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5016B1 - 유기농 감귤을 이용한 진피차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유기농 감귤을 이용한 진피차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5016B1
KR100665016B1 KR1020050038866A KR20050038866A KR100665016B1 KR 100665016 B1 KR100665016 B1 KR 100665016B1 KR 1020050038866 A KR1020050038866 A KR 1020050038866A KR 20050038866 A KR20050038866 A KR 20050038866A KR 100665016 B1 KR100665016 B1 KR 1006650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rmis
tea
organic
citrus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88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51619A (ko
Inventor
김동일
허담
유경미
김채은
황인경
Original Assignee
동우당제약(주)
김동일
허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우당제약(주), 김동일, 허담 filed Critical 동우당제약(주)
Priority to KR10200500388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5016B1/ko
Publication of KR200500516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16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50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50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06Treating tea before extraction;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 A23F3/14Tea preparations, e.g.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06Treating tea before extraction;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 A23F3/12Rolling or shredding tea lea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 A23F3/163Liquid or semi-liquid tea extract preparations, e.g. gels, liquid extracts in solid capsu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 A23F3/22Drying or concentrating tea extrac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34Tea substitutes, e.g. matè; Extracts or infusion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40Tea flavour; Tea oil; Flavouring of tea or tea extra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기농 감귤을 이용한 진피차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감귤의 과피를 반건조 한 진피를 일정 크기 이하로 분쇄하고, 이를 그 크기에 따라 다관용 및 티백용으로 분류하며, 각각 열을 가해 풍미를 더하는 로스팅 공정과 적절한 포장으로 진피차를 제조하여, 이 진피차를 방법에 따라 고온의 물에 우려내어 마심에 따라, 건강에 좋고, 맛과 향이 우수한 진피차를 용이하게 마실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을 도1의 공정도를 참조하여 대략 설명하면, 먼저, 유기농으로 재배된 감귤을 선별하고, 이를 깨끗이 씻어 물기를 없애는 감귤의 세척 및 건조 공정(S1), 상기 감귤의 껍질에서 과육 부분을 분리하여 과피를 모으는 감귤의 과육 및 과피 분리 공정(S2), 분리된 과피를 반건조하는 과피 건조 공정(S3), 건조된 과피인 진피를 0.8㎜ 이하로 분쇄하는 진피 분쇄 공정(S4), 분쇄된 진피를 그 크기에 맞게 다관용과 티백용으로 분리하는 진피 입자 분류 공정(S5), 분류된 진피 입자를 각각 열가공하는 진피 입자 로스팅 공정(S6), 마지막으로, 로스팅 공정을 거친 진피 입자를 다관용 및 티백용과 같이 진피차를 먹는 방법에 맞게 적절히 포장하는 진피차 포장 공장(S7)의 제조 방법으로 진피차를 완성한다.
이와 같이 유기농 감귤을 이용한 다관용 및 티백용 진피차는 대략 80℃ 정도의 물에 우려내어, 기호에 따라 꿀이나, 설탕 등을 첨가하여 마실 수 있음에 따라, 맛과 향이 우수한 진피차의 음용이 간단하고, 비타민 C 등의 파괴를 최소화하며, 피로회복 및 감기예방에 좋고, 농약, 왁스와 같은 성분이 포함되지 않은 유기농 감귤을 사용하므로 인체에 해로운 화학 성분이 체내에 축적되지 않으며, 보관이 용이한 특징이 있다.
진피, 감귤, 티백, 다관용, 차, 로스팅, 과피, 오랜지, 유기농

Description

유기농 감귤을 이용한 진피차의 제조 방법 { The manufacturing method of dried citrus unshiu peel tea using organic citrus unshiu }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정도.
