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50924A - 운전 교습 자동차용 보조 페달 장치 - Google Patents

운전 교습 자동차용 보조 페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50924A
KR20000050924A KR1019990001084A KR19990001084A KR20000050924A KR 20000050924 A KR20000050924 A KR 20000050924A KR 1019990001084 A KR1019990001084 A KR 1019990001084A KR 19990001084 A KR19990001084 A KR 19990001084A KR 20000050924 A KR20000050924 A KR 200000509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al
auxiliary
brake pedal
shaft
clu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10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상대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900010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50924A/ko
Publication of KR200000509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0924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6/00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6/02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o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4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 B60T7/06Disposition of pedal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30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16Control of vehicles or other craft
    • G09B19/167Control of lan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2201/00Particular use of vehicle brake systems; Special systems using also the brakes; Special software modules within the brake system controller
    • B60T2201/03Brake assista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Braking Elements And Transmission Devices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 Arrangement And Mounting Of Devices That Control Transmission Of Motive Fo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페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운전 교습 자동차용 보조 페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클러치 페달과 브레이크 페달과의 연결 구조를 단순화함과 아울러 보조 클러치 페달과 보조 브레이크 페달 설치 구조를 단순화함으로써 조수석 전면측에 증발기를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 운전 교습 자동차용 보조 페달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운전석과 조수석측을 연결한 상태에서 회전 브라켓(1)으로 양단이 지지된 회전축(2)과, 상기한 회전축(2)이 관통되도록 설치된 중공축(3)과, 상기한 회전축(2)의 조수석측 종단에 고정되어 연동하도록 설치된 보조 브레이크 페달(61)과, 상기한 중공축(3)에 고정된 보조 클러치 페달(63)과, 상기한 회전축(2)과 브레이크 페달(51)을 연결한 제1링크(4)와, 상기한 클러치 페달(50)과 연동하도록 제1회전축(52)에 고정 설치됨과 아울러 클러치 마스터 실린더(CM)에 연결되고 상기한 중공축(3)에 일측이 연결된 제2링크(5)와 연결 설치된 레버(6)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운전 교습 자동차용 보조 페달 장치{A mounting structure of assistance pedal for driving-traning automobile}
본 발명은 페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운전 교습 자동차용 보조 페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운전 교습용 차량은 운전자의 운전 능력이 미숙하기 때문에 조수석에 보조 운전자 또는 감독관이 탑승하게 된다.
운전 교습용 차량에 탑승한 보조 운전자 또는 감독관은 운전자의 운전 미숙으로 위험 상황이 돌발될 때 차량을 제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운전 교습용 차량에는 보조 클러치 및 보조 브레이크 페달이 설치되어 보조 운전자가 차량을 제동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러치 페달(50)과 브레이크 페달(51)이 제1회전축(52)에 설치된 페달 어셈블리(53)와, 상기한 클러치 페달(50)과 제1링크(54)로 연결되어 연동 회전함과 아울러 일단이 조수석에 설치된 마운팅 브라켓(55)으로 지지되고 타단이 보조 브라켓(56)에 지지된 제2회전축(57)과, 상기한 제2회전축(57)이 삽입되고 마운팅 브라켓(55)과 페달 어셈블리(53) 사이에 설치됨과 아울러 브레이크 페달(51)과 제2링크(58)로 연결된 제1중공축(59)과, 상기한 제1중공축(59)과 제3링크(60)로 연결됨과 아울러 보조 브레이크 페달(61)의 회전축으로 동작하도록 마운팅 브라켓(55)에 설치된 제3회전축(62)과, 상기한 제3회전축(62)이 삽입되고 보조 클러치 페달(63)이 연결됨과 아울러 제2회전축(57)과 제4링크(64)로 연결된 제2중공축(65)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제1회전축(52)은 클러치 페달(50)과 연동하면서 클러치 마스터 실린더(CM)와 연결되어 있고, 브레이크 페달(51)은 제1회전축(52)과 연동하지 않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보조 페달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운전자의 주행중 위험 상황이 돌발되면 조수석에 탑승한 보조 운전자 또는 감독관이 보조 클러치 페달(63)과 보조 브레이크 페달(61)을 밟게 된다.
즉, 보조 브레이크 페달(61)을 밟게 되면 이와 연동하는 제3회전축(62)이 회전하게 되고, 상기한 제3회전축(62)에 연결된 제3링크(60)가 연동하게 되고, 이와 연결된 제1중공축(59)이 회전하게 된다.
제1중공축(59)이 회전하게 되면 이와 연결되어 있는 제2링크(58)가 연동하게 되고, 상기한 제2링크(58)에 연결된 브레이크 페달(51)이 동작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보조 클러치 페달(63)을 밟게 되면 보조 클러치 페달(63)이 연결 설치된 제2중공축(65)이 회전하게 되고, 이와 제4링크(64)로 연결된 제2회전축(57)이 연동 회전하게 된다.
