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7723B1 - 액셀페달 오동작 해소장치 - Google Patents

액셀페달 오동작 해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7723B1
KR101397723B1 KR1020137034005A KR20137034005A KR101397723B1 KR 101397723 B1 KR101397723 B1 KR 101397723B1 KR 1020137034005 A KR1020137034005 A KR 1020137034005A KR 20137034005 A KR20137034005 A KR 20137034005A KR 101397723 B1 KR101397723 B1 KR 1013977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al
pin
accelerator pedal
accelerator
transduc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340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14291A (ko
Inventor
헤이지 미나미
Original Assignee
헤이지 미나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헤이지 미나미 filed Critical 헤이지 미나미
Publication of KR201400142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42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77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77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3/00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two or more controlling members and also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6/00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6/02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or element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30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 G05G1/305Compound pedal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30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 G05G1/36Mounting units comprising an assembly of two or more pedals, e.g. for facilitating mounting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30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 G05G1/44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pivoting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30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 G05G1/46Means, e.g. links, for connecting the pedal to the controlled uni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0Control lever and linkage systems
    • Y10T74/20012Multiple controlled elements
    • Y10T74/20189Foot operat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0Control lever and linkage systems
    • Y10T74/20207Multiple controlling elements for single controlled element
    • Y10T74/20238Interlock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0Control lever and linkage systems
    • Y10T74/20528Foot oper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 Auxiliary Drives, Propulsion Controls, And Safety Devices (AREA)
  • Control Of Throttle Valves Provided In The Intake System Or In The Exhaust System (AREA)

Abstract

액셀 페달 밟기만으로 제동할 수 있어 확실하게 브레이크제어를 할 수 있다.
액셀 페달 오동작해소장치(1)는 브레이크아암(4)에 고정되는 지주(14)의 걸이핀(13)에 페달력 변환기(15)를 걸고 요동핀(6)으로 제1 직립부재(10)를 액셀핀(16)으로 제2 직립부재(17)를 지지한다. 페달력 변환기(15)는 가이드부재(18)를 이동가능하게 지지하고 일단부를 섀시에 맞닿게 한다. 변환기(20)는 상부에 걸이핀(13)을 수용하고 하부돌출부(20c)에 핀(15e) 및 잠금쇠(21)를 갖는다. 잠금쇠(21)는 가이드부재(18)의 홈(18a)과 연결 또는 분리한다. 가이드부재(18)와 잠금쇠(21)가 결합될 때 브레이크아암(4)의 이동을 억제하여 분리할 때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액셀 페달(5)을 밟는 도중까지는 제1 직립부재(10)와 제2 직립부재(17)는 동기하여 회전한다.

Description

액셀페달 오동작 해소장치{ACCELERATOR PEDAL OPERATION ERROR RESOLUTION DEVICE}
본 발명은 자동차운전시 조작 실수로 브레이크와 액셀페달을 잘못 밟아도 사고가 일어나지 않도록 액셀페달에 브레이크 기능을 갖춘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액셀페달만으로 운전조작이 가능하여 오동작으로 인한 사고를 해소하는 액셀페달 오동작해소장치에 관한다.
자동차에 있어서, 액셀러레이터 페달과 브레이크 페달을 서로 번갈아 밟아가며 운전조작을 하게 되는데, 이를 잘못 밟으면 중대한 사고가 되기 때문에 잘못 밟지않도록 운전하는 것이 꼭 필요하다. 이하, 설명의 편의상 액셀러레이터를 약칭하여 "액셀"이라고도 한다(예; 액셀 페달, 액셀핀 등)
그러나 오동작으로 인해 액셀 페달을 밟으면 당황하여 액셀 페달을 더 밟는 경우가 있어서, 이와 같은 오동작을 해소하기 위한 액셀 페달 오동작 해소장치가 다양하게 제안되어왔다. 종래의 액셀 페달 오동작해소장치로는, 예컨대 특허문헌 1에 기재한 바와 같은 구조가 있다.
특허문헌 1: 특허공개 평5-185862호 공보 (제4~5항, 도 1~2)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액셀 페달 오동작해소장치는 액셀 페달을 구비한 액셀 로드 앞쪽에 액셀 와이어를 연결한 와이어 작동판과 연계하거나 연계가 해제된 액셀 연계기구를 구비한 페달력 전달부재를 갖추고 동시에, 일단부에 브레이크 페달을 고정하고 타단부를 주축에 설치하여 회동(回動)운동에 의해 제동조작하는 브레이크아암을 구비하고, 이 브레이크아암과 페달력 전달부재를 연결하면서 밟는 힘 전달을 해제할 때 한층 더 액셀 페달을 밟는 힘인 액셀페달력을 브레이크 페달을 밟는 브레이크페달력으로 변환하는 페달 연계기구를 갖춘 것이다. 이 종래의 액셀 페달 오동작해소장치에 의한 페달 연계기구는 액셀 로드의 거의 중앙부분에 설치하는 액셀 페달의 요동운동을 회동으로 변환하는 운동변환기구와, 이 운동변환기구를 통해 액셀 페달의 일정위치로부터 밟아 운동하는 기구와, 이 기구가 설치되는 브레이크아암으로 구성된다. 종래의 액셀 페달 오동작해소장치에서는, 액셀 페달이 일정위치보다 더 밟힌 상황에서 액셀 연계기구가 해제되어 액셀 와이어의 당김이 해제됨과 동시에 운동변환기구를 통해 브레이크 페달이 약간 밟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액셀 페달 오동작해소장치는 액셀 페달을 밟아 일정위치를 넘으면 액셀 페달을 밟은 상태 그대로 하등 특별한 조작할 필요없이, 액셀은 저속회전으로 돌아가 브레이크가 작동하는 효과를 낸다.
그러나 종래의 액셀 페달 오동작해소장치는 운동변환기구를 구성하는 액셀 로드의 거의 중앙부분에 고정된 연동지렛대의 이동과 브레이크아암에 설치되는 연동링의 작용으로 브레이크 페달을 작동시키기 때문에 연동지렛대의 이동거리가 짧고 그 제동효과는 매우 미약한 것에 불과했다.
즉, 종래의 액셀 페달 오동작해소장치는 액셀 페달의 오동작이 발생한 매우 초기 단계에서 이 오동작을 회피하도록 구성한 것에 불과하며, 액셀 페달의 오동작을 알아차리고 이를 회피하려면 동시에 초기의 브레이크 조작을 하고 계속해서 본래의 브레이크 조작을 하여 자동차를 제동하는 것이다.
따라서, 당황하여 브레이크 페달로 바꿔 밟지 못한 경우에는 충분한 감속 및 제동행위를 할 수 없었다.
이 발명은 종래의 액셀 페달 오동작해소장치가 갖는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당황하여 브레이크 페달로 바꿔 밟지 못한 경우에도 액셀 페달을 밟는 것만으로 자동차를 제어할 수 있고 확실하게 브레이크 제어가 가능한 액셀 페달 오동작해소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액셀 페달을 밟는 조작만으로도 자동차운전조작이 가능하고, 별도의 변환 조작도 필요없이 평상시에는 종래의 운전조작도 가능하고, 액셀 페달을 밟아 시동, 가속운전을 하고, 제동, 정지할 때는 페달을 더 밟아 운전자의 의사하에 밟는 힘의 가감에 의해 제동 또는 정지할 수 있고, 밟는 힘을 해제하면 원래 액셀 초기상태로 할 수 있는 액셀 페달 오동작해소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운전자가 자동차를 정지시키려고 하는 의지에 의거하여 액셀 페달을 잘못 밟더라도 브레이크 페달로 바꿔 밟는 것보다 빠르고 확실하게 정지할 수 있는 액셀 페달 오동작해소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 발명의 액셀 페달 오동작해소장치는 일단부에 브레이크 페달을 고정하고 타단부를 주축에 설치하며, 회동운동에 의해 제동조작을 하는 브레이크아암, 일단부에 액셀 페달을 고정하고 중간에 요동핀을 삽입하며, 타단부에 액셀 와이어를 걸어 고정하는 페달력 전달부재, 페달력 전달부재의 일부를 구성하여 페달을 밟는 힘인 페달력을 액셀 와이어에 전달하거나 그 전달을 해제하는 액셀 연계기구, 및 페달력 전달을 해제할 때 액셀 페달의 밟는 힘을 브레이크 페달을 밟는 힘으로 변환하는 페달 연계기구를 구비하는 액셀 페달 오동작해소장치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아암은 아암 굴곡부 근방에서 페달력 전달부재쪽으로 돌출하는 취부금구와, 취부금구에 고정되고 상부에 걸이핀이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지주와, 걸이핀에 연결되고 하단의 페달쪽 돌출부에 상기 요동핀이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페달력 변환기를 구비하고;
상기 페달력 전달부재는, 상기 요동핀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액셀 페달을 놓았을 때 초기 위치로 되돌아가는 복귀스프링을 갖는 제1 직립부재와, 상기 페달력 변환기의 하단부의 페달 반대쪽에 하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단부에 상기 액셀 와이어가 연결되는 제2 직립부재를 가지며;
상기 액셀 연계기구는 제2 직립부재의 중간에 설치되는 액셀 연계부재와, 제1 직립부재에 설치되어 제1 직립부재의 회동 각도에 대응하여 액셀 연계부재에 연결되거나 분리되는 가동부재를 갖고;
상기 페달 연계기구는 상기 페달력 변환기를 관통하여 일단부가 벽체에 맞닿는 가이드부재와, 상기 걸이핀과 제1 직립부재 상단에 연결되고 제1 직립부재의 회동각도에 따라 걸이핀과 제1 직립부재를 연동하는 연계연결부재와, 상기 페달력 변환기의 중간에 설치된 베어링에 지지되는 변환기와, 상기 연계연결부재의 회동시에 변환기에 맞닿아서 변환기를 회동시키는 변환기회동부재와, 상기 변환기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하부연결부가 상기 가이드부재의 홈에 맞물리거나 분리되는 잠금쇠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취부금구 및 지주는 페달력 전달부재 쪽의 모든 부재를 지지한다. 페달력 변환기는 지주에 병설(竝設)하는 구성으로, 측면 역T형 또는 역L형을 이루고, 걸이 하단의 페달 쪽에서 돌출부에 요동핀을 끼우고, 페달 반대쪽에서 제2 직립부재의 기단(基端)에 돌출된 액셀핀을 끼운다.
제1 직립부재는 액셀 페달을 단부에 고정하는 측면으로의 굴곡형 요동부재의 일부로, 요동핀으로 요동부재의 굴곡부를 회동가능하게 연결한다. 가이드부재는 여기에 맞닿는 잠금쇠가 홈에 결합될 때, 액셀 페달을 밟을 때의 변환기와 페달력 변환기 및 지주, 브레이크아암의 이동을 제어하고, 또 잠금쇠가 홈에서 분리될 때, 변환기와 페달력 변환기 및 지주, 브레이크아암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부재이다. 잠금쇠는 페달력 변환기의 배면벽체에 위치한다.
변환기는 축에 고정되고, 페달력 변환기의 베어링 주위에 회동가능한 구성이다. 액셀 페달을 밟으면 제1 직립부재는 요동핀을 중심으로 요동하려고하는데, 요동핀은 위치가 고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밟는 힘이 요동핀을 통해 페달력 변환기를 벽체쪽으로 밀어넣음으로써 여기에 연결되는 지주 및 브레이크아암도 주축 주위로 회동하게 한다.
한편, 페달력 변환기에는 잠금쇠 및 가이드부재가 연결되는 변환기가 연결되고, 잠금쇠가 가이드부재의 홈에 결합된 상태에서 액셀 페달을 밟으면 페달력 변환기가 벽체쪽에 밀려 잠금쇠에 맞닿는다. 잠금쇠는 홈과 페달력 변환기에 통해진 상태가 되고, 이때 가이드부재에는 벽체 방향으로의 하중이 작용하는데, 벽체에 맞닿아서 이동할 수 없기 때문에 잠금쇠의 이동도 억제된다.
따라서 변환기와 페달력 변환기와 지주 및 브레이크아암의 이동이 억제되고, 결국 요동핀의 위치가 고정상태가 되어, 제1 직립부재의 요동핀 주위가 요동한다.
이에 따라 제2 직립부재는 액셀 연계기구인 액셀 연계부재 및 가동부재를 통해 액셀 페달을 밟는 도중까지 동기하여 회동한다. 양자가 분리되면, 제2 직립부재는 액셀 와이어의 인장력(引張力)으로 초기위치로 되돌아가고 동시에 연료공급을 정지한다. 또, 통상적으로 액셀 페달을 밟는 범위에서 양자는 분리되지 않고 최대로 밟을 때에 근접했을 때만 분리된다. 이때에는 액셀 와이어가 되돌아가기 때문에 급발진·급가속은 억제된다.
액셀 페달 밟기를 멈추면 복귀스프링의 작용으로 제1 직립부재는 초기위치로 되돌아가고, 이때 액셀 연계부재와 가동부재의 거리가 접근하여 맞닿는다. 이 맞닿는 힘으로 가동부재가 이동하여 양자는 결합되고 초기상태로 이동한다.
한편, 제1 직립부재와 제2 직립부재의 분리가 일어난 후, 액셀 페달을 더 밟게 되면 제1 직립부재는 요동핀 주위를 더욱 요동한다. 한편, 제1 직립부재 상단에 설치하는 연계연결부재가 회동하면, 변환기 회동부재가 변환기에 맞닿아서 변환기를 회동시킨다. 그 시작시기는 액셀 연계부재와 회동부재의 분리될 때가 되도록 구성한다.
변환기가 제1 직립부재와 동기하여 요동하면, 변환기는 페달력 변환기의 베어링 주위로 회동하기 시작하고, 변환기 하단에 거는 잠금쇠를 끌어올린다. 이때 잠금쇠의 하부연결부가 가이드부재의 홈과 분리된다. 이 시점에서 가이드부재에는 벽체방향으로의 하중이 작용하지 않는다.
액셀 페달을 더욱 밟으면, 연계연결부재의 회동으로 동기하여 걸이핀을 이동시키고 제1 직립부재와 지주 및 브레이크아암은 일체로 동작하게 된다. 즉, 페달을 더 밟으면 브레이크 페달이 밟히게 되고 액셀 페달력에 따라 브레이크 페달이 밟혀 확실한 제동이 이루어진다.
가이드부재는 이러한 제1 직립부재와 변환기와 페달력 변환기와 지주의 이동을 저지하지 않는 구성으로 한다. 예컨대, 제1 직립부재의 주축 주위의 궤적에 대응하는 형상, 또는 제1 직립부재의 움직임에 맞춰서 벽체면에 일단부가 맞닿거나 구를 수 있는 구성으로 한다.
액셀 페달을 밟는 것을 멈추면 제1 직립부재가 초기위치로 돌아가기 때문에 연계연결부재와 걸이핀 및 변환기 회동부재의 연결이 해소되고, 변환기 및 페달력 변환기와 지주와 브레이크아암 및 브레이크 페달은 초기위치로 돌아간다. 또한, 잠금쇠도 하강하여 하부연결부가 가이드부재의 홈에 맞닿아 잠금상태가 되고, 페달력 변환기의 이동을 억제한다.
