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79683A - 감귤류의 과피 분말 또는 과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건강식품 - Google Patents

감귤류의 과피 분말 또는 과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건강식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79683A
KR19990079683A KR1019980012411A KR19980012411A KR19990079683A KR 19990079683 A KR19990079683 A KR 19990079683A KR 1019980012411 A KR1019980012411 A KR 1019980012411A KR 19980012411 A KR19980012411 A KR 19980012411A KR 19990079683 A KR19990079683 A KR 199900796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itrus peel
citrus
powder
health f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24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복성해
이준성
정태숙
배기환
박용복
최명숙
권용국
현병화
최양규
이철호
문석식
Original Assignee
박호군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호군, 한국과학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박호군
Priority to KR10199800124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79683A/ko
Priority to JP2000517707A priority patent/JP2001520993A/ja
Priority to BR9814105-8A priority patent/BR9814105A/pt
Priority to CN98810715A priority patent/CN1278182A/zh
Priority to DE69817862T priority patent/DE69817862T2/de
Priority to CA002307553A priority patent/CA2307553C/en
Priority to JP2000517728A priority patent/JP3333777B2/ja
Priority to EP98951777A priority patent/EP1063988A1/en
Priority to EP98951775A priority patent/EP1024819A1/en
Priority to PCT/KR1998/000323 priority patent/WO1999021548A1/en
Priority to CN98810701A priority patent/CN1124133C/zh
Priority to JP2000517706A priority patent/JP2001520992A/ja
Priority to PCT/KR1998/000324 priority patent/WO1999021549A1/en
Priority to CA002307890A priority patent/CA2307890A1/en
Priority to EP98951776A priority patent/EP1032381B1/en
Priority to CN98810708A priority patent/CN1124134C/zh
Priority to CA002307891A priority patent/CA2307891A1/en
Priority to PCT/KR1998/000322 priority patent/WO1999021570A1/en
Priority to US09/181,393 priority patent/US6165984A/en
Publication of KR199900796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9683A/ko
Priority to US09/751,101 priority patent/US20010002264A1/en
Priority to US09/728,917 priority patent/US20010014357A1/en

Links

Landscapes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감귤류의 과피 분말 또는 과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건강식품에 관한 것으로, 감귤류의 과피 분말 또는 과피 추출물을 각종 식품에 첨가함으로써 항산화, 혈압강하, 혈중 콜레스테롤 강하, 항암 작용, 간기능 개선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이는 건강식품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감귤류의 과피 분말 또는 과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건강식품
본 발명은 감귤류의 과피 분말 또는 과피 추출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기능성 건강식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현재 퇴비나 폐기물 또는 가축사료로 사용되고 있는 감귤류 과피 또는 감귤류를 이용한 쥬스 착즙후 발생하는 고형물 등을 이용하여 제조된 고부가가치 기능성 건강식품에 관한 것이다.
현재 전세계에서 생산되고 있는 감귤류는 오렌지(orange) 5,800만톤, 감귤(tangerine) 등의 만다린계 감귤류 1,400만톤, 자몽(grapefruit), 레몬(lemon) 및 기타 1,800만톤으로, 연간 총 9,000만톤의 감귤류가 생산되고 있으며, 이들은 주로 브라질(2,500만톤), 미국(1,500만톤), 중국(800만톤), 스페인(400만톤), 멕시코(400만톤), 일본(150만톤), 한국(80만톤) 등지에서 생산되고 있다.
감귤을 이루는 성분중 약 50-55%는 주로 쥬스용 즙액으로 이용되고, 감귤 과피, 세포막, 펄프, 씨 등은 고형물질로서 남게 되며 이는 감귤의 약 45%에 해당된다. 또한, 이들 고형물질 중 약 50%는 과피가 차지한다. 현재 쥬스를 짜고 남은 과피 및 기타 고형물질은 대개 폐기처리되거나, 동물사료 또는 유기질 퇴비제조에 사용되고 있다. 이렇게 폐기처리되는 저가치 감귤류 과피(citrus peel) 등은 년간 약 3,500만톤 이상에 이른다. 특히, 미국에서도 약 600만톤의 감귤류의 과피 및 잔류고형물이 발생하며, 과피의 무게는 감귤 전체 무게의 약 20-30%를 차지한다.
건조된 감귤류의 과피 속에는 과피의 30-50%에 해당하는 양의 알콜 용해성 고형물이 존재하며, 이중 80% 정도는 포도당, 과당, 설탕 등이 차지하고 있다. 또한 1-7% 정도의 바이오플라보노이드(bioflavonoid)가 존재하며 기타 각종 비타민(vitamin), 소량의 리모노이드(limonoid), 0.01% 정도의 페놀계 화합물(phenolics), 0.3%의 오일(oil) 등이 존재한다. 감귤 과피 중에 포함된 알콜 불용성 고형물은 대개 폴리사카라이드(polysaccharides)로 펙틴 23%, 헤미셀룰로오즈(hemicellulose) 13% 및 셀룰로오즈(cellulose) 20-30%으로서 과피 전체 고형물중 50-60% 정도가 알콜 불용성 고분자 당류에 속한다(Ranganna S., et al.,Food Sci. Nutri. Boca Raton, 18, 313-386(1983)).