제2회전축(57)이 회전하게 되면 이와 제1링크(54)로 연결된 클러치 페달(50)이 회전됨으로써, 사고 돌발 상황 시 보조 운전자 또는 감독관이 클러치 및 브레이크를 동작시켜 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보조 운전자 또는 감독관이 사용하도록 조수석에 보조 클러치 페달과 보조 브레이크 페달을 설치한 후, 다수의 회전축, 제1, 2중공축, 다수의 링크로 클러치 페달과 브레이크 페달을 연결하게 되면 구성이 복잡하게 됨과 아울러 이로 인해 조수석 전면 공간이 좁아지게 됨으로써 차량용 에어컨의 증발기를 설치하기가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클러치, 브레이크 페달과 보조 클러치, 브레이크 페달의 회전 방향을 동일하게 하기 위해서는 상기 구성에서 필수적으로 제3회전축이 필요하게 되고, 상기한 제3회전축 설치 공간만큼 조수석 전면 공간을 차지하게 됨으로써, 조수석 전면측에 공기 덕트(A)만을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어 비교적 부피가 큰 증발기를 설치할 수 없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클러치 페달과 브레이크 페달과의 연결 구조를 단순화함과 아울러 보조 클러치 페달과 보조 브레이크 페달 설치 구조를 단순화함으로써 조수석 전면측에 증발기를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 운전 교습 자동차용 보조 페달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운전석과 조수석측을 연결한 상태에서 회전 브라켓으로 양단이 지지된 회전축과, 상기한 회전축이 관통되도록 설치된 중공축과, 상기한 회전축의 조수석측 종단에 고정되어 연동하도록 설치된 보조 브레이크 페달과, 상기한 중공축에 고정된 보조 클러치 페달과, 상기한 회전축과 브레이크 페달을 연결한 제1링크와, 상기한 클러치 페달과 연동하도록 제1회전축에 고정 설치됨과 아울러 클러치 마스터 실린더에 연결되고 상기한 중공축에 일측이 연결된 제2링크와 연결 설치된 레버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운전 교습 자동차용 보조 페달 장치를 도시한 개략도,
도2는 도1의 측면도,
도3은 일반적인 운전 교습 자동차용 보조 페달 장치를 도시한 개략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회전 브라켓2: 회전축
3: 중공축4: 제1링크
5: 제2링크6: 레버
50: 클러치 페달51: 브레이크 페달
61: 보조 브레이크 페달63: 보조 클러치 페달
도1과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운전 교습 자동차용 보조 페달 장치롤 도시한 개략도와 측면도로서, 운전석과 조수석측을 연결한 상태에서 회전 브라켓(1)으로 양단이 지지된 회전축(2)과, 상기한 회전축(2)이 관통되도록 설치된 중공축(3)과, 상기한 회전축(2)의 조수석측 종단에 고정되어 연동하도록 설치된 보조 브레이크 페달(61)과, 상기한 중공축(3)에 고정된 보조 클러치 페달(63)과, 상기한 회전축(2)과 브레이크 페달(51)을 연결한 제1링크(4)와, 상기한 클러치 페달(50)과 연동하도록 제1회전축(52)에 고정 설치됨과 아울러 클러치 마스터 실린더(CM)에 연결되고 상기한 중공축(3)에 일측이 연결된 제2링크(5)와 연결 설치된 레버(6)로 구성되어 있다.
즉, 보조 페달 장치가 동일축선상에 설치된 회전축(2)과 중공축(3)으로 동작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한 회전축(2)과 중공축(3)이 비교적 부피가 작은 회전 브라켓(1)만으로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한 조수석측의 전면 공간이 대폭 확장되는 것이다.
조수석측의 전면 공간이 대폭 확장됨으로써 비교적 부피가 큰 차량용 에어컨의 증발기(E)를 조수석측 전면 공간에 설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초보 운전자등과 같이 운전 동작이 미숙한 운전자의 운행중 사고 유발 상황이 돌발되면 조수석에 탑승한 보조 운전자 또는 감독관이 보조 클러치 페달(63)과 보조 브레이크 페달(61)을 밟게 된다.
