전원에 따라 동작하는 귀착지령을 입력하면 스텝(S23)에서 군 관리(1)로부터의 귀착지령을 수신하였는가를 판단한다.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이 귀착지령이 군 관리반(1)으로부터 송신되어 왔으므로, 스텝 S24에 이행한다.
스텝 S24에서는 호출 운전중 또는 소방운전중의 비상운전중인지 아닌지를 판단하고, 카 #1호기는 비상운전인 호출 운전 중이었으므로, 스텝 S25로 이행해서 정전 시에 귀착운전과 호출 운전이 겹쳐진 것을 검지 한다.
여기서, 귀착운전과 호출운전의 우선순위 관계로부터 호출운전의 계속이 선택되고, 자가 발전원에서의 호출 운전이 된다.
그후 스텝 S26으로 이행해서 카#1호기가 호출 층에 도착도어를 열고 도착완료한 것을 위치 검출기에 의해 검출하면 각대 CPU(23a)는 귀착운전에서의 귀착증과 금번 도착한 호출 층이 같은 층이 아니드래도 군 관리반(1)에 대해 전송선(3a)를 통해서 귀착완료를 출력한 후 스텝S27로 이행해서 카 #1호기 운전중지가 된다.
한편, 스텝S24에서 비상운전중이 아니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스텝 S28로 이행하고 정전에 의한 자가 발전원에 다른 정전시의 귀착운전을 하고, 미리 정해진 귀착 층에 귀착한 것을 위치 검출기 등에 의해 검출하면, 각대 CPU(23a)는 스텝S29에서 군 관리반(1)에 대해 귀착완료를 송신한다.
또 스텝S23에서 귀착지령이 군 관리반(1)로부터 송신되지 않으면 모든 귀착이 완료되었다고 판단되므로 스텝S30으로 이행하고, 카 #1호기에 대해 귀착지령이 모두 종료한 후의 특정한 카만 계속해서 운전시키는 계속운전지령이 송신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 여기서 계속운전지령이 송신되어 있으면, 스텝S31치로 이행해서 카 #1호기는 소방운전중인지 아닌지를 판단하고, 소방 운전중이면 스텝S32로 이행하고 소방원 운전으 하고, 소방운전중이 아니면 스텝S33으로 이행해서 계속운전을 한다.
스텝S26에서 군 관리반(1)에 대한 귀착완료의송신에 의해 군 관리반(1)은 제2도에서 표시되는스텝S5로 이행해서 카 #2호기에대해 귀착완료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여기서는 아직 카 #2호기는 귀착완료되지 않었으므로 스텝S6으로 이행해서 카 #2호기에 대해 귀착지령을 출력한다.
카 #2호기의 귀착지령을 받은후의 동작은 상술한 카 #1호기의 동작과 같으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카 #2호기의 귀착이 완료된 후는 필요에 따라 카 #1호기 #2호기에 소방원 운전을 하도록 대기시킨다.
본 실시의 형태에 의하면 비록 정전시의 자가 발전원에서의 호출운전이라도 위치검출기등에 의해 호출 층에 도착한 것을 검출하고 항상 호출 층에 도착한 귀착완료를 군 관리반(1)에 대해 출력함으로써, 군 관리반(1)은 다른 호기에 대해 다음의 귀착지령을 출력할 수가 있게 되어 화재 발견 시에 빠르고, 또 확실하게 귀착운전을 종료시킬 수가 있으므로, 카 내에 승객이 갇히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실시형태 2]
본 실시형태에서는 호출 운전 완료 후에 카 #1호기, #2호기 모두 소방원운전스위치(7a)(7b)가 On되고 소방원 운전 중에 정전이 발생하고 자가 발전원이 확립했을 때의 #1,2호기에서의 정전시 운전의 동작에 대해 제3도 및 제4도의 군 관리반(1)내의 판독전용메모리(13)내부에 기억된 엘리베이터의 정전시 운전 프로그램의 동작을 표시한 플로차트를 이용해서 설명한다.
