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4917B1 - 일반 무화과, 미숙과 그리고 저가 무화과를 이용한 품질향상 건조 무화과 및 분말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일반 무화과, 미숙과 그리고 저가 무화과를 이용한 품질향상 건조 무화과 및 분말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74917B1 KR102274917B1 KR1020190014582A KR20190014582A KR102274917B1 KR 102274917 B1 KR102274917 B1 KR 102274917B1 KR 1020190014582 A KR1020190014582 A KR 1020190014582A KR 20190014582 A KR20190014582 A KR 20190014582A KR 102274917 B1 KR102274917 B1 KR 10227491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juice
- dried
- semi
- drying
- powder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title description 16
- 230000002028 premature Effects 0.000 title 1
- 235000011389 fruit/vegetable juice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8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4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2
- 239000008187 granular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235000019640 taste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35000015203 fruit juice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5000015192 vegetable juice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0000001954 sterilis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8000004806 packaging method and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04659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40000002234 Allium sativum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35000004611 garlic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35000013399 edible fruit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8000007654 immers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40000004160 Capsicum annuum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5000008534 Capsicum annuum var annuum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40000007124 Brassica olerace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5000003899 Brassica oleracea var acephala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5000017060 Arachis glabrata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8
- 244000105624 Arachis hypogae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5000010777 Arachis hypogaea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5000018262 Arachis monticola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8
- 241000219112 Cucumi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5000015510 Cucumis melo subsp melo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5000011511 Diospyro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8
- FJJCIZWZNKZHII-UHFFFAOYSA-N [4,6-bis(cyanoamino)-1,3,5-triazin-2-yl]cyanamide Chemical compound N#CNC1=NC(NC#N)=NC(NC#N)=N1 FJJCIZWZNKZHII-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12141 concentra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5000020232 peanut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5000007862 Capsicum baccatum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5000003434 Sesamum indicum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7
- 244000195452 Wasabia japonic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5000000760 Wasabia japonica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1728 capsicum frutescens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5000015190 carrot juic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5000013944 peach juic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7
- 244000236655 Diospyros kaki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44000040738 Sesamum orientale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KRKNYBCHXYNGOX-UHFFFAOYSA-N citr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C(O)(C(O)=O)CC(O)=O KRKNYBCHXYNGOX-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5000011301 Brassica oleracea var capitata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5000001169 Brassica oleracea var oleracea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5
- 244000088415 Raphanus sativu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5000006140 Raphanus sativus var sativu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5
- 244000269722 Thea sinensi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9461 vacuum packa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5000009434 Actinidia chinensi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5000009436 Actinidia deliciosa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41000234282 Allium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5000002732 Allium cepa var. cepa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4
- CIWBSHSKHKDKBQ-JLAZNSOCSA-N Ascorbic acid Chemical compound OC[C@H](O)[C@H]1OC(=O)C(O)=C1O CIWBSHSKHKDKBQ-JLAZNSOCSA-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5000012905 Brassica oleracea var viridi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44000241235 Citrullus lanatu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5000012828 Citrullus lanatus var citroide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41000207199 Citru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5000018290 Musa x paradisiaca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4
- CBENFWSGALASAD-UHFFFAOYSA-N Ozone Chemical compound [O-][O+]=O CBENFWSGALASAD-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44000061458 Solanum melongen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5000002597 Solanum melongena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5000015197 apple juic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5000015191 beet juic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5000020971 citrus fruit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5000020379 cucumber juic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20003088 hydroxypropyl methyl cellulos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5000015206 pear juic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5000020384 spinach juic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5000013948 strawberry juic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44000298697 Actinidia delicios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40000005561 Musa balbisian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5000010979 hydroxypropyl methyl cellulos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5000013311 vegetable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5000010149 Brassica rapa subsp chinensi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5000000536 Brassica rapa subsp pekinensi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41000499436 Brassica rapa subsp. pekinensi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ZZZCUOFIHGPKAK-UHFFFAOYSA-N D-erythro-ascorbic acid Natural products OCC1OC(=O)C(O)=C1O ZZZCUOFIHGPKAK-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
- WQZGKKKJIJFFOK-GASJEMHNSA-N Glucose Natural products OC[C@H]1OC(O)[C@H](O)[C@@H](O)[C@@H]1O WQZGKKKJIJFFOK-GASJEMHNSA-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30003268 Vitamin C Natural produ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TVXBFESIOXBWNM-UHFFFAOYSA-N Xylitol Natural products OCCC(O)C(O)C(O)CCO TVXBFESIOXBWNM-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8103 glucos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HEBKCHPVOIAQTA-UHFFFAOYSA-N meso ribitol Natural products OCC(O)C(O)C(O)CO HEBKCHPVOIAQTA-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5000019154 vitamin C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11718 vitamin C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0811 xylito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HEBKCHPVOIAQTA-SCDXWVJYSA-N xylitol Chemical compound OC[C@H](O)[C@@H](O)[C@H](O)CO HEBKCHPVOIAQTA-SCDXWVJ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60002675 xylitol Drug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5000010447 xylitol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41000132456 Haplocarpha Species 0.000 claims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1
- 235000000346 sugar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25
- 235000015097 nutrients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12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9000000796 flavoring agent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5000019634 flavors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9000013589 supplement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5000019587 textur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7
- 230000001965 in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35000011869 dried frui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8
- 235000008504 concentr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7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6
- 235000012055 fruits and vegetab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6
- 235000015110 jelli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6