감귤 과피 속에는 하기 표 1과 같이 각종 비타민류가 포함되어 있다.
성 분 mg/Kg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 1,360
바이오틴(biotin) 0.05
카로티노이드(carotenoids) 100
β-카로틴(β-carotene) 2.5
콜린(choline) 230
엽산(folic acid) 0.12
이노시톨(inositol) 2,570
니아신(niacin) 9
판토텐산(pantothenic acid) 5
피리독신(pyridoxine) 1.8
리보플라빈(riboflavin) 0.9
티아민(thiamin) 1.2
감귤류 과피 속에 포함된 성분 중 특히 주목을 받는 주요성분으로는 과피 속에 다량 함유된 펙틴을 비롯한 섬유소, 상기 표 1과 같은 비타민류, 각종 바이오플라보노이드 및 리모노이드를 들 수 있다. 펙틴을 포함하는 식용섬유를 사람이 충분한 양(5-10%)으로 섭취할 경우 장내에서 지방, 콜레스테롤 및 당분의 흡수를 낮춰주어 동맥경화증, 고지혈증 및 당뇨 예방에 도움이 된다(Fernandez, M. L., et al.,Am. J. Clin. Nutr., 59,869-878(1994); WO 93/16605(1993.9.2); Cerda, J. J., et al.,Circulation, 89,1247-1253(1994, Mar.); Baekey, P. A., et al.,Clin. Cardiol., 11,597-600(1988); and Kay, R. M., et al.,Am. J. Clin. Nutr., 30(2),171-175(1977, Feb.)).
또한, 카로티노이드(carotenoid) 및 비타민 C 등은 감귤류 과피에 많이 들어 있으며 기타 여러 종류의 비타민이 포함되어 있다. 특히, 다양한 종류의 바이오플라보노이드가 감귤 과피에 존재하며(Horowitz, R. M., et al.,J. Org. Chem., 25,2183-2187(1960)), 오렌지, 레몬 및 감귤의 주요성분은 헤스페리딘(hesperidin)이며, 자몽(grapefruit)의 주요성분은 나린진(naringin)이고, 유자에는 나린진과 헤스페리딘 등이 비슷한 양으로 포함되어 있다. 하기 표 2는 감귤류 과피에 존재하는 다양한 바이오플라보노이드를 나타낸다.
감귤류 과피는 각종 약리활성작용, 예를 들어, 심장순환기 질환과 관련된 지질대사 개선 효과, 항암 및 항바이러스 작용 등을 가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예들 들어, 헤스페리딘 또는 헤스페레틴은 모세혈관 강화, 투과성(Permeability) 감소, 혈압 강하, 혈중 콜레스테롤 강하, 항혈소판 응집(Antiplatelet aggregation), 항염증 및 항바이러스 작용을 한다고 알려져 있고(Meyer, O. C.,Angiology, 45, 579-584(1994); Struckmann J. R., et al.,Angiol., 45, 419-428(1994); Matsubara, Y., et al.,Japan Organic Synthesis Chem. Association Journal., 52, 318-327(1994. Mar.); Galati E. M., et al.,Farmaco., 51(3), 219-221(1996, Mar.); Monforte MT., et al.,Farmaco., 50(9), 595-599(1995, Sep.); JP 95-86929; JP 95-86930; Chung, M. I., et al.,Chin. Pharm. J.(Taipei)., 46, 429-437(1994, Nov.); Galati, E. M., et al.,Farmaco., 40(11), 709-712(1994, Nov.); and Emim J. A., et al.,J. Pharm. Pharmacol., 46(2),118-122(1994)), 바이오플라보노이드는 항산화, 혈압강하, 항암 및 항바이러스 작용을 한다고 알려져 있으며(Saija, A., et al.,Free Radical Biol. Med., 19, 481-486(1995); Matsubara, Y., et al., 상기 문헌; Galati E. M., et al., 상기 문헌; Felicia V., et al.,Nutr. Cancer, 26, 167-181(1996); EP 0352147 A2(1990.1.24); and Kaul, T. N., et al.,J. Med. Virol., 15,71-79(1985)), 나린제닌 및 나린진은 콜레스테롤 강하, 항암 및 항위궤양(알콜로부터 보호) 작용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Monforte MT., et al., 상기 문헌; JP 95-86929; JP 95-86930; Felicia V., et al., 상기 문헌; EP 0352147 A2(1990.1.24); and Martin M. J., et al.,Pharmacol., 49,144-150(1994)).
또한, 감귤의 과피와 씨 속에는 리모노이드계 물질이 존재하는데 이들이 항암활성을 갖고 있다는 사실도 밝혀져 있다(Lam, L. K. T., et al., Inhibition of chemically induced carcinogenesis by citrus limonoids. InFood Phytochemicals for Cancer Prevention, Vol. I,ACS Symposium series No. 546, Huang, M. T., O. Osawa, C. T. Ho, R. Rosen(ed). 1993).
현재 성인병 중에서 가장 대표적인 심장순환기 질환은 사망율의 30∼40%를 차지하고 있으며, 특히 심장병은 고지방 음식을 과다섭취할 경우 발병하기 쉬운 질병이다.
