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1693B1 - 이산화티타늄 나노분말, 타이타네이트, 리튬 타이타네이트 나노 분말 및 이들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이산화티타늄 나노분말, 타이타네이트, 리튬 타이타네이트 나노 분말 및 이들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1693B1
KR101431693B1 KR1020110145368A KR20110145368A KR101431693B1 KR 101431693 B1 KR101431693 B1 KR 101431693B1 KR 1020110145368 A KR1020110145368 A KR 1020110145368A KR 20110145368 A KR20110145368 A KR 20110145368A KR 101431693 B1 KR101431693 B1 KR 1014316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tanium dioxide
titanate
water
reaction
nano part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53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76935A (ko
Inventor
김동현
김지용
석준호
정석모
손종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101453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1693B1/ko
Priority to PCT/KR2012/011529 priority patent/WO2013100608A1/ko
Priority to US14/369,555 priority patent/US9260316B2/en
Priority to AU2012360322A priority patent/AU2012360322B2/en
Priority to JP2014545837A priority patent/JP5877249B2/ja
Publication of KR201300769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69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16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16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GCOMPOUNDS CONTAINING METAL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1D OR C01F
    • C01G23/00Compounds of titanium
    • C01G23/003Titanates
    • C01G23/005Alkali tita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GCOMPOUNDS CONTAINING METAL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1D OR C01F
    • C01G23/00Compounds of titanium
    • C01G23/04Oxides; Hydroxides
    • C01G23/047Titanium diox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BNANOSTRUCTURES FORMED BY MANIPULATION OF INDIVIDUAL ATOMS, MOLECULES, OR LIMITED COLLECTIONS OF ATOMS OR MOLECULES AS DISCRETE UNITS;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 B82B3/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by manipulation of individual atoms or molecules, or limited collections of atoms or molecules as discrete unit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DCOMPOUNDS OF ALKALI METALS, i.e. LITHIUM, SODIUM, POTASSIUM, RUBIDIUM, CAESIUM, OR FRANCIUM
    • C01D15/00Lithium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GCOMPOUNDS CONTAINING METAL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1D OR C01F
    • C01G23/00Compounds of titanium
    • C01G23/04Oxides; Hydroxides
    • C01G23/047Titanium dioxide
    • C01G23/053Producing by wet processes, e.g. hydrolysing titanium salts
    • C01G23/0536Producing by wet processes, e.g. hydrolysing titanium salts by hydrolysing chloride-containing sal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4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 H01M4/485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mixed oxides or hydroxides for inserting or intercalating light metals, e.g. LiTi2O4 or LiTi2OxF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30/00Nanotechnology for materials or surface science, e.g. nanocomposi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40/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2/00Crystal-structural characteristics
    • C01P2002/04Compounds with a limited amount of crystallinty, e.g. as indicated by a crystallinity index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2/00Crystal-structural characteristics
    • C01P2002/10One-dimensional structu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2/00Crystal-structural characteristics
    • C01P2002/70Crystal-structural characteristics defined by measured X-ray, neutron or electron diffraction data
    • C01P2002/72Crystal-structural characteristics defined by measured X-ray, neutron or electron diffraction data by d-values or two theta-values, e.g. as X-ray diagram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2/00Crystal-structural characteristics
    • C01P2002/90Other crystal-structural characteristics not specified above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01Particle morphology depicted by an image
    • C01P2004/03Particle morphology depicted by an image obtained by SEM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01Particle morphology depicted by an image
    • C01P2004/04Particle morphology depicted by an image obtained by TEM, STEM, STM or AFM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10Particle morphology extending in one dimension, e.g. needle-like
    • C01P2004/13Nanotub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60Particles characterised by their size
    • C01P2004/62Submicrometer sized, i.e. from 0.1-1 microme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60Particles characterised by their size
    • C01P2004/64Nanometer sized, i.e. from 1-100 nanomet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82Particulate matter [e.g., sphere, flake, et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Nano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organic Compounds Of Heavy Metals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Abstract

이산화티타늄 나노분말, 타이타네이트(titanate), 리튬 타이타네이트 나노 분말 및 이들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결정상과 비정질상의 중간 형태인 준결정상을 가지는 이산화티타늄 나노분말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산화티타늄 나노분말, 타이타네이트, 리튬 타이타네이트 나노 분말 및 이들의 제조 방법{TITANIUM DIOXIDE NANO PARTICLE, TITANATE, LITHIUM TITANATE NANO PARTICLE AND METHOD FOR PREPARATION METHODS THEREOF}
이산화티타늄 나노분말, 타이타네이트(titanate), 리튬 타이타네이트 나노 분말 및 이들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 평균입도가 50nm 이하인 결정성 이산화티타늄 나노분말은 대표적인 광촉매용 재료로써 자외선을 에너지원으로 이용하여 유해성분의 분해, 항균, 탈취 등의 특성을 지닌 새로운 에너지 환경재료로 주목을 받게 되었고 최근에 재료 및 용도의 개발이 급속히 이루어지고 있다.