청구항 2에 기재된 액셀 페달 오동작해소장치의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페달력 변환기에 대해 움직이게 지지되고 상기 벽체에 맞닿는 스프링을 구비하며, 가이드부재의 선단부가 벽체에 맞닿아 움직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가이드부재는 페달력 변환기와 직교하고, 스프링의 탄성력으로 항상 벽체에 맞닿는다. 잠금쇠가 홈에 맞닿으면 가이드부재의 윗 방향으로 움직임이 억제되는데, 분리되면 페달력 변환기가 회동하기 시작하고 여기에 지지되는 가이드부재도 회동하며, 그 선단부는 벽체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된다.
액셀 페달을 밟는 것을 멈추면 페달력 변환기는 초기위치로 돌아가고, 가이드부재도 초기위치로 돌아가 잠금상태가 된다.
청구항 3에 기재된 액셀 페달 오동작해소장치의 상기 액셀 연계기구는 제1 직립부재쪽으로 연계고리가 돌출되어 있는 액셀 연계부재와, 상기 연계고리 방향으로 밀려 연계고리에 결합되는 연결핀을 갖는 가동부재와, 연결핀을 상기 제1 직립부재의 회동 각도에 대응하여 밀어내는 연결핀 삽입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가동부재인 연결핀의 연계고리결합부는 연계고리에 결합되어 회동할 때에 맞닿는 부분이 이동하여 소정의 위치에서 분리할 수 있는 상태로 한다. 연결핀삽입부는 연결핀 또는 연결핀에 고정하는 부재에 맞닿아 밀 때 연결핀을 밀어넣고, 떨어질 때에는 연결핀을 초기위치로 되돌린다.
연결핀은 제1 직립부재가 초기위치로 되돌아갈 때, 연계고리와 맞닿아 가려진 후 돌출하여 결합한다.
청구항 4에 기재된 액셀 페달 오동작해소장치의 상기 페달 연계기구는 연결핀에 일단부가 고정되고 타단부에 긴구멍이 형성된 링을 갖는 연계연결부재와, 베어링 주위의 회동을 억제하는 회동 스토퍼 역할을 하고 걸이핀을 끼울 분기부가 상부에 형성된 변환기와, 변환기의 중간에 돌출된 브레이크핀을 상기 긴구멍에 끼우는 변환기 회동부재를 갖고, 상기 연결핀 삽입부가 링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액셀 페달을 밟아서 제1 직립부재의 요동핀 주위가 요동되고, 제1 직립부재 상단에 설치되는 연계연결부재의 링이 회동하면, 변환기 회동부재인 브레이크핀에 맞닿아서 변환기를 회동시킨다. 긴구멍의 한 내면은 제1 직립부재가 회동하여 액셀 연계부재와 가동부재가 분리될 때에 브레이크핀과 맞닿도록 구성한다. 이 맞닿은 상태가 계속되면 페달 연계기구가 작용하고 맞닿은 상태가 해소되면 제동력도 저감하여 소멸한다.
변환기가 제1 직립부재와 동기하여 요동하면, 변환기는 페달력 변환기의 베어링 주위로 회동하기 시작하고, 잠금쇠를 끌어올려 하부연결부가 가이드 부재의 홈과 분리되고, 가이드부재에는 벽체방향으로의 하중이 작용하지 않게 된다.
제1 직립부재와 제1 직립부재가 분리된 후, 액셀 페달을 더 밟게 되면 제1 직립부재는 요동핀 주위를 더 요동시키고, 변환기도 베어링 주위로 회동을 계속한다. 이때, 회동 스토퍼인 상부의 분기부의 한쪽이 걸이핀에 맞닿으면 회동이 불가능하게 되고, 변환기의 작용을 페달력 변환기에 전달한다. 즉, 제1 직립부재와 변환기와 페달력 변환기와 지주 및 브레이크아암은 일체로 동작하게 되고, 페달을 더 밟으면 브레이크 페달이 밟히고, 액셀 페달을 밟는 힘에 따라 브레이크 페달이 밟혀 확실한 제동이 이루어진다.
액셀 페달 밟기를 멈추면 제1 직립부재가 초기 위치로 되돌아가기 때문에 연계연결부재와 변환기 중간의 연결이 해제되고, 변환기와 페달력 변환기와 지주와 브레이크아암 및 브레이크 페달은 초기 위치로 되돌아간다. 또, 잠금쇠도 하강하여 하부연결부가 가이드부재의 홈에 맞닿아 잠금상태가 되고, 페달력 변환기의 이동을 억제한다.
청구항 5에 기재된 액셀 페달 오동작해소장치의 상기 연결핀 삽입부는 링의 자유단부쪽에 형성된 굴곡부와, 이 굴곡부에 맞닿을 수 있는 상기 지주의 상부 내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연결핀에 고정되는 링의 굴곡부는 지주의 상부 안쪽에 구부러져 있고, 액셀 페달을 밟을 때에 제1 직립부재가 요동하면, 양자가 맞닿아 연결핀을 밀어넣고, 밟는 것을 멈춰 제1 직립부재가 초기 위치로 되돌아가면 양자는 떨어져 연결핀을 초기위치로 되돌린다.
청구항 6에 기재된 액셀 페달 오동작해소장치의 상기 지주는 수평부와 경사부를 갖는 수용판을 아래쪽에 돌출설치하고, 상기 잠금쇠는 상기 변환기의 하단에 연결되는 하부연결부의 아래쪽에 수용판 위를 구를 수 있는 다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수용판와 잠금쇠의 다리부는 브레이크 페달을 밟을 때 브레이크아암 및 지주의 움직임에 더불어 잠금쇠·변환기·페달력 변환기 및 제1 직립부재를 동시에 회동시킨다. 수용판은 각 페달 쪽으로 뛰어나오고, 브레이크 페달을 밟으면 지주가 회동하여 수용판의 경사부가 잠금쇠의 다리부를 밀어올리는 방향으로 작용한다.
잠금쇠는 변환기를 같은 방향으로 회동시키기 때문에, 페달력 변환기 및 제1 직립부재와 제2 직립부재도 같은 방향으로 회동한다. 액셀 페달도 회동하는데 요동핀 주변은 회동하지 않기 때문에 액셀 와이어는 당겨지지 않는다. 즉, 브레이크 페달의 제동력만이 작용한다.
이때 브레이크 페달과 액셀 페달은 동기하여 회동하게 되기 때문에 그 상대적 위치가 초기 상태와 대략 동일해진다.
청구항 7에 기재된 액셀 페달 오동작해소장치의 상기 회동 스토퍼는 상기 페달력 변환기의 상기 벽체에 돌출되게 설치되고 변환기 하단 돌출부의 벽체와 맞닿을 수 있는 돌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8에 기재된 액셀 페달 오동작해소장치의 상기 페달 연계기구는, 상기 연결핀에 일단부가 고정되고 걸이핀이 통과하는 긴구멍이 타단부에 형성된 제1 링을 갖는 연계연결부재와, 선단에 잠금쇠를 연결한 수평부의 후단에 직립부를 형성하고 수평부와 직립부의 교차부를 축에 고정하며 이 축을 상기 가이드부재의 홈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변환기와, 상기 제1 링의 하부에 돌출되어 상기 직립부 선단에 맞닿는 삽입부재를 구비하는 변환기 회동부재를 갖고, 상기 제1 링에는 상기 연결핀 삽입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액셀 페달을 밟아서 제1 직립부재의 요동핀 주위가 요동되고, 제1 직립부재 상단에 설치하는 연계연결부재의 제1 링이 회동하면, 하부에 돌출설치하는 변환기 회동부재인 삽입부재가 변환기의 직립부 선단에 맞닿아서 변환기를 회동시킨다.
변환기가 제1 직립부재와 동기하여 요동하면, 변환기는 페달력 변환기의 베어링 주위로 회동하기 시작하고, 잠금쇠를 끌어올려 하부연결부가 가이드부재의 홈과 분리되고, 가이드부재에는 벽체방향으로의 하중이 작용하지 않게 된다.
제1 직립부재와 제2 직립부재가 분리된 후 액셀 페달을 더 밟으면, 제1 직립부재는 요동핀 주위를 더 요동하고, 연계연결부재의 제1 링도 계속 회동한다. 이때, 긴구멍의 한 내면은 걸이핀과 맞닿도록 되고, 이 맞닿은 상태가 계속되면 페달 연계기구가 작용하며, 제1 직립부재와 지주 및 브레이크아암은 일체로 동작하게 되고, 페달을 더 밟을수록 브레이크 페달이 밟히게 되어 액셀 페달력에 맞게 브레이크 페달이 밟혀 확실한 제동이 이루어진다.
액셀 페달 밟기를 멈추면 제1 직립부재가 초기 위치로 되돌아가기 때문에 연계연결부재와 걸이핀의 연결이 해제되고, 변환기와 페달력 변환기와 지주와 브레이크아암 및 브레이크 페달은 초기 위치로 되돌아가 제동력도 저감하여 소멸한다. 또, 잠금쇠도 하강하여 하부연결부가 가이드부재의 홈에 맞닿아 잠금상태가 되고, 페달력 변환기의 이동을 억제한다.
청구항 9에 기재된 액셀 페달 오동작해소장치의 상기 연결핀 삽입부는 상기 연결핀 삽입부는 상기 제1 링의 자유단부에 형성된 돌출부와, 이 돌출부에 맞닿도록 페달력 변환기의 상단에 형성된 상부 연결핀 삽입부를 갖고, 상기 가이드부재에 형성된 측면 돌출판에 대해 하단부는 구름운동하고 상단부는 상기 제1 링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 기둥의 중간에 돌출된 축을 상기 페달력 변환기에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며, 이 축에 상기 상단부를 바깥쪽으로 밀어 회전시키는 탄성체를 감아두는 내부 연결핀 삽입부를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연결핀에 고정되는 링의 돌출부는 페달력 변환기의 상부 내면쪽에 경사지게 돌출되어 있고, 액셀 페달을 밟을 때에 제1 직립부재가 요동하면, 상부 연결핀 삽입부와 돌출부가 맞닿아서 연결핀을 밀어넣고, 밟기를 멈춰 제1 직립부재가 초기 위치로 되돌아가면 양자의 접촉이 해제되어 연결핀을 초기 위치로 되돌린다.
내부 연결핀 삽입부는 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한 T형 부재로, 축에 감아두는 탄성체에 의해 기둥의 상단을 바깥쪽, 하단을 안쪽으로 회동시키고, 하단의 전동재는 가이드부재에 접촉하고, 상단은 제1 링에 접촉한다. 이 T형 부재와 가이드부재의 상대 위치가 변하고, 가이드부재에 형성된 측면 돌출판에 하단이 전동재가 맞닿으면, 상단은 안쪽으로 회동하여 제1 링을 밀어넣는다. 이 때문에 연결핀이 밀어넣어져 제1 직립부재와 제2 직립부재가 분리된다.
상부 연결핀 삽입부와 내부 연결핀 삽입부는 동시에 작용하여 연결핀을 밀어넣는 경우가 있는데, 각각 따로따로 작용하는 경우도 있다.
청구항 10에 기재된 액셀 페달 오동작해소장치의 상기 변환기의 교차부에 인접되게 상기 축에 상단을 고정하고 하단에 테이퍼 돌출면을 형성하는 L형 부재가 상기 내부 연결핀 삽입부 옆에 설치되고, 상기 축의 회동시에 테이퍼 돌출면이 상기 기둥 하단에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연결핀 삽입부는 상부 연결핀 삽입부 및 T형 내부 연결핀 삽입부에 더해 변환기의 축에 상단을 고정하는 L형 내부 연결핀 삽입부를 갖는다. 이 L형 내부 연결핀 삽입부는 변환기의 회동에 따라서 테이퍼 돌출면이 T형 내부 연결핀 삽입부의 기둥 하단의 전동재에 맞닿는다.
즉, 변환기의 회동으로 L형 부재가 T형 기둥을 회동시켜 제1 링과 연결핀을 밀어넣어서 제1 직립부재와 제2 직립부재를 분리시킨다.
이러한 상부 연결핀 삽입부와 T형 내부 연결핀 삽입부 및 L형 내부 연결핀 삽입부는 동시에 이동하여 연결핀을 밀어넣는 경우도 있지만, 각각 별도로 작용하는 경우도 있다.
청구항 11에 기재된 액셀 페달 오동작해소장치의 상기 지주는 아래쪽에 봉모양 연결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변환기의 교차부에 인접하여 상기 축에 상단을 고정하는 걸이를 설치하며, 상기 걸이의 하단에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수평부재를 연결하고, 상기 연결부재를 수평부재에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연결부재와 수평부재 및 걸이는 브레이크 페달을 밟을 때 브레이크아암 및 지주의 움직임에 따라서 변환기·잠금쇠·페달력 변환기 및 제1 직립부재를 동시에 회동시킨다. 브레이크 페달을 밟으면 지주가 회동하여 연결부재 및 수평부재를 끌어내고, 이로 인해 걸이가 비스듬히 전방으로 회동하고 변환기가 회동된다.
변환기가 회동하면, 잠금쇠의 다리부를 끌어올려, 하부연결부가 가이드부재의 홈과 분리되고, 가이드부재에는 벽체방향으로의 하중이 작용하지 않게 된다. 이 상태로 브레이크 페달을 밟으면 지주의 회동이 걸이를 당기는 작용을 더해 변환기를 더 고정하는 축 및 이를 지지하는(축지하는) 가이드부재에 대해서도 같은 방향으로 당기는 힘이 작용하고, 이 때문에 가이드부재는 페달쪽이 밀어내려가 벽체가 상승하는 방향으로 회동한다.
이때, 페달력 변환기 및 제1 직립부재와 제2 직립부재도 같은 방향으로 회동하고, 액셀 페달도 회동하는데 요동핀 주위는 회동하지 않기 때문에 액셀 와이어는 당겨지지 않는다. 즉, 브레이크 페달의 제동력만이 작용한다.
변환기의 축에 L형 부재를 병설하는 경우에는, 변환기의 회동이 가이드부재가 이동가능한 상태를 실현하고 동시에 L형 부재가 T형 내부 연결핀 삽입부의 기둥을 회동시켜 제1 링과 연결핀을 밀어넣어서 제1 직립부재와 제2 직립부재를 분리시킨다.
즉, 브레이크 페달을 밟으면, 제2 직립부재는 액셀 와이어의 인장력으로 초기위치로 되돌아간다. 따라서 브레이크 페달을 밟을 때 잘못하여 액셀 페달을 밟더라도 연료가 공급되지 않는다.
