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1244B1 - 운전교습용 차량의 보조페달구조 - Google Patents

운전교습용 차량의 보조페달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1244B1
KR100461244B1 KR10-2000-0066365A KR20000066365A KR100461244B1 KR 100461244 B1 KR100461244 B1 KR 100461244B1 KR 20000066365 A KR20000066365 A KR 20000066365A KR 100461244 B1 KR100461244 B1 KR 1004612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al
auxiliary
brake pedal
clutch
clutch ped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63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36263A (ko
Inventor
안중철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663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1244B1/ko
Publication of KR200200362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62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12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12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vehicle transmissions, or par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K23/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vehicle transmissions, or par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ain transmission clu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4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 B60T7/06Disposition of pedal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30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16Control of vehicles or other craft
    • G09B19/167Control of lan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2201/00Particular use of vehicle brake systems; Special systems using also the brakes; Special software modules within the brake system controller
    • B60T2201/03Brake assista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 Braking Elements And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전교습용 차량의 보조페달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조수석의 보조브레이크페달 및 보조클러치페달의 회전축을 횡방향에서 종방향으로 바꾸어 보조페달과 주페달을 연결하는 케이블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적은 공간이 소요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운전석의 클러치페달과 브레이크페달(즉, 주페달)에 각각 케이블(13,14)에 의해 연결된 조수석의 보조클러치페달(11)과 보조브레이크페달(12)로 이루어져, 조수석에서 보조클러치페달(11) 또는 보조브레이크페달(12)을 작동시키면 상기 각각의 케이블(13,14)을 통해 운전석의 클러치페달 또는 브레이크페달이 작동되는 운전교습용 차량의 보조페달구조에 있어서, 상기 보조클러치페달(13)과 보조브레이크페달(14)의 회전축(15,16)은 각각 종방향(Z방향)으로 이루어져 케이블(13,14)이 좌우방향(Y방향)으로 작동되고, 상기 보조클러치페달(13)과 보조브레이크페달(14)은 상기 각각의 회전축(15,16)을 중심으로 차량의 전진방향으로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교습용 차량의 보조페달구이다.