일반적인 이산화티타늄 제조방법은 하기와 같이 나눌 수 있다.
황산법은 TiOSO4의 수용액을 열가수분해해서 얻어진 이산화티타늄을 800 내지 1000℃로 소성하여 성장시킨 후, 원하는 크기의 TiO2를 얻는 방법이다. 황산법의 경우, 공정 중, 폐황산 발생으로 인한 환경문제를 야기할 수 있으며, 물리적 파쇄를 통해 미세립의 이산화티타늄 제조는 가능하나, 불순물로 인해 순도가 저하인 분말이 생산되기 때문에, 에너지저장용 원료소재, 혹은 MLCC등의 정밀소재에는 사용할 수 없다.
염산법의 경우, TiCl4의 가열증기를 가열산소와 반응시켜 고온 기상에서 TiO2입자를 형성시키는 방법이다. 염산법의 경우, 고온 반응에 의해 생성되는 침전 분말을 사용하기 때문에 루타일 결정상만을 제조할 수 있으며, 염산 가스 포집을 위한 고가의 설비 및 염소 제어기술이 필요하고, 공정 내, 염산가스에 의한 위험성이 높다.
그 외, 졸-겔법, 분무화염법, 화학적 기상증착법 등의 알콕사이드 혹은 고온 기상을 사용하는 방법이 있으나, 공정 단가가 고가이며, 생산성이 저하되기 때문에 세계적으로 크게 유용하지는 않다.
준결정상을 가지는 이산화티타늄 나노 분말의 제조 방법을 통해 분말 입도 크기를 조절하여 물리 및/또는 전기 화학적 특성을 자유롭게 변환할 수 있다.
이러한 이산화티타늄 나노분말을 이용하여, 개선된 타이타네이트(titanate), 리튬 타이타네이트 나노 분말 등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는, 결정상과 비정질상의 중간 형태인 준결정상을 가지는 이산화티타늄 나노분말을 제공한다.
상기 준결정상의 XRD 주피크(main peak)은 결정상에 비해 시프트(shift)되어 있고 브로드닝(broadening)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준결정상의 여분의폭(FWHM: Full Width at half maximum)이 1.9 내지 2.5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준결정상의 XRD 주피크는 아나타제형 결정상의 주피크에 비해 시프트되어 2θ 값이 23°≤2θ≤26°일 수 있다.
상기 준결정상의 XRD 주피크는 루타일형 결정상의 주피크에 비해 시프트되어 2θ 값이 26°≤2θ≤29°일 수 있다.
상기 분말의 평균입도는 150 nm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에서는, (a) TiCl4용액과 물을 혼합하여 젤리(jelly) 형태의 TiOCl2를 준비하는 단계; 및 (b) 상기 젤리 형태의 TiOCl2와 물을 혼합하는 수열 반응을 통해 결정상과 비정질상의 중간 형태인 준결정상을 갖는 이산화티타늄 나노 분말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a) 단계는 Ti3+이온 농도가 0.1 내지 1.3M이 되도록 물의 양을 제어하고, 상기 (b) 단계는 Ti3+이온 농도가 1.5 내지 4.3M이 되도록 물의 양을 제어하는 것인 이산화티타늄 나노 분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b) 단계의 수열 반응은 50 내지 200℃의 온도로 가열하는 반응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구현예에서는, 결정상과 비정질상의 중간 형태인 준결정상을 갖는 이산화티타늄 나노 분말과 알칼리 용액의 반응에 의해 제조되어 일방향성(one-dimensional)을 갖는 타이타네이트(titanate)를 제공한다.
상기 일방향성 타이타네이트는 나노튜브, 나노시트, 나노와이어 또는 나노로드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구현예에서는, 전술한 방법에 의해 제조된 이산화티타늄 나노 분말을 알칼리 수용액 5 내지 25M과 반응시켜 일방향성(one-dimensional) 타이타네이트(Titanate)를 수득하는 것인 타이타네이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알칼리 수용액은 LiOH, KOH, NaOH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산화티타늄 나노 분말과 상기 알칼리 수용액 반응 조건은 80 내지 350℃ 온도에서 6 내지 20시간 동안 반응시키는 조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구현예에서는, 전술한 일방향성 타이타네이트와 수산화리튬(LiOH)의 반응에 의해 제조된 리튬 타이타네이트 나노 분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구현예에서는, 전술한 방법에 의해 제조된 타이타네이트와 수산화리튬(LiOH) 10 내지 30mol를 반응시킨 후 이를 400 내지 1200℃로 가열하는 것인 리튬 타이타네이트 나노 분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나노 크기를 유기적으로 제어할 수 있고, 일방향성 나노 분말을 제조할 수 있어, 에너지저장용 소재의 특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이산화티타늄 나노 분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개선된 이산화티타늄 나노분말, 타이타네이트(titanate), 리튬 타이타네이트 나노 분말 및 이들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1에 따른 이산화티타늄 나노 분말의 투과전자현미경사진이다.