- 239000008274 jell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047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321 preserv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255 enzym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2466 perme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5067 sauc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10000003491 skin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8000002791 soa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29930091371 Fructose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5715 Fruct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RFSUNEUAIZKAJO-ARQDHWQXSA-N Fructose Chemical compound OC[C@H]1O[C@](O)(CO)[C@@H](O)[C@@H]1O RFSUNEUAIZKAJO-ARQDHWQX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2615 epidermis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1866 hydroxypropyl methyl 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UFVKGYZPFZQRLF-UHFFFAOYSA-N hydroxypropyl methyl cellulose Chemical compound OC1C(O)C(OC)OC(CO)C1OC1C(O)C(O)C(OC2C(C(O)C(OC3C(C(O)C(O)C(CO)O3)O)C(CO)O2)O)C(CO)O1 UFVKGYZPFZQRL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4666 liquid concentr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3049 sedi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1888 snack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21404 traditional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29930003231 vitamin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43 vitam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782 vitam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40088594 vitamin Drugs 0.000 description 2
- 244000298715 Actinidia chinens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723267 Diospyro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4000055850 Diospyros virginian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108090000270 Ficain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44000025361 Ficus caric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730 Ficus caric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218213 Morus <angiosper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34295 Mus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65 Prote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44000000231 Sesamum indic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480 active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43 active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508 confectionery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911 die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378 dieta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855 fermen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151 fermen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836 fic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POTUGHMKJGOKRI-UHFFFAOYSA-N ficin Chemical compound FI=CI=N POTUGHMKJGOKR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19 fine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041 food componen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08 freeze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10 freez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14 freez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76 functional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306 harve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385 heavy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500 inorganic miner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054 meal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44000005700 microbiom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07 miner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755 minera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30014626 natural product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6709 nutritio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50 nutr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7524 organic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575 pestic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546 pharmaceutical excip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04 phys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54 pick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672 process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37 promo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98 pulveriz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067 refined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216 scre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5846 sugar alcoho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8163 sugar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188 syrup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357 syrup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57 tha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519 tissu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642 wellbe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01—Instant products; Powders; Flakes; Granule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34—Tea substitutes, e.g. matè; Extracts or infusions thereof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40—Tea flavour; Tea oil; Flavouring of tea or tea extract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03—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sisting of whole pieces or fragments without mashing the original piece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26—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irradiation without heating
- A23L3/28—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irradiation without heating with ultraviolet light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34—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chemicals
- A23L3/3409—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chemicals in the form of gases, e.g. fumigation; Compositions or apparatus therefor
- A23L3/3445—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chemicals in the form of gases, e.g. fumigation; Compositions or apparatus therefor in a controlled atmosphere comprising other gases in addition to CO2, N2, O2 or H2O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57—Chemical peeling or cleaning of harvested fruits, vegetables or other foodstuff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0—Drying, dehydrating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1—Mechanical treatment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8—Multiple-step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repara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반무화과 미숙과, 저가무화과를 이용하여 품질향상에 따른 건조 무화과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i. 무화과 세척 및 선별단계(100), ii. 1차 무화과 건조단계 (200), iii.건조 무화과(건조 무화과를 압착하여 겉 과육이 깨져서 벌어지게 한 무화과)를 선택적으로 별도의 과일이나 채소류 착즙액에 침적하여 맛과 식감을 향상하는 단계(300), iv. 2차 건조단계(400), v.반건조 무화과, 무화과 분말 또는 과립 제조단계(500), vi.살균 및 포장단계(600)로 구성된 제조방법에 따르면, a. 당도와 식감이 떨어진 건조 무화과를 선별하여 무화과 착즙액이나 채소류 착즙액에 재침적한 후 건조하여 당도와 맛 그리고 향과 식감을 증진해 무화과에 부족한 영양성분을 보충하여 일반 무화과는 물론 미숙과나 저가무화과의 품질을 크게 향상할 수 있으며, b. 다양한 용도로 무화과의 소비를 촉진할 수 있는 이점이 있어서 무화과 재배 농가의 경제소득을 크게 향상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건조 무화과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무화과의 주요 성분을 최대한 그대로 보존하면서 무화과에 부족한 영양분을 보강하고, 맛과 향을 개선하고 유통기한을 늘려 연중 웰빙 간식으로 이용할 수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은 저가품질 무화과를 이용하여 다양한 맛을 향상시킨 응용 건조 무화과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ⅰ. 무화과 세척 및 선별단계, ii. 1차 무화과 건조 단계, iii.건조 무화과(무화과를 압착하여 겉 과육이 깨져서 벌어지게 한 무화과)를 선택적으로 준비한 별도의 과일 착즙 액에 침적하여 맛과 식감을 향상시키는 단계, iv. 2차 건조단계, v.반건조 무화과, 무화과 분말 또는 과립 제조단계, vi.살균과 및 포장단계로 구성된 응용 건조 무화과 그리고 분말 또는 과립형태 등의 건조 무화과를 제조할 수 있는 무화과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무화과는 뽕나무과에 속하는 낙엽 활엽관목으로 약 2,000여 종류가 있으며, 그 원산지는 지중해 연안으로 주로 따뜻하고 비가 비교적 많으며 배수가 잘되는 지방에서 재배되고 있다. 현재 한국의 무화과 품종 (Ficuscarica L.) 및 기후조건으로는 쉽게 건과를 만들기 어려우나, 생과로는 저장성 및 수송이 좋지 않으므로 가공하여 응용제품을 개발하고 장기 저장할 수 있는 방법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다. 무화과는 다른 과일과는 달리 전혀 농약을 쓰지 않는 완전한 무공해 과일로 성인병 예방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등 식품학적 가치가 뛰어나며, 다른 과일에 비해 당도가 월등히 뛰어나 오랜 전통식품으로 널리 활용하고 있으며, 주로 잼이나 무화과즙 등의 무화과 가공이 제한적으로 개발되고 있는 등 농산물 가공에 많은 애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무화과에 풍부하게 포함된 피신(Ficin)과 비타민 그리고 미네랄 등의 여러 가지 생리활성 성분들을 활용하고 무화과의 생 과즙을 이용하여 그에 포함된 여러 가지 활성 물질과 고당도의 이점을 활용하여 전통식품으로 개발되어야 한다고 본다.
최근 식생활 문화가 발달하고 서구식 취향에 맞는 미식가들이 늘고 있으며, 더 나아가서 천연물 소재 기능성 식품의 기호가 더 향상되고 있다. 그러나 무화과의 저장성 문제(완숙과 보존 기간 1~2일)로 어려움이 크며, 기술개발 자본력과 기술의 한계성으로 몇 가지 제품인 무화과 잼과 무화과 착즙 주스 생산 등 국한된 시제품이 전부이며 거의 생과로 이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이상기온으로 기온이 올라서 늦은 11월을 지나 12월 초 까지도 농가에서 무화과를 생산하고 있어서 무화과 전국 생산량도 크게 향상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무화과가 늦가을이나 초겨울에 접어들어 기온이 급격하게 떨어지면서 거의 완숙과에 근접하게 성숙된 무화과가 품질 저하로 출하되지 못하는 많은 량의 무화과가 그대로 방치되어 버려지고 있는 실정이다. 그래서 이러한 미숙과나 저가 무화과를 이용하여 당도를 증가시키거나 무화과에 부족한 영양성분을 증가시키고 보다 먹기좋은 최적 조건을 확립하여 시제품을 제조하고자 하였다.
무화과는 여러 품종이 있으나 주요 품종인 마세히종 무화과는 무화과 중에서 제일 큰 대과종으로 늦은 가을에도 거의 대부분 완숙되어 무화과가 결구가 크고 외관상 무화과 색상도 좋으나 기온저하로 당도가 낮아서 판로개척에 어려운 면이 있다. 이것은 무화과 재배 농가의 큰 애로사항으로 전체 재배 면적의 약 1/4 정도가 될 정도로 늦가을 급 변화된 기온 저하로 성장이 멈추어 미숙과 또는 저가무화과로 취급되어 대부분 그대로 버려지고 있다 할 수 있다. 이러한 무화과를 완숙된 무화과 건과처럼 당도가 증가하고 맛과 향 그리고 식감이 좋은 건조 무화과나 건조분말로 제조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고 본다.
무화과는 여러 품종이 있으나 주요 품종인 마세히종 무화과는 무화과 중에서 제일 큰 대과종으로 늦은 가을에도 거의 대부분 완숙되어 무화과가 결구가 크고 외관상 무화과 색상도 좋으나 기온저하로 당도가 낮아서 판로개척에 어려운 면이 있다. 이것은 무화과 재배 농가의 큰 애로사항으로 전체 재배 면적의 약 1/4 정도가 될 정도로 늦가을 급 변화된 기온 저하로 성장이 멈추어 미숙과 또는 저가무화과로 취급되어 대부분 그대로 버려지고 있다 할 수 있다. 이러한 무화과를 완숙된 무화과 건과처럼 당도가 증가하고 맛과 향 그리고 식감이 좋은 건조 무화과나 건조분말로 제조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고 본다.
시중에 수입종인 무화과 건과는 연간 수십억에 달하는 말린 과일을 동남아 등지에서 수입되어 이용되고 있으며, 외국에서도 완숙과는 건조시간이 길며 당분이 많아서 건과의 외부 색상이 깨끗하지 않아 주로 미숙과를 가공하여 수출하는 추세다. 따라서 새로운 건조 무화과의 개발 필요성은 더 크다 할 수 있다.
그래서 현재 본 발명자는 건조 무화과를 될 수 있는 대로 무화과의 여러 가지 영양성분을 보존할 방법에 역점을 두고 무화과 건과를 제조하였다. 이러한 무화과를 식용으로 이용하는 방법은 생과나 잼 또는 건조 방법 외에도 말려 말랭이로 만들어 먹는 방법이 있다. 이 중에서도 건조 무화과는 말랑 말랑한 상태로 건조된 가공식품으로 제조하면, 생과 보다는 보존 기간이 길고 맛이 뛰어나기 때문에, 어린이들의 간식으로는 물론 식사 대용으로도 널리 애용되고 있으며, 음식 재료와 제빵 원료로도 사용되고 있다. 그래서 계절에 상관없이 이용할 수 있도록 건조한 무화과(이하 '건조 무화과'라고 한다)를 주로 활용하거나, 말리거나 조림으로 가공하는 때도 있다.
