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0152B1 - 절지동물 해충, 달팽이 및 선충류를 퇴치하기 위한 살충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절지동물 해충, 달팽이 및 선충류를 퇴치하기 위한 살충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0152B1
KR101410152B1 KR1020087024674A KR20087024674A KR101410152B1 KR 101410152 B1 KR101410152 B1 KR 101410152B1 KR 1020087024674 A KR1020087024674 A KR 1020087024674A KR 20087024674 A KR20087024674 A KR 20087024674A KR 101410152 B1 KR101410152 B1 KR 1014101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composition
water
soil
superabsorbent poly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46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06340A (ko
Inventor
클로드 타랑타
토마스 보르크
볼프강 마이어
로날트 빌헬름
마티아스 브라츠
키스 에이. 홈즈
에릭 카제뉴브
핫산 올로우미-사데히
마크 코펠렛
Original Assignee
바스프 에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스프 에스이 filed Critical 바스프 에스이
Publication of KR200801063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63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01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015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12Powders or granules
    • A01N25/14Powders or granules wettabl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08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solids as carriers or diluents
    • A01N25/10Macromolecular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not being member of a ring and having no bond to a carbon or hydrogen atom, e.g. derivatives of carbonic acid
    • A01N47/0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not being member of a ring and having no bond to a carbon or hydrogen atom, e.g. derivatives of carbonic acid the carbon atom having no bond to a nitrogen atom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분 흡수성 과립상 물질 형태의 살충제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 절지동물 해충, 구체적으로 토양 서식 절지동물 해충, 및 선충류, 바람직하게는 토양 서식 곤충 해충을 퇴치하는데 사용하는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수분 흡수성 과립상 물질 형태의 살충제 조성물은, (i) 1종 이상의 유기 살충제 화합물, 특히 상기 토양 서식 절지동물 해충에 대하여 활성인 살충제 화합물 0.001 내지 10 중량%; (ii) 1종 이상의 과립상 초흡수성 중합체 80 내지 99.999 중량%; 및 (iii) 물을 함유하고, 이때 상기 중량%는 물을 제외한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한 것이며, 상기 성분 (i)과 (ii)는 물을 제외한 상기 조성물의 90 중량% 이상을 구성하고, 상기 수분 흡수성 과립상 물질은 초흡수성 중합체 과립들을 상기 1종 이상의 살충제 화합물을 함유하는 액상 수성 조성물로 처리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얻을 수 있다.
살충제 조성물, 절지동물 해충, 선충류, 초흡수성 중합체, 유기 살충제 화합물, 수분 흡수성 과립상 물질

Description

절지동물 해충, 달팽이 및 선충류를 퇴치하기 위한 살충제 조성물{PESTICIDE COMPOSITIONS FOR COMBATING ARTHROPOD PESTS, SNAILS AND NEMATODES}
본 발명은 절지동물 해충, 달팽이 및 선충류, 특히 토양에 서식하는 해충을퇴치하는데 적합한 수분 흡수성 과립상 물질 형태의 살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살충 유효량의 1종 이상의 살충제 조성물을 토양에 적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이와 같은 해충의 퇴치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토양에 서식하는 절지동물 해충 및 선충류를 비롯한 토양 서식 해충은 유효량의 적당한 살충제 화합물을 토양에 적용함으로써 퇴치하는 경우가 많다. 상기 살충제 화합물은 고체 또는 액체 조성물로서, 구체적으로 점토와 같은 비활성 담체를 포함하는 분말 또는 과립 제제로서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몇가지 단점을 갖는다. 예를 들면, 대부분의 토양에 적용된 살충제는 용출 가능성을 갖는다. 그러므로, 지면수와 지하수 오염을 모두 최소화하도록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 더욱이, 살충제의 효능은 주변 환경 조건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는데, 예를 들면 토양에서 화학물질이 성공적으로 작용하는데는 시기 적절한 강우가 필요하지만, 과도한 강우는 효능을 저하시키고 용출을 야기할 수 있다. 토양 서식 해충에 대하여 장기간 지속되는 효능을 얻기가 어렵다.
또한, 현재 사용되는 토양 서식 해충을 퇴치하기 위한 대부분의 방법들, 구체적으로 흰개미를 퇴치하는 방법들은 시간이 많이 걸리고 노동력의 집약을 요하므로 비용이 많이 든다. 흰개미를 퇴치하기 위한 표준화된 기법으로는 예컨대, 도랑파기(trenching), 관통(rodding) 또는 천공(drilling)을 들 수 있다. 도랑파기 작업은 지면 주위에 깊은 도랑을 파고, 다량의 액체 흰개미 살충제 조성물을 토양과 함께 도랑에 주입하는 작업을 필요로 한다. 관통 기법은 지면 주위의 도랑 바닥부에 관통봉을 삽입하는 것을 의미한다. 지면 주위에 가까운 장벽을 형성하도록 봉은 15-30 cm 이하로 떨어져 삽입해야 한다. 천공 기법은 지면을 뚫어서 지면 아래에 액체 흰개미 살충제를, 예를 들면 토양 주입 노즐을 사용해서 적용하는 작업을 필요로 한다.
WO 98/28937호는 건물을 곤충에 의해 유발되는 피해로부터 보호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으며, 이 방법에서는 유효량의 살충 활성 화합물, 바람직하게는 1-아릴피라졸 화합물을 불연속된 위치에서 건물 주위 또는 아래에 살포한다. 상기 활성 화합물은 통상적인 제제의 희석액으로서 적용되므로, 당해 방법은 전술한 바와 같은 단점을 나타낸다.
WO 89/12450호는 1종 이상의 고형 초흡수성 중합체 및 1종 이상의 살충제, 예컨대 제초제, 살진균제 또는 살충제를 포함하는 살충제용 전달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 전달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활성 성분의 방출 속도를 늦추기 위해서 다량의 첨가 물질, 예컨대 필름 형성제 또는 오일을 함유한다. 상기 조성물의 효능이 전적으로 만족할만한 것은 아니다. 상기 국제 특허 공개 공보에서는, 토양 서식 절지동물 해충을 퇴치하는 것과 관련된 문제점에 대해서는 전혀 언급하지 않고 있다.
DE 10124297호는 활성 성분의 식물독성을 갑소시키는 초흡수성 중합체를 포함함으로써 식물에 대한 영양 배지에 사용하는데 적합한 활성 성분 제제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제제는 초흡수성 중합체와 활성 성분을 물의 존재하에 혼련시킴으로써 제조된다. 상기 제제의 효능 또한 전적으로 만족할만한 것은 아니다. 상기 특허 공보에서는, 토양 서식 절지동물 해충 또는 선충류를 퇴치하는 것과 관련된 문제점에 대해서는 전혀 언급하지 않고 있다.
DE 10 157350호는 초흡수성 중합체와 활성 성분을 물의 존재하에 혼련시킴으로써 제조되는 초흡수성 중합체를 포함하는 활성 성분 제제를 개시하고 있다. 시험된 제제는 살진균제를 함유한다. 상기 조성물의 효능은 전적으로 만족할만한 것은 아니다. 상기 특허 공보에서는, 토양 서식 절지동물 해충을 퇴치하는 것과 관련된 문제점에 대해서는 전혀 언급하지 않고 있다.
WO 01/10212호는 활성 성분과 유중수 중합체 분산액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으며, 여기서 상기 유상은 수팽윤성 중합체를 함유한다. 상기 특허 공보에서는 토양 서식 절지동물 해충을 퇴치하는 것과 관련된 문제점에 대해서는 전혀 언급하지 않고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토양 서식 해충을 퇴치하는데 적합하고 기존의 기법들과 관련된 문제점들을 해결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적용하기가 용이한 것이어야 하고 토양 서식 해충에 대하여 장기간 지속되는 작용을 제공해야 한다. 또한, 주변 환경 조건이 살충제의 효능에 악영향을 미쳐서는 안된다.
본 발명에 의한 수분 흡수성 과립상 물질 형태의 살충제 조성물에 의해서 토양의 살충제 처리에 의해 토양 서식 해충을 퇴치하는 것과 관련된 문제점들이 해결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본 발명은 수분 흡수성 과립상 물질 형태의 살충제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절지동물 해충, 구체적으로 토양 서식 절지동물 해충, 달팽이 및 선충류, 특히 바람직하게는 토양 서식 해충을 방제하는데 사용하는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살충제 조성물은,
(i) 1종 이상의 유기 살충제 화합물, 구체적으로 상기 토양 서식 절지동물 해충에 대하여 활성인 살충제 화합물 0.001 내지 10 중량%;
(ii) 1종 이상의 과립상 초흡수성 중합체 80 내지 99.999 중량%; 및
(iii) 물
을 함유하고, 이때 상기 중량%는 물을 제외한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한 것이며, 상기 성분 (i)과 (ii)는 물을 제외한 상기 조성물의 90 중량% 이상을 구성하고, 상기 수분 흡수성 과립상 물질은 초흡수성 중합체 과립들을 상기 1종 이상의 살충제 화합물을 함유하는 액상 수성 조성물로 처리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얻을 수 있는 것인 수분 흡수성 과립상 물질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절지동물 해충과 선충류로부터 선택된 해충, 그 해충이 자라고 있거나 자랄 수 있는 이의 서식지, 산란지, 먹이 공급원, 식물, 종자, 토양, 지역, 재료 또는 환경, 또는 상기 해충에 의한 침해 또는 침입으로부터 보호하고자 하는 재료, 식물, 종자, 토양, 표면 또는 공간을 살충 유효량의 본원에서 정의한 1종 이상의 살충제 조성물과 접촉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상기 해충의 퇴치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살충 유효량의 본원에서 정의한 1종 이상의 살충제 조성물을 토양에 적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토양 서식 절지동물 해충 및 선충류 해충의 퇴치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토양 서식"이라는 용어는 해충 또는 기생충이 자라고 있거나 자랄 수 있는 서식지, 산란지, 지역 또는 환경이 토양임을 의미한다.
"유기 살충제 화합물"이라는 용어는 동물 해충, 구체적으로 절지동물 해충, 달팽이 및 선충류 해충을 퇴치하는데 적합한 유기 화합물을 의미한다.
"과립상 물질"이라는 용어는 상기 조성물이 과립 입자들의 형태를 갖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과립 입자는 1종 이상의 살충제 화합물을 함유한다.
본 발명의 방법은 종래의 해충 퇴치 방법, 구체적으로 토양 서식 절지동물 해충 및 선충 퇴치 방법들에 비해서 몇 가지 장점을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방법은 종래의 방법보다 소요되는 시간이 짧고, 해충 방제 효과를 제공하는데 필요한 살충제 화합물의 양이 더 적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토양 서식 해충 및 선충류에 대하여 오래 지속되는 작용을 제공하며, 주변 환경 조건이 살충제의 효능에 영향을 덜 미친다. 살충제의 용출 위험은 극소화되므로, 본 발명의 조성물에 의해 환경 오염의 위험, 특히 지면수 및 지하수 오염은 극소화된다.
본 발명에 의한 과립상 살충제 조성물은 1종 이상의 과립상 초흡수성 중합체를, 물을 제외한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85 내지 99.998 중량%, 구체적으로 90 내지 99.995 중량%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초흡수성 중합체는 고체이고 친수성을 갖는 잘 알려진 합성 미립자 유기 중합체이며, 물에 불용성이고 자체 중량의 수 배에 달하는 물 또는 수용액을 흡수할 수 있으므로, 함수 중합체 겔을 형성하지만, 건조시에는 다시 과립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 의한 초흡수성 중합체는 일반적으로 초흡수성 중합체 1 중량부당 100 중량부 이상의 물을 흡수할 수 있다(탈이온수, 25℃, pH 7.5, 1 바아). 초흡수성 중합체가 흡수할 수 있는 물 또는 수용액의 양은 흡수 용량 또는 최대 흡수량으로 언급되기도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초흡수성 중합체는 탈이온수(pH 7.5, 25℃, 1 바아)에 대하여 초흡수성 중합체 1 g당 150 g/g 이상, 예를 들면 150 내지 500 g/g, 구체적으로 200 내지 500 g/g, 더욱 바람직하게는 300 내지 500 g/g의 흡수 용량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초흡수성 중합체는 0.1 중량% 염화나트륨 수용액에 대하여 초흡수성 중합체 1 g당 100 g/g 이상, 구체적으로 100 내지 300 g/g의 흡수 용량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pH 7.5, 25℃, 1 바아). 최대 흡수량 또는 흡수 용량은 예를 들면 문헌 [F. L. Buchholz et al., "Modern Superabsorbent Polymer Technology", Wiley-VCH 1998, p. 153 (absorbent capacity method)] 또는 EP 993 337호의 실시예 6을 통해 알려진 통상의 방법에 의해서 측정할 수 있다.
바람직한 초흡수성 중합체 과립은 보통 정도의 팽윤 속도를 갖는 것들, 즉, 최대 흡수량의 60%에 도달하는데 필요한 시간이 10분 이상, 구체적으로 10 내지 100분인 초흡수체들이다. 이러한 값은 문헌 [F. L. Buchholz et al., 동문헌, p.154 (swelling kinetics methods)]에 설명된 바와 같은 표준 방법에 의해서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초흡수성 중합체는 비이온성 또는 이온성 가교 중합체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초흡수성 중합체는 가교된 음이온성 초흡수성 중합체로부터, 구체적으로 공유 결합으로 가교된 음이온성 초흡수성 중합체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당한 초흡수성 중합체에 관한 연구 자료가 문헌 [F. L. Buchholz et al., 동문헌, p.11-14]에 개시되어 있다.
가교된 음이온성 초흡수성 중합체는, 물에서 중화될 수 있는 음이온성 작용기 또는 산성기, 예를 들면 설폰산기(SO3H 또는 SO3 -), 포스포네이트기(PO3H2 또는 PO3 2-) 또는 카르복실레이트기(CO2H 또는 CO2 -)를 포함하는 가교된 중합체이다. 상기 중합체는 원칙적으로는 모노에틸렌계 불포화 산성 단량체와 가교 단량체를 임의로 그라프트화 염기의 존재하에, 그리고 임의로 1종 이상의 다른 중성 모노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들의 존재하에서 공중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바람직한 초흡수성 중합체에 있어서, 카르복실레이트기는 산성기의 80 몰% 이상, 구체적으로 95 몰% 이상을 구성한다.