청구항 12에 기재된 액셀 페달 오동작해소장치의 페달력 변환기는 상기 페달력 변환기의 벽체에 상기 지주에 걸리는 스토퍼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브레이크 페달을 밟을 때의 회동력이 당초 연결부재에 작용하는데, 이동으로 인해 지주와 스토퍼가 맞닿으면 브레이크아암 및 지주의 회동력은 페달력 변환기에 작용하게 되어 변환기로 하중이 집중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청구항 13에 기재된 액셀 페달 오동작해소장치의 지주는, 상기 지주의 상부 측방에 톱니형 돌출부를 설치하고, 상기 제1 직립부재의 연결핀의 아래쪽에는 페달 연계핀을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하며, 페달 연계핀에는 상기 제1 링의 바깥쪽에 병렬되는 봉을 고정함과 동시에 상기 제2 직립부재쪽으로 힘을 주는 탄성체를 감아두고, 이 봉을 상기 내부 연결핀 삽입부의 상기 기둥에 형성된 긴구멍에 통과시키며, 상기 페달 연계핀은 상기 톱니형 돌출부에 맞물려 걸리면서 톱니 경사면을 따라서는 움직이는 테이퍼형 선단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핀의 선단이 돌출가능하게 수용된 폐달 연계핀은 제1 직립부재의 안쪽에서 횡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폐달 연계핀의 축 바깥쪽에 톱니형 돌출부를 설치한다. 내부 연결핀 삽입부의 기둥의 상단은 바깥쪽으로 하단이 안쪽으로 위치할 때에는, 봉에는 미는 힘이 작용하지 않기 때문에 핀에 감아두는 탄성체의 작용에 의해 핀 선단은 제1 직립부재의 안쪽에 위치한다.
내부 연결핀 삽입부 기둥의 상단이 안쪽으로 회동하면, 봉과 핀이 톱니형 돌출부로 이동하고, 핀 선단이 제1 직립부재 밖으로 돌출하여 돌출부에 결합된다.
이 상태로 지주가 브레이크 페달을 밟는 방향으로 회동하면 이것과 동기하여 제1 직립부재도 회동한다. 또, 이 상태로 액셀 페달을 밟는 경우에도 제1 직립부재가 지주에서 떨어지는 방향으로 회동하는 것을 제지하고, 액셀 페달과 동기하여 지주가 회동하여 브레이크 페달이 밟힌다.
액셀 페달 밟기를 멈춰서 제1 직립부재를 지주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회동시킬 때에는, 핀은 톱니 경사면을 따라 밀려 들어가기 때문에 순차 연결 위치가 변하고 제1 직립부재의 초기 위치까지 이동할 수 있다.
청구항 14에 기재된 액셀 페달 오동작해소장치의 액셀 연계기구가 액셀 페달력 조정링을 구비하고, 상기 액셀 페달력 조정링은 일단부에는 상기 연결핀을 끼우고 타단부에는 걸이핀을 교차된채 이동 가능하게 끼우는 상하부 돌출부를 형성하고, 걸이핀이 연결핀에서 떨어지는 쪽으로 움직일 때는 걸이핀을 받쳐주되 반대쪽으로 움직일 때는 회전하여 이동을 가능케하는 삼각돌기가 상기 하부 돌출부에 배치되고, 상부 돌출부에는 연결핀에 결합되고 걸이핀이 지지하는 삼각돌기를 타고넘을 때 상승하는 조정판과, 조정판의 외측을 하부 돌출부쪽으로 밀어주는 탄성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위 돌출부는 안쪽에 조정판을 수용하고, 마주보는 두 장의 판으로 이루어진다. 이 조정판의 외단부에는 탄성체를 감아두는 조정나사를 끼우고, 나사 선단을 아래 돌출부의 후단부에 결합한다. 이 조정나사를 조이는 높이를 조정하여 조정판을 밀어올리는 힘을 변화시킨다.
아래 돌출부는 중간에 구멍을 형성하고 내부에 삼각돌기를 수납한다. 삼각돌기는 꼭지점이 구멍 위로 튀어나오고 하단 꼭지점을 지지한다. 꼭지점의 하단에는 위쪽으로 미는 탄성체가 걸린다.
구멍 위로 튀어나온 꼭지점은 구멍 벽면에 걸린다. 페달력 조정링과 걸이핀의 상대위치는 액셀 페달의 페달력에 따라 변하고, 액셀 페달을 밟아 걸이핀이 삼각돌기의 꼭지점에 걸려 바깥으로 이동하려고 하면, 삼각돌기는 바깥쪽으로 이동할 수 없기 때문에 걸이핀은 삼각돌기에 지지된다.
걸이핀와 삼각돌기가 맞닿는 포인트는 연결핀이 밀려 제1 직립부재와 제2 직립부재가 분리되기 직전에 설정한다. 액셀 페달을 더욱 밟으면 걸이핀은 삼각돌기를 타고 상부 조정판에 맞닿아 조정판을 밀어올린다. 밀어올릴 때의 저항력이 액셀 페달의 저항이 되기 때문에 과도하게 액셀 페달을 밟는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이 시점에서 액셀 페달을 늦추지 않고 더욱 밟게되면 걸이핀이 이동하여 연결핀이 밀려서 제1 직립부재와 제2 직립부재가 분리된다. 걸이핀은 삼각돌기를 넘어 구멍 전방으로 이동하고 조정판으로부터 떨어져 초기위치로 되돌아간다.
그 후 액셀 페달을 늦추고, 제1 직립부재를 초기위치로 회동시키면 걸이핀은 조정링 안을 반대로 돌아가고, 이번에는 삼각돌기의 꼭지점을 바깥에서 안으로 밀어 회전시킨다. 이로 인해 페달력 조정 조정링과 걸이핀의 상대 위치가 초기 위치로 되돌아간다. 걸이핀을 지난 삼각돌기는 꼭지점에 걸린 탄성체에 의해 회전하여 구멍 위로 튀어나온 꼭지점이 구멍 벽면에 걸린다.
청구항 15에 기재된 액셀 페달 오동작해소장치의 브레이크아암은 브레이크 페달 바로 위에 설치되는 보조 브레이크아암과, 보조 브레이크아암 선단에 고정되어 상기 브레이크 페달에 병설되는 보조 브레이크 페달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브레이크 페달은 보통 액셀 페달에서 바꿔 밟는데, 양발을 사용할 경우에는 너무 가깝기 때문에 밟기 편한 위치에 보조 브레이크 페달을 설치한다.
청구항 16에 기재된 액셀 페달 오동작해소장치는 연결핀 삽입부로서 상기 변환기의 교차부에 인접되게 상기 축에 상단을 고정하고 하단에 테이퍼 돌출면을 형성하는 L형 부재가 상기 내부 연결핀 삽입부 옆에 설치되고, 상기 축의 회동시에 테이퍼 돌출면이 상기 기둥 하단에 맞닿는 것에 더해, 변환기의 축에 상부가 고정되고 솔레노이드의 가동철심을 하부가 맞닿는 원호형 부재, 상기 액셀 페달의 측부에 설치하는 밟기조작부, 상기 밟기조작부와 솔레노이드에 연결되는 조작회로를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밟기 조작부는 액셀 페달에서 돌출된 발받침과 발의 이동으로 조작가능한 지렛대를 구비하고, 지렛대의 이동으로 조작회로의 스위치를 넣어 솔레노이드의 가동철심을 밀어낸다. 원호형 부재는 변환기를 회동시켜서 L형 내부연결핀 삽입부의 테이퍼 돌출면을 내부 연결핀 삽입부의 기둥 하단의 전동재에 맞닿게 하여 제1 링과 연결핀을 밀어넣어 제1 직립부재와 제2 직립부재를 분리시킨다.
청구항 17에 기재된 액셀 페달 오동작해소장치의 브레이크아암은 브레이크 페달 바로 위에 설치되는 보조 브레이크아암과, 브레이크 페달에 나란하게 보조 브레이크아암의 선단에 고정됨과 동시에 제2 밟기조작부를 갖는 보조 브레이크 페달을 구비하고, 상기 제2 밟기조작부가 조작회로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 밟기조작부는 보조 브레이크 페달을 밀 때 작동하는 것으로, 보조 브레이크 페달 조작 시에는 항상 액셀 페달이 작동하지 않는 상태로 한다.
본 발명의 액셀 페달 오동작해소장치는 페달 연계기구로 가이드부재와 연계연결부재, 변환기, 변환기회동부재, 잠금쇠를 설치하고, 액셀 페달의 페달력 전달부재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1 직립부재의 상단과 걸이핀을 연결하고, 양자의 운동을 제1 직립부재의 회동각도에 대응하여 실행하기 때문에, 일정위치 이상으로 밟으면 액셀 기능이 사라지고, 브레이크 페달로 바꿔 밟지 않아도 액셀 페달력에 따라 브레이크 페달이 밟혀 브레이크 제어가 가능하여 확실한 제동이 이루어진다.
이 때문에 당황하여 브레이크 페달로 바꿔 밟지 못한 경우에도 액셀 페달을 밟은 것만으로 자동차를 제동할 수 있어서 제동시간이 짧아지고, 확실하게 브레이크 제어가 가능하여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운전초심자, 또는 고령운전자에 의한 사고방지에 기여할 수 있다.
브레이크아암에 페달력 전달부재 쪽의 모든 부재를 지지하고, 지주와 페달력 변환기가 연결되기 때문에 가이드 부재에 대한 잠금을 해제한 후에는 액셀 페달의 밟는 힘이 직접 브레이크 페달을 밟는 힘이 되어 브레이크 기능이 좋아지고 오동작시 확실하게 제동된다.
본 발명의 액셀 페달 오동작해소장치는 운전면허취득 직후의 운전조작 미숙자 및 숙련 후기 고령자의 페달 조작 실수에 따른 중대사고방지에 기여함과 동시에, 젊은 사람에게 많다고 여겨지는 무모한 운전, 예컨대 액셀 페달을 밟아 급발진, 급가속, 과속운전, 난폭운전을 방지하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추돌, 접촉, 인사사고 등의 예기치못한 사고, 뺑소니에 의한 폭주 패닉운전이 일으키는 2차 중대사고 방지를 기대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한 액셀 페달 오동작해소장치의 가이드부재는 가이드부재의 선단부가 벽체에 맞닿아 움직일 수 있기 때문에, 잠금해제 시의 페달력 변환기의 회동을 원활하게 하고 직선형태의 가이드부재로 대응할 수 있기 때문에 구성이 간편해진다.
청구항 3에 기재한 액셀 페달 오동작해소장치의 액셀 연계기구는 액셀 연계부재로 연계고리, 가동부재로 연결핀과 연결핀 삽입부를 갖기 때문에 액셀 연계부재의 구성이 소형간략화된다.
청구항 4에 기재한 액셀 페달 오동작해소장치의 페달 연계기구는 연결핀 삽입부를 형성하는 연계연결부재로 링과 분기부를 상부에 설치하는 변환기와 변환기 회동부재로 브레이크핀을 설치하여 연계연결부재로 액셀 페달을 해방하고, 잠금해제를 변환기의 브레이크핀으로 작동시켜 브레이크 조작을 변환기의 분기부에서 실행하게 된다. 이와 같이 액셀 페달의 해방, 잠금해제 및 브레이크 조작을 각각 다른 부재로 실행할 수 있어 각 작용점을 미(微)조정하여 브레이크 조작이 시작되는 시기를 조정할 수 있다.
청구항 5에 기재한 액셀 페달 오동작해소장치의 연결핀 삽입부는 링 굴곡부이기 때문에 간단한 구성으로 연결핀의 삽입 및 복원을 실현할 수 있다.
청구항 6에 기재한 액셀 페달 오동작해소장치의 지주는 수용판을 아래쪽에 돌출하여 설치하고, 여기에 맞닿을 수 있는 다리부를 구비한 잠금쇠를 갖춰서, 브레이크 페달을 밟을 때 액셀 페달도 동기하여 회동할 수 있고, 상대적 위치가 초기상태와 대략 동일해지기 때문에 매끄럽게 브레이크 페달에서 액셀 페달로 바꿔 밟아진다.
청구항 7에 기재한 액셀 페달 오동작해소장치의 회전 스토퍼는 변환기와 맞닿을 수 있는 돌기로 하기 때문에 회전을 확실하게 저지할 수 있다.
청구항 8에 기재한 액셀 페달 오동작해소장치의 페달 연계기구는 잠금쇠를 걸고 동시에 직립부를 설치하는 변환기와, 변환기 회동부재로서 삽입부재를 구비하여 연결핀 삽입부가 형성된 연계연결부재의 제1 링을 가지기 때문에, 변환기와 연계연결부재를 분리할 수 있고, 확실하게 브레이크를 제동할 수 있다.
청구항 9에 기재한 액셀 페달 오동작 해소장치의 연결핀 삽입부는 상부 연결핀 삽입부와 내부 연결핀 삽입부를 설치하기 때문에 액셀 페달을 과도하게 밟았을 때 이외에도 연결핀을 밀어넣을 수 있다.
청구항 10에 기재한 액셀 페달 오동작해소장치의 연결핀 삽입부는 변환기에 L형 부재를 병설하기 때문에, 변환기의 회전으로 연결핀을 밀어넣을 수 있고, 브레이크 페달 조작시에도 연결핀을 밀어넣을 수 있다.
청구항 11에 기재한 액셀 페달 오동작해소장치의 지주는 변환기와 연결하기 때문에 브레이크 페달을 밟을 때에 변환기·잠금쇠·페달력 변환기 및 제1 직립부재를 동시에 회동시킬 수 있고, 액셀 와이어를 당기지 않고 브레이크 페달의 제동력만 작용시킬 수 있다.
변환기의 축에 L형 부재를 병설하는 경우에는 브레이크 페달을 밟으면 연결핀이 밀려 들어가기 때문에 실수로 액셀 페달을 밟더라도 연료는 공급되지 않는다.
청구항 12에 기재한 액셀 페달 오동작해소장치의 페달력 변환기는 지주에 걸리는 스토퍼를 설치하기 때문에 브레이크아암 및 지주의 회동력이 변환기로 집중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청구항 13에 기재한 액셀 페달 오동작해소장치의 지주는 톱니형 돌출부를 설치하고, 제1 직립부재에는 페달 연계핀을 설치하기 때문에, 브레이크 페달과 액셀 페달의 회동을 동시에 할 수 있다.
청구항 14에 기재한 액셀 페달 오동작해소장치의 액셀 연계기구는 액셀 페달력 조정링을 설치하기 때문에 과도하게 액셀 페달을 밟는 위치를 확실하게 감지할 수 있다.
청구항 15에 기재한 액셀 페달 오동작해소장치의 브레이크아암은 보조 브레이크 페달을 구비하기 때문에 양발을 사용하는 브레이크 조작이 쉬워진다. 또, 액셀 페달을 밟고 가속중에도 왼발로 브레이크 페달을 조금 밟아 액셀 기능을 소멸시킬 수 있다. 오른발로 가속중인 액셀 페달은 브레이크 페달 기능으로 자동으로 바뀌기 때문에 브레이크 페달로 바꿔 밟지 않고 액셀 페달과 동시에 밟아 빠르게 정지할 수 있어 사고를 최소화 또는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16에 기재한 액셀 페달 오동작해소장치는 액셀 페달에 연동하는 솔레노이드와 솔레노이드에 맞닿는 원호형 부재를 변환기에 설치하기 때문에, 액셀 페달의 발의 이동으로 제1 직립부재와 제2 직립부재를 분리시킨다.
청구항 17에 기재한 액셀 페달 오동작해소장치는 보조 브레이크 페달에 제2 밟기조작부를 설치하기 때문에, 보조 브레이크 조작 시에는 항상 액셀 페달이 작동하지 않는 상태로 할 수 있다.