이러한 무화과의 독특한 특성을 극복하려는 방법으로써, "건조 무화과 가공제품의 제조방법"(한국등록 특허 제100549186호)에서는 건조 무화과와 젤리 액을 이용한 가공방법이 소개된 바 있고, "무화과를 이용한 건조 무화과 절편, 통건조 무화과, 곶감 형무 화과 또는 설탕 절임 무화과 절편 및 그의 제조방법"(한국등록 특허 제101034933호)에서는 무화과를 동결건조하여 만든 건조 무화과 절편, 통건조 무화과, 곶감 형 무화과 등에 대한 제조방법을 소개한 바 있고, "냉동 무화과 제조방법"(한국등록 특허 제101034933호)에서는 무화과 후숙 단계, 무화과 냉동 껍질 벗기기 단계, 무화과 냉동보관단계 및 무화과 해동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방법에 관한 내용이 게시된 바 있고, "무화과 맛 소스 제조방법 및 그 무화과 소스"(한국등록 특허 제101287764호)에서는 무화과를 소스로 만드는 제조방법에 관한 선행기술이 개시된 바 있다.
한국등록 특허 제10-1661071호)에서는 무화과를 선별하여 3~10시간 후숙시키 단계를 거친 다음 무화과를 3~4등분 또는 향 3~4등 하는 무화과는 55~60℃ 도에 15~17시간 건조하고, 95~99% 숙성된 무화과는 54~57℃ 건조시키는 무과를 진공으로 포장한 후 살균기에 5~10분간 살균하는 건무화과를 특징짓는 건조무과 제조방법에 관한 선행기술로 무화과를 후숙시켜 선별하고 절단을 하여 건조해서 온도별 건조시간을 변경하여 제조방법에 관한 선행기술이 개시된 바 있으나 생무화과를 세절하는데 작업이 가중되어 경제성이 낮으며 세절하기가 매우 까다롭고 잘게 자른 후 곧바로 건조한다 해도 무화과 진이나 당분으로 서로 엉켜서 달라붙고 만지면 조직이 허물어져서 골고루 펼칠 수 없으며 이를 건조하면 당분으로 인해 찐득거리며 달라붙는다. 또한, 취급에 소흘하면 이물질이 쉽게 달라붙고 색상이 어두운 형태로 마치 다른 과일 말랭이 같은아 선호도가 낮다고 본다.
한국등록 특허 제101103254호에서는 무화과의 열매껍질을 제거하는 단계; 열매껍질을 제거한 무화과를 당침 액에 담금. 시키는 단계; 담금이 끝난 무화과를 온수에 담갔다 꺼낸 후 반건조시키는 단계; 반건조한 무화과를 냉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성이 향상된 반건조 무화과를 특징짓는 건무과 제조방법에 관한 선행기술이 개시된 바 있다.
한국등록 특허 제101485681호에서는 무화과 효소 절임 반건조 무화과 및 이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효소 절임 반건조 무화는 선별된 무화과를 절단하는 단계와 절단된 무화과와 당을 1: 0.7 내지 1.3의 비율로 혼합하여 자연 발효시킴으로써 숙성된 효소 절임 무화과를 3단계로 온도별 건조시간을 변경하여 제조방법에 관한 선행기술이 개시된 바 있다.
본 발명에서는 무화과를 원형 그대로 건조해 상품성을 향상하려는 제조방법으로 무화과 껍질이 딱딱하고 단단하여 식감이 떨어진 무화과는 선별한 다음 건조무화과를 압착하여 겉 과육이 깨져서 벌어지게 한 다음 별도로 농도를 조절한 묽은 과일 착즙액을 이용하여 건조 무화과를 일정 시간 동안 담가 두어서 과일의 당분과 영양성분 그리고 과일의 향이 건조 무화과에 스며들도록 하는 방법으로 즉, 무화과 착즙액, 사과 착즙액, 키위 착즙액, 배 착즙액, 밀감 착즙액, 한라봉 착즙액, 복숭아 착즙액, 바나나 착즙액, 딸기 착즙액, 자두 착즙액, 감 착즙액, 멜론 착즙액, 참외 착즙액, 수박 착즙액으로 구성된 그룹 중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과일을 이용하여 분쇄 및 가온하고 이를 착즙하여 얻은 상기 과일 착즙액에 건조 무화과를 재침적한 후 건조하거나, 또는 채소 착즙액을 얻는 방법으로 채소류인 마늘 착즙액, 무 착즙액, 배추 착즙액, 양배추 착즙액, 가지 착즙액, 당근 착즙액, 오이 착즙액, 피망 착즙액, 비트 착즙액, 케일 착즙액, 시금치 착즙액, 양파 착즙액, 마늘 착즙액, 고추 착즙액, 땅콩 착즙액, 깨 착즙액, 와사비 등으로 구성된 그룹 중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채소를 이용하는 것으로 채소를 분쇄하거나 갈아서 착즙 액을 얻고 선택한 착즙액에 건조 무화과(무화과를 압착하여 겉 과육이 깨져서 벌어지게 한무화과) 를 재침적한 후 건조시간을 조절하여 당도와 향 그리고 영양성분이 증가하는 반건조 무화과를 제조하는 방법으로 얻은 반건조 무화과는 건조한 무화과를 압착하여 무화과 표피가 깨져서 벌어지게 함으로써 다른 무화과 착즙이나 다른 과일 채서류 착즙을 침적 시킬 경우 신속하게 스며드는 이점이 있다할 수 잇으며 본 개발자의 실시방법에 따라 추진한 경우 압착으로 인한 무화과가 처음과 유사하게 부풀어 올라 무화과에 부족하기 쉬운 성분들을 보강하게 되며, 다시 재 건조할 경우 물리적 특성이 크게 변해서 보다 더 반건조 무화과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으며 식용할 경우 식감과 막을 증진하는 방법에 착안하여 온도와 건조시간을 조절하여 반건조 무화과를 제조하였다.
그 결과 과일과 채소의 착즙액 선택에 따라 당도가 증가하거나 맛과 영양성분 그리고 향을 개선해 맛좋은 건조 무화과와 무화과 분말 및 과립을 제조할 수 있으며 다양한 노약자나 소아까지도 식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할 수 있으며 고온 건조 시에 과당이 숙성되어서 엿을 끓일 때 나는 향이 증진되어 본래 무화과 맛과 향이 더욱 고소하게 풍겨서 맛이 좋은 반건조 무화과를 제공하려는 제조방법을 소개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본 발명은 무화과 자체의 영양소를 최대한 살리고, 고품질 무화과는 물론 미숙과, 저가무화과 그리고 결구가 큰 마세히도후인 무화과까지도 선별하여 1차 건조 후 별도로 준비한 착즙액 원액 또는 농도를 조절한 과일 착즙액이나 또는 채소 착즙액에 재침적한 후 건조온도와 시간을 조절하여 당도와 맛 그리고 식감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이처럼 전반적으로 무화과 품질을 향상시켜 식감이 개선된 반건조 및 건조 무화과를 제조할 수 있다. 그리고 무화과 건과를 더 건조한 후 분쇄하여 분말이나 과립까지도 가능한 방법을 개발하여 건조 무화과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반건조 무화과와 무화과 분말 그리고 무화과 과립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i. 무화과 세척 및 선별단계(100), ii. 1차 무화과 건조단계 (200), iii. 건조 무화과(무화과를 압착하여 겉 과육이 깨져서 벌어지게 한 무화과)를 선택적으로 준비한 별도의 과일 착즙 액에 침적하여 맛과 식감을 향상시키는 단계(300), iv. 2차 건조단계(400), v. 반건조 무화과, 무화과 분말 또는 과립 제조단계(500), 및 vi.살균 및 포장단계(600)로 구성된 제조방법을 통해 건조 무화과를 제조한다.