적합한 산성 단량체로서는, 탄소 원자 수가 3 내지 8개인 모노에틸렌계 불포화 모노카르복실산 및 디카르복실산, 예를 들면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에타크릴산, α-클로로아크릴산, 크로톤산, 말레산, 말레산 무수물, 이타콘산, 시트라콘산, 메사콘산, 글루타콘산, 아코니틴산 및 푸마르산; 탄소 원자 수가 4 내지 10개, 바람직하게는 4 내지 6개인 모노에틸렌계 불포화 디카르복실산의 모노에스테르, 예를 들면 모노메틸 말레에이트 등의 말레산 모노에스테르; 모노에틸렌계 불포화 설폰산 및 포스폰산, 예를 들면 비닐설폰산, 알릴설폰산, 설포에틸 아크릴레이트, 설포에틸 메타크릴레이트, 설포프로필 아크릴레이트, 설포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2-히드록시-3-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설폰산, 2-히드록시-3-메타크릴옥시프로필설폰산, 스티렌설폰산, 2-아크릴아미도-2-메틸프로판설폰산, 비닐포스폰산 및 알릴포스폰산과 이들 산의 염, 특히 나트륨, 칼륨 및 암모늄 염을 들 수 있다. 상기 산성 단량체는 일반적으로 음이온성 초흡수성 중합체의 산성 형태를 기준으로 하여 초흡수성 중합체의 15 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20 중량% 이상, 예를 들면 15 내지 99.9 중량%, 구체적으로 20 내지 99.8 중량%를 구성한다.
중합된 산성 단량체가 하나 이상의 모노에틸렌계 불포화 카르복실산(CA) 또는 이의 염을 포함하는 가교된 음이온성 초흡수성 중합체가 바람직하다. 상기 모노에틸렌계 불포화 카르복실산(CA) 또는 이의 염은 중합된 산성 단량체의 총량의 80 몰% 이상, 구체적으로 95 몰% 이상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용한 가교 단량체로서는, 분자내에 2개 이상, 예를 들면, 2, 3, 4 또는 5개의 에틸렌계 불포화 이중 결합을 갖는 화합물들을 들 수 있다. 이러한 화합물들은 가교제 단량체로도 언급된다. 가교제 단량체의 예로서는, N,N'-메틸렌비스아크릴아미드,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각각 분자량이 106 내지 8500, 바람직하게는 400 내지 2000인 폴리에틸렌 글리콜로부터 유도됨),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타크릴레이트, 에틸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부탄디올 디아크릴레이트, 부탄디올 디메타크릴레이트, 헥산디올 디아크릴레이트, 헥산디올 디메타크릴레이트, 디에틸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디프로필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디프로필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트리프로필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트리프로필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알릴 메타크릴레이트, 에틸렌 옥사이드와 프로필렌 옥사이드의 블록 공중합체의 디아크릴레이트와 디메타크릴레이트, 디-, 트리-, 테트라- 또는 펜타-아크릴화 또는 -메타크릴화 다가 알코올, 예컨대 글리세롤, 트리메틸올프로판, 펜타에리트리톨 또는 디펜타에리트리톨, 모노에틸렌계 불포화 카르복실산과 에틸렌계 불포화 알코올, 예컨대 알릴 알코올, 시클로헥센올 및 디시클로펜틸 알코올의 에스테르, 예를 들면 알릴 아크릴레이트 및 알릴 메타크릴레이트, 또한 트리알릴 아민, 디알킬다일릴암모늄 할라이드, 예컨대 디메틸디알릴암모늄 클로라이드 및 디에틸디알릴암모늄 클로라이드, 테트라알릴에틸렌디아민, 디비닐벤젠, 디알릴 프탈레이트, 분자량이 106 내지 4000인 폴리에틸렌 글리콜의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비닐 에테르, 트리메틸올프로판 디알릴 에테르, 부탄디올 디비닐 에테르,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알릴 에테르, 에틸렌 글리콜 디글리시딜 에테르 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글리시딜 에테르 1몰과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알릴 에테르 또는 알릴 알코올 2몰의 반응 생성물, 및 디비닐에틸렌우레아를 들 수 있다. 가교제 단량체의 양은 일반적으로, 산성 형태의 초흡수성 중합체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05 내지 20 중량% 범위,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 중량% 범위, 특히 0.2 내지 5 중량% 범위이다.
적합한 그라프트화 염기는 천연 또는 합성 물질일 수 있다. 그 예로서는 올리고사카라이드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컨대 전분, 즉, 옥수수 전분, 감자 전분, 밀 전분, 쌀 전분, 타피오카 전분, 사탕수수 전분, 마니오카 전분, 콩 전분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천연 전분, 개질된 전분, 전분 분해 생성물, 예를 들면 산화 분해, 효소 분해 또는 가수 분해 전분, 덱스트린, 예를 들면 배소 덱스트린, 및 저분자량 올리고사카라이드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면 4 내지 8개의 고리 원자를 갖는 시클로덱스트린을 들 수 있다. 유용한 올리고사카라이드 및 폴리사카라이드의 다른 예로서는 셀룰로오스 및 전분과 셀룰로오스 유도체를 들 수 있다. 폴리비닐 알코올, N-비닐피롤리돈의 단독중합체와 공중합체, 폴리아민, 폴리아미드, 친수성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알킬렌 옥사이드, 구체적으로 폴리에틸렌 옥사이드와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를 그라프트화 염기로서 사용할 수 있다. 그라프트화 염기의 양은 산성 형태의 초흡수성 중합체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50 중량%에 이를 수 있으며, 예를 들면 1 내지 50 중량%이다.
초흡수성 중합체를 형성하는 단량체들은 중합성 기 또는 산성 기를 갖지 않는 중성 모노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를 더 함유할 수 있다. 모노에틸렌계 불포화 친수성 단량체, 즉, 25℃, 1 바아에서 80 g/l 이상의 수용해도를 갖는 단량체의 예로서는, 모노에틸렌계 불포화 모노카르복실산의 히드록시알킬 에스테르, 예를 들면 히드록시 아크릴레이트와 메타크릴레이트, 예컨대 히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 및 히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모노에틸렌계 불포화 모노카르복실산의 아미드, 예를 들면 아크릴아미드와 메타크릴아미드, 폴리에테르기를 가진 단량체,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글리콜의 비닐, 알릴 및 메트알릴 에테르 및 모노에틸렌계 불포화 모노카르복실산과 폴리에테르의 에스테르,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글리콜 아크릴레이트 및 폴리에틸렌글리콜 메타크릴레이트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상기 중성 단량체는 산성 형태의 초흡수성 중합체의 10 내지 84.9 중량%, 구체적으로 20 내지 79.9 중량%를 구성한다.
바람직한 음이온성 초흡수성 중합체는 보통 정도의 전하 밀도를 갖는다. 즉, 초흡수성 중합체내의 산성 기의 양은, 산성 형태의 초흡수성 중합체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초흡수성 중합체 100 g 당 0.1 내지 1.1 몰, 구체적으로 초흡수성 중합체 100 g 당 0.2 내지 1몰이다.
본 발명의 매우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상기 수분 흡수성 중합체는 1종 이상의 모노에틸렌계 불포화 카르복실산(CA) 또는 이의 염을 포함하는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M), 1종 이상의 모노에틸렌계 불포화 산의 아미드(단량체 AM), 및 중합된 형태의 가교 단량체로 이루어진 가교된 공중합체 또는 그라프트 공중합체이다.
적합한 모노에틸렌계 불포화 카르복실산(CA)는 탄소 원자 수가 3 내지 8개인 모노에틸렌계 불포화 모노카르복실산, 예를 들면 아크릴산 및 메타크릴산, 및 탄소 원자 수가 4 내지 8개인 모노에틸렌계 불포화 디카르복실산, 예를 들면 말레산, 푸마르산, 이타콘산 및 시트라콘산을 들 수 있다. 적합한 모노에틸렌계 불포화 카르복실산(CA)의 염으로서는, 알칼리 금속염과 암모늄염, 구체적으로 칼륨염 또는 나트륨염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한 모노에틸렌계 불포화 카르복실산(CA)으로서는 탄소 원자 수가 3 내지 8개인 모노카르복실산, 구체적으로 아크릴산 및 메타크릴산과 이의 염, 구체적으로 이의 알칼리 금속염, 더욱 바람직하게는 아크릴산의 알칼리 금속 염, 특히 아크릴산의 나트륨염과 칼륨염을 들 수 있다.
적합한 모노에틸렌계 불포화 산의 아미드는 탄소 원자 수가 3 내지 8개인 모노에틸렌계 불포화 모노카르복실산의 아미드, 특히 아크릴아미드 및 메타크릴아미드이다.
이러한 실시양태에서, 수분 흡수성 중합체는 공유 결합으로 가교된 공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수분 흡수성 중합체는 전술한 바와 같은 가교 단량체를 함유한다.
상기 카르복실산(CA)과 아미드(AM)은 상기 초흡수성 중합체를 형성하는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M)의 80 중량% 이상, 예를 들면 80 내지 99.95 중량%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90 중량% 이상, 예를 들면 90 내지 99.9 중량%를 구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러한 실시양태에서, 상기 가교 단량체는 일반적으로 단량체(M)의 0.05 내지 20 중량%, 구체적으로 0.1 내지 10 중량%를 구성할 것이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상기 단량체(M)는 아크릴산 또는 이의 염, 구체적으로 이의 알칼리 금속 염, 더욱 바람직하게는 아크릴산의 칼륨염과 아크릴아미드의 혼합물을, 단량체(M)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90 중량% 이상, 예를 들면 90 내지 99.9 중량%로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중합된 형태의 상기 초흡수성 중합체는,
- 1종 이상의 카르복실산(CA) 또는 이의 염, 바람직하게는 아크릴산 또는 이의 염, 구체적으로 이의 알칼리 금속염, 더욱 바람직하게는 아크릴산의 칼륨염 15 내지 89.9 중량%, 구체적으로 20 내지 79.8 중량%(산성 형태로 계산함);
- 1종 이상의 아미드(AM), 바람직하게는 탄소 원자 수가 3 내지 8개인 모노에틸렌계 불포화 모노카르복실산의 아미드, 구체적으로 아크릴아미드 10 내지 84.9 중량%, 구체적으로 20 내지 79.8 중량%; 및
- 1종 이상의 가교제 단량체 0.1 내지 10 중량%, 구체적으로 0.2 내지 5 중량%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중량%는 산성 형태의 초흡수성 중합체를 기준으로 한 것이며, 단량체 (AM)과 (CA)의 양은 초흡수성 중합체를 형성하는 단량체들의 90% 이상, 예를 들면 90 내지 99.9%를 구성한다.
이러한 유형의 적합한 초흡수성 중합체가 당분야에, 예를 들면 미국 특허 제 4,417,992호, 미국 특허 제 3,669,103호 및 WO 01/25493호를 통해서 알려져 있다. 또한, 이러한 초흡수성 중합체가 예컨대 프랑스 소재의 SNF SA로부터 상표명 아쿠아소브(Aquasorb?), 예를 들면 Aquasorb? 3005 KL, 3005 KM, 3005 L 및 3005 M으로 시판되고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매우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상기 수분 흡수성 중합체는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M)의 가교된 공중합체 또는 그라프트 공중합체로서, 이러한 공중합체는 1종 이상의 모노에틸렌계 불포화 카르복실산(CA), 바람직하게는 아크릴산 및 1종 이상의 모노에틸렌계 불포화 카르복실산(CA)의 알칼리 금속염, 바람직하게는 이의 칼륨염 또는 나트륨염, 더욱 바람직하게는 아크릴산의 칼륨염 또는 나트륨염의 혼합물을, 단량체(M)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80 중량% 이상, 예를 들면 80 내지 99.95 중량%, 바람직하게는 90 중량% 이상, 예를 들면 90 내지 99.9 중량%로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양태에서, 상기 수분 흡수성 중합체는 공유 결합으로 가교된 공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실시양태에서, 상기 가교 단량체는 일반적으로 단량체(M)의 0.05 내지 20 중량%, 구체적으로 0.1 내지 10 중량%를 구성할 것이다.
구체적으로, 중합된 형태의 상기 실시양태의 초흡수성 중합체는,
- 1종 이상의 카르복실산(CA), 바람직하게는 아크릴산 15 내지 89.9 중량%, 구체적으로 20 내지 79.8 중량%;
- 1종 이상의 카르복실산의 염, 구체적으로 카르복실산의 알칼리 금속 염, 더욱 바람직하게는 아크릴산의 칼륨 염 10 내지 84.9 중량%, 구체적으로 20 내지 79.8 중량%(산성 형태로 계산함); 및
- 1종 이상의 가교제 단량체 0.1 내지 10 중량%, 구체적으로 0.2 내지 5 중량%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중량%는 산성 형태의 초흡수성 중합체를 기준으로 한 것이며, 상기 카르복실산(CA)와 CA의 염의 양은 초흡수성 중합체를 형성하는 단량체들의 90% 이상, 예를 들면 90 내지 99.9%를 구성한다.
이러한 유형의 적합한 초흡수성 중합체가 예를 들면 바스프 아게 (BASF AG)로부터 상표명 루쿠아소브(Luquasorb?), 예를 들면 루쿠아소브 1280, 루쿠아소브 1060, 루쿠아소브 1160, 루쿠아소브 1061 및 하이소브(Hysorb?)로 시판되고 있다.
상기 초흡수성 중합체 과립들의 평균 입자 크기는 0.1 내지 5 mm,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5 mm, 구체적으로 0.5 내지 4 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평균 입자 크기는 현미경 분석 또는 체 분석에 의해서 측정할 수 있는 직경의 중량 평균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살충제 조성물을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초흡수성 중합체 과립들은 표면 가교된다(본 명세서에 참고 인용한 문헌 [F. L. Buchholz et al., 동문헌, p.97-103] 참조). 표면 가교된 중합체 과립들의 표면에서, 초흡수성 중합체 과립의 표면 영역내의 작용기중 일부는 다작용기 화합물과의 반응에 의해서 가교되어 있다. 표면 가교는 공유 결합 또는 이온 결합에 의한 가교일 수 있다.
표면 가교와는 별도로, 본 발명의 살충제 조성물을 제조하는데 사용된 초흡수성 중합체 과립들의 표면을 첨가제로 처리하여 오염을 감소시키고 및/또는 흐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데, 이러한 처리법의 예로는 입자상 실리카, 구체적으로 발연 실리카를 임의로 폴리올과 함께 사용하는 케이크형성 방지제에 의한 처리, 또는 4급 계면활성제에 의한 처리를 들 수 있다.