본 발명은 유기농 감귤을 이용한 진피차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감귤의 과피를 반건조 한 진피를 일정 크기 이하로 분쇄하고, 이를 그 크기에 따라 다관용 및 티백용으로 분류하며, 각각 열을 가해 풍미를 더하는 로스팅 공정과 적절한 포장으로 진피차를 제조하여, 이 진피차를 방법에 따라 고온의 물에 우려내어 마심에 따라, 건강에 좋고, 맛과 향이 우수한 진피차를 용이하게 마실 수 있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피라 함은 감귤의 껍질을 건조한 것으로, 이는 감귤의 과육보다 많은 비타민 C가 들어 있어, 피로회복과 감기예방, 피부미용에 좋고, 칼슘이 체내에 흡수되도록 도와주며, 또, 진피에 포함된 비타민 P는 과일류 중에서 감귤에만 함유된 성분으로, 비타민 C의 작용을 더욱 강화시키고, 모세혈관을 보호하기 때문에 고혈압과 동맥경화를 예방하며, 이 밖에도 진피는 음식을 먹고 토하거나 설사를 할 때, 속이 더부룩하고 얹혔을 때에도 치료제로 사용되는데, 이는 그대로 달여 차로 먹거나, 다른 약재와 혼합하여 달여 먹고, 또는, 그 향이 좋아서 입욕제로도 사용되어, 몸을 상쾌하게 하고, 몸을 보온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효과에도, 통상 방법으로 재배된 감귤은 병충해 방지를 위한 농약을 치고,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해 피막제를 바르며, 왁스를 발라 보기 좋게 하므로, 진피를 만들기 위해서 감귤의 껍질을 그대로 사용하기보다는, 과피로 분리하기 전 감귤을 깨끗이 씻어, 과육을 분리해낸 과피를 썩지 않게 건조하는 등의 관리가 필요하며, 이 진피를 차로 마실 때에는, 진피가 건조된 상태이므로, 오래 끊여 우러나오게 해야하므로 차 마시기가 간단하지 않을뿐더러, 오래 달이면서 비타민 C가 파괴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진피의 용량을 적정하게 맞추지 못하면, 너무 연하거나, 향이 진해 마시기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유기농 감귤의 과피를 반건조한 진피를 일정 크기 이하로 분쇄하고, 이를 그 크기에 따라 다관용 및 티백용으로 분류하며, 이 분류된 진피 입자에 열을 가해 풍미를 더하는 로스팅 공정과, 적절한 포장을 거쳐 진피차를 제조하여, 이를 온도가 높은 물에 우려내어 맛과 향이 우수한 진피차를 용이하게 마실 수 있음에 따라, 비타민 C의 파괴를 최소화하고, 피로회복과 감기예방, 피부미용에 좋고, 보관이 용이한 진피차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유기농 감귤을 이용한 진피차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감귤의 과피를 반건조 한 진피를 일정 크기 이하로 분쇄하고, 이를 그 크기에 따라 다관용 및 티백용으로 분류하며, 각각 열을 가해 풍미를 더하는 로스팅 공정과 적절한 포장으로 진피차를 제조하여, 이 진피차를 방법에 따라 고온의 물에 우려내어 마심에 따라, 건강에 좋고, 맛과 향이 우수한 진피차를 용이하게 마실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을 도1의 공정도를 참조하여 대략 설명하면, 먼저, 유기농으로 재배된 감귤을 선별하고, 이를 깨끗이 씻어 물기를 없애는 감귤의 세척 및 건조 공정(S1), 상기 감귤의 껍질에서 과육 부분을 분리하여 과피를 모으는 감귤의 과육 및 과피 분리 공정(S2), 분리된 과피를 반건조하는 과피 건조 공정(S3), 건조된 과피인 진피를 0.8㎜ 이하로 분쇄하는 진피 분쇄 공정(S4), 분쇄된 진피를 그 크기에 맞게 다관용과 티백용으로 분리하는 진피 입자 분류 공정(S5), 분류된 진피 입자를 각각 열가공하는 진피 입자 로스팅 공정(S6), 마지막으로, 로스팅 공정을 거친 진피 입자를 다관용 및 티백용과 같이 진피차를 먹는 방법에 맞게 적절히 포장하는 진피차 포장 공장(S7)의 제조 방법으로 진피차를 완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진피차의 제조 방법을, 도1의 공정도에 따라 순서대로 설명하면, 먼저 감귤의 세척 및 건조 공정(S1)은, 선별된 유기농 감귤을 깨끗하게 씻어, 외피에 부착된 먼지를 완전히 제거하고, 이를 닦거나 바람을 불어 건조하는 것이며, 감귤의 과육 및 과피 분리 공정(S2)은, 상기 깨끗하게 건조된 감귤에서 과육을 분리하고 과피, 즉, 감귤피를 모으는 것으로, 수작업 또는, 기계를 이용한 작업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과피 건조 공정(S3)은, 상기 분리한 과피를 햇빛에 자연 건조하는 것으로, 완전히 건조하는 것보다는 반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과피를 햇빛에 두고 건조하는 이유는 그늘에서 하는 것보다는 맛과 향이 더 우수하기 때문이며, 반건조하는 이유는 후설 할 분쇄 과정에서 적절한 크기의 입자를 얻고, 로스팅 과정에서 열을 받았을 때, 겉만 쉽게 타서 버리는 손실률을 낮추기 위함이며, 이 과피 건조 공정(S3)으로 감귤피를 건조한 진피를 얻는다.
또한, 진피 분쇄 공정(S4)은, 상기 건조된 과피, 즉 진피를 0.8㎜ 이하로 분쇄하는 공정으로, 진피 입자가 0.8㎜보다 클 경우에는, 맛과 향이 연하여 식감이 떨어지고, 기호성을 높이기 위해 많은 양이 소비되므로 경제적이지 못하며, 다음 진피 입자 분류 공정(S5)은, 상기 분쇄된 진피 입자를 그 굵기에 따라, 다관용과 티백용으로 분리 및 선별하는 것으로, 상기 다관용은 진피 입자를 0.5 내지 0.8㎜ 의 굵기로 선별하여, 다관을 이용한 찻물을 우려낼 때, 거름망에서 빠져나오지 않도록 하고, 티백용은 진피 입자를 0.3㎜ 이하의 굵기로 사용하여 진피차의 기호성을 높인다.