햄버거는 많은 사람들이 즐기는 음식이지만 햄버거에 사용되는 그라운드 비프(ground beef)에는 지방이 16% 함유되어 있고, 포화지방산이 많은 양을 차지하고 있어 과다 섭취할 경우 혈중 콜레스테롤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유제품에는 각종 단백질, 비타민류 등이 함유되어 있어 인류 건강에 지대한 공헌을 하고 있는데, 이 중 우유는 지방(fat) 약 3.2%를 함유하고 있으며 이 중 2.0%는 불포화지방이다. 또한 대표적인 유제품 중의 하나인 아이스크림은 약 13%의 지방을 포함하며 약 7.5%의 포화지방산을 포함하고 있고, 치즈류는 지방성분 약 32%를 포함하고 이중 19%가 불포화지방산이다. 또한, 요구르트류는 각종 비타민, 단백질이 풍부한 좋은 식품으로서 널리 섭취되고 있는데, 전유(whole milk)로 만들 경우 보통 약 8%의 지방이 함유되어 있고, 이중 5.5%가 포화지방산이다. 따라서, 이들 유제품을 과다 섭취할 경우 혈중 콜레스테롤 증가에 큰 영향을 줄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혈중 콜레스테롤 강하에 효과가 있는 성분을 개발하기 위해 계속 연구를 진행하던중, 폐기처리되고 있는 감귤류의 과피 성분을 각종 식품에 첨가하여 이를 섭취하게 되면 지질대사개선에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항산화, 혈압강하, 콜레스테롤 강하, 항암 작용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감귤류 과피 분말 또는 과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건강식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감귤류 과피 분말, 과피 추출물, 또는 이들로부터 분리되거나 시판되는 나린진 또는 헤스페리딘을 각각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으로서, 햄버거 등의 그라운드 비프에 사용되는 토마토 케찹 또는 쏘스; 쥬스; 스프; 육즙; 라면, 국수, 빵, 케익, 쿠키 및 크래커와 같은 밀가루 식품; 우유, 아이스크림, 치즈 및 요구르트와 같은 유제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감귤류란 하귤, 당유자, 오렌지, 레몬, 감귤, 자몽 또는 유자 등을 말한다. 본 발명에 사용한 감귤류 과피를 얻기 위해서는 우선, 농약 처리를 하지 않고 감귤류를 생산하거나 인체에 무해한 저공해 농약, 또는 생물학적 방제제를 이용하여 감귤류를 생산해야 한다.
본 발명에서는 감귤류 과피 분말을 얻기 위해 과일의 표면을 잘 씻은 후 쥬스를 착즙하고 남는 모든 고형물을 동결건조하거나 통상의 식품산업에서 쓰이는 방법으로 건조한 후 분쇄하여 50 내지 250㎛ 크기로 분말화한다.
본 발명에서는 감귤류 과피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들을 사용한다. 즉, 감귤류의 과피를 건조한 후, 건조 과피 1 kg당 20 내지 95 % 에탄올 3 내지 30ℓ를 가하고, 25 내지 80℃에서 1 내지 12 시간 동안 추출한 후, 이 추출물을 여과한 다음, 여액을 진공농축함으로써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는, 감귤류의 과피를 건조한 후, 건조 과피 1 kg당 0.1 내지 2 % Ca(OH)2또는 NaOH 5 내지 30ℓ를 가하고, 25 내지 60℃에서 1 내지 5 시간 동안 추출한 후, 이 추출물을 여과한 다음, 여액에 1N HCl 용액을 가하여 혼합액의 pH를 4.0 내지 7.0으로 조절하고, 냉장실에서 10 내지 48 시간 방치하여 생성된 침전물을 회수한 후 건조하는 방법에 의해 추출물을 제조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기능성 식품인 토마토 케찹, 쏘스, 쥬스, 스프, 육즙, 그라운드 비프 및 밀가루 식품은 각각 감귤류 과피 분말 1 내지 30%, 감귤류 과피 추출물 0.5 내지 10%, 나린진 0.01 내지 5% 또는 헤스페리딘 0.01 내지 5%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기능성 유제품은 각각 감귤류 과피 분말 0.5 내지 10%, 감귤류 과피 추출물 0.5 내지 10%, 나린진 0.01 내지 5% 또는 헤스페리딘 0.01 내지 5%를 포함한다.