또한, 수분 흡수성 조성물은 절지동물 해충 및/또는 선충류에 대하여 활성인 1종 이상의 유기 살충제 화합물을 더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살충제 화합물은 분자량이 150 내지 1000 돌턴인 비중합체 유기 화합물이다. 적합한 살충제 화합물은 실온에서 고체 또는 액체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 화합물들은 실온에서 휘발성이 아니다. 즉, 298K에서 1 mbar 이하의 증기압, 구체적으로 0.1 mbar 이하의 증기압을 갖는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살충제 화합물은 토양 서식 절지동물 해충에 대하여 활성인 화합물로부터 선택된다. 당업자라면 그와 같은 화합물을 잘 알고 있을 것이며, 어떤 화합물이 특정한 표적 유기체에 대하여 활성을 나타내는지도 잘 알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할 수 있는 적합한 살충제 화합물의 예로서는 다음과 같은 화합물들을 들 수 있으나, 이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A.1. 유기 (티오)포스페이트: 아세페이트, 아자메티포스, 아진포스-에틸, 아진포스-메틸, 클로르에톡시포스, 클로르펜빈포스, 클로르메포스, 클로르피리포스, 클로르피리포스-메틸, 쿠마포스, 시아노포스, 데메톤-S-메틸, 다이자진온, 디클로르보스/DDVP, 디크로토포스, 디메토에이트, 디메틸빈포스, 디설포톤, EPN, 에티온, 에토프로포스, 팜퍼르, 펜아미포스, 페니트로티온, 페니티온, 플루피라조포스, 포스티아제이트, 헵테노포스, 이소옥사티온, 말라티온, 메카르밤, 메타미도포스, 메티다티온, 메빈포스, 모노크로토포스, 나레드, 오메토에이트, 옥시데메톤-메틸, 파라티온, 파라티온-메틸, 페노토에이트, 포레이트, 포살론, 포스메트, 포스파미돈, 폭심, 피리미포스-메틸, 프로페노포스, 프로페탐포스, 프로티오포스, 피라클로포스, 피리다펜티온, 퀴날포스, 설포텝, 테부피림포스, 테메포스, 테르부포스, 테트라클로르빈포스, 티오메톤, 트리아조포스, 트리클로르폰, 바미도티온;
A.2. 카르바메이트: 알디카르브, 알라니카르브, 벤디오카르브, 벤푸라카르브, 부토카르복심, 부톡시카르복심, 카르바릴, 카르보푸란, 카르보설판, 에티오펜카르브, 페노부카르브, 포르메타네이트, 푸라티오카르브, 이소프로카르브, 메티오카르브, 메토밀, 메톨카르브, 옥사밀, 프리미카르브, 프로폭서르, 티오디카르브, 티오파녹스, 트리메타카르브, XMC, 크실릴카르브, 트리아자메이트;
A.3. 피레트로이드: 아크리나트린, 알레트린, d-시스-트랜스 알레트린, d-트랜스 알레트린, 비펜트린, 비오알레트린, 비오알레트린 S-시클로펜테닐, 비오레스메트린, 시클로프로트린, 시플루트린, 베타-이플루트린, 사이할로트린, 람다-사이할로트린, 감마-사이할로트린, 사이퍼메트린, 알파-사이퍼메트린, 베타-사이퍼메트린, 세타-사이퍼메트린, 제타-사이퍼메트린, 사이페노트린, 델타메트린, 엠페트린, 에스펜발레레이트, 에토펜프록스, 펜프로파트린, 펜발레레이트, 플루시트리네이트, 플루메트린, 타우-플루발리네이트, 할펜프록스, 이미프로트린, 페르메트린, 페노트린, 프랄레트린, 레스메트린, RU 15525, 실라플루오펜, 테플루트린, 테트라메트린, 트랄로메트린, 트랜스플루트린, ZXI 8901;
A.4. 성장 조절제: a) 키틴 합성 억제제: 예를 들면 벤조일우레아: 클로르풀루아주론, 디플루벤주론, 플루시클록수론, 플루페녹수론, 헥사플루무론, 루페누론, 노발루론, 테플루벤주론, 트리플루무론; 부프로페진, 디오페놀란, 헥시타아족스, 에톡사졸, 클로펜타진; b) 엑디손 길항물질: 예를 들면 할로페노지드, 메톡시페노지드, 테부페노지드, 아자디라크틴; c) 주베노이드: 예: 피리프록시펜, 메토프렌, 페녹시카르브, 히드로프렌, 키노프렌; d) 지질 생합성 억제제: 예: 스피로디클로펜, 스피로메시펜 또는 스피로테트라매트;
A.5. 니코틴 수용체 작용물질/길항물질 화합물 (니코티노이드 살충제 또는 네오네코티노이드): 예: 벤설탑, 카르탑 염산염, 클로티아니딘, 디노테푸란, 이미다클로프리드, 티아메톡삼, 니텐피람, 스피노사드, 아세타미프리드, 티아클로프리드, 티오사이클람, 티오설탑 나트륨 및 AKD 1022;
A.6. GABA 길항물질 화합물: 예: 아세토프롤, 클로르단, 감마-HCH, 엔도설판, 에티프롤, 피프로닐, 바닐리프롤, 피라플루프롤, 피리프롤, 또는 하기 화학식 P2로 표시되는 페닐피라졸 화합물(5-아미노(3-아미노티오카르보닐)-1-(2,6-디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4-(트리플루오로메틸설피닐)-피라졸);
Figure 112008070409473-pct00001
A.7. 매크로시클릭 락톤 살충제(클로라이드 채널 활성화제): 아바멕틴, 에마멕틴, 에마멕틴 벤조에이트, 밀베멕틴, 레피멕틴, 스피노사드;
Figure 112008070409473-pct00002
A.8. 미토콘드리아 복합체 I 전자 전달 억제제(METI I 화합물): 예: 페나자퀸, 엔피록시메이트, 피리미디펜, 피리다벤, 테부펜피라드, 톨펜피라드, 플루페네림, 로테논;
A.9. 미토콘드리아 복합체 II 및/또는 복합체 III 전자 절달 억제제 (METI II 및 III 화합물): 예: 아세퀴노실, 플루아사이프림, 히드라메틸논;
A.10. 탈커플링제 화합물: 예: 클로르페나피르 또는 DNOC;
A.11. 산화성 포스포릴화 억제제 화합물: 아조시클로틴, 사이헥사틴, 디아펜티우론, 펜부타틴 옥사이드, 프로파르기트, 테트라디폰;
A.12. 탈피(moulting) 중단 화합물: 예: 사이로마진, 클로마페노지드, 할로게노지드, 메톡시페노지드, 테부테노지드;
A.13. 혼합 작용 옥시다제 억제제 화합물: 예: 피페로닐 부톡사이드, 트리부포스;
A.14. 나트륨 채널 차단제 화합물: 예: 인독사카르브, 메타플루미존;
A.15. 선택적 공급 차단제: 크릴로타이, 피메트로진, 피오니카미드;
A.16. 진드기 성장 억제제: 클로펜테진, 헥시티아족스, 에톡사졸;
A.17. 키틴 합성 억제제: 부프로페진, 비스트리플루론, 클로르풀루아주론, 디플루벤주론, 플루시클록수론, 플루페녹수론, 헥사플루무론, 루페누론, 노발루론, 노비플루무론, 테플루벤주론, 트리플루무론;
A.18. 지질 생합성 억제제: 스피로디클로펜, 스피로메시펜, 스피로테트라매트;
A.19. 옥타파민 작용 물질: 아미트라즈;
A.20. 리아노딘 수용체 조절제: 플루벤디아미드;
A.21. 기타: 알루미늄 포스파이트, 아미도플루메트, 벤클로티아즈, 벤즈옥시메이트, 비페나제이트, 보락스, 브로모프로필레이트, 시아나이드, 시에노피라펜, 시플루메토펜, 키노메티오네이트, 디코폴, 플루오로아세테이트, 포스핀, 피리드알릴, 피리플루퀴나존, 황, 토주석;
A.22. 하기 화학식 P5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Figure 112008070409473-pct00003
상기 식에서 X와 Y는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겐, 특히 염소 원자를 나타내고;
W는 할로겐 또는 C1-C2 할로알킬, 특히 트리플루오로메틸이며;
R1은 C1-C6-알킬, C2-C6-알케닐, C2-C6-알키닐, C1-C4-알콕시-C1-C4 알킬 또는 C3-C6-시클로알킬이고, 이들은 각각 1, 2, 3, 4 또는 5개의 할로겐 원자로 치환될 수 있으며; 특히 R1은 메틸 또는 에틸이고;
R2 및 R3은 C1-C6-알킬, 구체적으로 메틸이거나, 이들은 인접하는 탄소 원자와 함께 1, 2 또는 3개의 할로겐 원자를 함유할 수 있는 C3-C6-시클로알킬 부분, 구체적으로 시클로프로필 부분, 예를 들면 2,2-디클로로시클로프로필 및 2,2-디브로모시클로프로필을 형성할 수 있으며;
R4는 수소 원자 또는 C1-C6-알킬, 특히 수소, 메틸 또는 에틸을 나타낸다.
A.23. 하기 화학식 P6로 표시되는 안트라닐아미드 화합물:
Figure 112008070409473-pct00004
상기 식에서, A1은 CH3, Cl, Br, I이고; X는 C-H, C-Cl, C-F 또는 N이며; Y'는 F, Cl 또는 Br이고; Y"는 H, F, Cl 또는 CF3이며; B1은 수소 원자, Cl, Br, I 또는 CN이고; B2는 Cl, Br, CF3, OCH2CF3 또는 OCF2H이며; RB는 수소 원자, CH3 또는 CH(CH3)2이다. 구체적으로, A1은 CH3이고, B1은 CN이며, RB는 CH3이고, B2는 Br이며, X는 N이고, Y'는 Cl이며, Y"는 H인 화합물.
A.24. 말로노니트릴 화합물: CF3(CH2)2C(CN)2CH2(CF2)3CF2H, CF3(CH2)2C(CN)2CH2(CF2)5CF2H, CF3(CH2)2C(CN)2(CH2)2C(CF3)2F, CF3(CH2)2C(CN)2(CH2)2(CF2)3CF3, CF2H(CF2)3CH2C(CN)2CH2(CF2)3CF2H, CF3(CH2)2C(CN)2CH2(CF2)3CF3, CF3(CF2)2CH2C(CN)2CH2(CF2)3CF2H, CF3CF2CH2C(CN)2CH2(CF2)3CF2H, 2-(2,2,3,3,4,4,5,5-옥타플로오로펜틸)-2-(3,3,4,4,4-펜타플루오로부틸)말로노디니트릴, 및 CF2HCF2CF2CH2C(CN)2CH2CH2CF2CF3.
또한, 적합한 살충제 화합물로서는 미생물(미생물 억제제), 예를 들면 바실러스 투링기엔시스 (Bacillus thuringiensis) 아종 이스라엘렌시(Israelensi), 아종 아이자와이(Aizawai), 아종 쿠르스타키(kurstaki), 아종 테네브리오니스(Tenebrionis), 바실러스 스패리커스(Bacillus sphaericus) 및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ullus subtilis)를 들 수 있다.
적합한 살충제 화합물이 특히 문헌 ["The Pesticide Manual", 13th Edition, British Crop Protection Council (2003)]에 개시되어 있다. 화학식 P2로 표시되는 티아미드 및 이의 제조 방법이 WO 98/28279호에 개시되어 있다. 레피멕티온은 문헌 [Agro Project, PJB Publications Ltd, November 2004]에 개시되어 있다. 벤 클로티아즈 및 이의 제조 방법은 EP-A 454621호에 개시되어 있다. 메티다티온과 파라옥손 및 이들의 제조 방법이 문헌 [Farm Chemicals Handbook, Volume 88, Meister Publishing Company, 2001]에 개시되어 있다. 아세토프롤 및 이의 제조 방법이 WO 98/28277호에 개시되어 있다. 메타플루미존 및 이의 제조 방법이 EP-A 462 456호에 개시되어 있다. 플루피라조포스는 문헌 [Pesticide Science 54, 1988, p. 237-243] 및 미국 특허 제 4822779호에 개시되어 있다. 피라플루프롤 및 이의 제조 방법은 JP 2002193709호 및 WO 01/00614호에 개시되어 있다. 피리프롤 및 이의 제조 방법은 WO 98/45274호 및 미국 특허 제 6335357호에 개시되어 있다. 아미도플루메트 및 이의 제조 방법은 미국 특허 제 6221890호 및 JP 21010907호에 개시되어 있다. 플루페네림 및 이의 제조 방법은 WO 03/007717호 및 WO 03/007718호에 개시되어 있다. 시플루메토펜 및 이의 제조 방법은 WO 04/080180호에 개시되어 있다. 화학식 P6로 표시되는 안트라닐아미드 및 이의 제조 방법이 WO 01/70671호, WO 02/48137호, WO 03/24222호, WO 03/15518호, WO 04/67528호, WO 04/33468호 및 WO 05/118552호에 개시되어 있다. 말로디니트릴 화합물은 WO 05/063694호에 개시되어 있다.
토양 서식 절지동물 해충을 퇴치하는데 특히 유용한 살충제 화합물은 다음과 같은 군 중에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기 포스페이트, 구체적으로 클로르피리포스, 디아진온, 디설포톤, 포레이트, 피림포스-메틸 또는 테르부포스;
카르바메이트, 구체적으로 알라니카르브, 벤푸라카르브, 카르보설판, 푸라티 오카르브;
피레트로이드, 구체적으로 비펜트린 또는 테플루트린;
네오니코티노이드, 구체적으로 아세타미프리드, 클로티아니딘, 이미다클로프리드, 니텐피람, 티아클로프리드, 티아메톡삼 또는 디네토푸란;
GABA 길항물질 화합물, 구체적으로 에티프롤 또는 피프로닐;
메타플루미존, 클로르페나피르, 아바멕틴, 엔도설판, 스피노사드, 화학식 P5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이들의 혼합물.
전술한 살충제 화합물 중에서, 표적 유기체에 대하여 반발 활성을 갖지 않는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유사하게, 표적 유기체에 대하여 서서히 작용하는 독소를 제공하는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토양 서식 절지동물 해충을 퇴치하는데 특히 유용한 바람직한 살충제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피프로닐, 메타플루미존, 클로르페나피르 및 화학식 I로 표시되는 화합물, 구체적으로, X와 Y가 염소 원자이고, Z가 트리플루오로메틸이며, R1은 메틸 또는 에틸이고, R2와 R3은 메틸이거나, R2와 R3이 인접한 탄소 원자와 함께 2,2-디클로로시클로프로필 또는 2,2-디브로모시클로프로필을 형성하고, R4는 수소원자, 메틸 또는 에틸인 화학식 I의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매우 바람직한 실시양태는 피프로닐을 함유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양태는 메타플루미존을 함유하는 조성물에 관 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양태는 클로르페나피르를 함유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양태는 적어도 전술한 바와 같은 화학식 P5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물을 제외한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1종 이상의, 예컨대 1, 2 또는 3종의 살충제 화합물을 0.005 내지 8 중량%, 구체적으로 0.01 내지 5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 중량%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 1종 이상의 살충제 화합물을 초흡수성 중합체 과립에 흡수시킨다. 1종 이상의 살충제 화합물은 살충제 조성물의 과립에 불균일하게 분포되는 것으로 생각되며, 1종 이상의 살충제 화합물의 대부분, 바람직하게는 80 중량% 이상은 과립의 외부에, 특히 과립의 표면에 또는 과립 표면 가까이에 위치한다. 그러므로, 조성물의 과립들은 1종 이상의 살충제 화합물의 대부분을 함유하는 쉘 영역과 소량의 살충제 화합물만을 함유하거나 살충제 화합물을 전혀 함유하지 않는 코어 영역이 존재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살충제 화합물을 함유하는 과립들의 평균 입자 크기는 그것을 제조하는데 사용된 초흡수성 중합체 과립들의 크기와 유사하고, 일반적으로 0.1 내지 5 mm 범위,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5 mm 범위,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4 mm 범위일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살충제 조성물은 물을 포함한다. 물의 양은 광범위하게 변화할 수 있다. 살충제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건조 상태에서 토양에 적용되지만, 조성물의 활성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생물학적 강화 상태) 일정한 양의 물이 필요하다. 건조 상태라 함은, 살충제 조성물이 극소량의 물, 예를 들면 조성물내의 초흡수성 중합체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1 내지 15 중량%, 더욱 구체적으로 0.5 내지 10 중량%의 물을 함유하고, 과립들은 기계적으로 안정하며 장기간에 걸쳐 보관할 수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생물학적 강화 상태에서, 수분 흡수성 조성물은 조성물내의 초흡수성 중합체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일반적으로 5 중량% 이상, 대개는 10 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15 중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중량% 이상의 물을 함유하지만, 물의 양은 조성물내의 초흡수성 중합체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100 중량% 만큼, 또는 그 이상으로 높을 수도 있고, 그 상한치는 조성물내의 초흡수성 중합체의 팽윤 용량에 해당한다(예를 들면 조성물내의 초흡수성 중합체 중량의 150, 300 또는 500배 이하).
