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7241B1 - 죽순 껍질을 이용한 죽순 껍질차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죽순 껍질을 이용한 죽순 껍질차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7241B1
KR102517241B1 KR1020200061402A KR20200061402A KR102517241B1 KR 102517241 B1 KR102517241 B1 KR 102517241B1 KR 1020200061402 A KR1020200061402 A KR 1020200061402A KR 20200061402 A KR20200061402 A KR 20200061402A KR 102517241 B1 KR102517241 B1 KR 1025172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mboo
bamboo shoot
skins
bamboo shoots
p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14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44278A (ko
Inventor
박영수
유선희
권세환
데이지 로자르
최준호
최현창
Original Assignee
담양죽순 영농조합법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담양죽순 영농조합법인 filed Critical 담양죽순 영농조합법인
Priority to KR10202000614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7241B1/ko
Publication of KR202101442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42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72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72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06Treating tea before extraction;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 A23F3/14Tea preparations, e.g.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06Treating tea before extraction;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 A23F3/12Rolling or shredding tea lea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 A23F3/20Removing unwanted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36Reducing or removing alkaloid content;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Extracts or infusions thereof
    • A23F3/363Reducing or removing alkaloid content;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Extracts or infusions thereof by addition of alkaloid neutralising or complexing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40Tea flavour; Tea oil; Flavouring of tea or tea extract
    • A23F3/42Isolation or recuperation of tea flavour or tea oil
    • A23F3/423Isolation or recuperation of tea flavour or tea oil by solvent extraction; Tea flavour from tea oil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15Flavour affecting agen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16Taste affecting agen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4Tea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죽순 껍질을 이용한 죽순 껍질차의 제조방법은 30 내지 70㎝ 크기의 죽순을 채취하는 단계와, 상기 죽순의 껍질을 벗겨 죽순껍질을 수득하는 단계와, 상기 죽순 껍질을 3 내지 5㎝ 크기로 절단하는 단계와, 상기 절단된 죽순 껍질을 세척하여 옥살산을 제거하는 단계와, 상기 죽순 껍질을 건져내어 1 내지 2시간 자연건조 하는 단계와, 상기 자연건조 후 1 내지 4℃이하의 냉장고에서 1 내지 4주간 저온 숙성하는 단계와, 상기 저온 숙성 후 저온 건조기에서 24 내지 72시간 건조하는 단계와, 상기 건조 된 죽순 껍질을 스테비아 침지 처리하여 가향하는 단계와, 상기 가향한 죽순 껍질을 8 내지 12시간 건조하는 단계와, 상기 건조된 죽순 껍질을 덖음(로스팅)하는 단계와, 상기 덖음(로스팅)한 죽순껍질을 파쇄하는 단계와, 상기 파쇄한 죽순껍질을 선별하여 티백에 인입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죽순 껍질을 이용한 죽순 껍질차의 제조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bamboo shoots peel tea using bamboo shoots peel}
본 발명은 죽순을 식품으로 가공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비 가식부위의 죽순 껍질(竹筍皮)를 이용한 죽순 껍질차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대나무 부산물인 죽순 껍질(竹筍 皮)은 85%이상의 수분과 Cellulose로 이루어진 세포벽을 가지고 있어, 성장이 끝난 대나무 등 일반 목질계의 원료보다 조직이 연해 처리가 용이하며, 100 ~ 500Mpa 초고압 조건 하에서 효소 처리에 의한 나노셀룰로오스의 생산과 이를 통한 고부가 가치의 화장품 소재로 활용할 수 있다.
현재 대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미용향장제품은 일본의 SK-Ⅱ 프리미엄 라인이 선을 보이면서 프랑스의 로레알, 미국의 에스티로더, P&G의 프리미엄 라인에서 사용하고 있으나, 죽순껍질을 이용한 미용향장제품은 세계적으로도 개발되거나 판매된 유래가 없다.
또한 죽순을 이용한 차의 경우에도 대부분 죽순 가공 시 함께 조리하여 음용하는 경우와 녹차와 같이 일반적으로 덖음이나 유념의 과정을 거쳐 만들어지는 소규모 차가 있을 뿐, 대부분의 경우 폐기하는 정도여서 현재로서는 세계적으로 대나무 죽순껍질을 이용한 범용 차는 출시되고 있지 않다.