이은 진피 입자 로스팅 공정(S6)은, 선별된 진피 입자를 열을 가해 향과 기호성을 높이는 것으로, 이는 고온의 열로 일시에 가열할 경우, 진피 입자의 내부가 로스팅되기 전에, 표면이 타버려 기호성이 떨어지고, 버려지는 손실률이 높아지므로, 로스팅의 열원을 할로겐 라이트 히터를 사용하면, 진피 입자의 내·외부를 골고루 로스팅하여 맛과 향이 증대할 뿐만 아니라, 원적외선이 방사되므로 품질이 향상되며, 마지막으로, 진피차 포장 공정(S7)은, 로스팅 과정을 거친, 진피차를 포장하되, 크기 0.3㎜ 이하의 진피 입자를 1 내지 1.3g의 무게로 티백에 담아 티백용으로 제공하거나, 또는, 단위량에 맞추어 포장한 다관용으로 포장하여 진피차 제조를 완료한다.
이와 같이 유기농 감귤을 이용한 다관용 및 티백 타입의 진피차는 온도가 높은 물, 바람직하기로는 80℃의 물에 1g 정도를 우려내어, 기호에 따라 꿀이나, 설탕 등을 첨가한 진피차를 마심으로써, 맛과 향이 우수한 진피차의 음용이 용이하고, 오래 끊이거나 달이지 않아도 되므로, 비타민 C 등의 파괴를 최소화하고, 피로회복 및 감기예방에 좋으며, 농약, 왁스와 같은 성분이 포함되지 않은 유기농 감귤을 사용하므로 인체에 해로운 화학 성분이 체내에 축적되지 않고, 보관이 용이한 특징이 있다.
한편, 제주산 온주밀감(Citrus unshiu)의 진피를 이용한 성분과 기호성 대한 실험을 하였으며, 먼저 이에 대한 실험 재료와 방법에 있어, 시료의 전처리 방법, 과피, 과육 용매 추출 및 수울 계산에 대한 내용, 총 페놀 함량 측정 방법, 디피피에이치(DPPH) 자유기 소거능 측정 방법, 세포의 독성 측정 방법, 진피차의 이화학적 검사 방법, 진피차의 관능 검사 방법 등에 대한 내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시료의 전처리 과정을 살펴보면, 밀감을 선별 세척하고, 밀감에서 과피를 분리하며, 이 과피를 -70℃로 동결 건조 2mm이하로 분쇄한 후, 4℃에서 보관하며 사용하고, 진피차 침출 조건은 진피 건조 분말을 각각 1g씩을 취하여 실험에 사용한다.
두 번째, 과피, 과육 용매 추출 및 수율 계산에 대해 살펴보면, 진피 건조 분말은 각각 핵산, 클로로포름, 에탄올 순으로 극성을 달리하면서 추출하되, 이는 진피 5g에 핵산 5㎖을 넣고, 4℃에서 30분간 항온 수조(Bio Shaker, BR-30LF, TAITEC, Japan)에서 진탕한 후, 핵산 용액을 회수하며, 그 남은 잔사에 클로로포름 5㎖을 다시 넣어 같은 방법으로 추출을 한 후 회수하고, 다시 남은 잔사에 메탄올 5㎖을 넣어 같은 방법으로 순차적으로 추출하며, 각각의 용액은 농축기(Buchi, 461, Germany)로 감압하면서 농축, 건조하여 무게를 측정하였고, 티에이치에프 (THF, tetrahydrofuran) 용액 3㎖에 넣어, -20°C에 보관하면서 사용하였다.
세 번째, 총 페놀 함량 측정 방법은, 폴린 시오칼토 법(Folin ciocalteu method)을 일부 변형하여 측정하는데, 이는 희석된 1㎖의 시료나 표준물질인 클로로겐 산(chlorogenic acid)(Sigma Chemical Co., St. Louis, MO, USA)을 녹인 티에이치에프(THF) 용액 1㎖에 증류수 9㎖을 넣어 교반하고, 3분 후 폴린 시오칼토 페놀 시약(Folin ciocalteu phenol reagent, Sigma Chemical Co., St. Louis, MO, USA) 1㎖을 첨가하여 교반하며, 5분 후, 7% Na2CO3 용액 10㎖을 가하여 교반하고, 증류수 25㎖로 희석한 후 23°C에서 90분 동안 정치하며, 이에 분광광도계 (DU 530 spectrophotometer, Beckman, 4300N, Fullerton, USA)를 이용하여 7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고, 총 페놀함량은 클로로겐 산(chlorogenic acid)로 표준 검량곡선을 작성하여 계산하였으며, 100g 습식중량에 대한 지에이이(미리그람 갈산, 미리그람 몰식자산, GAE, mg gallic acid)으로 나타내었다.