도 2는 실시예 1에 따른 이산화티타늄 나노 분말의 XRD 피크를 나타낸다.
도 3은 실시예 2에 따른 일방향성 티타네이트의 주사전자현미경사진이다.
도 4는 다양한 결정성의 이산화티타늄 입자를 이용하여 제조된 티타네이트의 주사전자현미경 사진이다.
도 5는 실시예 2에서 반응 조건을 변화시키면서 제조한 티타네이트의 주사전자현미경사진이다.
도 6은 상기 실시예 4에 따른 코인형 반쪽 전지의 특성을 평가한 데이터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현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예시로서 제시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은 후술할 청구범위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는, 결정상과 비정질상의 중간 형태인 준결정상을 가지는 이산화티타늄 나노분말을 제공한다.
상기 본 발명의 일 구현예와 같은 준결정상의 이산화티타늄 나노 분말을 이용하는 경우, 일방향성의 티타네이트를 제조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 준결정상의 XRD 주피크(main peak)은 결정상에 비해 시프트(shift)되어 있고 브로드닝(broadening)되어 있있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준결정상의 여분의폭(FWHM: Full Width at half maximum)이 1.9 내지 2.5의 값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준결정상의 XRD 주피크는 아나타제형 결정상의 주피크에 비해 시프트되어 2θ 값이 23°≤2θ≤26°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준결정상의 XRD 주피크는 루타일형 결정상의 주피크에 비해 시프트되어 2θ 값이 26°≤2θ≤29°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피크의 특성은 기준 결정 구조(아나타제 또는 루타일)에 비해 비정질상의 양이 증가되어 결정성이 감소한 것에 기인한다.
상기 분말의 평균입도는 150 nm 이하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10nm 내지 150nm 또는 10nm 내지 50nm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에 따른 이산화티타늄 나노 분말의 제조 방법에 따라 상기와 같이 입도를 조절할 수 있다. 원하는 전기 및/또는 화학적 특성에 따라 이산화티타늄의 입도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에서는 (a) TiCl4용액과 물을 혼합하여 젤리(jelly) 형태의 TiOCl2를 준비하는 단계; 및 (b) 상기 젤리 형태의 TiOCl2와 물을 혼합하는 수열 반응을 통해 결정상과 비정질상의 중간 형태인 준결정상을 갖는 이산화티타늄 나노 분말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a) 단계는 Ti3+이온 농도가 0.1 내지 1.3M이 되도록 물의 양을 제어하고, 상기 (b) 단계는 Ti3+이온 농도가 1.5 내지 4.3M이 되도록 물의 양을 제어하는 것인 이산화티타늄 나노 분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b) 단계의 수열 반응은 50 내지 200℃의 온도로 가열할 수 있다.
상기 (a) 단계는 Ti3+이온 농도가 0.1 내지 1.3M이 되도록 물의 양을 제어되는 경우, 젤리 형태의 TiOCl2를 준비할 수 있다.
상기 농도가 0.1M 미만인 경우, Ti3+이온의 농도가 부족하여, 수용성고체가 생성될 수 없으며, 1.3M 초과인 경우, TiOCl2고체가 형성되어, 수용성을 형성할 수 없다.
상기 제조된 젤리 형태의 TiOCl2는 상온에서도 안정하며, 제조된 젤리 내의 Ti 이온은 3가의 이온을 가진다.
상기 젤리 형태의 TiOCl2와 물을 혼합하는 수열 반응을 통해 결정상과 비정질상의 중간 형태인 준결정상을 갖는 이산화티타늄 나노 분말을 수득할 수 있다.
상기 젤리 형태의 TiOCl2와 물을 혼합하는 수열 반응은 안정한 클로라이드 이온과 염산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젤리 형태의 TiOCl2는 상온안정하기 때문에 소량의 물을 반응시킬 경우, 수용액상으로 변하게 된다. 상기 반응시 Ti3+이온은 불충분한 산소와의 반응에 의해 이산화티타늄 입자로 침전되게 되며, 이 때 결정상이 아닌 준안정 결정성을 나타내게 된다.