상기 밀가루 식품으로는 라면, 국수, 빵 케익, 쿠키 및 크래커를 예로 들 수 있으며, 상기 유제품으로는 우유, 아이스크림, 치즈 및 요구르트를 예로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감귤류 과피 분말 또는 감귤류 과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건강 식품을 섭취할 경우, 심장 순환기계 질환, 암, 바이러스, 염증, 당뇨, 간기능 개선 등에 대한 우리 몸의 방어능력 항상에 크게 도움이 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다음과 같은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단, 다음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것들 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 시 예 1 : 감귤 과피 추출물의 제조
(1) 에탄올을 이용한 방법
제주도산 감귤 과피를 건조한 후 건조 감귤류 과피 500 g에 30% 에탄올 용액 5ℓ를 가하고 60℃에서 5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이 추출물을 면직물(cotton cloth)을 이용하여 여과한 다음 여액을 진공농축하여 190 g의 시럽상의 추출물을 얻었다. 상기와 같이 얻어진 과피 추출물의 성분을 조사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조건으로 HPLC 분석을 실시하였다. 상기 검액 5.0 μl를 37% 메탄올로 미리 평형화된 리크로소브(Lichrosorb) RP-8 컬럼(5 μm, 4 x 250 mm)이 장착된 HPLC에 주입하였다. 이 때 칼럼의 온도는 30℃로 조절하고, 37% 메탄올을 이동상으로 사용하여 1.0 ml/분의 유속으로 용출시켰다. 따로, 헤스페리딘과 나린진(Sigma Co.) 표준품을 메탄올에 용해시켜 최종 농도가 각각 0.1, 0.2, 0.3, 0.4 및 0.5 mg/ml 가 되도록 표준용액을 조제하여 동일한 조건에서 HPLC를 실시하였다. 용출물을 UV-VIS 분광광도계(spectrophotometer)를 사용하여 280 nm에서 검출하고, 검량선과 과피추출물의 HPLC 프로필(profile)의 면적을 비교 분석하여 추출물중 헤스페리딘의 함량함량을 계산한 결과, 이 추출물 190 g 속에는 헤스페리딘 5.1 g이 들어 있었다. HPLC를 이용하여 추출물의 성분을 분석한 결과, 수분 65%, 당분 28%(과당 11%, 포도당 11%, 슈크로즈 6%), 헤스페리딘 2.7% 및 기타 회분 등의 미량성분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2) Ca(OH)2를 이용한 방법
제주도산 감귤 과피를 건조한 후, 건조된 감귤류 과피 500 g에 0.5% Ca(OH)2용액 5ℓ를 가하고 상온에서 저어주면서 1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이 추출물을 면직물로 여과한 후 여액에 1N HCl 용액을 가하여 혼합액의 pH가 4.0∼4.5, 또는 6.80∼7.0이 되게 한 후 5℃ 냉장실에서 24시간 방치하였다. 이때 생성된 침전물을 회수한 후 건조하여 각각 5 g 및 10 g의 건조된 분말을 얻었다. 침전된 분말을 상기 (1)에서와 같이 HPLC로 정량분석한 결과 헤스페리딘이 각각 3.2 g 및 6.55 g 포함되어 있어, 헤스페리딘의 순도는 각각 64% 및 65%였다.
(3) NaOH를 이용한 방법
제주도산 감귤 과피를 건조한 후, 건조된 감귤류 과피 500 g에 0.5% NaOH 5ℓ를 가하고 상온에서 저으면서 1시간 동안 추출한 다음 면직물로 여과하였다. 여액에 1 N HCl 용액을 첨가하여 혼합액의 pH가 4.0∼4.5 또는 6.8∼7.0이 되게 한 후 5℃ 냉장실에서 24시간 방치하였다. 이때 생성된 침전물을 회수한 후 건조하여 각각 44 g 및 49 g의 건조분말을 얻었다. 건조 분말로부터 HPLC에 의해 각각 13.6 g, 9.8 g의 헤스페리딘을 회수하였다(순도: 각각 31%, 20%).
실 시 예 2 : 감귤(tangerine) 과피 추출물의 경구독성실험
7-8 주령의 특정 병원체 부재(specific pathogens free) ICR 마우스로서 체중 25-29 g의 암컷 6마리와 체중 34-38 g의 숫컷 6 마리를 온도 22±1℃, 습도 55±5%, 조명 12L/12D의 동물실내에서 사육하였다. 마우스는 실험에 사용되기 전 1주일 정도 순화시켰다. 실험동물용 사료((주)제일제당, 마우스 및 랫드용) 및 음수는 멸균한 후 공급하였으며 자유섭취시켰다.
유기농법으로 얻은 감귤 과피를 물로 잘 씻은 후 실온에서 건조하여 100㎛ 크기로 분쇄하였다. 이 분말을 0.5% 트윈 80을 용매로 하여 100 mg/ml 농도로 조제한 후, 마우스 체중 20g 당 0.2 ml씩 경구투여하였다. 시료는 1회 경구 투여하였으며 투여 후 10일 동안 다음과 같이 부작용 또는 치사 여부를 관찰하였다. 즉, 투여당일은 투여 후 1시간, 4시간, 8시간, 12시간 뒤에 그리고 투여 익일부터 10일째까지는 매일 오전, 오후 1회 이상씩 일반증상의 변화 및 사망동물의 유무를 관찰하였다. 또한, 투여 10일째에 동물을 치사시켜 해부한 후 육안으로 내부 장기를 검사하였다. 투여당일부터 1일 간격으로 체중의 변화를 측정하여 감귤 과피 분말에 의한 동물의 체중 감소 현상을 관찰하였다.
본 실험은 감귤 과피 분말에 대하여 경구경로에서의 급성독성의 정도를 파악함으로써 일반약리 및 약효시험에서의 가용 약용량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독성에 대한 기초 자료를 도출함을 목적으로 실시하여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급성 경구독성의 경우는 감귤 과피 분말 1,000 mg/kg의 용량에서 10일동안 치사동물이 관찰되지 않았다. 10일 후 생존동물에 대한 부검을 실시한 바, 특별한 병변 육안 소견이 없었으며, 투여 익일부터 10일간 어떠한 체중의 감소 없이 정상적인 체중의 증가가 관찰되었다.