도 1은 액셀 페달 오동작해소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액셀 페달 오동작해소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액셀 페달 오동작해소장치의 개략측면도이다.
도 4는 액셀 페달 오동작해소장치의 페달력 전달부재의 일부를 생략한 평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V-V선 단면도이다.
도 6은 액셀 페달을 통상범위 내에서 밟았을 때의 액셀 페달 오동작해소장치의 개략측면도이다.
도 7은 액셀 페달을 통상범위 내에서 밟았을 때의 액셀 페달 오동작해소장치의 페달력 전달부재의 일부를 생략한 평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Ⅷ-Ⅷ선 단면도이다.
도 9는 액셀 페달을 통상범위를 넘어서 밟았을 때의 액셀 페달 오동작해소장치의 개략측면도이다.
도 10은 액셀 페달을 통상범위를 넘어서 밟았을 때의 액셀 페달 오동작해소장치의 페달력 전달부재의 요부측방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액셀 페달을 통상범위를 넘어서 밟아 가이드 부재의 락이 해제된 직후의 액셀 페달 오동작해소장치의 페달력 전달부재의 요부측방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가이드부재의 락이 해제된 후 브레이크 페달이 이동할 때의 액셀 페달 오동작해소장치의 페달력 전달부재의 요부측방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브레이크 페달을 밟은 직후의 액셀 페달 오동작해소장치의 페달력 전달부재의 요부측방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브레이크 페달을 밟을 때의 페달력 전달부재의 요부측방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5는 변환기에서 분리된 회동 스토퍼를 구비하는 액셀 페달 오동작해소장치의 요부측면도이다.
도 16은 다른 실시예의 브레이크 페달을 밟은 직후의 액셀 페달 오동작해소장치의 페달력 전달부재의 요부측방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7은 다른 실시예의 액셀 페달 오동작해소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8은 제1 취부금구에 장치되는 페달력 전달부재의 요부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9는 액셀 연계기구의 요부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20은 가이드케이스에 연결되는 부재의 관련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21은 액셀 페달 오동작해소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2는 도 21의 아래부분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3은 도 22의 XXIII-XXIII선 단면도이다.
도 24는 도 22의 XXIV-XXIV선 단면도이다.
도 25는 도 22의 XXV-XXV선 단면도이다.
도 26은 도 22의 XXVI-XXVI선 단면도이다.
도 27은 액셀 페달을 밟기 전의 액셀 페달 오동작해소장치의 개략측면도이다.
도 28은 액셀 페달을 밟기 전의 액셀 페달 오동작해소장치의 일부를 생략한 평면도이다.
도 29는 액셀 페달을 통상범위에서 밟을 때의 액셀 페달 오동작해소장치의 개략측면도이다.
도 30은 액셀 페달을 통상범위에서 밟을 때의 액셀 페달 오동작해소장치의 일부를 생략한 평면도이다.
도 31은 액셀 페달을 통상범위를 넘어서 밟았을 때의 액셀 페달 오동작해소장치의 개략측면도이다.
도 32는 액셀 페달을 통상범위를 넘어서 밟았을 때의 액셀 페달 오동작해소장치의 일부를 생략한 평면도이다.
도 33은 액셀 페달을 과잉범위까지 밟았을 때의 액셀 페달 오동작해소장치의 개략측면도이다.
도 34는 액셀 페달을 과잉범위까지 밟은 후, 브레이크 페달과 일체화했을 때의 액셀 페달 오동작해소장치의 개략측면도이다.
도 35는 브레이크 페달을 밟은 직후의 액셀 페달 오동작해소장치의 페달력 전달부재의 요부측방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6은 내부 연결핀 삽입부의 배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7은 페달 연계핀 및 지주 돌출부의 관련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8은 내부 연결핀 삽입부, 페달 연계핀 및 지주 돌출부의 관련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9는 브레이크 페달을 밟은 후의 액셀 페달 오동작해소장치의 페달력 전달부재의 요부측방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0은 액셀 페달을 밟기 전의 액셀 페달력 조정링의 요부측방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1은 액셀 페달을 통상범위 내에서 밟았을 때의 액셀 페달력 조정링의 요부측방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2는 액셀 페달을 통상범위를 넘어서 밟았을 때 액셀 페달력 조정링의 요부측방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3은 액셀 페달을 통상범위를 넘어서 계속 밟은 상태의 액셀 페달력 조정링의 요부측방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4는 액셀 페달 밟기를 멈춘 후의 액셀 페달력 조정링의 요부측방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5는 브레이크 페달의 사시도이다.
도 46은 액셀 페달 및 보조 브레이크 페달에 전기조작회로를 연결하는 액셀 페달 오동작해소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47은 도 46을 화살표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계속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바탕으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액셀 페달 오동작해소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액셀 페달 오동작해소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액셀 페달 오동작해소장치(1)는 일단부에 브레이크 페달(2)을 고정하고 타단부를 주축(3)에 설치하여 회동운동으로 제동조작하는 브레이크아암(4)과, 일단부에 액셀 페달(5)을 고정하고 중간에 요동핀(6)을 삽입하여 타단부에 액셀 와이어(7)를 걸어 고정하는 페달력 전달부재(8)를 구비한다.
페달력 전달부재(8)는 액셀 페달(5)을 단부에 고정하고 굴곡 형태의 요동부재(9)를 구비하고, 요동부재(9)의 굴곡부는 요동핀(6)을 통해 회동이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굴곡부 윗부분에는 제1 직립부재(10)를 구성하고, 아랫부분에는 복귀스프링(11)을 설치한다. 복귀스프링(11)은 액셀 페달(5)을 놓았을 때 제1 직립부재(10)를 초기 위치로 되돌리는 작용을 한다.
브레이크아암(4)은 아암 굴곡부 근방에서 페달력 전달부재(8) 쪽으로 튀어나오는 취부금구(12)를 갖춘다. 도 2와 같이, 취부금구(12)에 고정되어 상부에 걸이핀(13)을 설치한 지주(14)와, 걸이핀(13)에 회동 가능하게 거는 H형 기구로서 하단의 돌출부 페달에 요동핀(6)을 설치하는 페달력 변환기(15)를 연결한다.
취부금구(12)는 브레이크아암(4)에 고정판(12a) 및 고정볼트(12b)를 사용하여 고정하기 때문에 상부 돌출판(12c)에 지주(14)의 하부판(14a)을 볼트(14b)로 연결한다. 지주(14)는 걸이핀(13)에 의해 페달력 전달부재(8) 쪽의 모든 부재를 지지하는 구성이다.
페달력 변환기(15)는 지주(14)에 연결되는 구성으로, 양측면이 역T형으로 되어 있고, 하단 돌출부(15a)의 한쪽(페달 쪽)에 요동핀(6)을 삽입하여 제1 직립부재(10)를 요동가능하게 지지한다. 상단에 액셀 와이어(7)를 결합하고 하단에 액셀핀(16)을 돌출하여 설치하는 제2 직립부재(17)는 페달력 변환기(15)의 하단돌출부(15a)의 다른 쪽(페달 반대쪽)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한다. 제2 직립부재(17)도 액셀 페달의 페달력 전달부재(8)의 일부를 구성한다.
페달력 변환기(15)는 아래 중앙에 가이드케이스(15b)를 직교하여 설치하고, 내부에 가이드부재(18)를 수용한다. 가이드부재(18)는 가이드케이스(15b) 내의 가이드롤러(15c)에 지지되는 L형 봉으로서, 중간에 홈(18a)을 형성하고 가이드케이스(15b)로부터 노출되는 구부러진 선단부에 스프링(18b)을 설치한다.
가이드부재(18)는 페달력 변환기(15)를 통과하여 일단부가 섀시(19)에 맞닿는 것으로, 페달력 변환기(15)에 대해 이동가능하게 지지되고 동시에 섀시(19)에 맞닿는 스프링(18b)의 작용에 의해 일단부가 항상 섀시(19)면과 맞닿는다. 스프링(18b)의 타단부는 페달력 변환기(15)에 고정된다.
페달력 변환기(15)의 중간에는 베어링(15d)을 설치하고, 여기에 핀(15e)을 끼우고, 핀(15e)에 변환기(20)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한다. 변환기(20)는 Y형 판으로 상부에 걸이핀(13)을 끼우는 분기부(20a), 중간에 돌출된 브레이크핀(20b), 하단에 형성된 양방향 돌출부(20c)를 갖고, 이 돌출부(20c)의 한쪽은 핀(15e)으로 베어링에 지지하고, 다른쪽은 잠금쇠(21)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잠금핀(21a)을 끼운다.
분기부(20a)은 회동스토퍼 역할을 하고, 변환기(20)를 고정하는 핀(15e)이 베어링(15d) 주위를 회동하여 분기부(20a)가 걸이핀(13)에 맞닿으면 회동이 저지된다. 회동 정지위치를 조정하기 위해서 분기부(20a)에는 조정나사(20d)를 조여 부착한다. 또, 분기부(20a)에는 조정나사(20d) 쪽에 스프링(20e)을 설치하고, 조정나사(20d)와 마주보는 쪽의 분기부(20a)를 걸이핀(13) 방향으로 밀어준다.
잠금쇠(21)는 역Y형 판으로 분기점(21b)이 가이드부재(18)의 홈(18a)과 결합 또는 분리되도록 변환기(20) 하단에 회동가능하게 걸린다. 분기점(21b) 아래쪽에는 롤러가 달린 다리부(21c)가 있다. 다리부(21c)는 지주(14) 하부판(14a)에 설치되는 수용판(14c) 위를 구를 수 있다. 수용판(14c)은 수평부와 경사부를 갖는다.
가이드부재(18)는 여기에 맞닿는 잠금쇠(21)의 분기점(21b)이 홈(18a)에 결합될 때, 액셀 페달(5)을 밟을 때 변환기(20)와 페달력 변환기(15) 및 지주(14), 브레이크아암(4)의 이동을 억제하고, 또 잠금쇠(21)의 분기점(21b)이 홈(18a)에서 분리될 때 이러한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부재이다.
제1 직립부재(10)의 상단 측방에는 액셀 연계기구의 일부를 구성하는 가동부재로 연결핀(22)을 설치하고, 이곳에 스프링(22a)을 설치한다. 연결핀(22)에 일단부가 고정된 링(23)은 스프링(22a)에 맞닿고, 연결핀(22)과 링(23)은 제2 직립부재(17)쪽으로 밀린다.
변환기(20)에 돌출되어 설치된 브레이크핀(20b)이 통과하는 긴구멍(23a)을 링(23)에 형성하고 동시에 링(23) 선단에 굴곡부(23b)를 설치한다. 링(23)은 제1 직립부재(10) 상단과 변환기(20) 중간을 적당히 연결시켜 제1 직립부재(10)의 회동각도에 대응하여 양자를 연동하는 연계연결부재를 구성한다.
제2 직립부재(17)의 중간에는 액셀 연계기구의 일부를 구성하는 액셀 연계부재로 L형 연계고리(17a)를 제1 직립부재(10) 쪽으로 돌출하여 설치한다. 액셀 페달(5)을 밟을 때 제1 직립부재(10)의 연결핀(22)의 핀끝(22b)이 연계고리(17a)와 결합 또는 분리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핀끝(22b)은 연결핀(22)을 구성하는 원주형 단면의 선단을 제2 직립부재(17) 쪽으로 테이퍼 가공한 것이다.
액셀 연계기구는 요동핀(6)의 위치가 부동 상태일 때, 액셀 페달(5)의 페달력을 액셀 와이어(7)에 전달하거나 해제한다. 액셀 연계기구의 존재로 인해 액셀 페달(5)을 밟는 도중까지는 제1 직립부재(10)와 제2 직립부재(17)는 동기하여 회동한다.
핀끝(22b)과 연계고리(17a)가 분리될 때, 제2 직립부재(17)는 액셀 와이어(7)의 인장력으로 초기위치로 되돌아가고 동시에 연료공급을 정지한다. 또한, 통상적으로 액셀 페달(5)을 밟는 범위에서는 양자는 분리되지 않고 최대로 밟을 때에만 분리된다.
제1 직립부재(10)와 제2 직립부재(17)가 서로 연결, 분리를 일으키지 않기 위해서는 요동핀(6)의 위치가 부동 상태여야만 하고, 요동핀(6)의 위치가 고정되어 있지 않을 때, 즉 이동가능한 상태일 때에는 액셀 페달(5)을 밟으면 요동핀(6)을 통해서 페달력 변환기(15)를 섀시(19)쪽으로 밀고, 여기에 연결되는 지주(14) 및 브레이크아암(4)도 주축(3) 주위로 회동한다.
이 때문에, 액셀 페달 오동작해소장치(1)에는 페달력 변환기(15), 변환기(20), 잠금쇠(21) 및 가이드부재(18)를 설치하여 요동핀(6)의 위치를 부동 또는 이동가능한 상태로 선택적으로 실현한다.
다음으로 도 3~5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3은 액셀 페달 오동작해소장치의 개략측면도, 도 4는 액셀 페달 오동작해소장치의 페달력 전달부재의 일부를 생략한 평단면도, 도 5는 도 4의 V-V선 단면도이다.
페달력 변환기(15)에는 잠금쇠(21) 및 가이드부재(18)가 연결되는 변환기(20)가 연결되고, 잠금쇠(21)의 연결부(21b)가 가이드부재(18)의 홈(18a)에 결합된 상태에서 액셀 페달(5)을 밟으면, 요동핀(6)을 통해 페달력 변환기(15)가 섀시(19) 쪽에 밀려, 잠금쇠(21)의 수직 배면 맞닿는다. 잠금쇠(21)는 가이드부재(18)의 홈(18a)과 페달력 변환기(15)에 통해진 상태가 되고, 이때 가이드부재(18)에는 섀시(19) 방향으로의 하중이 작용하는데 선단부가 섀시(19)에 맞닿아 이동할 수 없기 때문에 잠금쇠(21)의 이동도 억제된다.
따라서 변환기(20)와 페달력 변환기(15)와 지주(14) 및 브레이크아암(4)의 이동이 억제되고, 결국 요동핀(6)의 위치가 부동상태가 되어 제1 직립부재(10)의 요동핀(6) 주위가 요동한다.
이에 따라 제2 직립부재(17)는 액셀 연계기구인 액셀 연계부재 및 가동부재를 통해 액셀 페달(5)을 밟는 도중까지 동기하여 회동한다. 이에 대해서는 도 6~8을 참조해 자세히 설명한다. 도 6은 액셀 페달을 통상범위 내에서 밟았을 때의 액셀 페달 오동작해소장치의 개략측면도, 도 7은 액셀 페달을 통상범위 내에서 밟았을 때의 액셀 페달 오동작해소장치의 페달력 전달부재의 일부를 생략한 평단면도, 도 8은 도 7의 Ⅷ-Ⅷ선 단면도이다.
제1 직립부재(10)의 연결핀(22)의 핀끝(22b)이 연계고리(17a)에 연결되어 있을 때, 도 6과 같이 액셀 페달(5)을 밟으면 제1 직립부재(10)와 제2 직립부재(17)는 동기하여 회동한다.
