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23499A - 딸기가 포함되어 있는 엿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딸기가 포함되어 있는 엿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23499A
KR20090123499A KR1020080049613A KR20080049613A KR20090123499A KR 20090123499 A KR20090123499 A KR 20090123499A KR 1020080049613 A KR1020080049613 A KR 1020080049613A KR 20080049613 A KR20080049613 A KR 20080049613A KR 20090123499 A KR20090123499 A KR 200901234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wberry
powder
syrup
hours
ma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96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82432B1 (ko
Inventor
방인수
Original Assignee
방인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방인수 filed Critical 방인수
Priority to KR10200800496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2432B1/ko
Publication of KR200901234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34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24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24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20Malt products
    • A23L7/25Fermentation of cereal malt or of cereal by mal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0002Processes of manufacture not relating to composition and compounding ingredients
    • A23G3/0063Coating or filling sweetmeats or confectionery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34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 A23G3/36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 A23G3/48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containing plants or parts thereof, e.g. fruits, seeds,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01Instant products; Powders; Flakes; Granu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2200/00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e.g. synthetic flavouring agents
    • A23G2200/14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e.g. synthetic flavouring agents containing fruits, nuts, e.g. almonds, seeds, plants, plant extracts, essential oi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otan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Confectionery (AREA)
  • Prepara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별 및 세척한 딸기를 동결건조하고 분쇄하여 딸기 분말을 제조한 후 숙성된 맥아엿에 첨가 및 혼합하고, 연신기를 이용하여 연신한 후 옥수수전분과 딸기분말이 혼합된 옥수수·딸기 분말을 도포하고 건조한 후 다시 도포함으로써,
주로 당으로 이루어진 일반적인 엿에 비해 맛, 향, 색 및 기호도가 향상될 뿐만 아니라 딸기가 가지고 있는 영양성분 및 기능적 성분을 이용할 수 있는 딸기가 포함되어 있는 엿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딸기가 포함되어 있는 엿 제조방법은,
선별 및 세척한 딸기를 슬라이스 형태로 절단하고 동결건조한 후 분쇄하여 딸기 분말을 제조하는 딸기 분말 제조공정(제1공정)과; 세척 및 침지시킨 곡물을 고두밥으로 제조한 후 엿기름 물을 첨가하여 당화액을 제조하고, 제조된 당화액을 농축하여 맥아엿을 제조하는 맥아엿 제조공정(제2공정)과; 상기 제2공정에서 제조된 맥아엿을 숙성기에서 숙성하는 맥아엿 숙성공정(제3공정)과; 상기 제3공정에서 숙성된 맥아엿에 상기 제1공정에서 제조된 딸기분말을 첨가한 후 혼합하여 혼합엿을 제조하는 첨가 및 혼합공정(제4공정)과; 상기 제4공정의 혼합엿을 연신기를 이용하여 연신한 후 중첩하되, 연신 및 중첩을 7~10회 반복하는 연신 및 중접공정(제5공정)과; 옥수수전분과 상기 제1공정에서 제조된 딸기 분말을 혼합하여 도포분말 을 제조하는 도포분말제조공정(제6공정)과; 상기 제5공정에서 제조된 혼합엿의 외면에 상기 제6공정에서 제조된 옥수수·딸기 분말을 도포하고, 건조기에서 건조한 후 다시 옥수수·딸기 분말을 도포하는 도포공정(제7공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엿, 딸기, 옥수수, 분말, 맥아엿, 동결건조, 숙성, 연신, 도포, 건조

Description

딸기가 포함되어 있는 엿 제조방법{Method of Glutinous-jelly containing Strawberry}
본 발명은 선별 및 세척한 딸기를 동결건조하고 분쇄하여 딸기 분말을 제조한 후 숙성된 맥아엿에 첨가 및 혼합하고, 연신기를 이용하여 연신한 후 옥수수전분과 딸기분말이 혼합된 옥수수·딸기 분말을 도포하고 건조한 후 다시 도포함으로써,
주로 당으로 이루어진 일반적인 엿에 비해 맛, 향, 색 및 기호도가 향상될 뿐만 아니라 딸기가 가지고 있는 영양성분 및 기능적 성분을 이용할 수 있는 딸기가 포함되어 있는 엿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소득과 생활수준의 향상에 따라 먹거리가 풍족하고, 그에 따라 간식거리의 종류와 양도 풍족한 현실이다. 웰빙에 열풍에 인해 풍족한 간식거리 중 전통 엿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우리의 전통 엿은 곡물에서 전분을 추출하여 졸여서 만들어진 우리나라 전통 한과이다. 엿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는 곡물은 다양한데, 전문 성분을 지닌 곡물이라면 모두 엿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옥수수, 밀, 호밀, 귀리, 조, 기장, 메밀, 피, 수수, 팥, 율무, 쌀, 찹쌀, 보리 등을 들 수 있다. 이 밖에도 고구마, 호박, 감자 등도 곡물 대용으로 엿의 재료로서 사용되어 지고 있다.