보조 브레이크 페달(61)을 밟게 되면 이와 연결된 회전축(2)이 회전하게 되고, 상기한 회전축(2)에 연결된 제1링크(4)가 연동하면서 이와 연결된 브레이크 페달(51)을 회전시킴으로써 브레이크를 동작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한 보조 브레이크 페달(61)과 브레이크 페달(51)의 회전 방향은 예를 들어, 보조 브레이크 페달(61)을 밟으면 도1의 우측면에서 볼 때 회전축(2)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와 제1링크(4)로 연결된 브레이크 페달(51)이 제1회전축(52)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 회전함으로써 브레이킹 동작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보조 클러치 페달(63)을 밟게 되면 이와 연결된 중공축(3)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한 중공축(3)에 연결된 제2링크(5)가 레버(6)를 회전시키면서 클러치 페달(50)과 클러치 마스터 실린더(CM)를 동작시키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하나의 회전축(2)과 중공축(3)만으로 브레이크 페달(51), 클러치 페달(50)과 보조 브레이크 페달(61), 보조 클러치 페달(63)을 연동시킴과 아울러 비교적 작은 부피의 회전 브라켓(1)만으로 회전축(2)과 중공축(3)을 지지함으로써, 상기한 회전 브라켓(1) 전면측에 증발기(E)를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운전 교습용 자동차에 사용되는 보조 페달 장치의 구성 및 운전자가 조작하는 페달 장치와의 연결 구성을 단순화함과 아울러 조수석측의 보조 페달 장치 부피를 최소화함으로써 차량용 에어컨의 증발기를 조수석측에 설치할 수 있는 잇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운전석과 조수석측을 연결한 상태에서 회전 브라켓으로 양단이 지지된 회전축과, 상기한 회전축이 관통되도록 설치된 중공축과, 상기한 회전축의 조수석측 종단에 고정되어 연동하도록 설치된 보조 브레이크 페달과, 상기한 중공축에 고정된 보조 클러치 페달과, 상기한 회전축과 브레이크 페달을 연결한 제1링크와, 상기한 클러치 페달과 연동하도록 제1회전축에 고정 설치됨과 아울러 클러치 마스터 실린더에 연결되고 상기한 중공축에 일측이 연결된 제2링크와 연결 설치된 레버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 교습 자동차용 보조 페달 장치.
KR1019990001084A 1999-01-15 1999-01-15 운전 교습 자동차용 보조 페달 장치 KR2000005092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1084A KR20000050924A (ko) 1999-01-15 1999-01-15 운전 교습 자동차용 보조 페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1084A KR20000050924A (ko) 1999-01-15 1999-01-15 운전 교습 자동차용 보조 페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0924A true KR20000050924A (ko) 2000-08-05

Family

ID=19571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1084A KR20000050924A (ko) 1999-01-15 1999-01-15 운전 교습 자동차용 보조 페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5092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9176B1 (ko) * 2000-11-29 2003-09-22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운전교습용 차량의 주페달과 보조페달의 연결구조
KR101397723B1 (ko) * 2011-06-10 2014-05-20 헤이지 미나미 액셀페달 오동작 해소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9176B1 (ko) * 2000-11-29 2003-09-22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운전교습용 차량의 주페달과 보조페달의 연결구조
KR101397723B1 (ko) * 2011-06-10 2014-05-20 헤이지 미나미 액셀페달 오동작 해소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375380C (en) Driver control module
EP0928727A3 (en) Brake pedal apparatus for vehicle
EP0928726A3 (en) Brake pedal structure for vehicle
KR20000050924A (ko) 운전 교습 자동차용 보조 페달 장치
JP2000085568A (ja) 自動車用駐車制動機及びその操作方法
KR20050043373A (ko) 운전교습차량의 보조페달장치
JP2021128561A (ja) 車両用ペダル装置
KR200220802Y1 (ko) 운전 교습 자동차용 보조 페달 마운팅 구조
KR102097979B1 (ko) 자동변속기의 컨버터 하우징
KR100191604B1 (ko) 자동차용 주차 브레이크
KR100256601B1 (ko) 각도 조절이 가능한 차량의 클러스터
KR100461244B1 (ko) 운전교습용 차량의 보조페달구조
KR0135290Y1 (ko) 케이블 가이드 플레이트
KR100216825B1 (ko)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
JPH11115533A (ja) フリーアクスル用エアポンプの取付構造
KR960040915A (ko) 자동변속기의 주차브레이크장치
KR900008482Y1 (ko) 전동주차 브레이크 장치
KR0136852Y1 (ko) 자동차의 일체형 클러치
JPH09328061A (ja) ペダル装置
KR0130620B1 (ko) 전기자동차의 주차브레이크 시스템
KR19980044814A (ko) 운전교습차량용 보조브레이크 페달
KR100387869B1 (ko) 페달식 주차브레이크 조작장치
JPH04116221U (ja) 2wd−4wd切換装置
KR100230204B1 (ko) 족답식 파킹 브레이크 중간레버장치
KR19990018575A (ko) 운전교습용 자동차의 브레이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