Description

운전교습용 차량의 보조페달구조 {structure for supplementary brake pedal for an automobile for driving training}
본 발명은 운전교습용 차량의 보조페달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조수석의 보조브레이크페달 및 보조클러치페달의 회전축을 횡방향에서 종방향으로 바꾸어 보조페달과 주페달을 연결하는 케이블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적은 공간이 소요되도록 하는 운전교습용 차량의 보조페달구조에 관한 것이다.
운전교습용 차량에는 운전석과 조수석에 각각 브레이크페달과 클러치페달이 구비되어 있어 운전석에서 운전교습을 받는 피운전교습자가 불안정한 작동을 할 경우 조수석에 착석한 운전교습자가 클러치페달 또는 브레이크페달을 밟아 안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종래 운전교습용 차량의 보조페달구조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운전석의 클러치페달과 브레이크페달(즉, 주페달)이 각각 조수석의 보조클러치페달(1)과 보조브레이크페달(2)(즉, 보조페달)에 케이블(3,4)로 연결되어 있으며, 운전석에서 클러치페달 및 브레이크페달을 밟으면 조수석의 보조클러치페달(1) 및 보조브레이크페달(2)이 작동하지 않고, 조수석의 보조클러치페달(1) 및 보조브레이크페달(2)을 밟으면 운전석의 클러치페달 및 브레이크페달(즉, 주페달)이 작동된다.
도면 부호 6은 케이블 고정브라켓이고, 7은 페달 어셈블리 고정브라켓이다.
상기 보조페달의 회전축(5), 즉 상기 보조클러치페달(1)과 보조브레이크페달(2)의 회전축(5)은 횡방향(Y방향)이다. 이에 따라 상기 회전축(5)에서 케이블(3,4)의 작동방향(상하)(Z방향)과, 보조페달과 주페달 사이에서 케이블(3,4)의 진행방향(좌우)(Y방향)은 "A"부분에서와 같이 거의 직각으로 연결됨으로 보조페달의 조작 답력이 상승되고 저항의 상승에 따라 케이블(3,4)의 내구성이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조수석에 있는 상기 보조클러치페달(1)과 보조브레이크페달(2)의 회전축(5)은 횡방향이기 때문에 적정 레버비(lever ratio) 및 조작방향을 설정하기 위해서는 보조클러치페달(1)과 보조브레이크페달(2)이 이동하는 상하방향의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어 공조장치의 장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운전교습용 차량의 보조페달구조에 있어서, 조수석의 보조클러치페달 및 보조브레이크페달의 회전축을 횡방향에서 종방향으로 바꾸어 회전축에서 케이블의 작동방향(좌우)과 보조페달과 주페달 사이에서 케이블의 진행방향(좌우)을 일치시키므로 케이블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보조페달이 차지하는 공간을 줄이는 운전교습용 차량의 보조페달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 운전교습용 차량의 보조페달구조는 운전석의 클러치페달과 브레이크페달에 각각 케이블에 의해 연결된 조수석의 보조클러치페달과 보조브레이크페달로 이루어져, 조수석에서 보조클러치페달 또는 보조브레이크페달을 작동시키면 상기 각각의 케이블을 통해 운전석의 클러치페달 또는 브레이크페달이 작동되는 운전교습용 차량의 보조페달구조에 있어서, 상기 보조클러치페달과 보조브레이크페달의 회전축은 각각 종방향(Z방향)으로 이루어져 케이블이 좌우방향으로 작동되고, 상기 보조클러치페달과 보조브레이크페달은 상기 각각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차량의 전진방향으로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조클러치페달과 보조브레이크페달은 각각의 회전축 사이에서 서로 간섭이 없도록 서로 엇갈리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운전교습용 차량의 보조페달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 보조페달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 보조페달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 운전교습용 차량의 보조페달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보조클러치페달 2 : 보조브레이크페달
3, 4 : 케이블 5 : 회전축
6 : 케이블 고정브라켓 7 : 페달 어셈블리 고정브라켓
A : 절곡부분 11 : 보조클러치페달
11a : 페달 패드 11b : 페달 암
12 : 보조브레이크페달 13, 14 : 케이블
15, 16 : 회전축 17, 18 : 케이블 고정브라켓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 운전교습용 차량의 보조페달구조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운전석의 클러치페달과 브레이크페달(즉, 주페달)에 각각 케이블(13,14)에 의해 연결된 조수석의 보조클러치페달(11)과 보조브레이크페달(12)로 이루어져, 조수석에서 보조클러치페달(11) 또는 보조브레이크페달(12)을 작동시키면 상기 각각의 케이블(13,14)을 통해 운전석의 클러치페달 또는 브레이크페달이 작동되는 운전교습용 차량의 보조페달구조에 있어서, 상기 보조클러치페달(13)과 보조브레이크페달(14)의 회전축(15,16)은 각각 종방향(Z방향)으로 이루어져 케이블(13,14)이 좌우방향(Y방향)으로 작동되고, 상기 보조클러치페달(13)과 보조브레이크페달(14)은 상기 각각의 회전축(15,16)을 중심으로 차량의 전진방향으로 작동된다.
도면 부호 17, 18은 케이블 고정브라켓이다.
본 발명은 상기 보조클러치페달(11) 및 보조브레이크페달(12)의 회전축(15,16)을 종래의 횡방향에서 종방향으로 바꾼 것이다. 예를 들면, 보조브레이크페달(12)을 밟으면, 회전축(16)에서 케이블(14)이 화살표방향(→), 즉 횡방향(좌우방향, Y방향)으로 작동된다. 그리고 상기 브레이크페달과 보조브레이크페달(12) 사이에서 케이블(14)은 화살표방향(→), 즉 횡방향(좌우방향, Y방향)으로 작동된다. 이와 같이, 각각의 회전축(15,16)에서 케이블(13,14)의 작동방향(좌우방향, Y방향)과 주페달과 보조페달 사이에서 케이블(13,14)의 작동방향(좌우방향, Y방향)이 일치된다. 이에 따라 보조페달의 조작 답력이 감소되므로 케이블(13,14)의 작동저항이 감소되어 케이블의 내구성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 보조페달의 레버비(lever ratio)는 페달 패드(11a)와 회전축(15)간의 횡방향(Y축) 거리로 조정이 가능하다. 즉,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 보조페달은 레버비 확보를 횡방향으로 하게 되므로 종래 보조페달 보다 상대적으로 상하전후로 적은 공간을 차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타부품(공조계, 크래쉬 패드(crash pad) 등)과의 간섭 없이 보조페달을 장착할 수 있다.
그리고 보조클러치페달(11)을 예로 들면, 회전축(15)에 대하여 페달 암(11b)의 기울기는 페달의 작동방향을 결정하는 것이므로 페달조작성을 고려하여 설정해야 한다.
한편, 상기 보조클러치페달(11)과 보조브레이크페달(12)은 도 4와 같이, 각각의 회전축(15,16) 사이에서 서로 간섭이 없도록 서로 엇갈리게 설치된다. 그러면 상기 보조페달은 상기 보조클러치페달(11)과 보조브레이크페달(12)이 동일한 방향으로 나란히 설치되는 경우 보다 횡방향으로 적은 공간을 차지하게 된다.
이때, 보조클러치페달(11)을 차량의 전진방향으로 최대로 밟았을 때를 기준으로 보조클러치페달(11)과 보조브레이크페달(12)이 서로 간섭이 없도록 각 페달 암의 형상을 설정한다.
본 발명 운전교습용 차량의 보조페달구조는 운전교습용 차량의 보조페달구조에 있어서, 조수석의 보조클러치페달 및 보조브레이크페달의 회전축을 횡방향에서 종방향으로 바꾸어 회전축에서 케이블의 작동방향(좌우)을 보조페달과 주페달 사이에서 케이블의 진행방향(좌우)과 일치시킨 것으로, 페달의 조작 답력을 감소시키어 케이블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적정 레버비의 확보를 횡방향으로 하게 되므로 보조페달이 차지하는 공간을 줄여 타부품에 관계없이 보조페달을 장착할 수 있도록 한 유용한 것이다.