일반적인 방법으로 제조된 엿은 곡물 등의 재료를 익혀서 엿기름(맥아당(麥芽糖); maltose)과 함께 혼합하여 이를 적당한 온도로 끊이면 엿기름에 의해서 곡물 등의 재료 속에 있는 전분이 당화됨으로서 제조되는데, 이 당화액에 열을 가해 수분을 제거하게 되면 조청(물엿)(통상 수분 함량이 25~30%일 때를 말한다)이 얻어지고 수분을 더 제거하게 되면 강엿(통상 수분 함량이 10% 이하일 때를 말한다)이 얻어진다.
최근에 들어 엿에 여러 가지 식품원료를 선택적으로 혼합하여 부족한 풍미를 향상시키거나 부족한 영양성분 및 기능적 성분을 첨가된 엿이 연구,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 예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385171호 “배엿을 기재로 하는 건강 보조식품 및 그 제조방법”은 배 40 내지 70중량부, 생강 15 내지 35 중량부, 마늘 10 내지 30 중량부, 호두 5 내지 35 중량부, 포공영 3 내지 9 중량부, 금은화 2 내지 12 중량부, 동행송근 3 내지 9 중량부, 감초 2 내지 10 중량부, 은행 5 내지 35 중량부 및 신곡 3 내지 10 중량부를 물에 넣어 소나무 장작불을 이용하여 8시간 내지 20시간 가열한 다음 엿기름 또는 맥아로 당화하여 탈수, 여과, 농축하여 제조되는 배엿을 기재로 하는 건강보조식품인 것으로 배, 생강, 마늘 등의 원료를 물과 함께 가 열용기에 넣어 가열하다가 엿기름 또는 맥아로 당화한 후, 건더기를 제거 및 여과하여 농축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명은 배엿 제조시 배를 물과 함께 8~20시간 가열하는 과정으로 배가 가지고 있는 비타민 B, C가 파괴되고 또한 장시간의 가열로 배 엿 제조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원료의 추출물을 이용하여 엿을 제조함으로써 원료의 수용성 성분만을 이용하는 한계점이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2003-93024호 “도라지엿 조성물 및 동 조성물을 함유한 도라지 엿의 제조방법”은 전분질 원료, 엿기름 및 도라지 추출물을 함유한 도라지 엿에 있어서 도라지 추출물 0.01~50중량%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도라지엿 조성물인 것으로 도라지 뿌리의 열수추출물을 만들고 이를 12~24시간 물에 침지한 후, 호화된 전분질과 엿기름을 첨가하여 조청 및 엿으로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발명은 12~24시간 동안 도라지를 열수추출하여 도라지에 있는 지용성의 성분들이 파괴될 뿐만 아니라 제조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경제적 비용이 많이 소비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실정 및 우려를 해결하고자 발명한 것으로,
본 발명은 선별 및 세척한 딸기를 동결건조하고 분쇄하여 딸기 분말을 제조한 후 숙성된 맥아엿에 첨가 및 혼합하고, 연신기를 이용하여 연신한 후 옥수수전분과 딸기분말이 혼합된 옥수수·딸기 분말을 도포하고 건조한 후 다시 도포함으로써,
주로 당으로 이루어진 일반적인 엿에 비해 맛, 향, 색 및 기호도가 향상될 뿐만 아니라 딸기가 가지고 있는 영양성분 및 기능적 성분을 이용할 수 있는 딸기가 포함되어 있는 엿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라 딸기가 포함되어 있는 엿 제조방법은,