액셀 페달(5)를 통상범위에서 밟았을 때에는 핀끝(22b)과 연계고리(17a)가 연결되면서 회동하기 때문에, 제2 직립부재(17)는 액셀 와이어(7)를 당길 수 있고 통상 차량의 시동, 발진, 가속 및 정속운전이 가능하다.
이때 연결핀(22)에 고정된 링(23)은 도 7과 같이 제1 직립부재(10)의 회동에 따라 이동하고, 링(23) 선단의 굴곡부(23b)를 지주(14)의 상부 내면에 접하면서 링(23)과 연결핀(22)을 민다.
스프링(22a)의 탄성력에 저항하면서 링(23)의 굴곡부(23b)의 접촉이 도 7과 같은 위치까지 진행되면, 연결핀(22)의 핀끝(22b)은 제1 직립부재(10) 안으로 들어가고 연계고리(17a)가 분리된다.
양자가 분리될 때의 상황을 도 9~10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9는 액셀 페달을 통상범위를 넘어서 밟았을 때의 액셀 페달 오동작해소장치의 개략측면도도이고, 도 10은 액셀 페달을 통상범위를 넘어서 밟았을 때의 액셀 페달 오동작해소장치의 페달력 전달부재의 요부측방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연결핀(22)의 핀끝(22b)과 연계고리(17a)가 분리되면, 제2 직립부재(17)는 액셀 와이어(7)의 인장력으로 초기 위치로 되돌아가고 동시에 연료공급을 정지한다. 또, 통상의 액셀 페달을 밟는 범위에서 양자는 분리되지 않고 최대 밟기에 근접한 영역에서만 분리된다. 이때에는 액셀 와이어(7)가 되돌아가기 때문에 급발진·급가속은 억제된다.
자동차 운전시에 긴급 돌발 사태가 발생했을 때, 브레이크 페달(2)을 밟지 않고 액셀 페달(5)을 밟아버리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최대 밟기에 근접한 영역까지 도달하면 도 9와 같이 핀끝(22b)과 연계고리(17a)가 분리되고, 제2 직립부재(17)는 액셀 와이어(7)의 인장력으로 초기 위치로 되돌아가 연료공급을 정지한다. 따라서 엔진은 저속회전하게 되고 급발진, 급가속이 사라진다.
액셀 페달(5)을 급격하게 밟으면, 연결핀(22)과 연계고리(17a)가 분리되기 쉽기 때문에 차량의 급발진, 급가속이 억제되게 되고, 사람과 자연에 상냥한 에코 운전조작으로 연비도 절감되고 경제적이다.
액셀 페달(5) 밟기를 멈추면 복귀 스프링(11)의 작용으로 제1 직립부재(10)는 초기 위치로 돌아가고, 링 굴곡부(23b)와 지주(14)의 접촉이 사라지면 연결핀(22)은 스프링(22a)에 밀려 다시 돌출되고, 핀끝(22b)과 연계고리(17a)의 거리가 가까워져 테이퍼부가 맞닿는다. 서로 맞닿는 힘으로 스프링(22a)이 다시 줄어들어 연결핀(22)이 이동하여 제1 직립부재(10) 안으로 들어간 후, 스프링(22a)에 밀려 돌출하고 양자는 결합되어 초기상태로 이동한다.
한편, 제1 직립부재(10)와 제2 직립부재(17)가 분리된 후, 액셀 페달(5)을 더 밟으면 제1 직립부재(10)는 요동핀(6) 주위를 더욱 요동한다. 이때의 상세를 도 11, 12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액셀 페달을 통상범위를 넘어서 밟아 가이드 부재의 락이 해제된 직후의 액셀 페달 오동작해소장치의 페달력 전달부재의 요부측방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2는 가이드부재의 락이 해제된 후 브레이크 페달이 이동할 때의 액셀 페달 오동작해소장치의 페달력 전달부재의 요부측방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변환기(20)에 돌출된 브레이크핀(20b)이 링(23)의 긴구멍(23a)의 단부에 걸리면 제1 직립부재(10)와 동기하여 변환기(20)가 이동하게 된다. 긴구멍(23a)의 한 내면은 제1 직립부재(10)가 회동하여 액셀 연계부재와 가동부재가 분리될 때에 브레이크핀(20b)에 걸리도록 구성한다.
이 상태에서 액셀 페달(5)을 더 밟게되면, 변환기(20)는 페달력 변환기(15)의 베어링(15d) 주위로 회동하기 시작하고, 변환기(20)의 하단돌출부(20c)의 섀시(19) 쪽에 걸리는 잠금쇠(21)를 끌어올린다. 이때 잠금쇠(21)의 분기점(21b)이 가이드부재(18)의 홈(18a)과 분리된다.
이 시점에서 가이드부재(18)에는 섀시(19) 방향으로의 하중이 작용하지않게 된다. 잠금쇠(21)가 홈(18a)에 맞닿아있으면 가이드부재(18)의 위쪽 방향 움직임이 억제되는데, 분리되면 페달력 변환기(15)가 회동하기 시작하고, 페달력 변환기에 지지되는 가이드부재(18)도 회동하며, 가이드부재의 선단부는 섀시(19)를 따라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도 12와 같이, 액셀 페달(5)을 더 밟으면, 변환기(20)는 스프링(20e)의 인장력에 저항하여 베어링(15d) 주위를 계속 회동한다. 상부의 분기부(20a)가 걸이핀(13)에 대해 이동하고, 걸이핀(13)이 조정나사(20d)에 닿으면 회동은 저지된다.
회동이 저지되면, 연결상태인 제1 직립부재(10)와 변환기(20), 페달력 변환기(15), 지주(14) 및 브레이크아암(4)은 일체 동작(회동)을 하게 된다. 즉, 액셀 페달(5)을 더 밟음으로써 브레이크 페달(2)을 밟는 것과 동등해지고, 액셀 페달(5)을 밟는 힘에 따라서 브레이크 페달(2)이 밟혀서 확실히 제동된다.
이때 가이드부재(18)의 일단부는 제1 직립부재(10) 및 페달력 변환기(15)의 움직임에 맞춰서 섀시(19)면에 닿는다. 일단부에 롤러를 설치하여 구를 수 있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액셀 페달(5)에서 발을 떼면, 제1 직립부재(10)가 초기위치로 돌아가기 때문에 브레이크핀(20b)과 링(23)의 연결이 해제되고, 변환기(20), 페달력 변환기(15)와 지주(14), 브레이크아암(4) 및 브레이크 페달(2)은 초기위치로 돌아간다.
또, 잠금쇠(21)도 하강하여 분기점(21b)이 가이드부재(18)의 홈(18a)에 닿아 잠금상태가 되고, 페달력 변환기(15)의 이동을 억제한다. 이로 인해 통상의 운전조작이 가능해진다.
다음으로, 브레이크 페달을 밟을 때의 작용의 도 13, 14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3은 브레이크 페달을 밟은 직후의 액셀 페달 오동작해소장치의 페달력 전달부재의 요부측방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4는 브레이크 페달을 밟을 때의 페달력 전달부재의 요부측방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브레이크 페달(2)을 밟으면 브레이크아암(4) 및 지주(14)가 주축(3) 주위로 회동한다. 지주(14)의 하부판(14a)에는 수용판(14c)이 돌출하여 설치되어 있고, 그 윗면에 잠금쇠(21)의 다리부(21c)가 맞닿는다. 지주(14)와 함께 수용판(14c)이 회동하면 도 13과 같수용판(14c)의 경사부가 다리부(21c)를 밀어올리는 방향으로 작용한다.
또, 이때 잠금쇠(21)가 상승하여 분기점(21b)이 가이드부재(18)의 홈(18a)과 분리되어 잠금이 해제된다. 이 때문에 가이드부재(18)의 이동이 자유로워진다.
브레이크 페달(2)을 더 밟으면 도 14와 같이 지주(14) 및 수용판(14c)이 회동하고, 잠금쇠(21)의 다리부(21c)가 변환기(20), 페달력 변환기(15) 및 제1 직립부재(10)를 동시에 회동시킨다.
이 때 액셀 페달(5)도 동시에 회동하는데, 요동핀(6) 주위의 회동이 아니기 때문에 액셀 와이어(7)가 당겨지지 않는다. 즉 브레이크 페달(2)의 제동력만이 작용한다. 또한 브레이크 페달(2)과 액셀 페달(5)은 동기하여 회동하게 되기 때문에 상대적인 위치가 초기상태와 대략 동일해진다.
다음으로 변환기에서 분리된 회동 스토퍼를 구비한 실시예를 도 15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5는 변환기에서 분리된 회동 스토퍼를 구비한 액셀 페달 오동작해소장치의 요부측면도이다. 회동 스토퍼(24)는 변환기(25)의 하단돌출부(25a)의 지주(14)에 맞닿을 수 있는 돌기로, 페달력 변환기(15)의 지주(14)에 돌출되게 설치한다.
회동 스토퍼(24)는 잠금쇠(21)의 분기점(21b)이 가이드부재(18)의 홈(18a)과 분리된 후, 변환기(25)가 더 끌려 올라가는 것(회동)을 저지하는 것으로 어떤 부재에 장치해도 좋다.
브레이크 페달을 밟을 때에 페달력 전달부재와 연동하지 않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 구성의 경우, 지주에는 수용판을 설치하지 않는다. 이 실시형태에서 브레이크 페달을 밟을 때의 작용을 도 16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6은 다른 실시예의 브레이크 페달을 밟은 직후의 액셀 페달 오동작해소장치의 페달력 전달부재의 요부측방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6에서 도 1과 같은 구성 및 작용을 나타내는 부재는 동일 부호를 붙여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브레이크 페달(2)을 밟으면 주축(3) 주위에 브레이크아암(4) 및 지주(14)가 회동한다.
이때 지주(14)의 걸이핀(13)은 페달력 전달부재(8) 쪽의 모든 부재를 지지하는데, 중력방향으로 지지할 뿐 회동하지 않는다. 또 잠금쇠(21)의 분기점(21b)이 가이드부재(18)의 홈(18a)에 결합되어 잠금상태가 되기 때문에, 페달력 전달부재(8)의 이동은 거의 없어 액셀 와이어(7)에 작용하지 않는다.
이때문에 브레이크 페달(2) 밟기는 거의 단독 조작되고 액셀 페달(5)은 이동하지 않는다.
다음으로 다른 실시예를 도 17~20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7은 또 다른 실시예의 액셀 페달 오동작해소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8은 제1 취부금구에 장치되는 페달력 전달부재의 요부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19는 액셀 연계기구의 요부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20은 가이드케이스에 연결하는 부재의 관련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7과 같이 액셀 페달 오동작해소장치(101)는 일단부에 브레이크 페달(102)을 고정하고, 타단부를 주축(103)에 설치하며 회동운동에 의해 제동조작을 하는 브레이크아암(104), 일단부에 액셀 페달(105)을 고정하고 중간에 요동핀(106)을 삽입하며, 타단부에 액셀 와이어(107)를 걸어 연결하는 페달력 전달부재(108)를 갖는다.
페달력 전달부재(108)는 액셀 페달(105)을 일단부에 고정한 굴곡 형태의 요동부재(109)를 갖고, 요동부재(109)의 굴곡부는 요동핀(106)을 삽입하여 회동이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굴곡부 위쪽 부분은 제1 직립부재(110)를 구성한다.
브레이크아암(104)은 아암 굴곡부 근방에서 페달력 전달부재(108) 쪽으로 튀어나온 제1 취부금구(111)를 갖추고 동시에 브레이크 페달(102) 바로 위에 보조 브레이크(112)를 장치하기 위한 제2 취부금구(112a)를 탈착가능하게 고정하고, 보조 브레이크아암(112b)의 선단에 고정하는 보조 브레이크 페달(112c)을 브레이크 페달(102)에 병설한다.
제1 취부금구에 설치되는 부재를 도 18을 바탕으로 설명한다. 제1 취부금구(111)는 상부에 걸이핀(113)을 설치한 지주(114)를 돌출부(111b)의 전면에 볼트(111a)로 고정한다. 걸이핀(113)에는 U형 페달력 변환기(115)를 지주(114)의 안쪽에 회동가능하게 설치한다. 지주(114)는 걸이핀(113)에 의해 도 17과 같이 페달력 전달부재(108) 쪽의 모든 부재를 지지하는 구성이다.
페달력 변환기(115)의 양쪽 판 하단에는 구멍을 형성하고 페달 쪽 돌출부의 구멍(115a)에 요동핀(106)을 삽입한다. 페달력 변환기(115)는 지주(114) 전면에 설치되는데, 양측면이 역L형을 이루고 하단에 요동핀(106)을 삽입하여 제1 직립부재(110)를 요동가능하게 지지한다.
요동핀(106)에는 일단부가 제1 직립부재(110)에 연결되는 복귀스프링(106a)을 설치한다. 복귀스프링(106a)은 액셀 페달(105)을 놓았을 때 제1 직립부재(110)를 초기 위치로 되돌리는 작용을 한다. 제1 직립부재(110)의 윗면에는 덮개(110a)를 나사로 고정하고 요동핀(106)의 위쪽에는 연결핀(120)과 페달 연계핀(150)을 액셀 연계기구의 일부를 구성하는 가동부재로 설치한다. 또, 지주(114)의 상부 측방에는 톱니형 래크(160)를 설치한다. 페달력 변환기(115)의 밑변 중앙에는 바닥판(115c)를 설치하고, 가이드케이스(115d)를 직교하여 설치한다(도 17 참조).
도 17과 같이 상단에 액셀 와이어(107)를 연결하고 하단에 액셀핀(116)을 돌출하여 설치하는 제2 직립부재(117)는, 도 18과 같이 페달력 변환기(115)의 페달 반대쪽의 구멍(115b)에 액셀핀(116)을 끼워 회동가능하게 설치한다. 제2 직립부재(117)도 페달력 전달부재(108)의 일부를 구성한다.
페달력 변환기(115)의 가이드케이스(115d)의 내부에는 가이드부재(118)를 수용한다. 가이드부재(118)로부터 노출되는 선단부에 스프링(118a)을 설치하고, 타단부를 가이드케이스(115d) 상부에 고정한다. 가이드부재(118)의 선단은 섀시(119)에 맞닿고, 스프링(118a)이 섀시(119) 방향으로 힘을 준다.
제1 직립부재(110)의 상단 측방에는 액셀 연계기구의 일부를 구성하는 가동부재로 연결핀(120)의 선단을 돌출하여 설치한다. 또, 제2 직립부재(117) 중간에는 액셀 연계기구의 일부를 구성하는 액셀 연계부재로 L형 연계고리(117a)를 제1 직립부재(110) 쪽에 돌출하여 설치한다. 액셀 페달(105)을 밟을 때 제1 직립부재(110)의 연결핀(120)이 연계고리(117a)와 연결, 또는 분리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액셀 연계기구를 도 19를 바탕으로 설명한다. 연결핀(120)은 제1 직립부재(110)의 상단에 삽입되며, 중간에 스프링(120a)이 감겨있고, 제2 직립부재(117) 쪽에 테이퍼형 핀끝(120b)을 갖는다.
