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3210B1 - 감귤과피 차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감귤과피 차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3210B1
KR102643210B1 KR1020210037959A KR20210037959A KR102643210B1 KR 102643210 B1 KR102643210 B1 KR 102643210B1 KR 1020210037959 A KR1020210037959 A KR 1020210037959A KR 20210037959 A KR20210037959 A KR 20210037959A KR 102643210 B1 KR102643210 B1 KR 1026432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trus peel
temperature
tea
citrus
produ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79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32872A (ko
Inventor
김영기
박홍숙
김세재
고희철
Original Assignee
더불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더불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더불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379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3210B1/ko
Publication of KR202201328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28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32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32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06Treating tea before extraction;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 A23F3/14Tea preparations, e.g.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 A23F3/18Extraction of water soluble tea constitu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34Tea substitutes, e.g. matè; Extracts or infusion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20Freez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24Heat, thermal treatm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repara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감귤과피 차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과육으로부터 분리된 감귤과피를 로스팅하는 단계, 로스팅된 감귤과피를 저온저장하는 단계 및 저온저장된 감귤과피를 열수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감귤과피 차의 제조방법을 이용하면, 과육으로부터 분리되어 폐기처분되는 감귤과피를 재활용하여 비타민 C가 다량 함유된 감귤과피 차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감귤과피 차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citrus peel tea}
본 발명의 감귤과피 차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감귤과피를 로스팅하고 저온저장한 후 열수추출함으로써, 추출효율을 향상시킬 수있는 감귤과피 차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감귤은 카로테노이드, 비타민 C, 플라보노이드, 리모노이드, 쿠마린 등의 기능성 물질이 함유되어 있어 암 예방, 면역증강, 항산화작용, 심장질환 예방, 각종 종양성장억제, 혈액순환 촉진작용, 고혈압 예방 등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특히 감귤류에 들어있는 베타크립토크산틴(β-cryptoxanthin)은 카로테노이드 성분으로 베타-카로텐(β-cartene)보다 발암억제 활성이 강하여 암 예방 효과가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종래의 감귤을 이용한 음료 조성물들은 감귤피를 제거한 과육만을 분리하여 분쇄하고 착즙한 다음 정제수 및 기타 첨가제 등을 일정비율로 혼합하여 음료로서 제공하고 있어 음료를 만드는 과정에서 감귤로부터 제거된 감귤피는 대부분 폐기처분되고 있는 실정이나, 상기 감귤피에는 감귤의 과육보다 대략 4배 정도 더 많은 비타민C를 함유하고 있을 뿐 아니라 항산화활성, 항균활성, 항바이러스활성, 항염활성 등의 생리 활성에 뛰어난 효능을 지닌 플라보노이드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감귤의 풍미를 최대한 보존하며, 감귤의 영양성분을 최대한 우려낼 수 있는 감귤과피 차 제조방법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17911호(2018.02.21. 공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과육으로부터 분리되어 폐기처분되는 감귤과피를 재활용할 수 있는 감귤과피 차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귤과피 차의 제조방법은 과육으로부터 분리된 감귤과피를 로스팅하는 단계, 로스팅된 감귤과피를 -2~6℃의 온도에서 저온저장하는 단계 및 저온저장된 감귤과피를 열수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로스팅하는 단계는, 150~300℃의 온도에서 10~60분 동안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저온저장하는 단계는, 로스팅된 감귤과피를 용매에 침지시킨 후 저온저장할 수 있다.
상기 용매는 증류수일 수 있다.
상기 저온저장하는 단계는, 24~48시간 동안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열수추출하는 단계는, 90~110℃의 온도에서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열수추출하는 단계 후, 분말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감귤과피 차는 상기한 방법으로 제조된다.
본 발명의 감귤과피 차의 제조방법을 이용하면, 과육으로부터 분리되어 폐기처분되는 감귤과피를 재활용하여 비타민 C가 다량 함유된 감귤과피 차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감귤과피를 저온저장한 후 열수 추출함으로써, 추출효율이 우수한 감귤과피 차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귤과피 차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귤과피 차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귤과피 차의 제조방법은 과육으로부터 분리된 감귤과피를 로스팅하는 단계(S100), 로스팅된 감귤과피를 -2~6℃의 온도에서 저온저장하는 단계(S200) 및 저온저장된 감귤과피를 열수추출하는 단계(S300)를 포함한다.