또한, 살충제 조성물은 배합조제(첨가제), 즉, 통상의 살충제 제제에 존재하는 화합물 또는 살충제 제제에 그 특성을 개질하고자 혼입된 화합물들을 포함할 수 있다. 배합조제의 양은 일반적으로 물을 제외한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10 중량% 또는 5 중량%를 넘지 않는다. 대개, 배합조제는 물을 제외한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01 내지 10 중량%, 구체적으로 0.1 내지 5 중량%의 범위의 양으로 존재한다.
적당한 배합조제(첨가제)로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을 들 수 있다:
a) 계면활성제, 예를 들면 분산제, 습윤제 및 유화제;
b) 유기 용매;
c) 소포제(항발포제);
d) 증점제;
e) 방부제;
f) 염료 또는 안료; 및
g) 중화제; 및
h) 유인제.
상기 계면활성제는 비이온성, 음이온성, 양이온성 또는 양쪽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액체 제제에 함유될 수 있는 적합한 계면활성제가 예컨대 문헌 ["McCutcheon's Detergents and Emulsifiers Annual", MC Publishing Corp., Ridgewood, NJ, USA 1981; H. Stache, "Tensid-Taschenbuch", 2nd ed., C. Hanser, Munich, Vienna, 1981; M. and J. Ash, "Encyclopedia of Surfactants", vol. I-III, Chemical Publishing Co., New York, NY, USA 1980-1981]에 개시되어 있다. 계면활성제의 양은 일반적으로 물을 제외한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1 중량% 미만일 것이다.
적합한 계면활성제로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을 들 수 있다:
a1)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예를 들면
- 알킬 설포네이트, 예컨대 라우릴 설포네이트 또는 이소트리데실 설포네이트;
- 알킬 설페이트, 구체적으로 지방 알콜 설페이트, 예컨대 라우릴 설페이트, 이소트리데실 설페이트, 세틸 설페이트, 스테아릴 설페이트;
- 아릴- 및 알킬아릴 설포네이트, 예컨대 나프틸 설포네이트, 디부틸나프틸 설포네이트, 도데실디페닐에테르 설포네이트, 큐밀 설포네이트, 노닐벤젠 설포네이트, 도데실벤젠 설포네이트;
- 지방산의 설포네이트 및 지방산 에스테르;
- 지방산의 설페이트 및 지방산 에스테르;
- 알콕시화 알칸올의 설페이트, 예컨대 에톡시화 라우릴 알코올의 설페이트;
- 알콕시화 알킬페놀의 설페이트;
- 알킬 포스페이트, C8-C16 알킬포스페이트;
- 디알킬포스페이트, C8-C16 디알킬포스페이트;
- 설포숙신산의 디알킬에스테르, 예컨대 디옥틸설포숙시네이트,
- 아실사르코시네이트,
- 지방산, 예컨대 스테아레이트,
- 아실 글루타메이트, 및
- 리그닌 설포네이트,
일반적으로 알칼리 금속 염, 알칼리 토금속 염 또는 암모늄 염 형태, 구체적으로 나트륨염, 칼륨염, 칼슘염 또는 암모늄 염 형태;
a2)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예를 들면
- 알콜시화 알칸올, 구체적으로 에톡시화 지방 알콜 및 에톡시화 옥소알코 올, 예컨대 에톡시화 라우릴 알코올, 에톡시화 이소트리데칸올, 에톡시화 세틸 알코올, 에톡시화 스테아릴 알코올, 및 이들의 에스테르, 예컨대 아세테이트,
- 알콕시화 알킬페놀, 예컨대 에톡시화 노닐페닐, 에톡시화 도데실페닐, 에톡시화 이소트리데실페놀 및 이들의 에스테르, 예컨대 아세테이트,
- 알킬글루코사이드 및 알킬 폴리글루코사이드,
- 공중합체, 구체적으로 에틸렌 옥사이드와 프로필렌 옥사이드의 블록 공중합체,
- 에톡시화 알킬글루코사이드 및 알킬 폴리글루코사이드,
- 에톡시화 지방 아민,
- 에톡시화 지방산,
- 부분 에스테르, 예컨대 지방산과 글리세린 또는 소르비탄의 모노-, 디- 및 트리에스테르, 예컨대 글리세린 모노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 모노올레에이트, 소르비탄 트리스테아레이트,
- 지방산과 글리세린 또는 소르비탄의 에톡시화 부분 에스테르, 예컨대 에톡시화 글리세린 모노스테아레이트,
- 식물성 오일 또는 동물성 지방의 에톡시화 생성물, 옥수수유 에톡실레이트, 피마자유 에톡실레이트, 우지유 에톡실레이트,
- 지방 아민, 지방 아미드 또는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의 에톡실레이트,
a3)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예를 들면
- 4급 암모늄 화합물, 구체적으로 알킬트리메틸암모늄염 및 디알킬디메틸암 모늄염, 예컨대 할라이드, 설페이트 및 알킬설페이트,
- 피리디늄염, 구체적으로 알킬피리디늄염, 예컨대 할라이드, 설페이트 및 C1-C4 알킬설페이트, 및
- 이미다졸리늄 염, 구체적으로 N,N'-디알킬이미다졸리늄염, 예컨대 할라이드, 설페이트 또는 메톡시설페이트.
계면활성제와 관련해서, 본 명세서에 사용한 "알킬"이라는 용어는 특별한 언급이 없는한, 4 내지 30개, 바람직하게는 6 내지 22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기, 예를 들면 n-헥실, 1-메틸페닐, n-헵틸, n-옥틸, 2-에틸헥실, n-노닐, n-데실, 1-메틸노닐, 2-프로필헵틸, n-도데실, 1-메틸도데실, n-트리데실, n-테트라데실, n-펜타데실, n-헥사데실, n-헵타데실, n-옥타데실, n-노나데실, n-아이코실 등을 의미한다. "알콕시화" 및 "알콕실레이트"라는 용어는 OH 작용기가 알킬렌 옥사이드, 구체적으로 C2-C4 알킬렌 옥사이드, 바람직하게는 에틸렌 옥사이드, 또는 에틸렌 옥사이드와 프로필렌 옥사이드의 혼합물과 반응하여 올리고알킬렌옥사이드기를 형성하였음을 의미한다. 마찬가지로, "에톡시화"라는 용어는 OH 작용기가 에틸렌 옥사이드와 반응하여 올리고에틸렌옥사이드 기를 형성하였음을 의미한다. 알콕시화(또는 에톡시화)도는 알킬렌 옥사이드(에틸렌 옥사이드) 반복 단위의 수 평균을 말하며, 일반적으로 1 내지 50 범위, 구체적으로 2 내지 30 범위일 것이다. 계면활성제의 양은 일반적으로 과립상 살충제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5 중량%를 넘지 않을 것이며,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001 내지 5 중량% 범위,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3 중량% 범위, 구체적으로 조성물에 존 재하는 살충제 화합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1 내지 100 중량%, 구체적으로 5 내지 50 중량% 범위일 수 있다.
유기 용매로서는 방향족 용매(예를 들면 솔베소(Solvesso) 제품, 크실렌), 파라핀(예컨대 미네랄 분획물), 알코올(예컨대 메탄올, 부탄올, 펜탄올, 벤질 알코올), 케톤(예컨대 시클로헥산온, 감마-부티로락톤), 피롤리돈(NMP, NOP), 아세테이트(글리콜 아세테이트 및 글리콜 디아세테이트), 글리콜, 예컨대 에틸렌 글리콜 및 프로필렌 글리콜, 설폭사이드, 예컨대 디메틸설폭사이드, 카르복실산의 디메틸아미드, 지방산 및 지방산 에스테르, 예컨대 지방산의 모노-, 디- 및 트리글리세라이드 및 메틸 에스테르를 들 수 있다. 용매의 양은 일반적으로 물을 제외한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5 중량%, 구체적으로 3 중량%를 넘지 않을 것이다.
적합한 소포제로서는 폴리실록산, 예컨대 폴리디메틸 실록산 및 왁스를 들 수 있다. 소포제의 양은 일반적으로, 물을 제외한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1 중량%를 넘지 않을 것이며, 소포제는 0.001 내지 1 중량% 범위, 구체적으로 0.001 내지 0.8 중량% 범위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적합한 증점제로서는, 무기 증점제, 예컨대 점토, 수화 마그네슘 실리케이트 및 유기 증점제, 예컨대 폴리사카라이드 검, 예컨대 크산탄 검, 구아르 검, 아라비아 검 및 셀룰로오스 유도체를 들 수 있다. 증점제의 양은 일반적으로 물을 제외한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1 중량%를 넘지 않을 것이며, 증점제는 0.001 내지 1 중량%, 구체적으로 0.001 내지 0.8 중량% 범위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제의 미생물에 의한 변질을 방지하는데 적합한 방부제로서는, 포름알데히드, p-히드록시벤조산의 알킬에스테르, 나트륨 벤조에이트, 2-브로모-2-니트로프로판-1,3-디올, o-페닐페놀, 티아졸린온, 예컨대 벤즈이소티아졸린온, 5-클로로-2-메틸-4-이소티아졸린온, 펜타클로로페놀, 2,4-디클로로벤질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방부제의 양은 일반적으로 물을 제외한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1 중량%를 넘지 않을 것이다.
적합한 안료 또는 염료로서는 피그먼트 블루 15:4, 피그먼트 블루 15:3, 피그먼트 블루 15:2, 피그먼트 블루 15:1, 피그먼트 블루 80, 피그먼트 옐로우 1, 피그먼트 옐로우 13, 피그먼트 레드 112, 피그먼트 레드 48:2, 피그먼트 레드 48:1, 피그먼트 레드 57:1, 피그먼트 레드 53:1, 피그먼트 오렌지 43, 피그먼트 오렌지 34, 피그먼트 오렌지 5, 피그먼트 그린 36, 피그먼트 그린 7, 피그먼트 화이트 6, 피그먼트 브라운 25, 베이직 바이올렛 10, 베이직 바이올렛 49, 애시드 레드 51, 애시드 레드 52, 애시드 레드 14, 애시드 블루 9, 애시드 옐로우 23, 베이직 레드 10, 베이직 레드 108을 들 수 있다. 염료 및/또는 안료의 양은 일반적으로 물을 제외한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1 중량%를 넘지 않을 것이며, 염료 또는 안료는 0.001 내지 1 중량%, 구체적으로 0.01 내지 0.5 중량% 범위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적합한 중화제로서는 완충제, 유기 및 무기 산과 염기, 구체적으로 유기 카르복실산, 예컨대 시트르산, 말레산, 피루브산, 글리콜산 등을 들 수 있다. 중화제의 양은 일반적으로 물을 제외한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2 중량%를 넘지 않을 것이며, 중화제는 0.01 내지 1 중량%, 구체적으로 0.1 내지 1 중량% 범위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적합한 유인제로서는 먹이 자극제 및 유사 및/또는 성 페로몬을 들 수 있다. 적당한 먹이 자극제는 예를 들면 동물성 단백질 및 식물성 단백질(육류, 어류 또는 혈액 먹이, 곤충 구성 부분, 귀뚜라미 분말, 난황), 동물 및/또는 식물에서 유래한 유지류, 또는 모노-, 올리고- 또는 폴리유기사카라이드, 구체적으로 수크로오스, 락토오스, 프럭토오스, 덱스트로오스, 글루코오스, 전분, 펙틴 또는 당밀 또는 꿀, 또는 황산암모늄, 탄산암모늄 또는 아세트산암모늄과 같은 염류로부터 선택된다. 과일, 작물, 식물, 동물, 곤충 또는 이들중 특정 부분의 신선하거나 변질된 부분이 먹이 자극제로서 작용할 수 있다. 페로몬은 보다 곤충 특이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정한 페로몬들이 문헌에 기재되어 당업자들에게 잘 알려져 있다. 이러한 유인제들은 초흡수성 중합체에 흡수되거나 초흡수성 중합체상에 흡착될 수 있다. 유인제의 양은 일반적으로 물을 제외한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10 중량%를 넘지 않을 것이며, 유인제는 0.0001 내지 10 중량%, 구체적으로 0.001 내지 1 중량% 범위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분 흡수성 살충제 조성물은, 초흡수성 중합체를 살충제 화합물의 수성 액상 조성물로, 구체적으로 통상의 살충제 제제의 수성 희석액으로 처리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서 제조된다. 이 방법에서, 초습수성 중합체 물질은 평균 입자 크기가 0.1 내지 5 mm, 구체적으로 0.2 내지 5 mm, 또는 0.5 내지 4 mm인 중합체 과립의 형태로 사용된다.
당업자에게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희석액이라는 용어는 제제를 희석제로, 구체적으로 물 또는 물과 유기 용매와의 혼합물로 희석시킴으로서 얻은 조성물을 말한다.
초흡수성 중합체 과립의 처리 방법은 고체 과립을 액상 물질로 처리하는 통상의 방법과 유사한 방법에 의해서 수행할 수 있다. 적합한 기법으로는, 1종 이상의 살충제 화합물과 수성 액상 담체를 함유하는 수성 액상 조성물을 초흡수성 중합체 과립에 분무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초흡수성 중합체 과립을 액상 수성 살충제 조성물로, 바람직하게는 유동화된 상태의 통상적인 살충제 제제의 수성 희석액으로 처리하는(유동층 기법) 것을 포함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믹서 또는 입자화기, 예컨대 드럼 입자화기, 팬 입자화기, 고전단 입자화기, 믹서 입자화기, 노타(Nauta) 믹서, 플로우쉐어(plowshare) 믹서, 패들 믹서 등에서 처리하는 방법도 적합하다.