Claims (4)

  1. 운전석의 클러치페달과 브레이크페달에 각각 케이블에 의해 연결된 조수석의 보조클러치페달과 보조브레이크페달로 이루어져, 조수석에서 보조클러치페달 또는 보조브레이크페달을 작동시키면 상기 각각의 케이블을 통해 운전석의 클러치페달 또는 브레이크페달이 작동되는 운전교습용 차량의 보조페달구조에 있어서,
    상기 보조클러치페달과 보조브레이크페달의 회전축은 각각 종방향(Z방향)으로 이루어져 케이블이 좌우방향으로 작동되고,
    상기 보조클러치페달과 보조브레이크페달은 상기 각각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차량의 전진방향으로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교습용 차량의 보조페달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클러치페달과 보조브레이크페달은 각각의 회전축 사이에서 서로 간섭이 없도록 서로 엇갈리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교습용 차량의 보조페달구조.
  3. 삭제
  4. 삭제
KR10-2000-0066365A 2000-11-09 2000-11-09 운전교습용 차량의 보조페달구조 KR1004612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6365A KR100461244B1 (ko) 2000-11-09 2000-11-09 운전교습용 차량의 보조페달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6365A KR100461244B1 (ko) 2000-11-09 2000-11-09 운전교습용 차량의 보조페달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6263A KR20020036263A (ko) 2002-05-16
KR100461244B1 true KR100461244B1 (ko) 2004-12-10

Family

ID=19698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6365A KR100461244B1 (ko) 2000-11-09 2000-11-09 운전교습용 차량의 보조페달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124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97296B (zh) * 2018-06-05 2024-04-05 珠海高斯科技有限公司 飞行模拟器的脚蹬操纵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46013A (en) * 1989-06-12 1990-08-07 Conlyn Jr Andrew C Apparatus for manual operation of vehicle brake and accelerator pedals
JPH02113567U (ko) * 1989-02-28 1990-09-11
JPH0516692A (ja) * 1991-07-11 1993-01-26 Masuyuki Naruse ペダル機構
JPH0763074A (ja) * 1993-08-24 1995-03-07 Chiyuunichi Gas Assetsu Kk 自動車運転用アクセル操作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13567U (ko) * 1989-02-28 1990-09-11
US4946013A (en) * 1989-06-12 1990-08-07 Conlyn Jr Andrew C Apparatus for manual operation of vehicle brake and accelerator pedals
JPH0516692A (ja) * 1991-07-11 1993-01-26 Masuyuki Naruse ペダル機構
JPH0763074A (ja) * 1993-08-24 1995-03-07 Chiyuunichi Gas Assetsu Kk 自動車運転用アクセル操作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6263A (ko) 2002-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917136B2 (ja) 自動車の縦運動及び横運動を制御するための操作素子装置
JPH11202962A (ja) 調整可能アクセル・ペダル装置
JPH028855Y2 (ko)
CN109204288A (zh) 具有致动器杆的制动助力器装置
KR100461244B1 (ko) 운전교습용 차량의 보조페달구조
JPH02279495A (ja) 船外機の操舵装置
CN103963642B (zh) 产生迟滞的踏板装置
JPH11158923A (ja) モータグレーダ
KR200149906Y1 (ko) 운전교습차량의 보조페달장치
CN217238951U (zh) 一种踏板联动装置和车辆
KR100372460B1 (ko) 자동차용 페달 높낮이 조절 장치
US20050224272A1 (en) Ergonomic vehicle control system
KR970004792Y1 (ko) 캡 틸팅형 트럭의 케이블 변속레버
JP2956723B2 (ja) 自動車の重量物配置構造
KR100901344B1 (ko) 변속조작기구
KR0152620B1 (ko) 자동차의 가감속 및 제동페달을 겸용하는 스티어링 조작장치
KR200242441Y1 (ko) 자동차용 전자식 액셀레이터 장치
KR100428118B1 (ko) 자동차의 가속페달조립체
JP3757501B2 (ja) 4輪駆動車のトランスミッションサポートロッド取付構造
KR100401830B1 (ko) 자동차의 가속페달조립체
US20020157496A1 (en) Accelerator pedal module
KR970006342Y1 (ko) 운전교습용 차량의 브레이크 페달 수동조작장치
JP2007109098A (ja) 車両のペダル構造
KR100200148B1 (ko) 운전교습용 차량의 페달구조
KR100873252B1 (ko) 차량용 엑셀 페달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