결론적으로 감귤 과피 분말은 상기의 농도로 경구투여시 독성이 관찰되지 않았다.
실 시 예 3 : 실험동물의 식이 조성과 감귤 과피 분말의 동물 투여 실험
3주령의 스프라그 다우리(Sprague Dawley) 흰쥐 20마리를 충북 음성군의 대한실험 동물센터로부터 구입하여 1주일간 제일제당 실험동물 사료로 사육하고, 4주령(체중: 90∼110g)이 되었을 때, 난괴법(randomized block design)에 의해 2개의 그룹으로 나누었다. 두 그룹의 쥐들에게 각각 두 가지의 서로 다른 고콜레스테롤 식이, 즉, 정상식이(AIN-76 실험동물 식이)에 1% 콜레스테롤(대조군)이 함유된 식이와 1% 콜레스테롤 및 5% 감귤 과피 분말이 함유된 식이를 각각 섭취시켰다. 두 그룹의 쥐들에게 섭취시킨 식이의 조성(%)은 표 3에 나타나 있다.
식이군성분 대조군 감귤 과피 분말 투여군
카제인 20 20
D,L-메티오닌 0.3 0.3
옥수수 전분 15 15
슈크로즈 49 49
셀룰로즈 분말 5 0
미네랄 혼합물 3.5 3.5
비타민 혼합물 1 1
시트르산 콜린 0.2 0.2
옥수수유 5 5
콜레스테롤 1 1
감귤 과피 - 5
100 100
모든 식이들은 고콜레스테롤 식이(1%, wt/wt)에 해당하고, 실험용 흰쥐의 실험실 식이인 AIN-76 식이 조성 중 셀룰로즈, 미네랄 혼합물 및 비타민 혼합물 성분은 미국의 테크라드 프리미어사(TEKLAD premier, Madison, Wisconsin)로부터 구입하였다.
두 식이군의 쥐들에게 6주동안 해당 식이를 물과 함께 자유로이 섭취하도록 하였으며, 식이섭취량을 매일 기록하고 7일마다 체중을 측정하였다. 동물사육이 종료된 후 사육일지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식이 섭취량과 체중증가에 있어서는 2개군간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정상적인 성장을 보였다.
실 시 예 4 : 실험동물의 혈중 총콜레스테롤, HDL-콜레스테롤 및 중성 지질 함량 측정
실험 식이의 투여가 흰쥐의 혈중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질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다음과 같이 조사하였다.
두 식이군의 쥐들로부터 혈액 시료를 채취하고, 이로부터 덱스트란-설페이트를 포함한 HDL-콜레스테롤 시약(Sigma Chemical Co. Cat. No. 352-3)을 이용하여 혈장 HDL 분획을 분리하였다. 총 콜레스테롤과 HDL-콜레스테롤 농도는 시그마사의 총 콜레스테롤 키트(Cat. No. 352-100)를 사용한 효소발색법(Allain et al.,Clin. Chem., 20, 470-475(1974))에 의해 측정하였다. 중성 지질 농도는 시그마 진단 키트(Cat. No. 339-50)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Bucolo, G. and David, H.,Clin. Chem., 19, 476-482(1973)). 그 결과, 혈장 총 콜레스테롤 농도는 감귤 과피 분말 투여군이 대조군에 비해 20% 감소하였으나 HDL이나 중성지방 농도에는 큰 변화가 없었다.
실 시 예 5 : 감귤 과피 분말 및 감귤 과피 추출물을 이용한 기능성 식품 제조
상기 실시예들에서 제조된 감귤 과피 분말 또는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건강식품들을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1) 토마토 케찹, 쏘스 및 쥬스 제조
50-100㎛ 크기로 분쇄된 감귤 과피 분말을 통상적인 토마토 케찹, 쏘스 및 쥬스에 1∼20 중량%의 양으로 첨가하여 기능성 케찹, 쏘스 및 쥬스를 제조하였다.
또는, 감귤 과피 분말을 30% 에탄올로 60℃에서 추출하여 농축한 다음 얻은 시럽 형태의 감귤 과피 추출물을 감귤 과피 분말 대신에 0.5∼10 중량%의 양으로 상기 식품에 첨가하여 기능성 식품을 제조하였다.
나린진 또는 헤스페리딘을 직접 첨가할 경우는 0.01%∼5 중량%를 첨가하여 기능성 식품을 제조하였다.
(2) 라면, 국수, 빵, 케익, 쿠키, 크레커 등의 밀가루 식품 제조
상기 밀가루 식품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원료인 밀가루에 감귤 과피 분말을 1∼30 중량%를 첨가한 후 최종식품을 제조하였다.
또는, 상기 (1)에서와 같이 제조된 감귤 과피 추출물을 밀가루에 0.5∼10 중량%의 양으로 첨가하거나, 나린진 또는 헤스페리딘을 0.01∼5 중량%의 양으로 첨가하여 식품을 제조하였다.