선별 및 세척한 딸기를 슬라이스 형태로 절단하고 동결건조한 후 분쇄하여 딸기 분말을 제조하는 딸기 분말 제조공정(제1공정)과; 세척 및 침지시킨 곡물을 고두밥으로 제조한 후 엿기름 물을 첨가하여 당화액을 제조하고, 제조된 당화액을 농축하여 맥아엿을 제조하는 맥아엿 제조공정(제2공정)과; 상기 제2공정에서 제조된 맥아엿을 숙성기에서 숙성하는 맥아엿 숙성공정(제3공정)과; 상기 제3공정에서 숙성된 맥아엿에 상기 제1공정에서 제조된 딸기분말을 첨가한 후 혼합하여 혼합엿 을 제조하는 첨가 및 혼합공정(제4공정)과; 상기 제4공정의 혼합엿을 연신기를 이용하여 연신한 후 중첩하되, 연신 및 중첩을 7~10회 반복하는 연신 및 중첩공정(제5공정)과; 옥수수전분과 상기 제1공정에서 제조된 딸기 분말을 혼합하여 도포분말을 제조하는 도포분말제조공정(제6공정)과; 상기 제5공정에서 제조된 혼합엿의 외면에 상기 제6공정에서 제조된 옥수수·딸기 분말을 도포하고, 건조기에서 건조한 후 다시 옥수수·딸기 분말을 도포하는 도포공정(제7공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딸기가 포함되어 있는 엿 제조방법은,
딸기 분말이 맥아엿에 첨가 및 혼합됨으로써 맛, 향, 색 및 기호도가 향상될 뿐만 아니라 딸기가 가지고 있는 영양성분 및 기능적 성분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맥아엿을 숙성하는 공정을 통해 농축과정에서 발생한 이취를 제거함과 동시에 맥아엿의 저하된 단맛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옥수수·딸기분말을 제조하여 엿의 외부에 도포하고 건조한 후 다시 도포함으로써, 엿이 수분에 의해 녹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주로 당으로 이루어진 일반적인 엿에서 부족한 비타민과 같은 영양성분을 부가함에 따라 영양적 측면 및 기능적 측면을 향상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딸기가 포함되어 있는 엿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공정흐름도이다.
1. 딸기 분말 제조공정(제1공정)
선별 및 세척한 딸기를 슬라이스 형태로 절단하고 동결건조한 후 분쇄하는 공정으로,
흠집이나 상처가 나지 않은 딸기를 선별하고, 흐르는 물이나 약산성액에 세척한 후 두께가 1~2cm의 슬라이스 형태로 절단하고, 슬라이스로 절단된 딸기를 -30~-40℃의 냉동고에서 24~48시간 동안 동결하고, -70~-80℃의 동결건조기에서 24~48시간 동안 동결건조하고, 동결건조된 슬라이스 딸기를 분쇄기를 이용하여 분쇄한다.
여기서, 상기 분쇄된 딸기를 딸기 분말이라 한다.
이때, 딸기 분말의 입자의 크기는 200~300mesh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딸기 분말 입자의 크기가 200~300mesh인 것은 최종생산물을 맛과 색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섭취시 딸기 분말로 인한 이질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흠집이나 상처가 난 딸기는 흠집이나 상처가 난 부위를 제거하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선별된 딸기를 흐르는 물이나 약산성액에 세척하는 것은 딸기의 외면에 있는 이물질을 제거할 뿐만 아니라 미생물을 살균하기 위함이다.
이때, 약산성액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약산성액은 pH5~6이며, 물과 식초를 혼합한 것이다.
또한, 상기 선별 및 세척된 딸기를 두께가 1~2cm의 슬라이스 형태로 절단한 후 동결건조하는 것은 딸기의 동결 및 동결건조하는 시간을 줄여 경제적 비용을 절감하기 위함이다.