따라서 위의 과제 해결 수단에 따른 본 발명의 건무화과 제조방법에 따르면, i. 무화과 생과 자체의 특유 영양분을 최대한 보존하면서 식감이 떨어진 무화과는 선별한 다음 건조 무화과를 압착하여 겉 과육이 깨져서 벌어지게 한 후 다음 단계로 침적액에 담궈서 제조할 수 있으며 ii. 미숙과 무화과의 경우 1차 건조 후에 무화과를 압착하여 겉 과육이 깨져서 벌어지게 한 다음 무화과 착즙액이나 다른 과일 착즙액이나 채소 착즙액을 선택하여 선택한 착즙액에 건조 무화과를 일정 시간 동안 침적함으로써 착즙액이 스며들어 무화과에 부족한 영양성분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선택적이나 미숙과의 당도를 완숙 과처럼 증진하게 되어 이를 재건조한 경우 완숙 과를 건조한 것과 같거나 더 좋은 맛과 당도를 갖는 고품질 무화과로 제조할 수 있다. 이로써, i.무화과 재배 농가의 대부분 거의 폐기 처분한 저가 자원을 시제품 원료로 활용할 수 있어서 재배 농가의 경제 활성화에 크게 이바지할 수 있으며, ii. 무화과에서 부족하기 쉬운 맛과 영양성분이 보강될 수 있으며, iii. 무화과의 독특한 향기를 개선하여 기호에 맛은 제품을 제조할 수 있으며, iv.그동안 무화과를 피하는 미식가들조차도 건조 무화과의 풍미와 식감 그리고 맛에 따라 즐겨서 식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v. 상품성이 없는 무화과도 건조 무화과나 분말, 과립으로 가공하여 모두 활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할 수 있으며, vi. 그로 인해 무화과의 소비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vii. 무화과 보관 및 유통기간이 증가하게 됨으로써 소비자에게 다양한 먹거리를 제공할 수 있게 되고, viii. 무화과의 소비를 안정적으로 촉진할 수 있어서 무화과 재배 농가의 소득을 증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조과정에 대한 공정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을 실시한 경우의 반건조 무화과에 대한 사진이다.
도 3는 본 발명을 실시한 경우의 무화과 분말 및 무화과 과립에 대한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을 실시한 경우의 반건조 무화과에 대한 사진이다.
도 3는 본 발명을 실시한 경우의 무화과 분말 및 무화과 과립에 대한 사진이다.
본 발명은 도 1에서와같이 건조 무화과를 제조하는 방법은 크게
i. 무화과 세척 및 선별단계(100)
ii. 1차 무화과 건조단계(200)
iii.건조 무화과(무화과를 압착하여 겉 과육이 깨져서 벌어지게 한 무화과)를 선택적으로 준비한 별도의 과일 착즙 액에 침적하여 맛과 식감을 향상시키는 단계(300)
ⅳ. 2차 건조단계(400)
ⅴ.반건조 무화과, 무화과 분말 또는 과립 제조단계(500)
ⅵ.살균 및 포장단계(600)로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건조 무화과 제조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무화과 세척 및 선별단계(100)
본 발명의 출원인은 무화과 농장에서 생산한 무화과와 수확 후 기온저하로 인해 성장이 멈춰진 미숙과 무화과나 저가무화과를 이용하여 예비실험을 통해 수차례 실시조건을 달리하여 건조하였을 때, 당도가 증가하고, 건조하여 반건조 무화과를 생산하는 조건을 특정하였는 바, 특히 말랑말랑한 반건조 무화과 제조방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최근 공기 중 초미세먼지로 인해 많은 유해 미세 중금속 등이 과일이나 채소의 표피에 침적되어 잘 씻지 않는 경우 위생과 건강 문제를 해칠 수 있는 환경이 도래되고 있다 할 수 있다. 그래서 종전에는 생무화과를 씻는 과정 없이도 먹을 수 있었으나 환경변화로 최근에는 반드시 씻어서 이용해야 한다고 본다.
무화과 건조단계 (200)
본 발명의 중요한 목적은, 반건조 무화과를 제조하는 데 있어서 건조시간 및 건조온도가 가장 중요한 조건이라 할 수 있으나 반건조 상태로 건조를 하여 보관할 경우 부패의 우려도 있으나 반건조한 무화과의 견고성 증가로 처음과는 다르게 딱딱하고 단단하여 반건조 상태를 잃어버리곤 한다. 따라서 무화과를 아래의 조건에서 건조하여 위의 목적하는 바를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의 중요한 목적이, 무화과의 기본 영양소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건조 후에도 너무 딱딱하지 않고 말랑 말랑한 형태의 식감을 유지하면서 보존 기간을 늘려 유통 편리성을 갖게 하는 것인 만큼, 1차 건조 후 건조 무화과를 선택한 과일 착즙액이나 채소 착즙액에 일정 시간 동안 침적하여 거르고 다시 재건조시켜 반건조 무화과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우선 1차 건조 단계로서 짧은 시간에 건조함으로써 생무화과를 취급할 때와는 달리 건조 후에는 무화과 외부 형태를 유지할 수 있어서 과일 품질이 비교적 안정적이라 할 수 있으며 반건조 무화과를 완성하기 위해서는 열풍건조기를 이용하여 건조하였으나, 그 밖에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는 조건이 유지되는 건조기라면 다양한 건조기를 사용할 수 있다. 즉, 무화과를 건조했을 때, 수분함량은 5~15% 정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건조하며, 상기 상태가 되었을 때 건조된 무화과의 과육이 젤리처럼 말랑 말랑거리는 식감을 얻게 되며, 최적의 식감이 좋은 반건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무화과 상태별 건조온도 및 시간은 아래의 표 1과 같다.
표 1
완숙 무화과는 건조온도 35~50℃에서 24~30시간 동안 건조하고 저가무화과는 수분이 낮아서 15~20시간에 건조되었다, 그리고 미숙과 무화과는 제일 짧은 시간인 10~15시간 정도면 건조할 수 있었으며, 무화과를 과도한 습윤 함유 상태로 건조할 때 보다는 미생물 번식이 억제되는 약 15% 이하로 건조한 상태에서 젤리 상태로 유지하는 데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건조 무화과(무화과를 압착하여 겉 과육이 깨져서 벌어지게 한 무화과)를 선택적으로 준비한 별도의 과일 착즙 액에 침적하여 맛과 식감을 향상시키는 단계(300),
건조한 무화과 중에서 잘 익은 무화과를 건조한 건조 무화과는 물론 미숙과나 저가무화과를 선별하여 먼저 건조 무화과를 압착하여 겉 과육이 깨져서 벌어지게 한 후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추진한 후 재건조 시켜 반건조 무화과를 얻었다.
침적액 제조:[무화과 1차 건조한 건과 무화과는 다음 실시예에서 제조한 방법으로 얻은 과일과 채소류 착즙액을 직접 침적액으로 사용하였다.]
과일류 착즙액 제조과정
무화과 착즙액: 무화과를 분쇄기로 갈아서 물과 혼합하는 부피 비율로 1:(1-1.5) 비율로 희석하여 상온 80~100℃에서 2시간 동안 가온한 다음 압착기로 즙을 내서 그대로 이용하거나 감압 농축한 다음 저점도 액상 농축액으로 제조하여 무화과 건과 제조방법에 이용하였다.
사과 착즙액: 실시예 1에서 무화과 착즙액 제조방법과 같은 방법으로 사과 착즙액을 얻었다.
키위 착즙액:실시예 1에서 무화과 착즙액 제조방법과 같은 방법으로 키위 착즙액을 얻었다.
배 착즙액: 실시예 1에서 무화과 착즙액 제조방법과 같은 방법으로 배 착즙액을 얻었다.
밀감 착즙액: 실시예 1에서 무화과 착즙액 제조방법과 같은 방법으로 밀감 착즙액을 얻었다.
한라봉 착즙액: 실시예 1에서 무화과 착즙액 제조방법과 같은 방법으로 한라봉 착즙액을 얻었다.
복숭아 착즙액: 실시예 1에서 무화과 착즙액 제조방법과 같은 방법으로 복숭아 착즙액을 얻었다.
바나나 착즙액: 실시예 1에서 무화과 착즙액 제조방법과 같은 방법으로 바나나 착즙액을 얻었다.
딸기 착즙액: 실시예 1에서 무화과 착즙액 제조방법과 같은 방법으로 딸기 착즙액을 얻었다.