일반적으로 대나무는 세계적으로 3000 여종이 자생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맹종죽, 왕대, 솜대, 산죽 등 12~13 여종이 자생, 분포하고 있다. 자생지나 종류, 부위(죽엽, 죽순, 죽여)에 따라서도 성분상 차이점은 있으나, 일반적으로 단백질, 섬유질, 아미노산(아스파라긴, 글루타민, 알라닌 등), 지방산, 비타민, 칼륨, 칼슘, 마그네슘, 실리카 등 인체에 이로운 물질들로 구성되어 있어 예로부터 한방의 약재로 사용되어 왔다.
또한 동의보감, 본초강목 등의 문헌에서는 대나무는 성정이 차고 맛이 쓰나, 고혈압, 중풍, 당뇨, 빈혈, 불면증, 산후발열(기미, 주근깨), 소아경기, 구창, 주독을 다스리며 기를 이롭게 한다고 기재되어 있다. 그리고 산죽의 잎에서 추출한 추출액 중에는 항암활성을 지닌 물질의 구성성분인 크실로스, 아라비로스 및 글루코스와 만노스, 갈락토스 등의 당류와 아스파라긴산, 글루타민산, 셀린, 트레오닌, 플로린, 알라닌, 시스레인, 페닐아라닌 등의 아미노산이 함유되어 있다고 기재되어 있다.
특히 죽순(죽순껍질을 포함한)은 대나무의 땅속줄기 마디에서 돋아나는 어린순으로, 동의보감 및 한국본초도감에 의하면 변비예방, 숙취해소, 청혈작용, 이뇨작용, 스트레스, 불면증, 비만증, 피부염, 만성기관지염 그리고 고혈압예방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죽순의 영양적 가치를 살펴보면, 단백질은 양파의 4배이고 비타민A는 무려 100배가 넘으며, 이외에 칼슘, 철분, 무기질, 비타민B·비타민C, 섬유소, 리그닌, 펙틴 등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다. 또 죽순에는 여러 가지 구성, 유리 아미노산이 들어 있으며, 질소화합물로는 티로신·아스파라긴산·글루탐산·알라닌 등이 많고, 화합물로는 과당·포도당·자당 등을 함유하고 있다.
이처럼 상기 죽순은 풍부한 영양성분이 많이 들어 있어 요리재료로 활용되거나 건강식품의 주재료로 사용되는데, 이때 상기 요리재료나 건강식품재료로 사용되는 죽순 재료는 죽순껍질이 제거된 상태의 죽순대를 의미하며, 이를 일정시간 삶거나 일정온도 이상 가열하여 죽순대의 독성 및 떫은맛을 제거한 후에 음식재료로 사용되어 진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껍질을 포함한 죽순은 유용한 성분들을 많이 함유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주로 죽순대만 활용될 뿐 죽순의 엽(葉), 즉 죽순 껍질(竹筍 皮)은 거의 활용되지 못하고 폐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KR 10-0397139 B KR 10-0995402 B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죽순을 식품으로 가공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비 가식부위의 죽순 껍질(竹筍 皮) 재활용을 통한 자원의 재활용 및 죽순껍질의 유용성분을 함유한 침출차를 만들기 위한 죽순 껍질을 이용한 죽순 껍질차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죽순 껍질을 재료로 하되 죽순과 죽순 껍질의 떫은 맛을 없앨 수 있는 침지 처리과정 및 최적의 맛과 향, 부드러운 목넘김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죽순 껍질차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죽순 껍질을 이용한 죽순 껍질차의 제조방법은 30 내지 70㎝ 크기의 죽순을 채취하는 단계와, 상기 죽순의 껍질을 벗겨 죽순껍질을 수득하는 단계와, 상기 죽순 껍질을 3 내지 5㎝ 크기로 절단하는 단계와, 상기 절단된 죽순 껍질을 세척하여 옥살산을 제거하는 단계와, 상기 죽순 껍질을 건져내어 1 내지 2시간 자연건조 하는 단계와, 상기 자연건조 후 1 내지 4℃의 냉장고에서 1 내지 4주간 저온 숙성하는 단계와, 상기 저온 숙성 후 저온 건조기에서 24 내지 72시간 건조하는 단계와, 상기 건조 된 죽순 껍질을 스테비아에 침지 처리하여 가향하는 단계와, 상기 가향한 죽순 껍질을 8 내지 12시간 건조하는 단계와, 상기 건조된 죽순 껍질을 덖음(로스팅)하는 단계와, 상기 덖음(로스팅)한 죽순껍질을 파쇄하는 단계와, 상기 파쇄한 죽순껍질을 선별하여 티백에 인입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d) 옥살산 제거 단계는 세척된 죽순 껍질을 주정 알콜이 5% 되게 혼합한 미온수에 10:1의 부피비율로 미강을 희석한 후 30~60분 침지하여 옥살산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g) 건조 단계는 저온 건조기가 20 내지 30℃ 온도에서 저온 숙성된 죽순 껍질의 윗면과 아랫면을 골고루 바꿔주며 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h) 가향 단계는 스테비아 