또한 물과 반응시 침전물 이외에는 수용액 내에 클로라이드 이온이 부유되게 되며, 이때 클로라이드 이온의 부유에 의해 매우 소량의 염산 가스가 발생한다.
전체적인 반응식은 다음과 같다.
[반응식 1]
TiCl4 + H2O[insufficeint] -> TiOCl2liquidsolidjelly + H2O[insufficient] -> TiO2[metalstablestate] + HCl[liquid] + HCl[gas] + H2O
상기 반응시, Ti3+이온의 농도는 1.5 내지 4.3M일 수 있다.
상기 농도가 1.5M 미만인 경우, Ti3+와 산소와의 반응이 일어나지 않아 침전이 불가능하며, 4.3M 초과인 경우, Ti3 +와 산소와의 반응이 폭발적으로 진행되어, 결정상의 루타일상이 형성된다.
상기 공정에서, HCl 용액의 희석을 위한 염기성 용액 첨가는 없으며, 물반응을 통해서만 클로라이드 이온과 염소가스를 제거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공정에서 수용액의 온도를 50 내지 200℃로 변화시키며, 침전반응을 실시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50 내지 90℃에서는 루타일상이 형성될 수 있으며, 90 내지 150℃에서는 아나타제상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150 내지 200℃에서는 아나타제 및 루타일 복합상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온도에 따른 상변화는 Ti3+이온의 활성화 에너지에 따른 결과이다.
상기 제조된 이산화티타늄(TiO2)침전물과 HCl용액, 클로라이드 부유물은 필터링을 통해 이산화티타늄 침전물을 남긴 후, 수용액은 제거할 수 있다.
상기 TiO2침전물의 세척을 위해서는 증류수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TiO2침전물은 0.05㎛이하의 여과지를 통해 여과시킨 후, 60℃이하의 온도에서 건조를 통해 최종 이산화티타늄 나노 분말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구현예에서는, 결정상과 비정질상의 중간 형태인 준결정상을 갖는 이산화티타늄 나노 분말과 알칼리 용액의 반응에 의해 제조되어 일방향성(one-dimensional)을 갖는 타이타네이트(titanate)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일방향성 타이타네이트는 나노튜브, 나노시트, 나노와이어 또는 나노로드 형태일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이러한 일방향성 타이타네이트는 에너지 소재(예를 들어, 이차 전지의 음극 재료)로 이용되는 경우 전기적 특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상기 일방향성 타이타네이트는 전술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이산화티타늄 나노 분말을 알칼리 수용액 5 내지 25M과 반응시켜 수득할 수 있다.
상기 농도 범위가 5M 미만인 경우, Ti-O-Ti 결합을 파쇄할 수 없으며, 25M 초과인 경우, Ti-O-Ti 결합자체가 완전히 끊어져 비정질 상태가 된다.
상기 알칼리 수용액은 LiOH, KOH, NaOH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산화티타늄 나노 분말과 상기 알칼리 수용액 반응 조건은 80 내지 350℃ 온도에서 6 내지 20시간일 수 있다.
상기 반응 온도가 80℃ 미만인 경우, Ti-O-Ti 결합해제에 의해 형성된 층상 Ti-O-Ti가 표면에너지를 부가하기 위한 활성화에너지 저하로 인해 나노일방향성 분말을 제조할 수 없으며, 350℃ 초과인 경우, 과다한 활성화에너지로 인해 일방향성이 해제되고 다시 구형의 나노 분말로 변하게 된다.
상기 이산화티타늄 나노 분말과 상기 알칼리 수용액은 중량비로 8:2 내지 6:4로 반응될 수 있다. 상기 범위는 일방향성 타이타네이트를 제조하기에 효과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구현예에서는, 전술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일방향성 타이타네이트와 수산화리튬(LiOH)의 반응에 의해 제조된 리튬 타이타네이트 나노 분말을 제공한다.
상기 리튬 타이타네이트 나노 분말은 전술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타이타네이트와 수산화리튬(LiOH) 10 내지 30mol를 반응시킨 후 이를 400 내지 1200℃로 가열하는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효과적으로 리튬 타이타네이트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리튬 타이타네이트는 리튬 이차 전지의 음극 활물질로 이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를 기재한다. 그러한 하기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일뿐 본 발명이 하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예 1: 이산화티타늄 나노 분말의 제조
97%이상의 TiCl4용액 500ml에 증류수 3500ml에 서서히 반응시켜, Ti3+이온의 농도가 0.9M이 되도록 첨가한다.
이 때, 안정한 Ti의 이온은 Ti4+이온이 형성되어, 최종 TiCl4를 형성하게 되나, 물이 불충분하게 되면, 클로라이드 이온과의 반응을 위해, Ti 양이온 분할에 의해, Ti3+이온이 물과 반응하게 된다.
