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2632B1 - 뽕잎차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뽕잎차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2632B1
KR101422632B1 KR1020070105407A KR20070105407A KR101422632B1 KR 101422632 B1 KR101422632 B1 KR 101422632B1 KR 1020070105407 A KR1020070105407 A KR 1020070105407A KR 20070105407 A KR20070105407 A KR 20070105407A KR 101422632 B1 KR101422632 B1 KR 1014226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lberry
mulberry leaf
present
leaf tea
mulberry leav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54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39914A (ko
Inventor
박원도
Original Assignee
오영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영님 filed Critical 오영님
Priority to KR10200701054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2632B1/ko
Publication of KR200900399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99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26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26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06Treating tea before extraction;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06Treating tea before extraction;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 A23F3/12Rolling or shredding tea lea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40Tea flavour; Tea oil; Flavouring of tea or tea extrac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뽕잎차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뽕잎을 재료로 하여 뽕잎차를 제조함에 있어서, 뽕잎차가 우수한 관능성 및 뽕잎의 기능성 효과는 물론 차로서의 맛과 향취를 향상시켰으며 건조한 후 최적의 볶음조건에 볶는 단계를 포함하는 뽕잎차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에 따른 본 발명 뽕잎차 제조방법은 선별과정, 세척과정, 커팅과정, 건조(덖음)과정, 저온숙성과정, 볶음(가향)과정, 포장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 뽕잎차 제조방법의 상기 선별과정은 5월에서 11월에 재취한 뽕잎 중 차로 사용가능한 것만 선발하고, 상기 세척과정은 상온의 물로써 세척하는 것으로 뽕잎에 묻은 먼지 등과 같은 오물을 제거하고, 상기 커팅과정은 뽕잎의 크기를 일정한 크기로 세정(커팅)하는 공정이며, 상기 건조(덖음)과정은 뽕잎을 세척하는 과정에서 뽕잎이 흡수한 수분을 제거하는 과정으로 덖음기를 통하여 약 250℃에서 15 ~ 25분간 수행하여 수분을 약 10% 미만을 남기고 건조하고, 상기 저온숙성단계는 뽕잎을 약 0 ~ 40℃에서 약 24시간 동안 숙성하는 단계로써 뽕잎의 향과 맛을 향상시키고, 상기 볶음(가향)과정은 덖음기를 사용하여 약 200℃에서 10분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뽕잎, 건조(덖음)과정, 저온숙성과정, 볶음(가향)과정

Description

뽕잎차 제조방법{PROCESS OF MAKING MULBERRY LEAVES TEA}
도 1은 본 발명 뽕잎차의 제조공정도
도 2는 덖음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본 발명은 뽕잎차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뽕잎을 재료로 하여 뽕잎차를 제조함에 있어서, 뽕잎차가 우수한 관능성 및 뽕잎의 기능성 효과는 물론 차로서의 맛과 향취를 향상시켰으며 건조한 후 최적의 볶음조건에 볶는 단계를 포함하는 뽕잎차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뽕나무(Mulberry, Morus spp)는 뽕나무과, 뽕나무속의 교목성 활엽수로서, 한대에서 열대에 이르기까지 넓은 지역에 분포해 있다.
상기 뽕나무는 예로부터 농가에서 재배하고 있는 중요한 작물로서 농가에서는 그 뽕잎을 누에의 사료로 사용하고 있으며, 한방에서는 그 상근백피를 중요한 생약제로 이용하고 있다.
상기 뽕나무는 현재 직접 및 간접적으로 양잠, 뽕잎차, 뽕국수, 뽕과자류, 누에 번데기 술, 실크 국수, 실크 분말 및 실크 비누 등의 가공품에 이용되고 있다.
상기 뽕나무는 한방에서 그 약리작용을 이용하여 유행성 이하선염, 폐결핵, 만성요퇴통, 타박상, 급성관절염, 악창, 강장, 중풍, 이뇨, 진해 등의 치료약으로 사용되고 있고, 상근백피는 발모촉진제, 오디를 이용한 천연 염색제와 항당뇨제 및 누에를 이용한 천연강장제 및 대체 의약품개발 등의 소재로서 활용되고 있다.
동의보감(東醫寶鑑)에 의하면 뽕잎은 인체내부와 혈관속의 노폐물을 없애주는 역할을 하여 중풍, 비만, 관절염, 부종, 해수 및 천식 등의 질병을 치료와 예방에 효과적일 뿐만 아니라 혈당과 혈압의 강하작용, 소화기능을 촉진시켜 소변을 잘 보게하며 갈증도 없애 준다고 하였다.