초흡수성 중합체 과립들은 살충제 화합물로, 또는 살충제 화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로 처리될 때 팽윤된 상태로 존재하거나, 바람직하게는 건조 상태로 존재할 수 있다. 건조 상태라 함은 초흡수성 중합체 과립이 그 중량의 15% 이하의 물, 특히 10 중량% 미만의 물을 함유하는 상태를 의미한다. 초흡수성 중합체는 과립 형태, 특히 그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10 중량% 미만의 물을 함유하는 건조 과립 형태로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초흡수성 중합체 과립을 처리하는데 적합한 액체 조성물은 통상의 수성 액체 제제, 즉, 물 또는 물과 유기 용매의 혼합물일 수 있는 수성 액체 담체에 용해, 현 탁 또는 유화된 살충제 화합물을 함유하는 제제, 또는 반드시 수성 제제일 필요는 없는 통상의 제제의 수성 희석액을 포함한다. 수성 희석액을 제조하는데 적합한 통상의 제제는 액체 제제 및 고체 제제를 비롯한 임의의 통상의 제제를 포함하며, 이들은 일반적으로 살충제 화합물과 임의로 고체 또는 액체 담체를 함유한다. 수성 희석액을 제조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액체 제제의 예로서는, 용액, 용액 농축물(SL), 분산가능한 농축물(DC), 수성 및 비수성 현탁액(SC, FS, OD), 유화 가능한 농축물(EC), 수중유 에멀젼(EW), 유중수 에멀젼(EO), 마이크로에멀젼, 멀티에멀젼(multiple emulsion), 오일 강화 현탁액 농축물(OESC), 서스포 에멀젼(suspo-emulsion) 등을 들 수 있다. 수성 희석액을 제조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적합한 고체 제제의 예로서는 습윤가능한 분말(WP), 수 분산성 과립(WG) 및 수 분산성 정제(TB)를 들 수 있다. 통상의 제제중의 살충제 화합물의 농도는 통상의 제제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5 내지 80 중량%, 구체적으로 1 내지 60 중량%, 특히 5 내지 50 중량% 범위일 수 있다.
상기 초흡수성 중합체 과립은 1종 이상의 살충제 화합물을 함유하는 수성 액체 조성물로, 구체적으로 통상의 제제의 수성 희석액으로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초흡수성 중합체 과립에 적용되는 조성물은 수성 액체 조성물이며, 환언하면 액체 담체는 물 또는 물과 유기 용매의 혼합물이다. 바람직한 수성 액체 조성물에서, 물은 일반적으로 액체 담체의 총 부피를 기준으로 하여 50 부피% 이상, 바람직하게는 80 부피% 이상, 구체적으로 90 부피% 이상을 구성할 것이다. 구체적으로, 수성 액체 조성물은 수성 희석제로 희석된 조성물인 통상의 제제의 희석액이다. 수성 희석제는 물 또는 적어도 부피비 50:50의 물과 유기 용매와의 혼합물이다. 바람직한 수성 희석제에 있어서, 물은 수성 희석제의 총 부피를 기준으로 하여 적어도 60% v/v,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9% v/v를 구성할 것이다.
초흡수성 중합체를 처리하는데 적합한 수성 액체 조성물 중의 살충제 화합물의 농도는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01 내지 20 중량%, 구체적으로 0.1 내지 1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0 중량% 범위이다. 액체 담체의 적어도 일부를 초흡수성 중합체를 처리하는 동안에 또는 처리한 후에, 예를 들면 증발에 의해서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액체 담체와 1종 이상의 살충제 화합물 이외에도, 초흡수성 중합체에 도포되는 상기 액체 조성물은 전술한 바와 같은 통상의 첨가제(배합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들은 살충제 화합물의 제제에 통상 사용되는 것이며, 사용된 제제의 유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들은 일반적으로 초흡수성 중합체와 혼합된 후에 제거되지 않기 때문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전술한 바와 같은 1종 이상의 첨가제들을 함유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첨가제의 총량은 물을 제외한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10 중량%를 넘지 않을 것이며, 예를 들면 0.1 내지 10 중량% 범위이다.
초흡수성 중합체 과립을 액체 살충제 조성물로 처리하는 단계를 15 내지 90℃의 온도에서, 구체적으로 30 내지 80℃, 더욱 바람직하게는 35 내지 60℃의 온도에서 수행할 경우에 유리한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초흡수성 중합체 과립을 액체 제제로 처리하기 전에 상기 온도까지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초흡수성 중합체 과립을 분무 코팅 기법을 사용해서 처리하는 것이 유리한 것으로 밝혀졌다. 분무 코팅 방법에 있어서, 액체 살충제 조성물, 구체적으로 살충제 화합물의 수성 액체 조성물을 초흡수성 중합체 과립상에 분무하고, 액체 담체의 적어도 일부분을 증발에 의해서 제거한다. 이와 같이 하여 얻을 수 있는 수분 흡수성 살충제 조성물은 특히 유익한 특성을 가지므로, 전술한 분무 코팅 방법 뿐만 아니라 이들도 본 발명의 대상이 된다.
분무 코팅에 사용된 액체 제제의 점도는 10 mPa.s를 초과하지 않으며, 구체적으로 0.8 내지 5 mPa.s 범위, 더욱 바람직하게는 0.9 내지 2 mPa.s 범위(실온에서)이다.
분무 코팅은 원칙적으로 당업자에게 알려진 통상의 분무 건조, 분무 코팅 및 분무 입자화 기법에 의해 수행할 수 있다. 바람직한 기법은 유동층 분무 코팅 기법이다.
유동층 분무 코팅에 있어서는, 액체 살충제 조성물을, 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노즐을 통해서, 분무하는 동안에 유동 상태로 유지되는 초흡수성 중합체 과립에 분무한다. 유동 상태라 함은 기계적인 수단에 의해서, 또는 구체적으로 기체 스트림을 초흡수성 중합체 과립에 주입하여 상기 과립들을 상향 이동시켜 유동층 상태로 유지시킴으로써 초흡수성 중합체 과립의 겉보기 밀도가 감소된 상태를 의미한다.
적합한 유동층 방법은 1종 이상의 살충제의 액체 제제가 미세하게 분무되어 액적이 무작위적으로 유동 상태로 유지되는 초흡수성 중합체 과립들과 충돌한다는 원리에 따라서 작용한다. 액적의 크기는 초흡수성 중합체 과립의 입자 크기보다 작아야 하며, 일반적으로는 500 ㎛를 넘지 않는다. 액적의 크기는 노즐의 유형, 분무 조건, 즉, 액체 제제의 온도, 농도, 점도에 의해서 잘 알려진 방식으로 조절될 수 있다. 액체 살충제 제제의 액적은 중합체 과립의 입자 흐름과 병류로(하부 분무 코팅) 또는 측면으로부터 입자 흐름내로(접선 방향 분무 코팅)주입되며, 초흡수성 중합체 과립의 유동층상에 상부로부터 분무될 수도 있다(상부 분무 코팅).
초흡수성 중합체 과립의 유동 상태는, 초흡수성 중합체 과립내로 주입되어 과립들을 유동층 상태로 유지시키는 캐리어 가스에 의해서 달성된다. 적합한 캐리어 가스로서는 공기 및 비활성 기체, 예컨대 질소, 아르곤 및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하부로부터 분무 건조 장치내로 주입되는 것이 바람직한 상기 캐리어 가스 스트림은, 초흡수성 중합체 과립의 총량이 장치내에서 유동화되도록 선택되는 것이 유리하다. 유동층에 대한 기체 속도는 일반적으로 최저 유동화 속도(문헌 [Kunii and Levenspiel "Fluidization engineering" 1991]에 기재된 측정법)보다 높고, 초흡수성 중합체 과립의 최종 속도보다 낮으며, 최저 유동화 속도보다 10% 더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캐리어 가스 스트림은 액체 담체, 즉, 물 또는 유기 용매를 기화시키는 작용을 한다.
분무 코팅은 회분식으로 또는 연속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연속적이라 함은 새로운 초흡수성 중합체 과립들이 분무 코팅 장치내로 연속적으로 공급되어 처리된 초흡수성 중합체가 장치내의 모든 분무 영역을 통과한 후에 분무 코팅 장치로부터 연속적으로 회수됨을 의미한다.
유동층 기법을 이용하는 적합한 분무 코팅 장치로서는, 예컨대 유동층 또는 현탁층 코팅 장치 및 시드 드레싱(seed dressing) 및 제약 산업 분야에 잘 알려진 분출층(spouted bed) 코팅 장치를 들 수 있다. 유동층 기법을 이용하고 본 발명의 방법에 적합한 분무 코팅 방법 및 장치의 예로서는, 텔쉬그(telschig) 타입의 분무 믹서, 우르스터(Wurster) 방법 및 글래트-젤러(Glatt-Zeller) 방법을 들 수 있다. 슈기(Schuggi) 믹서, 터볼라이저(turbolizer) 또는 플로우쉐어 믹서도 적당하다.
상기 우르스터 및 글래트-젤러 방법은, 예컨대 문헌 ["Pharmazeutische Technologie, Georg Thieme Verlag, 2nd edition (1989), pages 412-413] 및 ["Arzneiformenlehre, Wissenschaftliche Verlagsbuchhandlung mbH, Stuttgart 1985, pages 130-132"]에 설명되어 있다. 또한, 상업적인 규모로서 특히 적합한 회분식 및 연속 유동층 방법은 문헌 [Drying Technology, 20(2), 419-447 (2002)]에 설명되어 있다. 텔쉬그 타입의 믹서는 예컨대 문헌 [Chemie-Technik, 22 (1993), Nr. 4, p. 98 ff]에 설명되어 있다. 이러한 방법들은 각각 살충제 제제로 초흡수성 중합체 과립을 처리하는데 유사한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분출층 기법은 유동층을 생성하는데 스크린 하단 대신에 단순한 슬롯(slot)을 사용하며, 유동화시키기 곤란한 물질에 특히 적합하다.
유동층 기법을 이용하는 적합한 분무 건조/분무 코팅 장치가 시판되고 있으며, 그 예로서는 MP-마이크로(MicroTM), MP-1 멀티-프로세서(Multi-ProcessorTM), 및 스트레아(Strea)-1TM 시리즈 유형의 실험용 장치, 및 프리시젼 코터(Precision CoaterTM) 및 멀티-프로세서 시리즈 유형의 생산용 장치(모두 스위스 소재의 GEA-에어로매틱 필더 아게에서 시판함); WST 및 WSG 시리즈 유형의 유동층 건조기 또는 입자화기, GPCG 시리즈 유형의 분말 코팅 입자화기, AGT 시리즈 유형의 연속 입자화 장치, GF 시리즈 유형의 연속 유동층 건조기, 멀티셀(MulticellTM) 시리즈의 반연속 유동층 건조기, 프로셀(ProcellTM) 시리즈의 분출층 코팅 장치(모두 글래트 매쉬넨 운트 아파라테보 아게에서 시판함)을 들 수 있다. 글래트-젤러 방법에 적합한 장치가 예를 들면 미국 특허 제 5,211,985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얻을 수 있는 수분 흡수성 살충제 조성물은 1종 이상의 살충제 화합물과 초흡수성 중합체, 물 및 임의로 액체 제제에 함유된 첨가제들을 함유한다. 이러한 구성 성분들의 상대적인 양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상기 살충제 화합물은 주로 과립의 표면상에 위치하지만, 과립 내부로 부분적으로 흡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수분 흡수성 살충제 조성물은 절지동물 해충, 구체적으로 곤충 및 연갑강(Malacostraca), 선충 및 달팽이를 퇴치하는데 적합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토양 서식 해충, 구체적으로 토양 서식 절지동물, 예컨대 곤충, 특히 나비목, 흰개미목, 딱정벌레목, 톡토기목, 쌍시류목, 집게벌레목, 벌목, 메뚜기목, 특히 여치아목의 곤충종, 및 연갑강, 구체적으로 등각목의 절지동 물종을 퇴치하는데 유용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토양 서식 해충의 전신 및/또는 비전신 방제에 적합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해충의 모든 발달 단계 또는 일부 발달 단계에 대하여 활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특히 토양 서식 해충의 비전신 방제에 적합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사용해서 방제할 수 있는 절지동물 종에 대한 예로서는 다음을 들 수 있다:
- 나비목, 예를 들면 밤나방(Agrotis ypsilon), 거세미나방(Agrotis segetum), 좀나방(Agrotis subterranea), 뒷흰날개밤나방(Peridroma saucia), 포충나방(Crambus spp.), 명나방(Diatraea grandiosella), 거세미나방(Feltia subterranea), 뒷흰날개밤나방(Peridroma saucia), 밤나방(Euxoa spp.) 및 감자나방(Phrthorimaea operculella);
- 딱정벌레목, 예를 들면 송장벌레(Agrilus sinuatus), 방아벌레(Agriotes lineatus), 방아벌레(Agriotes obscurus), 풍뎅이(Amphimallon solstitialis), 곡식쑤시기(Atomaria linearis), 풍뎅이(Ataenius spp.), 잠두콩바구미(Bruchus rufimanus), 칼렌드라(Calendra spp.), 거북잎벌레(Cassida nebulosa), 좀털다리벼룩잎벌레(Chaetocnema tibialis), 담배선충(Conoderus vespertinus), 잎벌레(Crioceris asparagi), 풍뎅이(Cyclocephala hirta), 바구미(Diabrotica longicornis), 뿌리선충(Diabrotica 12-punctata), 일벌레(Diabrotica barberi), 일벌레(Diabrotica virgifera), 방아벌레(Limonius spp), 방아벌레(Limonius californicus), 벼물바구미(Lissorhoptrus oryzophilus), 빗살방아벌레(Melanotus communis), 검정풍뎅이(Melolontha hippocastani), 왕풍뎅이(Melolontha melolontha), 남미바구미(Naupactus leucoloma), 바구미(Ortiorhynchus sulcatus), 딱정벌레(Otiorrhynchus ovatus), 잎벌레(Phyllotreta chrysocephala), 풍뎅이(Phyllophaga sp.), 녹색장발풍뎅이(Phyllopertha horticola), 등줄벼룩잎벌레(Phyllotreta nemorum), 벼룩잎벌레(Phyllotreta striolata), 왕바구미(Cosmopolites sardides) 및 왜콩풍뎅이(Popillia japonica);
- 흰개미목, 예를 들면 흰개미(Calotermes flavicollis), 대만흰개미(Coptotermes formosanus), 건재흰개미(Cryptotermes spp.), 흰개미(Heterotermes sp.), 흰개미(Kalotermes spp.), 흰개미(Leucotermes flavipes), 흰개미(Macrotermes spp.), 흰개미(Mastotermes spp.), 사탕수수흰개미(Microtermes spp.), 흰개미(Nasutitermes spp.), 습재흰개미(Neotermes spp.), 흰개미(Odontotermes spp.), 남부흰개미(Prorhinotermes spp.), 흰개미(Reticulitermes lucifugus), 지중해성 흰개미(Reticulitermes flavipes), 흰개미(Reticulitermes hesperus), 건재흰개미(Schedorhinotermes spp.), 및 흰개미(Termes natalensis);
- 톡토기목, 예를 들면 부르텔리아(Bourleteilla hortensis), 초록둥근톡토기(Sminthurus viridis) 및 보라톡토기(Hypogastrura amata);
- 쌍시류(파리), 예를 들면 흰날개파리(Bibio albipennis), 털파리(Bibio hortulanus), 검털파리(Bibio marci), 작은뿌리파리(Bradysia spp.), 고자리파리(Delia spp.), 나방파리(Psycoda spp.), 물가파리(Scatella stagnalis), 검정날 개버섯파리(Sciara sp.), 각다귀(Tipula oleracea), 및 유럽 각다귀(Tipula paludosa);
- 집게벌레목, 예를 들면 검정집게벌레(Chelisoches morio), 못뽑이집게벌레(Forficula auricularia), 및 큰집게벌레(Labidura riparia);
- 벌목(개미), 예를 들면 목수개미(Camponotus spp.), 꼬리치레개미(Crematogaster ashmeadi), 나무개미(Formica spp.), 털개미(Lasius emarginatus), 황색풀개미(Lesius brunneus), 고동털개미(Lasius niger), 아르헨티나개미(Linepithema humile), 짱구개미(Messor spp.), 애집개미(Monomorium pharaonis), 스미드개미(Paratrechina spp.), 흑개미(Pheidole spp.), 짱구개미(Pogonomyrmex spp.), 불개미(Solenopsis invicta), 작은불개미(Solenopsis molesta), 붉은불개미(Solenopsis xyloni), 검은불개미(Solenopsis richteri), 타피노마(Tapinoma sessile), 흰발납작자루개미(Technomyrmex albipes), 주름개미(Tetramorium caespitum), 및 쇠불개미(Wasmannia auropunktata);
- 메뚜기목, 여치(귀뚜라미), 예를 들면 땅강아지(Gryllotalpa spp.), 북부땅강아지(Neocurtilla hexadactyla), 및 땅강아지(Scapteriscus ssp).