원액이 전체 부피비율 100% 중 3 내지 5% 함유된 희석 액에 1 내지 3시간 침지한 후 건져내어 8 내지 12시간 자연 건조하여 가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차의 제조과정에서 종래 사용되었던 비빔과 유념과정 없이도 기호성이 우수한 죽순 껍질차를 제조하는 새로운 방법을 통하여 죽순껍질의 불순물과 아린 맛을 제거하고 맛과 향 등 기호도가 우수한 죽순껍질차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여 제조된 죽순 껍질차는 최적화된 공정에 의해 기호성이 우수함은 물론 공정 최소화를 통해 경제성이 뛰어난 죽순 껍질차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죽순 껍질을 이용한 죽순 껍질차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는 죽순 껍질(Bamboo Peel)과 죽순 속대(Bamboo flesh)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 분석 결과이다.
도 3은 죽순 껍질(Bamboo Peel)과 죽순 속대(Bamboo flesh) 추출물의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분석 결과이다.
다른 식으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기술적 과학적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전문가에 의해서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명명법은 본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고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죽순"이란 그것이 얻어지는 대나무의 종류를 불문하고 분류학상 대나무로 분류되는 식물 즉 벼목 화본과에 속하는 대나무로부터 얻어진 모든 것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대나무의 종류를 불문하므로, 왕대속(Phyllostachys)에 속하는 대나무에서 얻어진 죽순이든, 해장죽속(Arundinaria)에 속하는 대나무에서 얻어진 죽순이든, 조릿대속(Sasa)에 속하는 대나무에서 얻어진 죽순이든 또는 이대속(Pseudosasa)에 속하는 대나무에서 얻어진 죽순이든 상관없이, 모두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죽순 껍질을 이용한 죽순 껍질차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죽순 껍질을 이용한 죽순 껍질차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죽순 껍질차 제조방법은 30 내지 70㎝ 크기의 죽순을 채취(a)하고, 상기 죽순의 껍질을 벗겨 죽순 껍질을 수득(b)한 후 상기 죽순 껍질을 3 내지 5㎝ 크기로 절단(c)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절단된 죽순 껍질을 세척하여 옥살산을 제거(d)하고 상기 침지된 죽순 껍질을 건져내어 1 내지 2시간 자연건조(e) 한다. 상기 자연 건조 후 1 내지 4℃의 냉장고에서 1 내지 4주간 저온 숙성(f)한 후 저온 건조기에서 24 내지 72시간 건조(g)한다. 상기 건조 된 죽순 껍질을 스테비아에 침지 처리하여 가향(h)한 후 죽순 껍질을 8 내지 12시간 건조(i)한다. 상기 건조 된 죽순 껍질을 덖음(로스팅)(j)한 후 덖음(로스팅)한 죽순껍질을 파쇄(k)한 다음 파쇄한 죽순 껍질을 선별하여 티백에 인입(l)하여 제조한다.
본 발명의 죽순 껍질차 제조방법은 죽순 껍질의 떫은 맛을 없앨 수 있도록 옥살산을 제거(d)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옥살산 제거(d) 단계는 절단된 죽순 껍질을 10%이상 주정 알콜로 희석한 정제수를 사용할 경우 색택이 나빠지며, 죽순 껍질 속의 유용성분이 추출되어 나오므로 반드시 주정 알콜이 3~5% 되게 혼합한 미온수에 10:1의 부피비율로 미강을 희석한 후 30~60분 침지하여 옥살산을 제거하여 아린 맛을 제거한 후 사용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저온 숙성(f)단계는 1 내지 4주간 저온 숙성하되,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4일 저온건조하여 보라색의 선명하고 깨끗한 죽순 껍질을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저온 숙성(f)단계는 4℃ 이상 숙성 시 발효되어 시큼한 맛을 내므로 1~4℃이내의 온도로 저온 숙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실험에서는 담양 지역에서 많이 생산되는 죽순의 부산물인 죽순 껍질의 기능성을 확인하고 침출차로서의 이용을 위한 유용물질을 분석하였다.