2. 맥아엿 제조공정(제2공정)
세척 및 침지시킨 곡물을 고두밥으로 제조한 후 엿기름 물을 첨가하여 당화액을 제조하고, 제조된 당화액을 농축하는 공정으로,
곡물을 흐르는 물에 세척하고 6~8시간 동안 침지시키고 찜기를 이용하여 고두밥으로 제조한 후 제조된 고두밥에 엿기름물을 첨가하고 30~50℃에서 6~12시간 동안 당화시켜 당화액을 제조한 후 필터로 여과하고 110~130℃에서 3~6시간 농축한다.
여기서, 상기 농축된 당화액은 맥아엿이라 한다.
그리고, 이때 상기 곡물은 쌀, 찹쌀, 보리, 귀리, 수수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하거나 2 이상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엿기름물은 물에 질금을 혼합하고 숙성한 후 질금을 제거한 것으로, 고형분의 함량이 40~50%이다.
3. 맥아엿 숙성공정(제3공정)
맥아엿을 숙성하는 공정으로,
상기 제2공정에서 제조된 맥아엿을 40~50℃의 숙성기에서 3~5시간 동안 숙성한다.
맥아엿을 숙성하는 것은 당화액을 농축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이취를 제거할 뿐만 아니라 당화과정이 충분히 일어나지 않은 맥아엿을 다시 당화시켜 단맛을 향상하여 최종생산물에 풍미를 증진하기 위함이다.
4. 첨가 및 혼합공정(제4공정)
숙성된 맥아엿에 딸기 분말을 첨가한 후 혼합하는 공정으로,
상기 제3공정에서 숙성된 맥아엿에 상기 제1공정의 딸기 분말을 첨가한 후 혼합기를 이용하여 혼합한다.
여기서, 숙성된 맥아엿에 딸기 분말이 혼합된 것을 혼합엿이라 한다.
그리고, 이때 숙성된 맥아엿에 딸기 분말을 중량대비 1:0.2~0.4로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숙성된 맥아엿에 딸기 분말을 중량대비 1:0.2~0.4로 첨가하는 것은 숙성된 맥아엿에 딸기 분말을 중량대비 1:0.2 미만으로 첨가할 경우 최종생산물에 딸기의 고유한 맛, 색, 향이 나타나지 않게 되며, 중량대비 1:0.4 초과로 첨가할 경우 최종생산물에 딸기의 맛과 향이 과도하여 엿의 고유한 맛과 향을 상실하게 되기 때문이다.
5. 연신 및 중첩공정(제5공정)
혼합엿을 연신 및 중첩하는 공정으로,
상기 제4공정의 혼합엿을 연신기를 이용하여 연신한 후 중첩하되, 연신 및 중첩을 7~10회 반복한다.
연신 및 중첩을 7~10회 반복하는 것은 혼합엿의 내부에 공기가 주입되어 최종생산물의 질감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최종생산물을 섭취시 입안에 달라 붙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에서 사용되는 연신기는 양방향 연신기로서, 혼합엿의 일단부와 타단부를 고정한 후 양단부에 동일한 힘을 가하여 잡아당기는 것이다.
혼합엿의 양단부를 고정한 후 동일한 힘으로 잡아당기는 것은 일정한 한 부위만 늘어난 것을 방지하지고, 전반적으로 늘어나 최종생산물의 질감이 향상시킬 수 있다.
6. 도포분말제조공정(제6공정)
옥수수전분과 딸기 분말을 혼합하여 도포분말을 제조하는 공정으로,
옥수수전분과 상기 제1공정에서 제조된 딸기분말을 중량대비 5:1로 혼합하여 도포분말을 제조한다.
이때, 옥수수전분과 딸기 분말의 입자 크기는 200~300mesh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옥수수전분과 딸기 분말의 입자 크기가 200~300mesh인 것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50mesh의 밀가루보다 표면적이 넓어져 외부환경의 수분을 용이하게 흡수할 수 있어서 최종생산물이 수분에 의해 녹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혼합된 옥수수전분과 딸기 분말을 옥수수·딸기 분말이라 한다.