상기 반응물은 급격한 핵반응에 의해 TiOCl2수용성 고체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반응을 유지한 후, Ti3+이온의 농도를 3.2M이 되도록, 물을 첨가한 후, 교반을 통해 TiOCl2수용액을 제조한다.
상기 3.2M은 가장 이상적인 몰랄농도이며, 앞서 언급한, 1.5M 내지 4.3M의 농도에서도 TiOCl2수용액은 제조될 수 있다.
이 때, 교반기 온도를 50 또는 100로 변화시키며, 침전반응을 실시한다. 1시간 동안 침전반응을 진행한 후, 침전된 침전물과 수용액은 0.05㎛의 여과지를 통해 TiO2침전물을 여과한 후, 증류수를 통해 클로라이드이온을 제거하고, 남아있는 HCl를 제거한다.
실시예 2: 일방향성 티타네이트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이산화티타늄을 이용하여, 10M의 NaOH와 반응시킨 후, 다양한 온도 및/또는 시간에서 반응시켜, 일방향성 티타네이트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리튬 티타네이트의 제조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된 일방향성 이산화티타늄나노튜브와 LiOH를 40 내지 1200℃로 열처리하여 리튬 티타네이트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코인형 반쪽 전지의 제조
상기 실시예 3에서 제조된 리튬 티타네이트를 음극 활물질로 하고, 도전제로 케첸 블랙(ketjen black), 바인더로 폴리 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polyvinylidene fluoride, PVdF)fmf 90:2:8의 중량비로 혼합하고, 이들을 용매인 N-메틸-2-피롤리돈(N-methyl-2-pyrrolidone, NMP)와 함께 혼합하여 음극 슬러리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음극 슬러리를 구리 집전체의 일면에 도포하고, 약 130 ℃에서 2 시간 동안 건조한 후, 1.4875 cm2크기의 음극을 제조하였다.
에틸렌 카보네이트(EC) 및 디에틸 카보네이트(DEC)를 1:2의 부피비로 혼합하고, 상기 비수전해액 용매에 LiPF6를 첨가하여 1M LiPF6비수전해액을 제조하였다.
양극으로 리튬 금속 호일(foil)을 사용하며, 양 전극 사이에 폴리올레핀 분리막을 개재시킨 후, 상기 전해액을 주입하여 코인형 반쪽 전지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이산화티타늄 나노 분말의 투과전자현미경 사진
도 1은 실시예 1에 따른 이산화티타늄 나노 분말의 투과전자현미경사진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산화티타늄의 입자크기가 10nm 내지 50nm 정도의 입경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이산화티타늄의 XRD 피크 결과
도 2는 실시예 1에 따른 이산화티타늄 나노 분말의 XRD 피크를 나타낸다.
상기 실시예 1에 따른 이산화티타늄 나노 분말의 피크 비교를 위해 상용분말인 P-25(데구사), 기존 저온균일침전법을 이용해 제조된 Ishihara사 분말 및 상기 기존 저온 균일침전법을 이용해 제조된 Ishihara 분말을 열처리한 분말의 XRD 결과를 함께 도 2에 나타낸다.
도 2의 POSCO METHOD는 상기 실시예 1에 따른 이산화티타늄 나노 분말의 피크이고, P-25는 상용분말인 P-25(데구사)의 피크이고, HPPLT powder는 기존 저온균일침전법을 이용해 제조된 Ishihara사 분말의 피크이고, Heat-treated HPPLT powder는 기존 저온 균일침전법을 이용해 제조된 Ishihara 분말을 열처리한 분말의 피크이다.
그림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기존 방법에 의해 제조된 이산화티타늄의 경우, 결정성을 유지하고 있으나, 실시예 1에 따른 분말의 경우, 준안전상에 의해, 피크 브로드닝과 함께, 중앙픽이 시프트(shift)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기준분말로 사용되는 저온균일침전법에 의해 제조된 루타일결정상에 비해, XRD 피크가 준안정상형성에 의해 시프트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아나타제상 역시 기준상으로 나타낸 P-25(데구사)에 비해 XRD 피크가 시프트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XRD 피크의 시프트는 준안정상형성에 의해 기준 결정구조보다 비정질상 양이 증가하여, 결정성이 사라졌기 때문이다.
실험예 3: 일방향성 티타네이트의 주사전자현미경 사진
도 3은 실시예 2에 따른 일방향성 티타네이트의 주사전자현미경사진이다.