네 번째, 디피피에이치(DPPH, 1,1-Diphenyl-2-picrylhydrazy) 자유기 소거능 측정 방법은, 씨에이치유(Chu) 등의 방법에 따라 진피 용매추출물의 농도별 희석용액 0.2㎖에, 4×10-4 M 1,1-Diphenyl-2-picrylhydrazy(DPPH : Sigma Chemical Co., St. Louis, MO, USA) 용액 0.8㎖를 가하여 10초간 혼합하고, 상온에서 10분간 방치한 후, 517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대조군은 티에이치에프(THF) 0.2㎖에 디피피에이치(DPPH) 용액 0.8㎖를 가한 후, 상온에서 10분간 방치한 후, 517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한 것으로 하였는데, 그 식은 다음과 같다.
디피피에이치 자유기 소거 활성도(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
= {1-(샘플 흡광도/대조군 흡광도)} ×100
다섯 번째, 세포 독성 측정에 대해 설명하면, 피씨-3(PC-3), 엘엔-씨에이피(LN-CaP)의 전립선암 세포는 한국 세포주 은행(KCLB)에서 분양받아 10% 우태혈청(fetal bovine serum)(FBS : Sigma Chemical Co., St. Louis, MO, USA)와 1% 페니실린 및 스트렙토마이신(penicillin and streptomycin)(Sigma Chemical Co., St. Louis, MO, USA)이 포함된 (GIBCOTM, Invitrogen, CA, USA)을 이용하여 배양하였으며, 진피 추출물의 세포독성 실험은 나가오(Nagao) 등의 방법에 따라 3 - (4, 5 - dimethylthiazol - 2 -yl) -2, 5 - diphenyl tetrazolium bromide ( MTT : Sigma Chemical Co., St. Louis, MO, USA) 시약을 사용하여 실시하되, 5×104 cell/well 농도로 96 웰 플레이트(96 well plate)에 분주하고, 37℃, 5% CO2 인큐베이터(incubator)에서 72시간 배양 한 후, 배양에 사용된 배지를 제거하며, 새로운 배지 180 μℓ와 진피 추출물 20ℓ를 첨가하되, 상기 첨가한 진피 추출물의 농도는 각각 0, 2.5, 12.5, 25.0 μg/㎖로 첨가하며, 다시 24시간 배양한 후 배지를 제거하고 0.5 mg/㎖ 농도의 엠티티(MTT)시약을 well당 200 μℓ씩 분주한 다음, 4시간 후, 엘리사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ELISA microplate reader)(Bio-rad, Benchmark, USA)를 이용하여 59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여섯 번째, 진피차의 이화학적 검사를 살펴보면, 수소이온농도(pH) 측정은 진피 건조분말 1, 2g을 60℃, 80℃, 100℃의 물 80㎖에 각각 3분씩 침지한 후 침출액 중 5㎖를 취해 수소이온농도 측정기(pH meter)(710A, Orion, U.S.A)로, 가용성 고형분의 측정은 휴대용 굴절당도계(Atago, Japan)로 측정하여 ˚Brix로 표시하였고, 색차는 액체용 액세서리(accessary)가 부착된 색도계(Colorimeter, CM S7W, Minolta, Japan)를 사용하여 시료의 색도를 측정하되, 컬러 스페이스(Color space)는 헌터(hunter) 색체계인 L(명도), a(적색도), b(황색도)로 조정하여 측정하였다.
일곱 번째, 진피차 관능 검사 방법을 살펴보면, 이는 진피차의 관능적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서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대학원 학생 20명을 대상으로 사전에 관능평가 교육, 훈련을 하고 진피 냄새, 색, 신맛, 쓴맛, 종합적 기호도를 평가였으며, 모든 특성은 7점 척도를 사용하였고, 숫자가 클수록 해당 항목의 특성이 높도록, 즉, 7점은 ‘매우 강하다’,혹은 4점은 ‘매우 좋다’, 1점은 ‘보통이다’‘매우 약하다.’ 또는, ‘매우 나쁘다.’로 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통계처리에 대해 설명하면, 이는 분산분석 티엠 유저스 가이드(SAS/STAT TM User's guide) 8.0판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산분석(ANOVA analysis of variance)과 듀칸의 멀티플 레인지 테스트(Duncan's multiple range test)를 이용하여 실시하고, 확률 값(Probability values)은 p<0.05수준에서 해석하였다.
다음으로, 상기의 처리 방법을 통해 실험 결과, 즉, 진피의 일반 성분, 침출 온도별 진피차의 특성, 총 페놀 함량과 자유기 소거능, 암세포에 대한 진피 용매 추출물의 사멸효과, 진피 침출차의 관능 검사에 대한 결과를 표1 내지 표7을 참조하여 살펴보되, 첫 번째로, 진피의 일반 성분을 표1 및 표2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먼저, 표1과 같이 가식부 100g 당 조탄수화물(61.6±0.3 mg), 조지방(15.0±20 mg), 조단백질(8.3±2.1 mg), 조회분(7.6±0.1 mg), 수분은 (7.5±0.2 mg)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다음 무기성분 함량의 분석결과 표2에서와 같이, 진피 100g당 무기질 함량은, 칼륨 3029±110 mg, 칼슘 705±20 mg, 마그네슘 495±10 mg으로 칼륨, 칼슘, 마그네슘, 인, 나트륨, 철, 아연의 순으로 나타났다.