연결핀(120)에 일단부가 고정되는 제1 링(121)과 액셀 페달력 조정링(122)이 병설된다. 제1 링(121)에는 페달력 변환기(115)를 거는 걸이핀(113)을 끼우는 긴구멍(121a)이 있고, 스프링(120a)에 의해 연결핀(120)과 제1 링(121)은 제2 직립부재(117)쪽으로 밀린다.
제1 링(121)의 윗부분에 단차를 갖는 판(121b)을 나사로 고정한다. 판(121b)의 돌출부는 연결핀 삽입부의 일부를 구성하고, 돌출부가 페달력 변환기(115)의 윗부분의 롤러(115e)에 걸려, 제1 링(121)과 연결핀(120)을 안쪽으로 밀게 된다.
제1 링(121) 하부에는 후술하는 변환기(123)를 회동시키기 위한 삽입부재(121c)가 있다. 제1 링(121)은 제1 직립부재(110) 상단과 걸이핀(113)을 적당하게 연결하여, 제1 직립부재(110)의 회동각도에 대응하여 양자의 연동시키는 연계연결부재를 구성한다.
액셀 페달력 조정링(122)의 일단부에 연결핀(120)을 끼우고, 동시에 위 돌출판(122a)과 아래 돌출판(122b) 사이에 걸이핀(113)을 교차위치변동가능하게 삽입한다. 아래 돌출판(122b)에는 삼각돌기(122c)를 설치하고, 위 돌출판(122a)에는 조정판(122d)과 조정판삽입부재(122e)를 설치한다.
삼각돌기(122c)는 걸이핀(113)이 연결핀(120) 반대쪽으로 움직일 때는 걸이핀(113)을 받쳐주지만 반대쪽으로 움직일 때는 회전하여 이동을 가능케하는 부재이다.
제1 링(121)과 액셀 페달력 조정링(122)을 설치한 연결핀(120)의 아래쪽에는 페달 연계핀(150)을 설치한다. 페달 연계핀(150)은 핀(150a) 및 테이퍼형 선단(150b)을 구비하고, 핀(150a)에는 제1 링(121)의 바깥쪽에 병렬되는 봉(150c)을 고정하고 동시에 제2 직립부재(117)쪽으로 힘을 주는 스프링(150d)을 감아 부착한다.
페달 연계핀(150)의 테이퍼형 선단(150b)은 톱니형 래크(160)에 맞물려 걸리는 한편 톱니경사면을 따라 이동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가이드케이스(115d)는 페달력 변환기(115)의 밑변 중앙에 설치되는 바닥판(115c)에 나사로 고정되는데, 케이스 측면에는 삽입개구부(115f), 액셀핀구멍(115g), 요동핀구멍(115h)를 형성하고, 최상단 판에는 후술하는 변환기(123)를 지지하기 위한 변환기 지지부재(115i)를 설치한다.
가이드케이스를 도 20을 바탕으로 상세하게 설명하다. 가이드케이스(115d) 내부에는 롤러(115j)를 설치하여 가이드부재(118)를 전동 지지한다. 가이드부재(118)는 측면에 측면 돌출판(118b)이 달려있고, 가이드케이스(115d)의 삽입개구부(115f)를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가이드케이스(115d)의 후단에는 지주(114)에 걸리는 스토퍼(170)를 설치한다.
가이드부재(118)는 중간에 홈(118c)을 형성하고, 가이드부재(118)의 선단부에 설치되는 스프링(118a)의 타단부는 변환기 지지부재(115i) 내부에 고정한다.
변환기 지지부재(115i)는 변환기(123)와 관련 부재들을 지지하는 것으로 판을 구부려 가공한 것이다.
변환기(123)는 L형의 수평부(123a)와 직립부(123b)로 이루어지고, 그 교차부를 축(123c)에 고정한다. 축(123c)은 변환기 지지부재(115i)의 페달 쪽에 설치하는 베어링(115k)을 지지한다. 수평부(123a) 선단에는 잠금쇠(124)를 회동가능하게 연결한다.
잠금쇠(124)는 하부연결부를 가이드케이스(115d)의 윗면에 형성하는 개구부(115l)로부터 하강하고, 가이드부재(118)의 홈(118c)과 결합 또는 분리된다.
변환기(123)를 고정하는 축(123c)에는 코일스프링(123d)을 감고, 변환기(123)를 가이드부재(118)의 홈(118c)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또, 직립부(123b) 선단에는 상술한 제1 링(121)의 삽입부재(121c)가 맞닿을 수 있다.
변환기(123)를 고정하는 축(123c)의 변환기 지지부재(115i) 외부로, 제1 직립부재(117)에 L형 부재(125)의 상단을 고정하고, 브레이크 페달(102) 옆에는 걸이(126)의 상단을 고정한다.
L형 부재(125) 하단에는 테이퍼 돌출면(125a)을 형성한다. 걸이(126) 하단에는 수평부재(127)를 연결하고, 수평부재(127)의 선단에는 봉모양 연결부재(128)를 결합한다. 연결부재(128)는 지주(114)의 하단부를 관통하고, 연결부재의 돌출부에 너트(128a)를 조인다.
수평부재(127)에는 걸이(126)의 하단을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하는 긴구멍(127a)을 형성한다.
변환기 지지부재(115i)의 바깥면 제2 직립부재(117)에는 내부 연결핀 삽입부(129)를 설치할 수 있는 구멍(115n)을 형성한 돌출지지판(115m)을 설치한다. 또, 변환기 지지부재(115i)의 상단에는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페달력 변환기(115)의 배면돌출판(115o)에 결합되는 설치판(115p)을 돌출하여 설치한다.
이와 같이 가이드케이스(115d) 및 가이드케이스에 고정되는 변환기 지지부재(115i)는 페달력 변환기(115)의 바닥판(115c) 및 배면돌출판(115o)에 각각 결합되기 때문에 페달력 변환기(115)와 일체화된다.
내부연결핀삽입부(129)는 구멍(115n)에 삽입되는 축(129a), 상단과 직교하는 기둥(129b), 축(129a)에 감겨 기둥(129b)의 상단을 바깥으로 회동시키는 코일스프링(129c)을 갖는다. 내부연결핀삽입부(129)는 축(129a)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한 T형 부재이다.
기둥(129b) 하단에는 가이드부재(118)의 측면 돌출판(118b) 또는 L형 부재(125)의 테이퍼 돌출면(125a)에 맞닿아서 기둥(129b) 상단을 안쪽으로 회동시키는 전동부재(129d)를 설치하고, 기둥(129b) 위쪽에는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페달 연계핀(150)의 핀(150a)에 고정되는 봉(150c)이 관통하는 긴구멍(129e)과 제1 링(121)에 연결할 수 있는 선단부(129f)을 형성한다.
이상 설명한 각 부재를 조립한 액셀 페달 오동작해소장치의 조립도를 도 21~26에 나타낸다. 도 21은 액셀 페달 오동작해소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22는 도 21의 아랫부분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3은 도 22의 XXIII-XXIII선 단면도이고, 도 24는 도 22의 XXIV-XXIV선 단면도이며, 도 25는 도 22의 XXV-XXV선 단면도, 도 26은 도 22의 XXVI-XXVI선 단면도이다.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페달 연계핀(150)의 핀(150a)에는 테이퍼형 선단(150b)이 형성되어있다. 핀(150a)은 제1 직립부재(110) 안쪽에서 횡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축되어 있고, 내부 연결핀 삽입부(129)의 기둥(129b)의 긴구멍(129e)이 바깥쪽에 위치할 때 봉(150c)에는 미는 힘이 작용하지 않기 때문에 핀(150a)에 감긴 스프링(150d)의 작용으로 테이퍼형 선단(150b)의 선단은 제1 직립부재(110) 안쪽에 위치한다.
이때 내부 연결핀 삽입부(129)의 전동부재(129d)는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이드부재(118)의 측면 돌출판(118b)에 올라가지 못하고, 또 L형 부재(125)의 테이퍼 돌출면(125a)도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동부재(129d)를 밀어올리지 못한다. 따라서 내부 연결핀 삽입부(129)의 기둥(129b) 상단은 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깥쪽으로 회동한다.
한편, 내부 연결핀 삽입부(129)의 전동부재(129d)가 가이드부재(118)의 측면 돌출판(118b)에 올라가거나 L형 부재(125)의 테이퍼 돌출면(125a)이 전동부재(129d)를 밀어올려서 내부 연결핀 삽입부(129)의 기둥(129b)의 긴구멍(129e) 및 선단부(129f)가 안쪽으로 회동하면 봉(150c) 및 제1 링(121)을 밀어넣게 된다.
봉(150c)을 밀어넣으면 도 21과 같이 핀(150a)이 톱니형 래크(160) 쪽으로 이동하고, 테이퍼형 선단(150b)이 제1 직립부재(110)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래크(160)에 맞물린다.
톱니형 래크(160)에 의해, 페달 연계핀(150)의 페달 쪽으로의 이동은 규제되는 반면, 페달 반대쪽으로의 이동은 테이퍼형 선단(150b)이 톱니 경사면을 따라 움직일 수 있게 되어 있다.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환기(123)의 수평부(123a) 선단에 거는 잠금쇠(124)는 하부연결부를 가이드부재(118)의 홈(118c)에 결합 또는 분리하는 것으로, 홈(118c)과 가이드케이스(115d)의 윗면에 설치되는 벽체(115q) 사이에서 하부연결부가 구속되면 가이드부재(118)는 이동할 수 없게 된다.
변환기(123)가 회동하거나 브레이크 페달을 밟을 때 잠금쇠(124)와 가이드부재(118)의 홈(118c)은 분리된다. 브레이크아암(104)의 제1 취부금구(111)의 돌출부(111b)에 고정되는 지주(114)의 아래쪽에는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부재(128)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브레이크아암(104)의 움직임에 따라서 지주(114)가 회동하여 연결부재(128) 및 수평부재(127)를 끌어내어 걸이(126)를 경사 전방으로 회동시키고, 변환기(123)를 회동시킨다.
도 26에 내부 연결핀 삽입부(129)의 기둥(129b)의 긴구멍(129e)이 봉(150c)에 맞닿고, 기둥(129b)의 선단부(129f)가 제1 링(121)에 맞닿는 상대를 나타낸다.
다음으로 액셀 페달 오동작해소장치(101)의 액셀 페달을 밟을 때의 작용을 도 27~34에 기인하여 설명한다. 도 27은 액셀 페달을 밟기 전의 액셀 페달 오동작해소장치의 개략측면도이고, 도 28은 액셀 페달을 밟기 전의 액셀 페달 오동작해소장치의 일부를 생략한 평면도이며, 도 29는 액셀 페달을 통상범위에서 밟을 때의 액셀 페달 오동작해소장치의 개략측면도, 도 30은 액셀 페달을 통상범위에서 밟을 때의 액셀 페달 오동작해소장치의 일부를 생략한 평면도, 도 31은 액셀 페달을 통상범위를 넘어서 밟았을 때의 액셀 페달 오동작해소장치의 개략측면도, 도 32는 액셀 페달을 통상범위를 넘어 밟았을 때의 액셀 페달 오동작해소장치의 일부를 생략한 평면도, 도 33은 액셀 페달을 과잉범위까지 밟았을 때의 액셀 페달 오동작해소장치의 개략측면도, 도 34는 액셀 페달을 과잉범위까지 밟은 후, 브레이크 페달과 일체화했을 때의 액셀 페달 오동작해소장치의 개략측면도이다.
페달력 변환기(115)에는 변환기(123)와 변환기에 연결되는 잠금쇠(124) 및 가이드부재(118)가 연결되고, 액셀 페달을 밟기 전에는 도 27과 같이 잠금쇠(124)의 하부연결부가 가이드부재(118)의 홈(118c)에 결합된다.
이때 도 2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직립부재(110)의 상단을 관통하는 연결핀(120)은 스프링(120a)의 미는 힘으로 핀끝(120b)을 제2 직립부재(117)로 돌출시키고, 핀끝(120b)은 제2 직립부재(117)의 연계고리(117a)와 결합된다.
또, 스프링(120a)이 누르는 제1 스프링(121)의 판(121b)은 페달력 변환기(115)의 상단에 설치되는 롤러(115e)와 접촉하는데, 판(121b)의 돌출부에는 닿지 않는다.
이 상태에서 액셀 페달(105)을 밟으면, 요동핀(106)을 통해 페달력 변환기(115)가 섀시(119) 쪽으로 밀려 페달력 변환기(115)에 고정되는 가이드케이스(115d)의 벽체(115q)가 잠금쇠(124)의 수직 배면에 맞닿는다. 잠금쇠(124)는 가이드부재(118)의 홈(118c)과 페달력 변환기의 벽체(115q)에 끼인 상태가 되고, 가이드부재(118)에는 섀시(119) 방향으로의 하중이 작용하는데, 선단이 섀시(119)에 맞닿아 이동할 수 없게 되기 때문에 잠금쇠(124)의 이동도 억제된다.
따라서 변환기(123), 페달력 변환기(115), 지주(114) 및 브레이크아암(104)의 이동이 억제되고, 결국 요동핀(106)의 위치가 부동상태가 되어 도 29와 같이 제1 직립부재(110)의 요동핀(106) 주위가 요동한다.
이에 따라 제2 직립부재(117)는 제1 직립부재(110)의 연결핀(120)의 핀끝(120b)과 연계고리(117a)가 결합되기 때문에, 액셀 페달(105) 밟기에 따라서 제1 직립부재(110)와 제2 직립부재(117)는 동기하여 회동한다.
액셀 페달(105)을 통상범위의 한계까지 밟은 경우에는, 도 30과 같이, 핀끝(120b)은 연계고리(117a)에 아직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제2 직립부재(117)는 액셀 와이어(107)를 끌어당길 수 있어 통상의 차량의 시동, 발진, 가속 및 정속운전이 가능하다.
이때, 제1 직립부재(110)과 페달력 변환고리(115)의 상단 간격이 벌어지기 때문에 롤러(115e)는 판(121b)의 돌출부 방향으로 이동하고 서서히 스프링(120a)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제1 링(121)과 연결핀(120)을 밀어 이동시킨다.
롤러(115e)가 판(121b)의 돌출부 선단 근방까지 진행하면, 연결핀(120)의 핀끝(120b)은 제1 직립부재(110) 안으로 들어가고, 연계고리(117a)가 분리된다.
양자가 분리될 때의 상세를 도 31~32을 바탕으로 설명한다. 연결핀(120)의 핀끝(120b)과 연계고리(117a)가 분리되면, 제2 직립부재(117)는 액셀 와이어(107)의 인장력으로 초기 위치로 되돌아가고 동시에 연료공급을 정지한다. 또한, 통상의 액셀 페달을 밟는 범위에서 양자는 분리되지 않고 최대로 밟을 때에 근접했을 때만 분리된다.
그 후 액셀 페달(105) 밟기를 멈추면, 요동핀(106)에 감겨있는 복귀스프링(106a)의 작용에 의해 제1 직립부재(110)는 초기 위치방향으로 회동한다. 제1 직립부재(110)와 페달력 변환고리(115)의 상단 간격이 좁아지면 페달력 변환고리(115)의 롤러(115e)는 제1 링(121)의 판(121b)의 돌출부로부터 떨어지고, 연결핀(120)은 스프링(120a)에 의해 다시 제1 직립부재(110)의 바깥으로 돌출된다.