감귤과피를 로스팅하는 단계(S100) 전, 과육으로부터 분리된 감귤과피를 수세하고 절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감귤과피는 감귤의 과육이 분리되고 남은 껍질로서 일반적으로 폐기처분되거나 버려지는 부분이나, 감귤의 과육보다 대략 4배 정도 더 많은 비타민 C를 함유하고 있으며, 항산화물질인 비타민C의 다량 함유에 따라 신체를 활성산소로부터 보호하여 암, 동맥경화 등을 예방해 주며 면역체계를 강화시키고, 한방에서는 감기와 발한에 효과가 있고 소화촉진, 가래, 기침 등에 유효한 효과를 지닌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수세는 상기 과육으로부터 분리된 감귤과피를 자연 세척수 혹은 첨가물을 이용한 수세할 수 있으며, 상기 수세 과정을 통해 불순물이 제거되며, 바람직하게는 섭씨 30 ℃ 정도의 미지근한 물에서 수세하는 것이 좋다. 통상적인 수세과정과 유사한 방법으로 수세(세척)하게 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감귤과피는 3~5cm2의 일정한 크기로 절단하여 로스팅을 준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감귤과피를 절단함으로써, 로스팅 단계에서 감귤과피의 표면적을 높여서, 열 흡수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과육으로부터 분리된 감귤과피를 로스팅하는 단계(S100)이다.
상기 감귤과피를 로스팅함으로써, 재료를 볶을 때 느껴지는 구수한 맛을 함유하도록 하는 단계이다.
상기 감귤과피를 로스팅하는 단계는, 150~300℃의 온도에서 10~60분 동안 수행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50℃의 온도에서 20 분 동안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로스팅 온도가 150℃ 미만이면, 로스팅 시간이 오래 걸려 경제적으로 바람직하지 못하고, 300℃를 초과하면, 로스팅되기 전에 탄화되는 문제점이 있어 상기한 범위가 바람직하다.
상기 로스팅하는 단계는 로스팅기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간접열풍방식으로 가열하고 강제 송풍방식으로 냉각할 수 있다.
상기 로스팅은 통상 커피원두를 제조할 때와 유사하게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로스팅된 감귤과피를 -2~6℃의 온도에서 저온저장하는 단계 (S200)이다.
상기 로스팅된 감귤과피를 -2~6℃의 온도에서 저온저장하는 단계(S200)는 로스팅된 감귤과피만을 저온 저장할 수도 있고, 로스팅된 감귤과피를 용매에 침지시켜 -2~6℃의 온도에서 저장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의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온도가 -2℃ 미만이면, 감귤과피 또는 용매가 동결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고, 6℃를 초과하면 저온저장 효과가 나타나지 않는 문제점이 있어, 상기한 범위가 바람직하다.
상기 저온저장하는 단계는 24~48시간 동안 수행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36시간 동안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시간이 24시간 미만이면 저온저장 효과가 미미하고, 48시간을 초과하면 경제적으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용매는 증류수일 수 있으며, 상기 용매에 감귤과피를 투입하여 저온 저장하는 경우 동결을 방지하기 위해 소금 또는 동결방지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저온저장된 감귤과피를 열수추출하는 단계이다.
상기 열수추출은 저온저정된 감귤과피에 물을 넣고 90~110℃의 온도에서 30~120분 동안 열수추출한 고압 열수추출물을 의미한다.
상기 저온저장된 감귤과피를 열수추출하는 단계는 저온저장된 감귤과피 100 중량부에 대하여 500~1,50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700~1,200중량부의 물을 넣고 고압 열수추출할 수 있다.
상기 감귤과피의 유효성분을 추출하기 위해서는 90℃ 이상의 온도로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110℃를 초과하면 추출시간은 단축될 수 있으나, 추출시간에 비해 승온 및 냉각 시간이 길어져 균일한 공정관리가 어렵고, 추출 장치 및 에너지 부하가 있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열수추출하는 단계 후 분말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말화하는 단계는 상기 열수추출된 감귤과피를 원심분리하는 과정, 원심분리된 감귤과피를 여과하는 과정 및 건조하는 과정을 통해 분말화할 수 있다.
상기 원심분리하는 과정은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열수수출된 감귤과피를 3,000~5,000rpm으로 5~20분 동안 수행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4,000rpm으로 10분 동안 수행할 수 있으나, 이를 제한하지는 않는다.
또한, 상기 감귤과피를 여과하는 과정은 감압여과장치를 통해 감압여과할 수 있으며, 이를 제한하지 않는다.