[ 진피의 물리화학적인 구성물(가식부 100 당)(Physicochemical composition contents of the Citrus unshiu peel(per 100g edible portion) ]
수분 (Moistures) (g) 조단백질 (Crude protein) (%) 조지방 (Crude fat) (%) (조탄수화물) Crude carbohydrate (g) 조회분 (Crude ash) (g)
7.5±0.2 8.3±0.1 15.0±0.5 61.6±0.1 7.6±0.1
1) 모든 평균값은 세제곱 방법(triplicate determinations) 이다. 평균값 ± 표준 오차(1)All mean values are triplicate determinations. Mean ± standard deviation.)
칼슘(Ca) 마그네슘(Mg) 나트륨(Na) 칼륨(K) 철(Fe) 인(P) 아연(Zn)
705±20 495±10 329±11 3029±110 17±5 361±35 7.6±0.1
1) 모든 평균값은 세제곱 방법(triplicate determinations) 이다. 평균값 ± 표준 오차(1)All mean values are triplicate determinations. Mean ± standard deviation.)
두 번째, 침출 온도별 진피 차의 특성을 표3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이는 진피 침출 차 가공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침출 온도별 수소이온농도(pH), 색도, 가용성 고형분의 양을 측정하였으며, 이는 진피 1g 차의 수소이온농도는 침출 온도 60℃에서 6.5, 100℃일 때 6.0으로 침출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진피 차의 수소이온농도가 감소하는 것을 보이며, 또, 진피건조 분말 차 2g의 수소이온농도는 온도별로 6.3, 6.2, 5.9로 진피 1g의 온도에 따른 수소이온농도 변화와 비슷한 경향을 보였으나, 진피 2g 차가 1g 더욱더 낮은 수소이온농도 값을 나타내며, 차 침출 시 수소이온농도에 영향을 주는 요소는 차중에 함유된 유기산이고, 제주산 감귤 과즙에서 검출된 유기산의 종류는 옥살산(수산, oxalic acid), 시트르산(구연산, citric acid), 말산(능금산, 사과산, malic acid)이였으며, 과육에서는 시트르산(citric acid)이 높게 검출되었다(Song EY et al, 1998).
또한, 본 연구에도 진피 함량이 많고, 침출 온도가 높을수록 유기산의 침출이 많아져 수소이온농도가 감소하는 것으로 생각되며, 진피 침출 차의 온도별 고형물 양은 진피 1g의 경우 60, 80, 100℃에서 모두 0.9 브릭스(˚Brix)이였고, 진피 2g의 경우 60, 80, 100℃에서 각각 0.9, 0.9, 1.0 브릭스(˚Brix)로 나타나 침출 온도가 증가할수록 침출하는 고형분이 많아지는 것으로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성은 없었으며, 침출 온도에 따른 침출 차의 색차는 온도가 증가할수록 명도(L값)는 낮아져 진피 1g의 차의 명도(L값)이 60℃에서 95.6 이였으나, 100℃에서 92.6을 보였다.
또, 진피 1g차의 적색도는 60℃에서 1.0 이였으나 100℃에서 2.8을, 황색도는 60℃에서 24.8, 100℃에서 31.5로 침출 온도가 증가할수록 적색, 황색도가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고, 색차결과는 2g 진피 차도 진피 1g 차와 비슷한 색차 경향을 보였으며, 침출 분말 양이 많을수록 적색도(a값), 황색도(b값)는 높아지는 경향을 나타내고, 따라서, 침출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침출 차의 밝기는 밝아지고, 적색도와 황색도는 증가하여 전체적으로 노란색이 강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 다른 침출 온도를 가지는 진피차의 수소이온농도와 색도 변화 (The changes of pH and color of the Citrus unshiu tea with different leaching temperatures)]
샘플 1) 수소이온농도(pH) 2) 침출하는 고형분 (Soluble Solid) (˚Brix) 색도(color) 3)
L a b
T1-60 6.5a 0.9 95.6 ± 0.4 a 1.0 ± 0.0 c 24.8 ± 0.4 c
T1-80 6.2ab 0.9 93.4 ± 0.4 ab 1.7 ± 0.1 c 30.9 ± 0.4 b
T-100 6.0b 0.9 92.6 ± 0.3 b 2.8 ± 0.1 a 31.5 ± 0.3 a
T2-60 6.3a 0.9 94.1 ± 0.3 a 2.0 ± 0.0 b 26.7 ± 0.3 c
T2-80 6.2ab 0.9 91.9 ± 0.5 b 3.1 ± 0.0 a 32.8 ± 0.2 a
T2-100 5.9b 1.0 90.0 ± 0.2 c 3.5 ± 0.2 a 32.9 ± 0.3 a
1) 수단 (Means)
T1-60 : 60℃에서 5분간 침출한 진피차 1mg (One milligram of the Citrus unshiu peel tea with leaching at 60℃ for 5 min )
T1-80 : 80℃에서 5분간 침출한 진피차 1mg (T1-80 : One milligram of the Citrus unshiu peel tea with leaching at 80℃ for 5 min )
T1-100 : 100℃에서 5분간 침출한 진피차 1mg (T1-100 : One milligram of the Citrus unshiu peel tea with leaching at 100℃ for 5 min )
T2-60 : 60℃에서 5분간 침출한 진피차 2mg (T2-60 : Two milligram of the Citrus unshiu peel tea with leaching at 60℃ for 5 min )
T2-80 : 80℃에서 5분간 침출한 진피차 2mg (T2-80 : Two milligram of the Citrus unshiu peel tea with leaching at 80℃ for 5 min )
T2-100 : 100℃에서 5분간 침출한 진피차 2mg (T2-100 : Two milligram of the Citrus unshiu peel tea with leaching at 100℃ for 5 min )
1) 모든 평균값은 세제곱 방법(triplicate determinations) 이다. 평균값 ± 표준 오차 (1)All mean values are triplicate determinations. Mean ± standard deviation.)