아래 표1은 죽순 부위별 추출물의 Ascorbic acid 함량 분석 결과(LC/MS)이다.
Name of the extract Concentration
(μg/kg)
Mean (μg/kg)
Peel Ex. Water Ex. 0.260 0.230
0.200
5% EtOH Ex. 0.380 0.380
0.380
30% EtOH Ex. 0.640 0.630
0.620
70% EtOH Ex. 0.240 0.270
0.300
Flesh ex. Water Ex. 0.340 0.330
0.320
5% EtOH Ex. 0.340 0.320
0.300
30% EtOH Ex. 0.200 0.190
0.180
70% EtOH Ex. 0.100 0.090
0.080
조건별 죽순 껍질(Bamboo Peel) 추출물과 죽순 속대(Bamboo flesh) 추출물의 효능 차이를 규명하기 위하여 항산화 능력 평가를 진행하였다. 항산화 활성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각 조건별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DPPH assay, ABTS assay를 진행하였으며, 결과를 통해 최종 선별된 추출물 1종에 대해서는 과산화지질 형성 저해 활성 실험을 진행하여 항산화 능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도 2는 죽순 껍질(Bamboo Peel)과 죽순 속대(Bamboo flesh)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 분석 결과이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표준물질인 galic acid에 대한 검량곡선을 이용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죽순 껍질 추출물은 열수, 5%주정, 30%주정, 70%주정추출 순으로 각각 24.567mg/g, 27.918mg/g, 26.680mg/g, 19.567mg/g 의 폴리페놀을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이에 반해 속대 추출물은 동일 순으로 보았을 때 18.381mg/g, 17.814mg/g, 21.216mg/g, 20.263mg/g 의 폴리페놀을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했다.
따라서 조건별 껍질과 속대 추출물을 비교해보았을 때 상대적으로 껍질 추출물이 속대 추출물보다 총 폴리페놀 함량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70%주정 추출물을 제외한 나머지 조건에서 유의적 차이를 보였다. 또한 껍질 추출물 중 가장 총 폴리페놀 함량이 높은 추출물은 죽순 껍질 5%주정 추출물로 확인되었다.
도 3은 죽순 껍질(Bamboo Peel)과 죽순 속대(Bamboo flesh) 추출물의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분석 결과이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표준물질인 rutin에 대한 검량곡선을 이용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죽순 껍질 추출물은 열수, 5%주정, 30%주정, 70%주정추출 순으로 각각 7.968mg/g, 9.085mg/g, 7.410mg/g, 4.827mg/g 의 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이에 반해 속대 추출물은 동일 순으로 보았을 때 2.935mg/g, 2.260mg/g, 1.635mg/g, 1.185mg/g 의 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했다. 따라서 조건별 껍질과 속대 추출물을 비교해보았을 때 껍질 추출물이 속대 추출물에 비해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고, 껍질 추출물 중 가장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높은 추출물은 죽순 껍질 5%주정 추출물로 확인되었다.다만 현재 개발하여 판매하고자 하는 죽순껍질차는 추출의 방법이 아닌 침출차 자체를 판매하기 위함이므로 열수 추출외의 조건은 불필요하다 하겠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도면에 예시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 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4)

  1. (a) 30 내지 70㎝ 크기의 죽순을 채취하는 단계;
    (b) 상기 죽순의 껍질을 벗겨 죽순껍질을 수득하는 단계;
    (c) 상기 죽순 껍질을 3 내지 5㎝ 크기로 절단하는 단계;
    (d) 상기 절단된 죽순 껍질을 세척하고, 세척된 죽순 껍질을 주정 알콜이 5% 되게 혼합한 미온수에 다시 10:1의 부피비율로 미강을 희석한 후 30~60분 침지하여 옥살산을 제거하는 단계;
    (e) 상기 죽순 껍질을 건져내어 1 내지 2시간 자연건조 하는 단계;
    (f) 상기 자연건조 후 1 내지 4℃의 냉장고에서 10 내지 14일 저온 숙성하는 단계;
    (g) 상기 저온 숙성 후 저온 건조기가 20 내지 30℃ 온도에서 저온 숙성된 죽순 껍질의 윗면과 아랫면을 골고루 바꿔주며 건조하는 24 내지 72시간 건조하는 단계;
    (h) 상기 건조 된 죽순 껍질을 스테비아에 침지 처리하도록 스테비아 원액을 전체 부피비율 100% 중 3 내지 5% 함유한 희석 액에 1 내지 3시간 침지한 후 건져내어 8 내지 12시간 자연 건조하는 가향 단계;
    (i) 상기 가향한 죽순 껍질을 8 내지 12시간 건조하는 단계;
    (j) 상기 건조된 죽순 껍질을 덖음(로스팅)하는 단계;