상기 건조는 동결건조일 수 있으며, 통상적인 동결건조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해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실시예>
실시예 1
먼저, 과육으로부터 분리된 감귤과피를 100g을 30℃의 증류수를 이용하여 세척하였다. 세척된 감귤과피를 5cm2의 일정한 크기로 절단하고 250℃의 온도에서 20분 동안 로스팅하였다.
로스팅된 감귤과피를 물에 투입한 후 -2℃의 온도에서 24시간 저온저장한 다음 감귤과피 25g을 증류수 250ml에 투입하여 95℃의 온도에서 1시간 동안 열수추출하였다.
열수추출된 감귤과피를 4,000rpm으로 10분 동안 원심분리한 다음여과하고, 동결건조하여 감귤과피 차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되, 로스팅 감귤과피 단독으로 저온저장한 후 감귤과피 차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되 6℃의 온도에서 24시간 저온 저장한 감귤과피를 이용하여 감귤과피 차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7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되, 추출시간을 각각 2시간, 4시간, 5시간 및 7시간으로 늘려 감귤과피차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되, 저온저장을 하지 않은 감귤과피를 이용하여 감귤과피 차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되 -5℃의 온도에서 24시간 동안 저온저장된 감귤과피를 이용하여 감귤과피 차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되 7℃의 온도에서 24시간 동안 저온저장된 감귤과피를 이용하여 감귤과피 차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실험예 1
실시예 1, 실시예 2 및 비교예 1에 따른 저온저장 추출효율 및 헤스페리딘(Hesperidin) 함량을 분석하였다.
실시예 1, 실시예 2 및 비교예 1에 따라 제조된 감귤과피 차 제조시 여과 한 후 상층액 100ml만 동결건조하여 그 무게를 표 1에 나타내었으며, 5mg/ml의 농도에서 헤스페리딘의 함량을 분석하여 하기의 표 2에 나타내었다.
구분 실시예 1(g) 실시예 2(g) 비교예 1(g)
동결건조 후 무게 8.920 5.081 5.591
구분 실시예 1
(mg/g)
실시예 2
(mg/g)
비교예 1
(mg/g)
1회 7.63 12.67 7.63
2회 7.35 12.76 7.35
3회 7.83 12.24 7.83
평균 7.61 12.55 7.61
편차 0.24 0.28 0.24
상기 표 1 및 2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추출효율의 경우 용매를 이용하여 저온저장한 감귤과피(실시예 1)가 우수한 추출효율을 나태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시료만을 저온저장한 실시예 2의 경우 높은 Hesperidin의 함량을 확인할 수 있다. 저온저장하지 않은 비교예 1은 실시예 1 및 2와 비교하였을 때 추출효율 및 Hesperidin의 함량이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2
실시예 1, 실시예 4 내지 7의 추출시간에 따른 추출효율 및 Hesperidin 함량을 분석하여 하기의 표 3 및 4에 나타내었다.
구분 실시예 1
(mg/g)
실시예 4
(mg/g)
실시예 5
(mg/g)
실시예 6
(mg/g)
실시예 7
(mg/g)
동결건조 후무게 5.198 5.138 5.143 5.196 5.250
구분 실시예 1
(mg/g)
실시예 4
(mg/g)
실시예 5
(mg/g)
실시예 6
(mg/g)
실시예 7
(mg/g)
1회 12.30 12.28 10.84 11.94 10.49
2회 12.40 12.31 10.65 11.71 10.45
3회 12.54 12.28 10.82 11.95 10.68
평균 12.41 12.29 10.77 11.87 10.54
편차 0.12 0.02 0.10 0.14 0.13
상기의 표 3 및 4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시료를 24시간 저온에서 보관하고 95℃, 1시간 추출한 실시예 1에서 가장 높은 Hesperidin 함량(12.41 ± 0.12 mg/g)을 보이며 가장 많이 추출되었다. 또한, 추출시간이 지날수록 적은 양의 Hesperidin이 관찰되었으며 가장 오래 추출한 7시간 추출한 실시예 6에서 10.54 ± 0.13의 가장 낮은 Hesperidin 함량을 나타내었다.
실험예 3
실시예 1, 비교예 3 및 비교예 4에 따른 저온저장 온도에 따른 추출효율을 분석하여 하기의 표 5에 나타내었다.