실시예 11
자두 착즙액:실시예 1에서 무화과 착즙액 제조방법과 같은 방법으로 자두 착즙액을 얻었다.
감 착즙액:실시예 1에서 무화과 착즙액 제조방법과 같은 방법으로 감 착즙액을 얻었다.
멜론 착즙액:실시예 1에서 무화과 착즙액 제조방법과 같은 방법으로 맬론 착즙액을 얻었다.
참외 착즙액: 실시예 1에서 무화과 착즙액 제조방법과 같은 방법으로 참외 착즙액을 얻었다.
수박 착즙액: 실시예 1에서 무화과 착즙액 제조방법과 같은 방법으로 수박 착즙액을 얻었다.
채소류 착즙액 제조과정
마늘 착즙액: 마늘을 분쇄하여 물과 혼합하는 부피 비율 1:(1~1.5)로 희석하여 상온 80~100℃에서 2시간 동안 가온한 다음 압착기로 즙을 내 그대로 원액을 이용하거나 감압 농축한 다음 저점도 마늘 액상 농축액으로 제조하여 무화과 건과에 이용하였다.
무 착즙액: 무를 1차 잘게 세절하여 분쇄기로 갈아서 물과 혼합하는 부피 비율로 1:(1~1.5) 비율로 희석하여 상온 80~100℃에서 2시간 동안 가온한 다음 압착기로 즙을 내 그대로 이용하거나 감압 농축한 다음 저점도 무 액상 농축액으로 제조하여 무화과 건과에 이용하였다.
배추 착즙액: 실시예 14에서 마늘 착즙액 제조방법과 같은 방법으로 착즙액을 얻었다.
양배추 착즙액: 실시예 14에서 마늘 착즙액 제조방법과 같은 방법으로 양배추 착즙액을 얻었다.
가지 착즙액: 실시예 14에서 마늘 착즙액 제조방법과 같은 방법으로 가지 착즙액을 얻었다.
당근 착즙액: 실시예 14에서 마늘 착즙액 제조방법과 같은 방법으로 당근 착즙액을 얻었다.
오이 착즙액: 실시예 14에서 마늘 착즙액 제조방법과 같은 방법으로 오이 착즙액을 얻었다.
피망 착즙액: 실시예 14에서 마늘 착즙액 제조방법과 같은 방법으로 피망 착즙액을 얻었다.
비트 착즙액: 실시예 14에서 마늘 착즙액 제조방법과 같은 방법으로 비트 착즙액을 얻었다.
케일 착즙액: 실시예 14에서 마늘 착즙액 제조방법과 같은 방법으로 케일 착즙액을 얻었다.
시금치 착즙액: 실시예 14에서 마늘 착즙액 제조방법과 같은 방법으로 시금치 착즙액을 얻었다.
양파 착즙액: 실시예 14에서 마늘 착즙액 제조방법과 같은 방법으로 양파 착즙액을 얻었다.
마늘 착즙액: 실시예 14에서 마늘 착즙액 제조방법과 같은 방법으로 마늘 착즙액을 얻었다.
고추 착즙액: 실시예 14에서 마늘 착즙액 제조방법과 같은 방법으로 고추 착즙액을 얻었다.
땅콩 착즙액: 실시예14에서 땅콩 착즙액 제조방법과 같은 방법으로 땅콩 착즙액을 얻었다.
깨 착즙액 및 와사비 착즙액: 실시예 14에서 마늘 착즙액 제조방법과 같은 방법으로 깨 착즙액을 얻었으며 또한 실시예 14에서 마늘 착즙액 제조방법과 같은 방법으로 와사비 착즙액을 얻었어서 착즙액으로 이용하였다.
과일 및 채소 착즙액을 이용한 반건조 무화과 및 분말제조
반건조 무화과 제조에 관한 것으로 무화과 착즙 원액에 건조 무화과(이하 침적액에 침적할 건조무화과는 건조무화과를 미리 압착하여 겉 과육이 깨져서 벌어지게 한 무화과를 지칭하여 말함)를 용액에 잠길 정도로 넣은 다음 48시간 동안 침적시킨 후 거르고 침적액이 혼입된 건조 무화과를 회수하였다. 이를 건조시간과 건조온도 그리고 침적액 농도를 달리하여 건조하였으며 그 가운데 무화과 착즙 용액이 함유된 무화과를 건조온도 약 35~50℃에서 20시간 동안 통풍 건조해 반건조 상태의 무화과를 얻었다. 그리고 별도로 무화과 착즙액 대신 각각의 과일 착즙액을 얻은 제조방법인(실시예 2에서 실시예 13까지)을 이용하여 반건조 무화과 및 건조 무화과를 제조하였다. 또한, 별도로 무화과 착즙액 대신 각각의 채소 착즙액을 얻은 제조방법(실시예 14에서 실시예 27까지)을 이용하여 반건조 무화과 및 건조 무화과를 제조하였다. 그리고 건조 무화과, 반건조 무화과 및 분말 그리고 과립을 UV 살균기 또는 오존살균기에서 약 30분 동안 살균하여 진공포장 단계에서 제조하였다.
과일 및 채소 착즙액을 이용한 반건조 무화과 및 분말제조
반건조 무화과 제조에 관한 것으로 무화과 착즙액에 물을 1:1~1.5 부피 비율로 첨가하여 희석액을 제조한 다음 건조 무화과(무화과를 압착하여 겉 과육이 깨져서 벌어지게 한 건조무화과)를 용액에 잠길 정도로 넣은 다음 48시간 동안 침적시킨 후 거르고 침적액이 혼입된 건조 무화과를 회수하였다. 이를 건조시간과 건조온도 그리고 침적액 농도를 달리하여 건조하였으며 그 가운데 무화과 착즙 용액이 함유된 무화과를 건조온도 약 35~50℃에서 20시간 동안 통풍 건조해 반건조 상태의 무화과를 얻었다. 그리고 별도로 무화과 착즙액 대신 각각의 과일 착즙액을 얻은 제조방법인(실시예 2에서 실시예 13까지)을 이용하여 반건조 무화과 및 건조 무화과를 제조하였다. 또한, 별도로 무화과 착즙액 대신 각각의 채소 착즙액을 얻은 제조방법(실시예 14에서 실시예 27까지)을 이용하여 반건조 무화과 및 건조 무화과를 제조하였다.
반건조 무화과 제조에 관한 것으로 무화과 착즙액에 물을 1:1~1.5 부피 비율로 첨가하여 희석액을 제조한 다음 건조 무화과(무화과를 압착하여 겉 과육이 깨져서 벌어지게 한 건조무화과)를 용액에 잠길 정도로 넣은 다음 48시간 동안 침적시킨 후 거르고 침적액이 혼입된 건조 무화과를 회수하였다. 이를 건조시간과 건조온도 그리고 침적액 농도를 달리하여 건조하였으며 그 가운데 무화과 착즙 용액이 함유된 무화과를 건조온도 약 35~50℃에서 20시간 동안 통풍 건조해 반건조 상태의 무화과를 얻었다. 그리고 별도로 무화과 착즙액 대신 각각의 과일 착즙액을 얻은 제조방법인(실시예 2에서 실시예 13까지)을 이용하여 반건조 무화과 및 건조 무화과를 제조하였다. 또한, 별도로 무화과 착즙액 대신 각각의 채소 착즙액을 얻은 제조방법(실시예 14에서 실시예 27까지)을 이용하여 반건조 무화과 및 건조 무화과를 제조하였다.
반건조 무화과 제조에 관한 것으로 감 착즙액에 물을 1:1~1.5 부피 비율로 첨가하여 희석액을 제조한 다음 건조 무화과를 용액에 잠길 정도로 넣은 다음 48시간 동안 침적시킨 후 거르고 감 착즙액이 혼입된 건조 무화과를 회수하였다. 이를 건조시간과 건조온도를 달리하여 건조하였으며 그 가운데 감 착즙 용액이 함유된 무화과를 건조온도 약 35~50℃에서 20시간 동안 통풍 건조해 반건조 및 건조 무화과를 제조하였다.