핀끝(120b)과 연계고리(117a)의 거리가 가까워져 테이퍼 가공부가 맞닿으면 스프링(120a)이 다시 줄어들고 연결핀(120)이 이동하여 제1 직립부재(110) 안으로 들어간 후, 스프링(120a)에 의해 돌출되고, 양자는 결합되어 초기상태로 이행한다.
그런데, 자동차운전 시에 긴급돌발 사태가 발생했을 때에는 브레이크 페달(102)을 밟지 않고 액셀 페달(105)을 더욱 밟아버리는 경우가 있다. 제1 직립부재(110)와 제2 직립부재(117)가 분리된 후, 액셀 페달(105)을 더 밟게 되면 제1 직립부재(110)는 요동핀(106) 주위를 더욱 요동한다. 이때의 상세를 도 33, 34를 바탕으로 설명한다.
액셀 페달(105)을 밟아서 제1 직립부재(110)의 요동핀(106) 주위의 요동이 커지면, 제1 링(121) 아래에 돌출설치한 변환기 회동부재인 삽입부재(121c)가 변환기(123)의 직립부(123b) 선단에 맞닿아서 변환기(123)를 회동시킨다.
변환기(123)가 제1 직립부재(110)와 동기하여 요동하면 변환기(123)는 페달력 변환기(115)의 베어링(115k) 주위에 회동하기 시작하고, 도 33과 같이, 잠금쇠(124)를 끌어올려 하부연결부가 가이드부재(118)의 홈(118c)과 분리되고, 가이드부재(118)에는 섀시(119) 방향으로의 하중이 작용하지 않게 된다.
이때, 제1 링(121)의 긴구멍(121a)의 한 내면이 걸이핀(113)과 맞닿는다. 긴구멍(121a)의 한 내면에는 제1 링(121)의 후단에 설치되는 조정나사(121d)의 선단을 돌출시키고, 제1 직립부재(110)가 회동하여 액셀 연계부재와 가동부재가 분리될 때에 선단이 걸이핀(113)과 맞닿도록 조정나사(121d)를 조이는 정도를 조정한다.
맞닿는 상태가 계속되면 페달 연계기구가 작용하고, 도 34와 같이 제1 직립부재(110), 지주(114) 및 브레이크아암(104)은 일체로 동작하게 된다. 즉, 액셀 페달(105)을 더 밟으면 브레이크 페달(102)이 밟히게 되고, 액셀 페달(105)을 밟는 힘에 따라 브레이크 페달(102)이 밟혀 제동이 확실하게 이루어진다.
이때 가이드부재(118)의 일단부는 제1 직립부재(110) 및 페달력 변환기(115)의 움직임에 맞춰서 섀시(119)면에 닿는다. 일단부에는 롤러를 설치하여 구를 수 있도록 해도 좋다.
액셀 페달(105) 밟기를 멈추면 제1 직립부재(110)가 초기위치로 되돌아가기 때문에 연계연결부재인 제1 링(121)과 걸이핀(113)의 연결이 해소되고, 변환기(123), 페달력 변환기(115), 지주(114), 브레이크아암(104) 및 브레이크 페달(102)은 초기위치로 되돌아가 제동력도 저감되고 소멸한다. 또, 잠금쇠(124)도 하강하여 하부연결부가 가이드부재(118)의 홈(118c)에 결합되어 잠금상태가 되고, 페달력 변환기(115)의 이동이 억제된다.
다음으로 브레이크 페달을 밟을 때의 작용을 도 35~39를 바탕으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5는 브레이크 페달을 밟은 직후의 액셀 페달 오동작해소장치의 페달력 전달부재의 요부측방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36은 내부 연결핀 삽입부의 배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37은 페달 연계핀 및 지주 돌출부의 관련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38은 내부 연결핀 삽입부, 페달 연계핀 및 지주 돌출부의 관련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39는 브레이크 페달을 밟은 후 액셀 페달 오동작해소장치의 페달력 전달부재의 요부측방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브레이크 페달(102)을 밟으면 도 35와 같이 브레이크아암(104), 취부금구(111) 및 돌출부(111b)에 고정하는 지주(114)가 주축(103) 주위로 회동한다. 지주(114)의 아래에는 연결부재(128)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브레이크아암(104)의 움직임에 따라 지주(114)가 회동하여 연결부재(128) 및 수평부재(127)를 당기고 이에 따라 걸이(126)가 경사 전방으로 회동하여, 변환기(123)를 회동시킨다.
변환기(123)가 회동하면, 잠금쇠(124)를 끌어올려 하부연결부가 가이드부재(118)의 홈(118c)과 분리되고, 가이드부재(118)에는 섀시(119) 방향으로의 하중이 작용하지 않게 된다. 이 때문에 가이드부재(118)의 이동이 자유롭게 된다.
브레이크 페달(102)을 더 밟으면 지주(114)의 하부배면이 가이드케이스(115d)의 후단에 설치되는 스토퍼(170)에 맞닿게 되고, 지주(114), 변환기(123), 가이드케이스(115d)를 설치하는 페달력 변환기(115), 제1 직립부재(110)를 브레이크 페달(102)을 밟을 때 동시에 회동시키게 된다.
브레이크 페달(102)을 밟을 때의 회동력은 당초 연결부재(128)에 작용하는데, 지주(114)와 스토퍼(170)가 이동하여 맞닿으면 브레이크아암(104) 및 지주(114)의 회동력은 페달력 변환기(115)에 작용하게 되어 변환기(123)에 하중이 집중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변환기(123)를 고정하는 축(123c)이 회동하면, 도 36과 같이 L형 부재(125)의 테이퍼 돌출면(125a)이 내부 연결핀삽입부(129)의 전동부재(129d)를 밀어올린다. 이 때문에 기둥(129b)의 선단이 안쪽으로 회동하게 된다.
이때 도 37과 같이 기둥(129b)의 긴구멍(129e)에 봉(150c)을 넣으면 핀(150a)이 톱니형 래크(160)쪽으로 이동해, 테이퍼형 선단(150b)이 제1 직립부재(110)의 바깥으로 돌출되어 래크(160)에 맞물린다.
이 결합으로 지주(114)와 제1 직립부재(110)의 회동이 동기하고, 브레이크 페달(102)과 액셀 페달(105)의 회동을 동시에 할 수 있다. 또, 기둥(129b)의 선단이 안쪽으로 회동하면 선단부(129f)가 스프링(120a)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제1 링(121) 및 연결핀(120)을 밀어 이동한다. 연결핀(120)의 핀끝(120b)이 제1 직립부재(110) 안으로 들어가고, 연계고리(117a)가 분리된다. 핀끝(120b)과 연계고리(117a)가 분리되면, 제2 직립부재(117)는 액셀 와이어(107)의 인장력으로 초기위치로 되돌아가고 동시에 연료공급을 정지한다.
이 상태를 도 39에 나타낸다. 브레이크 페달(102)과 액셀 페달(105)은 동기하여 회동하는데, 요동핀(106) 주위는 회동하지 않고, 제2 직립부재(117)가 초기위치로 되돌아가 있기 때문에 액셀 와이어(107)는 당겨지지 않고 브레이크의 제동력만이 작용하게 된다.
다음으로 액셀 페달력 조정링의 작용을 도 40~44를 바탕으로 설명한다. 도 40은 액셀 페달을 밟기 전 액셀 페달력 조정링의 요부측방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1은 액셀 페달을 통상범위 내에서 밟았을 때 액셀 페달력 조정링의 요부측방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42는 액셀 페달을 통상범위를 넘어서 밟았을 때의 액셀 페달력 조정링의 요부측방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43은 액셀 페달을 통상범위를 넘어서 계속 밟았을 때의 액셀 페달력 조정링의 요부측방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44는 액셀 페달 밟기를 멈춘 후의 액셀 페달력 조정링의 요부측방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액셀 페달력 조정링(122)의 위 돌출판(122a)은 대응하는 두 개의 판을 갖고, 내부에 조정판(122d)을 수용한다. 조정판(122d)의 바깥 단부에는 코일스프링(122f)을 감은 조정나사(122g)로 이루어진 조정판삽입부재(122e)를 관통하고, 조정나사(122g)의 선단부를 아래 돌출판(122b) 후단부에 나사결합한다. 조정나사(122g)의 조임 높이를 조정하여 조정판(122d)을 밀어올리는 힘을 변화시킨다.
아래 돌출판(122b)은 중간에 구멍(122h)을 형성하고 내부에 삼각돌기(122c)를 수납한다. 삼각돌기(122c)의 꼭지점은 구멍(122h) 위로 튀어나오고 하단 꼭지점을 지지한다. 하단 꼭지점의 아랫면에는 위쪽으로 밀리는 판(122i)이 걸린다.
구멍(122h) 위로 튀어나오는 꼭지점은 구멍 벽면에 걸린다. 페달력 조정 조정링(122)과 걸이핀(113)의 상대위치는 요동부재(109)의 요동각도에 따라 변하고, 액셀 페달을 밟으면 도 41의 위치까지 이동하며, 걸이핀(113)이 삼각돌기(122c)에 맞닿게 된다. 맞닿는 포인트는 연결핀(120)을 밀어 제1 직립부재(110)와 제2 직립부재(117)가 분리되기 직전으로 설정한다.
여기서 더 밟으면, 삼각돌기(122c)가 바깥으로 이동하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걸이핀(113)이 삼각돌기(122c)의 경사를 따라 상승하게 된다. 이때 윗면의 조정판(122d)에 맞닿아 코일스프링(122f)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조정판을 밀어올린다. 밀어올릴 때의 저항력이 액셀 페달의 저항이 되기 때문에 액셀 페달을 과도하게 밟는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이 시점에서 액셀 페달을 느슨하게 하지 않고 더 밟게되면 도 42와 같이 걸이핀(113)이 이동하고 동시에 연결핀(120)이 밀어넣어져 연계고리(117a)와의 결합이 해제되고 제1 직립부재(110)와 제2 직립부재(117)가 분리된다. 도 43과 같이 걸이핀(113)이 삼각돌기(122c)를 넘어서 구멍(122h) 전방으로 이동하면 조정판(122d)은 밀려 올라가지 않고 초기위치로 되돌아간다.
그 후 액셀 페달을 느슨하게하고 제1 직립부재(110)를 초기위치방향으로 회동시키면 도 44와 같이 걸이핀(113)은 액셀 페달력 조정링(122) 내부를 반대로 돌아가고, 이번에는 삼각돌기(122c)의 꼭지점을 바깥에서 안으로 밀어 판(122i)을 밀어 내리면서 회전한다. 이로 인해 페달력 조정 조정링(122)과 걸이핀(113)의 상대위치는 초기위치로 되돌아간다.
걸이핀(113)을 지난 삼각돌기(122c)는 하단 꼭지점에 걸린 판(122i)에 의해 회전하여 구멍(122h) 위로 튀어나온 꼭지점이 구멍 벽면에 걸려 초기위치로 되돌아간다.
다음으로 보조 브레이크아암의 구성을 도 45를 바탕으로 설명한다. 도 45는 브레이크 페달의 사시도이다. 브레이크 페달(102)의 바로 위에 탈착가능하게 고정하는 제2 취부금구(112a)는 보조 브레이크아암(112b)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보조 브레이크아암(112b)의 선단에 고정되는 보조 브레이크 페달(112c)을 브레이크 페달(102)에 병설함으로서 액셀 페달에서 바꿔 밟지 않고 양발을 사용하여 쉽게 브레이크 조작을 한다.
옵션기능으로 오토매틱 차량에는 없는 클러치페달 위치에 긴급비상용 보조 브레이크 페달을 원터치로 탈착가능하게 설치하고, 돌발적인 패닉에 따른 전신경직상태에서 브레이크와 액셀 페달을 동시에 밟아 더욱 빨리 정지할 수 있기 때문에 사고를 최소 또는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는 동시에 페달력이 발생할 때에 액셀 페달력이 액셀 와이어에 미치지 않도록 하는 액셀기능 소멸기구를 구비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전기적 조작을 이용하는 액셀 페달 오동작해소장치의 실시예를 도 46 및 도 47에 나타낸다. 도 46은 액셀 페달 및 보조 브레이크 페달에 전기조작회로를 연결하는 액셀 페달 오동작해소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47은 도 46의 화살표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이 실시예의 액셀 페달 오동작해소장치(201)는 변환기(123)의 교차부에 인접하게 축(123c)에 상단을 고정하고 하단에 테이퍼 돌출면(125a)이 형성된 L형 부재(125)에 더해 걸이(126) 쪽에 원호형 부재(130)가 배치된다.
원호형 부재(130)도 상부를 축(123c)에 고정한 것으로, 하단에 솔레노이드(131)의 가동 철심(131a)이 맞닿아 있다. 솔레노이드(131)는 액셀 페달(105)의 측부에 설치되는 밟기조작부(132)와 조작회로(133)에 연결된다. 또, 보조 브레이크 페달(112c)에도 제2 밟기조작부(134)를 설치하고, 조작회로(133)에 연결한다. 제2 밟기조작부(134)는 보조 브레이크 페달(112c)을 밀 때 작동하는 것으로, 보조 브레이크 페달(112c) 조작시에는 브레이크 페달(105)은 작동하지 않는 상태로 된다.
밟기조작부(132)는 액셀 페달(105)보다 돌출된 발받침(132a)과 발의 이동으로 조작가능한 지렛대(132b)를 구비하고, 지렛대(132b)의 이동으로 조작회로(133)의 스위치(133a)를 넣고, 솔레노이드(131)의 가동철심(131a)을 밀어낸다.
가동철심(131a)이 밀리면 원호형 부재(130)는 변환기(123)를 회동시키고, L형 부재(125)의 테이퍼 돌출면(125a)이 내부 연결핀삽입부(129)의 기둥(129b) 하단의 전동부재(129d)에 맞닿아 제1 링(121)과 연결핀(120)을 밀어넣어서 제1 직립부재(110)와 제2 직립부재(117)를 분리시킨다.
이상 설명한 액셀 페달 오동작해소장치는 운전자의 자동차를 정지시키고자 하는 의지에 기초하여 액셀 페달을 잘못 밟더라도 브레이크 페달로 바꿔 밟는 것보다 빠르고 확실하게 정지할 수 있기 때문에, 잘못 밟아 사고가 나는 일이 없어진다.
액셀 페달을 밟아 가속중에도 왼발로 브레이크 페달을 조금 밟아 액셀 기능을 소멸시키고, 오른발로 가속중인 액셀 페달은 브레이크 페달 기능으로 자동적으로 변환되기 때문에 브레이크 페달로 바꿔밟지 않고 액셀 페달과 동시에 밟아 빠르게 정지할 수 있고, 사고를 최소 또는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일반 차량에 적용하는 경우에는, 기존의 액셀 페달을 교환하는 것만으로 작업이 끝나기 때문에, 설치시간은 4~5분 정도면 완료할 수 있다.
산업상의 이용가능성
액셀 페달 오동작해소장치는 기존의 일반차량에 간단하게 설치가능하고 널리 자동차사고방지에 기여한다.