2) and 3) 듀칸의 멀티플 레인지 테스트(Duncan’s multiple range test)에 따라, 다른 문자에 이어지는 같은 행의 값은 상당히 다르다(p<0.05) ( 2) and 3) Values in the same column that are followed by a different letter are significantly different(p<0.05)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
세 번째, 총 페놀 함량과 자유기 소거능을 표4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진피로부터 추출한 3가지 용매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실시한 결과 진피 추출물 중 에탄올 추출물이 높은 총 페놀 함량과 자유기 소거 효과를 나타냈으나, 클로로포름 용매 추출물의 총 페놀 함량 또한 다른 감귤류와 비슷한 함량을 나타내었다.
[ 벌충된 무게, 진피차 추출액의 총 페놀 함량과 자유기 소거 활성도(Recovered weight, the total phenolics contents and scavenging activity of DPPH radicals of the Citrus unshiu peel extracts) ]
껍질 추출물 (Peel extract) (벌충된 무게) (Weight recoverd) (㎎/㎖) 총 페놀 (Total phenolics))2) 소거 활성도 (Scavenging activity)(%) 3)
헥산(Hexane) 9.17 65.1c 55.3c
클로로포름 (Chloroform) 9.90 76.9b 65.2b
에탄올(Ethanol) 34.38 89.0a 70.2a

1)모든 평균값은 세제곱의 방법(triplicate determinations) 이다. 듀칸의 멀티플 레인지 테스트(Duncan’s multiple range test)에 따라, 다른 문자에 이어지는 같은 행(총 페놀 및 소거 활성도)은 상당히 다르다(p<0.01). 2)총 페놀 함량은 각 신선한 열매 100g에 대해서 갈산(acid equivalents) 당량의 미리그람(milligrams)으로 표현되었다. 3)각 농축액 1㎎/㎖에서의 자유기 소거 활성도의 수단 (1)All mean values are triplicate determinations. Values in the same column (total phenolics and scavenging activity) that are followed by a different letter are significantly different (p<0.01)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1)Total phenolics content, expressed in milligrams of gallic acid equivalents per 100g of fresh fruits. 3) Means of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n 1 mg/mL of each extract)
네 번째, 암세포에 대한 진피 용매 추출물의 세포사멸 효과를 설명하면, 이는 먼저, 진피 3가지 용매 추출물의 전립선 암세포 억제 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피씨-3(PC-3), 엘엔-씨에이피(LN-CaP)의 전립선 암세포에 대한 세포 사멸실험을 하였고, 그 결과를 표5 및 표6에 도시하였으며, 본 실험에 사용한 피씨-3(PC-3), 엘엔-씨에이피(LN-CaP) 세포는 모두 안드로겐(androgen)에 의존적인데, 이 안드로겐 호르몬은 남자의 남성성을 대표하는 호르몬으로, 이 호르몬의 과량 분비는 전립선 암세포의 성장을 돕는(Jane M. 1998) 특징이 있고. 따라서, 2가지 세포에 추출물을 처리해서 세포 독성을 살펴봄으로써 호르몬 의존적인 과정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지 알 수 있었으며, 진피 용매 추출물 중 에탄올 용매 추출물은 두 가지 암세포에 억제 효과가 모두 좋은 것으로 나타나며, 즉, 진피 에탄올 추출물 모두 피씨-3(PC-3), 엘엔-씨에이피(LN-CaP) 세포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60% 정도의 높은 억제율을 나타낸 것으로, 세포상에서 진피 용매 추출물이 전립선암을 억제한다고 할 수 있다.