본 발명의 조성물은 딱정벌레종 및 흰개미를 퇴치하는데 특히 유용하다.
본 발명의 살충제 조성물은 선충류를 퇴치하는 데에도 성공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사용해서 퇴치할 수 있는 선충류로서는 구체적으로 식물 기생 선충류, 예를 들면 근류선충병 선충류, 땅콩뿌리혹선충(Meloidogyne arenaria), 뿌리혹선충(Meloidogyne chitwoodi), 뿌리매듭선충(Meloidogyne exigua), 당근뿌리혹선충(Meloidogyne hapla), 고구마뿌리혹선충(Meloidogyne incognita), 자바니카뿌리혹선충(Meloidogyne javanica) 및 기타 멜로이도긴종; 시스트선충, 감자시스트선충(Globodera rostochiensis), 감자흰시스트선충(Globodera pallida), 담배시스트선충(Globodera tabacum) 및 기타 글로보데라종, 포낭선충(Heterodera avenae), 콩시스트선충(Heterodera glycines), 곡류시스트선충(Heterodera schachtii), 선인장시스트선충(Heterodera trifolii) 및 기타 헤테로데라종; 종자혹병 선충류, 씨알선충(Anguina funesta), 밀알선충(Anguina tritici) 및 기타 앙귀나종; 줄기 및 잎 선충류, 벼이삭선충(Aphelenchoides besseyi), 딸기잎선충(Aphelenchoides fragariae), 국화잎선충(Aphelenchoides ritzemabosi) 및 아펠렌코이데스종; 침선충류, 벨로놀레이머스 롱지코다터스(Belonolaimus longicaudatus) 및 기타 벨로놀레이머스종; 소나무선충류, 소나무재선충(Bursaphelenchus xylophilus) 및 기타 부르사펠렌처스종; 환선충류, 주름선충종 (Criconema species), 크리코네멜라종(Criconemella species), 가는주름선충종(Criconemoides species), 및 잔주름선충(Mesocriconema species); 줄기 및 구근 선충류, 감자썩이선충(Ditylenchus destructor), 마늘줄기선충(Ditylenchus dipsaci), 버섯선충(Ditylenchus myceliophagus) 및 기타 디틸렌처스종; 송곳잎 선충류, 돌리코도러스종(Dolichodorus species); 나선선충류, 고추나선선충(Helicotylenchus dihystera), 헬리코틸렌처스 멀티신터스(Helicotylenchus multicinctus) 및 기타 헬리코틸렌처스종, 완두나선선충(Rotylenchus robustus) 및 기타 로틸렌처스종; 껍질선충류, 헤미사이클리오포라종(Hemicycliophora species) 및 헤미클리코네모이데스종(Hemicriconemoides species); 허쉬마니엘라종(Hirshmanniella species); 까나리 선충류, 콜롬비아작살선충(Hoplolaimus columbus), 쑥부쟁이작살선충(Hoplolaimus galeatus) 및 기타 호플롤레이머스종; 유사 근선충병 선충류, 나코버스 아베란스(Nacobbus aberrans) 및 기타 나코버스종; 바늘선충류, 토마토반점선충(Longidorus elongates) 및 기타 롱기도러스종; 핀선충류, 파라틸렌처스종(Paratylenchus species); 병원성선충류(lesion nematodes), 뿌리썩이선충(Pratylenchus brachyurus), 커피뿌리썩이선충(Pratylenchus coffeae), 프라틸렌처스 커비타터스(Pratylenchus curvitatus), 프라틸렌처스 굿데이(Pratylenchus goodeyi), 프라틸렌처스 네글렉터스(Pratylencus neglectus), 프라틸렌처스 페네트랜스(Pratylenchus penetrans), 프라틸렌처스 스크립네리(Pratylenchus scribneri), 프라틸렌처스 벌너스(Pratylenchus vulnus), 프라틸렌처스 제아(Pratylenchus zeae) 및 기타 프라틸렌처스종; 라디나펠렌처스 코코필러스(Radinaphelenchus cocophilus) 및 기타 라디나펠렌처스종; 굴에 사는 선충류, 바나나뿌리썩이선충(Radopholus similis) 및 기타 라도폴러스종; 잠주선충류, 고구마선충(Rotylenchulus reniformis) 및 기타 로틸렌철러스종; 스쿠텔로네마종(Scutellonema species); 곤봉근 선충류, 트리코도러스 프리미티버스(Trichodorus primitivus) 및 기타 트리코도러스종; 파라트리코도러스 마이너(Paratrichodorus minor) 및 기타 파라트리코도러스종; 위축선충류, 미선나무 선충(Tylenchorhynchus claytoni), 목초위축선충(Tylenchorhynchus dubius) 및 기타 타일렌코르힌처스종 및 멜리니어스종(Merlinius species); 감귤선 충류, 감귤선충(Tylenchulus semipenetrans) 및 기타 타일렌처러스종; 창선충류, 지피네마 아메리카넘(Xiphinema americanum), 지피네마 인덱스(Xiphinema index), 지피네마 디베르시코데이텀(Xiphinema diversicaudatum) 및 기타 지피네마종(Xiphinema species); 및 기타 식물 기생 선충종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살충제 조성물은 병안목(stylommatophora)의 달팽이를 방제하는데에도 성공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토양 서식 해충은 일반적으로 표적 해충, 그것의 먹이, 또는 그 서식지와 살충 유효량의 본 발명의 살충제 조성물을 접촉시킴으로써 방제될 수 있다. "서식지"라 함은 해충 또는 기생충이 자라고 있거나 자랄 수 있는 거주지, 산란지, 지역, 재료 또는 환경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살충 유효량"이라 함은 성장에 미치는 관찰 가능한 효과, 예를 들면 괴사, 사멸, 퇴화, 예방, 및 제거, 파괴 또는 표적 유기체의 출현 빈도 및 활동도를 감소시키는 효과를 달성하는데 필요한 활성 성분의 양을 의미한다. 살충 유효량은 본 발명에 사용된 조성물의 유형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조성물의 살충 유효량은 유효한 조건, 예컨대 소정의 살충 효과 및 지속 기간, 표적 해충 종, 서식지, 처리 방식 등에 따라서 달라질 것이다.
본 발명의 수분 흡수성 살충제 조성물은 토양 서식 해충을 방제하는데 특히 유용하므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토양에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토양내로 주입되거나 지하에, 예를 들면 0.5 내지 50 cm 아래로 적용된다. 그러나, 살충제 조성물을 토양 상부에 적용할 수도 있다.
표적 해충을 효과적으로 방제하는데 필요한 살충제 화합물의 양은 해충 및 살충제 화합물의 유형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으며, 1 헥타아르당 살충제 화합물 0.1 g 내지 2000 g 범위, 바람직하게는 1 헥타아르당 살충제 화합물 1 g 내지 600 g 범위, 더욱 바람직하게는 1 헥타아르당 살충제 화합물 5 g 내지 500 g 범위일 수 있다. 원칙적으로, 상기 수분 흡수성 살충제 조성물은 표적 해충을 효과적으로 방제하는데 필요한 살충제 화합물의 양을 통상의 살충제 과립 제제와 비교하여 20% 이상, 구체적으로 40% 이상 감소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을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물의 존재가 필요하다. 조성물내의 초흡수성 중합체를 기준으로 하여 5 중량% 등 소량의 물로도 충분하지만, 물의 양이 조성물내의 초흡수성 중합체를 기준으로 하여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20 중량%, 구체적으로 50 중량%, 특히 100 중량%를 초과할 때 효능은 증가한다. 조성물내의 초흡수성 중합체의 팽윤 특성에 기인하여, 건조 조성물은 물을 첨가하거나 대기로부터 또는 토양으로부터 습기를 흡수함에 따라서 활성화될 수 있다. 조성물은 건조 상태에서, 임의로는 물을 첨가하여 활성화된 상태에서 토양에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는 토양 서식 절지동물 해충, 구체적으로 흰개미류에 의한 침해 또는 침입을 받기 쉬운 집, 별장, 간이차고, 공장 등과 같은 건물을 보호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살충제 조성물을 토양에 적용하여 토양 서식 해충에 의한 침해 또는 침입에 대하여 보호하고자 하는 건물을 완전히 둘러싸는 처리 영역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건물을 둘러싸는 처리 영역은 토양내로 좁은 도랑을 파고, 수분 흡수성 살충제 조성물을 도랑내로 주입하고, 임의로 물로 습윤시키고 도랑을 굴착토 등으로 보충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습윤 단계는 도랑을 보충한 후에 수행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굴착토를 수분 흡수성 살충제 조성물과 혼합한 후에, 그 혼합물을 임의로 습윤시키고 도랑내로 보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살충제 조성물을 토양 상부에 적용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조성물을 토양으로 덮는 것이 유리하다. 효과적으로 방제하는데 필요한 살충제의 양은 조성물내의 살충제 화합물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순수한 살충제 화합물로 계산했을 때 처리 영역 면적에 대하여 0.05 mg/m2 내지 100 mg/m2, 구체적으로 0.1 mg/m2 내지 50 mg/m2일 것이다. 또한,살충제 조성물을 토양에 적용하여 건물의 주변을 따라서 불연속된 처리 영역들을 형성할 수도 있다.
유사한 방식으로, 절지동물 토양 서식 해충, 구체적으로 흰개미 및/또는 개미에 의한 침입 또는 침해를 받기 쉬운 재료를 보호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재료로서는 목재, 예컨대 나무, 판재 울타리, 슬리퍼, 가구 등, 및 목조 건축물 뿐만 아니라 피혁, 섬유, 비닐 제품, 전선 및 케이블 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재료를 보호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살충제 조성물을 원목 제품, 예컨대 하층 콘크리트, 반침 기둥, 빔, 합판, 가구 등, 목재 제품, 예컨대 파티클 보드, 하프 보드 등, 및 비닐 제품, 예컨대 피복 전선, 비닐 시트, 열 절연재, 예컨대 스티렌 폼 등에 적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양태는 절지동물 토양 서식 해충의 침입 또는 침해를 받기 쉬운 재배 작물 산지의 보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실시양태에서는, 살충제 조성물을 토양 서식 해충의 침입 또는 침해에 대하여 보호하고자 하는 산지의 토양에 본 발명의 살충제 조성물을 혼입시킴으로써 효과적인 방제가 이루어진다. 흩어 뿌리거나 이랑 또는 띠 형태로 적용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조성물에 물을 첨가하여 조성물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조성물을 토양으로 덮는 것이 유리하다. 효과적인 방제를 달성하는데 필요한 살충제의 양은 살충제 조성물에 함유된 살충제 화합물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살충제의 양은 일반적으로 순수한 살충제 화합물로 계산했을 때, 0.5 내지 1000 g/ha, 구체적으로 1 내지 500 g/ha일 것이다. 이러한 실시양태는 옥수수 뿌리혹충(Diabrotica sp), 굼벵이(필로파가(Phyllophaga) 등), 선충(아그리오테스(Agriotes) 등) 및 흰개미를 효과적으로 방제하는데 특히 유용하다. 보호될 수 있는 작물로서는, 대두, 콩, 유채종자유, 감자, 곡물, 옥수수, 밀, 보리, 귀리, 사탕수수, 벼, 사탕무, 해바라기, 단수수, 잔디 및 마초, 완두, 야자유, 커피, 망고, 고무, 면, 꽃양배추 및 야채류, 예컨대 오이, 토마토, 양상추, 당근, 양파 및 십자화과를 들 수 있다.
작물 또는 인체에 피해를 주는 개미류를 방제하기 위해 적용하는 경우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개미집에 또는 그 주위에 직접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양태에서, 살충제 조성물은 해충에 대하여 종자를 보호하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방법에서, 종자 물질을 본 발명에 의한 과립상 살충제 조성물과 함께 토양에 적용한다. 과립상 살충제 조성물과 종자의 혼합물을 파종시에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종자 물질과 살충제 조성물을 별도로 적용 할 수도 있지만, 종자와 살충제 조성물이 모두 토양에 존재하여야 한다. 효과적인 보호를 달성하는데 필요한 살충제의 양은 살충제 조성물에 함유된 살충제 화합물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살충제의 양은 살충제 화합물로서 계산했을때, 조성물에 함유된 살충제 화합물의 양이 종자 100 kg당 0.1 g 내지 10 kg, 바람직하게는 종자 100 kg당 1 g 내지 5 kg이 되도록 선택될 것이다. 이러한 실시양태는, 종자를 효과적으로 방제하는데 특히 유용하며, 이런 식으로 보호될 수 있는 종자의 예로서는 대두, 콩, 유채종자유, 감자, 곡물, 옥수수, 밀, 보리, 귀리, 사탕숫, 벼, 사탕무 종자, 해바라기, 단수수, 잔디 및 마초, 완두, 면, 꽃양배추 및 야채류, 예컨대 오이, 토마토, 양상추, 당근, 양파 및 십자화과를 들 수 있다.
이하에서는 실시예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초흡수성 중합체 SAP1: 칼륨 아크릴레이트와 아크릴아미드의 가교 공중합체의 과립으로서, 탈이온수에 대한 수분 흡수 용량이 320 g/g이고 입자 크기는 0.85 내지 2 mm이다(프랑스, 앙드레제 소재의 SNF 플뢰르게(FLOERGER)에서 시판하는 아쿠아소브(Aquasorb) 3005 K2).