7. 도포공정(제7공정)
혼합엿에 옥수수·딸기 분말을 도포하고 건조한 후 다시 도포하는 공정으로,
상기 제5공정에서 제조된 혼합엿의 외면에 상기 제6공정에서 제조된 옥수수·딸기 분말을 도포하고, 120~150℃의 건조기에서 건조한 후 다시 옥수수·딸기 분말을 도포한다.
혼합엿의 외면에 옥수수·딸기 분말을 도포하고 건조한 후 다시 도포하는 것은 혼합엿의 외면에 도포될 뿐만 아니라 상기 제5공정의 연신 및 중첩과정에서 발생한 기공에 옥수수·딸기 분말이 침착되는데, 혼합엿의 외면과 기공에 있는 수분이 옥수수·딸기 분말에 흡수되더라도 건조과정을 거침에 따라 수분이 제거되어 최종생산물의 맛과 질감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건조된 혼합엿에 옥수수·딸기 분말을 다시 도포함에 따라, 외부의 수분이 혼합엿에 흡착되어 최종생산물이 변형 및 변질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하여 맛과 질감을 향상하기 위함이다.
또한, 혼합엿에 옥수수·딸기 분말을 도포함으로써, 주로 당으로 이루어진 일반적인 엿에서 부족한 비타민과 같은 영양성분을 부가함에 따라 영양적 측면도 향상할 수 있다.
이하에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님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사실이다. 즉,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당업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실시예 :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딸기엿
흠집이나 상처가 나지 않은 딸기를 선별하고, 약산성액(pH 6)에 세척한 후 두께가 1cm의 슬라이스 형태로 절단하고, 슬라이스로 절단된 딸기를 -35℃의 냉동고에서 36시간 동안 동결하고, -75℃의 동결건조기에서 36시간 동안 동결건조하고, 동결건조된 슬라이스 딸기를 분쇄기를 이용하여 250mesh의 딸기 분말을 제조한다.
쌀을 흐르는 물에 세척하고 7시간 동안 침지시키고, 찜기를 이용하여 고두밥으로 제조한 후 제조된 고두밥에 엿기름물을 첨가하고, 40℃에서 9시간 동안 당화시켜 당화액을 제조한 후 필터로 여과하고, 120℃에서 5시간 농축하여 맥아엿을 제조한 후 45℃의 숙성기에서 4시간 동안 숙성한다.
상기의 숙성된 맥아엿 100㎏에 상기의 제조된 딸기 분말 30㎏을 첨가한 후 혼합기를 이용하여 혼합엿을 제조한 후 연신기를 이용하여 연신 및 중첩과정을 8회 반복한다.
한편, 옥수수전분 5㎏과 상기 제조된 딸기분말 1㎏을 혼합하여 옥수수·딸기 분말을 제조한다.
상기 연신 및 중첩된 혼합엿의 외면에 옥수수·딸기 분말을 도포하고, 130℃의 건조기에서 건조한 후 다시 옥수수·딸기 분말을 도포한다.
비교예 : 일반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된 엿
쌀을 흐르는 물에 세척하고 7시간 동안 침지시키고, 찜기를 이용하여 고두밥으로 제조한 후 제조된 고두밥에 엿기름물을 첨가하고, 40℃에서 9시간 동안 당화시켜 당화액을 제조한 후 필터로 여과하고, 120℃에서 5시간 농축하여 맥아엿을 제조한다.
상기 제조된 맥아엿을 직접 손으로 잡아당겨 연신한 후 중첩과정을 12회 반복한다.
상기 연신 및 중첩된 맥아엿의 외면에 50mesh의 밀가루를 도포한다.
실험 1 : 관능검사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딸기엿(실시예)와 일반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된 엿(비교예)를 관능검사 요원으로 하여금 맛, 색, 향, 전체적인 기호도와 같은 관능검사를 측정하였다. 측정한 결과는 표 1에 나타내었다.
관능검사는 2년 이상 관능검사 경험을 지닌 30명(남자 15명, 여자 15명)의 관능검사 요원으로 하여금 9점 척도법으로 하여 측정하였다.