(3) 스프 및 육즙(gravies) 제조
상기 스프 또는 육즙의 원료에 감귤 과피 분말을 1∼30 중량%를 첨가한 후 최종식품을 제조하였다.
또는, 상기 (1)에서와 같이 제조된 감귤 과피 추출물을 스프 또는 육즙의 원료에 0.5∼10 중량%의 양으로 첨가하거나 나린진 또는 헤스페리딘을 0.01∼5 중량%의 양으로 첨가하여 식품을 제조하였다.
(4) 그라운드 비프(ground beef) 제조
그라운드 비프의 원료에 감귤 과피 분말을 1∼30 중량%를 첨가한 후 최종식품을 제조하였다.
또는, 상기 (1)에서와 같이 제조된 감귤 과피 추출물을 그라운드 비프의 원료에 0.5∼10 중량%의 양으로 첨가하거나 나린진 또는 헤스페리딘을 0.01∼5 중량%의 양으로 첨가하여 식품을 제조하였다.
(5) 유제품(dairy products)(우유, 아이스크림, 치즈, 요구르트 등) 제조
우유에 감귤 과피 분말을 0.5∼10 중량%를 첨가한 후 최종식품을 제조하였다.
또는, 상기 (1)에서와 같이 제조된 감귤 과피 추출물을 우유에 0.5∼10 중량%의 양으로 첨가하거나 나린진 또는 헤스페리딘을 0.01∼5 중량%의 양으로 첨가하여 식품을 제조하였다.
이 때 특히, 치즈 제조시에는 우유 단백질을 응고시키고 회수한 다음 감귤 과피 성분을 첨가하고, 요구르트 제조시에는 발효를 끝낸 후 응고된 단백질에 첨가하였다.
나린진 또는 헤스페리딘을 포함하는 감귤 과피 분말 또는 감귤 과피 추출물을 각종 식품에 첨가함으로써 제조된 기능성 건강식품은 항산화, 혈압강하, 혈중 콜레스테롤 강하, 간기능 개선 및 항암 작용 등의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Claims (8)

  1. 식품에 감귤류 과피 분말 1 내지 30%, 감귤류 과피 추출물 0.5 내지 10%, 나린진 0.01 내지 5% 또는 헤스페리딘 0.01 내지 5%를 첨가하여 제조된 기능성 건강식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이 토마토 케찹, 쏘스, 쥬스, 밀가루 식품, 스프, 육즙 또는 그라운드 비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건강식품.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밀가루 식품이 라면, 국수, 빵 케익, 쿠키 또는 크래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건강식품.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귤류 과피 추출물이 감귤류의 과피를 건조한 후, 건조 과피 1 kg당 20 내지 95 % 에탄올 3 내지 30ℓ를 가하고, 25 내지 80℃에서 1 내지 12 시간 동안 추출한 후, 이 추출물을 여과한 다음, 여액을 진공농축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인 기능성 건강식품.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귤류 과피 추출물이 감귤류의 과피를 건조한 후, 건조 과피 1 kg당 0.1 내지 2 % Ca(OH)25 내지 30ℓ를 가하고, 25 내지 60℃에서 1 내지 5 시간 동안 추출한 후, 이 추출물을 여과한 다음, 여액에 1N HCl 용액을 가하여 혼합액의 pH를 4.0 내지 7.0으로 조절하고, 냉장실에서 10 내지 48 시간 방치하여 생성된 침전물을 회수한 후 건조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인 기능성 건강식품.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귤류 과피 추출물이 감귤류의 과피를 건조한 후, 건조 과피 1 kg당 0.1 내지 2 % NaOH 5 내지 30ℓ를 가하고, 25 내지 60℃에서 1 내지 5 시간 동안 추출한 후, 이 추출물을 여과한 다음, 여액에 1N HCl 용액을 가하여 혼합액의 pH를 4.0 내지 7.0 으로 조절하고, 냉장실에서 10 내지 48 시간 방치하여 생성된 침전물을 회수한 후 건조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인 기능성 건강식품.
  7. 유제품에 감귤류 과피 분말 0.5 내지 10%, 감귤류 과피 추출물 0.5 내지 10%, 나린진 0.01 내지 5% 또는 헤스페리딘 0.01 내지 5%를 첨가하여 제조된 기능성 유제품.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유제품이 우유, 아이스크림, 치즈 또는 요구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유제품.