실시예 2와의 비교를 위해 기존 상용분말인 P-25(데구사)를 이용하여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한 티타네이트의 주사전자현미경사진을 도 2에 함께 나타내었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에 따른 분말의 경우, 준안전상 결정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알칼리 용액에 보다 용이하게 용해되어 일방향성 분말을 용이하게 형성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나, 기존 상용화분말을 이용할 경우, 결정성에 의한 용해성 저하로 인해, 일방향성 형태가 아닌 소량의 일방향성 형태와 구형의 이산화티타늄이 복합적으로 존해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4는 다양한 결정성의 이산화티타늄 입자를 이용하여 제조된 티타네이트의 주사전자현미경 사진이다.
도 4 내 (a)는 루타일형의 이산화티타늄 입자를 이용한 티타네이트(알드리치사)이고, (b)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티타네이트이고, (c)는 P-25(데구사) 이산화티타늄 입자를 이용한 티타네이트이고, (d)는 아나타제형의 이산화티타늄 입자를 이용한 티타네이트(알드리치사)이다.
도 4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용분말을 사용할 경우, 안정한 결정상에 의해, 일방향성 물질이 제조되지 않고, 구형의 이산화티타늄과 일방향성 물질이 공존함을 볼 수 있다.
특히, 아나타제, 루타일, 아나타제/루타일 복합상인 P-25를 사용하여도, 일관적으로 일방향성과 구형이 복합적으로 형성됨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실시예 2을 통해 제조된 이산화티타늄을 사용할 경우, 나노튜브형태인 일방향성이 균일하게 형성됨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4: 반응 조건에 따른 일방향성 티타네이트의 주사전자현미경 사진
도 5는 실시예 2에서 반응 조건을 변화시키면서 제조한 티타네이트의 주사전자현미경사진이다.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열합성 온도 및/또는 시간의 변화에 따라, 나노와이어, 나노튜브, 나노쉬트 등 일방향성 형태를 자유롭게 변화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5: 코인형 반쪽 전지의 특성 평가
도 6은 상기 실시예 4에 따른 코인형 반쪽 전지의 특성을 평가한 데이터이다.
도 6에서, TNT는 상기 실시예 2의 나노 튜브형 티타네이트이고, p-TNW는 상용화된 피치(pitch) 코팅된 나노 와이어형 티타네이트이고, p-TiO2는 상용화된 피치 코팅된 TiO2입자이고, C-LTO는 상용화된 LTO 입자이다.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인형 반쪽 전지의 특성 및 수명이 기존 분말 대비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결과는 일방향성 나노 튜브 내의 빈 공간에 리튬이 저장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이 존재하며, 이는 이산화티타늄 나노튜브의 결정구조가 안정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기존 리튬 티타네이트 대비,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리튬 티타네이트는 결정성이 우수하여, 리튬이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이 충분하고, 반복적인 리튬의 삽입, 탈리에도 불구하고, 안정한 결정상이 리튬의 삽입과 탈리를 가능케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1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a) TiCl4용액과 물을 혼합하여 젤리(jelly) 형태의 TiOCl2를 준비하는 단계; 및
    (b) 상기 젤리 형태의 TiOCl2와 물을 혼합하는 수열 반응을 통해 결정상과 비정질상의 중간 형태인 준결정상을 갖는 이산화티타늄 나노 분말을 수득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a) 단계는 Ti3+이온 농도가 0.1 내지 1.3M이 되도록 물의 양을 제어하고,
    상기 (b) 단계는 Ti3+이온 농도가 1.5 내지 4.3M이 되도록 물의 양을 제어하는 것인 이산화티타늄 나노 분말의 제조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의 수열 반응은 50 내지 200℃의 온도로 가열하는 것인 이산화티타늄 나노 분말의 제조 방법.
  9. 삭제
  10. 삭제
  11. 제7항에 따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이산화티타늄 나노 분말을 알칼리 수용액 5 내지 25M과 반응시켜 일방향성(one-dimensional) 타이타네이트(Titanate)를 수득하는 것인 타이타네이트의 제조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알칼리 수용액은 LiOH, KOH, NaOH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타이타네이트의 제조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이산화티타늄 나노 분말과 상기 알칼리 수용액 반응 조건은 80 내지 350℃ 온도에서 6 내지 20시간 동안 반응시키는 것인 타이타네이트의 제조 방법.
  14. 삭제
  15. 제11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타이타네이트와 수산화리튬(LiOH) 10 내지 30mol를 반응시킨 후 이를 400 내지 1200℃로 가열하는 것인 리튬 타이타네이트 나노 분말의 제조방법.