구분 실시예 1(g) 비교예 3(g) 비교예 4(g)
동결건조 후 무게 8.920 4.721 5.037
상기의 표 5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저온저장온도가 -2~6℃를 벗어난 비교예 3 및 비교예 4의 경우 추출효율이 급격히 저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따라서, 본 발명의 감귤과피 차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범위의 저장온도일 때 우수한 추출효율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S100: 로스팅 단계
S200: 저온저장 단계
S300: 열수추출 단계

Claims (8)

  1. 헤스페리딘 함량을 증진시키는 감귤과피 차의 제조방법으로서,
    과육으로부터 분리된 감귤과피를 150~300℃의 온도에서 10~60분 동안 로스팅하는 단계,
    로스팅된 감귤과피를 -2~6℃의 온도에서 저온저장하는 단계 및
    저온저장된 감귤과피를 열수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감귤과피 차의 제조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온저장하는 단계는,
    로스팅된 감귤과피를 용매에 침지시킨 후 저온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귤과피 차의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증류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귤과피 차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온저장하는 단계는,
    24~48시간 동안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귤과피 차의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수추출하는 단계는,
    90~110℃의 온도에서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귤과피 차의 제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수추출하는 단계 후,
    분말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귤과피 차의 제조방법.
  8. 제1항 및 제3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으로 제조되는 감귤과피 차.
KR1020210037959A 2021-03-24 2021-03-24 감귤과피 차의 제조방법 KR1026432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7959A KR102643210B1 (ko) 2021-03-24 2021-03-24 감귤과피 차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7959A KR102643210B1 (ko) 2021-03-24 2021-03-24 감귤과피 차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2872A KR20220132872A (ko) 2022-10-04
KR102643210B1 true KR102643210B1 (ko) 2024-03-05

Family

ID=83600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7959A KR102643210B1 (ko) 2021-03-24 2021-03-24 감귤과피 차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3210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9683A (ko) * 1998-04-08 1999-11-05 박호군 감귤류의 과피 분말 또는 과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건강식품
KR100665016B1 (ko) * 2005-05-10 2007-01-05 동우당제약(주) 유기농 감귤을 이용한 진피차의 제조 방법
KR101422632B1 (ko) * 2007-10-19 2014-07-24 오영님 뽕잎차 제조방법
KR20180017911A (ko) 2016-08-11 2018-02-21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주영 감귤 미성숙과의 과피와 과육 추출물을 포함하는 음료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2872A (ko) 2022-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69318B2 (ja) 茶葉食用油の製造方法
KR20150010058A (ko) 인삼 재료로부터 부터 진세노사이드 성분이 강화된 식품 원료 제조방법 및 그 식품 원료를 이용한 식품 제조방법
CN105918434A (zh) 一种真空冷冻干燥人参果加工干果片的方法
CN108991296A (zh) 一种酸梅汤及其制备方法
KR101595903B1 (ko) 고구마말랭이 제조방법 및 이에 제조된 고구마말랭이
CN106579112A (zh) 柑橘粉的低温制备方法
CN105146452B (zh) 一种果蔬复合冲调粉及其制备方法
KR102643210B1 (ko) 감귤과피 차의 제조방법
CN106993687B (zh) 一种栀子茶的制备方法
CN106690167B (zh) 一种免洗黑枸杞冻干果品的加工方法
KR102610447B1 (ko) 회화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액상 식품 조성물
CN106213109B (zh) 一种含沙棘果粒的即冲式营养茶饮料及其制备方法
CN107913530A (zh) 一种co2超临界法流体从金花茶萃取出茶多酚的方法
KR102402908B1 (ko) 포도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7080129A (zh) 一种葡萄籽玉米露
KR20130138427A (ko) 홍시분말의 제조방법
KR101987347B1 (ko) 아로니아 잎 차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아로니아 잎 차
KR102517241B1 (ko) 죽순 껍질을 이용한 죽순 껍질차의 제조방법
CN104814188A (zh) 一种玫瑰护肤养颜红茶饮品及其制备方法
KR20100133107A (ko) 자색당근차 및 이를 이용한 음료와 식품
KR20140087543A (ko) 엉겅퀴 함유 티백차 및 그 제조방법
KR102375134B1 (ko) 타히보 추출액을 포함하는 차음료 제조방법
KR102522405B1 (ko) 더덕포 및 그 제조방법
KR20120019516A (ko) 방울토마토 즙의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방울토마토 즙
KR20180060476A (ko) 우엉 분말차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