KR1019980012411A 1997-10-28 1998-04-08 감귤류의 과피 분말 또는 과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건강식품 KR19990079683A (ko)

Priority Applications (2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2411A KR19990079683A (ko) 1998-04-08 1998-04-08 감귤류의 과피 분말 또는 과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건강식품
PCT/KR1998/000323 WO1999021548A1 (en) 1997-10-28 1998-10-20 Naringin and naringenin as inhibitor of acyl coa-cholesterol-o-acyltransferase, inhibitor of macrophage-lipid complex accumulation on the arterial wall and preventive or treating agent for hepatic diseases
PCT/KR1998/000324 WO1999021549A1 (en) 1997-10-28 1998-10-20 Hesperidin and hesperetin as inhibitor of acyl coa-cholesterol-o-acyltransferase, inhibitor of macrophage-lipid complex accumulation on the arterial wall and preventive or treating agent for hepatic diseases
CN98810715A CN1278182A (zh) 1997-10-28 1998-10-20 作为酰基CoA-胆固醇-O-酰基转移酶抑制剂、巨噬细胞-脂质复合物在动脉壁上累积的抑制剂,以及肝病的预防或治疗剂的桔皮提取物
DE69817862T DE69817862T2 (de) 1997-10-28 1998-10-20 Naringin und naringenin als mittel zur vorbeugung oder behandlung von leber-erkrankungen
CA002307553A CA2307553C (en) 1997-10-28 1998-10-20 Citrus peel extract as inhibitor of acyl coa-cholesterol-o-acyltransferase, inhibitor of macrophage-lipid complex accumulation on the arterial wall and preventive or treating agent for hepatic diseases
JP2000517728A JP3333777B2 (ja) 1997-10-28 1998-10-20 アシルcoa−コレステロール−o−アシルトランスフェラーゼ抑制剤、動脈壁上でのマクロファージ−脂質複合体蓄積の抑制剤および肝疾患予防または治療剤としての柑橘類果皮抽出物
EP98951777A EP1063988A1 (en) 1997-10-28 1998-10-20 Hesperidin and hesperetin as inhibitor of acyl coa-cholesterol-o-acyltransferase, inhibitor ofmacrophage-lipid complex accumulation on the arterial wall and preventive or treating agent for hepatic diseases
EP98951775A EP1024819A1 (en) 1997-10-28 1998-10-20 Citrus peel extract as inhibitor of acyl coa-cholesterol-o-acyltransferase, inhibitor of macrophage-lipid complex accumulation on the arterial wall and preventive or treating agent for hepatic diseases
JP2000517707A JP2001520993A (ja) 1997-10-28 1998-10-20 アシルcoa−コレステロール−o−アシルトランスフェラーゼ抑制剤、動脈壁上でのマクロファージ−脂質複合体蓄積の抑制剤および肝疾患予防または治療剤としてのヘスペリジンおよびヘスペレチン
CN98810701A CN1124133C (zh) 1997-10-28 1998-10-20 橙皮苷和橙皮素作为肝病的预防或治疗剂的应用
JP2000517706A JP2001520992A (ja) 1997-10-28 1998-10-20 アシルcoa−コレステロール−o−アシルトランスフェラーゼ抑制剤、動脈壁上でのマクロファージ−脂質複合体蓄積の抑制剤および肝疾患予防または治療剤としてのナリンジンおよびナリンゲニン
BR9814105-8A BR9814105A (pt) 1997-10-28 1998-10-20 Extrato da casca de cìtricos como inibidor de coa-colesterol-o-acil-transferase de acilas, inibidor do acúmulo do complexo macrófago-lipìdeo sobre a parede arterial e agente para prevenção ou tratamento de doenças hepáticas
CA002307890A CA2307890A1 (en) 1997-10-28 1998-10-20 Hesperidin and hesperetin as inhibitor of acyl coa-cholesterol-o-acyltransferase, inhibitor of macrophage-lipid complex accumulation on the arterial wall and preventive or treating agent for hepatic diseases
EP98951776A EP1032381B1 (en) 1997-10-28 1998-10-20 Naringin and naringenin as preventive or treating agent for hepatic diseases
CN98810708A CN1124134C (zh) 1997-10-28 1998-10-20 柚苷和柚苷配基作为肝病的预防或治疗剂的应用
CA002307891A CA2307891A1 (en) 1997-10-28 1998-10-20 Naringin and naringenin as inhibitor of acyl coa-cholesterol-o-acyltransferase, inhibitor of macrophage-lipid complex accumulation on the arterial wall and preventive or treating agent for hepatic diseases
PCT/KR1998/000322 WO1999021570A1 (en) 1997-10-28 1998-10-20 Citrus peel extract as inhibitor of acyl coa-cholesterol-o-acyltransferase, inhibitor of macrophage-lipid complex accumulation on the arterial wall and preventive or treating agent for hepatic diseases
US09/181,393 US6165984A (en) 1997-10-28 1998-10-28 Naringin and naringenin as inhibitors of acyl CoA-cholesterol-o-acyltransferase
US09/751,101 US20010002264A1 (en) 1997-10-28 2000-12-28 Citrus peel extract as inhibitor of fatty streak formation on the arterial wall
US09/728,917 US20010014357A1 (en) 1997-10-28 2001-02-12 Citrus peel extract as inhibitor of ACYL coa-cholesterol-o-acyltransferase, inhibitor of macrophage-lipid complex accumulation on the arterial wall and preventive or treating agent for hepatic diseas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2411A KR19990079683A (ko) 1998-04-08 1998-04-08 감귤류의 과피 분말 또는 과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건강식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9683A true KR19990079683A (ko) 1999-11-05

Family