반건조 무화과 제조에 관한 것으로 복숭아 착즙액에 물을 1:1~1.5 부피 비율로 첨가하여 희석액을 제조한 다음 건조 무화과 (무화과를 압착하여 겉 과육이 깨져서 벌어지게 한 무화과)를 용액에 잠길 정도로 넣은 다음 48시간 동안 침적시킨 후 거르고 복숭아 착즙액이 혼입된 건조 무화과를 회수하였다. 이를 건조시간과 건조온도를 달리하여 건조하였으며 그 가운데 복숭아 착즙 용액이 함유된 무화과를 건조온도 약 35~50℃에서 20시간 동안 통풍 건조해 반건조 및 건조 무화과를 제조하였다.
반건조 무화과 제조에 관한 것으로 자두 착즙액에 물을 1:1~1.5 부피 비율로 첨가하여 희석액을 제조한 다음 건조 무화과(무화과를 압착하여 겉 과육이 깨져서 벌어지게 한 무화과)를 용액에 잠길 정도로 넣은 다음 48시간 동안 침적시킨 후 거르고 자두 착즙액이 혼입된 건조 무화과를 회수하였다.
이를 건조시간과 건조온도를 달리하여 건조하였으며 그 가운데 자두 착즙 용액이 함유된 무화과를 건조온도 약 35~50℃에서 20시간 동안 통풍 건조해 반건조 및 건조 무화과를 제조하였다.
반건조 무화과 제조에 관한 것으로 고추 착즙액에 물을 1:1~1.5 부피 비율로 첨가하여 희석액을 제조한 다음 건조 무화과(무화과를 압착하여 겉 과육이 깨져서 벌어지게 한 무화과)를 용액에 잠길 정도로 넣은 다음 48시간 동안 침적시킨 후 거르고 고추 침적액이 혼입된 건조 무화과를 회수하였다.
이를 건조시간과 건조온도 그리고 침적액 농도를 달리하여 건조하였으며 그 가운데 고추 착즙 용액이 함유된 무화과를 건조온도 약 35~50℃에서 20시간 동안 통풍 건조해 반건조 및 건조 무화과를 제조하였다.
반건조 무화과 제조에 관한 것으로 마늘 착즙액에 물을 1:1-1.5 부피 비율로 첨가하여 희석액을 제조한 다음 건조 무화과(무화과를 압착하여 겉 과육이 깨져서 벌어지게 한 무화과)를 용액에 잠길 정도로 넣은 다음 48시간 동안 침적시킨 후 거르고 마늘 착즙액이 혼입된 건조 무화과를 회수하였다.
이를 건조시간과 건조온도를 달리하여 건조하였으며 그 가운데 마늘착즙 용액이 함유된 무화과를 건조온도 약 35~50℃에서 20시간 동안 통풍 건조해 반건조 및 건조 무화과를 제조하였다.
이를 건조시간과 건조온도를 달리하여 건조하였으며 그 가운데 마늘착즙 용액이 함유된 무화과를 건조온도 약 35~50℃에서 20시간 동안 통풍 건조해 반건조 및 건조 무화과를 제조하였다.
반건조 무화과 제조에 관한 것으로 당근 착즙액에 물을 1:1~1.5 부피 비율로 첨가하여 희석액을 제조한 다음 건조 무화과를 용액에 잠길 정도로 넣은 다음 48시간 동안 침적시킨 후 거르고 당근 착즙액이 혼입된 건조 무화과를 회수하였다. 이를 건조시간과 건조온도를 달리하여 건조하였으며 그 가운데 당근 착즙 용액이 함유된 무화과를 건조온도 약 35~50℃에서 20시간 동안 통풍 건조해 반건조 및 건조 무화과를 제조하였다.
반건조 무화과 제조에 관한 것으로 땅콩 착즙액에 물을 1:1~1.5 부피 비율로 첨가하여 희석액을 제조한 다음 건조 무화과를 용액에 잠길 정도로 넣은 다음 48시간 동안 침적시킨 후 거르고 땅콩 착즙액이 혼입된 건조 무화과를 회수하였다. 이를 건조시간과 건조온도를 달리하여 건조하였으며 그 가운데 땅콩 착즙 용액이 함유된 무화과를 건조온도 약 35~50℃에서 20시간 동안 통풍 건조해 반건조 및 건조 무화과를 제조하였다.
반건조 무화과 제조에 관한 것으로 깨 착즙액에 물을 1:1~1.5 부피 비율로 첨가하여 희석액을 제조한 다음 건조 무화과를 용액에 잠길 정도로 넣은 다음 48시간 동안 침적시킨 후 거르고 깨 착즙액이 혼입된 건조 무화과를 회수하였다. 이를 건조시간과 건조온도를 달리하여 건조하였으며 그 가운데 깨 착즙 용액이 함유된 무화과를 건조온도 약 35~50℃에서 20시간 동안 통풍 건조해 반건조 및 건조 무화과를 제조하였다.
반건조 무화과 제조에 관한 것으로 와사비 착즙액에 물을 1:1~1.5 부피 비율로 첨가하여 희석액을 제조한 다음 건조 무화과를 용액에 잠길 정도로 넣은 다음 48시간 동안 침적시킨 후 거르고 와사비 착즙액이 혼입된 건조 무화과를 회수하였다. 이를 건조시간과 건조온도를 달리하여 건조하였으며 그 가운데 와사비 착즙 용액이 함유된 무화과를 건조온도 약 35~50℃에서 20시간 동안 통풍 건조해 반건조 및 건조 무화과를 제조하였다.
표 2
별도로 농도를 조절한 묽은 무화과 착즙액에 재침적한 후 건조시간을 조절하여 당도와 식감이 향상되고 당도가 증가하였다.
즉, 무화과 착즙액에 침적하여 재건조한 경우 건조시간 및 침적용액을 다르게 하여 선호도, 식감, 젤리화(딱딱함) 정도를 시험해 본 결과, 건조 무화과의 경우 건조시간에 크게 관계없이 착즙액에 침적한 경우 전반적으로 당도와 식감이 증가하였으며 무화과 착즙액을 100% 용액에 침적하여 약 30분 이상 지났을 때 무화과 당도가 증가하여 전체적인 선호도와 식감이 가장 좋았으며, 건조온도는 약 40℃ 전후인 경우가 젤리 감을 느끼는 식감으로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체로 시간과 온도에 상관없이 무화과 착즙액을 50% 이상 농도를 조절하여 침적하여 재건조하였을 때 주로 식감 정도가 월등하게 개선되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반건조 무화과, 무화과 분말 또는 과립 제조단계(500)
무화과 분말 및 과립제조 실험
건조한 무화과를 추가로 50℃ 이상에서 20시간 동안 완전히 건조해 이를 기계식 고속 분쇄기로 분쇄하여 100메쉬 채반으로 걸러서 통과한 분말을 포장하여 차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제조방법을 고안하였으며 또한 제조된 무화과 착즙액이나 무화과 미세분말을 다른 부형제와 혼합하여 무화과 과립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본 발명의 한 분야인 무화과 과립 차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농도가 50Brix 이상인 무화과 농축액 그리고 무화과 미세분말을 혼합하거나 유기산, 비타민, 당알코올, HPMC(hydroxy propyl methyl cellulose) 및 당류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얻는 단계; 상기 혼합물을 과립기에 넣고 과립을 형성하는 단계; 상시 형성된 과립을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화과 과립차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2차 건조단계(400)
반건조 무화과를 진공으로 포장한 후 자외선 멸균기 또는 건열 멸균기에서 5~10분간 멸균한다.
각 단계에 따른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아래와 같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목적하는 바와 그에 따른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본 발명의 내용을 아래의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아래의 실시예에 의해서만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 중 무화과 건조단계에서 무화과 크기와 겉껍질의 물러진 정도에 따른 건조시간 및 건조온도에 따른 식감과 보존상태 및 젤리 상태 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비교하기 위해 실시조건별로 그 결과의 차이점을 확인하였다.