    (k) 상기 덖음(로스팅)한 죽순껍질을 파쇄하는 단계;
    (l) 상기 파쇄한 죽순껍질을 선별하여 티백에 인입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죽순 껍질을 이용한 죽순 껍질차의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200061402A 2020-05-22 2020-05-22 죽순 껍질을 이용한 죽순 껍질차의 제조방법 KR1025172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1402A KR102517241B1 (ko) 2020-05-22 2020-05-22 죽순 껍질을 이용한 죽순 껍질차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1402A KR102517241B1 (ko) 2020-05-22 2020-05-22 죽순 껍질을 이용한 죽순 껍질차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4278A KR20210144278A (ko) 2021-11-30
KR102517241B1 true KR102517241B1 (ko) 2023-04-03

Family

ID=78722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1402A KR102517241B1 (ko) 2020-05-22 2020-05-22 죽순 껍질을 이용한 죽순 껍질차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724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5402B1 (ko) * 2010-07-27 2010-11-19 경상남도 죽순차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죽순차
KR101885650B1 (ko) * 2017-09-29 2018-08-06 합천생약가공 영농조합법인 침출식 유자잎차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7139B1 (ko) 2001-03-06 2003-09-06 강릉시 오죽엽차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5402B1 (ko) * 2010-07-27 2010-11-19 경상남도 죽순차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죽순차
KR101885650B1 (ko) * 2017-09-29 2018-08-06 합천생약가공 영농조합법인 침출식 유자잎차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4278A (ko) 2021-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7606B1 (ko) 마늘 절편 정과의 제조방법
KR101595903B1 (ko) 고구마말랭이 제조방법 및 이에 제조된 고구마말랭이
KR20190057562A (ko) 밤의 내피에 포함된 유용성분을 이용한 흑밤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흑밤
KR101145894B1 (ko) 인삼발효 홍삼 청국장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홍삼 청국장
KR102178337B1 (ko) 단감칩을 이용한 김치 제조방법
KR102120461B1 (ko) 비타민나무가 첨가된 냉면 면발의 제조 방법
KR102120463B1 (ko) 비타민나무가 첨가된 칼국수 면발의 제조 방법
KR102517241B1 (ko) 죽순 껍질을 이용한 죽순 껍질차의 제조방법
KR101796674B1 (ko) 하수오를 이용한 발효식품의 제조방법 및 이로 제조된 하수오 발효식품
KR101607452B1 (ko) 벤조피렌 함량이 저감되고 침출 효율이 높은 흑편삼의 제조방법
KR102316705B1 (ko) 무, 당근, 우엉, 무청 및 표고 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건강 음료 조성물 및 물을 실질적으로 첨가하지 않는 그 제조 방법
KR102296716B1 (ko) 아로니아 조미액의 제조방법
KR102274917B1 (ko) 일반 무화과, 미숙과 그리고 저가 무화과를 이용한 품질향상 건조 무화과 및 분말 제조방법
KR101987347B1 (ko) 아로니아 잎 차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아로니아 잎 차
KR101111288B1 (ko) 기능성 고추장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71153A (ko) 죽순잎차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죽순잎차
KR20090116527A (ko) 제주조릿대 새잎을 이용한 차의 제조방법 그에 의해 제조된 제주조릿대 새잎 차
KR100607670B1 (ko) 오갈피를 이용하여 제조한 기능성 김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20138502A (ko) 홍삼정과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홍삼정과
KR102537246B1 (ko) 부티아 시럽 및 그 제조방법
KR102522405B1 (ko) 더덕포 및 그 제조방법
KR102320421B1 (ko) 식방풍잎차 및 그 제조방법
KR102456954B1 (ko) 스틱 형태의 포장 용기에 충전된 도라지 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599866B1 (ko) 율피차의 제조방법
KR102278173B1 (ko) 팔미라팜 및 아티초크의 생리활성성분을 포함하는 인삼 정과 및 이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