ID=65861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2411A KR19990079683A (ko) 1997-10-28 1998-04-08 감귤류의 과피 분말 또는 과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건강식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79683A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4714A (ko) * 2001-03-19 2001-06-05 김도진 귤껍질을 이용한 면 제조방법
KR20030023172A (ko) * 2001-09-12 2003-03-19 주식회사 퓨쳐바이오테크 과일활성성분 추출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30068707A (ko) * 2002-02-16 2003-08-25 천종인 진피를 이용한 건강냉면의 제조방법
KR100479736B1 (ko) * 2002-06-28 2005-03-30 (주)바이오뉴트리젠 천연 식물체 유래의 혼합분말 또는 추출물을 포함하는 지방간 예방용 식품
KR100642744B1 (ko) * 2005-05-02 2006-11-03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생리활성을 갖는 진지향 과피추출액과 이를 이용한 식품
KR101038433B1 (ko) * 2010-10-05 2011-06-01 (주)뉴트라알앤비티 수박 과피로부터 수용성 식이섬유 및 시투룰린을 추출하는 방법
KR20190055511A (ko) 2017-11-15 2019-05-23 에스케이바이오랜드 주식회사 감귤 유산균 발효액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00117472A (ko) 2019-04-04 2020-10-14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항산화능이 증가된 제주감귤 초미세분말의 제조 방법
KR20220132872A (ko) * 2021-03-24 2022-10-04 더불어 주식회사 감귤과피 차의 제조방법
KR20230095667A (ko) * 2021-12-22 2023-06-29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감귤 과피 추출물의 제조방법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4714A (ko) * 2001-03-19 2001-06-05 김도진 귤껍질을 이용한 면 제조방법
KR20030023172A (ko) * 2001-09-12 2003-03-19 주식회사 퓨쳐바이오테크 과일활성성분 추출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30068707A (ko) * 2002-02-16 2003-08-25 천종인 진피를 이용한 건강냉면의 제조방법
KR100479736B1 (ko) * 2002-06-28 2005-03-30 (주)바이오뉴트리젠 천연 식물체 유래의 혼합분말 또는 추출물을 포함하는 지방간 예방용 식품
KR100642744B1 (ko) * 2005-05-02 2006-11-03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생리활성을 갖는 진지향 과피추출액과 이를 이용한 식품
KR101038433B1 (ko) * 2010-10-05 2011-06-01 (주)뉴트라알앤비티 수박 과피로부터 수용성 식이섬유 및 시투룰린을 추출하는 방법
KR20190055511A (ko) 2017-11-15 2019-05-23 에스케이바이오랜드 주식회사 감귤 유산균 발효액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00117472A (ko) 2019-04-04 2020-10-14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항산화능이 증가된 제주감귤 초미세분말의 제조 방법
KR20220132872A (ko) * 2021-03-24 2022-10-04 더불어 주식회사 감귤과피 차의 제조방법
KR20230095667A (ko) * 2021-12-22 2023-06-29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감귤 과피 추출물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65019B1 (en) Health-improving spice composition
KR20000019717A (ko) 루틴 및 쿼세틴을 포함하는 고지혈증, 동맥경화증 및 간 질환의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US20010014357A1 (en) Citrus peel extract as inhibitor of ACYL coa-cholesterol-o-acyltransferase, inhibitor of macrophage-lipid complex accumulation on the arterial wall and preventive or treating agent for hepatic diseases
KR101959986B1 (ko) 갈색거저리 또는 번데기를 이용하여 배양된 동충하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US7846484B2 (en) Composition comprising Hovenia dulcis thunb. extract, Lindera obtusiloba blume extract, or herbal mixture extract thereof
KR101919839B1 (ko) 귀뚜라미 효소처리물을 함유하는 간보호 또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KR19990079683A (ko) 감귤류의 과피 분말 또는 과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건강식품
JPWO2004100969A1 (ja) 治療剤
Faria-Silva et al. Alpha-tomatine and the two sides of the same coin: An anti-nutritional glycoalkaloid with potential in human health
KR100304430B1 (ko) 인삼 및 감귤류 과피 유래 물질을 포함하는 건강증진용 식품조성물
KR20210048467A (ko)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증가된 감귤류 과피 추출물의 제조방법
CN1913910B (zh) 包括北枳椇提取物,三丫乌药提取物,或其本草混合物提取物的组合物
WO2007007994A1 (en) Food composition for improving liver function comprising a lonicera caerulea l. var. edulis extract
KR100314477B1 (ko) 대추 추출물 및 감귤류 과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지질대사개선 및 혈압강하용 조성물
KR102184812B1 (ko) 새찰쌀보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다공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9990080214A (ko) 감귤류의 과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건강개선용 기능성 음료
KR19990080215A (ko) 고기능성 감귤류 쥬스
KR19990080216A (ko) 기능이 개선된 귤피차
KR101962893B1 (ko) 갈색거저리 또는 번데기를 이용하여 배양된 동충하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JP4751066B2 (ja) 治療剤
KR100296250B1 (ko) 대추추출물및감귤류과피추출물을포함하는지질대사개선및혈압강하용조성물
KR100590726B1 (ko) 목질진흙버섯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페린신 에이를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심장순환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조성물
KR100258584B1 (ko) 감귤류과피추출액을포함하는아실코에이:콜레스테롤-오르토-아실트랜스퍼레이즈저해제조성물
KR100363180B1 (ko) 바이오플라보노이드계화합물을포함하는혈청고밀도지단백질증가용조성물
KR100536856B1 (ko) 혼합 생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