초흡수성 중합체 SAP2: 칼륨 아크릴레이트와 아크릴아미드의 가교 공중합체의 과립으로서, 탈이온수에 대한 수분 흡수 용량이 350 g/g이고 입자 크기는 0.3 내지 1 mm이다(프랑스, 앙드레제 소재의 SNF 플뢰르게에서 시판하는 아쿠아소브 3005 KM).
초흡수성 중합체 SAP3: 나트륨 아크릴레이트와 아크릴산의 가교 공중합체의 과립으로서 입자 크기는 0.1 내지 0.5 mm이다.
살충제 제제 P1: 피프로닐 20 중량%, 옥수수유 40 중량%, 계면활성제 13 중량%, 소포제 0.7 중량%, 살균제 0.2 중량% 및 100 중량% 까지의 물을 함유하는 피프로닐의 수성 현탁액 농축물.
살충제 제제 P2: 피프로닐 50 중량%, 프로필렌 글리콜 5 중량%, 계면활성제 6 중량%, 소포제 0.7 중량%, 적색 염료 1.0 중량%, 증점제 0.2 중량%, 살균제 0.2 중량% 및 100 중량%까지의 물을 함유하는 수성 현탁액 농축물.
살충제 제제 P3: 하기 화학식 P5a로 표시되는 화합물 20 중량%, 프로필렌 글리콜 5 중량%, 계면활성제 6.4 중량%, 소포제 0.5 중량%, 크산탄 검 0.2 중량%, 살균제 0.5 중량% 및 100 중량%까지의 물을 함유하는 하기 화학식 P5a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수성 현탁액 농축물.
Figure 112008070409473-pct00005
살충제 제제 P4: 피프로닐 5 중량%, 트리부틸 포스페이트 10.5 중량%, 디메틸 설폭사이드 2.5 중량%, N,N-디메틸옥탄 아미드 42.5 중량%, 계면활성제 20.0 중량% 및 100 중량% 까지의 물을 함유하는 피프로닐 마이크로에멀젼.
살충제 제제 P5: 피프로닐 25 중량%, 프로필렌 글리콜 5 중량%, 계면활성제 3.5 중량%, 소포제 0.6 중량%, 적색 염료 1.0 중량%, 증점제 0.3 중량%, 살균제 0.15 중량% 및 100 중량% 까지의 물을 함유하는 수성 현탁액 농축물.
살충제 제제 P6: 피프로닐 50 중량%, 프로필렌 글리콜 3 중량%, 계면활성제 4.3 중량%, 소포제 0.4 중량%, 증점제 0.25 중량%, 살균제 0.2 중량% 및 100 중량% 까지의 물을 함유하는 수성 현탁액 농축물.
실시예 1:
살충제 제제 P1을 동량의 시트르산 수용액 및 식품 착색 염료(FD & C 블루 1호, 바스프 아게)를 사용해서 피프로닐 함량이 3.4 중량%가 될 때까지 희석하였다. 수득한 희석액 중의 시트르산 농도는 6.7 중량%이었고, 염료 농도는 1.0 중량%이었다. 수득한 희석액의 점도는 1.05 mPa.s(25℃)였다.
함수량이 0.05 g/g 미만인 초흡수성 중합체 SAP1 295 g을 통상의 실험용 유동층 건조기(에어로매틱 필더(Aeromatic Fielder-스트레아-1(Strea-1TM)내로 주입하고 유동화시킨 후에 고온의 공기(70℃) 스트림에 의해서 40 내지 50℃로 가열하였다. 이어서, 희석된 살충제 제제를 40 내지 50℃에서 초흡수성 중합체에 약 300 ml/h로 분무하였다. 10분 경과후에 분무를 중단하고, 수득한 과립상 물질을 상기 온도에서 10분 동안 더 유동화시켰다. 이와 같이 하여 얻은 과립상 물질은 다음과 같은 조성을 가졌다.
피프로닐 1.0 중량부,
시트르산 2.0 중량부,
염료 0.3 중량부,
계면활성제 0.95 중량부,
소포제 0.04 중량부,
살균제 0.01 중량부,
옥수수유 2.0 중량부,
물 4.0 중량부, 및
초흡수성 중합체 SAP1 100 중량부까지.
실시예 2 내지 5:
살충제 제제 P2를 시트르산 수용액을 사용해서 피프로닐 함량이 0.05 중량%, 0.1 중량%, 0.2 중량% 및 0.42 중량%가 될때까지 희석하였다. 희석액 중의 시트르산 농도는 1.7 중량%이었다. 수득한 희석액의 점도는 1.05 mPa.s(25℃)이었다.
실시예 1과 유사하게, 희석액을 함수량이 0.05 g/g 미만인 초흡수성 중합체 SAP1에 분무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얻은 과립상 물질의 조성은 하기 표 1에 제시된 바와 같은 조성을 갖는다.
실시예 6
실시예 2 내지 5와 유사하게, 살충제 제제 P2를 시트르산 수용액을 사용해서 피프로닐 함량이 0.05 중량%가 될 때까지 희석하였다. 시트르산의 농도는 6.7 중량%이었고, 염료의 농도는 1.0 중량%이었다. 수득한 희석액의 점도는 1.05 mPa.s(25℃)이었다.
실시예 2 내지 5와 유사하게, 상기 희석액을 함수량이 0.05 g/g 미만인 초흡수성 중합체 SAP2에 분무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얻은 과립상 물질은 하기 표 1에 제시된 바와 같은 조성을 갖는다.
Figure 112008070409473-pct00006
실시예 7 내지 10
살충제 제제 P3을 동량의 시트르산 수용액과 안료(X-패스트 옐로우(X-Fast Yellow) 바스프 아게) 수용액을 사용해서 활성 성분 함량이 0.05 중량%, 0.10 중량%, 0.20 중량% 및 0.42 중량%가 될 때까지 희석하였다. 수득한 희석액 중의 시트르산 농도는 1.67 중량%이었고, 염료의 농도는 0.17 중량%이었다. 수득한 희석액의 점도는 1.05 mPa.s(25℃)이었다.
실시예 1과 유사하게, 상기 희석액을 함수량이 0.05 g/g 미만인 초흡수성 중합체 SAP1에 분무하였다. 이와 같이하여 얻은 과립상 물질은 하기 표 2에 제시된 바와 같은 조성을 갖는다.
Figure 112008070409473-pct00007
실시예 11
살충제 제제 P4를 시트르산 수용액을 사용해서 활성 성분 함량이 0.417 중량%가 될 때까지 희석하였다. 수득한 용액의 점도는 1.05 mPa.s(25℃)이었고, 시트르산의 농도는 1.67 중량%이었다.
실시예 1과 유사하게, 상기 용액을 함수량이 0.05 g/g 미만인 초흡수성 중합체 SAP1에 분무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얻은 과립상 물질은 다음과 같은 조성을 갖는다.
피프로닐 0.125 중량부
시트르산 0.5 중량부
트리부틸 포스페이트 0.326 중량부
디메틸 설폭사이드 0.063 중량부
계면활성제 1.533 중량부
소포제 0.025 중량부
물 1.0 중량부, 및
초흡수성 중합체 SAP1 96.43 중량부
실시예 12 내지 15
살충제 제제 P2 또는 P5의 수성 희석액을 초흡수성 중합체 SAP1 또는 SAP3에 분무함으로써 실시예 2 내지 5와 유사하게 실시예 12 내지 15의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얻은 과립상 물질은 하기 표 3에 제시된 바와 같은 조성을 갖는다.
Figure 112008070409473-pct00008
실시예 16 내지 18
살충제 제제 P2 또는 P5의 수성 희석액을 초흡수성 중합체 SAP1 또는 SPA3에 분무함으로써 실시예 2 내지 5와 유사하게 실시예 16 내지 18의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얻은 과립상 물질은 하기 표 4에 제시된 바와 같은 조성을 갖는다.
Figure 112008070409473-pct00009
생물학적 시험:
시험예 1: 이스턴 흰개미(eastern subterranean termite)의 방제
실시예 12 내지 18의 조성물이 이스턴 흰개미인 지중해성 흰개미를 방제하는 효능을 통상의 현탁액 농축물과 비교하기 위해 실험실에서 토양 노출을 통해 분석을 수행하였다.
생물학적 분석은 수분용으로 1% 한천층을 구비한 60X15 mm 페트리 접시에서 접시당 15마리의 흰개미의 일개미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과립상 제제를 손으로 흔들어주고 통상의 자아 롤러를 사용하여 혼합함으로써 프린스턴 모래 양토(Princeton sandy loam soil)에 혼입시켰다. 혼입시킨 후에, 물을 농포 수용량으로 첨가하고, 토양을 다시 회전 혼합하였다. 토양을 밤새 농포 수용량으로 방치하였다. 이어서, 토양을 24 시간 동안 기류 건조시킨 후에 시험 접시에 주입하였다. 통상의 피프로닐 현탁액 농축물을 표준 물질로서 사용하였으며, 미처리된 토양을 대조군으로서 사용하였다. 시험 접시는 약 26℃ 및 상대 습도 85%로 유지시켰다. 접시를 13일 동안 매일 흰개미의 치사율에 대하여 관찰하였다. 도랑에서의 활성 성분의 농도는 0.0004875%(w/w)이었다. 그 결과를 하기 표 5에 제시하였다.
Figure 112008070409473-pct00010
시험예 2 및 3: 이스턴 흰개미의 방제- 효능 및 반발성
페트리 접시 시험 방법: 조성물을 8 온즈 둥근 유리 코팩(Qorpak) 자아에서 피프로닐 활성 성분 0.0625%의 비율로 프린스턴 모래 양토 250 g에 혼입시켰다. 토양을 손으로, 그리고 시판되는 자아 롤러상에서 약 1 시간 동안 잘 혼합하였다. 물(17.5 ml= 농포 수용량)을 각 자아에 첨가하고, 토양을 다시 동일한 과정을 통해서 혼합하였다. 토양을 플라스틱 평량 보트에 넣고 밤새 건조시켰다. 생물학적 분석은 접시당 처리된 토양 2 g을 함유하는 60X15 mm 플라스틱 페트리 접시에서 수행하였다. 15마리의 흰개미의 일개미 (지중해성 흰개미)를 각 접시에 넣고 1 cm X 1cm 크기의 습윤 여과지 조각을 먹이 공급원으로서 사용하였다. 시험 결과를 치사율/근치사율 및 중독에 대하여 판독하였다. 각각의 처리 시험을 5회 반복하고 1 DAT 및 2 DAT에 계수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6에 제시하였다.
Figure 112008070409473-pct00011
터널 튜브 시험 방법: 조성물을 8 온즈 둥근 유리 코팩 자아에서 피프로닐 활성 성분 0.0625%의 비율로 프린스턴 모래 양토 250 g에 혼입시켰다. 토양을 손으로, 그리고 시판되는 자아 롤러상에서 약 1 시간 동안 잘 혼합하였다. 물(17.5 ml= 농포 수용량)을 각 자아에 첨가하고, 토양을 다시 동일한 과정을 통해서 혼합하였다. 토양을 플라스틱 평량 보트에 넣고 밤새 건조시켰다(2005년 11월 15일에 토양을 처리함). 생물학적 분석은 PVC 튜브에서 수행하였다. 분석 장치(튜브 하단으로부터 상단까지): 습기가 있는 세척된 목재 섬유 2 cm, 5% 한천 함유 충전재 1 cm, 처리된 프린스턴 모래 양토(토양 100 g에 대한 물의 농포 수용량) 5 cm, 5% 한천 함유 충전재 1cm. 30 마리의 흰개미의 일개미 (지중해성 흰개미)를 각 튜브 상단(한천 충전재 상단)에 넣었다. 1 및 2 DAT에는 치사율/근치사율에 대해서, 그리고 3 DAT에는 중독에 대해서 토양 컬럼내의 장벽투과 거리(cm)를 시험 평가하였다. 치사율의 평가는 파괴 표본 조사 방법을 사용해서 수행하였다. 각 처리 과정을 6회 반복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7 및 8에 제시하였다.
Figure 112008070409473-pct00012
Figure 112008070409473-pct00013
시험예 4: 이스턴 흰개미의 방제
시험예 4는 화합물 P5a를 함유하는 제제를 사용하여 시험예 1과 유사하게 수행하였다. 화합물 P5의 초흡수체 제제를 토양(프린스턴 모래 양토) 혼입을 통해서 이스턴 흰개미의 일개미 (지중해성 흰개미)에 대한 생물학적 활성에 대하여 화합물 P5의 DC 제제와 비교하였다.
Figure 112008070409473-pct00014

Claims (21)

  1. (i) 절지동물 해충에 대하여 활성인 1종 이상의 유기 살충제 화합물 0.001 내지 10 중량%;
    (ii) 1종 이상의 모노에틸렌계 불포화 카르복실산(CA)을 포함하는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M)의 가교된 공중합체인 1종 이상의 과립상 초흡수성 중합체 80 내지 99.999 중량%; 및
    (iii) 물
    을 함유하고, 이때 중량%는 물을 제외한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한 것이며, 성분 (i)과 (ii)는 물을 제외한 조성물의 90 중량% 이상을 구성하고, 수분 흡수성 과립상 물질은 초흡수성 중합체 과립들을 1종 이상의 유기 살충제 화합물을 함유하는 액상 수성 조성물로 유동층 분무 코팅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얻을 수 있는 것인, 수분 흡수성 과립상 물질의 형태의 살충제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단량체(M)가 1종 이상의 모노에틸렌계 불포화 카르복실산(CA) 또는 이의 염과 1종 이상의 모노에틸렌계 불포화 산의 아미드(AM)의 혼합물을 단량체(M)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90 중량% 이상 포함하는 것인 조성물.
  3. 제 2 항에 있어서, 단량체(M)가 아크릴산 또는 이의 알칼리 금속 염과 아크릴아미드의 혼합물을 단량체(M)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90 중량% 이상 포함하는 것인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초흡수성 중합체가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M)의 가교된 공중합체이고, 단량체(M)가 1종 이상의 모노에틸렌계 불포화 카르복실산(CA)와 1종 이상의 모노에틸렌계 불포화 카르복실산(CA)의 알칼리 금속 염의 혼합물을 단량체(M)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90 중량% 이상 포함하는 것인 조성물.
  5. 제 4 항에 있어서, 단량체(M)가 아크릴산과 아크릴산의 알칼리 금속 염의 혼합물을 단량체(M)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90 중량% 이상 포함하는 것인 조성물.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살충제 함유 물질의 과립들의 평균 입자 크기가 0.1 내지 5 mm 범위인 조성물.