표 2
건조시간이 15~17시간인 경우가 전체적인 선호도와 식감이 가장 좋았으며, 건조온도는 35~50℃인 경우에 젤리 감을 느끼는 식감으로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체로 시간과 온도에 상관없이 식감 정도가 월등하게 개선되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살균 및 포장단계(600)
건조된 무화과를 손으로 가장자리를 중심으로 펼치고 눌러서 곶감과 같은 형태로 수작업을 함으로써 품질을 향상하고 젤리 형태로 제조한 다음 UV에서 약 30분 동안 살균하여 진공포장을 하였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목적과 같이 기존에 무화과를 생과 극히 제한된 가공의 방법으로써 이용될 수밖에 없었던 무화과를 새로운 방법으로 건조해 무화과의 영양성분을 최대한 보존하면서 식감이 우수한 건조 무화과를 건조하는 과정에서 무화과를 건조할 때 오랜 시간 동안 고온에서 건조할 때 과당이 숙성되어 엿처럼 찐득거리고 건조 후 냉각시킬 경우 굳어져 딱딱함이 많이 증가하는 현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래서 무화과 껍질이 딱딱하고 단단하여 식감이 떨어진 무화과는 선별하여 별도로 농도를 조절한 묽은 과일이나 채소 착즙액에 재침적한 후 건조시간을 조절하여 당도와 식감을 증진되어 먹기 좋은 건조 무화과를 제조할 수 있다. 이처럼 건조 무화과는 건조된 무화과와 무화과 분말 및 과립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소비자에게 다양한 먹을거리를 제공하고 나아가서 무화과 재배 농가의 소득을 증대시켜 식품산업의 발전에도 이바지하는 바가 크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위의 실시예를 통해 그 효과의 우수성이 입증되었지만 본 발명은 위의 실시예에 의해서만 반드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단순한 제조방법의 치환 및 설계변경은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 포함되어야 하며, 해당 업계 종사자에게 있어 본 발명을 통해 쉽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의 기술을 포함한다.
2차 건조단계(400)
반건조 무화과를 진공으로 포장한 후 자외선 멸균기 또는 건열 멸균기에서 5~10분간 멸균한다.
각 단계에 따른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아래와 같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목적하는 바와 그에 따른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본 발명의 내용을 아래의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아래의 실시예에 의해서만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 중 무화과 건조단계에서 무화과 크기와 겉껍질의 물러진 정도에 따른 건조시간 및 건조온도에 따른 식감과 보존상태 및 젤리 상태 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비교하기 위해 실시조건별로 그 결과의 차이점을 확인하였다.
표 2
건조시간이 15~17시간인 경우가 전체적인 선호도와 식감이 가장 좋았으며, 건조온도는 35~50℃인 경우에 젤리 감을 느끼는 식감으로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체로 시간과 온도에 상관없이 식감 정도가 월등하게 개선되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살균 및 포장단계(600)
건조된 무화과를 손으로 가장자리를 중심으로 펼치고 눌러서 곶감과 같은 형태로 수작업을 함으로써 품질을 향상하고 젤리 형태로 제조한 다음 UV에서 약 30분 동안 살균하여 진공포장을 하였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목적과 같이 기존에 무화과를 생과 극히 제한된 가공의 방법으로써 이용될 수밖에 없었던 무화과를 새로운 방법으로 건조해 무화과의 영양성분을 최대한 보존하면서 식감이 우수한 건조 무화과를 건조하는 과정에서 무화과를 건조할 때 오랜 시간 동안 고온에서 건조할 때 과당이 숙성되어 엿처럼 찐득거리고 건조 후 냉각시킬 경우 굳어져 딱딱함이 많이 증가하는 현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래서 무화과 껍질이 딱딱하고 단단하여 식감이 떨어진 무화과는 선별하여 별도로 농도를 조절한 묽은 과일이나 채소 착즙액에 재침적한 후 건조시간을 조절하여 당도와 식감을 증진되어 먹기 좋은 건조 무화과를 제조할 수 있다. 이처럼 건조 무화과는 건조된 무화과와 무화과 분말 및 과립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소비자에게 다양한 먹을거리를 제공하고 나아가서 무화과 재배 농가의 소득을 증대시켜 식품산업의 발전에도 이바지하는 바가 크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위의 실시예를 통해 그 효과의 우수성이 입증되었지만 본 발명은 위의 실시예에 의해서만 반드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단순한 제조방법의 치환 및 설계변경은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 포함되어야 하며, 해당 업계 종사자에게 있어 본 발명을 통해 쉽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의 기술을 포함한다.
2차 건조 무화과를 각 과일 착즙액 또는 채소 착즙액에 48시간 동안 침적시키고 건조온도 35~50℃에서 온도를 조절하여 30시간 동안 건조하였다. 건조 무화과, 반건조 무화과 및 분말 그리고 과립을 각각 UV나 또는 오존살균기에서 약 30분 동안 살균하여 진공포장을 하였다.
과립제조 실시예
과립제조 실시예
상기의 혼합물을 과립기에 넣고 과립을 형성시키고 45℃ 열풍건조기에서 과립의 수분함량이 5%가 될 때까지 건조하였다. 형성된 과립은 1mm 채망에 걸러 과립과 과립이 되지 못한 세립자를 분리하여 무화과를 포함하는 과립차를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50Brix 무화과 농축액은 수세 후 이물질을 제거한 다음 무화과를 즙을 내 얻은 무화과 착즙액을 50 Brix가 되도록 농축하여 얻은 50Brix 무화과 농축액 100중량 부에 대하여 펙티아(:Pectinex XXL, 입수처:Novozyme사, Bagsvaerd, Denmark) 0.07 중량부를 첨가하고 25℃에서 60시간 동안 효소처리 하여 얻은 것을 사용하였다.
무화과 생과의 저장성 문제를 해결할 뿐만 아니라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건조 무화과를 대체하여 기존 무화과보다 맛과 영양성분이 향상된 건조 무화과의 새로운 형태의 우수한 제품개발로 품질향상과 상품성을 증대시켜 연중 장기적으로 보존 및 유통할 수 있다. 따라서 무화과의 소비를 증대시키고, 노약자에게까지도 식용할 수 있는 다양한 먹거리를 제공할 수 있게 되어, 식품 활용도를 크게 향상해서 수출품목으로 대체할 수 있으며 특히 미숙과 무화과의 경우 무화과 건조는 물론 과일 착즙액 또는 채소 착즙액을 제조하여 당도가 높은 착즙액에 침적함으로써 착즙액이 내부까지 스며들어 미숙과의 당도를 완숙 과처럼 증진하게 되어 이를 건조한 경우 완숙과를 건조한 것과 똑같은 맛과 당도를 갖는 고품질 무화과로 제조할 수 있었으며 무화과에 부족하기 쉬운 성분을 보강할 수 있으며 무화과 재배 농가의 대량 폐기 처분한 자원을 시제품 원료로 활용할 수 있어서, 무화과 재배 농가의 소득을 증가해 장차 산업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다.