또한 뽕잎은 습(염증)을 없애고, 여위게 하니 살찐 사람이 늘 먹으면 좋고, 각기와 소변에 효과가 뛰어나며, 편풍과 일체의 풍을 예방하고, 음식을 소화시키며, 기를 내려 입이 마르는 것을 예방하니 차를 만들어 먹으면 좋고, 자양강장제로서 여러 가지 질환을 예방하는데 대단히 유익한 식물로 알려져 있다.
그리고 본초강목(本草綱目)에는 상백피가 맛은 쓰고, 성질은 평(平)하며, 간경(刊經)에 작용해 풍습(風濕)을 없애고 뼈마디를 부드럽게 하며, 비증(痺症), 진해(鎭咳), 이수(履修), 관절염, 사지마비, 각기(脚氣), 고혈압, 부증(浮症)에 좋다고 기록되어 있다.
상기 뽕잎은 글루코사이드(Glucoside), 비타민 C, 비타민 B1, 비타민 B2 등 50여 종의 성분이 포함되어 있고 당뇨병 치료와 혈압 및 혈당강하, 항암, 노화방지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특히 혈관 강화 작용이 있는 감마 아미노 부티르산(γ-aminobytyric acid, GABA)이 함유되어 있음이 밝혀졌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우수한 기능성을 지니는 뽕나무의 잎을 이용하여 차를 제조하는 것에 관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잎을 이용하여 차를 제조할 때 잎은 볶음공정을 거치게 되는바, 특히 본 발명은 뽕잎차의 최적 관능성을 위해 가열, 건조한 후 최적의 볶음조건으로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뽕잎차의 제조방법을 요점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발명된 것으로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가진다.
본 발명은 뽕잎을 재료로 하여 뽕잎차를 제조함에 있어서, 뽕잎차가 우수한 관능성 및 뽕잎의 기능성 효과는 물론 차로서의 맛과 향취를 향상시켰으며 건조(덖음)한 후 최적의 볶음(가향)조건에 볶는 단계를 포함하는 뽕잎차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하여 구현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 뽕잎차 제조방법은 선별과정, 세척과정, 커팅과정, 건조(덖음)과정, 저온숙성과정, 볶음(가향)과정, 포장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 뽕잎차 제조방법의 상기 선별과정은 5월에서 11월에 재취한 뽕잎 중 차로 사용가능한 것만 선발하고, 상기 세척과정은 상온의 물로써 세척하는 것으로 뽕잎에 묻은 먼지 등과 같은 오물을 제거하고, 상기 커팅과정은 뽕잎의 크기를 일정한 크기로 세정(커팅)하는 공정이며, 상기 건조(덖음)과정은 뽕잎을 세척하는 과정에서 뽕잎이 흡수한 수분을 제거하는 과정으로 덖음기를 통하여 약 250℃에서 15 ~ 25분간 수행하여 수분을 약 10% 미만을 남기고 건조하고, 상기 저온숙성단계는 뽕잎을 약 0 ~ 40℃에서 약 24시간 동안 숙성하는 단계로써 뽕잎의 향과 맛을 향상시키고, 상기 볶음(가향)과정은 덖음기를 사용하여 약 200℃에서 10분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출원인은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앞서 본 실시예들의 결합관계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뽕잎차의 제조공정도, 도 2는 덖음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선별과정, 세척과정, 커팅과정, 건조(덖음)과정, 저온숙성과정, 볶음(가향)과정, 포장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선별과정은 5월에서 11월에 재취한 뽕잎 중 차로 사용가능한 것만 선발 한다.
상기 선별과정이 끝나면 세척과정을 수행한다.
상기 세척과정은 상온의 물로써 세척하는 것으로 뽕잎에 묻은 먼지 등과 같은 오물을 제거하는 과정이다.
상기 세척과정이 끝나면 커팅과정을 수행한다.
상기 커팅과정은 뽕잎의 크기를 일정한 크기로 세정(커팅)하는 공정으로 이하 설명할 포장에 따른 제품에 따라 크기가 결정된다.
상기 커팅과정이 끝나면 건조(덖음)과정을 수행한다.
상기 건조(덖음)과정은 뽕잎을 세척하는 과정에서 뽕잎이 흡수한 수분을 제거하는 과정으로 덖음기를 통하여 약 250℃에서 15 ~ 25분간 수행한다.