KR1020110145368A 2011-12-29 2011-12-29 이산화티타늄 나노분말, 타이타네이트, 리튬 타이타네이트 나노 분말 및 이들의 제조 방법 KR1014316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5368A KR101431693B1 (ko) 2011-12-29 2011-12-29 이산화티타늄 나노분말, 타이타네이트, 리튬 타이타네이트 나노 분말 및 이들의 제조 방법
PCT/KR2012/011529 WO2013100608A1 (ko) 2011-12-29 2012-12-27 이산화티타늄 나노분말, 타이타네이트, 리튬 타이타네이트 나노 분말 및 이들의 제조 방법
US14/369,555 US9260316B2 (en) 2011-12-29 2012-12-27 Titanium dioxide nanoparticle, titanate, lithium titanate nanoparticle, and preparation methods thereof
AU2012360322A AU2012360322B2 (en) 2011-12-29 2012-12-27 Titanium dioxide nanopowder, titanate, lithium titanate nanopowder, and preparation methods thereof
JP2014545837A JP5877249B2 (ja) 2011-12-29 2012-12-27 二酸化チタンナノ粉末、チタネート、リチウムチタネートナノ粉末及びこれらの製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5368A KR101431693B1 (ko) 2011-12-29 2011-12-29 이산화티타늄 나노분말, 타이타네이트, 리튬 타이타네이트 나노 분말 및 이들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6935A KR20130076935A (ko) 2013-07-09
KR101431693B1 true KR101431693B1 (ko) 2014-08-22

Family

ID=48697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5368A KR101431693B1 (ko) 2011-12-29 2011-12-29 이산화티타늄 나노분말, 타이타네이트, 리튬 타이타네이트 나노 분말 및 이들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260316B2 (ko)
JP (1) JP5877249B2 (ko)
KR (1) KR101431693B1 (ko)
AU (1) AU2012360322B2 (ko)
WO (1) WO201310060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531839A (ja) * 2013-09-16 2016-10-13 ナンヤン テクノロジカル ユニヴァーシティー 長尺状チタネートナノチューブ、その合成方法、及びその使用
US20200095168A1 (en) * 2018-09-21 2020-03-26 Saint-Gobain Ceramics & Plastics, Inc. High pore volume titanium dioxide ceramic materials and methods of making thereof
CN109821525A (zh) * 2019-03-28 2019-05-31 东北林业大学 一种负载生物质碳点缺陷二氧化钛光催化剂的制备方法
KR102199812B1 (ko) * 2019-05-15 2021-01-07 (주)다인스 습식 나노 분말 제조방법
CN112707726B (zh) * 2020-02-24 2022-12-20 中国科学院深圳先进技术研究院 一种钛酸钡纳米粉体制备方法
CN111533163B (zh) * 2020-05-20 2022-04-19 中国科学技术大学 一种锂离子电池负极用黑色钛酸锂材料及其制备方法以及应用
KR102438000B1 (ko) * 2020-10-27 2022-08-29 한국세라믹기술원 자외선 차단제용 이산화티타늄 나노입자의 제조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01993A (ko) * 2007-05-17 2008-11-24 주식회사 엘지화학 나노구조 형태의 리튬 티탄 산화물
KR20100083730A (ko) * 2009-01-13 2010-07-22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결정성 이산화티탄 분말의 제조 방법, 음극 활물질의 제조 방법, 음극 활물질 및 리튬 이차 전지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57566B2 (ja) * 1997-03-06 2002-12-16 名古屋市 結晶質チタニア微粒子/粘土複合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154515B2 (ja) 1998-06-02 2008-09-24 株式会社村田製作所 TiO2 粉体の製造方法
KR100277164B1 (ko) * 1998-07-16 2001-01-15 장인순 저온균질침전법을이용한사염화티타늄수용액으로부터의결정성tio₂초미립분말의제조방법
KR100350226B1 (ko) 2000-02-29 2002-08-27 나노케미칼 주식회사 저온균일침전법으로 큰 비표면적을 갖도록 제조된 광촉매용 이산화티탄 분말 및 그 제조방법
KR20020031359A (ko) * 2002-01-28 2002-05-01 김영도 티타니아 습윤겔 및 그의 제조방법
ATE547380T1 (de) 2002-06-25 2012-03-15 Univ Aalbor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produktes mit sub-microner primär-teilchengrösse und apparat zur anwendung des verfahrens
KR100594634B1 (ko) * 2003-06-04 2006-07-03 김선재 고활성 광촉매 이산화티탄계 복합분말의 제조방법
KR100539613B1 (ko) 2003-08-28 2005-12-29 학교법인 한양학원 광촉매제용 이산화티타늄 분말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이산화티타늄 분말
US7326399B2 (en) * 2005-04-15 2008-02-05 Headwaters Technology Innovation, Llc Titanium dioxide nanoparticles and nanoparticle suspension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7763565B2 (en) 2007-08-31 2010-07-27 Millennium Inorganic Chemicals, Inc. Transparent, stable titanium dioxide sols