여기서 설정에 의해 호출 운전의 귀착순서는 카 #1호기, # 2호기의 순이고, 소방원 운전시의 우선 계속운전은 카 #1호기로 한다.
군 관리반(1)내의 처리프로그램에 따라 군 관리 CPU12는 스텝S11에서 통상 전원이 정전되어 있는 지의 여부를 통상전원에 의한 통전 때에 폐로되어 있는 상폐접점(4)에 따라 판단하고, 통상전원이 정전되어 있다고 판단되면 자동 또는 메뉴얼에 의해 동력원은 자가 발전으로 전환된다.
그리고 스텝 S12로 이행해서, 자가 발전원이 통상 전원이 다운 했을 때 자가 발전에 의한 통전이 되면 페로 하는 상폐접점(5)에 따라 자가 발전이 확립되었는지에 여부를 판단한다.
스텝 S11 및 스텝 S12에 의해 정전 시에 자가 발전원이 확립되었다고 판단된면 군 관리반(1)은 자가 발전에 의한 정전시의 귀착운전을 하도록 미리 정해진 규측에 따라 귀착지령을 출력해서 카를 순서대로 귀착층에 귀착시키도록 제어를 한다.
그후 스텝S11 및 스텝S12에 의해 정전 시에 자가 발전원이 확립되었다고 되면 군 관리반(1)은 자가 발전에 의한 정전시의 귀착운전을 하도록 미리 정해진 규측에 따라 귀착지령을 출력해서 카를 순서대로 귀착층에 귀착시키도록 제어를 한다.
그후 스텝S13으로 이행해서 카 #1호기가 소방원 운전중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여기서 카 #1호기는 소방원 운전 중이므로, 스텝S14로 이행해서 카 #1호기를 그대로 소방원 운전을 계속시키도록 각대 제어반(2a)에 대해 전송선 (3a)을 통해서 계속 운전지령을 출력한다. 이때 카#1호기의 소방원 운전스위치(7a)가 On되어 있는 동안은 스텝S13, 스텝S14의 처리를 반복한다.
다음에 카 #1호기를 제어하기 위해 각대제어반(2a)의 판독전용메모리 (23a)에 기억되어 있는 처리프로그램에 따른 각대 CPU(23a)의 처리동작에 대해 제3도를 이용해서 설명한다.
카 #1호기가 소방원 운전중에 통상전원의 정전(스텝S21) 및 자가 발전원에 따른 통전(스텝S22)을 검출하고, 군 관리반(1)으로부터 자가 발전원에 따라 동작하는 귀착지령을 입력하면 스텝(S23)에서 군 관리반(1)로부터의 귀착지령을 수신하였는지에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귀착지령을 받지 않었으면 상술한 실시형태 1과 같이 처리를 진행한다.
한편 귀착지령이 군 관리반(1)으로부터 송신되어 있으면 스텝S24로 이행하고, 호출운전중 또는 소방운전중의 비상운전중인지 아닌지를 판단하고, 카 #1호기는 비상운전인 소방원 운전 중이었으므로, 스텝S25로 이행하고, 정전 시에 의한 귀착운전과 소방원 운전이 겹친 것을 검지 한다.
여기서 귀착운전과 소방원 운전과의 우선순위의 관계로부터, 소방원 운전의 계속이 선택되고 자가 발전 원에서의 소방원 운전이 된다.
그후, 스텝S26으로 이행해서 카#1호기가 소방원이 지정한 지정 층에 귀착완료한 것을 위치 검출기 등에 의해 검출하면, 각대의 CPU(23a)는 귀착운전에서의 귀착 층과 금번 도착한 소방원 운전에서의 지정층이 같지 않어도 군관리반(1)에 대해 전송선(3a)을 통해서 귀착완료를 출력한 후, 소방원에 의한 운전이 아니면 스텝S27로 이행해서 카#1호기는 운전중지가 된다. 한편, 스텝S24에서 비상운전중이 아니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상술한 실시형태1과 같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스텝S26에서 군 관리반(1)에 대한 귀착완료의 송신에 의해 군 관리반(1)은 제4도에서 표시되는 스텝S13으로 다시 이행해서 카 #1호기의 소방원 운전 스위치(7a)가 On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해서 카 #1호기로부터 귀착완료 신호가 출력되었다해도 카 #1호기에 대해 소방원 운전이 지시되고 있는 동안은 우선순위가 높은 카 #1호기의 운전을 계속한다.