상기 과정 중 뽕잎이 흡수한 수분은 약 10% 미만을 남기고 건조된다.
상기 건조(덖음)과정이 끝나면 저온숙성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저온숙성단계는 뽕잎을 약 0 ~ 40℃에서 약 24시간 동안 숙성하는 단계로써 뽕잎의 향과 맛을 향상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저온숙성단계가 끝나면 볶음(가향)과정을 수행한다.
상기 볶음(가향)과정은 덖음기를 사용하여 약 200℃에서 10분간 수행한다.
상기 볶음(가향)과정에 사용되는 덖음기는 본 출원인이 2006년 02월 22일 출원한 것으로, 그 구조를 살펴보면 장방형의 판체(110) 양측에 회동축(120)이 마련되고 전방 일측에 회동손잡이(130)가 형성된 받침판(100)과;
상기 받침판(100)의 하단 양측에 삼각형상의 지지다리(210)를 설치하되, 상 기 지지다리(210) 상단에 지지브라켓(220)을 마련하여 상기 받침판(100)이 회동가능하도록 회동축(120)을 삽입 형성하고 그 후방에 상기 받침판(100)이 일정 경사만큼 후방으로 기울어지게 정지시키는 정지바(230)로 구성된 지지프레임(200)과;
상기 받침판(100) 일측 상단에 안착 설치하되, 한 쌍의 지지대(310)를 마련하여 회전축(320)을 삽입하고 상기 지지대(310) 일측 하단에 설치되는 구동모터(330)의 구동에 의해 벨트와 벨트풀리에 접속되어 회전하도록 구성된 구동부(300)와;
상기 구동부(300) 전방과 받침판(100) 상부에 씌워져 열 손실을 방지하도록 고정 설치하되, 전후방에 통공(410)이 형성된 케이스(400)와;
상기 케이스(400) 내부에 위치하되, 회전축(320) 일측에 편심되게 설치되는 원형의 판체(511) 내측에 안착홈(512)이 형성되고 그 외측에 다수의 나사봉(513)이 결합된 회전원판(510)의 일측에 나사봉(513)과 대응되도록 다수의 통공(521)이 형성되어 볼트(522)체결되며 내측에 결합공(523)이 형성되고 그 외측에 레일(524)이 형성된 단면형상이 "T" 자 형상의 원형테(520)로 구성된 회전부(500)와;
상기 회전원판(510)의 안착홈(512)에 안착되고 그 일측 외부에 원형테(520)가 삽입되어 고정설치되는 도기(600)와;
상기 받침판(100)의 다른 일측 상단에 설치되어 도기(600)를 가열할 수 있도록 하는 가열버너(800)와;
상기 가열버너(800) 전방에 설치되고 상기 편심회전되는 원형테(520)의 레일(524)과 일치되게 하단에 설치되어 지지하되, 상하 유동 가능하도록 내부에 스프 링이 설치된 한 쌍의 지지 롤러(90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과정이 끝나면 뽕잎에 남아있던 수분이 제거되고, 이후 포장되는 제품에 따라 가공할 수 있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상기 볶음(가향)과정이 끝나면 포장과정을 수행한다.
상기 포장과정은 제품에 따라 볶음상태, 분말상태 등으로 포장된다.
상기 뽕잎차 제조방법에 따른 성분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검사항목 비교예 실시예
조단백질(%) 25~35 9.8
조지방(%) 3.5 2.7
조섬유(%) 10.7 23.3
조회분(%) 7.2 9.8
칼슘(mg/kg) 2.699 20.2
철(mg/kg) 44 1.7
칼륨(mg/kg) 3.101 22.7
비타민c(mg%) 32 418.6
상기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표 1의 결과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전체적인 기호도에서 가장 적합한 실시예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본 발명은 앞서 본 구성에 의하여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 뽕잎차의 제조방법은 뽕잎을 재료로 하여 뽕잎차를 제조함에 있어서, 뽕잎차가 우수한 관능성 및 뽕잎의 기능성 효과는 물론 차로서의 맛과 향취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2)

  1. 삭제
  2. 뽕잎의 선별과정과, 선별된 뽕잎을 상온의 물로 세척하는 세척과정 및 제조된 뽕잎차의 포장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뽕잎차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선별과 세척하는 과정을 거친 뽕잎의 크기를 일정한 크기로 세정(커팅)하는 커팅과정과;
    상기 커팅과정에서 일정한 크기로 커팅된 뽕잎을 덖음기를 사용하여 250℃에서 15 ~ 25분간 건조하여 세척과정에서 뽕잎이 흡수한 수분을 10% 미만으로 되게 건조하는 건조과정과;
    상기 건조과정을 거친 뽕잎을 0 ~ 40℃에서 24시간 동안 숙성하는 저온숙성과정; 및
    상기 저온숙성과정에 의해 숙성된 뽕잎을 덖음기를 사용하여 200℃에서 10분간 볶음(가향)을 수행하는 볶음(가향)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뽕잎차 제조방법.