1 액셀 페달 오동작해소장치
2 브레이크 페달
3 주축(樞軸)
4 브레이크아암
5 액셀 페달
6 요동핀
7 액셀 와이어
8 페달력 전달부재
9 요동부재
10 제1 직립부재
11 복귀스프링
12 취부금구
13 걸이핀
14 지주
14c 수용판(受板)
15 페달력 변환기
15d 베어링
16 액셀핀
17 제2 직립부재
17a 연계고리
18 가이드부재
18a 홈
19 섀시
20 변환기
20a 분기부
21 잠금쇠
21b 분기점
22 연결핀
22a 스프링
23 링

Claims (17)

  1. 일단부에 브레이크 페달을 고정하고 타단부를 주축에 설치하며, 회동운동에 의해 제동조작을 하는 브레이크아암, 일단부에 액셀 페달을 고정하고 중간에 요동핀을 삽입하며, 타단부에 액셀 와이어를 걸어 연결하는 페달력 전달부재, 페달력 전달부재의 일부를 구성하여 페달을 밟는 힘인 페달력을 액셀 와이어에 전달하거나 그 전달을 해제하는 액셀 연계기구, 및 페달력 전달을 해제할 때 액셀 페달의 밟는 힘을 브레이크 페달을 밟는 힘으로 변환하는 페달 연계기구를 구비하는 액셀 페달 오동작해소장치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아암은 아암 굴곡부 근방에서 페달력 전달부재쪽으로 돌출하는 취부금구와, 취부금구에 고정되고 상부에 걸이핀이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지주와, 걸이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하단의 페달쪽 돌출부에 상기 요동핀이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페달력 변환기를 구비하고;
    상기 페달력 전달부재는, 상기 요동핀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액셀 페달을 놓았을 때 초기 위치로 되돌아가는 복귀스프링을 갖는 제1 직립부재와, 상기 페달력 변환기의 하단부의 페달 반대쪽에 하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단부에 상기 액셀 와이어가 연결되는 제2 직립부재를 가지며;
    상기 액셀 연계기구는 제2 직립부재의 중간에 설치되는 액셀 연계부재와, 제1 직립부재에 설치되어 제1 직립부재의 회동 각도에 대응하여 액셀 연계부재에 연결되거나 분리되는 가동부재를 갖고;
    상기 페달 연계기구는 상기 페달력 변환기를 관통하여 일단부가 벽체에 맞닿는 가이드부재와, 상기 걸이핀과 제1 직립부재 상단에 연결되고 제1 직립부재의 회동각도에 따라 걸이핀과 제1 직립부재를 연동하는 연계연결부재와, 상기 페달력 변환기의 중간에 설치된 베어링에 지지되는 변환기와, 상기 연계연결부재의 회동시에 변환기에 맞닿아서 변환기를 회동시키는 변환기회동부재와, 상기 변환기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하부연결부가 상기 가이드부재의 홈에 맞물리거나 분리되는 잠금쇠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셀 페달 오동작해소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페달력 변환기에 대해 움직이게 지지되고 상기 벽체에 맞닿는 스프링을 구비하며, 가이드부재의 선단부가 벽체에 맞닿아 움직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셀 페달 오동작해소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액셀 연계기구는 제1 직립부재쪽으로 연계고리가 돌출되어 있는 액셀 연계부재와, 상기 연계고리 방향으로 밀려 연계고리에 결합되는 연결핀을 갖는 가동부재와, 연결핀을 상기 제1 직립부재의 회동 각도에 대응하여 밀어내는 연결핀 삽입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셀 페달 오동작해소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페달 연계기구는 연결핀에 일단부가 고정되고 타단부에 긴구멍이 형성된 링을 갖는 연계연결부재와, 베어링 주위의 회동을 억제하는 회동 스토퍼 역할을 하고 걸이핀을 끼울 분기부가 상부에 형성된 변환기와, 변환기의 중간에 돌출된 브레이크핀을 상기 긴구멍에 끼우는 변환기 회동부재를 갖고, 상기 연결핀 삽입부가 링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셀 페달 오동작해소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핀 삽입부는 링의 자유단부쪽에 형성된 굴곡부와, 이 굴곡부에 맞닿을 수 있는 상기 지주의 상부 내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셀 페달 오동작해소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는 수평부와 경사부를 갖는 수용판을 아래쪽에 돌출설치하고, 상기 잠금쇠는 상기 변환기의 하단에 연결되는 하부연결부의 아래쪽에 수용판 위를 구를 수 있는 다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셀 페달 오동작해소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 스토퍼는 상기 페달력 변환기의 상기 벽체에 돌출되게 설치되고 변환기 하단 돌출부의 벽체와 맞닿을 수 있는 돌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셀 페달 오동작해소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페달 연계기구는, 상기 연결핀에 일단부가 고정되고 걸이핀이 통과하는 긴구멍이 타단부에 형성된 제1 링을 갖는 연계연결부재와, 선단에 잠금쇠를 연결한 수평부의 후단에 직립부를 형성하고 수평부와 직립부의 교차부를 축에 고정하며 이 축을 상기 가이드부재의 홈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변환기와, 상기 제1 링의 하부에 돌출되어 상기 직립부 선단에 맞닿는 삽입부재를 구비하는 변환기 회동부재를 갖고, 상기 제1 링에는 상기 연결핀 삽입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셀 페달 오동작해소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핀 삽입부는 상기 제1 링의 자유단부에 형성된 돌출부와, 이 돌출부에 맞닿도록 페달력 변환기의 상단에 형성된 상부 연결핀 삽입부를 갖고, 상기 가이드부재에 형성된 측면 돌출판에 대해 하단부는 구름운동하고 상단부는 상기 제1 링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 기둥의 중간에 돌출된 축을 상기 페달력 변환기에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며, 이 축에 상기 상단부를 바깥쪽으로 밀어 회전시키는 탄성체를 감아두는 내부 연결핀 삽입부를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셀 페달 오동작해소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기의 교차부에 인접되게 상기 축에 상단을 고정하고 하단에 테이퍼 돌출면을 형성하는 L형 부재가 상기 내부 연결핀 삽입부 옆에 설치되고, 상기 축의 회동시에 테이퍼 돌출면이 상기 기둥 하단에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셀 페달 오동작해소장치.
  11. 제8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는 아래쪽에 봉모양 연결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변환기의 교차부에 인접하여 상기 축에 상단을 고정하는 걸이를 설치하며, 상기 걸이의 하단에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수평부재를 연결하고, 상기 연결부재를 수평부재에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셀 페달 오동작해소장치.
  12. 제8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페달력 변환기의 벽체에 상기 지주에 걸리는 스토퍼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셀 페달 오동작해소장치.
  13. 제8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의 상부 측방에 톱니형 돌출부를 설치하고, 상기 제1 직립부재의 연결핀의 아래쪽에는 페달 연계핀을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하며, 페달 연계핀에는 상기 제1 링의 바깥쪽에 병렬되는 봉을 고정함과 동시에 상기 제2 직립부재쪽으로 힘을 주는 탄성체를 감아두고, 이 봉을 상기 내부 연결핀 삽입부의 상기 기둥에 형성된 구멍에 통과시키며, 상기 페달 연계핀은 상기 톱니형 돌출부에 맞물려 걸리면서 톱니 경사면을 따라서는 움직이는 테이퍼형 선단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셀 페달 오동작해소장치.
  1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액셀 연계기구가 액셀 페달력 조정링을 구비하고, 상기 액셀 페달력 조정링은 일단부에는 상기 연결핀을 끼우고 타단부에는 걸이핀을 교차된채 이동 가능하게 끼우는 상하부 돌출부를 형성하고, 걸이핀이 연결핀에서 떨어지는 쪽으로 움직일 때는 걸이핀을 받쳐주되 반대쪽으로 움직일 때는 회전하여 이동을 가능케하는 삼각돌기가 상기 하부 돌출부에 배치되고, 상부 돌출부에는 연결핀에 결합되고 걸이핀이 지지하는 삼각돌기를 타고넘을 때 상승하는 조정판과, 조정판의 외측을 하부 돌출부쪽으로 밀어주는 탄성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셀 페달 오동작해소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아암은 브레이크 페달 바로 위에 설치되는 보조 브레이크아암과, 보조 브레이크아암 선단에 고정되어 상기 브레이크 페달에 병설되는 보조 브레이크 페달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셀 페달 오동작해소장치.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기의 축에 상부가 고정되고 솔레노이드의 가동철심을 하부가 맞닿는 원호형 부재, 상기 액셀 페달의 측부에 설치하는 밟기조작부, 상기 밟기조작부와 솔레노이드에 연결되는 조작회로를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셀 페달 오동작해소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아암은 브레이크 페달 바로 위에 설치되는 보조 브레이크아암과, 브레이크 페달에 나란하게 보조 브레이크아암의 선단에 고정됨과 동시에 제2 밟기조작부를 갖는 보조 브레이크 페달을 구비하고, 상기 제2 밟기조작부가 조작회로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셀 페달 오동작해소장치.
KR1020137034005A 2011-06-10 2012-06-05 액셀페달 오동작 해소장치 KR1013977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130715 2011-06-10
JP2011130715 2011-06-10
PCT/JP2012/064421 WO2012169477A1 (ja) 2011-06-10 2012-06-05 アクセルペダル誤動作解消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4291A KR20140014291A (ko) 2014-02-05
KR101397723B1 true KR101397723B1 (ko) 2014-05-20

Family

ID=47296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34005A KR101397723B1 (ko) 2011-06-10 2012-06-05 액셀페달 오동작 해소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010212B2 (ko)
EP (1) EP2720108B1 (ko)
JP (1) JP5355800B2 (ko)
KR (1) KR101397723B1 (ko)
CN (1) CN103597420B (ko)
HK (1) HK1195139A1 (ko)
WO (1) WO201216947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11414B (zh) * 2016-01-25 2018-07-06 邱伦厚 一种自动挡汽车控制装置
JP6831240B2 (ja) * 2016-12-28 2021-02-17 株式会社ミクニ アクセルペダル装置
JP6205516B1 (ja) * 2017-03-01 2017-09-27 光男 目楠 急発進回避装置
JP6501333B2 (ja) * 2017-04-04 2019-04-17 ナンキ工業株式会社 アクセルペダル誤動作解消装置
CN107444367B (zh) * 2017-08-20 2023-05-12 重庆公共运输职业学院 一种采用夹持方式固定的油门防误踩安全装置及其使用方法
CN107745705B (zh) * 2017-10-16 2023-07-11 重庆公共运输职业学院 一种在异形踏板上安装的防油门误踩装置及其安装方法
JP7280162B2 (ja) * 2019-09-20 2023-05-23 良繁 新垣 補助ブレーキ装置
JP7430365B1 (ja) 2024-01-02 2024-02-13 博 村上 ペダル装置、及びペダル装置を具備する自動車
CN117643507B (zh) * 2024-01-29 2024-04-16 以诺康医疗科技(苏州)有限公司 医疗用机器人控制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85862A (ja) * 1992-01-13 1993-07-27 Toshio Oiwa アクセルペダル誤動作制御装置及び方法
KR20000050924A (ko) * 1999-01-15 2000-08-05 정몽규 운전 교습 자동차용 보조 페달 장치
KR100534877B1 (ko) 1999-11-15 2005-12-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급가속 방지 장치
KR20100007850A (ko) * 2009-12-31 2010-01-22 오승기 페달 오조작 보정기능이 구비된 액셀러레이터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X9600619A (es) * 1994-05-17 1997-08-30 Masaei Watanabe Un dispositivo para prevenir que un acelerador de un vehiculo sea operado erroneamente.
JP2002178782A (ja) * 2000-12-08 2002-06-26 Yukio Katsumura 車両用アクセルペダルの誤動作防止装置
JP3632609B2 (ja) * 2001-03-23 2005-03-2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ペダル装置
JP2003195962A (ja) 2001-12-28 2003-07-11 Kuroishi Tekko Kk 車両用操作ペダルユニット
JP4191476B2 (ja) * 2002-12-27 2008-12-03 株式会社エフテック 車両のペダル前後位置調節装置
JP3934146B2 (ja) * 2003-12-15 2007-06-20 耕二 二村 自動車の暴走防止装置
JP4313233B2 (ja) * 2004-03-19 2009-08-12 豊田鉄工株式会社 車両用ブレーキ装置
DE102009054650A1 (de) * 2009-12-15 2011-06-16 Continental Engineering Services Gmbh Vorrichtung zur Erzeugung einer zusätzlichen Rückstellkraft am Gaspedal und Verfahren zu deren Betrieb
JP5278562B2 (ja) * 2010-01-28 2013-09-04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アクセルペダル踏力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85862A (ja) * 1992-01-13 1993-07-27 Toshio Oiwa アクセルペダル誤動作制御装置及び方法
KR20000050924A (ko) * 1999-01-15 2000-08-05 정몽규 운전 교습 자동차용 보조 페달 장치
KR100534877B1 (ko) 1999-11-15 2005-12-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급가속 방지 장치
KR20100007850A (ko) * 2009-12-31 2010-01-22 오승기 페달 오조작 보정기능이 구비된 액셀러레이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597420B (zh) 2015-02-18
US9010212B2 (en) 2015-04-21
US20140109711A1 (en) 2014-04-24
KR20140014291A (ko) 2014-02-05
CN103597420A (zh) 2014-02-19
HK1195139A1 (en) 2014-10-31
JP5355800B2 (ja) 2013-11-27
JPWO2012169477A1 (ja) 2015-02-23
EP2720108A4 (de) 2017-10-04
WO2012169477A1 (ja) 2012-12-13
EP2720108A1 (de) 2014-04-16
EP2720108B1 (de) 2018-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7723B1 (ko) 액셀페달 오동작 해소장치
JP6044938B2 (ja) 自動車のアクセルペダルとブレーキペダルの踏み間違い防止装置
JP2012166699A (ja) アクセルペダル誤動作解消装置
JP6141503B1 (ja) ペダル装置
JP3217039U (ja) アクセルペダル誤動作解消装置
JP2013039884A (ja) 緊急ブレーキシステム
WO2018186368A1 (ja) アクセルペダル誤動作解消装置
US20040139818A1 (en) Automobile accelerator and brake pedal device
JPH1035441A (ja) 車両の緊急停止安全装置
JP2012083858A (ja) 操作ペダルの支持構造
JPH1120486A (ja) 車両用自動変速機のシフトロック装置
KR20200121033A (ko) 운전자 보호용 페달장치
JP2007140876A (ja) 操作ペダルの支持構造
AU715882B2 (en) Single-pedal system in motor vehicles and a method for forming such a single-pedal system
JP2753405B2 (ja) ペダル機構
JP2967406B2 (ja) 足踏み式パーキングブレーキ装置
JPH07132808A (ja) ペダル機構
JP3221375U (ja) 自動車用アクセルペダルの誤作動防止装置
JP2023062907A (ja) 車両走行制御ペダル
JP2000198368A (ja) アクセルペダルの安全装置
JPH0351252Y2 (ko)
JP6796319B2 (ja) 足踏み式パーキングブレーキ装置
JPH0810052Y2 (ja) パーキングブレーキ装置
JP3996680B2 (ja) 自動変速機のシフトロック装置
JP2002331923A (ja) パーキングブレー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