  7.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1종 이상의 살충제 화합물이 성장 조절제; 니코티노이드계 살충제; 유기(티오)포스페이트; 카르바메이트; 피레트로이드; GABA 길항물질 화합물; 매크로시클릭 락톤계 살충제; 미토콘드리아 복합체 I 전자 전달 억제제; 미토콘드리아 복합체 III 전자 전달 억제제; 탈커플링제 화합물; 산화성 포스포릴화 억제제 화합물; 탈피 중단 화합물; 혼합 기능 옥시다제 억제제 화합물(상승제); 나트륨 채널 차단제 화합물; 선택적 공급 차단제; 진드기 성장 억제제; 키틴 합성 억제제; 지질 생합성 억제제; 옥타파민 작용 물질; 리아노딘 수용체 조절제; 하기 화학식 P5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이의 농경학적 허용 염; 하기 화학식 P6로 표시되는 안트라닐아미드 화합물; 알루미늄 포스파이트; 아미도플루메트; 벤클로티아즈; 벤즈옥시메이트; 비페나제이트; 보락스; 브로모프로필레이트; 시에노피라펜; 사이플루메토펜; 키노메티오네이트; 디클로폴; 플루오로아세테이트; 피리달릴; 피리플루퀴나존; 황; 토주석; 및 말로디니트릴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것인 조성물:
    <화학식 P5>
    Figure 112014025447102-pct00019
    (상기 식에서, X와 Y는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겐을 나타내고;
    W는 할로겐 또는 C1-C2 할로알킬이며;
    R1은 C1-C6-알킬, C2-C6-알케닐, C2-C6-알키닐, C1-C4-알콕시-C1-C4-알킬 또는 C3-C6-시클로알킬이고, 이들은 각각 1, 2, 3, 4 또는 5개의 할로겐 원자로 치환될 수 있으며;
    R2 및 R3은 C1-C6-알킬이거나, 이들은 인접하는 탄소 원자와 함께 1, 2 또는 3개의 할로겐 원자를 함유할 수 있는 C3-C6-시클로알킬 부분을 형성할 수 있으며;
    R4는 수소 원자 또는 C1-C6-알킬을 나타낸다);
    <화학식 P6>
    Figure 112014025447102-pct00020
    (상기 식에서, A1은 CH3, Cl, Br, I이고; X는 C-H, C-Cl, C-F 또는 N이며; Y'는 F, Cl 또는 Br이고; Y"는 H, F, Cl 또는 CF3이며; B1은 수소 원자, Cl, Br, I 또는 CN이고; B2는 Cl, Br, CF3, OCH2CF3 또는 OCF2H이며; RB는 수소 원자, CH3 또는 CH(CH3)2이다).
  8. 초흡수성 중합체 과립상에 1종 이상의 살충제 화합물을 함유하는 액상 수성 조성물을 유동층 분무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정의한 수분 흡수성 과립상 물질의 제조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액상 수성 조성물 중의 1종 이상의 살충제 화합물의 농도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001 내지 20 중량% 범위인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1종 이상의 살충제 화합물의 액상 수성 조성물이 중화제를 함유하는 것인 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1종 이상의 살충제 화합물의 액상 수성 조성물이 1종 이상의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것인 방법.
  12. 절지동물, 달팽이 및 선충류로부터 선택된 해충, 해충이 자라고 있거나 자랄 수 있는 이들의 서식지, 산란지, 먹이 공급원, 식물, 종자, 토양, 지역, 재료 또는 환경, 또는 상기 해충에 의한 침입 또는 침해로부터 보호하고자 하는 재료, 식물, 종자, 토양, 표면 또는 공간을 살충 유효량의 제 1 항에서 정의한 1종 이상의 살충제 조성물과 접촉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절지동물, 달팽이 및 선충류로부터 선택된 해충의 퇴치 방법.
  13. 살충 유효량의 제 1 항에서 정의한 1종 이상의 살충제 조성물을 토양에 적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토양 서식 절지동물 해충, 달팽이 및 선충류의 퇴치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토양 서식 해충이 흰개미목, 나비목, 딱정벌레목, 톡토기목, 쌍시류목, 집게벌레목, 벌목, 메뚜기목 및 등각목으로부터 선택된 곤충인 방법.
  15. 제 13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살충제 조성물을 토양 서식 해충의 침입 또는 침해에 대해 보호하고자 하는 건물 주위의 좁은 장소에 사용하는 방법.
  16.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살충제 조성물을 토앙 서식 해충의 침입 또는 침해로부터 보호하고자 하는 작물의 생산들판에 사용하는 방법.
  17.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살충제 조성물을 종자와 함께 사용하는 방법.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KR1020087024674A 2006-03-10 2007-03-09 절지동물 해충, 달팽이 및 선충류를 퇴치하기 위한 살충제 조성물 KR1014101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78100406P 2006-03-10 2006-03-10
US60/781,004 2006-03-10
PCT/EP2007/052244 WO2007104720A1 (en) 2006-03-10 2007-03-09 Pesticide compositions for combating arthropod pests, snails and nematod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6340A KR20080106340A (ko) 2008-12-04
KR101410152B1 true KR101410152B1 (ko) 2014-06-20

Family

ID=38068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4674A KR101410152B1 (ko) 2006-03-10 2007-03-09 절지동물 해충, 달팽이 및 선충류를 퇴치하기 위한 살충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9)

Country Link
US (1) US20090298902A1 (ko)
EP (1) EP2003980B1 (ko)
JP (2) JP2009529515A (ko)
KR (1) KR101410152B1 (ko)
CN (1) CN101420856A (ko)
AR (1) AR059814A1 (ko)
AU (1) AU2007224458B2 (ko)
BR (1) BRPI0708717B1 (ko)
CA (1) CA2645280C (ko)
EA (1) EA200801896A1 (ko)
ES (1) ES2698417T3 (ko)
IL (1) IL193720A0 (ko)
MA (1) MA30685B1 (ko)
MX (1) MX2008011469A (ko)
PE (1) PE20071282A1 (ko)
TW (1) TW200744447A (ko)
UA (1) UA86914C2 (ko)
WO (1) WO2007104720A1 (ko)
ZA (1) ZA20080856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00744447A (en) * 2006-03-10 2007-12-16 Basf Ag Pesticide compositions for combating arthropod pests, snails and nematodes
AR062844A1 (es) * 2006-09-14 2008-12-10 Basf Ag Composicion pesticida
EP2209503A2 (de) * 2007-09-25 2010-07-28 Basf Se Superabsorber mit virenhemmendem zusatzstoff
DE102008049742A1 (de) * 2008-09-30 2010-04-01 Basf Se Förderung des Wurzelwachstums von Pflanzen durch Superabsorber
DE102008049743A1 (de) * 2008-09-30 2010-04-01 Basf Se Förderung des oberirdischen Wachstums von Pflanzen durch Superabsorber
DE102008049745A1 (de) * 2008-09-30 2010-04-01 Basf Se Verringerung der Evapotranspiration von Pflanzen unter Wasserstress durch Superabsorber
CN102458126B (zh) 2009-04-28 2014-07-02 巴斯夫公司 可发泡农药组合物
MX2011011943A (es) * 2009-05-11 2011-11-29 Basf Se Polimeros para aumentar la movilidad de insecticidas poco solubles en el suelo.
EA201200375A1 (ru) 2009-08-28 2012-09-28 Басф Корпорейшн Вспениваемые пестицидные композиции и способы нанесения
KR20120114233A (ko) * 2009-10-27 2012-10-16 바스프 에스이 분출층 장치에서의 살충제 과립의 제조
KR101224900B1 (ko) * 2010-05-12 2013-01-22 주식회사 동부하이텍 모기유충구제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E102011004815A1 (de) * 2011-02-28 2012-08-30 Evonik Stockhausen Gmbh Haut- und Handreinigungsmittel enthaltend superabsorbierende Partikel
WO2013096479A1 (en) * 2011-12-19 2013-06-27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Anthranilic diamide/polymer propagule-coating compositions
EP2793581B1 (en) 2011-12-19 2016-03-02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Nanoparticles compositions containing polymers and anthranilic acid diamide insecticides for propagule coating
EP2802386B1 (fr) * 2012-01-09 2018-05-02 S.P.C.M. Sa Procédé permettant de stopper et/ou de prévenir la propagation des feux de tourbe
RU2543818C2 (ru) * 2013-06-25 2015-03-10 За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Экспериментально-производственный центр "Дезинфекционист" (ЗАО "ДДД") Инсектицидный состав "вуран-2"
US11254620B2 (en) * 2013-08-05 2022-02-22 Verdesian Life Sciences U.S., Llc Micronutrient-enhanced polymeric seed coatings
FR3055330B1 (fr) * 2016-08-30 2020-10-02 Oleon Nv Composition dissolvante stable a froid
US20200000082A1 (en) 2018-06-28 2020-01-02 Tony Gonzales Scorpion repel surface treatments and method for same
EP4307902A1 (en) * 2021-03-19 2024-01-24 Levente VÖRÖS Azadirachtin for seed dressing of field crops
CN115067313A (zh) * 2022-06-29 2022-09-20 广西壮族自治区农业科学院 一种土栖白蚁烟雾熏杀的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83390A (en) * 1987-04-01 1991-01-08 Lee County Mosquito Control District Terrestrial delivery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insect and habitat-associated pest populations in terrestrial environments
US5139774A (en) * 1987-12-17 1992-08-18 Roussel Uclaf Hydrophilic polymer granules for uniform release of active principle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62201A (en) * 1980-09-30 1982-04-15 Sumitomo Chem Co Ltd Bait composition for controlling insect rest
JPS63132802A (ja) * 1986-11-21 1988-06-04 Shinto Paint Co Ltd シロアリ防除施工方法
US4818534A (en) * 1987-04-01 1989-04-04 Lee County Mosquito Control District Insecticidal delivery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a population of insects in an aquatic environment
US4985251A (en) * 1987-04-01 1991-01-15 Lee County Mosquito Control District Flowable insecticidal delivery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insect populations in an aquatic environment
US5211985A (en) * 1991-10-09 1993-05-18 Ici Canada, Inc. Multi-stage process for continuous coating of fertilizer particles
EP0845211B1 (en) * 1996-11-29 2003-10-01 Bayer CropScience S.A. Protection of buildings against termites by 1-Arylpyrazoles
JP2000186003A (ja) * 1997-08-22 2000-07-04 Chisso Corp 被覆用農薬粒子とこれを用いた被覆農薬粒剤及びその混合物、及び被覆農薬粒剤を用いた農作物の栽培方法
JP4086355B2 (ja) * 1997-02-18 2008-05-14 アース製薬株式会社 アリ用ベイト剤
US6048908A (en) * 1997-06-27 2000-04-11 Biopore Corporation Hydrophilic polymeric material
FR2781336B1 (fr) * 1998-07-21 2002-01-04 Georges Maindron Produit pour detruire les termites, son procede de fabrication et son procede d'implantation
JP2000063205A (ja) * 1998-08-19 2000-02-29 Chisso Corp 被覆農薬粒剤用農薬粒子、被覆農薬粒剤とその製造方法、及び被覆農薬粒剤を用いた農作物の栽培方法
US6559175B1 (en) * 1998-09-18 2003-05-06 Bayer Cropscience Inc. Method of insect control
DE10124297A1 (de) * 2001-05-23 2002-12-05 Stockhausen Chem Fab Gmbh Zasammensetzung aus Wasserabsorbierenden Polymer und Wirkstoff
JP2003001090A (ja) * 2001-06-22 2003-01-07 Pauretsuku:Kk 流動層装置
DE60330122D1 (de) * 2002-03-13 2009-12-31 Firmenich & Ci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gelzusammensetzungen für abgabevorrichtungen
JP2004122057A (ja) * 2002-10-04 2004-04-22 Pauretsuku:Kk 流動層装置
US6800712B2 (en) * 2002-10-07 2004-10-05 Steven William Doane Starch graft copolymers and method of making and using starch graft copolymers for agriculture
JP2004217646A (ja) * 2002-12-26 2004-08-05 Ishihara Sangyo Kaisha Ltd シロアリ防除剤及びシロアリの防除方法
JP2005058221A (ja) * 2003-07-31 2005-03-10 Showa Denko Kk 種子コーティング用組成物、コーティング種子およびコーティング方法
CN1829435A (zh) * 2003-07-31 2006-09-06 昭和电工株式会社 种子包衣组合物、包衣的种子和包衣方法
JP2005060272A (ja) * 2003-08-08 2005-03-10 Yoshiaki Matsumoto 害動物忌避剤
TW200744447A (en) * 2006-03-10 2007-12-16 Basf Ag Pesticide compositions for combating arthropod pests, snails and nematod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83390A (en) * 1987-04-01 1991-01-08 Lee County Mosquito Control District Terrestrial delivery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insect and habitat-associated pest populations in terrestrial environments
US5139774A (en) * 1987-12-17 1992-08-18 Roussel Uclaf Hydrophilic polymer granules for uniform release of active princip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7224458A1 (en) 2007-09-20
ZA200808566B (en) 2014-12-23
UA86914C2 (ru) 2009-05-25
CA2645280C (en) 2014-05-13
CN101420856A (zh) 2009-04-29
JP2009529515A (ja) 2009-08-20
IL193720A0 (en) 2009-05-04
KR20080106340A (ko) 2008-12-04
CA2645280A1 (en) 2007-09-20
MA30685B1 (fr) 2009-09-01
MX2008011469A (es) 2008-09-24
BRPI0708717B1 (pt) 2016-07-19
AU2007224458B2 (en) 2013-10-17
EP2003980B1 (en) 2018-08-22
EP2003980A1 (en) 2008-12-24
WO2007104720A1 (en) 2007-09-20
EA200801896A1 (ru) 2009-04-28
JP2013067648A (ja) 2013-04-18
ES2698417T3 (es) 2019-02-04
BRPI0708717A2 (pt) 2011-06-07
TW200744447A (en) 2007-12-16
US20090298902A1 (en) 2009-12-03
JP5902080B2 (ja) 2016-04-13
AR059814A1 (es) 2008-04-30
PE20071282A1 (es) 2008-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0152B1 (ko) 절지동물 해충, 달팽이 및 선충류를 퇴치하기 위한 살충제 조성물
JP5525260B2 (ja) 殺虫剤組成物
JP5670328B2 (ja) イソオキサゾリン化合物iiを含む殺有害生物剤混合物
JP5948320B2 (ja) 殺有害生物混合物
JP4956552B2 (ja) 有機農薬化合物の水希釈性液状濃厚製剤を調製するための溶媒混合物
JP2010517977A (ja) 殺害虫剤混合物
KR101472602B1 (ko) 피프로닐의 결정질 변형물
PT2184993E (pt) Microemulsões aquosas contendo compostos inseticidas orgânicos
JP2011503138A (ja) シアノスルホキシミン化合物を含む農薬混合物
CA2695417A1 (en) Seed treatment compositions and methods
JP2009504601A (ja) 農薬混合物
JP2009534352A (ja) 殺虫剤混合物
KR20090081423A (ko) 피프로닐의 결정질 변형물
KR101467000B1 (ko) N-페닐세미카르바존 살충 화합물을 함유하는 액체 살충 조성물
WO2015028034A1 (en) Combination of 2,3,5,6-tetrafluoro-4-methylbenzyl (z)-(1 r)-cis-3-(2-chloro-3,3,3-trifluoro-1 -propenyl)-2,2-dimethylcyclopropanecarboxylate with at least one insecticide, acaricide, nematicide and/or fungicide.
WO2019156246A1 (ja) 有害生物防除用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