부러짐성 치아에 들러붙지 않는 특성 전체적인 기호도
실시예 8.4 8.2 8.6 7.8 8.1 8.5
비교예 7.3 7.8 7.5 7.1 7.5 7.3
상기 표 1을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일반적인 방법에 따라 엿(비교예)보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딸기엿(실시예)이 관능검사의 전체적인 항목에서 높은 점수를 나타내고 있다.
특히, 전체적인 기호도 항목에서는 비교예와 실시예의 점수의 편차가 크게 나타내고 있다.
비교예보다 실시예가 전체적인 관능검사 중에서도, 특히 전체적인 기호도에 대한 관능검사에서 큰 차이가 나는 것은, 일반적으로 제조된 비교예보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실시예가 맛, 향, 색, 부러짐성, 치아에 들러붙지 않는 특성에서 높은 점수를 획득하였기 때문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딸기가 포함되어 있는 엿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공정흐름도이다.

Claims (5)

  1. 흠집이나 상처가 나지 않은 딸기를 선별하고, 흐르는 물이나 약산성액에 세척한 후 두께가 1~2cm의 슬라이스 형태로 절단하고, 슬라이스로 절단된 딸기를 -30~-40℃의 냉동고에서 24~48시간 동안 동결하고, -70~-80℃의 동결건조기에서 24~48시간 동안 동결건조하고, 동결건조된 슬라이스 딸기를 분쇄기를 이용하여 분쇄하는 딸기 분말 제조공정(제1공정)과;
    곡물을 흐르는 물에 세척하고 6~8시간 동안 침지시키고 찜기를 이용하여 고두밥으로 제조한 후 제조된 고두밥에 엿기름물을 첨가하고 30~50℃에서 6~12시간 동안 당화시켜 당화액을 제조한 후 필터로 여과하고 110~130℃에서 3~6시간 농축하는 맥아엿 제조공정(제2공정)과;
    상기 제2공정에서 제조된 맥아엿을 40~50℃의 숙성기에서 3~5시간 동안 숙성하는 맥아엿 숙성공정(제3공정)과;
    상기 제3공정에서 숙성된 맥아엿에 상기 제1공정의 딸기 분말을 첨가한 후 혼합기를 이용하여 혼합하는 첨가 및 혼합공정(제4공정)과;
    상기 제4공정의 혼합엿을 연신기를 이용하여 연신한 후 중첩하되, 연신 및 중첩을 7~10회 반복하는 연신 및 중첩공정(제5공정)과;
    옥수수전분과 상기 제1공정에서 제조된 딸기분말을 중량대비 5:1로 혼합하여 도포분말을 제조하는 도포분말제조공정(제6공정)과;
    상기 제5공정에서 제조된 혼합엿의 외면에 상기 제6공정에서 제조된 옥수수 ·딸기 분말을 도포하고, 120~150℃의 건조기에서 건조한 후 다시 옥수수·딸기 분말을 도포하는 도포공정(제7공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딸기가 포함되어 있는 엿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공정에서 분쇄된 딸기 분말의 입자의 크기는 200~300mesh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딸기가 포함되어 있는 엿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공정에서 사용되는 곡물은 쌀, 찹쌀, 보리, 귀리, 수수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하거나 2 이상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딸기가 포함되어 있는 엿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4공정에서 숙성된 맥아엿에 딸기 분말을 중량대비 1:0.2~0.4로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딸기가 포함되어 있는 엿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6공정에서 옥수수전분과 딸기 분말로 이루어진 도포분말의 입자 크기는 200~300mesh인 것을 특징으로 딸기가 포함되어 있는 엿 제조방법.