KR1020070105407A 2007-10-19 2007-10-19 뽕잎차 제조방법 KR1014226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5407A KR101422632B1 (ko) 2007-10-19 2007-10-19 뽕잎차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5407A KR101422632B1 (ko) 2007-10-19 2007-10-19 뽕잎차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9914A KR20090039914A (ko) 2009-04-23
KR101422632B1 true KR101422632B1 (ko) 2014-07-24

Family

ID=40763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5407A KR101422632B1 (ko) 2007-10-19 2007-10-19 뽕잎차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263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87767A (zh) * 2012-06-14 2012-09-26 洪双应 桑叶茶的制备方法
KR102093990B1 (ko) * 2017-10-31 2020-03-26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상엽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위축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KR101942429B1 (ko) * 2017-10-31 2019-01-25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상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관절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CN111357848A (zh) * 2020-04-23 2020-07-03 刀兴魁 一种桑叶茶饼生产工艺
CN112997790B (zh) * 2021-02-07 2022-06-03 杭州国慷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桑叶的培育和加工方法
KR102643210B1 (ko) * 2021-03-24 2024-03-05 더불어 주식회사 감귤과피 차의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58566A (ko) * 1997-02-26 1997-08-12 김영희 뽕잎을 이용한 차의 제조방법
KR100406156B1 (ko) * 2002-01-14 2003-11-14 최진상 뽕나무차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58566A (ko) * 1997-02-26 1997-08-12 김영희 뽕잎을 이용한 차의 제조방법
KR100406156B1 (ko) * 2002-01-14 2003-11-14 최진상 뽕나무차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9914A (ko) 2009-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2632B1 (ko) 뽕잎차 제조방법
CN101341949B (zh) 一种杂粮咀嚼片及其制备方法
KR101027128B1 (ko) 시래기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CN1647693A (zh) 一种添加了罗汉果提取物的甜味剂及其制备方法
US20200404953A1 (en) Nutritional recombination ric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CN105265690A (zh) 一种青钱柳苦瓜茶及其制作方法
CN104207045A (zh) 一种益生元蓝莓玫瑰茄复合速溶粉的制备方法
KR101046537B1 (ko) 감귤, 톳, 청국장가루, 메밀을 함유하는 국수, 칼국수 및 냉면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면류
KR20090123499A (ko) 딸기가 포함되어 있는 엿 제조방법
CN102783623A (zh) 富硒紫薯粉加工工艺方法
KR101300378B1 (ko) 혈당강하 기능성 쌀 백일미 및 그 제조방법
KR101194882B1 (ko) 폴리페놀 함유 나노-매트릭스 구조를 가지는 타타리 메밀 탈피분말 차의 제조 방법
KR101813446B1 (ko) 매실 추출액을 이용한 국수제조방법
KR102036962B1 (ko) 감태 추출물 등을 이용한 항당뇨 조성물
CN108576570A (zh) 一种巴旦木加工工艺
KR20090039915A (ko) 뽕나무차(상지차) 제조방법
CN110101003A (zh) 一种桑叶面粉及其制备方法
KR102120461B1 (ko) 비타민나무가 첨가된 냉면 면발의 제조 방법
KR102120463B1 (ko) 비타민나무가 첨가된 칼국수 면발의 제조 방법
CN105851139A (zh) 一种铁皮石斛叶蛋糕及其生产方法
KR101766288B1 (ko) 사과현미국수와 그 제조방법
KR100815197B1 (ko) 인삼 탁주 및 그 제조방법
CN102687827B (zh) 一种糙米表皮和胚芽发酵食品及其制作方法
KR20100100296A (ko) 천연재료를 함유한 떡의 제조방법
KR102629891B1 (ko) 검정콩청국장분말 및 파이토케미컬 함유 재료를 첨가한 단백질 셰이크 및 그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