진피추출물의 여러가지 농도로 치료된 피씨-3(PC-3)세포의 세포독성
Figure 112006062786740-pat00004
Figure 112006062786740-pat00005
마지막으로, 진피 침출 차의 관능검사를 설명하되, 온도 수준을 달리하여 침출한 진피 차의 관능적 검사 결과를 나타낸 표7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이는 관능검사항목에서 진피 냄새, 색, 신맛, 쓴맛, 종합적 기호도를 평가하였고, 진피 냄새, 색깔, 종합적 기호도 항목에서 유의적 차이를 보여주며, 진피 1g의 진피냄새는 60℃에서 4.30, 80℃에서 4.92, 100℃에서 5.99로 100℃ 온도에서 침출한 진피 차의 진피 냄새가 가장 강하다고 평가 되었으며(p<0.05), 이것은 진피 2g의 경우도 같은 결과로 온도가 높을수록 진피 냄새가 강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상기 표3의 색차 결과에 보인 바와 같이, 침출 온도가 높을수록 진피 차의 황색도(b값)가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관능검사 결과 또한 진피 양이 많고, 침출 온도가 높을수록 진피 차의 색이 노랗다고 평가되었으며, 침출 온도가 증가할수록 진피 차의 신맛과 쓴맛도 점차 높게 평가되었으나 유의적 차이는 없었으며, 종합적 기호도는 진피 1g의 경우 60℃에서 3.84, 80℃에서 5.42, 100℃에서 4.11로 평가되었고, 진피 2g의 경우 각각 3.55, 4.33, 4.00으로 진피 1g을 80℃ 온도에서 침출한 진피 차의 종합적 기호도가 가장 높게 평가되었다.
따라서, 이것은 100℃와 같이 고온에서 진피 차를 침출하여 음용 시 진피의 여러 가지 향기와 떫은맛 성분들이 함께 우려 나와 80℃에서 침출한 진피 차의 기호도보다 낮게 평가되는 것으로 사려되며, 반대로 60℃와 같은 온도에서는 진피의 독특한 성분들이 충분히 침출되지 않아 기호도가 낮게 평가되는 것으로 보이므로, 진피 1g 양을 80℃에서 침출하여 진피 차를 음용 하는 것이, 진피 차의 기호도를 높일 수 있는 바람직한 방법으로 사료된다.
[ 다른 침출 온도에 따른 진피차의 관능 평가에 의한 성적(Scores by sensory evaluation of the Citrus unshiu tea with different leaching temperatures) ]
샘플 1) Sensory evaluation(관능 평가) 2)
진피 냄새 (Citrus aroma) 색(Color) 신맛(Sour) 쓴맛 (Bitter) (종합적 기호도) Overall acceptability
T1-60 4.30c 3.85b 3.90 4.78 3.84b
T1-80 4.92ab 4.94ab 4.00 4.76 5.42a
T-100 5.99a 5.24a 4.08 4.79 4.11b
T2-60 4.80c 3.99b 3.92 4.77 3.55c
T2-80 5.92a 5.02ab 4.04 4.88 4.33b
T2-100 6.09a 5.65a 4.09 4.92 4.00b
1) 수단 (Means)
T1-60 : 60℃에서 5분간 침출한 진피차 1mg (T1-60 : One milligram of the Citrus unshiu peel tea with leaching at 60℃ for 5 min )
T1-80 : 80℃에서 5분간 침출한 진피차 1mg ( T1-80 : One milligram of the Citrus unshiu peel tea with leaching at 80℃ for 5 min )
T1-100 : 100℃에서 5분간 침출한 진피차 1mg (T1-100 : One milligram of the Citrus unshiu peel tea with leaching at 100℃ for 5 min )
T2-60 : 60℃에서 5분간 침출한 진피차 2mg (T2-60 : Two milligram of the Citrus unshiu peel tea with leaching at 60℃ for 5 min )
T2-80 : 80℃에서 5분간 침출한 진피차 2mg (T2-80 : Two milligram of the Citrus unshiu peel tea with leaching at 80℃ for 5 min )
T2-100 : 100℃에서 5분간 침출한 진피차 2mg (T2-100 : Two milligram of the Citrus unshiu peel tea with leaching at 100℃ for 5 min)
1)모든 평균값은 세제곱 방법(triplicate determinations) 이다. 평균값 ± 표준 오차( 1)All mean values are triplicate determinations. Mean ± standard deviation.).
2) and 3) 듀칸의 멀티플 레인지 테스트(Duncan’s multiple range test)에 따라, 다른 문자에 이어지는 같은 행의 값은 상당히 다르다(p<0.05). ( 2) and 3) Values in the same column that are followed by a different letter are significantly different(p < 0.05)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유기농 감귤의 과피를 반건조한 진피를 일정 크기 이하로 분쇄하고, 이를 그 크기에 따라 다관용 및 티백용으로 분류하며, 이 분류된 진피 입자에 열을 가해 풍미를 더하는 로스팅 공정과, 적절한 포장을 거쳐 진피차를 제조하여, 이를 온도가 높은 물에 우려내어 맛과 향이 우수한 진피차를 용이하게 마실 수 있음에 따라, 비타민 C의 파괴를 최소화하고, 피로회복과 감기예방, 피부미용에 좋으며, 보관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유기농 감귤을 씻어 물기를 없애는 감귤의 세척 및 건조 공정(S1), 상기 감귤의 껍질에서 과육 부분을 분리하여 과피를 모으는 감귤의 과육 및 과피 분리 공정(S2), 분리된 과피를 반건조하는 과피 건조 공정(S3), 건조된 과피인 진피를 크기 0.8㎜이하로 잘게 분쇄하는 진피 분쇄 공정(S4), 분쇄된 진피 입자를 그 크기에 따라 0.5 내지 0.8㎜의 다관용과, 그 이하의 티백용으로 나뉘는 진피 입자 분류 공정(S5), 분류된 진피 입자를 각각 열가공하는 진피 입자 로스팅 공정(S6), 마지막으로, 상기 로스팅한 진피 입자를 분류된 대로 다관용과 티백용으로 각각 포장하는 진피차 포장 공장(S7)으로 진피차를 제조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농 감귤을 이용한 진피차의 제조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진피차 포장 공장(S7)에서는, 크기 0.3㎜ 이하의 진피 입자를 1 내지 1.3g로 티백에 담아 티백용으로 포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농 감귤을 이용한 진피차의 제조 방법.