(100): 무화과 세척 및 선별단계
(200):1차 무화과 건조 단계
(300): 건조 무화과(무화과를 압착하여 겉 과육이 깨져서 벌어지게 한 무화과)를 선택적으로 준비한 별도의 과일 착즙 액에 침적하여 맛과 식감을 향상시키는 단계
(400): 2차 건조단계
(500): 반건조 무화과, 무화과 분말 또는 과립 제조단계
(600): 살균 및 포장단계
(200):1차 무화과 건조 단계
(300): 건조 무화과(무화과를 압착하여 겉 과육이 깨져서 벌어지게 한 무화과)를 선택적으로 준비한 별도의 과일 착즙 액에 침적하여 맛과 식감을 향상시키는 단계
(400): 2차 건조단계
(500): 반건조 무화과, 무화과 분말 또는 과립 제조단계
(600): 살균 및 포장단계
Claims (6)
- 일반 무화과, 미숙과 무화과, 저가무화과를 이용하는 무화과 세척 및 선별단계(100);
1차 무화과 건조단계 (200);
1차 건조단계의 건조 무화과를 압착하여 겉 과육이 깨져서 벌어지게 한 무화과를 별도의 과일이나 채소류 착즙액에 침적하여 맛과 식감을 향상하는 단계(300);
2차 건조단계(400);
반건조 무화과, 무화과 분말 또는 과립 제조단계(500);
살균 및 포장단계(6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무화과의 제조방법으로서;
과일이나 채소를 직접 이용하거나 또는 믹서로 분쇄하여 과일 부피의 1~1.5배 물을 첨가하고, 80~100℃로 2시간 동안 삶은 다음, 즙을 내 착즙액 원액 또는 착즙액 원액에 물을 1:1~1.5 부피 비율로 희석액을 제조한 다음 침적액으로 이용하고, 2차 건조단계는 1차 건조된 건조 무화과를 압착하여 침적시킨 후 건조온도 35~50℃에서 15~20시간 동안 통풍 건조하고, 얻어진 반건조 무화과, 건조 무화과 및 분말 또는 과립을 각각 UV 또는 오존 살균기에서 살균하여 진공포장 단계를 포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건조무화과의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무화과 1차 건조단계(200)이후, 무화과 착즙액, 사과 착즙액, 키위 착즙액, 배 착즙액, 밀감 착즙액, 한라봉 착즙액, 복숭아 착즙액, 바나나 착즙액, 딸기 착즙액, 자두 착즙액, 감 착즙액, 멜론 착즙액, 참외 착즙액, 및 수박 착즙액으로 구성된 그룹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과일 착즙액을 이용하거나, 또는 마늘 착즙액, 무 착즙액, 배추 착즙액, 양배추 착즙액, 가지 착즙액, 당근 착즙액, 오이 착즙액, 피망 착즙액, 비트 착즙액, 케일 착즙액, 시금치 착즙액, 양파 착즙액, 마늘 착즙액, 고추 착즙액, 땅콩 착즙액, 깨 착즙액, 와사비 착즙액으로 구성된 그룹 중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채소 착즙액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무화과의 제조방법.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2차 건조 단계로 무화과를 선별하여 건조온도 35~50℃에서 15~20시간 동안 통풍 건조해 반건조 무화과를 얻고, 건조 무화과, 반건조 무화과 및 분말 그리고 과립을 각각 UV 또는 오존살균기에서 30분 동안 살균하여 진공포장 단계를 포함하는 건조무화과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건조 무화과를 미분쇄하여 100메쉬 이하를 갖는 분말을 제조하여 차(tea)로 이용하거나, 또는 상기 무화과 분말함유 50Brix 무화과 농축액 10 중량%, 함수포도당 88.02 중량%, 구연산 0.03 중량%, 비타민 C 0.15 중량%, 자일리톨 0.8 중량%, HPMC 1 중량%를 넣고 혼합하여 무화과 과립으로 이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건조 무화과의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반건조 무화과를 진공으로 포장한 후 자외선 멸균기 또는 건열 멸균기에서 5~10분간 멸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건조무화과의 제조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14582A KR102274917B1 (ko) | 2019-02-07 | 2019-02-07 | 일반 무화과, 미숙과 그리고 저가 무화과를 이용한 품질향상 건조 무화과 및 분말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14582A KR102274917B1 (ko) | 2019-02-07 | 2019-02-07 | 일반 무화과, 미숙과 그리고 저가 무화과를 이용한 품질향상 건조 무화과 및 분말 제조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97155A KR20200097155A (ko) | 2020-08-18 |
KR102274917B1 true KR102274917B1 (ko) | 2021-07-07 |
Family
ID=722918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14582A KR102274917B1 (ko) | 2019-02-07 | 2019-02-07 | 일반 무화과, 미숙과 그리고 저가 무화과를 이용한 품질향상 건조 무화과 및 분말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74917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72367B1 (ko) * | 2020-12-21 | 2021-07-01 | 황연숙 | 무화과 인절미 제조방법 |
CN116172172A (zh) * | 2022-12-26 | 2023-05-30 | 西北农林科技大学深圳研究院 | 一种具有改善肠动力异常的无花果微囊粉及制备方法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85681B1 (ko) | 2013-07-05 | 2015-01-28 | 고건 | 발효액 절임 반 건조 무화과 및 이의 제조방법 |
KR101661071B1 (ko) | 2015-12-03 | 2016-10-10 | 강옥희 | 건무화과 제조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28732A (ko) * | 2000-10-11 | 2002-04-17 | 윤광심 | 무화과를 이용한 기능성 무화과 건과 제조 생산 |
KR100549186B1 (ko) | 2003-06-18 | 2006-02-03 | (주) 금호물산 | 건무화과 가공제품의 제조방법 |
KR101034933B1 (ko) | 2008-02-22 | 2011-05-17 | 김범식 | 냉동무화과 제조방법 |
KR101103254B1 (ko) | 2009-06-30 | 2012-01-12 | 한국식품연구원 | 저장성이 향상된 반건조 무화과의 제조방법 |
KR101287764B1 (ko) | 2012-09-05 | 2013-07-19 | 빈희신 | 무화과맛 소스 제조방법 및 그 무화과 소스 |
KR101418261B1 (ko) * | 2012-12-20 | 2014-07-16 | 재단법인 전라북도생물산업진흥원 | 복분자 과립차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
-
2019
- 2019-02-07 KR KR1020190014582A patent/KR10227491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85681B1 (ko) | 2013-07-05 | 2015-01-28 | 고건 | 발효액 절임 반 건조 무화과 및 이의 제조방법 |
KR101661071B1 (ko) | 2015-12-03 | 2016-10-10 | 강옥희 | 건무화과 제조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97155A (ko) | 2020-08-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248594B2 (ja) | モリンダ・シトリフォリア食物繊維 | |
KR101163507B1 (ko) | 과실즙의 제조방법 | |
KR102274917B1 (ko) | 일반 무화과, 미숙과 그리고 저가 무화과를 이용한 품질향상 건조 무화과 및 분말 제조방법 | |
KR102310335B1 (ko) | 홍삼 돈수육의 제조 방법 | |
KR101421186B1 (ko) | 사과조청을 이용한 한과의 제조방법 | |
Alam et al. | Post harvest value chain of carrot–A Review | |
KR20140028816A (ko) | 매실 고추장의 제조방법 | |
KR20020046884A (ko) | 동치미 추출액을 이용한 김치음료 제조방법 | |
Rastogi | New technologies for value added products from coconut residue | |
KR20190127307A (ko) | 블루베리를 첨가한 김치 및 그 제조방법 | |
KR20160069398A (ko) | 감을 이용한 말랭이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감말랭이 또는 곶감말랭이 | |
KR102107424B1 (ko) | 발효 호박차 및 그 제조방법 | |
RU2553217C1 (ru) |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чая из листьев ботвы сахарной свеклы | |
KR102505194B1 (ko) | 건조 무화과 품질을 향상하기 위한 전 처리 응용방법과 그에 따른 반건조 무화과 및 건조(분말, 과립)무화과 제조방법 | |
KR100828589B1 (ko) | 신령버섯 함유 과립차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과립차 | |
KR100607670B1 (ko) | 오갈피를 이용하여 제조한 기능성 김치 및 그 제조방법 | |
KR102652741B1 (ko) | 고구마 조청 제조방법 | |
CN103749652A (zh) | 一种成人日包装专用冻干蔬果及其加工方法 | |
CN110810758A (zh) | 一种营养保健型甜柿饼 | |
KR20190067050A (ko) | 열과 또는 완숙참외를 이용한 장아찌 및 그의 제조방법 | |
KR101425960B1 (ko) | 고구마순 김치 제조방법 | |
Preethi et al. | Cashew apple processing | |
KR102320421B1 (ko) | 식방풍잎차 및 그 제조방법 | |
KR102358930B1 (ko) | 사과 농축액을 이용한 참기름 제조방법 | |
CN110934272B (zh) | 一种基于渗透真空膨化技术制备无花果脆片的方法及产品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