그 후, 카#1호기의 소방원 운전스위치(7a)가 OFF되면, 스텝 S15로 이행해서, 카#2호기에 대해 소방원 운전스위치(7b)가 ON된 소방원 운전중인지아닌지를 판단한다.
스텝S15에서, 카#2호기가 소방원 운전중이면 스텝 S16으로 이행해서 군관리반(1)은 각대 제어반(2b)에 대해, 전송선(3b)를 통해서 계속운전지령을 출력한다.
스텝S15에서 카 #2호기의 소방원 운전이 종료되면 스텝 S17로 행해서 미리 정해둔 소방원 운전을 하는 비상용 엘리베이터인 카 #1호기에 대해 계속운전지령이 출력되고, 계속운전호기에 강제적으로 지정된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가령 정전시의 자가 발전 원에서의 소방원 운전이라 하더라도, 위치 검출기등에 의해 소방원에 의한 지정 층에 도착한 것을 검출하고 지정 층 에 도착한 귀착완료를 군 관리반 1에 대해 출력하였다. 해도, 군 관리반(1)에 의해 소방원 운전 중은 계속해서 그 카에 대해 자가 발전에 의한 비상용 전원을 공급하고, 소방원 운전을 계속시킬 수 있으므로, 긴급시의 소화활동을 계속해서 할 수가 있다. 또, 정전 시에 지정되어 있던 계속운전호기와, 소방원 운전호기가 다를 경우에는 소방원 운전을 할 수 있는 카에 대해 강제적으로 게속해서 운전을 하도록 지시하므로 화재시의 소방원의 활동을 방해하지 않고 소화활동을 지원할 수가 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은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아래에 기재되는 바와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통상적으로 전원의 공급정지시 비상용 전원의 공급으로 전환하는 제1공정과 화재시의 비상 호출원전을 검출하는 제2의 공정과 제1및 제2의 공정에 의해 비상용 전원에 따른 호출 운전을 검출했을 때에 상기 비상호출 운전으로 정해진 호출 층에의 카의 도착을 검출하는 제3의 공정과 이 제3의 공정에 의해 상기 카의 상기 호출 층에의 도착이 검출되었을 때 이를 귀착층에의 도착으로서 다른 카에 대해 정전 시에서의 귀착 층에 귀착지령을 하는 제4의 공정을 구비하였으므로 비상 운전 중에 정전이 발생하였다 해도, 비상 운전이 종료후, 확실하게 다른 카에 대해 귀착지령을 출력해서 효율 좋은 카의 운전을 할 수가 있다. 이 때문에 승객의 카 내에 갇혀지는 시간을 단축할 수가 있다.
또 모든 카가 호출층 또는 귀착층으로 도착 또는 귀착한 후 호출운전을 한 카에 의해 소방원 운전을 하므로, 비상 운전 중에 정전이 발생하였다해도 유사시의 비상운전을 할 수 있는 카 만의 계속해서 운전이 가능해지고 효율좋은 카의 운전을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소방원 운전등 화재시의 비상운전의 계속에 의해 소화 활동을 지원할 수가 있다.
또 여러개 설치되어 있는 카 중에서 소방원 운전을 할 수 있는 특정한 카에 대해 우선 운전을 시키므로, 비상 운전 가능한 호기에 대해 강제적으로 계속 운전을 지정할 수가 있어 비상시에 비상운전을 할 수 있는 미리 정해진 카 만을 운전할 수 가 있어 효율좋은 카의 운전을 할 수가 있다.