  3. 제 1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진피 입자 로스팅 공정(S6)에서는, 할로겐 라이트 히터를 이용한 열가공을 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농 감귤을 이용한 진피차의 제조 방법.
KR1020050038866A 2005-05-10 2005-05-10 유기농 감귤을 이용한 진피차의 제조 방법 KR1006650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8866A KR100665016B1 (ko) 2005-05-10 2005-05-10 유기농 감귤을 이용한 진피차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8866A KR100665016B1 (ko) 2005-05-10 2005-05-10 유기농 감귤을 이용한 진피차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1619A KR20050051619A (ko) 2005-06-01
KR100665016B1 true KR100665016B1 (ko) 2007-01-05

Family

ID=38666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8866A KR100665016B1 (ko) 2005-05-10 2005-05-10 유기농 감귤을 이용한 진피차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501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0639B1 (ko) 2007-01-29 2008-06-24 동우당제약(주) 귤피를 주원료로 한 음료용 차 및 그 제조방법
KR101268845B1 (ko) 2011-11-07 2013-05-29 허담 귤피가 첨가된 고형차용 고명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6459B1 (ko) * 2010-12-08 2013-01-28 문근식 진피차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른 진피차
KR101326076B1 (ko) * 2013-07-19 2013-11-07 이종민 침출식 유자차와 그 제조방법 및 침출식 유자차가 내장된 유자차 티백
KR101694431B1 (ko) * 2014-07-22 2017-01-09 롯데칠성음료주식회사 기호성이 우수한 한방 혼합차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643210B1 (ko) * 2021-03-24 2024-03-05 더불어 주식회사 감귤과피 차의 제조방법
WO2023121300A1 (ko) * 2021-12-21 2023-06-29 주식회사 뉴트라잇 로스팅된 감귤류 부산물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수면장애 또는 불면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0639B1 (ko) 2007-01-29 2008-06-24 동우당제약(주) 귤피를 주원료로 한 음료용 차 및 그 제조방법
KR101268845B1 (ko) 2011-11-07 2013-05-29 허담 귤피가 첨가된 고형차용 고명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1619A (ko) 2005-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386165B (zh) Containers mixed with tea drinks
KR100665016B1 (ko) 유기농 감귤을 이용한 진피차의 제조 방법
KR102257307B1 (ko) 니파야자 꽃봉오리를 이용한 기능성 차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기능성 차
Marathe et al. Effect of radiation processing on nutritional, functional, sensory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red kidney beans
Tamer et al. Toxicological aspects of ingredients used in nonalcoholic beverages
KR100738658B1 (ko) 프로폴리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고기양념소스 조성물 및제조방법
JP6029546B2 (ja) 飲料
KR100904083B1 (ko) 하수오차 티백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티백
CN107372781A (zh) 一种泡椒凤爪的保藏方法
KR101061575B1 (ko) 홍삼 및 식물추출물이 함유된 음료
KR20180005938A (ko) 고농축 양파진액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763008B1 (ko) 천마 액상겔 음료 및 그 제조방법
JP4141271B2 (ja) 柑橘類抽出組成物
KR102087291B1 (ko) 아로니아 두유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133554A (ko) 쑥을 함유하는 쑥-커피 및 그 제조방법
KR100584888B1 (ko) 장어와 한방생약을 주재료로 하는 강정음료 및 이의제조방법
KR20100118223A (ko) 배추뿌리 과립 및 그 제조방법
KR101007143B1 (ko) 연잎, 산사자, 율무, 진피가 함유된 차 음료 제조방법 및이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는 연잎, 산사자, 율무, 진피가함유된 차 음료
KR20200102700A (ko) 도라지 정과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346082B1 (ko) 부종 예방 및 부종 완화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차
US20230033418A1 (en) A process for manufacturing cinnamon tea pod from cinnamomum zeylanicum
KR20060100300A (ko) 녹차가 첨가된 음료
KR20180018220A (ko) 기능성 연자육차 제조방법
KR20170021092A (ko) 로스팅 녹두와 대두 및 비파잎을 포함하는 건강기능성 음료 및 그의 제조방법
Shreenidhi et al. Development of freeze dried pomegranate peel powder and acceptability of formulated te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6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