KR1020080049613A 2008-05-28 2008-05-28 딸기가 포함되어 있는 엿 제조방법 KR1009824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9613A KR100982432B1 (ko) 2008-05-28 2008-05-28 딸기가 포함되어 있는 엿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9613A KR100982432B1 (ko) 2008-05-28 2008-05-28 딸기가 포함되어 있는 엿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3499A true KR20090123499A (ko) 2009-12-02
KR100982432B1 KR100982432B1 (ko) 2010-09-15

Family

ID=416857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9613A KR100982432B1 (ko) 2008-05-28 2008-05-28 딸기가 포함되어 있는 엿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243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0481B1 (ko) * 2009-03-19 2011-03-08 권영팔 한약재를 포함하는 조청의 제조방법
KR102204644B1 (ko) * 2020-03-06 2021-01-19 조현홍 잣엿 및 잣엿의 제조방법
KR102252278B1 (ko) * 2020-05-22 2021-05-17 농업회사법인 향토자원개발연구소주식회사 다공질 엿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다공질 엿
KR20220152617A (ko) * 2021-05-10 2022-11-17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다공질 귀리엿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다공질 귀리엿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4138B1 (ko) 2011-09-01 2013-11-01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딸기를 이용한 건과 제조방법
KR101329026B1 (ko) * 2012-02-17 2013-11-13 임실군 쌀눈엿의 제조방법
KR102542134B1 (ko) * 2022-03-17 2023-06-13 전미애 연잎 분말과 뽕잎 분말이 가미된 기능성 엿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1338B1 (ko) 2000-12-13 2003-10-10 산들식품주식회사 신규한 꿀딸기잼 및 그 제조방법
KR20020071086A (ko) * 2001-03-02 2002-09-12 정정숙 복분자 딸기를 함유한 잼, 음료 및 액상차 조성물
KR100455913B1 (ko) 2002-04-19 2004-11-16 재단법인 전라북도생물산업진흥원 복분자엿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452500B1 (ko) 2004-03-08 2004-10-12 손외권 복분자청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0481B1 (ko) * 2009-03-19 2011-03-08 권영팔 한약재를 포함하는 조청의 제조방법
KR102204644B1 (ko) * 2020-03-06 2021-01-19 조현홍 잣엿 및 잣엿의 제조방법
KR102252278B1 (ko) * 2020-05-22 2021-05-17 농업회사법인 향토자원개발연구소주식회사 다공질 엿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다공질 엿
KR20220152617A (ko) * 2021-05-10 2022-11-17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다공질 귀리엿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다공질 귀리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82432B1 (ko) 2010-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2432B1 (ko) 딸기가 포함되어 있는 엿 제조방법
KR101099634B1 (ko) 매실물갓김치의 제조방법
US20240023564A1 (en) Bread Containing Bamboo Leaf Extrac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101704881B1 (ko) 과일 및 채소즙을 이용한 뻥튀기쌀의 제조방법
CN104115957A (zh) 苦荞茶的制作方法
KR102120463B1 (ko) 비타민나무가 첨가된 칼국수 면발의 제조 방법
KR102120461B1 (ko) 비타민나무가 첨가된 냉면 면발의 제조 방법
KR100993953B1 (ko) 대추 크리스피 초코볼 제조 방법 및 이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대추 크리스피 초코볼
KR101421186B1 (ko) 사과조청을 이용한 한과의 제조방법
KR101230972B1 (ko) 매실 스프의 제조방법
KR101614142B1 (ko) 산방풍 앙금 및 이의 제조방법
CN108967836A (zh) 一种五谷红枣粉及其制备方法
KR101341966B1 (ko) 갈색 가바쌀 분말을 함유하는 기호성이 증대된 한과 및 그 제조방법
KR102106681B1 (ko) 파프리카 김 스낵의 제조방법
KR101402600B1 (ko) 즉석국수 제조방법
KR102145791B1 (ko) 송순을 함유하는 떡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송순을 함유하는 떡
KR101359590B1 (ko) 산양삼 고추장의 제조 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산양삼 고추장
KR101227372B1 (ko) 마를 이용한 국수 또는 수제비용 반죽조성물
KR20210061016A (ko) 약용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드레싱 소스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드레싱 소스 조성물
KR102252664B1 (ko) 인삼 및 황기가 첨가된 면발의 제조방법
KR102158999B1 (ko) 오디 순두부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오디 순두부
KR102158998B1 (ko) 오디 두부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오디 두부
KR101740548B1 (ko) 진공동결건조에 의해 형태가 유지되는 꿀코팅 반건조 오디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꿀코팅 반건조 오디
KR102310712B1 (ko) 인삼-목이버섯 피클
KR102577266B1 (ko) 울금을 이용한 발효차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