Claims (3)

  1. 통상전원의 공급정지시 비상용 전원의 공급으로 대체하는 제1의 공정과, 화재시의 비상 호출 운전율을 검출하는 제2의 공정과, 제1 및 제2의 공정에 의해 비상용 전원에 따른 호출 운전을 검출했을 때에 상기 비상 호출 운전으로 정해진 호출 층으로의 카의 도착을 검출하는 제3의 공정과, 이 제3의 공정에 의해 상기 카의 상기 호출 층에의 도착이 검출되었을 때, 이를 귀착 층에의 도착으로 해서 다른 카에 대해 정진 시에 귀착 층으로 귀착지령을 하는 제4의 공정을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정전시 운전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모든 카의 호출층 또는 귀착층으로 도착 도는 귀착한 후, 호출운전을 한 카에 의해 소방원 운전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정전시 운전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여러 대 설치되어 있는 카 중에서, 소방원 운전을 할 수가 있는 특정한 카에 대해 우선운전을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정전시 운전방법.
KR1019970007101A 1996-03-04 1997-03-04 엘리베이터의 정전시 운전방법 KR1001970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45963 1996-03-04
JP04596396A JP3331855B2 (ja) 1996-03-04 1996-03-04 エレベータの停電時運転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5381A KR970065381A (ko) 1997-10-13
KR100197056B1 true KR100197056B1 (ko) 1999-06-15

Family

ID=12733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7101A KR100197056B1 (ko) 1996-03-04 1997-03-04 엘리베이터의 정전시 운전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3331855B2 (ko)
KR (1) KR100197056B1 (ko)
CN (1) CN1056354C (ko)
TW (1) TW316597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475680C (zh) * 2004-06-24 2009-04-08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的停电时运转装置
CN100457591C (zh) * 2005-11-10 2009-02-04 谢宝院 应急消防系统
CN104085753A (zh) * 2014-06-30 2014-10-08 江南嘉捷电梯股份有限公司 单一应急电源用于多台电梯的供电方法和供电装置
US20170355562A1 (en) * 2016-06-10 2017-12-14 Otis Elevator Company Fire service sequence for multicar elevator systems
JP2018167920A (ja) * 2017-03-29 2018-11-01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エレベーター停電時着床運転装置
CN111532926B (zh) * 2020-03-30 2021-12-10 日立电梯(中国)有限公司 电梯群管理方法及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5381A (ko) 1997-10-13
CN1164504A (zh) 1997-11-12
JP3331855B2 (ja) 2002-10-07
TW316597U (en) 1997-09-21
JPH09240949A (ja) 1997-09-16
CN1056354C (zh) 2000-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72043B2 (en) Elevator cross-dispatching system with inter group relative system response (IRSR) dispatching
KR101155068B1 (ko) 일부 또는 전체 카들 간의 통신 오류에 따라 승강로 내에서모든 수의 카들보다 적은 수의 카를 작동시키는 방법
EP1975110A1 (en) Elevator control system
US7938232B2 (en) Evacuation control apparatus for an elevator
EP1867594B1 (en) Elevator system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thereof
CN102381604A (zh) 电梯装置
KR100197056B1 (ko) 엘리베이터의 정전시 운전방법
CN100475680C (zh) 电梯的停电时运转装置
US5780788A (en) Special emergency service control arrangement for elevator car
KR102034016B1 (ko) 승객 구출 운전장치
CN112938667B (zh) 一种含群控备份功能的电梯目的层群控系统及方法
JPH10231080A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
JP4932399B2 (ja) エレベータの救出運転装置
JP3732701B2 (ja) エレベータの救出運転装置
JP2008162799A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KR100190432B1 (ko) 엘리베이터 감시 장치
JP6821086B2 (ja) エレベーター制御装置およびエレベーター制御方法
KR0167209B1 (ko) 엘리베이터의 구출운전 제어 방법 및 장치
JPH1087209A (ja) エレベータ関連ケーブルの異常検出装置
JPS5856712B2 (ja) エレベ−タ管制運転方式
JPH08157158A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2007055796A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JP2000302348A (ja) 昇降機のメンテナンスシステム
JPH04182286A (ja) エレベーターの信号伝送装置
JPH0769542A (ja) エレベータの運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4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1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1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