JP4997569B2 (ja) 2007-09-14 2012-08-08 独立行政法人産業技術総合研究所 ナノ結晶集積TiO2及びその作製方法
CN101955222A (zh) * 2009-12-03 2011-01-26 东华大学 锐钛矿相二氧化钛溶胶的制备方法
CA2794633A1 (en) * 2010-05-21 2011-11-24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rocess for making titanium compounds
JP2012096965A (ja) * 2010-11-02 2012-05-24 Toyohashi Univ Of Technology 多孔質酸化チタン、水素検知体およびそれらの製造方法ならびに水素センサおよび光電変換素子
US9786912B2 (en) * 2011-04-28 2017-10-10 Ishihara Sangyo Kaisha, Ltd. Titanium raw material for lithium titanate production and method for producing lithium titanate using sam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01993A (ko) * 2007-05-17 2008-11-24 주식회사 엘지화학 나노구조 형태의 리튬 티탄 산화물
KR20100083730A (ko) * 2009-01-13 2010-07-22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결정성 이산화티탄 분말의 제조 방법, 음극 활물질의 제조 방법, 음극 활물질 및 리튬 이차 전지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Chem. Commun., Vol.46, pp.6801-6803 (2010) *
Chem. Commun., Vol.46, pp.6801-6803 (2010)*
J.Phys.Chem.B., Vol.103, pp.2614-2619 (1999) *
J.Phys.Chem.B., Vol.103, pp.2614-2619 (1999)*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2360322A1 (en) 2014-07-24
KR20130076935A (ko) 2013-07-09
US9260316B2 (en) 2016-02-16
US20140363368A1 (en) 2014-12-11
AU2012360322B2 (en) 2015-11-05
JP2015505807A (ja) 2015-02-26
JP5877249B2 (ja) 2016-03-02
WO2013100608A1 (ko) 2013-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1693B1 (ko) 이산화티타늄 나노분말, 타이타네이트, 리튬 타이타네이트 나노 분말 및 이들의 제조 방법
Shim et al. Facile hydrothermal synthesis of porous TiO2 nanowire electrodes with high-rate capability for Li ion batteries
US20140248531A1 (en)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for energy storage devices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JP5400607B2 (ja) 電極活物質及びそれを用いてなるリチウム電池
KR101856994B1 (ko) 리튬 이온 전지 음극 소재용 리튬 티타늄 산화물 제조방법
KR102136682B1 (ko) 계층화된 스피넬 티탄산 리튬들 및 이를 준비하기 위한 프로세스들
KR101364398B1 (ko) 나노구조 형태의 리튬 티탄 산화물
Gao et al. Porous anatase-TiO2 (B) dual-phase nanorods prepared from in situ pyrolysis of a single molecule precursor offer high performance lithium-ion storage
CN113348150B (zh) 钛氧化物、钛氧化物的制造方法以及使用含有钛氧化物的电极活性物质的锂二次电池
JP6636254B2 (ja) 蓄電デバイス用チタン系構造体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該チタン系構造体を用いた電極活物質、電極活物質層、電極、及び蓄電デバイス
Li et al. Unveiling the formation mechanism and phase purity control of nanostructured Li4Ti5O12 via a hydrothermal process
Monti et al. Microwaves as a synthetic route for preparing electrochemically active TiO2 nanoparticles
KR101088268B1 (ko) 나노 튜브 형태의 리튬 티탄 산화물
CN108975390B (zh) 一种线状分级结构钛酸锂及其制备方法和应用
JP7307925B2 (ja) 電極材料及びそれを用いた電極、電池
KR102466387B1 (ko) 나트륨 이차전지용 음극활물질의 제조 방법, 이에 의하여 제조된 나트륨 이차전지용 음극활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나트륨 이차전지
JP6370531B2 (ja) 蓄電デバイス用棒状チタン系構造体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該チタン系構造体を用いた電極活物質、電極活物質層、電極、及び蓄電デバイス
WO2024195719A1 (ja) チタン酸凝集体
JP6396550B2 (ja) 蓄電デバイス用棒状チタン系構造体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該チタン系構造体を用いた電極活物質、電極活物質層、電極、及び蓄電デバイス
Nachit et al. TiO2 nanoparticles prepared by sol-gel method for anode application in lithium-ion batteries
US20240258560A1 (en)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Wu Nanostructured titanium dioxide-based materials for lithium-ion batteries
Yarali Novel expanded titanate based materials for energy applications
Cao et al. V 2 O 5 electrodes with high power and energy densities
WO2019058822A1 (ja) チタン酸化物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該チタン酸化物を用いた電極活物質及び蓄電デバイ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